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1475A - Button device using electronic-paper display device and terminal using the button device - Google Patents

Button device using electronic-paper display device and terminal using the butt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1475A
KR20070101475A KR1020060032505A KR20060032505A KR20070101475A KR 20070101475 A KR20070101475 A KR 20070101475A KR 1020060032505 A KR1020060032505 A KR 1020060032505A KR 20060032505 A KR20060032505 A KR 20060032505A KR 20070101475 A KR20070101475 A KR 20070101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paper
button
paper display
display elemen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5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96454B1 (en
Inventor
류주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454B1/en
Publication of KR2007010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4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4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A button device using a display element of an electronic paper and a terminal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are provided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implementation of an image outputted at the button device and enable a user with bad eyesight to use the electronic device more easily by outputting only an image appropriate for a function to be used. A button device using a display element of an electronic paper comprises a button base plate(110), a display element of an electronic paper(120), a controller(130) and a power source(140). The button base plate(110) arranges plural switches for generating operating signals. The display element of the electronic paper(120) is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button base plate(110). The controller(130), connected to the display element of the electronic paper(120), controls a display state of the display element of the electronic paper(120). The power source(140) supplies power for the controller(130). The display element of the electronic paper(120) can be a collision electrification type or a capsule type. The display element of the electronic paper(120) displays an image according to a coordinate of a button electrode wherein the image expresses a number, a character, a symbol or a picture preset by the controller(130). The image can be exchanged with other image set by the controller(130) according to operation of a user. The controller(130) intercepts the power supplied for the display element of the electronic paper(120) after the image is outputted to the display element of the electronic paper(120).

Description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이용한 버튼장치 및 버튼장치가 적용되는 단말기{BUTTON DEVICE USING ELECTRONIC-PAPER DISPLAY DEVICE AND TERMINAL USING THE BUTTON DEVICE}BUTTON DEVICE USING ELECTRONIC-PAPER DISPLAY DEVICE AND TERMINAL USING THE BUTT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butt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자종이의 일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electronic pap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가 휴대 전화기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butt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bile phone.

도 4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절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cut along the line A-A of FIG. 3.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장치가 도 3의 적용예에서 다른 구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another implementation state of the butt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pplication example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버튼장치 110 ... 버튼기판100 ... Button Unit 110 ... Button Substrate

120 ... 전자종이 표시소자 130 ... 제어부120 ...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130 ... control unit

140 ... 전원 140 ... Power

본 발명은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이용한 버튼장치 및 버튼장치가 적용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device using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nd a terminal to which the button device is applied.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일상 생활에 있어 다양하고 편리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이들 제품들 중에는 문자 또는 숫자 및 기호 등을 표시한 입력장치(즉, 버튼기능을 갖는 장치)을 구비하고 사용자들은 이와 같은 입력장치를 통해 장치를 의도하는 데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various and convenient products are released in daily life. Some of these products include input devices that display letters, numbers, symbols, and the like (ie, devices having a button function), and users can use the devices as intended through such input devices.

특히, 휴대 전화기 PDA 등과 같은 휴대용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는 입력장치의 구성이 필수적인 요건으로 구성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필수적인 입력장치에 대한 다양한 기능이 개발되어왔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ortable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PDA,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device is an essential requirement. Accordingly, various functions for such an essential input device have been developed.

그러나, 입력장치에 대한 기능이 다양해 질수록 버튼이 추가로 구비되어야 하거나 또는 입력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지고 이로 인하여 부품의 수가 증가되는 등 생산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부수적으로 발생하였다. However, as the functions of the input device are diversified, a problem arises in that a production cost increases, such as an additional button or complicated input device configuration,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parts.

그리고, 기존의 입력장치는 물론 이와 같이 새로이 개발되는 입력장치 역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입력장치의 버튼 모양이나 표시되는 문양 등의 표시 상태를 바꿀 수 없고, 제조시 디자인된 형태로만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디자인의 단말기가 개발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디자인에 따른 금형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s well as the existing input device, the newly developed input device can not be changed in the display state such as the button shape or the displayed pattern of th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and can be expressed only in the form design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In the case where a terminal having a different design is developed, there is a problem of separately manufacturing a mold according to each design.

