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6185A - Nozzle for cleaner - Google Patents

Nozzle fo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6185A
KR20070076185A KR1020060005270A KR20060005270A KR20070076185A KR 20070076185 A KR20070076185 A KR 20070076185A KR 1020060005270 A KR1020060005270 A KR 1020060005270A KR 20060005270 A KR20060005270 A KR 20060005270A KR 20070076185 A KR20070076185 A KR 20070076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nozzle
valve
wate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2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69274B1 (en
Inventor
서종현
박대환
황필재
양병선
김성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5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274B1/en
Publication of KR20070076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1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2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2Side rests; Side plates; Cover lids; Splash guards; Racks outside ovens, e.g. for drying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A nozzle for a cleaner is provided to suck foreign substances through a suction hole and remove the foreign substance attached to the bottom floor secondarily by a steam-contained floorcloth. A nozzle for a cleaner includes a steam generating unit, a suction passage pipe, and a pressure regulating unit(250). The steam generating unit supplies steam by heating water. The suction passage pip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unit to guide the air introduced from outside and foreign substances.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regulates the steam pressure generated in the steam generating unit. The pressure regulating unit includes an injection hole valve(152) selectively interrupting a water introduction opening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nozzle. The injection hole valve includes an inner valve(220) and an outer valve(240). The inner valve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with the injection hole valve. The outer valve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inner valve, and forms an outer appearance.

Description

청소기의 노즐 { Nozzle for Cleaner}Nozzle for Clean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노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되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외관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steam combined vacuum cleaner in whic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노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사시도.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노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부분 절개사시도.3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acuum clean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노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acuum clean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노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단면도.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노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단면도.6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vacuum clean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노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저면사시도.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no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노즐을 구성하는 투입구밸브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let valve constituting the vacuum clean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노즐을 구성하는 투입구밸브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inlet valve constituting the vacuum clean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노즐을 구성하는 투입구밸브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let valve constituting the vacuum clean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노즐을 구성하는 투입구밸브를 통해 스 팀이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11 is a use state showing a state that the steam is discharged through the inlet valve constituting the vacuum cleane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본체 60. 연장관50. Body 60. Extension tube

70. 연결호스 80. 동작핸들70. Hose 80. Handle

100. 노즐 110. 베이스팬100.Nozzle 110.Base Pan

112. 흡입구 114. 이동바퀴112. Suction port 114. Moving wheel

116. 연결관 118. 완충부재116. Connectors 118. Shock Absorbers

120. 스팀발생장치 130. 스팀케이스120. Steam generator 130. Steam case

132. 스팀베이스 134. 스팀커버132. Steam base 134. Steam cover

136. 스팀발생부 138. 물저장부136. Steam generator 138. Water reservoir

140. 히터 142. 히터지지대140. Heater 142. Heater support

144. 스팀가이드 146. 흡수필터144. Steam Guide 146. Absorption Filter

150. 물투입구 152. 투입구밸브150. Water inlet 152. Inlet valve

160. 흡입유로관 170. 판수용부160. Suction channel 170. Plate receiving part

172. 스팀안내부재 174. 스팀분출공172. Steam guide member 174. Steam jet hole

180. 걸레판 182. 걸레부착부180. Mop plate 182. Mop attachment

184. 노출구 190. 걸레184. Exposures 190. Mop

200. 외부케이스 210. 중앙커버200. Outer case 210. Center cover

212. 디스플레이부 220. 내측밸브212.Display unit 220.Inner valve

222. 부재수용홀 224. 부재가이드222. Member receiving hole 224. Member guide

230. 스팀통과홀 240. 외측밸브230. Steam passage hole 240. Outer valve

250. 압력조절수단 252. 유동부재250. Pressure regulating means 252. Flow member

254. 탄성부재254. Elastic members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의 가열에 의해 생성되는 수증기의 지나친 압력 상승을 방지하는 압력조절수단이 구비되는 청소기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zzle of a cleaner having a pressure regulating means for preventing excessive pressure rise of water vapor generated by heating of water.

청소기는 기계의 힘으로 청소를 수행하여 인간의 노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로, 흡인력을 이용한 진공청소기와 물을 분사하여 물과 공기를 동시에 흡입하는 물청소기는 물론 최근에는 스팀을 분사하여 바닥면의 이물을 제거하는 스팀청소기 등 다양한 종류가 등장하고 있다.The vacuum cleaner is a device to reduce human labor by cleaning with the power of a machine. A vacuum cleaner using suction force and a water cleaner that injects water and air at the same time by spraying water, as well as foreign matters on the floor by spraying steam recently. Various types of steam cleaners for removing oil have emerged.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된 모터의 구동을 통한 공기압력의 차이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해, 카펫이나 가구 또는 바닥에 뭍은 각종 먼지와 오물을 단시간 내에 흡입하여, 이를 소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A general vacuum cleaner is designed to inhale various dusts and dirts on the carpet, furniture or floor in a short time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through the driving of the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o remove them.

하지만,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카펫이나 가구를 사용하는 서양의 주거 문화에 적합하도록 바닥면의 먼지를 흡입하는 용도로만 고안되어 사용하는 것이어서, 가구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에 직접 신체를 접촉시켜 생활하는 우리 나라의 온돌 좌식 주거문화에는 적합하지 않아 이중으로 청소를 시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우리의 전통양식에서는 통상적으로 가구나 카펫을 깔지 않고 장판 또는 온돌을 깔게 되므로, 바닥을 청소할 때 먼지를 제거하는 것뿐만 아니라 바닥면을 물 청소하여 최종적으로 청소를 마무리하여야 하는 것이다.However, these vacuum cleaners are designed and used only to inhale dust from the floor to fit the Western residential culture using carpets or furniture, so our country lives directly on the floor without using furniture. It is not suitable for the ondol sedentary living culture, and there is a problem of double cleaning. In other words, in our traditional style, floor coverings or ondol are usually laid without furniture or carpeting. Therefore, when cleaning the floor, the floor must be cleaned by water and finally the cleaning is completed.

