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805A - 환기 청정 장치 - Google Patents

환기 청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805A
KR20070099805A KR1020060031009A KR20060031009A KR20070099805A KR 20070099805 A KR20070099805 A KR 20070099805A KR 1020060031009 A KR1020060031009 A KR 1020060031009A KR 20060031009 A KR20060031009 A KR 20060031009A KR 20070099805 A KR20070099805 A KR 20070099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er
kimchi
discharge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9805A/ko
Publication of KR2007009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8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7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biological materials, plants or microorg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김치 유산균 발효물이 공기 중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조류 독감 바이러스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제거되도록 하는 환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는 흡입되는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어셈블리;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 그릴과,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 그릴이 포함되는 디스차지 그릴;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 그릴 쪽으로 토출하는 팬 어셈블리; 상기 디스차지그릴에 결합되며, 일측에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실외 공기 흡입구와 실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실내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리어 패널; 및 상기 흡입 및 토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로 상에 장착되는 김치균 처리 부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에 의하여, 공기 중에 분포하는 유해한 세균이 김치 유산균 발효물에 의하여 살균되어, 호흡기를 통한 질병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김치유산균 발효물, 디스차지 그릴

Description

환기 청정 장치{Air condition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김치유산균 발효물 발생 장치가 구비된 환기 청정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상기 환기 청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환기 청정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를 구성하는 프런트 커버를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프런트 커버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를 구성하는 커버 가이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차지 그릴의 평면 사시도.
도 8 및 도 9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필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다른 인스톨 바의 정면 사시도.
도 12는 상기 인스톨 바의 배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를 구성하는 리어 패널을 보 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14는 상기 리어 패널의 평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인스톨 케이스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인스톨 케이스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가 건물 내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결합도.
도 1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가 환기 모드 상태에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가 청정 모드 상태에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20은 도 9의 Ⅰ-Ⅰ'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김치균 필터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제 1 실시예.
도 21은 도 9의 Ⅰ-Ⅰ'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김치균 필터가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제 2 실시예.
도 22는 상기 김치균 필터가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며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환기 청정 장치 11 : 프런트 커버
12 : 커버 가이드 13 : 필터
14 : 디스차지 그릴 300 : 김치균 필터
본 발명은 환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김치 유산균 발효물이 공기 중으로 토출되도록 하여 조류 독감 바이러스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세균이 제거되도록 하는 환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외 공기와 차단된 공간 내에서 생명체가 일정 시간 이상 호흡하는 경우, 실내에 이산화탄소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명체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무실과 같이 많은 사람이 함께 머무는 공간이나 차량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는 실내 공기를 수시로 환기시켜 주어야 한다. 이 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환기 시스템이다.
시중에 판매되는 일반적인 공기 청정기는 실내 바닥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공기 청정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바닥에 소정 높이로 설치되므로,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어린이나 유아 등에 의하여 공기 청정기가 전도되거나 오작동에 의하여 고장이 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실내에 존재하는 공기에 부유하는 냄새나 이물질만을 걸러주는 기능을 하고, 최근에 발병하고 있는 조류 독감 바이러스 또는 사스 바이러스 등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이 수행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기 중에 부유하고 전염성이 강한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기능이 구비된 환기 청정 장치의 공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기키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내부에 김치유산균 발효물 발생 장치가 구비되도록 하여, 인체에 유해한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환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는 흡입되는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어셈블리;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 그릴과,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 그릴이 포함되는 디스차지 그릴;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 그릴 쪽으로 토출하는 팬 어셈블리; 상기 디스차지그릴에 결합되며, 일측에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실외 공기 흡입구와 실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실내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리어 패널; 및 상기 흡입 및 토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로 상에 장착되는 김치균 처리 부재;가 포함된다.
또다른 측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는 저면에 형성되어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필터 하우징과,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 그릴이 포함되는 디스차지 그릴; 상기 디스차지 그릴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 그릴 쪽으로 토출하는 송풍팬;및 상기 토출 그릴측에 장착되는 김치균 필터;가 포 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공기 중에 분포하는 유해한 세균이 김치 유산균 발효물에 의하여 살균되어, 호흡기를 통한 질병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김치유산균 발효물 발생 장치가 구비된 환기 청정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환기 청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환기 청정 장치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10)는 대략 중앙부에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프런트 커버(11)와, 상기 프런트 커버(11)가 안착되는 커버 가이드(12)와, 상기 커버 가이드(12)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하여 장착되며 측면에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디스차지 그릴(14)과,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하측에 적층되어 흡입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고 냄새를 제거하는 필터(13)와, 상기 필터의 상측에 삽입되어 유해 세균을 제거하는 김치균 필터(300)와,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하측 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컨트롤 박스(19)와, 상기 커버 가이드(12)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트롤 패널(21)과,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측면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차 폐 부재(23)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컨트롤 박스(19) 내부에는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PCB 기판이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21)의 배면 일측에는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PCB 기판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가 벽면과 천정이 만나는 모서리부분에 장착되는 경우, 벽면에 의하여 가려지는 디스차지 그릴(14)의 토출구 부분은 상기 차폐 부재(23)에 의하여 차폐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토출구 중 전면과 일측면을 통하여 공기가 토출된다.
또한,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는 상기 필터(13)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내 공기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팬(15)과,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하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팬(15)에 의하여 흡입되는 실내 또는 실외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쉬라우드(145)와, 상기 팬을 구동하는 팬모터(20)와, 상기 팬모터(20)가 장착되며 일측면에 배기 덕트 및 급기 덕트가 연결되는 리어 패널(16)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는 상기 리어 패널(16)의 상측에 결합되어 리어 패널(16)의 강도가 보강되도록 하는 베이스 패널(22)과, 상기 리어 패널(16)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 덕트 및 급기 덕트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인스톨 케이스(17)와, 상기 리어 패널(16)의 상측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리어 패널(16)이 벽면 또는 천정에 용이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인스톨 바(18)가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가 천정에 장착된 것을 기본 실시예로 하여 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가 천정에 부착된 경우 상기 프런트 커버(11)가 바닥을 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공기 청정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팬(15)을 구동하는 팬모터(20)가 작동하여 상기 팬(15)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15)의 회전에 의하여 실내 공기가 상기 프런트 커버(11)에 구비된 실내 흡기구(111 : 도 3 참조)를 통하여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팬(15)은 공기가 축방향으로 흡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는 원심팬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13)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쉬라우드(145)를 통하여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상부면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상부면으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에어 가이드(144 : 도 7 참조)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측면에 형성된 토출 그릴(141 : 도 7 참조)을 통하여 다시 실내로 배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환기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 그릴(148 : 도 8 참조)을 통하여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환기 청정 장치(10)와 연결된 배기 덕트(32 : 도 18 참조)로 흐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에 연결된 급기 덕트(31 : 도 18 참조)를 통하여 실외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필터(13)를 통과한 다음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에 형성된 토출 그릴(141 : 도 7 참조)을 통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하기에서는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의 각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를 구성하는 프런트 커버를 보여주는 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프런트 커버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런트 커버(11)는 대략 중앙부에 소정 크기로 형성되는 흡기 패널(112)과, 상기 흡기 패널(112)의 측방에 형성되는 실내 공기 흡입구(111)와, 모서리부 일측에 형성되어 기기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리모콘 수신홀(113)과, 배면 일측 모서리부에 돌출되는 힌지(115)와, 상기 힌지(115)로부터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체결 후크(114)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흡기 패널(112)은 상기 프런트 커버(1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111)는 상기 흡기 패널(112)이 상기 프런트 커버(11)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됨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 패널(112)은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거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111)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115)는 상기 프런트 커버(11)의 배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힌지(115)의 단부는 상기 커버 가이드(12)의 전면에 슬라이딩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커버(11)의 배면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체결 후크(114)도 상기 커버 가이드(12)의 전면에 삽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를 구성하는 커버 가이드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버 가이드(12)는 전면에 상기 프런트 커 버(11)가 장착되며, 상측에는 컨트롤 패널(2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21)에는 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창(211)이 구비되며, 상기 표시창(211)이 형성된 부분의 배면에는 LED 소자 등이 장착된 디스플레이 PCB 기판이 장착된다.
