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0928A -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의 옥시리핀,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의 옥시리핀,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0928A
KR20070090928A KR1020077013738A KR20077013738A KR20070090928A KR 20070090928 A KR20070090928 A KR 20070090928A KR 1020077013738 A KR1020077013738 A KR 1020077013738A KR 20077013738 A KR20077013738 A KR 20077013738A KR 20070090928 A KR20070090928 A KR 20070090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pan
dihydroxy
hydroxy
dta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다 메리 아터번
윌리엄 바크레이
빈디 단지
제임스 프래트
정 리
메리 반 엘스위크
Original Assignee
마텍 바이오싸이언스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텍 바이오싸이언스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마텍 바이오싸이언스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9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36Fatty acid esters
    • C12P7/6445Glycerides
    • C12P7/6472Glycerides contain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residues, i.e.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in their back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9/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59/40Unsaturated compounds
    • C07C59/42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ydroxy or O-met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3/00Compounds containing thre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3/02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 C07D303/38Compounds containing oxirane ring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09Fatty acids
    • C12P7/6427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i.e.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in their backbo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09Fatty acids
    • C12P7/6427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i.e.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in their backbone
    • C12P7/6432Eicosapentaenoic acids [EP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09Fatty acids
    • C12P7/6427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i.e.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in their backbone
    • C12P7/6434Docosahexenoic acids [DH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Rheu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poxy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원에는 C22 다가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되는 신규한 옥시리핀 (이는 본원에서 도코사노이드로서 지칭됨), 및 이러한 옥시리핀을 제조 및 사용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신규한 옥시리핀을 생성하기 위한 기질로서의 도코사펜타에노산 (C22:5n-6) (DPAn-6), 도코사펜타에노산 (C22:5n-3) (DPAn-3), 및 도코사테트라에노산 (DTAn-6: C22:4n-6)의 용도, 및 이로써 생성된 옥시리핀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본원에는 치료 및 영양 또는 미용 적용에 있어서, 및 특히 소염 또는 항신경변성 화합물로서의, DPAn-6, DPAn-3, DTAn-6 및/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옥시리핀, 및/또는 C22 지방산 구조물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도코사노이드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증강되고 유효한 양의 LCPUFA-유래된 옥시리핀, 및 특히 도코사노이드를 함유하는 장쇄 다가불포화 산 (LCPUFA)-풍부 오일 및 조성물의 신규한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C22 다가불포화 지방산, 옥시리핀, 도코사노이드,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6),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3), 도코사테트라에노산 (DTAn-6), 소염제, 신경변성 치료제

Description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의 옥시리핀,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OXYLIPINS FROM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신규한 옥시리핀 (oxylipin)을 생성하기 위한 기질로서의 도코사펜타에노산 (C22:5n-6) (DPAn-6), 도코사펜타에노산 (C22:5n-3) (DPAn-3) 및 도코사테트라에노산 (DTAn-6: C22:4n-6)의 용도, 및 이로써 생성된 옥시리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추가로, 특히 소염 화합물로서의 DPAn-6, DPAn-3, DTAn-6 및/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옥시리핀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증강되고 유효한 양의 LCPUFA-유래된 옥시리핀, 및 특히 도코사노이드 (docosanoid)를 함유하는 장쇄 다가불포화 산 (LCPUFA)-풍부 오일 및 조성물의 신규한 생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 연구가들은 거대 해조류 (해초)에서 몇몇 지방산의 히드록시 유도체를 확인 (동정)하고, 이들 화합물이 유기체 내에서 세포 신호 전달과 상처 치유에 사용될 수도 있다고 보고하였다 [참고: Gerwick & Bernart 1993; Gerwick et al 1993; Gerwick 1994]. 이들은 상기 화합물이 리폭시게나제 경로를 통하여 인체 내에서 생성된 것과 유사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들 연구가들은 또한, 적색, 갈색 및 녹색 해초에서 C18 지방산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 및 아라키돈산 (C20:4n-6) (ARA)으로부터 에이코사노이드 및 관련 옥시리핀을 생성하기 위해 이들 해초의 세포 현탁 배양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들 배양 시스템에서의 해초 바이오매스 (biomass)의 생성은 극히 불량한 것으로 입증되었고 (예를 들어, 15일 후의 해초 바이오매스는 약 0.6 내지 1.0 g/L이다) [참고: Rorrer et al. 1996], 심지어 주요 지방산을 상기 배양물에 직접 부가한 경우에도 옥시리핀의 생산량은 대조군에 비해 단지 최소한도로만 증가되었다 [참고: Rorrer et al. 1997]. 부가적으로, 몇몇 경우에는 부가된 자유 지방산이 배양물에 독성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참고: Rorrer et al. 1997]. 따라서, 이들 시스템은 상기 지방산의 산소화 형태를 생성하기 위한 이론적으로만 흥미로울 뿐이며, 이들 해초에서 C18 및 C20 옥시리핀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었다 [참고: 예를 들어, Bouarab et al. 2004].
장쇄 오메가-6 (n-6 또는 ω-6 또는 N6) 지방산인 ARA로부터의 옥시리핀이 널리 연구되어 왔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인간에게서 프로-염증성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장쇄 오메가-3 (n-3 또는 ω-3 또는 N3) 지방산으로부터의 옥시리핀은 일반적으로, 소염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2000년대 초에는 세한 (Serhan)과 기타 연구가들이 2가지 장쇄 오메가-3 다가불포화 지방산 (오메가-3 LCPUFA) [즉, 에이코사펜타에노산 (C20:5, n-3) (EPA) 및 도코사헥사에노산 (C22:6, n-3) (DHA)]의 히드록시화 형태가 인체 내에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참고: Serhan et al. 2004a,b; Bannenberg et al. 2005a,b]. 이들은 오메가-3 (n-3 또는 ω-3) LCPUFA, EPA 및 DHA를 시클로옥시게나제, 아세틸화 시클로옥시게나제-2 또는 리폭 시게나제 효소에 의해 처리함으로서, 이들 지방산의 신규한 모노-, 디- 및 트리-히드록시 유도체를 생성시키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이로써 생성된, "레솔빈 (resolvin)"으로 명명된 화합물 (이들이 급성 염증의 해소기에 관여하였기 때문이다) 또는 도코사트리엔으로 명명된 화합물 (이들이 도코사헥사에노산으로부터 만들어졌고 공액 이중 결합을 함유하기 때문이다)은 강력한 소염 특성 [참고: Arita et al. 2005a,b,c; Flower & Perretti 2005; Hong et al. 2003; Marcjeselli et al. 2003; Ariel et al. 2005], 항증식 특성, 및 신경보호 특성 [참고: Bazan 2005a,b; Bazan et al. 2005; Belayev et al. 2005; Butovich et al. 2005; Chen & Bazan 2005; Lukiw et al. 2005; Mukherjee et al 2004]을 지니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들 화합물은 또한, 기타 유형의 에이코사노이드와 비교해서 인체 내에서의 반감기가 보다 긴것으로 밝혀졌다.
과거 수 년간, 각종 특허와 특허공개공보에는 ARA, DHA 및 EPA의 히드록시 유도체의 유사체, 이들을 형성시키는 경로, 유기 합성 수단을 통하여 실험실에서 또는 시클로옥시게나제 또는 리폭시게나제 효소를 이용한 생물발생을 통하여 그들을 합성하는 방법, 및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화합물로서의 이들 히드록시 유도체의 용도가 보고되었다. 상기 특허 및 공개공보가 다음에 간략하게 요약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4,560,514호에는 아라키돈산 (ARA)으로부터 유래된 프로-염증성 트리-히드록시 리폭신 (LX-A)과 소염성 트리-히드록시 리폭신 (LX-B) 둘 다의 생성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염증을 연구하고 예방하는데 있어서의 이들 화합물의 용도 (제약 화합물로서의 용도)가 또한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166716호에는 천식과 염증성 기도 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서의, 리폭신 (ARA로부터 유래됨) 및 아스피린-촉발된 리폭신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각종 소염성 리폭신 유사체의 화학적 구조가 또한 교시되었다.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236423호에는 유기 화학에 근거하여 트리히드록시 다가불포화 에이코사노이드 및 그들의 구조적 유사체를 제조하기 위한 합성 방법 (이에는 이들 화합물의 유도체의 제조 방법이 포함된다)이 기재되어 있다. 염증 질환 또는 바람직하지 못한 세포 증식을 치료하는데 있어서의 이들 화합물 및 그들의 유도체에 대한 용도가 또한 논의되어 있다.
PCT 공개공보 WO 2004/078143는 디- 및 트리-히드록시 EPA 분해성 유사체와 상호 작용하는 수용체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116408Al호에는 인체 중의 EPA 또는 DHA가 시클로옥시게나제-II (COX2) 및 진통제 (예: 아스피린)과 상호 작용하면, 염증과 관련하여 유익한 효과를 나타내는 디- 및 트리-히드록시 EPA 또는 DHA 화합물이 형성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이에는 또한, 이들 화합물의 사용 방법과 제조 방법이 교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0075398A1호에는 도코사트리엔 10,17S-도코사트리엔 [뉴로프로텍틴 (neuroprotectin) Dl]이 인체 내에서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진다고 기재되었다.
PCT 공개공보 WO 2005/089744 A2에는 EPA 및 DHA의 디- 및 트리-히드록시 레 솔빈 유도체와 그의 안정한 유사체가 기도 질환과 천식을 치료하는데 유익하다고 교시되어 있다.
상기 참고 문헌들이 ARA로부터 유래된 리폭신과, DHA 및 EPA로부터 유래된 도코사트리엔 및 레솔빈 뿐만 아니라 이러한 화합물의 각종 적용 분야에 관해 기재하고 있긴 하지만, 소비자에게 LCPUFA 오일과 아스피린의 조합물을 제공하거나 또는 이들 유도체 또는 그들의 유사체를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것 이외에, 이들 LCPUFA 옥시리핀 (및 특히 도코사노이드)의 기타 이점과 소염 이점을 소비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또 다른 방식에 대한 필요성이 당해 분야에 대두되고 있다.
더우기, 상기 참고 문헌에서는 미생물 배양물 또는 식물에서 이들 특이적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언급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식용 오일에서 상기 유익한 히드록시 지방산 유도체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해서도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또한, 상기 참고 문헌에는 기타 LCPUFA로부터의 어떠한 히드록시 유도체도 기재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ARA, DHA 및 EPA 이외의 모든 LCPUFA의 히드록시 유도체에 대해 유리한 역할을 할 수 있었다고 제시하고 있지 않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일반적으로,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6)의 단리된 도코사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도코사노이드에는 다음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가 포함될 수 있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DPAn-6의 모노히드록시 유도체, DPAn-6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및 DPAn-6의 트리-히드록시 유도체. 이러한 도코사노이드에는 보다 특히, 다음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가 포함될 수 있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7-히드록시 DPAn-6; 8-히드록시 DPAn-6; 10-히드록시 DPAn-6; 11-히드록시 DPAn-6; 13-히드록시 DPAn-6; 14-히드록시 DPAn-6; 17-히드록시 DPAn-6; 7,17-디히드록시 DPAn-6; 10,17-디히드록시 DPAn-6; 13,17-디히드록시 DPAn-6; 7,14-디히드록시 DPAn-6; 8,14-디히드록시 DPAn-6; 16,17-디히드록시 DPAn-6; 4,5-디히드록시 DPAn-6; 7,16,17-트리히드록시 DPAn-6; 및 4,5,17-트리히드록시 DPAn-6;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3)의 단리된 도코사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도코사노이드에는 다음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가 포함될 수 있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DPAn-3의 모노히드록시 유도체, DPAn-3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및 DPAn-3의 트리-히드록시 유도체. 이러한 도코사노이드에는 보다 특히, 다음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가 포함될 수 있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7-히드록시 DPAn-3; 10-히드록시 DPAn-3; 11-히드록시 DPAn-3; 13-히드록시 DPAn-3; 14-히드록시 DPAn-3; 16-히드록시 DPAn-3; 17-히드록시 DPAn-3; 7,17-디히드록시 DPAn-3; 10,17-디히드록시 DPAn-3; 8,14-디히드록시 DPAn-3; 16,17-디히드록시 DPAn-3; 13,20-디히드록시 DPAn-3; 10,20-디히드록시 DPAn-3; 및 7,16,17-트리히드록시 DPAn-3;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도코사테트라에노산 (DTAn-6)의 단리된 도코사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도코사노이드에는 다음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가 포함될 수 있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DTAn-6의 모노히 드록시 유도체, DTAn-6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및 DTAn-6의 트리-히드록시 유도체. 이러한 도코사노이드에는 보다 특히, 다음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가 포함될 수 있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7-히드록시 DTAn-6; 10-히드록시 DTAn-6; 13-히드록시 DTAn-6; 17-히드록시 DTAn-6; 7,17-디히드록시 DTAn-6; 10,17-디히드록시 DTAn-6; 16,17-디히드록시 DTAn-6; 및 7,16,17-트리히드록시 DTAn-6;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C22 다가불포화 지방산의 단리된 도코사노이드에 관한 것인데, 이러한 도코사노이드는 다음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이다: 4,5-에폭시-17-히드록시 DPA; 7,8-에폭시 DHA; 10,11-에폭시 DHA; 13,14-에폭시 DHA; 19,20-에폭시 DHA; 13,14-디히드록시 DHA; 16,17-디히드록시 DTAn-6; 7,16,17-트리히드록시 DTAn-6; 4,5,17-트리히드록시 DTAn-6; 7,16,17-트리히드록시 DTAn-3; 16,17-디히드록시 DTAn-3; 16,17-디히드록시 DTRAn-6; 7,16,17-트리히드록시 DTRAn-6; 4,5-디히드록시 DTAn-6; 및 10,16,17-트리히드록시 DTRAn-6;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언급된 도코사노이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조성물에는 치료 조성물, 영양 조성물 또는 미용 조성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국면에서는, 조성물이 아스피린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조성물이 DPAn-6, DPAn-3, DTAn-6, DHA, EPA, DHA의 옥시리핀 유도체, 및 EPA의 옥시리핀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조성물이 스타틴, 비스테로이드계 소 염제, 항산화제, 및 신경보호제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작용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조성물이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조성물이 미생물성 오일, 식물 종자 오일, 및 수생 동물 오일 중에서 선택된 오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오일 1 그램당 도코사노이드 약 10 ㎍ 이상을 포함하는 오일에 관한 것이다. 기타 양태에는 오일 1 그램당 도코사노이드 약 20 ㎍ 이상, 오일 1 그램당 도코사노이드 약 50 ㎍ 이상, 또는 오일 1 그램당 도코사노이드 약 100 ㎍ 이상을 포함하는 오일이 포함된다. 한 국면에서는, 상기 언급된 오일 중의 도코사노이드가 다음 중에서 선택된 다가불포화 지방산이다: 도코사테트라에노산 (DTAn-6),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6),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3), 도코사헥사에노산 (DHA), 및 에이코사펜타에노산 (EPA). 또 다른 국면에서, 도코사노이드는 도코사테트라에노산 (DTAn-6),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6), 및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3) 중에서 선택된 다가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된다. 한 국면에서는, 상기 도코사노이드가 상기 언급된 모든 도코사노이드이다. 오일에는 미생물성 오일, 식물 종자 오일, 및 수생 동물 오일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는 상기 언급된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포함되고, 이러한 조성물에는 치료 조성물, 영양 조성물 또는 미용 조성물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DPAn-6, DPAn-3, 및 DTAn-6 중에서 선택된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과, 제약상 또는 영양상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국면에서, 조성물이 아스피린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조성물이 DPAn-6, DTAn-6 또는 DPAn-3으로부터의 도코사노이드의 생성을 촉매하는 효소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특정 개체에서 염증 또는 신경변성의 한 가지 이상 증상을 예방하거나 저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염증 또는 신경변성, 또는 이와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거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린 것으로 진단되었거나, 또는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린 것으로 추정되는 개체에게, DPAn-6, DPAn-3, DPAn-6의 옥시리핀 유도체, 및 DPAn-3의 옥시리핀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작용제를 투여하여, 이러한 개체에게서 염증 또는 신경변성의 한 가지 이상 증상을 저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국면에서는, 상기 작용제가 T 림프구에 의한 종양 괴사 인자-α (TNF-α)의 생성을 저하시키는데 유효하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상기 작용제가 호중구 및 대식세포가 염증 부위 내로 이동하는 것을 저하시키는데 유효하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상기 작용제가 개체에게서 인터루킨-1β (IL-lβ) 생성을 저하시키는데 유효하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상기 작용제가 개체에게서 대식세포 화학주성 단백질-1 (MCP-1)을 저하시키는데 유효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옥시리핀 유도체에는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도코사노이드 모두가 포함될 수 있다. 한 가지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상기 작용제가 17-히드록시 DPAn-6 및 10,17-디히드록시 DPAn-6, 또는 그의 유도체, 유사체 또는 염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작용제가 DPAn-6 및 DPAn-3 중에서 선택된다.
한 국면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하나 이상의 장쇄 오메가-3 지방산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오메가-3 지방산에는 DHA 및/또는 EPA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국면에서는, DPAn-6 또는 DPAn-3이 다음 형태들 중의 하나, 즉 DPAn-6 또는 DPAn-3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로서, DPAn-6 또는 DPAn-3을 함유하는 인지질로서, 자유 지방산으로서, DPAn-6 또는 DPAn-3의 에틸 또는 메틸 에스테르로서 제공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DPAn-6, 또는 DPAn-3, 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가,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을 생성하도록 유전적으로 변형시킨 지방종자 식물로부터 유래된 식물 오일로부터 제공되거나 미생물성 오일 또는 동물 오일 형태로 제공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옥시리핀 유도체가 DPAn-6 또는 DPAn-3을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로 효소적 전환시킴으로써 생성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옥시리핀 유도체가 화학적으로 새로이 (de novo) 합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의 상기 국면 모두에서, 해당 방법은 아스피린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국면에서, 상기 방법은 스타틴,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 항산화제, 및 신경보호제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도코사노이드를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도코사노이드를 생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DPAn-6 기질, DTAn-6 기질 또는 DPAn-3 기질을, 이러한 DPAn-6 기질, DTAn-6 기질 또는 DPAn-3 기질로부터 도코사노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와 접촉시킴으로써 도코사노이드를 촉매적으로 생성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도코사노이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 (LCPUFA)-생산 미생물을 배양하거나, 또는 22개 탄소 LCPUFA로부터 도코사노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변형시킨 LCPUFA-생산 식물을 성장시켜 도코사노이드를 생성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러한 도코노사이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LCPUFA-생산 미생물, LCPUFA-생산 식물 또는 LCPUFA-생산 동물에 의해 생성된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 (LCPUFA)을, 이러한 LCPUFA가 도코사노이드로 전환되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도코사노이드를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코사노이드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언급된 방법의 한 국면에서는, 효소가 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 및 시토크롬 P450 효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효소에는 12-리폭시게나제, 5-리폭시게나제, 15-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2, 헤모글로빈 알파 1, 헤모글로빈 베타, 헤모글로빈 감마 A, CYP4A11, CYP4B1, CYP4F11, CYP4F12, CYP4F2, CYP4F3, CYP4F8, CYP4V2, CYP4X1, CYP41, CYP2J2, CYP2C8, 트롬복산 A 신타제 1, 프로스타글란딘 I2 신타제, 및 프로스타시클린 신타제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국면에서는, LCPUFA가 DPAn-6, DTAn-6 및 DPAn-3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언급된 방법의 한 국면에서는, LCPUFA를 생산하도록 LCPUFA-생산 미생물 또는 LCPUFA-생산 식물을 유전적으로 변형시켰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LCPUFA-생산 미생물이 LCPUFA [예를 들어, 트라우스토키트리드 (Thraustochytrid)]를 내적으로 생산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LCPUFA로부터 유래된 하나 이상의 옥시리핀의 존재에 대해 오일을 강화시키거나, 또는 이러한 옥시리핀을 오일 중에서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LCPUFA-생산 미생물을, LCPUFA가 옥시리핀으로 전환되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의 효소적 활성을 증강시키는 화합물과 함께 배양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 국면에서는, 상기 화합물이 효소의 발현을 자극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화합물이 LCPUFA의 자기산화를 증강 또는 개시시킨다. 한 국면에서는, 화합물이 아세토살리실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LCPUFA로부터 유래된 하나 이상의 옥시리핀의 존재에 대해 오일을 강화시키거나, 또는 이러한 옥시리핀을 오일 중에서 안정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LCPUFA가 옥시리핀으로 전환되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의 존재 하에 미생물 또는 식물 지방종자를 파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미생물과 식물 지방종자는 하나 이상의 LCPUFA를 생성시킨다.
상기 언급된 방법의 한 국면에서는, 효소가 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 및 시토크롬 P450 효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상기 방법이 옥시리핀을 회수 및 정제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이 국면에서는, 옥시리핀을 추가로 처리하여, 옥시리핀의 유도체 또는 그의 염으로서 회수할 수 있 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a) 미생물, 식물 또는 동물 공급원에 의해 생성된 LCPUFA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함유하는 오일을 회수하는 단계; 및 (b) 상기 오일로부터 자유 지방산을 제거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공정을 이용하여 오일을 정련시켜, LCPUFA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보유하고 있는 오일을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LCPUFA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함유하는 오일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국면에서는, 동물이 수생 동물이고, 이에는 어류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국면에서는, 식물이 지방종자 식물이다. 한 국면에서는, 미생물 공급원이 트라우스토키트리드이다.
상기 언급된 방법의 한 국면에서는, 정련 단계가 오일을 알코올, 알코올:물 혼합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정련 단계가 오일을 비-극성 유기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정련 단계가 오일을 알코올 또는 알코올:물 혼합물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방법에서, 정련 단계는 오일을 냉각 여과, 표백, 추가의 냉각 여과 및 탈취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 국면에서는, 정련 단계가 냉각 여과 단계의 부재 하에 오일을 표백 및 탈취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정련 단계가 냉각 여과 또는 표백 단계의 부재 하에 오일을 탈취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방법은 항산화제를 오일에 부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방법에서 정련 단계는 오일을 에멀션으로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방법의 한 국면에서는, LCPUFA가 옥시리핀으로 전환되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와 오일을 접촉시킴으로써 오일을 추가로 처리한다. 이러한 효소에는 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 및 시토크롬 P450 효소가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국면에서는, 효소가 기질 상에 고정화된다.
상기 언급된 방법은 크로마토그래피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기술에 의해 LCPUFA 옥시리핀 유도체를 오일 중의 LCPUFA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분리 단계는 상기 분리된 LCPUFA 옥시리핀을 오일 또는 조성물에 부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a) 미생물, 식물 또는 동물 공급원에 의해 생성된 LCPUFA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함유하는 오일을 회수하는 단계; (b) 상기 오일을 정련시키는 단계; 및 (c) LCPUFA 옥시리핀을 오일 중의 LCPUFA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LCPUFA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함유하는 오일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국면에서는, 상기 방법이 단계 (c)에 앞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공정에 의해 오일 중의 LCPUFA를 LCPUFA 옥시리핀으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한 국면에서는, 상기 방법이 분리시킨 LCPUFA 옥시리핀을 생성물에 부가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염증 또는 신경변성, 또는 이와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거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린 것으로 진단되었거나, 또는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린 것으로 추정되는 환자에게, DTAn-6, 및 DTAn-6의 옥시리핀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작용제를 투여하여, 이러한 개체에게서 염증 또는 신경변성의 한 가지 이상 증상을 저하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특정 개체에서 염증 또는 신경변성의 한 가지 이상 증상을 예방하거나 저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국면에서는, 상기 작용제가 DTAn-6의 모노히드록시 유도체, DTAn-6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및 DTAn-6의 트리-히드록시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이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상기 작용제가 DTAn-6로부터의 상기 언급된 도코사노이드,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의 R- 또는 S-에피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PUFA PKS 경로를 포함하는 유기체에 관한 것인데, 이러한 유기체는 LCPUFA를 옥시리핀으로 전환시켜 주는 효소를 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형질전환시켰다. 한 국면에서는, 유기체가 식물 및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유기체가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을 생성시키는 PUFA PKS 경로를 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변형시킨 지방종자 식물이다. 또 다른 국면에서는, 유기체가 미생물, 예를 들어 내인성 PUFA PKS 경로를 포함하는 미생물이다. 한 국면에서는, 효소가 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 및 시토크롬 P450 효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도 1은 DHA, DPAn-6 및 DPAn-3과의 15-리폭시게나제 반응 역학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A는 DHA의 1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17-히드록시 DHA의 질량 스펙트럼 분석이다.
도 2C는 10,17-디히드록시 DHA의 질량 스펙트럼 분석이다.
도 2D는 7,17-디히드록시 DHA의 질량 스펙트럼 분석이다.
도 3A는 DPAn-6의 1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17-히드록시 DPAn-6의 질량 스펙트럼 분석이다.
도 3C는 10,17-디히드록시 DPAn-6의 질량 스펙트럼 분석이다.
도 3D는 7,17-디히드록시 DPAn-6의 질량 스펙트럼 분석이다.
도 4A는 DPAn-3의 1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17-히드록시 DPAn-3의 질량 스펙트럼 분석이다.
도 4C는 10,17-디히드록시 DPAn-3의 질량 스펙트럼 분석이다.
도 4D는 7,17-디히드록시 DPAn-3의 질량 스펙트럼 분석이다.
도 5A는 DTAn-6의 1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17-히드록시 DTAn-6의 질량 스펙트럼 분석이다.
도 5C는 7,17-디히드록시 DTAn-6의 질량 스펙트럼 분석이다.
도 6은 15-리폭시게나제로 처리한 다음 헤모글로빈으로 순차적으로 처리한 후 DPAn-6의 주요 옥시리핀 생성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DHA의 주요 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DPAn-6의 주요 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DPAn-3의 주요 1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DHA의 주요 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DPAn-6의 주요 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DPAn-3의 주요 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EPA-유래된 옥시리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A 및 14B는 DHA-유래된 옥시리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DPAn-6-유래된 옥시리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DPAn-3-유래된 옥시리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DTAn-6-유래된 옥시리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A는 해조류 DHA + DPAn-6 오일 중의 DHA 및 DPAn-6의 모노- 및 디히드록시 유도체의 질량 스펙트럼 총 이온 크로마토그래프이다.
도 18B는 해조류 DHA + DPAn-6 오일 중의 모노-히드록시 DPAn-6 유도체의 MS/MS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C는 해조류 DHA + DPAn-6 오일 중의 디히드록시 DPAn-6 유도체의 MS/MS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랫트 발 부종에 대한 LCPUFA 오일 공급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OA는 염증이 있는 마우스 복부 공기 주머니 (air pouch) 모델에서 DHA 및 DPAn-6으로부터 유래된 도코사노이드를 투여한 후 공기 주머니 삼출액 내로의 총 세포 이동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OB는 염증이 있는 마우스 복부 공기 주머니 모델에서 DHA 및 DPAn-6으로부터 유래된 도코사노이드를 투여한 후 공기 주머니 삼출액 중의 IL-β 농도를 도 시한 그래프이다.
도 2OC는 염증이 있는 마우스 복부 공기 주머니 모델에서 DHA 및 DPAn-6으로부터 유래된 도코사노이드를 투여한 후 공기 주머니 삼출액 중의 대식세포 화학주성 단백질 1 (MCP-1) 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1은 인간 신경교 세포에서 TNFα-유도된 IL-1β 생성에 대한 도코사노이드의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2는 인간 T 림프구에 의한 TNFα 분비에 대한 도코사노이드의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3은 부가의 신규한 C22-PUFA-유래된 옥시리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당해 분야에서 신규한 소염 화합물에 대한 필요성과, 공지된 소염 화합물,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리폭신, 레솔빈 및 도코사트리엔을 제공하는 또 다른 방식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였기 때문에,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소염 시약과, 소염 적용 분야에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조성물을 제공해 주는 몇 가지 상호 관련된 연구 결과를 밝혀내었다.
