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8426A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8426A
KR20070108426A KR1020060111903A KR20060111903A KR20070108426A KR 20070108426 A KR20070108426 A KR 20070108426A KR 1020060111903 A KR1020060111903 A KR 1020060111903A KR 20060111903 A KR20060111903 A KR 20060111903A KR 20070108426 A KR20070108426 A KR 20070108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tation
subframe
relay
section
synchronization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9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미현
조재원
이성진
장영빈
강현정
최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2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024B1/en
Priority to JP2009505307A priority patent/JP4880747B2/en
Priority to AU2007239160A priority patent/AU2007239160B2/en
Priority to PCT/KR2007/001920 priority patent/WO2007120023A1/en
Priority to CN2007800230800A priority patent/CN101473557B/en
Priority to EP07008019A priority patent/EP1848165A3/en
Priority to RU2008145594/09A priority patent/RU2414063C2/en
Priority to CA2648166A priority patent/CA2648166C/en
Priority to US11/788,388 priority patent/US8014338B2/en
Priority to BRPI0710464-2A priority patent/BRPI0710464A2/en
Publication of KR20070108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426A/en
Priority to MYPI20083977A priority patent/MY14520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upporting a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WA communication system are provided to perform easily synchronization and cell search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lay station by offering a sync channel synchronized with a terminal and a relay station. A method for configuring a sub frame(720,730) for supporting a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WA(Broadcasting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configuring the sub fram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or between relay stations which does not provide a sync channel during a first section of the sub frame; and configuring the sub fram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providing a sync channel during a second section of the sub frame. 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of the sub frame are separated through time resources or frequency resources.

Description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통상적인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a multi-hop relay method in a typical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도 2는 통상적인 IEEE 802.16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2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for a conventional IEEE 802.16 system;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이동을 도시하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movement of a relay st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2에서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for providing a relay service in relay station 2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동기화된 동기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structure for providing a synchronized synchronization channel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에 따른 신호의 송수신 타이밍을 도시하는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timing according to a frame structur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base st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1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relay station 1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2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relay station 2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terminal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4 is a block diagram of a base st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5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하향링크 부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ownlink subfram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동기 채널을 도시하는 도면,17 illustrates a synchronization channel of a downlink subfram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하향링크 부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ownlink subfram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동기 채널을 도시하는 도면,19 illustrates a synchronization channel of a downlink subfram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상향링크 부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및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uplink subfram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상향링크 부프레임의 동기 채널을 도시하는 도면,21 illustrates a synchronization channel of an uplink subfram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중 홉 중계(Multi-Hop Relay)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다중 홉 중계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단말과 중계국에 동기화된 동기 채널을 제공하며, 셀 내에서 직접 서비스와 중계 서비스 간의 원근 (Near-Far)간섭을 피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synchronization channel synchronized to a terminal and a relay station in the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voiding near-far interference between a direct service and a relay service.

차세대 통신시스템인 4세대 통신시스템에서는 약 100Mbps 이상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 품질(Qos)을 가지는 서비스들을 개별 가입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현재 4세대 통신시스템에서는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 이하, LAN이라 칭함) 시스템 및 무선 도시 지역 네트워크(Metropolitan Area Network : 이하, MAN이라 칭함) 시스템과 같은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 이동성(Mobility)과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형태로 고속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In the 4th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which is the next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act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provide individual subscribers with services having various quality of service (Qos) having a transmission speed of about 100Mbps or more. In particular, in the current generation 4 communication system, mobility is provided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system and a wireless urban area network (MAN) system.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to support high-speed services in the form of guaranteeing mobility and service quality.

상기 4세대 통신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요구 조건 중의 하나는 자가 구성형(self-configurable)의 무선 네트워크 구성이다. 상기 자가 구성형의 무선 네트워크는, 중앙 시스템의 제어 없이 무선 네트워크를 자율적 또는 분산적으로 구성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를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상기 4세대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더 많은 통화량을 수용하기 위하여 반경이 매우 작은 셀들이 설치된다. 이 경우, 현재의 무선망 설계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는 중앙 집중적인 설계는 불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상기 4세대 통신 시스템은 분산적으로 제어되고 구축되면서도, 새로운 기지국의 추가와 같은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4세대 통신 시스템에서는 자가 구성형 무선 네트워크를 요구하고 있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in the fourth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is self-configurable wireless network configuration. The self-configuring wireless network refers to a wireless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autonomously or distributedly configuring a wireless network without control of a central system. In general, in the fourth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very small radius cells are installed to enable high-speed communication and to accommodate a larger amount of communication. In this case, it is expected that a centralized design using the current wireless network design method is not possible. Accordingly, the fourth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should be able to actively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e addition of a new base station while being distributedly controlled and constructed. Therefore, the fourth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requires a self-configuring wireless network.

상기 4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자가 구성형 무선 네트워크를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애드-혹 네트워크(ad-hoc network)에서 적용된 기술을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 도입해야 한다. 이러한 대표적인 사례가 다중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으로서, 고정 기지국으로 구성된 광대역 무선 접속 망에 애드-혹의 다중 홉 중계기법을 도입한 것이다. In order to realistically implement a self-configuring wireless network required in the fourth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a technology applied in an ad-hoc network should be introduced into a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is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which adopts an ad-hoc multi-hop relay technique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network composed of fixed base stations.

일반적인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는 고정된 기지국(Base station) 과 단말(Mobile station) 간에 하나의 직접 링크(direct 링크)로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단말과 기지국 간에 신뢰도가 높은 무선 통신링크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무선망 구성의 유연성 (flexibility) 이 낮으며, 따라서 트래픽 분포나 통화 요구량의 변화가 심한 무선환경에서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In a general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since a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a fixed bas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through one direct link, a reliabl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can be easily configur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have. However, since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is fixed, the flexibility of the wireless network configuration is low, and thus, it is difficult to provide an efficient service in a wireless environment in which traffic distribution or call demand is changed.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주변의 여러 단말 또는 중계국들을 이용하여 다중-홉 형태로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중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은 통신 환경변화에 대해 빠르게 네트워크를 재구성할 수 있으며, 전체 무선망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중계국을 설치하여 상기 중계국을 통한 다중 홉 중계 경로를 구성함으로써, 채널 상태가 보다 우수한 무선 채널을 상기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다중 홉 중계 경로를 이용하여 음영 지역과 같이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의 단말들에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할 수 있어, 셀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it is possible to use a relay service that delivers data in a multi-hop form by using a plurality of neighboring terminals or relay stations. The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an quickly reconfigure the network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more efficiently operate the entire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by providing a relay st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to configure a multi-hop relay path through the relay st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excellent radio channel to the terminal. Furthermore, by using the multi-hop relay path,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speed data channel to terminals in an area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s not possible, such as a shaded area, thereby expanding the cell area.

도 1은 통상적인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다중 홉 중계방식을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호 흐름을 도시하고 있다.1 illustrates a signal flow for providing a service using a multi-hop relay in a conventional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 포함되는 단말들(140, 150, 160, 170)은 기지국(100)과 중계국들(110, 120, 130)을 통해 광대역 무선 접속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As illustrated in FIG. 1, the terminals 140, 150, 160, and 170 included in the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re provided through the base station 100 and the relay stations 110, 120, and 130. Receive wireless access service.

즉, 상기 기지국(100)의 셀 영역(110)에 포함되는 단말들(140, 150)은 상기 기지국(100)과 직접 단말 링크(L1)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100)의 셀 경계지역에 위치하여 채널 상태가 열악한 단말 2(150)는 상기 중계국 2(130)의 중계 단말 링크(L2)를 이용하여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받는다. That is, the terminals 140 and 150 included in the cell region 110 of the base station 100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100 using the direct terminal link L1. In this case, the terminal 2 150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of the base station 100 having a poor channel state receives a high speed data channel using the relay terminal link L2 of the relay station 2 130.

또한, 상기 기지국(100)의 셀 영역(101) 밖에 위치하는 단말들(160, 170)은 상기 중계국 1(110)의 중계 단말 링크(L3)를 통해 상기 기지국(100)의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다시 말해, 상기 기지국(100)은 상기 중계국 1(110)을 이용하여 셀 영역 밖에 위치한 단말들(160, 170)에게 서비스 제공하여 셀 영역을 확대한다. 이때, 상기 중계국 1(110)의 셀 경계지역에 위치하여 채널 상태가 열악한 단말 4(170)는 상기 중계국 2(120)의 단말 링크(L4)를 이용하여 전송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s 160 and 170 located outside the cell area 101 of the base station 100 are provided with the service of the base station 100 through the relay terminal link L3 of the relay station 1110. In other words, the base station 100 uses the relay station 1 110 to provide services to the terminals 160 and 170 located outside the cell area to expand the cell area. In this case, the terminal 4 170 located in the cell boundary region of the relay station 1 110 having a poor channel state may increase the transmission capacity by using the terminal link L4 of the relay station 2 120.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은 중계국을 통한 다중 홉 중계기법을 이용하여 채널 상태가 열악한 셀 경계지역 및 음영지역에 위치한 단말에 제어 채널 및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하여, 셀 영역 확장 및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provides a control channel and a high-speed data channel to a terminal located in a cell boundary region and a shadow region having a poor channel state by using a multi-hop relay technique through a relay station, thereby expanding a cell region and Capacity can be increased.

상기 도 1에 사용된 상기 중계국들(110, 120, 130)은 운용 능력에 따라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 1(110)과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 2(120, 130)로 구분된다.The relay stations 110, 120, and 130 used in FIG. 1 are divided into relay station 1 110, which provides a synchronization channel, and relay station 2, 120, 130, which do not provide a synchronization channel, according to operational capabilities.

상기 중계국 1(110)은 채널 상태가 열악하거나 셀 영역 밖에 위치하여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 직접 서비스를 제공받기 어려운 단말들(160, 170)에 초기 접속에 필요한 제어 정보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 및 랜덤 접속 채널을 제공한다. 즉, 상기 단말들(160, 170)이 상기 중계국 1(110)을 통해 동기화 및 네트워크 엔트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단말까지 상기 기지국(100)의 셀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The relay station 1 (110) is a control information channel or traffic channel and random access required for initial access to the terminals (160, 170) that are poor in channel conditions or located outside the cell area and are difficult to provide direct service from the base station (100). Provide a channel. That is, since the terminals 160 and 170 may perform a synchronization and network entry process through the relay station 1 110,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100 may be extended to the terminal.

상기 중계국 2(120, 130)는 상기 셀 영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들(150, 170) 중 채널 상태가 열악한 단말들(150, 170)에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하여 서비스 용량을 증대시킨다. 즉, 상기 단말들(150, 170)은 상기 기지국(100) 또는 중계국 1(110)로부터 제어 정보 채널 및 랜덤 접속 채널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중계국 2(120, 130)로부터 유니 캐스트 트래픽 채널을 제공받는다.The relay station 2 (120, 130) increases the service capacity by providing a high-speed data channel to the terminals 150, 170 having a poor channel state among the terminals 150, 170 located in the cell area. That is, the terminals 150 and 170 receive the control information channel and the random access channel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100 or the relay station 1 (110), and provide the unicast traffic channel from the relay station 2 (120, 130). Receive.

일반적인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통신은 직접링크를 통해 하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프레임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In a typical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is performed based on a frame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2 through a direct link.

