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692A - Frame member for preparation of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Frame member for preparation of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692A
KR20070104692A KR1020060036482A KR20060036482A KR20070104692A KR 20070104692 A KR20070104692 A KR 20070104692A KR 1020060036482 A KR1020060036482 A KR 1020060036482A KR 20060036482 A KR20060036482 A KR 20060036482A KR 20070104692 A KR20070104692 A KR 20070104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mber
battery
member according
cells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97179B1 (en
Inventor
김상곤
윤준일
노종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036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179B1/en
Publication of KR20070104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6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1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12Monobloc comprising multiple compart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A frame member for fabricating a middle- or large-size battery module is provided to effectively reinforce mechanical strength of cells, to allow easy assemblage of a battery module, to prevent a short or breakage during assembly or operation, and to impart a desired output and capacity to a battery module. A frame member for fabricating a middle- or large-size battery module comprises a pair of an upper frame member and a lower frame member(200) mounted to the top and the bottom of a series of closely arranged unit cells while the cells are surrounded with the upper and lower frame members. The upper frame member or the lower frame member has a plurality of spacers(220)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wherein the spacer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unit cells so that the unit cells are arranged and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Description

중대형 전지모듈 제조용 프레임 부재 {Frame Member for Preparation of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Frame member for manufacturing medium and large battery modules {Frame Member for Preparation of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도 1은 일반적인 파우치형 전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pouch type battery;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부재 중에서 하부 프레임에 대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frame of a frame memb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파우치형 전지셀이 인접한 스페이서 사이에 삽입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표현한 부분 단면도들이다;3 and 4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 pouch-type battery cell between adjacent spacer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the fram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전지모듈에 사용될 수 있는 단위셀의 또 다른 예로서, 두 개의 전지셀들을 결합시킨 구조의 단위셀에 대한 부분 투시 사시도이다.6 is a partial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of a unit cell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wo battery cells are combined as another example of a unit cell that may be used in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중대형 전지모듈 제조용 프레임 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 게는, 밀집 형태로 배열된 일련의 단위셀들을 감싸면서 그것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로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 또는 하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에는 단위셀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장착될 수 있는 다수의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구조의 프레임 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member for manufacturing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a pair of frame members respectively mounted at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surrounding a series of unit cells arranged in a dense form, wherein the upper frame An inner surface of a member or a lower frame member relates to a frame memb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pacers on which unit cells are mount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medium and large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등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Recently,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have been widely used as energy sources of wireless mobile devices. Secondary batteries are also attracting attention as a power source for electric vehicles (EVs) and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which are proposed as a way to solve air pollution in conventional gasoline and diesel vehicles that use fossil fuels. .

소형 모바일 기기들에는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두서너 개의 전지셀들이 사용됨에 반하여,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One or two or four battery cells are used for small mobile devices, whereas medium and large battery modules, which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used in medium and large devices such as automobiles due to the necessity of high output capacity.

중대형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모듈의 전지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상대적으로 자유롭다는 점 등의 잇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Since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weight, the rectangular battery, the pouch-type battery, etc., which can be charged with high integration and have a small weight to capacity, are mainly used as battery cells of 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In particular, a pouch type battery using an aluminum laminate sheet or the like as an exterior member has recently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its advantages such as low weight, low manufacturing cost, and relatively free form deformation.

도 1에는 일반적인 파우치형 전지의 대표적인 구조에 대한 사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ypical structure of a general pouch-type battery.

도 1의 파우치형 전지(100)는 두 개의 전극리드(110, 120)가 서로 대향하여 전지 본체(13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돌출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외장부재(140)는 상하 2 단위로 이루어져 있고, 그것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납부에 전극조립체(도시하지 않음)를 장착한 상태로 상호 접촉 부위인 양측면(141)과 상단부 및 하단부(142, 143)를 부착시킴으로써 전지(100)가 만들어진다. The pouch-type battery 100 of FIG. 1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electrode leads 110 and 120 protrude from each other to protrude from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battery main body 130. Exterior member 140 is composed of two upper and lower units, both sides 141 and the upper and lower ends 142, which are mutually contacting portions, with the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The cell 100 is made by attaching 143.

