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338A - 간기능 개선제 - Google Patents

간기능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338A
KR20070095338A KR1020077016368A KR20077016368A KR20070095338A KR 20070095338 A KR20070095338 A KR 20070095338A KR 1020077016368 A KR1020077016368 A KR 1020077016368A KR 20077016368 A KR20077016368 A KR 20077016368A KR 20070095338 A KR20070095338 A KR 20070095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er function
glucosylhesperidine
value
serum
admin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미츠즈미
미카 다카미
요시카츠 미와
히로토 챠엔
도시오 미야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Publication of KR2007009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3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Tea And Coffe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의 간기능을 정상적인 상태로 개선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유효 성분으로서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함유해서 되는 간기능 개선제와 그 용도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Description

간기능 개선제{HEPATIC FUNCTION REMEDIAL AGENT}
본 발명은 간기능 개선제, 특히 유효 성분으로서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함유해서 되는 간기능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간장은 대사의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생명유지에 불가결한 장기이다. 간장의 기능은 통상적으로 순환 기능, 배출 기능, 대사 기능, 보호·해독 기능 및 혈액학적 기능으로 대별되는데, 그 어느 하나가 장해를 받으면, 피로감, 권태감, 식욕부진, 황담 및 미열을 비롯한 간기능 장해 특유의 여러 증상이 확실히 나타나게 된다. 간기능 장해의 상태가 계속되면, 간염, 간경변, 더욱이는 간장암 등의 생활 습관병(성인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평소보다 간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해두는 것은, 여러 가지로 다망한 현대인이 매일을 장쾌하게 보내기 위해서도, 생활 습관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도 극히 중요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부터 추장(推奬)되고 있는 간장의 건강법은, 약품을 남용하지 않는다든가, 균형잡힌 식사를 하도록 주의하고, 과도한 알코올 섭취나 과로를 피하면서 규칙 바른 생활을 한다든가 하는, 이른바, 생활 훈적인 것밖에 없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의 간기능을 정상적인 상태로 개선하는 적극적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수용성을 향상시킨 헤스페리딘 당질 유도체로서 알려져 있는(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1-346792호 공보 등을 참조)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보건, 의료분야에 이용하는 것에 착안하여 예의 연구를 계속해 왔다. 그 결과, 의외로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이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의 간기능을 정상적인 상태로 적극적으로 개선하는 작용을 가진 것을 발견하고, 특히, 간기능의 지표로서의 혈청 글루탐산-옥살로아세트산 트란스아미나제(이하, 「GOT」로 약기함.) 값, 글루탐산-피루브산 트란스아미나제(이하, 「GPT」로 약기함.) 값 및/또는 γ-글루타밀 트란스페라아제(이하, 「γ-GT」로 약기함.) 값이 높은 값을 나타내는 피험자에 대하여 현저한 작용 효과를 발휘하여, 이들 값을 정상영역 혹은 그 부근에까지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또한 GOT값, GPT값 및 γ-GT값이 정상적인 값을 나타내는 피험자에 대하여는 전혀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하는 전혀 의외의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함유해서 되는 간기능 개선제와 그 용도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은, 혈중(血中) 트리글리세라이드(이하, 「TG」로 약기함.) 농도가 높은 포유류 또는 인간에 투여하면, 그 혈중 TG 농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작용을 가진 것이 알려져 있다[山田 등, 『일본 영양·식량 학회지』, 제56권, 제6호, 355 내지 363 페이지(2003년) 및 三輪 등, 『Journal of Nutritional Science Vitaminology』, 제50권, 211 내지 218 페이지(2004년) 등을 참조]. 그러나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이 간기능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는 지금까지 전혀 밝혀져 있지 않고,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의 간기능 개선제로서의 용도는 본 발명을 효시(嚆矢)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를 복용하면, 간기능의 지표로서의 혈청 GOT값, GPT값 및/또는 γ-GT값이 정상영역을 초과해서 높은 값을 나타내는 피험자에 있어서 이들 값을 정상영역 혹은 그 부근에까지 저하시킬 수 있어, 간기능의 개선 및 건강한 상태의 유지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는 혈청 GOT값, GPT값 및/또는 γ-GT값이 정상영역에 있는 피험자에게 악영향을 끼치는 일은 없다.
