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3353A -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3353A
KR20070063353A KR1020050123487A KR20050123487A KR20070063353A KR 20070063353 A KR20070063353 A KR 20070063353A KR 1020050123487 A KR1020050123487 A KR 1020050123487A KR 20050123487 A KR20050123487 A KR 20050123487A KR 20070063353 A KR20070063353 A KR 20070063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ortable electronic
input device
electronic device
capaci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4568B1 (ko
Inventor
김선섭
Original Assignee
한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열 filed Critical 한상열
Priority to KR102005012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45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63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3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4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4Piezoelectric touch switches
    • H03K17/9643Piezoelectric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1)는, 기판(10), 상기 기판(10)상에 입력키(61)의 대응하는 개수와 위치에 인쇄된 다수의 제1 극판(20), 상기 제1 극판들(20) 상에 피복되어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두께가 가변되는 탄성층(30), 및 상기 탄성층(30) 상에 인쇄되어 상기 탄성층(30)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d)를 두고 상기 제1 극판들(20)의 전체를 커버하는 판상으로 배치된 제2 극판(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극판들(20)과 상기 제2 극판(40)의 상하 중첩위치에서 압력에 의한 상기 거리(d)의 변화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상기 중첩점들이 센싱포인트(S)가 되며, 상기 센싱포인트들(S)의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상기 센싱포인트(S)의 위치와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CPU(11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전화기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입력장치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센서부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센서부의 단면도,
도5는 종래의 일반적인 돔 스위치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입력장치 2: 센서부
3: 컨트롤러 3A: 정전용량 검출부
3B: A/D 변환기 3C: 제어부
3D: D/A 변환기 10: 기판
20: 제1 극판 30: 탄성층
40: 제2 극판 50: 보호층
60: 표시시트 61: 입력키
100: 휴대용 전자장치(휴대전화기)
110: CPU S: 센싱포인트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휴대전화기로 대표되는 휴대용 전자장치들에는 휴대전화기의 온/오프, 전화번호와 문자의 입력, 통화의 개시와 종료 등 휴대전화기의 사용에 관련된 각종 작동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들이 마련된 입력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휴대전화기의 용도가 전통적인 전화통화 용도로부터 인터넷 접속이나 문자전송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의 용도로까지 확대됨에 따라 휴대전화기에는 보다 다양한 메뉴들이 탑재되기에 이르렀고, 더불어 각종 작동의 실행이 보다 다양하고 빈번해짐에 따라 입력장치의 조작 회수도 그만큼 더 증가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의 입력장치인 키패드에는 입력키로서 돔 스위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5는 종래의 일반적인 돔 스위치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돔 스위치(200)는 기판(210), 상기 기판(200) 상에 키패드의 각 입력키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원호형 전극(220), 상기 원호형 전극(2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원호형 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아니한 상태의 선형 전극(230), 및 상기 원호형 전극(220)에 양단이 전기적으로 접한 상태로 상기 선형 전극(230)의 상부를 가로지르게 배치된 돔형 전극(2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런 전극들(220, 230, 240)은 스페이서(250)와 접착 필름(260) 등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돔 스위치(200)는 키패드의 구비되는 입력키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복수개가 적절히 배치되어 있으며, 손으로 원하는 입력키를 가압하면 돔형 전극(240)이 눌려 선형 전극(230)에 접촉되어 원호형 전극(200)과 선형 전극(2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도시되지 않은 키패드 회로와 프로그램에 의해 해당 돔 스위치의 입력키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되는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그러나 휴대전화기와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의 슬림화 양상에 따라 슬림화 모델을 중심으로 돔 스위치 방식 대신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가 도입되기에 이르렀으며, 이런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는 휴대전화기의 소형화에 바람직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 등에 적용된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는 기판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입력키에 대응하는 다수의 극판(동판)을 배치하여 이들 극판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람의 손이 극판(즉, 손의 접촉을 검출하는 센싱포인트)에 접촉될 때 손과 극판 사이의 유전율에 따른 기생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어떤 극판(입력키)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입력신호를 휴대전화기의 CPU로 전송하여 해당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작동이 실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물론 휴대전화기에는 각각의 극판들에 어떤 작동이 대 응되는지에 관한 적절한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휴대용 전자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키패드의 입력키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입력키를 조작할 때 원하지 않은 인접한 다른 입력키가 조작되는 등의 오작동의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입력장치로서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가 제공됨에 따라, 휴대용 전자장치의 소형화에 따른 오작동이 문제가 완화되게 되었다.
