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2524A -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2524A
KR20070092524A KR1020060022777A KR20060022777A KR20070092524A KR 20070092524 A KR20070092524 A KR 20070092524A KR 1020060022777 A KR1020060022777 A KR 1020060022777A KR 20060022777 A KR20060022777 A KR 20060022777A KR 20070092524 A KR20070092524 A KR 20070092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link mechanism
air conditioner
case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2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50539B1 (en
Inventor
박태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539B1/en
Priority to AU2006337756A priority patent/AU2006337756B2/en
Priority to PCT/KR2006/005136 priority patent/WO2007091766A2/en
Priority to US12/086,483 priority patent/US8408021B2/en
Priority to ES06256331.7T priority patent/ES2565030T3/en
Priority to EP06256331.7A priority patent/EP1816406B1/en
Publication of KR2007009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25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539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s provided to fix directly a pin to a case or a frame panel for connecting a link unit and the frame panel in a short time, wherein the pin is fixed without using any additional elements,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cludes a frame panel(30) disposed at a front part of a case by a link unit(200) and attached with a frame, and pins(400) rotatively connecting the link unit to one of the case or the frame panel and fixed to the other one, wherein the one has a link unit connection part(212) and the other one has a pin fixing part. The pin has a pin part(402) penetrating the link unit connection part and the link unit for connecting the link unit to the link unit connection part rotatively, and protrusion parts(410,412) fixed to the pin fixing part.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의 분해 사시도,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am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의 조립과정이 도시된 조립도,4 is an assembly view showing an assembly process of the fram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코프레임의 결합부분이 도시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deco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의 링크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nk mechanism of a fram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가 도시된 측면도,7 is a side view showing a link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작동도,8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link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의 연결 전 확대 분해 사시도,9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nk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connecti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핀으로 링크기구를 연결하였을 때의 확대 사시도,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when the link mechanism is connected with the pin shown in FIG. 9;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핀을 고정시켰을 때의 확대 사시도,1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when the pin shown in FIG. 9 is fixed;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핀을 고정시켰을 때의 확대 단면도,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pin shown in FIG. 9 is fixed;

도 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케이스 11 : 조립커버10 case 11 assembly cover

12 : 리어 케이스 13 : 오리피스12: rear case 13: orifice

14 : 송풍기 15 : 공기 흡입구14 blower 15 air intake

16 : 공기 토출구 17 : 브래킷16 air outlet 17 bracket

18 : 에어가이드 20 : 프론트 케이스18: Air Guide 20: Front Case

21 : 프론트그릴 24 : 서비스커버21: Front Grill 24: Service Cover

30 : 액자패널 32 : 액자 베이스30: frame panel 32: frame base

33 : 액자 어셈블리 34 : 데코프레임33: frame assembly 34: decor frame

35 : 투명플레이트 36 : 데코35: transparent plate 36: deco

38 : 표시창 40 : 토출유닛38: display window 40: discharge unit

50 : 열교환기 52 : 연결배관50: heat exchanger 52: connection piping

60 : 필터 200 : 링크기구60: filter 200: link mechanism

202 : 후크 204 : 끼움홈202: hook 204: fitting groove

210 : 회전링크 210a : 일단210: rotary link 210a: once

210b : 타단 212, 214 : 브래킷210b: other end 212, 214: bracket

212a: 좌측 브래킷 212b: 우측 브래킷212a: left bracket 212b: right bracket

220 : 지지링크 220a : 일단220: support link 220a: once

220b : 타단 222, 224 : 브래킷220b: other end 222, 224: bracket

223 : 힌지 225 : 레일223 hinge 225 rail

250 : 흡입그릴 252 : 리브250: suction grill 252: rib

400 : 핀 402: 핀부400: pin 402: pin part

404: 걸림턱 410,412: 돌출부404: engaging jaw 410,412: protrusion

414,416: 걸림홀 460: 핀 고정부414, 416: engaging hole 460: pin fixing part

462: 핀 피난홈 464: 돌기462: pin evacuation groove 464: projection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전방에 액자 패널이 링크기구로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링크기구를 액자패널이나 케이스에 연결하는 핀이 액자패널이나 케이스에 직접 고정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frame panel is connected to a link mechanism in front of a case forming an exterior, and particularly, an air in which a pin connecting the link mechanism to the frame panel or the case is directly fixed to the frame panel or the case. It relates to the indoor unit of the harmony unit.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난방기, 냉방기, 청정기 등으로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할 목적으로 설치되어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실내 벽면에 액자와 같이 장착될 수 있도록 터보팬을 내장하여 그 두께를 최소화한 공기조화기가 개발되었다.In general, air conditioners a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cooling / heating the room or purifying the air with a radiator, air conditioner, purifier, etc., to create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humans. An air conditioner with a built-in turbo fan to minimize its thickness has been developed.

도 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되고 두께가 얇은 장방형 리어 케이스(1)와, 상기 리어 케이스(1) 내측에 설치되는 송풍기(2)와, 상기 송풍기(2) 전방에 설치되는 열교환기(3)와, 상기 열교환기(3) 전방에 위치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4a)가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4)와, 상기 리어 케이스(1)와 프론트 케이스(4) 사이에 설치되어 토출구를 형성하는 오리피스(5)와, 상기 프론트 케이스(4)의 전면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4a)를 개폐시키는 전면그릴(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3, a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includes a rectangular rear case 1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thin thickness, a blower 2 installed inside the rear case 1, and a front of the blower 2. Between the rear case 1 and the front case 4, a front case 4 having a heat exchanger 3 installed at the front side, a suction opening 4a position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r 3, and having air suction therein; And an orifice (5) installed at the opening to form a discharge port, and a front grill (6) rotatably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4) to open and close the suction port (4a).

여기서, 상기 송풍기(2)는 상기 리어 케이스(1)의 두께를 최소화할 뿐 아니라 상기 흡입구(4a)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원주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터보팬(2a)과, 상기 터보팬(2a)을 회전시키는 모터(2b)로 이루어진다.Here, the blower (2) is a turbo fan (2a) and the turbo fan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rear case (1) as well as to allow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4a) to be dischar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t consists of the motor 2b which rotates 2a.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5)는 상기 열교환기(3)와 송풍기(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구(4a)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기(2)로 안내한다. The orifice 5 is install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3 and the blower 2 to guide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4a to the blower 2.

