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741A -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741A
KR20070116741A KR1020070054987A KR20070054987A KR20070116741A KR 20070116741 A KR20070116741 A KR 20070116741A KR 1020070054987 A KR1020070054987 A KR 1020070054987A KR 20070054987 A KR20070054987 A KR 20070054987A KR 20070116741 A KR20070116741 A KR 20070116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plug
shel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5452B1 (ko
Inventor
츠요시 사카타
다케시 야마자키
고우키 아다치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6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77Protection agains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e.g.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84Electrical aspects of optical modules with disconnectable electrical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기판 상에 저배 실장할 수 있는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플러그측 커넥터와 리셉터클측 커넥터로 이루어진 기판 실장형의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이다. 플러그측 커넥터는 광섬유를 지지하는 플러그측 하우징과, 플러그측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플러그측 쉘과, 광섬유와 접속되는 광모듈을 구비한다. 리셉터클측 커넥터는 제 1 기판에 실장되고, 리셉터클측 하우징과, 리셉터클측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리셉터클측 쉘과, 리셉터클측 하우징에 배치되는 리셉터클측 단자를 구비한다. 광모듈은 제 2 기판과, 이 제 2 기판의 일방의 면에 탑재된 수발광 소자와, 제 2 기판의 일방의 면에 탑재되어 리셉터클측 단자 사이에서 신호 전달을 실시하는 플러그측 단자 또는 랜드를 갖는다. 제 2 기판의 일방의 면의 반대측 타방의 면에 그랜드면이 형성되고, 그랜드면은 플러그측 쉘의 내벽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커넥터

Description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OPTICAL ELECTRICAL COMPOSITE CONNECTOR}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일방의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상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 는 일방의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의 플러그측 커넥터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플러그측 커넥터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4 의 플러그측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7 은 도 4 의 플러그측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8 은 도 4 의 플러그측 커넥터의 내부에 배치한 광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일방의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의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리셉터클측 커넥터를 머더 보드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타방의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상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의 B-B 선 단면도이다.
도 14 는 타방의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의 플러그측 커넥터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15 는 도 14 의 플러그측 커넥터의 하방 사시도이다.
도 16 은 도 14 의 플러그측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7 은 도 14 의 플러그측 커넥터의 배면도이다.
도 18 은 도 14 의 플러그측 커넥터의 내부에 배치된 광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9 는 타방의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의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상방 사시도이다.
도 20 은 도 10 의 리셉터클측 커넥터를 머더 보드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는 종래의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의 플러그측 커넥터와 리셉터클측 커넥터가 끼워 맞춰지기 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도 22 에 나타내는 종래의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를 끼워 맞춘 후 종단면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
2 : 플러그측 커넥터
6 : 리셉터클측 커넥터
10 : 머더 보드
11 : 광섬유
16 : 땜납 고정부
20 : 플러그측 하우징
21 : 케이블 지지부
24 : 끼워 맞춤 오목부
25 : 저판
26 : 측벽
29 : 지지부
30 : 플러그측 쉘
33 : 측면 랜싱부
34 : 전방 랜싱부
35 : 후방 랜싱부
36 : 스프링 접촉자
37 : 전방 되접어 꺾음부
38 : 측면 되접어 꺾음부
39 : 천장부 이면
40 : 내측 되접어 꺾음부
41 : 외벽
46 : 측방 되접어 꺾음부
47 : 내벽
48 : 상판
49 : 수발광 소자
50 : 광모듈
53 : 블록
54 : 신호 랜드
55 : 그랜드면
56A : 박스
57 : 모듈 기판
60 : 콤프레션 단자
62 : 접촉부
63 : 제 1 휨부
64 : 제 2 휨부
65 : 하우징 고정부
66 : 기판 배치부
67 : 절곡부
70 : 리셉터클측 쉘
71 : 잠금 기구
72 : 접촉자
76 : 절삭 깊이
77 : 탄성편
78 : 후면 접촉부
79 : 맞댐부
80 : 리셉터클측 하우징
81 : 단자 수용부
87 : 상측 에지
88 : 후방 에지
89 : 머더 보드 고정부
90 : 전방 에지
[특허문헌 1] 일본 특허출원 2005-151264호 명세서
본 발명은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 자세하게는, 플러그측 커넥터과 리셉터클측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광신호는 전기신호에 비하여 소음의 영향을 받기 어렵고, 또한 대량의 데이터를 한번에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통신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 기기는 전기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광신호의 특징을 계속 살리면서 일반 기기에서도 사용 가능한 광전기 복합형의 커넥터, 즉, 전기와 광 사이에서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는 커넥터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의 사용 형태로서, 예를 들어, 절첩식 휴대 전화기를 구성하는 일방의 장치, 즉, 조작키 등을 구비한 본체측과 타방의 장치, 즉, 표시면 등을 구비한 표시측과의 사이의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것, 자세하게는, 그들 본체측과 표시측을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를 사용하여 서로 접속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장치의 소형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이들 광전기 복합형의 커넥터에 있어서도 기판에 저배 (低背) 실장할 수 있는 커넥터가 더욱 요구된다.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의 일례를 도 22, 23 에 나타낸다. 이들 도면은 본원 출원인에 의해 2005년 5월 24일 자로 제출된 일본 특허출원 2005-151264호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다. 이 종래 커넥터는 광모듈측으로서의 플러그측 커넥터 (102)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리셉터클측 커넥터 ; 104) 의 쌍으로 이루어진다. 도 22 는 플러그측 커넥터 (102)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 를 끼워 맞추기 전 상태의 사시도, 도 23 은 끼워 맞춘 후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 는 주로 리셉터클측 커넥터 하우징 (161) 과, 이 리셉터클측 커넥터 하우징 (161) 을 덮는 리셉터클측 쉘 (160), 또한 리셉터클측 커넥터 하우징 (161) 의 내부에 배치, 고정되는 커넥터 단자 (140) 로 이루어진다.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 는 기판 (110) 상에 실장되어 사용된다.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 의 리셉터클측 커넥터 하우징 (161) 과 리셉터클측 쉘 (160) 에 의해, 플러그측 커넥터 (102) 가 끼워 맞춰지는 끼워 맞춤 오목부 (163) 가 형성된다. 플러그측 커넥터 (102) 는 이 끼워 맞춤 오목부 (163) 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춰진다.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 는 이 끼워 맞춤에 필요한 높이, 즉, 유효 끼워 맞춤 길이를 갖는다. 플러그측 커넥터 (102) 가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 의 끼워 맞춤 오목부 (163) 에 끼워 맞춰졌을 때, 플러그측 커넥터 (102) 는 끼워 맞춤 오목부 (163) 에 완전히 끼워진다. 이때, 커넥터는 전체적으로 대략 완전한 직사각형이 된다.
리셉터클측 커넥터 하우징 (161) 의 전방 (142) 에 단자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단자 고정부에 복수의 커넥터 단자 (140) 가 측벽부 (143) 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병렬로 배열된다. 각 커넥터 단자 (140) 는 2 개의 L 자를 수평 방향에 있어서 연결시킨 형상을 가지고, 주로 접촉부 (145), 고정부 (146), 기판 배치부 (148) 3 개의 부분에서 구성된다. 고정부 (146) 는 수직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기판 배치부 (148) 는 수평 부분으로서 형성되며, 기판 배치부 (148) 의 저면의 일부는 기판 (110) 과의 사이에서 전기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기판 (110) 상의 배선 (도시되어 있지 않음) 과 접속된다. 접촉부 (145) 는 고정부 (146) 와 동일하게 수직 부분으로서 형성되고, 플러그측 커넥터 (102)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 가 끼워 맞춰졌을 때에 단자 접점 (141) 에서 플러그측 커넥터 (102) 측에 형성된 플러그측 단자 (130) 와 접촉할 수 있다.