(도 1) 혈청 GOT값에 따른 분류군별의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 투여 시험에서의 혈청 GOT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 혈청 GPT값에 따른 분류군별의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 투여 시험에서의 혈청 GPT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 혈청 γ-GT값에 따른 분류군별의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 투여 시험에서의 혈청 γ-GT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 혈청 TG 농도에 따른 분류군별의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 투여 시험에서의 혈청 TG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 혈청 TG 농도에 따른 분류군별의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 투여 시험에서의 혈청 GOT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 혈청 TG 농도에 따른 분류군별의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 투여 시험에 서의 혈청 GPT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 혈청 TG 농도에 따른 분류군별의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 투여 시험에서의 혈청 γ-GT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부호의 설명)
도 1 내지 3에 있어서
●: 간기능 값이 높은 값의 군(High)
○: 간기능 값이 정상인 값의 군(Normal)
도 4 내지 7에 있어서
●: High-TG군
△: Border-TG군
○: Normal-TG군
도 1 내지 7을 통해서
*: 투여 개시 전의 값에 대하여 위험율 5% 미만으로서 유의차 있음.
**: 투여 개시 전의 값에 대하여 위험율 1% 미만으로서 유의차 있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유효 성분으로서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함유해서 되는 간기능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은 아래의 화학식 1로 나타내는 구조를 가진, 헤스페리딘의 글루코실 유도체이다.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에 있어서는,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이 전체로서 유효량 함유되어 있기만 하면, 그 제조 방법, 순도 및 성상은 묻지 않는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51811546-PCT00001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경제성을 문제로 하는 것이라면, 당전이 효소를 이용하는 생화학적 방법이 유리한데, 예를 들면, 전분 부분 가수분해물이나 말토올리고당 등의 α-글루코실 당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헤스페리딘에 시클로말토덱스트린 글루카노트란스페라아제를 비롯한 당전이 효소를 작용시키고, 생성하는 당전이 헤스페리딘에 글루코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킴으로써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은 반드시 고도로 정제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고, 제조 방법에 특유한 미반응의 헤스페리딘이나 다른 당질과의 미분리 조성물로서의 형태이어도 좋다. 덧붙이자면, 이와 같은 형태를 가진 시판품으로서는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분말[상품명 『αG 헤스페리딘 PA』(고형분당의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함량 약 68%) 및 『αG 헤스페리딘 PS』(고형분당의 α-글루코실헤 스페리딘 함량 약 83%),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가 있는데, 이것들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는, 간기능 장해가 있는 포유류에 투여하면, 그 장해가 있는 간기능을 본래 있어야 할 정상적인 상태로 돌려주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또한, 건강한 포유류에 투여하면, 정상적인 간기능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의 독특한 효과는, 구체적으로는, 간기능의 지표로서의 혈청 GOT값, GPT값 및/또는 γ-GT값이 높은 값을 나타내는 피험자에 대하여, 이들 GOT, GPT 및 γ-GT의 레벨을 정상영역, 예를 들면, 인간에 있어서 각각 10∼35 국제 단위(이하, 「IU」로 약기함.)/L, 7∼42 IU/L 및 5∼83 IU/L 혹은 그 부근에까지 저하시킴으로써 확인된다.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는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단독의 형태이어도 좋고,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과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의 섭취를 용이하게 하는 기타의 성분을 함유해서 되는 조성물의 형태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를 함유해서 되는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액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상(固狀)의 식품 또는 의약품의 형태로 제공된다. 