한편, 상기 프론트 케이스(4)과 상기 오리피스(5) 사이에는 상기 흡입구(4a)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7)가 설치되고, 상기 오리피스(5)의 상부에는 제어부를 구성하는 컨트롤박스(8)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front case 4 and the orifice 5 is provided with a filter (7) for filtering the air sucked through the inlet (4a), the control to form a control unit on the top of the orifice (5) The box 8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필터(7)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4)를 통해 리어 케이스(1)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4)는 상기 열교환기(3)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열교환기(3)를 커버한다. Herein, air is sucked into the rear case 1 through the filter 7 and the front case 4, and the front case 4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r 3, so that the heat exchanger 3 ).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그릴(6)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전면측 미관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front side aesthetic is not good because the front grill 6 is exposed to the outside.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전면측에 사진이나 그림 등을 부착할 수 있는 별도의 액자패널을 링크기구 등으로 연결하면, 그 전면측 미관이 향상되고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액자의 기능을 겸할 수 있게 되나, 상기와 같이 링크기구의 연결을 위한 구조물이 복잡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필요하게 되면,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connected to a separate frame panel for attaching a picture or a picture to the front side by a link mechanism, the aesthetics of the front side are improved, and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functions as a frame. Although it can be combin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link mechanism is complicated or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is requir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cost is increas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액자 패널 및 링크기구를 신속하고 저비용으로 연결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frame panel and the link mechanism quickly and at low cost.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공기가 흡입된 후 공조되어 토출되도록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고 액자가 부착되는 액자 패널과; 상기 액자 패널을 상기 케이스에 연결하는 링크기구와; 상기 케이스와 액자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링크기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케이스와 액자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ase in which the air inlet and the air discharge port is formed so that the air is discharged after the indoor air is sucked; A picture frame panel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case and to which the picture frame is attached; A link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frame panel to the case; And a pin rotatably connecting the link mechanism to at least one of the case and the frame panel, and locked to at least one of the case and the frame panel.

상기 케이스와 액자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링크기구가 상기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기구 연결부와; 상기 핀이 고정되는 핀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of the case and the frame panel includes a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to which the link mechanism is rotatably connected by the pin;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fixing portion is fixed to the pin.

상기 핀은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와 상기 링크기구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기구를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핀부와, 상기 핀 고정부에 고정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n may include a pin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link mechanism to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through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and the link mechanism, and a protrusion fixed to the pin fixing portion.

상기 핀은 상기 핀부의 단부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에 좌우 방향으로 걸리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n is formed to be stepped on the end of the pi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jaw caugh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link portion connecting portion.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걸림턱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protrude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jaw.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걸림턱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cking jaw.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는 상기 링크기구의 좌우 폭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핀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좌우 대향되게 형성된 좌,우 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may be spaced apart at intervals great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link mechanism and the left and right brackets may be formed so that the through-holes through which the pin portion penetrates are opposed to each other.

상기 핀 고정부는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와 상기 돌출부의 좌우 폭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n fixing par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great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art and the protruding part.

상기 핀 고정부는 상기 핀이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의 옆에서 좌우 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핀이 좌우 방향으로 걸리지 않도록 핀 피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n fix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evacuation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pin is not caugh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en the pin is inser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next to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상기 핀 고정부와 상기 돌출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핀 고정부와 상기 돌출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of the pin fix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nd the other of the pin fix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hole is formed by the protrusion is form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의 조립과정이 도시된 조립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코프레임의 결합부분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1 and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assembly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fram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portion of the decor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사진이나 그림 등이 전방에서 보이게 부착되는 액자 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or 2, the case 10 to form an appearan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rame panel 30 which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ase 10 and attached to be visible from the front, such as a picture or a picture.

상기 케이스(10)는 리어 케이스(12)와, 상기 리어 케이스(12)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 케이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ase 10 includes a rear case 12 and a front case 20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case 12.

상기 리어 케이스(12)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16)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The rear case 12 is formed with at least one air discharge port 16 through which air that is air-conditioned inside the case 10 is formed.

상기 프론트 케이스(20)는 상기 리어 케이스(12)에 체결 고정되고, 실내 공기가 케이스(10) 내부로 흡입되도록 중앙에 공기 흡입구(15)가 형성된다.The front case 20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rear case 12, and an air inlet 15 is formed at the center so that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case 10.

상기 액자 패널(30)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전방에 설치되되,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틈을 형성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와 상기 액자패널(3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상기 공기 흡입구(15)로 공기가 이동된다. The frame panel 3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front case 20, spaced apart from the front case 2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o form a gap, between the front case 20 and the frame panel 30 Air is moved to the air inlet 15 through the formed gap.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토출시키는 송풍기(14)와, 상기 송풍기(14)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15)에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송풍기(14)를 안내하는 오리피스(13)를 포함하 여 구성된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0, and a blower 14 for sucking / discharging indoor air, and the air sucked from the air inlet 15 by being located in front of the blower 14. It comprises an orifice 13 for guiding the blower (14).

상기 송풍기(14)는 상기 리어 케이스(12)와 상기 오리피스(1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 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모두 상기 공기 토출구(16)로 안내한다. The blower 14 is installed between the rear case 12 and the orifice 13 to guide all the air sucked through the air inlet 15 to the air outlet 16.

특히 상기 송풍기(14)는 상기 오리피스(13)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원주방향으로 토출시키는 원심팬이다. In particular, the blower 14 is a centrifugal fan for discharging air introduced from the orifice 13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송풍기(14)의 양측, 즉 상기 리어 케이스(12)의 양측에는 상기 송풍기(14)에서 토출된 공기를 리어 케이스(12) 밖으로 안내하는 공기 토출구(16)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16)에는 토출유닛(40)이 설치되어 상기 공기 토출구(16)를 개폐한다. In addition, air outlets 16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lower 14, that is, at both sides of the rear case 12, to guid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14 out of the rear case 12. 16, a discharge unit 40 is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air discharge port 16.

또한, 상기 리어 케이스(12)의 하측에 형성된 공기 토출구(16)에도 실내기의 제어부에 의해 개폐되는 토출유닛(40)이 설치되어 토출공기를 실내로 안내한다.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 port 16 formed at the lower side of the rear case 12 is also provided with a discharge unit 40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ntrol unit of the indoor unit to guide the discharge air to the room.

더불어 상기 리어 케이스(12)는 배면에 설치된 브래킷에 의해 실내 벽에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rear case 12 is fixed to the interior wall by a bracket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그리고 상기 송풍기(14)의 상부, 즉 상기 리어 케이스(12)의 상측에는 상기 송풍기(14)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리어 케이스(12)의 양측에 설치된 공기 토출구(16)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8)가 설치된다. And an air guide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14 to the air discharge port 16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rear case 12 above the blower 14, that is, the upper side of the rear case 12 ( 18) is installed.

한편, 상기 오리피스(13)의 상부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를 구성하는 전장부(150)가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of the orifice (13) is provided with an electric component 150 constituting a control unit of the air conditioner.

상기 오리피스(13)의 전방에는 실내공기와 열교환되어 흡입되는 실내공기를 냉/난방시키는 열교환기(50)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50)의 하측에는 드레인팬(100)이 설치되어 상기 열교환기(5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 및 배출시킨다. In front of the orifice 13, a heat exchanger (50) for cooling / heating the indoor air that is sucked by heat exchange with indoor air is installed, and a drain pan (100) is installed below the heat exchanger (50) for the heat exchange. Condensate generated in the device 50 is stored and discharged.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 또는 상기 오리피스(13)에 고정되고, 상기 열교환기(50)에는 외부로부터 설치되는 냉매배관(미도시)과 연결되도록 일측에 연결배관(52)이 설치된다. The heat exchanger 50 is fixed to the front case 20 or the orifice 13, the heat exchanger 5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eat exchanger 50 to be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pipe (not shown) installed from the outside (52) ) Is installed.

특히 상기 열교환기(50)의 전면에는 플라즈마 필터(160)가 설치된다. In particular, the plasma filter 16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50.

