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284A -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sion radio resour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sion radio resour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284A
KR20070082284A KR1020060014913A KR20060014913A KR20070082284A KR 20070082284 A KR20070082284 A KR 20070082284A KR 1020060014913 A KR1020060014913 A KR 1020060014913A KR 20060014913 A KR20060014913 A KR 20060014913A KR 20070082284 A KR20070082284 A KR 20070082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link
relay
allocated
sub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미현
조재원
손중제
주판유
홍대형
최진우
최호영
신봉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4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2284A/en
Publication of KR20070082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2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stributing radio resources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re provided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without a waste of resources of an overall system by evenly distributing radio resources to relay stations that re-use frequency resources by using two types of schedulers. A priority level of each transmission packet is determined so that channels can be evenly allocated to relay stations that use the same radio resources by using an inter-scheduling and intra-scheduling. The number of sub-channels required for transmitting packets is determined according to each priority level, and a temporary frame is generat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sub-channels to be allocated to the relay stations that use the same radio resources. Packets included in the generated temporary frame are divided by link and allocated by sub-channel.

Description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분배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VISION RADIO RESOUR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S}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a radio resourc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TECHNICAL FIELD

도 1은 일반적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도 2는 일반적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structure of a general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도 3은 일반적인 무선 자원을 재사용하는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for reusing general radio resources;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원이 비 균등하게 할당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structure in which resources are allocated uneven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자원을 재사용하기 위한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ram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for reusing radio resour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드백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6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 feedback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외부 스케줄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n external scheduler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내부 스케줄링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cheduling procedur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내부 스케줄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9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internal scheduler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onstructing a fram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임시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1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emporary fram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변환점을 설정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for setting a communication conversion point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13 is a block diagram of a scheduling apparatus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중홉 릴레이(Multi-hop Relay)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다중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주파수를 재사용하는 경우, 균등하게 자원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equally distributing resources when reusing frequencies in the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o a method.

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자율적 적응형 무선 네트워크를 현실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Ad hoc 네트워크에서 적용된 기술을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도입해야 한다. 상기의 대표적인 사례가 다중홉 릴레이 (Multi-hop relay)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으로서, 고정 기지국으로 구성된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 Ad hoc 네트워크에서 적용된 기술인 다중홉 릴레이 기법을 도입한 것이다. 상기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는 기지국과 단말기(Mobile station) 간에 하나의 직접 링크(direct link)로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신뢰도가 높은 무선 통신링크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realistically implement an autonomous adaptive wireless network required in a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technology applied in an ad hoc network should be introduced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above is a multi-hop relay broadband radio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multi-hop relay technique, which is a technology applied in an ad hoc network, is introduced to a broadband radio access communication system composed of fixed base stations. In the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since a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rough a direct link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mobile station, a reliable wireless communication link can be easily configur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그러나, 기지국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무선망 구성의 유연성(flexibility)이 낮아 트래픽 분포나 통화 요구량의 변화가 심한 무선환경에서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주변의 여러 단말기 또는 고정 중계국(Relay station)들을 이용하여 다중 홉 형태로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중계국법을 적용한다. 또한, 상기 다중홉 릴레이 기법은 주변 환경변화에 대해 빠르게 네트워크를 재구성할 수 있으며, 전체 무선망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자율 적응형 무선망은 상기의 다중홉 릴레이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을 모델로 하여 현실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is fixe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n efficient service in a wireless environment in which the traffic distribution or the call demand is changed due to low flexibility of the wireless network configurat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drawback, a relay statio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in the form of a multi-hop form by using a plurality of neighboring terminals or fixed relay stations is applied. In addition, the multi-hop relay scheme can quickly reconfigure the network for chang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entire wireless network more efficiently. Therefore, the autonomous adaptive wireless network required in the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be realistically implemented by modeling the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다중홉 릴레이 기술이 셀룰러 네트워크에 도입되게 된 또 다른 동기는, 전계강도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부분적인 음영지역을 커버하거나, 서비스 요구가 적은 초기 상황을 릴레이를 설치함으로써 초기 설치 비용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어, 셀 서비스 영역을 넓히고 시스템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Another motivation for the multi-hop relay technology to be introduced into cellular networks is to cover the partial shadow areas caused by lack of field strength, or to incur initial installation costs by installing relays in initial situations with low service requirements. It can be reduc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widening cell service area and increasing system capacity.

도 1은 일반적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1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100)의 영역(101)에 포함되는 단말 1(110)은 상기 기지국(100)과 직접 링크로 연결되고, 상기 기지국의 영역(110) 밖에 위치하여 상기 기지국(100)으로부터의 채널 상태가 열악한 단말 2(120)는 중계국(130)을 통해 중계 링크로 상기 기지국(100)에 연결된다. 즉, 상기 단말들(110, 120)이 상기 기지국(100)과 통신을 수행할 경우, 보다 우수한 무선 채널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 영역(101)의 외곽에 위치하거나, 건물 등에 의해 차폐현상이 심한 음영지역에서 상기 중계국(130)을 이용하여 링크를 연결하여 상기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100)은 채널 상태가 열악한 셀 경계지역에서 다중 홉 릴레이 기법을 적용하여 고속의 데이터 채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셀 서비스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erminal 1 110 included in the area 101 of the base station 1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100 by a link, and is located outside the area 110 of the base station. Terminal 2 (120) having a poor channel state from (100) is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100) via a relay link through the relay station (130). That is, when the terminals 110 and 120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100,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wireless channel, the shielding phenomenon may be located outside the base station area 101 or by a building. In the severe shaded area, the relay station 130 connects a link to communicate with the base station.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100 can provide a high-speed data channel by applying a multi-hop relay scheme in a cell boundary region having a poor channel state, and can expand the cell service region.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은 상기 중계국(130)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하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구조를 사용한다. The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es a fr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2 to perform communication using the relay station 130.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구조는 하향링크(200)와 상향링 크(210)에서 각각 직접 링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부프레임 구간(201, 203, 213, 215)과 중계 링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부프레임 구간(205, 211)으로 나뉘어 하나의 프레임에서 직접링크와 중계링크를 모두 지원한다.As shown in FIG. 2, the frame structure includes a subframe section 201, 203, 213, 215 and a relay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 direct link in the downlink 200 and the uplink 210, respectively. It is divided into subframe periods 205 and 211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 link, and supports both a direct link and a relay link in one frame.

더욱이 상기 중계국을 이용한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은 무선 자원을 재사용함으로써 패킷 전송 시스템의 용량을 증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relay station can increase the capacity of the packet transmission system by reusing radio resources.