외장부재(140)는 수지층/금속박층/수지층의 라미네이트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서로 접하는 양측면(141)과 상단부 및 하단부(142, 143)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수지층을 상호 융착시킴으로써 부착시킬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도 있다. 양측면(141)은 상하 외장부재(140)의 동일한 수지층이 직접 접하므로 용융에 의해 균일한 밀봉이 가능하다. 반면에, 상단부(142)와 하단부(143)에는 전극리드(110, 120)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전극리드(110, 120)의 두께 및 외장부재(140) 소재와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밀봉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전극리드(110, 120)와의 사이에 필름상의 실링부재(16)를 개재한 상태에서 열융착시킨다.The exterior member 140 has a laminate structure of a resin layer / metal foil layer / resin layer, and can be attached by mutually fusion bonding the resin layer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to both side surfaces 141 and upper and lower ends 142 and 143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some cases, the adhesive may be attached using an adhesive. Both side surfaces 141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ame resin layer of the upper and lower exterior members 140, thereby enabling uniform sealing by melting. On the other hand, since the electrode leads 110 and 120 protrude from the upper end 142 and the lower end 143, the sealing property is improv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electrode leads 110 and 120 and the heterogeneity with the material of the exterior member 140. Heat-sealed in the state of interposing the film-like sealing member 16 between the electrode leads (110, 120) so as to be able to.

그러나, 전지셀, 특히, 상기 파우치형 전지의 경우, 외장부재(140) 자체의 기계적 강성이 우수하지 못하므로, 다수의 전지셀들을 사용하여 중대형 전지모듈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전지셀들(단위전지들)을 팩 케이스 등에 장착하여 기계적 강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battery cells, in particular, the pouch-type battery, sinc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exterior member 140 itself is not excellent, in order to construct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us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battery cells (unit cells) ), It is necessary to attach the pack case to the mechanical strength.

이와 관련하여, 한국 특허공개 제2005-69075호에는 외장 트레이와 트레이 어셈블리, 냉각팬, 그리고 상전이 물질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리튬 전지팩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In this regar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69075 discloses a technology related to a lithium battery pack of a hybrid electric vehicle composed of an external tray, a tray assembly, a cooling fan, and a phase change material.

또한, 일본 특허등록 제3283796호에는 인접하는 단위전지들 사이에 스페이서가 개재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단위전지들을 양측 단부의 프레임판과 횡틀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구성된 전지팩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Japanese Patent No. 3283796 discloses a technique for a battery pack consisting of fixing a plurality of unit cell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spacers are interposed between adjacent unit cells by using frame plates and horizontal frame members at both ends. Is disclosed.

상기 선행기술들에 의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단위전지셀들을 적층한 상태에서 양쪽 측면부에 덧대는 2 개 이상의 단부 판재(end plate)과, 이를 결합 및 고정시키는 결합 부재(means for binding)를 필요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s, basically, two or more end plates padding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unit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 means for binding for binding and fixing them is required. .

단위전지들을 결합 및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부재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이러한 부재들을 조립하는 과정은 상대적으로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만족할 만한 수준의 기계적 강도를 얻기도 힘들어 진다. 특히, 적층된 상태의 전지셀들을 감싸면서 외부의 프레임 부재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조립과정에서 전지셀에 충격 등이 가해져 파손될 우려가 있다. As the number of members required to join and fix unit cells increases,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se members becomes relatively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obtain satisfactory mechanical strength. In particular, when the outer frame member is coupled while wrapping the battery cells in a stacked state, there is a risk that the battery cells may be damaged due to an impact on the battery cells during assembly.