즉, 식품으로서의 형태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물, 알코올, 전분질, 단백질, 섬유질, 당질, 지방질, 비타민, 폴리페놀, 미네랄, 착향료, 착색료, 감미료, 조미료, 안정제, 방부제, 부형제 등의 식품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원료 및/또는 소재의 조성물로 하면 좋고,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 해서 이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과 함께, 예를 들면, 해양 심층수, 탄산수, 야채음료, 과실음료, 차음료, 우유 음료, 펩티드 음료 등의 청량 음료를 함유하는 액상 내지 페이스트상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도, 또한, 예를 들면, 분말야채, 분말과실, 분말차, 분말 밀크, 분말 펩티드 등을 함유하는 분말, 과립, 캡슐, 정제 등의 고상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도 유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의약품으로서의 형태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담체, 부형제, 희석제, 안정제, 또,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글리시리진 제제, 프로토포르피린 제제, 티오프로닌 제제, 마로티라토 제제, 글루타티온 제제, 디클로로아세트산 디이소프로필아민 제제, 메틸메티오닌술포늄 클로리라이드 제제, 타우린 제제, 시아니다놀 제제, 인터페론 제제, 인터류킨 제제나,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및/또는 비타민 B12 등을 함유한 비타민제 및, 소자호탕, 대자호탕, 자호계지탕 등의 한방약을 비롯한 기타의 생리 활성 물질의 1 또는 복수와의 조성물로 하면 좋다. 위에 나온 것들 중의 어느 형태에서도,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는, 통상,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0.01 내지 100 질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질량% 함유한다.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의 사용 방법에 대해서 인간의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는 경구적으로 사용하면, 현저한 간기능 개선 작용을 발휘한다. 예를 들면, 건강의 유지·증진이나 질병의 예방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통상, 식품 또는 의약품의 형태로 해서 경구적으로 섭취한다. 용량으로서는, 통상,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의 섭취량이 약 10mg 내지 10g/회/성인, 바람직하게는 약 100mg 내지 1g/회/성인이 되도록 하고, 1 내지 4회/일 또는 1 내지 7회/ 주(週)의 빈도로 섭취한다.
이어서, 실험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의 유효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실험 동물로서 햄스터를 사용해서 시험하고, 이어서, 인간을 대상으로 해서 지원자 시험을 하였다.
<실험 1: 햄스터에 대한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의 투여 시험>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의 섭취가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목적으로, 햄스터를 사용해서 동물시험을 실시하였다.
5 주령(週齡)의 수컷 골든 햄스터를 1군당 5마리 사용하고,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의 섭취량이 0.25m몰(193mg)/kg 체중이 되도록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분말(상품명 『αG 헤스페리딘 PS』,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함량 82.8%,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을 증류수에 용해하고, 위(胃) 존데를 이용해서 매일 투여하면서, 오리엔탈 효모제 『NMF 분말사료』를 먹이로 해서 주어 자유섭취시키면서 사육하였다.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의 투여 개시 2주 후에, 먹이를 상기 사료에 1 질량% 콜레스테롤을 보충한 것으로 변경하고, 그 이외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서 다시 3주간 사육하였다. 최종 투여의 4시간 후에 햄스터를 마취하고, 개복한 후, 대정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였다. 그 후, 통상적인 방법을 따라서 혈청을 분리하고, GOT값 및 GPT값을 각각 측정하였다.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대신에 증류수를 투여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사육하고, 처치한 군을 대조 1로 하고,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대신에 헤스페리딘(시약급, 일본국의 和光純藥 공업 주식회사 판매)을 섭취량이 0.25m몰(153mg)/kg 체중이 되도록 증류수에 현탁하여 투여한 이외는 마찬가지로 사육하고, 처치한 군을 대조 2로 하였다. 또한, 전혀 시료를 투여하지 않고, 『NMF 분말사료』를 자유섭취시키면서 사육한 1군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채혈하고, 측정한 혈청 GOT값 및 GPT값을 투여 시험 전의 값으로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51811546-PCT00002
*: 평균치±표준편차
표 1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투여한 계(系) 또는 헤스페리딘을 투여한 계(系)(대조 2)에 있어서는, 증류수를 투여한 계(系)(대조 1)와 비교하여 혈청 GOT값 및 GPT값이 낮은 레벨로 유지되어 있었다. 또한,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투여한 계에 있어서, 혈청 GOT값 및 GPT값이 헤스페리딘을 투여한 계의 그것보다도 낮은 것으로부터, 이들 간기능 값을 낮은 레벨로 유지하는 점에서 헤스페리딘보다도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쪽이 효과가 큰 것이 밝혀졌다
<실험 2: 인간에 대한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의 장기(長期) 투여 시험>
실험 1의 결과를 근거로 하고,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의 장기 섭취가 인간의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목적으로 지원자 시험을 실시하였다.
