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3214A - 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 제조 방법,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용도 - Google Patents

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 제조 방법,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3214A
KR20070113214A KR1020077020106A KR20077020106A KR20070113214A KR 20070113214 A KR20070113214 A KR 20070113214A KR 1020077020106 A KR1020077020106 A KR 1020077020106A KR 20077020106 A KR20077020106 A KR 20077020106A KR 20070113214 A KR20070113214 A KR 20070113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eno
pyrazol
methyl
benzamide
phenylhydrazinocarbo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드 바버리
장-크리스토프 캐리
길레 도어플링거
도미니크 바바라-다모어
프랑소와-프레드릭 끌레르끄
헤르베 미노스
Original Assignee
아벤티스 파마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벤티스 파마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아벤티스 파마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7011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321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61K31/41621,2-Diazoles 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Abstract

본 발명은 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 그의 제조 방법, 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약제로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의 제조, 그의 제조 방법, 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의약, 특히 항암제로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7063963143-PCT00148
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 항암제

Description

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 제조 방법, 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용도{HYDRAZINOCARBONYL-THIENO[2,3-C]PYRAZOLES, PREPARATION METHO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ND USE}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치환된 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 그의 제조 방법, 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약제로서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및 제1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항암제로서 유용한 치환된 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에 관한 것이다.
1H-티에노[2,3-c]피라졸은 WO 04/013 146 및 WO 03/101 968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들 화합물은 다양한 단백질 키나제의 억제제로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은 그의 광범위한 작용에 따라 상당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단백질, 특히 키나제 선택의 특이적 억제제의 제조가 요구된다.
모든 예상과는 달리, 치환된 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을 이용하여 종양학적으로 유용한 키나제 오로라2 (오로라 A) 및 다른 특정 키나제의 억제제를 수득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에 상응한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01
상기 식에서,
(i) R1은 -NHCO(R2), -NHCONH(R2) 및 -NHCOO(R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R2는 -H, -(C1-C24)알킬, -(C3-C9)시클로알킬, -(C3-C9)시클로알킬렌,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렌,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아릴, -(C1-C6)알킬-헤테로아릴, -아릴-(C1-C6)알킬 및 헤테로아릴-(C1-C6)알킬 (이들은 임의로 치환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ii) 각각의 R3, R4 및 R5는 -H, -(C1-C6)알킬, -(C1-C6)알킬-아릴, -(C1-C6)알킬-헤테로아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 (이들은 임의로 치환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3 및 R4) 또는 (R3 및 R5)는 함께 연결되어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2- 내지 10-원 모노시클릭 또는 바이시클릭 탄소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거나, N=CH-아릴기를 형성하고, 상기 아릴은 임의로 치환된다.
본 발명의 문맥상 달리 언급하지 않는다면 하기 정의가 적용된다:
- 할로겐: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
- 알킬: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지환족 치환기. 그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펜틸, 1-메틸부틸, 2-메틸부틸, 3-메틸부틸, 1,1-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2,2-디메틸프로필, 1-에틸프로필, 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1-에틸부틸, 2-에틸부틸, 3,3-디메틸부틸, 헵틸, 1-에틸펜틸 등의 기가 있다.
- 알킬렌: 2가인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은 알킬 치환기. 그 예로는 메틸렌 (-CH2-) 또는 디메틸렌 (-CH2-CH2-), 에틸레닐, 1-메틸에틸레닐, 프로프-1-에닐, 프로프-2-에닐, Z-1-메틸프로프-1-에닐, E-1-메틸프로프-1-에닐, Z-1,2-디메틸-프로프-1-에닐, E-1,2-디메틸프로프-1-에닐, 부트-1,3-디에닐, 1-메틸리데닐-프로프-2-에닐, Z-2-메틸부트-1,3-디에닐, E-2-메틸부트-1,3-디에닐, 2-메틸-1-메틸리데닐프로프-2-에닐, 운데스-1-에닐 및 운데스-10-에닐 등의 기가 있다.
- 아릴: 6 내지 1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방향족 치환기. 그 예로는 페닐, 나프트-1-일, 나프트-2-일, 안트라센-9-일,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트-5-일,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트-6-일 등의 기가 있다.
- 시클로알킬: 3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고 환형인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은 알킬 치환기. 그 예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펜타디에닐, 시클로헥실, 시클로헥세닐, 시클로헵틸, 비시클로[2.2.1]헵틸, 시클로옥틸, 비시클로[2.2.2]옥틸, 아다만틸, 퍼히드로나프틸 등의 치환기가 있다.
- 헤테로원자: 질소, 산소 또는 황 원자;
- 헤테로아릴: 상기 정의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12-원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 방향족 치환기. 그 예로는 피롤-1-일, 피롤-2-일, 피롤-3-일, 푸릴, 티에닐,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티아졸릴, 이속사졸릴, 이소티아졸릴, 1,2,4-트리아졸릴, 옥사디아졸릴, 티아디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리딜, 피리미딜, 피라지닐, 1,3,5-트리아지닐, 인돌릴, 벤조[b]푸릴, 벤조[b]티에닐, 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아자인돌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카르바졸릴, 아크리딜 등이 있다.
- 헤테로시클릴: 상기 정의된 1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5- 내지 13-원 시클릭 탄화수소계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시클릭 탄화수소계 치환기는 모노시클릭일 것이고, 4 또는 5개의 탄소 원자 및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것이다. 그 예로는 피페리딜, 아제티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옥사제피닐, 피롤리디닐, 디아제피닐 등의 치환기가 있다.
- 알콕시: 화학식 -O-알킬인 치환기 (알킬기는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음).
- 치환된: H 이외의 치환기, 예를 들어 할로겐,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릴, 알킬렌, 알키닐, OH, O-알킬, O-알킬렌, O-아릴, O-헤테로아릴, SH, S-알킬, S-아릴, S(O2)H, S(O2)-알킬, S(O2)-아릴, SO3H, SO3-알킬, SO3- 아릴, CHO, C(O)-알킬, C(O)-아릴, C(O)OH, C(O)O-알킬, C(O)O-아릴, OC(O)-알킬, OC(O)-아릴, C(O)NH2, C(O)NH-아릴, C(O)NHR7, C(O)NR7R8, -(C1-C3)알킬-아릴, -(C1-C3)알킬-헤테로아릴, -(C1-C3)알킬-헤테로시클릴, -(C1-C3)알킬-시클로알킬 및 NR7R8, 이들 고리는 할로겐, (C1-C3)알킬 및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7 및 R8은 H,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릴, 알킬-N[(C1-C6)알킬]2, -C(O)-알킬 및 -C(O)-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R2 기에서 용어 "치환된"은 할로겐, (C1-C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릴, 알킬렌, 알키닐, OH, O-알킬, O-알킬렌 및 NR7R8로부터의 치환기를 나타내고, 이들 고리는 할로겐, (C1-C3)알킬 및 알콕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R7 및 R8은 수소, (C0-C3)알킬, 페닐, 헤테로아릴, 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릴 및 (C1-C3)알킬-N[(C0-C3)알킬]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R3 및 R4) 또는 (R3 및 R5)가 함께 연결되어 고리를 형성하거나, N=CH-아릴을 형성하는 경우, 용어 "치환된"은 할로겐, -(C1-C6)알킬 및 -(C0-C6)알킬-알콕시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나타낸다.
- C0: 공유 결합 또는 -H.
- -(C1-C6)알킬-아릴의 경우,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부착은 알킬기 상에서 이루어진다. 반대로, -아릴-(C1-C6)-알킬의 경우에는, 아릴기 상에서 부착이 이루어진다.
- 용어 JNK 단백질은 단백질 JNK1, 2 및 3을 의미한다.
R1의 바람직한 값으로는 NHCO(R2)가 선택되고, 여기서 R2는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및 -아릴-(C1-C6)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대상은 가장 특별하게는 하기 화학식 Ia에 상응하는 화학식 I의 의 화합물이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02
상기 식에서,
각각의 R3, R4 및 R5는 상기 정의된 것과 같고,
R6은 할로겐, (C1-C3)알킬-NR7R8, (C1-C6)알콕시, (C0-C3)알킬-헤테로사이클, (C0-C3)알킬-아릴, (C0-C3)알킬-헤테로아릴 및 (C0-C3)알킬-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고리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C1-C3)알킬,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되고, R7 및 R8은 -H, (C0-C3)알킬, 아릴 및 (C1-C3)알킬- N-[(C0-C3)알킬]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더욱 특별하게는, R6 기는 부착된 페닐 상의 3 또는 4 위치에 있다.
더욱 특별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R6은 -(C0-C3)알킬-헤테로사이클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 자체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C1-C3)알킬, 할로겐 또는 알콕시에 의해 임의로 치환된다.
더욱 특별하게는, R3은 유리하게는 임의로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아릴 및 -(C1-C6)알킬-헤테로아릴,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 피리딜, 인돌릴, 벤즈이미다졸릴, 피라졸릴 및 피롤릴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특별하게는, R4는 유리하게는 H 및 알킬, 특히 -(C1-C6)알킬로부터 선택된다. 가장 특별하게는, R4는 H, 메틸 또는 에틸이다.
더욱 특별하게는, R5는 유리하게는 H 및 알킬, 특히 -(C1-C6)알킬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특별하게는, R3 및 R4는 그들이 부착된 질소와 함께 적절한 경우 N, O 또는 S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 가장 특별하게는 임의로 치환된 피페리딘 또는 피롤리딘을 형성한다.
더욱 일반적으로 및 본 발명의 문맥상, 바람직한 아릴은 페닐이고, 바람직한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 인돌릴, 벤즈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에닐 및 피롤릴로부터 선택된다.
제1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예시적인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5-(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N-[5-(N'-시클로헥실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N-[5-(N'-벤질-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N-{5-[N'-(2-에틸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N-{5-[N'-(2-플루오로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4-메톡시-N-[5-(N'-o-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모르폴린-4-일메틸벤즈아미드,
4-브로모-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4-(3,5-디메틸피페라진-1-일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4-(3,5-디메틸피페라진-1-일메틸)-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4-(4-메틸퍼히드로-1,4-디아제핀-1-일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4-(4-메틸퍼히드로-1,4-디아제핀-1-일메틸)-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3-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3-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4-디에틸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디에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페리드-1-일메틸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페리드-1-일메틸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롤리딘-1-일메틸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롤리딘-1-일메틸벤즈아미드,
4-아제티딘-1-일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퍼히드로-1,4-옥사제핀-4-일메틸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퍼히드로-1,4-옥사제핀-4-일메틸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3-모르폴린-4-일메틸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3-모르폴린-4-일메틸벤즈아미드,
4-[(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드,
4-[(메틸페닐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4-[(디이소프로필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N-[5-(N'-벤질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4-메톡시-N-[5-(N'-피리드-2-일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벤질-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피페리드-1-일)-3-[4-(4-메틸피페라진-1-일)벤조일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사미드,
N-[5-(N'-벤질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에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벤질-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시클로부틸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에틸-N'-(4-플루오로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4-플루오로페닐)-N'-(2-메톡시에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에틸-N'-o-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에틸-N'-m-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에틸-N'-m-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4-플루오로페닐)-N'-이소부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3-브로모페닐)-N'-에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6-(4-메틸[1,4]디아제판-1-일)-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니코틴아미드,
N-[5-(벤질리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2-모르폴린-4-일에톡시)벤즈아미드,
4-(4-메틸[1,4]디아제판-1-일)-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비-키랄 형태, 라세미 형태, 한 입체 이성질체가 풍부한 형태, 또는 한 거울상 이성질체가 풍부한 형태일 수 있고, 임의로 염화된 다.
제2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의 대상은 제1 측면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이다.
특히, 본 발명은
(i) (i-a) 하기 화학식 X의 산과 (i-b) 히드라진 (R3)(R4)N-NH(R5) (식 중, R3, R4 및 R5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을 커플링제의 존재하에 염기, 예컨대 3급 아민 또는 알칼리 금속 카르보네이트의 존재하에 커플링시키는 단계; 및
(ii) PG를 분할시키는 단계
에 의해 수득되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7063963143-PCT00003
Figure 112007063963143-PC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NHCO(R2)이고, R3, R4 및 R5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PG는 티에노[2,3-c]피라졸 핵의 유리 고리내 NH 관능기를 위한 보호기이다.
상기 화학식 X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X의 화합물의 티오펜 핵의 에스테르 관능기를 에스테르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05
상기 식에서, R1은 상기 기재된 것과 같다.
상기 화학식 IX의 화합물은
(i) 하기 화학식 IIa의 화합물과 (ii) 화학식 (R2)CONH2의 화합물을
- 촉매, 예컨대 요오드화구리(I),
- 아민, 예컨대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 트랜스-1,2-비스(메틸아미노)시클로헥산, 또는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1,2-디아미노에탄, 및
- 염기, 예컨대 인산삼칼륨 또는 탄산세슘의 존재하에 커플링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06
상기 식에서, 알킬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PG는 티에노[2,3-c]피라졸 핵의 유리 고리내 NH 관능기를 위한 보호기이다.
상기 화학식 IIa의 화합물은 알킬 머캅토아세테이트인 알킬-OCO-CH2-SH와 하기 화학식 IIIa의 화합물을 염기, 예컨대 탄산나트륨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Figure 112007063963143-PCT00007
상기 식에서, PG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 IIIa의 화합물은 (i) 3,4,5-트리브로모-피라졸을 포르밀화하여 3,5-디브로모-4-포르밀피라졸 (III)을 수득하는 단계, 이어서 (ii) 보호기 PG의 도입을 통해 화합물 (III)의 고리내 아민 관능기를 보호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보호기 PG는
(i) 산, 예컨대 염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톨루엔 중에서 에틸 비닐 에테르와 반응시켜 PG = 1-에톡시에틸 기를 수득함으로써, 또는
(ii)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또는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PG = tert-부틸옥시카르보닐 기를 수득함으로써 도입될 수 있다.
제3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측면의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4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의 대상은 바람직하게는 오로라1, 오로라2, CDK1, CDK2, CDK4, FAK, KDR 및 Tie2로부터 선택된 단백질 키나제의 억제제로서 제1 측면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키나제는 오로라2이다.
제5 측면에 따라, 본 발명의 대상은 병리학적 증상, 특히 암의 치료에 유용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제1 측면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제5 측면의 한 변형에 따라, 본 발명의 대상은 건선, 녹내장, 백혈병, 중추 신경계와 관련된 질환, 염증, 및 JNK 단백질의 탈조절과 관련된 질환으로부터 선택된 병리학적 증상의 치료에 유용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제1 측면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에 따라 화학식 I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08
반응 (a) 및 (d)는 R1이 NHCO(R2)이고, R2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경우, 문헌 [S.L. Buchwald et al., J. Am. Chem. Soc., 2002, 124, 7421; J. Am. Chem. Soc., 2001, 123, 7727]에 기재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R2)CONH2 유형의 아미드, 요오드화구리(I), 아민, 예컨대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 트랜스-1,2-비스(메틸아미노)시클로헥산 또는 (이는 본 발명의 측면들 중 하나임) N,N'-디메틸-1,2-디아미노에탄, 및 염기, 예컨대 인산삼칼륨 또는 탄산세슘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디옥산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 (b) 및 (c)는 (R3)(R4)NN(R5)H 유형의 유도체 (여기서, R3, R4 및 R5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 및 트리메틸알루미늄의 존재하에, 용매, 예컨대 톨루엔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 (e)는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특히 문헌 [T.W. Greene and P. G. 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2nd edition), A. Wiley - Interscience Publication (1991)], 또는 [McOmi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Plenum Press (1973)] 또는 [Bradford P. Mundy and Michael G. Ellerd, Name Reactions and Reagents in Organic Synthesis, A. Wiley - Interscience Publication (1988)]에 기재된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반응 (e)는 예를 들어 염기성 매질 중에서 수산화칼 륨 또는 수산화나트륨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물 및 알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의 혼합물 중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알콜 단독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반응 매질의 환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 (f)는 바람직하게는 R3R4NNR5H 유형의 유도체 (여기서, R3, R4 및 R5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 및 O-(1H-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TBTU) 유형의 활성화제의 존재하에,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0℃ 내지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펩티드 화학의 널리 공지된 커플링 방법에 따라 (문헌 [M. Bodanszky et al., Principles of Peptide Synthesis, Springer-Verlag, New York, NY, 1984, 9 58]) 또는 아미드 형성을 위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반응 (f)는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특히 문헌 [Bradford P. Mundy and Michael G. Ellerd, Name Reaction and Reagents in Organic Synthesis, A. Wiley - Interscience Publication (1988)]에 기재된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f)는 불활성 대기하에 (예를 들어, 질소 또는 아르곤 하에서) 옥살릴 클로라이드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20℃의 온도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술피닐 클로라이드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클로로포름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반응 매질의 환류 온도에서 수행한 후, R3R4NNR5H 유형의 아미드의 유도체 (여기서, R3, R4 및 R5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 및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또는 피리딘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반응시킬 수 있다.
