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1360A -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1360A
KR20070081360A KR1020060013259A KR20060013259A KR20070081360A KR 20070081360 A KR20070081360 A KR 20070081360A KR 1020060013259 A KR1020060013259 A KR 1020060013259A KR 20060013259 A KR20060013259 A KR 20060013259A KR 20070081360 A KR20070081360 A KR 20070081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emaining
mobile terminal
level
charge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호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1360A/ko
Publication of KR20070081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04G7/307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with ty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ars or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에서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에서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이동 단말의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동 단말에서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관리 방법으로, 상기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일 시 동작 제한을 위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진 후 상기 제한된 동작이 요구될 시 이를 무시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진 후 상기 제한된 동작이 아닌 동작이 요구될 시 상기 요구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배터리, 이동 단말, 동작 모드 관리.

Description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BETTERY}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 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모드들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 레벨에 따라 이동 단말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해 설정되는 메뉴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시간과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잔량에 따른 관리 모드 시 이동 단말의 제어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 단말의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에서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을 위해 개발된 기기이다. 이러한 이동 단말은 기본적으로 음성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무선 모듈과 모뎀 및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구비한다. 또한 이동 단말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 통신 뿐 아니라 간단한 단문 메시지의 전송, 인터넷 서비스 및 다양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 단말은 통신을 위한 부분 뿐 아니라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에서 다양한 게임을 내장하여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대부분의 이동 단말에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어,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통화 중이거나 또는 통화시가 아닌 경우에도 음성 메모리를 사용하여 음성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이동 단말의 표시부를 구성하는 LCD 등의 백 라이트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불루투스(Bluetooth) 및 적외선 통신 포트 등을 이용한 통신 등으로 다양한 모드를 사용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지 않은 기능들도 이동 단말에서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들은 대부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에 다양한 부가 기능들이 추가되어 사용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통신 기기로, 배터리를 이용하여 통신 기능 및 그 외의 부가 기능들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이동 단말에서 배터리를 이용함으로써 배터리의 무게 및 배터리에 충전이 가능한 전하량 등이 이동 단말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동 단말은 사용자가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휴대의 편의를 고려하여 너무 무겁거나 너무 커서는 안된다는 제약이 있다. 또한 배터리에 충전이 가능한 전하량에 따라 이동 단말의 대기 시간 및 사용 가능 시간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에서는 배터리의 충전 용량을 알리기 위해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방법은 단순히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의 레벨만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만을 표시하는 방법은 배터리의 잔량이 거의 소모되는 시점에서 사용자에게 경고(warning) 정보만을 제공하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배터리가 방전되면, 이동 단말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공공장소 또는 편의점 등에서 충전 기기들을 구비하고, 사용자들의 불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충전 기기들이 존재하지 않는 장소 등에서 이동 단말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사용하던 사용자들은 배터리의 충전 전하량이 경고 시점까지 저하될 때 이동 단말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사용자가 중요한 전화 또는 메시지를 송/수신해야 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하량이 소모되면, 이를 못하게 되므로 매우 어려움이 커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에서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의 사용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동 단말에서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관리 방법으로, 상기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일 시 동작 제한을 위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진 후 상기 제한된 동작이 요구될 시 이를 무시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진 후 상기 제한된 동작이 아닌 동작이 요구될 시 상기 요구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배터리 잔량은, 적어도 둘 이상의 값을 가지며, 각각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동작 제한을 위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작 제한을 위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는, 호의 착신 제한, 카메라 사용 제한, 음성 메모 사용 제한, 브라우저 사용 제한, 불루투스 사용 제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이동 단말에서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관리 장치로, 상기 배터리의 전하량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전하량 측정부와, 사용자에게 동작 모드 및 제한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입력부와, 제한 모드 설정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일 시 동작 제한을 위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진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한된 동작이 요구될 시 이를 무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 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 단말의 내부 블록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어부(111)는 핸드폰에서 이루어지는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 잔량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 잔량에 따른 동작은 제품의 제조 시에 특정한 부가 기능들 중 배터리 잔량에 따라 일부 기능들의 사용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예는 후술되는 제어 흐름도에서 상세히 살피기로 한다.
