KR20080010979A - An outdoor air suction equipment for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n outdoor air suction equipment for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979A
KR20080010979A KR1020060071748A KR20060071748A KR20080010979A KR 20080010979 A KR20080010979 A KR 20080010979A KR 1020060071748 A KR1020060071748 A KR 1020060071748A KR 20060071748 A KR20060071748 A KR 20060071748A KR 20080010979 A KR20080010979 A KR 20080010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e
suction
discharge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백현삼
홍성희
류홍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0979A/en
Publication of KR2008001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97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An apparatus for introducing an outdoor air in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to solve a problem of increasing the use of energy for air conditioning due to the increase of heating load or cooling load. An apparatus for introducing an outdoor air in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case, a front suction port(120), a rear discharging port, a side discharging part(200), and a side suction part(300). The case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has an inner space. The front suction port is formed at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to suck air into the inner space. The rear discharging por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to discharge air through the rear portion of the case. The side discharging part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to discharge air, which has been sucked through the front suction port, through the side portion of the case. The side suction part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discharging part to suck outdoor air.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 {An outdoor air suction equipment for air conditioner}Outdoor air suction equipment for air conditioner {An outdoor air suction equipmen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duc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duc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외기도입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external air induction apparatus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외기도입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사시도.Figure 4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xternal air induction apparatus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외기도입장치의 내부가 차폐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hielded state of the external air induction apparatus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외기도입장치의 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open air induction apparatus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케이스 120. 전면흡입구100.Case 120.Front Intake

122. 흡입덕트체결부 124. 측면토출구122. Suction duct fastening part 124. Side discharge port

124'. 토출부가이드 126. 측면흡입구124 '. Discharge guide 126. Side suction port

126'. 흡입부가이드 140. 중앙베인부126 '. Suction guide 140.Center vane section

142. 중앙포스트 144. 중앙베인142.Center Post 144. Center Bain

160. 중앙구동부 200. 측면토출부160. Central drive unit 200. Side discharge unit

210. 토출가이드 220. 보조제어부210. Discharge guide 220. Auxiliary control unit

230. 토출구동부 300. 측면흡입부230. Discharge drive part 300. Side suction part

310. 흡입가이드 320. 흡입필터310. Suction guide 320. Suction filter

322. 필터프레임 324. 필터322.Filter frame 324. Filter

330. 필터가이드 340. 흡입구동부330. Filter guide 340. Suction drive unit

L. 링크L. Link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에 장착되어 제어가 가능한 베인이 구비되어 외부 공기의 흡입으로 환기가 가능한 외기도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air inlet apparatus of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xternal air inlet apparatus equipped with a vane mounted to the air conditioner and controllable to allow ventilation by suction of external air.

공기조화기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목적에 따라 가장 최적의 상태로 조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보다 편안하고 쾌적한 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차량이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기기로써 압축―응축―팽창―증 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사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An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harmonizes the air of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to an optimum state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in order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and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Installed in space or on the wall, it is a device that cools or heats a room and constitutes a series of cycles consisting of compression, condensation, expansion, and evaporation.

공기조화기는 응축기와 압축기가 장착되며,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실외측' 또는 '방열측' 이라 부르기도 함)에 형성되는 2차측유로와, 증발기가 장착되며, 주로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실내측' 또는 '흡열측'이라 부르기도 함)에 형성되는 1차측유로로 나뉘어진다. The air conditioner is equipped with a condenser and a compressor, and is equipped with a secondary side flow path formed in an outdoor unit (sometimes called an 'outdoor' or a 'heat sink') mainly installed outdoors, and an indoor unit installed mainly indoors. It is divided into primary side flow paths (also called 'indoor' or 'heat absorbing side').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주지된 바와 같이 1차측유로와 2차측유로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1차측유로 및 2차측유로가 일체로 성형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실내 공간에 1차측유로가 형성되는 실내기가 구비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각각의 실내 공간을 덕트로 연결하여 실내 공기를 조화시키는 덕트형 공기조화기로 나눌 수 있다. Such air conditioner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 separate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primary side passage and the secondary side passage are separately installed, and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 which the primary side passage and the secondary side passage ar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a separate air conditioner having an indoor unit having a primary side flow path formed in each indoor space may be divided into a duct type air conditioner that connects each indoor space to a duct to harmonize the indoor air.

공기조화기는 최근에 냉·난방 외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 한 후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재투입하는 공기 정화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건습공기로 만들어 실내로 재투입하는 제습기능 등 여러가지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In addition to air conditioning and heating, air conditioners have recently been equipped with various air purification functions such as suctioning and filtering indoor polluted air and re-cleaning air into the room, and dehumidifying function of re-injecting humid air into dry and dry air. Additional features are being add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덕트 부착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with a duc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덕트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덕트형 공기조화기를 살펴보면, 덕트형 공기조화기는 대략 사각 상자 형상의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우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우측판넬(20),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판넬(30), 좌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좌측판넬(40),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면판넬(50) 그리고,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하면판넬(6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referring to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the duct type air conditioner is formed by the main body 10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 shape. The main body 10 has a right side panel 20 forming a right side appearance, a front panel 30 forming a front side appearance, a left side panel 40 forming a left side appearance, and an upper side panel 50 forming a top appearance. And it is comprised by the lower panel 60 which forms a lower external appearance.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장착되며, 상기 전면판넬(30)에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덕트(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이러한 본체(10)의 우측판넬(20)과 좌측판넬(40)의 사이에는 베리어(70)가 좌우로 가로질러 구비된다. 상기 베리어(7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베리어(7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베리어(70)를 기준으로 전방은 1차측유로(80)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2차측유로(90)가 형성된다. A plurality of components are mount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front panel 30 is equipped with a duct (not shown) for guiding air in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to be sucked into the main body 10. . Between the right panel 20 and the left panel 40 of the main body 10, the barrier 70 is provided across the left and right. The barrier 7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 by the barrier 70 on the front side of the barrier 70. In the rear, a secondary side flow path 90 is formed.

