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0681A - Automatic pho-tograph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 Google Patents

Automatic pho-tograph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0681A
KR20070100681A KR1020077003316A KR20077003316A KR20070100681A KR 20070100681 A KR20070100681 A KR 20070100681A KR 1020077003316 A KR1020077003316 A KR 1020077003316A KR 20077003316 A KR20077003316 A KR 20077003316A KR 20070100681 A KR20070100681 A KR 200701006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unit
imag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3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병섭
도학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프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4006374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493465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프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프로텍
Publication of KR20070100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68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67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user operation, e.g. actuating a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8Docking-station, cradl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obile electronic device for automatically capturing an image is provided to obtain evidence images by changing to an automatic image capture mode and storing captured images, and automatically execute the image capture mode although a user command is not additionally inputted. An image capturing unit(32) includes 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An image capture command input unit(30) inputs an image capture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image capturing unit(32). An image DB(Database)(36) stores image data captured by the image capturing unit(32). When the operation signal of the image capturer command input unit(30) is received, a controller(31) operates the image capturing unit(32) to capture images of the surroundings and temporarily stores the captured image data in the image DB(36). When inputting of the operation signal is stopped, the controller(31) stops the operation of the image capturing unit(32) and permanently stores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data in the image DB(36).

Description

자동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장치{AUTOMATIC PHO-TOGRAPH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utomatic photography {AUTOMATIC PHO-TOGRAPH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촬영모드를 수행시켜 주변상황을 보다 쉽게 촬영/저장할 수 있도록 한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photographing function and a security photographing system using the automatic photographing function to perform an automatic photographing mode so as to easily capture / store surrounding conditions.

오늘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 또는 PDA와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에는 카메라가 장착되고 있으며, 이 카메라를 통해 정지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 저장하고 이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technology advances today,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or PDAs are equipped with cameras, which are configured to shoot, store and output still images and videos to the outside.

종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에는 사용자가 카메라 촬영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영상을 촬영할 수 있고, 휴대용 전자장치에 구비된 메모리의 용량만큼 촬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In a conventional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amera, a user may capture an image by selecting a camera photographing mode, and store captured data as much as a memory capacit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echnical ProblemTechnical Problem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전자장치에서는 촬영을 위해 키패드를 다수번 조작하여 촬영 명령을 입력해야만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용량만큼의 촬영 후에는 기존 촬영된 이미지를 삭제하여야만 추가로 촬영 저장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단순 촬영만을 수행할 뿐 다양한 형태의 촬영모드를 지원하는데 그 한계가 있다.However, in su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photographing may only be performed by inputting a photographing command by operating a keypad several times for photographing. In addition, after capturing as much as the memory capacity,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apturing and storing of an existing photographed image may be additionally performed. Therefore, only a simple capturing is performed to support various types of capturing modes.

또한, 통상적으로 카메라 촬영모드에서는 전력소모가 상당하기 때문에, 장시간 촬영을 수행할 경우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 본연의 기능(무선통화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In addition, since power consumption is typically considerable in the camera shooting mod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original function (wireless call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be performed when shooting for a long time.

Technical SolutionTechnical Solution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동작으로 자동 촬영모드가 수행되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자동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게 촬영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object;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shooting function, which can be easily executed by performing an automatic shooting mode with a simple operation and automatically storing the captured image data.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장착되어 촬영된 영상 중에서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차량의 주행 또는 사고 이력을 보관할 수 있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photographing function capable of storing driving or accident history of a vehicle by storing predetermined data among images taken by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신망에 접속하여 자동촬영기능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보안서버로 자동 전송할 수 있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curity shooting system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transmitting image data captured by an automatic shooting function to a security server by accessing a communication network.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는;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구비한 촬영부와,A photographing unit hav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상기 촬영부를 동작시키기 위해 촬영 동작신호를 입력하는 촬영명령 입력부와,A shooting command input unit which inputs a shooting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shooting unit;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베이스와,An image database for storing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상기 촬영명령 입력부의 동작신호 입력이 있으면 상기 촬영부를 동작시켜 주위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임시 저장하며, 촬영중 상기 촬영명령 입력부의 동작신호 입력이 없으면 상기 촬영부의 동작이 정지시키며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re is an operation signal input of the photographing command input unit, the photographing unit is operated to temporarily photograph the surroundings and temporarily store the photographed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If there is no operation signal input of the photographing command input unit during photographing, the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is stopped. And a controller for permanently storing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는;In addi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와,Shooting unit for taking a picture,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베이스와,An image database storing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상기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충전관리부와,A charge management unit for measuring the battery voltage and outputt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hereto;

상기 충전관리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배터리가 충전장치와 접속되어 충전상태일 경우 상기 촬영부를 동작시키면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촬영 중에 상기 배터리가 상기 충전장치와 분리되면 상기 촬영부 동작을 중지시키면서 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based on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When the battery is connected to a charging device and is in a charged state, the image data is stored in the image database while the photographing unit is operated. 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stop the storage of the image data while the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는;In addi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구비한 촬영부와,A photographing unit hav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베이스와,An image database for storing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미리 설정된 RF신호를 수신하고 촬영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RF모듈과,An RF module for receiving a preset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a photographing command signal;

상기 RF모듈로부터 촬영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촬영부를 구동시키며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drive the photographing unit and store photographed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 when a photographing command signal is input from the RF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은;In addition, the security shooting system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통신망에 접속되어 영상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보안서버와; 충전장치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충전장치 접속 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보안서버로 전송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포함하며;A security server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o store / manage image data;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harges a battery through a charging device, captures an image when the charging device is connected,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data to the security server by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구비한 촬영부와,A photographing unit hav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상기 촬영부를 동작시키기 위해 촬영 동작신호를 입력하는 촬영명령 입력부와,A shooting command input unit which inputs a shooting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shooting unit;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베이스와,An image database for storing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상기 촬영명령 입력부의 동작신호 입력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부를 동작시켜 주위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임시 저장하며, 촬영 중에 상기 촬영명령 입력부의 동작신호 입력이 없으면 상기 촬영부의 동작이 정지시키며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operation signal input of the shooting command input unit is longer than a preset time, the shooting unit is operated to take a picture of the surroundings and temporarily store the captured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 If there is no operation signal input of the shooting command input unit during shooting, the shoot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operation and permanently storing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data.

Advantageous EffectsAdvantageous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에 의하면; 촬영명령 입력부의 촬영 동작신호 입력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즉시 촬영모드로 진입하여 자동으로 외부상황을 촬영하며, 촬영 동작신호 입력이 중지되면 촬영모드를 해제하며 촬영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전자장치에서는 자동 촬영모드로 전환됨과 동시에 촬영 영상을 저장할 수 있어서 증거 영상을 빠짐없이 확보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명령을 추가적으로 입력받지 않아도 촬영모드가 자동 실행되므로 사용 편의성을 보다 배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동 촬영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이 간단하여 그 제조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shooting operation signal input of the shooting command input unit is longer than the set time, it immediately enters the shooting mode and automatically photographs the external situation. When the shooting operation signal input is stopped, the shooting mode is canceled and the shooting data is stored permanently. Therefor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switch to the automatic shooting mode and simultaneously store the captured image, so that the evidence image can be secured without missing. Also, the recording mode is automatically executed without further input by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doubled.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figuration for implementing automatic shooting is simple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에 의하면, 휴대용전자장치를 충전장치에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충전모드에서 자동적으로 외부상황을 촬영하여 인터넷의 보안서버로 전송함으로써, 현재 외부 상황을 촬영/저장하는 블랙박스 및 보안장치의 역할을 보다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urity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imply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the charging device, by automatically recording the external situation in the charging mode and transmitting to the security server of the Internet, the current external situ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ore faithfully perform the role of the black box and the security device to shoot / store the.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것이다.1 and 2 illustrate the appearan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 적으로 보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5 illustrates a state of u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배터리 충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7 and 8 are graphs for describing a battery charging proces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와 충전장치의 접속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9 schematically illustrates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와 충전장치의 접속시의 전압그래프이다.10 is a voltage graph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charging device are connect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촬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hotographing proces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영상 데이터 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data processing proces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거치 구조를 설명하 기 위한 개략도이다.1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와 충전장치의 접속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1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다른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operation proce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접속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proces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보안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curity serv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보안 관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curity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 및 보안촬영시스템의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흐름도이다.2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proces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security photographing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ope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다른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2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control oper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Best ModeBest Mod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는 다이얼 키패드(11)가 마련된 하부베이스(10)와, 이 하부베이스(10)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면에 액정화면(21)이 마련된 상부베이스(20)와, 이 상부베이스(20)를 하부베이스(10)의 상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체결하는 슬라이드 조립체(미도시)를 갖추고 있다.1 and 2,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lower base 10 provided with a dial keypad 11 an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ase 10. An upper base 20 provided with a liquid crystal display 21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lide assembly (not shown) for fastening the upper base 20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ase 10 by a slide method.

하부베이스(10)는 휴대폰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여기에는 PCB(미도시) 등이 내장된다. 또한, 하부베이스(10)의 상면 하단부위에는 멤브레인 키패드(MEMBRANE KEY PAD;11)와 마이크 등이 마련되며, 하부베이스(10)의 하부에는 단말기 배터리(1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하부베이스(10)의 측면에는 푸시버튼 타입의 촬영버튼(13)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것은 촬영 동작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것이다.The lower base 10 forms the appearance of a mobile phone, and a PCB (not shown) is embedded therein. In addition, a membrane keypad (MEMBRANE KEY PAD) 11 and a microphone ar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ase 10, and the terminal battery 12 is detachably moun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ase 10. In addition, the push button type shooting button 13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lower base 10, which is for inputting a shooting operation signal.

상부베이스(20)는 슬라이드 조립체를 매개로 하부베이스(10)에서 상하방향으 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여기에는 액정화면(LCD;21)과 이어폰(22) 및 촬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카메라(23) 등이 배치된다. 한편, 카메라(23)는 전후방향(화살표 방향 참조)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촬영 방향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The upper base 20 is mounted to be slidably move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lower base 10 via a slide assembly, and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21, an earphone 22, and a shooting function. The camera 23 and the like are disposed. On the other hand, the camera 23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refer to the arrow direction), so that the shooting direction can be variously adjusted.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31)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30)와, 이동통신망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34)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32)와, 이 촬영부(32)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영상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관리하는 영상 제어부(35)와, 휴대용전자장치(1)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3)를 갖추고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troller 31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command from a user. 3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4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photographing unit 32 for capturing an image, and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32 as an image or a video. The image control unit 35 stores / manages the database 36, and a memory 33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provided.

또한, 입력부(30)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촬영 동작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한 촬영명령 입력부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촬영명령 입력부에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푸시버튼 타입의 촬영버튼(13)을 포함한다. 따라서 촬영버튼(13)을 통한 촬영 동작신호 입력에 따라 메인 제어부(31)에서는 촬영부(32) 동작을 결정하고, 이 촬영부(32)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관리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30 is provided with a photographing command input unit for the user to input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arbitrarily, the photographing command input unit includes a pushbutton type photographing button 13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31 determines the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unit 32 according to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input through the photographing button 13, and store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32 in the image database 36.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한편, 메인 제어부(31)에서는 촬영버튼(13)에 의한 동작신호 입력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이면 자동 촬영모드로 진입시키고 설정시간 이내인 경우이면 일반 모드로 진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trol unit 31 is configured to enter the automatic shooting mode if the operation signal input time by the shooting button 13 is more than the set time, and enters the normal mode if it is within the set time.

즉, 사용자가 촬영버튼(13)을 원터치 또는 설정시간 이내로 눌러 촬영 동작신호를 입력하면, 메인 제어부(31)에서는 촬영버튼(13)에 의한 촬영 동작신호를 감지하고, 계속하여 영상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액정화면(21)에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초기 설정모드를 실행시키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키패드(11) 등을 또다시 조작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 이미지를 촬영 저장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촬영버튼(13)을 설정시간 이내로 눌러 촬영 동작신호를 입력시키면,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 단계가 요구된다.That is, when the user inputs the shooting operation signal by pressing the shooting button 13 within one touch or within the set time, the main controller 31 detects the shooting operation signal by the shooting button 13, and then the image controller 35 continues. Is controlled to execute the initial setting mode to enter the picture-taking or moving picture-taking mode on the LCD screen 21. In this case, the user can manipulate the keypad 11 or the like again to capture and store a photo or video image. As a result, when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is input by pressing the photographing button 13 within a set time, a separate operation step for entering the photographic or video photographing mode is required.