도 2는 통상적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시스템을 위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FIG. 2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for a conventional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6 system.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분할 복신 프레임(200)은 하향링크 부프레임(210)과 상향링크 부프레임(220)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하향 링크 부 프레임(201)과 상향 링크 부 프레임(211)의 사이에는 시간 보호영역(Guard region)인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가 삽입되고,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는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가 위치한다. As shown in FIG. 2, the time division duplex frame 200 is divided into a downlink subframe 210 and an uplink subframe 220. In addition, a TTG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which is a guard region, is inserted between the downlink subframe 201 and the uplink subframe 211, and an RTG (Receive / Receive)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Transmit Transition Gap) is located.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210)은 프리앰블(Preamble)과 공통 제어 정보를 고정된 위치(Mandatory slot)에 포함하여 셀 영역으로 방송(Broadcasting)한다. 즉, 상기 기지국의 셀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은 고정된 위치에서 방송되는 상기 프리앰블 및 공통 제어채널을 수신하여 동기화 및 제어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점선으로 표시된 버스트 영역은 셀 환경에 따라 변화될 수 있고, 상기 프리앰블을 포함한 실선 영역은 고정된 슬롯을 나타낸다.The downlink subframe 210 includes a preamble and common control information in a fixed slot to broadcast to the cell area. That is,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may obtain the synchroniz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preamble and the common control channel broadcast from the fixed location. Here, the burst area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may change according to the cell environment, and the solid area including the preamble indicates a fixed slot.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국 1은 상기 기지국의 셀 영역 밖에 위치하여 상기 기지국과 직접 링크를 설정하기 어려운 단말 또는 중계국들에 상기 광대역 무선 접속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중계국 1은 상기 단말 또는 중계국들에 사용자 트래픽 서비스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진입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 정보 및 초기 레인징 슬롯 등을 제공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국 1은 상기 단말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유지시키기 위해 하기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 링크를 통한 서비스를 직접 링크를 통한 서비스와 동일한 구조로 제공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국 1의 초기 접속 동작은 단말처럼 수행하여 기지국과 중계 운영에 대한 협상을 수행한 후, 상기 도 2에 도시된 구조의 중계국 프레임을 단말에게 제공한다. 즉, 상기 중계국 1은 단말처럼 동작하다 상기 기지국과 중계 능력 협상 후, 동작 모드를 스위칭하여 중계국 역할을 수행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lay station 1 provides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service to a terminal or relay stations that are located outside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and have difficulty establishing a direct link with the base station. Therefore, the RS 1 should provide control information and an initial ranging slot to the UE or the RSs so as to perform not only user traffic service but also network entry operation. In order to maintain backward compatibility of the terminal, the relay station 1 must provide the service through the relay link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service through the direct link, as shown in FIG. 3. Here, the initial access operation of the relay station 1 is performed like the terminal to negotiate the relay oper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n provides the relay station frame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to the terminal. That is, the relay station 1 operates like a terminal, and after negotiating relay capability with the base station, switches the operation mode to serve as a relay station.

따라서, 상기 중계국 1이 상기 기지국과 동일하게 상기 도 2에 도시된 구조의 프레임을 제공하면 하나의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동기 및 제어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제공받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RF 격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중계국의 송수신 동작이 시간상으로 병행되도록 하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을 구성한다. Accordingly, when the relay station 1 provides a frame having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in the same manner as the base station, it is difficult to receive a synchronization and control channel or a traffic channel from the base station within one frequency band. In order to solve the RF isolation problem, a frame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 3 so that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of the RS are performed in time.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의 TDD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3 shows a TDD fram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부프레임(300, 310)은 중계국의 동작 전환을 위해 제 1 영역(301, 311)과 제 2 영역(303, 313)으로 시간 다중화하여 구분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1 영역(301, 311)을 통해 직접 링크로 연결된 단말로 동기 채널, 제어 채널 및 트래픽 채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2 영역(303, 313)을 통해 상기 중계국으로 동기 채널, 제어 채널 및 트래픽 채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301, 311)과 제 2 영역(303, 313)의 크기는 고정적이거나, 셀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ubframes 300 and 310 are divided by time multiplexing into first regions 301 and 311 and second regions 303 and 313 to switch operations of the relay station. The base station provides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traffic channel to a terminal connected by direct link through the first regions 301 and 311. The base station also provides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traffic channel to the relay station through the second areas 303 and 313. Here, the sizes of the first regions 301 and 311 and the second regions 303 and 313 may be fixed or adaptiv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cell environment.

상기 다중 홉 중계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는 상기 중계국의 이동성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또는 기차 등과 같은 운송 수단 내에 중계국(420)이 설치되는 경우, 상기 중계국(420)의 이동성을 고려하여 동기화 및 셀 탐색을 위한 동기 채널이 제공되어야 한다. In the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ity of the relay st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example, when the relay station 420 is installed in a vehicle such as a bus or a train as illustrated in FIG. 4, a synchronization channel for synchronization and cell search should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mobility of the relay station 420. .

하지만,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 링크 부프레임(300) 내 제 1 영역(301)과 제 2 영역(303)의 길이가 셀 환경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제 2 영역(202)의 앞 단에 위치하는 동기 채널의 위치가 셀 환경에 따라 달라지므로 상기 중계국(420)은 인접 기지국들의 동기 채널의 위치를 알아야 하는 등의 여러 가지 오버헤드가 존재한다. 여기서 오버헤드는 동기채널 전력 부스트(Boost)에 따른 인접 셀간 간섭 증가, 인접 기지국들의 정보 전송, 각 인접 기지국마다의 동기 채널 탐색 등이 발생한다. However, as shown in FIG. 3, when the lengths of the first region 301 and the second region 303 in the downlink subframe 300 are adap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cell environment in the frame structure, Since the position of the synchronization channel located in front of the second region 202 varies depending on the cell environment, there are various overheads such that the relay station 420 needs to know the position of the synchronization channel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Here, the overhead is increased interference between neighboring cells according to a sync channel power boost, information transmission of neighboring base stations, synchronization channel search for each neighboring base station, and the like.

또한,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 2는, 상기 기지국과 함께 셀 내 다중 통신으로 중계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중계국 근처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과 중계국 사이의 수신전력의 차이로 인해 원근(Near-Far) 간섭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영역 안에서 채널 환경이 좋은 단말 1(520)은 상기 기지국(500)으로부터 직접 링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고, 채널 환경이 나쁜 단말 2(530)는 중계국(510)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In addition, the relay station 2 that does not provide the synchronization channel provides a relay service through intra-cell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In this case, near-far interference occurs due to a difference in reception power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relay station which are directly provided with the service from the base station near the relay sta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terminal 1 520 having a good channel environment in the cell area is provided with a service through a direct link from the base station 500, and the terminal 2 530 having a bad channel environment is a relay station. The service is provided through 510.

상기 기지국(500)과 중계국(510)이 같은 시간 영역 내에서 직교 자원을 이용하여 다중 통신을 수행하지만, 무선 자원(air) 상에서는 상기 기지국 링크 신호와 상기 중계국 링크 신호가 중첩된다. 이 경우, 하향링크에서 직접 링크를 갖는 단말에게 상기 기지국(500)으로부터의 원 신호에 비해 인접 중계국(510)으로부터의 간섭 신호가 큰 전력으로 수신될 수 있다. 그리고 상향링크에서 중계국(510)에게 중계 링크를 갖는 단말 신호보다 직접 링크를 갖는 인접 단말의 신호가 큰 전력으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큰 수신 신호의 차이를 표현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비트 수를 갖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 Analog/Digital Converter)가 필요하며 이는 비용(cost) 증가를 야기한다. 만약 충분한 비트 수를 갖는 상기 ADC를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과정에서 정상적인 샘플링이 수행되지 않아 상기 원 신호의 정보를 잃어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Although the base station 500 and the relay station 510 perform multiple communication using orthogonal resources in the same time domain, the base station link signal and the relay station link signal overlap on a radio resource. In this case, the interference signal from the adjacent RS 510 may be received by the terminal having the direct link in the downlink with a greater power than the original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500. In addition, in the uplink, a signal of an adjacent terminal having a direct link may be received by the relay station 510 at a greater power than a terminal signal having a relay link. In this case,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ADC) having a sufficient number of bits to represent a large difference in the received signal is required, which causes an increase in cost. If the ADC having a sufficient number of bits is not u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nformation of the original signal is lost because normal sampling is not performed in the analog / digital conversion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이동성에 따른 셀 탐색 및 동기화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supporting cell search and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mobility of a relay st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동기화된 동기 채널을 제공하여 중계국의 이동성에 따른 셀 탐색 및 동기화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supporting cell search and synchronization according to mobility of a relay station by providing a synchronized synchronization channel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셀 내 다중 통신에 의한 원근(Near-far) 간섭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near-far interference caused by multiple communication in a cell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셀 내 중계통신과 직접통신을 시간 다중화하여 상기 두 통신 간 원근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perspective interference between two communication by time multiplexing in-cell relay communication and direct communic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동기화된 동기 채널을 제공하고, 원근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프레임 구성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nchronized synchronization channel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o provide a fram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same to eliminate perspective interferenc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중계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부프레임 구성 방법은,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 동안, 기지국과 단말 또는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부프레임의 제 2 구간 동안, 상기 기지국과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ubframe configuration method for supporting a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during the first period of the subframe; Or configuring a subfram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relay stations not provid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and configuring a subfram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a relay station provid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during a second period of the sub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cess.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중계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부프레임의 제 1 구간의 앞 단과 제 2 구간의 뒷 단에 동기 채널 또는 접속 채널(Ranging)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 synchronization channel or access channel is provided at a front end of a first section of a subframe and a rear end of a second section for supporting a relay service.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본 발명의 제 3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는, 단말 또는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 1 구간과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 2 구간으로 구분되는 부프레임 구성에 따라 신호의 송수신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제어기와, 상기 타이밍 신호에 따라 제 1 구간 신호 또는 제 2 구간 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하는 송신기와, 상기 타이밍 신호에 따라 제 1 구간 신호 또는 제 2 구간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se station apparatus for supporting a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first interval and a synchronization channel for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or a relay station that does not provide a synchronization channel. A timing controller provid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timing signal of a signal according to a subframe configuration divided into a second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a relay station providing the transmitter, and a transmitter for forming and transmitting a first section signal or a second s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And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interval signal or the second interval signal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and restore the data.

본 발명의 제 4 견지에 따르면,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에서 부프레임의 제 1 구간의 앞 단과 제 2 구간의 뒷 단에 동기 채널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the base station for supporting a relay service may include plac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section of the subframe. It feature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 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은 다중 홉 중계(Multi-Hop Relay)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동기화된 동기 채널을 제공하며, 셀 내 다중 통신에 의한 원근(Near-far) 간섭을 배제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및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다른 다중 접속 방식 및 다른 분할 복신 기반의 통신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중계국 1은 셀 영역 확장을 위해 사용되는 중계국을 의미하고, 중계국 2는 용량 증대를 위해 사용되는 중계국을 의미한다. 즉, 상기 중계국 1은 상기 기지국 셀 영역 밖에 위치한 단말 또는 중계국들에게 동기 및 제어 채널과 트래픽 채널을 제공하며, 상기 중계국 2는 셀 영역 내에 위치하며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은 단말들에게 유니캐스트 제어 및 트래픽 채널만을 제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nchronized synchronization channel to support the mobility of a relay st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rovides near-far interference by multiple communications in a cell. The technique to exclude is demonstra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ime Division Duplex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e same is applicable. In addition, relay station 1 means a relay station used for cell area expansion, and relay station 2 means a relay station used for capacity increase. That is, the relay station 1 provides a synchronization and control channel and a traffic channel to a terminal or relay stations located outside the base station cell area, and the relay station 2 is located in a cell area and has unicast control and traffic to terminals having poor channel conditions. Provide only channels.

이하 설명에서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부프레임 구조를 IEEE 802.16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와 동일한 구성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며, 새로운 기능 및 용도를 가지는 선진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subframe structur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IEEE 802.16 system, for example, and an advanced technology having new functions and uses may be applied.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단말 또는 중계국에게 동기화된 동기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6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for provid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synchronized with a terminal or a relay st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구조는 단말의 동기화 및 셀 탐색이 용이하도록 상기 단말을 위한 동기 채널을 프리앰블(preamble)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중계국의 동기화 및 셀 탐색이 용이하도록 상기 중계국을 위한 동기 채널을 포스트앰블(postamble) 형태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기지국이 하향 링크 부프레임의 앞 단과 뒤 단을 동기 채널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단말 또는 중계국은 고정된 위치의 동기 채널로부터 동기 정보 및 인접 기지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frame structure provides a synchronization channel for the terminal in a preamble form to facilitate synchronization and cell search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synchronization channel for the relay station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ostamble to facilitate synchronization of the relay station and cell search. In this way, the base station configures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downlink subframe as the synchronization channel, so that the terminal or the relay station can obtain the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nd the neighbor base station information from the synchronization channel of the fixed position.

또한, 단방향 부프레임들(610, 620)은 제 1 영역(611, 621)과 제 2 영역(613, 623)으로 시간 다중화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영역(611, 621)과 상기 제 2 영역(613, 623)은 고정 길이를 갖거나, 셀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nidirectional subframes 610 and 620 are time multiplexed into the first regions 611 and 621 and the second regions 613 and 623. Here, the first regions 611 and 621 and the second regions 613 and 623 may have a fixed length or may dynamically change according to a cell environment.

상기 기지국 프레임(600)의 상기 제 1 영역(611, 621)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직접 링크로 연결된 단말들과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영역(613, 623)에서 상기 중계국들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 1 영역(611, 621)과 제 2 영역(613, 623)의 크기는 셀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과 중계국에 동기화된 동기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 영역(611, 621)의 앞 단과 상기 제 2 영역(613, 623)의 뒷 단에 상기 동기 또는 접속 채널을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620)에서 접속 채널(Ranging 슬롯)은 고정된 위치가 아니라 제어 채널을 통해 지정해 줄 수 있다.In the first region 611, 621 of the base station frame 600, the base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s connected by the direct link, and communicates with the relay stations in the second region 613, 623. do. In this case, since the sizes of the first regions 611 and 621 and the second regions 613 and 623 may be dynamically changed according to a cell environment, the base station is configured to provide a synchronization channel synchronized with the terminal and the relay station. The synchronization or access channel is alloca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area 611 and 621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area 613 and 623. Herein, the access channel (Ranging slot) in the uplink subframe 620 may be designated through a control channel rather than a fixed posi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은 단말과 중계국에 동기화된 동기 채널을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using the frame structure shown in FIG. 6, the base station provides a synchronization channel synchronized with the terminal and the relay station.