그러나 휴대전화기 등에 적용된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는, 손이 어떤 극판(입력키)에 접촉 되었는가 만을 판별할 수 있을 뿐이고 각각의 극판들이 단일의 작동만을 입력하는 시스템이므로, 지금까지의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는 단지 선택메뉴의 위치를 이동하는 입력키로서만 사용되고 이동된 메뉴에서의 필요한 작동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로서는 기존의 돔 스위치를 이용하는 이중 구조가 적용되었으며, 따라서 돔 스위치 방식의 입력장치의 한계를 완전히 벗어났다고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휴대용 전자장치에 적용된 입력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극판(동판)에 대한 단순한 접촉과 비첩촉의 구별만으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접촉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정전용량변화가 달라지는 현상으로부터 입력신호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하고 정교한 형태의 작동을 오작동 없이 입력할 수 있는, 정전용량 방식의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입력키의 대응하는 개수와 위치에 인쇄된 다수의 제1 극판, 상기 제1 극판들 상에 피복되어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두께가 가변되는 탄성층, 및 상기 탄성층 상에 인쇄되어 상기 탄성층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를 두고 상기 제1 극판들의 전체를 커버하는 판상으로 배치된 제2 극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는, 상기 제1 극판들과 상기 제2 극판의 상하 중첩위치에서 압력에 의한 상기 거리의 변화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상기 중첩점들이 센싱포인트가 되며, 상기 센싱포인트들의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상기 센싱포인트의 위치와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전자장치의 CPU에 전송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의 입력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전화기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입력장치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센서부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센서부의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1)는 휴대전화기, 엠피쓰리, PDA, PMP, 휴대용 게임기 등을 포함한 각종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입력장치 로 적용되며, 이하에서는 대표적인 휴대용 전자장치인 휴대전화기(100)에 본 발명의 입력장치(1)가 적용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휴대전화기(100)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휴대전화기(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110), 휴대전화기(100)의 사용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와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120, 1: 즉, 본 발명의 입력장치), 휴대전화기(100)의 사용에 관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130), 휴대전화기(100)의 전반적인 작동에 관한 각종 프로그램과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40),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이동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테나와 듀플렉서 등을 구비한 통신부(150), 통화를 위한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비하는 오디오부(160),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입력장치(1)는 상기 입력부(120)에 적용되는 입력장치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전화기(100)를 사용함에 있어서, 입력부(입력장치: 120, 1)를 이용하여 소정의 데이터와 명령을 입력하고, 모니터(130)를 통해 관련 정보를 모니터하고, 메모리(140)에 필요한 데이터들이 저장되며, 통신부(150)를 통해 이동통신이 실행되고, 이런 모든 작동은 CPU(110)에 의해 전반적으로 제어되며, 필요한 전원은 전원부(170)에서 공급된다.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입력부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입력장치(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센서부(2)와 컨트롤러(3)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는 휴대전화기(100)에 특정 작동을 입력하기 위해 입력장치(1)에 가한 사용자의 조작(압력)을 검출하는 구성요소이고, 상기 컨트롤러(3)는 센 서부(2)에 의해 검출된 검출신호로부터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전화기(100)의 CPU(110)에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다.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2)는, 기판(10), 제1 극판(20), 탄성층(30), 제2 극판(40), 보호층(50) 및 표시시트(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기판(10)은 극판들(20, 40)을 프린팅 할 수 있는 예를 들어 회로기판(PCB 및 FPCB)과 같은 통상의 기판으로서, 입력장치(1)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기판(10)의 크기는 본 발명의 입력장치(1)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장치(1)의 종류와 입력장치(1)의 크기 및 입력장치(1)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내용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 극판(20)은 일반적인 정전용량용 센서에서 상하 평행하게 배치된 극판 중에 일측 극판에 대응하는 도전체로서, 바람직하게 원형의 동판이 사용되며, 제1 극판(20)은 입력키(61)의 대응하는 개수와 위치에 배열되도록 기판(10)에 인쇄된다.