또한, 기계적 체결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해 다수의 부재들의 결합, 용접, 솔더링 등을 행하기 위한 공간이 요구되며, 그로 인해 시스템 전체의 크기는 필연적으로 커지게 된다. 이러한 크기 증가는 바람직하지 않으며, 보다 콤팩트하고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중대형 전지모듈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In addition, space is required for joining, welding, soldering, etc., a plurality of members for mechanical fasten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which inevitably increases the size of the entire system. Such increase in size is not desirable, and there is a high need for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having more compact and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셀의 낮은 기계적 강성을 효과적으로 보강하면서 기계적 체결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해 다수의 부재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조립방법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낮추고, 작업시 또는 작동시 단락이나 파손 등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프레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Specifically,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by manufacturing by a simple assembly method without using a plurality of members for mechanical fasten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while effectively reinforcing the low mechanical rigidity of the battery cell, during operation or operation It is to provide a frame member that can reduce the risk of short circuit or damag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프레임 부재를 통해서 소망하는 출력과 용량으로 제조되는 중대형 전지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manufactured with a desired output and capacity through the frame memb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모듈 제조용 프레임 부재는, 밀집 형태로 배열된 일련의 단위셀들을 감싸면서 그것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로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 또는 하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에는 단위셀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 및 고정될 수 있도록 단위셀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밀착되는 다수의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frame member for manufacturing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air of frame members respectively mounted at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while surrounding a series of unit cells arranged in a dense form, and the upper frame member Alternatively,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pacer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unit cell so that the unit cells may be arranged and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부재는, 상기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프레임 부재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많은 수의 부재들을 복잡하게 결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공정이 간단하여 제조공정을 크게 단순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기존의 단위전지들의 양면에 지지부재를 덧대는 방식이 아니고, 박스(box) 형태의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 단위셀을 장착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조립된 상태의 전지모듈은 현저히 상승된 기계적 강성을 나타내게 된다.The frame memb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defined above, consists of a combination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frame members.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complexly combine a large number of members, so that the assembly process is simple, which greatly simplifies the manufacturing process. Furthermore, the battery module in the assembled state is significantly increased because the unit cell is mounted inside the box-shaped frame member rather than the support member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existing unit cells. Mechanical stiffness.

상기 스페이서는 인접하는 단위셀들 간의 절연부재로서의 역할과 동시에 단위셀들을 고정하는 지지부재로서 역할을 한다. 즉, 스페이서는 단위셀의 상단 또는 하단이 밀착되면서 단위셀의 측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단위셀을 상호 인접한 스페이서들 사이에 장착함으로써 기계적 강성이 낮은 전지셀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충방전시의 반복적인 팽창 및 수축의 변화를 억제하여, 전지셀의 실링부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spacer serves as an insulating member between adjacent unit cells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supporting member for fixing the unit cells. In other words, the spacer has a shape in which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unit cel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ngth of the side cell of the unit cell. Therefore, by mounting the unit cells between the adjacent spacers to protect the battery cells with low mechanical rigidity, while at the same time to suppress the repeated changes in expansion and contraction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ling portion of the battery cells to be separated Can be.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는 상기 단위셀은 하나의 전지셀일 수도 있고,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을 결합 또는 조합시키는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전지셀로는 판상형 구조의 이차전지가 바람직하며, 그러한 대표적인 예로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들 수 있다.The unit cell mounted on the frame member may be one battery cell or a structure for combining or combining two or more battery cells. The battery cell is preferably a secondary battery having a plate-like structure, and typical examples thereof include a rectangular secondary battery and a pouch secondary battery.

이차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극조립체가 이온 함유 전해액으로 함침된 상태에서 전지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이차전지는 리튬 이차전지일 수 있다. The secondary batter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is embedded in the battery case in the state of being impregnated with an ion-containing electrolyte solution. 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ary battery may b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특히 전지케이스의 기계적 강성이 낮아 낙하 또는 외부 충격의 인가시 변형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시트형의 전지케이스를 사용하는 이차전지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대표적인 예로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를 들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battery case may have a low mechanical rigidity and may be preferably used in a secondary battery using a sheet-shaped battery case in which deformation may easily occur upon application of a drop or an external impact, and such a representative example may be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metal layer and a resin layer.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상기 파우치형 이차전지는 바람직하게는 전지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열융착에 의한 실링부가 형성되어 있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경우, 열융착에 의한 실링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지케이스의 외주면이 특히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는 부분이다. 따라서, 인접한 스페이서들 사이의 프레임 부재 상에는 전지셀의 상기 실링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may preferably be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in which a sealing portion formed by heat fusion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se. In the case of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of the aluminum laminate shee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se in which the sealing portion is formed by heat fusion is particularly inferior in mechanical strength. Therefore, the safety of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further improved by forming a groove into which the sealing portion of the battery cell can be inserted on the frame member between adjacent spacers.