무선부(112)는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RF) 신호를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하며, 수신되는 신호를 무선(RF)신호로 변환하여 공중(Air)으로 송신한다. 상기 무선부(112)는 듀얼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모듈로 구성된다. 제어부(111)는 무선부(112)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의 특성에 맞춰 복조, 디인터리빙 및 복호 동작을 수행하며, 음성 신호인 경우 오디오 입 출력부(113)에서 스피커(SKP)로 출력하고,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11)에 입력하면 부호화, 인터리빙 및 변조하여 무선부(112)로 출력한다. 그리고 통신에 필요한 각종 제어 데이터를 제어부(111)에서 수신하면 이들의 부호화 및 변조를 수행하여 무선부(112)로 제공한다. 또한 무선부(112)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신호들을 수신하여 이를 복조 및 복호하여 제어부(111)로 제공한다.
전하량 측정부(114)는 이동 단말의 배터리(118)에 충전되어 있는 전하량을 검출하고 이를 제어부(111)로 제공한다. 상기 전하량 측정부(114)는 여러 레벨로 전하량을 측정한다. 이러한 전하량 측정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도면에서 더 상세히 살피기로 한다.
메모리(115)는 핸드폰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메모리(115)는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 잔량에 따라 관리가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더 포함한다.
표시부(116)는 액정 표시 판넬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각종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 Graphical User Interface)를 제공한다. 또한 표시부(116)에는 핸드폰의 호 착신을 알리기 위한 진동 모터 및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6)는 배터리 표시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키 패드(117)는 키 매트릭 구조를 가지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값을 생성하여 제어부(111)로 제공한다. 배터리(118)는 이동 단말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이다. 도 1에서는 도면의 복잡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전하량 측정부(114)로만 배터리의 전하가 출력되는 형태로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모드들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에서 제공 가능한 모드들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11)는 200단계에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대기 상태는 일반적으로, 호의 착신 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의 특정 기능들 예를 들어 호의 발신 또는 각종 부가 기능들 중 어느 하나를 대기하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대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11)는 20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202단계에서 발생된 이벤트가 배터리의 잔량 관리를 설정하기 위한 이벤트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202단계의 검사결과 발생된 이벤트가 배터리의 잔량 관리를 설정하기 위한 이벤트인 경우 제어부(111)는 2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2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204단계로 진행하면, 발생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베터리 잔량 관리를 설정하기 위한 이벤트란, 이동 단말에서 메뉴들 중 본 발명에 따라 잔량 관리를 위해 구비된 특정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11)는 206단계로 진행하여 잔량 관리를 위한 내용을 독취하여 표시부(116)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키 입력부(117)로 입력하는 키 신호에 의거하여 관리 설정을 변경한다. 그러면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의 잔량 레벨에 따라 이동 단말의 동작을 제한하기 위해 설정되는 메뉴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에서 참조부호 310은 배터리의 레벨을 의미한다. 이러한 배터리 레벨은 완전 충전 상태에서부터 점차로 방전이 이루어지는 과정 중 특정 임계 값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3의 나머지 설정 값들을 설명한 후 후술되는 도 4에서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조부호 321 내지 323에서는 호가 착신될 시 착신되는 호들에 대하여 선별적으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설정 내용들이다. 즉, 참조부호 321에서는 모든 호에 대하여 호 착신을 허용할 것인지 여부를 설정할 수 있으며, 참조부호 322에서는 특정 번호만 호의 착신을 허용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특정 착신 호의 전화번호를 저장해야만 한다. 또한 참조부호 323의 경우에는 모든 수신되는 호를 거부하고, 단지 호의 발신만을 허용하도록 하는 경우이다. 이 외에도 더 많은 경우들을 가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호의 착신 및 발신의 경우에 대하여도 제한을 가할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로서 상기한 내용만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참조부호 330은 이동 단말에서 구비되는 카메라(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을 허용할 것인가를 설정하는 것이며, 참조부호 340의 경우에는 음성 메모 기능을 사용할 것인가를 설정하는 것이고, 참조부호 350은 인터넷 통신과 같은 브라우저(Browser) 기능을 사용할 것인가를 설정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참조부호 360은 이동 단말에 포함되는 불루투스(Bluetooth : 도 1에 도시하지 않음) 기능을 사용할 것인가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들의 설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시간과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러면 도 4를 참조하여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에 따른 모드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앞에서 설명한 도 3에서 참조부호 310의 배터리의 레벨(Battery Level)을 도시하였다. 상기 배터리의 레벨에 대하여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임계값(TH1)과 제2임계값(TH2) 및 제3임계값(TH3)에 대하여 상기 도 3의 각 모드들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임계값들은 하나만 설정할 수도 있고, 둘 이상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 또는 그 이상의 임계값들을 둘 수 있다.
