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691A - 부하시 탭 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부하시 탭 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691A
KR20070078691A KR1020060116254A KR20060116254A KR20070078691A KR 20070078691 A KR20070078691 A KR 20070078691A KR 1020060116254 A KR1020060116254 A KR 1020060116254A KR 20060116254 A KR20060116254 A KR 20060116254A KR 20070078691 A KR20070078691 A KR 20070078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ap
resistance
switching
mai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4514B1 (ko
Inventor
유키노부 다키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7007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1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 H02M5/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transformers for conversion of voltage or current amplitu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01H9/0038Tap change devices making use of 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connecting networks of the same frequency but supplied from different sour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01F29/04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having provision for tap-changing without interrupting the load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차단 회수가 많은 주벌브에 있어서의 차단 전류의 최대값을 저감함으로써, 주벌브의 전극 접점의 소모를 억제하여, 차단 능력의 안정화를 도모한 부하시 탭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측의 저항용 벌브(W1)가 폐극,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측의 저항용 벌브(W2)가 개극일 때에, 주벌브(H)가 개극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Description

부하시 탭 전환 장치{ON-LOAD TAP CHANG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의 전환 회로 및 동작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전환 시퀀스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의 전환 회로 및 동작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제2 실시 형태의 전환 시퀀스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형태의 전환 회로 및 동작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의 전환 시퀀스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 형태의 전환 회로 및 동작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제4 실시 형태의 전환 시퀀스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형태의 전환 회로 및 동작도.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다른 실시 형태의 전환 시퀀스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전환 회로 및 동작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전환 시퀀스도.
도 13은 종래의 전환 개폐기에서의 전환 회로 및 동작도.
도 14는 종래의 전환 개폐기에서의 전환 시퀀스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3 : 탭 권선의 탭 A, H : 주밸브
C, D, W1, W2 : 저항용 밸브
CA, CB : 통전 접점 고정 접점 C1, C2 : 통전 접촉자
h: 전환 스위치 가동 접점
h1, h2 : 전환 스위치 고정 접점 IL : 부하 전류
IC : 순환 전류
M1, M2 : 탭 선택기 가동 접촉자 N : 중성점
R1, R2 : 전류 제한 저항 S : 전환 스위치
SA, SB : 전환 스위치의 고정 접점
SC: 전환 스위치의 가동 접촉자 TW : 탭 권선
US : 탭 간 스텝 전압 100 : 과전압 보호기
본 발명은 2저항 3밸브 방식의 부하시 탭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진공 밸브로 구성한 주밸브의 차단 전류를 저감하여 진공 밸브의 전극 접점의 소모를 억제한 부하시 탭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배전 계통에 접속되는 변압기에는 송배전 계통의 전압을 조정하여 안정화시키기 위해, 부하시 탭 전환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부하시 탭 전환 장치는 전환 개폐기와 탭 선택기로 구성되는데, 전환 개폐기에는 통상, 차단 요소로서 진공 용기 내에 상호 접촉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전극을 배치하여 구성한 진공 밸브가 사용되고 있고, 1상에 대해 2개의 전류 제한 저항과 3개의 진공 밸브를 갖는 2저항 3밸브 방식의 전환 개폐기(특허 문헌 1 참조)가 제안되고 있다.
여기서,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하여, 특허 문헌 1 기재의 2저항 3밸브 방식의 부하시 탭 전환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종래의 부하시 탭 전환 장치에 있어서의 전환 회로와 그 동작도, 도 14는 그 전환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부호 중, TW는 변압기 등의 탭 권선, 2, 3은 탭 권선(TW)의 탭, M1, M2는 탭(2, 3)을 선택하는 탭 선택기의 2개의 가동 접촉자이다. A, C, D는 각각 진공 밸브로서, A를 주밸브, C, D를 저항용 밸브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한, R1, R2는 전류 제한 저항, h1, h2는 전환 스위치의 고정 접점, h는 고정 접점 h1, h2 중 한쪽을 선택하는 전환 스위치의 가동 접촉자이다.
탭 권선(TW)의 탭(2, 3)과 중성점(4) 사이에는, 가동 접촉자(M1), 전류 제한 저항(R1), 저항용 밸브(C) 및 가동 접촉자(M2), 전류 제한 저항(R2), 저항용 밸브(D)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탭 권선(TW)의 탭(2, 3)의 일단에 가동 접촉자(M1)와 전류 제한 저항(R1)과 저항용 밸브(C) 및 가동 접촉자(M2)와 전류 제한 저항(R2)과 저항용 밸브(D)가 각각 직렬로 접속되고, 그 타단은 중성점(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주밸브(A)는 일단이 전환 스위치의 가동 접촉자(h)에 접속되고, 타단이 중성점(4)에 접속되어 있다.
도 14는 각각의 진공 밸브(A, C, D) 및 전환 개폐기의 고정 접점(h1, h2)에 있어서의 접점의 개폐 상태를 표시하고 있으며, 상단은 폐극(閉極)(ON), 하단은 개 극(開極)한 비접촉(OFF)이라는 의미이다. 도 13의 (A)∼(F)는 도 14(1)에 있어서의 (A)∼(F)에서 도시한 전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각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A) 운전 상태 [도 13의 (A)]
여기에서는, 주밸브(A) 및 저항용 밸브(C)는 폐극하며, 저항용 밸브(D)가 개극하고, 또한, 전환 스위치의 가동 접촉자(h)는 고정 접점(h1)을 선택하고 있는 운전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부하 전류(IL)는 점선과 같이 중성점(4)으로부터 주밸브(A), 전환 스위치의 가동 접촉자(h) 및 고정 접점(h1)을 통해,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에 흐른다. 이 회로는 임시로 서지와 같은 과전압이 인가되어, 저항용 밸브(D)의 극간에 절연 파괴하였더라도, 전류 제한 저항(R2)을 통해 탭간에 교락(橋絡)하므로, 탭간을 보호할 수 있다고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B) 비통전 탭측의 저항 밸브(D)의 폐극 [도 13의 (B)]
상기 (A)의 상태에서 전환 동작이 개시하면, 우선,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측의 저항 밸브(D)가 폐극한다. 즉, 3개의 밸브(A, C, D)는 모두 폐극 상태가 된다. 저항 밸브(D)의 폐극에 의해, 전류 제한 저항(R2), 저항 밸브(D), 주밸브(A)를 통해 단락 회로가 형성되어, 여기에 순환 전류(IC)가 흐른다. 또한, 부하 전류(IL)는 상기 (A)의 상태인 채로, 중성점(4)으로부터 주밸브(A), 전환 스위치의 가동 접촉자(h) 및 고정 접점(h1)을 통해, 탭 선택기의 가동 접촉자(M1), 탭(2)이라는 회로에 흐른다.
