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306U -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조절구 - Google Patents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306U
KR20080001306U KR2020060030073U KR20060030073U KR20080001306U KR 20080001306 U KR20080001306 U KR 20080001306U KR 2020060030073 U KR2020060030073 U KR 2020060030073U KR 20060030073 U KR20060030073 U KR 20060030073U KR 20080001306 U KR20080001306 U KR 200800013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ring
lens
control
len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0418Y1 (ko
Inventor
민판기
Original Assignee
민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판기 filed Critical 민판기
Priority to KR2020060030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418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3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3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4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4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는 공간을 상시 감시하거나 확인하기 위한 CCTV카메라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시카메라의 렌즈모듈에 있어 그 줌링과 포커스링에 체결된 기어링이 별도의 렌즈 조절축에 의해 회전되게 하되, 그 렌즈 조절축에는 저면에 크라운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렌즈 조절축으로부터 자유회전이 가능한 구동기어를 결합하고, 그 구동기어의 하측에는 상기 렌즈 조절축으로부터 스프링 탄설된 단속기어를 비회전 승강되게 결합함으로써,
렌즈 조절축의 회전력은 상기 구동기어와 전달기어의 치합력에 의해 그 기어링에 전달되게 하면서도, 렌즈모듈의 회전각을 넘어서는 경우의 부하시에는 상기 단속기어가 하강하여 그 회전력이 차단되게 하므로, 각종 기어부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렌즈모듈에 가해지는 부하 회전력을 제거시켜 상기 렌즈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 조절구에 대한 것이다.
감시카메라, 렌즈모듈, 조절축, 구동기어, 단속기어, 탄지스프링

Description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 조절구 {CCTV camera control devic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 조절구를 갖는 CCTV카메라의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 조절구를 갖는 CCTV카메라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 조절구의 요부 확대 분리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 조절구의 작동도로서,
도 4a는 무부하 상태에서의 동력 전달 작동도
도 4b는 부하 상태에서의 동력 단절 작동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 조절구를 갖는 CCTV카메라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 2 : 회로기판
3,3' : 포스트
10 : 렌즈모듈 11 : 줌링
12 : 포커스링 13 : 기어이빨
14 : 제1기어링 15 : 제2기어링
20,20' : 조절축 21 : 구동기어
22 : 크라운기어 23 : 단속기어
24 : 단속이빨 25 : 탄지스프링
26 : 평면부 27 : 삽입공
29 : 삽입홈
30 : 고정블럭 31 : E링
본 고안은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는 공간을 상시 감시하거나 확인하기 위한 CCTV카메라에 있어, 그 외부 케이스 내측에 내장된 렌즈 모듈의 원근과 초점을 외부에서 조절하기 위한 렌즈 조절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렌즈 모듈의 줌링과 포커스링의 외면에 각각 제1기어링과 제2기어링을 각각 장착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의 외측으로부터 삽입된 조절축의 단부에 삽입된 구동기어가 각각 치합되게 하되, 상기 조절축의 구동기어는 단속기어에 의해 회전 부하 발생시 동력 전달력이 차단되게 하여, 상기 구동기어 및 렌즈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카메라 또는 폐쇄회로TV(Closed Circuit Television:CCTV)는 원격지의 일정 장소에 설치되어 유,무선으로 동영상을 촬영 전송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은행이나 규모가 큰 상가, 지하주차장 등의 방범용 또는 취약지구에서 범죄예방용으로 사용되거나, 도로의 교통상황 모니터링, 건물의 화재예방 등 다양한 목적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일반 