탈보호 반응 (g)는 (PG가 1-에톡시에틸기인 경우) 광물산, 예컨대 염산의 존재하에,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물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아민 관능기의 탈보호를 위한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문헌 [T.W. Greene et al. i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ition, 1999, Wiley Interscience]) 수행할 수 있다.
화학식 IIa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에 따라 3,4,5-트리브로모피라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09
반응 (a)는 유기리튬 시약, 예컨대 n-부틸리튬의 존재하에, 디메틸포름아미드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디에틸 에테르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78℃ 내지 실온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보호 반응 (b)는 에틸 비닐 에테르의 존재하에, 촉매량의 산, 예컨대 염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톨루엔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아민 관능기의 보호를 위해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문헌 [T.W. Greene et al. i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third edition, 1999, Wiley-Interscience]) 수행할 수 있다.
반응 (c)는 에틸 머캅토아세테이트의 존재하에, 염기, 예컨대 탄산나트륨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알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R1이 NHCO(R2)이고, R2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에 따라 화학식 XIV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10
보호 반응 (a)는 (P가 tert-부틸옥시카르보닐기인 경우)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를 이용하여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또는 피리딘의 존재하에, 임의로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1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P가 1-에톡시에틸기인 경우) 에틸 비닐 에테르의 존재하에, 촉매량의 산, 예컨대 염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톨루엔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아민 관능기의 보호를 위해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문헌 [T.W. Greene et al. i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third edition, 1999, Wiley-Interscience]) 수행할 수 있다.
반응 (b)는
- 산 클로라이드 (R2)C(O)Cl (여기서,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를 이용하여,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 탄산칼륨 또는 탄산나트륨 중에서,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또는 상기 유기 염기 자체로,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문헌 [G. Daidone et al., Heterocycles, 1996, 43(11), 2385]);
- 무수물 ((R2)CO)2O (여기서,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을 이용하여,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또는 상기 무수물 자체로,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문헌 [F. Albericio, Synth. Commun., 2001, 31(2), 225, G. Procter, Tetrahedron, 1995, 51(47), 12837]);
- 산 (R2)C(O)OH (여기서,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을 이용하여, 활성화제, 예컨대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ATU)의 존재하에, 염기 (예를 들어, 피리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펩티드 화학의 널리 공지된 커플링 방법에 따라 (문헌 [M. Bodanszky et al., Principles of Peptide Synthesis, Springer-Verlag, New York, NY, 1984, 9 58]) 또는 아미드 형성을 위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반응 (c)는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특히 문헌 [T.W. Greene 및 P.G.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2nd edition), A. Wiley - Interscience Publication (1991)], 또는 [McOmi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Chemistry, Plenum Press (1973)] 또는 [Bradford P. Mundy et Michael G. Ellerd, Name Reactions and Reagents in Organic Synthesis, A. Wiley - Interscience Publication (1988)]에 기재된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반응 (c)는 예를 들어 염기성 매질 중에서,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나트륨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물 및 알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의 혼합물 중에서 또는 알콜 단독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반응 매질의 환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 (d)는 바람직하게는 R3R4NNR5H 유형의 유도체 (여기서, R3, R4 및 R5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 및 O-(1H-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TBTU) 유형의 활성화제의 존재하에, 예를 들어,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아세토니트릴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0℃ 내지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펩티드 화학의 널리 공지된 커플링 방법에 따라 (문헌 [M. Bodanszky et al., Principles of Peptide Synthesis, Springer-Verlag, New York, NY, 1984, 9-58]) 또는 아미드 형성을 위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반응 (d)는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일반적인 방법에 따 라, 특히 문헌 [Bradford P. Mundy and Michael G. Ellerd, Name Reactions and Reagents in Organic Synthesis,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1988)]에 기재된 방법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d)는 불활성 대기하에 (예를 들어, 질소 또는 아르곤 하에서) 옥살릴 클로라이드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20℃의 온도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술피닐 클로라이드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클로로포름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반응 매질의 환류 온도에서 수행한 후, R3R4NNR5H 유형의 유도체 (여기서, R3, R4 및 R5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 및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또는 피리딘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반응시킬 수 있다.
탈보호 반응 (e)는 (PG가 tert-부틸옥시카르보닐기인 경우) 요오도트리메틸실란의 존재하에, 또는 산성 매질 (예를 들어,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또는 디옥산 중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염산) 중에서,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염기성 매질 (용매, 예컨대 알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중 탄산칼륨,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임의로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중에서, 또는 용매, 예컨대 알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중 중성 매질 중에서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PG가 1-에톡시에틸기인 경우) 광물산, 예컨대 염산의 존재하에,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물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아민 관능기의 탈보호를 위한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문헌 [T.W. Greene at al. i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third edition, 1999, Wiley-Interscience]) 수행할 수 있다.
화학식 XVa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에 따라 에틸 3-아미노-4-시아노-5-메틸술파닐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11
반응 (a)는 이소펜틸 니트라이트 및 Cu(II)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산화 반응 (b)은 3-클로로퍼옥시벤조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20℃ 내지 실온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반응 (c)는 히드라진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알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환형화 반응 (d)은 광물산, 예컨대 진한 염산 또는 진한 황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알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보호 반응 (e)은 (PG가 tert-부틸옥시카르보닐기인 경우)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를 이용하여,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또는 피리딘의 존재하에, 임의로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1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PG가 1-에톡시에틸기인 경우) 에틸 비닐 에테르의 존재하에, 촉매량의 산, 예컨대 염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톨루엔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아민 관능기의 보호를 위해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문헌 [T.W. Greene et al. i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ition, 1999, Wiley-Interscience]) 수행될 수 있다.
에틸 3-아미노-4-시아노-5-메틸술파닐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의 합성은 문헌 [Synthesis 2003, 735]에 기재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R1이 NHCO(R2)이고, R2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경우,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에 따라 화학식 XIV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12
반응 (a)는 (R3)(R4)NN(R5)H 유형의 유도체 (여기서, R3, R4 및 R5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 및 트리메틸알루미늄의 존재하에, 용매, 예컨대 톨루엔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보호 반응 (b)는 (PG가 tert-부틸옥시카르보닐기인 경우)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를 이용하여,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또는 피리딘의 존재하에, 임의로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1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PG가 1-에톡시에틸기인 경우) 에틸 비닐 에테르의 존재하에, 촉매량의 산, 예컨대 염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톨루엔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아민 관능기의 보호를 위해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문헌 [T.W. Greene et al. i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ition, 1999, Wiley-Interscience]) 수행될 수 있다.
반응 (c)는
- 산 클로라이드 (R2)C(O)Cl (여기서,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를 이용하여,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디이소프로필 에틸아민, 탄산칼륨 또는 탄산나트륨 중에서,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또는 상기 유기 염기 자체로,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문헌 [G. Daidone et al., Heterocycles, 1996, 43(11), 2385]);
- 무수물 ((R2)CO)2O (여기서,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을 이용하여,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또는 상기 무수물 자체로,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문헌 [F. Albericio, Synth. Commun., 2001, 31(2), 225, G. Procter, Tetrahedron, 1995, 51(47), 12837]);
- 산 (R2)C(O)OH (여기서, R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을 이용하여, 활성화제, 예컨대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ATU)의 존재하에, 염기 (예를 들어, 피리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또는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를 들어,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펩티드 화학의 널리 공지된 커플링 방법에 따라 (문헌 [M. Bodanszky et al., Principles of Peptide Synthesis, Springer-Verlag, New York, NY, 1984, 9 58]) 또는 아미드 형성을 위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탈보호 반응 (d)는 (PG가 tert-부틸옥시카르보닐기인 경우) 요오도트리메틸실란의 존재하에, 또는 산성 매질 (예를 들어,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또는 디옥산 중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염산) 중에서,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염기성 매질 (용매, 예컨대 알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중 탄산칼륨,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임의로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중에서, 또는 용매, 예컨대 알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중 중성 매질 중에서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PG가 1-에톡시에틸기인 경우) 광물산, 예컨대 염산의 존재하에,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물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아민 관능기의 탈보호를 위해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문헌 [T.W. Greene et al. i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ition, 1999, Wiley-Interscience])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R1이 NHCO(R2)이고, R2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경우, 화학식 XV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에 따라 화학식 X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13
반응 (a)는 (R3)(R4)NN(R5)H 유형의 유도체 (여기서, R3, R4 및 R5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가짐)의 존재하에, 트리메틸알루미늄 용매, 예컨대 톨루엔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산화 반응 (b)는 옥손(Oxone®) (칼륨 퍼옥시모노술페이트) 또는 3-클로로퍼옥시벤조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첫번째 경우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물의 혼합물 중에서 또는 두번째 경우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20℃ 내지 실온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 (c)는 히드라진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알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환형화 반응 (d)는 광물산, 예컨대 진한 염산 또는 진한 황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알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R1이 NHCO(R2)이고, R2가 -CH2NR6R7 유형의 기로 치환된 페닐기이고, R6 및 R7이 -H, (C1-C6)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아릴 및 -(C1-C6)알킬-헤테로아릴 (이들 기는 임의로 치환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대안적으로 (R6 및 R7)이 함께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또는 불포화 2- 내지 10-원 모노시클릭 또는 바이시클릭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는 화학식 Ib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에 따라 화학식 IVb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14
반응 (a)는 HNR6R7 유형의 아민의 존재하에, 염, 예컨대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탈보호 반응 (b)는 (PG가 tert-부틸옥시카르보닐기인 경우) 요오도트리메틸실란의 존재하에, 또는 산성 매질 (예를 들어,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또는 디 옥산 중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염산) 중에서,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염기성 매질 (용매, 예컨대 알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중 탄산칼륨, 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임의로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중에서, 또는 용매, 예컨대 알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중 중성 매질 중에서 마이크로파 조사를 이용하여, 또는 대안적으로 (PG가 1-에톡시에틸기인 경우) 광물산, 예컨대 염산의 존재하에,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물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또는 대안적으로 아민 관능기의 탈보호를 위해 널리 공지된 방법에 따라 (문헌 [T.W. Greene et al. i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ition, 1999, Wiley-Interscience]) 수행될 수 있다.
(R3)(R4)NN(R5)H 유형의 유도체 (여기서, R3은 아릴기, 더욱 특별하게는 치환된 페닐기를 나타내고, R4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R5는 수소 원자를 나타냄)는 하기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에 따라 화학식 XX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15
반응 (a)는 염기, 예컨대 유기리튬 시약의 존재하에, 알킬 할로겐화물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80℃ 내지 25℃의 온도에 서 수행될 수 있다.
분할 반응 (b)는 광물산, 예컨대 염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에서, 25℃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Y 및 Z가 독립적으로 더욱 특별하게 수소 원자, 할로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는 화학식 XX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에 따라 화학식 XXII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16
반응 (a)는 벤조페논의 존재하에, 광물산, 예컨대 황산 또는 염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알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중에서, 25℃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Y 및 Z가 독립적으로 더욱 특별하게 수소 원자, 할로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는 화학식 XXI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적인 합성 반응식에 따라 화학식 XXIV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17
반응 (a)는 벤즈히드릴리덴히드라진, 화학식 XXIV의 화합물 (여기서, Y 및 Z는 독립적으로 더욱 특별하게 수소 원자, 할로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Hal은 더욱 특별하게는 브롬 또는 염소 원자를 나타냄), 팔라듐(II) 유도체, 예컨대 팔라듐(II) 디아세테이트, 포스핀 리간드 및 염기, 예컨대 수산화나트륨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알콜 (바람직하게는 tert-아밀 알콜) 중에서, 20℃ 내지 반응 매질의 비점의 온도에서, 문헌 [J.-M. Campagne et al., Tetrahedron, 2002, 58, 2041]에 기재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상기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아민 및 카르복실 관능기의 보호기를 도입하여 부반응을 피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기는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아민 관능기를 위한 보호기의 예로는 광물산, 예컨대 염산의 존재하에 (용매,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또는 물 중에서) 제거될 수 있는 1-에톡시에틸, 요오도트리메틸실란을 이용하거나 산성 매질 (예를 들어,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또는 디옥산 중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또는 염산) 중에서 제거될 수 있는 tert-부틸카르바메이트, 수소의 존재하에 또는 티올 (예를 들어, 벤젠티올) 및 루이스(Lewis) 산 (예를 들어,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 에테레이트)의 혼합물의 존재하에 제거될 수 있는 벤질 카르바메이트, 산성 매질 (예를 들어, 염산) 중에서 제거될 수 있는 아세틸, 산성 매질 (예를 들어, 염산) 중에서 제거될 수 있는 벤조일,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존재하에 또는 산성 매질 (예를 들어, 염산) 중에서 제거될 수 있는 2-트리메틸실라닐에톡시메틸이 있다. 카르복실 관능기를 위한 보호기로는 문헌 [T.W. Greene et al. in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third edition, 1999, Wiley-Interscience]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거 될 수 있는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톡시메틸 에스테르, 벤질 에스테르 또는 메틸 에스테르)가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단리되어,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추출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 또한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룬다.
염기성 잔기를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임의로 유기 용매, 예컨대 알콜, 케톤, 에테르 또는 염소화 용매 중에서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작용을 통해 상기 산과의 부가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산 잔기를 포함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임의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금속염으로 또는 질소 염기와의 부가염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들 염은 용매 중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한 금속성 염기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염기), 암모니아, 아민 또는 아민염의 작용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형성된 염은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
이들 염 또한 본 발명의 일부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유리 염기성 관능기를 함유하는 경우,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상기 화합물과 무기산 또는 유기산의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는 클로라이드, 니트레이트, 술페이트, 수소 술페이트, 피로술페이트, 비술페이트, 술파이트, 비술파이트, 포스페이트, 일수소 포스페이트, 이수소 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 네이트, 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 부티레이트, 카프릴레이트, 카프로에이트, 데카노에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숙시네이트, 글루타레이트, 아디페이트, 피멜레이트, 말레에이트, 푸마레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페닐아세테이트, 만델레이트, 세바케이트, 수베레이트, 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 프로판술포네이트, 크실렌술포네이트, 살리실레이트, 신나메이트, 글루타메이트, 아스파테이트, 글루쿠로네이트 및 갈락투로네이트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하나 이상의 유리 산 관능기를 함유하는 경우,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상기 화합물과 무기 염기 또는 유기 염기의 반응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기로는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예컨대 Li, Na, K, Mg 또는 Ca의 양이온의 수산화물, 및 염기성 아민 화합물, 예컨대 암모니아, 아르기닌, 리신, 히스티딘, 피페리딘, 모르폴린, 피페라진 또는 트리에틸아민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하기 실시예에 의해 기재된다.
실시예 1: 5-(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메톡시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18
아르곤 하에서 1-(1-에톡시에틸)-3-(4-메톡시벤조일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산 (0.3 g, 0.77 mmol), O-(1H-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TBTU) (0.247 g, 0.77 mmol, 1 eq.), 디메틸포름아미드 (3.85 mL) 및 페닐히드라진 (0.151 mL, 1.54 mmol, 2 eq.)을 연속해서 2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트리에틸아민 (0.322 mL, 2.31 mmol, 3 eq.)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 제거하고, 잔류 오일을 에틸 아세테이트 15 mL 및 물 10 mL로 희석하였다. 수성 상을 단리한 다음, pH 4-5로 산성화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3 x 1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1:1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혼합물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상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오일 형태로 수득한 생성물 (0.310 g, 84%, Rf = 0.47 (1:9 MeOH/디클로로메탄))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테트라히드로푸란 5 mL 및 2.5 N 염산 2.5 mL 중에 넣었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5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그 후, 물 15 m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발 제거하고, 수성 상을 5 N NaOH로 중화하였다. 형성된 침전물을 여과 제 거한 다음, 물로 세척하였다. 베이지색 고체를 60℃ 온도의 오븐에서 진공하에 건조하였다. 그 후, 건조 고체를 아세톤에 용해하고, 헵탄으로부터 침전시켰다. 수득한 5-(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86 mg, 33%)는 순도가 95%이었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19
1-(1- 에톡시에틸 )-3-(4-메톡시벤조일 아미노 )-1H- 티에노 [2,3-c]피라졸-5-카르복실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20
아르곤 하에서 에틸 3-브로모-1-(1-에톡시에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10 g, 28 mmol), 4-메톡시벤즈아미드 (7.39 g, 48 mmol, 1.7 eq.), 요오드화구리(I) (0.548 g, 2.88 mmol, 0.1 eq.), 예비 분쇄한 인산삼칼륨 (18.34 g, 86 mmol, 3 eq.) 및 아르곤으로 사전 탈기된 무수 디옥산 180 mL을 5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0.306 mL (2.88 mmol, 0.1 eq.)를 시린지를 통해 상기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110℃의 온도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후, 디옥산을 진공하에 증발 제거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 및 물 15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물 100 mL로 1회 세척한 다음,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혼합물 (1:1)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정제 후 수득한 담황색 오일은 에틸 1-(1-에톡시에틸)-3-(4-메톡시벤조일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7.41 g, 64%)에 상응하였다. 합한 수성 상을 5 N 염산을 이용하여 pH 5-6로 산성화하였다. 진한 침전물이 형성되었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그 후, 유기 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감압하에 농축 건조하였다. 증발 후 수득한 백색 고체를 헵탄/디메틸 에테르 혼합물 (1:1)로 연화처리하였다. 여과 후, 1-(1-에톡시에틸)-3-(4-메톡시벤조일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산이 백색 고체 (1.27 g, 11%)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에틸 1-(1-에톡시에틸)-3-(4-메톡시벤조일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를 50℃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테트라히드로푸란 50 mL 및 5 N 수산화나트륨 20 mL로 에스테르 가수분해하였다. 그 후,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발 제거하고, 수성 상을 물 150 mL로 세척하고, 5 N 염산을 이용하여 pH를 3-4로 조정하였다. 수득한 백색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진공하에 60℃의 온도에서 건조하였다. 1-(1-에톡시에틸)-3-(4-메톡시벤조일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산 7.04 g (즉, 98%)이 수득되었고, 생성물을 하기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에틸 3- 브로모 -1-(1- 에톡시에틸 )-1H- 티에노[2,3-c]피라졸 -5- 카르복실레이트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21
3,5-디브로모-1-(1-에톡시에틸)-1H-피라졸-4-카르복스알데히드 1.19 g (3.81 mmol)을 교반하면서 아르곤 대기하에 20℃의 온도에서 에탄올 50 mL에 첨가한 다음, 탄산나트륨 0.4 g (3.81 mmol) 및 에틸 2-머캅토아세테이트 0.42 mL (3.81 mmol)를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한 다음, 감압하에 (2.7 kPa)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물 60 mL 및 디클로로메탄 60 mL에 녹이고, 정치시켜 상들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감압하에 (2.7 kPa) 농축 건조하였다. 에틸 3-브로모-1-(1-에톡시에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1.17 g이 담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되었고, 이는 결정화되어 융점이 69℃인 크림색 결정이 수득되었다.