둘 또는 그 이상의 전지셀들을 결합 또는 조합시켜 단위셀을 구성하는 예로는, 본 출원인의 한국 특허출원 제2006-12303호와 한국 특허출원 제2006-12306호의 단위셀들을 들 수 있다. 상기 출원들의 단위셀은, 하나의 셀 프레임에 두 개의 전지셀들을 특정한 형태로 장착한 후, 이들의 외면을 금속 외장재로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한 구조의 단위셀의 예가 도 6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출원들은 참조로서 본 발명의 내용에 합체된다.Examples of unit cells by combining or combining two or more battery cells include unit cells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6-12303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6-12306. The unit cell of the above application, after mounting the two battery cells in a specific form in one cell frame, it consists of a structure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m with a metal exterior material. An example of a unit cell of such a structure is shown in FIG. 6. The above applications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위셀의 상단과 하단은 그것의 단부 전면이 각각 스페이서에 의해 완전히 밀착되는 구조일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단부의 일측만이 스페이서에 의해 밀착되고 단부의 타측은 개방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는 단위셀의 상단 좌측과 하단 좌측만을 밀착시키도록 프레임 부재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단위셀의 상단 우측과 하단 우측은 스페이서 없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unit cell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ntire front end thereof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pacer, but in some cases, only one side of the e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pacer and the other end of the end may be open. For example, the spac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to closely contact only the upper left side and the lower left side of the unit cell, so that the upper right side and the lower right side of the unit cell may have an open structure without a spacer.

이러한 일측 개방 구조는, 단위셀의 작동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기 위한 냉매용 유로로 작용하여 단위셀에 대한 냉각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위셀의 장착 강도는 유지하면서 냉각 효과는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단위셀을 기준으로 상단과 하단의 스페이서들이 좌우측 교번 배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one side open structure acts as a coolant flow path for discharging heat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unit cell, thereby improving the cooling effect on the unit cell. Preferably, the upper and lower spacers may be formed in left and right alternating orientations with respect to the unit cell so that the cooling effect may be improved while maintaining the mounting strength of the unit cell.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단위셀의 삽입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으로 유로구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유로구를 통해 냉매의 자유로운 유동이 가능해져 단위셀에 대한 냉각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단위셀은 상기 스페이서에 완전히 삽입되어 밀착되는 구조일 수 있고, 또는 스페이서가 단위셀의 단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로구가 단위셀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개방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spac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flow path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unit cell. Free flow of the coolant is possible through the flow path, thereby increasing the cooling effect on the unit cell. The unit cell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unit cell is completely inserted into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spacer, or the spacer may extend in the cross-sectional length direction of the unit cell so that the flow passage may be opened even when the unit cell is inserted.

상하 프레임 부재들은, 그 중의 하나의 부재(예를 들어, 하부 프레임 부재)에 단위셀들을 장착한 후 나머지 부재(예를 들어, 상부 프레임 부재)를 체결하여 조립하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프레임 부재들의 그러한 체결 방식은 용접, 기계적 체결 등 다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상호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의 부재에 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부재에 상기 후크에 대응하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The upper and lower frame members are coup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unit cells are mounted on one member (eg, the lower frame member) and then the other members (eg, the upper frame member) are fastened and assembled. Such fastening methods of the frame members may vary, such as welding, mechanical fastening, etc. Preferably, a hook is formed in one member and corresponding to the hook in the other member so that it can be mutually coupled without using a separate member. It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fastener is formed.