상기 프론트 케이스(20)는 상기 열교환기(50)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리어 케이스(12)와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20)과 상기 리어 케이스(12)의 결합에 의해 상기 공기 토출구(16)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토출구(16)에 상기 토출유닛(40)이 설치된다.The front case 20 is located in front of the heat exchanger 50 and is coupled to the rear case 12, and the air outlet 16 is coupled to the front case 20 and the rear case 12. ) Is formed, and the discharge unit 40 is installed in the air discharge port 16.

또한, 상기 리어 케이스(12)은 모서리에는 배관커버(11)가 설치되고, 상기 배관커버(11)는 상기 리어 케이스(12)의 모서리에 조립되어 상기 실내기의 외형 중 일부를 이룬다. In addition, the rear case 12 has a pipe cover 11 is installed at the corner, the pipe cover 11 is assembled to the corner of the rear case 12 to form a part of the interior of the indoor unit.

여기서 상기 배관커버(11)는 상기 리어 케이스(12)에 4 모서리 중 복수개소에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모서리 2 개소에 설치되며, 상기 배관커버(11)를 관통해 외부 냉매배관이 상기 리어 케이스(12) 내부로 안내된다. Here, the pipe cover 11 is formed in a plurality of four corners on the rear case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in two lower corners, the external refrigerant pipe through the pipe cover 11 is the Guided into the rear case 12.

한편, 상기 액자패널(3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베이스(32)와, 상기 액자베이스(32)와 힌지 연결되어 회전되는 액자 어셈블리(33)로 구성된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S. 2 to 5, the frame panel 30 includes a frame base 32 and a frame assembly 33 hingedly connected to the frame base 32.

상기 액자베이스(32)는 그 전면에 사진이나 그림 등이 끼움되어 부착되거나 양면 테잎 등에 의해 부착된다.The frame base 32 is attached to the front of a picture or a picture, or the like attached by a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상기 액자베이스(32)는 그 배면에 상기 프론트 케이스(20) 측으로 돌출된 흡입그릴(250)이 형성된다. The frame base 32 has a suction grille 250 protruding toward the front case 20 on its rear surface.

상기 흡입그릴(250)은 상기 액자베이스(32)의 배면에 형성되되, 배면에서 봤을 때 상기 액자베이스(32)의 가장자리를 따라 4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링크기구(200)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전면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suction grille 250 is formed on a rear surface of the frame base 32, and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along an edge of the frame base 32 when viewed from the rear, and the link mechanism 200 and the front case. The front surface of 20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상기 흡입그릴(250)에는 다수개의 리브(252)가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 케이스(20)로 이동되는 공기를 가이드하고, 어린이의 손이 상기 액자패널(30)과 상기 프론트 케이스(20)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A plurality of ribs 252 are formed in the suction grill 250 to guide the air moving to the front case 20, and a hand of a child penetrates between the frame panel 30 and the front case 20. To prevent them.

상기 액자 어셈블리(33)는 상기 액자베이스(32)에 힌지 연결되는 데코프레임(34)과, 상기 데코프레임(34)에 끼워지는 투명플레이트(35)와, 상기 데코프레임(34) 및 상기 투명플레이트(35)를 동시에 감싸 고정시키는 데코(36)와, 상기 데코프레임(34)에 설치되는 표시창(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rame assembly 33 includes a decor frame 34 hinged to the frame base 32, a transparent plate 35 fitted to the decor frame 34, the decor frame 34 and the transparent plat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eco 36 for wrapping and fixing the 35 at the same time, and a display window 38 provided in the deco frame 34.

상기 투명플레이트(35)는 투명 아크릴 또는 유리 등이 사용되고, 상기 투명플레이트(35)는 상기 액자베이스(32)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기 액자베이스(32)에 부착된 그림 또는 사진 등이 노출되도록 한다. The transparent plate 35 may be made of transparent acrylic or glass, and the transparent plate 35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frame base 32 to expose a picture or a photo attached to the frame base 32. .

상기 데코프레임(34)은 상기 투명플레이트(35)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투명플레이트(35)를 고정한다. The decor frame 34 is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transparent plate 35 to fix the transparent plate 35.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코프레임(34)은 상기 투명플레이트(35)의 네 가장자리에 밀착되도록 4개의 부재(34a)(34b)(34c)(34d)로 구성되고, 상 기 각 부재는 서로 끼워 맞춤된 후 체결 고정된다. As shown in FIG. 3, the decor frame 34 is composed of four members 34a, 34b, 34c, and 34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four edges of the transparent plate 35. The members are fitted to each other and then fastened and fixed.

그래서 상기 데코프레임(34)의 어느 한 부재(34a)(34c)에는 홀(34a')(34c')이 형성되고, 결합되는 부재(34b)(34d)에는 상기 홀(34a')(34c')에 삽입되는 보스(34b')가 형성되며, 상기 보스(34b')에는 상기 데코(36)가 조립된 후 체결부재(미도시)가 체결되어 상기 데코프레임(34)을 상기 데코(36)에 밀착되게 한다. Thus, holes 34a 'and 34c' are formed in one of the members 34a and 34c of the deco frame 34, and the holes 34a 'and 34c' are formed in the members 34b and 34d to be joined. The boss 34b 'is inserted into the boss 34b', and the deco 36 is assembled to the boss 34b ', and then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is fastened to the deco frame 34 by the deco 36. Keep in close contact with

더불어 상기 데코프레임(34)의 각 부재(34a)(34b)(34c)(34d)는 외측단이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투명플레이트(35)의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each of the members 34a, 34b, 34c, 34d of the decor frame 34 is formed so that the outer end is bent forwar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transparent plate 35.

또한 상기 데코프레임(34)의 배면 상측에는 상기 액자베이스(32) 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1)에는 힌지홀(31a)이 형성되어 상기 액자베이스(32)와 힌지 연결된다. In addition, a protruding portion 31 protruding toward the frame base 3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 frame 34, and a hinge hole 31a is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31 to hinge the frame base 32. Connected.

여기서 상기 힌지홀(31a)은 상기 액자 어셈블리(33)가 상단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데코프레임(34)의 상측에 형성되되,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Here, the hinge hole 31a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cor frame 34 so that the frame assembly 33 can be rotated based on the upper end, and is formed long in the left / right direction.

그리고 상기 돌출부(31)는 상기 액자베이스(32)의 홈(미도시)에 삽입된 다음 핀(미도시)이 상기 홈 및 상기 돌출부(31)를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서, 상기 액자베이스(32)와 상기 액자 어셈블리(33)를 힌지 연결시킨다. The protrusion 31 is inserted into a groove (not shown) of the frame base 32, and then a pin (not shown) is inserted through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31 so that the frame base 32 and the frame base 32 are not. The frame assembly 33 is hingedly connected.

또한 상기 데코프레임(34)의 하측에는 상기 표시창(38)이 설치되고, 상기 표시창(38)은 상기 전장부(150)와 연결되어 신호를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window 38 is installed below the decor frame 34, and the display window 38 is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omponent unit 150 to display a signal.