약품치료를 하지 않고 있는 25명(26세 내지 65세)의 성인 남성 지원자를 피험자로 하였다. 각 피험자에게는 4주간 전(前)관찰 기간 후에,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분말(상품명 『αG 헤스페리딘 PA』, 고형물당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68.1%, 헤스페리딘을 19.5% 함유,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 250mg, 말토오스(상품명 『말토오스 HHH』,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 생물화학 연구소 판매) 750mg 및 수크로오스 스테아르산 에스테르(일본국의 三菱화학 푸우즈 주식회사 판매) 30mg으로 된 정제(錠劑)를 1일 1회, 2정(錠)을 취침 전에 복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해서 24주간 투여를 계속하였다. 투여 기간 종료 후, 다시 4주간 후(後)관찰 기간을 두었다. 투여 개시 4주간 전, 투여 시작시(투여 0주), 투여 개시 후 4, 8, 12, 16, 20, 24주, 및 투여 종료 4주간 후에 각각 채혈하여 검사에 제공하였다.
채혈은, 피험자에게 전일의 오후 9시 이후부터 12시간 이상 절식하게 하고, 이른 아침의 공복시에 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에, 피험자는 통상적인 식생활과 운동 습관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이 시험에 있어서, 피험자에게는 시험의 목적 및 피험 물질에 대해서 사전에 충분한 설명을 하고, 문서에 의해 시험 참가의 동의를 얻었다. 또한, 이 시험은 헬싱키 선언의 정신에 준해서 충분한 배려 하에 실시하였다.
채취한 혈액의 분석은, 주식 회사 팔코 바이오 시스템즈에 의뢰하여, 간기능의 지표로서의 혈청 GOT값, GPT값 및 γ-GT값, 및 혈청 TG 농도를 각각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해석 결과 1: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의 장기 섭취가 인간의 간기능 값에 미치는 영향>
먼저, 실험 2에 의해 얻어진 시험 결과를 간기능 값에 착안해서 해석하였다. 피험자 25명을 그 시험 전의 간기능 값, 즉 혈청 GOT값, GPT값 또는 γ-GT값에 근거해서 2개의 군, 즉, 높은 값을 나타내는 군(High)과 정상값을 나타내는 군(Normal)으로 분류하였다. 표 2에 간기능 값에 따른 피험자의 분류, 분류에 사용한 GOT, GPT 및 γ-GT의 각각의 값, 및 각각의 군의 투여 개시 4주간 전과 투여 시작시(투여 0주)의 데이터를 합친 것의 평균치 및 표준편차를 투여 개시 전의 값으로 해서 나타냈다.
GOT에 의한 분류 GPT에 의한 분류 γ-GT에 의한 분류
Normal (<37 IU/L) High (37 IU/L≤) Normal (<42 IU/L) High (42 IU/L≤) Normal (<83 IU/L) High (83 IU/L≤)
피험자수(명) 18 7 16 9 16 9
GOT값(IU/L) 23.1±5.4 43.4±10.1 - - - -
GPT값(IU/L) - - 21.9±8.6 72.6±28.4 - -
γ-GT값 (IU/L) - - - - 38.6±18.4 147.1±73.1
체중(kg) 67.3±8.6 75.8±11.1 67.0±8.9 74.4±10.2 69.5±11.2 70.1±7.6
혈청 TG 농도 (mg/dL) 151.6±87.4 142.0±38.9 129.0±50.8 184.3±101.9 130.0±55.7 182.6±39.6
피험자수를 제외한 각 수치는 투여 개시 전의 값 (평균치±표준편차)
그리고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의 투여 개시 후 4, 8, 12, 16, 20, 24주, 및 투여 종료 4주간 후에서의 각각의 군에 속하는 피험자의 데이터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함으로써 해석하였다.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 투여 시험에서의 각 피험자군의 혈청 GOT값, GPT값 및 γ-GT값의 변화를 각각 표 3, 표 4 및 표 5에 나타낸다. 또한, 각각의 표에서의 투여 개시 전의 값을 기준으로 해서 값의 변화를 도시한 것을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51811546-PCT00003
*: 평균치±표준편차
**: 투여 개시 4주간 전과 투여 0주의 평균치
Figure 112007051811546-PCT00004
*: 평균치±표준편차
**: 투여 개시 4주간 전과 투여 0주의 평균치
Figure 112007051811546-PCT00005
*: 평균치±표준편차
**: 투여 개시 4주간 전과 투여 0주의 평균치
표 3, 표 4 및 표 5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의 투여 시험 전의 수치에 따라 High-GOT군, High-GPT군 또는 High-γ-GT군으로 분류된 피험자의 간기능 값은, 혈청 GOT값, GPT값 및 γ-GT값 모두가 투여 4주째에는 저하하고, 투여 8주째에는 각각의 값에서의 정상영역 혹은 그 부근에까지 저하하며, 투여 24주째까지 그 값을 거의 유지하였다. 투여 종료 4주간 후에는 어느 쪽의 수치도 정상영역을 초과해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투여 기간 동안의 간기능 값의 개선 효과는 분명히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가 가진 작용 효과이다.