반면에, 사용자가 촬영버튼(13)에 의한 촬영 동작신호 입력이 설정시간(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3초로 설정하였음) 이상이면, 메인 제어부(31)에서는 촬영버튼(13)이 연속적으로 눌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촬영부(32)를 구동시키는데, 이때에는 영상 제어부(35)를 제어하여 동영상 촬영을 곧바로 실행시키면서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베이스(36)에 임시 저장하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그리고 촬영버튼(13)에 의한 촬영 동작신호 입력이 없으면, 메인 제어부(31)에서는 영상 제어부(35)를 제어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고, 촬영부(32)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nputs the shooting operation signal by the shooting button 13 to the setting time (set to 3 second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oting button 13 is continuously operated in the main controller 31. It detects the pressed state in real time and drives the photographing unit 32. At this time, it is programmed to temporarily store the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 36 while controlling the image control unit 35 to immediately execute video shooting. And when there is no input operation signal input by the shooting button 13, the main control unit 31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image control unit 35 to permanently store the captured image data, an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recording unit 32 have.

이때, 영상 제어부(35)는 영상 데이터베이스(36)에 저장용량 초과 시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먼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이후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베이스(36)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베이스(36)는 저장용량 초과 시에도 연속적인 촬영/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age control unit 35 deletes the image data stored first from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data when the storage capacity is exceeded in the image database 36, and stores the image data captured thereafter. It is configured to control. Therefore, the image database 36 may perform continuous shooting / storage even when the storage capacity is exceeded.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제어동작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control operation proce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먼저, 메인 제어부(31)에서는 휴대용전자장치(1)의 전원이 온 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40). 그리고 단계 S40에서 휴대용전자장치(1)의 전원이 온 되었다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31)에서는 촬영버튼(13)에 의한 촬영 동작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41).First, the main controller 31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turned on (S40).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40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powered on, the main controller 31 determines whether a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by the photographing button 13 is input (S41).

단계 S41에서 촬영버튼(13)에 의한 촬영 동작신호가 입력된다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31)에서는 촬영 동작신호 입력시간을 카운트하며(S42), 촬영 동작신호 입력시간이 설정시간(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3초로 설정됨) 이상인가를 판단한다(S43).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1 that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by the photographing button 13 is input, the main control unit 31 counts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input time (S42), and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input time is the set time (the present invention). In one embodiment, it is determined to be 3 seconds or more (S43).

계속하여, 단계 S43에서 촬영 동작신호 입력시간이 설정시간 이내이면, 메인 제어부(31)에서는 다른 키 신호기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44). 그리고 단계 S44에서 다른 키 신호가 입력됐다고 판단되면 해당키의 기능에 따라 휴대용전자장치(1)의 동작을 수행시킨다(S45).Subsequently, if the shooting operation signal input time is within the set time in step S43, the main controller 31 determines whether another key signal is input (S44).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other key signal is input in step S44,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key (S45).

한편, 단계 S43에서 촬영버튼(13)에 의한 촬영 동작신호 입력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영상 제어부(35)에서는 촬영부(32)를 구동시키고(S46),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베이스(36)에 임시 저장한다(S47). 즉, 촬영부(32)가 구동하면, 촬영된 현재 영상을 영상 제어부(35)로 전송한다. 영상 제어부(35)는 미리 설정된 절차에 따라 촬영부(32)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S47). 이 때 , 영상 데이터베이스(36)에서는 저장용량 초과 시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먼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삭제하고 이후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선입선출 제어)함으로써 연속적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데이터베이스(36)는 복수개의 저장섹터로 구획하고, 각각의 저장섹터에 소정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개별로 저장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shooting operation signal input time by the shooting button 13 in the step S43 or more than the set time, the image control unit 35 drives the shooting unit 32 (S46), the captured image data to the image database 36 Store temporarily in step S47). That is, when the photographing unit 32 is driven, the photographed current image is transmitted to the image controller 35. The image controller 35 processes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32 according to a preset procedure (S47). In this case, when the storage capacity is exceeded, the image database 36 may perform continuous shooting by sequentially deleting first stored image data among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data and continuously storing (first-in, first-out) image data photographed afterwards. . The image database 36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orage sectors, and may separately store image data having a predetermined capacity in each storage sector.

계속하여, 메인 제어부(31)에서는 촬영버튼(13)에 의한 촬영 동작신호가 지속적으로 입력되는가를 판단한다(S48).Subsequently, the main controller 31 determines whether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by the photographing button 13 is continuously input (S48).

단계 S48에서 촬영 동작신호가 지속적으로 입력된다고 판단되면 촬영부(32)를 구동시키는 단계 S46으로 되돌아가고, 촬영 동작신호가 더 이상 입력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영상 데이터베이스(36)에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고(S49), 계속하여 촬영부(32) 구동을 중지시켜 촬영모드를 해제한다(S5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8 that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is continuously inputted, the process returns to step S46 of driving the photographing unit 32,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is no longer inputted, the image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image database 36 is permanently stored. In operation S49, the driving of the photographing unit 32 is stopped to release the photographing mode (S50).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버튼(13)을 동작시키기 위한 누름부(미도시)가 일체로 마련된 차량용 거치셋트(60)에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를 거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휴대용전자장치(1)는 거치대(60)에 거치함과 동시에 자동 촬영모드가 실행되어 차량 주변을 촬영 저장하게 된다. 물론 거치세트(60)에 누름부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휴대용전자장치(1)를 거치셋트(60)에 장착하면 촬영버튼(13)이 눌러져 촬영이 개시되고, 휴대용전자장치(1)를 거치셋트(60)에서 제거하면 촬영버튼(13)이 원위치되어 촬영이 중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mounting set 60 in which a pressing unit (not shown) for operating the photographing button 13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case of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mounted on the holder 60 and at the same time, the automatic shooting mode is executed to capture and store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Of course, without installing the pressing unit separately to the mounting set 60,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mounted on the mounting set 60, the shooting button 13 is pressed to start shooting,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mounted on the mounting set. If removed at 60, the shooting button 13 may be configured to stop shooting.

즉, 휴대용전자장치(1)가 거치셋트(60)에 거치되면 누름부는 촬영버튼(13)을 통해 촬영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고, 휴대용전자장치(1)가 거치셋트(60)에서 분리되면 촬영 동작신호 발생이 중지되어 자동으로 촬영모드가 해제된다.That is,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mounted on the mounting set 60, the pressing unit generates a shooting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shooting button 13, and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set 60, the shooting operation is performed. Signal generation stops and shooting mode is automatically released.

따라서 휴대용전자장치(1)를 통해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상황을 자동으로 촬영 저장하여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한 별도 조작을 행하지 않고도 촬영 영상을 간편하게 녹화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을 증대함과 아울러 교통사고와 같은 이벤트 발생 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증거 영상을 빠짐없이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거치셋트(60)로부터 휴대용전자장치(1)가 분리되면 촬영 데이터는 자동 저장된 상태에서 촬영모드가 해제되기 때문에, 사용자 부주의 또는 외부충격에도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lack box function may be performed by automatically photographing and storing an internal or external situation of the vehicle throug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easily record the captured image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by the user to increase the ease of use and to secure an evidence image that can be used as an objective data when an event such as a traffic accident occurs.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detached from the mounting set 60, the photographing data is released in the automatically stored state, and thus, the user can effectively cope with user carelessness or external shock.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서는 촬영명령 입력부를 푸시버튼 타입의 촬영버튼(13)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고 자성체(마그네트)와 홀센서를 통해서도 촬영명령을 입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graphing command input unit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a pushbutton-type photographing button 1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hotographing command may be input through a magnetic material (magnet) and a hall sensor. Of course.

즉, 자기장의 유무에 따라 온(on)/오프(off)되는 홀센서를 메인 제어부(31)의 입력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휴대용전자장치(1)를 거치셋트에 거치하는 경우 홀센서와 대향되는 위치에 자성체를 배치한다.In other words, when the Hall sensor is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agnetic field, the hall senso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unit 30 of the main control unit 31,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mounted on the mounting set. The magnetic material is placed in a position opposite to the sensor.

따라서 휴대용전자장치(1)를 거치셋트에 거치하면 자성체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에 의해 홀센서는 온(on) 되며, 메인 제어부(31)에는 홀센서의 온 신호가 지속적으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31)에서는 홀센서의 온 신호 입력이 설정시간 이상이면 자동 촬영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전자장치(1)가 거치셋트에서 분리되면 홀센서는 오프되며, 홀센서의 오프신호가 메인 제어부(31)에 입 력되면 자동 촬영모드를 해제하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영구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도 휴대용전자장치가 차량의 거치세트에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센서라도 채용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mounted on the mounting set, the hall sensor is turned on by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magnetic material, and the on signal of the hall sensor is continuously input to the main controller 31. 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31 may enter the automatic photographing mode when the ON signal input of the hall sensor is longer than the set time.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 is detached from the mounting set, the hall sensor is turned off. When the off signal of the hall sensor is input to the main controller 31, the hall sensor is canceled and the captured image data can be permanently stored. In addition, any sensor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on the mounting set of the vehicle may be employed.

결국, 전용 거치셋트에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를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주변 상황을 촬영 저장하므로 그 사용 편리성이 배가된다.As a result, only by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dedicated mounting set automatically captures and stores the surrounding situation, thereby increasing its convenience of use.

또한, 촬영모드 시 단말기 배터리 소모량이 많기 때문에, 전용 거치셋트를 휴대용전자장치 거치와 함께 충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충전회로를 구비한 거치셋트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terminal battery consumption is high in the shooting mod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dedicated mounting set as a mounting set having a charging circuit so as to simultaneously perform a charging function together with the mounting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3.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전체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120)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10)와, 이동통신망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60)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130)와, 이 촬영부(30)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관리하는 영상 제어부(170)와, 휴대용전자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40)를 포함한다.First, referring to FIG. 6,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controller 120 for controlling an overall operation, and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command from a user.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photographing unit 130 for capturing an image, and the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30 as an image or video image database 180 ), A video controller 170 for storing / managing, and a memory 140 for storing a program and data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배터리(200) 전압을 감시하여 현재 전압상태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충전여부 를 감시하고 그 정보를 메인 제어부(120)로 제공하는 충전관리부(190)와,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메인 제어부(20)로 제공하는 GPS부(151)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and transmits the current voltage state to the main controller 120 as well as monitoring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ler ( It further includes a charge management unit 190 to provide a 120, and a GPS unit 151 for receiving the GP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atellite to provide data on the current location to the main control unit 20.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충전관리부(19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촬영부(130)를 통해 현재 외부 상태를 촬영하고 그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관리하는 소정의 블랙박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aptures the current external state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13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and displays the image data thereof. A predetermined black box operation stored / managed in the database 180 may be performed.

이 충전관리부(90)는 현재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어 배터리(200)를 충전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충전개시 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 20)는 충전개시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촬영(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개시하게 된다. 이때, 영상 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 저장 시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제어한다.The charging management unit 90 transmits a charging start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currently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o charge the battery 200. 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20 receives the charging start signal and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art shooting (image or video). In this case, the imag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first-in-first-out (FIFO) method to the image database 180 when the image data is stored.

한편, 충전관리부(190)는 현재 충전장치(300)에 거치되어 있는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로부터 분리되는지를 검출하게 된다.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110)로부터 분리됐다고 판단되면 충전종료 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하며, 이러한 경우 메인 제어부(120)에서는 충전종료 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하여 현재 촬영을 중단한다.Meanwhile, the charging manager 190 detects whethe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currently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110, the charging e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In this case, the main control unit 120 receives the charging end signal and transmits the image control unit 170. Control to stop the current shot.