따라서, 1차적으로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눈에 보이는 쓰레기나 각종 오물을 제거하고, 2차적으로 수분이 함유된 걸레나 상기에서 예시한 스팀청소기로 바닥면을 닦아내어 청소를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청소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하며, 청소기를 종류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firstly, a general vacuum cleaner removes visible garbage and various dirts, and secondly, a moist-containing mop or a steam cleaner exemplified above wipes the bottom surface to perform clean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s quite cumbersome, there is a problem that must be provided by the type of cleaner.

또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노즐에 내장시켜 스팀에 의해 청소가 진행되도록 하는 스팀청소기가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스팀청소기에서는 스팀의 증기압이 상승하는 경우에 내부의 압력 증가로 인해 제품이 파손(폭발)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team cleaners, in which steam is generated by heating water and built in a nozzle, are installed in a nozzle to be cleaned by steam in recent years, but in these steam cleaners, when the steam pressure of steam rises, the internal pressure incre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 is broken (exploded) due to the increase.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청소 및 스팀청소를 동시에 수행 가능한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is to provide a nozzle of a cleaner that can perform vacuum cleaning and steam cleaning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팀의 증기압을 조절 가능한 압력조절수단이 구비되는 청소기의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ozzle of a cleaner provided with a pressure regulating means capable of adjusting the steam pressure of stea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노즐은,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이 안내되는 흡입유로관과; 상기 스팀 발생장치에서 발생되는 증기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zzle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steam generator for supplying water vapor by heating water; 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device, and the suction flow passage that guides the air and foreign mat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a pressure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steam pressure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스팀의 압력증가로 인한 피해가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amage caused by the pressure increase of the steam is prevent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노즐은 청소기의 종류와 명칭을 불문하고, 다양한 타입의 청소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vacuum cleaners regardless of the type and name of the vacuum cleaner. Howev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given by taking a case where it is applied to a steam combined vacuum cleaner as an example.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노즐이 채용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steam cleaner employing a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50)와,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장관(60)과, 상기 연장관(60)과 연결되어 공기와 이물을 안내하는 신축성 재질의 연결호스(70)와,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공기와 이물의 흡입을 안내하는 노즐(100) 등으로 구성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50 in which a plurality of parts are built, an extension pipe 60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and an extension pipe 60 connected to air and foreign matter. The connecting hose 70 of the elastic material for guiding, and the nozzle 100 for guiding the suction of air and foreign matter while moving in a state close to the bottom surfac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노즐(100)과 본체(50)는 이격되어 있으며, 이러한 노즐(100)과 본체(50) 사이에는 상기 연장관(60)과 연결호스(70) 등이 구비되어 공기와 이물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연장관(60)의 일단(선단)은 상기 노즐(100)과 연결되고, 상기 본체(50)의 선단부에는 상기 연결호스(70)의 일단(후단)이 결합된다.In more detail, the nozzle 100 and the main body 50 are spaced apart, and the extension pipe 60 and the connection hose 70 are provided between the nozzle 100 and the main body 50 to provide air and foreign matter. Will guide the flow. That is, one end (front end) of the extension pipe 60 is connected to the nozzle 100, and one end (back end) of the connection hose 70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50.

상기 연장관(60)의 다른 일단(후단)에는 동작핸들(80)이 구비된다. 상기 동작핸들(80)은 사용자가 청소작업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동작핸들(8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82)가 형성된다. The other end (rear end) of the extension pipe 60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handle (80). The operation handle 80 is a part for the user to easily grip the cleaning operation, the front of the operation handle 80 is formed with an operation unit 82 to enable the user to operate the vacuum cleaner.

따라서 사용자는 한손으로 상기 동작핸들(8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82)를 조작하여 청소기의 동작여부와 청소기의 강약 또는 아래에서 설명할 스팀발생장치(120)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user manipulates the operation unit 82 while holding the operation handle 80 with one hand to turn on / off the operation of the cleaner and the strength or weakness of the vacuum cleaner 120 to be described below. (off) can be controlled.

상기 본체(5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와, 공기 중의 이물이 필터링되어 쌓이는 집진유니트(52) 등의 다수 부품이 설치된다. The main body 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arts such as a motor assembly (not shown) that rotates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suction force, and a dust collecting unit 52 in which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re filtered and stacked.

따라서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어 흡인력이 발생하면, 상기 노즐(100)을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어 상기 연장관(60) 및 연결호스(70) 등을 경유하여 상기 본체(50)로 유입되며, 상기 본체(50)로 유입된 이물은 상기 집진유니트(52) 내부에 구비된 필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걸러져 집진유니트(52) 내부에 쌓이게 된다.Therefore,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external air and foreign matter are sucked through the nozzle 100 and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50 via the extension pipe 60 and the connection hose 70. The foreign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50 is filtered by a filter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unit 52 and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52.

도 2 내지 도 7에는 상기 노즐(100)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와 도 3에는 상기 노즐(100)의 외관사시도 및 부분 절개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노즐(1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과 도 6에는 노즐(100)의 측단면 및 정단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노즐(100)의 저면이 도시되어 있다.2 to 7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nozzle 100 in detail. That is, FIGS. 2 and 3 show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nozzle 100, respectively, and FIG.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nozzle 100. 5 and 6 illustrate side and front cross-sections of the nozzle 100, respectively, and FIG. 7 illustra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100.

상기 노즐(100)은 바닥면의 이물이 공기와 함께 상기 본체(50) 내부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팬(110)과, 상기 베이스팬(1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외부케이스(200)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The nozzle 100 guides the foreign material of the bottom surface to be sucked into the main body 50 together with the air, and the base fan 110 forming the bottom surface as shown, and the base fan 110 of the base fan 110. The overall appearance is formed by the outer case 200 coupled to the upper side.