한편, 투여 시험 전의 수치에 따라 Normal-GOT군, Normal-GPT군 또는 Normal-γ-GT군으로 분류된 피험자의 간기능 값은, 투여 시험 기간 동안 크게 변동하는 일은 없었다.
이들 결과는,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가, 간기능 값이 각각의 정상영역을 초과해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인간에 대하여 간기능 개선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하고 있다.
<해석 결과 2: 혈청 TG 농도에 따른 분류별의 피험자에서의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의 장기섭취가 인간의 간기능 값에 미치는 영향>
실험 2의 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혈청 TG 농도의 견지에서 상이한 해석을 해 보았다. 피험자를, 시험 전의 혈청 TG 농도에 따라 3가지 군, 즉 고TG군(이하, 「High-TG군」이라고 약칭한다. 혈청 TG 농도 150mg/dL 초과, 8명), 정상TG군(이하, 「Normal-TG군」이라고 약칭한다. 혈청 TG 농도 110mg/dL 미만, 6명), 및 이들의 중간군(이하, 「Border-TG군」이라고 약칭한다. 혈청 TG 농도 110 내지 150mg/dL, 11명)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군에 속하는 피험자의 데이터의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구함으로써 혈청 TG 농도에 따른 분류별로 해석하였다.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 투여 시험에서의 각군의 피험자의 혈청 TG 농도, GOT값, GPT값 및 γ-GT값의 변화를 각각 표 6, 표 7, 표 8 및 표 9에, 또한 각각의 표에서의 투여 개시 전의 값을 기준으로 해서 값의 변화를 도시한 것을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51811546-PCT00006
*: 평균치±표준편차
**: 투여 개시 4주간 전과 투여 0주의 평균치
Figure 112007051811546-PCT00007
*: 평균치±표준편차
**: 투여 개시 4주간 전과 투여 0주의 평균치
Figure 112007051811546-PCT00008
*: 평균치±표준편차
**: 투여 개시 4주간 전과 투여 0주의 평균치
Figure 112007051811546-PCT00009
*: 평균치±표준편차
**: 투여 개시 4주간 전과 투여 0주의 평균치
표 6의 결과로 명확한 바와 같이,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를 투여했을 경우, Border-TG군 및 Normal-TG군의 피험자의 혈청 TG 농도는 시험 기간을 통해서 명료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High-TG군 피험자에서는, 투여 4주째부터 혈청 TG 농도는 현저하게 저하하고, 투여 24주째에는 혈청 TG 농도가 147±53.8mg/dL이 되어, 거의 정상영역까지 저하하였다. 또한, 투여 종료 후 4주째에는 혈청 TG 농도는 다시 217±89.4mg/dL까지 상승한 것으로부터 혈청 TG 농도의 저하가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 투여의 효과인 것은 명확하므로,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이 혈청 TG 농도를 저하시키는 점에서 유용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표 7, 표 8 및 표 9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의 투여 시험 전의 수치에 따라 High-TG군으로 분류된 피험자의 간기능 값은, 혈청 GPT값 및 γ-GT값 모두가 투여 4주째에는 정상영역까지 저하하고, 투여 24주째까지 그 값을 거의 유지하였다. 투여 종료 4주간 후에는 어느 쪽의 수치라도 상승 경향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투여 기간 동안의 간기능 값의 개선 효과는 분명히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가 가진 작용 효과라고 판단된다. 또한 이 해석에 있어서는, High-TG군으로 분류된 피험자의 혈청 GOT값은 시험 기간 전후를 통해서 정상영역이며, 혈청 GOT값에 관해서는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 투여의 효과는 특히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투여 시험 전의 수치에 따라 Border-TG군 및 Normal-TG군으로 분류된 피험자의 간기능 값은, 투여 시험 기간 동안 크게 변동하는 일은 없이 정상영역을 유지하였다.
