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5022A - Portable compound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compound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5022A
KR20070055022A KR1020050113257A KR20050113257A KR20070055022A KR 20070055022 A KR20070055022 A KR 20070055022A KR 1020050113257 A KR1020050113257 A KR 1020050113257A KR 20050113257 A KR20050113257 A KR 20050113257A KR 20070055022 A KR20070055022 A KR 20070055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connection
terminal
host termi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2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81220B1 (en
Inventor
박재학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50113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220B1/en
Publication of KR20070055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0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2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상응하는 통신모뎀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가 호스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통신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통신 모뎀을 구비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임의의 통신망으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별도의 케이블을 새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using a communication modem corresponding to a user's reques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with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a host terminal, and hav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ms having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so as to connect the host terminal to an arbitrary communication network. hav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to newly manufacture a separate cable.

스위치, 통신 모뎀, 단말기 Switches, communication modems, terminals

Description

휴대용 복합 단말기{Portable compound terminal}Portable compound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와 호스트 단말기의 연결을 예시한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portable terminal and a hos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 명령에 따른 연결 상태를 예시한 표.3 is a table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according to a connection comm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 모뎀을 통해 해당 통신망으로 접속 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necting to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y communication mod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커넥터110: connector

120 : 스위치120: switch

130 : 제1 모뎀130: first modem

140 : 제2 모뎀140: second modem

150 :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 application processor unit

160 : 입력부160: input uni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요구에 상응하는 통신모뎀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communicate using a communication modem corresponding to the user's request.

휴대용 단말기가 호스트 단말기(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등)등에 연결되어 초고속 휴대 인터넷 통신 모뎀(예를 들어, wibro 망으로 접속을 위한)으로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가 초고속 휴대 인터넷 통신 모뎀을 통해 송수신 되는 데이터를 전달받아 유에스비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USB client interface)를 통해 호스트 단말기로 전송하였다. 이로 인해 호스트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초고속 휴대 인터넷망으로 접속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었다. When a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host terminal (for example, a personal computer, a laptop, etc.) and performs a function as a high speed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modem (for connecting to a wibro network, for example), an application processor is used. Received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high-speed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modem transmitted to the host terminal through the USB client interface (USB client interface). As a result, the host terminal was able to access and transmit information by using a portable terminal through a high-speed portable Internet network.

그러나 이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송 속도를 저하시키며 나아가 전력 소모 증가를 야기하였다. 또한, 호스트 단말기가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어 초고속 휴대 인터넷망으로 접속을 위해 호스트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을 필요로 하였다.However, this lowers the transmission speed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further increases the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the ho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requires a separate cable for connecting the host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in order to connect to the high-speed portable Internet network.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케이블을 새로 제작할 필요없이 호스트 단말기가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어 초고속 휴대 인터넷망으로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복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portable composite terminal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by connecting the host terminal to a high-speed portable Internet network without having to make a separate cab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송 속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휴대용 복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composite terminal which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without reducing transmission speed.

이외의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가 호스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둘 이상의 통신 모뎀을 구비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임의의 통신망으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the host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wo or more communication modems to connect the host terminal to any communication network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호스트 단말기와 결합되며,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 제1 통신 방법에 따른 제1 모뎀 및 제2 통신 방법에 따른 제2 모뎀을 포함하는 모뎀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 중 어느 하나로의 접속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접속 선택 명령에 따른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 및 상기 접속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 모뎀, 상기 제2 모뎀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 중 어느 하나간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or coupled to a host terminal, the connector including one or more data terminals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host terminal; A modem unit including a first modem accor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second modem accor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rom any one of the first modem and the second modem; An application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nection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And a switch configured to set a connection path between any one of the connector, the first modem, the second modem, and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according to the access control command.

상기 제1 모뎀은 CDMA, GSM, W-CDMA 및 GPRS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이며, 상기 제2 모뎀은 은 wibro, wi-fi, mobilefi, wimax 및 HSDPA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The first modem may be any one or a combination of CDMA, GSM, W-CDMA, and GPRS, and the second modem may be any one or more of silver wibro, wi-fi, mobilefi, wimax, and HSDPA. .