가정에서도 범죄예방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기이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감시카메라의 구성은 렌즈와 그 렌즈의 둘레부에 포설되어 나선식으로 전,후진하며 렌즈의 원근을 조정하는 줌조절링과 렌즈의 초점을 조정하는 포커스링과, 상기 렌즈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먼 거리의 모니터에 전송하여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볼트와, 상기 지지볼트의 하단이 체결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일측이 내삽되어 체결되고 내부가 개방된 외통체와, 상기 외통체의 상단에 체결되고 전방측에 광원부를 갖는 덮개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감시카메라는 처음에 촬영하고자 하는 일 방향을 향해 고정 설치되어 계속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미세한 충격이나 진동, 계절 변화에 따른 온,습도의 변화 등이 지속됨으로 인해 장시간 설치되어 있는 감시카메라의 렌즈 초점이 처음 상태와 달라져, 전송되는 화면을 제대로 모니터링 할 수 없게 되어 감시카메라의 렌즈 초점을 정기적으로 조정해주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실용신안 등록 제0382143호 및 제0422158호와 같이, 상기한 줌조절링과 포커스링에 별도의 기어링을 장착하고, 이들 각각의 기어링과 치합되는 별도 의 조절축을 형성하되, 이들 조절축의 단부가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함으로써, 주지한 바와 같은 렌즈 초점 및 원근 상태가 불량할 경우 상기 조절축을 회전시켜 이에 의해 최적의 모니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바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외부에서 그 카메라 내부의 렌즈모듈을 조정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케이스 전체를 분리하거나 분해하지 않고도 손쉽게 렌즈모듈의 원근이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렌즈모듈의 외부 조절이 가능한 감시카메라의 경우 그 조절축과 기어링이 직접 연결되어 있어 상기 조절축에 무리한 회전력을 가하게 되면 그 조절축 단부의 기어 또는 줌링이나 포커스링에 결합된 기어링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기어 혹은 기어링이 파손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렌즈모듈 자체가 부서지는 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감시카메라에 적용되는 렌즈모듈은 줌링과 포커스링의 나선 방식의 체결구조를 갖고 있고 그 체결방식에 의해 상기 줌링과 포커스링이 회전을 하게 되면 나선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원근이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때의 줌링 및 포커스링의 회전량은 크지 않고 대략 45°의 회전각을 갖게 되는데, 상기한 회전각 범위 내에서만 줌링 및 포커스링이 회전을 할 수 있으므로 그 회전각 이외의 회전 운동력을 받게 되면 그 동력 전달부 및 고정부의 취약 파손 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카메라 본체의 외측에서 조절축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한 카메라 내부의 렌즈모듈이 전혀 보이지 않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조절축을 무리하게 회전시키는 경향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그 조절축의 무리한 회전력은 조절축 단부의 기어와 렌즈모듈의 기어링 간의 치합부를 파손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상기 렌즈모듈에 그 힘이 그대로 전달되어 줌링이나 포커스링이 렌즈모듈로부터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감시카메라의 렌즈모듈에 있어 그 줌링과 포커스링에 체결된 기어링이 별도의 렌즈 조절축에 의해 회전되게 하되, 그 렌즈 조절축에는 저면에 크라운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렌즈 조절축으로부터 자유회전이 가능한 구동기어를 결합하고, 그 구동기어의 하측에는 상기 렌즈 조절축으로부터 스프링 탄설된 단속기어를 비회전 승강되게 결합함으로써,
렌즈 조절축의 회전력은 상기 구동기어와 전달기어의 치합력에 의해 그 기어링에 전달되게 하면서도, 렌즈모듈의 회전각을 넘어서는 경우의 부하시에는 상기 단속기어가 하강하여 그 회전력이 차단되게 하므로, 각종 기어부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렌즈모듈에 가해지는 부하 회전력을 제거시켜 상기 렌즈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 조절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 조절구를 갖는 CCTV카메라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렌즈 조절구를 갖는 CCTV카메라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렌즈 조절구의 요부 확대 분리사시도이다.