플러그측 커넥터 (102) 는 주로 플러그측 커넥터 하우징 (151) 과, 이 플러그측 커넥터 하우징 (151) 의 외부를 덮는 플러그측 쉘 (150), 플러그측 커넥터 하우징 (151) 의 내부에 배치, 고정되는 플러그측 단자 (130), 및 광모듈 기판 (112) 으로 이루어진다. 기판 (112) 상에는, 예를 들어, 광섬유 고정용의 토대 (115), 고정판 (116), 광변환부 (120), 배선 (122), 앰프 (118), 기판 상 배선 (117 ; a ∼ e) 이 탑재된다.
플러그측 커넥터 하우징 (151) 의 전방부 (156) 에는 복수의 플러그측 단자 (130) 가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 의 커넥터 단자 (140) 의 대응 위치에서 복수 병렬로 배열된다. 플러그측 단자 (130) 는 전체적으로 대략 E 자 형상을 가지고, 주로 접촉부 (135), 고정부 (136), 중간의 연신부 (137), 저측의 연신부 (138) 로 이루어진다. 접촉부 (135) 는 수직 기부이고, 그 외 부분 (136, 137, 138) 은 이 접촉부 (135) 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서로 병렬 상태로 배치된다. 고정부 (136) 는 플러그측 단자 (130) 를 플러그측 커넥터 하우징 (151) 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연신부 (137) 와 연신부 (138) 는 그들에 의해 기판 (112) 의 일부가 압입되는 압입부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기판 (112) 이 후방부 (158) 의 후면으로부터 플러그측 커넥터 하우징 (151) 에 압입되었을 때, 이들 연신부 (137) 와 연신부 (138) 에 의해 형성된 압입부에 기판 (112) 의 일부, 예를 들어, 기면 (基面) 의 기판 상 배선 (117) 을 포함하는 기판 (112) 의 단부가 압입되고, 이로 인해, 기판 상 배선과 연신부 (137) 의 선단에 형성한 기판 접점 (131) 이 전기적 또는 물리적으로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플러그측 커넥터 (102)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 가 끼워 맞춰졌을 때는, 플러그측 커넥터 (102) 의 플러그측 단자 (130)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 의 커넥터 단자 (140) 가 커넥터 단자 (140) 의 단자 접점 (141) 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 으로 접촉하고, 이 접촉을 통하여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 의 커넥터 단자 (140) 와 플러그측 커넥터 (102) 의 광변환부 (120) 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들의 접속에 의해, 플러그측 커넥터 (102)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 사이에서 광전변환을 실시하면서 전기신호의 전달을 도모할 수 있다.
위의 종래 커넥터는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의 한 형태로서 유용하지만, 예를 들어, 부품 고정 등을 위하여 플러그측 쉘 (150) 에 구멍이나 절결이 형성된 경우에는, 그들 구멍이나 절결에 의해 간극이 생기기 때문에, 전파가 누설되고, 전파 장해 (EMI) 특성을 열화시키는, 또는, 방지를 위하여 별도의 부재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를 갖는다. 또, 위의 종래 구성은 저배 실장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갖는다. 즉, 위의 종래 커넥터에서는 연신부 (137) 와 연신부 (138) 에 의해, 기판 (112) 의 일부가 압입되는 압입부를 형성하고, 이 압입부에 기판 (112) 을 압입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2 개의 연신부 (137, 138) 를 형성하는 높이를 필요로 한다. 이 종래 커넥터에 있어서 이러한 구성을 채용한 것은 플러그측 커넥터 (102) 를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의 끼워 맞춤 오목부 (163) 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춤으로써, 플러그측 커넥터 (102) 의 커넥터 단자 (130)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 의 커넥터 단자 (140) 를 수직 슬라이드시켜 접촉시키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이 세로 끼워 맞춤 방식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플러그측 커넥터 (102) 가 들뜸으로써 커넥터 단자 (130) 와 커넥터 단자 (140)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 하여 상당한 끼워 맞춤 높이를 필요로 하고, 이 결과, 저배 실장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위의 종래 구성에서는, 기판을 그랜드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기판 패턴을 형성할 필요가 있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저배 실장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플러그측 커넥터와 리셉터클측 커넥터로 이루어진 기판 실장형의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는 광섬유를 지지하는 플러그측 하우징과, 그 플러그측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플러그측 쉘과, 상기 광섬유와 접속되는 광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는 제 1 기판에 실장되는 리셉터클측 하우징과, 그 리셉터클측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리셉터클측 쉘과, 그 리셉터클측 하우징에 배치되는 리셉터클측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광모듈은 제 2 기판과, 이 제 2 기판의 일방의 면에 탑재된 수발광 소자와, 상기 제 2 기판의 일방의 면에 탑재되어 상기 리셉터클측 단자 사이에서 신호 전달을 실시하는 플러그측 단자 또는 랜드를 가지고, 상기 제 2 기판의 일방의 면의 반대측 타방의 면에 그랜드면이 형성되어 있고, 그 그랜드면은 상기 플러그측 쉘의 내벽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측 단자와 상기 플러그측 단자는 콤프레션 접속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서로 끼워 맞출 수 있는 플러그측 커넥터와 리셉터클측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기판 실장형의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는 광섬유를 지지하는 플러그측 하우징과, 그 플러그측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플러그측 쉘과, 상기 광섬유와 접속되는 광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는 그 일면에 있어서 머더 보드에 실장되고, 리셉터클측 하우징과, 그 리셉터클측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리셉터클측 쉘과, 그 리셉터클측 하우징에 배치되는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광모듈은, 모듈 기판과, 상기 광섬유로부터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또는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광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광섬유에 송신하는 수발광 소자와,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에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 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수발광 소자로 변환된 전기신호를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 단자에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 단자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상기 수발광 소자에 전달하는 상기 모듈 기판 상의 배선을 포함하는 상기 모듈 기판의 일방의 면에 탑재된 복수의 탑재 부품을 가지고, 상기 모듈 기판의 일방의 면의 반대측 타방의 면에 그랜드면이 형성되어 있고, 그 그랜드면은 상기 플러그측 쉘의 상판의 내벽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쉘은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에 상기 머더 보드에 실장된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상기 일면을 제외한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끼워 맞춤 오목부를 갖는다. 