이들 해석 결과는,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가, 혈청 TG 농도가 150mg/dL을 초과해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 인간에 대하여 간기능 개선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하고 있다.
최근, 혈청 TG 농도를 저하시켜 간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약제로서 피브라토계 지질 강하약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피브라토계 약제는, 혈청 TG 농도가 정상영역에 있는 환자에 대하여 투여하면, 정상영역을 초월해서 더욱 혈청 TG값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고, 또한 간기능 장해, 담석, 위장 장해 등의 부작용을 야기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간장해 환자에게는 금기(禁忌)로 되어 있다[예를 들면, 「고지혈증 치료의 진보」, 『일본 임상』, 제59권, 증간호 3, 609 내지 617 페이지, 618 내지 624 페이지(2001년) 등을 참조]. 이러한 상황 하에서, 혈청 TG 농도를 저하시키는 작용을 가진데다, 간기능 값을 개선하고, 또한 부작용의 우려가 없는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정제를 간기능 개선제로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간기능 개선제>
L-아스코르브산 10 질량부,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분말(상품명 『αG 헤스페리딘 PS』,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 19 질량부, 말토오스(등록상표 『산마루토』,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 70 질량부, 및 수크로오스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1 질량부를 각각 균일하게 혼합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타정해서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함유하는 정제를 얻었다.
섭취하기 쉽고, 용해성이 우수해서 비타민 C의 보급도 할 수 있는 이 제품은 간기능 개선제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2 <건강 식품>
시판의 α-말토실트레할로오스 함유 시럽(등록상표 『할로덱스』,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 150 질량부를 감압하에서 가열해서 수분함량 15 질량%까지 농축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13 질량부를 물 18 질량부에 용해한 것과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분말(상품명 『αG 헤스페리딘 PA』,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 2 질량부, 시트르산 2 질량부, 및 적당량의 착색료와 착향제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성형하고, 포장해서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함유하는 구미 캔디를 얻었다.
이 제품은, 텍스쳐, 풍미가 모두 양호하고, 간기능의 개선·유지에 이용하는 건강 식품으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3 <건강 식품>
츄잉 검 베이스 3 질량부를 연해질 때까지 가열 융해하고, 함수결정 트레할로오스(등록상표 『트레하』,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 6 질량부 및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분말(상품명 『αG 헤스페리딘 PA』,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을 1 질량부 가하고, 또한 비타민 E 0.1 질량부와 적당량의 착색료, 착향료를 각각 혼합한 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섞어 개고, 성형하고, 포장해서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함유하는 츄잉 검을 얻었다.
이 제품은, 텍스쳐, 풍미가 모두 양호하고, 간기능의 개선·유지에 이용하는 건강 식품으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4 <건강 보조 음료>
이성화당 40 질량부, 말티톨(상품명 『분말 마빗토』,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 2 질량부, 쌀식초 10 질량부, 사과 식초 6 질량부, 시트르산 2 질량부, 말산 2 질량부, 농축 사과즙 2 질량부,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분말(상품명 『αG 헤스페리딘 PS』,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 2 질량부를 혼합·용해해서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풍미, 정미가 모두 양호하고, 간기능을 개선·유지하기 위한 건강 보조 음료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5 <건강 보조 음료>
블렌드한 녹차 50 질량부를 65℃의 이온 교환수 1500 질량부에 의해서 5분간 추출하고, 계속해서 여과지로 여과함으로써 차잎을 제거하여 1320 질량부의 녹차 추출액을 얻었다. 이 녹차 추출액을 음용(飮用) 농도가 되도록 이온 교환수로 5배 희석하고, L-아스코르브산을 300ppm이 되도록 첨가한 후, 탄산 수소 나트륨으로 pH 6.0으로 조정하여 조합액을 얻었다. 이 조합액에,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상품명 『αG 헤스페리딘 PA』,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 및 국제공개 WO O2/10361호 명세서에 개시된 환상 4당 5함수결정을, 각각의 농도가, 무수물 환산으로, 0.2 질량% 및 1.5 질량%가 되도록 첨가하였다. 이 조합액을 유리 용기에 250g씩 충전·밀봉하고, 레토르트 살균(121℃, 7분간)을 해서 녹차 음료로 하였다.