(C) 주밸브(A)의 개극 [도 13의 (C)]
이어서, 3개의 밸브(A, C, D)가 모두 폐극으로 되어있는 상태에서, 주밸브(A)가 개극하여, 상기 (B)와 같이 흐르고 있었던 부하 전류(IL)와 순환 전류(IC)의 합성값을 차단한다. 차단 후는 탭(3)의 가동 접촉자(M2), 전류 제한 저항(R2), 저항용 밸브(D), 저항용 밸브(C), 전류 제한 저항(R1), 가동 접촉자(M1)를 통해, 탭(2)과의 사이에서 단락 회로가 형성되어, 여기에 순환 전류(IC)가 흐른다.
또한, 부하 전류(IL)는 중성점(4)으로부터, 저항용 밸브(C) 및 전류 제한 저항(R1)으로 이루어지는 회로와 저항용 밸브(D) 및 전류 제한 저항(R2)으로 이루어지는 회로에, 전류 제한 저항(R1, R2)의 저항비에 알맞게 분류한다. 여기서는 R1= R2로 한다. 즉, 부하 전류(IL)는 전류 제한 저항(R1), 저항용 밸브(C)의 회로와 전류 제한 저항(R2), 저항용 밸브(D)의 회로에서 IL/2가 흐른다.
(D) 전환 스위치의 동작 [도 13의 (D)]
다음으로, 통전하지 않는 상태의 전환 스위치의 가동 접촉자(h)가 고정 접점 (h1)으로부터 고정 접점(h2)으로 이동한다.
(E) 주밸브(A)의 폐극 [도 13의 (E)]
계속해서, 주밸브(A)가 폐극한다. 이에 따라 부하 전류(IL)는 중성점(4)으로부터 주밸브(A), 전환 스위치의 가동 접촉자(h), 고정 접점(h2)을 통해, 탭 선택기의 가동 접촉자(M2), 탭(3)이라는 회로에 흐른다. 순환 전류(IC)는 상기 (C)의 상태인 채이다.
(F) 통전 탭(2)측의 저항용 밸브(C)의 개극 [도 13의 (F)]
마지막으로,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2)측의 저항용 밸브(C)가 개 극하는 것으로 순환 전류(IC)를 차단한다. 이로써, 전환 동작을 완료하며, 도 13(F)에 도시한 상태로 운전을 계속한다. 또한, 다음 탭으로의 전환 동작은 도 1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F)로부터 (A)로의 순서대로 행해진다.
상술한 전환 회로에 의해 전환 동작을 행했을 때의 주밸브(A), 저항용 밸브(C, D)의 차단 전류의 최대값은 각각 이하와 같게된다. 탭 권선(TW)의 탭(2, 3)간의 스텝 전압을 US라고 하면 주밸브(A)의 차단 전류는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 전류(IL)와 순환 전류(IC)의 합성값이 되고, IL+IC= IL+US/R1이다. 또한, 저항용 밸브(C, D)의 차단 전류는 도 13(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 전류(IC)가 되고, IC=US/(2×R1)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 제61-15569호 공보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즉, 도 13에 도시한 전환 회로에서, 저항용 밸브(C, D)의 전환 동작은 교호이다. 즉, 저항용 밸브(C, D)는 전환 동작 2회에 1회의 비율로 전류를 차단한다. 이에 대해, 주밸브(A)는 전환 동작의 때마다 전류 차단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단순히 생각하더라도, 주밸브(A)에서의 전환 동작의 회수는 저항용 밸브(C, D)의 전환 동작 회수의 2배이다. 더구나, 저항용 밸브(C, D)의 차단 전류는 순환 전류 IC = US/(2×R1)뿐이지만, 주밸브(A)의 차단 전류는 부하 전류(IL)와 순환 전류(IC)의 합성값 IL+IC= IL+US/R1이며 주밸브(A)의 쪽이 저항용 밸브(C, D)보다도 차단 전류가 크다.