도 3은 일반적인 무선 자원을 재사용하는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that reuses general radio resources.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기지국(300)에 연결된 다수의 중계국들(301, 303, 311, 313)이 상기 중계국간 충분한 공간적인 거리를 두고 동일한 주파수와 시간 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 즉, 공간적으로 분리된 중계국 1(301)과 중계국 2(303) 또한, 중계국 3(311)과 중계국 4(313)는 각각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a plurality of relay stations 301, 303, 311, and 313 connected to one base station 300 may reuse the same frequency and time resources with sufficient spatial distance between the relay stations. That is, the relay station 1 301 and the relay station 2 303 which are spati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relay station 3 311 and the relay station 4 313 may reuse the same frequency resource.

상술한 바와 같이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공간적으로 분리된 중계국 간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재사용하는 경우, 각 단말별로 전송해야 할 데이터 전송량과 채널 상황에 따라 비 균등하게 자원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when the same frequency band is reused between spatially separated RSs, resource distribution may be made uneven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data transmission and channel conditions to be transmitted for each UE. have.

예를 들어, 상기 도 2에서 상기 중계국 1(301)과 중계국 3(311)의 사용자들은 채널 상태가 양호하고, 상기 중계국 2(303)와 중계국 4(313)의 사용자들은 채널 상태가 열악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상기 중계국들(301, 303, 311, 313)이 동일한 데이터 량을 전송하면, 상기 중계국 2(303)와 중계국 4(313)는 상기 중계국 1(301)과 중계국 3(311)과 동일한 데이터 량을 전송하기 위해 보다 많은 자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균등하게 자원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중계국 2(303)와 중계국 4(313)의 410구간 동안에서 전송하는 데이터 량을 상기 중계국 1(301)과 중계국 3(311)은 400구간에서 401의 영역만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FIG. 2, it is assumed that the users of the relay station 1 301 and the relay station 3 311 have a good channel state, and the users of the relay station 2 303 and the relay station 4 313 have a poor channel state. do. In this case, when the relay stations 301, 303, 311, and 313 transmit the same amount of data, the relay station 2 303 and the relay station 4 313 have the same data as the relay station 1 301 and the relay station 3 311. More resources are needed to transfer the volume. Therefore, resource distribution can be made non-uniformly, as shown in FIG. That is, the relay station 1 (301) and the relay station 3 (311) can transmit data using only an area of 401 in 400 sections for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in the 410 section of the relay station 2 (303) and the relay station 4 (313). have.

따라서,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경우, 비 균등한 자원 분배가 이루어질 경우, 전체적인 시스템의 전송 효율 측면을 고려하면 자원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when frequency resources are reused, when non-uniform resource distribution is made, there is a problem in that waste of resources occurs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overall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중계국들 간에 균등하게 자원 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qually performing resource distribution among relay stations that reuse frequency resources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중계국들 간에 균등하게 자원 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resource distribution evenly among relay stations that reuse frequency resources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전송 데이터 량과 채널 환경에 따라 부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subchannels according to a transmission data amount and a channel environment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다중홉 릴레이 (Multi-hop Relay)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을 재사용하는 중계국들 간에 무선 자원을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한 방법은, 외부 스케줄링과 내부 스케줄링을 이용하여 동일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 간에 할당되는 채널이 균등하도록 전송 패킷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각 패킷들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부채널 수를 결정하고, 상기 동일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에 할당되는 부채널 수를 결정하기 위해 임시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임시 프레임에 포함된 패킷들을 각 링크별로 분할하여 부채널 단위로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equally distributing radio resources among relay stations that reuse radio resources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is provided. Determining priorities of transport packets so that the channels allocated among RSs using the same radio resource are equalized by using external scheduling and internal scheduling, and determining the number of subchannels required to transmit each packet according to the priorities. And generating a temporary frame to determine the number of subchannels allocated to the RS using the same radio resource, and dividing the packets included in the generated temporary frame for each link and assigning the subchannels in units of subchanne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다중홉 릴레이(Multi-hop Relay)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을 재사용하는 중계국들 간에 무선 자원을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한 장치는, 미리 정해진 스케줄링 규칙에 따라 서로 다른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군간 전송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외부 스케줄러와, 상기 외부 스케줄러에 의해 전송기회가 주어지면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내부 스케줄러와, 상기 외부 스케줄러와 내부 스케줄러에 의해 우선 순위가 결정된 각 패킷들을 이용하여 전송 프레임의 동작 전환점 및 상기 중계국과 단말 링크 구간에 할당될 부채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임시 프레임을 생성하는 임시 프레임 생성기와, 상기 생성된 임시 프레임에 포함된 패킷들을 각 링크별로 분할하여 부채널 단위로 할당하는 부채널 할당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equally distributing radio resources among relay stations that reuse radio resources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predetermined scheduling rule. An external scheduler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priority between groups using different radio resources, an internal scheduler for determining priority between relay stations using the same frequency resource when a transmission opportunity is given by the external scheduler, and the external scheduler. A temporary frame generator for generating a temporary frame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switching point of a transmission frame and the number of subchannels to be allocated to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interval using respective packets prioritized by an internal scheduler; Sub-channel by dividing packets included in frame by each link And a subchannel allocator allocated in uni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은 다중홉 릴레이(Multi-hop Relay)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중계국들 간 무선 자원을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technique for equally distributing radio resources among relay stations reusing frequency resources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이하 설명은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및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다른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기 위해 하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무선 자원을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한 스케줄링은 기지국에서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ime Division Duplex an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same applies to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other multiple access. This is possible. In addition, in the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 fr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5 is used to reuse frequency resources. Here, it is assumed that the scheduling for equally distributing the radio resources is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자원을 재사용하기 위한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5 illustrates a frame structure of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reusing radio resour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은 기지국에서 직접 링크로 연결된 중계국과 단말에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부프레임 구간(501, 503)(예 : 기지국과 중계국 링크, 기지국과 단말 링크)과 상기 중계국을 이용한 중계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된 단말들로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부프레임 구간(505)(예 : 중계국과 단말 링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5, the frame includes subframe intervals 501 and 503 (eg, base station and relay station links, base station and terminal links) for transmitting downlink signals to a relay station and a terminal directly connected by a base station. And a subframe section 505 (eg, a relay station and a terminal link) for transmitting a downlink signal to terminals connected by using the relay link using the relay station.