상세히, 대략 "n"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커버 가이드(12)는 양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커버(11)의 힌지(115)가 삽입되는 힌지 수용홀(121)과, 양측면 및 상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 커버(11)의 체결 후크(114)가 삽입되는 체결홀(122)과, 상측부에 소정 크기로 절개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21)이 부착되는 컨트롤 패널 수용부(123)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커버 가이드(12)는 내측 하단부에 연장 및 절곡되는 다수 개의 보강 리브(125)와, 측면 하단부에 돌출되어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체결단(142 : 도 7참조)에 결합되는 착탈 후크(126)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커버 가이드(12)는 상기 프런트 커버(11)와 함께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의 전면부를 형성한다. 다실 말하면,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가 천정에 부착된 상태에서는 하부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 가이드(12)의 측면부에 의하여, 환기 청정 장치(10)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아니하고 전부 상기 필터(13)로 가이드된다.
또한, 상기 커버 가이드(12)의 전면 상측에는 상기 컨트롤 패널(21)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패널(21)이 장착되는 부분의 배면, 즉 상기 커버 가이드(12)와 디스차지 그릴(14) 사이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19)가 장착된 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 박스(19)를 분해 또는 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커버 가이드(12)를 분해할 필요 없이 상기 컨트롤 패널(21)만 분리하면 된다.
또한, 측면 하단부에 돌출되는 상기 착탈 후크(126)가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체결단(142 : 도 7 참조)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가이드(12)의 내주면에 연장되는 상기 보강 리브(125)가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프런트 커버(11)의 힌지(115)가 상기 커버 가이드(12)의 힌지 수용홀(121)에 삽입되고, 각각의 체결 후크(114)는 커버 가이드(12)의 체결홀(122)에 삽입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를 구성하는 디스차지 그릴의 평면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차지 그릴(14)의 중앙부에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팬(15)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쉬라우드(145)가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중앙부 및 상기 쉬라우드(145)의 내측에는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되도록 하는 오리피스(1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상부 일측에는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는 에어 가이드(144)가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143)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가이드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쉬라우드(145)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14)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디스차지 그릴(13)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145)는 일반적으로 상기 오리피스(143)를 통과하는 공기가 받 는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오리피스(143)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순방향으로 내측 테두리부가 소정의 곡률로 만곡되는 벨마우스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쉬라우드(145)의 상측에는 팬(15)이 장착되어, 상기 팬(15)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14) 자체를 분리할 필요 없이 상기 쉬라우드(145)만 분리하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테두리부에는 다수 개의 리브가 일정 간격으로 층을 이루는 토출 그릴(1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144)에 의하여 가이드되는 공기가 상기 토출 그릴(141)을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가이드(144)의 일측 단부와 상기 오리피스(143)간의 간격(A)은 에어 가이드(144)의 타측 단부와 오리피스(143)의 간격(B)보다 좁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팬(15)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도 7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토출 그릴(141)쪽으로 퍼지게 된다. 즉, 회전하는 공기는 에어 가이드(144)에 의하여 폭이 좁은 방향(B→A)으로 가이드되면서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빨라짐으로써,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 구석 구석으로 골고루 퍼지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은 상기 에어 가이드(144)가 형성되는 쪽의 테두리부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144)의 후측에는 상기 리어 패널(16)의 흡입구와 배기구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테두리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부분은 구획단(146)에 의하여 이분되고, 상기 구획단(146)을 기준으로 일측은 개방되어 실외 공기 흡입구(148b)가 형성되고, 타측은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그릴(148)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배기 덕트가 연결되고, 반대편에는 급기 덕트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획단(146)에 의하여 실외로부터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와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가 섞이지 않게 된다.
상세히, 상기 밀폐되는 쪽의 그릴 부분은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배기 덕트로 직접 연결되도록 배기 그릴(148)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 그릴(148)은 절곡되는 부분의 측면과 저면 일부에 걸쳐서 형성된다. 따라서, 배기 그릴(148)이 절곡되지 않는 경우에 비하여 배기 덕트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의 유량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 그릴(141)과 배기 그릴(148)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리브는 일체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기 그릴(148)의 반대편 그릴 부분, 즉 급기 덕트가 연결되는 부분의 그릴은 각각의 리브가 연결되어 밀폐된다. 따라서, 급기 덕트를 통하여 유입되는 실외 공기가 누설되지 않고 전부 필터(13)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테두리부에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다수 개의 체결단(14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단(142)에는 상기 커버 가이드(12)의 내주면에 구비된 체결 후크(126)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저면에는 소정 높이로 연장되는 사각형 형상의 필터 하우징(147)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필터 하우징(147)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13)가 안착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 덕트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 하우징(147)의 외주면을 따라 측면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필 터 하우징(147)을 타고 넘어 상기 필터(13)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147)의 하측 단부에는 소정 크기의 필터 탈거 방지 리브(147a)가 다수개 돌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가 천정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필터 하우징(147)은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저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가 천정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리 또는 필터 교체를 위하여 상기 프런트 커버(11)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필터 하우징(147) 내부에 적층된 필터(13)가 중력에 의하여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필터 탈거 방지 리브(147a)에 의하여 상기 필터(13)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상측면에는 상기 리어 패널(16)이 안착되어, 상기 에어 가이드(144)의 상부면에 밀착된다. 상세히,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이 도 7과 같이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리어 패널(16)이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상측에 안착된다. 따라서, 흡입되는 실외 공기가 에어 가이드(144)외주면을 타고 상승하여, 필터(13)를 거치지 않고 토출 그릴(141) 쪽으로 토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급기 덕트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반드시 상기 필터(13)의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통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저면 테두리부에는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149)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149)의 단부는 상기 필터 하우징(147)의 바닥면까지 이른다. 따라서, 상기 필터 하우징(147)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실외 공기는 상기 경사면(149)을 따라 디스차지 그릴(14)의 테두리부 쪽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디스차질 그릴(14)의 하측에 장착되는 상기 커버 가이드(12)의 내주면을 타고 상기 필터(13)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147)의 외주면 일측에는 CO2 센서 또는 VOC 센서 등이 장착된다. 상세히, CO2 센서는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양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서,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서 사용된다. 그리고, VOC 센서는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VOC의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실내 공기 중에 유해성 물질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VOC(Volatile Organic Compounds)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일컫는 것으로서, 상온·상압에서는 액체상이나 고체상으로 존재 할 수 있지만 대기 중에서는 가스상으로 존재하는 모든 유기화합물질을 말한다. 상기 VOC가 공기 중에 다량 포함되어 있는 경우 호흡 질환, 알레르기성 피부 질환, 두통 등과 같이 매우 불쾌하고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게 된다.