여기서 상기 표시창(38)은 상기 데코프레임(34) 중 하측 부재(34c)와 우측 부재(34b)의 사이에 위치되는 바, 도면의 우측 하단에 설치되고, 상기 데코(36) 중 하측 부재(36c)에는 상기 표시창(38)이 노출될 수 있도록 홀(36c')이 형성된다. The display window 38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member 34c and the right member 34b of the deco frame 34, and is installed at the lower right of the drawing, and the lower member 36c of the deco 36 is provided. ), A hole 36c 'is formed to expose the display window 38.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창(38)은 엘이디 등을 점등하는 장치로 표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엘시디 등의 평면표시장치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isplay window 38 is displayed as a device for turning on an LED, etc. Alternatively, a flat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may be installed.

또한 상기 표시창(38)을 통해서는 상기 실내기의 작동 상태 또는 실내의 환경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한다. In addition, the display window 38 displays information 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indoor unit or the environment of the room.

한편, 상기 데코(36)는 상기 데코프레임(34)의 가장자리와 상기 투명플레이트(35)의 가장자리를 동시에 감싸 고정하는 기구로서,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ㄷ'자 형상의 개구된 부분이 상기 투명창 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deco 36 is a mechanism for wrapping and fixing the edge of the deco frame 34 and the edge of the transparent plate 35 at the same time,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c' shape, 'c' shaped The opened portion is provided to face the transparent window side.

여기서 상기 데코(36)는 상기 데코프레임(34) 및 상기 투명플레이트(35)의 네 가장자리를 동시에 감싸도록 4개의 부재(36a)(36b)(36c)(36d)로 구성된다. The deco 36 is composed of four members 36a, 36b, 36c and 36d to simultaneously surround four edges of the decoframe 34 and the transparent plate 35.

그리고 상기 각 부재(36a)(36b)(36c)(36d)의 홈(37)에는 상기 데코프레임(34) 및 상기 투명플레이트(35)가 삽입된다. The deco frame 34 and the transparent plate 35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37 of the members 36a, 36b, 36c, and 36d.

특히 상기 데코(36)의 전방 측 단(37a)은 상기 투명플레이트(35)에 밀착되고, 후방 측 단(37b)은 상기 데코프레임(34)에 밀착된다. In particular, the front side end 37a of the deco 3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ransparent plate 35, and the rear side end 37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deco frame 34.

여기서 상기 데코(36)의 후방 측 단(37b)은 상기 데코프레임(34)의 각 부재(36a)(36b)가 결합되는 홀(34a')/보스(34b') 부분을 커버하도록 길게 형성된다. Here, the rear side end 37b of the deco 36 is elongated to cover the portion of the hole 34a '/ boss 34b' to which the respective members 36a and 36b of the deco frame 34 are coupled. .

특히 상기 데코(36)의 후방 측 단(37b)에는 체결부재(39)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37c)이 형성되고, 상기 데코(36)의 홀(37c)을 통해 삽입된 체결부재(39)는 상기 데코(36)를 관통한 후 상기 데코프레임(34)의 보스(34b')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부재(39)의 삽입깊이가 깊어질수록 상기 데코프레임(34)을 상기 투명플레이트 (35) 측으로 가압시킨다. In particular, a hole 37c is formed in the rear side end 37b of the deco 36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39 can be inserted therein, and the fastening member 39 inserted through the hole 37c of the deco 36. ) Is inserted into the boss 34b 'of the deco frame 34 after passing through the deco 36, and the deeper the insertion depth of the fastening member 39, the deco frame 34 to the transparent plate Press to the (35) side.

여기서 상기 데코(36)의 홀(37c)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재(39)와 결합됨과 동시에 체결부재(39)의 끝단은 상기 데코프레임(34)을 상기 투명플레이트(35) 측으로 이동시킨다. Here, the thread 37 is formed in the hole 37c of the deco 36 to be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39 and the end of the fastening member 39 moves the deco frame 34 toward the transparent plate 35. .

더불어 상기 데코(36)의 전방 측 단(37a)은 상기 투명플레이트(35)를 통해 상기 데코프레임(34)이 보이지 않도록 길게 형성되고, 상기 데코(36)에 형성된 홀(36c')은 상기 표시창(38)과 일치된다. In addition, the front side end 37a of the decor 36 is formed long so that the decor frame 34 is not visible through the transparent plate 35, and the hole 36c 'formed in the decor 36 is the display window. (38).

그래서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30)은 체결부재(39)의 체결 시 데코프레임(34)이 투명플레이트(35)를 가압하는 것과, 데코(36)와 상기 데코플레이트(34)의 체결이 동시에 이루어져 조립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Thus, in the frame pane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co frame 34 presses the transparent plate 35 when the fastening member 39 is fastened, and the fastening of the deco 36 and the deco plate 34 is simultaneously perform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assembly is made efficientl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자 패널(30)의 조립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frame pane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먼저 조립자는 데코프레임(34)의 각 부재(34a)(34b)(34c)(34d)를 조립학, 상기 데코프레임(34)의 각 부재(34a)(34b)(34c)(34d)는 서로 끼움 조립된다. First, the assembler constructs each member 34a, 34b, 34c, 34d of the decoframe 34, and each member 34a, 34b, 34c, 34d of the decoframe 34 Fitting is assembled.

이후 상기 조립된 상기 데코프레임(34)의 전방으로 절곡된 외측단에 투명플레이트(35)를 안착시켜 상기 투명플레이트(35)와 상기 데코프레임(34)을 조립한다. Thereafter, the transparent plate 35 is seated on the outer end bent forward of the assembled deco frame 34 to assemble the transparent plate 35 and the deco frame 34.

이후 상기 조립자는 상기 조립된 투명플레이트(35) 및 상기 데코프레임(34)의 4 가장자리에 각각 데코(36)의 각 부재(36a)(36b)(36c)(36d)를 끼워 넣어, 상기 데코(36)의 각 부재(36a)(36b)(36c)(36d)가 상기 투명플레이트(35) 및 상기 데코프레임(34)을 동시에 고정시킨다. Thereafter, the assembler inserts each of the members 36a, 36b, 36c, and 36d of the decor 36 into the four edges of the assembled transparent plate 35 and the decor frame 34, respectively. Each member 36a, 36b, 36c, 36d of 36 fixes the transparent plate 35 and the decor frame 34 at the same time.

여기서 상기 데코(36)의 배면에 형성된 홀(37c)에는 체결부재(39)가 체결되고, 상기 홀(37c)을 통해 삽입된 체결부재(39)는 상기 데코(36)를 관통하여 상기 데코프레임(34)의 보스(34b')에 삽입된 후, 상기 데코프레임(34)을 상기 투명플레이트(35) 측으로 가압한다. Here, the fastening member 39 is fastened to the hole 37c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co 36, and the fastening member 39 inserted through the hole 37c penetrates through the deco 36 to the deco frame.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boss 34b 'of 34, the decor frame 34 is pressed toward the transparent plate 35 side.

특히 상기 투명플레이트(35)는 상기 데코(36)의 전방 측 단(37a)에 지지되는 바, 상기 체결부재(39)의 체결에 의해 상기 투명플레이트(35)는 상기 데코(36)에 고정된다. In particular, the transparent plate 35 is supported at the front side end 37a of the deco 36, and the transparent plate 35 is fixed to the deco 36 by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39. .