이 제품은 간기능의 개선·유지에 이용하는 건강 보조 음료로서 유용하다. 또한, 이 제품은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및 환상 4당이 피 속이나 다른 조직의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을 저감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질 저감을 위해 이용된다는 취지의 표시를 첨부하여, 고지혈증이나 비만 등의 생활 습관병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으로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6 <경관 경구 영양제>
무수결정 말토오스(등록상표 『파인토스』,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 30 질량부, 글루탐산 나트륨 3 질량부, 글라이신 2 질량부, 식염 2 질량부, 시트르산 2 질량부, 탄산 마그네슘 0.3 질량부, 락트산 칼슘 1 질량부,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 분말(상품명 『αG 헤스페리딘 PA』, 일본국의 주식회사 林原상사 판매) 4 질량부, 티아민 0.02 질량부 및 리보플라빈 0.02 질량부로 된 배합물을 제조하였다.
이 배합물을 30g씩 라미네이트 알루미늄 자루에 나누어 넣고, 히이트 시일해서 경관 경구 영양제를 제조하였다.
이 제품은, 1자루 약 250 내지 500ml의 멸균수에 용해해서 경관 또는 경구적으로 영양제로 해서, 또한 간기능을 개선·유지하기 위한 액제로 해서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이 인간에 있어서 현저한 간기능 개선 작용을 발휘한다고 하는 독자적인 발견에 근거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는, 건강한 사람이나 환자가 상용(常用)하면, 건강의 유지·회복에 효과가 있다. 특히, 간기능 값, 혈청 GOT값, GPT값 및/또는 혈청 γ-GT값이 높은 인간의 간기능의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발휘하므로, 건강 식품으로 서도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간기능 개선제는 간기능 장해가 병인(病因)으로 되거나, 혹은 질병의 진행이 간기능 장해를 수반하는, 예를 들면 간염, 간경변 및 간장암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질병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유효 성분으로서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함유해서 되는 간기능 개선제.
  2. 제1항에 있어서,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0.01 내지 100 질량% 함유해서 되는 간기능 개선제.
  3. 제1항에 있어서, 간기능 개선제가, 유효 성분으로서의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과 함께 헤스페리딘을 함유해서 되는 조성물의 형태이고, α-글루코실헤스페리딘을 0.01 질량% 이상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간기능 개선이, 간기능의 지표로서의 혈청 글루탐산-옥살로아세트산 트란스아미나제(GOT)값, 글루탐산-피루브산 트란스아미나제(GPT)값 및/또는 γ-글루타밀 트란스페라아제(γ-GT)값을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기능 개선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한 간기능 개선제를 함유해서 되는 식품 또는 의약품 형태의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특정 보건용 식품으로서의 조성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음료가, 차음료를 포함하는 청량음료인 조성물.
KR1020077016368A 2004-12-24 2005-11-21 간기능 개선제 KR200700953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73663 2004-12-24
JPJP-P-2004-00373663 2004-12-24
JP2005121587 2005-04-19
JPJP-P-2005-00121587 2005-04-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607A Division KR101356330B1 (ko) 2004-12-24 2005-11-21 간기능 개선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338A true KR20070095338A (ko) 2007-09-28

Family

ID=366015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607A KR101356330B1 (ko) 2004-12-24 2005-11-21 간기능 개선제
KR1020077016368A KR20070095338A (ko) 2004-12-24 2005-11-21 간기능 개선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607A KR101356330B1 (ko) 2004-12-24 2005-11-21 간기능 개선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80221045A1 (ko)
EP (1) EP1837026A4 (ko)
JP (3) JP5694628B2 (ko)
KR (2) KR101356330B1 (ko)
WO (1) WO20060679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983A (ko) 2015-05-29 2016-12-07 주식회사 금림바이오켐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간기능 개선제의 제조방법
CN112203675A (zh) * 2018-04-24 2021-01-08 基因组保护股份有限公司 用于改善虚弱和衰老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330B1 (ko) * 2004-12-24 2014-01-27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간기능 개선제
JP5197560B2 (ja) * 2009-12-21 2013-05-15 株式会社 伊藤園 ヘスペリジン含有飲料
CN105213414B (zh) 2010-06-09 2018-01-30 花王株式会社 多酚组合物的制造方法
KR101268325B1 (ko) 2010-12-30 2013-05-31 한국식품연구원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간질환 예방용 조성물