상기 베이스팬(110)은 사각형상을 가지며, 선단 중앙부에는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유입되는 흡입구(112)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흡입구(112)를 통해 상기 베이스팬(110) 하측의 공기와 이물이 베이스팬(11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base fan 110 has a quadrangular shape, and a suction port 112 through which external air and foreign matter flows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distal end up and down. That is, the air and the foreign matter under the base fan 110 are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se fan 110 through the suction port 112.

상기 베이스팬(110)의 후단에는 이동바퀴(114)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퀴(114)는 상기 노즐(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로 한 쌍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110)의 선단 좌우에는 한 쌍의 보조바퀴(114')가 설치되어 노즐(100)의 이동을 돕는다.A rear wheel 114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base fan 110. The moving wheel 114 is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nozzle 100, a pair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A pair of auxiliary wheels 114 ′ are installed at left and right ends of the base pan 110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nozzle 100.

상기 베이스팬(110)의 중앙부 후단에는 연결관(116)이 후방으로 연결 설치된다. 상기 연결관(116)은 상기 연장관(60)과 상기 노즐(100)이 결합되도록 가이드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116)의 선단은 상기 노즐(100)의 후단과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연장관(60)의 선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116)은 원통 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노즐(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이물을 상기 연장관(60)으로 안내한다. The rear end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fan 1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ipe 116 is installed. The connecting pipe 116 guides the extension pipe 60 and the nozzle 100 to be coupled. Therefore,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pipe 116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nozzle 100, the rear end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f the extension pipe (60). In addition, the connecting pipe 116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guides the air and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nozzle 100 to the extension pipe (60).

그리고 상기 베이스팬(110) 테두리에는 완충부재(118)가 부착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팬(110)의 전면과 좌우 측면에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 로 이루어지는 완충부재(118)가 부착 설치된다. 이러한 완충부재(118)는 상기 노즐(100)이 벽면 등과 같은 외부 물체와 충돌할 경우에 노즐(100)의 파손을 방지하고 충격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The buffer member 118 is attached to the edge of the base pan 110. More specifically, the shock absorbing member 118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is attached to the front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pan 110. The buffer member 118 serves to prevent damage to the nozzle 100 and to mitigate an impact when the nozzle 100 collides with an external object such as a wall surface.

상기 노즐(100)의 내부에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20)가 구비된다.Inside the nozzle 100, a steam generator 120 is provided to heat water to supply water vapor.

상기 스팀발생장치(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케이스(130)에 의해 대략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스팀케이스(130)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스팀베이스(132)와, 상기 스팀베이스(132)의 상측에 결합되는 스팀커버(13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베이스(132)와 스팀커버(134)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The steam generator 120 has a rough appearance is formed by the steam case 130 as shown. The steam case 130 includes a steam base 132 formed of a flat plate and a steam cover 134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steam base 132. Therefore,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team base 132 and the steam cover 134.

상기 스팀베이스(132)와 스팀커버(134) 사이의 공간에는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형성하는 스팀발생부(136)와, 상기 스팀발생부(136)로 물을 공급하는 물저장부(138)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팀베이스(132)와 스팀커버(134) 사이의 공간은 좌우로 구획되어 상대적으로 좌측에는 스팀발생부(136)가 형성되고, 우측에는 물저장부(138)가 형성된다. In the space between the steam base 132 and the steam cover 134, a steam generator 136 for heating water to form water vapor, and water storag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136 A portion 138 is formed. That is, the space between the steam base 132 and the steam cover 134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and the steam generator 136 is formed on the left side and the water storage unit 138 is formed on the right side.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스팀발생부(136)는 상기 노즐(100)의 좌측단 부근에 전후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물저장부(138)는 상기 노즐(10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이러한 스팀발생부(136)와 물저장부(138)는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Looking in more detail, the steam generator 136 is formed long before and after the left end of the nozzle 100, the water storage unit 138 is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nozzle 100 The steam generator 136 and the water storage unit 138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부(136)는 전후 길이가 상기 물저장부(138)의 길이보다 크며, 좌우 길이는 상기 물저장부(138)의 길이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스팀발 생부(136)의 높이는 상기 물저장부(138)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스팀발생부(136)에는 수증기(水蒸氣)가 형성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140)도 수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Accordingly, the steam generator 136 has a front and rear length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water storage unit 138, and the left and right lengths ar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water storage unit 138. 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team generating unit 136 is formed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water storage unit 138. This is because the steam generating unit 136 should be provided with a sufficient space for the formation of water vapor (水蒸氣), and also to accommodate the heater 14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스팀발생부(136)에는 히터(140)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14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함으로써,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물을 증기로 변환시킨다. 상기 히터(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상방에서 볼 때)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team generator 136 is provided with a heater 140. The heater 140 generates heat by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hereby converting the water of the steam generator 136 into steam. The heater 140 is preferably formed in a 'U' shape (viewed from above) as shown.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후단부에는 히터지지대(142)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지지대(142)는 상기 스팀베이스(13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히터(140)의 양단을 고정 지지한다.A heater support 142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steam generator 136. The heater support 142 protrudes upward from the steam base 132 to fix and support both ends of the heater 140.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중앙 부근에는 스팀가이드(144)가 형성된다. 상기 스팀가이드(144)는 상기 스팀베이스(132)로부터 상방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중공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수증기(水蒸氣)가 이동된다. 즉, 상기 스팀발생부(136)에서 형성된 수증기(水蒸氣)가 상기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상기 스팀베이스(132)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A steam guide 144 is formed near the center of the steam generator 136. The steam guide 144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steam base 132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comprises a hollow shaft having a flow path therein. Therefore, steam is moved through the steam guide 144. That is, water vapor formed in the steam generator 136 is moved below the steam base 132 through the steam guide 144.