또한, 상기 CO2 센서 또는 VOC 센서는 환기 청정 장치(10)의 내부에 내장형으로 장착되어, 제어부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서는 벽면 또는 천정 부위와 같이 환기 청정 장치(10)의 외부에 외장형으로 별도 구비되어, 리모콘에 의하여 작동이 직접 제어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센서가 환기 청정 장치(10)에 내장되는 경우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필터 하우징(147) 외주면 일측에 CO2 센서 장착부 및 VOC 센서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CO2 센서 장착부는 상기 필터 하우징(147)의 외주면 일측에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CO2 센서 장착 리브(147b)와, 상기 CO2 센서 장착 리브(147b) 사이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형성되는 CO2 센서 고정 후크(147c)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VOC 센서 장착부는 상기 CO2 센서 장착부와 마찬가지로 필터 하우징(147)의 외주면에 센서 장착 리브와, 센서 고정 후크 및 센서 지지리브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CO2 센서 장착부와 VOC 센서 장착부는 상기 필터 하우징(147)의 동일 면상에 형성되거나,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저면 테두리부에는 컨트롤 박스(19)가 장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필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터(13)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대체로 부피가 큰 먼지를 걸러주는 프리 필터(131)와, 상기 프리 필터(131)를 통과한 미세한 먼지를 걸러 주는 헤파 필터(HEPA fileter :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132)와, 상기 헤파 필터(132)를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 필터(133)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헤파 필터란 0.3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미세먼지를 99.9%까지 제거될 뿐 아니라 곰팡이, 진드기 등도 제거되도록 하는 필터를 말한다. 상기와 같이, 필터(13)가 삼중으로 적층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까지 거의 완벽하게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를 통과하 여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는 항상 청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김치균 필터(300)는 벌집 모양의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탈취 필터(133)와 같이 수세미 형태의 망상 조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김치균 필터(300)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3)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실내 또는 실외 공기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13)를 통과하면서 먼지 기타 공기 중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일차적으로 걸러지도록 한 다음, 상기 김치균 필터(300)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김치균 필터(300)의 수명이 길어지고 김치균 필터(300)의 표면에 먼지가 쌓이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김치균 필터(300)가 장착되는 위치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다른 인스톨 바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상기 인스톨 바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스톨 바(18)는 소정 길이와 폭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가 하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되는 부분은 상기 인스톨 케이스(17)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인스톨 바(18)는 소정 길이의 브라켓(181)과, 상기 브라켓(181)의 저면에 대략 "L" 형상으로 연장 및 절곡되는 절곡단(182)과, 상기 절곡단(182)의 내측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 리브(183)와, 상기 브라켓(181)을 관통하며 소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체결홀(184)이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절곡단(182)은 상기 브라켓(181)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181)은 상기 리어 패널(16)의 상부면에 형성된 브라켓 안착면(166 : 도 14 참조)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단(182)은 상기 리어 패널(16)의 상부면에 형성된 절곡단 수용홀(167 : 도 14 참조)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 리브(183)는 상기 리어 패널(16)의 상부면에 형성된 리브홈(168 : 도 14 참조)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인스톨 바(18)는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가 장착되고자 하는 부위에 고정 장착된다. 즉, 상기 인스톨 바(18)는 상기 브라켓(181)의 긴 부분이 천정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184)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인스톨 바(18)가 천정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가 상기 인스톨 바(18)에 의하여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인스톨 바(18)는 건물 시공 시에 상기 인스톨 케이스(17)와 함께 벽면 또는 천정 부위에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인스톨 바(18)가 천정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패널(16)을 상기 인스톨 바(18)에 밀착시켜, 상기 절곡단(182)이 상기 절곡단 수용홀(167)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리어 패널(16)을 벽 쪽으로 밀면 상기 고정 리브(183)가 상기 리어 패널(16)의 리브홈(168)에 삽입된다. 즉,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를 천정에 완전히 밀착한 상태에서 벽 쪽으로 밀면 장착되고, 반대로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를 전방으로 잡아당긴 다음 하측으로 당기면 간단히 탈거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를 구성하는 리어 패널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상기 리어 패널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환기 청정 장치(10)를 구성하는 리어 패널(16)은 상기 인스톨 바(18)에 의하여 천정에 장착된다.
상세히, 상기 리어 패널(16)은, 일측면에 형성되어 배기 덕트와 연결되는 배기구(162)와, 상기 배기구(162)의 측방에 형성되어 급기 덕트와 연결되는 흡기구(163)와, 상부면 양측에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인스톨 바 장착 구조와, 저면에 상기 에어 가이드(144)의 곡률과 동일하게 만곡되는 에어가이드 리브(164)와, 저면 양측 테두리부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토출 가이드부(165)가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리어 패널(16)은 일측이 하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상기 절곡되는 부분에 상기 배기구(162)와 흡기구(16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16)의 절곡되는 부분의 외측은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인스톨 케이스(17)가 삽입되도록 하는 인스톨 케이스 안착부(169)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 케이스 안착부(169)의 일측에는 배선 관통홀(169a)이 형성되어, 각종 전장 부품에 연결되는 배선이 환기 청정 장치(10) 내부로 인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흡기구(163) 및 배기구(162)의 테두리부에는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 리브(161)가 형성되어, 흡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기능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이드 리브(161)는 하측이 상측보다 더 길게 연장된다. 이는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가 벽면을 통하여 수평하게 연결되는 경우 또는 천정을 통하여 수직하게 연결되는 경우에 관계없이, 흡입 및 배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덕트 부재가 수평하게 연결되는 경우에 흡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는 수평 유로를 형성하지만, 덕트 부재가 환기 청정 장 치(10)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경우, 흡입 또는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가이드 리브(161)에 의하여 유로가 수직하게 전환된다. 이 때,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가 덕트 부재의 연결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아니하고 설치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 유로가 전환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리브(161)의 하측이 상측보다 더 길게 연장된다. 상기 인스톨 케이스의 종류에 대해서는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토출 가이드부(165)는 상기 리어 패널(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팬(15)에 의하여 흡입되는 공기가 디스차지 그릴(14)의 토출 그릴(141)쪽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패널(16)의 상부면에는 금속 소재의 베이스 패널(22)이 부착되어, 리어 패널(16)의 강도가 보강된다. 즉, 리어 패널(16)이 하측에 장착되는 모터의 하중에 의하여 리어 패널(16)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인스톨 바 장착 구조는 브라켓 안착면(166)과, 절곡단 수용홀(167) 및 리브홈(168)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 바(18)의 절곡단(182)은 상기 절곡단 수용홀(167)에 삽입되고, 인스톨 바(18)의 고정 리브(183)는 상기 리브홈(168)에 삽입된다.