3,5- 디브로모 -1-(1- 에톡시에틸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알데히드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22
3,5-디브로모-1H-피라졸-4-카르복스알데히드 1 g (3.94 mmol), 에틸 비닐 에테르 1.5 mL (16 mmol) 및 진한 12 N 염산 3 액적을 교반하면서 20℃의 온도에서 톨루엔 30 mL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20℃의 온도에서 교반한 다음, 에틸 비닐 에테르 1.5 mL (16 mmol)를 첨가하고, 2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톨루엔 20 mL로 희석하고,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30 mL으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감압하에 (2.7 kPa) 농축 건조하여, 황색 오일 형태의 3,5-디브로모-1-(1-에톡시에틸)-1H-피라졸-4-카르복스알데히드 1.19 g이 수득되었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23
3,5- 디브로모 -1H- 피라졸 -4- 카르복스알데히드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24
3,4,5-트리브로모피라졸 81.7 g (0.268 mol)을 교반하면서 20℃의 온도에서 아르곤 대기하에 디에틸 에테르 1500 m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의 온도로 냉각한 다음, 헥산 중 n-부틸리튬의 1.6 M 용액 335 mL (0.536 mol)을 3시간 15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75℃의 온도에서 교반한 다음, 온도를 -70℃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디메틸포름아미드 100 mL (1.34 mol)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75℃의 온도에서 2시간 더 교반한 다음, 15시간 동안 20℃의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매질을 빙수조에서 냉각하고, 물 1000 mL를 첨가하였다. 정치에 의해 상들을 분리한 후, 수성 상을 디에틸 에테르 500 mL로 추출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5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그 후, 수성 상을 시트르산 용 액을 이용하여 pH 3으로 산성화하고 (침전물 형성이 관찰됨), 디에틸 에테르 100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감압하에 (2.7 kPa) 농축 건조하고, 수득한 황색 고체를 물 300 mL에 녹이고, 2시간 동안 20℃의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물 50 mL로 2회 세척하고, 환기 장치(fume cupboard)에서 건조한 다음, 감압하에 (2.7 kPa) 40℃의 온도에서 건조하였다. 3,5-디브로모-1H-피라졸-4-카르복스알데히드 51.3 g이 융점이 173℃인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실시예 2: 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 메톡시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25
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26
실시예 3: N-[5-(N'- 시클로헥실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티에노[2,3-c] 피라 졸-3-일]-4- 메톡시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27
N-[5-(N'-시클로헥실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28
실시예 4: N-[5-(N'-벤질-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 메톡시벤즈아미드의 제조.
N-[5-(N'-벤질-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30
실시예 5: N-{5-[N'-(2- 에틸페닐 ) 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 메톡시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31
N-{5-[N'-(2-에틸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32
실시예 6: N-{5-[N'-(2- 플루오로페닐 ) 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 피라졸-3-일}-4- 메톡시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33
N-{5-[N'-(2-플루오로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34
실시예 7: 4- 메톡시 -N-[5-(N'-o- 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35
4-메톡시-N-[5-(N'-o-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36
실시예 8: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모르폴린-4- 일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37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서 탄산칼륨 21 mg (154 μmol)을 메탄올 5 mL 중 tert-부틸 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3-(4-모르폴린-4-일메틸벤조일아미노)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0.09 g (154 μ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관의 마개를 막고, 반응 혼합물을 180℃의 온도에서 3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0.6 kPa) 3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10 mL/min의 유속으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9/1 부피비, 그 후 98/2 및 최종 97/3)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25 g의 카트리지 (0.015-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1.0 kPa) 3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10 mL에 녹이고, 연화처리한 다음, 다시 농축 건조하였다. 수득한 고체를 진공하에 (0.01 kPa) 60℃ 온도의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모르폴린-4-일메틸벤즈아미드 40 mg이 융점이 242℃인 회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MS-EI: 490(+)=M(+).
tert -부틸 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3-(4-모르폴린-4-일메틸 벤조일아미노) 티에노 [2,3-c] 피라졸 -1- 카르복실레이트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38
아르곤 하에서 탄산칼륨 193 mg (1.39 mmol)에 이어서 4-모르폴린-4-일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40 mg (0.87 mmol)를 테트라히드로푸란 20 mL 중 tert-부틸 3-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0.27 g (0.7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4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로 냉각한 다음, 빙수 40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연속해서 에틸 아세테이트 60 mL에 이어 4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상들을 합하고, 포화 염수 40 mL로 2회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10 mL/min의 유속으로 연속해서 순수한 디클로로메탄에 이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9/1 부피비에 이어 98.5/1.5, 98/2 및 최종 97/3)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25 g의 카트리지 (0.015-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0.6 kPa) 3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모르 폴린-4-일메틸벤즈아미드 0.1 g을 융점이 190℃인 회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4-모르폴린-4-일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는 US 4 623 486 A (1986) 및 WO 90/08128 A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tert -부틸 3-아미노-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 티에노 [2,3-c] 피라졸 -1- 카르복실레이트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39
아르곤 하에서 트리에틸아민 0.58 mL (4.14 mmol)를 디클로로메탄 35 mL 중 N'-메틸-N'-페닐(3-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보히드라지드 1.19 g (4.14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다음,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61 mg (0.50 mmol)을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0℃의 온도로 냉각하고, 디클로로메탄 15 mL 중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0.90 g (4.14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5℃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물 50 mL로 처리하고, 25℃의 온도에서 교반한 다음, 정치시켜서 상들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3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상들을 합하고, 물 50 mL로 2회 세척하여 중성 pH로 만들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3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20 mL/min 의 유속으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8/2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70 g의 카트리지 (0.015-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3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tert-부틸 3-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0.38 g을 융점이 195℃인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N'-메틸-N'-페닐(3-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보히드라지드:
Figure 112007063963143-PCT00040
톨루엔 중 트리메틸알루미늄의 2 M 용액 17.3 mL (34.5 mmol)을 25℃의 온도에서 아르곤 하에서 톨루엔 180 mL 중 1-메틸-1-페닐히드라진 3.9 mL (32.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고, 이 동안 온도를 25℃ 이하로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 3-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2.7 g (11.8 mmol)을 스패츌라를 이용하여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환류한 다음, 25℃의 온도로 냉각하고, 10% 시트르산 용액 200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의 상들을 정치에 의해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물로 세척하여 pH를 6을 만들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3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디클로로메탄 및 트리에틸아민의 혼합물 (1 공극 부피)에 이어 순수한 디클로로메탄 (4 공극 부피)으로 용출시킴으로써 예비 중화된 실리카 겔 200 g의 컬럼 (0.020-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연속해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5/5에 이어 90/10 부피비)로 용출시켰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40 mL에 녹이고, 연화처리한 다음, 소결로 상에서 여과하였다. 수득한 고체를 진공하에 건조하였다. N'-메틸-N'-페닐(3-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보히드라지드 1.5 g을 융점이 186℃인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에틸 3-아미노-1H-티에노[2,3-c] 피라졸 )-5- 카르복실레이트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41
무수 에탄올 160 mL 중 에틸 4-시아노-5-메틸술포닐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16.4 g (0.063 mol)의 현탁액을 생성물이 용해될 때까지 환류하고, 무수 에탄올 40 mL 중 히드라진 수화물 6.2 mL (0.126 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히드라진 수화물 4.6 mL (0.094 mol)을 적가하고, 환류하에 2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25℃의 온도로 냉각한 후,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에탄올 200 mL에 녹이고, 12 N 염산 13.2 mL (0.158 mol)의 용액을 2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첨가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10℃로 미리 냉각된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500 mL에 부었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600 mL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포화 염수 300 mL로 2회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순수한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500 g의 컬럼 (0.020-0.045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에틸 3-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3.4 g를 갈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고, 생성물을 하기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MS-EI: 211(+)=M(+).
에틸 4- 시아노 -5- 메틸술포닐티오펜 -2- 카르복실레이트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42
-5℃의 온도로 유지되는 디클로로메탄 1 L 중 3-클로로퍼옥시벤조산 92.3 g (0.374 mol)의 용액을 2시간에 걸쳐 -5℃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디클로로메탄 500 mL 중 에틸 4-시아노-5-메틸술파닐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42.5 g (0.187 mol)의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5℃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얼음조에서 냉각하고,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750 mL 및 디클로로메탄 250 mL으로 처리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소결로 상에서 여과하고, 고체를 디클로로메탄 100 mL로 2회 세척 하였다. 정치시켜서 여액의 상들을 분리한 후,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 50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포화 염수 1 L로 2회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1.5 kPa) 45℃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에탄올 200 mL로부터 재결정화하였다. 침전물을 소결로 상에서 여과하고, 에탄올 100 mL로 세척하고, 흡인 여과한 다음, 데시케이터에서 진공하에 (2 kPa) 건조하였다. 에틸 4-시아노-5-메틸술포닐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37 g을 융점이 110℃인 담황색 결정질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에틸 4- 시아노 -5- 메틸술파닐티오펜 -2- 카르복실레이트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43
아르곤 대기하에 디메틸포름아미드 500 mL 중 에틸 3-아미노-4-시아노-5-메틸술파닐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50 g (0.21 mol)의 용액을 60℃의 온도로 가열한 다음, 65 내지 7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디메틸포름아미드 100 mL 중 이소펜틸 니트라이트 71.1 mL (0.45 mol)의 용액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60℃의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5℃의 온도로 냉각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빙수 1 L로 처리한 다음, 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득한 침전물을 여과 제거한 다음, 연속해서 물 200 mL로 3회 및 광유 에테르 200 mL로 3회 세척하였다. 감압하에 건조한 후, 에틸 4-시아노-5-메틸술파닐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40.5 g (86%)을 융점이 100℃인 황색 결정 질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MS-CI (NH3): 245(+)=(M+NH4)(+).
에틸 3-아미노-4- 시아노 -5- 메틸술파닐티오펜 -2- 카르복실레이트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44
문헌 [Synthesis 2003, 735]에 기재된 방법을 적용하여, 2-[비스(메틸술파닐)메틸렌]말로노니트릴 89.5 g에서 출발하고 탄산칼륨을 트리에틸아민으로 교체하여, 에틸 3-아미노-4-시아노-5-메틸술파닐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조 에틸 3-아미노-4-시아노-5-메틸술파닐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120.5 g (95%)을 융점이 149℃인 분홍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2-[비스( 메틸술파닐 )메틸렌] 말로노니트릴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45
2-[비스(메틸술파닐)메틸렌]말로노니트릴을 문헌 [J. Med. Chem. 2003. 46. 1229] 또는 대안적으로 문헌 [Synth. Commun. 2003. 33. 3989]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4- 브로모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 노[ 2,3-c]피라졸 -3-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46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서 탄산칼륨 14.5 mg (105 μmol)을 메탄올 3 mL 중 tert-부틸 3-(4-브로모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0.04 g (70 μ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80℃의 온도에서 3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35℃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디클로로메탄에 녹인 다음, 메탄올 1 mL, 물 4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10 mL의 혼합물에 녹였다. 정치에 의해 상들을 분리한 후, 유기 상을 물 3 mL로 2회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35℃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디이소프로필 에테르에 녹이고, 소결로 상에서 여과하고, 흡인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0.01 kPa) 40℃ 온도의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잔사를 20 mL/min의 유속으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9/1 부피비에 이어 98/2 및 최종 97/3)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15 g의 컬럼 (0.015-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35℃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4-브로모-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18 mg을 융 점이 172℃인 담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되었다. LC-MS-DAD-ELSD: 468(-)/…=(M-H)(-)/…; 470(+)/…=(M+H)(+)/… (1 Br 존재).
tert -부틸 3-(4-브로모벤조일 아미노 )-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 [2,3-c]피라졸 -1- 카르복실레이트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47
아르곤 하에서 탄산칼륨 169 mg (1.22 mmol)에 이어 4-브로모벤조일 클로라이드 191 mg (0.87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0 mL 중 tert-부틸 3-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0.27 g (0.7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로 냉각하고, 빙수 40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연속해서 에틸 아세테이트 60 mL으로 추출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4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상들을 합하고, 포화 염수 40 mL로 2회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35℃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13 mL/min의 유속으로 연속해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9/1 부피비에 이어 98/2)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25 g의 카트리지 (0.015-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35℃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tert-부틸 3-(4-브로모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0.04 g을 융점이 192℃인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tert-부틸 3-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는 실시예 8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0: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4- 메틸피페라진 -1- 일메틸 )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48
메탄올 8 mL 중 tert-부틸 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3-[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조일아미노]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0.14 g (232 μmol)의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20분 동안 방사선 조사한 다음, 15분 동안 2회 더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35℃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15 mL에 녹이고, 연화처리하고, 소결로 상에서 여과하고,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5 mL로 2회 세척하고, 흡인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0.01 kPa) 60℃ 온도의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N-[5-(N'-메틸-N'-페 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78 mg을 융점이 246℃인 회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504(+)=(M+H)(+); 502(-)=(M-H)(-).
tert -부틸 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3-[4-(4- 메틸피페라진 -1-일메틸) 벤조일아미노 ] 티에노 [2,3-c] 피라졸 -1- 카르복실레이트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49
아르곤 하에서 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391 mg (1.55 mmol)을 피리딘 16 mL 중 tert-부틸 3-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0.30 g (0.7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294 mg (1.16 mmol)을 더 첨가하고, 5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10℃의 온도로 냉각한 다음, 물 50 mL로 처리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상들을 합하고, 물로 세척하여 pH를 중성으로 만들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3 kPa) 3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15 mL/min의 유속으로 연속해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8/2 부피비에 이 어 97/3, 이어서 96/4 및 최종 95/5)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25 g의 카트리지 (0.015-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3 kPa) 3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tert-부틸 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3-[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조일아미노]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0.14 g을 융점이 218℃인 회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tert-부틸 3-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는 실시예 8에 기재되어 있다. 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는 WO 03/066 613 A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1a 및 11b: 4-(3,5-디메틸피페라진-1-일메틸)-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 벤즈아미드 및 4-(3,5-디메틸 피페라진 -1- 일메틸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 에노[ 2,3-c]피라졸 -3-일]벤즈 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50
아르곤 하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40 mg (108 μmol)에 이어 시스-2,6-디메틸피페라진 184 mg (1.61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중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 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290 mg (0.54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얼음, 에틸 아세테이트 및 n-헵탄의 혼합물에 부었다. 혼합물을 소결로 상에서 여과하고, 흡인 여과하고, 공기 건조하였다. 수득한 고체를 메탄올 5 mL에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3회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제조용 LC/MS (조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4-(3,5-디메틸피페라진-1-일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130 mg을 융점이 192 내지 202℃인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518(+)=(M+H)(+).
동일한 방식으로 4-(3,5-디메틸피페라진-1-일메틸)-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49 mg을 융점이 212℃인 담황색 분말의 형태로 단리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51
tert -부틸 3-(4- 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 )-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 보닐) 티에노 [2,3-c] 피라졸 -1- 카르복실레이트 tert -부틸 3-(4- 클로로메틸벤조일 아미노 )-5-(N'-(4- 클로로페닐 )-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 티에노 [2,3-c] 피라졸 -1-카르복실레이트:
Figure 112007063963143-PCT00052
아르곤 하에서 탄산칼륨 276 mg (2.0 mmol)에 이어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4-(클로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의 1 M 용액 2.0 mL (2.0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5 mL 중 tert-부틸 3-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0.39 g (1.0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5℃의 온도로 냉각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빙수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상들을 합하고,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10 mL/min의 유속으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8/2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25 g의 카트리지 (0.015-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10 mL/min의 유 속으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8/2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90 g의 카트리지 (0.015-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422 mg을 오렌지색 발포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및 MS-EI-CI: 예상된 구조체의 혼합물 (약 70%; MW = 539/..) 및 예상된 디클로로 유사체 (약 30%; MW = 573/…).