전류를 차단하는 진공 밸브의 한 쌍의 전극의 대향면에 각각 설치한 아크 접점은 아크에 의해 소모하지만, 차단 회수가 많을수록, 혹은 전류가 클수록, 소모도는 큰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주밸브(A)의 소모는 저항용 밸브(C, D)에 비해, 훨씬 진행하기 쉽다고 할 수 있다. 접점 상태의 악화가 진행하면, 아크가 계속되는 장시간 아크나 재점화(再点弧)가 생길 우려가 있다. 즉, 종래의 부하시 탭 전환 장치에 있어서는 주밸브의 전극 접점의 소모가 심한 것이 문제가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단 회수가 많은 주밸브에 있어서의 차단 전류의 최대값을 저감함으로써, 주밸브에 있어서의 전극 접점의 소모를 억제하여, 차단 능력의 안정화를 도모한 부하시 탭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탭 권선의 탭을 선택하는 탭 선택기의 2개의 제1 가동 접촉자를 설치하며, 이들 제1 가동 접촉자와 중성점 사이에, 상기 제1 가동 접촉자의 각각에 직렬로 접속된 전류 제한 저항과 저항용 밸브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제1 가동 접촉자와 상기 전류 제한 저항의 사이에 각각 설치한 복수의 고정 접점과, 상기 복수의 고정 접점 중의 한쪽을 선택하는 제2 가동 접촉자로 이루어지는 전환 스위치와, 상기 전환 스위치의 제2 가동 접촉자와 중성점 사이에 주밸브를 접속하여,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폐극,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개극일 때, 상기 주밸브가 개극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측의 저항용 밸브가 폐극이고,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측의 저항용 밸브가 개극이라는 상태에서,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측의 저항용 밸브가 폐극하는 것보다도 먼저, 주밸브가 개극하므로, 부하 전류는 폐극 상태의 저항용 밸브, 전류 제한 저항, 탭 권선이라는 회로에 흐르는 것이 되고, 주밸브의 차단 전류의 최대값을 종래보다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도 1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도 3, 도 5, 도 7, 도 9,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전환 회로도 및 동작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3에서 도시한 종래 기술과 동일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2, 도 4, 도 6, 도 8, 도 10, 도 12는 각각 도 1, 도 3, 도 5, 도 7, 도 9, 도 11에 대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전환 시퀀스를 도시하는 것이다.
(1)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인 부하시 탭 전환 장치의 전환 회로 및 동작도, 도 2는 그 전환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다.
(1-1) 구성
도 1에 도시하는 부호(M1, M2)는 탭 권선(TW)의 탭(2, 3)을 선택하는 탭 선택기의 2개의 가동 접촉자, 부호 N은 중성점이다. 탭(2, 3)과 중성점(N) 사이에는 가동 접촉자(M1, M2) 각각 전류 제한 저항(R1)과 저항용 밸브(W1) 및 전류 제한 저 항(R2)과 저항 밸브(W2)가 직렬로 접속되어, 그 일단은 중성점(N)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촉자(M1)와 전류 제한 저항(R1)의 중간부에는 전환 스위치(S)의 고정 접점(SA)이 설치되고, 또한 가동 접촉자(M2)와 전류 제한 저항(R2)의 중간부에는 전환 스위치(S)의 고정 접점(SB)이 설치된다. 이들 고정 접점(SA, SB)에 근접하여, 고정 접점(SA, SB)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고정 접점(SA, SB) 및 가동 접촉자(SC)에서 전환 스위치가 구성된다. 나아가서,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와 중성점(N)의 사이에는 주밸브(H)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탭(2)측에서 통전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2)측의 저항용 밸브(W1)가 폐극,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 (3)측의 저항용 밸브(W2)가 개극인 상태에서, 주밸브(H)가 개극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주밸브(H)가 개극하고, 또한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2)측의 저항용 밸브(W1)가 폐극,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 (3)측의 저항용 밸브(W2)가 개극인 상태에서,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동작을 개시하여, 전환 동작 전에 접촉하고 있었던 고정 접점(SA)과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된다. 그 후,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가 폐극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1-2) 전환 시퀀스
이상의 특징에 대해, 도 1의 (A)∼(F)에서 도시한 전환 과정에 따라, 순서대로 설명한다. 도 1의 (A)∼(F)는 도 2 (1)에 (A)∼(F)에 도시한 전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A) 운전 상태[도 1의 (A)]
주밸브(H) 및 저항용 밸브(W1)는 폐극(ON)하며,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고정 접점(SA)에 접속되고, 탭 선택기의 가동 접촉자(M1)가 탭 권선(TW)에 접속된 운전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부하 전류(IL)는 점선과 같이 중성점(N)에서 주밸브(H),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 고정 접점(SA),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에 흐른다.
(B) 주밸브(H)의 개극[도 1의 (B)]
상기 (A)의 상태로부터 전환 동작이 시작하면, 종래에서는 우선 비통전 탭측의 저항용 밸브가 폐극했지만[도 13의 (B)의 상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주밸브(H)가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하 전류(IL)는 도 1의 (B)에 있어서의 점선과 같이 중성점(N)으로부터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에 흐른다.
(C) 비통전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의 폐극[도 1의 (C)]
계속해서,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가 폐극하며, 전류 제한 저항(R2), 저항용 밸브(W2) 및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을 통해, 단락 회로가 형성되고, 여기에 순환 전류(IC)가 흐른다.
또한, 부하 전류(IL)는 중성점(N)으로부터,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 항(R1)의 회로와 저항용 밸브(W2), 전류 제한 저항(R2)의 회로에, 전류 제한 저항(R1, R2)의 저항비에 알맞게 분류한다. 여기서는 R1= R2로 한다. 즉, 도 1의 (D)과 같이 부하 전류(IL)는 중성점(N)으로부터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의 회로와 저항용 밸브(W2), 전류 제한 저항(R2)의 회로로 2분하여 흐르게 된다.
(D) 전환 스위치(S)의 동작[도 1의 (D)]
다음으로,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가동 접촉자(M1)측의 고정 접점(SA)으로부터 가동 접촉자(M2)측의 고정 접점(SB)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E) 주밸브(H)의 폐극[도 1의 (E)]
나아가서,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고정 접점(SB)에 접촉하여, 주밸브(H)가 폐극한다. 순환 전류(IC)는 점선과 같이 도 1(C)의 상태인 채로, 전류 제한 저항(R2), 저항용 밸브(W2),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을 통해 흐른다. 부하 전류(IL)는 점선과 같이 중성점(N)으로부터 주밸브(H),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 고정 접점(SB)을 지나, 탭 선택기의 가동 접촉자(M2)로부터 탭(3), 탭 권선(TW)이라는 회로로 이동한다.