상세히, 상기 인스톨 바(18)가 천정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패널(16)을 상기 인스톨 바(18)에 밀착시켜, 상기 절곡단(182)이 상기 절곡단 수용홀(167)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리어 패널(16)을 벽 쪽으로 밀면 상기 고정 리브(183)가 상기 리어 패널(16)의 리브홈(168)에 삽입된다. 즉,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를 천정에 완전히 밀착한 상태에서 벽 쪽으로 밀면 장착되고, 반대로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를 전방으로 잡아 당긴 다음 하측으로 당기면 간단히 탈거된다.
한편, 상기 리어 패널(16)의 저면 중앙부에는 팬 모터(20)가 장착되며, 상기 팬 모터(20)를 둘러싸는 모터 마운트(201)는 방진 부재(202)를 관통하는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리어 패널(16)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리어 패널(16)의 저면에 만곡되어 형성되는 에어 가이드 리브(164)는 상기 에어 가이드(144)의 단부와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흡기구(163)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외 공기는 팬(15) 쪽으로 직접 흘러 들어가지 못하게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팬(15)에 의하여 흡입되고 상기 필터(13)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토출 가이드부(165)에 의하여 상기 토출 그릴(141)쪽으로 안내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토출 가이드부(165)가 상기 인스톨 바 장착 구조의 직하방에 장착되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리브홈(168) 또는 절곡단 수용홀(167)을 통하여 누설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인스톨 케이스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스톨 케이스(17)는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와 연결되는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가 벽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경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 케이스(17)는 상기 리어 패널(16)의 측면에 형성된 인스톨 케이스 안착부(169)에 안착된다.
상세히, 상기 인스톨 케이스(17)는 양 측 상부면에 상기 인스톨 바(18)의 단부가 안착되기 위한 인스톨바 안착면(1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 케이스(17)의 가장자리에 배선 관통홀(17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 케이스(17)의 전면에 흡기구(173)와 배기구(17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구(173)와 배기구(172) 내주면에 상기 리어 패널(16)의 가이드 리브(161)가 삽입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리어 패널(16)의 흡기구(163) 또는 배기구(162)를 통하여 유입/유출되는 공기는 상기 가이드 리브(161)에 의하여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16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인스톨 케이스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인스톨 케이스(27)는 흡기 덕트 및 배기 덕트가 천정에 형성되는 경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인스톨 케이스(27)는 상측면과 전면부에 형성되는 흡기구(273) 및 배기구(272)와, 상측면 양 가장자리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인스톨 바(18)가 안착되도록 하는 인스톨바 안착면(271)과, 상기 인스톨바 안착면(271)의 후단에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인스톨바 삽입홀(271a)이 포함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인스톨바 삽입홀(271a)에는 상기 인스톨바(18)의 절곡되는 부분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인스톨 케이스(27)의 전면에 형성되는 흡기구 및 배기구는 상기 리어 패널(16)의 흡기구(163) 및 배기구(162)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리어 패널(16)의 가이드 리브(161)는 상기 인스톨 케이스(27) 의 전면에 형성되는 흡기구와 배기구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리브(161)는 상기 가이드 리브 안착단(274)에 끼워진다. 따라서, 급기 덕트로부터 환기 청정 장치(10)로 공급되는 공기와 환기 청정 정치(10)로부터 배기 덕트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인스톨 케이스(27)의 흡기구(273) 및 배기구(272)를 통과하면서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가 건물 내에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결합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급기 덕트 및 배기 덕트가 실내 벽면에 연결되는 구조에서의 환기 청정 장치의 설치 구조를 보여준다.
상세히, 급기 덕트(31 : 도 18 참조)와 배기 덕트(32 : 도 18 참조)로 이루어지는 덕트 부재(30)가 실내 벽면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흡기구와 배기구가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는 인스톨 케이스(17)가 적용된다. 즉, 인스톨 바(18)가 결합된 인스톨 케이스(17)의 흡기구(173)와 배기구(172)가 각각 흡기 덕트(31) 및 배기 덕트(32)에 연결되도록 실내 벽면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인스톨 바(18)의 체결홀(184)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가 벽면에 관통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인스톨 케이스(17)와 인스톨 바(18)의 조립체가 실내 벽면 및 천정에 고정 장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가 상기 인스톨 케이스 조립체에 결합되도록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상기 인스톨 바(18)는 환기 청정 장치(10)의 리어 패널(16)에 형성된 인스톨 바 장착 구조에 체결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가 환기 모드 상태에서 공기 의 흐름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인스톨 케이스(17)의 흡기구(173)에는 급기 덕트(31)가 연결되고, 배기구(172)에는 배기 덕트(32)가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급기 덕트(31)를 통하여 유입되는 실외 공기는 상기 리어 패널(16)의 흡기구(163)를 통하여 환기 청정 장치(10)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프런트 커버(11)의 실내 공기 흡입구(11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환기와 청정이 동시에 수행되며, 실내 공기 흡입구(111)가 폐쇄되는 경우 환기만이 수행된다. 이는 상기 프런트 패널(112)이 고정 장착되는 경우 또는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에 따라 결정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흡기구(163)를 통하여 유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13)의 필터 하우징(147) 외주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필터 하우징(147)의 하측 단부로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13)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팬(15) 쪽으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기구(163)를 통하여 흡입된 실외 공기가 상기 필터(13)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상기 팬(15)이 회전하면 팬의 하측은 상대적으로 대기압보다 낮은 저기압 상태로 되기 때문이다. 즉, 기압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공기가 흐르는 자연 법칙에 의하여, 상기 필터 하우징(147)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실외 공기는 기압이 상대적으로 낮은 필터(13) 하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13) 하단으로 이동하여 상승하는 실외 공기는 상기 프리 필터(131)와, 헤파 필터(132) 및 탈취 필터(133)를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탈취 필터(133)를 통과한 실외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143)를 통과하여 상기 팬(15)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 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상기 팬(15)의 작용에 의하여, 흡입된 실외 공기는 수평 방향으로 퍼지게 된다. 