더불어 상기 투명플레이트(35)는 상기 데코프레임(34)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되는 바, 상기 데코프레임(34)에 접촉된 면적을 통해 고르게 가압되어 고정력이 균일하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체결부재(39)를 통해 가해진 힘이 집중되지 않아서 상기 투명플레이트(35)의 변형 또는 깨짐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transparent plate 35 is pushed and fixed by the decor frame 34, and is evenly pressed through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decor frame 34 to uniformly generate a fastening force, as well as the fastening member 39 The force applied through) is not concentrated to prevent deformation or breaking of the transparent plate 35.

그리고 상기 액자패널(30)은 상기 체결부재(39)의 체결을 통해 상기 데코프레임(34)/투명플레이트(35)/데코(36)의 고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frame panel 30 has the effect of fixing the deco frame 34 / transparent plate 35 / deco 36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fastening of the fastening member 39.

한편,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전면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되는 실내공기가 상기 오리피스(13)로 유동되도록 프론트그릴(21)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15)에는 상기 오리피스(13)로 유동되는 실내공기를 여과하도록 필터(60)가 설치된다.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 or 2, the front grill 2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case 20 so that indoor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5 is flowed to the orifice 13. The air inlet 15 is provided with a filter 60 to filter the indoor air flowing to the orifice 13.

상기 프론트그릴(21)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에서 상기 공기 흡입구(15)의 중앙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15)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와의 저항이 저감되도록 상기 공기 흡입구(15)의 가장자리 일부에만 형성된다. The front grill 21 extends from the front case 20 toward the central side of the air inlet 15, and the air inlet 15 is reduced so that resistance with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15 is reduced. ) Is formed only on a part of the edge.

또한 상기 프론트그릴(21)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에 형성되되, 상기 액자패널(30) 측인 전방으로 소정 거리 돌출되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front grill 21 is formed in the front case 20,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front of the frame panel 30 side.

상기 필터(60)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과 착탈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필터(60)는 하단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홈(25)에 삽입되고, 상단이 걸림홈(23)에 끼워져 고정된다. The filter 60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ront case 20. Here, the filter 60 has a lower end inserted into the groove 25 of the front case 20 and an upper end fitted into the locking groove 23 to be fixed.

여기서 상기 필터(60)는 상기 액자패널(3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상기 프론트그릴(21)에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소정 거리 돌출되어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60) 가장자리가 상기 공기 흡입구(15)의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중앙부만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Here, the filter 60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to correspond to the front grill 21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rame panel 30, in this embodiment the edge of the filter 60 is the air inlet 15 ) Is attached to the edge, and only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to be convex forward.

그래서 상기 필터(60)는 중앙부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60) 배면에 위치된 열교환기(50)와의 접촉이 억제되고,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바 평면 형상의 필터에 비해 면적이 증가된다. Thus, since the filter 60 is formed to be convex forward, the contact with the heat exchanger 50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60 is suppressed, and the area of the filter 60 is convex forward. Is increas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의 링크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가 도시된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의 작동 상태가 도시된 작동도이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nk mechanism of a frame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link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operation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link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30)은 사용자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링크기구(200)가 작동되면서 상기 액자패널(30)은 전방으로 이격시킨다. 6 to 8, the frame pane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rame panel 30 while the link mechanism 200 is operated by the user's one-touch operation.

상기 링크기구(200)는 상기 액자패널(30)과 상기 프론트 케이스(20) 각각에 힌지 연결되는 회전 링크(210) 및 지지 링크(220, long link)로 구성된다. The link mechanism 200 includes a rotation link 210 and a support link 220 which are hinged to each of the frame panel 30 and the front case 20.

상기 링크기구(200)는 상기 케이스(10)와 액자 패널(30) 중 적어도 하나에 핀(4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link mechanism 200 is rotat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case 10 and the frame panel 30 by a pin 400.

상기 핀(400)은 상기 케이스(10)와 액자 패널(30)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림되어 직접 고정된다.The pin 400 is directly caught by being caught in at least one of the case 10 and the frame panel 30.

상기 케이스(10)와 액자 패널(3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링크기구(200)가 상기 핀(4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기구 연결부인 브래킷(212)(214)(222)(224)과, 상기 핀(400)이 고정되는 핀 고정부(460)가 형성된다.At least one of the case 10 and the frame panel 30 includes brackets 212, 214, 222, and 224, which are link mechanism connecting parts to which the link mechanism 200 is rotatably connected by the pin 400. ) And a pin fixing part 460 to which the pin 400 is fixed.

여기서, 상기 핀(400)은 상기 회전 링크(210)의 일단과 액자패널(30)을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고, 상기 회전 링크(210)의 타단과 케이스(10) 특히, 프론트 케이스(20)를 연결하기 위해 설치되며, 상기 지지링크(220)의 일단과 액자패널(30)을 연결하기 위해 설치된다.Here, the pin 400 is installed to connect one end of the rotary link 210 and the frame panel 30, the other end of the rotary link 210 and the case 10, in particular, the front case 20 It is installed to connect, and is installed to connect one end of the support link 220 and the frame panel 30.

상기 회전링크(210)는 상기 지지링크(220)에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링크(210) 및 상기 지지링크(220)는 모두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 연결된다. The rotary link 210 is installed at the upper side in the support link 220, the rotary link 210 and the support link 220 are both hinged to be rotated in the up / down direction.

그래서 상기 액자패널(30)의 액자베이스(32) 배면에는 후방 측으로 돌출된 브래킷(212)(222)이 상/하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에도 상기 액자패널(30) 측으로 돌출된 브래킷(214)(224)이 각각 배치되어 형성된다. Thus, brackets 212 and 222 protruding to the rear side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base 32 of the frame panel 30, respectively, and are formed in the up / down direction, and the frame case 30 is also formed on the front case 20. Brackets 214 and 224 protruding toward the side are disposed and formed,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회전링크(210) 및 상기 지지링크(220)의 선단(210a)(220a)은 상기 액자베이스(32)의 브래킷(212)(222)에 힌지 연결되고, 후단(210b)(220b)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브래킷(214)(224)에 힌지 연결된다. Here, the front end 210a, 220a of the rotary link 210 and the support link 220 is hinged to the brackets 212, 222 of the frame base 32, the rear end 210b, 220b is It is hinged to the brackets 214 and 224 of the front case 20.

특히, 상기 지지링크(220)는 상기 회전링크(210)에 비해 그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In particular, the support link 220 is longer than that of the rotary link 210 is formed.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링크(210) 및 상기 지지링크(220)의 일단(210a)(220a)은 상기 액자패널(30)이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타단(210b)(220b)에 비해 전방에 위치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3, one end (210a, 220a) of the rotary link 210 and the support link 220, even if the frame panel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case 20. It is located in front of the other end (210b, 220b).

한편, 상기 액자패널(30) 및 상기 프론트 케이스(20) 사이에는 전방으로 이격되는 상기 액자패널(30)을 고정하기 위해 고정기구로서 후크(202) 및 끼움홈(204)이 형성된다. Meanwhile, a hook 202 and a fitting groove 204 are formed as a fixing mechanism between the frame panel 30 and the front case 20 to fix the frame panel 30 spaced forward.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후크(202)는 상기 액자베이스(32)의 배면에 형성되되, 상측 및 양 측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끼움홈(204)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후크(20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ok 20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rame base 32, respectively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both sides, the fitting groove 204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front case 20, It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hook 202.