첫째, 본 발명은 장쇄 오메가-6 지방산인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6; C22:5n-6) 및 도코사테트라에노산 (DTAn-6; C22:4n-6) (아드렌산으로 지칭되기도 함) 뿐만 아니라 DPAn-6의 오메가-3 대응물인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3; C22:5n-3)이, 일반적으로 본원에서 LCPUFA 옥시리핀으로서 지칭되는 신규한 화합물, 및 보다 특히 도코사노이드 (이에는 도코사노이드의 모노-, 디-, 트리-, 테트라- 및 펜타-히드록시 유도체가 포함된다)로 지칭되는 신규한 화합물을 생성하기 위한 기질이라는 사실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밝혀진 것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옥시리핀" 및 "도코사노이드"는 다음에 보다 상세히 규정되고 기재된다. 본 발명자들은 DPAn-6, DPAn-3, DTAn-6 및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가 장쇄 오메가-3 지방산 DHA 및 EPA 및 그들의 옥시리핀 유도체와 마찬가지로, 강력한 소염제로서 제공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오메가-6 지방산 DPAn-6 및 DTAn-6으로부터 유래되고/되거나 오메가-3 지방산 DPAn-3으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옥시리핀, 및 그의 유도체 및 유사체 뿐만 아니라 이러한 옥시리핀의 생성 방법 및 이를 소염성 화합물 및 영양/건강 보조식품으로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신규한 소염 화합물로서의 (예를 들어, 옥시리핀에 대한 전구체로서 또는 고유의 소염 활성을 지닌 작용제로서의), 이들 LCPUFA (DPAn-6, DTAn-6 및 DPAn-3) 자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초기에, 본 발명자들은 DPAn-6이 DHA 오일에 존재하면, 기타 어떠한 지방산도 함유하지 않은 DNA 오일과 비교해서 환자의 염증 저하가 상당히 증강되었다고 (예를 들어, 염증의 지표 또는 매개인자 상의 저하, 예를 들어 프로-염증성 사이토킨 생성 및 에이코사노이드 생성의 저하가 증강됨) 인식하였다. 이러한 발견으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DPAn-6, DTAn-6, 및 DPAn-3의 독특한 구조로 인해, 이들 LCPUFA가 DHA를 도코사트리엔 또는 레솔빈으로 전환시키는 것과 유사한 효소적 반응에서 기질로서 제공될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는데, 이로써 놀랍게도 DPAn-6, DTAn-6, 및 DPAn-3, 및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가 신규한 강력한 소염제란 사실이 밝혀졌다.
본 발명 이전에는, 장쇄 오메가-6 지방산인 DPAn-6이, EPA 및 DHA로부터 유래된 기존에 보고된 도코사트리엔 및 레솔빈과 유사하거나 이를 능가하는 소염 특성을 지닌 신규한 옥시리핀을 생성하기 위한 기질로서 제공될 수 있었다는 사실은 공지되지 않았다. 본 발명 이전의 명백한 증거는 DPAn-6이 오일 중에 존재하게 되면, 프로-염증성 화합물이 생성되므로, DHA-함유 오일의 전반적인 소염 효과가 떨어질 수도 있다고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DPAn-6은, 고도로 강력한 각종 프로-염증성 에이코사노이드 (이에는 류코트리엔 B4 및 프로스타글란딘 E2가 포함된다)에 대한 전구체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프로-염증성인 것으로 간주되는 아라키돈산 (ARA)으로 용이하게 역전환될 수 있다. 실제로, 오메가-6 지방산 ARA로부터 유래된 대부분의 에이코사노이드는 프로-염증성이고 [참고: Gilroy et al, 2004; Meydani et al, 1990; Simopoulos 2002], ARA가 소모되면 DHA의 소염 효과가 역전된다 (하기 실시예 14 참고). 따라서, 본 발명 이전에는 일반적으로, DPAn-6이 ARA 대사 경로 내로 공급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것이 프로-염증성인 것으로 여겨졌다. 더우기, 본 발명 이전에는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6; C22:5n-6)이 그의 독특한 구조로 인해 신규한 옥시리핀을 생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질이란 사실, 또는 신규한 옥시리핀이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3; C22:5n-3) 및 도코사테트라에노산 (DTAn-6; C22:4n-6)으로부터 유래될 수도 있다는 사실이 전혀 인식되지 못하였다. 실제로, 본 발명자들은 DPAn-6 및 DPAn-3이 옥시리핀-생성 반응에 있어 DHA와 비교해서 탁월한 기질이란 사실을 밝혀내었고, DTAn-6이 또한 옥시리핀-생성 반응에 있어 기질이란 사실도 밝혀내었다. 이는 다음 실시예 1에서 15-리폭시게나제를 이용하여 DHA, DPAn-6 및 DPAn-3 각각을 전환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입증되었다. 따라서, DPAn-6 및 DPAn-3으로부터 도코사노이드를 생성하는 것은 DHA로부터 도코사노이드를 생성하는 것 보다 더 효율적이고 보다 큰 옥시리핀 생성물 수준을 가져다 줄 것이다.
부가적으로, 기존에는 DPAn-6 및 DPAn-3으로부터 합성된 옥시리핀이 특히 염증과 관련하여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였다. 특정 이론에 얽매이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본 발명자들은 DPAn-6 및 DPAn-3, 및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 특히 DPAn-6 및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가 DHA, EPA, 또는 LCPUFA의 옥시리핀 유도체와 동등하거나 심지어 이 보다 더 강력한 소염 화합물이라고 믿고 있다. 특정 이론에 얽매이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자들은 또한 DTAn-6 및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가 소염 특성을 지니고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제로, DPAn-6 및 DPAn-3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 특히 DPAn-6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와, DHA 또는 EPA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 (특히 DHA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의 조합물은 영양적 적용 분야 [예를 들어, 특정 개체의 건강을 유지, 안정화, 증강, 강화 또는 개선시키기 위해 영양분 또는 영양제를 제공하는 것, 또는 유기체가 기능하고, 성장하며 유지하기 위해 음식물과 액상물을 소화 및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유기적 공정에 관한 본 발명의 모든 적용 (이에는 영양보조식품을 적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치료적 적용 [예를 들어, 특정 개체의 건강으로부터 벗어난 질병이나 질환을 예방, 치료, 관리, 치유, 경감 및/또는 치유하는 것에 관한 본 발명의 모든 적용], 및 기타 적용 (예를 들어, 미용)에 있어, DHA, EPA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 단독에 의해 제공된 것 보다 더 큰 이득을 제공할 것이다.
보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오메가-3 지방산인 DHA 이외에도 DPAn-6을 함유하는 오일이 소모됨에 따라, 염증성 사이토킨 생성이 >90% 까지 저하된 반면, 오일 중에 단독으로 함유된 DHA이 소모됨에 따라서는, 심지어 DHA 용량이 DHA + DPAn-6 오일 중에서 보다 대략 3배 정도 더 높은 경우일지라도 염증성 사이토킨 생성이 단지 약 13 내지 29% 정도로만 저하되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염증성 에이코사노이드 분비 역시, DHA 단독과 비교해서 DPAn-6에 의해 상당히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DPAn-6 및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함유하는 오일이 상당한 소염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더우기, 본 발명자들은 DPAn-6 및 장쇄 오메가-3 지방산 (예: DHA), 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 (이들은 공동으로 도코사노이드로 공지되어 있다)가 병용해서 존재하게 되면, 상보적 소염 활성을 지닌 도코사노이드 (하기 정의됨)가 생성된다고 제안하였다. 다라서, 장쇄 오메가-3 지방산, 예를 들어 DHA와 DPAn-6 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 둘 다를 함유하는 제형이 오메가-3 지방산 만을 함유하는 제형 보다 상당히 더 강력한 소염 제형이다. 더우기, DPAn-6 및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각종의 기타 작용제와 병용해서 사용하기 위한 신규한 소염제를 나타낸다. DPAn-3 및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 및/또는 DTAn-6 및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 또한, DHA 단독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DPAn-6이 소염 특성을 지니고 있고 장쇄 오메가-3 지방산, 예를 들어 DHA의 소염 효과를 증강시킬 것이란 사실을 처음으로 인식하였다. 보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DHA 중의 탄소 19와 20 사이의 가장 말단부 n-3 결합이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도코사트리엔 또는 17S-레솔빈의 형성에 관여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이중 결합이 DPAn-6에 존재하지 않는 것은 상기 지방산이 생물학적 효소 (예: 리폭시게나제)에 의해 유사한 옥시리핀으로 대사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란 사실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DHA가 옥시리핀, 특히 레솔빈으로서 공지된 화합물로 효소적 전환되는 대부분의 공정에 관여하는 이중 결합 (즉, DHA 중의 탄소 7과 8 사이, 탄소 10과 11 사이, 탄소 13과 14 사이, 및 탄소 16과 17 사이의 이중 결합)이 DPAn-6, DTAn-6 및 DPAn-3에도 존재하여, 옥시리핀을 생성하기 위한 기질로서의 그들의 용도를 촉진시켰다는 사실을 추가로 인식하였다. 특정 이론에 얽매이는 것은 아니지만, 이는 DHA 단독과 비교해서 DHA와 DPAn-6을 함유하는 오일을 이용한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이 관찰한 데이터 상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본 발명자들은 DHA를 도코사노이드 또는 17S-레솔빈으로 전환시키는 바로 그 효소가 모든 (n-3) 또는 (n-6) C-22 PUFA를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본 발명에서 입증하였다. 따라서, DHA와 같이, DPAn-6, DTAn-6 및 DPAn-3은 강력한 소염 분자로서 제공될 수 있는 신규한 옥시리핀에 대한 기질이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관찰 결과는 또한, 24개 이상 탄소의 LCPUFA, 및 탄소 7과 8 사이, 탄소 10과 11 사이, 탄소 13과 14 사이 및 탄소 16과 17 사이에 위치한 이중 결합을 갖는 것 또한, 신규한 옥시리핀을 생성하기 위한 기질로서 제공되고, 본원에 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각종 오일 및 조성물에서 생성 또는 증강시킬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DHA로부터 유래된 기존에 보고된 도코사트리엔 및 레솔빈과 같은 옥시리핀을 형성하는 효소가 기질로서 (n-6) 22-탄소 지방산과 (n-3) 22-탄소 지방산을 구별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이들 분자 내의 동일한 위치에 특별한 이중 결합이 존재하기 때문이란 사실을 처음으로 인식하였다. 사실상, 본 발명자들은 C22n-6 지방산이 이들 효소에 대한 바람직한 기질이란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내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DPAn-6으로부터의 옥시리핀이 강력한 소염 활성을 지니고 있고, DHA 및 DPAn-6 둘 다로부터의 옥시리핀 조합물이 DHA 단독으로부터의 옥시리핀 보다 더 많은 소염 이점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인식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자들은 증강되고 유효한 양의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 (이에는 본 발명의 신규한 옥시리핀 뿐만 아니라 기존에 보고된 옥시리핀이 포함된다)을 함유하기도 하는 LCPUFA-풍부 오일을 생성시키는 신규한 방식을 또한 밝혀내었다. 이들 LCPUFA-풍부 오일은 LCPUFA 자체의 타고난 장기간 이점과 함께 히드록시-LCPUFA 유도체의 즉각적인 소염/신경보호 작용(들)을 전달하기 위해 영양 (영양보조식품 포함), 미용 및/또는 제약 (치료 포함) 적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LCPUFA의 통상적인 공급원, 예를 들어 해조류 오일 및 어류 오일이 단지 극히 소량의 LCPUFA의 히드록실-유도체 만을 갖고 있으므로, 극소량의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 (예를 들어, 약 1 ng/g 오일 내지 약 10 ㎍/g 오일)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생산 유기체 (예: 해조류, 어류)와 연관된 유전적 및 환경적 요인 때문이며 또한, 이들 유기체로부터 LCPUFA 오일을 가공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방법 때문이다. LCPUFA 옥시리핀이 강화된 오일을 공급하는 것이 인간 영양과 건강에 있어 큰 이득일 것이며, 화학적으로 합성된 옥시리핀 유사체 공급에 대한 대안이나 부적절한 양의 LCPUFA 옥시리핀을 함유하는 오일에 대한 대안을 제공할 수도 있다는 것을 실현함으로써, 본 발명자들은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이 강화되도록 하는 이들 LCPUFA 오일의 또 다른 생성 방식 뿐만 아니라 오일의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 함량을 추가로 강화 및 증강시킴으로써 그들의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 수준을 통상적으로 생성/처리된 LCPUFA 오일에서 발견되는 것에 비해 상당히 증강시키는 LCPUFA 오일의 또 다른 처리 방식을 밝혀내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DPAn-6, DTAn-6 및 DPAn-3으로부터 생성되는 옥시리핀을 밝혀냈는데, 이들 옥시리핀은 현재 화학적 또는 생물발생적으로 생성될 수 있고, 이를 각종 조성물 및 제형에서 조악한, 반-순수 또는 순수한 화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LCPUFA-함유 오일이나 LCPUFA-옥시리핀-함유 오일과 같은 오일에 부가하여 이러한 오일 중의 천연 옥시리핀을 증강 또는 보충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영양제 및 치료 약물을 고안하고 생성하는데 있어 이들 옥시리핀의 부가의 활성 유사체를 생성하기 위한 선도 화합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일반적 정의
본원의 목적상,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 (LCPUFA)은 18개 이상 탄소 쇄 길이의 지방산으로서 정의되고,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20개 이상의 탄소 쇄 길이의 지방산이다. 오메가-6 시리즈의 LCPUFA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디-호모-감마리놀레산 (C20:3n-6), 아라키돈산 (C20:4n-6), 도코사테트라에노산 또는 아드렌산 (C22:4n-6), 및 도코사펜타에노산 (C22:5n-6). 오메가-3 시리즈의 LCPUFA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에이코사트리에노산 (C20:3n-3), 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 (C20:4n-3), 에이코사펜타에노산 (C20:5n-3), 도코사펜타에노산 (C22:5n-3), 및 도코사헥사에노산 (C22:6n-3). LCPUFA에는 또한, 22개 초과 탄소와 4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갖는 지방산이 포함되는데, 이에는 C24:6(n-3) 및 C28:8(n-3)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어 "다가불포화 지방산" 및 "PUFA"에는 자유 지방산 형태 뿐만 아니라 기타 형태, 예를 들어 트리아실글리세롤 (TAG) 형태, 인지질 (PL) 형태 및 기타 에스테르화 형태가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지질"에는 인지질; 자유 지방산; 지방산의 에스테르; 트리아실글리세롤; 디아실글리세라이드; 모노아실글리세라이드; 리소포스포리피드; 비누; 포스파티드; 스테롤 및 스테롤 에스테르; 카로테노이드; 크산토필 (예: 옥시카로테노이드); 탄화수소;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타 지질이 포함된다.
본원의 목적상, "옥시리핀"은 다가불포화 지방산을 산화적 대사시킴으로써 형성되는, 다가불포화 지방산의 생물학적 활성의 산소화 유도체로서 정의된다. 리폭시게나제 경로를 통하여 형성되는 옥시리핀은 리폭신으로서 지칭된다. 시클로옥시게나제 경로를 통하여 형성되는 옥시리핀은 프로스타노이드로서 지칭된다. 20개 탄소 지방산 (아라키돈산 및 에이코사펜타에노산)으로부터 형성된 옥시리핀은 에이코사노이드로서 지칭된다. 에이코사노이드에는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리엔 및 트롬복산이 포함된다. 이들은 리폭시게나제 경로를 통하여 형성되거나 (류코트리엔) 시클로옥시게나제 경로를 통하여 형성된다 (프로스타글란딘, 프로스타시클린, 트롬복산). 22개 탄소 지방산 [도코사펜타에노산 (n-6 또는 n-3), 도코사헥사에노산 및 도코사테트라에노산]로부터 형성된 옥시리핀은 도코사노이드로서 지칭된다. 이들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가 다음에 기재되어 있다. 본원에 기재된 옥시리핀에 대한 일반적인 언급에는 명시된 옥시리핀 화합물의 유도체 및 유사체가 포괄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유사체"는 또 다른 화합물과 구조적으로는 유사하지만, 조성에 있어 약간 상이한 (1개의 원자가 상이한 원소의 원자로 대체되거나, 특별한 관능기가 존재하거나 또는 1개의 관능기가 또 다른 관능기로 대체된다) 화학적 화합물을 지칭한다 (하기 본 발명의 유사체에 관한 상세한 논의 참고).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기재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의 용어 "유도체"는 치환되지 않은 화합물과 결합된 1개 이상의 수소가 상이한 원자 또는 화학적 부분으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하기 본 발명의 유도체에 관한 상세한 논의 참고).
일반적으로, 용어 "생물학적 활성"이란 특정 화합물이 생체 내에서 (즉, 천연 생리적 환경에서) 또는 시험관 내에서 (즉, 실험실 조건 하에) 측정되거나 관찰된 바와 같이, 세포 또는 유기체의 대사 또는 기타 공정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한 가지 이상의 탐지 가능한 활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 (LCPUFA)의 산소화 유도체에는 LCPUFA의 모노-, 디-, 트리-, 테트라- 및 펜타-히드록시 유도체가 포함되고, 또한 이들 유도체의 자유, 에스테르화, 퍼옥시 및 에폭시 형태가 포함된다. 이들 LCPUFA의 모노-, 디-, 트리-, 테트라- 및 펜타-히드록시 유도체는 3개, 4개 이상의 이중 결합 (일반적으로, 이들 중의 2개 이상이 공액된다)과, 1개 이상의 비-카복시, 히드록실기를 함유하는 유도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유도체가 4 내지 6개 이중 결합과, 1 내지 3개 이상의 비-카복시, 히드록실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비-카복시, 히드록실기를 함유한다.
염증 과정을 하향 조절하거나 치유할 수 있는, 아세틸화 형태의 시클로옥시게나제 2 (COX2)를 포함한 시클로옥시게나제 또는 리폭시게나제 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오메가-3 지방산 EPA 및 DHA의 산소화 유도체가 흔히 "레솔빈"으로서 지칭되는데, 이는 자연계에서 기능적인 신조어이다. "도코사트리엔"은 DHA로부터 유래된 옥시리핀 아부류이고, 3개의 공액 이중 결합을 함유한다. "프로텍틴"은 신경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오메가-3 지방산 DHA의 히드록시 유도체에 대한 또 다른 기능적 신조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도코사노이드"는 구체적으로, 모든 22개 탄소 LCPUFA (예를 들어, DHA, DPAn-6, DPAn-3, 또는 DTAn-6)의 모든 산소화 유도체 (옥시리핀)를 지칭한다. 이러한 유도체의 구조는 다음에 상세히 기재된다. 본 발명자들이 DPAn-6, DPAn-3 및 DTAn-6으로부터 유래되는 본 발명의 신규한 옥시리핀 유도체 (도코사노이드)가 이러한 옥시리핀의 유사한 기능적 특징을 기준으로 하여 "레솔빈" 또는 "프로텍틴"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긴 하지만, 본 발명의 목적상 본 발명의 신규한 옥시리핀이 일반적으로, 상기 화합물의 명백한 구조적 정의를 제공해주는 용어 "도코사노이드"를 이용하여 언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인 인지해야 한다. DPAn-6, DPAn-3 및 DTAn-6으로부터의 도코사노이드는 본 발명자가 알고 있는 것만으로서는, 기존에 결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발명에 유용한 옥시리핀
본 발명의 한 양태는 DPAn-6, DPAn-3, 또는 DTAn-6으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옥시리핀, 및 이러한 옥시리핀의 모든 유사체 또는 유도체에 관한 것인데, 이에는 상기 옥시리핀 또는 그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조성물, 제형 또는 생성물 뿐만 아니라 LCPUFA 옥시리핀 또는 그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 특히 DHA, EPA, DPAn-6, DPAn-3 또는 DTAn-6으로부터 유래된 모든 옥시리핀, 보다 특히 모든 도코사노이드, 보다 더 특히 DPAn-6, DPAn-3 또는 DTAn-6로부터 유래된 모든 옥시리핀에 대해 어떠한 방법으로도 강화시킨 오일 또는 기타 조성물 또는 제형 또는 생성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오일 또는 조성물 중의 옥시리핀의 양, 질 또는 안정성을 개선시키고/시키거나 오일 또는 조성물 중에 함유된 옥시리핀의 흡수성, 생체내 이용 효율 및/또는 효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옥시리핀 (DHA, EPA, DPAn-6, DPAn-3 또는 DTAn-6으로부터 유래된 모든 옥시리핀, 보다 특히 모든 도코사노이드)를 오일 또는 조성물 내에 안정화시키거나 유지시킨 모든 오일 또는 기타 조성물 또는 제형 또는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소염 활성, 항증식 활성, 항산화제 활성, 신경보호 또는 혈관조절 활성을 지닌 각종 DHA- 및 EPA-유래된 옥시리핀 [참고: Ye et al, 2002]은 공지되어 있고, 이는 보다 통상적으로, 레솔빈 또는 프로텍틴으로서 지칭되었다. 이러한 옥시리핀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처리 단계를 이용하여, 특히 상기 옥시리핀을 오일 및 조성물 내에 강화시키는 양태에서 본 발명에 포괄되는 것으로 언급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모든 치료, 영양 (영양보조식품 포함), 미용 또는 기타 적용 분야에 사용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 및 공정을 사용하여 각종 오일 및 조성물에 강화시킬 수 있거나, 또는 드 노보 (de novo) 생성을 포함한 각종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생성되고 경우에 따라 단리 또는 정제될 수 있는, DPAn-6, DPAn-3, 및 DTAn-6으로부터 유래된 신규한 옥시리핀 (그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 포함)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단리된, 반-정제된 및 정제된 옥시리핀 뿐만 아니라 합성 및 천연 공급원을 포함한 옥시리핀 공급원 (예를 들어, 오일 또는 식물, 및 그의 일부)을 포괄하고, 이에는 유전적,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방법에 의하거나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처리 단계에 의해 본 발명에 유용한 옥시리핀의 존재를 강화시킨 모든 공급원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옥시리핀은 프로-염증 특성이나 소염 특성을 지닐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염증 특성은 세포, 조직 또는 유기체에서 염증을 증강시키는 특성 (특징, 활성, 기능)이고, 소염 특성은 이러한 염증을 억제시키는 특성이다. 세포, 조직 및/또는 유기체 내의 염증은 각종 특징들에 의해 확인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징에는 "프로-염증성" 사이토킨 [예를 들어, 인터루킨-1α (IL-lα), IL-lβ, 종양 괴사 인자-α (TNFα), IL-6, IL-8, IL-12, 대식세포 염증성 단백질-1α (MIP-lα), 대식세포 화학주성 단백질-1 (MCP-1; 대식세포/단구 화학주성 및 활성화 인자 또는 단구 화학유인물질 단백질-1로서 공지되기도 함) 및 인터페론-γ (IFN-γ)]의 생성, 에이코사노이드 생성, 히스타민 생성, 브라디키닌 생성, 프로스타글란딘 생성, 류코트리엔 생성, 발열, 부종 또는 기타 종창, 및 염증 부위에서의 세포성 매개인자 (예: 호중구, 대식세포, 림프구 등)의 축적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에 유용한 옥시리핀은 소염 특성을 지닌 것, 예를 들어 DHA, EPA, DPAn-6, DPAn-3 및 DTAn-6으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다음에 상세히 기재됨). 옥시리핀의 기타 중요한 생체 활성 특성에는 항증식 활성, 항산화제 활성, 신경보호 및/또는 혈관조절 활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특성은 또한, 본 발명에 유용한 옥시리핀의 바람직한 특성이고, DHA, EPA, DPAn-6, DTAn-6 및 DPAn-3으로부터 유래된 옥시리핀의 바람직한 특징들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옥시리핀에는 이러한 옥시리핀의 특별한 기능적 특성과 상관없이 DPAn-6 또는 DPAn-3 또는 DTAn-6으로부터 유래된 모든 옥시리핀이 포함된다. DPAn-6 또는 DPAn-3 또는 DTAn-6으로부터 유래된 바람직한 옥시리핀에는 영양적 및/또는 치료적 이득을 제공해주는 것,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염 활성, 항증식 활성, 항산화제 활성 및/또는 신경보호 활성을 지닌 것이 포함된다.