상기 중계 링크를 위한 부프레임 구간(505)은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N개의 중계국으로 구분된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각 중계국은 상기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K개의 중계국으로 공간분할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K개의 중계국들은 균등하게 무선 자원을 분배하여 사용한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2개의 중계국과 각각의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2개의 중계국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subframe period 505 for the relay link is divided into N relay stations using different frequency resources. In addition, each relay station using different frequency resources is spatially divided into K relay stations that reuse the frequency resources. Here, the K relay stations that reuse the frequency resources evenly distribute and use radio resource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wo relay stations using different frequency resources and two relay stations reusing each frequency resour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중계국들 간에 균등하게 무선 자원을 분배하기 위해 기지국(Base Station)은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링크 및 상기 기지국과 단말 링크의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중계국과 단말 링크의 정보를 알고 있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의 셀 영역에 존재하는 모든 단말들이 연결된 기지국 또는 중계국 정보를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기지국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링크로 연결된 단말들(603, 605) 및 중계국(611)뿐만 아니라 상기 중계국(611)을 통해 연결된 단말들(613, 615, 617)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링크, 기지국과 단말 링크, 및 중계국과 단말 링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distribute radio resources evenly among relay stations that reuse frequency resources, a base station knows not only the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link and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but also the information of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have.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assumes that all the terminals existing in the cell area of the base station know the information of the connected base station or relay station. Here, the base station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s 613, 615, 617 connected through the relay station 611 as well as the terminals 603, 605 and the relay station 611 connected by a direct link as shown in FIG. The feedback signal may be used to identify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link,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and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상기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중계국들 간에 균등하게 무선 자원을 할당하 기 위해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은 먼저, 상기 중계국들 간 무선 자원을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해 중간 버퍼(Intermediate queue)를 구성한다. 이후, 상기 구성된 중간 버퍼를 이용하여 임시 프레임을 구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구성된 임시 프레임을 재정렬한 후, 동작 전환점(Switching Point)을 설정하여 상기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중계국들 간에 균등하게 무선 자원을 할당한다.In order to allocate radio resources evenly among relay stations that reuse the frequency resources, the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firstly uses an intermediate queue to equally distribute radio resources between the relay stations. Configure Thereafter, a temporary frame is constructed using the constructed intermediate buffer. Finally, after rearranging the configured temporary frame, a radio resource is allocated evenly among relay stations that reuse the frequency resource by setting a switching point.

먼저, 상기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중계국들 간에 무선 자원을 균등하게 분배하도록 단말들의 전송 패킷에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상기 중간 버퍼에 저장한다. First, in order to distribute the radio resources evenly among the relay stations that reuse the frequency resources, the priority packet is stored in the intermediate buffer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y of the transmission packets of the terminals.

상기 중간 버퍼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외부 스케줄러(Inter Scheduler)와 내부 스케줄러(Intra Scheduler)의 두 가지 종류의 스케줄러를 사용한다.To configure the intermediate buffer, two types of schedulers, an external scheduler and an internal scheduler, are used.

먼저 상기 외부 스케줄러는 미리 정해진 스케줄링 규칙에 따라 서로 다른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군들(예 : 직접 링크로 연결된 단말, 첫 번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 두 번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 사이의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First, the external scheduler receives packets between groups using different radio resourc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ing rule (eg, a terminal connected by a direct link, a relay station using a first frequency resource, or a relay station using a second frequency resource). Determine the priority for transmiss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외부 스케줄러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7 illustrates a structure of an external scheduler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스케줄러는 직접링크를 통해 연결된 단말들의 전송 패킷 군(701)과 첫 번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의 전송 패킷 군(711) 및 두 번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의 전송 패킷 군(721) 사 이에서 전송 지연, 또는 채널 상태 등의 QoS(Quality of Service)정보에 따라 각 군의 우선 순위를 정하여 상기 중간 버퍼에 저장한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external scheduler uses a transport packet group 701 of terminals connected through a direct link, a transport packet group 711 of a relay station using a first frequency resource, and a relay station using a second frequency resource. The priority of each group is determined between the transmission packet groups 721 of the packets according to quality of service (QoS) information such as transmission delay or channel state, and stored in the intermediate buffer.

다음으로 상기 내부 스케줄러는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들 간 균등한 무선 자원을 분배하기 위해 사용된다. The internal scheduler is then used to distribute equal radio resources among relay stations using the same frequency resources.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내부 스케줄링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8 illustrates an internal scheduling procedur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내부 스케줄러는 801단계에서 상기 외부 스케줄러에 의해 내부 스케줄링이 수행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스케줄러에 의해 패킷을 전송하도록 상기 도 7에서 첫 번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이 선택되는지 확인한다.Referring to FIG. 8, first, the internal scheduler determines whether internal scheduling is performed by the external scheduler in step 801. For example, it is checked whether a relay station using the first frequency resource in FIG. 7 is selected to transmit a packet by the external scheduler.

만일, 상기 내부 스케줄링을 수행하게 되면, 상기 내부 스케줄러는 803단계로 진행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첫 번째 중계국(RS1,N)과 두 번째 중계국(RS2 ,N)의 임시 버퍼(예 : RS1 ,N-MS, RS2 ,N-MS)에 이전에 할당된 패킷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임시 버퍼는, 상기 첫 번째 중계국과 두 번째 중계국에 균등한 무선 자원을 할당하기 위한 임시로 생성한 버퍼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첫 번째 중계국과 두 번째 중계국의 임시 버퍼는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If the internal scheduling is performed, the internal scheduler proceeds to step 803 where the first relay station RS 1, N and the second relay station RS 2 , N using the same frequency resource as shown in FIG. 9. Check whether a previously allocated packet exists in the temporary buffer (eg RS 1 , N -MS, RS 2 , N -MS). Here, the temporary buffer refers to a temporarily created buffer for allocating equal radio resources to the first relay station and the second relay station. Thus, the temporary buffers of the first relay station and the second relay station have the same size.

만일, 상기 임시 버퍼에 이전에 할당된 패킷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내부 스케줄러는 907단계로 진행하여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첫 번째 중계국과 두 번째 중계국의 전송할 패킷의 QoS를 고려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첫 번째 중계국의 패킷을 상기 임시 버퍼에 할당한다. 즉, 상기 중간 버퍼에 상기 첫 번째 중계국의 패킷을 저장한다. 이후, 상기 내부 스케줄러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If the previously allocated packet does not exist in the temporary buffer, the internal scheduler proceeds to step 907 and takes priority in consideration of QoS of packets to be transmitted between the first relay station and the second relay station as shown in FIG. 9A. Accordingly allocates the packet of the first relay station to the temporary buffer. That is, the packet of the first relay station is stored in the intermediate buffer. The internal scheduler then terminates this algorithm.

한편, 상기 임시 버퍼에 이전에 할당된 패킷이 존재하면, 상기 내부 스케줄러는 905단계로 진행하여 도 9b부터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첫 번째 중계국의 임시 버퍼와 두 번째 중계국의 임시 버퍼의 남은 부채널 수를 비교하여 상기 임시 버퍼의 부채널이 더 많이 남은 중계국의 패킷에 선택하여 상기 임시 버퍼에 할당한다. 즉, 상기 선택된 패킷을 상기 중간 버퍼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내부 스케줄러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packet previously allocated to the temporary buffer, the internal scheduler proceeds to step 905 and remaining of the temporary buffer of the first relay station and the temporary buffer of the second relay station as shown in FIGS. 9B through 9F. The number of subchannels is compared, and the subchannels of the temporary buffer are selected to packets of the relay station with more remaining subchannels and allocated to the temporary buffer. That is, the selected packet is stored in the intermediate buffer. The internal scheduler then terminates this algorithm.