상기 다중 홉 중계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는 상기 기지국, 중계국 1, 중계국 2 및 단말에 의한 다중 통신이 존재한다. In the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there are multiple communications by the base station, relay station 1, relay station 2, and terminal.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2는 셀 영역 내의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두 링크(기지국과 단말 링크, 중계국 2와 단말 링크) 간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직교 자원을 할당한다. 여기서, 다수의 중계국은 상기 중계국 2에 할당된 직교 자원을 공간 다중화 형태로 재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2 provides a service to the terminal in the cell area, it allocates orthogonal resources to exclude interference between two links (base station and terminal link, relay station 2 and terminal link). Here, the plurality of relay stations can reuse the orthogonal resources allocated to the relay station 2 in the form of spatial multiplexing.

만약, 상기 기지국과 단말 링크와 상기 중계국 2와 단말 링크에서의 신호의 송신을 위해 직교 주파수 자원(예 : OFDM 부채널)이 사용되면, 상기 OFDMA 시스템에서 상기 두 송신은 주파수 영역에서 분리할 수 있지만, 시간 영역에서는 중첩된 형태로 존재한다. 이 경우 상술하였듯이, 상기 중계국 2 근처에서 기지국과 통신하는 단말과 상기 중계국 2 사이에 원근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If an orthogonal frequency resource (eg, an OFDM subchannel) is used for transmission of a signal on the base station and terminal link and the relay station 2 and the terminal link, the two transmissions in the OFDMA system can be separated in the frequency domain. In the time domain, they exist in nested form.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perspective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near the relay station 2 and the relay station 2.

따라서, 상기 중계국 2는 상기 기지국과 같은 시간 영역에서 단말과 통신하지 않고 상기 기지국이 셀 확장을 위한 상기 중계국 1과 통신하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단말에게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하도록 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국 2 에게 중계를 위해 제 2 영역 내의 일정 자원을 할당한다. Accordingly, the relay station 2 provides a high speed data channel to the terminal in the time domain in which the base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relay station 1 for cell expansion without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in the same time domain as the base station. That is, the base station allocates a predetermined resource in the second area to the relay station 2 for relaying.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상기 기지국이 주파수 분할 형태로 상기 중계국 2에게 중계 자원을 할당한 경우,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2가 제공하는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7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shows a frame structure provided by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2 when the base station allocates the relay resource to the relay station 2 in the form of frequency division.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국 2는 제 1 시간 영역(721, 731)에서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고 제 2 시간 영역(723, 733) 내의 일정 영역(711, 713)을 할당받아 단말에게 중계서비스를 제공한다. As illustrated in FIG. 7, the relay station 2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in the first time domain 721, 731,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area 711, 713 in the second time domain 723, 733 and relays it to the terminal. Provide service.

또한, 단방향 부프레임들(720, 730)은 제 1 영역(721, 731)과 제 2 영역(723, 733)으로 시간 다중화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영역(723, 733)은 고정 길이를 갖거나, 셀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nidirectional subframes 720 and 730 are time multiplexed into the first regions 721 and 731 and the second regions 723 and 733. In this case, the second regions 723 and 733 may have a fixed length or change dynamically according to a cell environment.

상기 중계국 2 프레임(710)의 상기 제 1 영역(721, 731)에서 상기 중계국 2는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중계국 1은 상기 제 1 영역(721, 731) 동안 상기 단말로 투명 중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RS 2 communicates with the BS in the first areas 721 and 731 of the RS 2 frame 710. In this case, the relay station 1 provides a transparent relay service to the terminal during the first areas 721 and 731.

또한, 상기 중계국 2는 상기 제 2 영역(723, 733)의 일정 영역(711, 713)에서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다수의 중계국 2에 대해서는 공간 분할 다중화에 따른 자원 재사용을 고려한다.In addition, the relay station 2 communicates with the terminal in certain areas 711 and 713 of the second areas 723 and 733. Here, for the plurality of relay stations 2, resource reuse due to spatial division multiplexing is considered.

상기 공간 다중화와 시간 다중화를 수행하여 프레임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 중계국 1, 중계국 2, 단말은 시간에 따라 하기 도 8과 같이 동작한다.When configuring a frame by performing the spatial multiplexing and temporal multiplexing, the BS, RS 1, RS 2, and UE operate as shown in FIG. 8 according to time.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구조에 따른 신호의 송수신 타이밍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하향링크 부프레임 만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sign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timing according to a frame structur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the downlink subframe is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링크 부프레임(720)에서 상기 기지국(800)은 제 1 영역(721) 동안 직접 링크로 연결된 중계국 2(820) 또는 단말(830)로 동기 채널, 제어 채널 및 트래픽 버스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800)은 제 2 영역(723) 동안 제어 채널, 트래픽 버스트 및 동기 채널을 중계국 1(81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800)은 상기 단말(830)과 중계국들(810, 820)에 동기화된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동기 채널을 제 1 영역(721)의 앞 단과 제 2 영역(723)의 뒷 단에 위치시켜 전송한다.As shown in FIG. 8, in the downlink subframe 720, the base station 800 transmits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control channel to a relay station 2 820 or a terminal 830 connected by direct link during the first region 721. Send a burst of traffic.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800 transmits a control channel, a traffic burst, and a synchronization channel to relay station 1 810 during the second region 723.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800 uses the synchronization channel in front of the first area 721 and the second area 723 to provide the synchronization channel synchronized with the terminal 830 and the relay stations 810 and 820. Position it at the back end of the transmission

상기 중계국 1(810)은 상기 제 1 영역(721) 동안 중계 링크로 연결된 상기 중계국 2(820) 또는 단말(830)로 동기 채널, 제어 채널 및 트래픽 버스트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중계국 1(810)은 상기 제 2 영역(723) 동안 상기 기지국(800)이 전송하는 동기 채널, 제어 채널 및 트래픽 버스트를 수신받는다.The relay station 1 810 transmits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traffic burst to the relay station 2 820 or the terminal 830 connected to the relay link during the first area 721. In addition, RS 1 810 receives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traffic burst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800 during the second area 723.

상기 중계국 2(820)는 상기 제 1 영역(721) 동안 상기 기지국(800)으로부터 상기 중계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채널 및 트래픽 버스트를 수신받는다. 또한, 상기 중계국 2(820)는 상기 제 2 영역(723)의 일정 영역(711) 동안 상기 중계링크로 연결된 단말(830)로 유니캐스트 트래픽 버스트를 전송한다.The relay station 2 820 receives a control channel and traffic burst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relay service from the base station 800 during the first area 721. In addition, the relay station 2 820 transmits a unicast traffic burst to the terminal 830 connected to the relay link during the predetermined region 711 of the second region 723.

상기 단말(830)은 상기 제 1 영역(721) 동안 상기 기지국(800) 또는 중계국 1(810)로부터 동기 채널, 제어 채널 및 트래픽 버스트를 수신받는다. 또한, 상기 단말(830)은 상기 제 2 영역(723)의 일부 자원 동안 상기 중계국 2(820)로부터 유니캐스트 트래픽 버스트를 수신받는다.The terminal 830 receives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traffic burst from the base station 800 or the relay station 1 810 during the first region 721. In addition, the terminal 830 receives a unicast traffic burst from the RS 2 820 during some resources of the second region 723.

또한, 직접 링크와 중계 링크 간의 원근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국 2에게 제 2 시간 영역 내의 일정 시간 영역이 할당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하기 도 9에서 도시한 기지국 프레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중계국 2는 할당받은 시간영역 내에서 하기 도 9에서 도시한 중계국 프레임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may assign the relay station 2 a predetermined time domain in the second time domain to avoid perspective interference between the direct link and the relay link.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frame shown in FIG. 9 is provided. The RS 2 provides the RS frame shown in FIG. 9 in the allocated time domain.

상술한 실시 예에서 셀 영역 직접 링크와 중계 링크 간의 원근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중계국 2와 단말 간의 통신영역을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1간의 통신 영역과 주파수 분할 다중화 형태로 구분하였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제 2 영역 내의 일부 시간 영역을 상기 중계국 2와 단말 간의 통신 영역으로 할당하여 기지국과 중계국 1 간의 통신 영역과 시간 다중화 분할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area between the relay station 2 and the terminal is divided into a communication area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1 and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orm in the second area in order to exclude perspective interference between the cell area direct link and the relay link. In another embodiment, some time domains in the second region may be allocated as a communication region between the relay station 2 and the terminal to distinguish the communication reg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1 and a time multiplexing divis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은 상기 기지국 프레임과 중계국 2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다.9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shows the structure of the base station frame and the relay station 2 frame.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영역(723)을 중계국 2의 중계 링크 영역(900, 920)과 중계국 1을 위한 기지국의 직접 링크 영역(910, 930)으로 시간 다중화하여 구분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계국 1에게 고정된 위치의 동기 채널을 포스트앰블 형태로 제공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이 시간 다중화하는 경우, 상기 중계국 2의 중계 링크 영역이 상기 중계국 1을 위한 기지국의 직접 링크 영역보다 앞서 위치한다.As shown in FIG. 9, the second region 723 is divided into time-division multiplexes between the relay link regions 900 and 920 of the relay station 2 and the direct link regions 910 and 930 of the base station for the relay station 1. As shown in FIG. Since the base station should provide a synchronization channel of a fixed position to the relay station 1 in the form of a postamble, in the case of time multiplexing as described above, the relay link region of the relay station 2 is positioned ahead of the direct link region of the base station for the relay station 1. do.

상기 기지국 프레임(700)에서 상기 기지국은 셀 내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상기 중계국 2 영역(900, 920) 은 상기 기지국과 상기 중계국 2 사이에서 재사용하지않는다. 단, 다수의 중계국 2 사이에서는 저전력의 송신 전력을 사용하여 재사용한다. 그러므로 기지국은 상기 중계국 1과는 상기 중계국 1 영역(910, 930) 동안 상기 중계국 1과 통신한다. In the base station frame 700, the base station 2 regions 900 and 920 do not reus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2 to exclude inter-cell interference. However, a plurality of relay stations 2 are reused using a low power transmission power. Therefore, the base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relay station 1 during the relay station 1 area 910, 930.

이때, 상기 중계국 1에 동기적인 동기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중계국 1 영역(910, 930)의 뒷 단에 동기 채널 또는 접속 채널을 할당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provide a synchronous channel to the relay station 1, a synchronization channel or an access channel is allocated to the rear end of the relay station 1 areas 910 and 930.

상기 중계국 2 프레임(710)에서 상기 중계국 2는 상기 중계국 2 영역(900, 920) 동안 상기 단말로 유니캐스트 트래픽 버스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중계국 2는 상기 중계국 1 영역(910, 930) 동안은 상기 셀 내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In the relay station 2 frame 710, the relay station 2 provides a unicast traffic burst to the terminal during the relay station 2 area 900,920. In addition, the RS 2 does not transmit a signal to exclude the intra-cell interference during the RS 1 region 910 and 930.

이하 설명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기지국, 중계국 1, 중계국 2 및 단말의 동작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dure of a base station, a relay station 1, a relay station 2, and a terminal when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the fr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7 will be describ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base st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기지국은 1001단계에서 채널 환경에 따라 각부프레임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구간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셀 영역 내에 중계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 2 영역을 위한 구간은 기지국의 포스트앰블 구간만으로 고려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base station first determines each subframe as a section between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ccording to a channel environment in step 1001. In this case, when there is no relay station in the cell region, the section for the second region may be considered as only the postamble section of the base station.

상기 각 프레임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 일정 시간 자원을 할당한 후, 상기 기지국은 10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 1 영역에서 직접 링크로 연결된 단말 또는 중계국 2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동기 채널 또는 접속 채널은 상기 제 1 영역의 앞 단에 위치시킨다. 단, 접속 채널은 상기와 같이 고정 위치가 아니라, 제어 정보를 통해 지정해줄 수 있다. After allocating each frame to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for a predetermined time resource,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1003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or relay station 2 directly connected in the first region. Here, the synchronization channel or the access channel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region. However, the access channel may be designated through control information instead of the fixed position as described above.