한편,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바닥에는 흡수필터(146)가 구비된다. 상기 흡수필터(146)는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바닥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히터(140)의 하측에 위치된다.Meanwhile, an absorption filter 146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team generator 136. The absorption filter 146 is preferably formed in a square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ize of the steam generating unit 136, it is located below the heater 14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흡수필터(146)의 하면은 상기 스팀베이스(132)에 접 하고, 상면은 상기 히터(140)에 접한다. 그리고 이러한 흡수필터(146)는 물을 용이하게 흡수하고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수필터(146)는 마치 스펀지(sponge)와 같이 물기를 머금을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히터(140)와 접한 상태에서도 연소되지 않는 내열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석면(石綿)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More specifically, the lower surface of the absorption filter 146 is in contact with the steam base 132, and the upper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heater 140. In addition, the absorption filter 146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that easily absorbs water and has high heat resistance. That is, the absorption filter 146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holding water, such as a sponge,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heat resistance that does not burn even in contact with the heater 140. For example, it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sbestos.

따라서 스팀발생부(136)는 물론 상기 물저장부(138)의 물이 상기 흡수필터(146) 내부로 흡수된다. 즉, 상기 물저장부(138)의 물도 상기 스팀발생부(136)로 이동하여 흡수필터(146)에 스며든다. 그리고, 이러한 흡수필터(146)에 흡수된 수분은 상기 히터(140)에 의해 가열되어 증발함으로써 수증기(水蒸氣)로 변환된다.Accordingly,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unit 138 as well as the steam generator 136 is absorbed into the absorption filter 146. That is, the water of the water storage unit 138 also moves to the steam generator 136 to seep into the absorption filter 146. The moisture absorbed by the absorption filter 146 is converted into water vapor by heating and evaporating by the heater 140.

상기 스팀커버(134)는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커버(134)는 상기 스팀발생부(136)의 상측을 덮는 스팀부커버(134')와, 상기 물저장부(138)의 상측을 덮는 저장부커버(134")로 나누어지는데, 좌측의 상기 스팀부커버(134')와 우측의 저장부커버(134")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스팀부커버(134')의 높이가 저장부커버(134")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크다.The steam cover 134 is formed stepped. That is, as shown, the steam cover 134 includes a steam cover 134 ′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steam generator 136 and a storage cover 134 ″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water storage 138. The steam cover 134 ′ on the left side and the storage cover 134 ″ on the right side are formed stepwise so that the height of the steam cover 134 ′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torage cover 134 ″. As big as.

상기 스팀커버(134)에는 물투입구(15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스팀커버(134)의 우측단에는 상하로 관통된 물투입구(15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물투입구(150)는 물이 투입되는 부분으로 상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물투입구(150)의 내측에는 나사면이 형성된다.The water inlet 150 is formed in the steam cover 134. That is, a water inlet 150 penetrates up and down is formed at the right end of the steam cover 134. The water inlet 150 protrudes a predetermined portion upward as a portion into which water is input. And a screw surface is formed inside the water inlet 150.

그리고 상기 물투입구(150)는 투입구밸브(15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나사면이 형성된 원형의 투입구밸브(152)가 상기 물 투입구(150)에 나사결합되면, 상기 물투입구(150)가 차폐된다.The water inlet 15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inlet valve 152. That is, as shown, when the inlet valve 152 of the circular threaded surface formed on the bottom screwed to the water inlet 150, the water inlet 150 is shielded.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의 물저장부(138) 상측에는 흡입유로관(16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스팀커버(134)의 저장부커버(134") 상측에는 흡입유로관(160)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흡입유로관(160)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을 상기 노즐(100)의 후방으로 안내한다.The suction flow passage 160 is installed above the water storage unit 138 of the steam generator 120. That is, the suction flow channel 160 is installed above the storage cover 134 ″ of the steam cover 134. The suction flow channel 160 is configured to move air and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to the rear of the nozzle 100. To guide.

상기 흡입유로관(160)은 상기 노즐(100)의 중앙부를 전후로 가로질러 설치되며, 선단은 상기 흡입구(112)와 결합된다. 즉, 상기 흡입유로관(160)의 선단은 하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흡입구(112)의 상단과 결합된다.The suction channel 160 is installed across the center of the nozzle 100 back and forth, the front end is coupled to the suction port 112.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suction flow pipe 160 is vertically bent downward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ort 112.

상기 베이스팬(110)의 하부에는 사각형상의 판수용부(170)가 상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판수용부(170)에는 아래에서 설명한 걸레판(180)이 수용되는 부분이며, 이러한 판수용부(170)는 아래에서 설명할 걸레판(180)이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하도록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pan 110 is formed such that the rectangular plate receiving portion 170 is recessed upward.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is a part in which the mop plate 180 described below is accommodated, and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so that the mop plate 180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attached by magnetic force. This is preferred.

상기 판수용부(170)의 중앙부에는 스팀안내부재(172)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내부에는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상기 베이스팬(110)의 하측으로 이동한 수증기(水蒸氣)가 좌우로 분산되어 퍼지도록 안내한다.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receiving portion 170, the steam guide member 172 is formed long left and right. A flow path is formed inside the steam guide member 172 to guide the water vapor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base fan 110 through the steam guide 144 to be distributed to the left and right.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하면에는 다수의 스팀분출공(17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에 의해 안내되는 수증기(水蒸氣)가 상기 스팀분출공(174)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steam guide member 172, a plurality of steam jet holes 174 are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Therefore, water vapor guided by the steam guide member 172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steam jet hole 174.

상기 판수용부(170)에는 사각평판 형상의 걸레판(180)이 장착된다. 상기 걸 레판(180)은 걸레(190)가 부착되는 판으로, 저면에는 걸레(190)를 부착하기 위한 걸레부착부(182)가 형성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레판(180)의 저면의 전반부와 후반부에는 좌우로 길게 걸레부착부(182)가 각각 구비된다.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is equipped with a square plate-shaped mop plate 180. The mop plate 180 is a plate to which the mop 190 is attached, and a mop attachment part 182 for attaching the mop 190 is formed at a bottom thereof. 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first and second half portion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op plate 180 are provided with mop attachment parts 182 extending from side to side.