각 제1 극판(20)의 사이즈, 개수 및 배치 등은, 입력장치(1)가 사용되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종류, 입력장치(1)의 장착에 허용되는 공간의 크기, 입력장치(1)에 요구되는 입력 작동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도시된 구체예에는 원형의 제1 극판(20)이 19개 배치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제1 극판들(20) 위에는 탄성층(30)이 일정한 두께(d: 거리)로 피복된다. 탄성층(30)은 두 극판(20, 40) 사이에 존재하여 일종의 유전체로서 작용하면서 센서 부(2)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상기 두께(d)가 탄성적으로(복원성 있게) 가변되어,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제1 극판들(20)과 제2 극판(40) 사이의 거리(d)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각 중첩점들에 대응하는 센싱포인트들(S)의 정전용량이 누르는 압력에 따라 변화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탄성층(30)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PVC계, 폴리스틸렌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등 널리 알려진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중에 본 발명에 적합한 TPE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극판(40)은 제1 극판(20)과 같이 도전체 판(예, 동판)으로서, 탄성층(30) 위에 제1 극판(20)과 평행하게 인쇄되지만, 제1 극판(20)과 같이 입력키(61)에 대응하는 개수와 위치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인쇄되는 것이 아니라 제1 극판(20)의 전체를 커버하는 단일의 동판으로 인쇄된다.
이와 같이 제1 극판들(20)과 제2 극판(40)이 탄성층(30)을 사이에 두고 인쇄됨에 따라, 제2 극판(40)은 탄성층(30)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d)를 두고 제1 극판들(20)과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양 극판들(20, 40)의 중첩점들은 제1 극판(20)과 제2 극판(40)이 모두 위치하는 위치들로서, 이들 중첩점들이 센서부(2)에서의 압력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켜는 센싱포인트(S)를 형성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센서부(2)의 특정위치를 가압하게 되면, 가압하는 위치의 아래에 존재하는 센싱포인트들(S)에서는 제2 극판(40)과 탄성층(30)이 가압되어 탄성층(30)이 수축하면서 해당 위치의 제1 극판(20)과 제2 극판(40) 사이의 거리 (d)가 가변(줄어들게) 되고, 이런 거리(d)의 변화에 따라 해당 센싱포인트(S)에서는 C=??A/d의 공식(여기에서 C는 정전용량, ??는 유전율, A는 면적, d는 극판 사이의 거리이다)에 해당하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때 전전용량의 변화량은 누르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층(30)과 제2 극판(40)은 탄성층(30)의 탄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종래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는 손과 같은 도체를 접촉시켜야 기생 정전용량을 검출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입력장치(1)는 상기 거리(d)를 가변시킬 수 있는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부도체로 가압하여도 되므로 손이 아닌 다른 부도체도구도 사용할 수 있다.
보호층(50)은 제2 극판(40)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polyester)로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50)은 제2 극판(40)을 보호할 수 있을 정도라면 가능한 한 얇게 형성하면 된다.
표시시트(60)는 본 발명의 입력장치(1)가 적용된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작동에 필요한 입력내용에 대응하는 입력키들(61)이 인쇄된 시트로서,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휴대전화기의 키패드의 입력키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0-9의 숫자, *, #, 상하좌우 이동, SAND, END 등의 입력키(61)가 표시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표시시트(60)에 인쇄되는 입력키(61)는 본 발명의 입력장치(1)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에 필요한 입력내용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고,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입력키(61)에는 제1 극판(20)이 배정된다.
각각의 입력키(61) 및 이에 배정된 제1 극판(20)에 대응하는 입력내용은, 본 발명의 입력장치(1)의 용도와 기능에 맞게 센서부(2)의 회로와 휴대용 전자장치(100)에 탑재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결정된다.
이상에서 상기 센서부(2)를 설명하면서 보호층(50)과 표시시트(60)를 기능적으로 분리된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보호층(50)과 표시시트(60) 중 하나를 생략하여 나머지가 생략된 것의 기능도 함께 실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장치(1)에는 야간 사용시의 조명을 위한 EL 시트와 같은 발광시트(도시 생략)가 포함될 수도 있다.
센서부(2)를 구성하는 극판들(20, 40)은 모두 상기 컨트롤러(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러(3)는 휴대전화기(100)의 CPU(110)의 명령에 따라 센서부(2)의 센싱포인트들(S)에서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전용량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압력이 가해진 센싱포인트(S)의 위치와 압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CPU(11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극판들(20, 40)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센서부(2)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압력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가 없게 되므로 센서부(2)로부터는 컨트롤러(3)에 정해진 일정한 패턴의 정전용량 값에 대응하는 신호가 전송된다.