이후, 상기 기지국은 10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 2 영역에서 중계국 1과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국 1에 동기적인 동기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동기 채널 또는 접속 채널을 상기 제 2 영역의 뒷 단에 위치시킨다. 단, 접속 채널은 상기와 같이 고정 위치가 아니라, 제어 정보를 통해 지정해줄 수 있다. In step 1005, the base station communicates with the relay station 1 in the second region. Here, the synchronization channel or the access channel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area in order to provide a synchronous channel to the relay station 1. However, the access channel may be designated through control information instead of the fixed position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하향링크 구간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1 영역 동안 동기 채널, 제어 채널 및 트래픽 버스트를 상기 단말 또는 중계국 2로 전송하고, 상기 제 2 영역 동안 중계국 1로 제어 정보, 트래픽 버스트 및 동기 채널을 전송한다.For example, in the downlink period, the base station transmits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traffic burst to the terminal or the relay station 2 during the first region, and controls information, a traffic burst and Send a sync channel.

또한, 상향링크 구간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1 영역 동안 상기 단말 또는 중계국 2로부터 초기 레인징 정보 및 트래픽 버스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영역 동안 상기 중계국 1로부터 초기 레인징 정보 및 트래픽 버스트를 수신한다.Further, in the uplink period, the base station receives initial ranging information and traffic bursts from the terminal or relay station 2 during the first region, and receives initial ranging information and traffic bursts from the relay station 1 during the second region. Receive.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The base station then terminates this algorithm.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1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RS 1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중계국 1은 1101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제어정보와 상기 중계국 1의 중계 능력에 따라 상기 단방향 부프레임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중계국 1은 초기 접속 과정에서 단말처럼 동작한다. 즉, 상기 제 1 영역에서 통신하다가 중계 능력 협상 후 제 2 영역에서 기지국과 통신한다. Referring to FIG. 11, the RS 1 divides the unidirectional subframe into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ccor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capability of the RS 1 in step 1101. In this case, the relay station 1 operates like a terminal in an initial access process. That is, while communicating in the first area, after communicating with the relay capability, it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in the second area.

상기 각 단방향 부프레임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한 후, 상기 중계국 1은 11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중계국 1로부터 중계 서비 스를 제공받는 단말 또는 중계국 2와 통신을 수행한다.After dividing each unidirectional subframe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the relay station 1 proceeds to step 1103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or relay station 2 receiving the relay service from the relay station 1 in the first area. do.

이후, 상기 중계국 1은 11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중계국 1은 하향링크에서는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단말 또는 중계국 2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다. 또한, 상향링크에서는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단말 또는 중계국 2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한다.Subsequently, the relay station 1 proceeds to step 1105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in the second area. For example, the relay station 1 transmits a signal to the terminal or the relay station 2 in the first area in downlink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second area. In addition, the uplink receives a signal from the terminal or the relay station 2 in the first region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base station in the second region.

이후, 상기 중계국 1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The relay station 1 then terminates this algorithm.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국 2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RS 2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중계국 2는 1201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받은 제어정보와 상기 중계국 2의 중계 능력에 따라 상기 단방향 부프레임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정한다. Referring to FIG. 12, the RS 2 divides the unidirectional subframe into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ccor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BS and the relay capability of the RS 2 in step 1201.

상기 단방향 부프레임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한 후, 상기 중계국 2는 1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After dividing the unidirectional subframe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the RS 2 proceeds to step 1203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in the first area.

이후, 상기 중계국 2는 1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중계국 2를 통해 중계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Subsequently, the relay station 2 proceeds to step 1205 to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receiving the relay service through the relay station 2 in the second area.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중계국 2는 하향링크에서는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제 2 영역에서 단말로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상향링크에서는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다.For example, the relay station 2 receives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first area in downlink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terminal in the second area. In addition, uplink transmits a signal to the base station in the first region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terminal in the second region.

이후, 상기 중계국 2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Subsequently, the relay station 2 ends the present algorithm.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의 동작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 terminal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은 130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국 1과 통신을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terminal proceeds to step 1301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or relay station 1 in the first region.

이후, 상기 단말은 1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중계국 2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은 하향링크에서는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국 1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제 2 영역에서 상기 중계국 2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다. 또한, 상향링크에서는 상기 제 1 영역에서는 상기 기지국 또는 중계국 1로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 2 영역에서는 상기 중계국 2로 신호를 전송한다.In step 1303, the terminal communicates with the relay station 2 in the second region. For example, the terminal receives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or relay station 1 in the first region in the downlink,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relay station 2 in the second region. In the uplink,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or relay station 1 in the first region, and 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lay station 2 in the second region.

이후, 상기 단말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Thereafter, the terminal terminates the present algorithm.

상술한 실시 예는 시분할 복신 시스템을 예를 들어 상기 단방향 부프레임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시간 다중화하여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다른 실시 예로 주파수 분할 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방향 부프레임을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으로 구분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 과정과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 과정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통해 동시에 수행된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sequentially performed by time-multiplexing a system, for example, by time multiplexing the unidirectional subframe into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In another embodiment, when performing communication by dividing the unidirectional subframe into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in a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 the downlink subframe process and the uplink subframe process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through different frequency bands. Is performed.

이하 설명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지국과 중계국들은 하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블록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 설명은 하나의 송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1 및 중계국 2의 블록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설명은 하나의 송수신장치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하지만,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서로 다른 송수신장치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Hereinafter,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the fr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7 have the same block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describe a block configuration of the base station, relay station 1 and relay station 2 using one transcei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 examp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using one transceiver is described. However,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it may be implemented using a different transceiver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블록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14 is a block diagram of a base st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기지국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base st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상기 기지국은 송신 장치(1401), 수신 장치(1403), 타이밍 제어기(1405) 및 RF스위치(14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ase station includes a transmitting device 1401, a receiving device 1403, a timing controller 1405, and an RF switch 1407.

상기 송신 장치(1401)는 프레임 생성기(1409), 자원 매핑기(1411), 변조기(1413),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er)(14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ransmission device 1401 includes a frame generator 1409, a resource mapper 1411, a modulator 1413, and a digital / analog converter 1415.

상기 프레임 생성기(1409)는 상기 타이밍 제어기(1405)의 제어에 따라 동기 채널, 제어 채널 및 트래픽 버스트를 직접 링크로 연결된 단말, 중계국 1, 중계국 2에 전송하기 위한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 생성기(1409)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제 1 영역에서 상기 단말 또는 중계국 2로 전송하기 위한 부프레임을 구성하고, 제 2 영역에서는 상기 중계국 1로 전송하기 위한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이때, 동기 채널은 제 1 영역에서 앞 단에 위치시키고, 제 2 영역에서는 뒷 단에 위치시킨다. The frame generator 1409 configures a subframe for transmitt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traffic burst to a terminal, a relay station 1, and a relay station 2 connected by direct link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405. For example, the frame generator 1409 configures a subframe for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or RS 2 in a first region of a downlink subframe, and configures a subframe for transmitting to the RS 1 in a second region. do. At this time, the synchronization channel is positioned at the front end in the first region and at the rear end in the second region.

상기 자원 매핑기(1411)는 상기 프레임 생성기(1409)로부터 제공받은 각 부프레임들을 해당 링크의 버스트에 할당하여 출력한다.The resource mapper 1411 allocates each subframe provided from the frame generator 1409 to a burst of a corresponding link and outputs the subframes.

상기 변조기(1413)는 상기 자원 매핑기(1411)로부터 각 링크의 버스트에 할당된 부프레임들을 제공받아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한다. 여기서, 상기 변조방식으로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16QAM(16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64QA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modulator 1413 receives subframes allocated to the burst of each link from the resource mapper 1411 and modulates the subfram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odulation scheme. Here, the modulation scheme may be 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1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16QAM), or 64QAM.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415)는, 상기 변조기(1413)로부터 제공받은 변조된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F스위치(1407)로 출력한다.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1415 converts the modulated digital signal provided from the modulator 1413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to the RF switch 1407.

상기 수신 장치(1403)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 (1417), 복조기(1419), 자원 디매핑기(1421) 및 프레임 추출기(1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ceiving device 1403 includ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1417, a demodulator 1418, a resource demapper 1421, and a frame extractor 1423.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417)는 상기 RF스위치(1407)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의 제 1 영역 동안 상기 직접 링크로 연결된 단말 또는 중계국 2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제 2 영역 동안은 상기 중계국 1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다.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417 converts the analo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F switch 1407 into a digital signal. For example, a signal is received from a terminal or relay station 2 connected to the direct link during a first region of the uplink subframe, and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lay station 1 during the second region.

상기 복조기(1419)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417)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신호를 해당 복조 방식에 따라 복조하여 출력한다.The demodulator 1418 demodulates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provided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417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demodulation scheme.

상기 자원 디매핑기(1421)는 상기 복조기(1419)로부터 제공받은 각 링크의 버스트에 할당된 실제 부프레임들을 추출한다.The resource demapper 1421 extracts the actual subframes allocated to the burst of each link provided from the demodulator 1419.

상기 프레임 추출기(1423)는 상기 자원 디매핑기(1421)로부터 제공되는 부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부프레임을 추출한다. The frame extractor 1423 extracts a subframe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from the subframe provided from the resource demapper 1421.

상기 RF스위치(1407)는 상기 타이밍 제어기(1405)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 중계국 1, 중계국 2와 송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송신기(1401)와 수신기(1403)로 연결한다.The RF switch 1407 connects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with the terminal, the relay station 1, and the relay station 2 to the transmitter 1401 and the receiver 1403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405.

상기 타이밍 제어기(1405)는 상기 단말 또는 중계국 2와 통신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중계국 1과 통신하는 제 2 영역의 송수신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타이밍 제어기(1405)는 하향링크 구간에서 상기 제 1 영역의 앞 단과 상기 제 2 영역의 뒷 단에 동기 채널이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The timing controller 1405 controls transmission / reception timing of the first area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or relay station 2 and the second area communicating with relay station 1. In this case, the timing controller 1405 controls the synchronization channel to be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area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area in the downlink period.

다음으로 상기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중계국 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중계국 1은 송신 장치(1401), 수신 장치(1403), 타이밍 제어기(1405) 및 RF스위치(14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station 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relay station 1 includes a transmitting device 1401, a receiving device 1403, a timing controller 1405, and an RF switch 1407.

상기 송신 장치(1401)는 프레임 생성기(1409), 자원 매핑기(1411), 변조기(1413),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er)(14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ransmission device 1401 includes a frame generator 1409, a resource mapper 1411, a modulator 1413, and a digital / analog converter 1415.

상기 프레임 생성기(1409)는 상기 타이밍 제어기(1405)의 제어에 따라 동기 채널, 제어 채널 및 트래픽 버스트를 중계 링크로 연결된 단말, 중계국 2에 전송하기 위한 부프레임과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 기 프레임 생성기(1409)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제 1 영역 동안 상기 단말 또는 중계국 2로 전송하기 위한 부프레임을 구성하고, 상향링크 부프레임의 제 2 영역 동안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이때, 접속 채널(Ranging)은 제 2 영역에서는 뒷 단에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접속 채널이 고정된 위치를 갖지 않는 경우,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지정한다.The frame generator 1409 configures a subframe for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and a subframe for transmitt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traffic burst to a terminal connected to a relay link, and a relay station 2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405. do. For example, the frame generator 1409 configures a subframe for transmitting to the UE or RS 2 during a first region of a downlink subframe, and transmits to the base station during a second region of an uplink subframe. Configure the subframe for At this time, the access channel (Ranging) is located at the rear end in the second region. Here, when the access channel does not have a fixed position, the position is designated using control information.

상기 자원 매핑기(1411)는 상기 프레임 생성기(1409)로부터 제공받은 각 부프레임들을 해당 링크의 버스트에 할당하여 출력한다.The resource mapper 1411 allocates each subframe provided from the frame generator 1409 to a burst of a corresponding link and outputs the subframes.

상기 변조기(1413)는 상기 자원 매핑기(1411)로부터 각 링크의 버스트에 할당된 부프레임들을 제공받아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한다. The modulator 1413 receives subframes allocated to the burst of each link from the resource mapper 1411 and modulates the subfram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odulation scheme.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415)는, 상기 변조기(1413)로부터 제공받은 변조된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F스위치(1407)로 출력한다.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1415 converts the modulated digital signal provided from the modulator 1413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to the RF switch 1407.

상기 수신 장치(1403)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 (1417), 복조기(1419), 자원 디매핑기(1421) 및 프레임 추출기(1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ceiving device 1403 includ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1417, a demodulator 1418, a resource demapper 1421, and a frame extractor 1423.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417)는 상기 RF스위치(1407)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1 영역 동안 상기 중계링크로 연결된 단말 또는 중계국 2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2 영역 동안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다.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417 converts the analo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F switch 1407 into a digital signal. For example, a signal is received from a terminal or relay station 2 connected to the relay link during the first region of the uplink subframe, and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during the second region of the downlink subframe.