그리고, 수평 방향으로 퍼지는 공기는 상기 리어 패널(16)의 토출 가이드부(165)와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에 형성된 에어 가이드(144)에 의하여 상기 토출 그릴(141) 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토출 그릴(141)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급기 덕트(31)를 통하여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동안 상기 배기 덕트(32)를 통하여 오염된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상세히, 상기 배기 덕트(32) 내부 또는 배기 덕트(32) 단부에는 토출팬이 구비되거나 전열 교환기가 연결되어, 배기 덕트(32) 쪽으로 실내 공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배기 덕트(32)에 연결된 토출팬의 구동에 의하여 배기 덕트(32)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 실내 공기는 상기 배기 그릴(148)을 통하여 배기 덕트(32)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 그릴(148)은 상술한 바와 같이 환기 청정 장치(10)의 측면 일부와 저면 일부에 형성되어, 오염된 실내 공기가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 그릴(148)을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에 형성된 구획단(146)과 에어 가이드(144)에 의하여 차단되어, 상기 흡기구(163) 쪽으로 흐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 그릴(148)을 통하여 배출되는 실내 공기가 환기 청정 장치(10) 내부로 재유입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가 청정 모드 상태에서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청정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13)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다음,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토출 그릴(141)을 통하여 다시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청정 모드가 선택되면 먼저 상기 급기 덕트(31)와 연결된 흡기구(173)는 차폐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세히, 청정 모드가 선택되어 상기 팬(15)이 회전하더라도 상기 배기 그릴(148) 쪽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일은 없으므로, 상기 배기구(172)측에 별도의 차단 부재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상기 흡기구(173)는 상기 필터(13)와 연통되므로, 상기 실내 흡기구(111)를 통하여 실내 공기가 흡입될 때 실외 공기도 함께 흡입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청정 모드에서 상기 급기 덕트(31)와 연결되는 흡입구(163,173)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고 순수한 청정 기능만이 수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입구(163,173)가 특정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개폐 장치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인스톨 케이스(17)에 형성되는 흡기구(173)의 전면 또는 후면에 개폐 장치가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 장치는 마이콤에 의하여 특정 모드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 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리어 패널(16)의 흡기구(163) 전면 또는 후면에 개폐 장치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개폐 장치의 실시예로서 흡기구(163,173)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더 큰 판재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병진 운동 가능하게 하여 상기 흡기구(163,173)가 개폐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개폐 장치의 종류 또는 구동 방식은 특정 형태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실시예가 제안 가능함을 밝혀 둔다.
한편, 청정 모드에서 공기의 흐름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팬(15)의 구동에 의하여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111)를 통하여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실내 공기는 상기 필터(13)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되고, 상기 오리피스(143)를 관통하여 팬(15)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15)에 도달한 공기는 수평 방향으로 분산되고, 상기 에어 가이드(144) 및 토출 가이드부(165)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기 토출 그릴(141)을 통하여 실내로 다시 배출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환기 모드 또는 청정 모드에 관계 없이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전부 상기 필터(13)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는 오염되지 않은 청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 그릴(141)이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의 측면 삼방향에 둘러지므로,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 구석구석 골고루 퍼지게 된다. 즉, 토출구가 환기 청정 장치(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경우 토출되는 공기가 직하방으로만 분산되어, 실내의 구석진 곳까지 공기가 전달되지 못하는 단점을 극복하였다. 그리 고, 상기 배기 그릴(148)이 환기 청정 장치(10)의 측면 일부 및 저면 일부에 인접하여 형성됨으로써, 오염된 실내 공기가 신속하게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청정 모드시 실내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가 저면에 형성되고, 토출구는 측면에 형성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가 흡입구를 통하여 재유입되는 현상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청정 모드시 다면 흡입/다면 토출이 이루어지므로, 실내 공기가 단시간에 정화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환기 모드시 청정 모드 기능이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흡기 패널(112)이 구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여, 환기 모드시 청정 모드 기능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도 9의 Ⅰ-Ⅰ'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김치균 필터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제 1 실시예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치균 필터(300)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30)의 상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단면도에서는 필터 하우징(147)이 상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환기 청정 장치(10)가 천정 부위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필터 하우징(147)은 바닥면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16)이 천정에 부착됨을 밝혀 둔다.
더욱 상세히, 상기 김치균 필터(300)가 상기 필터 하우징(147)의 최상부면에 위치됨으로써, 흡입되는 실내 또는 실외 공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30)의 프리 필터(131)와, 헤파 필터(132) 및 탈취 필터(133)를 통과한 다음 상기 김치균 필터(300)를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130) 를 통과하면서 일차적으로 걸러지게 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130)를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된 바이러스성 세균은 상기 김치균 필터(300)를 통과하면서 살균된다.
도 21은 도 9의 Ⅰ-Ⅰ'를 따라 절개되는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김치균 필터가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제 2 실시예이며, 도 22는 상기 김치균 필터가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치균 필터(300)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토출 그릴(141)쪽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은 상기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삼면에 토출 그릴(14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13)를 통과하고 상기 에어 가이드(144)에 의하여 가이드 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 그릴(141)을 통하여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 이때, 상기 김치균 필터(300)가 상기 토출 그릴(141)의 내측면에 밀착 결합되거나, 상기 토출 그릴(14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 가이드(144)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은 상기 김치균 필터를 통과하면서 살균된다.