그 끼워 맞춤 오목부에는 상기 배선이 노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에 상기 배선이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상기 단자와 압축 상태에서 접촉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탑재 부품 중 상기 배선은 상기 모듈 기판의 일방의 면의 전반부에 배치되고, 그 이외의 부품은 상기 모듈 기판의 일방의 면의 후반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쉘은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를 형성하는 전방부와, 상기 배선 이외의 부품을 보호하는 후방부의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부분은 상기 플러그측 쉘의 바닥부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쉘의 이판의 일부를 내측으로 되접어 꺾어 형성한 내측 되접어 꺾음부에 의해 나누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는 상기 모듈 기판의 일방의 면과, 상기 플러그측 쉘의 전방의 내벽과, 상기 플러그측 쉘의 상기 내측 되접어 꺾음부의 외벽, 및 상기 플러그측 쉘의 좌우측면의 내벽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에,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일측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최외벽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리셉터클측 쉘의 후면 접촉부와 상기 플러그측 쉘의 전방의 내벽이, 또한 상기 리셉터클측 쉘의 후면 접촉부의 대향측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최외벽을 형성하고 있는 리셉터클측 쉘의 접촉자와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의 상기 내측 되접어 꺾음부의 외벽이 각각 접촉할 수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2 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접촉자의 맞댐부 부근이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쉘의 좌우측면의 벽의 일부를 상기 플러그측 쉘의 상판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어서 내측으로 랜싱함으로써, 측면 랜싱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 랜싱부에 의해 상기 플러그측 쉘에 의한 상기 모듈 기판의 높이 위치에서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모듈 기판은 상기 측면 랜싱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 에지와 상기 플러그측 쉘의 상판의 내벽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에 상기 모듈 기판을 반전시켜서 상기 그랜드면을 상면으로 하고, 그 그랜드면을 상기 플러그측 쉘의 상판의 내벽에 근접 또는 밀착시켜 전기적으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삽입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쉘의 상판의 일부를 하측으로 랜싱함으로써, 상기 그랜드면과 접촉할 수 있는 스프링 접촉자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쉘의 상판의 일부를 하측으로 랜싱함으로써 전방 랜싱부를 형성하고, 상기 모듈 기판의 선단부와 상기 전방 랜싱부의 후방 에지를 충돌시켜 상기 플러그측 쉘에 있어서의 상기 모듈 기판의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함과 함께, 상기 상판의 일부를 하측으로 랜싱함으로써 후방 랜싱부를 형성하고, 상기 모듈 기판의 후단부와 상기 후방 랜싱부의 전방 에지를 충돌시켜 상기 플러그측 쉘에 있어서의 상기 모듈 기판의 후방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측 쉘의 일부에, 선단 부근에 잠금 기구를 형성한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를 걸어 맞췄을 때에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의 플러그측 쉘에 형성한 잠금 기구에 걸리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 단자는 콤프레션 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기판에 저배 실장할 수 있는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가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내지 도 3 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의한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 (1) 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끼워 맞출 수 있는 플러그측 커넥터 (광모듈측 커넥터 ; 2)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의 쌍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시에는, 리셉터클측 커넥터 (6) 는 머더 보드 (10) 상에 실장되고, 또한 이 머더 보드 (10) 에 실장된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에 플러그측 커넥터 (2) 가 끼워 맞춰진다.
도 1 은 사용시에 있어서의 플러그측 커넥터와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사시도, 도 2 는 그 상면도, 도 3 은 도 2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면상 확실하지는 않지만, 이들 도면에 나타낸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 (머더 보드 (1) 를 포함하지 않음) 의 크기는, 예를 들어, 세로 5 ∼ 7㎜, 가로 2㎜, 높이 1.5㎜ 로 매우 작은 것이다.
통신시에는, 송신측과 수신측에 각각 1 개씩, 이러한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가 필요하다. 설명의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측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 제 1 커넥터 (1) 를, 수신측 커넥터로서, 후술하는 도 11 내지 도 13 에 나타낸 제 2 커넥터 (1A)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단, 이들 제 1 커넥터 (1) 의 구조와 제 2 커넥터 (1A) 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제 1 커넥터 (1) 를 휴대 전화기의 조작키 등을 구비한 본체측에 형성하고, 도 11 내지 도 13 에 나타낸 제 2 커넥터 (1A) 를 동일한 전화기의 표시면 등을 구비한 표시측에 형성하거나 하여, 휴대 전화기의 본체측과 표시측 사이에서 광통신을 사용한 신호 전달을 실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화기 본체측과 제 1 커넥터 (1) 사이, 및 전화기 표시측과 제 2 커넥터 (1A) 사이에서는 전기신호가, 제 1 커넥터 (1) 와 제 2 커넥터 (1A) 사이에서는 광신호가 각각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 에 부가하고, 도 4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제 1 커넥터 (1) 의, 특히, 플러그측 커넥터 (2) 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 는 이 플러그측 커넥터 (2) 의 상방 사시도, 도 5 는 그 하방 사시도, 도 6 은 그 저면도, 도 7 은 그 배면도, 도 8 은 플러그측 커넥터 (2) 의 내부에 배치한 광모듈의 사시도이다.
플러그측 커넥터 (2) 는 주로 플러그측 하우징 (20) 과, 플러그측 하우징 (20) 의 외부를 덮는 플러그측 쉘 (30), 또한 플러그측 쉘 (30) 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모듈 (50) 로 이루어진다. 도 3, 8 에 잘 나타나 있듯이, 광모듈 (50) 은 모듈 기판 (57) 과, 이 모듈 기판 (57) 의 표면 (일방의 면) 에 탑재된 다양한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모듈 기판 (57) 의 이면 (타방의 면) 에는, 그 전체의 면에 걸쳐 그랜드면 (55)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모듈 기판 (57) 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토대 (51), 고정판 (52), 블록 (53), 모듈 기판 (57) 상의 배선 패턴인 신호 랜드 (플러그측 단자 ; 54) 가 탑재되어 있다. 신호 랜드 (54) 이외의 다른 부품은 모듈 기판 (57) 의 후반부 표면에 배치되고, 신호 랜드 (54) 만 그 전반부 표면 (일방의 면의 전반부) 에 배치된다. 신호 랜드 (54) 는 플러그측 커넥터 (2)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6) 를 끼워 맞출 때에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의 대응 단자 (리셉터클측 단자 (60) 와 접촉시키는 부분이다. 신호 랜드 (54) 는 프린트 외에, 도전성 접착제에 의한 금속의 접착 등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 토대 (51) 는 비교적 큰 하대 (58) 와 그 위의 비교적 큰 상대 (59) 의 2 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광섬유 (11) 를 탑재, 위치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상대 (59) 에는 광섬유 (11) 의 섬유 심선 (12) 내의 섬유 소선 (13) 을 배열시키는 상부 홈 (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 (52) 은 상대 (59) 상에 배치되어, 상대 (59) 상의 섬유 소선 (13) 의 일부를 덮거나 또는 고정시킨다. 블록 (53) 의 수직면의 배선에는 광·전기의 변환을 실시하는 수발광 소자 (EO/OE 변환 모듈 ; 49) 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의 대응 단자 (60) 로부터 신호 랜드 (54) 에 전달된 신호는 모듈 기판 (57) 의 배선 (54) 을 개재하여 블록 (53) 의 수직면의 패턴과 접촉하고 있어, 수발광 소자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발광 소자로서 사용됨 ; 49) 는 이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광신호로 변환시켜 섬유 소선 (14) 에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수발광 소자로서, 예를 들어, 빅셀, 플립칩, ROSA, TOSA, LD, PD 를 사용할 수 있다.