상기 1차측유로(80)에는 실내팬(81)이 장착된다. 상기 실내팬(81)은 회전 운동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게 된다. An indoor fan 81 is mounted in the primary side flow path 80. The indoor fan 81 is rotated to force the flow of air so that the air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into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실내팬(81)의 외측에는 팬하우징(82)이 구비된다. 상기 팬하우징(82)의 하면은 상기 하면판넬(60)의 상면에 접하면서 장착되고, 좌측 단부는 상기 좌측판넬(40)에 접하도록 장착된다. The outside of the indoor fan 81 is provided with a fan housing 82. The low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82 is mounted while contac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60, and the left end is mounted to contact the left panel 40.

상기 전면판넬(30)에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인 전면흡입구(32)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전면흡입구(32)의 좌측방(도 2에서 볼 때)에는 본체(10)의 내부에서 조화된 공기가 토출 되는 통로인 전면토출구(36)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성형된다. The front panel 3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front suction opening 32,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is sucked into the main body 10, and has a left side of the front suction opening 32 (FIG. As seen from 2), the front discharge port 36,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armonized air is discharged inside the main body 10,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즉, 상기 전면판넬(30)의 우측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성형되는 전면흡입구(32)가 형성되며, 이러한 전면흡입구(32)의 테두리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흡입덕트(미도시)가 체결되기 용이하도록 흡입덕트가이드(34)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That is,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nel 30 is formed with a front suction port 32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ction duct (not shown) for guiding the air sucked is fastened to the edge of the front suction port (32) Suction duct guide 34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to be easy.

또한, 상기 전면흡입구(32)의 좌측 다시말해 상기 전면판넬(30)의 좌측부분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성형되는 전면토출구(36)가 형성되며, 이러한 전면토출구(36)의 테두리에는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덕트(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되기 용이하도록 토출덕트가이드(38)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suction port 32, that is, the left side of the front panel 30 is formed in the front discharge port 36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air discharged to the edge of the front discharge port 36 The discharge duct guide 38 protrudes forward to facilitate the guiding discharge duct (not shown).

따라서, 상기 전면토출구(36)의 후측에는 상기 실내팬(81)이 구비되며, 전면토출구(36)는 실내팬(81)의 회전 운동으로 상기 팬하우징(82)에 의해 안내되어 실내팬(81)의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통로가 된다. Therefore, the indoor fan 81 is provided at the rear side of the front discharge port 36, and the front discharge port 36 is guided by the fan housing 82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indoor fan 81, thereby providing an indoor fan 81. ) Is a passage of air dischar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1차측유로(80)의 내부, 다시말해 상기 전면흡입구(32)의 후측에는 전면흡입구(32)를 통해 1차측유로(80)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열교환되는 실내열교환기(83)가 장착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83)는 상기 전면토출구(36)와 전면흡입구(32)의 사이로부터 상기 베리어(70)의 우측 단부까지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 " 형상으로 성형된다. An interior heat exchanger (83) in which the air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primary side passage (80) through the front suction opening (32) is formed inside the primary side passage (80), that is, at the rear side of the front suction opening (32). Is mounted. The indoor heat exchanger 83 is shaped into a substantially "/"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between the front discharge port 36 and the front suction port 32 to the right end of the barrier 70.

상기 전면흡입구(3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83)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고,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전면토출구(36)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토출된다. The air sucked through the front suction port 32 is exchan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83, and the heat exchang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front discharge port 36.

상기 실내열교환기(83)의 내부에는 작동 유체인 냉매가 유동되며, 실내열교환기(83)의 하측에는 드레인팬(84)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팬(84)은 실내열교환기(83)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이러한 드레인팬(84)은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어 실내열교환기(83)로부터 낙하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게 된다. A refrigerant that is a working fluid flows inside the indoor heat exchanger 83, and a drain pan 84 is provided below the indoor heat exchanger 83. The drain pan 84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83, the drain pan 84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the upper surface is condensed water falling from the indoor heat exchanger 83 Will be collected.

상기 드레인팬(84)의 측면에는 드레인홀(85)이 성형되며, 상기 드레인홀(85)은 상기 우측판넬(20)과 접하면서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드레인팬(84)의 내부로 집수되는 응축수가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A drain hole 85 is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drain pan 84, and the drain hole 85 is form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right panel 20 to be collected into the drain pan 84. The condensed water is guid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상기 1차측유로(80)의 후측 다시말해, 상기 베리어(70)의 후측에는 2차측유로(90)가 형성되며, 상기 2차측유로(90)의 중앙부에는 냉매를 고온 고압의 상태로 압축시키는 압축기(91)가 장착된다. 이러한 압축기(91)는 비교적 대형인 스크롤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된다.In other words, a secondary side flow path 90 is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primary side flow path 80, and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t a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in a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ary side flow path 90. 91 is mounted. The compressor 91 is a scroll compressor of relatively large size.

상기 2차측유로(90)에는 실외열교환기(92)가 장착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92)는 내부에 유동되는 작동 유체인 냉매가 2차측유로(9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되도록 하기 위하여 장착되며,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으로 성형되면서 2차측유로(90)의 내면을 따라 구비된다. The outdoor side heat exchanger 92 is mounted on the secondary side flow path 90. The outdoor heat exchanger 92 is mounted to allow the refrigerant, which is a working fluid flowing therein, to exchange with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ary side flow path 90, and is shaped into a substantially '∩'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It is provid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vehicle side flow path (90).

상기 본체(1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상면판넬(50)에는 실외팬(51)이 장착된다. 이러한 실외팬(51)은 상기 2차측유로(90)의 상측에 장착되며, 회전 운동함으로써 2차측유로(9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상면판넬(50)의 후반부 다시말해, 실외팬(51)의 상측에는 상면토출구(52)가 천공 형성된다. An outdoor fan 51 is mounted to the upper panel 50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he outdoor fan 51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ary side passage 90 and rotates to discharge the internal air of the secondary side passage 90 to the outside. In other words, in the latter half of the upper panel 50, the upper surface discharge port 52 is formed in the upper side of the outdoor fan 51.