여기서, 상기 김치균 필터(300)는 상기 토출 그릴(141) 전체를 덮는 크기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토출 그릴(141)은 소정의 폭과 길이로 이루어지는 개구부에 다수 개의 그릴이 상하로 배열되는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김치균 필터(300)는 상기 토출 그릴(141)의 폭과 길이와 적어도 동일하거나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토출되는 공기 전부가 반드시 상기 김치균 필터(300)를 통과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김치균 필터(300)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삼면에 각각 장착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필터가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세 측면에 둘러지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토출 그릴(141)은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삼면에 형성되므로, 각 면에 하나씩 김치균 필터(300)가 장착되도록 하거나, 토출 그릴(141)의 폭과 동일한 너비와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삼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하나의 김치균 필터(300)가 디스차지 그릴(14)의 내부에서 둘러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내부 테두리면, 상세히, 상기 토출 그릴(141)이 형성되는 부분의 상하측 테두리부에 수평하게 슬라이드 홈을 형성하여, 상기 김치균 필터(300)가 슬라이딩 삽입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차지 그릴(14)의 내측 모서리 부위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김치균 필터(300)의 양측 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홈의 구조는 별도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지 아니하더라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김치유산균 발효물이 별도의 필터 부재에 적용되어 환기 청정 장치(10)에 장착될 수도 있는 반면,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와 접촉하는 각 부재의 표면에 김치유산균 발효물이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부재들이 김치유산균 발효물이 함유된 플라스틱 수지의 사출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부재에 김치유산균 발효물이 첨가되도록 하기 위한 방법 에 대하여 설명하고, 김치유산균 발효물의 항균성에 대한 실험 결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김치 유산균 발효물은 김치 유산균의 배양액, 배양액의 농축액,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김치 유산균은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김치 유산균, 웨이셀라(Weissella)속 김치 유산균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원재료는 실리콘(Silic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티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PVC), 라텍스(Latex), 에비에스(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ABS), 피티에프이(Polytetrafluoroethylene:PTF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PV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김치 유산균 발효물과 원재료 이외에 나노 금속 입자를 추가로 배합할 수 있으며, 이 때 나노 금속 입자는 살균 기능을 갖는 금속 입자로서 은(Ag), 아연(Zn), 구리(Cu), 백금(Pt), 철(Fe), 카드뮴(Cd), 팔라듐(Pd), 로듐(Rh), 크롬(Cr) 등의 입자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의 합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김치 유산균 발효물은 김치의 숙성 과정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직접 김치에서 추출하여 사용하거나 시판 김치 유산균을 구입하여 이를 배양하여 사 용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 없이 어떤 상태의 것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김치 유산균의 배양액은 유산균 배양액, 배양액의 농축액,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원재료는 물품의 형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Silic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티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PVC), 라텍스(Latex), 에비에스(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ABS), 피티에프이(Polytetrafluoroethylene:PTE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PVA) 등의 고분자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원에서 물품이라 함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접촉, 증식할 가능성이 있는 각종 물품, 특히 생활가전 제품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공기청정기, 에어컨, 식기세척기, 각종 조리기기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물품은 각종 가전제품의 내외부를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 금속 입자는 살균 기능을 갖는 금속 입자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어떤 종류라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속 입자는 은(Ag), 아연(Zn), 구리(Cu), 백금(Pt), 철(Fe), 카드뮴(Cd), 팔라듐(Pd), 로듐(Rh), 크롬(Cr) 등의 입자이며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의 합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노 금속 입자는 나노화된 금속 입자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제조방법에 특별한 제한없이 나노 크기로 미립화된 금속 입자라면 어떤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나노 금속 입자는 박테리아, 곰팡이 등의 미생물의 생식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미생물의 증식을 제한하는 한편, 세포 속으로 침투하여 미생물의 호흡시 필요한 효소의 기능을 정지시킴으로써 신진대사를 막아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은(Ag), 아연(Zn), 및 구리(Cu) 금속 입자는 항균 작용, 환경과 인체에 대한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은(Ag)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김치 유산균 발효물 및 원재료의 함량 비율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김치 유산균 발효물 및 원재료의 배합 방법은 물품의 형상을 성형할 수 있을 정도로 배합할 수 있다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김치 유산균 발효물의 농도는 5 ~ 20 중량%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나노 금속 입자를 첨가하는 경우, 100ppm 내지 2000ppm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물품의 제조 공정은, 김치 유산균 발효물과 원재료를 배합하고, 물품을 일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금형을 준비하고, 상기 금형에 김치 유산균 발효물의 배합물을 주입하여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김치 유산균 발효물 및 원재료의 배합 방법은 물품의 형상을 성형할 수 있을 정도로 배합할 수 있다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성형 온도는 특별한 제한 없이 가능하나 물품의 원재료 특성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김치 유산균 발효물의 변성 등을 고려하여 100℃ 내지 180℃가 적당하다.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물품은 김치 유산균 발효물 및 원재료의 배합물로 성형된 외층과, 김치 유산균 발효물의 함량이 외층보다 낮은 배합물 또는 원재료만으로 성형된 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접촉, 증식할 가능성이 큰 부위는 물품의 내부보다는 공기나 물 등 세균, 바이러스 등이 전파되는 매질과 접촉하고 있는 외부이므로, 김치 유산균 발효물이 물품의 내외부에 균일하게 배합시키지 않고 외부에 집중적으로 배합되도록 하여 동량의 항균제를 사용하면서도 직접적인 항균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물품은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접촉, 증식할 가능성이 있는 각종 물품, 특히 생활가전 제품, 예컨대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공기청정기, 에어컨, 식기세척기, 각종 조리기기 등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설명만으로도 쉽게 상기와 동일 범주 내의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김치유산균발효물을 코팅하는 바람직한 방법과, 성형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설명한다.
A. 김치유산균발효물의 코팅방법 1
김치유산균발효물의 코팅방법 1은 김치유산균발효물과 바인더의 혼합 용액을 물체의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김치유산균발효물은 김치 유산균의 배양액, 배양액의 농축액,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김치 유산균은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김치 유산균, 웨이셀라(Weissella)속 김치 유산균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 다.
