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063A - Mobile phone for multimedia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for multimedi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063A
KR20070080063A KR1020060011133A KR20060011133A KR20070080063A KR 20070080063 A KR20070080063 A KR 20070080063A KR 1020060011133 A KR1020060011133 A KR 1020060011133A KR 20060011133 A KR20060011133 A KR 20060011133A KR 20070080063 A KR20070080063 A KR 20070080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main body
camera lens
hing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1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1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0063A/en
Publication of KR20070080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0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A multimedi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provide high capacity camera lens module, obtain a slim folder, allow a user to easily capture an image of a subject by drawing in or out the camera lens module or rotating it, and protect the camera lens module when it is not used. A folder(200) is rotatably connected with a main body(100) and opened and closed. A sliding display unit(250) is folded or unfolded together with the folder(200) and slidably moved at a certain distance along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folder(200) to open or close a certain reg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100) or a lower surface of the folder(200). A camera lens housing(400) is provided at the hinge part(300) and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Description

멀티미디어용 휴대 단말기{MOBILE PHONE FOR MULTIMEDIA}Mobile terminal for multimedia {MOBILE PHONE FOR MULTIMEDI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for multimed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가 열린 멀티미디어용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for opening a multimedi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표시 장치가 완전히 슬라이딩된 멀티미디어용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카메라 렌즈 모듈이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multimedi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slid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lly slid,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mera lens module is inserted;

도 4는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모듈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lens module is drawn out in the same state as in FIG. 3;

도 5는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카메라 렌즈 모듈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amera lens module is drawn out in the same state as in FIG. 2;

본 발명은 디엠비 폰, 게임 폰, 채팅 폰, 카메라 폰, MP3 폰,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CS,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모드에서 각각 인터페이싱 환경을 최적화한 멀티미디어용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DM phone, a game phone, a chat phone, a camera phone, an MP3 phone, a cellular phone, a PC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hand-held phone (HHP),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for multimedia in which various interfaces are optimized in various modes.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모드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The term "portable terminal" in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Such portable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slim, grip, and lighter in consideration of their portability, and are moving toward a multi-media direction in which various functions can be pursued. In particular, more and more portable terminals will be used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multifunction, and versatility, and will be modified to adapt to multimedia environments or Internet environments including various modes.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휴대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휴대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휴대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휴대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portable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portable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portable terminal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in the bar-type, the flip-type portable terminal means that the flip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shaped housing, It is meant that the folder in a single bar-shaped housing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and folded by a hinge device.

또한, 휴대 단말기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휴대 단말기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휴대 단말기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 type according to a body wearing position or a wearing method. A necklace-type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neck using a string, and a wrist-type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to a wrist.

또한, 휴대 단말기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휴대 단말기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휴대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휴대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휴대 단말기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rotatable portable terminal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opened while remaining facing each other, and the sliding portable terminal is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wo housings. it means. The variously classified portable terminal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아울러, 종래의 휴대 단말기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 단말기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s are being converted into structures capable of communicating high-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as the needs of consumers increase, the service will be provid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 speed data. Currently, the camera lens is adopted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nd the transmission of the video signal and the like is in progress. The general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camera lens module externally or internally to perform a video call with a counterpart or a desired subject photographing function.

그러나, 종래의 휴대 단말기들은 음성 통화를 위한 폰 모드에서는 매우 편리하지만, 현재와 같이 하나의 휴대 단말기에서 다양한 모드를 추구하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예를 들어, 게임 모드나, 채팅 모드/화상 채팅 모드 또는 QWERTY 모드 시에 손가락을 이용한 키 조작의 신속성 및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게임 모드나 채팅/화상 채팅 모드 또는 QWERTY 모드에서는 키 조작이 신속해야 하고, 정확해야 하는 필요성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mobile terminals are very convenient in the phone mode for voice call, but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which seeks various modes in one mobile terminal as is present, for example, a game mode, a chat mode / video chat mode or In the QWERTY mod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eed and accuracy of key operation using a finger is deteriorated. In game mode, chat / video chat mode, or QWERTY mode, there is a need for quick and accurate key operation.