상기 걸레부착부(182)는 일명 벨크로(velcro) 또는 '찍찍이'라고도 불리는 매직 테이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걸레부착부(182)와 대응되는 벨크로(velcro)가 상면에 형성된 걸레(190)가 상기 걸레판(180)의 저면에 부착된다.The mop attaching portion 182 is preferably made of Velcro, or magic tape, also referred to as 'sticky'.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a mop 190 having a velcro corresponding to the mop attaching part 182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op plate 180.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걸레판(180)의 내부에는 좌우로 길게 영구자석이 설치된다. 이러한 영구자석은 상기 걸레판(180)이 상기 판수용부(170)에 용이하게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판수용부(17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걸레판(180)에는 영구자석이 내장되므로, 상기 걸레판(180)을 상기 판수용부(170) 근처로 가져가면 상기 걸레판(180)이 저절로 상기 판수용부(170)에 부착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permanent magnet is installed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interior of the mop plate 180. This permanent magnet is for the mop plate 180 to be easily attached to the plate receiving portion 170. That is,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since the permanent magnet is embedded in the mop plate 180, the mop plate 180 is brought to the vicinity of the plate accommodating part 170. 180 is spontaneously attached to the plate receiving portion 170.

상기 걸레판(180)의 중앙부에는 노출구(184)가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즉, 상기 걸레판(180)의 중앙부에는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좌우길이와 대응되는 크기의 노출구(184)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노출구(184)를 통해 상기 스팀안내부재(172)의 저면이 상기 걸레판(180) 하부로 노출된다.In the center portion of the mop plate 180, the exposure port 184 is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That is, the exposed portion 184 of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length of the steam guide member 172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p plate 180 long to the left and right. Therefore,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am guide member 172 is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p plate 180 through the exposure opening 184.

상기 외부케이스(200)는 상기 노즐(100)의 전후는 물론 좌우와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팬(110)과 결합된다.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우측단 부근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가 안착되는 밸브안착부(202)가 하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밸브안착부(202)의 중앙부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의 하단부가 관통하는 밸브관통공(20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The outer case 200 is coupled to the base fan 110 to form the front and rear,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and the top appearance of the nozzle 100. Near the right end of the outer case 200, the valve seat 202 on which the inlet valve 152 is seated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In addition, a valve through hole 204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inlet valve 152 penetrate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valve seat 202.

상기 외부케이스(200)의 중앙부에는 전후로 가로질러 중앙커버(21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중앙커버(210)에는 디스플레이부(212)가 더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12)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의 작동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로 전원의 공급 여부와 물부족(물 보충) 여부를 표시한다.A central cover 210 is further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case 200 to cross the front and rear sides.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212 is further formed on the central cover 210. The display unit 212 serves to display the operation state of the steam generator 120 to the outside, and mainly displays whether power is supplied and whether water is insufficient (water replenishment).

도 8 내지 도 10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의 구성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8 to 10 show the configuration of the inlet valve 152 in more detail. That is, FIG. 8 illustrates an appearance of the inlet valve 152,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let valve 152.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let valve 152.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밸브(152)는, 상기 물투입구(15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내측밸브(220)와, 상기 내측밸브(2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밸브(240) 등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inlet valve 152, the inner valve 220 is inserted into the water inlet 150 and fastened, the outer sid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valve 220 to form an appearance Valve 240 or the like.

상기 내측밸브(220)의 내부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공간인 부재수용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부재수용홈(22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유동부재(252)가 수용되어 상하로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부재수용홈(222)의 중앙부에는 부재가이드(224)가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부재가이드(224)는 상기 부재수용홈(222)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아래에서 설명할 유동부재(25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부재가이드(224)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체결가이드(244)가 삽입되어 수용된다.Inside the inner valve 220 is formed a member receiving groove 222 which is a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he member accommodating groove 222 accommodates the flow member 252 to be described below to flow up and down. In addition, the member guide 224 is formed up and dow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ember accommodating groove 222. The member guide 224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member receiving groove 222,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flow member 252 to be described below. Inside the member guide 224, a fastening guide 244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상기 내측밸브(220)의 중앙 부분에는 밸브베리어(226)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베리어(226)는 상기 내측밸브(220) 내측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것으로, 상측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부재수용홈(222)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스팀유동홀(228)이 형성된다. A valve barrier 226 is form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valve 220. The valve barrier 226 divides the space inside the inner valve 220 up and down, and the member receiving groove 222 described abov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steam flow hole 228 is formed on the lower side.

상기 밸브베리어(226)에는 스팀통과홀(23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스팀통과홀(230)은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에서 발생 된 스팀(수증기)이 상기 스팀유동홀(228)을 경유하여 상기 밸브베리어(226)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상기 스팀통과홀(230)은 아래에서 설명할 유동부재(25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하나 또는 다수개의 홀(hole)로 이루어진다.The valve barrier 226 is formed with a steam passage hole 230 penetrates up and down. The steam passage hole 230 guides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120 to move upward of the valve barrier 226 via the steam flow hole 228. The steam passage hole 230 is selectively shielded by the flow member 252 to be described below, and consists of one or a plurality of holes.

상기 내측밸브(220)의 외주면에는 상기 물투입구(150)와 나사 결합되도록 하는 나사산(232)이 나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밸브(220)의 상단에 형성되는 테두리부(234)에는 토출홈(236)이 형성된다. 즉, 상기 테두리부(234)의 전후 좌우에는 모두 4개의 토출홈(236)이 형성되며, 이러한 토출홈(236)은 상기 스팀통과홀(230)을 통과하여 상기 밸브베리어(226) 상측으로 이동한 스팀(수증기)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부분이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valve 220, a screw thread 232 is formed in a spiral direction to be screwed to the water inlet 150. A discharge groove 236 is formed in the edge portion 234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valve 220. That is, four discharge grooves 236 are formed o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dge portion 234, and the discharge grooves 236 move upwardly through the valve barrier 226 through the steam passage hole 230. It is the part that guides the discharge of steam.