상기 복조기(1419)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417)로부터 제공받은 디 지털 신호를 해당 복조 방식에 따라 복조하여 출력한다.The demodulator 1419 demodulates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provided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417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demodulation scheme.

상기 자원 디매핑기(1421)는 상기 복조기(1419)로부터 제공받은 각 링크의 버스트에 할당된 실제 부프레임들을 추출한다.The resource demapper 1421 extracts the actual subframes allocated to the burst of each link provided from the demodulator 1419.

상기 프레임 추출기(1423)는 상기 자원 디매핑기(1421)로부터 제공되는 부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부프레임을 추출한다. The frame extractor 1423 extracts a subframe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from the subframe provided from the resource demapper 1421.

상기 RF스위치(1407)는 상기 타이밍 제어기(1405)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기직국, 단말, 및 중계국 2와 송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송신기(1401)와 수신기(1403)로 연결한다.The RF switch 1407 connects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with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and the relay station 2 to the transmitter 1401 and the receiver 1403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405.

상기 타이밍 제어기(1405)는 상기 단말 또는 중계국 2와 통신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는 제 2 영역의 송수신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타이밍 제어기(1405)는 상향링크 구간에서 상기 제 2 영역의 뒷 단에 접속 채널이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The timing controller 1405 controls transmission / reception timing of the first area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or relay station 2 and the second area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In this case, the timing controller 1405 controls the access channel to be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area in the uplink period.

마지막으로 상기 도 14를 이용하여 상기 중계국 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Finally, the configuration of the relay station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중계국 2는 송신 장치(1401), 수신 장치(1403), 타이밍 제어기(1405) 및 RF스위치(140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lay station 2 includes a transmitting device 1401, a receiving device 1403, a timing controller 1405, and an RF switch 1407.

상기 송신 장치(1401)는 프레임 생성기(1409), 자원 매핑기(1411), 변조기(1413),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igital/Analog Converter)(14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ransmission device 1401 includes a frame generator 1409, a resource mapper 1411, a modulator 1413, and a digital / analog converter 1415.

상기 프레임 생성기(1409)는 상기 타이밍 제어기(1405)의 제어에 따라 트래 픽 버스트를 중계링크로 연결된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부프레임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 생성기(1409)는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제 1 영역 동안 상기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부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의 제 2 영역에서는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The frame generator 1409 configures a subframe for transmitting a traffic burst to a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relay link and a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405. For example, the frame generator 1409 configures a subframe for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during the first region of the downlink subframe, and a subframe for transmitting to the base station in the second region of the uplink subframe. Construct a frame.

상기 자원 매핑기(1411)는 상기 프레임 생성기(1409)로부터 제공받은 각 부프레임들을 해당 링크의 버스트에 할당하여 출력한다.The resource mapper 1411 allocates each subframe provided from the frame generator 1409 to a burst of a corresponding link and outputs the subframes.

상기 변조기(1413)는 상기 자원 매핑기(1411)로부터 각 링크의 버스트에 할당된 부프레임들을 제공받아 미리 정해진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한다. The modulator 1413 receives subframes allocated to the burst of each link from the resource mapper 1411 and modulates the subfram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odulation scheme.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1415)는, 상기 변조기(1413)로부터 제공받은 변조된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RF스위치(1407)로 출력한다.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1415 converts the modulated digital signal provided from the modulator 1413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analog signal to the RF switch 1407.

상기 수신 장치(1403)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Digital Converter) (1417), 복조기(1419), 자원 디매핑기(1421) 및 프레임 추출기(14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ceiving device 1403 includ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1417, a demodulator 1418, a resource demapper 1421, and a frame extractor 1423.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417)는 상기 RF스위치(1407)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1 영역 동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 상향링크 부프레임의 제 2 영역 동안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다.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417 converts the analo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F switch 1407 into a digital signal. For example,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during the first region of the downlink subframe and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uring the second region of the uplink subframe.

상기 복조기(1419)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417)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신호를 해당 복조 방식에 따라 복조하여 출력한다.The demodulator 1418 demodulates and outputs the digital signal provided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1417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demodulation scheme.

상기 자원 디매핑기(1421)는 상기 복조기(1419)로부터 제공받은 각 링크의 버스트에 할당된 실제 부프레임들을 추출한다.The resource demapper 1421 extracts the actual subframes allocated to the burst of each link provided from the demodulator 1419.

상기 프레임 추출기(1423)는 상기 자원 디매핑기(1421)로부터 제공되는 부프레임에서 상기 기지국에 해당하는 부프레임을 추출한다. The frame extractor 1423 extracts a subframe corresponding to the base station from the subframe provided from the resource demapper 1421.

상기 RF스위치(1407)는 상기 타이밍 제어기(1405)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단말, 및 기지국과 송수신하는 신호를 상기 송신기(1401)와 수신기(1403)로 연결한다.The RF switch 1407 connects a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with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to the transmitter 1401 and the receiver 1403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405.

상기 타이밍 제어기(1405)는 상기 기지국 통신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단말과 통신하는 제 2 영역의 송수신 타이밍을 제어한다. The timing controller 1405 controls transmission and reception timing of the first area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and the second area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상술한 실시 예는 2 홉 중계 방식을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하 설명은,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이 하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홉으로 구성되는 경우, 동기화된 동기 채널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with an example of a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two-hop relay method.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bes a method for providing a synchronized synchronization channel whe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is configured with multiple hops as shown in FIG. 15.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15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1501)은 단말(1519)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개의 중계기들(1511, 1513, 1515, 1517)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1519)과의 통신 링크를 설정한다.As illustrated in FIG. 15, the base station 1501 establishes a communication link with the terminal 1519 using a plurality of repeaters 1511, 1513, 1515, and 1517 to provide a service to the terminal 1519. Set it.

이때, 상기 중계기들(1511, 1513, 1515, 1517)은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1501)을 0홉 링크 중계국으로 설정하는 경 우, 상기 제 1 그룹은 짝수 홉 링크 그룹으로 상기 기지국(1501), 제 2 중계국(1513), 제 4 중계국(1517)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그룹은 홀수 홉 링크 그룹으로 상기 제 1 중계국(1511), 제 3 중계국(1515) 등을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repeaters 1511, 1513, 1515, and 1517 may be divided into a first group and a second group. For example, when the base station 1501 is set as a 0-hop link relay station, the first group is an even hop link group, and the base station 1501, the second relay station 1513, the fourth relay station 1517, and the like. It includes. In addition, the second group is an odd hop link group including the first relay station 1511, the third relay station 1515, and the like.

만일, 상기 기지국(1501)을 0홉 링크 중계국으로 설정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1 그룹은 홀수 홉 링크 그룹으로 상기 제 1 중계국(1511), 제 3 중계국(1515)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 2 그룹은 짝수 홉 링크 그룹으로 상기 제 2 중계국(1513), 제 4 중계국(1517) 등을 포함한다.If the base station 1501 is not set as a 0-hop link relay station, the first group includes the first relay station 1511, the third relay station 1515, and the like as an odd hop link group. In addition, the second group is an even hop link group and includes the second relay station 1513, the fourth relay station 1517, and the lik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이 다중 홉 링크를 제 1 그룹과 제 2 그룹으로 구성되는 경우, 하기 도 16 ~ 도 21과 같이 구성되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 설명에서 하나의 프레임의 하향링크 부프레임과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분리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설명은 상기 홀수 홉 링크 중계국 그룹이 제 1 그룹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multi-hop link formed of a first group and a second group,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a frame configured as shown in FIGS. 16 to 21.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ownlink subframe and an uplink subframe of one frame are separated and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odd-hop link relay station group is the first group.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하향링크 부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16 illustrates a downlink subfram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은 제 1 영역(1601), 제 2 영역(1603), 제 3 영역(1605)으로 시간 다중화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6, the downlink subframe is time multiplexed into a first region 1601, a second region 1603, and a third region 1605.

먼저 기지국의 프레임(1610)은 제 1 영역(1601)과 제 2 영역(1603) 동안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영역(1603)은 제 1 그룹 중계국이 상기 제 2 그룹 중계국으 로 전송하는 신호가 상기 단말에 심한 간섭의 영향을 미칠 경우, 널(Null)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1601)은 도 17에 도시된 기지국 프레임(1710)의 제 1 영역(1701)과 같이 상기 단말을 위한 동기 채널, 제어 채널과 하향링크 버스트로 구성된다. 만일, 상기 제 2 영역(1603) 동안 상기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 프레임(1710)의 제 2 영역(1703)과 같이 하향링크 버스트로 구성된다.First, the frame 1610 of the base station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during the first region 1601 and the second region 1603. In this case, the second region 1603 may be configured to be null whe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to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has a severe interference effect on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1601 is composed of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downlink burst for the terminal, like the first region 1701 of the base station frame 1710 illustrated in FIG. 17. If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s configured during the second region 1603, the downlink subframe is configured as a downlink burst like the second region 1703 of the base station frame 1710.

이후, 상기 기지국의 프레임(1610)은 상기 제 3 영역(1605)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1 중계국으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영역(1605)은 상기 도 17에 도시된 기지국 프레임(1710)의 제 3 영역(1705)과 같이 제어 채널, 하향링크 버스트, 상기 제 1 중계국을 위한 동기 채널로 구성된다.Thereafter, the frame 1610 of the base station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1605. For example, the third region 1605 is composed of a control channel, a downlink burst, and a synchronization channel for the first relay station like the third region 1705 of the base station frame 1710 illustrated in FIG. 17. .

다음으로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1 중계국의 프레임(1620)은 제 1 영역(1601) 동안 상기 제 1 중계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1601)은 도 17에 도시된 제 1 그룹 중계국 프레임(1720)의 제 1 영역(1701)과 같이 상기 단말을 위한 동기 채널, 제어 채널과 하향링크 버스트로 구성된다.Next, the frame 1620 of the first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first relay station during the first region 1601.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1601 is composed of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downlink burst for the terminal as in the first region 1701 of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frame 1720 illustrated in FIG. 17. .

이후, 상기 제 1 중계국의 프레임(1620)은 상기 제 2 영역(1603) 동안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제 2 중계국으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즉, 상기 제 2 영역(1603)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중계국들은 상기 제 2 그룹에 포 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들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1603)은 도 17에 도시된 제 1 그룹 중계국 프레임(1720)의 제 2 영역(1703)과 같이 제어 채널, 하향링크 버스트, 상기 제 2 중계국을 위한 동기 채널로 구성된다. Thereafter, the frame 1620 of the first relay station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1603. That is, the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1603 constitute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next hop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For example, the second region 1603 may be a control channel, a downlink burst, and a synchronization channel for the second relay station like the second region 1703 of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frame 1720 illustrated in FIG. 17. It is composed.

이후, 상기 제 1 중계국의 프레임(1620)은 상기 제 3 영역(1605) 동안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즉, 상기 제 3 영역(1605)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중계국들은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들로부터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Thereafter, the frame 1620 of the first relay station receives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during the third region 1605. That is,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1605 receive downlink subframes from previous hop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이때, 상기 제 2 영역(1603)과 제 3 영역(1605) 사이에는 상기 제 1 중계국의 동작 전환을 위한 시간 보호 영역인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중계국은 상기 제 2 영역(1603)에서 상기 제 2 중계국을 위한 동기 채널을 상기 TTG 이전 구간 동안 상기 제 2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At this time, a TTG (Transmit / Receive Transition Gap), which is a time protection area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station, exists between the second area 1603 and the third area 1605. Accordingly, the first relay station transmits a synchronization channel for the second relay station in the second area 1603 to the second relay station during the period before the TTG.

다음으로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제 2 중계국의 프레임(1630)은 제 1 영역(1601) 동안 상기 제 2 중계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1601)은 도 17에 도시된 제 2 그룹 중계국 프레임(1730)의 제 1 영역(1701)과 같이 상기 단말을 위한 동기 채널, 제어 채널과 하향링크 버스트로 구성된다.Next, the frame 1630 of the second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second relay station during the first region 1601.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1601 is composed of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downlink burst for the terminal, like the first region 1701 of the second group RS station frame 1730 illustrated in FIG. 17. .