그러면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11)는 206단계로 진행하면, 앞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잔량 관리를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관리 설정을 변경한다. 이와 같이 변경을 하는 중에 제어부(111)는 208단계에서 키 입력부(117)로부터 저장을 요구하는 키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208단계의 검사결과 저장을 요구하는 신호가 입력될 시 21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설정하여 표시부(116)에 표시된 내용을 저장한 후 2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는 212단계로 진행하면, 추가 설정이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즉, 다른 임계값에 대한 설정이나, 또는 호 수신 이외에 카메라 사용 또는 음성메모 사용 등의 내용을 추가로 설정할 것인가를 검사하는 것이다. 상기 검사결과 추가 설정이 요구되면, 제어부(111)는 2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루틴을 종료한다.
반면에 저장을 요구하는 키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시 제어부(111)는 종료가 요구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검사결과 종료가 요구될 시 제어부(111)는 표시부(116)에 설정되어 있는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그대로 종료한다. 반면에 종료가 요구되지 않을 시 상기 제어부(111)는 20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루틴을 계속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잔량에 따른 관리 모드 시 이동 단말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잔량에 따른 관리 모드 시 이동 단말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5에서는 잔량 관리 모드를 수행하는 중이다. 잔량 관리 모드란, 상술한 도 2에서와 같이 잔량 관리 모드 시에 필요한 동작들이 이미 저장되어 있고, 상기 필요한 동작들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의 잔량이 특정 값 이하인 경우 해당하는 모드에서 수행되는 동작이다. 즉, 제1임계값(TH1)의 모드가 동작 중이라면, 그에 해당하여 설정된 모드가 동작된다. 예를 들어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제1임계값(TH1) 이하인 경우가 가장 배터리 잔량이 많이 남은 상태이므로, 사용자는 불루투스 통신과 카메라 사용 및 브라우저 기능만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상태로 둘 수 있다. 또한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제2임계값(TH2) 이하인 경우 상기 제1임계값(TH1) 이하의 동작 뿐 아니라 음성 메모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제3임계값(TH3) 이하인 경우 제1임계값(TH1) 이하인 경우의 동작과 제2임계값(TH2) 이하의 동작과 더불어 호 수신 시 특정 번호만 선택하도록 하거나 또는 발신 호만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도 5의 제어 흐름도는 이와 같이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제1임계값(TH1) 이하인 경우 또는 제2임계값(TH2) 이하인 경우 또는 제3임계값(TH2) 이하인 경우 중 어느 한 경우에 해당하는 제어 흐름도이다.