그러나 센서부(2)에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이 가해진 부분의 극판(20, 40) 사이의 거리(d)가 가변되면서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고 그 변화의 크기는 거리(d) 의 가변량(즉,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되며, 따라서 제1 극판(20)의 위치에 대응하는 센싱포인트들(S)에 대한 정전용량의 변화와 그 크기를 검출하면 가장 큰 정정용량의 변화가 발생한 제1 극판(20)에 대응하는 센싱포인트(S)의 위치를 알 수 있고 가해진 압력의 상대적인 크기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3)는 예를 들어 도2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센서부(2)의 극판(20, 40)의 센싱포인트들(S)에서 발생한 정전용량의 변화는 컨트롤러(3)의 정전용량 검출부(3A)로 전송되며, 정전용량 검출부(3A)에서는 각 센싱포인트들(S)의 정전용량 값을 측정하고 이를 전압 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압력이 작용된 센싱포인트(S)의 위치와 작용된 압력의 크기를 알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며, 이 아날로그 신호는 A/D 변환기(3B)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3C)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3C)에서는 A/D 변환기(3B)의 신호로부터 센싱포인트(S)의 위치와 정전용량의 변화의 크기를 판독하여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신호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CPU(110)로 전송되며, CPU(110)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에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작용을 실행한다. CPU(110)로부터 입력장치(1)로의 명령신호는 제어부(3C)를 통해 수신되어 D/A 변환기(3D)를 통해 센서부(2)에 전송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1)에 의하면, 종래의 입력장치에서와 같은 단순한 접촉/비접촉의 차이에 근거한 입력신호가 아니라 누르는 힘의 차이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므로, 가장 강하게 눌려 진 입력키에 대응하는 입력만이 실행되도록 할 수 있어 오작동의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2)를 가압할 때, 목적하는 입력키(예, 숫자 1의 입력키)를 정확하게 누르지 못하고 인접한 다른 입력키(예, 숫자 2의 입력키)에도 약간의 압력이 가하게 된 경우, 숫자 1의 입력키에 대응하는 제1 극판(20)의 위치에서 뿐만 아니라 숫자 2의 입력키에 대응하는 제2 극판(20)의 위치에서도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겠지만, 숫자 1에 대응하는 제1 극판(20)의 정전용량변화가 숫자 2에 대응하는 제1 극판(20)의 정전용량변화 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이런 정전용량변화의 차이를 판단하여 숫자 1 입력키의 입력만이 입력되도록 입력 프로세스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목적하는 입력키에 인접한 다른 입력키도 조작되는 오작동의 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장치(1)는 누르는 압력의 크기를 검출하여 입력신호를 생성하므로 종래와 같이 정전용량 센서와 돔 스위치를 이중적으로 장착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본 발명의 입력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소형화가 더욱 용이해 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장치(1)는 여러 개의 입력키들(61)이 협동하여 특정 하나의 입력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다. 예를 들어 정해진 시간 내에 여러 개의 센싱포인트들에서 정전용량의 변화가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입력신호에 특정 입력내용을 대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일군의 센싱포인트들에서의 연속적인 정전용량의 변화에 대응하여 생성한 입력신호로서는, 예를 들어 숫자 2, 5, 8, 0에 대응하는 4개의 입력키들(61)을 2, 5, 8, 0의 순서로 눌러 내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선택메뉴의 위치가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작동을 실행하고, 반대로 0, 8, 5, 2의 순서로 눌러 올릴 경우에는 선택메뉴의 위치가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작동을 실행하는 것과 같이, 선택메뉴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입력내용을 입력하는 것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선택메뉴 중에서 원하는 선택메뉴가 실행되도록 하는 입력은, 예를 들어 커서가 원하는 선택메뉴의 위치에 있을 때 누르고 있던 키를 보다 강하게 눌러 해당 입력키의 정전용량을 더욱 변화시키면 그 변화를 선택메뉴실행을 지시하는 입력신호로 생성하는 것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개의 입력키들(61)이 협동하여 특정 하나의 입력내용을 입력하는 것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입력장치(1)의 다양한 응용은,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입력장치로서 요구되는 기능에 맞는 회로와 소프트웨어를 설계하여 휴대용 전자장치(100) 및 입력장치(1)에 탑재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는, 극판에 대한 단순한 접촉과 비첩촉의 구별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접촉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정전용량변화가 달라지는 현상으로부터 압력의 크기에 따라 입력신호가 생성되도록 함으로써 오작동 없이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작동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장치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