또한, 사용자가 입력하여야 하는 상황에 따라 버튼의 기능이 바뀌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버튼장치의 단추 크기의 제약으로 인하여 단추에 표시 되는 문자 또는 기호 등이 매우 작게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특히 시력이 나쁜 사용자는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가 없다.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button is frequent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situation, because the characters or symbols displayed on the button are very small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button size of the button device. A user with poor eyesight cannot solve such inconvenience.

특히, 장치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버튼에 다른 기호 또는 문자가 혼용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에 혼동을 일으켜 장치의 손쉽게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a user unfamiliar with the device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asily use the device because the buttons are mixed with other symbols or characters, resulting in confusion.

다시 말하여 하드웨어 버튼의 경우 대부분 버튼의 예상되는 조작에 따른 기능을 표현하기 위한 도안이 인쇄되어 있거나 특정의 색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표현은 그 한계로 인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충족할 수 없게 된다.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hardware buttons, a pattern for express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expected operation of the button is printed or expressed in a specific color, but such hardware representation may satisfy user's convenience due to its limitations. There will be no.

또한, 종래의 버튼장치는 디자인이 바뀌는 경우에 전체 제품에 대한 금형과 인쇄용 원본을 교환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구성되는 부품의 종류로 인하여 제품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도 함께 내포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utton device ha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product due to the type of the components to be configured as well as to replace the original for the mold and printing for the whole product when the design changes.

또한, 종래의 버튼장치는 각 스위치에 해당되는 버튼에 인쇄된 문자 또는 문양이 사용에 의해 지워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button device, a character or pattern printed on a button corresponding to each switch may be erased by use, resulting in in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목적은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이용하여 버튼장치를 구성하므로 이미 제조된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버튼 및 버튼의 주위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s purpose is to configure a button device using an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to change the design of the button and the surroundings of the button in real time in the already manufactured state. have.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버튼장치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구현에 있어서, 다른 이미지로 변경하는 순간 이외에는 전력이 소모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n image output to the button device, so that power is not consumed except at the moment of changing to another image.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버튼장치에 출력되는 이미지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에 적합한 이미지만 출력되게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because only the image suitable for the function to be used is output to the image output to the button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고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목적들을 이루기 위하여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이용한 버튼장치 및 버튼장치가 적용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to which a button device and a button device are applied using an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achieve th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이용한 버튼장치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버튼기판과; 상기 버튼 기판의 측면에 배치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와; 상기 전자종이 표시소자에 연결되어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한다. A button device using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tton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switches to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An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disposed on a side of the button substrate;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to control a display state of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It includ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여기서, 전자종이 표시소자는 충돌 대전형 또는 캡슐 타입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종이 표시소자는 제어부에 의해 미리 설정된 숫자, 문자, 기호 및 그림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버튼의 전극 위치좌표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Here,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may use either a collision charging type or a capsule type.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may display images represen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pictures preset by th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lectrod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button.

또한, 전자종이 표시소자에 표현되는 이미지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에 설정된 다른 이미지로 전환될 수도 있으며, 이때, 제어부는 전자종이 표시소자에 이미지가 출력된 후에 전자종이 표시소자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버튼장치는 휴대 전화기에 적용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image represented on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may be switched to another image set in the control unit by a user's oper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turns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after the image is output to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You can also block it. Such a button device can be applied to a mobile phone.

상기 실시예에 따른 버튼장치가 적용되는 적용예로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버튼기판과; 상기 버튼 기판의 측면에 배치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와; 상기 전자종이 표시소자에 연결되어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으로 구성되는 버튼장치가 단말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 모두를 포함한다. Application examples to which the butt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applied include a button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switches to generate an operation signal; An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disposed on a side of the button substrate;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to control a display state of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 button device configured as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ler may be applied to the terminal. Here, the terminal includes both a wired or a wireless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이용한 버튼장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button device using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아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n example as described below.