상기 상면토출구(52)는 상기 실외팬((51)의 회전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지면서 대략 원형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상면토출구(52)의 내주면에는 실외팬(51)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오리피스(53)가 구비되며, 상면토출구(52)의 상면에는 토출그릴(54)이 장착된다. The upper surface discharge port 5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having a radius larger than the rotation radius of the outdoor fan 51.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discharge port 52 is upward by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outdoor fan 51. An orifice 53 is provided to guide the flow of air flowing into the upper surface, and the discharge grill 54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discharge port 52.

상기 하면판넬(60)의 측면에는 리프트홀(62)이 좌측과 우측에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프트홀(62)은 지게차 등의 리프트 일부분이 삽입되어 상기 본체(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Lift holes 62 are formed in pai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ower panel 60. The lift hole 62 i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main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lift portion, such as a forklift.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the following problems occu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종래 기술에서는 건물 외부 또는 건물 내부의 지하 등지에 설치되어 덕트를 통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다음 조화시킨 후 덕트를 통해 다시 실내로 재공급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을 실시하여 실내의 온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으나 실내의 오염물질이 제거되지 않아 실내공기가 청정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the prior art, it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or the basement inside the building to suck the air in the room through the duct, and then harmonize and re-supply it back to the room through the duct is configured to cool or heat the room. In the related art, the indoor temperature may be properly maintained by cooling or heating the room, but the indoor air may not be clean because the pollutants in the room are not removed.

또한, 청정한 실내공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창문 또는 출입문을 개방하여 환기를 시켜주어야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이 창문 또는 출입문을 개방하여 환기를 실시하게 되면 냉방 또는 난방의 부하가 증가하게 되어 건물의 유지관리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clean indoor air, a problem arises in that a window or a door is ventilated to open a room. Thus, when a window or a door is ventilated to open a room, a load of cooling or heating increases. The problem arises that the maintenance cost rises.

이러한 냉방 또는 난방의 부하 증가로 인해 공기 조화를 위한 에너지의 사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에너지 사용의 증가는 공기조화기의 유 지 비용을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The increase in the load of cooling or heating cause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use of energy for air conditioning, and the increase in energy use cause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maintenance cost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외기도입장치의 목적은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의 물리적 성질을 비교하여 외기도입장치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air conditioner external air in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compa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ndoor air and outdoor air to selectively control the flow path of air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air inlet device It is to provide an external air injecting device of an air condition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 공간을 이루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前面)에 형성되며, 케이스의 내부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인 전면흡입구와;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가 케이스의 후방으로 토출되는 통로인 후면토출구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성형되며, 상기 전면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케이스의 측방으로 토출되는 통로인 측면토출부와; 상기 측면토출부의 후측에 성형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인 측면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freshener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nd the case forming an internal space while forming an appearance; A front suction opening formed in a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being a passage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case; A rear discharge port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case and configured to be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ing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case is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case; A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on a side of the case and being a passage through which air sucked through the front suction hole is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case; It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discharg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ide suction portion: a passage that is the passage of the outdoor air to the inside of the case.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는 상기 전면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중앙베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vane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flow path of the air sucked through the front suction port.

상기 측면토출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측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토출베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discharg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vane portion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flow path of air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case.

상기 측면흡입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측방으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흡입베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suction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vane portion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flow path of the outside air sucked into the side of the case.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중앙베인부의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중앙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drive portion for providing the operating power of the central vane portion is provided.

상기 측면토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토출베인부의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토출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discharg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drive unit for providing the operating power of the discharge vane portion.

상기 측면흡입부의 상면에는 상기 흡입베인부의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suctio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driving unit for providing the operating power of the suction vane portion.

상기 중앙구동부와 토출구동부 및 흡입구동부는 링크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entral driving unit, the discharge driving unit and the suction driving unit may be fastened by a link.

상기 측면흡입부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suc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for removing the air sucked in is detachably provided.

상기 측면흡입구에는 상기 필터의 탈착을 가이드하면서 필터를 고정시키는 필터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suction opening is provided with a filter guide for fixing the filter while guiding the removal of the filter.

상기 측면토출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보조제어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discharg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mounted in the case is mounted.

상기 측면토출부에는 공기의 토출을 강제하는 토출팬이 구비되는 토출팬덕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discharg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fan duct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fan forcing the discharge of air.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에 의하면, 외부 공기와 실내 공기의 환기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external air injecting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entilation of the outside air and the indoor air is possibl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ase of use is improved.

최근에는 건물이 대형화되고,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쾌적한 주거환경을 추구하는 성향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에너지 소비의 절감을 위해 실내 공간의 밀폐성이 증가함에 따라 밀폐된 실내 공간의 공기가 실내 공간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Recently, as buildings have become larger and living standards have improved, the propensity to pursue a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has increased. In addition, as the airtightness of the indoor space is increase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the air in the sealed indoor space directly affects the health of people living in the indoor space.

이러한 실내 공간의 공기 청정을 위해 환기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는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환기를 위해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importance of ventilation is emerging to clean the air of the indoor space, the external air inlet device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llow the inflow of outside air for the ventilation of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xample of the air intake apparatus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외기도입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외기도입장치의 외형을 살펴보면, 외기도입장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는 케이스(100)에 의해 외관을 이루게 된다.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external air induction apparatus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external shape of the external air inlet apparatus with reference to Figure 3, the external air inlet apparatus is formed by the case 1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상기 케이스(1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前面)과 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며, 개구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는 각각의 판넬이 체결되어 성형되거나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The case 100 has an inner space,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opened, and each panel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except for the opened surface. Fastened and molded or integrally molded.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된 전면(前面)의 테두리에는 실내의 공기 유동을 안내하는 흡입덕트(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도록 흡입덕트체결부(122)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덕트체결부(122)는 케이스(100)의 전면 테두리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전단부가 외측방으로 절곡되도록 성형된다. 이처 럼 절곡되어 성형되는 면은 외측방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경사지게 성형된다. The suction duct fastening part 122 is provided at an edge of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case 100 to mount a suction duct (not shown) for guiding air flow in the room. The suction duct fastening portion 122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edge of the case 100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formed so that the protruded front end portion is bent outward. As such, the surface to be bent and molded is formed to be inclined backward toward the outside.