상기 테두리부(234)에는 다수의 고정돌기(238)가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238)는 아래에서 설명할 외측밸브(240)의 돌기수용부(242)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측밸브(220)와 외측밸브(240)의 결합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238 are further formed at the edge portion 234. The fixing protrusion 238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242 of the outer valve 240 to be described below to facilitate the coupling of the inner valve 220 and the outer valve 240.

상기 외측밸브(24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기수용부(24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기수용부(242)의 내부에는 상기 내측밸브(220)의 고정돌기(238) 가 수용되는 다수의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valve 240, a plurality of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s 242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 A plurality of groove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protrusion accommodating part 242 to accommodate the fixing protrusion 238 of the inner valve 220.

상기 외측밸브(240)의 저면 중앙부에는 체결가이드(244)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체결가이드(244)는 상기 내측밸브(220)의 부재가이드(224)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체결볼트(246)가 체결되는 체결볼트홈(244')이 형성된다. The fastening guide 244 is protrude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valve 240. The fastening guide 244 is inserted into the member guide 224 of the inner valve 220, and a fastening bolt groove 244 'to which the fastening bolt 246 is fastened is formed.

상기 투입구밸브(152)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에서 발생되는 증기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250)이 더 구비된다. 즉, 상기 내측밸브(220)와 외측밸브(240) 사이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에 의해 발생된 스팀(수증기)의 압력이 증대되는 경우에, 이러한 스팀(수증기)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압력조절수단(250)이 구비된다.The inlet valve 152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essure regulating means 250 for adjusting the steam pressure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ing device 120. That is, when the pressure of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120 is increased between the inner valve 220 and the outer valve 240, a part of the steam (water vapo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Pressure control means 250 to be provided is provided.

상기 압력조절수단(250)은, 상기 스팀발생장치(120) 내부의 증기압에 따라 유동되도록 설치되는 유동부재(252)와, 상기 유동부재(252)의 이동을 저지하는 탄성부재(254) 등으로 구성된다.The pressure regulating means 250 is a flow member 252 is installed to flow in accordance with the steam pressure in the steam generator 120, and an elastic member 254, etc.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flow member 252 It is composed.

상기 유동부재(2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며,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동부재(252)는 상기 부재수용홈(222)에 수용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부재(252)의 저면은 상기 밸브베리어(226)의 상면과 접하여 상기 밸브베리어(226)에 형성된 스팀통과홀(230)을 차폐하게 된다.As illustrated, the flow member 252 has an annular annular shape and is made of a heat resistant material. The flow member 252 is accommodated in the member receiving groove 222. Accordingly, as shown in FIG. 9,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 member 252 is in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valve barrier 226 to shield the steam passage hole 230 formed in the valve barrier 226.

상기 유동부재(252)의 상면에는 지지홈(252')이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252')은 상기 탄성부재(254)의 하단과 대응되는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재(254)의 하단이 수용되는 부분이다.A support groove 252 ′ is recessed downward in an upper surface of the flow member 252. The support groove 252 ′ is formed in a ring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254, and is a portion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254 is accommodated.

상기 탄성부재(254)는 상기 유동부재(252)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동부재(252)의 상방 이동을 저지하는 것으로,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254)의 하단이 상기 지지홈(25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elastic member 254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flow member 252, to block the upward movement of the flow member 252, preferably made of a compression spring. Therefore,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254 made of such a compression spring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252 'and fixed.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노즐 및 이러한 노즐이 채용된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작용을 살펴본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nozzl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d the steam combined vacuum cleaner employing the nozzle will be described.

먼저 사용자는 상기 투입구밸브(152)를 회전시켜 상기 물투입구(150)를 개방시킨 다음, 상기 물투입구(150)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물저장부(138)에 적당량의 물이 수용되면, 다시 상기 투입구밸브(152)를 이용하여 상기 물투입구(150)를 차폐한다.First, the user opens the water inlet 150 by rotating the inlet valve 152, and then supplies wat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inlet 150. And when the appropriate amount of water is accommodated in the water storage unit 138, the water inlet 150 is shielded again by using the inlet valve 152.

다음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시키면, 이러한 전원은 상기 본체(50) 및 상기 노즐(100)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50)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가 회전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Next, when power is applied from the outside, such power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50 and the nozzle 100. Therefore, a motor assembly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50 rotates to generate a suction force.

이렇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즐(100)의 흡입구(112)를 통해 외부의 이물이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상기 흡입유로관(160)을 통과하여 상기 연장관(60) 및 연결호스(70)를 거쳐 상기 본체(5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5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은 상기 집진유니트(52) 내부에 구비된 필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걸러져 집진되고, 이물이 필터링된 공기는 모터조립체(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5, foreign matter is sucked with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112 of the nozzle 100 and passes through the suction flow channel 160 to extend the extension pipe 60 and the connection hose. It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50 through the 70.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50 is collected by the filter assembly (not shown)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ng unit 52, the foreign matter filtered air is the motor assembly (not shown) It is discharged to outside.

한편,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스팀발생장치(120)가 작동한 다. 즉 외부의 전원이 상기 히터(140)로 공급되어 히터(140)가 가열된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물투입구(150)를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물저장부(138)에 물이 공급된 상태이며, 상기 흡수필터(146)에는 이러한 물이 충분히 흡수되어 있는 상태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eam generator 120 is operated by the power applied from the outside. That is, external power is supplied to the heater 140 to heat the heater 140. Of course, at this time,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unit 138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inlet 150, and the water absorbing filter 146 is sufficiently absorbed.