(F) 통전 탭(2)측의 저항용 밸브(W1)의 개극[도 1의 (F)]
마지막으로,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2)측의 저항용 밸브(W1)가 개극하여 순환 전류(IC)를 차단한다. 이것으로서, 전환 동작을 완료하고, 도 1(F)의 상태에서 운전을 계속한다. 또한, 다음 탭으로의 전환 동작은 도 2(2)에 도시하는 (F)로부터 (A)로의 순서대로 행해진다.
(1-3)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은 전환 시퀀스를 갖는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전환 동작 전에 통전 탭(2)측의 저항용 밸브(W1)가 폐극, 전환 동작 전에 비통전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가 개극이라는 상태에서, 비통전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가 폐극하는 것보다도 전에, 주밸브(H)가 개극하므로, 부하 전류는 폐극 상태의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에 흐르게 된다.
따라서, 주밸브(H)의 차단 전류의 최대값은, 주밸브(H)는 부하 전류(IL), 저항용 밸브(W1)는 US/(2×R1)로 된다. 즉, 종래의 전환 개폐기에 있어서의 주밸브(A)의 차단 전류의 최대값이 IL+ US/R1인 것에 비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밸브(H)의 차단 전류의 최대값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밸브(H)의 전극 접점의 소모를 억제할 수 있고, 전환 개폐기를 구성하는 진공 밸브는 안정된 차단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1(C)의 상태에서, 주밸브(H)의 차단 실패가 발생한 경우에도, 전환 스위치(S)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로를 개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환 스위치(S)에 의한 확실한 전류 차단이 가능해지고,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2-1) 구성
제2 실시 형태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전환 시퀀스를 달리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 는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가 폐극하며,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2)측의 저항용 밸브(W1)가 개극하고, 그 후, 주밸브(H)가 폐극하도록 전환 시퀀스를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2-2) 전환 시퀀스
이상의 특징에 대해, 도 3의 (A)∼(F)로 도시한 전환 과정에 따라, 순서대로 설명한다. 도 3의 (A)∼(F)는 도 4(1)에 (A)∼(F)로 도시한 전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환 시퀀스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A) 운전 상태로부터 (D) 전환 스위치의 동작까지의 흐름은 동일하며,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E) 주밸브(H)의 폐극과, (F) 통전 탭(2)측의 저항용 밸브(W1)의 개극을 교체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다음과 같은 전환 시퀀스가 된다.
(A) 운전 상태[도 3의 (A)]
주밸브(H) 및 저항용 밸브(W1)는 폐극하며,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고정 접점(SA)에 접속되고, 탭 선택기의 가동 접촉자(M1)가 탭 권선(TW)의 탭(2)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 부하 전류(IL)는 점선과 같이 중성점(N)으로부터 주밸브(H),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 고정 접점(SA), 가동 접촉자(M1), 탭(2),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에 흐른다.
(B) 주밸브(H)의 개극[도 1의 (B)]
상기 (A)의 상태로부터 전환 동작이 시작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주 밸브(H)가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하 전류(IL)는 점선과 같이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에 흐른다.
(C) 비통전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의 폐극[도 3의 (C)]
계속해서,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2)측의 저항용 밸브(W2)가 폐극하며, 전류 제한 저항(R2), 저항용 밸브(W2),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을 통해, 단락 회로가 형성되고, 여기에 순환 전류(IC)가 흐른다.
또한, 부하 전류(IL)는 중성점(N)으로부터, 저항용 밸브(W1) 및 전류 제한 저항(R1)으로 이루어지는 회로와, 저항용 밸브(W2) 및 전류 제한 저항(R2)으로 이루어지는 회로로, 전류 제한 저항(R1, R2)의 저항비에 알맞게 분류한다. 여기서는 R1= R2로 한다. 즉, 부하 전류(IL)는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의 회로와 저항용 밸브(W2), 전류 제한 저항(R2)의 회로로 2분하여 흐르게 된다.
(D) 전환 스위치(S)의 동작[도 3의 (D)]
다음으로,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고정 접점(SA)으로부터 고정 접점(SB) 측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E) 통전 탭측의 저항용 밸브(W1)의 개극[도 3의 (E)]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고정 접점(SA)으로부터 고정 접점(SB)으로 이동한 후,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2)측의 저항용 밸브(W1)가 개극하여, 순환 전류(IC)를 차단한다. 이때, 부하 전류(IL)는 점선과 같이 저항용 밸브(W2), 전류 제한 저항(R2),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에 흐른다.
(F) 주밸브(H)의 폐극[도 3의 (F)]
마지막으로, 주밸브(H)가 폐극하여, 부하 전류(IL)를 중성점(N)으로부터 주밸브(H),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 고정 접점(SB), 탭 권선(TW)이라는 회로로 이동한다. 이로써, 전환 동작을 완료하여, 도시의 상태로 운전을 계속한다. 또한, 다음 탭으로의 전환 동작은 도 4(2)에 도시하는 (F)로부터 (A)로의 순서대로 행해진다.
(2-3)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은 전환 시퀀스를 갖는 제2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갖는 작용 효과[주밸브(H)의 전극 접점의 소모 억제와 전환 스위치(S)에 의한 확실한 전류 차단]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독자의 작용 효과가 있다.
즉, 상술한 시퀀스를 드는 것에 의해, 다음 탭으로의 전환 동작인 도 4(2)의 (F)로부터 (A)의 각 밸브의 동작 순서를 이전 탭의 전환 동작을 반대로 동작시켰을 때[도 4(1)의 (F)로부터 (A)]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주밸브(H) 및 저항용 밸브(W1, W2)를 구성하는 진공 밸브의 개폐 구동 장치를, 같은 축으로 왕복 운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수한 구동 장치부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전환 방향에 의하지 않는 안정된 진공 밸브의 개폐 구동 장치를 얻을 수 있으며, 기구의 간략화와 동작의 신뢰성 향상을 실현한다.