따라서, 상기 흡입덕트(미도시)의 후면 테두리는 내측방으로 절곡되며, 내측방으로 절곡되는 면은 내측방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지게 성형된다. 이러한 흡입덕트(미도시)의 후단부가 상기 흡입덕트체결부(122)에 체결될 때 흡입덕트의 후단부에 성형되는 절곡면을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 후단부에 성형되는 흡입덕트체결부(122)의 절곡면과 체결되도록 성형된다. Therefore, the rear edge of the suction duct (not shown) is bent inwardly, and the surface bent inwardly is inclined forward toward the innerward. When the rear end of the suction duct (not shown) is fastened to the suction duct fastening portion 122, a bending surfac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uction duct is formed on the front rear end of the case 100 ( It is molded to engage with the bent surface of 122).

상기 케이스(100)의 개구된 전면에는 상기 흡입덕트(미도시)로부터 안내되어 유동되는 실내 공기가 케이스(100)의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인 전면흡입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흡입구(120)를 통해 실내 공기가 케이스(100)의 내부로 흡입된다. The front suction hole 120,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guided and flowed from the suction duct (not shown), is sucked into the case 100, is formed at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case 100.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case 100 through the front suction hole 120.

상기 케이스(100)의 우측면에는 측면토출부(200)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토출부(200)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좌측면과 우측면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면서 개구되는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측면토출부(200)는 상기 전면흡입구(120)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케이스(100)의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case 100 is provided with a side discharge portion (200). The side discharge portion 200 is formed in a shap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left and right surfaces are opened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The side discharge part 20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front suction hole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0.

상기 측면토출부(200)의 우측면(도 3에서 볼 때)은 그릴 형상으로 성형되며, 우측면 테두리에는 회전 운동함으로써 토출력을 발생시키는 별도의 토출팬(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는 토출팬덕트(미도시)가 더 장착되도록 토출팬덕트체결부(도시되지 않음)가 더 성형된다. 이러한 토출팬덕트체결부(미도시)에는 토출팬덕트(미도시)가 아닌 토출되는 공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토출 덕트(미도시)가 장착되기도 한다. The right side (as seen in FIG. 3) of the side discharge portion 200 is formed in a grill shape, the discharge fan duc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discharge fan (not shown) to generate the earth output by rotating the right side edge ( The discharge fan duct fastening portion (not shown) is further molded to further mount. The discharge fan duct fastening part (not shown) may be equipped with a discharge duct (not shown) for guiding the discharged air to be discharged into a desired space instead of the discharge fan duct (not shown).

상기 측면토출부(200)의 우측면에는 토출가이드(210)가 다수개 장착된다. 상기 토출가이드(2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전면과 후면은 측면토출부(200)의 내측 전면과 후면에 접하도록 장착된다. 이러한 토출가이드(210)는 좌측단부보다 우측단부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장착된다. A plurality of discharge guides 210 are moun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ide discharge part 200. The discharge guide 210 is molded into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mounted to contact the inner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ide discharge part 200. The discharge guide 210 is mount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right end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left end portion.

따라서, 상기 측면토출부(2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는 다소 하방으로 토출되며, 이러한 토출가이드(210)에 의해 외부의 먼지 및 이물질이 측면토출부(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Therefore,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ion 200 is discharged downward somewhat, by the discharge guide 210 to prevent the dust and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side discharge portion 200. do.

상기 측면토출부(200)의 후측에는 측면흡입부(300)가 구비된다. 상기 측면흡입부(300)는 소정의 좌우 폭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성형되며, 좌측면과 우측면은 개구된 형상으로 성형된다. 세로 길이는 상기 케이스(100)와 대응되는 길이로 성형된다. The rear side of the side discharge portion 200 is provided with a side suction portion (300). The side suction part 30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ft and right widths,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molded into an open shape. The vertical length is mold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ase 100.

상기 측면흡입부(300)의 우측면에는 흡입가이드(310)가 다수개 장착되며, 흡입가이드(3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러한 흡입가이드(310)는 전면이 측면흡입부(300)의 내측 전면과 접하도록 장착되고, 후면이 측면흡입부(300)의 내측 후면과 접하도록 장착된다. A plurality of suction guides 310 are mounted on the right side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and the suction guides 310 are formed into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suction guide 310 is mounted so that the front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front surface of the side suction portion 300, the rea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side suction portion (300).

상기 흡입가이드(310)는 좌측면이 우측면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우측방으로 갈수록 소정의 각도로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장착되는 흡입가이드(310)에 의해 외부의 먼지 또는 이물질이 상기 측면흡 입부(300)를 통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uction guide 310 is mounted to have a downward slope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right side so that the left side is positioned above the right 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st or foreign matter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case 100 through the side suction part 300 by the suction guide 310 mounted at a predetermined angle.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외기도입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내부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는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선택적으로 구획하는 중앙베인부(140)가 세로 방향으로 길게 성형된다.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external air induction apparatus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the internal configuration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figure, the central vane portion 140 for selectively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

상기 중앙베인부(140)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 내부 상면과 하면에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중앙포스트(142)와, 상기 중앙포스트(142)의 회동에 의해 중앙포스트(142)를 회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구획하는 중앙베인(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entral vane 140 is fixed to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central portion of the case 100 is mounted to the center post 142 and the center post 142 by the rotation of the central post (14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entral vane 144 for selectively partitioning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while rotating the 142 to the rotation center.

상기 중앙베인부(140)는 실내 공기와 외부 공기가 가지는 물리적 성질을 비교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하게 된다. The central vane unit 140 selectively divides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100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by compa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ndoor air and the outside air.

상기 중앙베인(144)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중앙포스트(142)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성형되며, 중앙베인(144)의 중앙부에 중앙포스트(142)가 위치하게 되고, 중앙포스트(142)를 중심으로 중앙베인(144)이 장착된다. The center vane 144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st 142, such that the center post 142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center vane 144. The center vane 144 is mounted around the center post 142.