여기서, 상기 외부 스케줄러와 내부 스케줄러를 이용하여 동시에 살펴보면, 상기 중간 버퍼의 구성은 상기 도 7에서 상기 첫 번째 중계국의 패킷(713)이 가장 긴박한 패킷으로 가정하면, 먼저 상기 외부 스케줄러는 상기 첫 번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의 전송 패킷 군(711)을 선택하여 전송 기회를 준다. Here, when looking at the same time using the external scheduler and the internal scheduler, the configuration of the intermediate buffer is assumed that the packet 713 of the first relay station is the most urgent packet in FIG. 7, first, the external scheduler is the first frequency The transmission packet group 711 of the relay station using the resource is selected to give a transmission opportunity.

상기 외부 스케줄러에 의해 선택된 상기 첫 번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의 전송 패킷 군(711)은 내부 스케줄러를 이용하여 상기 도 9a와 같이 RS1 ,N에서 패킷을 선택하여 상기 중간 버퍼에 저장한다.The transport packet group 711 of the RS using the first frequency resource selected by the external scheduler selects a packet from RS 1 and N using the internal scheduler and stores the packet in the intermediate buffer as shown in FIG. 9A.

이후, 상기 외부 스케줄러는 상기 가장 긴박한 패킷(713)을 전송하기 위해 상기 첫 번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의 전송 패킷 군(711)을 다시 선택한다. 상기 선택된 첫 번째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의 전송 패킷 군(711)은 상기 도 9b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외부 스케줄러와 상기 내부 스케줄러는 상기 가장 긴박한 패킷(713)을 전송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중간 버퍼를 구성한다.The external scheduler then reselects the transport packet group 711 of the relay station that uses the first frequency resource to send the most urgent packet 713. The transport packet group 711 of the RS using the selected first frequency resource performs the operation of FIG. 9B. Thereafter, the external scheduler and the internal scheduler repeat the above process until the most urgent packet 713 is transmitted to configure the intermediate buffer.

상기 중간 버퍼를 구성한 후, 상기 기지국은 상기 구성된 중간 버퍼를 이용하여 임시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기 임시 프레임은 주파수를 재사용하는 중계국들 간 균등한 무선 자원 분배를 위해 상기 중계국과 단말 링크에 할당되는 부채널을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산출한다.After configuring the intermediate buffer, the base station configures a temporary frame using the configured intermediate buffer. The temporary frame calculates a subchannel allocated to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for equal radio resource distribution among the relay stations that reuse frequencies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Figure 112006011283173-PAT00001
Figure 112006011283173-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06011283173-PAT00002
는 임시 프레임에서 2-홉을 위해 할당된 부채널의 수를 나타내고, NsubCH(RSk,1)는 k번째 중계국에서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부채널의 수를 나타낸다.here,
Figure 112006011283173-PAT00002
Denotes the number of subchannels allocated for 2-hops in a temporary frame, and N subCH (RS k, 1 ) denotes the number of subchannels required for transmitting a packet in a k-th relay sta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임시 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10 illustrates a procedure for configuring a temporary fram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기지국은 1001단계에서 상기 외부 스케줄러와 내부 스케줄러를 이용하여 전송할 패킷들의 우선 순위를 정하여 상기 중간 버퍼에 구성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base station first determines priorities of packets to be transmitted using the external scheduler and the internal scheduler in step 1001 and configures the packets in the intermediate buffer.

이후, 상기 기지국은 1003단계로 진행하여 m번째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부 채널의 수(Npacket)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m은 상기 중간 버퍼에 저장된 우선 순위를 나타내며, 초기 값으로 0을 갖는다.Thereafter,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1003 to determine the number of subchannels (N packets ) required to transmit the m-th packet. Here, m represents a priority stored in the intermediate buffer and has an initial value of 0.

예를 들어, 상기 m번째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부 채널의 수는. 상기 m번째 패킷이 1-홉에 전송 가능한 경우, 상기 m번째 패킷을 전송할 단말과 기지국 링크의 신호대 간섭 및 잡음비(Signal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 : 이하 SINR이라 칭함)를 하기 표 1에 적용하여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부채널의 수를 확인한다. For example, the number of subchannels needed to transmit the mth packet is If the m-th packet can be transmitted in 1-hop, the signal-to-interference and noise ratio (hereinafter referred to as SINR) of the terminal and base station link to transmit the m-th packet is applied to Table 1 below. Check the number of subchannels needed to send the packet.

MCS 레벨 MCS Level 변조 Modulation 부호율 Code rate set A set A set Bset B 요구 SINR [dB](Ped-A,3km/h)Required SINR [dB] (Ped-A, 3km / h) 부호화된 패킷 크기[bit] Encoded Packet Size [bit] 전송에 필요한 부채널 개수Number of subchannels needed for transmission 부호화된 패킷 크기[bit]Encoded Packet Size [bit] 전송에 필요한 부채널 개수Number of subchannels needed for transmission 1One QPSK QPSK 1/121/12 288288 3636 88 1One -3.95-3.95 22 1/61/6 384384 2424 1616 1One -1.65-1.65 33 1/31/3 480480 1515 3232 1One 1.51.5 44 1/21/2 480480 1010 4848 1One 4.34.3 55 2/32/3 960960 1515 6464 1One 7.957.95 66 16QAM 16QAM 1/21/2 960960 1010 9696 1One 9.39.3 77 2/32/3 960960 88 128128 1One 13.113.1 88 5/85/8 960960 88 144144 1One 15.815.8 99 64QAM 64QAM 2/32/3 960960 55 192192 1One 18.4518.45 1010 5/65/6 960960 44 240240 1One 24.824.8

여기서, 상기 부호화된 패킷의 크기와 전송에 필요한 부채널의 수는 상기 부호화된 패킷의 크기(granularity)에 따라 Set A과 Set B로 나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는 상기 Set B를 따르는 것으로 한다. Here, the size of the coded packet and the number of subchannels required for transmission may be divided into Set A and Set B according to the size (granularity) of the coded packe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set B is followed.

상기 표 1에서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부채널의 수에 따라 상기 m번째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부채널 수를 확인하다.In Table 1, the number of subchannels required for transmitting the m-th packet is check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bchannels required for transmitting one packet.

만일, 상기 m번째 패킷이 2-홉에 전송 가능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첫 번째 링크와 두 번째 링크 각각의 SINR 정보를 상기 표 1에 적용하여 각각의 링크에서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부채널의 수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기 첫 번째 링크는 상기 기지국과 중계국 사이의 링크를 나타내고, 두 번째 링크는 상기 중계국과 단말 사이의 링크를 나타낸다. If the m-th packet can be transmitted in two hops, the base station applies SINR information of each of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to Table 1 to determine the number of subchannels required to transmit one packet on each link. Check the number. Here, the first link represents a link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station, and the second link represents a link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이후, 하기 표 2와 표 3을 통해 상기 2-홉 링크를 통해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부채널의 수와 한 번에 전송가능한 패킷의 크기를 확인한다.Thereafter, the number of subchannels required to transmit one packet through the two-hop link and the size of the packet that can be transmitted at one time are checked through Tables 2 and 3 below.