(3) 제3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3-1) 구성
제3 실시 형태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전환 시퀀스에서의 전환 스위치(S)의 접속 해제 동작을 비통전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의 폐극 동작보다도 먼저 행하는 점에 있다.
즉, 주밸브(H)가 개극하며, 또한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2)측의 저항용 밸브(W1)가 폐극,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가 개극인 상태에서,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동작을 개시하고, 전환 동작 전에 접촉하고 있었던 고정 접점(SA)과의 전기적 접속을 해제한다.
이에 계속해서,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가 폐극하고, 이어서,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2)측의 저항용 밸브(W1)가 개극하며, 마지막으로 주밸브(H)가 폐극하도록 되어 있다.
(3-2) 전환 시퀀스
즉,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환 시퀀스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 비통전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의 폐극과, (D) 전환 스위치(S)의 동작을 교체한 것이며,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A), (B), (E), (F)에 관해서는 동일하다. 즉, 다음과 같은 전환 시퀀스가 된다.
(A) 운전 상태[도 5의 (A)]
주밸브(H) 및 저항용 밸브(W1)는 폐극하며,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고정 접점(SA)에 접속되고, 탭 선택기의 가동 접촉자(M1)가 탭 권선(TW)에 접속된 운전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부하 전류(IL)는 점선과 같이 중성점(N)으로부터 주밸브(H),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 고정 접점(SA),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에 흐른다.
(B) 주밸브(H)의 개극[도 5의 (B)]
상기 (A)의 상태로부터 전환 동작이 개시하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주밸브(H)가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하 전류(IL)는 점선과 같이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에 흐른다.
(C) 전환 스위치(S)의 동작[도 5의 (C)]
주밸브(H)가 개극한 후,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고정 접점(SA)으로부터 고정 접점(SB)으로 이동한다.
(D) 비통전 탭측의 저항용 밸브(W2)의 폐극[도 5의 (D)]
계속해서,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가 폐극하며, 전류 제한 저항(R2), 저항용 밸브(W2),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을 통해, 단락 회로가 형성되어, 순환 전류(IC)가 흐른다.
(E) 주밸브(H)의 폐극[도 5의 (E)]
나아가서,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고정 접점(SB)에 접촉하며, 주밸브(H)가 폐극한다. 순환 전류(IC)는 점선과 같이 도 5(D)의 상태인 채로, 전류 제한 저항(R2), 저항용 밸브(W2),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을 통해 흐른다. 부하 전류(IL)는 점선과 같이 주밸브(H), 전환 스위치(S), 가동 접촉자(M2), 탭(3),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에 이동한다.
(F) 통전 탭측의 저항용 밸브(W1)의 개극
마지막으로,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측의 저항용 밸브(W1)가 개극하여, 순환 전류(IC)를 차단한다. 이것으로서, 전환 동작을 완료하며, 도 5(F)의 상태에서 운전을 계속한다. 또한, 다음 탭으로의 전환 동작은 도 6(2)에 도시하는 (F)로부터 (A)로의 순서대로 행해진다.
(3-3)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은 전환 시퀀스를 갖는 제3 실시 형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가 갖는 작용 효과, 즉, 주밸브(H)의 전극 접점의 소모 억제와 전환 스위치(S)에 의한 확실한 전류 차단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
즉, 도 5(C)의 상태에서는, 저항용 밸브(W1, W2)를 폐극하며, 전류 제한 저항(R1, R2)을 통해 탭(2, 3) 사이에서 단락 회로를 만들기 전에, 전환 스위치(S)의 접속 해제 동작을 개시하므로, 주밸브(H)의 개극 시에 전극 접점 손상 등에 의한 차단 실패가 발생한 경우에도, 도 5(C)의 상태에서 전환 스위치(S)에 의해 부하 전류(IL)만을 차단할 수 있다. 이 때, 순환 전류(IC)가 중첩하지 않으므로, 전환 스위치(S)에서의 차단 전류의 최대값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전환 스위치(S)의 전극 접점을 콤팩트로 할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다.
(4) 제4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4-1) 구성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중성점(N)에 대해 통전 접촉자(C1, C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동 접촉자(M1)와 전류 제한 저항(R1) 사이에는 통전 접점 고정 접점 (CA)이 설치되고, 가동 접촉자(M2)와 전류 제한 저항(R2) 사이에는 통전 접점 고정 접점(CB)이 설치된다. 통전 접촉자(C1)는 통전 접점 고정 접점(CA)과 중성점(N)의 접속, 해제를 가능하게 한 접촉자이며, 통전 접촉자(C2)는 통전 접점 고정 접점(CB)과 중성점(N)의 접속, 해제를 가능하게 한 접촉자이다.
(4-2) 전환 시퀀스
이상의 특징에 대해, 도 7의 (A)∼(H)로 도시한 전환 과정에 따라, 순서대로 설명한다. 도 7의 (A)∼(H)는 도 8(1)에 (A)∼(H)로 도시한 전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A) 운전 상태[도 7의 (A)]
주밸브(H) 및 저항용 밸브(W1)는 폐극하며,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고정 접점(SA)에 접속되고, 통전 접촉자(C1)가 통전 접점 고정 접점(CA)에 접속되며, 탭 선택기의 가동 접촉자(M1)가 탭 권선(TW)의 탭(2)에 접속된 운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부하 전류(IL)는 점선과 같이 중성점(N)으로부터 주밸브(H),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 고정 접점(SA),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와, 중성점(N)으로부터 통전 접촉자(C1), 접점(CA), 탭 권선(TW)이라는 회로로 분류된다.