Figure 112007063963143-PCT00053
tert -부틸 3-아미노-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 티에노 [2,3-c] 피라졸 -1- 카르복실레이트 tert -부틸 3-아미노-5-(N'-(4- 클로로페닐 )-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 티에노 [2,3-c] 피라졸 -1- 카르복실레이트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54
아르곤 하에서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1.19 g (9.74 mmol)에 이어 트리에틸 아민 7.4 mL (53.6 mmol)을 디클로로메탄 500 mL 중 N'-메틸-N'-페닐(3-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보히드라지드 (주) 및 tert-부틸 3-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부)의 혼합물 14 g (48.7 mmol)의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0℃의 온도로 냉각하고, 디클로로메탄 200 mL 중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8.5 g (39.0 mmol)의 용액을 1시간에 걸쳐 적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5℃의 온도로 가열하고,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순수한 디클로로메탄에 이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9/1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500 g의 컬럼 (0.020-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디클로로메탄/테트라히드로푸란 혼합물 (98/2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400 g의 카트리지 (0.020-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tert-부틸 3-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7.0 g을 베이지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예상된 구조체를 함유하는 혼합물 (추정된 순도 70%): 388(+)=(M+H)(+).
N'- 메틸 -N'-페닐(3-아미노-1H-티에노[2,3-c] 피라졸 )-5- 카르보히드라지드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55
아르곤 하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히드라진의 1 M 용액 650 mL (650 mmol)을 에탄올 900 mL 중 N'-메틸-N'-페닐(4-시아노-5-메탄술피닐티오펜)-2-카르보히드라지드 (주), N'-메틸-N'-페닐(4-시아노-5-메탄술포닐티오펜)-2-카르보히드라지드 (부), N'-(4-클로로페닐)-N'-메틸(4-시아노-5-메탄술피닐티오펜)-2-카르보히드라지드 (부) 및 N'-(4-클로로페닐)-N'-메틸(4-시아노-5-메탄술포닐티오펜)-2-카르보히드라지드 (부)의 혼합물 29.6 g (45.2 mmol)에 2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25℃의 온도로 냉각하고,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에탄올 1L에 녹이고, 12 N 염산의 용액 20 mL (240 mmol)를 25℃의 온도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7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12 N 염산 20 mL (24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고, 고체를 에탄올 200 mL로 2회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0/10 부피비)에 이어 디클로로메탄/메탄올/28% 수성 암모니아 혼합물 (77/20/3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500 g의 컬럼 (0.020-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40 ℃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 200 mL에 녹이고 재결정화하였다. 수득한 고체를 여과 제거하고, 흡인 여과하고, 데시케이터에서 진공하에 건조하였다. 모액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디클로로메탄/메탄올/28% 수성 암모니아 혼합물 (77/20/3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의 컬럼 (0.020-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에 녹이고, 연화처리한 다음, 동일한 조건하에 다시 농축 건조하였다. N'-메틸-N'-페닐(3-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보히드라지드 (주) 및 N'-(4-클로로페닐)-N'-메틸(3-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보히드라지드 (부) 총 14 g이 갈색 발포체의 형태로 수득되었고, 생성물을 하기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N'-메틸-N'-페닐(4-시아노-5-메탄술피닐 티오펜 )-2-카르보히드라지드; N'-메틸-N'- 페닐 (4- 시아노 -5- 메탄술포닐티오펜 )-2- 카르보히드라지드 ; N'-(4- 클로로페닐 )-N'- 메틸 (4- 시아노 -5- 메탄술피닐티오펜 )-2- 카르보히드라지드 ; N'-(4- 클로로페닐 )-N'- 메틸 (4- 시아노 -5- 메탄술포닐티오펜 )-2- 카르보히드라지드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56
아르곤 하에서 옥손® (칼륨 퍼옥시모노술페이트) 83.3 g (135.5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0 L 중 N'-메틸-N'-페닐(4-시아노-5-메틸술파닐티오펜)-2-카르보히드라지드 27.4 g (90.3 mmol)의 용액에 5분에 걸쳐 첨가한 다음, 물 100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황산마그네슘을 통해 여과하였다. 고체를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2회 세척하고, 여액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 500 mL에 녹이고, 정치시켜 상들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5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들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N'-메틸-N'-페닐(4-시아노-5-메탄술피닐티오펜)-2-카르보히드라지드 (주), N'-메틸-N'-페닐(4-시아노-5-메탄술포닐티오펜)-2-카르보히드라지드 (부), N'-(4-클로로페닐)-N'-메틸(4-시아노-5-메탄술피닐티오펜)-2-카르보히드라지드 (부) 및 N'-(4-클로로페닐)-N'-메틸(4-시아노-5-메탄술포닐티오펜)-2-카르보히드라지드 (부)의 혼합물 29.4 g을 갈색 발포체의 형태로 수득하였고, 생성물을 하기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57
N'- 메틸 -N'- 페닐 (4- 시아노 -5- 메틸술파닐티오펜 )-2- 카르보히드라지드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58
25℃의 온도에서 아르곤 하에서 톨루엔 600 mL으로 희석된, 톨루엔 중 트리메틸알루미늄의 2 M 용액 100.3 mL (200.6 mmol)을 톨루엔 300 mL 중 1-메틸-1-페닐히드라진 24.6 mL (200.6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고, 그 동안 온도를 25℃ 이하로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교반한 다음, 에틸 4-시아노-5-메틸술파닐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39.3 g (172.9 mmol)을 스패츌라를 이용하여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25℃의 온도로 냉각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0℃의 온도로 냉각하고, 1 N 염산 1 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10℃의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하였다. 침전물을 흡인 여과 제거하고, 환기 장치에서 2.5일 동안 건조한 다음, 데시케이터에서 진공하에 (2 kPa) 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정치시켜서 여액의 상들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50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들을 합하고, 포화 염수 5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N'-메틸-N'-페닐(4-시아노-5-메틸술파닐티오펜)-2-카르보히드라지드 29.1 g을 황토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MS-EI: 303(+)=M(+).
에틸 4-시아노-5-메틸술파닐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는 실시예 8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2a 및 12b: 4-(4- 메틸퍼히드로 -1,4- 디아제핀 -1- 일메틸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 벤즈아미드 및 4-(4-메틸퍼히드로-1,4- 디아제핀 -1- 일메틸 )-N-[5-(N'-(4- 클로로페닐 )-N'- 메틸히드라지노 카르보닐)-1H- 티에노[2,3-c]피라졸 -3-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59
아르곤 하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27 mg (74 μmol)에 이어 N-메틸-호모피페라진 138 ㎕ (1.11 mmol)를 디메틸 포름아미드 6 mL 중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200 mg (0.3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얼음으로 처리하였다.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메탄올 3 mL에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제조용 LC/MS (1회 주입: 조건 B'; 3회 주입: 조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4-(4-메틸퍼히드로-1,4-디아제핀-1-일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53 mg을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516(-)=(M-H)(-); 518(+)=(M+H)(+).
동일한 방식으로 4-(4-메틸퍼히드로-1,4-디아제핀-1-일메틸)-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20 mg을 융점이 162℃인 담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60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은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3a 및 13b: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피페라진-1- 일메틸벤즈아미드 및 N-{5-[N'-(4- 클로로페 닐)-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피페라진-1- 일메 틸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61
아르곤 하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27 mg (74 μmol)에 이어 피페라진 96 mg (1.11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중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200 mg (0.3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얼음으로 처리하였다.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메탄올 3 mL에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2회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제조용 LC/MS (조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83 mg을 융점이 176℃인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490(+)=M(+H)(+).
동일한 방식으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34 mg을 융점이 180℃인 오렌지색 분말의 형태로 단리하였다. LC-MS-DAD-ELSD: 524(+)/…=(M+H)(+)/…(1 Cl)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 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은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4a 및 14b: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3- 메틸피페라진 -1- 일메틸 ) 벤즈아미드 및 N-{5-[N'-(4-클 로로페닐 )-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3-메틸피페라진-1-일메틸)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62
아르곤 하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27 mg (74 μmol)에 이어 2-메틸피페라진 111 mg (1.11 mmol)을 디메틸 포름아미드 6 mL 중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200 mg (0.3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얼음으로 처리하였다.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메탄올 3 mL에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20 mL/min의 유속으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100/0 내지 98/2 부피비)의 구배로 먼저 용출시킨 다음, 디클로로메탄/메탄올/28% 수성 암모니아 혼합물 (12/3/0.5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12 g의 카트리지 (0.035-0.06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제조용 LC/MS (조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3-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85 mg을 융점이 176 내지 186℃인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504(+)=(M+H)(+).
동일한 방식으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3-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8 mg을 융점이 189 내지 195℃인 담황색 고체의 형태로 단리하였다. LC-MS-DAD-ELSD: 538(+)/…=(M+H)(+)/…(1 Cl)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은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5a 및 15b: 4- 디에틸아미노메틸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 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 벤즈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및 N-{5-[N'-(4-클로로페닐)-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디 에틸아미 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63
아르곤 하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14 mg (37 μmol)에 이어 디메틸포름아미드 1.5 mL 중 디에틸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61 mg (0.56 mmol) 및 탄산칼륨 77 mg (0.56 mmol)의 현탁액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5 mL 중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100 mg (0.1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80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얼음으로 처리하였다.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헵탄의 50/50 혼합물 (v/v)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메탄올 5 mL에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 를 제조용 LC/MS (조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4-디에틸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40 mg을 융점이 158 내지 170℃인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64
동일한 방식으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디에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드 14 mg을 융점이 170 내지 178℃인 담황색 고체의 형태로 단리하였다. LC-MS-DAD-ELSD: 511(+)/…=(M+H)(+)/…(1 Cl).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은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6a 및 16b: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3-(4- 메틸피페라진 -1- 일메틸 ) 벤즈아미드 및 N-[5-(N'-(4- 로로페닐)-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3-(4- 메틸피페라진 -1- 일메틸 )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65
메탄올 4 mL 중 tert-부틸 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3-[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벤조일아미노]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3-[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 벤조일아미노]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0.07 g (116 μmol)의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제조용 LC/MS (조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70 mg을 융점이 149 내지 156℃인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502(-)=(M-H)(-); 504(+)=(M+H)(+).
동일한 방식으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29 mg을 융점이 149 내지 159℃인 담황색 분말의 형태로 단리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66
tert -부틸 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3-[3-(4- 메틸피페라진 -1-일메틸) 벤조일아미노 ] 티에노 [2,3-c] 피라졸 -1- 카르복실레이트 tert -부틸 5-(N'-(4-클 로로페 닐)-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3-[3-(4- 메틸피페라진 -1- 일메틸 ) 벤조일아미노 ] 티에노 [2,3-c] 피라졸 -1- 카르복실레이트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67
아르곤 하에서 탄산칼륨 143 mg (1.03 mmol) 및 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61 mg (1.03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5 mL 중 tert-부틸 3-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0.20 g (0.5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3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61 mg (1.03 mmol)을 더 첨가하고, 환류하에 4시간 동안 계속 교반한 다음, 25℃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탄산칼륨 143 mg (1.03 mmol)을 더 첨가하고, 환류하에 4시간 동안 계속 교반한 다음, 25℃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로 냉각한 다음, 빙수에 부었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들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40 mL/min의 유속으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5/5에 이어 99/1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70 g의 카트리지 (0.015-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tert-부틸 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3-[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조일아미노]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3-[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조일아미노]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0.07 g을 백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고, 생성물을 하기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LC-MS-DAD-ELSD: 주 생성물 604(+)=(M+H)(+); 602(-)=(M-H)(-).
tert-부틸 3-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은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다. 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는 WO 03/066 613 A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7a 및 17b: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피페리딘-1- 일메틸벤즈아미드 및 N-[5-(N'-(4- 클로로페 닐)-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피페리딘-1- 일메 틸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68
아르곤 하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27 mg (74 μmol)에 이어 피페리딘 110 ㎕ (1.11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중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200 mg (0.3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얼음에 부었다.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헵탄의 50/50 혼합물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메탄올 4 mL에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제조용 LC/MS (조 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페리딘-1-일메틸벤즈아미드 75 mg을 융점이 170 내지 182℃인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487(-)=(M-H)(-); 489(+)=(M+H)(+).
동일한 방식으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페리딘-1-일메틸벤즈아미드 5 mg을 담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523(+)/….=(M+H)(+)/…(1 Cl).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은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8a 및 18b: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 피롤리딘 -1- 일메틸벤즈아미드 및 N-[5-(N'-(4- 클로로페닐 )-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 피롤리딘 -1- 일메 틸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69
아르곤 하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27 mg (74 μmol)에 이어 피롤 리딘 93 ㎕ (1.11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중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200 mg (0.3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얼음에 부었다.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헵탄의 50/50 혼합물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메탄올 4 mL에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제조용 LC/MS (조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롤리딘-1-일메틸벤즈아미드 25 mg을 융점이 172 내지 178℃인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475(+)=(M+H)(+).
동일한 방식으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롤리딘-1-일메틸벤즈아미드 18 mg을 융점이 170 내지 179℃인 담황색 분말의 형태로 단리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70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은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9: 4- 아제티딘 -1- 일메틸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71
아르곤 하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27 mg (74 μmol)에 이어 아제티딘 75 ㎕ (1.11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중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200 mg (0.3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얼음에 부었다.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헵탄의 50/50 혼합물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메탄올 4 mL에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제조용 LC/MS (조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4-아제티딘-1-일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3 mg을 융점이 155 내지 160℃인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461(+)=(M+H)(+).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은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20a 및 20b: 4-{[(2- 디메틸아미노에틸 ) 메틸아미노 ] 메틸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 벤즈아미드 및 N-{5-[N'-(4-클로로페닐)-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2-디 메틸아미노 에틸) 메틸아미노 ] 메틸 }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72
아르곤 하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27 mg (74 μmol)에 이어 N,N,N'-트리메틸에틸렌디아민 144 ㎕ (1.11 mmol)을 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중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200 mg (0.3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얼음에 부었다.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헵탄의 50/50 혼합물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메탄올 4 mL에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제조용 LC/MS (조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40 mg을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506(+)=(M+H)(+).
동일한 방식으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드 26 mg을 무색 수지의 형태로 단리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73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은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21a 및 21b: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 퍼히드로 -1,4- 옥사제핀 -4- 일메틸벤즈아미드 및 N-{5-[N'-(4-클 로로페 닐)-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 퍼히 드로-1,4- 옥사제핀 -4-일메틸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74
아르곤 하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27 mg (74 μmol), 호모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153 mg (1.11 mmol) 및 탄산칼륨 153 mg (1.11 mmol)을 연속해서 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중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200 mg (0.3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얼음에 부었다.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헵탄의 50/50 혼합물로 2회 추 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메탄올 4 mL에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제조용 LC/MS (조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퍼히드로-1,4-옥사제핀-4-일메틸벤즈아미드 34 mg을 융점이 174 내지 179℃인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505(+)=(M+H)(+).
동일한 방식으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퍼히드로-1,4-옥사제핀-4-일메틸벤즈아미드 38 mg을 황색 분말의 형태로 단리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75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은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22a 및 22b: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 노[2,3-c]피라졸 -3-일]-3-모르폴린-4- 일메틸벤즈아미드 및 N-{5-[N'-(4- 클로로페 닐)-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3-모르폴린-4- 일메 틸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76
메탄올 4 mL 중 tert-부틸 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3-(3-모르폴린-4-일메틸벤조일아미노)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3-(3-모르폴린-4-일메틸벤조일아미노)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257 mg (0.44 mmol)의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제조용 LC/MS (조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3-모르폴린-4-일메틸벤즈아미드 105 mg을 융점이 168 내지 178℃인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77
동일한 방식으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3-모르폴린-4-일메틸벤즈아미드 34 mg을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78
tert -부틸 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3-[3-(4- 메틸피페라진 -1-일메틸) 벤조일아미노 ] 티에노 [2,3-c] 피라졸 -1- 카르복실레이트 tert -부틸 5-(N'-(4-클 로로페 닐)-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3-[3-(4- 메틸피페라진 -1- 일메틸 ) 벤조일아미노 ] 티에노 [2,3-c] 피라졸 -1- 카르복실레이트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79
아르곤 하에서 탄산칼륨 214 mg (1.55 mmol) 및 3-(모르폴린-1-일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 285 mg (1.03 mmol)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5 mL 중 tert-부틸 3-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0.20 g (0.5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빙수에 부었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들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순수한 디클로로메탄에 이어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0/10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30 g의 카트리지 (0.015-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tert-부틸 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3-(3-모르폴린-4-일메틸벤조일아미노)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3-(3-모르폴린-4-일메틸벤조일아미노)티에노[2,3-c]피라졸-1-카 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257 mg을 황색 발포체의 형태로 수득하였고, 생성물을 하기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tert-부틸 3-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은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다. 3-(모르폴린-1-일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 히드로클로라이드는 WO 90/08128 A1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23a 및 23b: 4-[(2- 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 ) 메틸 ]-N-[5-(N'- 메틸 -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 티에노[2,3-c]피라졸 -3-일] 벤즈아미드 및 N-{5-[N'-(4-클 로로페 닐)-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 메틸]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80
아르곤 하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27 mg (74 μmol), N,N-디에틸에틸렌디아민 156 ㎕ (1.11 mmol) 및 탄산칼륨 153 mg (1.11 mmol)을 연속해서 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중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 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200 mg (0.3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얼음에 부었다.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헵탄의 50/50 혼합물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메탄올 4 mL에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제조용 LC/MS (조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에 이어 디클로로메탄 및 메탄올의 혼합물/28% 수성 암모니아 (85/15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4 g의 카트리지 (0.035-0.06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4-[(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8 mg을 융점이 143 내지 150℃인 담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520(+)/…=(M+H)(+)/…(1 Cl).