상기 바인더는 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물체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접촉, 증식 가능성이 있는 각종 물체일 수 있으며, 또한 필터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코팅 단계는 김치유산균발효물과 바인더의 혼합 용액을 물체 표면에 분사하거나 또는 상기 혼합 용액에 물체를 침지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김치유산균발효물은 김치의 숙성 과정에서 출현하는 것으로, 직접 김치에서 추출하여 사용하거나 시판 김치 유산균을 구입하여 이를 배양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한 제한 없이 어떤 상태의 것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김치 유산균은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 김치 유산균, 웨이셀라(Weissella)속 김치 유산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김치 유산균이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도 더욱 바람직한 것은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김치 유산균의 발효물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이 가장 항균성이 우수하다. 상기 김치 유산균의 발효물은 유산균 배양액, 배양액의 농축액,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인더로는 실리콘 변성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실리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수의 바인더를 사용할 수 있다. 바인더를 사용하는 경우 김치유산균발효물을 용이하게 물체 표면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물체 표면과 김치유산균발효물의 상호 결합력을 좋게 하여 김치유산균발효물의 용출율을 감소시킴으로써 항균 성능이 잘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체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이 접촉, 증식할 가능성이 있는 각종 물체일 있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수지나 열경화성 수지, 고무, 금속 등이 가능하며, 이러한 재료들은 각각 그 재질의 특성에 따라 용도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체는 공기 정화 필터일 수 있다. 이때 물체 원료로는 공기 정화 필터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것이면 그 종류, 형태, 크기 및 그 제조방법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유리섬유, 이온교환섬유, 셀룰로오스섬유, 아스베스트 섬유 등의 유리섬유와 각종 유기섬유, 무기섬유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아연,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재료들은 각각 그 재질의 특성에 따라 용도별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형상 역시 하니컴형, 입자형, 그물형, 여과지형, 솜형, 메쉬형, 플레이트형 및 폼형 등 특별한 제한없이 적용되는 공기 정화 장치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활성탄 필터 등의 탈취 필터, 헤파 필터, 그리고 자동차의 공기 정화 장치 등의 필터에 사용되거나 이들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체는 공기 정화 필터 이외에도 정수 필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코팅 전 단계로 대상 물체를 적당한 세정수로 세정하거나 세정 후 열처리 등으로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코팅 후 열처리 등으로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물체를 건조하는 경우 그 건조 시간 및 건조 온도는 사용하는 물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 물체가 금속 성분인 경우에는 그 제조과정이나 보관 중에 물체 표면에 부착된 오일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김치유산균발효물의 코팅방법 2
김치유산균발효물의 코팅방법 2는 김치유산균발효물, 무기 항균제 및 바인더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물체의 표면에 코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무기 항균제는 나노 금속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금속 입자가 살균 기능을 갖는 금속 입자일 수 있으며, 상기 금속 입자는 은(Ag), 아연(Zn), 구리(Cu), 백금(Pt), 철(Fe), 카드뮴(Cd), 팔라듐(Pd), 로듐(Rh), 크롬(Cr) 등의 입자이며,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의 합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 단계는 i)김치유산균발효물과 바인더, 및 무기 항균제의 혼합 용액을 물체 표면에 분사하거나 또는 상기 혼합 용액에 물체를 침지함으로써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또는 ii) 물체에 무기 항균제를 코팅한 다음, 은이 코팅된 물체에 김치유산균발효물을 고정화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김치유산균발효물 및 무기 항균제를 물체에 코팅하는 과정은 김치유산균발효 물, 무기 항균제 및 바인더를 혼합한 후 그 혼합 용액을 물체의 표면에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하거나 또는 혼합 용액이 담긴 용기에 물체를 침지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혼합 용액의 제조 방법은 김치유산균발효물, 무기 항균제 및 바인더가 물체 표면에 코팅될 수 있을 정도로 혼합할 수 있다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혼합 용액 내 김치유산균발효물의 농도는 5 ~ 20 중량%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기 항균제는 100ppm 내지 2000ppm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김치유산균발효물, 무기 항균제 및 바인더의 함량 비율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방편으로, 상기 코팅 과정은 물체 표면에 먼저 무기 항균제를 코팅한 다음, 은이 코팅된 물체에 김치유산균발효물을 코팅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체 표면에 무기 항균제를 코팅하는 단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수행 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물체의 특성에 따라 무기 항균제가 코팅되기에 적합한 상태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김치유산균발효물을 무기 항균제가 코팅된 물체 상에 코팅하는 단계 역시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김치유산균발효물을 무기 항균제가 코팅된 물체 상에 코팅하기 위해서는 화학적, 물리적 방법을 사용하여 용도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이때의 코팅도 분사, 침지 등 물체 표면에 골고루 도포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방법이나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코팅 전 단계로 대상 물체를 적당한 세정수로 세정하거나 세정 후 열 처리 등으로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코팅 후 열처리 등으로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물체를 건조하는 경우 그 건조 시간 및 건조 온도는 사용하는 물체의 형태, 종류, 크기 등에 따라 조절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 물체가 금속 성분인 경우에는 그 제조과정이나 보관 중에 물체 표면에 부착된 오일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 김치유산균발효물의 성형방법
김치유산균발효물의 성형방법은 김치유산균발효물 및 원재료를 배합하여 성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김치유산균발효물 및 원재료의 배합물로 외층을 성형하고, 김치유산균발효물의 함량이 외층보다 낮은 배합물 또는 원재료만으로 내층을 성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원재료는 실리콘(Silic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에티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 폴리염화비닐(Polyvinylchloride:PVC), 라텍스(Latex), 에비에스(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ABS), 피티에프이(Polytetrafluoroethylene:PTF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PV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성형 공정은, 김치유산균발효물과 원재료를 배합하고, 물품을 일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금형을 준비하고, 상기 금형에 김치유산균발효물의 배합물을 주입하여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 김치유산균발효물을 캡슐화하여 성형하는 방법
김치유산균발효물을 캡슐화하여 성형하는 방법은 김치유산균발효물 캡슐 및 원재료를 배합하여 성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김치유산균발효물 캡슐 및 원재료의 배합물로 외층을 성형하고, 김치유산균발효물의 함량이 외층보다 낮은 배합물 또는 원재료만으로 내층을 성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김치유산균발효물 캡슐은 멜라민, 폴리우레탄, 젤라틴, 아크릴, 에폭시, 전분, 알지네이트, 키토산 또는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으로 캡슐화된다.
김치유산균발효물 캡슐은 심(core)물질과 벽(wall)물질로 구성되며, 심물질로는 항균제, 소취제, 방향제 등 목적 물질을 사용하고, 벽물질로는 합성 또는 천연 고분자를 사용하여 얇은 막을 형성시켜 마이크로 또는 나노 크기의 입자를 갖도록 하고 있다. 벽물질로 특별한 제한 없이 김치유산균발효물을 함유할 수 있는 것이면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멜라민, 폴리우레탄, 젤라틴, 아크릴, 에폭시, 전분, 알지네이트, 키토산 또는 그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김치유산균발효물을 캡슐화시킴으로써 물품의 성형 온도에서 김치유산균발효물이 변성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게 되고 항균성을 더욱 향상,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성형 공정은, 김치유산균발효물을 캡슐화하고, 캡슐화된 김치유산균발효물과 원재료를 배합하고, 물품을 일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금형을 준비하고, 상기 금형에 김치유산균발효물의 배합물을 주입하여 압출 또는 사출 성형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어필사에서 구입한 알루미늄 메쉬를 2.5% NaOH에 3분정도 담궈 오일 성분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오일 성분을 제거한 알루미늄 메쉬를 2.5% NaOH로 세정하였다. 이 과정을 7번 반복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세정된 알루미늄 메쉬를 40℃로 온도가 조절된 건조 오븐에서 2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김치유산균발효물, 실리콘 변성 아크릴 바인더를 혼합하여 혼합 용액을 제조한 다음, 상기 열처리된 알루미늄 메쉬에 상기 혼합용액을 분사하여 코팅하였다. 그 결과 김치유산균발효물이 코팅된 알루미늄 메쉬를 얻었다.
실시예 2
상기에서 얻어진 김치유산균발효물이 코팅된 공기 정화 필터의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및 녹농균의 균주에 대한 항균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KS M 0146-2003의 방법에 따라 살균력을 시험하였다.