따라서 상기 히터(140)가 가열되면, 이러한 히터(140)와 접하고 있는 상기 흡수필터(146)에 흡수되어 있는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水蒸氣)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히터(140)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열되는 물은 상기 스팀케이스(130) 내부에 저장된 전체의 물이 아니라, 상기 흡수필터(146)에 흡수된 상기 히터(140)의 주변에 있는 물이 된다. Therefore, when the heater 140 is heated, the water absorbed by the absorption filter 146 in contact with the heater 140 is heated to form water vapor. In this case, the water heated by the heater 140 is not water in the whole stored in the steam case 130, but water around the heater 140 absorbed by the absorption filter 146.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히터(140)의 저면은 상기 흡수필터(146)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히터(140)가 가열되면 상기 히터(140) 주변에 위치한 물, 즉 상기 흡수필터(146)에 함유된 물이 우선적으로 가열되어 수증기(水蒸氣)로 전환된다. 따라서, 빠른 시간(실험에 의하면, 약 10~20초 이내)내에 물이 증발되어 스팀화된다.More specifically, since the bottom of the heater 14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bsorption filter 146, when the heater 140 is heated, water located around the heater 140, that is, the absorption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lter 146 is preferentially heated and converted to water vapor. Therefore, water evaporates and vaporizes within a short time (by experiment, within about 10 to 20 seconds).

상기 히터(140)에 의해 생성된 수증기(水蒸氣)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가이드(144)를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팀안내부재(172)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스팀안내부재(172)는 좌우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팀안내부재(172) 내부의 수증기(水蒸氣)는 좌우로 분산되어 상기 다수의 스팀분출공(174)을 통해 하측으로 배출된다.The water vapor generated by the heater 140 moves downward through the steam guide 144 and flows into the steam guide member 172 as shown in FIG. 6. At this time, since the steam guide member 172 is formed long to the left and right, the water vapor in the steam guide member 172 is distributed to the left and right and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plurality of steam jet holes 174. .

상기 스팀분출공(17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수증기(水蒸氣)는 상기 걸레(190)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걸레(190)는 고온의 수증기(水蒸氣)를 함유하 여 물걸레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바닥면을 닦게 되면, 바닥면에 부착된 이물이 상기 걸레(190)에 의해 쉽게 분리되어 제거된다.Water vapor (水蒸氣)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eam jet hole 174 is introduced into the mop 190. Therefore, the mop 190 contains hot steam and becomes a mop. When the bottom surface is cleaned in this stat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is easily separated and removed by the mop 190. .

그리고,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에서 발생되는 스팀(수증기)의 양이 증가하여 노즐(100) 내부의 증기압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스팀의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작용은 상기 압력조절수단(250)에 의해 이루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steam (water vapor)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120 is increased and the steam pressure inside the nozzle 100 is increased to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a part of stea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made by the adjusting means 250.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에서 발생되는 스팀의 양이 증가하면, 상기 밸브베리어(226) 하측의 스팀유동홀(228) 내부의 스팀(수증기) 압력이 증대된다. In more detail, when the amount of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120 increases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Is increased.

따라서, 이러한 스팀(수증기)의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254)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면, 상기 유동부재(252)는 상기 스팀유동홀(228) 내부의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부상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유동부재(252)의 저면과 상기 밸브베리어(226)의 상면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스팀통과홀(230)은 개방된다.Therefore, when the pressure of the steam (water vapor)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54, the flow member 252 rises upward by the pressure inside the steam flow hole 228. In this cas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flow member 252 and the top surface of the valve barrier 226, and the steam passage hole 230 is opened.

상기 스팀통과홀(230)이 개방되어 스팀(수증기)이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11, the steam passage hole 230 is opened and steam (water vapo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스팀통과홀(230)의 개방에 의해 상기 스팀유동홀(228) 내부의 스팀(수증기)은 스팀통과홀(230)을 통해 상기 밸브베리어(226)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밸브베리어(226) 상측으로 이동된 스팀(수증기)은 상기 부재수용홈(222)의 상측으로 안내되어, 상기 다수의 토출홈(236)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Looking in more detail, the steam (vapor) inside the steam flow hole 228 by the opening of the steam passage hole 230 is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valve barrier 226 through the steam passage hole 230, The steam (vapor) moved upwards of the valve barrier 226 is guided to the upper side of the member receiving groove 222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grooves 236.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노즐(100) 내부의 스팀(수증기)이 외부로 배 출되면, 상기 노즐(100) 내부의 스팀(수증기) 압력은 감소하게 되고, 이러한 스팀의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254)의 탄성력보다 작아지면, 상기 유동부재(252)는 다시 상기 스팀통과홀(230)을 차단하게 된다.When the steam (water vapor) inside the nozzle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above process, the steam (water vapor) pressure inside the nozzle 100 is reduced, the pressure of the steam is the elastic member ( When less than the elastic force of 254, the flow member 252 again blocks the steam passage hole 230.

즉,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팀유동홀(228) 내부의 스팀(수증기) 압력이 감소되면, 상기 유동부재(252)는 다시 상기 탄성부재(254)의 힘과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 9와 같이 원위치하여 상기 스팀유동홀(228)을 막게 된다. 이렇게 되면, 다시 스팀(수증기)의 외부 배출이 차단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team (water vapor) pressure inside the steam flow hole 228 is reduced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1, the flow member 252 again moves downward by the force and the load of the elastic member 254. 9, the steam flow hole 228 is blocked by the original position as shown in FIG. 9. In this case, the external discharge of steam (water vapor) is again blocked.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의 노즐에서는, 이물을 흡입하는 동시에 스팀을 분사하여 바닥면에 부착된 이물을 걸레로 닦아낸다. 즉 노즐의 선단부에는 이물이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되고, 그 후측에는 걸레가 장착됨과 동시에 이러한 걸레에 스팀이 분사된다.In the nozzle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reign material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is wiped off with a mop while at the same time sucking the foreign material. That is, a suction port through which foreign matter is sucked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nozzle, and at the same time as the mop is mounted, steam is injected into the mop.