상기 프레임 부재 상에는 장착되는 단위셀의 전극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전극단자들이 돌출되기 위한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관통홈을 통해 전극단자를 돌출시킴으로써 단위셀의 몸체 부분과 전극단자 간의 전기적 절연효과가 향상되고, 전지 모듈부와 외부 부하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용이해진다.A through groove for protruding the electrode terminals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unit cell to be mounted on the frame member. By protruding the electrode terminal through the through groove, the electrical insulation effect between the body portion of the unit cell and the electrode terminal is improved, and it is easy to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module portion and the external load.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에는 단위셀들이 장착되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개구들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기 계적 결합 강도의 저하 없이 단위셀에 대한 냉각효과를 상승시켜 전지의 고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a plurality of openings in the frame member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space in which the unit cells are mounte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igh temperature safety of the battery by increasing the cooling effect on the unit cell without lowering the mechanical bond strength.

상기 프레임 부재의 소재는 전기에 대한 절연성을 나타내며 소정의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면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절연물질로 피복된 금속, 절연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수지 복합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aterial of the frame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o long as it exhibits insulation against electricity and has a predetermined mechanical strength. Examples thereof include metals coated with insulating materials, insulating polymers, or resin composites thereof, but are not limited thereto. no.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중대형 전지모듈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frame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전지모듈은, 예를 들어, 상기 하부 프레임 부재 상의 인접한 스페이스들 사이에 단위셀들을 차례로 장착한 후 상부 프레임 부재를 체결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프레임의 측면에는 전극단자가 돌출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를 통해 돌출된 전극 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출력과 내용량의 전력을 제공한다.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by, for example, mounting unit cells between adjacent spaces on the lower frame member and then fastening the upper frame member. In one preferred embodiment, a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rame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 protrudes, and the electrode terminals protruding through the through hole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provide high output power and power of contents.

상기 중대형 전지모듈은 소망하는 출력 및 용량에 따라 단위셀들을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착 효율성, 구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할 때, 한정된 장착공간을 가지며 잦은 진동과 강한 충격 등에 노출되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기오토바이, 전기자전거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The medium-large battery module may be manufactured by combining unit cells according to a desired output and capacity. In consideration of the mounting efficiency and structural st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medium and large battery module has a limited mounting space and is exposed to frequent vibration and strong impact. It can be preferably used for automobiles, hybrid electric vehicles, electric motorcycles, electric bicycles and the lik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우선, 도 2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부재 중, 하부 프레임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rs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frame of a fram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200)의 내면에는 단위셀로서 전지셀이 장착될 수 있도록 격벽 형태의 스페이서(22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서, 스페이서(220)는 대략 하부 프레임(20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지만, 전지셀(도시하지 않음)의 일부 만을 감싸는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스페이서(220) 상에는 전지셀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유로구(221)가 천공되어 있다. 그러한 유로구(221)를 통해 냉매의 유동이 원활해져 전지셀에 대한 냉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a spacer 220 having a partition shape is install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200 so that a battery cell may be mounted as a unit cell. In FIG. 2, the spacer 220 is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lower frame 200, but may be formed at a low height surrounding only a part of the battery cell (not shown). In addition, a flow passage 221 is punctured on the spacer 2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battery cell. Through the flow path 221,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smooth, thereby improving the cooling effect on the battery cell.

프레임(200)의 외면(210)에는 전지셀의 삽입시에 그것의 전극단자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홈(211)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를 통해 전극단자 부분이 돌출되게 된다. 또한, 하부 프레임(20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는 상부 프레임(도시하지 않음)과 결합할 수 있도록 후크(230)가 설치되어 있어서, 진동, 충격 등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210 of the frame 200 has a through groove 21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erminal portion thereof when the battery cell is inserted, through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portion protrudes. In addition, the hook 230 is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200 so as to be coupled to the upper frame (not shown), so that a stable mounting state may be maintained even if vibration, shock, or the like is applied.