원통체로 된 케이스(1) 내측에 회로기판(2) 및 렌즈모듈(10)를 고정하는 포스트(3)(3')가 체결되고, 상기 렌즈모듈(10)의 줌링(11)와 포커스링(12)은 단부가 케이스(1) 외측으로 노출된 조절축(20)(20')의 선단이 체결되어진 CCTV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10)의 줌링(11)과 포커스링(12)의 외면에는 직교 방향의 기어이빨(13)을 갖는 제1기어링(14)과 제2기어링(15)을 각각 결합하고,
상기 조절축(20)(20')은 상기 케이스(1)와 체결되는 고정블럭(30) 상에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케이스(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조절축(20)(20') 단부의 구동기어(21)가 상기 제1기어링(14) 및 제2기어링(15)의 기어이빨(13)에 각각 치합되게 하되,
상기 구동기어(21)는 조절축(20)(20')으로부터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하고, 그 구동기어(21)의 저면에는 방사상의 크라운기어(22)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기어(21)의 하측에는 상기 조절축(20)(20')으로부터 비회전 상태에서 상하 승강 되는 단속기어(23)를 삽입하여, 그 단속기어(23)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속이빨(24)이 상기 크라운기어(22)와 치합되게 하며,
상기 단속기어(23)는 조절축(20)(20') 상의 탄지스프링(25)에 의해 상향 탄성력을 갖게 삽입되어, 상기 조절축(20)(20')의 회전력이 그 단속기어(23)를 통해 구동기어(21)로 전달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한 조절축(20)(20')에는 절취된 평면부(26)를 형성하고, 상기 단속기어(23)에는 직선구간을 갖는 삽입부(27)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단속기어(23)가 상기 조절축(20)(20')의 평면부(26)에 의해 비회전 상태에서 상,하 승강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조절축(20)(20')에는 그 선단부에 위치한 삽입홈(29)을 형성하고, 이에 E링(31)을 삽입하여 그 조절축(20)(20')과 단속기어(23) 및 구동기어(21)가 탄지스프링(25)에 의해 고정블럭(30)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삽입고정 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 조절구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감시카메라는 도시와 같이 비교적 단단한 재질의 알루미늄재 케이스(1)를 갖고 있고 그 내부에는 렌즈모듈(10)이 포스트(3)(3')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포스트(3)(3')에는 단일 또는 복수의 회로기판(2)이 함께 고정되어 있 어 상기 렌즈모듈(10)을 통해 입수되는 영상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감시카메라의 케이스(1) 내측에 위치한 렌즈모듈(10)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스(1) 외측으로 노출되어진 조절축(20)(20')의 단부를 회전시켜 그 회전력이 상기 렌즈모듈(10)의 줌링(11)과 포커스링(12)에 전달되어 이들을 각각 회전시켜 조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줌링(11)과 포커스링(12)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구조는 상기 줌링(11)과 포커스링(12)에 각각 직교 방향의 기어이빨(13)을 갖는 제1기어링(14)과 제2기어링(15)을 각각 체결 형성하고, 상기 조절축(20)(20')의 선단에는 상기 제1기어링(14) 및 제2기어링(15)의 기어이빨(13)과 서로 치합되는 구동기어(21)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절축(20)(20')을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기어(21)를 통해 제1기어링(14) 및 제2기어링(15)이 개별적으로 회전하여 각각 원근 및 초점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구동기어(21)를 상기 조절축(20)(20')의 선단에 삽입하되, 종래와 달리 그 구동기어(21)가 조절축(20)(20')으로부터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함으로서 상기 조절축(20)(20')이 회전되더라도 그 구동기어(21)는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인데,
상기 구동기어(21)의 하측에는 그 조절축(20)(20')과 함께 회전되는 별도의 단속기어(23)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단속기어(23)와 구동기어(21)의 치합 상태에서만이 그 구동기어(21)에 회전력이 전달되게 한 것이다.
즉, 상기한 구동기어(21)의 저면에는 방사상의 크라운기어(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속기어(23)의 상부면에는 대응형상의 단속이빨(2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크라운기어(22)와 단속이빨(24)이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는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반면 이들이 서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자유회전이 가능한 구동기어(21)로는 조절축(20)(20')의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한 단속기어(23)는 조절축(20)(20')에 삽입된 탄지스프링(25)에 의해 상향 탄지력을 갖고 있어 상기한 단속기어(23)와 구동기어(21)는 항상 동력전달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다만, 상기한 단속기어(23)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상기 크라운기어(22)와 단속이빨(24)이 서로 어긋나 분리되면서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는 상기 구동기어(21)가 회전할 수 없는 상태 즉 줌링(11)이나 포커스링(12)이 더이상 회전할 수 없는 회전각을 갖고 있을 경우 상기 구동기어(21)가 회전되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그 조절축(20)(20')을 계속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구동기어(21)의 크라운기어?