EPA-유래된 옥시리핀
본 발명에 유용한, EPA로부터 유래된 옥시리핀에는 15-에피-리폭신 A4 (5S,6R,15R-트리히드록시 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 및 그의 중간체 15R-히드록시 에이코사펜타에노산 (15R-HEPE); 레솔빈 El (5,12,18-트리히드록시 EPA) 및 그의 중간체 5,6-에폭시,18R-히드록시-EPE, 및 5S-히드로(퍼옥시),18R-히드록시-EPE, 및 18R-히드록시-EPE (18R-HEPE); 및 레솔빈 E2 (5S,18R-디히드록시-EPE 또는 5S,18R-디HEPE) 및 그의 중간체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EPA 유도체의 구조에 대한 도 13 참고]. EPA-유래된 옥시리핀은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 문헌 [참고: Serhan (200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DHA-유래된 옥시리핀
본 발명에 유용한, DHA로부터 유래된 옥시리핀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레솔빈 Dl (7,8,17R-트리히드록시 DHA) 및 레솔빈 D2 (7,16,17R-트리히드록시 DHA), 및 그들의 S-에피머 및 그들의 중간체, 예를 들어 17S/R-히드로퍼옥시 DHA, 및 7S-히드로퍼옥시,17S/R-OH-DHA, 및 7(8)-에폭시-17S/R-OH-DHA; 레솔빈 D4 (4,5,17R-트리히드록시 DHA) 및 레솔빈 D3 (4,11,17R-트리히드록시 DHA), 및 그들의 S-에피머 및 그들의 중간체, 예를 들어 17S/R-히드로퍼옥시 DHA, 및 4S-히드로퍼옥시,17S/R-OH DHA 및 4(5)-에폭시-17S/R-OH DHA; 및 뉴로프로텍틴 Dl (10,17S-도코사트리엔, 프로텍틴 Dl), 및 그의 R 에피머 및 그들의 중간체, 예를 들어 디히드록시 생성물 16,17-에폭시-도코사트리엔 (16,17-에폭시-DT) 및 히드로퍼옥시 생성물 17S-히드로퍼옥시 DHA; 레솔빈 D5 (7S,17S-디히드록시 DHA) 및 레솔빈 D6 및 그들의 히드록실 함유 중간체; 및 에폭시드 유도체 7,8-에폭시 DPA, 10,11-에폭시 DPA, 13,14-에폭시 DPA, 및 19,20-에폭시 DPA 및 디히드록시 유도체 13,14-디히드록시 도코사펜타에노산; 기타 모노-히드록시 DHA 유도체, 예를 들어 7-히드록시 DHA, 10-히드록시 DHA, 11-히드록시 DHA, 13-히드록시 DHA, 14-히드록시 DHA, 16-히드록시 DHA 및 17-히드록시 DHA의 R 및 S 에피머; 및 기타 디히드록시 DHA 유도체, 예를 들어 10,20-디히드록시 DHA, 7,14-디히드록시 DHA 및 8,14-디히드록시 DHA의 R 및 S 에피머 [이들 DHA 유도체의 구조와 기재 내용에 관해서는 하기 실시예 2, 7, 및 10, 도 2A-2D, 도 7, 도 10, 및 도 14A 및 B를 참고할 수 있다]. DHA-유래된 옥시리핀은 문헌 [참고: Serhan (2005) and Ye et al (2002)]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DPAn-6-, DTAn-6- 및 DPAn-3-유래된 옥시리핀 및 C22 지방산으로부터의 기타 신규한 도코사노이드
본 발명의 한 양태는 DPAn-6, DTAn-6, 또는 DPAn-3으로부터 유래되는 신규한 옥시리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C22 PUFAs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신규한 도코사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본 발명자들은 신규한 도코사노이드를 본원에 기재하고 있는데, 그의 구조는 C22 지방산 구조물로부터 새로이 고안하였다. 본 발명에 포괄되는 옥시리핀에는 DPAn-6, DTAn-6, 또는 DPAn-3로부터 유래된 모든 옥시리핀, 또는 일반적으로 C22 지방산으로부터의 옥시리핀, 보다 특히 본원에 도코사노이드로서 기재된 것이 포함된다. 신규한 도코사노이드에는 DPAn-6, DTAn-6, DPAn-3의 모든 산소화 유도체, 또는 C22 지방산의 기타 신규한 산소화 유도체 (예를 들어, 도 23 참고) (그의 모든 유도체 또는 유사체 포함)가 포함된다. 특히, 본 발명의 도코사노이드에는 DPAn-6, DTAn-6 또는 DPAn-3, 또는 C22 지방산의 모든 모노히드록시, 디히드록시 또는 트리히드록시 유도체의 R- 또는 S-에피머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기준 LCPUFA에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형성하는 모든 탄소 하에서의 유도체화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코사노이드에는 또한, 기질로서 DPAn-6, DTAn-6, 또는 DPAn-3을 사용하고, 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 시토크롬 P450 효소 및 기타 헴 (heme)-함유 효소, 예를 들어 표 1 (하기 참고)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효소를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 옥시리핀-생성 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모든 효소 반응 생성물이 포함된다. 표 1은 열거된 공지된 효소를 확인하기에 충분한 정보, 예를 들어 정식 명칭, 정식 부호, 별명, 유기체, 및/또는 이들 효소에 대한 서열 데이터베이스 승인 번호가 포함된다:
[표 1]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그들의 히드록실 지방산 유도체를 생성하기 위해 LCPUFA 오일 및 지방산을 처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리폭시게나제 (LOX), 시클로옥시게나제 (COX), 시토크롬 P450 (CYP) 효소, 및 기타 헴-함유 효소
리폭시게나제 유형 효소
ALOX12
정식 부호: ALOX12 및 명칭: 아라키도네이트 12-리폭시게나제 [호모 사피엔스 (Homo sapiens)]
기타 별명: HGNC:429, LOG12
기타 명칭: 12(S)-리폭시게나제; 혈소판-유형 12-리폭시게나제/아라키도네이트 12-리폭시게나제
염색체: 17; 위치: 17p13.1GeneID: 239
Alox5
정식 부호: Alox5 및 명칭: 아라키도네이트 5-리폭시게나제 [래투스 노르베기쿠스 (Rattus norvegicus)]
기타 별명: RGD:2096, LOX5A
기타 명칭: 5 - 리폭시게나제; 5-리폭시게나제
염색체: 4; 위치: 4q42GeneID: 25290
ALOXE3
정식 부호: ALOXE3 및 명칭: 아라키도네이트 리폭시게나제 3 [호모 사피엔스]
기타 별명: HGNC:13743
기타 명칭: 표피성 리폭시게나제; 리폭시게나제-3
염색체: 17; 위치: 17p13.1GeneID: 59344
LOC425997
아라키도네이트 리폭시게나제 3; 표피성 리폭시게나제; 리폭시게나제-3과 유사함 [갈루스 갈루스 (Gallus gallus)]
염색체: UnGeneID: 425997
LOC489486
아라키도네이트 12-리폭시게나제, 12R 유형 (표피-유형 리폭시게나제 12) (12R-리폭시게나제) (12R-LOX)와 유사함 [칸니스 파밀리아리스 (Canis familiaris)]
염색체: 5GeneID: 489486
LOC584973
아라키도네이트 12-리폭시게나제, 12R 유형 (표피-유형 리폭시게나제 12) (12R-리폭시게나제) (12R-LOX)와 유사함 [스트롱길로센트로투스 푸르푸라투스 (Strongylocentrotus purpuratus)]
염색체: UnGeneID: 584973
LOC583202
아라키도네이트 12-리폭시게나제, 12R 유형 (표피-유형 리폭시게나제 12) (12R-리폭시게나제) (12R-LOX)와 유사함 [스트롱길로센트로투스 푸르푸라투스]
염색체: UnGeneID: 583202
LOC579368
아라키도네이트 12-리폭시게나제, 12R 유형 (표피-유형 리폭시게나제 12) (12R-리폭시게나제) (12R-LOX)와 유사함 [스트롱길로센트로투스 푸르푸라투스]
염색체: UnGeneID: 579368
LOC504803
아라키도네이트 12-리폭시게나제, 12R 유형 (표피-유형 리폭시게나제 12) (12R-리폭시게나제) (12R-LOX)와 유사함 [보스 타우루스 (Bos taurus)]
염색체: UnGeneID: 504803
ALOX5
정식 부호: ALOX5 및 명칭: 아라키도네이트 5-리폭시게나제 [호모 사피엔스]
기타 별명: HGNC:435, 5-LO, 5LPG, LOG5
기타 명칭: 아라키돈산 5-리폭시게나제; 류코트리엔 A4 신타제
염색체: 10; 위치: 10q11.2GeneID:240
OSJNBa0057G07
15 리폭시게나제 L-2; 리폭시게나제 [오리자 사티바 (Oryza sativa) (자포니카 재배종-군)]
GeneID:3044798
Alox15b
정식 부호: Alox15b 및 명칭: 아라키도네이트 15-리폭시게나제, 제2 유형 [무스 무스쿨루스 (Mus musculus)]
기타 별명: MGI:1098228, 8-LOX, 8S-LOX, Alox8
기타 명칭: 8S-리폭시게나제
염색체: 11; 위치: 11 B4GeneID: 11688
ALOX5AP
정식 부호: ALOX5AP 및 명칭: 아라키도네이트 5-리폭시게나제-활성화 단백질 [호모 사피엔스]
기타 별명: HGNC:436, FLAP
기타 명칭: MK-886-결합성 단백질; 5-리폭시게나제 활성화 단백질
염색체: 13; 위치: 13q12GeneID: 241
LOC489485
아라키도네이트 15-리폭시게나제, 유형 II (15-LOX-2) (8S-리폭시게나제) (8S-LOX)와 유사함 [칸니스 파밀리아리스]
염색체: 5GeneID: 489485
LOC557523
아라키도네이트 5-리폭시게나제 (5-리폭시게나제) (5-LO)와 유사함 [다니오 레리오 (Danio rerio)]
염색체: 15GeneID: 557523
Alox5ap
정식 부호: Alox5ap 및 명칭: 아라키도네이트 5-리폭시게나제 활성화 단백질 [무스 무스쿨루스]
기타 별명: MGI:107505, Flap
기타 명칭: 아라키도네이트 5-리폭시게나제 활성화 단백질
염색체: 5GeneID: 11690
LOC562561
아라키도네이트 5-리폭시게나제 (5-리폭시게나제) (5-LO)와 유사함 [다니오 레리오]
염색체: UnGeneID: 562561
LOC423769
아라키도네이트 5-리폭시게나제 (5-리폭시게나제) (5-LO)와 유사함 [갈루스 갈루스]
염색체: 6GeneID: 423769
LOC573013
아라키도네이트 5-리폭시게나제 (5-리폭시게나제) (5-LO)와 유사함 [다니오 레리오]
염색체: UnGeneID: 573013
LOC584481
아라키도네이트 5-리폭시게나제 (5-리폭시게나제) (5-LO)와 유사함 [스트롱길로센트로투스 푸르푸라투스]
염색체: UnGeneID: 584481
5LOX-감자
AAD04258. 보고서 5-리폭시게나제 [S...[gi:2789652]
15-LOX 대두
P08170. 보고서 종자 리폭시게나제...[gi:126398]
12-LOX-돼지
D10621. 보고서 수스 스크로타 (Sus scrota) 유전자 f...[gi:60391233]
B) 시클로옥시게나제 효소
C0X2-인간
AAN87129. 보고서 프로스타글란딘 신타제...[gi:27151898]
C) 헤모글로빈 함유 효소
HBA1
정식 부호: HBA1 및 명칭: 헤모글로빈, 알파 1 [호모 사피엔스]
기타 별명: HGNC:4823, CD31
기타 명칭: 알파 1 글로빈; 알파 원 글로빈; 알파-1 글로빈; 알파-1-글로빈; 알파-2 글로빈; 알파-2-글로빈; 헤모글로빈 알파 1 글로빈 쇄; 헤모글로빈 알파 2; 헤모글로빈 알파-1 쇄; 헤모글로빈 알파-2
염색체: 16; 위치: 16p13.3GeneID: 3039
HBB
정식 부호: HBB 및 명칭: 헤모글로빈, 베타 [호모 사피엔스]
기타 별명: HGNC:4827, CD113t-C, HBD, 헤모글로빈
기타 명칭: 베타 글로빈; 베타 글로빈 쇄; 헤모글로빈 A 베타 쇄; 헤모글로빈 베타 쇄; 헤모글로빈 델타 에톨리아 (Etolia) 변이체
염색체: 11; 위치: 11p15.5GeneID: 3043
HBG1
정식 부호: HBG1 및 명칭: 헤모글로빈, 감마 A [호모 사피엔스]
기타 별명: HGNC:4831, HBGA, HBGR, HSGGL1, PRO2979
기타 명칭: A-감마 글로빈; 감마 A 헤모글로빈; 감마 글로빈; 헤모글로빈 감마-a 쇄; 헤모글로빈, 감마, 조절제
염색체: 11; 위치: 11p15.5GeneID: 3047
D) 시토크롬 P450 유형 효소
(유전자, 유기체,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SwissProt,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EMBL/Genbank/DDBJ)
CYP4A11, 호모 사피엔스, CP4AB HUMAN, L04751 D26481 S67580 S67581 AF525488 AY369778 X71480
CYP4A4, 오릭톨라구스 쿠니쿨루스 ( Oryctolagus cuniculus ), CP4A4 RABIT, L04758 J02818
CYP4A5, 오릭톨라구스 쿠니쿨루스, CP4A5 RABIT, M28655 X57209
CYP4A6, 오릭톨라구스 쿠니쿨루스, CP4A6 RABIT, M28656 M29531
CYP4A7, 오릭톨라구스 쿠니쿨루스, CP4A7 RABIT, M28657 M29530
CYP4B1, 호모 사피엔스, CP4B1 HUMAN, J02871 X16699 AF491285 AY064485 AY064486
CYP4B1, 오릭톨라구스 쿠니쿨루스, CP4B1 RABIT, M29852 AF176914 AF332576
CYP4C1, 블라베루스 디스코이달리스 ( Blaberus discoidalis ), CP4C1 BLADI, M63798
CYP4C21, 블라텔라 게르마니카 ( Blattella germanica ), CP4CU BLAGE, AF275641
CYP4E4,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 Drosophila melanogaster ), C4AE1 DROME, AE003423 AL009194 AY058450 U34331
CYP4F11, 호모 사피엔스, CP4FB HUMAN, AF236085 BC016853 AC005336
CYP4F12, 호모 사피엔스, CP4FC HUMAN, AY008841 AB035130 AB035131 AY358977
CYP4F2, 호모 사피엔스, CP4F2 HUMAN, D26480 U02388 AB015306 AF467894 AC005336 BC067437 BC067439 BC067440 AF221943
CYP4F3 호모 사피엔스 CP4F3 HUMAN, D12620 D12621 AB002454 AB002461 AF054821 AY792513
CYP4F8 호모 사피엔스 CP4F8 HUMAN, AF133298
CYP4V2 호모 사피엔스 CP4V2 HUMAN, AY422002 AK122600 AK126473 BC060857
CYP4V2, 폰고 피그매우스 ( Pongo pygmaeus ) CP4V2 PONPY, CR858234
CYP4X1, 호모 사피엔스 CP4X1 HUMAN, AY358537 AK098065 BC028102
CYP4Z1, 호모 사피엔스 CP4Z1 HUMAN, AY262056 AY358631
Cyp4a1, 라투스 노르베기쿠스 ( Rattus norvegicus ) CP4A1 RAT, M14972 X07259 M57718
Cyp4a2, 라투스 노르베기쿠스 CP4A2 RAT, M57719 BC078684
Cyp4a3, 라투스 노르베기쿠스 CP4A3 RAT, M33936
Cyp4a8, 라투스 노르베기쿠스 CP4A8 RAT, M37828
Cyp4aa1,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4AA1 DROME AE003808
Cyp4ac1,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4AC1 DROME AE003609 AY051602
Cyp4ac2,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4AC2 DROME, AE003609
Cyp4ac3,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4AC3 DROME, AE003609 AY061002
Cyp4ad1,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4AD1 DROME, AE003837 AY061058
Cyp4b1, 무스 무스쿨루스, CP4B1 MOUSE, D50834 BC008996
Cyp4b1 라투스 노르베기쿠스 CP4B1 RAT, M29853 BC074012
Cyp4c3,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P4C3 DROME, AE003775 BT010108 U34323
Cyp4d1,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P4D1 DROME, X67645 AF016992 AF016993 AF016994 AF016995 AF016996 AF016997 AF016998 AF016999 AF017000 AF017001 AF017002 AF017003 AF017004 AE003423 AE003423 Z98269
Cyp4d1, 드로소필라 시물란스 ( Drosophila simulans ), CP4D1 DROSl, AF017005
Cyp4d10, 드로소필라 메틀레리 ( Drosophila mettleri ), C4D10 DROMT, U91634
Cyp4d14,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4D14 DROME, AE003423 AL009194
Cyp4d2,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P4D2 DROME, X75955 Z23005 AE003423 AL009194 AY118763 AF017006 AF017007 AF017008 AF017009 AF017010 AF017011 AF017012 AF017013 AF017014 AF017015 AF017016 AF017017 AF017018
Cyp4d20,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4D20 DROME, AE003475
Cyp4d21,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4D21 DROME, AE003618
Cyp4d8,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P4D8 DROME, AE003558 AY058442 U34329
Cyp4e1,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P4E1 DROME, AE003837 AY118793
Cyp4e2,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P4E2 DROME, U56957 AE003837 AY058518 X86076 U34332
Cyp4e3,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P4E3 DROME, AE003626 U34330
Cyp4e5, 드로소필라 메틀레리, CP4E5 DROMT, U78486
Cyp4f1, 라투스 노르베기쿠스, CP4F1 RAT, M94548 AF200361
Cyp4f14, 무스 무스쿨루스, CP4FE MOUSE, AB037541 AB037540 AF233644 AK005007 AK018676 BC011228
Cyp4f4, 라투스 노르베기쿠스, CP4F4 RAT, U39206
Cyp4f5, 라투스 노르베기쿠스, CP4F5 RAT, U39207
Cyp4f6, 라투스 노르베기쿠스, CP4F6 RAT, U39208
Cyp4g1,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P4G1 DROME, AE003417 AL009188 U34328
Cyp4g15,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4G15 DROME, AF159624 AE003486 AY060719
Cyp4p1,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P4P1 DROME, AE003834 AY071584 U34327
Cyp4p2,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P4P2 DROME, AE003834 AY051564
Cyp4p3,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P4P3 DROME, AE003834 AY075201
Cyp4s3, 드로소필라 멜라노가스테르, CP4S3 DROME AE003498
Cyp4v3, 무스 무스쿨루스, CP4V3 MOUSE, AB056457 AK004724
Cyp4x1, 라투스 노르베기쿠스, CP4X1 RAT, AF439343
CYP2 계열의 시토크롬 P450 효소 (유전자은행으로부터의 서열)
유전자은행으로부터의 CYP2J2 서열
NM_000775
호모 사피엔스 시토크롬 P450, 계열 2, 아계열 J, 폴리펩티드 2 (CYP2J2)
gi|18491007|ref|NM_000775.2|[18491007]
NM_000770
호모 사피엔스 시토크롬 P450, 계열 2, 아계열 C, 폴리펩티드 8 (CYP2C8), 전사체 변이체 Hp1-1, mRNA
gi|13787188|ref|NM_000770.2|[13787188]
NM_030878
호모 사피엔스 시토크롬 P450, 계열 2, 아계열 C, 폴리펩티드 8 (CYP2C8), 전사체 변이체 Hp1-2, mRNA
gi|13787186|ref|NM_030878.1|[13787186]
NM_023025
라투스 노르베기쿠스 시토크롬 P450, 계열 2, 아계열 J, 폴리펩티드 4 (Cyp2j4), mRNA
gi|61889087|ref|NM_023025.2|[61889087]
DN992115
호모 사피엔스 시토크롬 P450, 계열 2, 아계열 J, 폴리펩티드 2 (CYP2J2), mRNA 서열과 유사한, TC119679 인간 성인 전뇌, 큰 삽입물, pCMV 발현 라이브러리 호모 사피엔스 cDNA 클론 TC119679 5'
gi|66251946|gb|DN992115.1|[66251946]
Z84061
시토크롬 P450 모노옥시게나제 CYP2J2, mRNA 서열과 유사한, SSZ84061 돼지 소장 cDNA 라이브러리 수스 스크로파 (Sus scrofa) cDNA 클론 c13dO9 5'
gi|1806390|emb|Z84061.1|[1806390]
BC091149
라투스 노르베기쿠스 시토크롬 P450, 계열 2, 아계열 J, 폴리펩티드 4, mRNA (cDNA 클론 MGC: 108684 IMAGE:7323516), 완전한 cds
gi|60688166|gb|BC091149.1|[60688166]
NW_380169
보스 타우루스 (Bos taurus) 염색체 Un 게놈 콘티그, 전 게놈 숏건 서열
gi|61630302|ref|NW_380169.1|BtUn_WGA215002_1[61630302]
BC032594
호모 사피엔스 시토크롬 P450, 계열 2, 아계열 J, 폴리펩티드 2, mRNA (cDNA 클론 MGC:44831 IMAGE:5527808), 완전한 cds
gi|21595666|gb|BC032594.1|[21595666]
NT_086582
호모 사피엔스 염색체 1 게놈 콘티그, 교대 어셈블리
gi|51460368|ref|NT_086582.1|Hs1_86277[51460368]
NT_032977
호모 사피엔스 염색체 1 게놈 콘티그
gi|51458674|ref|NT_032977.7|Hs1_33153[51458674]
CO581852
인간 CYP2J2 (Hs.152096), mRNA 서열과 고도로 유사한 염기 384 내지 953과 유사한, ILLUMIGEN_MCQ_46633 Katze_MMJJ 마카카 물라타 (Macaca mulatta) cDNA 클론 IBIUW:17960 5'
gi|50413382|gb|CO581852.1|[50413382]
AY410198
무스 무스쿨루스 CYP2J2 유전자, VIRTUAL TRANSCRIPT, 부분 서열, 게놈 검사 서열
gi|39766166|gb|AY410198.1|[39766166]
AY410197
판 트로글로디테스 (Pan troglodytes) CYP2J2 유전자, VIRTUAL TRANSCRIPT, 부분 서열, 게놈 검사 서열
gi|39766165|gb|AY410197.1|[39766165]
AY410196
호모 사피엔스 CYP2J2 유전자, VIRTUAL TRANSCRIPT, 부분 서열, 게놈 검사 서열
gi|39766164|gb|AY410196.1|[39766164]
AY426985
호모 사피엔스 시토크롬 P450, 계열 2, 아계열 J, 폴리펩티드 2 (CYP2J2) 유전자, 완전한 cds
gi|37574503|gb|AY426985.1|[37574503]
AB080265
시토크롬 P450 2J2에 대한 호모 사피엔스 CYP2J2 mRNA, 완전한 cds
gi|18874076|dbj|AB080265.1|[18874076]
AF272142
호모 사피엔스 시토크롬 P450 (CYP2J2) 유전자, 완전한 cds
gi|21262185|gb|AF272142.1|[21262185]
U37143
호모 사피엔스 시토크롬 P450 모노옥시게나제 CYP2J2 mRNA, 완전한 cds
gi|18254512|gb|U37143.2|HSU37143[18254512]
AF039089
호모 사피엔스 시토크롬 P450 (CYP2J2) 유전자, 부분 cds
gi|14486567|gb|AF039089.1|AF039089[14486567]
CYP5 계열의 시토크롬 P450 효소 (유전자은행으로부터의 서열)
NM_011539
무스 무스쿨루스 트롬복산 A 신타제 1, 혈소판 (Tbxas1), mRNA
gi|31981465|ref|NM_011539.2|[31981465]
NM_030984
호모 사피엔스 트롬복산 A 신타제 1 (혈소판, 시토크롬 P450, 계열 5, 아계열 A) (TBXAS1), 전사체 변이체 TXS-II, mRNA
gi|13699839|ref|NM_030984.1|[13699839]
NM_001061
호모 사피엔스 트롬복산 A 신타제 1 (혈소판, 시토크롬 P450, 계열 5, 아계열 A) (TBXAS1), 전사체 변이체 TXS-I, mRNA
gi|13699838|ref|NM_001061.2|[13699838]
BC041157
호모 사피엔스 트롬복산 A 신타제 1 (혈소판, 시토크롬 P450, 계열 5, 아계열 A), 전사체 변이체 TXS-I, mRNA (cDNA 클론 MGC:48726 IMAGE:5755195), 완전한 cds
gi|27371225|gb|BC041157.1|[27371225]
CYP8 계열의 시토크롬 P450 효소 (유전자은행으로부터의 서열)
NM_000961
호모 사피엔스 프로스타글란딘 12 (프로스타시클린) 신타제 (PTGIS), mRNA
gi|61676177|ref|NM_000961.3|[61676177]
NM_008968
무스 무스쿨루스 프로스타글란딘 12 (프로스타시클린) 신타제 (Ptgis), mRNA
gi|31982083|ref|NM_008968.2|[31982083]
D83402
프로스타시클린 신타제에 대한 호모 사피엔스 PTGIS(CYP8) 유전자, 완전한 cds
gi|60683846|dbj|D83402.2|[60683846]
BC062151
무스 무스쿨루스 프로스타글란딘 12 (프로스타시클린) 신타제, mRNA (cDNA 클론 MGC:70035 IMAGE:6512164), 완전한 cds
gi|38328177|gb|BC062151.1|[38328177]
a) DPAn-6-유래된 옥시리핀
DPAn-6-유래된 옥시리핀 (DPAn-6으로부터의 옥시리핀, 또는 보다 특히, 도코사노이드로서 지칭되기도 함)에는 DPAn-6의 모든 모노히드록시, 디히드록시, 트리히드록시 또는 다가-히드록시 유도체의 R- 또는 S-에피머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DPAn-6에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형성하는 모든 탄소 하에서의 히드록시 유도체화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예시적인 신규한 DPAn-6-유래된 옥시리핀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DPAn-6의 모노히드록시 생성물, 예를 들어 7-히드록시 DPAn-6, 8-히드록시 DPAn-6, 10-히드록시 DPAn-6, 11-히드록시 DPAn-6, 13-히드록시 DPAn-6, 14-히드록시 DPAn-6, 및 17-히드록시 DPAn-6 (가장 특히, 17-히드록시 DPAn-6)의 R- 및 S-에피머; DPAn-6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예를 들어 7,17-디히드록시 DPAn-6, 10,17-디히드록시 DPAn-6, 13,17-디히드록시 DPAn-6, 7,14-디히드록시 DPAn-6, 8,14-디히드록시 DPAn-6, 16,17-디히드록시 DPAn-6, 및 4,5-디히드록시 DPAn-6 (가장 특히, 10,17-디히드록시 DPAn-6)의 R 및 S 에피머; 및 DPAn-6의 트리히드록시 유도체, 예를 들어 7,16,17-트리히드록시 DPAn-6 및 4,5,17-트리히드록시 DPAn-6의 R 및 S 에피머. DPAn-6 옥시리핀의 구조가 실시예 3, 6, 8, 및 11 및 도 3A-3D, 도 6, 도 8, 도 11 및 도 15에 기재되고/되거나 도시되어 있다.
DPAn-6의 효소적 (15-리폭시게나제, 5-리폭시게나제, 12-리폭시게나제 및 헤모글로빈) 전환의 각종 도코사노이드 생성물의 구조가 실시예 3, 6, 8, 및 11에 제시되어 있다. 이들 DPAn-6 유도체는 동일한 효소를 사용하는 경우에 DHA (실시예 2, 7 및 10) 및 DPAn-3 (실시예 4, 9, 및 12)으로부터 생성된 것과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실시예 3 내지 12는 DPAn-6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DHA, DPAn-3 및 DTAn-6으로부터 도코사노이드 생성물을 생성시키는 것을 나타내며, 실시예 13은 DHA/DPAn-6 LCPUFA 오일에서 발견되는 옥시리핀 (도코사노이드) 생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b) DPAn-3-유래된 옥시리핀
DPAn-3-유래된 옥시리핀 (DPAn-3으로부터의 옥시리핀, 또는 보다 특히, 도코사노이드로서 지칭되기도 함)에는 DPAn-3의 모든 모노히드록시, 디히드록시, 트리히드록시 또는 다가-히드록시 유도체의 R- 또는 S-에피머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DPAn-3에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형성하는 모든 탄소 하에서의 히드록시 유도체화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예시적인 신규한 DPAn-3-유래된 옥시리핀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DPAn-3의 모노히드록시 생성물, 예를 들어 7-히드록시 DPAn-3, 10-히드록시 DPAn-3, 11-히드록시 DPAn-3, 13-히드록시 DPAn-3, 14-히드록시 DPAn-3, 16-히드록시 DPAn-3, 및 17-히드록시 DPAn-3의 R- 및 S-에피머; DPAn-3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예를 들어 7,17-디히드록시 DPAn-3, 10,17-디히드록시 DPAn-3, 8,14-디히드록시 DPAn-3, 16,17-디히드록시 DPAn-3, 13,20-디히드록시 DPAn-3, 및 10,20-디히드록시 DPAn-3의 R 및 S 에피머; 및 DPAn-3의 트리히드록시 유도체, 예를 들어 7,16,17-트리히드록시 DPAn-3의 R 및 S 에피머. DPAn-3 옥시리핀의 구조가 실시예 4, 9, 및 12 및 도 4A-4D, 도 9, 도 12 및 도 16에 기재되고/되거나 도시되어 있다.
c) DTAn-6-유래된 옥시리핀
DTAn-6-유래된 옥시리핀 (DTAn-6으로부터의 옥시리핀, 또는 보다 특히, 도코사노이드로서 지칭되기도 함)에는 DTAn-6의 모든 모노히드록시, 디히드록시, 트리히드록시 또는 다가-히드록시 유도체의 R- 또는 S-에피머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DTAn-6에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형성하는 모든 탄소 하에서의 히드록시 유도체화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예시적인 신규한 DTAn-6-유래된 옥시리핀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DTAn-6의 모노히드록시 생성물, 예를 들어 7-히드록시 DTAn-6, 10-히드록시 DTAn-6, 13-히드록시 DTAn-6, 및 17-히드록시 DTAn-6의 R- 및 S-에피머; DTAn-6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예를 들어 7,17-디히드록시 DTAn-6, 10,17-디히드록시 DTAn-6, 및 16,17-디히드록시 DTAn-6의 R 및 S 에피머; 및 DTAn-6의 트리히드록시 유도체, 예를 들어 7,16,17-트리히드록시 DTAn-6의 R 및 S 에피머. DTAn-6 옥시리핀의 구조가 실시예 5 및 도 5A-5C 및 도 17에 기재되고/되거나 도시되어 있다.