또한, 휴대 단말기에 채용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이 고용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고, 이러한 고용량 카메라 렌즈 모듈을 본체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본체 두께가 두꺼워져서 슬림화에 불리하고, 특히 본체 두께가 두꺼워지면 휴대성이나 사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특히 낙하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카메라 렌즈가 파손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였다.In addition, camera lens modules employed in portable terminals have tended to become high in capacity, and when the high capacity camera lens module is mounted on a main body, the main body becomes thicker, which is disadvantageous in slimming. In particular, when the main body thickness becomes thick, portability and usability are increased. This deterioration problem has occurred, and especially when the fall occurs, the camera lens is often broke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딩형 휴대 단말기에서, 슬라이딩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슬라이딩 표시 장치 양측으로 각각 좌우 키패드를 구비함으로써, 광폭의 표시 장치와 키패드의 키 조작의 신속성/정확성에 부응할 수 있게 되어 최적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하면서 사용자에 매우 편리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display device with a sliding display device and a left and right keypads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display device, so that the wide display device and the keypad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match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remely convenient user terminal while providing an optimal user interfacing environ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앙 손을 이용하여 키 조작이 편리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for convenient key operation using an ang han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표시 장치가 폴더의 회전동작이나 자체적인 슬라이딩 동작에 안전하게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여 폴더의 개폐 동작이나 슬라이딩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 동작에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reliability in opening / closing operations of a folder or sliding of a sliding display device by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display device is safely accommodated in a folder rotation operation or a sliding action of itself.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딩형 단말기에서, 본체와 폴더와 독립적으로 카메라 렌즈 모듈을 구비한 카메라 렌즈 하우징이 제공되어 휴대 단말기의 슬림화나 소형화에 관계없이 고용량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데 구조적으로 유리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lens housing having a camera lens module independently of a main body and a folder in a folding terminal, which is structurally advantageous for providing a high capacity camera lens module regardless of the slimming or miniaturization of a mobi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 렌즈 모듈이 인입/인출되게 카메라 렌즈 하우징에 제공되고, 회전하게 제공되어서 카메라 모드에서 편리하고, 비 사용시에 카메라 렌즈 하우징에 보호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provided in a camera lens housing such that the camera lens module is pulled in / out, rotated to be convenient in the camera mode, and protected in the camera lens housing when not in u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잡한 문자 메시지 입력 모드, 상대방과의 채팅 모드/화상 채팅 모드, 게임 모드 및 QWERTY 모드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모두 사용자에게 최적의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that provides an optimal interfacing environment to a user in a multimedia environment including a complicated text message input mode, a chat mode / video chat mode, a game mode, and a QWERTY mode. ha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와 폴더를 각각 카메라 렌즈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서,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장착공간이 커져 고용량의 카메라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데 유리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advantageous in providing a high capacity camera lens module by increasing the mounting space of the camera lens housing by rotatab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to the camera lens housing, respective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 렌즈 하우징이 힌지부 기능을 겸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camera lens housing also serves as a hinge par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폴딩형 휴대 단말기에서 슬라이딩 표시 장치가 힌지부의 간섭없이 슬라이딩 동작이 원할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sliding display device smoothly slides without interference of a hinge part in a folding portable terminal.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본체;main body;

상기 본체에서 힌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폴더;A folder rotatably connected to and opened by a hinge part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에서 상기 폴더와 함께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상기 폴더의 길이방 향을 따라서 소정의 거리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본체 상면이나 상기 폴더 저면의 일정 영역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표시 장치; 및A sliding display device which is folded or unfolded together with the folder in the main body and slide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length direction of the folder to open and close a predetermined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or the bottom of the folder; And