도 3 및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파우치형 전지셀을 프레임 부재상의 인접한 스페이서들 사이에 장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3 and 4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mounting a pouch-type battery cell between adjacent spacers on a frame memb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전지셀(400)은 전지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열융착에 의한 실링부(4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적이다. 전지셀(400)은 인접하는 스페이서들(220) 사이에 밀착된 상태로 장착됨으로써, 기계적 강성이 낮은 전지셀(400)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충방전시의 반복적인 팽창 및 수축의 변화를 억제하여 전지셀의 실링부위(4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pouch-type battery cell 4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portion 410 by heat fusion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case. The battery cell 400 is mounted in close contact between adjacent spacers 220, thereby protecting the battery cell 400 with low mechanical rigidity, and at the same time suppressing repeated expansion and contraction changes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sealing portion 410 of the battery cell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파우치형 전지셀(400)의 실링부(410)는 전지셀(400)의 본체에 밀착되도록 절곡된 상태에서 스페이서들(200) 사이에 장착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서와 같이 프레임 부재(210)의 내면에 슬릿 형태의 홈(241)이 형성되어 있고 그러한 홈(241)에 실링부(410)가 삽입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The sealing portion 410 of the pouch-type battery cell 400 may be mounted between the spacers 200 in a bent stat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of the battery cell 400, but as shown in the drawing, Slit-shaped grooves 241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and may be mounted to insert the sealing portion 410 into the grooves 241.

더욱이, 그러한 홈은, 도 4에서와 같이, 프레임 부재(210)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형태의 홈(242)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그로 인해 장착 상태의 안정성을 높이고 전지셀(400)의 냉각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Moreover, such a groove may be made of a groove 242 in the form of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frame member 210, as shown in Figure 4,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mounting state of the battery cell 400 Cool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ncreased.

도 5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부재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the frame member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 부재(300)는 그것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페이서들(도시하지 않음) 사이에 전지셀(도시하지 않음)을 장착한 상태로, 체결 구조(330)에 의해, 상부 프레임(320)이 하부 프레임(31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중대형 전지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frame member 300 has an upper portion by a fastening structure 330, with battery cells (not shown) mounted between spacers (not shown) form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The frame 320 may be firmly coupled to the lower frame 310 to form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프레임 부재(300)의 외면에는 내부에 장착된 각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들(340)이 프레임 부재의 측면 방향의 관통구를 통해 돌출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300)의 상단면과 하단면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관통구(321)들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의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의 단면부에도 유로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 부재(300)의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냉매의 유동이 확보되어, 내부에 장착된 전지셀 들에 대한 냉각 효율을 더욱 향상시킨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member 300, the electrode terminals 340 of the battery cells mounted therein protrude through the through-hole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rame member. Through-holes 321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re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frame member 300, and flow passages are formed on the cross-sections of the spacers (not shown). Therefore, the flow of the refrigerant is secur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frame member 300,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cooling efficiency for the battery cells mounted therein.

도 6에는 본 발명의 전지모듈에 사용될 수 있는 단위셀의 또 다른 예로서 두 개의 전지셀들을 결합시킨 단위셀의 사시도가 부분 투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6 is a partially perspective view of a unit cell combining two battery cells as another example of a unit cell that may be used in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단위셀(500)은 두 개의 판상형 전지셀들(400, 401)이 그것의 전극단자들이 상호 연결된 상태로 밀착되어 있고, 이들의 외면을 금속 외장부재(510)가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단위셀(500)의 상단에는 내부의 전지셀들(400, 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양극단자(510)와 음극단자(520)가 돌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unit cell 500 is a structure in which two plate-shaped battery cells 400 and 401 are closely contacted with their electrode terminal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nit cell 500 is surrounded by the metal exterior member 510. Consists of A positive electrode terminal 510 and a negative electrode terminal 52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cells 400 and 410 are protruded from the upper end of the unit cell 500.