d) 신규한 C22-PUFA-유래된 옥시리핀
기타 신규한 C22-PUFA-유래된 옥시리핀 (C22-PUFA로부터의 옥시리핀, 또는 보다 특히, 도코사노이드로서 지칭되기도 함)에는 C22-PUFAs의 모든 모노히드록시, 디히드록시, 트리히드록시 또는 다가-히드록시 유도체의 R- 또는 S-에피머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C22-PUFAs에서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형성하는 모든 탄소 하에서의 히드록시 유도체화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포괄되는 몇몇 예시적인 신규한 도코사노이드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4,5-에폭시-17-히드록시 DPA; 7,8-에폭시 DHA; 10,11-에폭시 DHA; 13,14-에폭시 DHA; 19,20-에폭시 DHA; 13,14-디히드록시 DHA; 16,17-디히드록시 DTAn-6; 7,16,17-트리히드록시 DTAn-6; 4,5,17-트리히드록시 DTAn-6; 7,16,17-트리히드록시 DTAn-3; 16,17-디히드록시 DTAn-3; 16,17-디히드록시 DTRAn-6; 7,16,17-트리히드록시 DTRAn-6; 4,5-디히드록시 DTAn-6; 및 10,16,17-트리히드록시 DTRAn-6. 이들 C22-PUFA-유래된 도코사노이드의 구조가 도 23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DPAn-6-, DTAn-6- 및 DPAn-3-유래된 옥시리핀, 또는 기타 C22-PUFA-유래된 옥시리핀 뿐만 아니라 이러한 본 발명의 옥시리핀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는 화학적 합성 또는 생물학적 합성, 예를 들어 드 노보 합성 또는 기질의 효소적 전환 방법에 의해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옥시리핀은 천연 공급원 (다음에 기재됨)으로부터 기질을 단리, 강화 및/또는 전환시킴으로써 생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구체적인 LCPUFA "로부터 유래된" 옥시리핀, 예를 들어 "DPAn-6-유래된 옥시리핀" 또는 "DPAn-6 옥시리핀 유도체", 또는 "DPAn-6 옥시리핀 유사체"란 언급은 기질로서 DPAn-6을 사용하여 생성시킬 수 있는 옥시리핀의 구조에 관한 지식을 이용하여,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생성시킬 수 있는 옥시리핀을 지칭한다. 이러한 옥시리핀은 반드시 효소적 반응이나 생물학적 시스템에 의해 생성시킬 필요는 없지만,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화학적으로 새로이 합성할 수도 있다. 또한, 천연 발생적 DPAn-6 옥시리핀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는 천연 발생적 DPAn-6 옥시리핀의 구조에 기초하여 고안할 수 있지만, 한 가지 이상의 변형에 의해 천연 발생적 DPAn-6 옥시리핀과는 상이하다. 이러한 유사체는 또한, 화학적 합성 방법을 사용하거나 생물학적 생성 방법 (예: 효소 반응)을 변형시킴으로써 사용하여 새로이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옥시리핀을 생성하는 방법, 예를 들어 상기 옥시리핀의 천연 공급원을 강화시키는 방법, 및 기질을 효소적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옥시리핀과 같은 화합물에 대한 화학적 합성 방법은 당해 분야에 또한 공지되어 있고, 이는 본 발명의 신규한 옥시리핀 화합물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이 또한 본원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도코사노이드-유사 화합물" 또는 "도코사노이드 유사체" 또는 "도코사노이드 유도체"란 표현에는 본원에 기재된 모든 도코사노이드의 유사체가 포함되는데, 이에는 3개 이상의 올레핀기 (탄소-탄소 이중 결합)를 갖는 C22 지방산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신규한 모든 도코사노이드가 포함된다. 유사한 표현을 또한 사용하여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모든 옥시리핀의 유사체 및 유도체를 보다 일반적으로 기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옥시리핀-유사 화합물, 옥시리핀 유사체, 옥시리핀 유도체).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 "유사체"는 또 다른 화합물과 구조적으로는 유사하지만, 조성에 있어 약간 상이한 (1개의 원자가 상이한 원소의 원자로 대체되거나, 특별한 관능기가 존재하거나 또는 1개의 관능기가 또 다른 관능기로 대체된다) 화학적 화합물을 지칭한다. 따라서, 유사체는 기준 화합물과 기능 및 외관 상으로는 유사하거나 필적하지만, 구조나 기원 측면에서는 그렇치 못한 화합물이다. 예를 들어, 기준 화합물은 기준 도코사노이드, 예를 들어 DHA, DPAn-6, DPAn-3 또는 DTAn-6으로부터 유래된 도코사노이드일 수 있고, 유사체는 기준 도코사노이드와 유사한 화학적 구조 또는 화학적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물질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기재하기 위해 사용된 경우의 용어 "치환된", "치환된 유도체" 및 "유도체"는 치환되지 않은 화합물과 결합된 1개 이상의 수소가 상이한 원자 또는 화학적 부분으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치환체의 예에는 히드록시, 알킬, 할로겐, 니트로, 시아노, 헤테로사이클, 아릴, 헤테로아릴, 아미노, 아미드, 에스테르, 에테르, 카복실산, 티올, 티오에스테르, 티오에테르, 설폭시드, 설폰, 카바메이트, 펩티딜, PO3H2, 및 그들의 혼합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도체가 모 화합물과 유사한 물리적 구조를 지니고 있긴 하지만, 유도체는 모 화합물과는 상이한 화학적 및/또는 생물학적 특성을 지닐 수 있다. 이러한 특성에는 모 화합물의 활성 증가 또는 저하, 모 화합물과 비교해서 새로운 활성, 증강되거나 감소된 생체내 이용 효율, 증강되거나 감소된 효능, 증강되거나 감소된 시험관내 및/또는 생체내 안정성, 및/또는 증강되거나 감소된 흡수 특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키랄 중심을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광학적 활성 및 라세미 형태로 존재하고 단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몇몇 화합물을 다형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이 본원에 기재된 유용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라세미, 광학적 활성, 다형성 또는 입체이성체성 형태,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괄한다는 것을 인지해야 하고, 광학적 활성 형태를 제조하는 방법 (예를 들어, 라세미 형태를 재결정화 기술에 의해 분해시키거나, 광학적 활성 출발 물질로부터 합성하거나, 키랄 합성하거나, 또는 키랄 정지 상을 이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 분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및, 예를 들어 본원에 기재된 표준 시험을 사용하거나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기타 유사한 시험을 사용하여 소염 활성을 결정하는 방법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기재된 모든 옥시리핀, 및 특히 본원에 기재된 모든 도코사노이드, 및 보다 특히, 예를 들어 도 2A-2D, 3A-3D, 4A-4D, 5A-5C, 6-17, 18A-18C 및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이적 도코사노이드의 프로드럭 (prodrug)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각종 형태의 프로드럭이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프로드럭 유도체의 예에 대해서는 다음 문헌을 참고할 수 있다 [참고: a) Design of Prodrugs, edited by H. Bundgaard, (Elsevier, 1985) and Methods in Enzymology, Vol. 42, p. 309-396, edited by K. Widder, et al. (Academic Press, 1985); b) A Textbook of Drug Design and Development, edited by Krogsgaard-Larsen and H. Bundgaard, Chapter 5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drugs," by H. Bundgaard p. 113-191 (1991); c) H. Bundgaard,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8, 1-38 (1992); d) H. Bundgaard, et al.,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77:285 (1988); and e) N. Kakeya, et al., Chem. Pharm. Bull., 32: 692 (1984) (이들 각각은 본원에 구체적으로 참고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본원에 기재된 모든 옥시리핀, 및 특히 본원에 기재된 모든 도코사노이드, 및 보다 특히, 예를 들어 도 2A-2D, 3A-3D, 4A-4D, 5A-5C, 6-17, 18A-18C 및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이적 도코사노이드의 화합물의 용매화물, 대사물, 및 염 (바람직하게는,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이 포함되기도 한다.
용어 "용매화물"은 특정 분자와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와의 응집체를 지칭한다. "대사물"은 체내 또는 유기체에서 명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생체내 대사를 통하여 생성된 약리학적 활성 생성물이다. 이러한 생성물은, 예를 들어 투여되거나 생성된 화합물의 산화, 환원, 가수분해, 아미드화, 탈아미드화, 에스테르화, 탈에스테르화, 효소적 절단 등으로부터 비롯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본원에 기재된 모든 옥시리핀, 및 특히 본원에 기재된 모든 도코사노이드, 및 보다 특히, 예를 들어 도 2A-2D, 3A-3D, 4A-4D, 5A-5C, 6-17, 18A-18C 및 2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이적 도코사노이드의 화합물의 대사물이 포함되는데, 이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그의 대사 생성물을 산출시키는데 충분한 시간 동안 유기체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생성된 화합물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염"에는 명시된 화합물의 자유 산 및 염기의 생물학적 효능을 보유하고 있고 생물학적으로나 그 밖에 바람직한 염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충분히 산성인 관능기, 충분히 염기성인 관능기, 또는 충분히 산성이면서 염기성인 관능기를 보유할 수 있으므로, 수 많은 무기 또는 유기 염기, 및 무기 및 유기 산과 반응하여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의 예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무기 또는 유기 산 또는 무기 염기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된 염, 예를 들어 설페이트, 피로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설파이트, 바이설파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히드로겐포스페이트, 디히드로겐포스페이트, 메타포스페이트, 피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데카노에이트, 카프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 포르메이트, 이소부티레이트, 카프로에이트, 헵타노에이트, 프로피올레이트, 옥살레이트, 말로네이트, 석시네이트, 수베레이트, 세바케이트, 푸마레이트, 말레에이트, 부틴-1,4-디오에이트, 헥신-1,6-디오에이트, 벤조에이트, 클로로벤조에이트, 메틸벤조에이트, 디니트로멘조에이트, 히드록시벤조에이트, 메톡시벤조에이트, 프탈레이트, 설포네이트, 크실렌설포네이트, 페닐아세테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페닐부티레이트, 시트레이트, 락테이트, .감마.-히드록시부티레이트, 글리콜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프로판설포네이트, 나프탈렌-1-설포네이트, 나프탈렌-2-설포네이트, 및 만델레이트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단일 화합물은 1개 이상의 산성 또는 염기성 부분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합물에는 단일 화합물 중에 모노, 디 또는 트리-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염기인 경우, 목적하는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은 당해 분야에 이용 가능한 적합한 모든 방법, 예를 들어 자유 염기를 산성 화합물, 특히 무기 산,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유기 산, 예를 들어 아세트산, 말레산, 석신산, 만델산, 푸마르산, 말론산, 피루브산, 옥살산, 글리콜산, 살리실산, 피라노시딜산, 예를 들면 글루쿠론산 또는 갈락투론산, 알파히드록시산, 예를 들면 시트르산 또는 타르타르산, 아미노산, 예를 들면 아스파르트산 또는 글루탐산, 방향족 산, 예를 들면 벤조산 또는 신남산, 설폰산, 예를 들면 p-톨루엔설폰산 또는 에탄설폰산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산인 경우, 목적하는 제약상 허용 가능한 염은 적합한 모든 방법, 예를 들어 자유 산을 무기 또는 유기 염기로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한 무기 염은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 예를 들어 리튬, 나트륨, 칼륨, 바륨 및 칼슘과 형성된 염이다. 바람직한 유기 염기 염에는, 예를 들어 암모늄, 디벤질암모늄, 벤질암모늄, 2-히드록시에틸암모늄, 비스(2-히드록시에틸)암모늄, 페닐에틸벤질아민, 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의 염이 포함된다. 산성 부분의 기타 염에는, 예를 들어 프로카인, 퀴닌 및 N-메틸글루코사민과 형성된 염 + 염기성 아미노산, 예를 들어 글리신, 오르니틴, 히스티딘, 페닐글리신, 리신 및 아르기닌과 형성된 염이 포함될 수 있다.
DPAn-6, DPAn-3, DTAn-6, 기타 C22-LCPUFA, 기타 LCPUFA 및/또는 그들로부터 유래된 옥시리핀을 함유하는 오일, 조성물, 제형 또는 생성물
본 발명에는 본원에 기재된 LCPUFA 및/또는 LCPUFA 옥시리핀을 포함하는 오일, 조성물, 제형 및 생성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용어 "생성물"은 본 발명의 모든 오일, 조성물 또는 제형을 일반적이거나 총칭적으로 기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생성물의 사용 맥락에 따라서 하나의 용어가 또 다른 용어에 비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오일, 조성물 및 제형에는 적어도 DPAn-6, DTAn-6 또는 DPAn-3, 또는 그들로부터 유래된 옥시리핀, 또는 그들의 모든 조합물이 포함되고, 부가적으로 기타 모든 LCPUFA 및/또는 그들로부터 유래된 모든 옥시리핀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옥시리핀은 모든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생물발생적) 방법, 예를 들어 드 노보 합성, 모든 공급원으로부터의 효소적 전환 (예를 들어, 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 시토크롬 P450 효소 및 기타 헴-함유 효소를 포함한 효소에 의함), 모든 공급원으로부터의 정제, 및 모든 생물학적 공급원 (예: 미생물, 식물, 동물 공급원)으로부터의 생성에 의해 생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LCPUFA-유래된 옥시리핀 (LCPUFA 옥시리핀으로서 공지되기도 함), 예를 들어 DHA, EPA, DPAn-6, DTAn-6, 및/또는 DPAn-3으로부터 유래된 모든 옥시리핀 (LCPUFA-유래된 도코사노이드가 바람직하고, DPAn-6, DTAn-6, 또는 DPAn-3으로부터 유래된 옥시리핀이 특히 바람직하다)이 존재하도록 오일을 강화시킨다. 또 다른 양태에서, LCPUFA-유래된 옥시리핀을 함유하는 오일, 조성물 또는 제형은, 이러한 오일, 조성물 또는 제형 중의 LCPUFA 옥시리핀의 안정성, 흡수성, 생체 활성, 생체내 이용 효율 또는 효능을 보유하고/하거나 개선시키도록 생성, 가공 또는 처리한다. 오일, 조성물 또는 제형을 생성, 처리 및 보충하는 각종 방법이 다음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LCPUFA 및 LCPUFA-유래된 옥시리핀의 공급원
LCPUFA의 모든 공급원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LCPUFA, 옥시리핀, 오일, 조성물 또는 제형을 생성시킬 수 있는데, 이에는 예를 들어, 동물 (무척추 및 척추 동물), 식물 및 미생물 공급원이 포함된다.
동물 공급원의 예에는 수생 동물 [예: 어류, 해양 포유류, 및 갑각류, 예를 들어 크릴 새우 및 기타 유파우시드 (euphausid)] 및 동물 조직 (예: 뇌, 간, 눈 등)으로부터 추출된 액상물이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한 공급원에는 미생물과 식물이 포함된다. LCPUFA의 바람직한 미생물 공급원에는 해조류, 진균 [효모 및 모르티에렐라 (Mortierella) 속의 필라멘트상 진균 포함], 원생생물 및 세균이 포함된다. 해조류와 같은 미생물 공급원을 사용하는 것은 관능 (organoleptic)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데, 즉 미생물 공급원으로부터의 지방산은 어류 공급원으로부터의 지방산에게서 흔히 맡을 수 있는 비린내가 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어류 오일은 본 발명에 포함되기도 한다. 어류 오일이 천연적으로 산화 공정을 진행하여 어류 오일에 나쁜 악취를 제공해주는 알데히드와 케톤이 생성되긴 하지만, 본 발명은 특이적 화합물의 "지시되"거나 "표적화된" 산화를 활용하여, 상기 도코사노이드를 함유하는 오일 (이에는 어류 오일이 포함된다)에 양질을 제공해주는 도코사노이드 또는 도코사노이드의 혼합물을 생성시킨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DHA 및/또는 EPA, 및 DPAn-6, DTAn-6 및/또는 DPAn-3을 함유하는 어류 오일이 본 발명에 활용된다.
세균성 공급원의 예에는 해양 세균성 공급원, 예를 들어 쉐와넬라 (Shewanella) 및 비브리오 (Vibrio) 속 구성원이 포함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LCPUFA 공급원이 해조류 또는 원생동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해조류 및 원생동물 속은 스트라메노필라 (Stramenopila) 계의 구성원, 보다 바람직하게는 해조류군의 구성원: 디노플라겔라테스 (dinoflagellates), 규조류 (diatoms), 크리소피테스 (chrysophytes) 또는 트라우스토키트리드 (thraustochytrid)이다.
바람직하게는, 디노플라겔라테스가 크립테코디늄 (Crypthecodinium) 속의 구성원,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크립테코디늄 코흐니이 (Crypthecodinium cohnii) 종의 구성원이다.
진전된 새로운 단계로 인해, 트라우스토키트리드의 분류법이 자주 개정되었다. 분류학적 이론가들은 일반적으로, 트라우스토키트리드를 해조류 또는 해조류-유사 원생동물로 분류하였다. 그러나, 분류학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다음 유기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기재된 균주를 트라우스토키트리드로서 간주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상 최상일 것이다: 목 (Order): 트라우스토키트리알레스 (Thraustochytriales); 과 (Family): 트라우스토키트리아세애 (Thraustochytriaceae) [속: 트라우스토키트륨 (Thraustochytrium) (본원의 경우에는, 울케니아 (Ulkenia)가 포함되지만, 몇 가지는 별개의 속으로서 간주된다), 쉬조키트륨 (Schizochytrium), 자포노키트륨 (Japonochytrium), 아플라노키트륨 (Aplanochytrium), 또는 엘리나 (Elina)] 또는 라비린툴라세애 (Labyrinthulaceae) [속: 라비린툴라 (Labyrinthula), 라비린툴로이데스 (Labyrinthuloides), 또는 라비린토믹사 (Labyrinthomyxa)]. 또한, 다음 속이 종종, 트라우스토키트리아세애 또는 라비린툴라세애 과에 포함된다: 알토르니아 (Althornia), 코랄로키트륨 (Corallochytrium), 디플로피리스 (Diplophyrys), 및 피로소루스 (Pyrrhosorus).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는 트라우스토키트리드 또는 트라우스토키트리알레스 목의 구성원에 관한 언급이 포괄된다. 본 발명이 개발된 시점에서는 트라우스토키트리드의 분류법 개정으로 인해, 이를 라비린툴라세애 과 중의 라비린툴로이데스 속으로 분류하였고, 트라우스토키트리아세애 및 라비린툴라세애 2개 과를 스트라메노필레 (Stramenopile) 계통 내에 두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라비린툴라세애는 종종 라비린툴리드 또는 라비린툴라 또는 라비린툴로이데스로 흔해 불리우고, 트라우스토키트리아세애는 흔히 트라우스토키트리드로 불리우기도 하지만,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트라우스토키트리드에 관한 언급에는 트라우스토키트리알레스 목의 모든 구성원이 포괄되고/되거나 트라우스토키트리아세애와 라비린툴라세애 둘 다의 구성원이 포함된다. 이러한 해조류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407,957호, 제5,130,242호 및 제5,340,594호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에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데 특히 바람직한 LCPUFA 및 옥시리핀 공급원에는 다음을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 속으로부터의 미생물이 포함된다: 트라우스토키트리아세애에 속하는 트라우스토키트륨, 자포노키트륨, 아플라노키트륨, 엘리나 및 쉬조키트륨; 및 라비린툴라세애에 속하는 라비린툴라, 라비린툴로이데스 및 라비린토믹사. 이들 속에 속하는 바람직한 종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라비린툴라에 속하는 모든 종, 예를 들어 라비린툴라 종 (Labyrinthula sp.), 라비린툴라 알제리엔시스 (Labyrinthula algeriensis), 라비린툴라 시엔코브스키이 (Labyrinthula cienkowskii), 라비린툴라 카토니이 (Labyrinthula chattonii), 라비린툴라 코에노시스티스 (Labyrinthula coenocystis), 라비린툴라 마크로시스티스 (Labyrinthula macrocystis), 라비린툴라 마크로시스티스 아틀란티카 (Labyrinthula macrocystis atlantica), 라비린툴라 마크로시스티스 마크로시스티스 (Labyrinthula macrocystis macrocystis), 라비린툴라 마그니피카 (Labyrinthula magnifica), 라비린툴라 미누타 (Labyrinthula minuta), 라비린툴라 로스코펜시스 (Labyrinthula roscoffensis), 라비린툴라 발카노비이 (Labyrinthula valkanovii), 라비린툴라 비텔리나 (Labyrinthula vitellina), 라비린툴라 비텔리나 파시피카 (Labyrinthula vitellina pacifica), 라비린툴라 비텔리나 비텔리나 (Labyrinthula vitellina vitellina), 라비린툴라 조프피이 (Labyrinthula zopfii); 모든 라비린툴로이데스 종, 예를 들어 라비린툴로이데스 종 (Labyrinthuloides sp.), 라비린툴로이데스 미누타 (Labyrinthuloides minuta), 라비린툴로이데스 쉬조키트로프스 (Labyrinthuloides schizochytrops); 모든 라비린토믹사 종, 예를 들어 라비린토믹사 종 (Labyrinthomyxa sp.), 라비린토믹사 포흘리아 (Labyrinthomyxa pohlia), 라비린토믹사 사우바게아우이 (Labyrinthomyxa sauvageaui); 모든 아플라노키트륨 종, 예를 들어 아플라노키트륨 종 (Aplanochytrium sp.) 및 아플라노키트륨 케르구엘렌시스 (Aplanochytrium kerguelensis); 모든 엘리나 종, 예를 들어 엘리나 종 (Elina sp.), 엘리나 마리살바 (Elina marisalba), 엘리나 시노리피카 (Elina sinorifica); 모든 자포노키트륨 종, 예를 들어 자포노키트륨 종 (Japonochytrium sp.), 자포노키트륨 마리눔 (Japonochytrium marinum); 모든 쉬조키트륨 종, 예를 들어 쉬조키트륨 종 (Schizochytrium sp.), 쉬조키트륨 아그레가툼 (Schizochytrium aggregatum), 쉬조키트륨 리마시눔 (Schizochytrum limacinum), 쉬조키트륨 미누툼 (Schizochytrium minutum), 쉬조키트륨 옥토스포룸 (Schizochytrium octosporum); 및 모든 트라우스토키트륨 종, 예를 들어 트라우스토키트륨 종 (Thraustochytrium sp.), 트라우스토키트륨 아그레가툼 (Thraustochytrium aggregatum), 트라우스토키트륨 아루디멘탈레 (Thraustochytrium arudimentale), 트라우스토키트륨 아우레움 (Thraustochytrium aureum), 트라우스토키트륨 벤티콜라 (Thraustochytrium benthicola), 트라우스토키트륨 글로보숨 (Thraustochytrium globosum), 트라우스토키트륨 킨네이 (Thraustochytrium kinnei), 트라우스토키트륨 모티붐 (Thraustochytrium motivum), 트라우스토키트륨 파키데르뭄 (Thraustochytrium pachydermum), 트라우스토키트륨 프롤리페룸 (Thraustochytrium proliferum), 트라우스토키트륨 로세움 (Thraustochytrium roseum), 트라우스토키트륨 스트리아툼 (Thraustochytrium striatum), 울케니아 종 (Ulkenia sp.), 울케니아 미누타 (Ulkenia minuta), 울케니아 프로푼다 (Ulkenia profunda), 울케니아 라디아테 (Ulkenia radiate), 울케니아 사르카리아나 (Ulkenia sarkariana), 및 울케니아 비수르겐시스 (Ulkenia visurgensis). 이들 속에 속하는 특히 바람직한 종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모든 쉬조키트륨 종, 예를 들어 쉬조키트륨 아그레가툼, 쉬조키트륨 리마시눔, 쉬조키트륨 미누툼; 또는 모든 트라우스토키트륨 종 [이에는 전자 울케니아 종, 예를 들어 유. 비수르겐시스 (U. visurgensis), 유. 아모에보이다 (U. amoeboida), 유. 사르카리아나 (U. sarkariana), 유. 프로푼다 (U. profunda), 유. 라디아타 (U. radiata), 유. 미누타 (U. minuta) 및 울케니아 종 BP-5601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트라우스토키트륨 스트리아툼, 트라우스토키트륨 아우레움, 트라우스토키트륨 로세움; 및 모든 자포노키트륨 종. 트라우스토키트리알레스의 특히 바람직한 균주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쉬조키트륨 종 (S31)(ATCC 20888); 쉬조키트륨 종 (S8)(ATCC 20889); 쉬조키트륨 종 (LC-RM)(ATCC 18915); 쉬조키트륨 종 (SR21); 쉬조키트륨 아그레가툼 (Goldstein et Belsky)(ATCC 28209); 쉬조키트륨 리마시눔 (Honda et Yokochi)(IFO 32693); 트라우스토키트륨 종 (23B)(ATCC 20892); 트라우스토키트륨 스트리아툼 (Schneider)(ATCC 24473); 트라우스토키트륨 아우레움 (Goldstein)(ATCC 34304); 트라우스토키트륨 로세움 (Goldstein)(ATCC 28210); 자포노키트륨 종 (Ll)(ATCC 28207); 트라우스토키트륨 종 12B (ATCC 20890); 트라우스토키트륨 종 U42-2 (ATCC 20891); 및 라비린툴라 (라비린툴리드) 균주 L59 (Kumon) (IPOD AIST No. FERM P- 19897).
한 국면에서는, 오일의 유기체-공급원을 유전 공학적으로 처리하여 LCPUFA 및/또는 LCPUFA 옥시리핀의 생성을 증강시킨다. 보다 바람직한 공급원은 미생물 (이는 발효기에서 성장시킬 수 있다) 또는 지방종자 작물이다. 예를 들어, 미생물과 식물을 유전 공학적으로 처리하여 LCPUFA를 생산하는 유전자를 발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유전자에는 전통적인 지방산 신타제 경로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 또는 PUFA 폴리케티드 신타제 (PKS) 경로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포함될 수 있다. 전통적인 지방산 신타제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 및 단백질과, 이러한 유전자로 형질전환시킨 유전적으로 변형된 유기체, 예를 들어 식물이, 예를 들어 다음 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참고: Napier and Sayanova,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2005), 64:387-393; Robert et al., Functional Plant Biology (2005) 32:473-479; 또는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172682호]. 이러한 경로에 포함된 PUFA PKS 경로, 유전자 및 단백질과, PUFAs를 발현 및 생성하기 위해 상기 유전자로 형질전환시킨 유전적으로 변형된 미생물 및 식물이 미국 특허 제6,566,583호;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0194641호,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235127A1호, 및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0100995A1호 (각각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한 지방종자 작물에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LCPUFA를 생성하도록 유전적으로 변형시킨 대두, 옥수수, 잇꽃, 해바라기, 카놀라, 아마, 또는 평지씨, 아마씨, 및 담배가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지방종자 작물이 또한, LCPUFA를 그의 히드록시 유도체 형태 (즉, 옥시리핀)로 전환시키기 위한 효소 시스템을 보유하거나, 또는 이를 보유하도록 변형 (예를 들어, 유전 공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소는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미생물 및 식물에 대한 유전적 형질전환 기술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LCPUFA를 그의 히드록시 유도체 형태 (및, 경우에 따라 그에 대한 조인자)로 전환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효소를 암호화하는 핵산 분자를 사용하여 식물 또는 미생물을 형질전환시켜, 이러한 식물 또는 미생물의 옥시리핀 생성 능력을 개시, 개선 및/또는 변경 (변형, 변화)시킬 수 있다. 미생물에 대한 형질전환 기술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다음 문헌에 논의되어 있다 [참고: Sambrook et al., 1989,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Cold Spring Harbor Labs Press]. 크립테코디늄 코흐니이와 함께 사용하도록 적응시킬 수 있는, 디노플라겔라테스를 형질전환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기술이 다음 문헌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참고: Lohuis and Miller, The Plant Journal (1998) 13(3): 427-435]. 트라우스토키트리드를 유전적으로 형질전환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기술이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166207호 (2003년 9월 4일자로 공개됨)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식물을 유전 공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또한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생물학적 및 물리적 형질전환 프로토콜을 포함한, 수 많은 식물 형질전환 방법이 개발되었다 [참고: 예를 들어, Miki et al., "Procedures for Introducing Foreign DNA into Plants" in Methods in Plant Molecular Biology and Biotechnology, Glick, B. R. and Thompson, J.E. Eds. (CRC Press, Inc., Boca Raton, 1993) pp. 67-88]. 또한, 식물 세포 또는 조직을 형질전환시키고 식물을 재생하기 위한 벡터 및 시험관내 배양 방법이 이용 가능하다 [참고: 예를 들어, Gruber et al., "Vectors for Plant Transformation" in Methods in Plant Molecular Biology and Biotechnology, Glick, B.R. and Thompson, J.E. Eds. (CRC Press, Inc., Boca Raton, 1993) pp. 89-119; Horsch et al., Science 227: 1229 (1985); Kado, C.I., Crit. Rev. Plant. Sci. 10:1 (1991); Moloney et al., Plant Cell Reports 8:238 (1989); 미국 특허 제4,940,838호; 미국 특허 제5,464,763호; Sanford et al., Part. Sci. Technol. 5:27 (1987); Sanford, J.C., Trends Biotech. 6:299 (1988); Sanford, J.C., Physiol. Plant 79:206 (1990); Klein et al., Biotechnology 10:268 (1992); Zhang et al., Bio/Technology 9:996 (1991); Deshayes et al., EMBO J., 4:2731 (1985); Christou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4:3962 (1987); Hain et al., Mol. Gen. Genet. 199:161 (1985); Draper et al., Plant Cell Physiol. 23:451 (1982); Donn et al., In Abstracts of VIIth International Congress on Plant Cell and Tissue Culture IAPTC, A2-38, p. 53 (1990); D'Halluin et al., Plant Cell 4:1495-1505 (1992) and Spencer et al., Plant Mol. Biol. 24:51-61 (1994)].