플러그측 하우징 (20) 은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이다. 그 측면 주위 (17) 는 플러그측 쉘 (30) 에 의해 밀착 상태에서 통 형상으로 덮이고, 그 전방부는 플러그측 쉘 (30) 에 의해 비밀착 상태로 덮인다. 후면은 노출된 채로 이다. 플러그측 하우징 (20) 의 후면 (18) 에는 광섬유 (11) 를 플러그측 하우징 (20) 의 내부로 끌어들이는 간극 (22)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간극 (22) 으로부터 연장되는 형태로 광섬유 (11) 를 지지하는 반원통 형상의 케이블 지지부 (21) 가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측 하우징 (20) 의 전방부는 저판 (25) 과 측벽 (26) 만으로 이루어져 있고, 그 외 부분은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개방부는 모듈 기판 (57) 의 후반부 표면 (일방의 면의 후반부) 에 형성한 탑재 부품을 배치하는 배치 공간으로서 사용된다. 측벽 (26) 의 전방 부분에는 저판 (25) 의 전방을 단차 (27) 에 의해 1 단 내려서 하단 (19) 을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단차 (28) 에 의해 정상부로부터 1 단 내린 단부 (29) 가 형성되어 있다. 모듈 기판 (57) 이 플러그측 하우징 (20) 에 배치되었을 때, 모듈 기판 (57) 의 좌우 양측의 측부 후단은 이들 좌우 양측벽 (26) 의 단부 (29) 에 의해서도 지지된다.
플러그측 쉘 (30) 은 한 장의 평판 금속을 펀칭,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플러그측 쉘 (30) 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쉘 내의 내부 부품을 보호하는 것 외에, 전기 실드로서도 중요하다. 전기 실드로서 기능시키기 위하여, 플러그측 쉘 (30) 의 몇 군데 부분은 그랜드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측 커넥터 (6) 를 고정시킨 머더 보드 (10) 를 개재하여 그랜드에 접속되어도 된다. 플러 그측 쉘 (30) 은, 대략 전방에 형성된 전방부 (43) 와 후방에 형성된 후방부 (44) 의 2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전방부 (43) 는 리셉터클측 커넥터 (6) 를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 오목부 (24) 를 형성한다. 이 끼워 맞춤 오목부 (24) 에서는 플러그측 쉘 (30) 의 내부에 모듈 기판 (57) 이 위치 결정되었을 때, 모듈 기판 (57) 의 전반부 표면에 형성된 신호 랜드 (54) 가 노출 상태로 배치된다. 후방부 (44) 는 모듈 기판 (57) 의 후반부 표면에 형성한 탑재 부품을 보호하는 통형상부이다. 통형상부의 통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서로 부합되는 플러그측 쉘 (30) 의 일방의 가장자리에 볼록부 (31) 가, 타방의 가장자리에 오목부 (32) 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측 쉘 (30) 의 조립시에 이들은 서로 맞물린다. 이들 전방부 (43) 와 후방부 (44) 는 상판 (48) 이나 좌우의 측방 되접어 꺾음부 (46) 에서 연속 상태로 되어 있으나, 플러그측 쉘 (30) 의 바닥부 중간 부근에 있어서,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연장된 이판의 일부인 내측 되접어 꺾음부 (40) 를 내측으로 되접어 꺾음으로써, 완전히 나누어져 있다.
끼워 맞춤 오목부 (24) 는 모듈 기판 (57) 의 전반부 표면과, 전방 되접어 꺾음부 (전벽 ; 37) 의 내벽 (47), 내측 되접어 꺾음부 (40) 의 외벽 (41), 또한 측방 되접어 꺾음부 (좌우의 측면 벽 ; 46) 의 내벽에 의해 형성된다. 측방 되접어 꺾음부 (46) 의 전방 연장부 (38) 는, 전방 되접어 꺾음부 (37) 와 측방 되접어 꺾음부 (46) 의 간극을 메우기 위하여, 전방 되접어 꺾음부 (37) 의 양측을 외부로부터 덮도록 내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다. 끼워 맞춤 오목부 (24) 는, 플러그측 커넥터 (2)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6) 를 끼워 맞출 때에 머더 보드 (10) 에 고정된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의 저면을 제외한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완전히 덮는다. 이때, 끼워 맞춤 오목부 (24) 에 노출 상태로 배치된 신호 랜드 (54) 는,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의 대응 단자인 콤프레션 단자 (60) 의 상방에 있어서 압축 상태로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랜드 (54) 와 콤프레션 단자 (60) 는 소정의 힘에 의해 확실하게 접속되고, 이들 신호 랜드 (54) 와 콤프레션 단자 (60) 의 접촉을 통해서, 플러그측 커넥터 (2)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사이에서 확실하게 전기 통신이 실시된다. 이와 동시에,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의 일측에 있어서, 그 최외벽을 형성하는 리셉터클측 쉘 (70) 의 후면 접촉부 (78) 와 플러그측 커넥터 (2) 의 전방 되접어 꺾음부 (37) 의 내벽 (47) 이, 또한 리셉터클측 쉘 (70) 의 후면 접촉부 (78) 의 대향측에 있어서, 그 최외벽을 형성하고 있는 접촉자 (72) 와 플러그측 커넥터 (2) 의 내측 되접어 꺾음부 (40) 의 외벽 (41) 이, 각각 접촉할 수 있다. 이들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의 후면 접촉부 (78) 와 플러그측 커넥터 (2) 의 내벽 (47) 의 접촉이나,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의 접촉자 (72) 와 플러그측 커넥터 (2) 의 외벽 (41) 의 접촉을 통해서, 리셉터클측 커넥터 (6) 는 플러그측 커넥터 (2) 를 개재하여 그랜드에 확실하게 접속된다. 임의적이지만, 접촉자 (72) 의 외부 표면에 원형 타출부 (73) 를 형성하고, 동일하게 리셉터클측 쉘의 후면 접촉부 (78) 에도 원형 타출부 (73') 를 형성하여, 그들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도 있다.
플러그측 쉘 (30) 의 내부에 모듈 기판 (57) 을 위치 결정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플러그측 쉘 (30) 자체를 가공하여, 플러그측 쉘 (30) 자체에 의해 광모듈 (50) 을 직접 위치 결정하고 있다. 플러그측 쉘 (30) 자체에 의한 위치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총 4 개의 볼록 형상의 측면 랜싱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측면 랜싱부 (33) 는 좌우의 측방 되접어 꺾음부 (46) 의 각각에 2 지점씩, 상판 (48) 의 내벽 (천장부; 39) 으로부터 소정 거리 (모듈 기판 (57) 의 두께보다 다소 큰 거리) 떨어진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어서, 측방 되접어 꺾음부 (벽 ; 46) 의 일부를 내측으로 랜싱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측 쉘 (30) 자체에 의해 광모듈 (50) 을 직접 위치 결정함으로써, 부품 점수의 저감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모듈 기판 (57) 은 이들 측면 랜싱부 (33) 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 에지 (87) 와, 상판 (48) 의 내벽 (39) 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에 플러그측 쉘 (30) 의 후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삽입은 모듈 기판 (57) 을 반전시킨 상태, 부연하면, 모듈 기판 (57) 을 반전시켜서 그랜드면 (55) 을 상면으로 하고, 모듈 기판 (57) 의 그랜드면 (55) 을 플러그측 쉘 (30) 의 상판 (48) 의 내벽 (39) 에 근접 또는 밀착시켜 전기적으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실시한다. 이로 인해, 그랜드면 (55) 측에 부품이 돌출되는 경우가 없어지고, 따라서 실장 높이를 낮게 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부품 점수를 저감시킬 수도 있다. 또, 플러그측 쉘 (30) 과 그랜드면 (55) 의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상판 (48) 의 중간부 일부를 상판 (48) 의 좌우 2 지점에 있어서, 하측으로 랜싱함으로써, 그랜드면 (55) 과 그들이 적어도 선단부에서 접촉할 수 있는 총 2 개의 볼록 형상의 스프링 접촉자 (36) 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스프링 접촉자 (36) 대신에, 플러 그측 쉘 (30) 에 플러그측 쉘 (30) 과 그랜드면 (55) 을 납땜하고, 또는 도전성 접착제에 의해 접촉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이나 절결 (도시되어 있지 않음) 을 형성해도 된다. 즉, 이들 구멍이나 절결을 통해서 땜납을 흘려 넣고, 또는 도전성 접착제를 흘려 넣도록 하여, 플러그측 쉘 (30) 과 그랜드면 (55) 사이의 간극을 완전히 메워, 그들을 확실하게 접촉시켜도 된다. 플러그측 쉘 (30) 의 상판 (48) 에는 상기 기술한 구멍이나 절결 외에 다양한 이유에서, 동일한 구멍이나 절결 (도시되어 있지 않음) 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지만, 플러그측 쉘 (30) 에 그랜드면 (55) 을 형성함으로써, 이들 구멍이나 절결 전부를 그랜드면 (55) 으로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위의 구성에 의하면 EMI 대책도 취하기 쉽다는 이점도 있다.