상기 힌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및 폴더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렌즈 하우징으로 구성된다.Is provided in the hinge portion is composed of a camera lens housing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본체(100), 폴더(200), 힌지부(300), 슬라이딩 표시 장치(250) 및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을 포함한다. 상기 폴더(200)는 상기 힌지부(300)에 의해 상기 본체(100)에 연결되고,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250)는 상기 폴더(200) 저면에서 이동하게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은 상기 본체(100)와 상기 폴더(200) 사이에서 상기 힌지부(300)에 연결된다. 1 to 3,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folder 200, a hinge part 300, a sliding display device 250, and a camera lens housing 400. . The folder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by the hinge part 300, and the sliding display device 250 is configured to move on a bottom surface of the folder 200, and the camera lens housing 400.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300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서 상기 힌지부(3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폴더(200)와, 상기 본체(100)에서 상기 폴더(200)와 함께 상기 힌지부(300)를 중심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상기 본체(100)와 상기 폴더(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거리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본체(100) 상면이나 상기 폴더(200) 저면 소정 영역을 개폐하는 슬라 이딩 표시 장치(250)와, 상기 힌지부(300)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0)와 폴더(2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100)와 폴더(200)로부터 독립적인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으로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 folder 200 rotatably connected and opened by the hinge part 300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in the main body 100. Folded or unfolded about the hinge part 300 together with the 200, and slide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so that the upper surface or the folder ( A sliding display device 250 for opening and closing a bottom predetermined area and the hinge part 300 are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and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It is composed of a camera lens housing 400 independent from.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400)는 상기 폴더(200)와 함께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 적층된 상태로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 동작 후, 상기 본체(100) 및 폴더(200)와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슬라이딩한다. 물론, 상기 폴더(200)는 상기 본체(100)에서 약 180도 정도 회전해야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250)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250)의 회전이동은 상기 폴더(200)에 의해 종속되고, 특히, 상기 폴더(200)가 180도 정도 회전하여 상기 본체(100)와 상기 폴더(200)가 평탄하게 배치된 경우에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터치 스크린과 같은 정보 입출력 장치가 채용될 수 있다. 참조부호 252는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지칭한다.The sliding display device 400 rotates together in a stacked state while maintaining the state facing the folder 200, and faces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after the rotation operation. Slide continuously while keeping. Of course, the folder 200 needs to rotate about 180 degrees in the main body 100 to allow the sliding display device 250 to slide. Rotation movement of the sliding display device 250 is dependent on the folder 200. In particular, the folder 200 is rotated about 180 degrees so that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are flat. Can be moved. The sliding display device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ut an information input / output device such as a touch screen may be employed. Reference numeral 252 denotes a screen to be displayed.

상기 힌지부(300)는 상기 본체(100)와 제1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폴더(200)와 제2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2힌지축(A1,A2)은 서로 평행하다. 상기 힌지부(300)는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과 동축으로 이웃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300)는 상기 본체(100)에 형성되어 상기 제1힌지축(A1)을 제공하는 본체 힌지 아암(102)과, 상기 폴더(200)에 형성되어 상기 제2힌지축(A2)을 제공하고, 상기 본체 힌지 아암(102)과 대치하면서 마주보는 폴더 힌지 아암(20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 힌지 아암(102)과 상기 폴더 힌지 아암(202)은 각각 제1,2힌지축(A1,A2)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미도 시된 힌지 모듈과 힌지 더미가 배치된다. 미도시된 힌지 모듈과 힌지 더미에 의해 상기 힌지부(300)에서 상기 본체(100)와 폴더(200)는 회전한다. 상기 본체 힌지 아암(102)과 상기 폴더 힌지 아암(202)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상기 힌지부(300)가 위치하고, 우측으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이 위치한다. 상기 힌지부(300)보다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이 더 크게 제공되고, 이는 고용량의 카메라 렌즈 모듈(450)과, 인입/인출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450)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은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부(30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은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상기 본체 힌지 아암(102)과 폴더 힌지 아암(202)에 결합될 수 있다.The hinge part 300 is rotatably connected about the main body 100 and the first hinge axis A1, and is rotatably connected about the folder 200 and the second hinge axis A2. .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A1 and A2 are parallel to each other. The hinge part 300 is coaxially adjacent to the camera lens housing 400. In addition, the hinge portion 300 is formed on the main body 100 to provide the first hinge axis (A1) and the main hinge arm 102, and the folder 200 is formed on the second hinge axis ( A2) and consists of a folder hinge arm 202 facing and facing the body hinge arm 102. The main hinge arm 102 and the folder hinge arm 202 extend in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A1 and A2, respectively, and an unshown hinge module and a pile of hinges are disposed therein.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rotate in the hinge part 300 by a hinge module and a dummy pile not shown. The hinge portion 300 is positioned to the left and the camera lens housing 400 is positioned to the left of the main body hinge arm 102 and the folder hinge arm 202. The camera lens housing 400 is provided larger than the hinge part 300, in order to provide a high capacity camera lens module 450 and a camera lens module 450 that is pulled in / out. The camera lens housing 400 has a box shape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inge part 300. However, the camera lens housing 400 may be manufactured independently and coupled to the body hinge arm 102 and the folder hinge arm 20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은 상기 제1,2힌지축(A1,A2)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입/인출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450)이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50)은 100만 화소 이상의 고용량 모듈로서, 상기 제1,2힌지축(A1,A2)과 평행한 제3힌지축(A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은 개구(41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카메라 렌즈(452)를 개방시킨다. 즉,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50)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에 인입된 상태일 경우, 상기 개구(410)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452)는 사용자에게 개방된다. 상기 개구(410)는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50)은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의 일측면에서 인입 또는 인출된다.As shown in FIG. 5, the camera lens housing 400 includes a camera lens module 450 that is inserted / draw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A1 and A2. The camera lens module 450 is a high-capacity module of 1 million pixels or more, and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about a third hinge axis A3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A1 and A2. Preferably, the camera lens housing 400 further includes an opening 410 to open the camera lens 452 of the camera lens module. That is, when the camera lens module 450 is inserted into the camera lens housing 400, the camera lens 452 is opened to the user through the opening 410. The opening 41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mera lens housing 400, and the camera lens module 450 is drawn in or drawn out from one side of the camera lens housing 400.