(22)와 단속기어(23)의 단속이빨(24)이 서로 어긋나게 되어 결국 그 단속기어(23)가 탄지스프링(25)을 하향 압압하며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줌링(11) 및 포커스링(12)의 회전 불능 각도에 다다르게 되면 그 조절축(20)(20')을 계속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단속기어(23)가 하강하면서 그 회전력을 차단하므로 줌링(11)과 포커스링(12)은 더이상의 부하를 받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도 4a의 도시와 같이 줌링(11)과 포커스링(12)이 정상 조정 각도 내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조절축(20)(20')을 회전시켜 단속기어(23)를 통해 그 구동기어(21)를 회전시키게 되고, 구동기어(21)의 회전에 의해 제1기어링(14) 및 제2기어링(15)을 회전시켜 그 렌즈모듈(10)을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과실이나 오인으로 인해 상기한 조절축(20)(20')을 과도하게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줌링(11)과 포커스링(12)은 회전 제한 각도에서 멈추게 되어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구동기어(21) 역시 회전을 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도 그 조절축(20)(20')을 강제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4b의 도시와 같이 상기 단속기어(23)가 탄지스프링(25)을 하측으로 압압하며 하강하게 되어 결국 구동기어(21)로는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으면서도 그 조절축(20)(20')은 계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그 조절축(20)(20')을 과도하게 회전시키거나 무리한 회전력을 가라더라도 상기 단속기어(23)의 하강에 의해 그 회전력을 차단하므로 내부 기어군 및 렌즈모듈이 부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조절축(20)(2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와 같은 부하가 해소됨에 따라 하강되어 있던 단속기어(23)가 상승하여 그 구동기어(21)에 회전력을 전달하므로 상기 줌링(11)과 포커스링(12)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속기어(23)는 주지한 바와 같이 그 조절축(20)(20')과는 동시 회전이 가능하여야 하면서도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서, 상기 조절축(20)(20')의 측면에는 절취된 평면부(26)를 형성하고, 상기 단속기어 (23)의 중앙에는 직선부를 갖는 삽입부(27)를 형성하여 이들의 상호 결합에 의해 상기 단속기어(23)가 상하로의 승강은 이루어지는 반면 그 조절축(20)(20')으로부터의 자유회전은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조절축(20)(20')은 종래와 같이 케이스(1)의 일측에 직접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고정블럭(30) 상에 미리 삽입한 후 그 고정블럭(30)의 내측에서 각각의 부속품을 결합하는 구조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조절축(20)(20')이 고정블럭(30)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지스프링(25)을 우선 끼워 넣은 후 단속기어(23) 및 구동기어(21)를 순차적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삽입홈(29)에 E링(31)을 삽입하게 되면 상기 구동기어(21)가 그 조절축(20)(20') 내에서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위치 고정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줌링(11)과 포커스링(12)에 각각 체결된 제1기어링(14)과 제2기어링(15)의 외경을 서로 다르게 형성하되, 회로기판(2) 측에 위치한 제1기어링(14)의 직경을 보다 크게 형성하고, 이들 제1기어링(14)과 제2기어링(15)에 연결되는 조절축(20)(20')의 길이를 역시 서로 다르게 대응 형성함으로써, 케이스(1)의 일측을 전개하여 그 내부의 렌즈모듈(10)을 분리하는 경우 상기 제1기어링(14) 및 제2기어링(15)과 그 조절축(20)(20') 간의 상호 간섭이 발생되지 않게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 CCTV카메라용 렌즈 조절구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조절축(20)(20')을 편리하게 조정하여 원근이나 초점의 조정을 가능케 함은 물론 무리한 조절축(20)(20')의 회전시에는 그 회전력을 차단시켜 부하회전에 의한 기기 내부의 기어군이나 렌즈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 조절구는, 렌즈 조절축의 회전력은 구동기어와 전달기어의 치합력에 의해 그 기어링에 전달되게 하면서도, 렌즈모듈의 회전각을 넘어서는 경우의 부하시에는 상기 단속기어가 하강하여 그 회전력이 차단되게 하므로, 각종 기어부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함은 물론 렌즈모듈에 가해지는 부하 회전력을 제거시켜 상기 렌즈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원통체로 된 케이스(1) 내측에 회로기판(2) 및 렌즈모듈(10)를 고정하는 포스트(3)(3')가 체결되고, 상기 렌즈모듈(10)의 줌링(11)와 포커스링(12)은 단부가 케이스(1) 외측으로 노출된 조절축(20)(20')의 선단이 체결되어진 CCTV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렌즈모듈(10)의 줌링(11)과 포커스링(12)의 외면에는 직교 방향의 기어이빨(13)을 갖는 제1기어링(14)과 제2기어링(15)을 각각 결합하고,
    상기 조절축(20)(20')은 상기 케이스(1)와 체결되는 고정블럭(30) 상에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케이스(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조절축(20)(20') 단부에 삽입된 구동기어(21)가 상기 제1기어링(14) 및 제2기어링(15)의 기어이빨(13)에 각각 치합되게 하되,
    상기 구동기어(21)는 조절축(20)(20')으로부터 자유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하고, 그 구동기어(21)의 저면에는 방사상의 크라운기어(22)를 형성하며, 상기 구동기어(21)의 하측에는 상기 조절축(20)(20')으로부터 비회전 상태로 상하 승강되는 단속기어(23)를 삽입하여, 그 단속기어(23)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속이빨(24)이 상기 크라운기어(22)와 치합되게 하며,
    상기 단속기어(23)는 조절축(20)(20') 상의 탄지스프링(25)에 의해 상향 탄성력을 갖게 삽입되어, 상기 조절축(20)(20')의 회전력이 그 단속기어(23)를 통해 구동기어(21)로 전달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 조절구.