첫번째 홉의 MCS 레벨 \ 두번째 홉의 MCS 레벨  MCS level of first hop M MCS level of second hop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1One 22 33 55 77 99 1313 1717 1919 2525 3131 22 33 22 33 44 55 77 99 1010 1313 1616 33 55 33 22 2.52.5 33 44 55 5.55.5 77 8.58.5 44 77 44 2.52.5 22 2.332.33 33 3.663.66 44 55 66 55 99 55 33 2.332.33 22 2.52.5 33 3.253.25 44 4.754.75 66 1313 77 44 33 2.52.5 22 2.332.33 2.52.5 33 3.53.5 77 1717 99 55 3.663.66 33 2.332.33 22 2.1252.125 2.52.5 2.8752.875 88 1919 1010 5.55.5 44 3.253.25 2.52.5 2.1252.125 22 2.332.33 2.662.66 99 2525 1313 77 55 44 33 2.52.5 2.332.33 22 2.252.25 1010 3131 1616 8.58.5 66 4.754.75 3.53.5 2.8752.875 2.662.66 2.252.25 22

첫번째 홉의 MCS 레벨 \ 두번째 홉의 MCS 레벨           MCS level of the first hop M MCS level of the second hop 1One 22 33 44 55 66 77 88 99 1010 1One 88 1616 3232 4848 6464 9696 128128 144144 192192 240240 22 1616 1616 3232 4848 6464 9696 128128 144144 192192 240240 33 3232 3232 3232 4848 6464 9696 128128 144144 192192 240240 44 4848 4848 4848 4848 6464 9696 128128 144144 192192 240240 55 6464 6464 6464 6464 6464 9696 128128 144144 192192 240240 66 9696 9696 9696 9696 9696 9696 128128 144144 192192 240240 77 128128 128128 128128 128128 128128 128128 128128 144144 192192 240240 88 144144 144144 144144 144144 144144 144144 144144 144144 192192 240240 99 192192 192192 192192 192192 192192 192192 192192 192192 192192 240240 1010 240240 240240 240240 240240 240240 240240 240240 240240 240240 240240

이후, 상기 표 1, 2, 3을 이용하여 획득한 하나의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부채널의 수 및 에 한 번에 전송가능한 패킷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m번째 단말의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부채널 수를 확인하다. 이때, 상기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에서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부채널 수도 각각 확인한다.Subsequently, a part required for transmitting the packet of the m-th terminal by using the number of subchannels required to transmit one packet obtained using Tables 1, 2, and 3 and the size information of the packet that can be transmitted at once Check the number of channels. At this time, the number of subchannels required to transmit a packet in the first hop and the second hop are respectively identified.

상기 m번째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부채널 수를 확인한 후, 상기 기지국은 10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임시 프레임에 상기 m-1번째 패킷까지 할당하고 남은 부채널의 수(Nframe)를 확인한다.After confirming the number of subchannels required to transmit the m-th packet,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1005 to allocate the temporary frame to the m-1 th packet and to check the number of remaining subchannels (N frame ).

이후, 상기 기지국은 10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번째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부채널 수(Npacket)와 상기 임시 프레임에 남은 부채널의 수(Nframe)를 비교한다.Thereafter, the BS compares the m-th packet the number of subchannels required for transmission (N packet) to the number of remaining sub-channels in the temporary frame (frame 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1007.

만일, 상기 Npacket가 Nframe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Npacket ≥ Nframe),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임시 프레임에 더 이상 패킷을 할당할 수 없는 것으로 인식하여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If the N packe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N frame (N packet ≥ N frame ), the base station recognizes that no more packets can be allocated to the temporary frame and terminates the algorithm.

한편, 상기 Npacket가 Nframe보다 작을 경우( Npacket < Nframe), 상기 기지국은 10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번째 패킷이 단말까지 2-홉에 전송 가능한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m번째 패킷이 상기 단말까지 1-홉에 전송 가능하면, 상기 기지국은 10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003단계에서 확인된 m번째 패킷을 상기 임시 프레임에 할당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N packet is smaller than N frame (N packet <N frame ),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1009 to determine whether the m-th packe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 two hops. If the m-th packe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 1-hop,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1011 and allocates the m-th packet identified in step 1003 to the temporary frame. The base station then terminates this algorithm.

한편, 상기 m번째 패킷이 단말까지 2-홉에 전송 가능하면, 상기 기지국은 10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번째 패킷을 두 번째 홉을 이용하여 단말까지 중계하는 중계국이 중계하는 모든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전체 부채널 수(N2 -hop)와 상기 임시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국과 단말 링크에 할당된 부채널의 수(NRS -MS)를 비교한다. 즉, 상기 중계국과 단말 링크에 할당된 부채널을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동일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중계국들 중 가장 많은 부채널 수와 동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N2 -hop와 NRS -MS를 비교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th packe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in two hops,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1013 and the relay station relaying the m-th packet to the terminal using the second hop is necessary for transmitting all packets relayed to the terminal. The total number of subchannels N 2 -hop is compared with the number of subchannels N RS -MS allocated to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in the temporary frame. That is, the N 2 and N -hop RS -MS for the sub-channel allocated to the RS and MS link the <Equation 1> and to the same frequency resources with the same relay station the most part the number of channels being reused as Compare

만일, 상기 N2 -hop가 NRS -MS보다 클 경우( N2 -hop > NRS -MS ), 상기 기지국은 10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003단계에서 확인된 m번째 패킷을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으로 분리하여 상기 임시 프레임에 할당한다. 예를 들어, 하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서 중계국 2로 전송하는 패킷과 상기 중계국 2에서 단말 2까지 중계하는 패킷으로 구분하여 상기 임시 프레임에 할당한다.If the N 2 -hop is greater than N RS -MS (N 2 -hop > N RS -MS ),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1015 and transmits the m-th packet identified in step 1003 to the first hop and two. It is divided into the first hop and allocated to the temporary fram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relay station 2 and a packet relayed from relay station 2 to terminal 2 are allocated to the temporary frame.

이후, 상기 기지국은 101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임시 프레임의 상기 중계국과 단말 링크에 할당된 부채널 수를 상기 m번째 패킷을 두 번째 홉을 이용하여 단말까지 중계하는 중계국이 중계하는 모든 패킷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전체 부채널 수(N2-hop)로 갱신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Thereafter,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1017 and transmits all packets relayed by the relay station relaying the number of subchannels allocated to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of the temporary frame to the terminal using the m-th packet to the terminal. Update to the total number of necessary subchannels (N 2-hop ). The base station then terminates this algorithm.