이러한 충전관리부(90)를 통한 휴대용전자장치(100)의 충전장치 거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 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배터리 충전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A process of determining a charging device mounting stat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charge management unit 90 will be described below. 7A and 7B are graphs for describing a state of charge of a battery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배터리(100)의 현재 전압이 V1인 휴대용전자장치(100)를 충전장치(300)에 거치하면, 휴대용전자장치(100)의 배터리(200)에는 충전장치(300)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배터리(200)로 전류가 공급되어 배터리 충전이 개시된다(T1).Referring to FIG. 7,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having the current voltage V1 of the battery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he battery 200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charg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and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battery 200 to start charging the battery (T1).

이때, 배터리(200)의 전압을 감시하는 충전관리부(290)는 T1의 시간에서 현재 배터리(200)의 전압(V1)이 그보다 높은 소정전압(V2)으로 상승함을 인지할 수 있으며, 전압이 상승됨을 감지하게 되면 현재 배터리(200)가 충전됨을 인지하게 된다. 그리고 충전관리부(290)는 충전개시 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하고, 메인 제어부(120)는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촬영모드를 개시한다.At this time, the charge management unit 290 for monitoring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may recognize that the voltage V1 of the current battery 200 rises to a predetermined voltage V2 higher than that at the time T1, and the voltage is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rise is recognized that the current battery 200 is charged. In addition, the charge management unit 290 transmits a charge start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120, and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art a shooting mode.

또한, 배터리(200) 충전이 지속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배터리(200) 전압은 충전이 완료되는 전압(V3)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그리고 배터리(200)의 전압이 충전완료전압(V3)이 되는 시점(T3)이 되면 충전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200)에는 충전완료전압(V3)보다 높은 전압인 충전장치(300)의 출력전압(V4)이 그대로 인가되고, 충전관리부(190)는 충전장치(300)의 출력전압(V4)을 인지하게 된다. 이때, 메인 제어부(20)는 충전관리부(19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에 따라 영상 제어부(70)를 제어하여 현재 촬영모드를 계속 유지시킨다.In addition, as the battery 200 is continuously charged,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continuously increases until the voltage V3 at which charging is completed.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reaches a time point T3 at which the charging completion voltage V3 is reached, charging is completed. Accordingly, the output voltage V4 of the charging device 300 that is higher than the charging completion voltage V3 is applied to the battery 200 as it is, and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outputs the output voltage V4 of the charging device 300. Will be recognized.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7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to maintain the current shooting mode.

한편, 충전장치(300)가 분리되면 배터리(200) 전압 V4는 V3으로 낮아진다. 이에 따라 충전관리부(190)는 배터리 전압의 강하(V4 → V3)를 검출하고 충전이 중지되었음을 판단하며,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20)는 영상제어부(170)를 제어하여 현재 촬영모드를 중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harging device 300 is disconnected, the battery 200 voltage V4 is lowered to V3. Accordingly,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detects a drop (V4? V3) of the battery voltage, determines that charging is stopped,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120 accordingly. 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op the current shooting mode.

전술한 도 7은 배터리가 충전 완료되는 시점까지를 설명한 것으로, 충전도중 휴대용전자장치를 충전장치와 분리할 경우, 즉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을 종료하는 경우는 도 8과 같다.As described above, FIG. 7 illustrates the time until the battery is fully charged.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during charging, that is, the charging is terminated while the charging is not completed, the same as in FIG.

즉, 배터리(200)의 현재 전압이 V1인 휴대용전자장치(100)를 충전장치(110)에 거치하면, 배터리(200)에는 충전장치(300)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고, 배터리(200)로 전류가 공급되어 배터리 충전이 개시된다(T1).That is,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whose current voltage of the battery 200 is V1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110, a predetermined voltage is applied to the battery 200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and the battery 200 The electric current is supplied to start charging the battery (T1).

배터리(200)의 전압을 감시하는 충전관리부(190)는 T1의 시간에서 현재 배터리(200)의 전압(V1)이 그보다 높은 소정전압(V2)으로 상승함을 인지할 수 있으며, 전압이 상승됨을 감지하게 되면 현재 충전중임을 인지하게 된다. 충전관리부(190)는 충전개시 신호를 메인 제어부(20)로 전송하고, 메인 제어부(20)는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촬영모드를 개시한다.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that monitors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may recognize that the voltage V1 of the current battery 200 rises to a predetermined voltage V2 higher than the current at the time T1, and the voltage is increased. If it detects, it will recognize that it is charging. The charging manager 190 transmits a charging start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20, and the main controller 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art a photographing mode.

또한, 충전이 개시된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충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터리(200) 전압은 충전이 완료되는 전압(V3)까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이때,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전압(V5)인 시점 T2에서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에서 분리되면 충전이 중단되는데, 충전장치(300)로부터 전압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배터리(200)의 전압 V5는 V5'로 낮아진다.In addition, as time passes after the charging is started, as the charging is performed,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continuously increases to the voltage V3 at which charging is completed. At this time,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at a time point T2 at which the charging is not completed, the charging is stopped. Since the voltage is not appli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the battery 200 Voltage V5 decreases to V5 '.

이에 따라 충전관리부(190)에서는 배터리 전압 강하(V5 → V5')를 검출하고 충전이 중지되었음을 판단하며,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 제어부(20)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20)는 영상 제어부(70)를 제어하여 현재 촬영모드를 중지한다.Accordingly,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detects the battery voltage drop (V5-> V5 '), determines that charging is stopped, and transmits a signal accordingly to the main controller 20. The main controller 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70 to stop the current shooting mode.

전술한 도 7 및 8에서는 충전관리부가 배터리 충전을 판단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충전관리부는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고, 충전여부의 판단은 메인 제어부가 수행할 수도 있다.In FIGS. 7 and 8, the charge manager determines that the battery is charged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but the charge manager measur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and the main controller may perform the charge. .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와 충전장치의 접속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통상 배터리(200)는 휴대용전자장치(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충전장치(300)에 접속됨으로써 충전된다.)9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rmally, the battery 200 is charged by being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300 while being mounted 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도 9를 참조하면, 배터리(200)는 플러스 전극이 되는 노드 N1과 그라운드 전극이 되는 노드 N3으로 접속되고, 노드 N1 및 N3은 충전장치(300)의 노드 S1 및 S3과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휴대용전자장치(100)의 노드 N2와 그라운드 사이에는 저항 R1이 접속되고, 노드 N2는 충전장치(300)의 노드 S2와 접속된다. S2와 S1사이에는 저항 RL이 접속된다.Referring to FIG. 9, the battery 200 is connected to a node N1 serving as a positive electrode and a node N3 serving as a ground electrode, and the nodes N1 and N3 are connected to nodes S1 and S3 of the charging device 300 to receive power. . In addition, a resistor R1 is connected between the node N2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ground, and the node N2 is connected to the node S2 of the charging device 300. A resistor RL is connected between S2 and S1.

이러한 구성에 따라,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면 N1, N2 및 N3은 S1, S2 및 S3과 각각 접속되며, 배터리는 N1을 통하여 공급되는 충전장치(110)의 출력전원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N1, N2, and N3 are connected to S1, S2, and S3, respectively, and the battery is output from the charging device 110 supplied through N1. Charging is done by the power supply.

이 때, N2의 전압은 충전장치 출력전압(VS1)× {R1/(R1+RL)}이 된다. (이 때, VS1은 노드 S1의 출력전압이다.) 즉,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면 N2의 전압은 충전장치 출력전압(VS1) × {R1/(R1+RL)}이 되고,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에서 분리되면 N2의 전압은 '0'V가 된다. 따라서 충전관리부(190)에서 N2의 전압을 검출하면 충전장치(300)의 거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이 도 10에 도시한 그래프와 같다.At this time, the voltage of N2 becomes the charger output voltage VS1 x {R1 / (R1 + RL)}. (In this case, VS1 is the output voltage of the node S1.) That is,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he voltage of N2 is equal to the charging device output voltage VS1 × {R1 / (R1 + RL). ), And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the voltage of N2 becomes' 0'V. Therefore, if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detects the voltage of N2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charging device 300 is mounted, which is the same as the graph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제어과정을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12는 촬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Hereinafter, a control proce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11 is for explain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for explaining the photographing process.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충전관리부(190)는 현재 배터리 전압을 검출(S210)하고, 충전개시인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메인 제어부(120)는 충전관리부(19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중인지를 판단한다(S211). 단계 S211에서 충전중인라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20)는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영상촬영을 개시한다(S212). 단계 S212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1,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detects a current battery voltage (S210), determines whether charging is started, and transmi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main controller 120. The main controller 120 receiv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being charged (S211).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11 that the charging is in progress, the main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 unit 170 to start taking an image (S212). Step S212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1.

그러나 단계 S211에서 충전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20)는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영상장치인 촬영부(130)의 구동을 해제하고 촬영을 중지한다(S213).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11 that the charging is not in progress,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release the driving of the photographing unit 130 which is an image device and stop shooting (S213).

전술한 단계 S212는 촬영부(130) 및 영상 제어부(170)를 통하여 현재 휴대용전자장치(100) 외부의 상황을 촬영하는 것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described step S212 is to take a picture of the current state of the out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130 and the image control unit 170.

즉, 메인 제어부(120)는 현재 모드를 촬영모드로 모드전환을 수행한다(S220). 모드전환에 따라 메인 제어부(120)는 영상 제어부(170)를 구동한다. 이에 영상 제어부(170)는 촬영부(130)가 켜져(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221). 단계 S221에서 촬영부(130)가 켜져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촬영부(130)를 구동한다(S222). 촬영부(130)가 구동되면, 현재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제어부(170)로 전송 한다.That is, the main control unit 120 performs mode switching to the current mode in the shooting mode (S220). In response to the mode change, the main controller 120 drives the image controller 170. In response, the image controller 170 determines whether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turned on (S221).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21 that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not turned on,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driven (S222). When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driven, the current image is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to the image controller 170.

이에 영상 제어부(170)는 미리 설정된 절차에 따라 촬영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S223). 단계 S223에서 영상 제어부(170)는 촬영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프레임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에 타임스탬프를 설정할수 있다. 또한, 영상 제어부(170)는 GPS부(151)로부터 현재 위치에 따른 위치데이터를 제공받아 영상 데이터에 첨부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image controller 170 processes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30 according to a preset procedure (S223). In operation S223,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adjust the number of frames according to preset information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30, and set a time stamp on the image data. In addition,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receive the position data according to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GPS unit 151 and attach it to the image data.

그리고 영상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다(S224). 이때, 영상 제어부(170)는 데이터 저장 시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베이스(18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의 저장용량 초과 시에는 먼저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이후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연속적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controller 170 stores the image in the image database 180 (S224). In this case, the imag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image database 180 in a first-in first-out (FIFO) manner when storing data. Accordingly,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image database 180 is exceeded, continuous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by deleting stored data first and storing image data photographed afterwards.

전술한 방법을 각 구성요소의 관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The above-described method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as follows. (Fig. 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ing proced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충전관리부(190)는 현재 배터리(200)의 전압을 측정한다(S230). 그리고 측정된 배터리 전압에 따라 충전중인지를 판단한다(S231). 단계 S231에서 충전중이라고 판단되면 충전관리부(190)는 충전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S232).Referring to FIG. 13,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measures the voltage of the current battery 200 (S230). In operation S231,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based on the measured battery voltage.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31 that the charging is in progress,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transmits a charging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S232).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120)는 모드전환을 수행하고(S233), 촬영부(130)는 현재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제어부(170)로 전송한다(S234). 이에 영상 제어부(170) 는 미리 설정된 절차에 따라 촬영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S235). 이때 단계 S235에서 영상 제어부(170)는 GPS부(151)로부터 위치 데이터를 제공받아 영상 데이터에 첨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처리된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로 전송(S236)하여 선입선출 방식으로 저장한다(S237).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120 performs the mode switching (S233), and the photographing unit 130 captures the current image and transmits it to the image controller 170 (S234). Accordingly, the image controller 170 processes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30 according to a preset procedure (S235). In this case, in step S235,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receive the position data from the GPS unit 151 and attach it to the image data. The process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atabase 180 (S236) and stored in a first-in first-out method (S237).