플러그측 쉘 (30) 에 있어서의 모듈 기판 (57) 의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하여, 상판 (48) 의 전방부의 일부를 상판 (48) 의 좌우 2 지점에 있어서, 하측으로 랜싱함으로써 2 개의 볼록 형상의 전방 랜싱부 (34) 를 형성해도 된다. 동일하게, 플러그측 쉘 (30) 에 있어서의 모듈 기판 (57) 의 후방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하여, 모듈 기판 (57) 의 선단부 (68) 와 전방 랜싱부 (34) 의 후방 에지 (88) 를 충돌시킨 상태에서, 상판 (48) 의 후방부의 일부를 상판 (48) 의 중심 부근에 있어서 하측으로 랜싱함으로써, 모듈 기판 (57) 의 후단부 (69) 와 전방 에지 (90) 에 있어서 충돌할 수 있는 1 개의 볼록 형상의 후방 랜싱부 (35) 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덜컥거림을 없애기 위하여, 상판 (48) 의 일부를 하방으로 타출시켜 봉 형상 타출부 (45) 를 형성하고, 상판 (48) 을 모듈 기판 (57) 의 그랜드면 (55) 으로 압착시켜도 된다. 이로써, 모듈 기 판 (57) 의 전방과 후방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모듈 기판 (57) 을 플러그측 쉘 (30) 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3 에 부가하고, 도 9, 도 10 도 참조하여, 제 1 커넥터 (1) 의, 특히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9 는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의 상방 사시도, 도 10 은 이 리셉터클측 커넥터 (6) 를 머더 보드 (10) 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리셉터클측 커넥터 (6) 는 주로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과,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의 외부를 덮는 리셉터클측 쉘 (70), 또한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의 내부에 선단부와 후단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배치, 고정되는 콤프레션 단자 (60) 로 이루어진다.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은 전체적으로 상자 형상이다.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은 그 상면으로부터 저면을 향하여 콤프레션 단자 (60) 를 배치시키는 2 개의 단자 수용부 (81) 를 갖는다. 콤프레션 단자 (60) 는 이들의 단자 수용부 (81) 에 상방으로부터 장착되고, 선단의 접촉부 (62) 와 후단의 기판 배치부 (66) 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그곳에 고정된다. 선단의 접촉부 (62) 부근을 보호하기 위하여,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의 후방 상면의 일부 (82) 가 다소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측 쉘 (70) 은 한 장의 평판 형상의 금속을 펀칭,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리셉터클측 쉘 (70) 은 실질적으로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의 좌우측면 (83) 과 전면 (84) 및 후면을 덮는다.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의 전면 (84) 을 덮는 리셉터클측 쉘 (70) 의 접촉자 (72a, 72b) 는 일측에 있어서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의 최외벽을 형성하고, 플러그측 커넥터 (2)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6) 를 끼워 맞출 때에 플러그측 커넥터 (2) 의 내측 되접어 꺾음부 (40) 의 외벽 (41) 과 접촉할 수 있다. 이들 접촉자 (72a, 72b) 와 내측 되접어 꺾음부 (40) 의 외벽 (41) 의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접촉자 (72a) 와 접촉자 (72b) 의 맞댐부 (79) 부근은 다소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 결과, 후면 접촉부 (78) 와 접촉자 (72) 사이의 치수는 끼워 맞춤 오목부 (24) 의 길이 치수 (도 6 의 치수 「A」), 즉, 전방 되접어 꺾음부 (37) 의 내벽 (47) 과 내측 되접어 꺾음부 (40) 의 외벽 (41) 사이의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고, 접촉자 (72) 와 내측 되접어 꺾음부 (40) 는 탄성 접촉됨으로써 접촉도 확실한 것이 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자 (72) 의 외부 표면에 원형 타출부 (73) 를 형성함으로써, 접촉자 (72) 와 내측 되접어 꺾음부 (40) 의 외벽 (41) 의 접촉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도 있다.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의 후면을 덮는 리셉터클측 쉘 (70) 의 후면 접촉부 (78) 는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의 접촉자 (72) 의 대향측에 있어서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의 최외벽을 형성한다. 이 후면 접촉부 (78) 는 플러그측 커넥터 (2)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6) 를 끼워 맞출 때에 플러그측 커넥터 (2) 의 전방 되접어 꺾음부 (37) 의 내벽 (47) 과 접촉할 수 있다. 또, 후면 접촉부 (78) 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의 후면으로부터 후방 상면의 솟아오름부 (82) 에 걸쳐 연속적으로 덮는 부분 (74) 을 가지고, 그 선단 부근 (75) 은 ㄷ 자 형으로 절곡되어, 덮개부 (74) 와 절곡부 (75) 에 의해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의 성상부 (82) 를 잡아쥐는 형태로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리셉터클측 쉘 (70) 은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에 완전히 고정된다.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의 좌우측면 (83) 을 덮는 리셉터클측 쉘 (70) 의 중앙 부근의 일부에는 저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2 개의 절삭 깊이 (76) 가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탄성편 (77)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탄성편 (77) 의 선단 부근을 다소 상부로 연장시키고, 또한 외부를 향하여 R 형상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잠금 기구 (71)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잠금 기구 (71) 는 플러그측 커넥터 (2)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6) 가 걸어 맞춰졌을 때에, 플러그측 커넥터 (2) 의 플러그측 쉘 (30) 에 형성한 잠금 구멍 (42) 에 내측으로부터 걸리도록 하여 그것들에 래치되고, 플러그측 쉘 (30) 의 떠오름을 억제하여, 플러그측 커넥터 (2)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6) 를 래치 상태로 한다.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의 좌우측면 (83) 을 각각 덮는 리셉터클측 쉘 (70) 의 일부를 저측을 향하여 다소 연장시킴으로써, 머더 보드 고정부 (89) 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머더 보드 고정부 (89) 를, 머더 보드 (10) 에 형성한 대응 구멍 (15 ; 도 10 참조) 에 끼워 넣어 납땜하고, 또한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에 고정된 콤프레션 단자 (60) 의 기판 배치부 (66) 를 머더 보드 (10) 의 땜납 고정부 (16) 에서 납땜함으로써,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및 70) 은 머더 보드 (10) 에 완전히 고정된다.