단위셀(500)의 더욱 자세한 구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한국 특허출원 제2006-12303호와 한국 특허출원 제2006-12306호의 내용에서 확인할 수 있다.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unit cell 500 can be found in the contents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6-12303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6-12306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단위셀(500)은 도 2와 같은 프레임 부재에서 전지셀 대신에 장착되어 도 5와 같은 전지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The unit cell 500 may be mounted in place of the battery cell in the frame member as shown in FIG. 2 to form the battery module as shown in FIG. 5.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부재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fram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various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contents. will b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대형 모듈 제조용 프레임 부재는 전지셀의 낮은 기계적 강성을 효과적으로 보강하면서 기계적 체결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해 다수의 부재들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한 조립방법에 의해 전지모듈을 제조함으로써 전반적인 제조비용을 낮추고, 작업시 또는 작동시 단락이나 파손 등의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부재에 장착되는 전지셀을 조절하여 소망하는 출력과 용량으로 제조되는 중대형 전지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rame member for manufacturing a medium-larg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by a simple assembly method without using a plurality of members for mechanical fastening and electrical connection while effectively reinforcing the low mechanical rigidity of the battery cell. Lower overall manufacturing costs and reduce the risk of short circuits and breaks during operation or oper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dium-large battery module manufactured with a desired output and capacity by adjusting the battery cell mounted on the frame member.

Claims (13)

밀집 형태로 배열된 일련의 단위셀들을 감싸면서 그것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프레임 부재로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 또는 하부 프레임 부재의 내면에는 단위셀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 및 고정될 수 있도록 단위셀의 상단 또는 하단에 밀착되는 다수의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구조의 프레임 부재.A pair of frame members, each of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while enclosing a series of unit cells arranged in a dense form, wherein unit cells are arranged and fix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n inn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member or the lower frame member. Frame memb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pacer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or bottom of the unit cell to be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단위셀의 상단 또는 하단이 밀착되면서 단위셀의 측면 일부를 감쌀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재.The frame member of claim 1, wherein the spacer is extended to a length capable of covering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unit cell while being closely attached to the top or bottom of the unit cel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은 한 개의 전지셀로 이루어져 있거나 또는 둘 또는 이상의 전지셀들을 결합 또는 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재. The frame member of claim 1, wherein the unit cell comprises one battery cell or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battery cells are combined or combin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케이스에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재.The frame memb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attery cell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built in a pouch type cas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metal layer and a resin lay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케이스는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이고, 전지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열융착에 의한 실링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재.The frame membe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battery case is an aluminum laminate sheet, and a sealing portion formed by heat fusion is formed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se. 제 5 항에 있어서, 인접한 스페이서들 사이의 프레임 부재 상에는 전지셀의 상기 실링부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재.6. The frame memb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slit-shaped groove in which the sealing portion of the battery cell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frame member between adjacent spacer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프레임 부재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재.7. The frame membe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roove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the fram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부재와 하부 프레임 부재는 용접 또는 기계적 체결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재.The frame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frame member and the lower frame member are joined to each other by welding or mechanical faste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셀들의 전극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의 프레임 부재상에는 상기 전극단자들이 돌출되기 위한 관통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재.The frame member of claim 1, wherein a through groove for protruding the electrode terminals is formed on the frame memb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lectrode terminals of the unit cel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에는 냉매의 유동을 위한 유로구가 수직으로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재.The frame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acer is perforated vertically with a flow path for the flow of the refrigera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에는 단위셀들이 장착되는 내부와 연통되는 다수의 개구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재.The frame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member has a plurality of openings communicating with an inside in which the unit cells are moun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절연물질로 도포되어 있는 금속, 절연성 고분자, 또는 그것의 수지 복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부재.The frame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member is made of a metal coat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an insulating polymer, or a resin composite thereof.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고출력 대용량의 중대형 전지모듈.A medium to large battery module of a high output large capacity comprising the frame memb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KR1020060036482A 2006-04-24 2006-04-24 Frame Member for Preparation of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KR1008971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482A KR100897179B1 (en) 2006-04-24 2006-04-24 Frame Member for Preparation of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482A KR100897179B1 (en) 2006-04-24 2006-04-24 Frame Member for Preparation of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692A true KR20070104692A (en) 2007-10-29
KR100897179B1 KR100897179B1 (en) 2009-05-14