(B) 통전 접촉자(C1)의 해제[도 7의 (B)]
상기 (A)의 상태로부터 전환 동작이 개시되면, 우선 통전 접촉자(C1)가 접점(CA)으로부터 해제한다. 부하 전류(IL)는 점선과 같이 중성점(N)으로부터 주밸브(H),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 고정 접점(SA),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에 흐른다.
(C) 주밸브(H)의 개극[도 7의 (C)]
계속해서, 주밸브(H)가 개방한다. 부하 전류(IL)는 점선과 같이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에 흐른다.
(D) 비통전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의 폐극[도 7의 (D)]
다음으로,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가 폐극하며, 전류 제한 저항(R2), 저항용 밸브(W2),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을 통해, 단락 회로가 형성되고, 순환 전류(IC)가 흐른다.
또한, 부하 전류(IL)는 중성점(N)에서,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의 회로와 저항용 밸브(W2), 전류 제한 저항(R2)의 회로에, 전류 제한 저항(R1, R2)의 저항비에 알맞게 분류한다. 여기서는 R1= R2로 한다. 즉, 부하 전류(IL)는 저항용 밸브(W1), 전류 제한 저항(R1)의 회로와 저항용 밸브(W2), 전류 제한 저항(R2)의 회로에 IL/2가 흐른다.
(E) 전환 스위치(S)의 동작[도 7의 (E)]
나아가서,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고정 접점(SA)으로부터 고정 접점(SB)측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F) 통전 탭(2)측의 저항용 밸브(W1)의 개극[도 7의 (F)]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가 고정 접점(SA)으로부터 고정 접점(SB)으로 이동한 후,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2)측의 저항용 밸브(W1)가 개극한다. 부하 전류(IL)는 점선과 같이 저항용 밸브(W2), 전류 제한 저항(R2), 가동 접촉자(M2), 탭(3),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에 흐른다.
(G) 주밸브(H)의 폐극[도 7의 (G)]
저항용 밸브(W1)가 개극한 후 주밸브(H)가 폐극하며, 부하 전류(IL)를 중성점(N)으로부터 주밸브(H),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 고정 접점(SB), 탭 권선(TW)이라는 회로로 이동한다.
(H) 통전 접촉자(C2)의 접속[도 7의 (H)]
마지막으로, 통전 접촉자(C2)가 통전 접점 고정 접점(CB)에 접속되어, 부하 전류(IL)는 점선과 같이 중성점(N)으로부터 주밸브(H), 전환 스위치(S)의 가동 접촉자(SC), 고정 접점(SB), 가동 접촉자(M2), 탭(3), 탭 권선(TW)이라는 회로와, 중성점(N)으로부터 통전 접촉자(C2), 접점(CB), 가동 접촉자(M2), 탭(3), 탭 권선(TW)이라는 회로로 분류한다. 이것으로서, 전환 동작을 완료하며, 도시의 상태에서 운전을 계속한다. 또한, 다음 탭으로의 전환 동작은 도 8(2)에 도시하는 (H)로부터 (A)로의 순서대로 행해진다.
(4-3)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은 전환 시퀀스를 갖는 제4 실시 형태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전환 시퀀스에 통전 접점 고정 접점(CA, CB)에 접촉 분리하는 통전 접촉자(C1, C2)의 동작을 부가한 것이다.
즉,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다음 탭으로의 전환 동작인 도 8(2)의 (F)로부터(A)의 진공 밸브의 동작 순서를 이전 탭의 전환 동작을 반대로 동작시킬 때와[도 8(1)의 (F)로부터 (A)]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진공 밸브 개폐 구동 장치의 간략화 및 동작 신뢰성의 향상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가 갖는 독자의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즉, 상시의 운전 상태[도 7(A) 혹은 (H)]에서 부하 전류(IL)가 통전 접촉자(C1)와 주밸브(H), 혹은 통전 접촉자(C2)와 주밸브(H)로 분류하고 있다. 주밸브(H)만으로 부하 전류(IL)를 통전하는 경우에는, 통전 상태에 있어서의 전극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도록 주밸브(H)의 전극 사이의 접촉 하중을 크게 하고, 전극 사이에서의 접촉 저항을 작게 해야 한다.
상시의 운전 상태[도 7(A) 혹은 (H)]에 있어서의 부하 전류(IL)를 통전 접촉자(C1)와 주밸브(H), 혹은 통전 접촉자(C2)와 주밸브(H)로 분류할 수 있으면, 주밸브(H)의 접촉 하중 및 통전 접촉자에 있어서의 접점 접촉 하중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통전 접촉자(C1, C2)를 구비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환 개폐기 구동 기구부를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밸브(H)에는 통전 능력을 무시하고, 차단 능력이 우수한 진공 밸브를 채용할 수도 있어 신뢰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나아가서,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주밸브(H)의 차단 전류의 최대값을 억제하여 안정된 차단 능력을 갖는 전환 개폐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7(C)의 상태에서, 주밸브(H)의 차단 실패가 생기더라도, 전환 스위치(S)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로를 개방할 수 있으며, 전환 스위치(S)에서 전류 차단이 가능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5) 다른 실시 형태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실시 형태를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실시 형태는 제2 및 제3 실시 형태를 조합시킨 것이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A) 운전 상태, (B) 주밸브(H)의 개극, (C) 전환 스위치(S)의 동작, (D) 비통전 탭(3)측의 저항용 밸브(W2)의 폐극, (E) 통전 탭(2)측의 저항용 밸브(W1)의 개극, (F) 주밸브(H)의 폐극이라고 하는 전환 과정이 된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제2 및 제3 실시 형태가 갖는 독자의 작용 효과[전환 방향에 의하지 않는 안정된 진공 밸브 개폐 동작의 확보와, 전환 스위치(S)에서의 차단 전류의 최대값 억제에 의한 전환 스위치(S)의 콤팩트화]를 더불어 갖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류 제한 저항(R1)과 저항용 밸브(W1) 사이와, 전류 제한 저항(R2)과 저항용 밸브(W2) 사이에는 방전 갭이나 비선형 저항기 등의 과전압 보호기(100)를 삽입하여도 좋다.