한편, 상기 N2 -hop가 NRS -MS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N2 -hop ≤ NRS -MS ), 상기 기지국은 10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1003단계에서 확인된 m번째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첫 번째 홉의 패킷을 상기 임시 프레임에 할당한다. 예를 들어, 하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서 중계국 1로 전송하는 패킷을 상기 임시 프레임에 할당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N 2 -hop is less than or equal to N RS -MS (N 2 -hop ≤ N RS -MS ), the base station proceeds to step 1019 to transmit the m-th packet identified in step 1003 The first hop packet is allocated to the temporary fram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a packet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relay station 1 is allocated to the temporary frame.

이후, 상기 기지국은 102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m번째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두 번째 홉의 패킷을 주파수 재사용 버퍼에 할당한다. 예를 들어, 하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국 1에서 단말 3까지 전송하는 패킷을 상기 주파수 재사용 버퍼에 할당한다. 여기서, 상기 주파수 재사용 버퍼는 상기 임시 프레임에서 상기 중계국과 단말 링크 구간의 주파수를 재사용하기 위해 설정된 버퍼를 의미한다.In step 1021, the base station allocates a second hop packet to the frequency reuse buffer to transmit the m-th packe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a packet transmitted from RS 1 to UE 3 is allocated to the frequency reuse buffer. Here, the frequency reuse buffer refers to a buffer configured to reuse the frequency of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interval in the temporary frame.

이후, 상기 기지국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The base station then terminates this algorithm.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도 10은 상기 외부 스케줄러와 내부 스케줄러에 의해 우선 순위를 정해여 구성한 중간 버퍼를 이용하여 하기 도 11과 같은 임시 프레임을 구성한다.As described above, FIG. 10 configures a temporary frame as shown in FIG. 11 by using an intermediate buffer configured by prioritizing by the external scheduler and the internal scheduler.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임시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FIG. 11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temporary fram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1은 상기 도 10을 이용하여 구성된 임시 프레임(1101)과 주파수 재사용 버퍼(1103)를 나타낸다. FIG. 11 illustrates a temporary frame 1101 and a frequency reuse buffer 1103 constructed using FIG. 10.

상기 임시 프레임(1101)은 상기 기지국과 1-홉에 연결가능한 단말 및 중계국 링크를 통해 전송하기 위한 패킷과 상기 <수학식 1>에 따라서 상기 주파수를 재사용하는 중계국들 중, 상기 두 번째 홉을 이용하여 패킷을 전송하는데 가장 많은 부채널이 필요한 중계국의 패킷을 할당한다. The temporary frame 1101 uses the second hop of a packet for transmission through a terminal and a relay station link connectable to the base station and a 1-hop, and relay stations that reuse the frequency according to Equation 1. To allocate the packets of the relay station that needs the most subchannels to transmit the packets.

상기 주파수 재사용 버퍼(1103)는 상기 주파수를 재사용하여 상기 두 번째 홉을 이용하여 패킷을 전송하기 위해 공간 분할된 형태로 패킷들을 할당한다.The frequency reuse buffer 1103 allocates the packets in space-divided form to transmit the packets using the second hop by reusing the frequency.

예를 들어, 상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계국 2에서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채널 수가 가장 많은 필요한 경우, 상기 중계국 2에서 전송하는 패킷은 상기 임시 프레임(1101)에 할당하고 중계국 1과 중계국 3에서 전송하는 패킷은 각각 주파수 재사용 버퍼에 할당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when the number of channels required for transmitting packets in RS 2 is the highest, packets transmitted in RS 2 are allocated to the temporary frame 1101 and RS 1 and RS 3 are transmitted. Each packet transmitted in the B is allocated to the frequency reuse buffer.

마지막으로 상기 임시 프레임(1101)과 주파수 재사용 버퍼(1103)를 구성한 후, 상기 프레임에서 기지국과 중계국 및 단말이 동작하기 위한 동작 전환점을 설정한다. Finally, after configuring the temporary frame 1101 and the frequency reuse buffer 1103, an operation switching point for operating the base station,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in the frame is set.

즉,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임시 프레임에 할당된 1-홉 단말과 1-홉 중계국 및 두 번째 홉을 이용하여 패킷을 전송하는데 가장 많은 부채널이 필요한 중계국의 패킷을 이용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전환점을 설정한다.That is, the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es the frame structure as shown in FIG. 5 to transmit a 1-hop terminal, a 1-hop relay station, and a second allocated to the temporary frame to perform communication. An operation switch point is set as shown in FIG. 12 by using a packet of a relay station that requires the most subchannel for transmitting a packet using a hop.

상기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홉 중계국(기지국과 중계국 링크)에 전송할 패킷들을 부채널 단위로 순차적으로 할당한다. 이후, 상기 1-홉 단말(기지국과 단말 링크)에 전송할 패킷들을 부채널 단위로 순차적으로 할당한다. 또한, 상기 1-홉 단말에 전송할 패킷들을 모두 할당할 후, 상기 두 번째 홉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패킷을 부채널 단위로 순차적으로 할당한다. 이때, 상기 1-홉 중계국에 전송할 패킷들 중 마지막으로 할당된 부채널을 제 1 동작 전환점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1-홉 단말에 전송할 패킷들 중 마지막으로 할당된 부채널을 제 2 동작 전환점으로 설정한다. As shown in FIG. 12A, packets to be transmitted to the 1-hop relay station (base station and relay station link) are sequentially allocated in subchannel units. Subsequently, packets to be transmitted to the 1-hop terminal (base station and terminal link) are sequentially allocated in subchannel units. After allocating all packets to be transmitted to the 1-hop terminal, the packets transmitted using the second hop are sequentially allocated on a subchannel basis. At this time, the last allocated subchannel among the packets to be transmitted to the 1-hop relay station is set as the first operation switch point. In addition, the last allocated subchannel among the packets to be transmitted to the 1-hop terminal is set as the second operation switch point.

상기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시 프레임과 주파수 재사용 버퍼를 순차적으로 할당하여 도 12b와 같은 하향링크 부프레임을 생성한다.As shown in FIG. 12A, the temporary frame and the frequency reuse buffer are sequentially allocated to generate a downlink subframe as shown in FIG. 12B.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스케줄링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13 is a block diagram of a scheduling apparatus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케줄링 장치는 내부 스케줄러(1301, 1303), 외부 스케줄러(1311), 임시 프레임 생성기(1321), 및 부채널 할당기(13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 13, the scheduling apparatus includes an internal scheduler 1301 and 1303, an external scheduler 1311, a temporary frame generator 1321, and a subchannel allocator 1331.