상기한 과정 수행 중 충전관리부(190)는 배터리(200) 전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S240), 휴대용전자장치(100)와 충전장치(300)가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41). 단계 S241에서 충전장치(200)가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관리부(190)는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하고(S242), 메인 제어부(120)는 촬영모드를 종료한다(S243).During the process,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continuously measur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S240), and determines whethe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charging device 300 are separated (S241).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41 that the charging device 200 is separated,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transmits a signal according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S242), the main control unit 120 ends the shooting mode (S243).

이와 같이, 휴대용전자장치(100)를 충전장치에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적으로 외부 상황을 촬영/저장함으로써, 차량 등에서 블랙박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보안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As such, by simply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o the charging device, the external situation can be automatically photographed / stored to serve as a black box in a vehicle or the like as a security device at home.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명칭과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9.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먼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이동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자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장치(300)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충전장치(300)에는 휴대용전자장치(100)의 배터리와 접속되는 다수의 접점(S1 내지 S3)과, 휴대용전자장치(100)가 거치되었을 때 온(on) 되는 스위치(SW)가 마련된다.First, referring to FIG. 14,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erform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and may be connected to a charging device 300 for charging its own battery. . In addition, the charging device 300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cts S1 to S3 connected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a switch SW that is turned on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do.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면 충전장치(300)의 스위치(SW)가 온 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충전장치(300)의 RF발생부(310)가 동작하여 거치신호를 발생시킨다.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he switch SW of the charging device 300 is turned on, and accordingly, the RF of the charging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later. The generator 310 operates to generate a stationary signal.

따라서 휴대용전자장치(100)는 거치신호를 수신하고 이의 배터리는 충전장치(300)의 접점(S1 내지 S3)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휴대용전자장치(100)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the stationary signal and its battery is charged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contacts S1 to S3 of the charging device 300.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As follows.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RF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수신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적으로 촬영을 수행하거나 또는 RF신호를 수신하고 충전모드일 경우에만 자동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1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erforms recording only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RF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from the outside or automatically receives only an RF signal in charging mode. You can also shoot, the composition is as follows.)

도 15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전체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120)와,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핫키를 포함하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10)와, 이동통신망과 무선 이동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60)와, 외부로부터의 송신되는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RF모듈(162)을 포함한다. 이 핫키는 별도로 마련되는 '키'이거나 또는 단축키가 될 수 있고, RF모듈(162)의 안테나는 바람직하게는 배터리(200) 측에 장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troller 120 for controlling an overall operation, a hot key for generating an event,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command from a user. It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for performing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RF module 162 for processing the charging signal from the charging devi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is hotkey may be a separate 'key' or a hotkey, and the antenna of the RF module 162 may be preferably mounted on the battery 200 side.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130)와, 이 촬영부(130)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관리하는 영상 제어부(170)와, 휴대용전자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40)와, 배터리(200) 전압을 감시하여 현재 전압상태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충전여부를 감시하고 그 정보를 메인 제어부(120)로 제공하는 충전관리부(190)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130 for capturing an image, and an image database 180 as an image or a video of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pturing unit 130. Image control unit 170 to store / manage, memory 140 to store a program and data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monitor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to maintain the current voltage state. In addition to transmitting to 120, and further comprises a charge management unit 190 for monitoring the charging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이 충전관리부(190)는 배터리 전압에 따라 충전중인지를 판단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 제어부(120)는 충전관리부(190)가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현재 충전중이라고 판단되고, RF모듈(162)로부터 충전장치 거치 신호가 입력되면, 촬영부(130)를 구동시키며 이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determines whether the battery is being charged according to the battery voltage, and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main controller 120. Therefore, the main controller 120 is determined to be currently being charged according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and when the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is input from the RF module 162,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driven and inputted therefrom.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be controlled to store the image data.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메인 제어부(120)로 제공하는 GPS부(151)와, 충격 등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감지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진동감지부(152)는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차량의 충전장치에 거치된 경우에는 휴대용전자장치(100) 파손 또는 차량 충돌 등의 진동을 검출하고, 가정용 충전장치에 거치되었을 경우에는 휴대용전자장치(100)의 파손충격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진동감지부(152)를 통하여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기기 파손 또는 차량충돌 등을 검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GPS signal transmitted from a satellite and provides a GPS unit 151 which provides data on a current position to the main controller 120, and an impact. It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for detecting the vibration of the.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detects a vibration such as damage or collis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of the vehicle, and portable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household charging device. The damage shock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may be detected. That is, by detecting a signal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it is possible to detect a device damage or a vehicle crash.

또한, 영상 데이터베이스(180)는 전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 (181)와, 진동감지부(152)로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검출되었을 때 영상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182)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image database 180 may store the image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image controller 170 when the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from the first storage unit 181 and the vibration detector 152. And a second storage unit 182 for storing.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RF모듈(162)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와 충전관리부(19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촬영부(130)를 통해 현재 외부 상태를 촬영하고 그에 대한 촬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관리하는 소정의 블랙박스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resent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130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F module 162 a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A predetermined black box operation of capturing an external state and storing / managing the captured data in the image database 180 may be performed.

즉, RF모듈(162)은 외부로부터 소정의 충전장치 거치신호가 수신되면 영상녹화를 위한 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하고, 충전관리부(190)는 현재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어 배터리(200)를 충전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충전개시 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120)는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촬영(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개시한다.That is, when a predetermined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is received from the outside, the RF module 162 transmits a signal for recording an image to the main controller 120, and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currently charge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attery 200 is charged in step 300, the charging star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120. 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art capturing (image or video).

한편, 영상 제어부(170)는 촬영부(13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하는데,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저장한다. 이때, 영상 제어부(170)는 데이터 저장 시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의 제1저장부(181)에 선입선출 방식으로 저장하며,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메인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의 영상 데이터를 제2저장부(182)에 저장하게 된다.The image controller 170 stores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30 in the image database 180, and stores the image data in a first-in first-out (FIFO) method. In this case, the image control unit 170 stores the image data in the first storage unit 181 of the image database 180 in a first-in first-out manner when data is stored, and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 unit 120. The image data at the time when the event occurs are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 이벤트는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로는 진동감지부(152)를 통하여 소정의 충격 내지 진동이 감지되고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이며, 둘째로는 입력부(110)를 통한 핫키 입력이 되는 경우이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vent is divided into two types, firstly, a case in which a predetermined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and meeting a preset condition, and secondly, the input unit 110. This is the case when hot key input through) is done.

진동감지부(152)를 통한 경우에는, 소정의 충격 내지 진동에 따른 신호가 감지되고, 충격 또는 진동에 따른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또는 진동감지부(152)를 통해 검출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상 인 경우등을 이벤트 발생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When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152 is used, a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and when the signal according to the shock or vibr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152 is removed. If the detected signal intensity is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etc. can be set as an event occurrence condition, and the setting can be changed by the user.

이때에는 충격 또는 진동이 감지된 시점의 영상 데이터를 제2저장부(182)에 저장 시, 제1저장부(181)로부터 조건에 따른 신호가 검출된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현재 이후의 소정시간동안의 영상데이터이거나, 또는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멈춘 시간까지의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2저장부(182)에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다.At this time, when storing the image data at the time when the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the image data previous to the preset time than the current time when the signal according to the condition from the first storage unit 181 is detected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urrent or the image data from the previous image data from the previous image data to the time when the shock or vibration is stopped by a predetermined time than the current time and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the user Can be changed by

한편, 입력부(110)를 이용할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핫키 또는 단축키가 입력되면 이를 이벤트 발생으로 인지한다. 이에 따라 키 입력에 따른 이벤트 발생이 감지된 시점의 영상 데이터를 제2저장부(182)에 저장 시, 제1저장부(181)로부터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현재 이후의 소정시간동안의 영상데이터이거나, 또는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핫키 또는 단축키를 통한 이벤트 해제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추출하여 제2저장부(182)에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input unit 110, if a predetermined hot key or hot key is input, it is recognized as an event occurrence. Accordingly, when storing the image data at the time when the occurrence of the event according to the key input is detect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the image before the current time when the event occurs from the first storage unit 181 for a predetermined time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urrent from the data, or image data from the previous image data from the previous image data to the event release time through the hotkey or the shortcut key by a preset time than the current time and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It can be changed by the user.

또한, 충전관리부(190)는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로부터 분리됐는지를 검출하고,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로부터 분리됐다고 판단 되면 충전종료 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120)는 충전종료 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하여 현재 촬영을 중단한다.In addition,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detects whethe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has been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has been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the charging e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unit ( 120). 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120 receives the charging end signal and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op the current shootin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RF모듈(162)을 통해 외부로부터 소정의 RF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수신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적으로 촬영을 수행하거나 또는 RF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충전모드일 경우에만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휴대용전자장치(1 00)의 충전장치 거치/충전을 수행하는 과정은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performs imaging by only receiving a predetermined RF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F module 162 or RF When the signal is received, the imaging may be performed only in the charging mode. A process of carrying / charging the charging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와 충전장치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1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connection betwe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charging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통상 배터리(200)는 휴대용전자장치(100)의 배면에 장착되어 충전장치(300)에 거치됨으로써 충전이 된다.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면 충전장치(300)의 스위치(SW)가 온(ON) 되고, 이에 따라 충전장치(300)의 RF발생부(310)가 동작하여 소정의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발생시킨다. 이에 휴대용전자장치(100)는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RF모듈(162)을 통해 수신하고 배터리(200)는 충전장치(300)의 접점(S1 내지 S3)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16, the battery 200 is charged on the back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he switch SW of the charging device 300 is turned on, and accordingly, the RF generator 310 of the charging device 300 operates to operate. Generates the charging device of the charging devic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receives the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through the RF module 162 and the battery 200 is charged by receiving power through the contacts S1 to S3 of the charging device 300.

그리고 배터리(200)는 플러스 전극이 되는 노드 N1과 그라운드 전극이 되는 노드 N3으로 접속되고, 노드 N1 및 N3은 충전장치(300)의 노드 S1 및 S3과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휴대용전자장치(100)의 노드 N2와 그라운드 사이에는 저항 R1이 접속되고, 노드 N2는 충전장치(300)의 노드 S2와 접속된다. 상기 S2와 S1사이에는 저항 RL이 접속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면; N1, N2 및 N3은 S1, S2 및 S3과 각각 접속되며, 배터리(200)는 N1을 통하여 공급되는 충전장치(300)의 출력전원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진다.The battery 200 is connected to a node N1 serving as a positive electrode and a node N3 serving as a ground electrode, and the nodes N1 and N3 are connected to nodes S1 and S3 of the charging device 300 to receive power. In addition, a resistor R1 is connected between the node N2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ground, and the node N2 is connected to the node S2 of the charging device 300. A resistor RL is connected between S2 and S1.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N1, N2, and N3 are connected to S1, S2, and S3, respectively, and the battery 200 is charged by the output power of the charging device 300 supplied through N1.

한편, 휴대용전자장치와 충전장치의 접속 시 충전관리부에서 충전 상태를 감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 상술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는 충전장치(300)에 푸시 온 되는 스위치(SW)를 통해 휴대용전자장치(100)가 거치되었는지를 감지하나, 이러한 감지수단을 푸시 스위치에 국한하지 않고 근거리 감지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method of detecting the charging state in the charge management unit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charging device is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detected by the switch SW push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but the sensing means is not limited to the push switch, but a short-range sensor Of course, it can be appli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제어과정을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흐름도이다.)Hereinafter, a control proces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flowchart. (FIG. 1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ontrol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을 참조하면, 충전장치(300)의 RF발생부(310)는 스위치(SW)가 온 되는지를 판단하고(S400), 온 되었다고 판단되면 RF발생부(310)는 미리 설정된 RF신호를 발생시킨다(S401).Referring to FIG. 17, the RF generator 310 of the charging device 300 determines whether the switch SW is turned on (S400), and if it is determined to be turned on, the RF generator 310 generates a preset RF signal. (S401).