이후, 상기 제 2 중계국의 프레임(1630)은 상기 제 2 영역(1603) 동안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1 중계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즉, 상 기 제 2 영역(1603) 동안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중계국들은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들로부터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Thereafter, the frame 1630 of the second relay station receives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he first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1603. That is, the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1603 receive downlink subframes from previous hop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이후, 상기 제 2 중계국의 프레임(1630)은 상기 제 3 영역(1605)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3 중계국으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즉, 상기 제 3 영역(1605) 동안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중계국들은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들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영역(1605)은 도 17에 도시된 제 2 그룹 중계국 프레임(1730)의 제 3 영역(1705)과 같이 제어 채널, 하향링크 버스트, 상기 제 3 중계국을 위한 동기 채널로 구성된다. Thereafter, the frame 1630 of the second relay station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a third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1605. That is, the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1605 constitute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next hop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For example, the third region 1605 may be a control channel, a downlink burst, and a synchronization channel for the third relay station like the third region 1705 of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frame 1730 illustrated in FIG. 17. It is composed.

이때, 상기 제 2 중계국의 프레임(1630)은 제 1 영역(1601)과 제 2 영역 (1603) 사이에는 상기 제 2 중계국의 동작 전환을 위한 시간 보호 영역인 TTG가 존재하고, 제 2 영역(1603)과 제 3 영역(1605) 사이에는 상기 제 2 중계국의 동작 전환을 위한 시간 보호 영역인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가 존재한다.In this case, in the frame 1630 of the second relay station, a TTG, which is a time protection area for switching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station, exists between the first region 1601 and the second region 1603, and the second region 1603 ) And a third region 1605, a RTG (Receive / Transmit Transition Gap), which is a time protection region for the operation switching of the second relay station, is present.

미 도시되었지만, 종단 링크 중계국이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동안 상기 중계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영역은 제 1 그룹 중계국이 상기 제 2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가 상기 단말에 심한 간섭의 영향을 미칠 경우, 널(Null)로 구성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when an end link relay station i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relay station is configured dur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n this case, the second region may be configured to be null whe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to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has severe interference effects on the terminal.

이후,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 3 영역 동안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들로부터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Thereafter, the RS receives a downlink subframe from previous hop RS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또한, 상기 종단 링크 중계국이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과 제 3 영역 동안 상기 중계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영역은 제 1 그룹 중계국이 상기 제 2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가 상기 단말에 심한 간섭의 영향을 미칠 경우, 널(Null)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end-link relay station i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relay station during the first area and the third area. In this case, the third region may be configured to be null whe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to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has a severe interference effect on the terminal.

이후,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 2 영역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들로부터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Thereafter, the RS receives a downlink subframe from previous hop RS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하향링크 부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18 illustrates a downlink subfram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은 제 1 영역(1801), 제 2 영역(1803), 제 3 영역(1805)으로 시간 다중화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8, the downlink subframe is time multiplexed into a first region 1801, a second region 1803, and a third region 1805.

먼저 기지국의 프레임(1810)은 제 1 영역(1801)동안과 제 3 영역(1805) 동안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영역(1805)은 제 1 그룹 중계국이 상기 제 2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가 상기 단말에 심한 간섭의 영향을 미칠 경우, 널(Null)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1801)은 도 19에 도시된 기지국 프레임(1910)의 제 1 영역(1901)과 같이 상기 단말을 위한 동기 채널, 제어 채널과 하향링크 버스트로 구성된다. 만일, 상기 제 3 영역(1805) 동안 상기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1801)과 동일하게 구성된다.First, the frame 1810 of the base station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during the first region 1801 and the third region 1805. In this case, the third region 1805 may be configured to be null whe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to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has a severe interference effect on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1801 is composed of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downlink burst for the terminal, like the first region 1901 of the base station frame 1910 illustrated in FIG. 19. If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s configured during the third region 1805, the same configuration is performed as the first region 1801.

이후, 상기 기지국의 프레임(1810)은 상기 제 2 영역(1803)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1 중계국으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1803)은 상기 도 19에 도시된 기지국 프레임(1910)의 제 2 영역(1903)과 같이 제어 채널, 하향링크 버스트, 상기 제 1 중계국을 위한 동기 채널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1 중계국의 프레임(1820)의 제 2 영역(1803)과 제 3 영역(1805) 사이에는 시간 보호 영역인 RTG가 존재하므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2 영역(1803)에서 상기 제 1 중계국을 위한 동기 채널을 상기 RTG 이전 구간 동안 상기 제 1 중계국으로 전송한다. Thereafter, the frame 1810 of the base station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1803. For example, the second region 1803 includes a control channel, a downlink burst, and a synchronization channel for the first relay station, like the second region 1901 of the base station frame 1910 shown in FIG. 19. . In this case, since the RTG, which is a time protection region, exists between the second region 1803 and the third region 1805 of the frame 1820 of the first relay station, the base station determines the first relay station in the second region 1803. The synchronization channel for transmits to the first relay station during the pre-RTG interval.

다음으로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1 중계국의 프레임(1820)은 제 1 영역(1801) 동안 상기 제 1 중계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1801)은 도 19에 도시된 제 1 그룹 중계국 프레임(1920)의 제 1 영역(1901)과 같이 상기 단말을 위한 동기 채널, 제어 채널과 하향링크 버스트로 구성된다.Next, the frame 1820 of the first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first relay station during the first area 1801.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1801 is composed of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downlink burst for the terminal, like the first region 1901 of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frame 1920 shown in FIG. 19. .

이후, 상기 제 1 중계국의 프레임(1820)은 상기 제 2 영역(1803) 동안 상기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Thereafter, the frame 1820 of the first relay station receives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during the second region 1803.

이후, 상기 제 1 중계국의 프레임(1820)은 상기 제 3 영역(1805) 동안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제 2 중계국으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즉, 상기 제 3 영역(1805)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중계국들은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들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 기 제 3 영역(1805)은 도 19에 도시된 제 1 그룹 중계국 프레임(1920)의 제 3 영역(1905)과 같이 제어 채널, 하향링크 버스트, 상기 제 2 중계국을 위한 동기 채널로 구성된다. Thereafter, the frame 1820 of the first relay station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1805. That is, the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1805 configure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next hop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For example, the third region 1805 may be a control channel, a downlink burst, and a synchronization channel for the second relay station like the third region 1905 of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frame 1920 shown in FIG. 19. It consists of.

이때, 상기 제 1 중계국의 프레임(1830)은 제 1 영역(1801)과 제 2 영역 (1803) 사이에는 상기 제 1 중계국의 동작 전환을 위한 시간 보호 영역인 TTG가 존재하고, 제 2 영역(1803)과 제 3 영역(1805) 사이에는 상기 제 1 중계국의 동작 전환을 위한 시간 보호 영역인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가 존재한다.In this case, in the frame 1830 of the first relay station, a TTG, which is a time protection region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station, exists between the first region 1801 and the second region 1803, and the second region 1803 ) And a third region 1805, a RTG (Receive / Transmit Transition Gap), which is a time protection region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station.

다음으로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제 2 중계국의 프레임(1830)은 제 1 영역(1801) 동안 상기 제 2 중계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영역(1801)은 도 19에 도시된 제 2 그룹 중계국 프레임(1930)의 제 1 영역(1901)과 같이 상기 단말을 위한 동기 채널, 제어 채널과 하향링크 버스트로 구성된다.Next, the frame 1830 of the second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second relay station during the first area 1801.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1801 is composed of a synchronization channel, a control channel, and a downlink burst for the terminal, like the first region 1901 of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frame 1930 illustrated in FIG. 19. .

이후, 상기 제 2 중계국의 프레임(1830)은 상기 제 2 영역(1803)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3 중계국으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즉, 상기 제 2 영역(1803) 동안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중계국들은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들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영역(1803)은 도 19에 도시된 제 2 그룹 중계국 프레임(1930)의 제 2 영역(1903)과 같이 제어 채널, 하향링크 버스트, 상기 제 3 중계국을 위한 동기 채널로 구성된다. Thereafter, the frame 1830 of the second relay station configures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a third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1803. That is, the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1803 constitute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next hop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For example, the second region 1803 may be a control channel, a downlink burst, and a synchronization channel for the third relay station like the second region 1901 of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frame 1930 shown in FIG. 19. It is composed.

이후, 상기 제 2 중계국의 프레임(1830)은 상기 제 3 영역(1805) 동안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1 중계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즉, 상기 제 3 영역(1805) 동안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중계국들은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들로부터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Thereafter, the frame 1830 of the second relay station receives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he first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1805. That is,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1805 receive downlink subframes from previous hop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미 도시되었지만, 종단 링크 중계국이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제 1 영역과 제 3 영역 동안 상기 중계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영역은 제 1 그룹 중계국이 상기 제 2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가 상기 단말에 심한 간섭의 영향을 미칠 경우, 널(Null)로 구성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when an end link relay station i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relay station is configured during the first area and the third area. In this case, the third region may be configured to be null whe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to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has a severe interference effect on the terminal.

이후, 상기 중계국은 제 2 영역 동안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들로부터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Thereafter, the RS receives a downlink subframe from previous hop RS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만일, 상기 종단 링크 중계국이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동안 상기 중계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영역은 제 1 그룹 중계국이 상기 제 2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가 상기 단말에 심한 간섭의 영향을 미칠 경우, 널(Null)로 구성할 수도 있다.If the end-link relay station i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a down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relay station dur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configured. In this case, the second region may be configured to be null whe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to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has severe interference effects on the terminal.

이후, 상기 중계국은 제 3 영역 동안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들로부터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Thereafter, the RS receives a downlink subframe from previous hop RS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 통 신시스템의 상향링크 부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20 illustrates an uplink subfram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향링크 부프레임은 제 1 영역(2001), 제 2 영역(2003), 제 3 영역(2005)으로 시간 다중화된다. As shown in FIG. 20, the uplink subframe is time multiplexed into a first region 2001, a second region 2003, and a third region 2005.

먼저 기지국의 프레임(2010)은 제 1 영역(2001)과 제 2 영역(2003) 동안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여기서, 상기 제 2 영역(2003)은 제 2 그룹 중계국이 상기 제 1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가 상기 기지국에 심한 간섭의 영향을 미칠 경우, 널(Null)로 구성할 수도 있다. First, the frame 2010 of the base station receives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he UE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during the first area 2001 and the second area 2003. Here, the second area 2003 may be configured to be null whe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to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affects the base station severely.

이후, 상기 기지국의 프레임(2010)은 상기 제 3 영역(2005)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1 중계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Thereafter, the frame 2010 of the base station receives an uplink subframe from the first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2005.

다음으로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1 중계국의 프레임(2020)은 제 1 영역(2001) 동안 상기 제 1 중계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Next, the frame 2020 of the first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receives an uplink subframe from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first relay station during the first area 2001.

이후, 상기 제 1 중계국의 프레임(2020)은 상기 제 2 영역(2003) 동안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제 2 중계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즉, 상기 제 2 영역(2003)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중계국들은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들로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Thereafter, the frame 2020 of the first relay station receives an uplink subframe from the second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2003. That is,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second area 2003 receive an uplink subframe from next hop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이후, 상기 제 1 중계국의 프레임(2020)은 상기 제 3 영역(2005) 동안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즉, 상기 제 3 영역(2005)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중계국들은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들로 전송할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Thereafter, the frame 2020 of the first relay station configures an up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during the third region 2005. That is, the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2005 constitute an up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previous hop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이때, 상기 제 2 영역(2003)과 제 3 영역(2005) 사이에는 상기 제 1 중계국의 동작 전환을 위한 시간 보호 영역인 RTG이 존재한다. At this time, between the second area 2003 and the third area 2005, there is an RTG which is a time protection area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station.

다음으로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제 2 중계국의 프레임(2030)은 제 1 영역(2001) 동안 상기 제 2 중계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Next, the frame 2030 of the second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receives an uplink subframe from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second relay station during the first area 2001.

이후, 상기 제 2 중계국의 프레임(2030)은 상기 제 2 영역(2003) 동안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1 중계국으로 전송할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즉, 상기 제 2 영역(2003) 동안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중계국들은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들로 전송할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Thereafter, the frame 2030 of the second relay station configures an up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2003. That is, the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2003 form an up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previous hop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이후, 상기 제 2 중계국의 프레임(2030)은 상기 제 3 영역(2005)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3 중계국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즉, 상기 제 3 영역(2005) 동안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중계국들은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들로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Thereafter, the frame 2030 of the second relay station receives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by a third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2005. That is,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2005 receive an uplink subframe from next hop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이때, 상기 제 2 중계국의 프레임(2030)은 제 1 영역(2001)과 제 2 영역 (2003) 사이에는 상기 제 2 중계국의 동작 전환을 위한 시간 보호 영역인 RTG가 존재하고, 제 2 영역(2003)과 제 3 영역(2005) 사이에는 상기 제 2 중계국의 동작 전환을 위한 시간 보호 영역인 TTG가 존재한다.In this case, in the frame 2030 of the second relay station, RTG, which is a time protection region for switching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station, exists between the first region 2001 and the second region 2003, and the second region 2003 And TTG, which is a time protection area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elay station, exists between the third area 2005 and the third area 2005.