상기 내부 스케줄러(1301, 1303)는 상기 외부 스케줄러(1303)에 의해 전송기회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QoS정보 및 임시 버퍼에서 남은 부채널 수에 따라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 간 스케줄링을 수행한다.When the internal scheduler 1301 and 1303 acquire a transmission opportunity by the external scheduler 1303, the same frequency resource is used according to the QoS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subchannels remaining in the temporary buffer as shown in FIG. Perform scheduling between relay stations.

상기 외부 스케줄러(1311)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링 규칙에 따라 서로 다른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군간 전송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As illustrated in FIG. 7, the external scheduler 1311 determines transmission priority between groups using different radio resources.

상기 임시 프레임 생성기(1321)는 상기 내부 스케줄러(1301, 1303)와 외부 스케줄러(1311)에 의해 결정된 각 패킷들의 우선 순위에 따라 전송 프레임의 동작 전환점 및 상기 중계국과 단말 링크 구간에 할당될 부채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임시 프레임을 생성한다.The temporary frame generator 1321 may determine the operation switching point of the transmission frame and the subchannel to be allocated to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interval according to the priority of each packet determined by the internal schedulers 1301 and 1303 and the external scheduler 1311. Create a temporary frame to determine the number.

상기 부채널 할당기(1331)는 상기 임시 프레임 생성기(1321)에 의해 생성된 임시 프레임을 도 12와 같이 재배치하여 순차적으로 부채널 단위로 할당한다. 또한 각 전송 구간마다 동작 전환점을 생성한다.The subchannel allocator 1331 rearranges the temporary frames generated by the temporary frame generator 1321 as shown in FIG. 12 and sequentially allocates the temporary frames in subchannel units. In addition, an operation switching point is generated for each transmission perio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다중 홉 릴레이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두 가지 종류의 스케줄러를 이용하여 주파수 자원을 재사용하는 중계국 간에 균등하게 무선 자원을 분배함으로써, 전체적인 시스템의 자원 낭비 없이 전송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two types of schedulers are used to equally distribute radio resources among relay stations that reuse frequency resources, thereby increasing transmission efficiency without wasting overall system resources. There is an advantage to this.

Claims (16)

다중홉 릴레이(Multi-hop Relay)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을 재사용하는 중계국들 간에 무선 자원을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equally distributing radio resources among relay stations that reuse radio resources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외부 스케줄링과 내부 스케줄링을 이용하여 동일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 간에 할당되는 채널이 균등하도록 전송 패킷들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과,Determining priorities of the transport packets so that the channels allocated between the RSs using the same radio resources are equal by using external scheduling and internal scheduling;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각 패킷들을 전송하는데 필요한 부채널 수를 결정하고, 상기 동일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에 할당되는 부채널 수를 결정하기 위해 임시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과,Determining the number of subchannels required to transmit each packet according to the priority, and generating a temporary frame to determine the number of subchannels allocated to the RS using the same radio resource; 상기 생성된 임시 프레임에 포함된 패킷들을 각 링크별로 분할하여 부채널 단위로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dividing the packets included in the generated temporary frame for each link and allocating them in subchannel unit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 스케줄링은, 중계국과 단말 링크에서 서로 다른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들과 기지국과 단말링크 간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external schedul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iority between the relay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using different radio resources in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내부 스케줄링은, 상기 동일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들 간 균등하게 무선 자원을 분배하기 위해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internal scheduling determines priorities for evenly distributing radio resources among relay stations using the same radio resour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내부 스케줄링은,The internal scheduling, 상기 내부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한 중계국들에 각각에 할당된 동일한 크기의 임시 버퍼에 패킷이 할당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과,When performing the internal scheduling, checking whether a packet is allocated to a temporary buffer of the same size allocated to each of the relay stations for performing the scheduling; 상기 임시 버퍼에 패킷이 할당되어 있으면, 각 임시 버퍼들의 남은 부채널 수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f a packet is allocated to the temporary buffer, determining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remaining number of subchannels of the temporary buffers.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임시 버퍼에 패킷이 할당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각 중계국과 단말링크 채널의 QoS(Quality of Service) 정보를 고려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f the packet is not allocated to the temporary buffer, determining the priority in consideration of the quality of service (QoS) information of each RS and the UE link channe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임시 프레임을 생성하는 과정은,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temporary frame, 상기 우선 순위에 따라 m번째 패킷을 전송하기 위한 부채널 수를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the number of subchannels for transmitting the m-th packet according to the priority; 상기 m번째 패킷이 중계 링크를 통해 전송 가능한지 확인하는 과정과,Checking whether the mth packet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relay link; 상기 m번째 패킷이 중계 링크를 통해 전송 가능한 경우, 상기 m번째 패킷을 중계하는 중계국이 중계하기 위한 패킷들을 전체 부채널 수와 상기 임시 프레임에 할당된 중계국과 단말 링크의 부채널 수를 비교하는 과정과,Comparing the total number of subchannels for the relay station relaying the mth packet with the total number of subchannels and the number of subchannels of the terminal link and the terminal link allocated to the temporary frame when the mth packet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relay link. and, 상기 중계국의 전체 부채널 수가 상기 임시 프레임에 할당된 중계국과 단말 링크의 부채널 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m번째 패킷을 상기 임시 프레임에 할당하는 과정과,Allocating the m-th packet to the temporary frame when the total number of subchannels of the relay station is larger than the number of subchannels of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allocated to the temporary frame; 상기 임시 프레임에 할당된 중계국과 단말 링크의 부채널 수를 상기 중계국의 전체 부채널 수로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updating the number of subchannels of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allocated to the temporary frame to the total number of subchannels of the relay station.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m은, 각 패킷들은 우선 순위 인덱스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M is each packet means a priority index.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m번째 패킷이 직접 링크를 이용하여 전송가능 한 경우, 상기 m번째 패킷을 상기 임시 프레임에 할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if the m th packet is transmittable using a direct link, allocating the m th packet to the temporary fram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m번째 패킷은 직접 링크 패킷과 중계 링크 패킷으로 구분하여 상기 임시 프레임에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m-th packet is divided into a direct link packet and a relay link packet and allocated to the temporary fram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중계국의 전체 부채널 수가 상기 임시 프레임에 할당된 중계국과 단말 링크의 부채널 수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상기 m번째 패킷의 직접 링크 패킷을 상기 임시 프레임에 할당하는 과정과,Allocating the direct link packet of the mth packet to the temporary frame when the total number of subchannels of the relay sta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number of subchannels of the terminal link and the relay station allocated to the temporary frame; 상기 m번째 패킷의 중계 링크 패킷을 주파수 재사용 버퍼에 할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llocating a relay link packet of the m th packet to a frequency reuse buff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임시 프레임에 포함된 패킷들을 각 링크별로 할당하는 경우, 각 링크의 패킷들 중 마지막 부채널을 동작 전환점(Switching Point)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방법.When allocating packets included in the temporary frame for each link, setting the last subchannel among the packets of each link as a switching poin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임시 프레임에 포함된 패킷들의 할당은, 각 링크별로 분할하여 부채널 단위로 순차적으로 할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allocation of the packets included in the temporary frame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viding by each link and sequentially allocating subchannel units. 다중홉 릴레이(Multi-hop Relay) 방식의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무선 자원을 재사용하는 중계국들 간에 무선 자원을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equally distributing radio resources among relay stations reusing radio resources in a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미리 정해진 스케줄링 규칙에 따라 서로 다른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군간 전송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외부 스케줄러와,An external scheduler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priority between groups using different radio resourc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cheduling rule; 상기 외부 스케줄러에 의해 전송기회가 주어지면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 간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내부 스케줄러와,An internal scheduler for determining a priority between relay stations using the same frequency resource when a transmission opportunity is given by the external scheduler; 상기 외부 스케줄러와 내부 스케줄러에 의해 우선 순위가 결정된 각 패킷들을 이용하여 전송 프레임의 동작 전환점 및 상기 중계국과 단말 링크 구간에 할당될 부채널의 수를 결정하기 위한 임시 프레임을 생성하는 임시 프레임 생성기와,A temporary frame generator for generating a temporary frame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switching point of a transmission frame and the number of subchannels to be allocated to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interval by using the packets that are prioritized by the external scheduler and the internal scheduler; 상기 생성된 임시 프레임에 포함된 패킷들을 각 링크별로 분할하여 부채널 단위로 순차적으로 할당하는 부채널 할당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subchannel allocator for sequentially dividing packets included in the generated temporary frame for each link and sequentially assigning the packets in subchannel units.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외부 스케줄러에서 서로 다른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군은, 중계국과 단말 링크에서 서로 다른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들과 기지국과 단말링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group using different radio resources in the external scheduler includes at least one of relay stations and base stations and terminal links using different radio resources in the relay station and the terminal link.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내부 스케줄러는The internal scheduler 상기 동일한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중계국들에 각각 동일한 크기의 임시 버퍼를 생성하여, 상기 임시 버퍼에 할당된 패킷이 없으면 QoS(Quality of Service)정보에 의해 우선 순위를 정하고,By creating a temporary buffer of the same size in each of the relay stations using the same radio resources, if there is no packet allocated to the temporary buffer, priority is determined by the Quality of Service (QoS) information, 상기 임시 버퍼에 할당된 패킷이 있으면, 상기 각 임시 버퍼들의 남은 부채널 수에 따라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if there is a packet allocated to the temporary buffer, determining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remaining number of subchannels of the temporary buffers.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부채널 할당기는, 상기 임시 프레임을 각 링크별로 순차적으로 할당하여 각 링크의 패킷들 중 마지막 부채널을 동작 전환점(Switching Point)으로 설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subchannel allocator sequentially allocates the temporary frame for each link to set the last subchannel among packets of each link as a switching point.
KR1020060014913A 2006-02-16 2006-02-16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sion radio resour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KR200700822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913A KR20070082284A (en) 2006-02-16 2006-02-16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sion radio resour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913A KR20070082284A (en) 2006-02-16 2006-02-16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sion radio resour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284A true KR20070082284A (en) 2007-08-21