또한,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110)의 양측 둘레에 가이드 부(111)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부(111)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111)로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할하다.In addition, guide parts 111 are further provided around both sides of the first user interfacing part 110, and the guide part 111 is constituted by a pair of guide rails 111 to move sliding of the sliding display device. I want this.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 상면에는 제1,2사용자 인터페이싱부(110,112)가 배치되고, 상기 제1,2사용자 인터페이싱부(110,112)는 서로 이웃한다.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110)는 상기 폴더(200)의 회전에 따라서 개방되고,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250)의 슬라이딩 유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싱부(112)는 상기 폴더(200)의 회전에 따라서 개방되고,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250)의 슬라이딩 유무에 상관없이 항시 개방되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다. 도 2에는 상기 제1,2사용자 인터페이싱부(110,112)가 상기 폴더(200)가 회전하여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보여진다. 도 3에는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250)가 완전히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110)는 숨겨지고,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싱부(112)만 개방된다. 2 and 3, first and second user interfacing units 110 and 112 ar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irst and second user interfacing units 110 and 112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user interfacing unit 110 is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older 200, and consists of an array of a plurality of keys that ar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whether the sliding display device 250 is sliding. The second user interface 112 is ope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lder 200, and is composed of an array of a plurality of keys that are always open regardless of whether the sliding display device 250 is sliding. In FIG. 2, the first and second user interfaces 110 and 112 are completely opened by rotating the folder 200. In FIG. 3, the sliding display device 250 completely slides so that the first user interface 110 is hidden and only the second user interface 112 is open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200) 하면에는 제3사용자 인터페이싱부(210)가 배치된다. 상기 제3사용자 인터페이싱부(210)는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250)의 슬라이딩 유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제3사용자 인터페이싱부(210)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지고, 특히 다수 개의 키들로 구성된 QWERTY 키 배열을 제공한다. 도 3에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를 중심으로 우측으로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싱부(112)가 개방되고, 좌측으로 상기 제3사용자 인터페이싱부(210)가 개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110)와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은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250)에 의해 숨겨진다.As shown in FIG. 3, a third user interface 210 is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older 200. The third user interface 210 is selectively opened or closed depending on whether the sliding display device 250 is slid. The third user interfacing unit 210 includes an array of a plurality of keys, and in particular, provides a QWERTY key array composed of a plurality of keys. 3, the second user interface 112 is opened to the right and the third user interface 210 is opened to the left. In this state, the first user interface 110 and the camera lens housing 400 are hidden by the sliding display device 25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250)는 스피커 장치(254)를 더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250)는 스피커 장치가 한 개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스피커 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254) 양측으로 두 개 장착되어서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sliding display device 250 further includes a speaker device 254. However, the sliding display device 250 need not be limited to one speaker device, and two speaker devices may b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sliding display device 254 to provide stereo sound.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250)가 완전히 슬라이딩된 경우,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110)는 숨겨지고, 상기 제2,3사용자 인터페이싱부(112,210)는 완전히 개방된다. 이 때, 상기 제2,3사용자 인터페이싱부(112,210)는 함께 QWERTY 키 배열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양 손을 이용하여 복잡한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게임이나 채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상기 제2,3인터페이싱부(112,210)가 서로 대치하는 상태이고, 사용자는 양 손을 이용하여 데이터 입력을 수행한다. 양손을 이용하여 키조작을 해야, 키 조작이 신속하고, 정확하다.When the sliding display device 250 is completely slid, the first user interface 110 is hidden and the second and third user interfaces 112 and 210 are completely open. At this time, the second and third user interfacing units 112 and 210 together provide a QWERTY key arrangement, and the user inputs complex data using both hands or performs a game or a chat. In this state, the second and third interfacing units 112 and 210 face each other, and the user inputs data using both hands. Key operation is required with both hands, so that key operation is quick and accurat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400)에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450)이 인출되면, 상기 제2,3인터페이싱부(112,21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상대방과 화상 채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4는 화상 채팅 모드로 사용되는 상태를 보여준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camera lens module 450 is withdrawn from the camera lens housing 400, a user may perform a video chat with the other party using the second and third interface units 112 and 210. have. That is, Figure 4 shows the state used in the video chat mode.