동일한 방식으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드 10 mg을 황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81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은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24: 4-[( 메틸페닐아미노 ) 메틸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82
아르곤 하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27 mg (74 μmol) 및 N-메틸아닐린 121 ㎕ (1.11 mmol)을 연속해서 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중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200 mg (0.3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 도에서 15일 동안 교반한 다음, 얼음에 부었다. 그 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헵탄의 50/50 혼합물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메탄올 4 mL에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10 mL/min의 유속으로 순수한 디클로로메탄에 이어 디클로로메탄/메탄올/28% 수성 암모니아 혼합물 (12/3/0.5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15 g의 카트리지 (0.015-0.040 mm)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예상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들을 합한 다음, 감압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제조용 LC/MS (조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4-[(메틸페닐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11 mg을 융점이 242℃인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LC-MS-DAD-ELSD: 511(+)=(M+H)(+).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은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25: 4-[( 디이소프로필아미노 ) 메틸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 벤즈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의 제 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83
아르곤 하에서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27 mg (74 μmol) 및 디이소프로필아민 156 ㎕ (1.11 mmol)을 연속해서 디메틸포름아미드 6 mL 중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 200 mg (0.3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9일 동안 교반한 다음, 디이소프로필아민 220 ㎕ (1.56 mmol)을 더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5℃의 온도에서 6일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얼음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헵탄의 50/50 혼합물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메탄올 4 mL에 용해하고, 상기 용액을 마이크로파 오븐 관에 넣었다. 상기 관의 마개를 닫고, 반응 혼합물을 1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방사선 조사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제조용 LC/MS (조건 B)에 의해 정제하였다. 4-[(디이소프로필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0 mg을 융점이 170 내지 182℃인 베이지색 분말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84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 및 tert-부틸 3-(4-클로로메틸벤조일아미노)-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1-카르복실레이트의 대략 70:30 혼합물은 실시예 11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26: N-[5-(N'- 벤질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 메톡시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85
N-[5-(N'-벤질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 벤즈아미드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86
실시예 27: 4- 메톡시 -N-[5-(N'- 피리드 -2- 일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 노[2,3-c]피라졸 -3-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87
4-메톡시-N-[5-(N'-피리드-2-일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88
실시예 28: N-{5-[N'-(4- 클로로페닐 )-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89
아르곤 하에서 에틸 1-(1-에톡시에틸)-3-[4-(4-메틸피페라진-1-일)벤조일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0.5 g, 1.03 mmol, 1 eq.) 및 톨루엔 (5 mL)을 건조 2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현탁액을 0℃의 온도에서 교반한 다음, 트리메틸알루미늄 (1.54 mL, 3 eq.)의 용액을 온도가 상승되지 않도록 적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혼합물을 30분 동안 25℃의 온도에서 교반한 후, 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진 (0.480 g, 3.09 mmol, 3 eq.)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50℃의 온도로 출발 물질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 가열하였다. 2시간 30분 후, 혼합물을 25℃의 온도로 되돌리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가스 방출이 멈출때까지 모노칼륨 포스페이트 수 액적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용매를 증발 제거한 다음, 잔사를 디클로로메탄 및 메탄올의 혼합물에 용해하였다. 상기 용액을 처음에 메탄올/디클로로메탄 혼합물 (10/90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를 위해 실리카 겔 상에 직접 넣었다. 에톡시에틸 중간체: LC/MS RT = 3.41 min.; M+H+ 596.1. M-H- 594.2. 증발 후, 수득한 고체를 50℃의 온도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5 mL 및 5 N 염산 2 mL에 직접 넣었다.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가 수득되었다 (119 mg, 두 단계에 대해 22%).
Figure 112007063963143-PCT00090
에틸 1-(1- 에톡시에틸 )-3-[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조일아미노 ]-1H- 티에노[2,3-c]피라졸 -5- 카르복실레이트 :
Figure 112007063963143-PCT00091
에틸 3-브로모-1-(1-에톡시에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10.9 g, 31 mmol), 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9 g, 41 mmol, 1.3 eq.), 요오드화구리(I) (0.601 g, 3.1 mmol, 0.1 eq.), 예비 분쇄한 인산삼칼륨 (20.1 g, 94 mmol, 3 eq.) 및 아르곤으로 사전에 탈기된 무수 디옥산 70 mL를 아르곤 하에서 5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N,N'-디메틸에틸렌디아민 (0.336 mL, 3.16 mmol, 0.1 eq.)을 시린지에 의해 상기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11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후, 디옥산을 진공하에 증발 제거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 (300 mL) 및 물 15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물 100 mL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감압하에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처음에 디클로로메탄/메탄올 혼합물 (90/10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에틸 1-(1-에톡시에틸)-3-[4-(4-메틸피페라진-1-일)벤조일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4.05 g, 27 %)를 담황색 오일의 형태로 수득하였고, 생성물을 하기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에틸 3-브로모-1-(1-에톡시에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는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다.
N-(4- 클로로페닐 )-N- 메틸히드라진 :
N'-벤즈히드릴리덴-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진 (1.5 g, 4.68 mmol)을 교반하면서 테트라히드로푸란 20 mL에 첨가하였다. 5 N 염산 5 mL을 첨가한 다음, 용액을 50℃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수성 상을 5 N 수산화나트륨으로 중화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 후 수득한 오일을 처음에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혼합물 (10/90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진을 담황색 오일의 형태로 0.53 g (72%) 수득하였다. (Rf = 0.48. 20/80 EtOAc/헵탄 (v/v)).
N'- 벤즈히드릴리덴 -N-(4- 클로로페닐 )-N- 메틸히드라진 :
N-벤즈히드릴리덴-N'-(4-클로로페닐)히드라진 (0.2 g, 0.65 mmol, 1 eq.)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3.2 mL을 아르곤 하에서 미리 건조된 2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용액을 -10℃의 온도로 냉각한 다음, 0.5 M 칼륨 헥사메틸비스-실릴아미드 용액 (1.43 mL, 1.1 eq.)을 첨가하였다. 용액이 어두워졌고, 이 온도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메틸 tert-부틸 에테르 중 메틸 요오다이드 (0.49 mL, 1.5 eq.)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그 후, 혼합물을 25℃의 온도로 되돌리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처리한 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 건조하였다. 잔류 오일을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혼합물 (10/90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N'-벤즈히드릴리덴-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진을 96%의 수율로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고, 생 성물을 하기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N- 벤즈히드릴리덴 -N'-(4- 클로로페닐 )히드라진:
2-메틸-2-부탄올 260 mL을 5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아르곤으로 30분 동안 탈기하였다. 완전히 탈기된 후, 2-메틸-2-부탄올 60 mL, 팔라듐(II) 디아세테이트 (0.857 g, 1.27 mmol, 0.025 eq.) 및 리간드 MePHOS (0.928 g, 2.55 mmol, 0.05 eq.)를 아르곤 하에서 제2 건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25℃의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또한, 1,4-디클로로벤젠 (7.49 g, 1 eq.) 및 수산화나트륨 분말 (2.85 g, 1.4 eq.)을 5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그 후, 촉매를 5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옮기고, 100℃의 온도에서 가열하였다. 최종적으로, 벤즈히드릴리덴히드라진 (10 g, 50.9 mmol, 1 eq.)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교반하였고, 모든 할로겐화물이 사라질 때까지 색이 신속히 (짙은 적색으로) 변하였다. 그 후, 용매를 증발 건조하고, 잔사를 디클로로메탄에 녹였다. 고체를 셀라이트(Celite®)를 통해 여과 제거한 다음, 디클로로메탄으로 철처히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포화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세척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 건조하였다. 잔사를 처음에 에틸 아세테이트/헵탄 혼합물 (10/90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컬럼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N-벤즈히드릴리덴-N'-(4-클로로페닐)히드라진 (85%)을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Rf = 0.35. EtOAc/헵탄 25/75 (v/v)).
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 :
4-플루오로벤조니트릴 (12 g, 99 mmol, 1 eq.) 및 DMF 100 mL을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N-메틸피페라진 (16 mL, 1.6 eq., 123 mmol)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오렌지색 용액을 90℃의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그 후, 용매를 증발 건조하고, 잔사를 디에틸 에테르 500 mL로 희석하였다. 용액을 탄산수소나트륨 용액 (2 x 100 mL)에 이어 포화 염화나트륨 용액 (100 mL)으로 세척하였다. 증발 후, 4-(4-메틸피페라진-1-일)벤조니트릴 (오렌지색 고체, 10 g, 77%)을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하기 가수분해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0℃의 온도에서 98% 황산 (25 mL) 및 물 5 m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그 후, 보라색 용액을 10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액을 냉각한 다음, 얼음에 부어 가수분해시켰다. 수산화나트륨 펠렛을 이용하여 pH를 9-10으로 조정하였다. 수득한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고, 물에 이어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철저히 세척하고, 생성물을 부분적으로 용해시켰다. 정치시켜서 물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증발 건조한 후, 고체가 수득되었고, 이를 메탄올/디클로로메탄 혼합물 (15/85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8.7 g, 80%)를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9: N-(2- 메톡시메틸피롤리딘 -1-일)-3-[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조일아미노 ]-1H- 티에노[2,3-c]피라졸 -5- 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92
N-(2-메톡시메틸피롤리딘-1-일)-3-[4-(4-메틸피페라진-1-일)벤조일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사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93
실시예 30: N-[5-(N'-벤질-N'- 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94
N-[5-(N'-벤질-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95
실시예 31: N-(피페리딘-1-일)-3-[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조일아미노 ]-1H-티 에노[2,3-c]피라 졸-5- 카르복사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96
N-(피페리딘-1-일)-3-[4-(4-메틸피페라진-1-일)벤조일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사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97
실시예 32: N-[5-(N'- 벤질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098
N-[5-(N'-벤질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099
실시예 33: N-[5-(N'-에틸-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00
N-[5-(N'-에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01
실시예 34: N-[5-(N'-벤질-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 라졸-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02
N-[5-(N'-벤질-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03
실시예 35: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04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05
실시예 36: N-{5-[N'-(4- 클로로페닐 )-N'- 시클로부틸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06
N-{5-[N'-(4-클로로페닐)-N'-시클로부틸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 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07
N-(4- 클로로페닐 )-N- 시클로부틸메틸히드라진 :
N-(4-클로로페닐)-N-시클로부틸메틸히드라진을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수율. (2 단계), 0.65 g (63%). Rf = 0.43. (30/70 EtOAc/헵탄 (v/v)).
N'- 벤즈히드릴리덴 -N-(4- 클로로페닐 )-N- 시클로부틸메틸히드라진 :
Rf = 0.77. (30/70 EtOAc/헵탄 (v/v)) (즉시 탈보호). N-벤즈히드릴리덴-N'-(4-클로로페닐)히드라진은 실시예 28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37: N-{5-[N'-에틸-N'-(4- 플루오로페닐 ) 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08
N-{5-[N'-에틸-N'-(4-플루오로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09
N-에틸-N-(4- 플루오로페닐 )히드라진:
N-에틸-N-(4-플루오로페닐)히드라진을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담황색 오일, 0.32 g (30%).
N'- 벤즈히드릴리덴 -N-에틸-N-(4- 플루오로페닐 )히드라진:
N'-벤즈히드릴리덴-N-에틸-N-(4-플루오로페닐)히드라진을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오렌지색 고체, 1.9 g (86%), Rf = 0.64 (20/80 EtOAc/헵탄 (v/v)).
N- 벤즈히드릴리덴 -N'-(4- 플루오로페닐 )히드라진:
N-벤즈히드릴리덴-N'-(4-플루오로페닐)히드라진을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황색 고체, 수율 54% (Rf = 0.33. 10/90 EtOAc/헵탄 (v/v)), LC/MS MH+ 291.1. MH- 289.2.
실시예 38: N-{5-[N'-(4- 플루오로페닐 )-N'-(2- 메톡시에틸 ) 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10
N-{5-[N'-(4-플루오로페닐)-N'-(2-메톡시에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11
N-(4- 플루오로페닐 )-N-(2- 메톡시에틸 )히드라진:
N-(4-플루오로페닐)-N-(2-메톡시에틸)히드라진을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0.57 g (60%). Rf = 0.10 (20/80 EtOAc/헵탄 (v/v)), LC/MS RT = 4.18. MH 183.3.
N'-벤즈히드릴리덴-N-(4-플루오로 페닐 )-N-(2-메톡시 에틸 )히드라진:
N'-벤즈히드릴리덴-N-(4-플루오로페닐)-N-(2-메톡시에틸)히드라진을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1.2 g (66%). Rf = 0.26 (EtOAc/헵탄 10/90 (v/v)). N-벤즈히드릴리덴-N'-(4-플루오로페닐)히드라진은 실시예 37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39: N-[5-(N'-에틸-N'-o- 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 피라졸-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12
N-[5-(N'-에틸-N'-o-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13
실시예 40: N-[5-(N'-에틸-N'-m- 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14
N-[5-(N'-에틸-N'-m-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15
실시예 41: N-[5-(N'-에틸-N'-m- 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16
N-[5-(N'-에틸-N'-m-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17
실시예 42: N-{5-[N'-(4- 플루오로페닐 )-N'- 이소부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티에노[ 2,3-c]피라졸 -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18
N-{5-[N'-(4-플루오로페닐)-N'-이소부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19
N-(4- 플루오로페닐 )-N- 이소부틸히드라진 :
N-(4-플루오로페닐)-N-이소부틸히드라진을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무색 오일, 0.62 g (82%). Rf = 0.34 (20/80 EtOAc/헵탄 (v/v)), LC/MS RT = 2.48 min.
N'- 벤즈히드릴리덴 -N-(4- 플루오로페닐 )-N- 이소부틸히드라진 :
N'-벤즈히드릴리덴-N-(4-플루오로페닐)-N-이소부틸히드라진을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황색 고체, 1.51 g (44%). Rf = 0.52 (3/97 아세톤/헵탄 (v/v)), LC/MS RT = 6.03 min., 이온화되지 않음. N-벤즈히드릴리덴-N'-(4-플루오로페닐)히드라진은 실시예 37에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43: N-{5-[N'-(3- 브로모페닐 )-N'- 에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 노[ 2,3-c]피라졸 -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20
N-{5-[N'-(3-브로모페닐)-N'-에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21
N-(3- 브로모페닐 )-N- 에틸히드라진 :
N-(3-브로모페닐)-N-에틸히드라진을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무색 오일, 2.80 g, 정량적. LC/MS RT = 2.70.
N'-벤즈히드릴리덴-N-(3-브로모 페닐 )-N-에틸히드라진:
N'-벤즈히드릴리덴-N-(3-브로모페닐)-N-에틸히드라진을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오렌지색 고체, 13.5 g (80%). Rf = 0.46 (3/97 Et2O/헵탄 (v/v)).
N-벤즈히드릴리덴-N'-(3-브로모 페닐 )히드라진:
(3-브로모페닐)히드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10 g, 44 mmol, 1 eq.), 벤조페 논 (8.14 g, 44 mmol, 1 eq.) 및 에탄올 (100 mL)을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그 후, 진한 황산 2 m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80℃의 온도에서 가열하였다. 이 온도에서 30분 후, 현탁액이 용액으로 되었다. 용액을 이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95%로 농축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후, 용액을 농축하고, 잔사를 에테르/헵탄 혼합물 (3/97 부피비)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컬럼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N-벤즈히드릴리덴-N'-(3-브로모페닐)히드라진 15 g (95%)이 수득되었다.
