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245A -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245A
KR20070103245A KR1020060035109A KR20060035109A KR20070103245A KR 20070103245 A KR20070103245 A KR 20070103245A KR 1020060035109 A KR1020060035109 A KR 1020060035109A KR 20060035109 A KR20060035109 A KR 20060035109A KR 20070103245 A KR20070103245 A KR 20070103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vegetation space
revetment
plants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5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주식회사 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Priority to KR1020060035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103245A/ko
Publication of KR2007010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현재 우리나라 대부분의 도심 하천 중 특히 고수호안은 콘크리트 블럭으로 정비가 되어 있는데, 이러한 획일적인 콘크리트 블록으로의 정비는 하천의 기능을 단순히 범람 예방 정도로, 친환경적인 생태계 보존과 친수 공간 조성 측면에서는 악영향을 끼쳐 왔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수변식물 활착이 가능한 다양한 식생호안 공법들이 개발되었으나, 이미 콘크리트 블록이 설치되어 있는 대부분의 경우, 다시 새로운 친환경적인 호안공법 적용을 위해서는 기존의 블록을 걷어 내야 하므로, 막대한 비용과 콘크리트 호안블록의 폐기물 발생에 따른 환경적, 경제적인 문제로 적용이 쉽지 않았다. 또한 콘크리트 호안블록 사면위를 단순히 흙으로 채워서 식재하는 경우에는 강우나 바람, 유수 등에 의하여 흙이 흘러내려 식물의 성장이 불가능한 많은 문제점을 나타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존에 설치된 호안블록자체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적절한 식생대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 실용등록제268815호 "수변경계부의 자연형 호안구조"를 개발하여 시공하여 왔다.
이러한 시공법도 나름대로 특징이 있으나 기본적으로 호안블록을 구성하는 콘크리트 전체의 극히 일부만 관통한 채 식물이 성장하므로 식생 가능한 식물군의 선택에 제한을 받고 이에 따라 원하는 형태의 환경 구성에 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근본적인 고안 이유 중 하나는 2 차적인 환경문제를 막고 가급적 친환경적 생태복원을 위해 콘크리트 호안블럭과 같은 인공적인 구조물의 사용을 지양해야 하는 여건임에도 불구하고, 호안 블록을 그대로 둔 상태에서도 제방의 안정과 홍수, 유속 등으로 수리적 안정성이 보다 크게 요구되는 장소 - 즉, 식생 가능 환경의 조성을 위해 소재로 100% 천연 소재를 쓸 수 없는 -에서 경제적인 방법으로 효율적으로 식물 활착을 가능하게 하여 친환경적인 생태복원 기능 복원 및 호안 정비를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콘크리트 블록이 덮고 있는 사면을 식물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및 석재 혹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호안 구조층의 경사형태로 배치된 호안블록위에 생태공을 타공한 다음에 벌집모양으로 관통공이 있는 튜브나 판재를 설치, 배열하여 앵커로 호안블록에 고정하고 식물성장에 필요한 토양과 영양분을 충진하여 식물성장을 위한 식생 공간부를 만들며, 포설된 토양과 영양분이 사면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그 위에 1, 2차 천연 소재의 망체로 공간부를 마감한 후, 적절한 식물의 파종이나 삽목, 이식 등을 통해 사면을 녹화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수리학적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는 지역 중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기타 암석, 혹은 합성수지등의 재질로 된 호안블록 구조물 상에 경제적으로 자연적인 식생환경이 조성되도록 한다.
한편, 본 벌집형 구조에 잡석을 채워 넣으면, 연약 지반 보강용으로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 녹화방법{Plantation process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block installed around the river side }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공정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식생공간 형성재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원통형 식생공간 형성재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판상 구조의 식생공간 형성재의 조립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판상구조 식생공간 형성재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식생 공간부를 실제 설치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라 식물 식재가 완료된 상태의 단면구성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호안 블록 10: 생태공 100:쉬트 M: 식생 공간부 형성재 210: 관통공 300: 앵커 400: 1차 망체 500: 2차 망체 600: 고정핀
본 발명은 콘크리트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어진 하천변등에 설치된 호안부재에 식물이 성장가능하도록 하는 식생녹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강을 비롯한 전통적인 호안(護岸)의 정비는 단순하고 획일적으로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방안으로 홍수시 하천 물을 빠르게 통과시켜 하천의 범람을 막고, 제방의 붕괴를 막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관리방법이나 시공법은 콘크리트라는 재질의 특성상 식물이 전혀 성장불가능하여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강우시 하천 변으로부터 하천에 직접 유입되는 도심의 많은 오염물질을 차단하지 못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도시의 하천변의 많은 유역에 설치되어있는 콘크리트 블록은 여름철에 복사열을 방출하여 도심에 열섬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그외에도 하천변에 자연적으로 서식하던 각종 어패류의 성장환경도 파괴되면서 자연파괴로 인한 피해는 결국 인간에게 그 피해가 그대로 돌아오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홍수기의 범람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도심 여러 곳에 배수, 통수 시스템과 유수지 조성, 상류에서부터 홍수위를 미리 조절하는 여러 다목적 댐 건설, 산림의 조림 활성화 등으로 인해 이제는 일순간에 하천이 범람하거나 제방이 붕괴되는 문제점은 많이 해결되었다.