여기서 링크기구(200)에 의해 연결된 상기 액자패널(30)의 무게중심은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전방에 위치되는 바, 상기 고정기구에 의해 상기 액자패널(30)이 고정되지 않으면 상기 회전링크(210) 및 상기 지지링크(220)의 힌지 구조에 의해 전방으로 이격된다. Her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rame panel 30 connected by the link mechanism 200 is located in front of the front case 20. If the frame panel 30 is not fixed by the fixing mechanism, the rotation link 210 and spaced forward by the hinge structure of the support link 220.

또한 상기 지지링크(220)의 타단(220b)이 연결된 브래킷(224)은 상기 타단(220b)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레일(225)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bracket 224 to which the other end 220b of the support link 220 is connected is formed with a rail 225 such that the other end 220b slides in an up / down direction.

여기서 상기 레일(225)에는 상기 지지링크(220)의 타단에 형성된 힌지(223)가 삽입되어 이동되고, 상기 브래킷(224)의 하단은 상기 지지링크(220)를 지지하기 위해 막혀있다. Here, the hinge 223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link 220 is inserted into the rail 225, and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224 is blocked to support the support link 220.

그래서 상기 지지링크(220)는 상기 브래킷(224)의 하단에 지지되어 회전되고, 사용자 또는 서비스업자의 필요 시 상기 지지링크(220)의 타단(220b)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브래킷(224)과 분리될 수 있다. Thus, the support link 220 is rotated by being supported at the bottom of the bracket 224, the other end 220b of the support link 220 is moved to the upper side when the user or service provider needs the bracket 224 and Can be separated.

이하, 상기 링크기구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link mechanis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조립자 또는 사용자가 액자패널(30)을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에 밀착시킬 경우, 상기 액자패널(30)은 상기 회전링크(210) 및 상기 지지링크(220)에 구속되어 회전 운동되는 바, 상기 회전링크(210)에 연결된 부분과 상기 지지링크(220)에 연결된 부분이 각각 다른 반경으로 회전된다. First, when the assembler or the us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panel 30 to the front case 20, the frame panel 30 is constrained to the rotary link 210 and the support link 220 to rotate the bar The parts connected to the rotary link 210 and the parts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220 are rotated to different radii.

또한 상기 지지링크(220)는 상기 회전링크(210)에 비해 더 길게 형성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30)이 전방으로 이격될 때, 상기 액자패널(30)은 상기 회전링크(210)의 일단(210a)이 소정각도 회전된 다음 상기 지지링크(220)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In addition, the support link 220 is formed longer than the rotary link 210, when the frame pane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forward, the frame panel 30 is the rotary link 210 One end (210a) of the)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n the movement forward is limited by the support link 220.

즉,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30)은 프론트 케이스(20)에 고정되어 있을 때 링크기구(200)가 설치되어 있다가, 사용자 또는 조립자가 상기 액자패널(30)을 잡아당기면 후크(202) 및 끼움홈(204)의 걸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액자패널(30)의 무게중심이 이동하면서 상기 액자패널(30)이 상기 링크기구(200)에 구속되어 회동된다. That is, when the frame pane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front case 20, the link mechanism 200 is installed, and when the user or assembling member pulls the frame panel 30, the hook 202 And while the locking of the fitting groove 204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rame panel 30 is moved, the frame panel 30 is constrained by the link mechanism 200 is rotated.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액자패널(30)의 무게중심에 모멘트가 작용 하여 상기 액자패널(30)이 회동되기 시작하면, 상기 회전링크(210)의 일단(210a)은 상기 브래킷(214)의 상측에서 상기 브래킷(214)의 하측으로 회전운동되고, 상기 지지링크(220)의 일단(220a)은 상기 브래킷(224)의 상측에서 전방으로 소정각도 회전된다. In more detail, when a moment acts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rame panel 30 and the frame panel 30 starts to rotate, one end 210a of the rotary link 210 is connected to the bracket 214. The upper side is rotated to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214, one end 220a of the support link 220 is rotated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224 to the front.

여기서 상기 회전링크(210)의 길이는 상기 지지링크(220)보다 더 짧게 형성된 바, 상기 지지링크(220)의 회전각도 보다 더 큰 회전을 하게되고, 상기 회전링크(210)의 일단(210a)이 회전링크(210)를 지지하는 브래킷(214)의 위치보다 낮아지면 상기 액자패널(30)의 이동이 정지된다.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rotary link 210 is shorter than that of the support link 220, the rotation of the support link 220 is larger than the rotation angle, one end 210a of the rotary link 210 When the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bracket 214 for supporting the rotary link 210, the movement of the frame panel 30 is stopped.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액자패널(30)을 열어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필터(60) 또는 내부를 관찰할 때 상기 액자패널(30)을 받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Thus, when the user opens the frame panel 30 and observes the filter 60 or the inside of the front case 20, the user does not have to support the frame panel 3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자패널(30)은 필터(60)의 청소 시 사용자가 상기 액자패널(30)의 하단을 지지하지 않아도 상기 액자패널(30)의 하단이 넓게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터(6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rame panel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frame panel 30 when the user cleans the filter 60. The 60 can be easily replaced.

또한 서비스업자는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서비스커버(24)를 분리할 때에도 서비스업자가 액자패널(30)을 잡지 않아도 된다.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does not need to hold the frame panel 30 even when the service cover 24 of the front case 20 is removed.

또한 사용자가 상기 액자패널(30)의 사진 또는 그림을 교체할때에도 상기 액자패널(30)이 전방 하측으로 돌출되는 것과 더불어 사용자를 향해 뉘어지게 배치되는 바, 사용자는 그림 또는 사진을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replaces the picture or picture of the frame panel 30, the picture frame panel 30 is protruded downward and arranged to face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picture or picture. Do.

한편, 상기 회전링크(210) 및 상기 지지링크(220)의 회전각도는 상기 회전링 크(210)와 상기 지지링크(220)의 상대적이 길이에 따라 결정되는 바, 제품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이격거리 또한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ry link 210 and the support link 22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lative length of the rotary link 210 and the support link 220,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product In addition, the separation distance protruding forward can also be set in various ways.

특히 상기 지지링크(220)의 일단(220a)이 지지링크(220)를 지지하는 브래킷(224)보다 낮아지지 않으면 상기 액자패널(30)은 상기 지지링크(22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In particular, if one end 220a of the support link 220 is not lower than the bracket 224 supporting the support link 220, the frame panel 30 is firmly supported by the support link 220.

한편, 사용자 또는 서비스업자가 상기 액자패널(30)의 전부 개방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 또는 서비스업자는 상기 지지링크(220)의 타단(220b)을 분리하여 상기 프론트 케이스(20)의 전면을 오픈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or service provider needs to open all of the frame panel 30, the user or service provider separates the other end 220b of the support link 220 to open the front of the front case 20. Can be.

즉, 상기 지지링크(220)의 타단(220b)에 형성된 힌지(223)는 상기 브래킷(224)의 레일(225)에 삽입되고, 상기 브래킷(224)의 상측이 개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타단(220b)을 잡아서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회전링크(210)의 회전각도가 조정되면서 용이하게 상기 브래킷(224)에서 분리된다. That is, the hinge 223 formed at the other end 220b of the support link 220 is inserted into the rail 225 of the bracket 224, and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224 is formed so that the user When the other end 220b is grabbed and moved upward,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ry link 210 is adjusted while being easily separated from the bracket 224.