즉,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요지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휴대 전화기에 적용된 일 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된다. And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is described based on an example applied to a mobile phone.

우선, 도 1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이용한 버튼장치(10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First, referring to the drawing shown in FIG. 1, FIG. 1 shows a structure of a button device 100 using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버튼장치(100)는 버튼 실리콘 몰드층(111)과 버튼 전극층(112)를 포함하는 버튼기판(110)의 일 측면에 전자종이 표시소자(120)가 배치된다. In the button device 100,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1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a button substrate 110 including a button silicon mold layer 111 and a button electrode layer 112.

상기 전극층(112)은 회로기판(220)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단자(미도시)가 구 비되고, 상기 각 단자들에는 각각의 스위치(112a)가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112a)는 이하 설명되는 버튼 실리콘 몰드층(111)의 돌기(111a)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적용되는 단말기의 구성에 따른 버튼 위치에 상응하게 배치된다. The electrode layer 112 includes a plurality of terminals (not shown)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220, and each switch 112a is connected to each terminal. The switch 112a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11a of the button silicon mold layer 111 described below, and is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osi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to be applied.

상기 버튼 전극층(112)의 일 측면에는 버튼 실리콘 몰드층(111)이 결합되는데, 상기 버튼 실리콘 몰드층(111)은 상기 스위치(112a)를 작동시키기 위한 돌기(111a)가 상기 스위치(112a)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버튼 실리콘 몰드층(111)은 상기 버튼 전극층(112)의 스위치(112a)가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획되게 구성된다. The button silicon mold layer 11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utton electrode layer 112, and the button silicon mold layer 111 has a protrusion 111a for operating the switch 112a and the switch 112a. It is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 addition, the button silicon mold layer 111 is configured to be partitioned so that the switch 112a of the button electrode layer 112 can be operated individually.

상기 버튼기판(110)은 위에 설명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구조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또는 PDA 등과 같은 단말기 등의 버튼장치에 구성되는 다양한 버튼기판이 이용될 수도 있다. The button substrate 1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but may also be configured in other structures. For example, various button substrates configured in butt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or PDAs may be used.

상기 버튼 실리콘 몰드층(111)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120)의 구성은 충돌대전형 또는 캡슐 타입의 전자종이 표시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As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12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utton silicon mold layer 111, a collision charge type or capsule typ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may be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충돌대전형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 버튼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캡슐 타입의 전자종이 표시소자에 대한 구성은 그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만 언급하도록 하겠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button device having a configuration including a collision-charged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will be described, and a configuration of the capsule type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will be referred to only as a description of the type thereof.

캡슐 타입의 전자종이 표시소자는 각 픽셀에 대응하도록 각각의 캡슐에 대전입자가 충진되는 구조의 전자종이로, 예를 들어 흑백 모드의 전자종이의 경우에는 각 캡슐에 흑색 대전입자와 백색 대전입자가 동일한 비율로 충진되는 구조를 갖는 다. 여기서, 캡슐 타입의 경우 캡슐에 충진된 대전입자는 캡슐 내부에서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형태가 있고, 이와는 달리 캡슐에 충진된 대전입자는 캡슐 내부에 고정되게 구성되어 캡슐 자체가 회전되어 표시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형태도 있다. The capsule type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is an electronic paper structure in which charged particles are filled in each capsule so as to correspond to each pixel. For example, in the case of electronic paper in black and white mode, black charged particles and white charged particles are formed in each capsule. It has a structure filled in the same ratio. Here, in the case of the capsule type, the charged particles filled in the capsule may be configured to flow in the capsule. In contrast, the charged particles filled in the capsule are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psule, and the capsule itself is rotated to display. There is also a form configured to allow.