실시예 44: 6-(4- 메틸[1,4]디아제판 -1-일)-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 카르보닐)-1H- 티에노[2,3-c]피라졸 -3-일] 니코틴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22
6-(4-메틸[1,4]디아제판-1-일)-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니코틴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23
4-(4-메틸[1,4]디아제판-1- )벤즈아미드:
4-플루오로벤조니트릴 (5 g, 41 mmol, 1 eq.)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35 mL를 1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N-메틸호모피페라진 (5.18 g, 45 mmol, 1.1 eq.)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였다. 용액을 90℃의 온도에서 36시간 동안 가열하고, 용매를 증발 건조하였다.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 150 mL 및 물 30 mL로 희석하였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하였다. 증발 후, 잔류 오일을 0 - 10% 메탄올/디클로로메탄 구배 (Rf = 0.2, 10/90 메탄올/디클로로메탄 (v/v))로 용출시키는 실리카 겔 컬럼 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4-(4-메틸[1,4]디아제판-1-일)벤조니트릴 (황색 고체)을 98% 황산 20 mL 및 물 2 mL의 혼합물에 바로 넣었다. 이 오렌지색 용액을 100℃의 온도에서 18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냉각하고, 얼음에 부어 가수분해하였다. 수산화나트륨 펠렛을 이용하여 pH를 9 내지 10으로 조정하였다. 수득한 황색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고, 물로 철저히 세척한 다음, 진공하에 건조하였다. 4-(4-메틸[1,4]디아제판-1-일)벤즈아미드 (3.7g, 38%)를 황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5: N-[5-( 벤질리덴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4- 메틸피페라진 -1-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24
아르곤 하에서 N-(5-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0.150 g, 0.318 mmol, 1 eq.), 에탄올 (1 mL) 및 벤즈알데히드 (0.048 mL, 0.47 mmol, 1.3 eq.)를 시린지에 의해 건조 5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5 N 염산 2 액적을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용매를 증발 제거하고, 잔사를 중화된 실리카 겔 컬럼에 바로 넣었다. 메탄올/디클로로메탄 혼합물 (10/90 부피비)로 용출시켰다. 수득한 생성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 1 mL 및 0.5 N 염산 5 m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수득된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였다. N-[5-(벤질리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를 백색 고체 (0.029 g, 16 %)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25
N-(5-히드라지노카르보닐-1H- 티에노 [2,3-c]피라졸-3- )-4-(4-메틸피페라진-1- )벤즈아미드:
에틸 3-[4-(4-메틸피페라진-1-일)벤조일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 (0.5 g, 1.03 mmol, 1 eq.) 및 에탄올 (2 mL)을 15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1 M 히드라진 용액 (3.09 mL, 3.09 mmol) 및 히드라진 일수화물 2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하에 5시간 동안 교반하고, 용매를 증발 제거하고, 잔사를 물에 녹였다. 백색 침전물을 여과 제거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80℃의 온도에서 진공하에 건조하였다. N-(5-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0.15 g, 49%, Rf = 0.32 (메탄올/디클로로메탄 10/90 (v/v))를 수득하였고, 생성물을 하기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에틸 3-[4-(4-메틸피페라진-1-일)벤조일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는 실시예 18에 따라 에틸 1-(1-에톡시에틸)-3-[4-(4-메틸피페라진-1-일)벤조일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실레이트를 탈보호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46: 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4-(2-모르폴린-4- 일에톡시 )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26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2-모르폴린-4-일에톡시)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에톡시에틸 중간체: LC/MS RT = 3.10 min., MH+ 593.5). 중간체를 실리카 겔 상에서 메탄올/디클로로메탄 혼합물 (10/90 부피비)로 용출하여 정제하였다. 탈보호 단계의 처리는 하기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처리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5 mL로 추출하였다. 수성 상을 5 N 수산화나트륨으로 염기성화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 (2 x 5 mL)로 다시 추출하였다. 이 유기 상을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농축 건조하였다. 수득한 황색 고체를 헵탄으로 연화처리하였다. 고 체를 여과 제거한 후, 진공하에 건조하여,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2-모르폴린-4-일 에톡시)벤즈아미드 0.192 g (두 단계에 대해 4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27
4-(2-모르폴린-4- 일에톡시 ) 벤즈아미드 :
탄산칼륨 (15.1 g, 109 mmol, 3 eq.), 아세토니트릴 (73 mL)에 이어 4-히드록시벤즈아미드 (5 g, 36.5 mmol, 1 eq.)를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었다. 현탁액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 4-(2-클로로에틸)모르폴린 히드로클로라이드 (8.82 g, 47 mmol, 1.3 eq.)를 첨가하였다. 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을 상기 현탁액에 첨가한 후, 혼합물을 40℃의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 제거하고, 잔사를 물로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수성 상을 5 N 염산으로 산성화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다시 추출하였다. 유기 상들을 합하고,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 건조하였다. 4-(2-모르폴린-4-일에톡시)벤즈아미드 2.17 g (23%)을 백색 고체의 형태로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47: 4-(4- 메틸[1,4]디아제판 -1-일)-N-[5-(N'- 메틸 -N'- 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 )-1H- 티에노[2,3-c]피라졸 -3-일] 벤즈아미드의 제조.
Figure 112007063963143-PCT00128
4-(4-메틸[1,4]디아제판-1-일)-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를 실시예 28에 따라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63963143-PCT00129
4-(4-메틸[1,4]디아제판-1-일)벤즈아미드는 실시예 44에 기재되어 있다.
LC/MS 분석:
LC/MS 분석법은 HP 1100 장치에 연결된 LCT 마이크로매스(Micromass) 장치 상에서 수행하였다. 화합물의 풍부함은 200 내지 600 nm의 파장 범위의 HP G1315A 다이오드 어레이(diode array) 검출기 및 세덱스(Sedex) 65 광-산란 검출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질량 스펙트럼은 180 내지 800 원자량 단위에서 수득하였다. 데이타는 마이크로매스 매스린크스(Micromass MassLynx)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리는 0.1%(v/v) 포름산을 함유하는 물 중의 0.1%(v/v) 포름산을 함유하는 5% 내지 90% 아세토니트릴의 선형 구배를 사용하여 0.8 ml/분의 유속에서 5분에 걸쳐 용출시키면서, 써모하이퍼실 골드(Thermo Hypersil Gold) C18 3 μm 컬 럼 (50 x 3 mm) 상에서 수행하였다. 컬럼의 재평형 기간을 포함하는 총 분석 시간은 7분이다. MS 스펙트럼은 플랫폼(Platform) II 장치(마이크로매스) 상에서 전기분무 (ES+)로 획득하였다.
LC/MS에 의한 정제:
화합물은 워터스(Waters) 600 구배 펌프, 워터스 515 재생 펌프, 워터스 리전트 매니저(Reagent Manager) 희석 펌프, 워터스 2700 자가주입기, 2개의 레오다인 랩프로(Rheodyne LabPro) 밸브, 워터스 996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 워터스 ZMD 질량 분광기 및 길슨(Gilson) 204 분획 수집기로 이루어진 워터스 프랙션스린크스(FractionsLynx) 시스템을 사용하여 LC/MS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시스템은 워터스 프랙션린크스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하였다. 정제하기 전에, 샘플을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각각의 샘플을 디메틸 술폭시드에 용해시켜 60 mg/mL의 농도로 만들고, 1 mL/주입의 속도로 주입하였다.
방법 A: 분리는 2개의 워터스 시메트리(Symmetry) 컬럼(C18, 5 μm, 19 x 5 mm) 상에서 교대로 수행하였는데, 한 컬럼은 0.07%(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물/아세토니트릴 95/5(v/v) 혼합물을 사용하는 재생 공정을 수행하고, 다른 한 컬럼은 분리 공정을 수행하였다. 컬럼의 용출은 0.07%(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물 중의 0.07%(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함유하는 5 내지 95% 아세토니트릴의 선형 구배를 사용하여 10 ml/분의 유속으로 11분에 걸쳐 수행하였다. 분리 컬럼으로부터 배출될 때, 용매의 흐름을 LC 패킹 어큐레이 트(Packing Accurate)에 의해 분리하고, 0.5 ml/분의 유속으로 메탄올로 희석된 용출액의 1/1000을 검출기로 전달하고, 75%의 비율은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로 보내고 나머지 25%는 질량 분광기로 보냈다. 나머지 용출액(999/1000)은 분획 수집기로 보내고, 예상된 화합물 질량이 프랙션린크스 소프트웨어에서 검출되지 않으면, 그 흐름을 폐기하였다. 예상된 화합물의 분자식은 검출되는 질량 신호가 [M+H]+ 및/또는 [M+Na]+ 이온에 상응할 때 화합물의 수집을 촉발시키는 프렉션린크스 소프트웨어에 공급하였다. 일부 경우에, 분석적 LC/MS 결과에 따라 [M+2H]++에 상응하는 집중된 이온이 검출될 때, 계산된 분자량의 절반(MW/2)에 상응하는 값이 또한 프렉션린크스 소프트웨어에 공급하였다. 이러한 조건하에서는, [M+2H]++ 및/또는 [M+Na+H]++ 이온의 질량 신호가 검출될 때 수집이 시작되었다. 화합물은 타르첨가된 유리관에서 수집하였다. 수집 후, 용매를 사반트(Savant) AES 2000 또는 제네박(Genevac) HT8 원심분리 증발기에서 증발시키고, 화합물 질량을 용매를 증발시킨 후에 시험관을 칭량하여 측정하였다. 대안적으로, 용매를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회전식 증발기에서 증발 건조하였다. 수득한 각각의 생성물을 LC/MS에 의해 분석하였다.
방법 A': 분리는 방법 A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였고, 컬럼의 용출은 0.07%(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물 중의 0.07%(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함유하는 5 내지 95% 아세토니트릴의 선형 구배를 사용하여 10 ml/분의 유 속으로 11분에 걸쳐 수행하였다.
방법 B: 분리는 워터스 선파이어(Waters SunFire) 컬럼 (C18, 5 μM, 30×100 mm)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용출은 0.07%(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물 중의 0.07%(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함유하는 5 내지 95% 아세토니트릴의 선형 구배를 사용하여 30 ml/분의 유속으로 11분에 걸쳐 수행하였다. 분리 컬럼으로부터 배출될 때, 용매의 흐름을 LC 패킹 어큐레이트에 의해 분리하고, 1 ml/분의 유속으로 메탄올로 희석된 용출액의 1/10000을 검출기로 전달하고, 75%의 비율은 다이오드 어레이 검출기로 보내고 나머지 25%는 질량 분광기로 보냈다. 나머지 용출액(9999/10000)은 분획 수집기로 보내고, 예상된 화합물 질량이 프랙션린크스 소프트웨어에서 검출되지 않으면, 그 흐름을 폐기하였다. 예상된 화합물의 분자식은 검출되는 질량 신호가 [M+H]+ 및/또는 [M+Na]+ 이온에 상응할 때 화합물의 수집을 촉발시키는 프렉션린크스 소프트웨어에 공급하였다. 일부 경우에, 분석적 LC/MS 결과에 따라 [M+2H]++에 상응하는 집중된 이온이 검출될 때, 계산된 분자량의 절반(MW/2)에 상응하는 값이 또한 프렉션린크스 소프트웨어에 공급하였다. 이러한 조건하에서는, [M+2H]++ 및/또는 [M+Na+H]++ 이온의 질량 신호가 검출될 때 수집이 시작되었다. 화합물은 타르첨가된 유리관에서 수집하였다. 수집 후, 용매를 조우안(Jouan) RC1010 원심분리 증발기에서 증발시켰다. 대안적으로, 용매를 진공하에 (2 kPa) 40℃의 온도에서 회전식 증발기에서 증발 건조하였다. 수득한 각각의 생 성물을 LC/MS에 의해 분석하였다.
건조 잔사를 메탄올에 녹이고, 다시 증발하여, 분말 형태로 건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방법 B': 분리는 방법 B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였고, 컬럼의 용출은 0.07%(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함유하는 물 중의 0.07%(v/v)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함유하는 5 내지 95% 아세토니트릴의 선형 구배를 사용하여 30 ml/분의 유속으로 11분에 걸쳐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비-키랄 형태, 라세미 형태, 한 입체 이성질체가 풍부한 형태, 또는 한 거울상 이성질체가 풍부한 형태일 수 있으며, 임의로 염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병리학적 증상, 특히 암의 치료에 유용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을 선택된 투여 방식에 따른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약 조성물은 고체 또는 액체 형태, 또는 리포좀 형태일 수 있다.
고체 조성물로는 분말, 겔, 캡슐 및 정제가 있다. 경구 형태로는 위의 산성 매질에 대해 보호되는 고체 형태가 있다. 고체 형태를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는 특히 광물 첨가제, 예를 들어 포스페이트 또는 카르보네이트, 또는 유기 첨가제, 예를 들어 락토스, 셀룰로스, 전분 또는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액체 형태는 용액, 현탁액 또는 분산액으로 이루어진다. 이들은 분산성 첨가제로서 물 또는 유기 용 매 (에탄올, NMP 등), 또는 계면활성제 및 용매의 혼합물, 또는 착화제 및 용매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액체 형태는 바람직하게는 주사가능하고, 그 결과 그러한 용도에 허용되는 제형을 가질 것이다.
주입에 허용되는 투여 경로로는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및 피하 경로가 있고, 정맥내 경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량은 환자에 대한 투여 경로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의사가 적용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항암제와의 혼합물로서 투여될 수 있다. 가능한 조합은 다음과 같다:
- 알킬화제 및 특히 시클로포스파미드, 멜팔란, 이포스파미드, 클로람부실, 부술판, 티오테파, 프레드니무스틴, 카르무스틴, 로무스틴, 세무스틴, 스트렙토조토신, 데카르바진, 테모졸로미드, 프로카르바진 및 헥사메틸멜라민,
- 백금 유도체, 예컨대, 특히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또는 옥살리플라틴,
- 항생제, 예컨대, 특히 블레오마이신, 미토마이신 또는 닥티노마이신,
- 항미소관제, 예컨대, 특히 빈블라스틴, 빈크리스틴, 빈데신, 비노렐빈 및 탁소이드 (파클리탁셀 및 도세탁셀),
- 안트라시클린, 예컨대, 특히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이다루비신, 에피루비신, 미톡산트론 및 로속산트론,
- 제I형 및 제II형 토포아이소머라제 억제제, 예컨대 에토포시드, 테니포시 드, 암사크린, 이리노테칸, 토포테칸 및 토무덱스,
- 플루오로피리미딘, 예컨대 5-플루오로우라실, UFT 및 플록수리딘,
- 시티딘 유사체, 예컨대 5-아자시티딘, 시타라빈, 겜시타빈, 6-머캅토무린 및 6-티오구아닌,
- 아데노신 유사체, 예컨대 펜토스타틴, 시타라빈 또는 플루다라빈 포스페이트,
- 메토트렉세에트 및 폴린산,
- 다양한 효소 및 화합물, 예컨대 L-아스파라기나제, 히드록시우레아, 트랜스-레티노산, 수라민, 덱스라족산, 아미포스틴 및 헤르셉틴, 및 에스트로겐-기재 및 안드로겐성 호르몬,
- 항혈관제, 예컨대 콤브레타스타틴 유도체 또는 콜히친 유도체, 및 이들의 전구약물.
본 발명의 화합물을 방사선 처리와 조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들 처리는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처리는 치료할 환자에 따라 의사가 적용할 것이다.
세포 주기의 진행은 대개 시클린-의존성 키나제 (CDK)에 의해 지배되며, CDK는 시클린 족에 속하는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활성화되고, 상기 활성화에 의해 기질의 포스포릴화가 일어나고, 최종적으로 세포 분열이 일어난다. 또한, 활성화된 CDK의 내인성 억제제 (INK4 족 및 KIP/CIP 족)는 CDK의 활성화를 부정적으로 조절한다. 정상 세포의 성장은 CDK 활성화제 (시클린)와 CDK의 내인성 억제제 사 이의 균형에서 기인한다. 여러 유형의 암에서, 이들 세포 주기 조절인자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발현되거나 활성화되는 것이 기재되었다.
시클린 E는 키나제 Cdk2를 활성화시키고, 이의 작용에 의해 단백질 pRb (망막아세포종 단백질)가 포스포릴화되어, 세포 분열 및 S 상으로의 전이와 비가역적으로 관련된다 (문헌 [PL Toogood, Medicinal Research Reviews (2001), 21(6); 487-498]). 키나제 CDK2 및 가능하게는 CDK3은 G1 상으로의 진행 및 S 상으로의 진입에 필요하다. 시클린 E와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동안, 이들은 pRb의 과포스포릴화를 유지하여 G1 상에서 S 상으로의 진행을 보조한다. 시클린 A와의 복합체에서, CDK2는 E2F를 불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S 상의 달성에 필요하다 (문헌 [TD. Davies et al. (2001) Structure 9, 389-3]).
CDK1/시클린 B 복합체는 G2 상과 M 상 사이의 세포 주기의 진행을 조절한다. CDK/시클린 B 복합체의 부정적인 조절은 정상 세포가 G2 상이 정확하고 완전하게 종료되기 전에 S 상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문헌 [K.K. Roy 및 E.A. Sausville,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2001, 7, 1669-1687]).
CDK의 활성의 조절 수준이 존재한다. 키나제의 시클린-의존성 활성화제 (CAK)는 CDK의 조절에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 CAK는 트레오닌 잔기 상의 CDK를 포스포릴화시켜, 표적 효소가 완전히 활성이 되게 한다.