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에 배치되는 콤프레션 단자 (60) 는 전체적으로 대략 S 자 형상이다. 각 콤프레션 단자 (60) 는 이들 순서대로 연속 상태에서 형성한 접촉부 (62), 제 1 휨부 (63), 제 1 휨부 (63) 와는 역방향으로 휘어진 제 2 휨부 (64), 하우징 고정부 (65), 및 기판 배치부 (66) 로 이루어진다. 이들 부분 중 접촉부 (62) 와 기판 배치부 (66) 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형성되고, 그 외 부분은 변위 가능한 상태에서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의 내부에 배치, 삽입된다. 접촉부 (62) 는 플러그측 커넥터 (2)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6) 를 끼워 맞출 때에 상대 플러그 (2) 의 모듈 기판 (57) 에 형성한 신호 랜드 (54) 에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접촉이 확실해지도록 그 선단 (67) 은 다소 절곡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신호 랜드 (54) 에 콤프레션 단자 (60) 를 직접 접촉시키는 구조로 함으로써 부품점수는 저감된다. 하우징 고정부 (65) 는 리셉터클측 하우징 (80) 의 바닥부 (86) 에 밀착 상태에서 고정된다. 콤프레션 단자 (60) 는 매우 작고 얇은 것이지만, 접촉부 (62) 와 상대 커넥터 (2) 의 신호 랜드 (54) 의 접촉시 탄성력을 유지하는 데 충분한 탄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는 일례로서, 접촉부 (62) 와 하우징 고정부 (65) 사이에 제 1 휨부 (63) 와 제 2 휨부의 2 개의 휨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접촉력을 얻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20 에 제 2 커넥터 (1A) 의 구조를 나타낸다. 제 2 커넥터 (1A) 는 위에서 설명한 제 1 커넥터 (1) 와 쌍으로 하여 사용되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제 1 커넥터 (1) 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소자로서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20 은 각각 도 1 내지 도 10 에 대응된다. 도 11 내지 도 20 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0 에 나타낸 부재와 대응되는 부재에는 참조 번호에 「A」 를 부가하여 나타낸다.
제 2 커넥터 (1A) 와 제 1 커넥터 (1) 의 약간 차이는, 이 제 2 커넥터 (1A) 는, 신호의 수신측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모듈 기판 (57A) 상에 신호 증폭용 앰프 (93) 가 설치되어 있는 점과, 이것과 관련하여, 모듈 기판 (57A) 상에 형성되는 신호 랜드 (54A) 가 앰프 (93) 에 입력 또는 출력되는 일방의 측에서는 (54A-1), (54A-2) 의 총 2 개로 되어 있는 반면, 앰프 (93) 로부터 출력 또는 입력되는 타방의 측에서는 (54A-3), (54A-4), (54A-5), (54A-6) 의 총 4 개로 되어 있는 점, 또한, 신호 랜드 (54A-3), (54A-4), (54A-5), (54A-6) 과 관련하여 콤프레션 단자 (60A) 의 수가 총 4 개로 되어 있는 점이다. 수발광 소자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수광 소자로서 사용됨 ; 49A) 로부터의 전류는 신호 랜드 (54A-1) 와 신호 랜드 (54A-2) 를 개재하여 앰프 (93) 에 전달되어 증폭된다. 예를 들어, 신호 랜드 (54A-1) 는 플러스측 배선으로서, 또한 신호 랜드 (54A-2) 는 마이너스측 배선으로서 사용된다. 앰프 (93) 에서 증폭된 전류는 그 후 플러스측 배선으로서 사용되는 신호 랜드 (54A-3) 와, 마이너스측 배선으로서 사용되는 신호 랜드 (54A-4) 를 통해서, 대응되는 콤프레션 단자 (60) 에 전달된다. 나머지 신호 랜드 (54A-5) 나 신호 랜드 (54A-6) 는 GND 배선이나 앰프 구동용 배선, 그 외의 배선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신호 랜드 (54A-5), (54A-6) 도 또한 대응되는 콤프레션 단자 (60A) 에 접속된다. 또, 제 1 커넥터 (1) 의 도 8 에 대응되는 도 18 에 있어서, 모듈 기판 (57A) 상의 탑재 부품에 대해서는 박스 (56A) 로서 도면 을 간략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 2 커넥터 (1A) 의 구조는 제 1 커넥터 (1) 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므로 이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위의 실시형태에서는 콤프레션 단자 (60) 를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에 형성하고, 리셉터클측에서 콤프레션 기능을 발휘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콤프레션 기능을 플러그측에서 발휘시킬 수도 있다. 부연하면, 콤프레션 단자 (60) 는 반드시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에 형성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플러그측 커넥터 (2) 측에 모듈 기판 (57) 상의 신호 랜드 (54) 를 대신하여, 콤프레션 단자 (60) 와 동일한 콤프레션 단자를 형성하고, 한편,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측에 신호 랜드 (54) 와 같은 평탄한 면을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도, 리셉터클측 커넥터 (6) 와 플러그측 커넥터 (2) 는 서로 콤프레션 접속될 수 있다.
도 21 에 본원의 응용예를 나타낸다. 이 응용예는 도 22, 도 23 에 나타낸 종래 구성에 본원의 특징을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커넥터의 기본 구성은 도 22, 도 23 에 나타낸 종래예와 동일한 것이지만, 여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10 (및 도 11 내지 도 20) 에 나타낸 본원의 특징 부분이 부가되어 있다. 또한, 이해의 용이함을 위하여 도 21 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20 이나 도 22, 도 23 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여기에 「B」 를 부가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본원의 특징 부분을 부가하기 위하여, 도 23 에 나타낸 기판 (112) 대신에 도 1 내지 도 10 에 나타낸 모듈 기판 (57B) 을 사용한다. 도 21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플러그측 단자 (130B) 는 그 정상부 (139) 에 있어서 모듈 기판 (57B) 의 표면 (일방의 면) 에 형성한 홈 (61) 에 매립되어 수직 형성된다. 모듈 기판 (57B) 은 그랜드면 (55B) 이 상면에 오도록 되어 있고, 그랜드면 (55B) 은 플러그측 쉘 (130B) 의 상판의 내벽 (39B) 에 근접 또는 밀착시켜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단, 커넥터 단자 (140B) 와 플러그측 단자 (130B) 사이의 접촉 방법은 도 22, 도 23 의 종래예에 나타내는 것과 동일하다. 즉, 플러그측 커넥터 (102B) 가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B) 의 끼워 맞춤 오목부 (163B) 에 상방으로부터 끼워 맞춰지고, 이 끼워 맞춤 시 플러그측 커넥터 (102B) 측의 접촉부 (145B) 가 그 단자 접점 (141B) 에 있어서, 플러그측 커넥터 (102B) 측의 플러그측 단자 (130B) 의 측면 (157) 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측 커넥터 (102B) 의 플러그측 쉘 (150B) 의 측면에 형성된 원형 돌출부 (165) 는, 플러그측 커넥터 (102B) 와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B) 의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원형 돌출부 (165) 에 응답하여 리셉터클측 커넥터 (104B) 측에 이것이 꽉 맞게 패인 곳 (도시되어 있지 않음) 이 형성되어 있다.