상기 중앙베인(464)은 상기 중앙포스트(142)의 회동에 의해 중앙포스트(142)를 회전 중심으로 동시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인접한 중앙포스트(142)에 장착되는 중앙베인(144)과 소정부분 겹치도록 성형되어 회동되었을 때 공기가 누설되지 않게 된다. The center vane 464 is rotatably mounted at the same time as the center post 142 by the rotation of the center post 142, the center vane 144 and a predetermined portion mounted to the adjacent center post 142. It is formed to overlap and is rotated so that air does not leak.

즉, 가장 좌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중앙베인(144)의 좌측단부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고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성형된다. 이러한 중앙베인(144)의 좌측단부를 상방에서 보면 대략 "∪" 형상으로 성형된다. 이처럼 성형되는 중앙베인(144)의 좌측면이 상기 케이스(100)의 좌측 내면과 접하면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That is, the left end of the center vane 144, which is located on the leftmost side, is bent and rounded forward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When the left end of the center vane 144 is viewed from above, it is shaped into a substantially "∪" shape. The left side of the central vane 144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left inner surface of the case 100 to prevent the leakage of air.

상기 중앙베인(144)은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으로 성형되는 중앙베인(144)의 좌측단부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면서 우측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우측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앙베인(144)의 우측단부는 좌측단부와 대칭되는 형상 즉,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으로 성형된다. The center vane 144 extends to the right side while being molded into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rom the left end of the center vane 144, which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The right end of the center vane 144 extending in the right direction is shaped into a shape symmetrical with the left end, that is, a substantially "∩"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따라서, 상기 중앙베인(144)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회전 중심이 되는 상기 중앙포스트(142)를 중심으로 좌측부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

Figure 112006054826117-PAT00001
" 형상으로 성형되며, 우측부는 좌측부와 대칭되도록 성형된다. Therefore, the left side of the center vane 144, which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enter vane 144 and serves as the center of rotation, is viewed from above,
Figure 112006054826117-PAT00001
"Shaped, and the right side is shaped to be symmetrical with the left side.

이처럼, 가장 좌측에 성형되는 상기 중앙베인(144)의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라운드지도록 성형되는 좌측단부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측 좌측면과 접하게 되고, 우측단부는 인접되어 구비되는 중앙베인(144)의 좌측단부와 접하도록 성형된다.As such, the left end portion formed to be round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of the center vane 144 formed on the leftmost si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left side surface of the case 100, and the right end portion is provided with the adjacent center vane ( 144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left end.

이와 같이, 상기 중앙베인(144)은 인접하게 성형되는 중앙베인(144)과 소정 부분 서로 겹치도록 회동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함으로써 케이스(100)의 전방으로부터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후방으로 유동되 지 못하고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전반부에 위치하게 된다. In this way, the center vane 144 is rotated so as to overlap with the central vane 144 to be formed adjacent to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portion to separate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100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suction from the front of the case 100 The indoor air is not flowing to the rear is located in the first half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 중앙부에는 상기 중앙베인부(140)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중앙구동부(160)가 장착된다. 상기 중앙구동부(160)는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중앙베인부(140)의 중앙포스트(142)에 상기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링크(L)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entral driving unit 16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0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for rotating the central vane unit 140. The central driving unit 160 is a driving motor (not shown) that generates rotational power when external power is applied, and rotational power of the driving motor (not shown) to the central post 142 of the central vane unit 14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ink (L) for transmitting.

상기 중앙구동부(160)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중앙구동부커버(162)에 의해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중앙구동부(160)가 보호된다. The central driving unit 160 prevents foreign matter or dust from flowing from the outside by the central driving unit cover 162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protects the central driving unit 160 from external shock.

상기 케이스(100)의 우측면 전반부에는 상기 전면흡입구(120)로부터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케이스(100)의 외부로 토출되는 통로인 측면토출구(124)가 천공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124)의 테두리에는 상기 측면토출부(200)가 장착되도록 토출부가이드(124')가 우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In the first half of the right side of the case 100, a side discharge port 124,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indoor air sucked from the front suction hole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0, is formed in a perforation. The discharge part guide 124 ′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right side so that the side discharge part 200 is mounted on the edge of the side discharge port 124.

상기 토출부가이드(124')에 의해 상기 측면토출부(200)가 안내되면서 상기 측면토출구(124)의 우측방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하는 상기 중앙베인부(140)가 회동하여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하게 되면, 상기 전면흡입구(120)를 통해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케이스(10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게 되다. The side discharging part 200 is guided by the discharge part guide 124 'and is mounted to the right side of the side discharging port 124. Therefore, when the central vane 140 that selectively partitions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rotates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100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the front suction opening 120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 is guid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0).

상기 측면토출부(200)의 내부 공간 저면에는 보조제어부(220)가 장착된다. 상기 보조제어부(220)는 측면토출부(200)의 내부에 장착되는 토출베인부(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측면흡입부(300)의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베인부(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처럼 보조제어부(220)가 측면토출부(200)의 내부 공간 저면에 위치하게 되면, 보조제어부(220)가 가동하게 될 때 발생하게 되는 열기의 냉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An auxiliary control unit 220 is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of the side discharge unit 200. The auxiliary control unit 220 drives the discharge vane unit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side discharge unit 200 and the suction vane unit (not shown) mounted inside the side suction unit 300. Control. When the auxiliary control unit 22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inner space of the side discharge unit 200 as described above, it is to facilitate the cooling of the heat generated when the auxiliary control unit 220 is operated.

상기 측면토출부(200)의 내부에는 상기 중앙베인부(140)와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되는 토출베인부(도시되지 않음)가 측면토출부(200)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좌반부와 우반부로 구획하게 된다. The discharge vane part (not shown)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center vane part 140 is divided into the left and right parts of the side discharge part 200. Done.

상기 측면토출부(200)의 상면에는 상기 토출베인부(미도시)를 구동시키게 되는 토출구동부(230)가 장착된다. 상기 토출구동부(230)는 상기 중앙구동부(160)와 링크(L)로 연결되도록 성형되며, 중앙구동부(160)의 작동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The discharge driving part 230 driving the discharge vane part (not shown)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discharge part 200. The discharge driving unit 23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central driving unit 160 and the link (L), it is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driving unit 160.