한편, 휴대용전자장치(100)의 RF모듈(162)은 RF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S402), 신호가 수신된다고 판단되면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S403).Meanwhile, the RF module 162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n RF signal is received (S402),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is received, transmits the charging device mounting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120 (S403).

메인 제어부(120)는 충전장치 거치신호를 수신하면 충전여부를 판단한 후 영 상촬 영 과정을 수행하는데, 이하에서 실시 예별로 설명하도록 한다.When the main controller 120 receives the charging device stationary signal, the main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and then performs an image recording process.

먼저, 메인 제어부(120)는 RF모듈(162)을 통해 외부로부터 소정의 RF신호를 수신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적으로 촬영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RF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충전모드일 경우에만 촬영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후자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rst, the main control unit 120 automatically photographs only by receiving a predetermined RF signal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F module 162, or photographs only in the charging mode when the RF signal is receiv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latt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atter. FIG.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RF모듈(162)을 통하여 RF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410). 단계 S410에서 RF 신호가 검출된다고 판단되면, 충전관리부(190)는 현재 배터리(200) 전압을 검출(S412)하고, 충전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120)는 충전관리부(19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중인지를 판단한다(S413).Referring to FIG. 18,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termines whether an RF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RF module 162 (S41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10 that the RF signal is detected,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detects the current battery 200 voltage (S41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harge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120 receiv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being charged (S413).

단계 S413에서 충전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20)는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촬영모드를 해제한다(S411).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13 that the charging is not in progress, the main control unit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 unit 170 to release the shooting mode (S411).

그러나 단계 S413에서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중이라고 판단되면 영상 제어부(170)는 촬영부(130)가 켜져(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414). 단계 S414에서 촬영부(130)가 켜져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촬영부(130)를 구동한다(S415).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operation S413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being charged, the image controller 170 determines whether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turned on (on) (S41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14 that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not turned on,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driven (S415).

촬영부(130)가 구동되면 촬영부(130)는 현재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따라서 영상제어부(170)는 미리 설정된 절차에 따라 촬영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S416). 단계 S416에서 영상 제어부 (170)는 촬영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프레임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에 타임스탬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어부(170)는 GPS부(151)로부터 현재 위치에 다른 위치데이터를 제공받아 영상 데이터에 첨부할 수도 있다.When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driven, the photographing unit 130 photographs the current image and transmits the photographed image to the image controller 170. Therefore, the image controller 170 processes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30 according to a preset procedure (S416). In operation S416,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adjust the number of frames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30 according to preset information, and set a time stamp on the image data. In addition,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receive other position data at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GPS unit 151 and attach the image data to the image data.

그리고 영상 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한다(S417). 이때, 영상 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저장시킨다.The image controller 170 stores the image in the image database 180 (S417). In this case, the image controller 170 stores the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 180 in a first-in first-out (FIFO) manner.

상기한 과정 수행 중 충전관리부(190)는 배터리(200) 전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충전장치(300)와의 접속여부를 판단하는데; 충전장치(300)와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관리부(190)는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120)는 촬영모드를 종료한다.While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continuously measur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nection with the charging device 3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device 300 is separated,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The main controller 120 ends the shooting mode.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다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other oper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9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전자장치(100)는 RF모듈(162)을 통하여 RF신호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420). 단계 S420에서 RF 신호가 검출된다고 판단되면 이동통신단말(100)의 충전관리부(190)는 현재 배터리 전압을 검출(S422)하고, 충전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메인 제어부(120)는 충전관리부(19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중인지를 판단한다(S423). 단계 S423에서 충전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메인제어부(120)는 영상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촬영모드를 해제한다(S421).Referring to FIG. 19,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an RF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RF module 162 (S420).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20 that the RF signal is detected,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tects the current battery voltage (S422), determines whether it is charged,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ler 120. . The main controller 120 receiv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and determines whether it is being charged (S423).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23 that the charging is not in progress,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release the shooting mode (S421).

그러나 단계 S423에서 충전중이라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영상 제어부(170)는 촬영부(130)가 켜져(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424). 단계 S424에서 촬영부(130)가 켜져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촬영부(130)를 구동한다(S425).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23 that the charging is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20, the image controller 170 determines whether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turned on (on) (S42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24 that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not turned on,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driven (S425).

촬영부(130)가 구동되면, 현재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에 영상 제어부(170)는 미리 설정된 절차에 따라 촬영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S426). 단계 S426에서 영상 제어부(170)는 촬영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프레임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에 타임스탬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어부(170)는 GPS부(151)로부터 현재 위치에 다른 위치데이터를 제공받아 영상 데이터에 첨부할 수도 있다.When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driven, a current image is captured and transmitted to the image controller 170. Accordingly, the image controller 170 processes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30 according to a preset procedure (S426). In operation S426,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adjust the number of frames based on preset information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30, and set a time stamp on the image data. In addition,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receive other position data at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GPS unit 151 and attach the image data to the image data.

그리고 영상 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의 제1저장부(181)에 저장한다(S427). 이때, 영상 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의 제1저장부(181)에 촬영데이터 저장 시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의 제1저장부(181)의 저장용량 초과시에는 먼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이후 촬영되는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연속적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controller 170 stores the image controller 180 in the first storage unit 181 of the image database 180 (S427). In this case, the image controller 170 controls to be stored in a first-in first-out (FIFO) method when storing photographing data in the first storage unit 181 of the image database 180. Accordingly,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first storage unit 181 of the image database 180 is exceeded, successive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by deleting the stored image data first and then storing the photographed data.

한편, 메인 제어부(120)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428). 단계 S428에서 이벤트는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로는 진동감지부(152)를 통하여 소정의 충격 내지 진동이 감지되는 경우이며, 둘째로는 입력부(110)를 통하여 핫키 입력이 되는 경우이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an event occurs (S428). In step S428, the event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firstly, a case in which a predetermined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and secondly, a hotkey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단계 S428에서 진동감지부(152)를 통하여 충격 또는 진동이 검출된다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20)는 현재 진동감지부(152)를 통해 검출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S429). 이때, 설정조건은 충격 또는 진동에 따른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또는 진동감지부(152)를 통해 검출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등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그러나 단계 S428에서 핫키 등을 통하여 이벤트 입력이 될 경우에는 상기 단계 S429를 생략할 수도 있다.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28 that the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the main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detected by the current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meets a preset condition (S429). In this case, the setting condition may be a case in which a signal due to shock or vibr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a signal intensity detected by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You can also change the setting. However, if an event is input through a hotkey or the like in step S428, step S429 may be omitted.

단계 S429에서 조건에 부합된다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20)는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영상 제어부(170)는 현재 제1저장부(181)에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 중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제2저장부(182)에 저장한다(S43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29 that the condition is met;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Accordingly, the image controller 170 stores the data that meets a preset condition among the image data currently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81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S430).

단계 S430에서 조건은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현재 이후의 소정시간동안의 영상 데이터이거나, 또는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이벤트 조건이 해제된 시점, 즉 충격 또는 진동이 멈춘 시간 또는 입력부를 통한 이벤트 해제 입력이 있는 시점까지의 영상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다.In step S430, the condition is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urrent from the image data before the current time by a preset time, or when the event condition is released from the image data before the current time for a predetermined time, that is, the impact Alternatively, the image data may be image data up to a time when the vibration is stopped or an event release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which is also changeable by the user.

상기한 과정 수행 중 충전관리부(190)는 배터리(200)의 전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충전관리부(190) 또는 RF모듈(162)을 통해 충전장치(300)가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충전장치(300)가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20)는 촬영모드를 종료한다(S421).While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continuously measur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0.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device 300 is separated by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or the RF module 162, the main control unit 120 ends the photographing mode (S421).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도 휴대용전자장치(100)를 충전장치(300)에 거치되는 것만으로도 충전모드에서 자동적으로 외부 상황을 촬영하고, 이벤트 발생 시의 데이터를 별도로 저장 관리하므로 현재 상황을 촬영/저장하는 블랙박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above-described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only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he external situation is automatically photographed in the charging mode, and data is separately stored and managed when an event occurs. It can act as a black box to capture / save the current situation.

다음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도 20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서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명칭과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Next,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security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6.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 와 보안촬영시스템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security imaging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이동통신망(500)을 통하여 보안서버(530)와 접속되는데, 이동통신망(500)은 휴대용전자장치(1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이하 'BTS'라 칭함;510)과, BTS(510)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이하 'BSC'라 함;511)와, BSC(511)와 접속되어 호출 교환을 수행하는 교환기(이하 'MSC'라 칭함;512)과, MSC(512)와 접속되어 단문메시지를 제어하는 단문메시지 센터(이하 'SMSC'라 칭함;516)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ecurity server 53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0 i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a base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TS'; 510)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a base station controll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BSC'; 511) for controlling the BTS 510, and a BSC 511 to exchange a call. An exchan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MSC) 512 and a short message cen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MSC) 516 connected to the MSC 512 to control the short message.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망(500)은 BSC(511)와 접속되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이하 'PDSN'이라 칭함;513)과, PDSN(513)에 접속되는 데이터 코어망(이하 'DCN'이라 칭함;514)을 포함한 다. 이동통신망(500)의 DCN(514)은 인터넷(520)을 경유하여 또는 직접 보안서버(530)와 접속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BSC 511 to provide a packet data service n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DSN'; 513) and PDSN 513. It includes a data core network (hereinafter referred to as 'DCN'; 514) connected to. The DCN 51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0 may connect to the security server 530 via the Internet 520 or directly.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인데, 실질적인 구성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간략하게 기술한다.FIG. 2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ctual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thereof is provided. .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전체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제어부(120)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10)와, 이동통신망(5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1,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controller 120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s,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a predetermined command from a us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0.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130)와, 이 촬영부(130)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을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관리하는 영상 제어부(170)와, 휴대용전자장치(100)의 전체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130 for capturing an image, and an image database 180 as an image or a video of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the capturing unit 130. ) An image control unit 170 for storing / managing, and a memory 140 for storing a program and data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는 배터리(191) 전압을 감시하여 현재 전압상태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충전여부를 감시하고 그 정보를 메인 제어부(120)로 제공하는 충전관리부(190)와,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메인 제어부(120)로 제공하는 GPS부(151)와, 충격 등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감지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voltage of the battery 191 and not only transmits a current voltage state to the main controller 120, but also monitors charging status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ler. Charge management unit 190 provided to the 120, GPS unit 151 for receiving the GP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atellite to provide the data on the current location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and detects vibrations, such as shock The vibration sensing unit 152 may further include.

또한, 영상데이터베이스(180)는 전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181)와, 진동감지부(152)에서 충격 또는 진동이 검출되었을 때 영상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182)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image database 180 may store the image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image controller 170 when the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by the first storage unit 181 and the vibration detector 152. And a second storage unit 182 for storing.

그리고 충전관리부(190)는 현재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어 배터리(191)를 충전하는 상태라고 판단되면 충전개시 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120)는 충전개시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촬영(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개시할 수 있다. 이때, 메인 제어부(120)는 미리 설정된 접속정보에 따라 상기 무선통신부(160)를 통해 이동통신망(500)을 경유하여 보안서버(530)로 접속을 수행한다. 이때, 보안서버(530)는 이동통신망(500)으로부터 휴대용전자장치(100)의 전화번호를 수신함으로써 사용자를 인지할 수 있다.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transmits a charging start signal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currently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o charge the battery 191. 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120 may receive a charging start signal and control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art capturing (image or video). At this time, the main controller 120 performs a connection to the security server 530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t access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security server 530 may recognize the user by receiv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0).

한편, 영상 제어부(170)는 촬영부(13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하는데,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저장한다.The image controller 170 stores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30 in the image database 180, and stores the image data in a first-in first-out (FIFO) method.