미 도시되었지만, 상기 종단 링크 부프레임이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중계국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동안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여기서, 상기 제 2 영역은 제 2 그룹 중계국이 상기 제 1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가 상기 중계국에 심한 간섭의 영향을 미칠 경우, 널(Null)로 구성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when the end link subframe i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the RS receives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he UE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dur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Here, the second region may be configured to be null whe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to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has a severe interference effect on the relay station.

이후,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 3 영역 동안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으로 전송할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Thereafter, the RS configures an up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previous hop R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만일, 상기 종단 링크 부프레임이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중계국은 제 1 영역과 제 3 영역 동안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여기서, 상기 제 3 영역은 제 2 그룹 중계국이 상기 제 1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가 상기 중계국에 심한 간섭의 영향을 미칠 경우, 널(Null)로 구성할 수도 있다. If the end link subframe i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the RS receives the up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he UE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during the first area and the third area. Here, the third region may be configured to be null whe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to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affects the relay station severely.

이후,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 2 영역 동안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으로 전송할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Thereafter, the RS configures an up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previous hop R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접속 통신시스템의 상향링크 부프레임의 동기 채널을 도시하고 있다. 21 illustrates a synchronization channel of an uplink subfram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향링크 부프레임은 제 1 영역(2101), 제 2 영역(2103), 제 3 영역(2105)으로 시간 다중화된다. As illustrated in FIG. 21, the downlink subframe is time multiplexed into a first region 2101, a second region 2103, and a third region 2105.

먼저 기지국의 프레임(2110)은 제 1 영역(2101)동안과 제 3 영역(2105) 동안 상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들로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여기서, 상기 제 3 영역(2105)은 제 2 그룹 중계국이 상기 제 1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가 상기 기지국에 심한 간섭의 영향을 미칠 경우, 널(Null)로 구성할 수도 있다. First, the frame 2110 of the base station receives an uplink subframe from terminals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during the first area 2101 and the third area 2105. Here, the third region 2105 may be configured to be null whe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to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affects the base station severely.

이후, 상기 기지국의 프레임(2110)은 상기 제 2 영역(2103)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1 중계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Thereafter, the frame 2110 of the base station receives an uplink subframe from the first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2103.

다음으로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1 중계국의 프레임(2120)은 제 1 영역(2101) 동안 상기 제 1 중계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Next, the frame 2120 of the first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receives an uplink subframe from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first relay station during the first area 2101.

이후, 상기 제 1 중계국의 프레임(2120)은 상기 제 2 영역(2103) 동안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할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즉, 상기 제 2 영역(2103)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중계국들은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들로 전송할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Thereafter, the frame 2120 of the first relay station configures an up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during the second area 2103. That is, the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second area 2103 configure an up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previous hop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이후, 상기 제 1 중계국의 프레임(2120)은 상기 제 3 영역(2105) 동안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제 2 중계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Thereafter, the frame 2120 of the first relay station receives an uplink subframe from the second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2105.

이때, 상기 제 1 중계국의 프레임(2130)은 제 1 영역(2101)과 제 2 영역 (2103) 사이에는 상기 제 1 중계국의 동작 전환을 위한 시간 보호 영역인 RTG가 존재하고, 제 2 영역(2103)과 제 3 영역(2105) 사이에는 상기 제 1 중계국의 동작 전환을 위한 시간 보호 영역인 TTG가 존재한다.In this case, in the frame 2130 of the first relay station, RTG, which is a time protection area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station, exists between the first region 2101 and the second region 2103, and the second region 2103. And TTG, which is a time protection area for switch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relay station, is located between the C2 and the third area 2105.

다음으로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제 2 중계국의 프레임(2130)은 제 1 영역(2101) 동안 상기 제 2 중계국의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로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Next, the frame 2130 of the second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receives an uplink subframe from the terminal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second relay station during the first area 2101.

이후, 상기 제 2 중계국의 프레임(2130)은 상기 제 2 영역(2103) 동안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3 중계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즉, 상기 제 2 영역(2103) 동안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중계국들은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들로부터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Thereafter, the frame 2130 of the second relay station receives an uplink subframe from a third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second area 2103. That is,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second area 2103 receive an uplink subframe from the next hop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이후, 상기 제 2 중계국의 프레임(2130)은 상기 제 3 영역(2105) 동안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제 1 중계국으로 전송할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 즉, 상기 제 3 영역(2105) 동안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중계국들은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들로부터 전송할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Thereafter, the frame 2130 of the second relay station configures an up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2105. That is, the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2105 constitute an up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from previous hop relay station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미 도시되었지만, 상기 종단 링크 부프레임이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중계국은 제 1 영역과 제 3 영역 동안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여기서, 상기 제 3 영역은 제 2 그룹 중계국이 상기 제 1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가 상기 중계국에 심한 간섭의 영향을 미칠 경우, 널(Null)로 구성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when the end link subframe i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the RS receives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he UE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during the first area and the third area. Here, the third region may be configured to be null whe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to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affects the relay station severely.

이후,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 2 영역 동안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으로 전송할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Thereafter, the RS configures an up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previous hop R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during the second region.

만일, 상기 종단 링크 부프레임이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중계국 은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동안 서비스 영역에 포함되는 단말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수신받는다. 여기서, 상기 제 2 영역은 제 2 그룹 중계국이 상기 제 1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신호가 상기 중계국에 심한 간섭의 영향을 미칠 경우, 널(Null)로 구성할 수도 있다. If the end link subframe is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the RS receives the uplink subframe transmitted by the UE included in the service area during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Here, the second region may be configured to be null when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to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has a severe interference effect on the relay station.

이후, 상기 중계국은 상기 제 3 영역 동안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으로 전송할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한다.Thereafter, the RS configures an uplink subframe to be transmitted to the previous hop R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third region.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도 16에 도시된 하향링크 부프레임은 상기 도 20 또는 도 21에 도시된 상향링크 부프레임과 결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상기 도 18에 도시된 하향링크 부프레임은 상기 도 20 또는 도 21에 도시된 상향링크 부프레임과 결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the downlink subframe illustrated in FIG. 16 may be combined with the uplink subframe illustrated in FIG. 20 or 21 to form one frame. Also, i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the downlink subframe illustrated in FIG. 18 may be combined with the uplink subframe illustrated in FIG. 20 or 21 to form one frame.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다중 홉 중계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단말과 중계국으로 동기화된 동기 제어 채널을 제공하여 상기 중계국의 이동에 따른 동기화 및 셀 탐색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셀 내 중계 통신과 직접 통신을 시간 다중화함으로써, 상기 셀 내에서 중계 통신과 직접 통신 간의 윈근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 synchronization control channel synchronized with a terminal and a relay station can be provided to easily perform synchronization and cell search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relay station, and relay communication within a cell. By time multiplexing the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cell,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in-win interference between the relay communication and the direct communication in the cell can be excluded.

Claims (55)