본원 발명의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는 휴대 전화기의 본체측과 표시측, 컴퓨터의 본체측과 표시측 등, 2 지점에서 통신을 실시하는 다양한 기기나 장소 간의 통신을 위하여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6)

  1. 플러그측 커넥터와 리셉터클측 커넥터로 이루어진 기판 실장형의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는 광섬유를 지지하는 플러그측 하우징과, 그 플러그측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플러그측 쉘과, 상기 광섬유와 접속되는 광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는 제 1 기판에 실장되는 리셉터클측 하우징과, 그 리셉터클측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리셉터클측 쉘과, 그 리셉터클측 하우징에 배치되는 리셉터클측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광모듈은 제 2 기판과, 이 제 2 기판의 일방의 면에 탑재된 수발광 소자와, 상기 제 2 기판의 일방의 면에 탑재되어 상기 리셉터클측 단자 사이에서 신호 전달을 실시하는 플러그측 단자 또는 랜드를 가지고,
    상기 제 2 기판의 일방의 면의 반대측 타방의 면에 그랜드면이 형성되어 있고, 그 그랜드면은 상기 플러그측 쉘의 내벽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
  2. 상기 리셉터클측 단자와 상기 플러그측 단자는 콤프레션 접속되는 커넥터.
  3. 서로 끼워 맞출 수 있는 플러그측 커넥터와 리셉터클측 커넥터로 이루어진 기판 실장형의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는 광섬유를 지지하는 플러그측 하우징과, 그 플러그측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플러그측 쉘과, 상기 광섬유와 접속되는 광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는 그 일면에 있어서 머더 보드에 실장되고, 리셉터클측 하우징과, 그 리셉터클측 하우징의 외부를 덮는 리셉터클측 쉘과, 그 리셉터클측 하우징에 배치되는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광모듈은,
    모듈 기판과,
    상기 광섬유로부터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또는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광신호로 변환시켜 상기 광섬유에 송신하는 수발광 소자와,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에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 단자와 접촉되어 상기 수발광 소자로 변환된 전기신호를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 단자에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 단자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상기 수발광 소자에 전달하는 상기 모듈 기판 상의 배선을 포함하는 상기 모듈 기판의 일방의 면에 탑재된 복수의 탑재 부품을 가지고,
    상기 모듈 기판의 일방의 면의 반대측 타방의 면에 그랜드면이 형성되어 있고, 그 그랜드면은 상기 플러그측 쉘의 상판의 내벽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쉘은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에 상기 머더 보드에 실장된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상기 일면을 제외한 부분을 상방으로부터 덮는 끼워 맞춤 오목부를 가지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에는 상기 배선이 노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에 상기 배선이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상기 단자와 압축 상태에서 접촉할 수 있는 커넥터.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탑재 부품 중 상기 배선은 상기 모듈 기판의 일방의 면의 전반부에 배치되고, 그 이외의 부품은 상기 모듈 기판의 일방의 면의 후반부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쉘은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를 형성하는 전방부와, 상기 배선 이외의 부품을 보호하는 후방부의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이들 부분은 상기 플러그측 쉘의 바닥부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쉘의 이판의 일부를 내측으로 되접어 꺾어 형성한 내측 되접어 꺾음부에 의해 나누어져 있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 맞춤 오목부는 상기 모듈 기판의 일방의 면과, 상기 플러그측 쉘의 전방의 내벽과, 상기 플러그측 쉘의 상기 내측 되접어 꺾음부의 외벽, 및 상기 플러그측 쉘의 좌우측면의 내벽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를 끼워 맞출 때에,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일측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최외벽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리셉터클측 쉘의 후면 접촉부와 상기 플러그측 쉘의 전방의 내벽이, 또한 상기 리셉터클측 쉘의 후면 접촉부의 대향측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의 최외벽을 형성하고 있는 리셉터클측 쉘의 접촉자와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의 상기 내측 되접어 꺾음부가 각각 접촉할 수 있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자는 2 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접촉자의 맞댐부 부근이 외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는 커넥터.
  11. 제 4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쉘의 좌우측면의 벽의 일부를 상기 플러그측 쉘의 상판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어서 내측으로 랜싱함으로써, 측면 랜싱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 랜싱부에 의해 상기 플러그측 쉘 에 의한 상기 모듈 기판의 높이 위치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을 실시하는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기판은 상기 측면 랜싱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 에지와 상기 플러그측 쉘의 상판의 내벽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에 상기 그랜드면을 상면으로 하고, 그 그랜드면을 상기 플러그측 쉘의 상판의 내벽에 근접 또는 밀착시켜 전기적으로 접촉시킨 상태에서 삽입되는 커넥터.
  13. 제 3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쉘의 상판의 일부를 하측으로 랜싱함으로써, 상기 그랜드면과 접촉할 수 있는 스프링 접촉자를 형성하고 있는 커넥터.
  14. 제 4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측 쉘의 상판의 일부를 하측으로 랜싱함으로써 전방 랜싱부를 형성하고, 상기 모듈 기판의 선단부와 상기 전방 랜싱부의 후방 에지를 충돌시켜 상기 플러그측 쉘에 있어서의 상기 모듈 기판의 전방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함과 함께, 상기 상판의 일부를 하측으로 랜싱함으로써 후방 랜싱부를 형성하고, 상기 모듈 기판의 후단부와 상기 후방 랜싱부의 전방 에지를 충돌시켜 상기 플러그측 쉘에 있어서의 상기 모듈 기판의 후방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커넥터.
  15. 제 4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측 쉘의 일부에 선단 부근에 잠금 기구를 설치한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를 걸어 맞췄을 때에 상기 플러그측 커넥터의 플러그측 쉘에 설치한 잠금 기구에 걸리는 커넥터.
  16. 제 5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측 커넥터 단자는 콤프레션 단자인 커넥터.