JP6437183B2 (ja) * 2012-11-30 2018-12-12 上野製薬株式会社 肝機能改善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0227B2 (ja) 1989-06-03 2000-07-10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α―グリコシル ヘスペリジン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JP3833775B2 (ja) * 1996-06-26 2006-10-18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酵素処理ヘスペリジ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酵素処理ヘスペリジンの使用方法
JP2001520993A (ja) * 1997-10-28 2001-11-06 コリア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アシルcoa−コレステロール−o−ア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抑制剤、動脈壁上でのマクロファージ−脂質複合体蓄積の抑制剤および肝疾患予防または治療剤としてのヘスペリジンおよびヘスペレチン
JP3549436B2 (ja) * 1999-04-08 2004-08-04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α−グリコシルヘスペリジン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TWI312369B (en) * 2000-08-01 2009-07-21 Hayashibara Biochem Lab A-isomaltosylglucosaccharide synthase,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KR20020069239A (ko) * 2000-11-07 2002-08-29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점막면역 조절제 및 그 용도
JP4397142B2 (ja) * 2001-11-20 2010-01-13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活性酸素消去能低減抑制剤
JP2004194590A (ja) * 2002-12-19 2004-07-15 Ito En Ltd リラックス効果のある飲食物
KR101356330B1 (ko) * 2004-12-24 2014-01-27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간기능 개선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983A (ko) 2015-05-29 2016-12-07 주식회사 금림바이오켐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간기능 개선제의 제조방법
CN112203675A (zh) * 2018-04-24 2021-01-08 基因组保护股份有限公司 用于改善虚弱和衰老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21045A1 (en) 2008-09-11
EP1837026A1 (en) 2007-09-26
EP1837026A4 (en) 2010-03-24
JP5694628B2 (ja) 2015-04-01
JPWO2006067925A1 (ja) 2008-06-12
JP5705898B2 (ja) 2015-04-22
KR20130050392A (ko) 2013-05-15
KR101356330B1 (ko) 2014-01-27
US20100210589A1 (en) 2010-08-19
JP5487260B2 (ja) 2014-05-07
JP2013116918A (ja) 2013-06-13
WO2006067925A1 (ja) 2006-06-29
JP2012229267A (ja)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5898B2 (ja) 肝機能改善剤
KR102303570B1 (ko) 에너지 소비의 촉진 및/또는 에너지 소비 기능 저하의 치료 및/또는 예방제, 또는 방법
KR101974442B1 (ko)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EP1825857A1 (en) Agent for ameliorating the maximum passage time through digestive tract, agent for ameliorating passage time through digestive tract and preventive for colon cancer
KR20230152614A (ko) 인지 기능 속도 개선용 조성물
EP1767200A1 (en) Antiaging agent
WO2005074961A1 (ja) 体脂肪調整剤
KR101775087B1 (ko) 멀베로푸란 g, 상게논 g 및 상게놀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또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11255655A (ja) 神経機能調節剤
JP2010111646A (ja) 潰瘍性大腸炎治療剤
CN1723033A (zh) 减少热量摄入的组合物
JP4787159B2 (ja) 抗ストレス剤
Antonik et al. Characteristics of sweeteners used in foods and their effects on human health
JP5394644B2 (ja) アスペルロシドまたはその類縁体を含む筋肉増強剤
KR101237215B1 (ko) 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4680339A (zh) 一种改善肌肉衰减延缓衰老的营养补充剂及其应用
US20220016114A1 (en) Heart Rate Decreasing Agent
KR102045847B1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KR100615981B1 (ko) 혈당치 상승 억제 및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조성물
US20230372291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xanthan gum to stabilize at least one urolithin in an aqueous matrix
JP2005126429A (ja) 免疫賦活剤、食品及び液状食品組成物
KR20050079229A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US7973021B2 (en) Immunomodulating agent in gut
WO2016208908A1 (ko)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15980A (ko) 고춧잎 추출물 및 돼지감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425

Effective date: 2014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