서울의 청계천 복원사업 등 이제는 그동안 개발로 인해 파괴되고 방치된 환경에 대해 큰 불편을 감수하고 큰 예산을 들여서도 환경개선 및 복원, 도심지 내에서도 가능한 생태계 회복을 위해 도심의 하천을 친환경적으로 복원하고 친환경적 공간을 확보하는데, 국가와 국민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통적인 콘크리트 호안블록의 문제점과 사람들의 인식변화 등으로 국내에서 최근까지 도심의 하천 호안에 기존의 콘크리트 호안블록을 걷어 내지 않고 식물을 심기 위해 적용되었던 방안은 크게,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 블록에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블록 위나 블록 사이에 천공을 하여,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 호안블록 표면에 버드나무 등 관목류를 식재하는 방안”과,
“콘크리트 호안블록의 사면위에 일정량의 흙을 복토한 후, 모기장과 같은 그물망 등을 덮고 고정시켜 그 위에 seed spray나 초목류 등을 식재하는 방안”으로 이상과 같은 단순한 방법들은 식물활착이 어렵거나 유수 혹은 강풍 그리고 강우시에 복토한 흙이 흘러내려 하천으로 유입되어 하상을 상승시키는 등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했다.
즉, 기존 콘크리트 호안을 걷어내지 않고서 녹화시키는 방법은 콘크리트 호안을 천공하여 그 구멍으로 버드나무류 등 삽목이 가능한 식물을 꽂아 녹화 시키거나 콘크리트 호안위에 흙을 덮고, 덮은 흙( top soil )이 쓸려 내려가지 않도록 그물망 등으로 덮어 식재하는 방법이다.
또한,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을 걷어내고 새로 식재가 가능하도록 구멍이 뚫려 있는 호안블록으로 대체 하는 경우에는 안정된 식생활착이 가능하나 장시간의 공사기간 및 대량의 폐기물발생과 높은 건설비 상승으로 문제가 있고,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의 호안블록 표면에 천공을 하여 식재를 하는 경우에는 식물의 활착여건이 불안하고 갈대, 물억새 등 호안주변에 주로 심어야하는 수변 초본류들은 식재가 불가능하고 버드나무 등 삽목이 가능한 식물만을 심어야하는 제한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호안블록 사면 전체에 흙을 복토한 후, 모기장과 같은 그물 망을 덮고 그 위에 seed spray나 초목류 등을 식재하는 경우에는 우수나 바람, 유수등의 영향으로 흙이 하부로 흘려 내려서 사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식물의 활착이나 생육에 적절한 조건을 부여하지 못하여 부분 녹화로 끝나거나 망체와 블록 표면 사이의 흙이 자유롭게 이동하게 되어 그 유동이 심하므로 유지 보수가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단점들이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기존의 콘크리트 호안블록을 걷어내지 않고, 원통형 또는 판형의 기본 소재를 호안 등의 사면에 설치할 때, 형성시키는 벌집 형태의 공간에 활성탄, 세라믹 제재, 유기비료 등이 포함된 흙을 채움으로써, 그 토심 구조의 유지가 매우 안정적이 되며, 그 위를 다시 천연 섬유사로 제작한 망체를 2중으로 덮어 채움 성분이 상층으로부터 유실되지 않게 하고 이곳에 갈대, 물억새, 버드나무 등 수변식물을 바로 식재할 수 있는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포설된 흙이 바람, 강우, 유수등에 대해 쓸려 내려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식물의 활착과 성장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콘크리트 재질로 구성된 블록 상에 생태공을 타공한 후, 쉬트를 깔고,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또는 판형 식생 공간부 형성재를 고정시켜 형성된 공간부에 비료나 활성탄, 세라믹 제재 등이 혼합된 흙을 성토하여, 수변식물의 식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식생 공간부를 구성하여 주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미 오래전부터 콘크리트 호안블록으로 정비되어져 있는 기존의 하천에서 부득이 친환경적 복원공사를 하게 될 경우에 콘크리트 호안블록을 걷어내는데 따른 엄청난 폐기물 발생과 처리비용을 막고, 콘크리트 호안 블럭을 그대로 존치시키면서 수많은 불필요한 공사의 부대공정들도 필요 없는 식물의 식생환경 조성이 안정적으로 가능한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을 