세포 주기와 관련된 분자에 결함이 존재하면, 그 결과 CDK가 활성화되고 상기 주기가 진행되며, 암 세포의 세포 성장을 차단하기 위해 CDK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기를 원하는 것이 정상이다.
염색체 분리 및 방추체 조립과 관련된 여러 단백질이 효소 및 초파리에서 확인되었다. 이들 단백질의 파괴는 염색체 비분리, 및 단일극 또는 파괴된 방추체를 야기한다. 이들 단백질 중에서, 초파리 및 에스. 세레비지애(S. cerevisiae)로부터 각각 유래된 오로라 및 Ipl1을 비롯한 일부 키나제는 염색체 분리 및 중심체 분할을 위해 필요하다. 최근, 효모 Ipl1의 인간 유사체가 클로닝되고, 다양한 실험실에서 특징 분석되었다. 오로라2, STK15 또는 BTAK로 공지된 키나제는 세린/트레오닌 키나제 족에 속한다. 비쇼프(Bischoff) 등은 오로라2가 종양성이고, 인간 결장직장암에서 증폭된다는 것을 기재하였다 (문헌 [EMBO J, 1998, 17, 3052-3065]). 이는 또한 상피조직의 종양과 관련된 암, 예컨대 유방암에서 기재되었다.
Tie-2 (TEK)는 티로신 키나제 수용체 족의 일원이며, 내피세포에 특이적이다. Tie2는 수용체의 자가인산화 및 세포 신호전달을 촉진하는 작용제 (안지오포이에틴 1 또는 Ang1) [S. Davis et al. (1996) Cell 87, 1161-1169] 및 길항제 (안지오포이에틴 2 또는 Ang2) [P.C. Maisonpierre . (1997) Science 277, 55-60] 양자 모두가 알려진, 티로신 키나제 활성을 가진 첫번째 수용체이다. 안지오포이에틴 1은 혈관신생의 최종 단계에서 VEGF와 상승작용할 수 있다 [Asahara T. Circ. Res. (1998) 233-240]. Tie2 또는 Ang1 발현의 넉-아웃 실험 및 트랜스제닉 조작에 의해 혈관형성 결함을 나타내는 동물이 생성되었다 [D.J. Dumont et al. (1994) Genes Dev. 8, 1897-1909 and C. Suri (1996) Cell 87, 1171-1180]. Ang1이 그의 수용체에 결합하면 Tie2의 키나제 도메인의 자가인산화가 일어나고, 이는 혈관신생, 및 혈관주위세포 및 평활근 세포의 동원 및 상기 세포와 혈관의 상호작 용에 필수적인데, 이러한 현상은 새로 형성된 혈관의 성숙 및 안정에 기여한다 [P.C. Maisonpierre et al. (1997) Science 277, 55-60]. 문헌[Lin et al. (1997) J. Clin. Invest. 100, 8: 2072-2078 and Lin P. (1998) PNAS 95, 8829-8834]는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시, 또는 흑색종 및 유방 종양 이종이식 모델 내로의 Tie-2의 세포외 도메인 (Tek) 주사시, 종양 성장 및 혈관형성의 억제, 및 폐 전이의 감소를 입증하였다.
Tie2 억제제는 혈관신생이 부적절하게 일어나는 상황 (즉, 당뇨성 망막병증, 만성 염증, 건선, 카포시 육종, 황반 변성에 기인한 만성 혈관신생, 류마티스 관절염, 유아 혈관종 및 암)에 사용할 수 있다.
FAK는 이종이량체(heterodimeric) 세포 부착 수용체 족인 인테그린에 의해 전달되는 신호 전달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세포질 티로신 키나제이다. FAK 및 인테그린은 부착판으로 알려진 막간(perimembrane) 구조체에 함께 위치한다. 많은 세포 종류에서 FAK의 활성화 및 그의 티로신 잔기 상의 인산화, 특히, 그의 티로신 397 상의 자가인산화가 이들의 세포외 리간드에 인테그린이 결합하는 것에 의존하고 세포 부착 중에 유도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Kornberg L, et al. J. Biol. Chem. 267(33): 23439-442 (1992)]. FAK의 티로신 397 상의 자가인산화는 다른 티로신 키나제인 Src가 SH2 도메인을 통해 결합하는 부위를 나타낸다 [Schaller et al. Mol. Cell. Biol. 14: 1680-1688 1994; Xing et al. Mol. Cell. Biol. 5: 413-421 1994]. 그후 Src는 FAK를 티로신 925 상에서 인산화하여, 어답터(adapter) 단백질인 Grb2를 동원하고, 특정 세포에서 세포 증식의 조절에 연관된 ras 및 MAP 키나제 경로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 [Schlaepfer et al. Nature; 372: 786-791. 1994; Schlaepfer et al. Prog. Biophy. Mol. Biol. 71: 435-478. 1999; Schlaepfer and Hunter, J. Biol. Chem. 272: 13189-13195 1997]. FAK의 활성화는 또한 jun NH2-말단 키나제 (JNK) 신호전달 경로를 유도하여, 세포가 세포 주기의 G1 기로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Oktay et al., J. Cell. Biol. 145: 1461-1469 1999]. 포스파티딜이노시톨-3-OH 키나제 (PI3-키나제)도 FAK의 티로신 397 상에 결합하고, 이러한 상호작용은 PI3-키나제의 활성화에 필수적일 수 있다 [Chen and Guan, Proc. Nat. Acad. Sci. USA. 91: 10148-10152. 1994; Ling et al. J. Cell. Biochem. 73: 533-544. 1999]. FAK/Src 복합체는 다양한 기질, 예를 들어, 섬유모세포에서 팍실린(paxillin) 및 p130CAS를 인산화한다 [Vuori et al. Mol. Cell. Biol. 16: 2606-2613. 1996].
수많은 연구 결과는 FAK 억제제가 암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연구들은 FAK가 시험관내에서 세포 증식 및/또는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CHO 세포에서, 몇몇 저자들은 p125FAK의 과발현이 G1에서 S로의 전환의 가속화로 이어진다는 것을 입증하였는데, 이는 즉, p125FAK가 세포 증식을 촉진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Zhao J.-H et al. J. Cell Biol. 143: 1997-2008. 1998]. 다른 저자들은 FAK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로 처리한 종양 세포가 이들의 부착을 상실하고 아팝토시스로 진입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Xu et al., Cell Growth Differ. 4: 413-418. 1996]. FAK가 시험관 내에서 세포의 이동을 촉진한다는 것도 입증되었다. 따라서, FAK 발현이 결여된 섬유모세 포 (FAK "넉-아웃" 마우스)는 둥근 외형 및 화학주성 신호에 반응한 세포 이동의 결여를 나타내며, 이러한 결여는 FAK의 재발현에 의해 제거된다 [DJ. Sieg et al., J. Cell Science. 112: 2677-91. 1999]. FAK (FRNK)의 C-말단 도메인의 과발현은 시험관 내에서 부착 세포의 스트레칭을 막고 세포 이동을 감소시킨다 [Richardson A. and Parsons J.T. Nature. 380: 538-540. 1996]. CHO 또는 COS 세포 또는 인간 별아교세포종 세포에서의 FAK 과발현은 세포의 이동을 촉진한다. 시험관내에서 많은 세포 종류에서 FAK가 세포의 증식 및 이동 촉진에 관여하는 것은 FAK의 종양 생성 과정에서의 잠재적 역할을 제시한다. 최근의 연구는 인간 별아교세포종 세포에서 FAK의 발현을 유도한 후, 생체내에서 종양 세포 증식의 증가를 효과적으로 입증하였다 [Cary L.A. et al. J. Cell Sci. 109: 1787-94 1996; Wang D et al. J. Cell Sci. 113: 4221-4230. 2000]. 또한, 인간 생검의 면역조직화학적 연구는 FAK가 전립선암, 유방암, 갑상선암, 결장암, 흑색종, 뇌암 및 폐암에서 과발현되며, FAK의 발현 수준은 가장 공격적인 발현형을 나타내는 종양에 직접 연관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Weiner TM, et al. Lancet. 342 (8878): 1024-1025. 1993; Owens et al. Cancer Research. 55: 2752-2755. 1995; Maung K. et al. Oncogene. 18: 6824-6828. 1999; Wang D et al. J. Cell Sci. 113: 4221-4230. 2000].
VEGF-R2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2)로도 알려진 KDR (키나제 삽입 도메인 수용체)는 내피 세포에서만 발현된다. 이 수용체는 혈관생성 성장 인자인 VEGF에 결합하여, 그의 세포내 키나제 도메인의 활성화를 통해 신호 전달 매개자로서 작용한다. VEGF-R2의 키나제 활성의 직접적인 억제에 의해, 외인성 VEGF (혈관 내피세포 성장인자)의 존재하에서 혈관생성 현상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Strawn et al., Cancer Research, 1996, vol. 56, p.3540-3545]. 이 과정은 특히 VEGF-R2 돌연변이를 이용하여 입증되었다 [Millauer et al., Cancer Research, 1996, vol. 56, p.1615-1620]. VEGF-R2 수용체는 성인에서, VEGF의 혈관생성 활성과 연관된 것 외에는 다른 기능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VEGF-R2의 키나제 활성의 선택적 억제제는 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동적 혈관생성 과정에서의 중심적 역할 외에도, 최근의 결과는 VEGF의 발현이 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 후 종양 세포의 생존에 기여한다는 것을 제시하여, KDR 억제제와 다른 제제의 잠재적인 상승효과를 내포하였다 (Lee et al. Cancer Research, 2000, vol. 60, p.5565-5570).
생물학적 시험에 대한 실험 프로토콜
1. 오로라1 오로라2
키나제 오로라1 및 오로라2와 관련된 화합물의 억제 효과는 방사선활성 검출을 이용하여 효소적 시험에 의해 측정하였다.
오로라1 및 오로라2의 키나제 활성은 니켈 킬레이트가 마이크로플레이트의 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96-웰 플래쉬플레이트(Flashplate)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방사선 표지된 ATP ([33P]ATP)의 존재하에 기질 NuMA-히스티딘의 포르포릴화를 통해 평가하였다. NuMA 기질에 도입된 33P 포스페이트의 양은 효소 오로라1 또는 오로라2의 활성에 비례한다.
단백질:
단백질은 사노피-아벤티스(Sanofi-Aventis) 그룹의 단백질 제조 실험실에서 제조하였다.
오로라1: 약 50%로 정제된 오로라-B/INCENP-C3 재조합 복합체이며, 오로라-B의 N-말단은 히스티딘으로 표지되었다.
오로라2: N-말단 히스티딘 테일을 포함하는 전체 재조합 단백질이 이. 콜라이(E. coli)에서 발현되어 82% 초과로 정제되었다.
NuMA (유사분열 장치와 조합된 핵 단백질): 이. 콜라이에서 발현된 424-아미노산 단편이며, 이의 N-말단은 히스티딘으로 표지되었고, 2가지 오로라 효소에 대한 기질로서 사용하였다.
프로토콜:
사용된 마이크로플레이트는 니켈 킬레이트 결합된 96-웰 플래쉬-플레이트 플레이트 (퍼킨-엘머(Perkin-Elmer), 모델 SMP107)이었다.
평가하고자 하는 화합물을 오로라1 또는 오로라2 10 nM, NuMA 기질 500 nM의 존재하에 50 mM 트리스/HCl (pH 7.5), 50 mM NaCl, 5 mM MgCl2 (오로라-B) 또는 10 mM MgCl2 (오로라-A) 및 1 mM DTT로 이루어진 완충액 중에서 37℃에서 웰 당 100 ㎕의 반응 부피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효소/기질 인큐베이션 완충액 80 ㎕을 각 웰에 분배한 다음, 평가하고자 하는 화합물 10 ㎕를 다양한 농도로 분배하였다. 0.2 μCi의 [33P]ATP (10 ㎕)를 함 유하는 ATP를 최종 1 μM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반응 완충액을 간단히 제거하여 반응을 켄칭시키고, 각 웰을 트리스/HCl 완충액 300 ㎕로 2회 세척하였다. 그 후, 팩카드, 탑-카운트(Packard, Top-Count) 모델 섬광 기계를 이용하여 각 웰에서 방사선 활성을 측정하였다.
오로라의 대조군 효소 활성은 백그라운드 노이즈 (효소를 함유하지 않는 반응 혼합물)를 차감한 후 30분에 걸쳐 수득한 카운트/분의 수로서 평가하였다. 다양한 시험 화합물의 평가는 대조군에 대한 오로라 활성의 억제율로서 표현하였다.
2. CDK2 / 시클린 E
IMAC ( 부동화된 금속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CDK2 / 시클린 E-(His) 6 복합체의 정제:
CDK2 및 시클린E (후자는 C-말단 헥사히스티딘 태그를 가짐)를 각각 코딩하는 인간 서열을 갖는 두가지 재조합 바쿨로바이러스를 사용하여 Sf21 곤충 세포를 동시 감염시켰다. 동시 감염시킨지 2 내지 3일 후, 세포를 원심분리에 의해 수거한 다음, 사용할 때까지 -40℃에서 보관하였다. 세포를 해동하여 기계적으로 용해시킨 후, 용해물 상청액에 존재하는 복합체를 니켈 상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IMAC)에 의해 정제하고, -80℃에서 보관하였다.
96-웰 포맷으로 CDK2 / 시클린 E 플래쉬플레이트 시험
스트렙타비딘 코팅된 96-웰 플레이트 포맷을 사용하여, CDK2/시클린E의 키나제 활성에 대한 화합물의 활성을 시험하였다.
이 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비오티닐화 펩티드 기질, 단백질 pRb의 단편 (비오티닐-SACPLNLPLQNNHTAADMYLSPVRSPKKKGSTTR-OH)을 키나제 완충액 (HEPES/NaOH 50 mM, NaCl 1 mM, MgCl2 5 mM, pH 7.5) 중 1 mM의 농도로 용해하여, 110 ㎕ 분취액의 형태로 -20℃에서 보관된 원액을 구성하였다. 실험 첫째날, 상기 용액의 분취액을 해동하고, 1 mM 디티오트레이톨을 함유하는 키나제 완충액으로 희석하고, 즉시 완충액에 첨가하여, 14.3 μM의 농도를 수득하였다. 이 용액 70 ㎕를 플래쉬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하여, 100 ㎕의 반응 매질의 최종 부피에서 수행되는 효소 반응 동안 10 μM의 최종 기질 농도를 수득하였다 (하기 참조).
다양한 농도의 억제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중간 희석액을 별도의 시험관에서 10 mM의 원액으로부터 DMSO 중에서 제조하였다. 따라서, 1000 μM, 333.3 μM, 111.1 μM, 37.03 μM, 12.35 μM, 4.11 μM 및 1.37 μM의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이들 각각의 용액 1 ㎕ (또는 대조군의 경우 DMSO 1 ㎕)를 시험 플레이트의 웰로 옮겼다.
그 후, ATP 5.26 μM 및 33P 52.6 μCi/ml의 전체 농도에서 키나제 완충액 중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ATP) 및 ATPγ33P의 혼합물의 용액 19 ㎕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디티오트레이톨 1 mM을 함유하는 키나제 완충액 중 CDK2/시클린E의 200 nM 용액 (또는 반응 블랭크의 경우, 디티오트레이톨 1 mM을 함유하는 키나제 완충액 10 ㎕)을 웰 당 10 ㎕씩 첨가하여 효소 반응을 개시하였다.
각각의 시약을 첨가한 후, 각 웰의 최종 부피는 100 ㎕이고, 기질의 최종 농 도는 10 μM이고, 최종 억제제 농도는 10 μM, 3.33 μM, 1.11 μM, 0.37 μM, 0.123 μM, 0.041 μM 및 0.014 μM (중간 희석액의 농도에 따라)이고, 최종 ATP 농도는 1 μM이고, 33P의 최종 양은 1 μCi/웰이고, CDK2/시클린E 복합체의 최종 농도는 20 nM이었다.
모든 시약을 첨가한 후, 시험 플레이트를 650 rpm에서 궤도 진탕면서 30℃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을 완료한 후, 플레이트를 PBS (포스페이트-완충된 염수, pH=7.4, 칼슘 또는 마그네슘 무함유, 참조 10010-015, 깁코(Gibco) BRL) 300 ㎕/웰로 3회 세척하였다. 33P의 펩티드로의 도입은 팩카드 탑카운트.NXT 기계로 섬광 계수하여 정량화하였다. 본 발명의 억제 활성은 효소 활성을 50% 감소시키는 억제 농도 (IC50)를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3. Tie2
세포내 도메인 776-1124의 아미노산에 상응하는 인간 Tie2의 코딩 서열을 모델로서 인간 태반으로부터 단리된 cDNA를 사용하여 PCR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 서열을 바쿨로바이러스 발현 벡터 pFastBacGT로 GST 융합 단백질의 형태로 도입시켰다.
분자의 억제 효과는 약 80% 동질성으로 정제된 GST-Tie2의 존재하에서의 Tie2에 의한 PLC의 인산화 시험에서 측정하였다. 기질은 GST 융합 단백질의 형태로 발현되는 PLC의 SH2-SH3 단편들로 이루어졌다.