따라서, 사용자가 노즐을 전방으로 밀면서 청소작업을 하는 경우에 먼저 흡입구를 통해 이물이 흡입되어 제거되고, 바닥면에 부착된 이물은 2차적으로 스팀이함유된 걸레에 의해 제거되므로 한 번의 동작에 의해 진공청소 및 물걸레 청소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performs cleaning while pushing the nozzle forward, foreign matter is first sucked in and removed through the suction port, and the foreign matter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is removed by a mop containing steam secondaryly. Vacuum cleaning and mop cleaning is effected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에서는 노즐 내부에 압력조절수단이 구비되어 노즐 내부의 압 력이 증대되는 경우에는 스팀의 일부가 물투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노즐 내부의 스팀(수증기) 압력이 적절하게 유지되므로, 내부 압력 상승에 의한 노즐의 파손(폭발)이 방지되는 한편, 부품 사이의 틈새로 갑자기 누설되는 스팀(수증기)에 의한 안전사고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adjusting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nozzle, and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nozzle is increased, a part of steam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inlet. Therefore, since the steam (water vapor) pressure inside the nozzle is properly maintained, the breakage (explosion) of the nozzle due to the internal pressure rise is prevented, and the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steam (water vapor) suddenly leaking into the gap between the parts is reduced. It works.

Claims (7)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水蒸氣)를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120)와;A steam generator (120) for heating water and supplying water vapor;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이 안내되는 흡입유로관(160)과;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team generating device 120, the suction flow path pipe 160 to guide the air and foreign matte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에서 발생되는 증기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수단(25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cleaner having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pressure control means for regulating the steam pressure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1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250)은,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ure adjusting means 250, 노즐 내부로 물이 투입되는 물투입구(15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투입구밸브(152)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inlet valve (152) for selectively shielding the water inlet (150) for introducing water into the nozz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250)은,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ressure adjusting means 250, 상기 스팀발생장치(120) 내부의 증기압에 따라 유동되도록 설치되는 유동부재(252)와;A flow member 252 installed to flow according to the steam pressure inside the steam generator 120; 상기 유동부재(252)의 일측에 구비되어, 유동부재(252)의 이동을 저지하는 탄성부재(25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low member 252, the elastic member (254) for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flow member 252; nozzle of the cleaner having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밸브(152)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let valve 152, 상기 물투입구(15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내측밸브(220)와;An inner valve 220 inserted into the water inlet 150 and fastened; 상기 내측밸브(2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밸브(2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valve 220, the outer valve to form an appearan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밸브(220)의 내부에는 상기 스팀발생장치(120)에서 발생되는 스팀의 이동을 안내하는 스팀통과홀(230)이 형성되며, 상기 스팀통과홀(230)은 상기 유동부재(252)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steam passage hole 23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team generated by the steam generator 120 is formed in the inner valve 220, and the steam passage hole 230 is formed in the inner valve 220. Nozzl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selectively shielded by the flow member (25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밸브(220)의 상단부에는 상기 스팀통과홀(230)을 통과한 스팀을 외부로 안내하는 토출홈(23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nozzle of claim 5, wherein a discharge groove 236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inner valve 220 to guide the steam passing through the steam passage hole 230 to the outside.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상기 유동부재(252)는 내열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The flow member 252 is made of a heat resistant material, 상기 탄성부재(254)는 압축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의 노즐.The elastic member 254 is a nozzle of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ion spring.
KR1020060005270A 2006-01-18 2006-01-18 Nozzle for Cleaner KR1012692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270A KR101269274B1 (en) 2006-01-18 2006-01-18 Nozzle fo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5270A KR101269274B1 (en) 2006-01-18 2006-01-18 Nozzle for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185A true KR20070076185A (en) 2007-07-24
KR101269274B1 KR101269274B1 (en) 2013-06-04

Family

ID=3850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270A KR101269274B1 (en) 2006-01-18 2006-01-18 Nozzle fo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27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4635A (en) * 2020-08-10 2020-11-03 黄芳健 Multi-pipeline wool conveying device based on negative suction pressuriz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61B1 (en) * 1993-06-22 1995-06-14 주식회사엘지전자 Steam sprayer controller for vacuum cleaner
JPH1043099A (en) * 1996-08-06 1998-02-17 Tec Corp Suction port body for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30078508A (en) * 2002-03-30 2003-10-08 정병기 A steam vacuum cleaner having function of washing a water tank automatically and the methods for generating steam and washing a water tank using the steam vacuum cleaner
KR200317976Y1 (en) * 2003-03-26 2003-06-27 주식회사 세호무역 Safety valve for steam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4635A (en) * 2020-08-10 2020-11-03 黄芳健 Multi-pipeline wool conveying device based on negative suction pressur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9274B1 (en)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4475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apable of being converted to canister type
AU2004202941B2 (en) Complex type cleaner
KR100928162B1 (en) Nozzle of cleaner
US7735185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with water cleaning function
KR101248679B1 (en)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KR20070077007A (en) Rag board for cleaner
KR101269274B1 (en) Nozzle for Cleaner
KR101610704B1 (en) Humidifier
KR101276438B1 (en) Attachment means for rag of vacuum cleaner and method thereof
KR101222723B1 (en) Nozzle for Cleaner
KR101199659B1 (en) Nozzle for cleaner
US20050050671A1 (en) Extraction cleaner exhaust ducting
KR101218445B1 (en) Steam generator and Cleaner using the same
KR20070058802A (en)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KR100821727B1 (en) Nozzle for cleaner
KR200331795Y1 (en) A steam cleaner
KR101253350B1 (en) A heat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with the apparatus
KR20070060674A (en) A heating apparatus and a vacuum cleaner with the apparatus
KR101250081B1 (en) A nozzle of vacuum cleaner
KR100833359B1 (en)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KR20070058801A (en) A vacuum cleaner use combination of steam
KR101282470B1 (en) Nozzle and Cleaner comprising the same
KR20070076727A (en) Nozzle for vacuum cleaner
TWI842021B (en) Cleaner
EP4378367A1 (en)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