외래의 서지 등에서, 탭간에 과전압이 발생했다고 하면, 전환 스위치(S)의 고정 접점(SA와 SB)의 극간과, 저항용 밸브(W2)의 극간에 과대 전압이 인가된다. 이 경우, 저항용 밸브(W2)가 절연 파괴하여, 탭 선택기의 가동 접촉자(M2), 전류 제한 저항(R2), 저항용 밸브(W2), 주밸브(H), 가동 접촉자(SC)의 회로에, 전류 제한 저항(R2)으로 제한된 방전 전류가 흐른다. 저항용 밸브(W2)의 접점간에서의 방전이 빈번하게 발생하면 접점이 손상하기 쉬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래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과전압 보호기(100)의 제한 전압을 전환 스위치(S)의 고정 접점(SA와 SB)의 극간 파괴 전압 및 저항용 밸브(W2)의 전극간보다도 낮은 값으로 함으로써, 소정의 제한 레벨을 넘으면 과전 압 보호기(100)가 동작하고, 저항용 밸브(W2)의 접점에서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하시 탭 전환 장치에 의하면,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측의 저항용 밸브가 폐극,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측의 저항용 밸브가 개극인 상태에서 주밸브가 개극함으로써, 주밸브에 있어서의 차단 전류의 최대값을 저감시킬 수 있고, 주밸브의 전극 접점의 소모를 억제하여 차단 능력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탭 권선의 탭을 선택하는 탭 선택기의 2개의 제1 가동 접촉자를 설치하며, 이들 제1 가동 접촉자와 중성점의 사이에, 상기 제1 가동 접촉자의 각각에 직렬로 접속된 전류 제한 저항과 저항용 밸브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제1 가동 접촉자와 상기 전류 제한 저항 사이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고정 접점과, 상기 복수의 고정 접점 중 한쪽을 선택하는 제2 가동 접촉자로 이루어지는 전환 스위치와, 상기 전환 스위치의 상기 제2 가동 접촉자와 중성점 사이에 주밸브를 접속하며,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폐극이고,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 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개극일 때, 상기 주밸브가 개극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 전환 장치.
  2. 탭 권선의 탭을 선택하는 탭 선택기의 2개의 제1 가동 접촉자를 설치하고, 이들 제1 가동 접촉자와 중성점 사이에, 상기 제1 가동 접촉자의 각각에 직렬로 접속된 전류 제한 저항과 저항용 밸브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제1 가동 접촉자와 상기 전류 제한 저항 사이에 각각 설치한 복수의 고정 접점과, 상기 복수의 고정 접점 중 한쪽을 선택하는 제2 가동 접촉자로 이루어지는 전환 스위치와, 상기 전환 스위치의 상기 제2 가동 접촉자와 중성점 사이에 주밸브를 접속하고,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폐극이고, 전환 동작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개극일 때, 상기 주밸브가 개 극하고,
    상기 주밸브가 개극한 후,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폐극이고,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개극인 상태에서, 상기 전환 스위치의 상기 제2 가동 접촉자가 동작을 개시하고, 전환 동작 전에 접촉하고 있었던 고정 접점과의 전기적 접속을 해제하고,
    상기 전환 스위치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한 후,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폐극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 전환 장치.
  3. 탭 권선의 탭을 선택하는 탭 선택기의 2개의 제1 가동 접촉자를 설치하고, 이들 제1 가동 접촉자와 중성점 사이에, 상기 제1 가동 접촉자의 각각에 직렬로 접속된 전류 제한 저항과 저항용 밸브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제1 가동 접촉자와 상기 전류 제한 저항 사이에 각각 설치한 고정 접점과, 상기 복수의 고정 접점 중 한쪽을 선택하는 제2 가동 접촉자로 이루어지는 전환 스위치와, 상기 전환 스위치의 상기 제2 가동 접촉자와 중성점 사이에 주밸브를 접속하며,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폐극이고,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개극일 때, 상기 주밸브가 개극하고,
    상기 주밸브가 개극한 후,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폐극하며,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지 않는 탭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폐극한 후,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개극하고,
    전환 동작 전에 통전하고 있는 탭측의 상기 저항용 밸브가 개극한 후, 상기 주밸브가 폐극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 전환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밸브 및 저항용 밸브를 진공 밸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 전환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탭 선택기의 2개의 제1 가동 접촉자와 전류 제한 저항 사이에 각각 통전 접점 고정 접점이 설치되고, 이들 통전 접점 고정 접점과 중성점을 접촉 분리 가능한 통전 접촉자가 상기 중성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 전환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제한 저항과 상기 저항용 밸브의 접속점 상호간에 과전압 보호기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시 탭 전환 장치.