바람직하게, LCPUFA 및 그로부터 유래된 옥시리핀의 공급원으로서 유용한 미생물 또는 지방종자 식물은 C20 이상의 다가불포화 지방산을 갖는 PUFAs (천연상 또는 유전 공학적으로 처리시킴)를 생산하는 미생물 또는 식물이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미생물 또는 식물에 의해 생산된 LCPUFA는 3개, 4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생물 또는 식물은 5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갖는 C20 이상의 LCPUFA를 생산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미생물 또는 식물은 다음을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 C20 이상의 LCPUFA를 생산한다: EPA (20:5n-3), DHA (C22:6n-3), DPAn-3 (22:5n-3), DPAn-6 (22:5n-6), DTAn-6 (22:4n-6) 또는 이들 LCPUFA의 조합물.
또 다른 양태에서는, LCPUFA의 미생물 또는 식물 공급원이 천연적으로, LCPUFA를 옥시리핀 (예를 들어, LCPUFA의 히드록시, 퍼옥시드, 또는 에폭시드 유도체)으로 생화학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효소, 예를 들어 시클로옥시게나제, 리폭시게나제, 시토크롬 P450 효소 (이에는 히드록실라제, 퍼옥시다제 및 옥시게나제가 포함된다), 및/또는 기타 헴-함유 효소를 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는 또한, 천연적으로 선택되었거나 이들 효소가 유기체에서 발현하고/하거나 이들 효소가 유기체 내에서 증강된 활성을 지니도록 유전 공학적으로 처리시킨 유기체 (예: 식물 또는 미생물)이 포함된다. 유기체는 LCPUFA를 옥시리핀으로 생화학적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 예를 들어 시클로옥시게나제, 리폭시게나제, 시토크롬 P450 효소 (이에는 히드록실라제, 퍼옥시다제 및 옥시게나제가 포함된다), 및/또는 LCPUFA를 옥시리핀으로 생화학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기타 헴-함유 효소를 발현하거나 이를 표적으로 하도록 유전 공학적으로 처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소의 수 많은 예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표 1에 열거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 특별한 효소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표 1에 열거된 효소는, 이러한 효소 및 이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 대한 서열 정보를 함유하고 있는 국립 생물공학 정보 센터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내의 데이터베이스 승인 번호에 관한 언급, 그들의 명칭, 정식 부호, 별명 및 유기체로써 기재되었다. 각 데이터베이스 승인 번호에 포함된 모든 정보가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 이들 효소, 및 이러한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 또는 그의 상동체 (천연 변이체 포함)를 사용하여, LCPUFA를 생산하는 유기체를 유전 공학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효소를 유기체에서 발현시키거나 또는 이 효소의 내인성 형태를 표적으로 하여 이러한 효소의 활성을 유기체 내에서 개시, 증가 또는 증강시킬 수 있다. 임의로, 이들 효소가 LCPUFA를 함유하는 구획으로부터 분리된 특별한 구획 (예: 식물 중의 색소체)를 표적으로 하여, 이로써 생체 내에서 생성된 옥시리핀의 형성과 분해 가능성 (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효소 (내인성 또는 재조합)를 유도성 프로모터의 제어 하에 놓아둘 수 있기 때문에, LCPUFA로부터의 옥시리핀의 생성이 해당 유기체에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에서는 지방종자를 붕괴시켜 LCPUFA와 옥시게나제 효소가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수확 후 처리 과정 동안에 옥시리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LCPUFA의 미생물 또는 식물 세포 공급원에는 바람직하게, 발효기 또는 광생물반응기에서 성장시킬 수 있는 미생물 또는 식물 세포가 포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유용한 LCPUFA의 미생물 또는 식물 세포 공급원에는 바람직하게, 발효기에서 종속영양적으로 성장시킬 수 있는 미생물 또는 식물 세포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 오일의 독특한 특징
본원에 기재된 LCPUFA의 옥시리핀을 함유하는 오일은 본 발명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시험관내 효소적 전환에 의해 생성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되는 옥시리핀과 비교해서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LCPUFA 옥시리핀, 및 특히 도코사노이드는 그들의 자유 및/또는 에스테르화 형태로 오일에 존재한다. 에스테르화 형태에서는, LCPUFA 옥시리핀, 및 특히 도코사노이드가 트리글리세라이드, 디글리세라이드, 모노글리세라이드, 인지질, 스테롤 에스테르 및/또는 왁스 에스테르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옥시리핀은 기존에 단지 자유 지방산 형태로 보고되었기 때문에, 에스테르화 형태는 옥시리핀의 신규한 형태를 나타내고, 그의 존재는 본 발명의 오일 또는 조성물에 증강, 안정화 또는 유지될 수 있다. 특정 이론에 얽매이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자들은 LCPUFA 옥시리핀, 및 특히 도코사노이드가 일단 자유 지방산 형태로 형성되면, 이들은 에스테르화 형태들 중의 하나로 재-에스테르화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론, 지방산 분자를 옥시리핀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데, 이들은 여전히 에스테르화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기재된 방법에 의해 처리시킨 LCPUFA 오일 (하기 참고)은, 식용 오일에 대해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표준 정련, 표백 및 탈취 공정을 수행한 LCPUFA 오일에서 통상적으로 밝혀진 미량 농도 보다 2X 이상, 3X 이상, 4X 이상, 5X 이상, 10X 이상, 20X 이상, 50X 이상, 100X 이상, 200X 이상, 400X 이상, 1,000X 이상, 또는 5,000X 이상 더 큰 (이에는 기타 1X의 증분, 예를 들어 2OX, 21X, 22X 등이 포함된다) 총 LCPUFA 옥시리핀 농도, 및 특히 총 도코사노이드 농도를 가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열거된 공정에 의해 생성된 LCPUFA 오일은 바람직하게, 오일 1 그램당 하나 이상의 LCPUFA 옥시리핀, 및 특히, 도코사노이드를 1 ㎍ 이상, 5 ㎍ 이상, 10 ㎍ 이상, 15 ㎍ 이상, 20 ㎍ 이상, 30 ㎍ 이상, 50 ㎍ 이상, 100 ㎍ 이상, 200 ㎍ 이상, 500 ㎍ 이상, 1,000 ㎍ 이상, 2,000 ㎍ 이상, 5,000 ㎍ 이상, 10,000 ㎍ 이상, 또는 50,000 ㎍ 이상 함유할 것이다 (이에는 기타 0.1 ㎍씩의 증분이 포함된다). 오일 또는 조성물의 처리 (가공) 및 정제를 통하여 LCPUFA 옥시리핀 농도가 생성기 동안에는 실제적으로 훨씬 더 높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 100%에 근접함), 이러한 오일 및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영양적, 치료적 또는 기타 공정에 사용하기에 앞서 상기 언급된 양이 되도록 희석 또는 적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으로부터 생성된 오일은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실 형태의 DHA, 및/또는 EPA 및/또는 DPAn-3 및/또는 DPAn-6, 및/또는 DTAn-6으로 강화시킨다. 본 발명으로부터의 LCPUFA 히드록시 유도체-풍부 오일은 히드록시 형태의 LCPUFA로 강화시킬 수 있는데, 이에는 단지 하나의 LCPUFA (예를 들어, DHA 또는 EPA 또는 DPAn-6 또는 DPAn-3 또는 DTAn-6)로부터의 유도체, 또는 LCPUFA의 조합물 (예를 들어, DHA + DPA (n-6 및/또는 n-3), DTAn-6, 또는 EPA)로부터의 유도체가 포함된다.
DPAn-6 또는 DPAn-3 또는 DTAn-6 오일, 조성물 및 제형
본 발명의 한 양태에는 LCPUFA 자체, 및 특히, DPAn-6 및/또는 DPAn-3을 소염제 또는 신경보호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즉, LCPUFA은 단독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그의 옥시리핀 대사물과 조합하여 제공된다). DPAn-6 및/또는 DPAn-3은 단독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기타 LCPUFA, 바람직하게는 DHA 및/또는 EPA와 조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소염 또는 신경보호 특성을 지닌 DTAn-6이 본 발명에 또한 포괄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된 DPAn-6, DPAn-3 또는 DTAn-6이 다음 형태들 중의 한 형태로 제공된다: DPAn-6, DTAn-6 및/또는 DPAn-3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로서, DPAn-6, DTAn-6 및/또는 DPAn-3을 함유하는 인지질로서, 자유 지방산으로서, DPAn-6, DTAn-6 및/또는 DPAn-3을 함유하는 에틸 또는 메틸 에스테르로서.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DPAn-6, DTAn-6 및/또는 DPAn-3이 오일 형태, 바람직하게는 LCPUFA의 생성을 촉매하는 유전자로 변형시킨 지방종자 식물로부터의 식물 오일 또는 미생물 오일 (야생형 또는 유전적으로 변형시킴) 형태로 제공된다. 바람직한 미생물 및 지방종자 공급원이 상기에 상세히 기재되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사용될 DPAn-6, DTAn-6 또는 DPAn-3 (이에는 이러한 LCPUFA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유도체를 함유하는 오일 또는 조성물이 포함된다)은 다음 부가의 LCPUFA 또는 그의 옥시리핀-유도체 중의 하나 이상을 함유한다: DHA 또는 EPA. 가장 바람직하게는, 부가의 LCPUFA가 DHA이다.
DPAn-6은 오메가-6 시리즈에서 가장 장쇄인 지방산이다. 도코사펜타에노산 (n-6)은 수 많은 인간 식품과 인간 모유에서 0.0 내지 2.4% 수준으로 발견되고 [참고: Taber et al. 1998], 이는 각각 총 지방산의 대략 0.1%를 나타낸다 [참고: Koletzko et al. 1992]. 성인과 어린이용 식이에서 DPAn-6의 주요 공급원은 가금류 (고기 및 계란) 및 해산물이다 [참고: Taber et al. 1998, Nichols et al 1998]. DPAn-6은 전형적으로, 심장 [참고: Rocquelin et al. 1989], 뇌 [참고: Svennerholm et al. 1978, O'Brien et al. 1965], 간 [참고: Salem 1989], 적혈구 [참고: Sanders et al. 1978, Sanders et al. 1979] 및 지방 조직 [참고: Clandinin et al. 1981]을 포함한 인체 내의 조직 성분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오일, 조성물 또는 제형 (또는 기타 생성물)은 바람직하게 DPAn-6, DPAn-3 및/또는 DTAn-6을 이러한 오일, 조성물 또는 제형 중의 총 지질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2 중량% 이상, 또는 약 5 중량% 이상, 또는 약 10 중량% 이상, 또는 약 15 중량% 이상, 또는 약 20 중량% 이상, 또는 약 25 중량% 이상, 또는 약 30 중량% 이상, 또는 약 35 중량% 이상, 또는 약 40 중량% 이상, 또는 약 45 중량% 이상, 또는 약 50 중량% 이상 등의 양으로 포함하고, 약 95 중량% 이상 까지 1 중량%씩의 증분 (즉, 2, 3, 4, 5...)으로 포함한다. DHA 및/또는 EPA는 또한, 오일, 조성물, 제형 또는 기타 생성물 중의 총 지질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2 중량% 이상, 또는 약 5 중량% 이상, 또는 약 10 중량% 이상, 또는 약 15 중량% 이상, 또는 약 20 중량% 이상, 또는 약 25 중량% 이상, 또는 약 30 중량% 이상, 또는 약 35 중량% 이상, 또는 약 40 중량% 이상, 또는 약 45 중량% 이상, 또는 약 50 중량% 이상 등의 양으로 포함하고, 약 95 중량% 이상 까지 1 중량%씩의 증분 (즉, 2, 3, 4, 5...)으로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오일, 조성물, 제형 또는 기타 생성물은 DPAn-6과 DHA의 조합물을 약 30 중량% 이상, 약 35 중량% 이상, 약 40 중량% 이상, 약 45 중량% 이상, 약 50 중량% 이상, 약 55 중량% 이상, 약 60 중량% 이상, 약 65 중량% 이상, 약 70 중량% 이상, 약 75 중량% 이상, 약 80 중량% 이상, 약 85 중량% 이상, 약 90 중량% 이상, 또는 약 95 중량% 이상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오일, 조성물, 제형 또는 기타 생성물 중에서의 DHA 대 DPA (n-6) 비가 약 1:10 내지 약 10:1, 또는 1:10 내지 10:1 사이의 모든 비이다.
LCPUFA 및 옥시리핀의 공급 형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오일, 보충제 (보조식품), 미용제, 치료 조성물, 및 기타 제형 또는 생성물에 사용되는 LCPUFA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는 각종 형태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형태에는, 바람직하게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성된 LCPUFA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포함하는 해조류 오일; 바람직하게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생성된 PUFA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포함하는 식물 오일; PUFA를 포함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 오일; PUFA를 포함하는 인지질; PUFA를 포함하는, 단백질, 트리글리세라이드 및/또는 인지질의 조합물; PUFA를 포함하는 건조된 해양 미세해조류; PUFA를 포함하는 스핑고지질; PUFA의 에스테르; 자유 지방산; PUFA와 또 다른 생체활성 분자의 접합체; 및 그들의 조합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장쇄 지방산은, 예를 들어 공급원의 블렌딩, 정제, 강화 (예를 들어 배양 및/또는 처리 기술을 통하여 이루어짐) 및 유전 공학적 처리 기술에 의해, 천연 지방산 공급원에 존재하는 양 또는 비와는 상이한 양 및/또는 비로 제공될 수 있다. 생체활성 분자에는 적합한 모든 분자, 예를 들어 단백질, 아미노산 (예: 천연 발생적 아미노산, 예를 들어 DHA-글리신, DHA-리신, 또는 아미노산 유사체), 약물 및 탄수화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원에 요약된 형태들은 고도의 관능적 품질을 지닌 식품, 건강 또는 영양 보조식품, 및 의약품을 제형화하는데 있어서의 융통성을 허용시켜 준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 목적하는 인지질의 공급원에는 DPAn-6 및/또는 DPAn-6 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도코사노이드가 단독으로 풍부하거나 또는 DHA 및/또는 EPA 및/또는 그로부터 유래된 옥시리핀과 조합하여 풍부한 오일 또는 조성물 (영양 보조식품, 미용제, 치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계란으로부터의 정제된 인지질, 식물 오일, 및 극성 용매 (알코올 또는 아세톤 포함)에 의한 추출, 예를 들어 프리올렉스 (Friolex) 공정 및 인지질 추출 공정 (PEP) (또는 관련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동물 기관이 포함된다. 프리올렉스 및 관련 공정은 다음 문헌에 보다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참고: PCT 특허출원 PCT/IBO1/00841, "Method for the Fractionation of Oil and Polar Lipid-Containing Native Raw Materials"이란 발명의 명칭으로 2001년 4월 12일자로 출원되고, 2001년 10월 18일자로 WO 01/76715로서 공개됨; PCT/IBO1/00963, "Method for the Fractionation of Oil and Polar Lipid-Containing Native Raw Materials Using Alcohol and Centrifugation"이란 발명의 명칭으로 2001년 4월 12일자로 출원되고, 2001년 10월 18일자로 WO 01/76385로서 공개됨; 및 PCT/DE95/01065, "Process For Extracting Native Products Which Are Not Water-Soluble From Native Substance Mixtures By Centrifugal Force"이란 발명의 명칭으로 1995년 8월 12일자로 출원되고, 1996년 2월 22일자로 WO 96/05278로서 공개됨 (이들 각각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도 도입된다)].
생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모든 투여 형태, 및 그의 조합물이 본 발명의 주제로써 고려된다. 이러한 투여 형태의 예에는 씹을 수 있는 정제, 신속히 용해되는 정제, 발포성 정제, 재구성 가능한 산제, 엘릭서제, 액제, 용제, 현탁제, 에멀션, 정제, 다층 정제, 이층 정제, 캅셀제, 연질 젤라틴 캅셀제, 경질 젤라틴 캅셀제, 카플릿, 로젠지, 씹을 수 있는 로젠지, 비드, 산제, 과립제, 입자, 미립자, 분산 가능한 과립제, 교갑, 질 세척기, 좌제, 크림, 국부제, 흡입제, 에어로솔 흡입제, 패치, 입자 흡입제, 이식제, 데포 이식제, 섭취제, 주사제, 주입제, 건강 막대, 당제, 시리얼, 시리얼 코팅, 식품, 영양 식품, 기능성 식품 및 그들의 조합물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투여 형태의 제조는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목적하는 LCPUFA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가 강화된 식품 (식품 생성물)은 다음을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 군 중에서 선택된다: 구운 제품 및 혼합물; 츄잉 검; 아침식사용 시리얼; 치즈 생성물; 너츠 및 너츠에 의거한 생성물; 젤라틴, 푸딩 및 음식물의 소; 냉동 낙농 제품; 우유 제품; 낙농 제품 유사품; 경질 또는 연질 캔디; 수프 및 수프 혼합물; 스낵 식품; 가공 처리된 과일 쥬스; 가공 처리된 식물성 쥬스; 지방 및 오일; 어류 제품; 식물 단백질 제품; 가금류 제품; 및 고기 제품.
보다 특히, LCPUFA 및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 및 특히 증강된 수준의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를 함유하는 오일은 오일-충전된 캅셀제 형태로 또는 식품, 음료 또는 특수조제 분유 (infant formula)의 영양 상의 강화를 통하여 건강 보조식품으로서 유용하여, 이들 생성물의 소염 이점을 증강시키고/시키거나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 함량이 낮거나 전혀 없는 LCPUFA 오일에 의해 달성된 것에 비해 보다 균형잡힌 면역 기능을 증진시킬 것이다. 예를 들어,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강화된 LCPUFA 오일 캅셀제, 및 바람직하게는 산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젤라틴 캅셀제는 단일 건강 보조식품 내의 LCPUFA(s) 및 증강된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 성분 둘 다를 전달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 다른 적용에서는, 식품 및 음료 (이에는 낙농 제품 및 낙농 유사품이 포함된다), 베이커리 제품 및 사탕 과자, 가공 고기 및 고기 유사품, 곡류 제품 및 시리얼, 액상 및 분말형 음료 (이에는 쥬스 및 쥬스 드링크가 포함된다), 탄산 음료 및 가공 처리된 음료, 또는 특수조제 분유에, 증강된 수준의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을 수반한 LCPUFA 오일을 강화시킴으로써, 비-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강화된 LCPUFA 오일 단독에 비해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 흡수를 증가시킬 것이다. 또 다른 예에서는,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강화된 LCPUFA 오일은 상기 식품, 음료 또는 특수조제 분유를 영양상 강화시키기에 앞서 미소피막형성시켜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 및/또는 LCPUFA의 산화/분해를 저하시키고, 상기와 같이 강화시킨 식품/음료 또는 특수조제 분유의 관능성과 저장 수명을 개선시킬 수 있었다. 또 다른 예에서,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강화된 오일은 염증 저하를 위해 국소 적용용 크림 또는 에멀션으로 제형화할 수 있거나, 또는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강화된 오일은 피부 자극이나 발적, 알레르기성 반응 또는 부어오름/부종을 저하시키기 위해, 선 스크린 또는 미용제, 예를 들어 안면 또는 핸드 크림, 보습제, 파운데이션, 아이 (eye) 젤 또는 면도용 크림으로 제형화할 수 있었다. 또 다른 예에서, 보다 고도로 강화되거나 정제된 형태의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 또는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풍부 오일은 국소, 전신, 만성 또는 급성 염증성 반응 또는 과정과 연관된 질환이나 질병 증상을 예방하거나 저하시키기 위해 제약 제형에 사용할 수 있었다.
부가의 성분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LCPUFA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의 모든 공급원, 예를 들어 이러한 LCPUFA 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함유하는 오일, 조성물 또는 제형에,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할 수 있는 한 가지 이상의 부가 성분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의 성분에는 부가의 모든 소염제, 영양 보조식품 (예: 비타민, 무기질 및 기타 영양제, 예를 들어 영양 보조식품), 치료제, 또는 제약 또는 영양적 담체 [예를 들어, 제약 (치료 포함) 조성물 또는 영양 조성물과 연계해서 사용될 수 있는 모든 부형제, 희석제, 전달 비히클 또는 담체 화합물 및 제형]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가지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LCPUFA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가 아세토살리실산 (ASA), 또는 아스피린 또는 기타 모든 소염제와 함께 제공된다.
LCPUFA 및 LCPUFA-유래된 옥시리핀의 생성 방법 및 이의 생성을 최적화하는 방법
미생물 기술을 이용하여 LCPUFA-함유 오일 (DHA 및 DPAn-6 포함)을 생성시키는 방법은 당해 분야에 교시되었다. 미국 특허 제5,130,242호 및 미국 특허 제5,340,594호에는 쉬조키트륨 (Schizochytrium) 종 또는 트라우스토키트륨 (Thraustochytrium) 종을 이용한 발효를 통하여 DHA 및 DPA 풍부 지질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교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161866호에는 추정적 속 울케니아 (Ulkenia)에 속하는 미생물을 배양함으로써 DHA 및 DPAn-6을 함유하는 오일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LCPUFA-함유 식물 및 식물 종자 오일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566,583호;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0194641호,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235127Al호, 및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0100995A1호 뿐만 아니라 문헌 [참고: Napier and Sayanova, Proceedings of the Nutrition Society (2005), 64:387-393; Robert et al., Functional Plant Biology (2005) 32:473-479] 또는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0172682호에 기재되었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유용한 옥시리핀은 LCPUFA 전구체를 이용한 화학적 합성을 통하여 생성시킬 수 있거나, 또는 완전히 새로이 합성할 수 있다. 옥시리핀 화합물에 대한 화학적 합성 방법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참고: 예를 들어, Rodriguez and Spur (2004); Rodriguez and Spur, 2005; Guilford et al. (2004)]. 또한, 일반적인 화학적 합성 방법이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기술과 고체 상 합성 기술 둘 다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유용한 통상적인 기술에는 미국 특허 제5,569,769호 및 제5,242,940호, 및 PCT 공개공보 WO 96/37476 (이들 모두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에 기재된 기술이 포함된다. 그러나, 조합 합성 기술이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합성하는데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참고: 예를 들어, Brown, Contemporary Organic Synthesis, 1997, 216; Felder and Poppinger, Adv. Drug Res., 1997, 30, 111; Balkenhohl et al., Angew. Chem. Int. Ed. Engl., 1996, 35, 2288; Hermkens et al., Tetrahedron, 1996, 52, 4527; Hermkens et al., Tetrahedron, 1997, 53, 5643; Thompson et al., Chem. Rev., 1996, 96, 555; and Nefzi et al., Chem. Rev., 1997, 2, 449-472].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용이하게 입수 가능한 출발 물질로부터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상의 각종 치환체가 출발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데, 이는 중간체들 중의 어느 하나에 부가되거나 공지된 치환 또는 전환 반응 방법에 의해 최종 생성물을 형성한 후에 부가되었다. 치환체 자체가 반응성인 경우에는, 치환체 자체를 당해 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서 보호시킬 수 있다. 각종 보호기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이를 이용할 수 있다. 가능한 많은 기의 예가 다음 문헌에 보고되었다 [참고: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by T. W. Green, John Wiley and Sons, 1981 (이는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 예를 들어, 니트로 기를 질화시킴으로써 부가할 수 있고, 니트로 기를 다른 기로 전환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환원시킴으로써 아미노 기로 전환시키고, 아미노 기를 디아조화하고 이러한 디아조 기를 할로겐으로 대체시킴으로써 할로겐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아실 기는 프리델-크래프츠 (Friedel-Crafts) 아실화 반응에 의해 부가할 수 있다. 이어서, 이 아실기를 각종 방법, 예를 들어 볼프-키쉬너 (Wolff- Kishner) 환원 및 클레멘손 (Clemmenson) 환원 방법에 의해 상응하는 알킬 기로 변환시킬 수 있다. 아미노 기를 알킬화하여 모노- 및 디-알킬아미노 기를 형성시킬 수 있고; 머캅토 및 히드록시 기를 알킬화하여 상응하는 에테르를 형성시킬 수 있다. 1급 알코올을 당해 분야에 공지된 산화제에 의해 산화시켜 카복실산 또는 알데히드를 형성시킬 수 있고, 2급 알코올을 산화시켜 케톤을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치환 또는 변경 반응을 이용하여 출발 물질, 중간체 또는 최종 생성물 (단리된 생성물 포함) 분자 전반에 각종 치환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반드시 존재하는 특정의 치환체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각 치환체의 도입은 물론, 그들의 형성에 필요한 화학과 이에 관여하는 구체적인 치환체에 좌우된다. 따라서, 제2 치환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하나의 치환체가 특정 화학적 반응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고려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친숙한 기술일 것이다. 이는 추가로, 이에 관여하는 환 (고리 구조)에 좌우될 것이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옥시리핀은 기질로서 LCPUFA를 사용하는 효소에 의거한 기술을 통하여 촉매적으로 생성된다. 한 양태에서는, 효소, 예를 들어 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 시토크롬 P450 효소 및 기타 헴-함유 효소, 예를 들어 표 1에 기재된 효소 (예를 들어, 재조합 또는 단리/고정화 효소 제제로서 제공됨)를, 예를 들어 미생물 바이오매스 또는 식물 또는 지방종자 또는 동물의 수거 후 가공 또는 추출 동안, 유기체에 의해 생성된 LCPUFA와 시험관 내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이러한 유기체에 의해 생성된 LCPUFA를 옥시리핀으로 전환시킨다. LCPUFA의 옥시리핀 유도체는 또한, 발효기 내의 미생물에 의해 생성시킨 다음, 사용을 위해 회수 및 정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 질 및 안정성을 증강시키는 것으로 여겨지는 옥시리핀의 바람직한 생성 및 회수 방법이 다음에 기재되었다. 상기 생성 기술에 의해 생성된 옥시리핀을 추가로 처리하고 이를 옥시리핀의 유도체 또는 그의 염으로서 회수하여, 경우에 따라 회수 가능성, 안정성, 흡수성, 생체내 이용 효율 및/또는 효능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기재된 모든 기술에 의해 생성된 옥시리핀을 사용하여 옥시리핀의 기타 공급원 (예를 들어, 정련된 LCPUFA 오일)을 보충할 수 있거나, 또는 본원에 기재된 모든 적용 분야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 또는 제형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유기체에 의해 생성된 오일 중에서 LCPUFA 옥시리핀 농축물을 최적으로 생성하는 방법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의 생성을 증강시키고/시키거나 이들이 일단 생성되면 이들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생성 또는 발효 조건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이들 방법은 이들 화합물을 생성시키는 효소의 활성 및/또는 발현을 증강시키는 배양 조건을 선별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배양물의 세포 농도 및/또는 고유 성장 속도를 변경시키는 배양 조건은 잠재적으로, 세포성 조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미생물에서 대사물 또는 이차 대사물의 생성을 변형시키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배양 조건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저삼투압 또는 고삼투압 염분 스트레스, 영양분 제한 스트레스 (예: 질소, 인, 탄소 및/또는 미량 금속), 온도 스트레스 (통상적인 온도 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 상승되거나 저하된 수준의 산소 및/또는 이산화탄소, 및 물리적 스트레스, 예를 들어 전단. 또한, 세포 중에서의 대사물 또는 이차 대사물의 수준은 성장 기 (대수기 대 정지기)에 따라 다양할 수 있고, 미생물에 의한 생체전환을 위해 각종 전구체 분자를 제공함으로써 변할 수 있다.