한편,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측에 배치된 회전링크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경우, 액자패널의 상단이 하단에 비해 더 넓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when the length of the rotary link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formed longer, the upper end of the frame panel can be spaced at a wider interval than the lower end, may be installed in this way.

이하, 상기 액자패널(30)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installation process of the frame panel 30 will be described.

먼저, 조립자는 조립된 프론트 케이스(20)의 브래킷(214)(224)에 회전링크(210)와 지지링크(220)의 타단(210b)(220b)을 조립하고, 상기 액자패널(20)의 배면에 형성된 브래킷(212)(222)에 상기 회전링크(210)와 상기 지지링크(220)의 일단 (210a)(220a)을 조립한다. First, the assembler assembles the rotary link 210 and the other ends 210b and 220b of the support link 220 to the brackets 214 and 224 of the assembled front case 20, and Assembling one end (210a, 220a) of the rotary link 210 and the support link 220 to the bracket (212, 222) formed on the back.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기구의 연결 전 확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핀으로 링크기구를 연결하였을 때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핀을 고정시켰을 때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2은 도 9에 도시된 핀을 고정시켰을 때의 확대단면도이다.9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nk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connection, 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when the link mechanism is connected with the pin shown in FIG. 9, and FIG. I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when. 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pin shown in FIG. 9 is fixed.

상기 핀(400)은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212)와 상기 링크기구(200)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기구(200)를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2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핀부(402)와, 상기 핀 고정부(460)에 고정되는 돌출부(410)(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in 400 is a pin portion 402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link mechanism 200 to the link mechanism connection portion 212 through the link mechanism connection portion 212 and the link mechanism 200, and It includes a protrusion 410, 412 is fixed to the pin fixing portion 460.

상기 핀(400)은 상기 핀부(402)의 단부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212)에 좌우 방향으로 걸리는 걸림턱(40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in 400 is formed to be stepped at the end of the pin portion 402 is configured to further comprise a locking jaw 404 is caugh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212.

상기 돌출부(410)(412)는 상기 걸림턱(404)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protrusions 410 and 412 are formed to protrude radial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jaw 404.

상기 돌출부(410)(412)는 상기 걸림턱(404)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되고, 복수개 중 어느 하나(410)가 상기 핀 고정부(460)에 고정된다.The protrusions 410 and 412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step 404,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10 is fixed to the pin fixing part 460.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212)는 상기 링크기구(200)의 좌우 폭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핀부(402)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좌우 대향되게 형성된 좌,우 브래킷(212a)(212b)이다.The link mechanism connection parts 212 are left and right brackets 212a and 212b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great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link mechanism 200 and the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pin part 402 penetrates are opposed to each other.

상기 핀 고정부(460)는 상기 돌출부(410)의 좌우 폭보다 큰 간격으로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21)와 이격된다.The pin fixing portion 460 is spaced apart from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21 at intervals great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rotrusion 410.

상기 핀 고정부(460)는 상기 핀(400)이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212)의 옆에서 좌우 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핀(400)이 좌우 방향으로 걸리지 않도록 핀 피난홈(462)이 형성된다.The pin fixing portion 460 has a pin evacuation groove 462 is formed so that the pin 400 is not caugh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hen the pin 400 is inser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next to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212. .

상기 핀 고정부(460)와 상기 돌출부(410)(412)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464)가 형성되고, 상기 핀 고정부(460)와 상기 돌출부(410)(412)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464)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홀(414)(416)이 형성되고,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핀 고정부(460)의 일면에 상기 돌기(46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10)(412)에 상기 걸림홀(414)(416)이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A protrusion 464 is formed on one of the pin fixing part 460 and the protrusions 410 and 412,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other of the pin fixing part 460 and the protrusions 410 and 412. The locking holes 414 and 416 to which the 464 is inserted are formed, and hereinafter, the protrusion 464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in fixing part 46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protrusion 410 is provided. The engaging holes 414 and 416 are formed in the 412 to be ope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하, 상기 핀(400)에 의한 링크기구(200)의 연결과 상기 핀(400)의 고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ion of the link mechanism 200 by the pin 400 and the fixing of the pin 4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핀(400)을 상기 좌,우 브래킷(212a)(212b)의 옆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상기 링크기구(200)의 일부를 상기 좌,우 브래킷(212a)(212b)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핀(400)의 핀부(402)를 상기 우측 브래킷(212b)과 링크기구(200)와 좌측 브래킷(212a)에 차례로 관통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 9, the pin 400 is positioned next to the left and right brackets 212a and 212b, and a part of the link mechanism 200 is positioned at the left and right brackets 212a. 212b), and the pin part 402 of the pin 400 passes through the right bracket 212b, the link mechanism 200, and the left bracket 212a in order.

상기 핀(400)은 상기 핀부(402)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브래킷(212b)와 링크기구(200)와 좌측 브래킷(212a)에 깊숙이 관통되면, 상기 걸림턱(404)이 상기 우측 브래킷(212b) 측면부에 걸리고, 상기 핀(400)은 관통 방향(도 15의 우측에서 좌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링크기구(200)는 상기 핀부 (40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게 된다.10, when the pin part 402 penetrates deeply into the right bracket 212b, the link mechanism 200, and the left bracket 212a, as shown in FIG. The right side bracket (212b) is caught in the side portion, the pin 400 is limited to move in the penetrating direction (right to left in Figure 15), the link mechanism 200 is rotatable by the pin portion 402 Will be connected.

이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410)(412) 중 어느 하나(410)가 상기 핀 고정부(460) 옆에 위치되게 상기 핀(400)을 핀부(402)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돌출부(410)(412) 중 어느 하나(410)는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212) 특히, 우측 브래킷(212b)과 상기 핀 고정부(460)의 사이로 이동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11, the pin 400 is rotated about the pin part 402 such that any one of the protrusions 410 and 412 is positioned next to the pin fixing part 460. In other words, any one of the protrusions 410 and 412 410 is moved between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212, in particular, between the right bracket 212b and the pin fixing portion 460.

상기 핀(400)의 회전시, 상기 돌출부(410)가 상기 돌기(464)가 접촉되어 돌기(464)를 타고 넘으면서 상기 돌출부(410)와 상기 핀 고정부(460)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적으로 휘고, 상기 돌기(464)가 상기 돌출부(410)의 걸림홀(41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리면 탄성적으로 복원된다.When the pin 400 rotates,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 410 and the pin fixing part 460 elastically moves as the protrusion 410 contacts the protrusion 464 and passes over the protrusion 464. The protrusion 464 is elastically restored when the protrusion 464 is inserted into and caught inside the locking hole 414 of the protrusion 410.

즉, 상기 핀(400)은 상기 핀부(402)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돌기(464)가 돌출부(410)에 걸림되고, 상기 액자패널(30)이나 케이스(10)에 별도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게 직접 고정된다.That is, the pin 400 is the projection 464 is caught by the protrusion 410 by the operation to rotate around the pin portion 402, a separate screw to the frame panel 30 or the case 10 It is simply fixed directly without using a fastening member.