어느 형태의 전자종이 표시소자이든 간에 아래에 설명되는 버튼장치는 충돌대전형 전자종이 표시소자 또는 캡슐타입의 전자종이 표시소자가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은 아래의 설명을 통해서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즉,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형태 또는 종류에 상관없이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Regardless of which type of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the button device described below may be selectively configured as a collision-charged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or an capsule type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It will be self-eviden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electively applied regardless of the type or type of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튼장치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충돌대전형 전자종이 표시소자에 대한 설명을 개략적으로 하겠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ollision charge typ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a butt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자종이 표시소자(1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하부 및 상부 기판(121a,121b)과,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어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하부 및 상부 전극(122a,122b)과, 상기 전극(122a,122b)의 일 측면에 위치되는 하부 및 상부 유전체(123a,123b)와; 분리된 공간(셀)을 형성하는 격벽(124) 및 상기 공간(셀)에 충진되는 대전입자(125)로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2,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120 includes lower and upper substrates 121a and 121b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lower and upper electrodes 122a and 122b formed of a transparent electrode, and to which a driving voltage is applied. Lower and upper dielectrics 123a and 123b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electrodes 122a and 122b; It consists of a partition 124 to form a separate space (cell) and charged particles 125 filled in the space (cell).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120)는 상기 전자종이 표시소자(120)의 각 전극(122a,122b)이 제어부(130)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30)는 전원(140)에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In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12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s 122a and 122b of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120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30, and the control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140. Configured to be powered.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버튼장치(100)의 기본적인 작동은 제어부(130)의 작 동에 따라 전자종이 표시장치(120)의 전극(122a,122b)에 전압이 인가되면, 설정된 신호 값에 의해 각 셀에 충진된 대전입자(125)가 전기영동되어 설정된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동된다. The basic operation of the button device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that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electrodes 122a and 122b of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1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30, each cell is set according to the set signal value. The charged particles 125 filled in are electrophoresed to drive a set image.

이때, 제어부(130)에서는 버튼기판(110)에 구성되는 각 스위치(112a)의 위치 값을 계산하여 작동되어야할 스위치(112a)의 상부 위치에 버튼모양 또는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인식되는 문양을 표시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30 displays a button shape or a pattern recognized to be pressed by the user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switch 112a to be operated by calculating the position value of each switch 112a of the button substrate 110. Done.

예를 들어 버튼이 전부 사용되어야 하는 기능의 설정인 경우 전자종이 표시소자(120)에는 각 스위치(112a)의 상부 위치에 버튼모양과 같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인식되는 문양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고, 만일, 일부 스위치(112a)만 사용되는 경우 그 해당 스위치(112a)의 상부 위치에 사용자가 누를 수 있도록 인식되는 문양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etting of the function that all the buttons should be used,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120 may be controlled to output a pattern recognized to be pressed by the user such as a button shape at the upper position of each switch 112a. If only some of the switches 112a are used, they may be controlled to output a pattern recognized to be pressed by the user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corresponding switch 112a.

이때, 상기 제어부(130)를 통해 전자종이 표시소자(120)로 인가되는 전압은 전자종이 표시소자(120)에 출력되는 이미지(영상)를 다른 이미지로 바꿀 때만 인가되고, 다른 이미지로 바뀐 후에는 인가되는 전압이 차단된다. 즉, 전자종이 표시소자(120)의 특성상 대전된 입자의 위치는 지속적인 전압의 인가가 없더라도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의 교환시 인가되는 전압은 매우 작은 전압으로도 구동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120 through the control unit 130 is applied only when the image (video) output to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120 is changed to another image. The applied voltage is cut off. That is, since the position of the charged particles can be maintained even without the application of a constant voltag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120, the displayed image can maintain its state. In addition, the voltage applied during the exchange of the image can be driven with a very small voltage.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전자종이 표시소자(120)에 출력되는 영상을 임의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어부(130)의 설정에 따라 각 기능에 적합한 또는 각 기능에 사용되는 버튼에 대한 이미지의 출력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 다. As can be seen in the above example, since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manipulate the image output to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120,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controller 130, the image of the button for each function or used for each function The outp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또한, 다른 기능의 단말기에 상기 버튼장치(100)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30)에 입력되는 정보를 대치함으로 각 단말기에 적합한 표시정보를 구현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 스위치에 대응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위치에 문자 또는 도형 등과 같은 문양이 표현되어야 하는 무선 또는 유선 단말기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when the button device 100 is used in a terminal having another function, it may be understood that display information suitable for each terminal is implemented by replacing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controller 130.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be applied to a wireless or wired terminal in which a pattern such as a character or a figure should be expressed at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corresponding to each switch.