이들 방법에는 또한, 상기 효소적 활성을 증강시키거나 또는 LCPUFA가 이들 화합물로 자기산화되는 것을 직접적으로 증강시키고/시키거나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이 일단 생성되면 이들을 안정화시켜 주는 첨가제 (유기 및 무기 첨가제)를 부가하는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COX2 (예를 들어, 많은 아세틸살리실산 형태 중의 한 가지 형태)를 변형 또는 아세틸화시키는 화합물, 또는 COX2, 리폭시게나제, 시토크롬 P450 효소 (이에는 히드록실라제, 퍼옥시다제, 및 옥시게나제가 포함된다) 및/또는 기타 헴-함유 효소의 발현 또는 활성을 자극하는 화합물을 배양 배지에 부가할 수 있다. 배양 중인 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 시토크롬 P450 효소 및 기타 헴-함유 효소의 발현 또는 활성을 증강시킬 수 있는 화합물의 예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ATP, 사이토킨 (예: 인터루킨-4, 인터루킨-13, 또는 과립구-대식세포 집락 자극 인자), 호르몬 (예: 브라디키닌 또는 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 양이온성 금속 (예: Ca2+), 인지질 (예: 포스파티딜 세린), 지방산 (예: DHA), 기형성 히드로퍼옥사이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예: 덱사메타손), 비스테로이드계 소염 화합물 (예: 아세토살리실산 또는 아스피린), 및 시토크롬 P450 활성의 기타 유도인자 [예: 에탄올, 피브레이트 및 기타 페록시솜 (peroxisome) 증식인자, 페노바르비탈, 스테로이드, 및 리팜피신 (rifampicin)]. 부가적으로, 미생물 중에서 LCPUFA의 자기산화를 유발시켜 이들 LCPUFA의 모노- 내지 펜타-히드록시 유도체를 형성시키는 화합물 또는 조건이 또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LCPUFA의 자기산화를 증진시킬 수 있는 상기 화합물 또는 조건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금속 (이에는 전이 금속, 예를 들면 철, 구리 또는 아연, 및 알킬리 토금속, 예를 들면 마그네슘이 포함된다), 퍼옥사이드, 지질 라디칼, 및 고 산소 조건.
LCPUFA 옥시리핀 함량 또는 보존율을 증강시키는 개선된 오일 추출 공정
효소는 LCPUFA의 히드록시 유도체를 형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히드록시 유도체의 형성을 증강시키기 위해 이들 효소와 LCPUFA 간의 접촉을 증강시키는데 바람직한 방법이 있다. 한 가지 바람직한 공정에서는, 미생물 세포 또는 지방종자를 파열시키고 (예를 들어, 미생물 세포를 균질화시키거나, 지방종자를 분쇄시킴으로써 수행됨), 이로써 생성된 오일과 바이오매스 혼합물을, 바이오매스 내에 방출된 효소가 LCPUFA와 직접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최적의 조건 (예를 들어, 온도, pH, 잔류 수 활성, 이온 농도 및 모든 필수 조인자의 존재) 하에 일정 시간 동안 항온 배양한다. 유사하게는, 자기산화 공정이 이러한 방식으로 촉진될 수 있다.
오일 가공 (처리) 조건의 변형
바람직한 오일 가공 방법에는 오일을 최소한도로 가공 처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 방법이 포함된다. 통상적인 지방종자 가공에 사용된 공정은 자유 지방산 또는 자유 지방산-유사 화합물을 제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LCPUFA의 지방산-유사 히드록시 유도체를 제거시키는 경향이 있다. 특히, 자유 지방산 제거에 초점을 둔 오일의 부식 처리 (이는 통상적으로 오일을 정련하는 것으로서 지칭된다)는 피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오일을 알코올 (예: 이소프로필 알코올) 또는 기타 유기 용매 (예: 헥산), 또는 그들의 혼합물, 또는 초임계 유체 (예: 이산화탄소)로 추출하고, 이로써 생성된 오일을 냉각 여과시키고, 표백시키며, 다시 냉각 여과시킨 다음, 탈취시킨다. 보다 바람직한 방법에서는 냉각 여과 단계를 없애고, 오일을 추출 후에 간단히 표백 및 탈취시킨다. 보다 더 바람직한 방법에서는, 오일을 추출한 후의 가공 단계 만이 오일을 탈취하는 것에 제한된다. 상기 추출에서는, 헥산과 같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는 것 보다 오히려 알코올 또는 알코올 물 혼합물이 오일을 추출하는데 사용하기 바람직하다. 화학적 추출에 대한 대안으로서, 분리용 가공 보조물, 예를 들어 1급 알코올 또는 캐리어 오일을 사용하여, 연속 압착기 압축을 통하여 또는 붕괴시킨 다음 원심분리시킴으로써 오일을 바이오매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들 조 오일을 상기 언급된 방법들 중의 한 가지 이상 방법을 통하여 정제 및 안정화시킬 수 있다.
LCPUFA 옥시리핀 함량을 증강 및/또는 안정화시키기 위해 LCPUFA 오일 (미생물, 식물, 어류)을 추가로 가공 처리하는 방법
한 가지 바람직한 방법에서는, 오일을 일단 상기 언급된 방법 또는 기타 적합한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추출 및 가공 처리하면, 항산화제를 오일에 가하여 이러한 오일 중의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를 안정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항산화제를 추출 및 정제 공정 중의 1회 이상의 시점에 부가하여 옥시리핀 및/또는 LCPUFA의 잠재적 산화적 분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옥시리핀은 보다 많은 히드록시 기가 이들 내로 혼입됨에 따라 보다 극성인 분자가 될 것이며, 오일을 에멀션 형태로 제조하여 극성 형태 및 덜 극성 형태의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 둘 다의 함량/용해도/안정성을 증강시킬 수 있고, 오일 성분 형태 단독을 사용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것 보다 광범위한 식품 및 제약 적용 분야에 이들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바람직한 하단 공정에서는, LCPUFA-풍부 오일 [미생물계, 식물계 또는 동물계 (어류 포함) 오일] 또는 가수분해되거나 비누화 형태의 오일을 효소에 의거한 반응 시스템 (예: 칼럼 또는 교반된 탱크 반응기)에서 가공 처리하여, 오일 중에서의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의 효소적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이들 효소는 상기 시스템 내에 자유 형태 또는 고정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이들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는 효소의 예 (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 시토크롬 P450 효소 및 기타 헴-함유 효소 포함)가 표 1에 열거되어 있다. PUFAs를 리폭신으로 전환시키는 속도 및 전환 정도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반응 조건, 예를 들어 온도, pH, 잔류 수 활성, 이온 농도 및 조인자의 존재를 선택할 수 있다. 오일은 오일 형태로, 또는 가수분해된 자유 지방산으로서 (이는 오일 중의 PUFA-함유 트리글리세라이드를 가수분해시켜 PUFAs를 에스테르화 형태에서 자유 산 형태로 전환시킴으로써 생성된다) 칼럼/반응기 내로 가공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생성된 오일을 추가로 가공 처리하여 LCPUFA 옥시리핀을 오일 중의 LCPUFA으로부터 분리 또는 정제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모든 정련 공정에 의해 가공 처리시킨 바 있는 오일, 예를 들어 오일 중의 LCPUFA를 옥시리핀 유도체로 전환시키기 위해 처리시킨 오일 또는 그의 생성물 상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CPUFA 옥시리핀을 적합한 모든 기술, 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피 기술 (이에는 실리카 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에 의해 LCPUFA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한 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공정 (이에는 본원에 기재된 생성/가공 방법 및/또는 드 노보 합성이 포함된다)에 의해 생성, 강화 또는 정제된 LCPUFA 옥시리핀을 또 다른 오일, 예를 들어 모든 방법에 의해 생성된 LCPUFA 오일에 역부가 (적정)할 수 있고/있거나 모든 조성물 또는 제형 또는 기타 생성물에 부가할 수 있다.
오일/지방산을 이러한 방식으로 가공 처리한 후, 오일/지방산을 식품, 제약 또는 미용제 적용 분야에 직접 사용할 수 있거나, 이를 사용하여 LCPUFA 또는 비-LCPUFA-함유 오일에 (블렌딩함으로써) 부가하여 그들의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 함량을 증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종 오일 생성물의 일관된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 함량을 달성할 수 있다.
이들 유형의 시스템에서 리폭시게나제 효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적 LCPUFA의 100% 까지를 그들의 히드록시 유도체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예는 고정화 15-리폭시게나제를 함유하는 고정화 효소 칼럼일 것이다. 이 시스템을 통하여 DPAn-6을 처리하는 경우에는, DPAn-6이 히드로퍼옥사이드인 17-히드로퍼옥시 DPAn-6 및 10,17-디-히드로퍼옥시 DPAn-6로 변환된 다음, NaBH와 같은 작용제로 환원시킨 후에는 히드록시 유도체인 17-히드록시 DPAn-6 및 10,17-디히드록시 DPAn-6으로 변환된다. 이어서, 이와 같이 농축된 형태의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를 적당한 식용 오일 내로 적정시켜, 최종 오일 중의 목적하는 LCPUFA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 함량을 달성할 수 있다.
DPAn-6, DPAn-3 및/또는 DTAn-6 LCPUFA 옥시리핀, 및 DPAn-6, DPAn-3 및/또는 DTAn-6 및/또는 기타 모든 LCPUFA 옥시리핀을 포함하는 오일 또는 조성물의 적용
본 발명은 인간 및 기타 동물에서 소염, 항증식성, 신경보호 및/또는 혈관조절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DPAn-6, DTAn-6 및/또는 DPAn-3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포함하는 LCPUFA, 및/또는 C20 및 보다 큰 PUFAs의 옥시리핀 유도체, 및 특히 도코사노이드를 강화시킨 각종 오일을 사용하는 것에 기초한다. 상기 효과들은 특정 개체의 일반적인 건강을 증강시킬 뿐만 아니라 개체에게서 각종 질병과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는 본원에 기재된 LCPUFA 및 옥시리핀 (특히, 도코사노이드)-함유 조성물 및 오일에 의해 제공된 염증의 조정으로부터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대사성 불균형 및 질병 상태를 치료하는 방법이 포함된다.
본원에 기재된 LCPUFA 및/또는 옥시리핀-함유 오일, 조성물 또는 제형 (이에는 바람직하게, DPAn-6, DPAn-3 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 및 적용 가능한 경우 DTAn-6 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 뿐만 아니라 옥시리핀 유도체를 강화시킨 상기 오일을 이용하여 생성시킨 생성물 및 오일이 포함된다)을 사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 포괄된 부가의 적용 분야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1) 임신 동안의 Rh+ 부적합성; (2) 장관 및 위장관의 염증 질환 [예: 크론 (Crohn) 병, 염증성 장 질환, 결장염, 및 영아의 괴사성 소장결장염]; (3) 자가면역 질환 [예: 인슐린-의존성 당뇨병 (유형 I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류마티스성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중증 근무력증, 비열대 질병, 자가면역성 갑상선염, 애디송병 (Addison's disease), 그레이브병 (Graves' disease) 및 류마티스성 심장염]; (4) 염증과 관련된 만성 성인 질병 [예: 심혈관계 질환, 유형 II 당뇨병; 연령 관련 황반 변성, 아토피 질환, 대사 증후군,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낭포성 섬유증, 결장암 등]; (5) 피부 염증 질환 [예: 피부염 (모든 형태), 습진, 건선, 딸기코, 여드름, 괴저 농피증, 두드러기 등]; (6) 안구 염증 질환; 및 (7) 감염성 질환 (세균, 진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으로 인한 염증. 이들 중의 많은 질환의 환자들은 부정적인 부작용으로 인해 스테로이드 또는 비-특이적 소염제로 치료받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양태는 (1) DPAn-6, DPAn-3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 (도코사노이드), 및 몇몇 양태에서는, DTAn-6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 단독 또는 서로의 조합물, 및/또는 기타 LCPUFA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DHA 또는 EPA, 가장 바람직하게는 DHA)와의 조합물의 용도; 및/또는 (2) 오일 또는 이러한 오일을 사용하여 생성된 생성물 (이 오일은 그 안에 함유된 LCPUFA 옥시리핀, 바람직하게는 도코사노이드의 양, 질 및/또는 안정성 측면에서 강화되었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들 조성물은 용도는 전형적으로, 오일, 또는 이러한 오일, 영양 보조식품, 미용제 또는 제약 조성물 (약물 또는 의약)을 사용한 생성물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오일, 보조식품, 조성물 및 제형은 염증 또는 염증과 연관된 질병 또는 질환이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서 염증을 저하시키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오일, 보조식품, 조성물 및 제형은 또한, 신경변성 질환 또는 질병이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서 신경변성 또는 신경변성과 연관된 질병과 관련된 모든 증상을 저하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치료하고자 하는 환자는 에이코사노이드 및/또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프로-염증성" 사이토킨으로 지칭되는 것의 생성과 연관된 염증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사이토킨에는 인터루킨-1α (IL-lα), IL-lβ, 종양 괴사 인자-α (TNFα), IL-6, IL-8, IL-12, 대식세포 염증성 단백질-1α (MIP-1α), 대식세포 화학주성 단백질-1 (MCP-1) 및 인터페론-γ (IFN-γ)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환자에게는 이러한 환자에게서 염증 또는 신경변성의 한 가지 이상 증상을 저하시키는데 유효한 양의 상기 LCPUFA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다.
염증의 증상에는 생리적 증상과 생물학적 증상 둘 다가 포함되는데, 예를 들어 사이토킨 생성, 에이코사노이드 생성, 히스타민 생성, 브라디키닌 생성, 프로스타글란딘 생성, 류코트리엔 생성, 발열, 부종 또는 기타 종창, 통증 (예: 두통, 근육통, 경련, 관절통), 오한, 피로/기력 상실, 식욕 상실, 근육 또는 관절 강직, 조직 발적, 액체 잔류, 및 염증 부위에 세포성 매개인자 (예: 호중구, 대식세포, 림프구 등)의 축적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염증과 연관된 질환에는 감염체 (예: 세균,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과 연관된 질환, 쇽, 허혈증, 심폐 질환, 자가면역 질환, 신경변성 질환, 및 알레르기성 염증 질환, 및 본원에 앞서 상세된 각종의 기타 질환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 실시예에는 염증성 반응의 다중 파라미터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생체내 및 시험관내 염증을 저하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도코사노이드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신경변성과 연관된 증상에는 생리적 증상과 생물학적 증상 둘 다가 포함되는데, 예를 들어 신경변성, 지적 쇠약, 행동 장애, 수면 장애, 통상의 내과적 합병증, 치매, 정신병, 불안, 우울증, 염증, 통증, 및 형성이상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옥시리핀 유도체 및 조성물을 사용하여 치료할 수 있는 신경변성 질환에는 다음이 포함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읽기 장애, 통합운동 장애, 주의력 결핍 과다활동 장애 (ADHD), 간질, 자폐증,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노인성 치매, 페록시솜성 증식인자 활성화 장애 (PPAR),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유도된 신경병증, 황반 변성, 미숙아 망막증, 헌팅톤병 (Huntington's Disease),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LS), 색소성 망막염, 뇌성 마비, 근육 퇴행위축, 암, 낭포성 섬유증, 신경관 결손, 우울증, 젤베거 (Zellweger) 증후군, 뇌회결손 (Lissencephaly), 다운 증후군 (Down's Syndrome), 근육-눈-뇌 질병, 워커-바르부르크 (Walker-Warburg) 증후군, 카록트-마리-투스병 (Charoct-Marie-Tooth Disease), 봉입체 근육염 (IBM) 및 무홍채증 (Aniridia).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본 발명의 신규한 도코사노이드, 및/또는 이러한 도코사노이드를 함유하는 오일 또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특별한 프로-염증성 사이토킨 및 이들 사이토킨 생성과 연관된 질환 또는 질병을 선택적으로 표적화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도코사노이드가 특정 사이토킨을 선택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본 발명자들의 관찰 결과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도코사노이드를 특별한 질환이나 질병에 사용하여, 특정 개체를 보다 선택적으로 치료할 수 있고, 염증 과정의 보다 포괄적인 억제와 연관될 수 있는 부작용을 피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자들은 DPAn-6 도코사노이드, 17-히드록시 DPAn-6 및 10,17-디히드록시 DPAn-6이 강력한 프로-염증성 사이토킨 IL-lβ의 분비를 상당히 저하시켰는데, 10,17-디히드록시 DPAn-6에 의해 야기된 저하는 DHA 옥시리핀 유도체 또는 일반적 소염제인 인도메타신에 의해 야기된 저하 보다 상당히 더 크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보다 더 두드러진 것은 DPAn-6의 2가지 상이한 옥시리핀 유도체의 활성 간에 차이가 관찰되었다는 것이다. 실시예 20 및 21에 제시된 바와 같이, 17-HDPAn-6과 10,17-디히드록시 DPAn-6 둘 다가 강력한 소염제인 것으로 입증되긴 하였지만, 이들의 사이토킨 생성 (예: IL-lβ)에 대한 효과 측면에서는 이들 2가지 DPAn-6 옥시리핀의 활성 간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하나의 화합물이 특정의 적용 분야에 대해 다른 화합물 보다 더 적합할 수 있다는 지표이다 (예를 들어, 패혈증 대 종창).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17-HDPAn-6은 세포 이동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DHA-유래된 옥시리핀 보다 더 강력하였고, 10,17-디히드록시 DPAn-6은 IL-lβ 분비를 저하시키는데 있어서 DHA 옥시리핀 보다 더 강력하였다. 따라서, 당업자는 특이적 용도에 사용하기 위해 본 발명의 도코사노이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보다 범-특이적이거나 일반적인 소염제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잠재적 치료 부작용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바람직하게, 환자를 염증, 또는 염증과 연관된 질환 또는 질병으로부터 보호해준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특정 질병 (또는 증상 또는 질환)으로부터 보호해준다"는 것은 이러한 질병 증상을 저하시키고/시키거나; 질병 발생을 저하시키고/시키거나 질병 중증도를 저하시키는 것을 지칭한다. 환자를 보호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치료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한 경우, 염증이 발생하지 못하게 하고/하거나 염증 및/또는 질병/질환 증상, 징후 또는 원인을 치유 또는 경감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영양 또는 치료 조성물의 능력을 지칭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를 특정 질병이나 질환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에는 이러한 질병이나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예방적 처치), 질병이나 질환을 지니고 있거나, 이러한 질병이나 질환의 초기 증상을 경험한 환자를 치료하는 것 (치료적 처치)이 포함된다. 용어 "질병" 또는 "질환"은 동물의 정상적인 건강 상태로부터의 모든 이탈을 지칭하고, 질병 증상이 존재하는 경우의 상태 뿐만 아니라 이탈 (예를 들어, 감염, 유전자 돌연변이, 유전적 결함 등)이 발생하였지만, 증상이 아직 발현되지 않은 질환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옥시리핀 (또는 그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 이러한 옥시리핀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방법은 척추동물 강, 포유류의 구성원, 예를 들어 영장류, 가축류 및 사육 애완동물 (예: 애완용 동물)인 개체 (대상체)에게 사용하기 적합하다. 가장 전형적으로는, 개체가 인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환자", "개체", 및 "대상체"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반드시 아프거나 병든 동물 또는 사람 만을 지칭하지 않는다 (즉, 상기 용어는 건강한 개체 또는 어떠한 질병 또는 질환 증상도 경험하지 않은 개체를 지칭할 수도 있다). 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옥시리핀(들) 또는 조성물 또는 제형 또는 오일이 투여될 수 있는 개체에는 염증 또는 신경변성 또는 이와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거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린 것으로 진단되었거나 추정되는 개체가 포함된다. 개체는 또한 건강한 개체일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옥시리핀 또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상기 개체의 건강을 증강, 유지 또는 안정화시킨다.
특정 개체에게 투여될 LCPUFA 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의 양은 염증 또는 신경변성의 한 가지 이상 증상을 저하시키거나 이러한 염증 또는 신경변성과 연관된 질환 또는 질병으로부터 개체를 보호시켜 주는 목적하는 결과를 제공하기에 적합한 어떠한 양일 수 있다. 한 양태에서는, LCPUFA, 예를 들어 DPAn-6이 약 0.5 mg의 PUFA/개체 체중 kg 내지 약 200 mg의 PUFA/개체 체중 kg의 투여량으로 투여되지만, 투여량이 이들 양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LCPUFA 옥시리핀 유도체 또는 옥시리핀 유도체의 혼합물은 약 0.2 ㎍의 옥시리핀/개체 체중 kg 내지 약 50 mg의 옥시리핀/개체 체중 kg의 투여량으로 투여되지만, 투여량이 이들 양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제형을 국소 또는 주사제로서 투여할 수 있지만, 가장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경구 투여이다. 바람직하게, 본원에 사용된 조성물 및 제형은 대상체에게 영양 보조식품 및/또는 식품 (식품 생성물 포함) 및/또는 제약 제형 및/또는 음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품, 음료, 및/또는 영양 보조식품,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품 및 음료,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품의 형태로 투여한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대상체에게 투여되거나 공급되는 경우에 해당 조성물에 각종 부가제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기타 소염제, 비타민, 무기질, 담체, 부형제 및 기타 치료제이다. 바람직한 부가제는 아스피린, 또는 또 다른 적합한 소염제이다.
본 발명의 옥시리핀 (또는 그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 이러한 옥시리핀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방법은 또한, 척추동물 강의 구성원, 예를 들어 어류, 또는 비척추동물, 예를 들어 새우인 개체 (대상체)에 대한 양식 적용 분야에서 사료 성분, 영양 보조식품 또는 치료제로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다음 실험적 결과는 예시 목적이며, 이로써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다음 실시예는 DPAn-6이 15-리폭시게나제에 의해 모노-히드록시 디엔 유도체로 완전히 전환될 수 있고, DPAn-3 또는 DHA 보다 더 효율적으로 전환된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최종 농도 4 ㎍/ml의 대두 15-리폭시게나제 (공급처: Sigma-Aldrich, St. Louis, MO)를 0.05 M 붕산나트륨 완충제, pH 9.0 중의 DHA, DPAn-6, 또는 DPAn-3의 100 μM 용액 (공급처: NuChek Prep, Elysian, MN) 내로 혼합하고, 이 반응 혼합물 을 0℃ 하에 항온 배양하였다. 상기 지방산의 모노-히드록시 공액 디엔 유도체의 외관을 238 nm 하에서의 흡광도를 통하여 모니터링하였다. 28,000 M-1cm-1의 흡광 계수를 사용하여 공액 디엔 생성물을 정량화하였다 [참고: Shimizu et al; Methods in Enzymology, 1990 Vol 187, 296-306]. 실시예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DPAn-6의 100%가 이들 조건 하에 그의 공액 디엔 유도체로 효율적으로 전환된 반면, DPAn-3의 약 85%와 DHA의 50%가 15-리폭시게나제에 의해 그들 각각의 공액 디엔 (모노-히드록시) 유도체로 전환되었다. 이들 반응 조건 하에서는 인지할 만한 수준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축적이 발생하지 않았다.
실시예 2
다음 실시예는 DHA의 주요 1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기재하였다.
DHA (100 μM, 공급처: NuChek Prep, Elysian, MN)를 4℃ 하에 30분 동안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0.05 M 붕산나트륨 완충제, pH 9.0 중의 15-LOX (4 ㎍/ml)와 함께 항온 배양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NaBH4 (0.45 mg/ml)로 환원시킨 다음, 용출을 위해 무수 에탄올을 사용하여 고체 상 C-18 카트릿지 (Supelco Discovery DSC-19) 상에서 추출하였다. 전자분무 이온화 공급원이 장착된 에스콰이어 (Esquire) 3000 이온 트랩 질량 분광계 (공급처: Bruker Daltonics, Billerica MA USA)와 인터페이스로 접속시킨 아질런트 (Agilent) 1100 시리즈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기기 (공급처: San Paulo, CA USA)를 사용하여 LC/MS/MS함으로써 상기 반응 생성물을 분석하였다. 상기 HPLC를, 50분에 걸쳐 아세토니트릴 구배를 48%에서 90%로 증가시키면서 수중 30% 메탄올 중의 100 mM 암모늄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이동 상을 사용하여 (유속 0.4 ml/min) LUNA C18(2) 칼럼 (250 x 4.6 mm, 5 마이크론, Phenomenex, Torrance CA, USA) 상에서 수행하였다. 상기 질량 분광계는 음성 이온 탐지 모드로 작동시켰다. 질소를 분무 및 건조 기체로서 사용하였는데, 분무기 압력은 20 psi이고, 건조 기체 유속은 7 L/min이었다. 인터페이스 온도는 330℃로 유지시켰다.
도 2A는 이러한 DHA 반응의 모노- 및 디히드록시 생성물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17-히드록시 DHA의 특징적 단편과 분자상 이온 (m/z 343)을 나타내는 모노-히드록시 생성물의 MS/MS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삽입 도면은 공액 디엔의 특징인 237 nm 하에서의 예상 피크를 지닌 상기 화합물의 UV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2C 및 2D는 표시된 10,17-디히드록시 DHA (2C) 및 7,17-디히드록시 DHA (2D)의 특징적 단편과 분자상 이온 (m/z 359)을 나타내는 2개의 디히드록시 생성물의 MS/MS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삽입 도면의 UV 스펙트럼은 10,17-디히드록시 DHA에 대한 공액 트리엔의 특징인 270 nm 하에서의 예상 삼중선 피크와, 7,17-디히드록시 DHA에 대한 메틸렌 기에 의해 분리된 2 쌍의 공액 디엔의 특징인 242 nm 하에서의 단일 피크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 3
다음 실시예는 DPAn-6의 주요 1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나타내고, DHA로부터 생성된 것과 유사한 (실시예 2 참고) 모노- 및 디히드록시 유도체의 생성을 입증하였다.
DPAn-6을 15-리폭시게나제로 처리하였고, 실시예 2에 기재된 조건 하에 LC/MS/MS에 의해 분석하였다. 도 3A는 이러한 DPAn-6/15-LOX 반응의 모노- 및 디히드록시 반응 생성물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17-히드록시 DPAn-6의 특징적 단편과 분자상 이온 (m/z 345)을 나타내는 모노-히드록시 생성물의 MS/MS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삽입 도면은 공액 디엔의 특징인 237 nm 하에서의 예상 피크를 지닌 상기 화합물의 UV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3C 및 3D는 표시된 10,17-디히드록시 DPAn-6 (3C) 및 7,17-디히드록시 DPAn-6 (3D)의 특징적 단편과 분자상 이온 (m/z 361)을 나타내는 2개의 디히드록시 생성물의 MS/MS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삽입 도면의 UV 스펙트럼은 10,17-디히드록시 DPAn-6에 대한 공액 트리엔의 특징인 270 nm 하에서의 예상 삼중선 피크와, 7,17-디히드록시 DPAn-6에 대한 메틸렌 기에 의해 분리된 2 쌍의 공액 디엔의 특징인 242 nm 하에서의 단일 피크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 4
다음 실시예는 DPAn-3의 주요 1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나타내고, DHA (실시예 2) 및 DPAn-6 (실시예 3)으로부터 생성된 것과 유사한 모노- 및 디히드록시 유도체의 생성을 입증하였다.