걷어내고 새로 식재가 가능하게 구멍이 뚫려 있는 호안블록으로 대체 하는 경우도 안정된 식생활착이 가능하나 장시간의 공사기간 및 대량의 폐기물 발생과 높은 건설비 상승 등 많은 문제가 있고, 설치되어 있는 콘크리트의 호안 블럭 표면에 천공을 하여 식재를 하는 경우에는 식물의 활착여건이 불안하고 갈대, 물억새 등 호안주변에 주로 심어야하는 수변 초본류 들은 식재가 불가능하고 버드나무 등 삽목이 가능한 식물만을 심어야하는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은 개별 식생 공간부 형성재를 벌집의 형상으로 하천호안의 사면위에 설치(입상 : 세로로 세워 고정시킴)하고 식물활착을 위해 벌집의 형태의 식생 공간부에 활성탄, 세라믹 제재, 유기질 비료등을 포함한 토양을 채워 넣어, 토양의 유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식물성장을 위한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며,
얼마든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식생 공간부 형성재에 의해서 야생화, 갈대, 물억새 등 수변 초본류나 갯버들, 개나리, 철쭉 등의 관목류의 식물까지 식재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토심으로 수분과 양분을 유지할 수 있어 다양한 식생대 조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종합적 생태복원을 가능케 하는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되어져 식물의 자연적인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제 호안블록을 그대로 존치시킨 채 이곳에 적절한 식물성장환경을 조성토록 하여 저렴한 녹화비용으로 녹화가능한 호안부 식생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콘크리트 호안부재를 녹화하기 위하여 호안부재에 타공을 하고 이곳에 토양층을 형성하는 것 이상으로 다양한 형태의 생태공간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천근성 식물에서 부터 심근성 식물까지 식생가능한 녹화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방법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 공정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식생공간 형성재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원통형 식생공간 형성재의 조립상태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판상 구조의 식생공간 형성재의 조립상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판상구조 식생공간 형성재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식생 공간부를 실제 설치한 상태의 단면구성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라 식물 식재가 완료된 상태의 단면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식물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및 석재 혹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호안 구조층의 경사형태로 배치된 호안블록(B)들에 생태공(10)들을 형성하는 단계,
생태공의 형성이 완료되면 호안구조층의 경사면을 따라 쉬트(100)를 깔고 그 위에 벌집형태로 원통형이나 판형구조의 식생 공간부 형성재(M)를 경사면을 따라 설치하고, 이 형성재를 앵커(300)로 고정 시켜 식생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식생 공간부에 토양, 섬유사, 식물영양제, 활성탄, 유기성 비료 등으로 구성된 식물이 활착 성장할 수 있는 식생 환경조성용 충진물을 포설하여 채우는 단계,
그 위를 다시 천연 소재인 1차 망체(400)와 2차 망체(500)로 덮은 후 고정핀(600)으로 고정시키고 콘크리트 블록위에 식물성장이 가능한 사면의 식생 공간부를 완성시키는 단계,
상기한 망체의 도포 단계로 안정된 식생 공간부가 형성되면 이 곳에 식생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하천변 식물 성장 불가능한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원통형 식생 공간부 형성재는 오수 및 우수, 수도관등으로 널리 쓰이는 PE(폴리에틸렌), 폴리프로플렌. PVC, 금속, 혹은 석판 이나 목재등의 다양한 재질로 제작가능하다.