상기 버튼장치(100)를 휴대 전화기(200)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튼장치(100)가 휴대 전화기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An example in which the button device 100 is applied to the mobile phone 200 will be described. 3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butt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obile phone.

휴대 전화기(200)는 종래의 구성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버튼 장치(100)는 휴대 전화기(210)의 본체(210) 전면에 형성된 기존의 버튼장치의 위치에 장착된다. The mobile phone 200 can be manufactured as in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Here, the button device 100 is mounted at the position of the existing button devic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of the mobile phone (210).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원(140)에 해당되는 베터리(230)가 결합되는 본체(210)의 일 측면에 회로기판(220)이 장착되고, 상기 회로기판(220)의 상부면에는 회로기판(220)에 신호를 인가시키기 위한 버튼장치(100)가 결합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circuit board 22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10 to which the battery 230 corresponding to the power source 140 is coupl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20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210. The button device 100 for applying a signal to the circuit board 220 is coupled.

상기 버튼장치(1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버튼기판(110)과 전자종이 표시소자(120)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종이 표시소자(120)는 제어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회로기판(220)에 실장될 수도 있고, 회로기판(220)과 별개로 장착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button device 100 includes a button substrate 110 and an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120, and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30. The controller 130 may be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220 or may be mounted separately from the circuit board 220.

이와 같이 휴대 전화기(200)에 적용되는 버튼장치(10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의도 또는 사용되는 기능에 따라 적절한 이미지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사용 상태에 따라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숫자로 표현되거나, 또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문자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요한 스위치의 표시영역(상부위치)에만 영상(문양)이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130)의 설정을 표시되지 않은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s such, the button device 100 applied to the mobile phone 200 may be output as an appropriate image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or a function used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at is, depending on the usage state, it may be represented by a number as shown in FIG. 5A or may be represented by a letter as shown in FIG. 5B. Although not shown, the image (glyph) may appear only in the display area (upper position) of the required switch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switch that does not display the setting of the controller 130 may be configured to not operate.

또는, 스위치 영역 이외의 영역에 제품의 디자인을 위한 다양한 문양이 더 표현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버튼 패널부분의 디자인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디자인을 변경할 수도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various patterns for designing a product may be further expressed in regions other than the switch region. In other words, the user may arbitrarily select a design of the button panel portion to change the design.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른 기능을 갖는 유선 또는 무선 단말기에 적용하는 경우 각 단말기의 특성에 적합한 디자인의 구현이 매우 유연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when applied to a wired or wireless terminal having other functions, it can be seen that implementation of a desig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rminal can be very flexibl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이용하여 버튼장치를 구성하므로 실시간으로 버튼 및 버튼의 주위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utton device is configured using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the button and the surrounding design of the button can be changed in real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장치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구현에 따른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image output to the button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장치에 출력되는 이미지가 사용하고자 하는 기능에 적합한 이미지만 출력되게 하므로 사용에 혼동을 일으키거나, 시력이 나쁜 사용자 또는 전자제품의 사용에 둔감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age output to the button device only outputs an image suitable for the function to be used, even if the user is confused in use, or a user who is poor in vision or insensitive to the use of electronic products, It become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새로운 제품이 출시되는 경우에도 새로운 인쇄 장치 또는 금형 등과 같은 부품을 새롭게 대치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other new products are released, there is an advantage of not having to replace a new component such as a new printing device or a mol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버튼에 인쇄된 문자가 지워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blem of erasing the characters printed on the button does not occur due to long use does not cause inconvenience in use.