  2. 제 1항에 있어서,
    조절축(20)(20')의 측면에는 절취된 평면부(26)를 형성하고, 상기 단속기어(23)에는 직선구간을 갖는 삽입부(27)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단속기어(23)가 상기 조절축(20)(20')의 평면부(26)에 의해 비회전 상태에서 상,하 승강은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 조절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절축(20)(20')에는 그 선단부에 위치한 삽입홈(29)을 형성하고, 이에 E링(31)을 삽입하여 그 조절축(20)(20')과 단속기어(23) 및 구동기어(21)가 탄지스프링(25)에 의해 고정블럭(30)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삽입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 조절구.
  4. 제 1항에 있어서, 회로기판(2) 측에 위치한 제1기어링(14)의 직경을 제2기어링(15)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하고, 상기 조절축(20)(20')의 길이를 상기 제1기어 링(14) 및 제2기어링(15)의 직경차와 동일하게 차등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1)로부터 렌즈모듈(10)을 분해하는 경우 그 제1기어링(14) 및 제2기어링(15)과 상기 조절축(20)(20') 간의 상호 간섭이 발생하게 않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 조절구.
KR2020060030073U 2006-11-21 2006-11-21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조절구 KR2004404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073U KR200440418Y1 (ko) 2006-11-21 2006-11-21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073U KR200440418Y1 (ko) 2006-11-21 2006-11-21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조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306U true KR20080001306U (ko) 2008-05-26
KR200440418Y1 KR200440418Y1 (ko) 2008-06-12

Family

ID=4164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073U KR200440418Y1 (ko) 2006-11-21 2006-11-21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4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420B1 (ko) * 2012-03-08 2013-08-19 (주)씨트로닉스 카메라 렌즈모듈 초점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7420B1 (ko) * 2012-03-08 2013-08-19 (주)씨트로닉스 카메라 렌즈모듈 초점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418Y1 (ko)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0529A (en) Dual action retractable cord take-up reel
KR100726346B1 (ko) 외부에서 렌즈 초점을 조절할 수 있는 적외선 감시카메라
US9772541B2 (en) Adjusting seat and photographing device using the same
KR20050074312A (ko) 촬상 장치
KR200440418Y1 (ko) 회전 조절력의 안전 전달구조를 갖는 cctv카메라용 렌즈조절구
KR101378586B1 (ko) 감시카메라의 백 포커스 조절 장치
KR20080011962A (ko) 돔형 카메라 장치
KR100683623B1 (ko) 감시카메라의 렌즈조절장치
KR20220135992A (ko) 렌즈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cctv카메라용 렌즈 조절구
CN103906964A (zh) 调整装置
KR200369533Y1 (ko) 렌즈조정장치가 구비된 감시카메라
KR200320712Y1 (ko) 팬틸트카메라
KR101208993B1 (ko) 카메라 방향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감시 카메라
KR100731200B1 (ko) 감시용 카메라
KR200286338Y1 (ko) 콤비 돔형 감시 카메라의 구동모터축 지지장치
KR200442315Y1 (ko) 적외선 감시카메라의 배율·초점 조정장치
KR200419707Y1 (ko) 감시용 카메라
KR100841981B1 (ko) 무인 관측 시스템의 망원경 각도조절장치
KR200445675Y1 (ko) 배율과 초점을 외부에서 조절하는 감시카메라
KR200455467Y1 (ko) 감시카메라의 렌즈 조정장치
KR200377857Y1 (ko) 고배율 고선명 주야간 무인 관측장치의 구동장치
CN214045779U (zh) 多角度旋转的监控设备摄像头模组
KR101069708B1 (ko) Cctv 감시카메라
KR101118244B1 (ko) 초점조절이 가능한 cctv카메라
KR100466987B1 (ko) Cctv카메라의 초점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