즉, 현재 시중에 기성품으로 나오는 상기용도의 제품을 일정간격으로 절단하여 실린더 형태의 원통형 관을 만들고 옆에 일정직경의 구멍을 여러 개 뚫어 관통공(210)을 형성하여 주어 손쉽게 제품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식생 공간부 형성재의 설치는 현장의 상황과 식재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제품내의 토심공간의 크기를 다르게 하기 위해 여러 가지 다양한 깊이와 직경의 제품들을 선택하여 설치하므로 보다 공고한 구조와 토심의 증가로 식생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호안블록에 형성하는 생태공은 4 내지 8개/㎡이며, 생태공의 타 공 지름이 5~10㎝이 되도록 한다. 여기서 형성되는 생태공의 크기는 이곳에 식재되는 식물의 근부 특성에 따라 정하게 되며, 잔뿌리가 호안구조층을 관통하여 그 하부의 표토들과 얽히면서 성장이 유도 가능하도록 하며, 호안블록 하부의 토양과 미생물의 번식조장, 영양성분의 이동경로, 수분의 이동 등으로 식물이 천연 토양에 식재한 것과 유사한 식생환경을 이루도록 도와준다. 생태공의 숫자는 8개 이상인 경우 호안블록자체가 붕괴될 우려가 있고, 4보다 작은 경우에는 식생식물의 근부가 호안블록 내부의 표토층까지 활착하기 어려워 생장에 지장을 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식생 공간부 형성재에 관통공이 타공된다. 이는 호안블럭들 위에 형성하는 생태공의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첨부하며, 개별 형성재안에서 활착, 성장하는 식물이나 토양, 미생물, 수분, 영양염류 같은 생태인자를 작은 한 공간으로 제한시키지 아니하고 개별 형성재들 사이에서 공간의 연속성을 가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관통공과 생태공에 의해서 전체 시공 면적을 통해서 원활한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상, 하, 좌, 우의 모든 방향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식생 성장에 매우 유리하다.
또한, 관통공은 개별 소재의 무게를 감소시켜, 설치비용을 감소시켜주며, 식생 뿌리가 이를 통해서 식생공간형성재간에 서로 연결하면서 성장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튼튼한 식생 식물의 생태환경이 구성가능하도록 한다.
비투과성 지역 위에 설치될 경우에 식생공간 형성재에 물이 고여서 부분 침하 등 구조적인 안정성을 해치는 경우를 미연에 예방하며, 채움재와 관통공이 뚫려 있는 식생 공간부 상호간의 마찰 저항을 증가시켜서, 외부 요인에 의한 식생공간 형성재가 위로 들려지는 현상을 억제하는 기능도 담당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도 4에 도시하듯이 식생공간 형성재(M)가 판상구조로 체결홈(220)에 의하여 연속반복적으로 체결하는 것이다. 판상구조로 하면서 원통형과 동일하게 측면에 다수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준다.
본 발명에서 식생공간 형성재간의 고정은 몇 개의 소재를 연속하여 하나의 단위 구조물로 만든다. 이 단위 구조물은 ㄷ 자 형태와 같은 앵커 구조물로 고정한다. 앵커 구조물은 고정가능한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을 둘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유속이 심하여 침식의 위험이 높은 지역의 경우 추가적으로 식생 환경조성용 충진물에 잡석을 포함시켜서 적용하면, 연약지반에 대한 보강 역할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벌집 형태의 개별 튜브 내에 채우는 포설 흙에는 코코넛 섬유를 포함시키는데, 이들은 포설 흙 입자와 입자 사이에 브릿징(bridging) 역할을 함으로써, 포설 흙 사이에 결집력을 향상시켜서 식물의 착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발생할 수 있는 유실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식생 환경조성용 충진물의 상면에 두겹의 망체층을 도포한다. 최상부는 코코넛 섬유사와 같은 비교적 다년간 부식이 방지되는 천연섬유재질의 망체로 구성하고 그 하부에 비교적 단시간에 부식되어지는 반면에 보습효과가 탁월하며 망공의 형성이 치밀하게 형성 가능한 황마, 볏짚, 갈대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 것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본 발명에 의해 식재된 식물이 건조 환경 하에서도 식물의 활착을 도와주며, 강우나 유수, 바람과 같은 악조건을 견디어 안정된 식물환경을 조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리학적 안정성 및 내구성이 반드시 요구되는 환경 조건에 따라 설치된 기존의 콘크리트 호안이나 암석 등으로 이루어진 지면에서도 용이하게 식생녹화가 가능해 질 수 있다. 기존 콘크리트 호안 상의 생태공과 벌집 모양로 입상 설치되는 식생 공간부 형성재의 관통공에 의해서 하부 및 좌,우면의 토양층과의 수분교류, 근부성장, 활발한 영양성분교류가 기대된다.