반면에, 상기 링크기구(200)의 분리는 상기 링크기구(200)의 연결과 역순으로 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separation of the link mechanism 200 i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to the connection of the link mechanism 2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ing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variou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tected Combin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링크기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핀이 케이스와 액자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직접 걸림 고정되어, 링크기구 및 액자 패널을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고, 핀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불필요하므로,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inned to rotatably connect the link mechanism directly to at least one of the case and the frame panel, so that the link mechanism and the frame panel can be quickly connected, the pin Sinc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member for fixing the, there is an advantage of low cost.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핀의 핀부를 링크기구 연결부의 옆에서 링크기구 연결구와 링크기구로 관통시킨 후, 핀의 돌출부를 핀 고정부 옆으로 회전시키는 간단한 동작으로 핀을 신속하게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passes the pin part of the pin through the link mechanism connector and the link mechanism next to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and then quickly turns the pin by a simple operation of rotating the protrusion of the pin to the pin fixing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fixed.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핀부의 단부에 링크기구 연결부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핀부의 과삽입이나 미삽입을 방지할 수 있고, 핀의 고정을 위해 돌출부를 회전시키는 위치가 걸림턱에 의해 결정되므로, 핀의 고정 작업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end of the pin portion engaging jaw engaging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can prevent over-insertion or non-insertion of the pin portion, the position to rotate the projection for fixing the pin is caught Since it is determined by the jaw, the fixing operation of the pin has an easy advantag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돌출부가 걸림턱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 이격되게 형성되어, 복수개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의 파손이나 손상시 다른 하나가 이를 대신할 수 있고, 복수개의 돌출부 중 어느 하나가 핀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을 때 다른 하나가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어 핀의 분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spaced apart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jaw, so that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is damaged or damaged, the other one can replace this, any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When one is fixed to the pin fixing part, the other can act as a handle, there is an advantage of easy removal of the pin.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핀 고정부가 돌출부의 좌우 폭보다 큰 간격으로 링크기구 연결부와 이격되어 돌출부가 핀 고정부의 옆으로 옮겨지기 쉬우므로, 핀의 고정 작업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in fix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at intervals larg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rotrusion, the protrusion is easily moved to the side of the pin fixing portion, so that the fixing operation of the pin is easy. .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핀 고정부에 핀이 링크기구 연결부의 옆에서 좌우 방향으로 삽입될 때 핀이 좌우 방향으로 걸리지 않도록 핀 피난홈이 형성되어, 핀 고정부를 링크기구 연결부에 최대한 근접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돌출부가 핀 고정부와 링크기구 연결부의 사이에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돌출부의 흔들림이 최소화되어 핀의 임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in evacuation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pin is not caugh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en the pin is inser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t the side of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the pin fixing portion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Since the protrusion can be formed as close as possible, the protrusion can be firmly supported between the pin fixing portion and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and the shake of the protrusion can be minimized to prevent any detachment of the pin.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핀 고정부와 돌출부 중 어느 하나에 돌기가 형성되고, 핀 고정부와 상기 돌출부 중 다른 하나에 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되어,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핀 고정부재 없이 핀을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trusion formed on any one of the pin fix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and the engaging hole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other of the pin fix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the fastening of the screw, etc.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in can be fixed without the member or the pin fixing member.

Claims (10)

실내 공기가 흡입된 후 공조되어 토출되도록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A case having an air intake port and an air discharge port formed therein so as to be air-conditioned and discharged after the indoor air is sucked;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배치되고 액자가 부착되는 액자 패널과;A picture frame panel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case and to which the picture frame is attached; 상기 액자 패널을 상기 케이스에 연결하는 링크기구와;A link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frame panel to the case; 상기 케이스와 액자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링크기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케이스와 액자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걸림되어 고정되는 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in rotatably connecting the link mechanism to at least one of the case and the frame panel, the pin being fixed to the at least one of the case and the frame pane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와 액자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링크기구가 상기 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기구 연결부와; At least one of the case and the frame panel includes a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to which the link mechanism is rotatably connected by the pin; 상기 핀이 고정되는 핀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fixing portion is fixed to the pi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핀은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와 상기 링크기구를 관통하여 상기 링크기구를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핀부와, 상기 핀 고정부에 고정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pin is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pin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link mechanism to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through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and the link mechanism, and the pin fixing portion fixed to the air conditioner Indoor uni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핀은 상기 핀부의 단부에 단턱지게 형성되어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에 좌우 방향으로 걸리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pin is formed stepped on the end of the fin unit,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ocking jaw caugh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o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걸림턱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protrusion unit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protrude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cking jaw.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돌출부는 상기 걸림턱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protrusion unit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paced apart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cking step.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는 상기 링크기구의 좌우 폭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핀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좌우 대향되게 형성된 좌,우 브래킷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link unit connection unit i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brackets are spaced apart at intervals greater than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link mechanism and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in portion passe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핀 고정부는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와 상기 돌출부의 좌우 폭보다 큰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pin fixing unit i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핀 고정부는 상기 핀이 상기 링크기구 연결부의 옆에서 좌우 방향으로 삽입될 때 상기 핀이 좌우 방향으로 걸리지 않도록 핀 피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The pin fixing unit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evacuation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pin is not caught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hen the pin is inser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next to the link mechanism connecting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핀 고정부와 상기 돌출부 중 어느 하나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핀 고정부와 상기 돌출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herein one of the pin fix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nd the other of the pin fixing portion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with a catching hol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ed.
KR1020060022777A 2006-02-07 2006-03-1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4505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777A KR101450539B1 (en) 2006-03-10 2006-03-1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U2006337756A AU2006337756B2 (en) 2006-02-07 2006-11-3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CT/KR2006/005136 WO2007091766A2 (en) 2006-02-07 2006-11-3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2/086,483 US8408021B2 (en) 2006-02-07 2006-11-3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S06256331.7T ES2565030T3 (en) 2006-02-07 2006-12-13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06256331.7A EP1816406B1 (en) 2006-02-07 2006-12-13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2777A KR101450539B1 (en) 2006-03-10 2006-03-1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2524A true KR20070092524A (en) 2007-09-13
KR101450539B1 KR101450539B1 (en) 2014-10-14

Family

ID=38689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2777A KR101450539B1 (en) 2006-02-07 2006-03-10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53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1762B2 (en) 2010-12-23 2015-01-1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1494A (en) * 1997-04-03 1998-10-23 Funai Electric Co Ltd Front panel of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front panel and method for printing on front panel
JP2000111082A (en) * 1998-09-30 2000-04-18 Fujitsu General Ltd Air conditioner
KR100437384B1 (en) * 2001-08-11 2004-06-2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Indoor unit for airconditio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1762B2 (en) 2010-12-23 2015-01-13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US9285130B2 (en) 2010-12-23 2016-03-1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539B1 (en)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6406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33198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59806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59805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315421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092524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59802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203569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090478B1 (en) Indoor unit of picture frame type air-conditioner
KR20080026811A (en) Air conditioner
KR101186324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065577A (en) Indoor unit of picture frame type air-conditioner
EP1816404B1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090480B1 (en) Indoor unit of picture frame type air-conditioner
KR101090479B1 (en) Indoor unit of picture frame type air-conditioner
KR20070080387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080385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0898118B1 (en) Door and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having thereof
KR20080027680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095634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080384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080386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EP1811235A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095632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070092523A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