다중 홉 중계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부프레임 구성 방법에 있어서,A subframe configuration method for supporting a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 동안, 기지국과 단말 또는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Configuring a subfram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or a relay station that does not provide a synchronization channel during the first period of the subframe; 상기 부프레임의 제 2 구간 동안, 상기 기지국과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configuring a subfram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a relay station provid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during the second period of the subfram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은, 시간자원 또는 주파수 자원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of the subframe,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time resources or frequency resource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은, 고정적인 크기를 갖거나, 채널 환경에 따라 동적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of the subframe may have a fixed size or have a dynamic size according to a channel environme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1 구간의 앞 단과 상기 제 2 구간의 뒷 단에 동기 채널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 synchronization channel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section of the downlink subfram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1 구간의 앞 단과 상기 제 2 구간의 뒷 단에 접속 채널(Ranging)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ccess channel (Ranging)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section of the uplink subfram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구간은, 상기 기지국과 단말 또는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 간의 부프레임과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과 단말 간의 부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irst interv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ubfram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or a relay station not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nd a subframe between the relay station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nd the terminal.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기지국과 단말 또는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 간의 부프레임과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과 단말 간의 부프레임은,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공간 분할 다중 접속(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xing Access)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ubfram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or the relay station not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nd the subframe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include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and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Acces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xing Access)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ssification using any on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기지국과 단말 또는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 간의 부프레임과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과 단말 간의 부프레임은,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ubfram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or the relay station not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nd the subframe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have the same structure in order to maintain transparency.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과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이 중계 링크로 연결된 경우, 상기 제 1 구간 동안,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과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When the relay station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nd the relay station not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re connected through a relay link,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relay station not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nd the relay station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during the first period.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configuring a subframe f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구간은, 상기 기지국과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 간의 부프레임과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과 단말 간의 부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econd perio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subfram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nd a subframe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not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기지국과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 간의 부프레임과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과 단말 간의 부프레임은, 시간 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공간 분할 다중 접속(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xing Access)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ubfram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nd the subframe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not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include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A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lassification using any one of the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xing Access).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기지국과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 간의 부프레임은,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과 단말 간의 부프레임 영역을 널(Null)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subfram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is configured to configure a subframe region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not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s null.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for supporting a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단말 또는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 1 구간과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 2 구간에 대한 자원을 할당하는 과정과,Allocating resources for a first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a relay station not providing a terminal or a synchronization channel and a second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a relay station provid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상기 자원을 할당한 후, 상기 제 1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 또는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After allocating the resources,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or the relay station that does not provide the synchronization channel using the first interval; 상기 제 2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communicating with a relay station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using the second section.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1 구간과 제 2 구간은, 고정적인 크기를 갖거나, 채널 환경에 따라 동적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have a fixed size or have a dynamic size according to a channel environment.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1 구간의 앞 단과 상기 제 2 구간의 뒷 단에 동기 채널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 synchronization channel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section of the downlink subframe.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1 구간의 앞 단과 상기 제 2 구간의 뒷 단에 접속 채널(Ranging)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 connection channel (Ranging)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section of the downlink subframe.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은, 시간 자원 또는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irst interval and the second interval,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using the time resources or frequency resources.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 2 구간에서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과 단말 사이의 통신을 위한 영역을 널(Null)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in the second section, an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a relay station and a terminal that does not provide the synchronization channel is configured to be null.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operating a relay station provid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1 구간과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 과,Setting a first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nd a second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using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상기 제 1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using the first section; 상기 제 2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using the second section.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1 구간과 제 2 구간은, 고정적인 크기를 갖거나, 채널 환경에 따라 동적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have a fixed size or have a dynamic size according to a channel environment.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은, 시간 자원 또는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irst interval and the second interval,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using the time resources or frequency resources.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중계국에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이 중계링크로 연결된 경우, 상기 제 1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a relay station that does not provide a synchronization channel to the relay station is connected with a relay link, communicating with a relay station that does not provide the synchronization channel using the first section.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 2 구간에서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과 단말 사이의 통신을 위한 영역을 널(Null)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configuring a null are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RS and the MS which does not provide a synchronization channel in the second section.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operating a relay station that does not provide a synchronization channel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1 구간과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구간을 설정하는 과정과,Setting a first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and a second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using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상기 제 1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과,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using the first interval; 상기 제 2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using the second section. 제 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1 구간과 제 2 구간은, 고정적인 크기를 갖거나, 채널 환경에 따라 동적인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have a fixed size or have a dynamic size according to a channel environment. 제 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은, 시간 자원 또는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irst interval and the second interval,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using the time resources or frequency resources. 제 2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중계국과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이 중계링크로 연결된 경우, 상기 제 1 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과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when the relay station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is connected to the relay station through a relay link, communicating with the relay station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using the first interval. 제 2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6, 상기 제 2 구간에서 상기 기지국과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 사이의 통신을 위한 영역을 널(Null)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configuring a null area in the second section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A base station apparatus for supporting a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단말 또는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 1 구간과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 2 구간으로 구분되는 부프레임 구성에 따라 신호의 송수신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제어기와, A timing controller provid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timing signal of a signal according to a subframe configuration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or a relay station not provid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and a second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a relay station provid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상기 타이밍 신호에 따라 제 1 구간 신호 또는 제 2 구간 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하는 송신기와,A transmitter for forming and transmitting a first section signal or a second s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상기 타이밍 신호에 따라 제 1 구간 신호 또는 제 2 구간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interval signal or the second interval signal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and restore data.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은, 시간자원 또는 주파수 자원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of the subframe,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time resources or frequency resources.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송신기는,The transmitter, 상기 제 1 구간 동안, 상기 단말 또는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하고,During the first period, form and transmit a signal for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or a relay station that does not provide the synchronization channel, 상기 제 2 구간 동안,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during the second period, form and transmit a signal for transmission to a relay station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송신기는,The transmitter, 상기 제 1 구간의 앞 단과 제 2 구간의 뒷 단에 동기 채널을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synchronization channel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ection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section.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수신기는,The receiver, 상기 제 1 구간 동안, 상기 단말 또는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During the first period,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or a relay station that does not provide the synchronization channel, 상기 제 2 구간 동안,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during the second period, receive a signal from a relay station providing the synchronization channel.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 장치에 있어서,A relay st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단말 또는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 1 구간과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 2 구간으로 구분되는 부프레임 구성에 따라 신호의 송 수신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제어기와, A timing controller for provid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timing signal of a signal according to a subframe configuration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a relay station not providing a terminal or a synchronization channel and a second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상기 타이밍 신호에 따라 제 1 구간 신호 또는 제 2 구간 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하는 송신기와,A transmitter for forming and transmitting a first section signal or a second s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상기 타이밍 신호에 따라 제 1 구간 신호 또는 제 2 구간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interval signal or the second interval signal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and restore data. 제 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은, 시간자원 또는 주파수 자원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of the subframe,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time resources or frequency resources. 제 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상기 송신기는,The transmitter,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1 구간 동안, 상기 단말 또는 상기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하고,During the first period of the downlink subframe, form and transmit a signal for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or a relay station that does not provide the synchronization channel, 상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2 구간 동안,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form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for transmission to the base station during the second period of an uplink subframe. 제 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상기 수신기는,The receiver, 상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1 구간 동안, 상기 단말 또는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During the first period of an uplink subframe,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or a relay station that does not provide a synchronization channel,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2 구간 동안,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receiving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during the second period of a downlink subframe. 다중 홉 중계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동기 채널을 제공하지 않는 중계국 장치에 있어서,A relay station apparatus which does not provide a synchronization channel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기지국 또는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과 통신하기 위한 제 1 구간과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제 2 구간으로 구분되는 부프레임 구성에 따라 신호의 송수신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제어기와, A timing controller providing a transmission / reception timing signal of a signal according to a subframe configuration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a base station or a relay station provid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and a second section for communicating with a terminal; 상기 타이밍 신호에 따라 제 1 구간 신호 또는 제 2 구간 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하는 송신기와,A transmitter for forming and transmitting a first section signal or a second s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상기 타이밍 신호에 따라 제 1 구간 신호 또는 제 2 구간 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the first interval signal or the second interval signal according to the timing signal and restore data. 제 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은, 시간자원 또는 주파수 자원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first section and the second section of the subframe, characterized in that divided into time resources or frequency resources. 제 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송신기는,The transmitter, 상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1 구간 동안, 상기 기지국 또는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하고,During the first period of an uplink subframe, form and transmit a signal for transmission to the base station or a relay station provid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2 구간 동안,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를 형성하여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form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for transmission to the base station during the second period of a downlink subframe. 제 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수신기는,The receiver, 하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1 구간 동안, 상기 기지국 또는 동기 채널을 제공하는 중계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고,During the first period of a downlink subframe,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or a relay station providing a synchronization channel, 상향링크 부프레임의 상기 제 2 구간 동안, 상기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erminal during the second period of an uplink subframe. 다중 홉 중계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부프레임 구성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configuring a downlink subframe for supporting a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 동안, 기지국과 중계국에서 단말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Configuring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to the terminal during the first period of the subframe; 상기 부프레임의 제 2 구간 동안, 제 1 그룹 중계국에서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Configuring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a first group relay station to a next hop relay station included in a second group during a second period of the subframe; 상기 부프레임의 제 3 구간 동안,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 1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과 상기 제 2 그룹 중계국에서 상기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During the third period of the subframe,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and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to the next hop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are configured.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oing. 제 4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과 제 2 구간과 제 3 구간은, 시간자원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irst section, the second section and the third section of the subframe are divided into time resources. 제 4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상기 제 1 구간의 기지국과 중계국에서 단말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은 동기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to the terminal in the first period comprises a synchronization channel. 제 4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상기 제 2 구간의 제 1 그룹 중계국에서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은 동기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in the second interval to the next hop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includes a synchronization channel. 제 4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2, wherein 상기 제 3 구간의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 1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과 제 2 그룹 중계국에서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은 동기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third interval to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and the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to the next hop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include a synchronization channel. How to. 다중 홉 중계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하향링크 부프레임 구성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configuring a downlink subframe for supporting a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 동안, 기지국과 중계국에서 단말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Configuring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to the terminal during the first period of the subframe; 상기 부프레임의 제 2 구간 동안,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 1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과 상기 제 2 그룹 중계국에서 상기 제 1 그룹에 포 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During the second period of the subframe,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and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to the next hop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Composition process, 상기 부프레임의 제 3 구간 동안, 제 1 그룹 중계국에서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configuring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a first group relay station to a next hop relay station included in a second group during the third period of the subframe. 제 4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7,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과 제 2 구간과 제 3 구간은, 시간자원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irst section, the second section and the third section of the subframe are divided into time resources. 제 4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6, 상기 제 1 구간의 기지국과 중계국에서 단말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은 동기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to the terminal in the first period comprises a synchronization channel. 제 4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6, 상기 제 2 구간의 상기 기지국에서 상기 제 1 그룹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과 제 2 그룹 중계국에서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은 동기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n the second interval to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and the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group relay station to the next hop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include a synchronization channel. How to. 제 4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6, 상기 제 3 구간의 제 1 그룹 중계국에서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다음 홉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은 동기 채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in the third interval to the next hop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includes a synchronization channel. 다중 홉 중계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상향링크 부프레임 구성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configuring an uplink subframe for supporting a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 동안, 단말에서 기지국과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Configuring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a terminal to a base station and a relay station during the first period of the subframe; 상기 부프레임의 제 2 구간 동안, 제 2 그룹 중계국에서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Configuring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a second group relay station to a previous hop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second period of the subframe; 상기 부프레임의 제 3 구간 동안, 상기 제 1 그룹 중계국에서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과 상기 제 1 그룹 중계국에서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During the third period of the subframe, the up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to the base station and the up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to the previous hop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Process comprising a process. 제 5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2, wherein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과 제 2 구간과 제 3 구간은, 시간자원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irst section, the second section and the third section of the subframe are divided into time resources. 다중 홉 중계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상향링크 부프레임 구성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configuring an uplink subframe for supporting a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 동안, 단말에서 기지국과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Configuring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during the first period of the subframe; 상기 부프레임의 제 2 구간 동안, 상기 제 1 그룹 중계국에서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과 상기 제 1 그룹 중계국에서 상기 제 2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과,During the second period of the subframe,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to the base station and an up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the first group relay station to a previous hop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are configured. Process, 상기 부프레임의 제 3 구간 동안, 제 2 그룹 중계국에서 제 1 그룹에 포함되는 이전 홉 중계국으로 전송하는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구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configuring a downlink subframe transmitted from a second group relay station to a previous hop relay station included in the first group during the third period of the subframe. 제 5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4, 상기 부프레임의 제 1 구간과 제 2 구간과 제 3 구간은, 시간자원으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first section, the second section and the third section of the subframe are divided into time resources.
KR1020060111903A 2006-04-19 2006-11-13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701084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350A KR100866024B1 (en) 2006-04-19 2006-11-14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EP07008019A EP1848165A3 (en) 2006-04-19 2007-04-19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U2007239160A AU2007239160B2 (en) 2006-04-19 200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PCT/KR2007/001920 WO2007120023A1 (en) 2006-04-19 200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N2007800230800A CN101473557B (en) 2006-04-19 200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9505307A JP4880747B2 (en) 2006-04-19 200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RU2008145594/09A RU2414063C2 (en) 2006-04-19 2007-04-19 Apparatus and method of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link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A2648166A CA2648166C (en) 2006-04-19 200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11/788,388 US8014338B2 (en) 2006-04-19 200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BRPI0710464-2A BRPI0710464A2 (en) 2006-04-19 200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MYPI20083977A MY145201A (en) 2006-04-19 2008-10-07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239 2006-04-19
KR20060035239 2006-04-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426A true KR20070108426A (en) 2007-11-12

Family

ID=3906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903A KR20070108426A (en) 2006-04-19 2006-11-13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JP (1) JP4880747B2 (en)
KR (1) KR20070108426A (en)
CN (1) CN101473557B (en)
AU (1) AU2007239160B2 (en)
BR (1) BRPI0710464A2 (en)
CA (1) CA2648166C (en)
MY (1) MY145201A (en)
RU (1) RU2414063C2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568B1 (en) * 2007-12-14 2010-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ownlink schedul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65899B1 (en) * 2007-03-02 2010-06-24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angible machine-readable mediu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laying channel descriptor based on a multi-hop relay standard
KR101110932B1 (en) * 2006-08-18 2012-03-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Communication systems
WO2012060613A2 (en) * 2010-11-01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erforming limited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027B1 (en) * 2006-08-18 2012-03-23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multihop relay networks
US8462676B2 (en) 2006-10-17 2013-06-11 Intel Corporation Frame structure for support of large delay spread deployment scenarios
WO2010031439A1 (en) * 2008-09-19 2010-03-25 Nokia Siemens Networks Oy Network element and method of operating a network element
EP2244433A1 (en) 2009-04-23 2010-10-27 Panasonic Corporation Sub-frame structure for use in advanced communication systems
WO2011077807A1 (en) 2009-12-25 2011-06-30 日本電気株式会社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US8681686B2 (en) 2010-01-29 2014-03-25 Panasonic Corporation Terminal device and interference removal method
US20110211595A1 (en) * 2010-02-16 2011-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an early decoding of signals in relay backhaul links
CN102215570B (en) * 2010-04-02 2016-04-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The instruction of backhaul link boundary and defining method, base station
CN102238563A (en) * 2010-04-21 2011-11-09 华为终端有限公司 Wireless connection method and equipment
KR101799273B1 (en) * 2010-06-09 2017-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HARQ process
JP2015523825A (en) 2012-08-03 2015-08-13 ノキア ソリューションズ アンド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Method and apparatus
CN102868514B (en) * 2012-08-30 2015-09-16 北京久华信信息技术有限公司 A kind of tdd communication systems radio transmitting method
CN110392430B (en) * 2018-04-18 2022-06-17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Un interface resource alloc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1107A (en) * 1995-05-31 1996-12-13 Canon Inc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JP2002335204A (en) * 2001-05-09 2002-11-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base stations
DE10145759B4 (en) * 2001-09-17 2004-02-12 Siemens Ag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CN1582590A (en) * 2001-12-21 2005-02-16 株式会社日立制作所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using mobile station with relay-function and method for rewarding relay activities of mobile station
CN1497881B (en) * 2002-10-23 2010-04-21 华为技术有限公司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time-division duplex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5252677A (en) * 2004-03-04 2005-09-15 Kddi Corp Base station and relay communication apparatus in multihop cellular system, and radio resource allocating method
US20070155315A1 (en) * 2006-01-03 2007-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arent relaying in a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KR20070109810A (en) * 2006-05-11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he relayed zone information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932B1 (en) * 2006-08-18 2012-03-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Communication systems
KR100965899B1 (en) * 2007-03-02 2010-06-24 인스티튜트 포 인포메이션 인더스트리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angible machine-readable mediu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laying channel descriptor based on a multi-hop relay standard
KR100953568B1 (en) * 2007-12-14 2010-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Downlink scheduling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2060613A2 (en) * 2010-11-01 2012-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erforming limited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WO2012060613A3 (en) * 2010-11-01 2012-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performing limited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9042258B2 (en) 2010-11-01 2015-05-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limited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73557B (en) 2013-04-10
CN101473557A (en) 2009-07-01
RU2414063C2 (en) 2011-03-10
JP4880747B2 (en) 2012-02-22
AU2007239160B2 (en) 2010-09-02
CA2648166C (en) 2013-07-23
JP2009533943A (en) 2009-09-17
RU2008145594A (en) 2010-05-27
CA2648166A1 (en) 2007-10-25
BRPI0710464A2 (en) 2011-08-16
MY145201A (en) 2012-01-13
AU2007239160A1 (en)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84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1600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80143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EP183049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6193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663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multi link in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EP1931155B1 (e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89805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arent relay in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EP201248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transmission information of broadcast message constituted by relay station (RS)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BWA)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3117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ting multi link in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JP519120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data structure
KR20090097962A (en) Method for accessing channels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ofdma) mobile multihop relay wireless network
GB2427792A (en) Resource al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OFDMA.
US8824413B2 (en) Direct communications in wireless networks
KR200800470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660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349788B1 (en) Apparatus and method communicating multi-frame data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911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arent relay in multi-hop relay cellular network
KR10133621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frame communication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665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 servi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