DPAn-3을 15-리폭시게나제로 처리하였고, 실시예 2에 기재된 조건 하에 LC/MS/MS에 의해 분석하였다. 도 4A는 이러한 DPAn-3/15-LOX 반응의 모노- 및 디히드록시 반응 생성물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17-히드록시 DPAn-3의 특징적 단편과 분자상 이온 (m/z 345)을 나타내는 모노-히드록시 생성물의 LC/MS 스 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삽입 도면은 공액 디엔의 특징인 237 nm 하에서의 예상 피크를 지닌 상기 화합물의 UV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4C 및 4D는 표시된 10,17-디히드록시 DPAn-3 (4C) 및 7,17-디히드록시 DPAn-3 (4D)의 특징적 단편과 분자상 이온 (m/z 361)을 나타내는 2개의 디히드록시 생성물의 MS/MS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삽입 도면의 UV 스펙트럼은 10,17-디히드록시 DPAn-3에 대한 공액 트리엔의 특징인 270 nm 하에서의 예상 삼중선 피크와, 7,17-디히드록시 DPAn-3에 대한 메틸렌 기에 의해 분리된 2 쌍의 공액 디엔의 특징인 242 nm 하에서의 단일 피크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 5
다음 실시예는 DTAn-6의 주요 1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나타내고, DHA (실시예 2), DPAn-6 (실시예 3) 및 DPAn-3 (실시예 4)으로부터 형성된 것과 유사한 모노- 및 디히드록시 유도체의 생성을 입증하였다.
DTAn-6을 15-리폭시게나제와 혼합하고, 실시예 2에 기재된 조건 하에 LC/MS/MS에 의해 분석하였다. 도 5A는 모노-히드록시 반응 생성물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17-히드록시 DTAn-6의 특징적 단편과 분자상 이온 (m/z 347)을 나타내는 모노-히드록시 생성물의 LC/MS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삽입 도면은 공액 디엔의 특징인 237 nm 하에서의 예상 피크를 표시하는 UV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5C는 표시된 7,17-디히드록시 DTAn-6의 특징적 단편과 분자상 이온 (m/z 361)을 나타내는 디히드록시 생성물의 LC/MS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삽입 도면의 UV 스펙트럼은 메틸렌 기에 의해 분리된 2 쌍의 공액 디엔의 특징인 242 nm 하에서의 예상 피크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 6
다음 실시예는 15-리폭시게나제로 처리한 다음, 헤모글로빈으로 순차적으로 처리한 후 DPAn-6으로부터 생성된 효소적 옥시리핀 생성물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DPAn-6 (100 μM 농도)을 4℃ 하에 격렬하게 교반시키면서 대두 15-리폭시게나제 (20 ㎍/ml 최종 농도)와 혼합하였다. 생성물을, 최종 용출을 위해 무수 에탄올을 사용하여 수펠코 디스커버리 (Supelco Discovery) DSC-19 카트릿지 상에서 즉시 추출하였다. 이로써 수득된 히드로퍼옥시 유도체를 1.5 mM가 되도록 농축시키고, 이를 후속 헤모글로빈 촉매된 반응에 사용하였다. 히드로퍼옥시 유도체 (최종 반응 농도, 30 ㎍/ml)를 37℃에서 15분 동안 둘벡코 (Dulbecco) 인산염 완충 식염수 중의 인간 헤모글로빈 (300 ㎍/ml, 공급처: Sigma-Aldrich)과 혼합하였다. 빙초산을 사용하여 상기 반응물을 pH 3이 되도록 산성화하고, 생성물을 고체 상 추출함으로써 정제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LC-MS/MS에 의해 분석하였다. 도 6은 질량 스펙트럼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추론된 바와 같은 효소적 반응의 도코사노이드 생성물을 예시한 것이다.
실시예 7
다음 실시예는 DHA의 주요 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나타내었다.
0.05 M NaMES 완충제, pH 6.3 중의 100 μM DHA (공급처: NuChek Prep, Elysian, MN), 100 μM SDS and 0.02% C12E10를 함유하는 10-ml 반응 혼합물에 200 ㎕의 10 U/㎕ 감자 5-리폭시게나제 (공급처: Caymen Chemicals, Minneapolis, MN)를 가하였다. 이 반응을 4℃ 하에 30분 동안 진행시키고, 1 ml의 0.5 mg/ml NaBH4를 부가함으로써 반응 생성물을 환원시켰다. 반응 생성물을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체 상 C-18 카트릿지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LC/MS/MS에 의해 분석하였다. 진단적 분자상 이온 및 단편과 함께 직렬 질량 분광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주요 반응 생성물이 도시되었다 (도 7).
실시예 8
다음 실시예는 DPAn-6의 주요 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나타내고, DHA (실시예 7)의 5-LOX 생성물과 유사한 모노-히드록시 유도체의 생성을 나타내었다.
DPAn-6 (100 μM)을 실시예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5-리폭시게나제로 처리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실시예 2에서와 같이 LC/MS/MS에 의해 분석하였다. 진단적 분자상 이온 및 단편과 함께 직렬 질량 분광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주요 반응 생성물이 도시되었다 (도 8).
실시예 9
다음 실시예는 DPAn-3의 주요 5-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나타내고, DHA (실시예 7)의 5-LOX 생성물과 유사한 모노- 및 디히드록시 유도체의 생성을 나타내었다.
DPAn-3 (100 μM)을 실시예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5-리폭시게나제로 처리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실시예 2에서와 같이 LC/MS/MS에 의해 분석하였다. 진단적 분자상 이온 및 단편과 함께 직렬 질량 분광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주요 반응 생성물이 도시되었다 (도 9).
실시예 10
다음 실시예는 DHA의 주요 12-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나타내었다.
효소 반응을 위해, 100 ㎕의 0.75 U/㎕ 돼지 백혈구-유래된 12-리폭시게나제 (공급처: Caymen Chemicals, Minneapolis, MN)를, 0.1 M 트리스 (Tris)-HCl, pH 7.5 중의 100 μM DHA (공급처: NuChek Prep, Elysian, MN), 5 mM EDTA 및 0.03% 트윈 (Tween)-20을 함유하는 10-ml 용액에 가하였다. 반응을 4℃ 하에 30분 동안 지속시켰고, 1 ml의 0.5 mg/ml NaBH4를 부가함으로써 반응 생성물을 환원시켰다. 반응 생성물을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체 상 C-18 카트릿지를 사용하여 추출하고, LC/MS/MS에 의해 분석하였다. 진단적 분자상 이온 및 단편과 함께 직렬 질량 분광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주요 반응 생성물이 도시되었다 (도 10).
실시예 11
다음 실시예는 DPAn-6의 주요 12-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나타내고, DHA/12-LOX 반응 (실시예 10)으로부터의 생성물과 유사한 모노- 및 디히드록시 유도체의 생성을 나타내었다.
DPAn-6 (100 μM)을 실시예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12-리폭시게나제로 처리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실시예 2에서와 같이 LC/MS/MS에 의해 분석하였다. 진단적 분자상 이온 및 단편과 함께 직렬 질량 분광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주요 반응 생성물이 도시되었다 (도 11).
실시예 12
다음 실시예는 DPAn-3의 주요 12-리폭시게나제 생성물을 나타내고, DHA/12-LOX 반응 (실시예 10) 및 DPAn-6/12-LOX 반응 (실시예 11)으로부터 생성된 것과 유사한 모노- 및 디히드록시 유도체의 생성을 나타내었다.
DPAn-3 (100 μM)을 실시예 10에 기재된 바와 같이 12-리폭시게나제로 처리하였다. 반응 생성물을 실시예 2에서와 같이 LC/MS/MS에 의해 분석하였다. 진단적 분자상 이온 및 단편과 함께 직렬 질량 분광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주요 반응 생성물이 도시되었다 (도 12).
실시예 13
다음 실시예는 해조류 DHA/DPAn-6 LCPUFA 오일 중의 옥시리핀의 질량 스펙트럼 분석을 기재하였다.
1.5 ml 헥산 중에 희석시킨 해조류-유래된 DHA + DPAn-6 오일 (0.5 g)을, 각종 지질 부류를 용출시키기 위해 헥산 중의 에틸 아세테이트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15 mm x 200 mm 실리카 겔 칼럼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지질을 함유하는 분획은 이동 상으로서 석유 에테르:에틸 에테르:아세트산 (80:20:1)을 사용하여 박막 크로마토그래피 (TLC)함으로써 확인한 다음, 전자분무 이온화 (ESI) 및 휴렛 패커드 (Hewlett Packard) 모델 1100 질량 선택적 탐지기 (MSD)가 장착된 휴렛 패커드 모델 1100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상에서 LC/MS를 사용하여 모노- 및 디히드록시 도코사노이드 (m/z 343, 345, 359, 또는 361)에 대해 추가로 스크리닝하였다. 히드록실 도코사노이드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풀링하고, 농축시킨 다음, 플라이트 하 이브리드 LC/MS/MS의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스 (Applied Biosystems) API QSTAR ® 펄서 i 하이브리드 삼중 사중극-시간 (콜로라도 대학 질량 분광법 장비) 상에서 직렬 질량 분광법 (MS/MS)에 의해 추가로 분석하였다. 음성 이온화를 활용하여 ESI 공급원 내로 직접 주입함으로써 샘플을 도입하였다.
도 18A는 도코사노이드 분획의 MS 총 이온 크로마토그래프 (TIC)를 도시한 것인데, 이는 모노-히드록시 DPA (HDPA) 및 디히드록시 DPA (디-HDPA) (각각 [M-H] 345 및 361 m/z) 및 모노-히드록시 DHA (HDHA, [M-H] 343 m/z)가, 이들 화합물의 특징적 단편인 [M-H]-H2O, [M-H]-CO2 및 [M-H]-H2O/CO2에 상응하는 단편과 함께 존재한다는 지표이다.
도 18B는 오일 중에 17-HDPAn-6이 존재한다는 지표인 m/z 245 및 201 단편과 함께 특징적 [M-H]-H2O, [M-H]-CO2 및 [M-H]-H2O/CO2 단편을 나타낸 모노-히드록시 DPAn-6 ([M-H] 345 m/z)의 MS/MS 스펙트럼을 도시한 것이다.
도 18C는 [M-H]-H2O (m/z 343), [M-H]-CO2 (m/z 317) 및 [M-H]-H2O/CO2 (m/z 299), [M-H]-2 H2O/CO2 (m/z 281)에 상응하는 특징적 단편, 및 10,17-디히드록시 DPAn-6 (m/z 261 - H2O/CO2; 153)이 존재한다는 지표인 단편을 갖는 디히드록시 DPAn-6의 MS/MS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14
LCPUFA의 각종 조합물을 해당 동물에게 공급한, 랫트 발 부종 연구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 자란 숫컷 스프라그 돌리 (Sprague Dawley) 랫트 (n=10/처리 군)에게, 1.2% DHA, 1.2% DHA + 0.44% DPAn-6, 또는 1.2% DHA + 0.46% 아라키돈산 (ARA)을 포함하도록 처방한 변형된 AIN-76 식사를 4주 동안 공급하였다. 카라기난 (Carrageenan) (1%)을 사용하여, 공급한지 14일째 (왼발)와 28일째 (오른발)에 뒷발 부종을 유도시켰다. 주사한지 3시간 후에 수 치환을 이용하여 부종을 체적변동 기록계로 측정하였다. 28일 평균치 (±표준 편차)가 도 19에 도시되었다. 14일 째에도 유사한 결과가 수득되었다. * p < 0.05.
도 19는 DHA와 DPAn-6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오일이 DHA 단독이나 DHA와 ARA의 조합물 보다 통계상 유의적으로 더 우수하게 부종 용적을 저하시켰다는 것을 보여준다. 오메가-6 지방산 ARA는 상기 모델에서 DHA의 소염 활성을 역전시켰다.
실시예 15
다음 실시예는 마우스 복부 공기 주머니 모델에서 DPAn-6-유래된 옥시리핀인 17-히드록시 DPAn-6 및 10,17-디히드록시-DPAn-6의 강력한 소염 효과를 입증하였다.
순수한 17R-히드록시 DHA (17R-HDHA)는 공급처 [Caymen Chemicals (Ann Arbor, MI)]로부터 구입하였다. 도코사노이드 17-히드록시-DPAn-6 (17-HDPAn-6) 및 10,17-디히드록시-DPAn-6 (10,17-HDPAn-6)은 대두 15-리폭시게나제 (공급처: Sigma-Aldrich)를 사용하여 DPAn-6 (공급처: NuChek Prep, Elysian, MN)으로부터 생물발생적으로 합성하고, 실시예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HPLC함으로써 정제하였다. 유기 용매를 증발시키고, 화합물을 인산염 완충 식염수 (PBS)에 재용해시키며, 필터 멸균시키고, 모노- 및 디히드록시 도코사노이드 각각에 대한 28,000 및 40,000 M-1cm-1의 몰 흡광 계수를 사용하여 농도를 1000 ng/ml로 조정하였다. 암컷 C57/B16 마우스 (한 그룹당 10 마리 마우스)에게 멸균성 공기를 등에 피하 주사하여 복부 공기 주머니를 개시하였다. 6일 후에, 0.9 ml 멸균성 PBS에 이어 0.1 ml PBS 중의 100 ng 도코사노이드 또는 PBS 단독을 주머니 내에 주사 투여하였다. 이러한 주사에 이어 5분 내에 0.1 ml PBS 중의 100 ng의 마우스 재조합 TNFα (공급처: Peprotech, Inc, NJ, USA)를 주머니 내에 주사하였다. 대조군 마우스에게는 TNFα를 투여하지 않았다. 양성 대조군으로서, TNFα를 투여하기 30분 전에, 2 mg/kg 인도메타신 (공급처: Calbiochem, San Diego, CA)을 복강내 투여하였다. TNFα를 투여한지 4시간 후에, 공기 주머니 삼출액을 꺼내고, 세포를 터크 (Turk) 용액으로 염색한 다음 계수하였다. 삼출액을 시판용 ELISA 키트를 사용하여 나중에 사이토킨 분석하기 위해 동결시켰다. 막대는 그룹 (n=10) 평균치 (±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스튜던츠 시험을 사용하여 그룹들을 비교하였는데, p 값은 표시되었다.
도 2OA는 공기 주머니 삼출액 내로의 총 세포 이동을 도시한 것이다. 17-히드록시 DPAn-6과 10,17-디히드록시 DPAn-6은 주머니 내의 총 세포 수를 상당히 감소시켰는데, 이는 호중구와 대식세포 수 둘 다가 감소되었기 때문이다 (도시되지 않음). 17-히드록시 DPAn-6은 세포 침윤을 저하시키는데 있어서 17R-히드록시 DHA와 인도메타신 둘 다 보다 더 강력하였다.
도 20B는 공기 주머니 삼출액 중의 IL-1β의 농도를 도시한 것이다. 17-히드록시 DPAn-6과 10,17-디히드록시 DPAn-6 둘 다는 강력한 프로-염증성 사이토킨 IL-1β의 분비를 상당히 저하시켰는데, 10,17-디히드록시 DPAn-6에 의해 야기된 저하가 DHA 옥시리핀 유도체 또는 인도메타신에 의해 야기된 저하 보다 상당히 더 컸다.
도 2OC는 공기 주머니 삼출액 중의 대식세포 화학주성 단백질-1 (MCP-1) 농도를 도시한 것이다. 17-히드록시 DPAn-6과 10,17-디히드록시 DPAn-6 둘 다는 상기 화학유인물질 사이토킨의 분비를 상당히 저하시켰고, 양 화합물은 인도메타신 보다 더 강력하게 MCP-1 분비를 억제시켰다.
도 20A-C는 2가지 DPAn-6 옥시리핀 유도체인 17-히드록시 DPAn-6과 10,17-디히드록시 DPAn-6가 강력한 소염제이므로, 이러한 염증 모델에서 면역 세포 이동을 저하시켰다고 나타내었다. 주요 프로-염증성 사이토킨의 저하는 이러한 소염 활성에 기인할 수 있다. 현저하게, 사이토킨 생성 (예: IL-1β)에 대한 그들의 효과 측면에서 이들 2가지 DPAn-6 옥시리핀의 활성 간에는 차이가 있는데, 이는 하나의 화합물이 특정의 적용 분야에 대해 다른 화합물 보다 더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예를 들어, 패혈증 대 종창). 17-히드록시 DPAn-6은 세포 이동을 억제하는데 있어서 DHA-유래된 옥시리핀 보다 더 강력하였고, 10,17-디히드록시 DPAn-6은 IL-lβ 분비를 저하시키는데 있어서 DHA 옥시리핀 보다 더 강력하였다.
실시예 16
다음 실시예는 세포 배양중인 DHA 및 DPAn-6-유래된 도코사노이드의 소염 효 과를 나타내었다.
신경교 세포에 의한 TNFα-유도된 IL-1β 생성에 대한 도코사노이드의 효과: 인간 신경교 세포 (DBGTRG-05MG, ATCC, Manassas, VA)를, 보충제와 혈청 (ATCC에 의해 명시된 바와 같음)을 함유하는 0.2 ml RPMI-배지 중의 96-웰 배양 디쉬 (웰당 105개 세포)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상기 배지를 도코사노이드 또는 비히클 (PBS)를 함유하는 신선한 배지로 대체시킨 다음, 5분 이내에 인간 재조합 TNFα (공급처: Sigma-Aldrich, St. Louis, MO)를 100 ng/ml의 최종 농도로 부가하였다. 세포를 17시간 동안 항온 배양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세포를 PBS 중의 0.2% 트리톤 (Triton)-X1OO으로 용해시켰다. 세포 용해물을 대상으로 하여, 시판용 ELISA 키트 (공급처: R&D Systems, Minneapolis, MN)를 사용하여 IL-1β에 대해 검정하였다 (도 21). 막대는 평균 (n=3)±표준 편차를 나타낸다. t-측 스튜던츠 t 시험을 사용하여 대조군과 비교한 *p = 0.06. 17-HDHA: 17R-히드록시 DHA; 17HDPAn-6: 17-히드록시 DPAn-6; 10,17-디HDPAn-6: 10,17-디히드록시 DPAn-6.
실시예 17
다음 실시예는 배양 중인 인간 림프구에 대한 10,17-디히드록시 DPAn-6의 소염 효과를 추가로 예시하였고, 이러한 디히드록시 DPAn-6 화합물이 항-CD3/항-CD28 항체로 자극된 T 림프구에 의한 TNFα 분비를 저하시키는데 있어서 DHA 유사체 (10,17-디히드록시 DHA) 보다 더 강력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도 22A: 인간 T 림프구에 의한 TNFα 분비에 대한 도코사노이드의 효과. 본 검정은 본질적으로, 문헌 [참고: Ariel et al, 200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하였다. 간략하게 언급하면, 인간 말초혈 단핵 세포를 피콜-플라크 (Ficoll-Paque™) 플러스 (공급처: Amersham biosciences) 구배에 의해 정맥혈로부터 단리하였다. 제조업자의 지시에 따라서 인간 T 세포 증균 칼럼 (공급처: R&D Systems)을 사용하여 T 림프구를 단리하였다. 정제된 T 세포를, 10% 열 불활성화 태아 소 혈청을 함유하는 RPMI-1640 배지 중에서 37℃ 하에 6시간 동안 10,17-디히드록시 DPAn-6 또는 10,17-디히드록시 DHA 또는 비히클 (0.05% 에탄올)로 처리하였다. 이어서, 림프구 (웰당 200 ㎕ 배지 중의 200,000개 세포)를, 항-CD3 항체와 항-CD28 항체 둘 다로 피복시킨 (웰을 피복시키기 위해 100 ㎕의 각 항체 2 ㎍/ml로 밤새 피복시킴) 96-웰 판에 옮긴 다음, 41시간 동안 항온 배양하였다. TNFα 농도를 세포 상등액 중에서 ELISA (공급처: R&D Systems)에 의해 결정하였다. 그룹 평균치 ± 표준 편차 (n=4)를 스튜던츠 t 시험에 의해 비교하였다. 대조군과 비교한 *p < 0.05 및 **p < 0.01; #는 10 nM 농도에서 10,17-디히드록시 DPAn-6 및 10,17-디히드록시 DHA로 처리한 그룹 간의 통계적 차이 (p = 0.037)를 나타낸다.
도 22B는 피복되지 않은 웰에서 배양하였거나, 또는 항-CD3 항체로만 피복시켰거나, 항-CD28 항체로만 피복시켰거나 또는 이들 두 항체의 조합물로 피복시킨 웰에서 배양한 도코사노이드로 처리시키지 않은 림프구로부터의 상등액 중의 TNFα 농도를 도시한 것이다.
참고 문헌
Figure 112007043898249-PCT00001
Figure 112007043898249-PCT00002
Figure 112007043898249-PCT00003
Figure 112007043898249-PCT00004
Figure 112007043898249-PCT00005
Figure 112007043898249-PCT00006
본원에 기재되거나 인용된 각각의 참고 문헌은 그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도입된다.
본 발명의 각종 양태가 상세히 기재되긴 하였지만, 이들 양태의 변형과 적응 이 당업자에게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과 적용은 다음 청구의 범위에 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명백히 인지해야 한다.

Claims (112)

  1.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6)의 단리된 도코사노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DPAn-6의 모노히드록시 유도체, DPAn-6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및 DPAn-6의 트리-히드록시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단리된 도코사노이드.
  3. 제1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7-히드록시 DPAn-6; 8-히드록시 DPAn-6; 10-히드록시 DPAn-6; 11-히드록시 DPAn-6; 13-히드록시 DPAn-6; 14-히드록시 DPAn-6; 17-히드록시 DPAn-6; 7,17-디히드록시 DPAn-6; 10,17-디히드록시 DPAn-6; 13,17-디히드록시 DPAn-6; 7,14-디히드록시 DPAn-6; 8,14-디히드록시 DPAn-6; 16,17-디히드록시 DPAn-6; 4,5-디히드록시 DPAn-6; 7,16,17-트리히드록시 DPAn-6; 및 4,5,17-트리히드록시 DPAn-6;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단리된 도코사노이드.
  4.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3)의 단리된 도코사노이드.
  5. 제4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DPAn-3의 모노히드록시 유도체, DPAn-3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및 DPAn-3의 트리-히드록시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 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단리된 도코사노이드.
  6. 제5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7-히드록시 DPAn-3; 10-히드록시 DPAn-3; 11-히드록시 DPAn-3; 13-히드록시 DPAn-3; 14-히드록시 DPAn-3; 16-히드록시 DPAn-3; 17-히드록시 DPAn-3; 7,17-디히드록시 DPAn-3; 10,17-디히드록시 DPAn-3; 8,14-디히드록시 DPAn-3; 16,17-디히드록시 DPAn-3; 13,20-디히드록시 DPAn-3; 10,20-디히드록시 DPAn-3; 및 7,16,17-트리히드록시 DPAn-3;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단리된 도코사노이드.
  7. 도코사테트라에노산 (DTAn-6)의 단리된 도코사노이드.
  8. 제7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DTAn-6의 모노히드록시 유도체, DTAn-6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및 DTAn-6의 트리-히드록시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단리된 도코사노이드.
  9. 제8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7-히드록시 DTAn-6; 10-히드록시 DTAn-6; 13-히드록시 DTAn-6; 17-히드록시 DTAn-6; 7,17-디히드록시 DTAn-6; 10,17-디히드록시 DTAn-6; 16,17-디히드록시 DTAn-6; 및 7,16,17-트리히드록시 DTAn-6;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 는 S-에피머인 단리된 도코사노이드.
  10. C22 다가불포화 지방산의 단리된 도코사노이드로서, 이러한 도코사노이드가 4,5-에폭시-17-히드록시 DPA; 7,8-에폭시 DHA; 10,11-에폭시 DHA; 13,14-에폭시 DHA; 19,20-에폭시 DHA; 13,14-디히드록시 DHA; 16,17-디히드록시 DTAn-6; 7,16,17-트리히드록시 DTAn-6; 4,5,17-트리히드록시 DTAn-6; 7,16,17-트리히드록시 DTAn-3; 16,17-디히드록시 DTAn-3; 16,17-디히드록시 DTRAn-6; 7,16,17-트리히드록시 DTRAn-6; 4,5-디히드록시 DTAn-6; 및 10,16,17-트리히드록시 DTRAn-6;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단리된 도코사노이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의 도코사노이드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치료 조성물인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영양 조성물인 조성물.
  14. 제11항에 있어서, 미용 조성물인 조성물.
  15. 제11항에 있어서, 아스피린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6. 제11항에 있어서, DPAn-6, DPAn-3, DTAn-6, DHA, EPA, DHA의 옥시리핀 유도체, 및 EPA의 옥시리핀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7. 제11항에 있어서, 스타틴,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 항산화제, 및 신경보호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작용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8. 제11항에 있어서, 제약상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9. 제11항에 있어서, 미생물성 오일, 식물 종자 오일, 및 수생 동물 오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20. 오일 1 그램당 도코사노이드 약 10 ㎍ 이상을 포함하는 오일.
  21. 제20항에 있어서, 오일 1 그램당 도코사노이드 약 20 ㎍ 이상을 포함하는 오일.
  22. 제20항에 있어서, 오일 1 그램당 도코사노이드 약 50 ㎍ 이상을 포함하는 오 일.
  23. 제20항에 있어서, 오일 1 그램당 도코사노이드 약 100 ㎍ 이상을 포함하는 오일.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도코사테트라에노산 (DTAn-6),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6),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3), 도코사헥사에노산 (DHA), 및 에이코사펜타에노산 (EPA)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다가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되는 오일.
  25. 제20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도코사테트라에노산 (DTAn-6),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6), 및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3)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다가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 유래되는 오일.
  26. 제20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6)으로부터 유래되는 오일.
  27. 제26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DPAn-6의 모노히드록시 유도체, DPAn-6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및 DPAn-6의 트리-히드록시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오일.
  28. 제26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7-히드록시 DPAn-6; 8-히드록시 DPAn-6; 10-히드록시 DPAn-6; 11-히드록시 DPAn-6; 13-히드록시 DPAn-6; 14-히드록시 DPAn-6; 17-히드록시 DPAn-6; 7,17-디히드록시 DPAn-6; 10,17-디히드록시 DPAn-6; 13,17-디히드록시 DPAn-6; 7,14-디히드록시 DPAn-6; 8,14-디히드록시 DPAn-6; 16,17-디히드록시 DPAn-6; 4,5-디히드록시 DPAn-6; 7,16,17-트리히드록시 DPAn-6; 및 4,5,17-트리히드록시 DPAn-6;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오일.
  29. 제20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도코사펜타에노산 (DPAn-3)으로부터 유래되는 오일.
  30. 제29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DPAn-3의 모노히드록시 유도체, DPAn-3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및 DPAn-3의 트리-히드록시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오일.
  31. 제29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7-히드록시 DPAn-3; 10-히드록시 DPAn-3; 11-히드록시 DPAn-3; 13-히드록시 DPAn-3; 14-히드록시 DPAn-3; 16-히드록시 DPAn-3; 17-히드록시 DPAn-3; 7,17-디히드록시 DPAn-3; 10,17-디히드록시 DPAn-3; 8,14-디히드록시 DPAn-3; 16,17-디히드록시 DPAn-3; 13,20-디히드록시 DPAn-3; 10,20-디 히드록시 DPAn-3; 및 7,16,17-트리히드록시 DPAn-3;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오일.
  32. 제20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도코사테트라에노산 (DTAn-6)으로부터 유래되는 오일.
  33. 제32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DTAn-6의 모노히드록시 유도체, DTAn-6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및 DTAn-6의 트리-히드록시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오일.
  34. 제32항에 있어서, 도코사노이드가 7-히드록시 DTAn-6; 10-히드록시 DTAn-6; 13-히드록시 DTAn-6; 17-히드록시 DTAn-6; 7,17-디히드록시 DTAn-6; 10,17-디히드록시 DTAn-6; 16,17-디히드록시 DTAn-6; 및 7,16,17-트리히드록시 DTAn-6;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오일.
  35. 제20항 내지 제3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성 오일, 식물 종자 오일, 및 수생 동물 오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오일.
  36. 제20항 내지 제35항 중의 어느 한 항의 오일을 포함하는 조성물.
  37. 제36항에 있어서, 치료 조성물인 조성물.
  38. 제36항에 있어서, 영양 조성물인 조성물.
  39. 제36항에 있어서, 미용 조성물인 조성물.