상기 케이스(100)의 우측면 후반부에는 케이스(100)의 외부 공기가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통로인 측면흡입구(126)가 천공 형성된다. 상기 측면흡입구(126)의 테두리에는 상기 측면흡입부(300)가 장착되도록 흡입부가이드(126')가 우측방으로 돌출 형성된다.A side suction opening 126,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of the case 100 is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is formed in the second half of the right side of the case 100. The suction part guide 126 ′ protrudes to the right side so that the side suction part 300 is mounted on the edge of the side suction hole 126.

상기 측면흡입부(300)는 상기 측면토출부(2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며, 좌측면이 상기 측면흡입구(126)의 테두리를 따라 성형되는 흡입부가이드(126')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케이스(100)의 우측면에 장착된다. 측면흡입부(300)의 내측 상면과 하면 중앙부에는 다음에 설명할 흡입필터(320)의 장착을 안내하는 필터가이드(330)가 구비된다.The side suction part 30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ide discharge part 200, and the left side is guided by the suction part guide 126 ′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side suction hole 126. It is moun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ase 100. A filter guide 330 for guiding the suction filter 320 to be described later is provided at the inner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상기 흡입필터(320)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성형되어 흡입 필터(32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필터프레임(322)과, 상기 필터프레임(322)에 장착되어 상기 측면흡입부(300)의 우측방으로부터 측면흡입부(300)의 좌측방으로 흡입되는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를 걸러주는 다수개의 필터(3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suction filter 320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to form a rim of the suction filter 320, and is mounted on the filter frame 322 and the side suction part 300. It comprises a plurality of filters 324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or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of the case 100 is sucked to the left side of the side suction unit 300 from the right side of the).

상기 흡입필터(320)에 의해 외부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또는 먼지가 걸러지면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깨끗한 공기만이 케이스(100)의 내부로 유동된다. As the foreign matter or dust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is filtered by the suction filter 320, only the clean air flows into the case 100.

상기 필터가이드(330)는 상기 측면흡입부(300)의 내측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필터(320) 상단부의 장착을 안내하는 상부가이드(332)와 측면흡입부(300)의 내측 하면에 구비되어 흡입필터(320) 하단부의 장착을 안내하는 하부가이드(3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lter guide 330 is provided o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guide 332 and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for guiding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filter 3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guide 334 for guiding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filter (320).

상기 상부가이드(332)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전방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하부가이드(334)는 중앙부가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전방에서 볼 때 대략 "∪" 형상으로 성형된다. The upper guide 332 is formed to have a central portion recessed upwards to form a substantially "∩"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lower guide 334 is formed to have a central portion recessed downward to a substantially "∪"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Is molded into.

중앙부가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기 상부가이드(332)의 중앙부 상면은 상기 측면흡입부(300)의 내측 상면에 접하면서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중앙부가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기 하부가이드(332)의 중앙부 하면은 측면흡입부(300)의 내측 하면에 접하면서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A central upper surface of the upper guide 332 having a central portion recessed upward is provided to be fixed while contacting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guide 332 recessed downward. The lower surface is provided to be fixed while contacting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side suction portion (300).

따라서, 상기 흡입필터(320)는 우측방에서 좌측방으로 장착되며, 흡입필터(32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상부가이드(332)와 하부가이드(334)의 우측면은 좌측면보다 길이가 짧게 성형된다. Therefore, the suction filter 320 is mounted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surfaces of the upper guide 332 and the lower guide 334 are shorter in length than the left sid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suction filter 320. Molded.

상기 측면흡입부(300)의 상면에는 측면흡입부(300)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 장착되는 상기 흡입베인부(미도시)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흡입구동부(340)가 장착된다. 상기 흡입구동부(340)는 상기 중앙구동부(160)와 링크(L)로 연결되어 중앙구동부(160)의 동작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흡입구동부(340)가 흡입베인부(미도시)를 작동시키게 된다. An upper surface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is provided with a suction driving part 340 which transmits a driving force to the suction vane part (not shown) which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inner space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The suction driving unit 34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driving unit 160 and the link (L) to receive the driving force by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driving unit 160 so that the suction driving unit 340 to operate the suction vane (not shown). do.

상기 흡입베인부(미도시)의 회동에 의해 상기 측면흡입부(30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중앙베인부(140)의 회동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후반부와 연통되도록 성형되며, 측면흡입부(300)의 우측방과 연통되도록 성형된다. 이처럼,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후반부와 연통되도록 성형되면, 측면흡입부(300)의 우측방에 위치하게 되는 외부 공기가 측면흡입부(300)를 통해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후반부로 유동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 inner space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is rotated by the suction vane part (not shown)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rear half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partitioned by the rotation of the central vane part 140. , And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right side of the side suction portion 300. As such, when molded to communicate with the rear half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the outside air positioned in the right side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passes through the side suction part 300 to the latter half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It is possible to flow.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용 외기도입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ir intake apparatus for an air conditio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외기도입장치의 중앙베인부가 차폐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공기조화기 외기도입장치의 중앙베인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entral vane portion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external air induction apparatus is adopted,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Figure 6 is an air conditioner employing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center vane part of the external air filling apparatus is opened is shown.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 외기도입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면에 부착되는 센서와,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의 일측에 부 착되는 센서에 의해 공기의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공기의 물리적 성질은 온도, 습도, 엔탈피, 이산화탄소(CO2) 가운데 하나가 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external air injector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first,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ir by the senso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case 100, the senso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pace for air conditioning Will be measured. Here, the physical properties of air are one of temperature, humidity, enthalpy and carbon dioxide (CO 2 ).

다시 말해, 공기 조화를 위한 공간인 실내 공간 공기의 물리적 성질과 실외 공간 공기의 물리적 성질을 비교하여 상기 중앙구동부(160)를 작동시키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central driving unit 160 is operated by compa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ndoor space air, which is a space for air conditioning, with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outdoor space air.

비교 대상 공기의 물리적 성질을 온도로 가정하게 되면, 공기조화기가 냉방모드로 작동할 경우 실내 온도가 실외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중앙구동부(160)를 작동시켜, 상기 중앙베인부(140)를 회동시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하게 된다. Whe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ir to be compared are assumed as the temperature, when the air conditioner operates in the cooling mode, when the room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outdoor temperature, the center driving unit 160 is operated to rotate the center vane unit 140.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is partitioned into a first half and a second half.