상기 폴더(200)와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250) 사이에는 미 도시된 슬라이딩 모듈이 장착되고, 미 도시된 슬라이딩 모듈은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성될 수 있다.A sliding module, not shown, may be mounted between the folder 200 and the sliding display device 250, and the sliding module may be configured automatically, semi-automatically, or manually.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250)는 상기 본체(100)와 상기 폴더(200) 상을 슬 라이딩하는 바, 상기 슬라이딩은 선형 이동으로 수행된다. The sliding display device 250 slides on the main body 100 and the folder 200, and the sliding is performed in a linear movement.

도 2와 같은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폰 모드로 사용되고, 도 3과 같은 상태에서는 게임 모드나 채팅 모드로 사용되고, 도 4와 같은 상태에서는 카메라 모드나 화상 채팅 모드로 사용된다. 또한, 도 2와 같은 상태에서도 화상 통화 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In the state as shown in FIG. 2, it is used as a general phone mode, and as shown in FIG. 3, it is used as a game mode or a chat mode. In addition, even in the state as shown in Figure 2 can be used in the video call mode.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환경에 최적의 인터페이싱환경을 제공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광폭의 표시 장치가 가로 보기 상태가 되고, 좌우 키패드가 양손에 의해 조작되어 짐으로써, 폰 모드 뿐만 아니라, 게임 모드, 채팅 모드, 화상 채팅 모드, QWERTY 모드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이점을 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모듈이 본체, 폴더와 독립적으로 장착되어서 고용량의 카메라 렌즈 모듈를 제공하는데 구조적으로 유리하고, 본체나 폴더의 슬림화에 유리하며, 특히 카메라 렌즈 모듈이 인입/인출가능함과 아울러 회전하게 구성되어서 카메라 모드에서 피사체 촬영이나 화상 채팅 모드에서 편리하고, 비 사용시에는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되는 이점을 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렌즈 하우징이 박스 형상으로 힌지부에 일체형으로 제공되어서 폴더가 180도 열린 상태인 경우, 슬라이딩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 이동이 힌지부나 카메라 렌즈 하우징의 간섭없이 원할하게 제공되는 이점을 달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ptimal interfacing environment for a multimedia environment.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e display device is in a landscape view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nd the left and right keypads are operated by both hands, so that not only a phone mode but also a game mode, a chat mode, a video chat mode, and a QWERTY mode. Achievements convenient for use i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advantageous to provide a high capacity camera lens module because the camera lens module is mounted independently of the main body, the folder, it is advantageous for the slimming of the main body or folder, in particular the camera lens module can be pulled out / pulled and rotated In this case, it is convenient to shoot a subject in a camera mode or a video chat mode, and to protect from an external environment when not in us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the advantage tha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display device is provided smoothly without interference of the hinge portion or the camera lens housing when the camera lens housing is provided integrally in the box portion and the folder is opened 180 degrees. It was.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3)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In a mobile terminal, 본체;main body; 상기 본체에서 힌지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폴더;A folder rotatably connected to and opened by a hinge part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에서 상기 폴더와 함께 접혀지거나 펼쳐지고, 상기 폴더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거리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본체 상면이나 상기 폴더 저면의 일정 영역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표시 장치; 및A sliding display device which is folded or unfolded together with the folder in the main body and slides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lder to open and close a predetermined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or the bottom of the folder; And 상기 힌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및 폴더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렌즈 하우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camera lens housing provided at the hinge portion and dispos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inge portion 상기 본체와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Rotatably connected about the main body and a first hinge axis, 상기 폴더와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Rotatably connected about the folder and a second hinge axis, 상기 제1,2힌지축은 서로 평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are parallel to each oth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은 상기 제1,2힌지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인입/인출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이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기.The portable terminal device of claim 2, wherein the camera lens housing comprises a camera lens module configured to pull in and pull ou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은 상기 제1,2힌지축과 평행한 제3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3, wherein the camera lens module is rotatable about a third hinge axis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은 개구를 더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 렌즈 모듈의 카메라 렌즈를 개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2, wherein the camera lens housing further includes an opening to open the camera lens of the camera lens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은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camera lens housing is formed in a box shape an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ing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상면에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upper surface 상기 폴더의 회전에 따라서 개방되고,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유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 및A first user interface configured to be ope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lder and to have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sliding display device; And 상기 폴더의 회전에 따라서 개방되고,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 유무에 상관없이 항시 개방되는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2사용자 인터페이싱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user interface configured to be ope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older and to be opened at all times regardless of sliding of the sliding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 하면에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folder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의 슬라이딩 유무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3사용자 인터페이싱부가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third user interface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ccording to sliding of the sliding display device.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가 완전히 슬라이딩된 경우,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는 숨겨지고, 상기 제2,3사용자 인터페이싱부는 완전히 개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7 or 8, wherein when the sliding display device is fully slid, the first user interface is hidden and the second and third user interfaces are completely ope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는 양측 둘레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더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user interface further comprises a pair of guide rails around both si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는 상기 폴더와 함께 상기 본체에서 대면한 상태를 유지한 채, 적층된 상태로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 동작 후, 상기 폴더 및 본체와 대면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한 채로 슬라이딩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2. The sliding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sliding display is rotated together in a stacked state while maintaining a state of facing the main body together with the folder. After the rotating operation, the sliding display device continues to face the folder and the main body.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by sliding while ho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카메라 렌즈 하우징과 동축으로 이웃하고,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inge portion is coaxially adjacent to the camera lens housing,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제1힌지축을 제공하기 위한 본체 힌지 아암; 및A main body hinge arm formed on the main body to provide a first hinge axis; And 상기 폴더에 형성되어 제2힌지축을 제공하고, 상기 본체 힌지 아암과 대치하면서 마주보는 폴더 힌지 아암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a folder hinge arm formed in the folder to provide a second hinge axis, the folder hinge arm facing and facing the main body hinge a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표시 장치가 완전히 슬라이딩된 경우,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싱부는 숨겨지고, 상기 제2,3사용자 인터페이싱부는 완전히 개방되어 QWERTY 키 배열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when the sliding display device is fully slid, the first user interface is hidden and the second and third user interfaces are fully open to provide a QWERTY key arrangement.
KR1020060011133A 2006-02-06 2006-02-06 Mobile phone for multimedia KR200700800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133A KR20070080063A (en) 2006-02-06 2006-02-06 Mobile phone for multimed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133A KR20070080063A (en) 2006-02-06 2006-02-06 Mobile phone for multimedi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063A true KR20070080063A (en) 2007-08-09