KR1020060116254A 2006-01-27 2006-11-23 부하시 탭 전환 장치 KR100814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19853 2006-01-27
JPJP-P-2006-00019853 2006-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691A true KR20070078691A (ko) 2007-08-01
KR100814514B1 KR100814514B1 (ko) 2008-03-17

Family

ID=3832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254A KR100814514B1 (ko) 2006-01-27 2006-11-23 부하시 탭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64928B2 (ko)
KR (1) KR100814514B1 (ko)
CN (1) CN101009155B (ko)
DE (1) DE10200700453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0005A (ja) * 2008-05-29 2009-12-10 Toshiba Corp 負荷時タップ切換装置
DE102010019949A1 (de) * 2010-05-08 2011-11-10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DE102010024255A1 (de) * 2010-06-18 2011-12-22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DE102010024612B4 (de) * 2010-06-22 2015-06-03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DE102010052979A1 (de) 2010-11-30 2012-05-31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DE102010053466A1 (de) * 2010-11-30 2012-05-31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und Vakuumschaltröhre für einen solchen Stufenschalter
DE102011008959B9 (de) * 2011-01-19 2012-04-26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tufenschalter mit Vakuumschaltröhren
WO2013007437A1 (de) 2011-07-09 2013-01-17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chaltelement und laststufenschalter mit einem solchen schaltelement
DE202011110140U1 (de) 2011-07-09 2012-12-07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Schaltelement und Laststufenschalter mit einem solchen Schaltelement
DE102012202327B4 (de) * 2012-02-16 2015-01-08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mit mindestens zwei Vakuumschaltröhren und Antrieb für einen Lastumschalter mit mindestens zwei Vakuumschaltröhren
JP6081082B2 (ja) * 2012-05-18 2017-02-15 株式会社東芝 負荷時タップ切換装置
DE102012107446B4 (de) 2012-08-14 2015-12-31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umschalter, Laststufenschalter und Verfahren zum Umschalten eines Laststufenschalters
EP2979342B1 (de) * 2013-05-24 2019-09-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Energieverteilnetz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DE102013107557B4 (de) 2013-07-16 2017-02-23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wähler
DE102013107545B4 (de) 2013-07-16 2017-02-16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wähler
DE102013107549B4 (de) 2013-07-16 2017-11-30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wähler für Stufentransformatoren und Trägerarm für einen Vorwähler des Lastwählers
DE102013107554B4 (de) 2013-07-16 2016-05-19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wähler
DE102013107550B4 (de) 2013-07-16 2017-05-04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wähler
DE102013107547B4 (de) 2013-07-16 2017-01-19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Verfahren zur Montage eines Lastumschaltereinsatzes im Laststufenschalter und Kerosinablassschraube
DE102013107558A1 (de) 2013-07-16 2015-01-22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DE102013107552B4 (de) 2013-07-16 2017-03-16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CN104465168A (zh) * 2014-12-12 2015-03-25 国家电网公司 一种真空式有载分接开关过渡电路及操作方法
DE102015102727A1 (de) 2015-02-25 2016-08-25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Verfahren zum Ändern der aktiven Windungszahl einer Regelwicklung in einer elektrischen Anlage und elektrische Anlage mit einer Regelwicklung
DE102015106178A1 (de) * 2015-04-22 2016-10-27 Maschinenfabrik Reinhausen Gmbh Laststufenschalter
CN114093594A (zh) * 2021-12-01 2022-02-25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有载分接开关的过渡电路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38536A1 (de) * 1967-01-11 1970-08-06 Siemens Ag Anordnung und Verfahren zur unterbrechungslosen Lastumschaltung bei Stufentransformatoren
DE2357209B1 (de) * 1973-11-16 1975-02-13 Maschinenfabrik Reinhausen Gebrueder Scheubeck Kg, 8400 Regensburg Stufenschalter für Stufentransformatoren
JPS5519866A (en) * 1978-07-28 1980-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Change-over switch for tap changers
JPS6091608A (ja) * 1983-10-26 1985-05-23 Toshiba Corp 1タツプ式負荷時タツプ切換器
JPH0453212A (ja) * 1990-06-21 1992-02-20 Toshiba Corp 負荷時タップ切換器
CN2368145Y (zh) * 1999-03-23 2000-03-08 王凤清 无过渡负载有载分接开关的切换机构
JP4354624B2 (ja) * 2000-09-13 2009-10-28 三菱電機株式会社 負荷時タップ切換変圧器
JP4136421B2 (ja) * 2002-03-29 2008-08-20 株式会社高岳製作所 負荷時タップ切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7004530A1 (de) 2007-09-06
DE102007004530B4 (de) 2015-07-02
JP4664928B2 (ja) 2011-04-06
CN101009155A (zh) 2007-08-01
KR100814514B1 (ko) 2008-03-17
CN101009155B (zh) 2010-05-19
JP2007227908A (ja)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514B1 (ko) 부하시 탭 전환 장치
CN101430966B (zh) 晶闸管直接切换有载分接开关
CN101430967B (zh) 晶闸管电阻过渡切换有载分接开关
CN109997208B (zh) 低压断路器装置
CN102208265B (zh) 一种复合切换开关式变压器有载分接开关
CN113077980A (zh) 一种用于高压输电变压器的有载分接开关及其控制方法
CN110651348B (zh) 电气dc开关***
EP0116748A1 (en) On-load tap changer
CN110518845B (zh) 变压器有载调压开关
CN114446622A (zh) 一种有载分接开关单隔离触点过渡电路及调压方法
CN115763112A (zh) 一种换流变有载调压开关对称往复过渡电路及调压方法
CN201259827Y (zh) 晶闸管电抗过渡无快速机构有载分接开关
CN115274276A (zh) 一种有载分接开关及其控制方法
WO2015044361A1 (en) Tap changer for a transformer
CN101101823B (zh) 用于电路中断设备的灭弧室
CN215680377U (zh) 一种有载分接开关单电阻过渡电路
CN215680464U (zh) 一种无转换触点的有载分接开关过渡电路
CN215680375U (zh) 一种有载分接开关单电阻对称型过渡电路
CN215680465U (zh) 一种有载分接开关双电阻对称型过渡电路
JPS6115569B2 (ko)
CN113851313A (zh) 一种有载分接开关单电阻过渡电路及调压方法
CN114446620A (zh) 一种有载分接开关双电阻往复式过渡电路及调压方法
CN201259826Y (zh) 晶闸管直接切换有载分接开关
CN101399534B (zh) 晶闸管电抗过渡无快速机构有载分接开关
JP5279120B2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