이 때, 영상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의 제1저장부(181)에 선입선출 방식으로 저장하며, 진동감지부(152)를 통하여 소정의 충격 내지 진동이 감지되고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면 메인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충격 또는 진동이 감지된 시점의 영상 데이터를 제2저장부(182)에 저장한다.At this time, the image control unit 170 stores the image data in the first-in, first-out manner in the first storage unit 181 of the image database 180, the predetermined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152 in advance When the set condition is met, the image data at the time when the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20 i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또한, 충격 또는 진동이 감지된 시점의 영상 데이터를 제2저장부(182)에 저장시, 제1저장부(181)로부터 설정된 조건에 따른 신호가 검출된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현재 이후의 소정시간동안의 영상데이 터이거나, 또는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멈춘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를 추출하여 제2저장부(182)에 저장하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다.In addition, when storing the image data at the time when the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the image before the current time when the signal according to the condition set from the first storage unit 181 is detected by a predetermined time And extract the image data from the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urrent or the image data from the previous image data to the time when the shock or vibration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current time and store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It can be changed by the user.

또한, 메인 제어부(120)는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저장되는 데이터, 즉 제1저장부(181) 또는 제2저장부(182)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보안서버(530)로 전송하며, 보안서버(400)는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데, 이의 구성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120 selectively transmits data stored in the image database 180, that is, image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81 or the second storage unit 182, to the security server 530. The security server 400 stores / manages data transmitted by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충전관리부(190)는 현재 충전장치에 거치되어 있는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로부터 분리되는지를 검출하고,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로부터 분리됐다고 판단되면 충전종료 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detects whethe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currently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and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300. When the charging e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120.

이에 따라 메인 제어부(120)는 충전종료 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하여 현재 촬영을 중단하며, 보안서버(400)로의 데이터 전송을 중지한다. 이러한 충전관리부(190)를 통한 휴대용전자장치(100)의 충전장치(10) 거치 상태를 판단하는 구조 및 과정 설명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서 상술하였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생략한다.Accordingly, the main controller 120 receives the charging end signal and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stop the current shooting and stops data transmission to the security server 400. Structure and process description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mounting the charging device 10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hrough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i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below.

도 22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보안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curity serv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보안서버(530)는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31)와, 인터넷(520) 및/또는 DCN(514)과 접속하기 위한 망접 속부(532)와, 보안서버(530)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로 웹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서비스부(533)와, 망접속부(532)를 통해 접속하는 단말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관리부(534) 및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35)와,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전송하는 영상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영상정보 관리부(536) 및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537)와, 영상 데이터로부터 미리 설정된 보안 사태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주소정보에 따라 보안 경고를 수행하는 보안관리부(538)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2, the security server 53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 unit 531 for controlling overall operations, and a network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o the Internet 520 and / or the DCN 514. 532, a web service unit 533 for providing a web service to a client accessing the security server 530, a user manager 534 for managing information of a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connection 532, and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535, the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36 and the image information database 537 for managing the image data transmitted by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preset security situation from the image data are detected and set in advance. Security management unit 538 for performing a security w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address information.

보안서버(530)의 사용자 관리부(534)는 사용자 휴대용전자장치의 전화번호, 보안정보, 보안 경고를 위한 주소정보 등을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535)에 저장/관리한다.The user manager 534 of the security server 530 stores / manages a phone number, security information, and address information for a security alert in 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535.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보안서버(530)는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이동통신망(500)을 통하여 접속하면 사용자 관리부(534)는 휴대용전자장치(100)의 전화번호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In the security server 53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connec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0, the user manager 534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그리고 영상정보 관리부(536)는 휴대용전자장치(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영상 데이터를 휴대용전자장치(100)의 전화번호와 매칭하여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537)에 저장/관리한다. 이때, 보안관리부(538)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이 되면 보안 경고를 수행하는데, 이의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When the image information manager 536 receives the image data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he image information manager 536 stores the image data in the image information database 537 by matching the image data with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t this time, the security management unit 538 analyzes the image data and performs a security warning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met. The detailed configuration thereof is as follows.

도 23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보안관리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보안관리부(538)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영상분석부(539)와, 이 영상분석부(539)의 분석결과로부터 보안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판단부(540)와, 이 보안판단부(540)의 판단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보안 경고를 수행하는 보안호출부(541)를 포함한다.2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curity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3, the security manager 538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security warning i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image analyzer 539 and the image analyzer 539. The security decision unit 540, and the security call unit 541 for performing a security warning based on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curity determination unit 540.

이러한 보안관리부(538)의 영상분석부(539)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데, 그 분석결과를 보안판단부(54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영상분석부(539)는 영상데이터로부터 영상 변화 등을 검출함으로써 영상내에서 사람 또는 물체가 이동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The image analysis unit 539 of the security management unit 538 analyzes the image data, and transmits the analysis result to the security determination unit 540. For example, the image analyzer 539 may detect whether a person or an object moves in the image by detecting an image change or the like from the image data.

이에 따라 보안판단부(540)는 영상분석부(539)가 전송하는 정보로부터 현재 영상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관리부(534)가 관리하는 미리 설정된 보안정보를 제공받아 현재 상태가 보안경고 대상인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보안호출부(541)로 전송한다.Accordingly, the security judging unit 54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current image from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mage analyzing unit 539, and receives the preset security information managed by the user manager 534. It determines whether it is an object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ecurity call unit 541.

보안호출부(541)는 보안판단부(540)로부터 전송되는 결과를 수신하여, 보안호출 필요시 사용자관리부(534)가 관리하는 미리 설정된 보안 호출 정보를 제공받아 호출을 수행한다. 이때, 보안호출은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를 통한 보안호출 음성 안내, 전자메일을 통한 보안호출 안내, 단문메시지를 통한 보안호출 안내를 포함하며, 보안호출부(541)는 경찰서 또는 보안업체의 서버(미도시)로 신고메시지를 전송할 수 도 있다.The security call unit 541 receives a result transmitted from the security determination unit 540 and receives a preset security call information managed by the user manager 534 when the security call is required to perform a call. At this time, the security call includes a security call voice guidance through a preset phone number, a security call guide through an e-mail, a security call guide through a short message, and the security call unit 541 may be a server of a police station or a security company (not shown). You can also send a notification messag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보안촬영시스템의 제어과정을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trol process of the security shooting syste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3.

도 24를 참조하면, 휴대용전자장치(100)는 충전장치(300) 거치여부를 판단하 고, 충전장치(300)에 거치됐다고 판단되면 촬영을 수행한다(S600). 이때, 단계 S600에서 휴대용전자장치(100)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이동통신망(500)을 통해 보안서버(530)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24,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device 300 is mounted, and performs a shoot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device 300 is mounted (S600). In this case, in operation S600,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data to the security server 53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0.

한편, 보안서버(530)의 영상정보관리부(536)는 이동통신망(500)을 경유하여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537)에 저장한다(S610).On the other hand, the image information management unit 536 of the security server 530 stores the image data transmitted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0 in the image information database 537 (S610).

보안관리부(538)의 영상분석부(539)는 영상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영상변화 등을 검출함으로써 영상내에서 사람 또는 물체가 이동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으며(S620), 분석된 결과를 보안판단부(540)로 전송한다.The image analysis unit 539 of the security management unit 538 analyzes the image data, and detects whether a person or an object moves in the image by detecting an image change and the like (S620), and the security determination unit ( 540).

이에 따라 보안판단부(540)는 영상분석부(539)가 전송하는 정보로부터 현재 영상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관리부(534)가 관리하는 미리 설정된 보안정보를 제공받아 현재 상태가 보안경고 대상인지를 판단한다(S630).Accordingly, the security judging unit 54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current image from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image analyzing unit 539, and receives the preset security information managed by the user manager 534.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arget (S630).

단계 S630에서 보안경고 대상이라고 판단되면 보안호출부(541)는 보안판단부(54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사용자관리부(534)가 관리하는 미리 설정된 보안 호출 정보를 제공받아 보안호출을 수행한다(S64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630 that the security warning target, the security call unit 541 performs the security call by receiving the preset security call information managed by the user manager 534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curity determination unit 540 ( S640).

단계 S640에서 보안호출은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를 통한 보안호출 음성 안내, 전자메일을 통한 보안호출 안내, 단문메시지를 통한 보안호출 안내를 포함하며, 보안호출부(541)는 경찰서 또는 보안업체의 서버(미도시)로 신고메시지를 전송할 수 도 있다.In step S640, the security call includes a security call voice guidance through a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 a security call guidance through an e-mail, and a security call guidance through a short message. The security call unit 541 may be a server of a police station or a security company ( (Not shown) may be sent a notification message.

한편, 전술한 단계 S600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 다.)On the other hand, step S60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25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5를 참조하면, 휴대용전자장치(100)의 충전관리부(190)는 현재 배터리 전압을 검출(S700)하고, 충전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120)는 충전관리부(19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장치(300)에 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10).Referring to FIG. 25,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detects the current battery voltage (S700), determines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ler 120. 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120 receiv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and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device 300 is mounted (S710).

단계 S710에서 충전장치(300)에 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20)는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촬영모드를 해제한다(S711). 그러나 단계 S710에서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었다고 판단되면 휴대용전자장치(100)의 메인 제어부(120)는 이동통신망(500)을 경유하여 보안서버(530)에 접속한다(S713).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10 that it is not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release the shooting mode (S711). 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10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he main controller 120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ccesses the security server 530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500. (S713).

그리고 휴대용전자장치(100)의 영상 제어부(170)는 촬영부(130)가 켜져(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714). 단계 S714에서 촬영부(130)가 켜져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촬영부(130)를 구동한다(S715). 계속하여, 촬영부(130)는 현재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제어부(170)로 전송한다.The image controller 170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determines whether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turned on (S71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14 that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not turned on,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driven (S715). Subsequently, the photographing unit 130 photographs the current image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image control unit 170.

이에 영상 제어부(170)는 미리 설정된 절차에 따라 상기 촬영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S716). 단계 S716에서 영상 제어부(170)는 촬영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프레임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에 타임스탬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어부(170)는 GPS부(151)로부터 현재 위치에 다른 위치데이터를 제공받아 영상 데이터에 첨부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image controller 170 processes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30 according to a preset procedure (S716). In operation S716,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adjust the number of frames according to preset information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nd set a time stamp on the image data. Also,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receive other position data at the current position from the GPS unit 151 and attach the image data to the image data.

그리고 영상 제어부(170)는 위와 같은 영상 데이터를 영상 데이터베이스 (180)에 저장한다(S718). 이때, 영상 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에 촬영데이터 저장 시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베이스(18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의 저장용량 초과 시에는 먼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이후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연속적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718을 수행하면서 휴대용전자장치(100)는 영상 데이터를 보안서버(530)로 전송한다(S717).The image controller 170 stores the above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 180 (S718). In this case, the imag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image database 180 in a first-in first-out (FIFO) manner when storing photographing data in the image database 180. Accordingly,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image database 180 is exceeded, successive photographing may be performed by deleting stored image data first and storing image data photographed afterwards. In operation S718,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security server 530 (S717).

상기한 과정 수행 중 충전관리부(190)는 배터리(191)의 전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휴대용전자장치(100)와 충전장치(300)가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 충전장치(300)가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관리부(190)는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하며, 메인제어부(120)는 촬영모드를 종료한다.While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continuously measur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191.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and the charging device 300 are determined to be separated, and the charging device 300 is determined to be separated,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The controller 120 ends the shooting mode.

도 2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전자장치의 다른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2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operation proces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6을 참조하면, 휴대용전자장치(100)의 충전관리부(190)는 현재 배터리(191) 전압을 검출(S720)하고, 충전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메인 제어부(120)는 충전관리부(19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충전장치(300)에 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21).Referring to FIG. 26,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detects the current battery 191 voltage (S720), determines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ler 120. The main controller 120 receiv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and determines whether the charging unit 300 is mounted (S721).

단계 S721에서 충전장치(300)에 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20)는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하여 촬영모드를 해제한다(S722).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21 that the charging device 300 is not mounted,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to release the photographing mode (S722).