Family

ID=3860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133A KR20070080063A (en) 2006-02-06 2006-02-06 Mobile phone for multimedi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006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330A1 (en) * 2013-02-18 2014-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14133265A1 (en) * 2013-02-27 2014-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26330A1 (en) * 2013-02-18 2014-08-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9529441B2 (en) 2013-02-18 2016-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14133265A1 (en) * 2013-02-27 2014-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US9606617B2 (en) 2013-02-27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200B1 (en) Sliding/folding combination type mobile phone
KR100703418B1 (en) Sliding/folding combination type portable telephone
US7292882B2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usable as a gaming device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KR100663573B1 (en) Tri-hinge folder 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89468B1 (en) Sliding/swing type mobile phone
KR20040018169A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US20060105824A1 (en) Sliding-fol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EP1667409A1 (en) Foldable phone with slidable housing to protect display and camera
US20050124394A1 (en) Sliding/folding-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50038982A (en) Sliding/sw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713433B1 (en) Self-cradling type mobile phone
KR20050038980A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20060223595A1 (en) Folder-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sliding display unit
KR100630067B1 (en) Dual hinge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pda
KR20050050334A (en) Game/communication combination portable device with stick function
KR10053993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03459B1 (en) Mobile phone with sliding keypad having convenient data input
KR20070080063A (en) Mobile phone for multimedia
EP1594291B1 (en) Sliding/folding-type portable apparatus
KR20070021723A (en) Sliding-type portable device with wide display area
KR100703449B1 (en) Sliding and folding combination type mobile phone for multi-media
KR100678137B1 (en) Slim-type mobile phone with game
KR20060119455A (en) Folding-type mobile phone with self-cradling
KR100678066B1 (en) Bar type mobile phone with game convenience
KR20070101629A (en) Double-direction sliding type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