상기 중앙베인부(140)가 회동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이 전반부와 후방부로 구획되면, 흡입덕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안내되는 실내 공간의 공기가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측면토출부(200)를 통과하게 된다.When the inner vane 140 is rotated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is partitioned into the first half and the rear part, the air in the indoor space guided by the suction duct (not shown) is used to ope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It does not pass, and passes through the side discharge portion (200).

따라서, 상기 중앙베인부(140)가 회동하면서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하게 될 때, 상기 중앙구동부(160)가 작동하게 되면, 중앙구동부(160)와 링크(L)로 체결되는 상기 토출구동부(230)와 흡입구동부(340)가 동시에 작동된다.Therefore, when the center vane 140 rotates and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is partitioned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when the central driving unit 160 is operated, the central driving unit 160 and the link L The discharge driving unit 230 and the suction driving unit 340 which are fastened to the same time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상기 토출구동부(230)가 작동되면, 상기 측면토출부(200)의 내부 공간을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하게 되는 토출베인부(미도시)가 회동하게 되어 토출구동부(230)의 내부로 개방시키게 된다. 토출구동부(230)의 내부 공간이 개방되면 상기 케이스(100)의 전면흡입구(120)를 통과하여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측면토출부(200)를 통해 실외로 토출된다. When the discharge driver 230 is operated, a discharge vane (not shown) which divides the internal space of the side discharge part 200 to the left and the right is rotated to open the discharge drive part 230. . When the internal space of the discharge driver 230 is opened, indoor air sucked through the front suction port 120 of the case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ide discharge part 200.

이때, 상기 중앙구동부(160)의 작동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흡입구동부(340)에 의해 상기 측면흡입부(300)의 내부 공간을 좌반부와 우반부로 구획하는 상기 흡입베인부(도시되지 않음)도 회동하게 된다. 흡입베인부가 회동하게 되면, 측면흡입부(300)의 내부 공간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후반부와 실외 공간이 연통된다. In this case, the suction vane part (not shown) which divides the inner space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into a left half and a right half by the suction driving part 340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driving part 160. Will be rotated. When the suction vane rotates, the inner space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communicates with the latter half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and the outdoor space.

상기 흡입베인부(미도시)의 회동에 의해 실외 공간과 연통되는 상기 측면흡입부(300)의 우측방으로부터 실외 공기가 흡입되며, 측면흡입부(300)를 통해 흡입되는 실외 공기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후반부를 거쳐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된다. The outdoor air is suck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door space by the rotation of the suction vane part (not shown), and the outdoor air sucked through the side suction part 300 is the case ( It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via the latter half of the inner space of 100).

이처럼, 상기 측면흡입부(300)의 우측방으로부터 측면흡입부(30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는 측면흡입부(300)의 내부에 구비되는 흡입필터(320)를 통과하면서 공기에 포함되어 흡입되는 먼지 또는 이물질을 걸러주게 된다. 먼지 또는 이물질이 걸러짐으로써 깨끗해진 실외 공기는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 후반부를 거쳐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된다. As such, the outdoor air suck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from the right side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is included in the air while passing through the suction filter 320 provided in the side suction part 300. It will filter out the dust or foreign substances that are sucked in. The outdoor air, which has been cleaned by the dust or foreign matter, is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rear half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다시 실내 공간으로 유동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의도에 맞게 실내 공기를 조화시키게 된다. The air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er flows back into the indoor space to match the indoor air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반대로, 실내 공간의 온도가 실외 공간의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중앙구동부(16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중앙베인부(140)가 회동하여 상기 케이스(100)의 내 부 공간을 흡입덕트(미도시)와 연통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이 흡입덕트와 연통되면, 흡입덕트에 의해 안내되어 유동되는 실내 공기가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is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outdoor space, the central vane 140 is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driving unit 160 to suck the duct (not shown)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100. Communicated with). As such, when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100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duct, the indoor air guided and flown by the suction duct flow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case 100.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실내 공기는 공기조화기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어 열교환된 다음 다시 실내 공간으로 유동되어 실내 공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의도에 맞게 조화시키게 된다. The indoor air, which flow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air conditioner, heat exchanges, and then flows back into the inner space to harmonize the inner space to the user's intention.

따라서, 상기 케이스(100)에 장착되는 상기 중앙베인부(140)와 토출베인부, 중앙베인부(140)와 흡입베인부는 전체적으로, 상반되도록 작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중앙베인부(140)가 회동하여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획하게 되면, 토출베인부는 상기 측면토출부(200)의 내부 공간을 개방시키게 되고, 흡입베인부는 상기 측면흡입부(300)의 내부 공간을 개방시키게 된다. Therefore, the center vane 140 and the discharge vane part, the central vane 140 and the suction vane part, which are mounted on the case 100, are operated to be oppos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when the central vane 140 rotates to divide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into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the discharge vane opens the internal space of the side discharge part 200, and the suction vane part The inner space of the side suction part 300 is opened.

상기 케이스(100)를 통한 공기의 유동은 비교되는 공기의 물리적 성질에 따라 다르게 작동하게 되며, 공기조화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다르게 작동하게 된다. The flow of air through the case 100 operat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ir to be compared, and operate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operating mode of the air conditioner.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 범위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공기의 유동을 제어하는 수단을 베인으로 장착하였으나, 루버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상기 측면토출부(200)에 토출팬이 장착되거나 별도의 토출덕트를 장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means for controlling the flow of air is mounted with vanes, it may be possible to mold the louver, and a discharge fan is mounted on the side discharge part 200 or a separate discharge duct is provide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install.

또한, 상기 측면흡입부(300)에 실외흡입덕트가 별도로 장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의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흡입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outdoor suction duct is separately mounted to the side suction unit 300 to allow the user to suck the air of the desired space into the indoor space.

뿐만아니라, 실내 공기 및 실외 공기의 물리적 성질을 비교하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여 상기 중앙베인부(140) 및 상기 측면토출부(200)와 측면흡입부(300)를 개방시키거나 차폐시킴으로써 실외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흡입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indoor air and outdoor air, the user directly manipulates and opens or shields the center vane 140, the side discharge part 200, and the side suction part 300. Of course, it is possible to inhale to the indoor space.