그러나 단계 S721에서 휴대용전자장치(100)가 충전장치(300)에 거치되었다고 판단되면, 영상 제어부(170)는 촬영부(130)가 켜져(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S724). 단계 S724에서 촬영부(130)가 켜져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촬영부(130)를 구동한다(S725).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21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300, the image controller 170 determines whether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turned on (on) (S724).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24 that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not turned on, the photographing unit 130 is driven (S725).

계속하여 촬영부(130)는 현재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에 영상 제어부(170)는 미리 설정된 절차에 따라 촬영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S726). 단계 S726에서 영상 제어부(170)는 촬영부(13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프레임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에 타임스탬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제어부(170)는 GPS부(151)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제공받아 영상 데이터에 첨부할 수도 있다.Subsequently, the photographing unit 130 photographs the current image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to the image control unit 170. The image controller 170 processes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30 according to a preset procedure (S726). In operation S726,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adjust the number of frames based on preset information of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photographing unit 130, and set a time stamp on the image data. In addition, the image controller 170 may receive location data from the GPS unit 151 and attach the image data to the image data.

그리고 영상 제어부(170)는 영상 데이터가 영상 데이터베이스(180)의 제1저장부(181)에 선입선출(FIFO) 방식으로 저장되도록 제어한다.The imag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image data to be stored in a first-in first-out (FIFO) method in the first storage unit 181 of the image database 180.

한편, 메인 제어부(120)는 진동감지부(152)를 통하여 충격 또는 진동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728). 단계 S728에서 충격 또는 진동이 검출된다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20)는 현재 진동감지부(152)를 통해서 검출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한다(S729). 이때 상기 조건은 충격 또는 진동에 따른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또는 진동감지부(152)를 통해 검출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등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152 (S728).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28 that a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the main controller 120 determines whether a signal currently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meets a preset condition (S729). In this case, the condition may be a case in which a signal due to shock or vibr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the intensity of the signal detected by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152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You can also change the setting.

단계 S729에서 조건에 부합된다고 판단되면 메인 제어부(120)는 영상 제어부(17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영상 제어부(170)는 현재 제1저장부(181)에 저장되고 있는 영상 데이터 중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제2저장부(182)에 저 장한다(S73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729 that the condition is met, the main controller 120 controls the image controller 170. Accordingly, the image controller 170 stores data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that meets a preset condition among the image data currently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81 (S730).

상기 단계 S730에서 조건은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현재 이후의 소정시간 동안의 영상 데이터이거나, 또는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멈춘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사용자에 의해 변경가능하다.In step S730, the condition is the image data before the current time by a preset time from the current time to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present, or from the image data before the time by a preset time from the current time to the time when the shock or vibration stopped Image data may be provided, which may also be changed by the user.

단계 S730에서 제2저장부(182)에 데이터 저장 후 메인 제어부(120)는 보안서버(530)와 접속을 수행하고, 상기 제2저장부(182)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보안서버(530)로 전송한다(S731).After the data i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in step S730, the main controller 120 connects to the security server 530, and transfers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82 to the security server 530. It transmits (S731).

상기한 과정 수행 중 충전관리부(190)는 배터리(191)의 전압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충전장치(300)가 분리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충전장치(300)가 분리되었다고 판단되면 충전관리부(190)는 그에 따른 신호를 메인 제어부(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부(120)는 촬영모드를 종료(S722)한다.While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the charge management unit 190 continuously measures the voltage of the battery 191.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device 300 is separated and the charging device 300 is determined to be separated,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190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main control unit 120. The main controller 120 ends the shooting mode (S722).

본 발명에 따른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는 차량 등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 및 사고 이력을 촬영하여 보관함으로써 차량 블랙박스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전자장치를 차량에 설치된 충전장치에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휴대용전자장치는 충전모드에서 자동적으로 외부 상황을 촬영함으로써 차량주행에 따른 현재 상황을 휴대용전자장치에 저장하고 보안서버로 전송함으로써 블랙박스 역할을 보다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정에서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충전장치에 거치하는 것만으로 충전모드에서 현재 외부상황을 촬 영/저장하고 보안서버로 전송할 수 있는 보안촬영시스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photograph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a vehicle and serve as a vehicle black box by capturing and storing driving and accident histories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y simply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the charging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tomatically captures the external situation in the charging mode to stor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ehicle driving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secure it. By sending to the server, you can play the role of black box more faithfully. In addition, at home, simply by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the charging device can perform a role of a security shooting system that can shoot / store the current external situation in the charging mode and transmit to the security server.

Claims (38)