Claims (6)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버튼기판과; A button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switches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상기 버튼 기판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와; An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utton substrate; 상기 전자종이 표시소자에 연결되어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to control a display state of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이용한 버튼장치. Button device using an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종이 표시소자는 충돌 대전형 또는 캡슐 타입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이용한 버튼장치. The button device using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is one of a collision charging type and a capsule typ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종이 표시소자는 제어부에 의해 미리 설정된 숫자, 문자, 기호 및 그림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버튼의 전극 위치좌표에 따라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이용한 버튼장치.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of claim 1 or 2, wherein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representing a number, a letter, a symbol, and a picture set in advance by 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electrod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button. Button device us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에 설정된 다른 이미지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이용한 버튼장치. The button device using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attern is switched to another image set in the controller by a user's opera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자종이 표시소자에 이미지가 출력된 후 에 전자종이 표시소자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를 이용한 버튼장치. The button device using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cuts off the power applied to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after the image is output to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작동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버튼기판과; A button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switches for generating an operation signal; 상기 버튼 기판의 일 측면에 배치되는 전자종이 표시소자와; An electronic paper display elemen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utton substrate; 상기 전자종이 표시소자에 연결되어 전자종이 표시소자의 표시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to control a display state of the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으로 구성되는 버튼장치를 포함하는 단말기. And a button device configured as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ler.
KR1020060032505A 2006-04-10 2006-04-10 Button device using electronic-paper display device and terminal using the button device KR1007964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505A KR100796454B1 (en) 2006-04-10 2006-04-10 Button device using electronic-paper display device and terminal using the butt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505A KR100796454B1 (en) 2006-04-10 2006-04-10 Button device using electronic-paper display device and terminal using the butt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475A true KR20070101475A (en) 2007-10-17
KR100796454B1 KR100796454B1 (en) 2008-01-21

Family

ID=3881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505A KR100796454B1 (en) 2006-04-10 2006-04-10 Button device using electronic-paper display device and terminal using the butt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4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4432A1 (en) 2009-07-23 2011-01-27 Volkswagen Ag Display for use as e.g. touch screen based operating part in area of air conditioning system to display basic condition of system in vehicle inner compartment, has display element exhibiting energy consumption, during change of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2987A (en) * 2004-06-14 2005-12-22 Mitsubishi Electric Corp Key input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4432A1 (en) 2009-07-23 2011-01-27 Volkswagen Ag Display for use as e.g. touch screen based operating part in area of air conditioning system to display basic condition of system in vehicle inner compartment, has display element exhibiting energy consumption, during change of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454B1 (en) 200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4775B1 (e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drive device, and drive method
JP2007108355A (en) Display controller,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CN100350355C (en) Adaptable keypad and button mechanism therefor
US20070030243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090042619A1 (en) Electronic Device with Morphing User Interface
US8169408B2 (en) Display for multi-function key pad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0796454B1 (en) Button device using electronic-paper display device and terminal using the button device
US20070183021A1 (en) Device with electrically alterable appearance
KR2008001566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2224315B1 (en) Keypad assembly using optical shutter and light guide pane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457688Y1 (en) Key pad assembly for cellular phone having PDLC film
CN10965604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2009186739A (en) Display device
JP2002006787A (en)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6004354A (en) Input panel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JP2004126803A (en) Terminal
JP3164279U (en) Electrophoretic display key structure with switchable display direction
CN105959444A (en) Adjustable intelligent shell and its display system
US20100302166A1 (en) Keypad with Integrated Alphanumeric Display
JP2003162360A (en) Portable terminal
JP2005216673A (en) Push-button switch with liquid crystal display
JPH11242465A (en) Picture display device and picture display control method
KR20090012830A (en) Case of electric device using digital paper display and method for changing exterior of the same
CN117651458A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2686056A (en) Casing of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