또한, 원통형 식생 공간 형성재에 충진하는 성토에는 코코넛 섬유를 포함시킴으로써, 이들이 흙 입자와 입자 사이에 브릿징(bridging) 역할을 하여, 흙 사이에 결집력을 향상시켜서 식물의 착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발생할 수 있는 흙의 유실 가능성을 최소화시켜, 식생 식물이 안정적으로 활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극대화시킨다.
이 외에도 활성탄, 세라믹 제재, 유기성 비료 성분을 식생 공간 형성재에 채워 넣는 흙에 함께 포함시킴으로써, 식물 성장 환경의 큰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벌집 모양의 튜브로 구성된 단위 cell이 작아서, 넓은 면적에 설치할 때에도 구조적인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홍수나 바람 등 외부 요인에 의해서 발생된 국지적인 파손에 대한 대응도 매우 용이해진다.
그리고, 원통형 형성재의 높이는 설치되는 현장의 상황에 맞추어 자유자재로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는데, 이는 토심의 변경을 의미하며, 작은 초본류에서부터 큰 관목류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에 걸친 식재가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수리학적 안정성과 내구성의 이유로 널리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콘크리트 혹은 암석이나 합성수지재 호안블록의 상면에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최적의 식생환경을 조성시켜서, 자연스러운 환경복원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본 벌집형 구조에 자갈이나 쇄석을 채운다면, 연약지반등 구조적인 안전성이 떨어지는 부분의 보강용으로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5)

  1. 식물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및 석재 혹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호안 구조층의 경사면을 따라 배치된 호안블록(B)들에 지면부까지 관통된 생태공(10)들을 형성하는 단계,
    생태공의 형성이 완료되면 호안구조층의 경사면을 따라 쉬트(100)를 깔고 그 위에 측면에 관통공(210)들이 형성된 식생 공간부 형성재(M)들을 호안블록에 의하여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연속반복적으로 배치한 다음 이들을 앵커(300)로 고정 시켜 식생 공간부를 형성하는 단계,
    형성된 식생 공간부에 토양, 섬유사, 식물영양제, 활성탄, 유기성 비료 등으로 구성된 식생 환경조성용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
    식생공간부에 충진물이 충진되고 나면 그 상면에 천연 소재인 1차 망체(400)와 2차 망체(500)를 순차로 덮은 후 고정핀(600)으로 고정시키고 콘크리트 블록위에 식물성장이 가능한 사면의 식생 공간부를 완성시키는 단계,
    상기한 망체의 도포 단계로 안정된 식생 공간부가 형성되면 이곳에 식생식물(G) 들을 식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하천변 식물 성장 불가능한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 녹화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식생공간부 형성재(M)가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성장 불가능한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 녹화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식생공간부 형성재(M)가 중공 구조를 갖는 다각형 평면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성장 불가능한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 녹화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식생공간 형성재(M)가 판상구조로 체결홈(220)에 의하여 연속반복적으로 체결되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장 불가능한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 녹화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호안블록(B)에 형성하는 생태공이 4 내지 8개/㎡이며, 생태공의 타공 지름이 5~10㎝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장 불가능한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 녹화방법.