촬영기능을 구비한 휴대용전자장치에 있어서;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photographing function;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구비한 촬영부와;A photographing unit hav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상기 촬영부를 동작시키기 위해 촬영 동작신호를 입력하는 촬영명령 입력부와;A photographing command input unit which inputs a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photographing unit;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베이스와;An image database for storing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상기 촬영명령 입력부의 동작신호 입력이 있으면 상기 촬영부를 동작시켜 주위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임시 저장하며, 촬영중에 상기 촬영명령 입력부의 동작신호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촬영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며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영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If there is an operation signal input of the photographing command input unit, the photographing unit is operated to take a picture of the surroundings, and the photographed image data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image database. A control unit which stops the image and permanently stores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shoo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서 저장용량 초과 시 임시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먼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이후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선입선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And a first-in, first-out control to delete first stored image data from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data when the storage capacity is exceeded in the image database and to store image data captured thereaft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를 거치하며 상기 촬영명령 입력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거치셋트를 더 구비하여;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mounting set for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the photographing command input unit.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를 상기 거치셋트에 거치하면 상기 촬영명령 입력부를 통해 촬영 동작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를 상기 거치셋트에서 분리하면 상기 촬영명령 입력부를 통해 촬영동작신호 발생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the mounting set generates a shooting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shooting command input unit, and separa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rom the mounting set stops generation of a shooting operation signal through the shooting command input unit.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utomatic shooting function.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촬영명령 입력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와 전기 접속된 푸시버튼 타입의 촬영버튼을 포함하며;The photographing command input unit includes a pushbutton type photographing butt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상기 거치셋트에는 상기 휴대용전자장치가 거치되면 상기 촬영버튼을 동작시키기 위한 누름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The mounting set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shoo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ing portion for operating the shooting button is provided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촬영명령 입력부는 상기 메인 제어부와 전기 접속되며 자기장의 유무에 따라 온/오프되는 홀센서를 포함하며;The photographing command input unit comprises a hall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and turned on / off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agnetic field; 상기 거치셋트에는 상기 휴대용전자장치가 거치되면 상기 홀센서를 온 동작 시키기 위한 자성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And a magnetic body for turning on the hall sensor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on the mounting set.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촬영명령 입력부의 동작신호 입력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photographing function, wherein the photographing unit is operated when the operation signal input of the photographing command input unit is longer than a preset time.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휴대용전자장치에 있어서;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perating by receiving power through a battery;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는;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부와;A photographing unit for photographing an image;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베이스와;An image database storing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상기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여 그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충전관리부와;A charge management unit measuring the battery voltage and outpu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상기 충전관리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통해 상기 배터리의 충전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배터리가 충전장치와 접속되어 충전상태일 경우 상기 촬영부를 동작시키면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촬영 중에 상기 배터리가 상기 충전장치와 분리되면 상기 촬영부 동작을 중지시키면서 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It is determined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based on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When the battery is connected to a charging device and is in a charged state, the image data is stored in the image database while the photographing unit is operated. A control unit which, when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stops storing the image data while stopping the photographing unit ope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shoo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영상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용량 초과 시에는 먼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이후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선입선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The image control unit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image database exceed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shoo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in first-out control to delete the first stored image data and to store the next image data.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부를 더 포함하고;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es a GPS unit for receiving a GP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atellite; 상기 제어부는 영상 데이터 저장 시 상기 GPS부를 통하여 제공받은 위치 데이터를 매칭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The controller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shoo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matching the location data provided through the GPS unit to store the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플러스 전극과 접속되는 노드 N1과, 그라운드 전극과 접속되는 노드 N3 및 상기 노드 N3과의 사이에 측정저항(R1)이 접속되는 노드 N2를 포함하고;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node N1 connected to a posi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a node N3 connected to a ground electrode, and a node N2 connected to a measurement resistor R1 between the node N3;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노드 N1 및 노드 N3과 각각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장치의 전압이 출력되는 노드 S1 및 그라운드 노드인 노드 S3과, 상기 노드 S1과의 사이에 로드저항(RL)이 접속되는 노드 S2를 구비하며;The charg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node N1 and the node N3, respectively, so that the load resistor RL is connected between the node S1 and the node S3, which are the node S1 and the ground node, to which the voltage of the charging device is output, to supply power. Having a node S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관리부를 통해 상기 측정저항의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And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voltage of the measurement resistance through the charge management unit.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충전관리부는 상기 노드 N2의 전압인 측정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검출되면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 상기 충전장치와 접속되었다고 판단하고, 전압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 상기 충전장치에서 분리되었다고 판단하며 그에 따른 정보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The charging management unit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measurement resistance, which is the voltage of the node N2, is detected, and when the voltage is not detecte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determined to be disconnected from the charging devic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shoo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충전장치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고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휴대용전자장치에 있어서;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operates by charging a battery and receiving power through a charging device;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구비한 촬영부와;A photographing unit hav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베이스와;An image database for storing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미리 설정된 RF신호를 수신하고 촬영명령 신호를 출력하는 RF모듈과;An RF module for receiving a preset RF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nd outputting a photographing command signal; 상기 RF모듈로부터 촬영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촬영부를 구동시키며 촬영되는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A controller configured to drive the photographing unit and store captured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 when a photographing command signal is input from the RF modu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shoo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 상기 배터리 전압을 측정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출력하는 충전관리부를 더 포함하며;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charge management unit for measuring the battery voltage and output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상기 제어부는 상기 RF모듈이 출력하는 촬영명령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충전관리부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충전여부를 판단하여 충전상태이면 상기 촬영부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The controller receives an image capturing command signal output from the RF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from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harging management unit, and stores the image data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in a charged state. Portable electronics with features.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배터리와 접속되면 미리 설정된 상기 RF신호를 발생시키는 RF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The charging device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shoo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RF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predetermined RF signal when connected to the battery.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휴대용전자장치가 거치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고;The charg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ensing means for detecting whethe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상기 휴대용전자장치가 거치되었다고 감지될 때 상기 RF발생부가 RF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And the RF generator generates an RF signal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s been mounted by the sensing means. 제 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휴대용전자장치가 거치될 때 푸시 온되는 스위치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The sensing means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shoo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switch that is pushed on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용량 초과 시에는 먼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이후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선입선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The controller may perform first-in, first-out control to delete first stored image data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image database is exceeded, and to store image data afterwards.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플러스 전극과 접속되는 노드 N1과, 그라운드 전극과 접속되는 노드 N3 및 상기 노드 N3과의 사이에 측정저항(R1)이 접속되는 노드 N2를 포함하고;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node N1 connected to a positive electrode of the battery, a node N3 connected to a ground electrode, and a node N2 connected to a measurement resistor R1 between the node N3;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노드 N1 및 노드 N3과 각각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충전장치의 전압이 출력되는 노드 S1 및 그라운드 노드인 노드 S3과, 상기 노드 S1과의 사이에 로드저항(RL)이 접속되는 노드 S2를 구비하며;The charg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node N1 and the node N3, respectively, so that the load resistor RL is connected between the node S1 and the node S3, which are the node S1 and the ground node, to which the voltage of the charging device is output, to supply power. Having a node S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저항의 전압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And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voltage of the measurement resistance. 제 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노드 N2의 전압인 상기 측정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검출되면 상기 휴대용전자장치가 상기 충전장치에 거치되었다고 판단하고, 전압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휴대용전자장치가 상기 충전장치에서 분리되었다고 판단하며;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on the charging device when the voltage applied to the measurement resistance, which is the voltage of the node N2, is detected. If the voltage is not detected,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 상기 휴대용전자장치가 상기 충전장치에서 분리되었다고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RF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영상 데이터의 저장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charging device or if the RF signal is not received, the storage of the image data is stopped. 제 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2,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 충격 또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부를 더 포함하고;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shock or vibration;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는 전체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와, 상기 진동감지부로 충격 또는 진동이 검출되었을 때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를 구비하며;The image database includes a first storage unit for storing entire image data, and a second storage unit for storing image data when a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by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하고;The control unit stores data corresponding to a preset condition amo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when the signal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ing unit meets a preset condition; 상기 진동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신호의 미리 설정된 조건은 충격 또는 진동에 따른 신호가 미리 설정된 시간을 초과하여 지속적으로 검출되는 경우 또는 상기 진동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신호의 세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The preset condition of the signal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ing unit is any one of a case in which a signal due to shock or vibration is continuously detected for more than a preset time or when the intensity of the signal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sensing uni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reference valu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shoo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 2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 중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맞는 데이터는 상기 진동감지부를 통해 신호가 검출된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현재 이후의 소정시간동안의 영상데이터이거나, 또는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멈춘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Amo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data meeting a preset condition is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urrent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 predetermined time than a time when a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photographing function, which is any one of image data from a previous image data to a time when the shock or vibration is stopped by a preset time than the current time. 제 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2,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 이벤트 발생신호 입력을 위한 핫키를 더 포함하며;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urther comprises a hotkey for inputting an event occurrence signal;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는 전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와, 상기 핫키로부터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를 구비하고;The image database includes a first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entire image data, and a secon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mage data 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hotkey; 상기 핫키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이벤트가 발생된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현재 이후 소정시간동안의 영상데이터 또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된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상기 핫키로부터 신호기 입력된 시간까지의 영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제1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제2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When a signal is input from the hotkey, the video data is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current time when the event is generated, the video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present time, or the video data which is a preset time before the current time when the event occur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photographing function, which extracts any one of image data from a hotkey to a signal input time and stores the extracted image data in a first storage unit. 촬영기능을 구비한 휴대용전자장치에 있어서;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photographing function;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구비한 촬영부와;A photographing unit hav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베이스와;An image database for storing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상기 휴대용전자장치가 거치세트에 거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와: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on the mounting set;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 입력이 있으면 상기 촬영부를 동작시켜 주위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임시 저장하며, 촬영중에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 입력이 중단되면 상기 촬영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며 임시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영구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휴대용전자장치.When there is a signal input from the sensor, the photographing unit is operated to take a picture of the surroundings, and temporarily stores the captured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 A control unit for permanently storing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utomatic shoo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센서는 홀센서를 포함하며;The sensor comprises a hall sensor; 상기 거치셋트에는 상기 휴대용전자장치가 거치되면 상기 홀센서를 온 동작시키기 위한 자성체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촬영기능을 갖춘 이동통신 단말기.And a magnetic substance for turning on the hall sensor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on the mounting set.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에 있어서;A security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보안촬영시스템은 통신망에 접속되어 영상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보안서버와; 충전장치를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충전장치 접속 시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통신망에 접속하여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보안서버로 전송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포함하며;The security photographing system includes a security server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to store / manage image data;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at charges a battery through a charging device, captures an image when the charging device is connected,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data to the security server by connecting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구비한 촬영부와;A photographing unit hav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상기 촬영부를 동작시키기 위해 촬영 동작신호를 입력하는 촬영명령 입력부와;A photographing command input unit which inputs a photographing operation signal to operate the photographing unit;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베이스와;An image database for storing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상기 촬영명령 입력부의 동작신호 입력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촬영부를 동작시켜 주위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임시 저장하며, 촬영 중에 상기 촬영명령입력부의 동작신호 입력이 없으면 상기 촬영부의 동작이 정지시키며 임시 저장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영구 저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When the operation signal input of the shooting command input unit is longer than a preset time, the shooting unit is operated to take a picture of the surroundings and temporarily store the captured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 A control unit for stopping the operation and permanently storing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data in the image database; Security shooting system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 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의 저장용량 초과 시에는 먼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삭제하고 이후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선입선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And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image database is exceeded, the controller deletes first stored image data and performs first-in, first-out control to store image data captured thereafter. 제 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부를 더 구비하며;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GPS unit for receiving a GPS signal transmitted from a satellite; 상기 제어부는 영상 데이터 저장 시 상기 GPS부를 통하여 제공받은 위치 데이터를 매칭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The control unit is a security photographing system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matching the location data provided through the GPS unit when storing the image data and to store in the image database. 제 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촬영명령 입력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실시간 측정하며 현재 전압이 상승할 경우 상기 휴대용전자장치가 상기 충전장치와 접속되었다고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충전관리부를 포함하며;The photographing command input unit measures a voltage of the battery in real time and includes a charge management unit which determines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device when the current voltage rises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전관리부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전압상승 정보가 설정시간 이상으로 입력되면 상기 촬영부를 구동시켜 자동 촬영모드로 진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And the control unit drives the photographing unit to enter the automatic photographing mode when the voltage increase information of the battery is input from the charge management unit for more than a preset time. 제 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는 충격 또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부를 더 포함하 고;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urther includes a vibr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shock or vibration; 상기 영상 데이터베이스는 전체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저장부와, 상기 진동감지부로 충격 또는 진동이 검출되었을 때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저장부를 구비하며;The image database includes a first storage unit for storing entire image data, and a second storage unit for storing image data when a shock or vibration is detected by the vibration detection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진동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 중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맞는 데이터를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제2저장부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보안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When the signal detected by the vibration sensing unit satisfies a preset condition, the controller stores the data corresponding to a preset condition amo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in the second storage unit, and the second storage unit. Security imaging system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security server.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제1저장부에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 중에서 미리 설정된 조건에 맞는 데이터는 상기 진동감지부를 통해 신호가 검출된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현재 이후의 소정시간동안의 영상데이터이거나, 또는 현재 시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이전의 영상 데이터부터 충격 또는 진동이 멈춘 시간까지의 영상데이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Among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data meeting a preset condition is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current image data for a predetermined time by a predetermined time than a time when a signal is detected through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or Security imaging system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image data from the previous image data to the time when the shock or vibration stopped by a preset time than the current time. 제 2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5, 상기 보안서버는;The security server;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상기 통신망과 접속하기 위한 망접속부와;A network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보안서버에 접속하는 단말로 웹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서비스부와;A web service unit for providing a web service to a terminal accessing the security server; 상기 망접속부를 통해 접속하는 단말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관리부와;A user manager for managing information of a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network access unit;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A user information database;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영상정보 관리부 및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An image information manager and an image information database for managing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Security shooting system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사용자 관리부는 사용자의 휴대용전자장치의 전화번호, 보안정보, 보안 경고를 위한 주소 정보 등을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And the user manager stores and manages a phone number, security information, address information for a security alert, and the like in a user information database. 제 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사용자 관리부는 휴대용전자장치의 전화번호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휴대용전자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휴대용전자장치의 전화번호와 매칭하여 상기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The user manager performs user authentication according to the phone numb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atches the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stores and manages the image data in the image information database. Security photography system using electronic device. 제 3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상기 보안서버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미리 설정된 보안사태를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주소정보에 따라 보안 경고를 수행하는 보안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The security server further comprises a security management unit for detecting a preset security situation from the image data to perform a security warning according to the preset address information security shooting system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제 3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상기 보안관리부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영상분석부와, 상기 영상분석부의 분석결과로부터 보안경고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판단부와, 보안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정보를 바탕으로 보안경고를 수행하는 보안호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The security management unit performs a security warning based on the image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image data, a security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security warning from the analysis result of the image analysis unit, and the prese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ecurity determination unit Security shooting system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urity call. 제 3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보안판단부는 상기 영상분석부의 분석결과로부터 현재 영상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관리하는 미리 설정된 보안정보를 제공받아 현재 상태가 보안경고 대상인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상기 보안호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The security judging unit judges the state of the current image from the analysis result of the image analyzing unit, receives preset security information managed by the user manager,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state is a security warning target,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security call unit. Security shooting system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3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보안호출부는 상기 보안판단부로부터 전송되는 결과를 수신하여, 보안 호출 필요시 상기 사용자관리부가 관리하는 미리 설정된 보안호출 정보를 제공받아 호출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The security call unit receives a result transmitted from the security judging unit, and receives a predetermined security call information managed by the user manager when a security call is required to perform a call,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a call. . 제 3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보안호출부에서는 미리 설정된 전화번호를 통한 보안호출 음성안내, 전자메일을 통한 보안호출 안내, 단문메시지를 통한 보안호출 안내를 포함하며, 미리 설정된 정보에 따라 신고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전자장치를 이용한 보안촬영시스템.The security call unit includes a security call voice guide through a preset phone number, a security call guide through an e-mail, and a security call guide through a short message, and transmits a report message according to preset information. Security photography system using electronic device.
KR1020077003316A 2004-07-12 2005-07-11 Automatic pho-tograph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7010068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54055 2004-07-12
KR1020040054055 2004-07-12
KR1020040056680 2004-07-21
KR20040056680 2004-07-21
KR1020040063747 2004-08-13
KR1020040063747A KR100493465B1 (en) 2004-08-13 2004-08-13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40102292 2004-12-07
KR1020040102292 2004-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681A true KR20070100681A (en) 2007-10-11

Family

ID=3679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3316A KR20070100681A (en) 2004-07-12 2005-07-11 Automatic pho-tograph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100681A (en)
WO (1) WO2006085702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329B1 (en) * 2012-08-20 2014-02-05 (주)오로라테크놀로지 Portable black box for possible memory protection and removable
KR101383953B1 (en) * 2012-07-25 2014-04-1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Method for Automatic Protection of Person based on Location / Time and System using the same
WO2019059422A1 (en) * 2017-09-19 2019-03-28 주식회사 웬즈데이에잇피엠 Wearable device, application, and server-based system for transmitting location to police and surrounding people in multiple and simultaneous way in preparation for crime situ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71727A (en) * 2009-07-11 2011-01-12 I Mob Plc Vehicle tracking, monitoring & information transfer device
US20160104370A1 (en) 2014-10-14 2016-04-14 Logitech Europe S.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6306A (en) * 1999-10-07 2001-05-07 이재현 a security system and a security method us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00036427A (en) * 2000-03-13 2000-07-05 조항용 Remote control and security system on internet
KR20020096486A (en) * 2001-06-20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Remote supervisory apparatus and method using mobile phone
KR100420863B1 (en) * 2003-06-23 2004-03-02 유병섭 Handphon haved image recording mea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953B1 (en) * 2012-07-25 2014-04-14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Method for Automatic Protection of Person based on Location / Tim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340329B1 (en) * 2012-08-20 2014-02-05 (주)오로라테크놀로지 Portable black box for possible memory protection and removable
WO2019059422A1 (en) * 2017-09-19 2019-03-28 주식회사 웬즈데이에잇피엠 Wearable device, application, and server-based system for transmitting location to police and surrounding people in multiple and simultaneous way in preparation for crime sit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85702A1 (en)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31195B (en) Image pickup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0459664C (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819530B2 (en) Auxiliary device equipped with projector for use with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camera system incorporating the auxiliary device
JP3559744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634522B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JP2006203997A (en) Charging system
CN101547310A (en) Pick-up device
CN102629974B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CN105720644A (en) Charg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20070100681A (en) Automatic pho-tograph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WO2019164286A1 (en) Electronic device and recording method thereof
US20050200335A1 (en) Apparatus
JP4273865B2 (en) Untransferred image notification method, cradle, and program
JPH104530A (en) Information recorder
JP2002320116A (en) Electronic equipment
JP2009260600A (en) Electronic camera
KR20070058585A (en) Automatic pho-tograph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493465B1 (e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754998B1 (en) Portable image recording system
JP3741438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KR100502723B1 (en) Cellular phone
KR100781212B1 (en) Portable image recording system
JP2005110371A (en) Method of annunciating discharge/charge information, image pickup device, and program
KR100502724B1 (en) Cellular phone comprising an auto photographing operation
CN104883510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