상기 제어부(111)는 5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대기 상태란, 도 2에서 설명한 200단계의 대기 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어부(111)는 대기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502단계로 진행하여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가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가 설정된 이벤트를 앞에서 예시한 예를 이용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1)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제1임계값(TH1) 이하인 경우 : 불루투스 통신이 요구되거나 혹은 카메라 기능의 사용이 요구되거나 혹은 브라우저 기능이 요구된 경우
(2)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제2임계값(TH2) 이하인 경우 : 불루투스 통신이 요구되거나 혹은 카메라 기능의 사용이 요구되거나 혹은 브라우저 기능이 요구된 경우 혹은 음성 메모 기능이 요구된 경우
(3)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제3임계값(TH3) 이하인 경우 : 불루투스 통신이 요구되거나 혹은 카메라 기능의 사용이 요구되거나 혹은 브라우저 기능이 요구된 경우 혹은 음성 메모 기능이 요구된 경우 혹은 수신이 등록되지 않은 호의 착신이 존재하는 경우 혹은 발신만 가능한 상태에서 호가 착신된 경우
상기한 경우에 해당하면, 제어부(111)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가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한다. 그러나 상기한 경우 이외라면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가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이다. 따라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가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11)는 504단계로 진행하여 발생된 이벤트를 무시한다. 즉, 사용자가 요구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의 경우에 카메라 작동을 요구하면, 카메라 작동 모드를 수행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 밖의 경우에도 이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다만, 호가 착신되는 경우에는 착신된 호의 정보는 호 착신 리스트에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502단계의 검사결과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가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고 허여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면 제어부(111)는 506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고 500단계로 진행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가 남은 양 즉,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에 따라 동작을 제한함으로써 사용자가 꼭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불필요한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이동 단말 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이동 단말에서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일 시 동작 제한을 위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진 후 상기 제한된 동작이 요구될 시 이를 무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배터리 잔량은,
    적어도 둘 이상의 값을 가지며, 각각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동작 제한을 위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한을 위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는,
    호의 착신 제한, 카메라 사용 제한, 음성 메모 사용 제한, 브라우저 사용 제한, 불루투스 사용 제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진 후 상기 제한된 동작이 아닌 동작이 요구될 시 상기 요구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방법.
  5. 이동 단말에서 배터리의 잔량에 따른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전하량을 측정하여 제공하는 전하량 측정부와,
    사용자에게 동작 모드 및 제한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입력부와,
    제한 모드 설정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일 시 동작 제한을 위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진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한된 동작이 요구될 시 이를 무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배터리 잔량은,
    적어도 둘 이상의 값을 가지며, 각각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동작 제한을 위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제한을 위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제한 모드는,
    호의 착신 제한, 카메라 사용 제한, 음성 메모 사용 제한, 브라우저 사용 제한, 불루투스 사용 제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잔류 전하량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떨어진 후 상기 제한된 동작이 아닌 동작이 요구될 시 상기 요구된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장치.
KR1020060013259A 2006-02-10 2006-02-10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70081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259A KR20070081360A (ko) 2006-02-10 2006-02-10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259A KR20070081360A (ko) 2006-02-10 2006-02-10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360A true KR20070081360A (ko) 2007-08-16

Family

ID=3861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259A KR20070081360A (ko) 2006-02-10 2006-02-10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13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170B1 (ko) * 2013-11-05 2014-12-1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단말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170B1 (ko) * 2013-11-05 2014-12-10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단말기의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42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power saving control of mobile terminal
CN104145471B (zh) 用于动态地启用并控制通信设备上的通信链路优化的方法和装置
CN111343682B (zh) 一种网络切换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20070188145A1 (en) Mobile terminal displaying remaining battery capacity and method thereof
US20080020708A1 (en) Blue tooth wireless earphone and wireless network phone supported as extension thereof
KR101072141B1 (ko) 휴대 전화기 및 휴대 전화기의 방송 수신 기능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3078286B1 (ja) バッテリ残量表示回路とこの回路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装置
CN107182113B (zh) 多模移动终端的连网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1416128A (zh) 无线通信设备中的流式多媒体的重定向
JP2010035416A (ja) 電子デバイス内に2以上のバッテリを収容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20028472A (ko)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 장치 및 방법
CN110933706A (zh) 一种网络通信设置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20060111136A1 (en) Call redirection in a mobile station
EP1107548A2 (en) Battery changing method during call processing in wireless telephone set
KR20070081360A (ko) 배터리 잔량에 따른 이동 단말의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442942B1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에서 전원 제어를 통한배터리 소모량 절약방법
KR20040013632A (ko) 무선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방법
KR20070081178A (ko) 비동기식 휴대용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하는 방법
JP2009033383A (ja) 通信装置
JP4032214B2 (ja) 携帯電話機及び電源制御方法
KR2003005100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소모 시 긴급통화 설정방법
KR2005007054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방법
KR100328859B1 (ko) 배터리 방전에 의해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 확인 방법
KR2003005097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비전력 제어 방법
KR20050043294A (ko)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