KR1020060035109A 2006-04-18 2006-04-18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KR200701032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109A KR20070103245A (ko) 2006-04-18 2006-04-18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5109A KR20070103245A (ko) 2006-04-18 2006-04-18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455U Division KR200420824Y1 (ko) 2006-04-19 2006-04-19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245A true KR20070103245A (ko) 2007-10-23

Family

ID=3881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5109A KR20070103245A (ko) 2006-04-18 2006-04-18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10324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3265A (zh) * 2016-08-23 2016-12-14 中国科学院水生生物研究所 一种用于迎风面堤岸的基底改善与生态修复方法
KR101683749B1 (ko) 2016-05-19 2016-12-20 주식회사 비엠테크 절토사면 보호방법
KR20170124388A (ko) * 2016-05-02 2017-11-10 박공영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CN108330908A (zh) * 2017-01-18 2018-07-27 吴金栋 一种层叠式护岸护坡构造方法和实施工艺
CN108774998A (zh) * 2018-07-03 2018-11-09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一种抑螺血防生态护岸***
CN113774886A (zh) * 2021-07-20 2021-12-10 中印恒盛(北京)贸易有限公司 一种可自动降解的生态种植固沙模块
CN117888499A (zh) * 2024-03-13 2024-04-16 武汉市城市防洪勘测设计院有限公司 一种河岸带生态修复***及其施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840A (ja) * 1993-08-10 1995-02-21 Dan Makino 硬質斜面の植生工法
KR960018082A (ko) * 1994-11-29 1996-06-17 김종천 보강토 구조물
JPH10248380A (ja) * 1997-03-11 1998-09-22 Mecs:Kk 植生パネル
KR200174867Y1 (ko) * 1999-09-07 2000-03-15 정병희 환경친화적 호안용블럭
KR20020063545A (ko) * 2002-07-12 2002-08-03 (자)새롬건설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녹화시공방법
KR200408213Y1 (ko) * 2005-11-25 2006-02-07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840A (ja) * 1993-08-10 1995-02-21 Dan Makino 硬質斜面の植生工法
KR960018082A (ko) * 1994-11-29 1996-06-17 김종천 보강토 구조물
JPH10248380A (ja) * 1997-03-11 1998-09-22 Mecs:Kk 植生パネル
KR200174867Y1 (ko) * 1999-09-07 2000-03-15 정병희 환경친화적 호안용블럭
KR20020063545A (ko) * 2002-07-12 2002-08-03 (자)새롬건설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녹화시공방법
KR200408213Y1 (ko) * 2005-11-25 2006-02-07 주식회사 한국 종합엔지니어링 하천제방의 유실방지블록 설치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388A (ko) * 2016-05-02 2017-11-10 박공영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KR101683749B1 (ko) 2016-05-19 2016-12-20 주식회사 비엠테크 절토사면 보호방법
CN106223265A (zh) * 2016-08-23 2016-12-14 中国科学院水生生物研究所 一种用于迎风面堤岸的基底改善与生态修复方法
CN108330908A (zh) * 2017-01-18 2018-07-27 吴金栋 一种层叠式护岸护坡构造方法和实施工艺
CN108774998A (zh) * 2018-07-03 2018-11-09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一种抑螺血防生态护岸***
CN113774886A (zh) * 2021-07-20 2021-12-10 中印恒盛(北京)贸易有限公司 一种可自动降解的生态种植固沙模块
CN117888499A (zh) * 2024-03-13 2024-04-16 武汉市城市防洪勘测设计院有限公司 一种河岸带生态修复***及其施工方法
CN117888499B (zh) * 2024-03-13 2024-06-07 武汉市城市防洪勘测设计院有限公司 一种河岸带生态修复***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6817B1 (ko) 하천변 식물성장불가능한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KR200382114Y1 (ko) 식생호안용/조경용 매트
CN102134841B (zh) 河流水下硬质斜坡沉水植物联遍修复方法
KR20070103245A (ko)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KR20040111216A (ko) 게비온망태와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KR200420824Y1 (ko) 식물 성장이 불가능한 콘크리트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 구조
CN109757144A (zh) 一种滨海盐碱地的改良方法
Sunday E et al. Contemporary global issue of rising water scarcity for agriculture: the quest for effective and feasible soil moisture and free-water surface conservation strategies
CN210459113U (zh) 一种海滨生态护岸结构
CN210315594U (zh) 一种混凝土现浇生态护坡
Morgan et al. Water erosion control
CN105756015B (zh) 一种生物多样性动态景观生态复合***修复的方法
KR200412590Y1 (ko) 사면녹화용 식생블록
Islam Embankment erosion control: towards cheap and simple practical solutions for Bangladesh
CN210857111U (zh) 一种复合式河道生态护坡结构
KR100427226B1 (ko)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CN107142897B (zh) 鱼鳞坑生物护坡方法
KR100427588B1 (ko)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녹화시공방법
KR20090005809A (ko) 하천변 식물성장불가능한 호안부에 대한 직접 식생녹화방법
KR200461490Y1 (ko) 식생매트
KR100496118B1 (ko) 접착성 도로비탈면 녹화공법
JPH11166216A (ja) 消波カゴを用いた湛水法面の緑化方法
CN110337974A (zh) 在干旱戈壁滩、沙漠和年积雪具备的地区用储存法植树
KR200228786Y1 (ko) 자연부식성의 침식방지용 호안부재
CN103866739B (zh) 一种基于植草板的生态护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612

Effective date: 2007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