KR1020070054987A 2006-06-06 2007-06-05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 KR101005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57232 2006-06-06
JP2006157232A JP4157572B2 (ja) 2006-06-06 2006-06-06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741A true KR20070116741A (ko) 2007-12-11
KR101005452B1 KR101005452B1 (ko) 2011-01-05

Family

ID=38790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987A KR101005452B1 (ko) 2006-06-06 2007-06-05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54205B2 (ko)
JP (1) JP4157572B2 (ko)
KR (1) KR101005452B1 (ko)
CN (1) CN10054194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8314B2 (en) * 2007-03-30 2013-03-19 Intel Corporation Optical universal serial bus (USB)
JP4793354B2 (ja) * 2007-08-29 2011-10-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JP2009199809A (ja) * 2008-02-20 2009-09-03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光伝送モジュールおよび光−電気伝送モジュール
JP4964218B2 (ja) * 2008-12-02 2012-06-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電気変換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US8662926B2 (en) 2009-03-31 2014-03-04 Fci Shielded connector with improved positioning of the shield
JP5391820B2 (ja) * 2009-05-15 2014-01-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TW201115865A (en) * 2009-10-28 2011-05-01 Hon Hai Prec Ind Co Ltd Connector
TW201115866A (en) * 2009-10-28 2011-05-01 Hon Hai Prec Ind Co Ltd Connector
US8449205B2 (en) * 2009-11-05 2013-05-2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Optical connector with protecting mechanism to prevent damage to fiber optic lens
CN102236132B (zh) * 2010-04-30 2013-11-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
US8188381B2 (en) * 2010-05-06 2012-05-29 Avago Technologies Fiber Ip (Singapore) Pte. Ltd. Mid-board module retention and EMI cage
JP2012003874A (ja) * 2010-06-15 2012-01-05 Fujitsu Ltd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およびプラグコネクタ
JP5546982B2 (ja) * 2010-07-23 2014-07-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電複合コネクタ
US8565562B2 (en) 2010-09-21 2013-10-22 Intel Corporation Connector optical lens with alignment features
CN103189775A (zh) 2010-11-05 2013-07-0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连接器
JP5740954B2 (ja) * 2010-12-09 2015-07-01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トランシーバ
JP5556905B2 (ja) * 2011-01-13 2014-07-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
WO2012099769A2 (en) * 2011-01-20 2012-07-26 Corning Incorporated Receptacle ferrule assemblies with gradient index lenses and fiber optic connectors using same
JP5445984B2 (ja) * 2012-03-27 2014-03-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電気変換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US20130266273A1 (en) * 2012-04-05 2013-10-10 Semtech Canada Corpora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high speed data via a cable
DE102012008996A1 (de) * 2012-05-04 2013-11-07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Elektrische Kupplungsvorrichtung für ein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CN102944921B (zh) * 2012-12-11 2017-06-13 南京昊风新能源科技合伙企业(有限合伙) 能快速连接光纤的光收发组件
JP5621862B2 (ja) * 2013-02-27 2014-1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JP5557068B2 (ja) * 2013-03-26 2014-07-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JP6045970B2 (ja) * 2013-04-12 2016-12-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US9596793B2 (en) * 2013-04-17 2017-03-14 Arris Enterprises, Inc. Radio frequency shield with partitioned enclosure
JP2015001563A (ja) * 2013-06-13 2015-01-05 富士通オプティカル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
CN104300318B (zh) * 2013-07-16 2016-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连接器
JP6150120B2 (ja) * 2013-07-24 2017-06-21 第一精工株式会社 配線端子連結装置
CN105098456B (zh) * 2014-04-23 2017-11-07 春源科技(深圳)有限公司 掀盖式板端连接器及与其搭配使用的rf平板式线缆与线端连接器
US9389371B2 (en) * 2014-09-19 2016-07-12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Fiber optic connectors and interfaces for fiber optic connectivity through device display surface,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TWI637205B (zh) * 2015-11-10 2018-10-01 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Connector group and connector group assembly method
CN107329214B (zh) * 2016-04-28 2019-12-03 苏州旭创科技有限公司 光模块及其制作方法
US10130241B2 (en) 2016-05-20 2018-11-20 Karl Storz Imaging, Inc.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interface to an electrically powered instrument
US10575712B2 (en) 2016-05-20 2020-03-03 Karl Storz Imaging, Inc. Medical scope device with improved radio frequency data interface
US10133013B2 (en) 2016-05-20 2018-11-20 Karl Storz Imaging, Inc.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interface to an electrically powered instrument
WO2017205831A1 (en) * 2016-05-27 2017-11-30 Finisar Corporation Duplex mini lc connector
US10113739B2 (en) 2017-01-06 2018-10-30 Delta Faucet Company Connector for an electronic faucet
JP2018117662A (ja) * 2017-01-23 2018-08-02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遊技機
US10386589B2 (en) 2017-02-01 2019-08-20 3M Innovation Properties Company Hybrid cable-to-board connector
US10281668B2 (en) * 2017-07-14 2019-05-07 Senko Advanced Components, Inc. Ultra-small form factor optical connectors
CN111989829B (zh) 2018-04-16 2022-04-29 星电株式会社 屏蔽外壳、连接器、配对连接器、连接器的连接结构以及制造连接器的方法
JP7016300B2 (ja) 2018-04-16 2022-02-04 ホシデン株式会社 シールドシェル、コネクタ、相手側コネクタ、コネクタの接続構造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661733B1 (ja) * 2018-11-28 2020-03-11 株式会社フジクラ ケーブル及び画像伝送システム
JP2020181045A (ja) * 2019-04-24 2020-11-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
JP7076410B2 (ja) * 2019-08-02 2022-05-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7137274B2 (ja) * 2019-08-02 2022-09-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配置構造
CN113270758A (zh) * 2019-12-20 2021-08-17 华为技术有限公司 连接器组件及光电复合连接器
TWI801817B (zh) * 2020-11-13 2023-05-11 立佳興業股份有限公司 光電連接器及其光電模組
TWI829550B (zh) * 2022-03-10 2024-01-11 周暉座 光通訊連接裝置
CN118210110A (zh) * 2024-05-22 2024-06-18 陕西四菱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小轻型mt型光纤插头护线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4436B1 (en) * 1999-12-03 2001-10-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with outwardly opening door for a removable transceiver module
JP4550268B2 (ja) * 2000-12-20 2010-09-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電気複合コネクタ
US6942395B1 (en) * 2001-01-29 2005-09-13 Jds Uniphas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pull-lever release for fiber optic modules
JP2004325783A (ja) * 2003-04-24 2004-11-18 Sony Corp 光電複合コネクタ、それを用いた光電複合ケーブルおよびネットワーク機器
JP4446930B2 (ja) * 2005-05-24 2010-04-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電気複合型コネクタ
KR100660713B1 (ko) * 2006-01-27 2006-12-21 (주) 엘콤스 절분점을 형성한 확장형 광전변환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57572B2 (ja) 2008-10-01
CN100541942C (zh) 2009-09-16
KR101005452B1 (ko) 2011-01-05
US20070280603A1 (en) 2007-12-06
CN101087052A (zh) 2007-12-12
JP2007328018A (ja) 2007-12-20
US7354205B2 (en) 2008-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452B1 (ko) 광전기 복합형 커넥터
EP1726978B1 (en) Photoelectric combined connector
JP4522144B2 (ja) 電気コネクタ
US769966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contact
CN100466397C (zh) 连接器模组
US8469747B2 (en) Card connector
JP6295138B2 (ja)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を使用した電子機器
JP5226739B2 (ja) コネクタ装置
KR20070038896A (ko) Emi특성이 용이하게 개선된 작은 사이즈의 전기 커넥터
CN102113121A (zh) 光连接器及光连接器的制造方法
JP5556905B2 (ja) コネクタ
JP4491008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ソケット
KR101440023B1 (ko) 리셉터클 및 커넥터
CN111799584B (zh) 插座
JP2007265665A (ja) コネクタ
JP3784283B2 (ja) 光伝送装置
JP4299855B2 (ja) 光伝送装置アッ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112018568B (zh) 连接器
JP2021034273A (ja) 基板実装型の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基板
WO2022270277A1 (ja) コネクタ装置
JP5941378B2 (ja) 光コネクタ
KR20220130570A (ko) 기판 커넥터
JPH11329546A (ja) コンタクト
JP2004146397A (ja) 回路モジュールおよびネットワーク機器
JP2013186161A (ja) コネクタ及びシールド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