Family

ID=3861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913A KR20070082284A (en) 2006-02-16 2006-02-16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sion radio resour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2284A (e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605B1 (en) * 2006-08-18 2009-11-0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System and method for reusing wireless resources in a wireless network
WO2010038937A1 (en) * 2008-09-30 2010-04-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for cooperati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for relay-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92910A (en) * 2009-02-13 2010-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lay system based on resource partitioning
KR101048989B1 (en) * 2009-02-27 2011-07-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of data transmission in mobile ad hoc network and method of data transmission in mobile ad hoc network
WO2009151210A3 (en) * 2008-06-11 2011-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subchannels and controlling interference in ofdma systems
KR101217813B1 (en) * 2010-06-17 2013-01-0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to determine priority of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network
CN110769506A (en) * 2018-07-27 2020-02-07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Resource allocation method of multi-hop in-band relay system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605B1 (en) * 2006-08-18 2009-11-02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System and method for reusing wireless resources in a wireless network
WO2009151210A3 (en) * 2008-06-11 2011-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subchannels and controlling interference in ofdma systems
US8339975B2 (en) 2008-06-11 2012-1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subchannels and controlling interference in OFDMA systems
EP2289277A4 (en) * 2008-06-11 2016-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subchannels and controlling interference in ofdma systems
WO2010038937A1 (en) * 2008-09-30 2010-04-0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for cooperati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for relay-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15639B2 (en) 2008-09-30 2012-1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s for cooperati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s for relay-bas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00092910A (en) * 2009-02-13 2010-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lay system based on resource partitioning
KR101048989B1 (en) * 2009-02-27 2011-07-12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Recording medium recording method of data transmission in mobile ad hoc network and method of data transmission in mobile ad hoc network
KR101217813B1 (en) * 2010-06-17 2013-01-0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to determine priority of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network
CN110769506A (en) * 2018-07-27 2020-02-07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Resource allocation method of multi-hop in-band relay system
CN110769506B (en) * 2018-07-27 2022-06-03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Resource allocation method of multi-hop in-band rela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9275B1 (en) Central Scheduler Relay Station for MMR Extended 802.16E System
JP5711827B2 (en) Link scheduling algorithm for OFDMA wireless networks with repeater nodes
KR100801893B1 (en) Method for channel configuration and resource allocation in a multi-hop rela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95675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requency reuse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relay station and mobile station in multi-hop relay system
US8265547B2 (en) Resource management and interference mitigation techniques for relay-based wireless netoworks
KR101513528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 data in multi hop relay system
KR100849327B1 (en) Group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radio resource efficiency and fairness under distributed antenna system with frequency reuse and joint power control
KR101223429B1 (en) Synchronisation method between base stations,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thereof
US7929477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in radio communication network
KR20180108589A (en) Method and terminal for side link data transmission
WO2008035166A2 (en) Interference management techniques for relay enhanced wireless networks
KR100871257B1 (en) Group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to improve radio resource efficiency and fairness under multi-channel distributed antenna systems with frequency reuse and joint power control
KR100842523B1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technique for cellular systems using wireline relay stations
EP2168328B1 (en) Methods of jointly assigning resources in a multi-carrier, multi-ho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532186B1 (en) Coordinating radio resource partitioning in a relay enhanced telecommunication network
CN102474735A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070045743A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in multi-hop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002150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in a multi hop relay network
KR2007008228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sion radio resource in multi-hop relay broadban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JP2011509587A (en) Resource request and allocation method using CDMA code in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multi-hop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KR101079101B1 (en) Method for Relay Communication Using Relay Station
JPWO200805053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KR101409066B1 (en) A minimun energy consuming mobile relay network with reliable QoS support and device therefor, the method thereof
EP35012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adio resources
KR20090052751A (en) Method for allocation wireless resources for cellular systems using wire relay st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