그리고, 상기 케이스(100)의 양측면에 상기 측면토출부(200) 및 측면흡입부(300)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side discharge portion 200 and the side suction portion 30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ase 100.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에서는 실내 공간의 공기와 실외 공간의 공기가 가지는 물리적 성질을 비교하여 공기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필요한 에너지의 소비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In the external air induction apparatus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energy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by compa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ir in the indoor space and the air in the outdoor space to selectively control the air flow It is effective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또한, 실내 공간의 공기를 실외로 토출하고 실외 공간의 공기를 실내로 흡입함으로써 창문을 열거나 출입문을 여는 번거러움 없이 실내 공간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ventilate the air in the indoor space without the hassle of opening windows or doors by discharging the air of the indoor space to the outside and inhaling the air of the outdoor space into the room.

창문을 열거나 출입문을 여는 번거러움 없이 실내 공간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It is possible to ventilate the indoor space without the hassle of opening a window or door to maximize the ease of use.

뿐만아니라, 실내 공간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실내 공간의 공기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ir in the indoor space can be ventilat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keep the air in the indoor space in a clean state.

그리고, 공기조화기의 냉방 또는 난방 운전시 공기조화기의 작동에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고, 실내 공기의 환기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으며,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rvice life of the air conditioner by allowing the ventilation of indoor air without increasing the load on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during cooling or heating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There is also a cost savings.

Claims (12)

외관을 형성하면서 내부 공간을 이루는 케이스와;A case forming an interior space while forming an appearance; 상기 케이스의 전면(前面)에 형성되며, 케이스의 내부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인 전면흡입구와;A front suction opening formed in a front surface of the case and being a passage through which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case;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통해 유동되는 공기가 케이스의 후방으로 토출되는 통로인 후면토출구와;A rear discharge port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case and configured to be a passage through which air flowing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case is discharged to the rear of the case;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성형되며, 상기 전면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가 케이스의 측방으로 토출되는 통로인 측면토출부와;A side discharge portion formed on a side of the case and being a passage through which air sucked through the front suction hole is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case; 상기 측면토출부의 후측에 성형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인 측면흡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The air intake apparatus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ide discharge portion, the side suction portion: a passage through which the outdoor air is sucked into the inside of the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 중앙부에는 상기 전면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중앙베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The air freshener of claim 1, wherein a central vane unit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to selectively shield a flow path of air sucked through the front suction po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토출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측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토출베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2. The air freshener of claim 1, wherein the side discharge portion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vane for selectively shielding a flow path of air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흡입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측방으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흡입베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The air freshener of claim 1, wherein the side suction part includes a suction vane part that selectively shields a flow path of external air sucked into the side of the cas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중앙베인부의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중앙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According to claim 2,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is an external air induction apparatus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driving portion for providing the operating power of the central vane portion is provid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토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토출베인부의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토출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The air freshener of the air conditioner of claim 3,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side discharge part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driving part providing an operating power of the discharge vane par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흡입부의 상면에는 상기 흡입베인부의 작동 동력을 제공하는 흡입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5] The external air intake apparatus of the air conditioner of claim 4, wherein an upper surface of the side suction part is provided with a suction driving part that provides an operating power of the suction vane part. 제 5 항 내지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구동부와 토출구동부 및 흡입구동부는 링크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8. The air freshener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wherein the central driving unit, the discharge driving unit, and the suction driving unit are fastened by a lin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흡입부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The external air intake apparatus of the air conditioner of claim 4, wherein the side suction unit is detachably provided with a filter for purifying the air sucke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흡입구에는 상기 필터의 탈착을 가이드하면서 필터를 고정시키는 필터가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10. The air freshener of claim 9, wherein the side suction hole is provided with a filter guide for fixing the filter while guiding the detachment of the filt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토출부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보조제어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The air freshener of claim 3, wherein the side discharge unit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mounted in the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토출부에는 공기의 토출을 강제하는 토출팬이 구비되는 토출팬덕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2. The air freshener of claim 1, wherein a discharge fan duct having a discharge fan for forcibly discharging air is mounted to the side discharge portion.
KR1020060071748A 2006-07-28 2006-07-28 An outdoor air suction equipment for air conditioner KR2008001097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748A KR20080010979A (en) 2006-07-28 2006-07-28 An outdoor air suction equipment for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748A KR20080010979A (en) 2006-07-28 2006-07-28 An outdoor air suction equipment for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979A true KR20080010979A (en) 2008-01-31

Family

ID=3922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748A KR20080010979A (en) 2006-07-28 2006-07-28 An outdoor air suction equipment for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097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0168A (en) * 2019-05-08 2019-08-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Air conditioner
CN114234298A (en) * 2021-12-18 2022-03-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ir conditioner external unit structure, control method thereof, air conditioner and storage mediu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0168A (en) * 2019-05-08 2019-08-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Air conditioner
CN114234298A (en) * 2021-12-18 2022-03-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Air conditioner external unit structure, control method thereof, air conditioner and storage mediu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6254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80051974A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715337B1 (en) Structure of blower for air-conditioner
KR20180082250A (en) Air conditioner
KR100867953B1 (en) Air-conditioner
KR101198577B1 (en) Open and close structure of outdoor air suction equipment
KR20070044291A (en) Air-conditioner
KR100564440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80010979A (en) An outdoor air suction equipment for air conditioner
KR20070107403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KR20080011507A (en) Control method of outdoor air suction equipment
KR101270610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100669021B1 (en) Ventilation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60083016A (en) Air conditioner
KR20050047159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107401A (en) Duct type air conditioner
KR101995119B1 (en) window-mounted air purifier
KR100873649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20080101474A (en) Air conditioner
KR100925718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512619B1 (en) Cabinet type air conditioner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and a driving method of it
KR100626446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086612B1 (en)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outlet for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100715336B1 (en) Structure of door for air-conditioner
KR100996626B1 (en) Suction and blow apparatus of indoor 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