  40. DPAn-6, DPAn-3, 및 DTAn-6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과, 제약상 또는 영양상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41. 제40항에 있어서, 아스피린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2. 제40항에 있어서, DPAn-6, DTAn-6 또는 DPAn-3으로부터의 도코사노이드의 생성을 촉매하는 효소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43. 염증 또는 신경변성, 또는 이와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거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린 것으로 진단되었거나, 또는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린 것으로 추정되는 개체에게, DPAn-6, DPAn-3, DPAn-6의 옥시리핀 유도체, 및 DPAn-3의 옥시리핀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작용제를 투여하여, 이러한 개체에게서 염증 또는 신경변성의 한 가지 이상 증상을 저하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특정 개체에서 염증 또는 신경변성의 한 가지 이상 증상을 예방하거나 저하시키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T 림프구에 의한 종양 괴사 인자-α (TNF-α)의 생성을 저하시키는데 유효한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호중구 및 대식세포가 염증 부위 내로 이동하는 것을 저하시키는데 유효한 방법.
  46. 제43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개체에게서 인터루킨-1β (IL-lβ) 생성을 저하시키는데 유효한 방법.
  47. 제43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개체에게서 대식세포 화학주성 단백질-1 (MCP-1)을 저하시키는데 유효한 방법.
  48. 제4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장쇄 오메가-3 지방산 및/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오메가-3 지방산이 DHA 및 EPA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50. 제43항에 있어서, DPAn-6 또는 DPAn-3이 다음 형태들 중의 하나, 즉 DPAn-6 또는 DPAn-3을 함유하는 트리글리세라이드로서, DPAn-6 또는 DPAn-3을 함유하는 인지질로서, 자유 지방산으로서, DPAn-6 또는 DPAn-3의 에틸 또는 메틸 에스테르로서 제공되는 방법.
  51. 제43항에 있어서, DPAn-6, 또는 DPAn-3, 또는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가,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을 생성하도록 유전적으로 변형시킨 지방종자 식물로부터 유래된 식물 오일로부터 제공되거나 미생물성 오일 또는 동물 오일 형태로 제공되는 방법.
  52. 제43항에 있어서, 옥시리핀 유도체가, DPAn-6 또는 DPAn-3을 그의 옥시리핀 유도체로 효소적 전환시킴으로써 생성되는 방법.
  53. 제43항에 있어서, 옥시리핀 유도체가 화학적으로 새로이 (de novo) 합성되는 방법.
  54. 제43항에 있어서, 옥시리핀 유도체가 DPAn-6의 모노히드록시 생성물의 R-에피머, DPAn-6의 모노히드록시 생성물의 S-에피머, DPAn-3의 모노히드록시 생성물의 R-에피머, DPAn-3의 모노히드록시 생성물의 S-에피머, DPAn-6의 디히드록시 생성물의 R-에피머, DPAn-6의 디히드록시 생성물의 S-에피머, DPAn-3의 디히드록시 생성 물의 R-에피머, DPAn-3의 디히드록시 생성물의 S-에피머, DPAn-6의 트리히드록시 생성물의 R-에피머, DPAn-6의 트리히드록시 생성물의 S-에피머, DPAn-3의 트리히드록시 생성물의 R-에피머, 및 DPAn-3의 트리히드록시 생성물의 S-에피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55. 제43항에 있어서, 옥시리핀 유도체가 7-히드록시 DPAn-6; 8-히드록시 DPAn-6; 10-히드록시 DPAn-6; 11-히드록시 DPAn-6; 13-히드록시 DPAn-6; 14-히드록시 DPAn-6; 17-히드록시 DPAn-6; 7,17-디히드록시 DPAn-6; 10,17-디히드록시 DPAn-6; 13,17-디히드록시 DPAn-6; 7,14-디히드록시 DPAn-6; 8,14-디히드록시 DPAn-6; 16,17-디히드록시 DPAn-6; 4,5-디히드록시 DPAn-6; 7,16,17-트리히드록시 DPAn-6; 및 4,5,17-트리히드록시 DPAn-6;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방법.
  56. 제43항에 있어서, 옥시리핀 유도체가 7-히드록시 DPAn-3; 10-히드록시 DPAn-3; 11-히드록시 DPAn-3; 13-히드록시 DPAn-3; 14-히드록시 DPAn-3; 16-히드록시 DPAn-3; 17-히드록시 DPAn-3; 7,17-디히드록시 DPAn-3; 10,17-디히드록시 DPAn-3; 8,14-디히드록시 DPAn-3; 16,17-디히드록시 DPAn-3; 13,20-디히드록시 DPAn-3; 10,20-디히드록시 DPAn-3; 및 7,16,17-트리히드록시 DPAn-3;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방법.
  57. 제43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17-히드록시 DPAn-6 및 10,17-디히드록시 DPAn-6,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유사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58. 제43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17-히드록시 DPAn-6,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유사체인 방법.
  59. 제43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10,17-디히드록시 DPAn-6,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유사체인 방법.
  60. 제43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DPAn-6인 방법.
  61. 제43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DPAn-3인 방법.
  62. 제43항 내지 제6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스피린을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3. 제43항 내지 제6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타틴,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 항산화제, 및 신경보호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작용제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64. 제1항 내지 제10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코사노이드를 화학적으로 합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도코사노이드의 생성 방법.
  65. DPAn-6 기질, DTAn-6 기질 또는 DPAn-3 기질을, 이러한 DPAn-6 기질, DTAn-6 기질 또는 DPAn-3 기질로부터 도코사노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와 접촉시킴으로써 도코사노이드를 촉매적으로 생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도코사노이드의 생성 방법.
  66.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 (LCPUFA)-생산 미생물을 배양하거나, 또는 22개 탄소 LCPUFA로부터 도코사노이드를 생성하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를 과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변형시킨 LCPUFA-생산 식물을 성장시켜 도코사노이드를 생성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도코노사이드의 생성 방법.
  67. LCPUFA-생산 미생물, LCPUFA-생산 식물 또는 LCPUFA-생산 동물에 의해 생성된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 (LCPUFA)을, 이러한 LCPUFA가 도코사노이드로 전환되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도코사노이드의 생성 방법
  68. 제65항 내지 제6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효소가 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 및 시토크롬 P450 효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69. 제65항 내지 제6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효소가 12-리폭시게나제, 5-리폭시게나제, 15-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2, 헤모글로빈 알파 1, 헤모글로빈 베타, 헤모글로빈 감마 A, CYP4A11, CYP4B1, CYP4F11, CYP4F12, CYP4F2, CYP4F3, CYP4F8, CYP4V2, CYP4X1, CYP41, CYP2J2, CYP2C8, 트롬복산 A 신타제 1, 프로스타글란딘 I2 신타제, 및 프로스타시클린 신타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70. 제66항 또는 제67항에 있어서, LCPUFA가 DPAn-6, DTAn-6 및 DPAn-3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71. 제66항 또는 제67항에 있어서, LCPUFA를 생산하도록 LCPUFA-생산 미생물 또는 LCPUFA-생산 식물을 유전적으로 변형시킨 방법.
  72. 제66항 또는 제67항에 있어서, LCPUFA-생산 미생물이 LCPUFA를 내인성으로 생산하는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LCPUFA-생산 미생물이 트라우스토키트리드 (Thraustochytrid)인 방법.
  74. LCPUFA-생산 미생물을, LCPUFA가 옥시리핀으로 전환되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의 효소적 활성을 증강시키는 화합물과 함께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LCPUFA로부터 유래된 하나 이상의 옥시리핀의 존재에 대해 오일을 강화시키거나, 또는 이러한 옥시리핀을 오일 중에서 안정화시키는 방법.
  75. 제74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효소의 발현을 자극하는 방법.
  76. 제74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LCPUFA의 자기산화를 증강 또는 개시시키는 방법.
  77. 제74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아세토살리실산인 방법.
  78. LCPUFA가 옥시리핀으로 전환되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의 존재 하에 하나 이상의 LCPUFA를 생성시키는 미생물 또는 식물 지방종자를 파열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LCPUFA로부터 유래된 하나 이상의 옥시리핀의 존재에 대해 오일을 강화시키거나, 또는 이러한 옥시리핀을 오일 중에서 안정화시키는 방법.
  79. 제78항에 있어서, 효소가 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 및 시토크롬 P450 효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80. 제74항 내지 제7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옥시리핀을 회수 및 정제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81. 제80항에 있어서, 옥시리핀을 추가로 처리하여, 옥시리핀의 유도체 또는 그의 염으로서 회수하는 방법.
  82. (a) 미생물, 식물 또는 동물 공급원에 의해 생성된 LCPUFA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함유하는 오일을 회수하는 단계; 및
    (b) 상기 오일로부터 자유 지방산을 제거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공정을 이용하여 오일을 정련시켜, LCPUFA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보유하고 있는 오일을 생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LCPUFA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함유하는 오일을 처리하는 방법.
  83. 제82항에 있어서, 동물이 수생 동물인 방법.
  84. 제82항에 있어서, 동물이 어류인 방법.
  85. 제82항에 있어서, 식물이 지방종자 식물인 방법.
  86. 제82항에 있어서, 미생물 공급원이 트라우스토키트리드인 방법.
  87. 제82항 내지 제8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련 단계가 오일을 알코올, 알코올:물 혼합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8. 제82항 내지 제8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련 단계가 오일을 비-극성 유기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89. 제82항 내지 제8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련 단계가 오일을 알코올 또는 알코올:물 혼합물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90. 제82항 내지 제8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련 단계가 오일을 냉각 여과, 표백, 추가의 냉각 여과 및 탈취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1. 제82항 내지 제8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련 단계가 냉각 여과 단계의 부재 하에 오일을 표백 및 탈취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2. 제82항 내지 제8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련 단계가 냉각 여과 또는 표백 단계의 부재 하에 오일을 탈취시키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3. 제82항 내지 제8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산화제를 오일에 부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4. 제82항 내지 제8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련 단계가 오일을 에멀션으로서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95. 제82항 내지 제8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CPUFA가 옥시리핀으로 전환되는 것을 촉매하는 효소와 오일을 접촉시킴으로써 오일을 추가로 처리하는 방법.
  96. 제95항에 있어서, 효소가 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 및 시토크롬 P450 효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97. 제95항에 있어서, 효소가 기질 상에 고정화되는 방법.
  98. 제82항 내지 제9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CPUFA 옥시리핀 유도체를 오일 중의 LCPUFA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9. 제98항에 있어서, 분리 단계가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100. 제9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된 LCPUFA 옥시리핀을 오일 또는 조성물에 부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1. (a) 미생물, 식물 또는 동물 공급원에 의해 생성된 LCPUFA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함유하는 오일을 회수하는 단계;
    (b) 상기 오일을 정련시키는 단계; 및
    (c) LCPUFA 옥시리핀을 오일 중의 LCPUFA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LCPUFA의 옥시리핀 유도체를 함유하는 오일을 처리하는 방법.
  102. 제101항에 있어서, 단계 (c)에 앞서,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공정에 의해 오일 중의 LCPUFA를 LCPUFA 옥시리핀으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3. 제101항 또는 제102항에 있어서, 분리시킨 LCPUFA 옥시리핀을 생성물에 부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04. 염증 또는 신경변성, 또는 이와 관련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거나,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린 것으로 진단되었거나, 또는 이러한 질환 또는 질병에 걸린 것으로 추정되는 환자에게, DTAn-6, 및 DTAn-6의 옥시리핀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작용제를 투여하여, 이러한 개체에게서 염증 또는 신경변성의 한 가지 이상 증상을 저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특정 개체에서 염증 또는 신경변성의 한 가지 이상 증상을 예방하거나 저하시키는 방법.
  105. 제104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DTAn-6의 모노히드록시 유도체, DTAn-6의 디히드록시 유도체, 및 DTAn-6의 트리-히드록시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방법.
  106. 제104항에 있어서, 작용제가 7-히드록시 DTAn-6; 10-히드록시 DTAn-6; 13-히드록시 DTAn-6; 17-히드록시 DTAn-6; 7,17-디히드록시 DTAn-6; 10,17-디히드록시 DTAn-6; 16,17-디히드록시 DTAn-6; 및 7,16,17-트리히드록시 DTAn-6; 또는 그의 유사체, 유도체 또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도코사노이드의 R- 또는 S-에피머인 방법.
  107. LCPUFA를 옥시리핀으로 전환시키는 효소를 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형질전환시킨, PUFA PKS 경로를 포함하는 유기체.
  108. 제107항에 있어서, 식물 및 미생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체.
  109. 제107항에 있어서,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을 생성시키는 PUFA PKS 경로를 발현하도록 유전적으로 변형시킨 지방종자 식물인 유기체.
  110. 제107항에 있어서, 미생물인 유기체.
  111. 제110항에 있어서, 미생물이 내인성 PUFA PKS 경로를 포함하는 유기체.
  112. 제107항에 있어서, 효소가 리폭시게나제, 시클로옥시게나제, 및 시토크롬 P450 효소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체.
KR1020077013738A 2004-11-19 2005-11-21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의 옥시리핀,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사용 방법 KR200700909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2984204P 2004-11-19 2004-11-19
US60/629,842 2004-11-19
US72903805P 2005-10-21 2005-10-21
US60/729,038 2005-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928A true KR20070090928A (ko) 2007-09-06

Family

ID=3640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3738A KR20070090928A (ko) 2004-11-19 2005-11-21 장쇄 다가불포화 지방산으로부터의 옥시리핀,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7884131B2 (ko)
EP (1) EP1824809A4 (ko)
JP (1) JP2008520739A (ko)
KR (1) KR20070090928A (ko)
CN (1) CN101102988B (ko)
AU (1) AU2005306320B2 (ko)
BR (1) BRPI0516803A (ko)
CA (1) CA2588166A1 (ko)
EA (1) EA010802B1 (ko)
IL (1) IL183246A0 (ko)
MX (1) MX2007006049A (ko)
NZ (1) NZ555394A (ko)
WO (1) WO200605596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0797A1 (ko) * 2018-10-15 2020-04-23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US11987833B2 (en) 2018-04-16 2024-05-21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Method for producing multi-hydroxy derivative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8394A1 (en) * 2004-11-19 2009-12-24 Julie Nauroth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7893106B2 (en) * 2004-11-19 2011-02-22 Martek Biosciences, Corporation Oxylipins from stearidonic acid and γ-linolenic acid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RU2444356C2 (ru) * 2005-07-08 2012-03-10 Мартек Байосайенсиз Корпорейшн Полиненасыщенные жирные кислоты для лечения деменции и состояний, связанных с преддеменцией
US8273792B2 (en) * 2005-10-03 2012-09-25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Anti-inflammatory actions of neuroprotectin D1/protectin D1 and it's natural stereoisomers
WO2007090162A2 (en) * 2006-01-31 2007-08-09 Martek Biosciences Corporation OXYLIPINS FROM STEARIDONIC ACID AND γ-LINOLENIC ACID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GB0604647D0 (en) 2006-03-08 2006-04-19 Shchepinov Mikhail Stabilized food supplements and their derivatives
EP2012828A2 (en) * 2006-04-28 2009-01-14 Resolvyx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WO2008011085A1 (en) * 2006-07-19 2008-01-24 Resolvyx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mucositis
WO2008057283A2 (en) * 2006-10-26 2008-05-15 Resolvyx Pharmaceuticals, Inc. Use of resolvins for inhibition of bone loss
WO2008070129A2 (en) * 2006-12-05 2008-06-12 Resolvyx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
JP2010519311A (ja) * 2007-02-20 2010-06-03 マーテック バイオサイエンシーズ コーポレーション 長鎖多価不飽和脂肪酸由来のオキシリピンならびにその作製およびその使用方法
EP2124973B1 (en) * 2007-03-23 2015-05-27 Novartis AG Composition comprising omega-3-fatty acids and a masked or coated copper salt
US20100159540A1 (en) * 2007-03-26 2010-06-24 Ana Rodriguez Synthesis of resolvins and intermediates, compounds prepared thereby, and uses thereof
DK2180787T3 (da) 2007-08-01 2014-02-03 Univ Pittsburgh Nitrooliesyremodulering af type ii-diabetes
AU2008301895A1 (en) * 2007-09-14 2009-03-26 Resolvyx Pharmaceuticals, Inc. Oxylipin compounds for treating autoimmune diseases
AU2008312006B2 (en) * 2007-10-12 2013-12-12 Resolvyx Pharmaceuticals, Inc. Omega-3 fatty acids, hydrox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lipoxin compounds, or oxyliptin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ophthalmic conditions
WO2009086281A1 (en) * 2007-12-21 2009-07-09 Martek Biosciences Corporation Method for preparation of oxylipins
WO2009134383A2 (en) 2008-05-01 2009-11-05 Complexa Inc. Vinyl substituted fatty acids
US20140024713A1 (en) 2008-06-19 2014-01-23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Use of nitrated lipids for treatment of side effects of toxic medical therapies
US8686038B2 (en) 2008-06-19 2014-04-01 The Univs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Use of nitrated lipids for treatment of side effects of toxic medical therapies
WO2010033509A2 (en) * 2008-09-16 2010-03-25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14-hydroxy-docosahexaenoic acid compounds
CN102245176B (zh) * 2008-10-31 2015-05-27 脂质医药有限公司 用作药物的脂肪酸
JP5523439B2 (ja) * 2009-02-20 2014-06-18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新規抗炎症性化合物
ES2345241B1 (es) * 2009-03-16 2011-09-08 Lipopharma Therapeutics Uso de 2-hidroxiderivados de acidos grasos poliinsaturados como medicamentos.
EP2429317B2 (en) * 2009-04-17 2019-02-20 Natac Pharma, S.L. Compositions rich in omega-3 fatty acids with a low content in phytanic acid
WO2011014261A1 (en) 2009-07-31 2011-02-03 University Of Pittsburgh - Of The Commonwealth System Of Higher Education Fatty acids as anti-inflammatory agents
USRE46608E1 (en) 2009-09-01 2017-11-14 Catabasis Pharmaceuticals, Inc. Fatty acid niacin conjugates and their uses
DK2473045T3 (en) 2009-09-01 2016-12-12 Catabasis Pharmaceuticals Inc Niacin-FATTY ACID CONJUGATES AND THEIR USES
EP2483233A4 (en) 2009-10-02 2013-08-14 Complexa Inc HETEROATOMA CONTAINING SUBSTITUTED FATTY ACIDS
US10052299B2 (en) 2009-10-30 2018-08-21 Retrotope, Inc. Alleviating oxidative stress disorders with PUFA derivatives
EP2607358A4 (en) * 2010-08-19 2014-01-29 Univ Tokyo NEW ANTI-INFLAMMATORY METABOLITE DERIVED FROM OMEGA-3 TYPE FATTY ACID
JPWO2012026106A1 (ja) * 2010-08-25 2013-10-28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光学活性な新規抗炎症性化合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11712429B2 (en) 2010-11-29 2023-08-01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Low eructatio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in a subject with fish allergy/hypersensitivity
NZ611606A (en) 2010-11-29 2015-10-30 Amarin Pharmaceuticals Ie Ltd Low eructatio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treating and/or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in a subject with fish allergy/hypersensitivity
US10154983B2 (en) 2011-04-26 2018-12-18 Retrotope, Inc. Neurodegenerative disorders and muscle diseases implicating PUFAs
EP2701696B1 (en) 2011-04-26 2020-06-03 Retrotope, Inc. Impaired energy processing disorders and mitochondrial deficiency
KR102110200B1 (ko) 2011-04-26 2020-05-13 레트로토프 인코포레이티드 산화성 망막 질환
JP6145087B2 (ja) 2011-04-26 2017-06-07 レトロトップ、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Retrotope, Inc. Pufa酸化関与障害
WO2012170791A2 (en) * 2011-06-10 2012-12-13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Docosahexaenoyl ethanolamides
WO2013028501A1 (en) 2011-08-19 2013-02-28 The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Combination therapy with nitrated lipids and inhibitors of the 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US10322118B2 (en) * 2012-04-10 2019-06-18 Trustees Of Dartmouth College Compounds and methods for inhibiting Cif virulence factor
JP6370775B2 (ja) 2012-05-10 2018-08-08 ソルテックス エヌエー エルエルシー 天然の特異的炎症収束性メディエータおよびその前駆物質を含有する、抗炎症活性を有する油
EP2861227A4 (en) 2012-06-17 2016-01-27 Matinas Biopharma Inc OMEGA-3 PENTA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PT2887923T (pt) 2012-08-24 2023-06-28 Sun Pharmaceutical Ind Ltd Formulação oftálmica de lípido de polioxil ou ácido gordo de polioxil e tratamento de condições oculares
AU2014205369B2 (en) 2013-01-11 2018-08-09 Massachusetts Eye And Ear Infirmary CYP450 lipid metabolites reduce inflammation and angiogenesis
WO2014130894A1 (en) * 2013-02-21 2014-08-28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WO2014158256A1 (en) * 2013-03-13 2014-10-02 Matinas Biopharma Inc. Omega-3 pentaenoic ac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EP3003299B8 (en) * 2013-05-30 2021-08-18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Novel n-3 immunoresolvents: structures and actions
US10633324B2 (en) 2015-02-09 2020-04-28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Compounds,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egenerative,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CN107810187B (zh) 2015-07-07 2020-09-15 H.隆德贝克有限公司 用于治疗外周疾病的具有咪唑并三嗪酮骨架和咪唑并吡嗪酮骨架的pde9抑制剂
US20180208536A1 (en) 2015-07-20 2018-07-26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Elucidation of Novel 13-Series Resolvins that Increase with Atorvastatin and Clear Infections
US10653703B2 (en) 2015-09-03 2020-05-19 Solutex Na Llc Compositions comprising omega-3 fatty acids, 17-HDHA and 18-HEPE and methods of using same
EA201890859A1 (ru) 2015-10-02 2018-11-30 Комплекса, Инк. Предотвращение, лечение и обращение развития заболевания с применением терапевтически эффективных количеств активированных жирных кислот
EP3373976B1 (en) 2015-11-10 2024-01-03 Sun Pharmaceutical Industries Limited Topical formulations and uses thereof
KR102643910B1 (ko) 2015-11-23 2024-03-06 레트로토프 인코포레이티드 1,4-다이엔 시스템에 대한 부위 특이적인 동위원소 표지법
WO2019104311A1 (en) * 2017-11-27 2019-05-31 Brown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neurological disease
WO2019104315A1 (en) * 2017-11-27 2019-05-31 Brown University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lipids for treating neurological disease
EP3750536A1 (en) 2018-09-24 2020-12-16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Methods of reduc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events in a subject
AU2021224854A1 (en) 2020-02-21 2022-10-06 Biojiva Llc Processes for isotopic modifica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derivatives thereof
US11986452B2 (en) 2021-04-21 2024-05-21 Amarin Pharmaceuticals Ireland Limited Methods of reducing the risk of heart failure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38075A (ja) * 1987-03-24 1988-10-04 Mitsumaru Kagaku Kk 高度不飽和脂肪酸からのラクトン類の製造法
US4866046A (en) * 1988-05-31 1989-09-12 Top Laboratories, Inc. Low-dosage sublingual aspirin
US5102670A (en) 1990-09-14 1992-04-07 Abraham Nader G Method for treating eye disorders by reducing 12(r)-hydroxyeicosatetraenoic acid and 12(r)-dihydroxyeicosatrienoic acid levels
JPH05286956A (ja) * 1992-04-06 1993-11-02 Nippon Suisan Kaisha Ltd ドコサペンタエン酸モノエポキシ体、及びその製造法
US6887901B1 (en) 1993-06-15 2005-05-03 Brigham & Women's Hospital, Inc. Lipoxin compounds and their use in treating cell proliferative disorders
GB9403857D0 (en) * 1994-03-01 1994-04-20 Scotia Holdings Plc Fatty acid derivatives
CZ281096B6 (cs) * 1994-06-30 1996-06-12 Jindřich Mudr. Drsc. Mourek Tuková složka mléčné výživy a dětská výživa
US5955496A (en) 1996-08-13 1999-09-2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ihydroxy-oxy-eicosadienoates
CA2268257C (en) 1996-10-11 2008-05-20 Scotia Holdings Plc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mprising eicosapentaenoic acid and/or stearidonic acid
US6174695B1 (en) * 1997-08-12 2001-01-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Epoxide hydrolase inhibitor methods
DE19757414A1 (de) 1997-12-23 1999-07-01 Nutricia Nv Fettmischung
JPH11209259A (ja) * 1998-01-20 1999-08-03 Noevir Co Ltd 皮膚化粧料
DE60034775T3 (de) 1999-03-04 2016-11-24 Suntory Holdings Ltd. Verwendung von Docosapentsäure enthaltendem Material
JP4474082B2 (ja) 1999-07-07 2010-06-02 キリン協和フーズ株式会社 水酸化脂肪酸およびδ−ラクトン類の製造方法
AU773499B2 (en) 1999-11-09 2004-05-27 Alcon Inc. 15-hydroxyeicosatetraenoic acid-related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WO2001060778A2 (en) * 2000-02-16 2001-08-23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Aspirin-triggered lipid mediators
DE10046541A1 (de) 2000-09-19 2002-03-28 Knoll Ag Mechanisch stabile darreichungsformen, enthaltend Ubichinone
WO2002029018A2 (en) 2000-10-06 2002-04-11 Michigan State University Divinyl ether synthase gene and protein, and uses thereof
US20050129739A1 (en) * 2001-05-14 2005-06-16 Gerhard Kohn Production and use of a polar lipid-rich fraction containing omega-3 and/or omega-6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from microbes, genetically modified plant seeds and marine organisms
AU2002365167A1 (en) * 2001-12-18 2003-07-09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hibition or prevention of infection by bacteria with epa, dha or analogs
US7527935B2 (en) 2002-03-19 2009-05-05 Mitsubishi Tanabe Pharma Corporation G-protein coupled receptor having eicosanoid as ligand and gene thereof
US7582785B2 (en) 2002-04-01 2009-09-01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Trihydroxy polyunsaturated eicosanoid derivatives
EP2022775B1 (en) 2002-04-01 2014-10-15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Trihydroxy polyunsaturated eicosanoids
FR2843124B1 (fr) 2002-08-02 2004-10-15 Goemar Lab Sa Procede de preparation d'acides gras polyinsatures libres et de leurs metabolites d'oxydation
DK2216318T3 (en) * 2002-08-12 2018-12-10 Brigham & Womens Hospital Resolvins: Bio template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US20040166130A1 (en) 2002-12-23 2004-08-26 L'oreal Lanolin-fre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xylated fatty acid aromatic ester
US7893106B2 (en) 2004-11-19 2011-02-22 Martek Biosciences, Corporation Oxylipins from stearidonic acid and γ-linolenic acid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7833B2 (en) 2018-04-16 2024-05-21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Method for producing multi-hydroxy derivative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O2020080797A1 (ko) * 2018-10-15 2020-04-23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CN112912053A (zh) * 2018-10-15 2021-06-04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皮肤屏障强化用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306320A1 (en) 2006-05-26
AU2005306320B2 (en) 2011-09-08
JP2008520739A (ja) 2008-06-19
WO2006055965A3 (en) 2006-11-30
CN101102988A (zh) 2008-01-09
MX2007006049A (es) 2007-07-24
CN101102988B (zh) 2011-12-14
EP1824809A4 (en) 2010-03-03
WO2006055965A2 (en) 2006-05-26
BRPI0516803A (pt) 2008-09-23
EA200701100A1 (ru) 2007-10-26
US20060241088A1 (en) 2006-10-26
CA2588166A1 (en) 2006-05-26
NZ555394A (en) 2010-07-30
IL183246A0 (en) 2007-08-19
US7884131B2 (en) 2011-02-08
EP1824809A2 (en) 2007-08-29
EA010802B1 (ru) 2008-12-30
US20110178047A1 (en)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4131B2 (en) Oxylipins from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110190389A1 (en) Oxylipins from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7893106B2 (en) Oxylipins from stearidonic acid and γ-linolenic acid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090318394A1 (en)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EP1296923B3 (en) Aspirin-triggered lipid mediators
AU2001238468A1 (en) Aspirin-triggered lipid mediators
US20090320148A1 (en) Oxylipins from stearidonic acid and gamma-linolenic acid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AU2011253846A1 (en) Oxylipins from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110027841A1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oxylipi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