즉, 고압살균기, 세균 배양 항온기, 무균 상자, 콜로니 카운터, 항온수조, 흡광광도계의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대장균(Escherichia coli ATCC 25922),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및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ATCC 27853)의 균주에 대해 각각 살균력을 시험하였다. 상기 균주(1.0㎖씩)를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본 발명에 따른 김치유산균발효물 함유 필터인 알루미늄 메쉬 필터(1.0cm×1.0㎝)에 도포한다. 대조군(3종 균주만 각각 접종) 3개, 알루미늄 메쉬 필터 3개를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35±1℃, 120rpm에서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균체를 분리하고 생리식염수에 희석시켜 37℃에서 48시간 동안 평판 배양한 후, 균의 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표 1 내지 표 3으로 나타내었다.
대장균에 대한 살균력
배 양 시 간
0 1시간후 2시간후 3시간후
대조군 1.5×105CFU/㎖ 1.6×105CFU/㎖ 1.7×105CFU/㎖ 2.0×105CFU/㎖
알루미늄 메쉬 필터 1.5×105CFU/㎖ <10CFU/㎖ <10CFU/㎖ <10CFU/㎖
99.9 99.9 99.9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살균력
배 양 시 간
0 1시간후 2시간후 3시간후
대조군 1.3×105CFU/㎖ 1.5×105CFU/㎖ 1.8×105CFU/㎖ 2.2×105CFU/㎖
알루미늄 메쉬 필터 1.3×105CFU/㎖ <10CFU/㎖ <10CFU/㎖ <10CFU/㎖
99.9 99.9 99.9
녹농균에 대한 살균력
배 양 시 간
0 1시간후 2시간후 3시간후
대조시료 1.2×105CFU/㎖ 1.4×105CFU/㎖ 1.7×105CFU/㎖ 2.2×105CFU/㎖
알루미늄 메쉬 필터 1.2×105CFU/㎖ <10CFU/㎖ <10CFU/㎖ <10CFU/㎖
99.9 99.9 99.9
상기 표 1 내지 3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김치유산균발효물 함유 공기 정화 필터는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등의 미생물에 대한 살균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에 의하여, 공기 중에 분포하는 유해한 세균이 김치 유산균 발효물에 의하여 살균되어, 호흡기를 통한 질병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 청정 장치에 의하여, 환기 청정 장치 자체에 점착되는 세균이 김치유산균발효물에 의해 살균되어, 상기 환기 청정 장치의 내부 또는 외측면에 세균이 증식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환기 청정 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에 세균이 포함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환기 청정 장치 자체가 세균에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흡입되는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어셈블리;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 그릴과,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 그릴이 포함되는 디스차지 그릴;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 그릴 쪽으로 토출하는 팬 어셈블리;
    상기 디스차지 그릴에 결합되며, 일측에 실외 공기가 유입되는 실외 공기 흡입구와 실내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실내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리어 패널; 및
    상기 흡입 및 토출되는 실내 공기의 유로 상에 장착되는 김치균 처리 부재;가 포함되는 환기 청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균 처리 부재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미세 구멍이 형성되고, 표면에 김치유산균 발효물이 첨가된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청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균 처리 부재는 벌집 형상의 미세 구멍이 형성된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청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균 처리 부재는 수세미 형태의 망상 조직을 이루는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청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균 처리 부재는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먼저 통과하는 위치에 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청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균 처리 부재는 상기 토출 그릴에 밀착되거나, 상기 토출 그릴로부터 직근 거리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청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와 접촉되는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김치유산균 발효물이 코팅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청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와 접촉되는 부분 중 적어도 한 부분 이상은 김치유산균 발효물이 첨가된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청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차지 그릴은 저면에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되기 위한 필터 하우징이 구비되고,
    상기 김치균 처리 부재가 필터 하우징 내부에 삽입된 다음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청정 장치.
  10. 저면에 형성되어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필터 하우징과,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 그릴이 포함되는 디스차지 그릴;
    상기 디스차지 그릴의 상측에 구비되어 실내 또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 그릴 쪽으로 토출하는 송풍팬;및
    상기 토출 그릴 측에 장착되는 김치균 필터;가 포함되는 환기 청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그릴은 상기 디스차지 그릴의 세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김치균 필터는 상기 토출 그릴의 내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청정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균 필터는 상기 토출 그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청정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균 필터는 상기 토출 그릴에 슬라이딩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청정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균 필터는 복수 개가 상기 토출 그릴의 내측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청정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균 필터는 상기 토출 그릴 전체에 하나로 둘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청정 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균 필터는 상기 토출 그릴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 청정 장치.
KR1020060031009A 2006-04-05 2006-04-05 환기 청정 장치 KR20070099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009A KR20070099805A (ko) 2006-04-05 2006-04-05 환기 청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1009A KR20070099805A (ko) 2006-04-05 2006-04-05 환기 청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805A true KR20070099805A (ko) 2007-10-10

Family

ID=3880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1009A KR20070099805A (ko) 2006-04-05 2006-04-05 환기 청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98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3518A (zh) * 2018-04-25 2018-08-17 格力电器(武汉)有限公司 一种室外机导流装置及室外机
USD999357S1 (en) 2021-08-19 2023-09-19 PURO Lighting, LLC Air clean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13518A (zh) * 2018-04-25 2018-08-17 格力电器(武汉)有限公司 一种室外机导流装置及室外机
USD999357S1 (en) 2021-08-19 2023-09-19 PURO Lighting, LLC Air clean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387B2 (en) Air conditioner
KR101860891B1 (ko) 벽체관통형 선택적 청정공기 공급장치
JP5191900B2 (ja) 冷蔵庫
KR101197786B1 (ko) 공기 조화기
EP1790914B1 (en) Air conditioner
JP2007296524A (ja) 空気調和機
KR20070099805A (ko) 환기 청정 장치
KR20070099807A (ko) 일체형 공기 조화기
KR101220661B1 (ko) 환기 장치
CN205332383U (zh) 一种等离子体空气净化器
KR100827885B1 (ko) 김치유산균발효물을 이용한 살균 공기조화기
KR100931867B1 (ko) 살균 공기 조화기
RU2382284C1 (ru) Кондиционер воздуха (варианты)
KR100833355B1 (ko) 살균 공기 조화기
KR102236823B1 (ko) 다중이용시설 실내의 초미세먼지, 이산화탄소 저감 및 멸균소독 겸용 공기 정화 장치
KR101270365B1 (ko) 공기 조화기
KR20070099799A (ko) 살균 공기 조화기
KR20070099801A (ko) 공기 조화기
KR20070099802A (ko) 살균 공기 조화기
KR20070054533A (ko) 김치유산균발효물을 이용한 냉장고용 살균 공기청정기
KR101211278B1 (ko) 환기 청정 장치
KR100931868B1 (ko) 공기 조화기
KR20070054536A (ko) 김치유산균발효물을 이용한 살균 전자레인지
KR200434135Y1 (ko) 공기 정화장치
KR20070054537A (ko) 김치유산균발효물을 이용한 살균 오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