  1. 기판(10), 상기 기판(10)상에 입력키(61)의 대응하는 개수와 위치에 인쇄된 다수의 제1 극판(20), 상기 제1 극판들(20) 상에 피복되어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두께가 가변되는 탄성층(30), 및 상기 탄성층(30) 상에 인쇄되어 상기 탄성층(30)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d)를 두고 상기 제1 극판들(20)의 전체를 커버하는 판상으로 배치된 제2 극판(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극판들(20)과 상기 제2 극판(40)의 상하 중첩위치에서 압력에 의한 상기 거리(d)의 변화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상기 중첩점들이 센싱포인트(S)가 되며, 상기 센싱포인트들(S)의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상기 센싱포인트(S)의 위치와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따라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CPU(11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1020050123487A 2005-12-14 2005-12-14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100764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487A KR100764568B1 (ko) 2005-12-14 2005-12-14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3487A KR100764568B1 (ko) 2005-12-14 2005-12-14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250U Division KR200412587Y1 (ko) 2005-12-14 2005-12-14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3353A true KR20070063353A (ko) 2007-06-19
KR100764568B1 KR100764568B1 (ko) 2007-10-10

Family

ID=38363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487A KR100764568B1 (ko) 2005-12-14 2005-12-14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45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3388A1 (en) * 2008-04-02 2009-10-08 Sang-Youl Han Capacitive touch screen
CN101907961B (zh) * 2009-06-08 2012-06-13 深圳市鑫汇科科技有限公司 电容式感应键实现方法、感应键电路及键盘
KR101394316B1 (ko) * 2012-05-31 2014-09-23 (주)더힘스 정전용량 방식의 압력 센서가 구비된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7491B1 (ko) 2010-04-20 2011-08-22 (주)하이디스터치스크린 정전용량식 입력장치
CN105677130B (zh) * 2016-04-08 2018-10-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压感触控方法、压感触控装置及压感式触摸屏
CN109857278B (zh) * 2019-02-27 2020-06-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142101D1 (de) 2000-08-11 2010-06-24 Alps Electric Co Ltd Eingabevorrichtung mit Tasteneingabebetrieb und Koordinateneingabebetrieb
KR20040103562A (ko) 2003-05-29 2004-12-09 주식회사 뉴러다임 터치 스크린과 결합된 키패드
KR100556577B1 (ko) 2003-06-27 2006-03-07 김숙영 이중센서로 구성된 키패드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3388A1 (en) * 2008-04-02 2009-10-08 Sang-Youl Han Capacitive touch screen
KR100943989B1 (ko) * 2008-04-02 2010-02-26 (주)엠아이디티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
EP2274667A1 (en) * 2008-04-02 2011-01-19 Sang-Youl Han Capacitive touch screen
CN101978342A (zh) * 2008-04-02 2011-02-16 韩相烈 电容式触摸屏
EP2274667A4 (en) * 2008-04-02 2011-12-21 Sang-Youl Han CAPACITIVE TOUCH SCREEN
US8169416B2 (en) 2008-04-02 2012-05-01 Hi-Dis Touchscreen Co., Ltd. Capacitive touch screen
CN101907961B (zh) * 2009-06-08 2012-06-13 深圳市鑫汇科科技有限公司 电容式感应键实现方法、感应键电路及键盘
KR101394316B1 (ko) * 2012-05-31 2014-09-23 (주)더힘스 정전용량 방식의 압력 센서가 구비된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4568B1 (ko)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3883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a user selection in a user interface
US6704005B2 (en) Input device which allows button input operation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to be performed in the same operation plane
US7312790B2 (en) Input apparatus for performing input operation corresponding to indication marks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on the same operational plane
CN103440040B (zh) 用于提供触感的方法和装置
KR100647375B1 (ko) 이동 전화 키매트 아래에 배치되는 근접감지형 터치패드시스템
CN101018378B (zh) 移动终端按键输入设备和方法
US20130100030A1 (en) Keypad apparatus having proximity and pressure sensing
KR100764568B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JPH11195353A (ja) 通信端末装置
EP2584432A1 (en) Keypad apparatus having proximity and pressure sensing
CN105045422A (zh) 按键装置的操控方法、按键装置及终端
US8339368B2 (en) Input device
US7158054B2 (en) General purpose input board for a touch actuation
KR100787834B1 (ko) 정전용량식 입력장치
KR200412587Y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101474964B1 (ko) 초 슬림 터치 키보드
KR100661000B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101106278B1 (ko) 터치 기능을 구비한 복합 입력장치
KR100894250B1 (ko)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
KR100718988B1 (ko) 전자기기의 입력장치
KR100764569B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200409431Y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200411463Y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JP2010262483A (ja) タッチパッド入力装置
KR100968856B1 (ko) 키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