Tie2의 키나제 활성은 10 mM MgCl2, 10 mM MnCl2, 1 mM DTT, 10 mM 글리세로포스페이트를 함유하는 20 mM MOPS 완충액(pH 7.2)에서 측정하였다. 각 웰당 100 ng의 GST-Tie2 효소를 함유하는 70 ㎕의 키나제 완충액으로 이루어진 반응 혼합물을 얼음상에 놓여진 플래시플레이트(FlashPlate) 96-웰 플레이트에 침착시켰다. 그다음 최대 10% 농도로 DMSO중에 희석된 시험 화합물 10 ㎕를 첨가하였다. 주어진 농도에서, 각 측정은 4중으로 수행하였다. 반응은 2 μg의 GST-PLC, 2 μM의 저온 ATP 및 1 μCi의 33P[ATP]를 함유하는 20 ㎕의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37℃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에, 200 mM에서 1 부피(100 ㎕)의 EDTA를 첨가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인큐베이션 완충액을 제거한 후에, 웰을 300 ㎕의 PBS로 3회 세척하였다. 방사선활성을 월락 마이크로베타(Wallac MicroBeta) 1450 상에서 측정하였다.
Tie2 활성의 억제 정도를 계산하여 화합물의 부재하에 측정된 대조군 활성에 대한 억제 백분율로서 나타내었다.
제조된 생성물의 활성:
생성물의 활성은 오로라1, 오로라2, CDK2 및 Tie2의 활성 억제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되었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제공된다 (IC50, nM).
Figure 112007063963143-PCT00130
Figure 112007063963143-PCT00131

Claims (34)

  1. 하기 화학식 I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112007063963143-PCT00132
    상기 식에서,
    (i) R1은 -NHCO(R2), -NHCONH(R2) 및 -NHCOO(R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여기서 R2는 -H, -(C1-C24)알킬, -(C3-C9)시클로알킬, -(C3-C9)시클로알킬렌, 헤테로시클로알킬, 헤테로시클로알킬렌,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아릴, -(C1-C6)알킬-헤테로아릴, -아릴-(C1-C6)알킬 및 헤테로아릴-(C1-C6)알킬 (이들은 임의로 치환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ii) 각각의 R3, R4 및 R5는 -H, -(C1-C6)알킬, -(C1-C6)알킬-아릴, -(C1-C6)알킬-헤테로아릴, -아릴 및 -헤테로아릴 (이들은 임의로 치환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거나, (R3 및 R4) 또는 (R3 및 R5)는 함께 연결되어 N, O 및 S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포화 또는 불포화 2- 내지 10-원 모노시클릭 또는 바이시클릭 탄소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거나, N=CH-아릴기를 형성하고, 상기 아릴은 임의로 치환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R5가 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R4가 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R4가 메틸 또는 에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R3 및 R4가 그들이 결합된 질소 원자와 함께 적절한 경우 N, O 또는 S 원자를 함유하는 임의로 치환된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R1이 NHCO(R2)이고, R2가 제1항에 정의된 것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R3이 임의로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 -(C1-C6)알킬-아릴 또는 -(C1-C6)알킬-헤테로아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a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Ia>
    Figure 112007063963143-PCT00133
    상기 식에서,
    각각의 R3, R4 및 R5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것과 같고,
    R6은 할로겐, (C1-C3)알킬-NR7R8, (C1-C6)알콕시, (C0-C3)알킬-헤테로사이클, (C0-C3)알킬-아릴, (C0-C3)알킬-헤테로아릴 및 (C0-C3)알킬-시클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고리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 (C1-C3)알킬,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되고, R7 및 R8은 -H, (C0-C3)알킬, 아릴 및 (C1-C3)알킬-N-[(C0-C3)알킬]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9. 제8항에 있어서, R6이 3 또는 4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0. 제9항에 있어서, R6이 (C0-C3)알킬-헤테로사이클이고, 상기 헤테로사이클이 하나 이상의 치환기 (C1-C3)알킬, 할로겐 또는 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릴 및 헤테로아릴이 서로 독립적으로 임의로 치환된 페닐, 피리딜, 인돌릴, 벤즈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에닐 및 피롤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2. 제1항에 있어서,
    5-(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N-[5-(N'-시클로헥실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N-[5-(N'-벤질-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N-{5-[N'-(2-에틸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N-{5-[N'-(2-플루오로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4-메톡시-N-[5-(N'-o-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모르폴린-4-일메틸벤즈아미드,
    4-브로모-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4-(3,5-디메틸피페라진-1-일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4-(3,5-디메틸피페라진-1-일메틸)-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4-(4-메틸퍼히드로-1,4-디아제핀-1-일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4-(4-메틸퍼히드로-1,4-디아제핀-1-일메틸)-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3-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3-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4-디에틸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디에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3-(4-메틸피페라진-1-일메틸)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페리드-1-일메틸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페리드-1-일메틸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롤리딘-1-일메틸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피롤리딘-1-일메틸벤즈아미드,
    4-아제티딘-1-일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2-디메틸아미노에틸)메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퍼히드로-1,4-옥사제핀-4-일메틸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퍼히드로-1,4-옥사제핀-4-일메틸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3-모르폴린-4-일메틸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3-모르폴린-4-일메틸벤즈아미드,
    4-[(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2-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벤즈아미드,
    4-[(메틸페닐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4-[(디이소프로필아미노)메틸]-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N-[5-(N'-벤질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메톡시벤즈아미드,
    4-메톡시-N-[5-(N'-피리드-2-일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벤질-N'-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피페리드-1-일)-3-[4-(4-메틸피페라진-1-일)벤조일아미노]-1H-티에노[2,3-c]피라졸-5-카르복사미드,
    N-[5-(N'-벤질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에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벤질-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4-클로로페닐)-N'-시클로부틸메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에틸-N'-(4-플루오로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4-플루오로페닐)-N'-(2-메톡시에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에틸-N'-o-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에틸-N'-m-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에틸-N'-m-톨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4-플루오로페닐)-N'-이소부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3-브로모페닐)-N'-에틸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6-(4-메틸[1,4]디아제판-1-일)-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니코틴아미드,
    N-[5-(벤질리덴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4-메틸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4-(2-모르폴린-4-일에톡시)벤즈아미드, 및
    4-(4-메틸[1,4]디아제판-1-일)-N-[5-(N'-메틸-N'-페닐히드라지노카르보닐)-1H-티에노[2,3-c]피라졸-3-일]벤즈아미드
    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비-키랄 형태,
    2) 라세미 형태,
    3) 한 입체 이성질체가 풍부한 형태, 또는
    4) 한 거울상 이성질체가 풍부한 형태를 갖고,
    임의로 염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14. (i) (i-a) 하기 화학식 X의 산과 (i-b) 히드라진 (R3)(R4)N-NH(R5) (식 중, R3, R4 및 R5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을 커플링제의 존재하에 염기, 예컨대 3급 아민 또는 알칼리 금속 카르보네이트의 존재하에 커플링시키는 단계; 및
    (ii) PG를 분할시키는 단계
    에 의해 수득되는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I>
    Figure 112007063963143-PCT00134
    <화학식 X>
    Figure 112007063963143-PCT00135
    상기 식에서, R1은 NHCO(R2)이고, R3, R4 및 R5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PG는 티에노[2,3-c]피라졸 핵의 유리 고리내 NH 관능기를 위한 보호기이다.
  15. 하기 화학식 IX의 화합물의 티오펜 핵의 에스테르 관능기를 에스테르 가수분해함으로써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4항에 기재된 화학식 X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IX>
    Figure 112007063963143-PCT00136
    상기 식에서, R1은 상기 기재된 것과 같다.
  16. (i) 하기 화학식 IIa의 화합물과 (ii) 화학식 (R2)CONH2의 화합물을
    - 촉매, 예컨대 요오드화구리(I),
    - 아민, 예컨대 트랜스-1,2-디아미노시클로헥산, 트랜스-1,2-비스(메틸아미노)시클로헥산, 또는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1,2-디아미노에탄, 및
    - 염기, 예컨대 인산삼칼륨 또는 탄산세슘의 존재하에 커플링시킴으로써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5항에 기재된 화학식 IX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IIa>
    Figure 112007063963143-PCT00137
    상기 식에서, 알킬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고, PG는 티에노[2,3-c]피라졸 핵의 유리 고리내 NH 관능기를 위한 보호기이다.
  17. 알킬 머캅토아세테이트인 알킬-OCO-CH2-SH와 하기 화학식 IIIa의 화합물을 염기, 예컨대 탄산나트륨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6항에 기재된 화학식 IIa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IIIa>
    Figure 112007063963143-PCT00138
    상기 식에서, PG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18. (i) 3,4,5-트리브로모-피라졸을 포르밀화하여 3,5-디브로모-4-포르밀피라졸 (III)을 수득하는 단계, 이어서 (ii) 보호기 PG의 도입을 통해 화합물 (III)의 고 리내 아민 관능기를 보호하는 단계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7항에 기재된 화학식 IIIa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 PG가
    (i) 산, 예컨대 염산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톨루엔 중에서 에틸 비닐 에테르와 반응시켜 PG = 1-에톡시에틸 기를 수득함으로써, 또는
    (ii)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또는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존재하에 불활성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PG = tert-부틸옥시카르보닐 기를 수득함으로써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21. 단백질 키나제 억제제로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용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키나제가 오로라1, 오로라2, CDK1, CDK2, CDK4, FAK, KDR 및 Tie2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키나제가 오로라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4. 병리학적 증상, 특히 암의 치료에 유용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용도.
  25. 건선, 녹내장, 백혈병, 중추 신경계와 관련된 질환, 염증, 및 JNK 단백질의 탈조절과 관련된 질환으로부터 선택된 병리학적 증상의 치료에 유용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용도.
  26. 하기 화학식 XIV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XIV>
    Figure 112007063963143-PCT00139
  27. 하기 화학식 XIVa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XIVa>
    Figure 112007063963143-PCT00140
  28. 하기 화학식 XV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XV>
    Figure 112007063963143-PCT00141
    상기 식에서, PG는 보호기이다.
  29. 하기 화학식 XVI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XVI>
    Figure 112007063963143-PCT00142
    상기 식에서, R3, R4 및 R5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것과 같다.
  30. 하기 화학식 XVII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XVII>
    Figure 112007063963143-PCT00143
    상기 식에서, R3, R4 및 R5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것 과 같고, PG는 보호기이다.
  31. 하기 화학식 XVIII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XVIII>
    Figure 112007063963143-PCT00144
    상기 식에서, R3, R4 및 R5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것과 같다.
  32. 하기 화학식 XIX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XIX>
    Figure 112007063963143-PCT00145
    상기 식에서, R3, R4 및 R5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것과 같다.
  33. 하기 화학식 XX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XX>
    Figure 112007063963143-PCT00146
    상기 식에서, R3, R4 및 R5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것과 같다.
  34. 하기 화학식 IVb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화학식 IVb>
    Figure 112007063963143-PCT00147
    상기 식에서, R3, R4 및 R5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것과 같고, PG는 보호기이다.
KR1020077020106A 2005-03-04 2006-03-03 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 제조 방법,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용도 KR200701132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02199 2005-03-04
FR0502199A FR2882751B1 (fr) 2005-03-04 2005-03-04 Hydrazinocarbonyl-thieno[2,3-c]pyrazoles, procede de preparation, compositions les contenant et utilis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3214A true KR20070113214A (ko) 2007-11-28

Family

ID=3521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106A KR20070113214A (ko) 2005-03-04 2006-03-03 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 제조 방법,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용도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7595320B2 (ko)
EP (1) EP1858898B1 (ko)
JP (1) JP5137120B2 (ko)
KR (1) KR20070113214A (ko)
CN (1) CN101151268A (ko)
AT (1) ATE440849T1 (ko)
AU (1) AU2006219805A1 (ko)
BR (1) BRPI0608461A2 (ko)
CA (1) CA2599270A1 (ko)
DE (1) DE602006008755D1 (ko)
ES (1) ES2332606T3 (ko)
FR (1) FR2882751B1 (ko)
IL (1) IL185539A0 (ko)
MX (1) MX2007010753A (ko)
RU (1) RU2007136783A (ko)
WO (1) WO2006092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19655B2 (en) 2005-10-07 2012-02-21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Kinase inhibitors
SG158147A1 (en) * 2006-10-09 2010-01-29 Takeda Pharmaceutical Kinase inhibitors
EP2223925A1 (en) * 2006-10-09 2010-09-01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Kinase inhibitors
US8569512B2 (en) 2009-03-23 2013-10-29 Merck Sharp & Dohme Corp. P2X3 receptor antagonists for treatment of pain
WO2011049625A1 (en) 2009-10-20 2011-04-28 Mansour Samadpour Method for aflatoxin screening of products
MY173795A (en) 2009-11-05 2020-02-24 Incozen Therapeutics Pvt Ltd Novel benzopyran kinase modulators
WO2012023143A1 (en) 2010-08-19 2012-02-2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ungicidal pyrazoles
RS58326B1 (sr) 2011-05-04 2019-03-29 Rhizen Pharmaceuticals S A Nova jedinjenja kao modulatori proteinskih kinaza
DK2870157T3 (da) 2012-07-04 2017-11-06 Rhizen Pharmaceuticals S A Selektive pi3k delta-hæmmere
EP2740474A1 (en) 2012-12-05 2014-06-11 Instituto Europeo di Oncologia S.r.l. Cyclopropylamine derivatives useful as inhibitors of histone demethylases kdm1a
BR112016028219B1 (pt) 2014-05-30 2022-12-06 Istituto Europeo Di Oncologia S.R.L Composto ou composição farmacêutica para uso no tratamento ou prevenção do câncer, de uma doença infecciosa, ou de uma doença designada por aberração de metabolismo de energia celular em um indivíduo, processo para obtenção de um composto de fórmula (i) e uso do composto ou composição farmacêutica na fabricação de um medicamento para uso no tratamento ou prevenção do câncer, de uma doença infecciosa, ou de uma doença designada por aberração de metabolismo de energia celular em um indivíduo
EP2949648A1 (en) 2014-05-30 2015-12-02 IEO - Istituto Europeo di Oncologia Srl Cyclopropylamine derivatives as histone demethylase inhibito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612A (en) * 1904-02-16 Locking device for purses
KR20050004214A (ko) 2002-05-31 2005-01-12 에자이 가부시키가이샤 피라졸 화합물 및 이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약 조성물
MXPA05000629A (es) * 2002-07-17 2005-04-25 Pharmacia Italia Spa Derivados de pirazol heterobiciclico como inhibidores de cinasa.
ATE389658T1 (de) * 2002-07-25 2008-04-15 Pfizer Italia Srl Heterocyclische kondensierte pyrazolderivate als kinaseinhibitoren
US20050026984A1 (en) 2003-07-29 2005-02-03 Aventis Pharma S.A. Substituted thieno [2,3-c] pyrazoles and their use as medicinal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95320B2 (en) 2009-09-29
EP1858898A1 (fr) 2007-11-28
EP1858898B1 (fr) 2009-08-26
CA2599270A1 (fr) 2006-09-08
AU2006219805A1 (en) 2006-09-08
RU2007136783A (ru) 2009-04-10
IL185539A0 (en) 2008-01-06
US20080146542A1 (en) 2008-06-19
ATE440849T1 (de) 2009-09-15
CN101151268A (zh) 2008-03-26
FR2882751B1 (fr) 2007-09-14
FR2882751A1 (fr) 2006-09-08
BRPI0608461A2 (pt) 2010-01-12
DE602006008755D1 (de) 2009-10-08
JP2008531663A (ja) 2008-08-14
JP5137120B2 (ja) 2013-02-06
WO2006092510A1 (fr) 2006-09-08
MX2007010753A (es) 2007-11-07
ES2332606T3 (es) 2010-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3214A (ko) 히드라지노카르보닐-티에노[2,3-c]피라졸, 제조 방법,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용도
AU2005259139B2 (en) Substituted indazoles,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preparation and use
US7947706B2 (en) Substituted pyrrolopyridines,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and use thereof
KR101263970B1 (ko) 7-치환된 아자-인다졸, 그를 함유한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ES2534859T3 (es) Derivados de indazol, benzoxazol y pirazolopiridina como inhibidores de la cinasa p38
US7566736B2 (en) Substituted indoles,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their use
KR20070098923A (ko) 치환된 피라졸로피리딘, 그를 함유하는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CN101133023A (zh) 取代的吡咯和咪唑、含有它们的组合物、制备方法及用途
US20060069109A1 (en) Therapeutic agents
US20080167368A1 (en) Substituted Pyrroles,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Method for Making Same and Use Thereof
JP2007511571A (ja) 癌およびアテローム性動脈硬化症のような疾患の治療において有用な置換イソキノリン
US7884123B2 (en) Substituted thieno[2,3-c]pyrazoles, process for preparing them,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nd use thereof
MX2007006764A (es) Indoles sustituidos, composiciones que los contienen,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y utilizac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