Family

ID=3881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482A KR100897179B1 (en) 2006-04-24 2006-04-24 Frame Member for Preparation of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179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507B1 (en) * 2009-12-17 2011-09-30 세방전지(주) Battery Housing For Electric Vehicle
KR101424357B1 (en) * 2012-12-27 2014-08-01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Battery module having built-in type of sell seperator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8810079B2 (en) 2009-11-27 2014-08-19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having the same
KR101464820B1 (en) * 2012-01-10 2014-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Tray for battery conveyance
KR101472882B1 (en) * 2012-05-07 2014-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Having Cell Cover Coupling Portion and Receiving Part Coupling Portion
CN104716284A (en) * 2015-03-19 2015-06-17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 Safety device for power battery modules
US9337458B2 (en) 2011-08-22 2016-05-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20190057472A (en) * 2017-11-20 2019-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uch type battery module
WO2022111552A1 (en) * 2020-11-25 2022-06-0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Power battery cooling module, thermal runaway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554B1 (en) * 2013-07-12 2020-03-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Module housing of cell module assembly
JP7194818B2 (en) * 2018-09-27 2022-12-22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インダストリアル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sodium secondary battery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5015B1 (en) * 1998-08-23 2001-07-03 Ovonic Battery Company, Inc. Monoblock battery assembly
KR100380113B1 (en) * 2000-05-20 2003-04-16 아키정보기술(주) A Corrosion Prediction System of Underground Metallic Structures and it's Analysis Method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0079B2 (en) 2009-11-27 2014-08-19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having the same
KR101069507B1 (en) * 2009-12-17 2011-09-30 세방전지(주) Battery Housing For Electric Vehicle
US9337458B2 (en) 2011-08-22 2016-05-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101464820B1 (en) * 2012-01-10 2014-11-25 주식회사 엘지화학 Tray for battery conveyance
KR101472882B1 (en) * 2012-05-07 2014-12-15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Having Cell Cover Coupling Portion and Receiving Part Coupling Portion
KR101424357B1 (en) * 2012-12-27 2014-08-01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Battery module having built-in type of sell seperator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104716284A (en) * 2015-03-19 2015-06-17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 Safety device for power battery modules
KR20190057472A (en) * 2017-11-20 2019-05-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ouch type battery module
WO2022111552A1 (en) * 2020-11-25 2022-06-02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Power battery cooling module, thermal runaway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179B1 (en) 2009-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179B1 (en) Frame Member for Preparation of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KR101488411B1 (en) Battery Pack Including Connecting member, Side Supporting Member and Bottom Supporting Member
KR100861713B1 (en) Battery Module
KR100896131B1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KR100870457B1 (en) Battery Module
JP6014752B2 (en)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stability and high cooling efficiency
KR100920210B1 (en) Frame Member for Fabrication of Battery Module
KR100921346B1 (en) Mid-Large Battery Module and Battery Module Assembly
KR101053208B1 (en) Battery module of improved welding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100895203B1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KR100932227B1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KR101150247B1 (en) Battery module having flexibility in designing structure of module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JP6101823B2 (en) Battery module having new structur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0933425B1 (en) Easy to manufacture battery module
KR101509474B1 (en) Battery Assembly Having Single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Part
KR101281811B1 (en) Battery Pack Having Improved Structure Stability
KR101305218B1 (en) Battery Module Having Fixing Member and Coupling Member,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KR101478704B1 (en) Battery Module of Novel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101326182B1 (en) Battery Module Based upon Unit Module Having External Covering Member and Cartridge
KR100896134B1 (en) Battery Having Biased Electrode Terminals in Both Directions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20070091387A (en)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module
KR100894407B1 (en) Cell-Module Cartridge and Cell-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799565B1 (en) Battery Pack of Improved Safety
KR20140056835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101325037B1 (en) Battery Module of Improved Product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