상기 제1 모뎀, 상기 제2 모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는 각각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odem, the second modem and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may each include a client interface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상기 호스트 단말기는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블루투스 및 적외선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host terminal includes a host inte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via a ca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connector or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portable terminal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y one of Bluetooth and infrared communication. .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는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과 DPRAM 또는 SDIO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processo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dem and the second modem through a DPRAM or SDIO interface to check a state.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은 제1 범용 입출력 포트와 제2 범용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여 각각의 모뎀에 연관된 통신망으로의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제1 범용 입출력 포트와 상기 제2 범용 입출력 포트의 상태를 하이(high)로 변경할 수 있다.The first modem and the second modem may include a first universal input / output port and a second universal input / output port to connect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ssociated with each modem. You can change the state to high.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통신 모뎀 중 어느 하나로의 접속 선택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액티브싱크 수행을 위한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로 전달할 수 있다.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generates a connection control command for performing an active sync with the host terminal when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to any one of the first modem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em is not inpu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host terminal. Can be passed to the switch.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가 호스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둘 이상의 통신 모뎀을 구비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임의의 통신망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s provided in which a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host terminal and has two or more communication modems to connect the host terminal to any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가 호스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둘 이상의 통신 모뎀을 구비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임의의 통신망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통신 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통신망 중 어느 하나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접속 선택 명령에 따라 커넥터와 제1 모뎀 및 제2 모뎀 중 어느 하나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 중 어느 하나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 단말기는 상기 설정된 연결 경로에 통해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망으로의 연결 설정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host terminal, and includes two or more communication modems to connect the host terminal to an arbitrary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ethods differ from a user. Receiving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or connection to any one of a communication network; Generating a connection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o establish a connection path to a connector, any one of a first modem and a second modem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Establishing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connector, the first modem, and the second modem according to the connection control command;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modem and the second modem through the set connection path.

사용자로부터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액티브싱크 수행을 위한 접속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접속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의 연결 경로 설정을 위한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여 액티브싱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ceiving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or performing an active sync between the host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from a user; Generating a connection control command for setting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host terminal and an application processor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And establishing an active path by setting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host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processor according to the access control comman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이동통신 모뎀과 초고속 휴대 인터넷 통신 모뎀을 구비하며, 호스트 단말기가 당해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통신 모뎀을 통한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통신 모뎀을 이용하여 연관된 통신망으로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modem and a high-speed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modem. When a ho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a command for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network is input from a user through any communication modem,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em It can be connected to the associated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possib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동일 또는 유사한 개체를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권리범위나 그 대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distinguishing the same or similar entities, but the scope of the rights or the objects thereof are not limit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단말기와 휴대용 단말기가 연결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the host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커넥터(110), 스위치(120), 모뎀부(125, 예를 들어, 제1 모뎀(130), 제2 모뎀(140)),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 입력부(16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or 110, a switch 120, a modem unit 125 (eg, a first modem 130 and a second modem 140) and an application. It is composed of a processor unit 150, an input unit 160.

커넥터(110)는 호스트 단말기(220)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수단이다. 커넥터(110)는 예를 들어, TTA 24 핀 커넥터일 수 있다. 커넥터(110)는 호스트 단말기(22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단자들, 접지 단자, 호스트 단말기(220) 또는 임의의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전원 단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nector 110 is a means connected to the host terminal 220 through a cable. Connector 110 may be, for example, a TTA 24-pin connector. The connector 110 includes one or more data terminals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host terminal 220, a ground terminal, a power terminal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host terminal 220, or any power supply.

여기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데이터 단자는 호스트 단말기(220)에 구비된 유에스비 커넥터(미도시)의 제1 데이터 단자(예를 들어, D+) 및 제2 데이터 단자(예를 들어, D-)의 데이터 선을 통해 호스트 단말기(220)로 전송될 수 있다. 물론, 호스트 단말기(2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도 제1 데이터 단자 및 제2 데이터 단자에 연결된 데이터 선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Here, the data terminal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the data of the first data terminal (eg, D +) and the second data terminal (eg, D−) of the USB connector (not shown) included in the host terminal 220.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host terminal 220 through a line. Of course, data input from the host terminal 220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rough data lines connected to the first data terminal and the second data terminal.

즉, 호스트 단말기(220)의 유에스비 커넥터(미도시)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커넥터(110)가 케이블을 통해 상호 연결되고, 호스트 단말기(220)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임의의 통신망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호스트 단말기(220)의 유에스비 호스트 인터페이스부(미도시)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유에스비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부(미도시)가 결합된다. 도 2에 호스트 단말기(220)와 휴대용 단말기(100)가 케이블을 통해 결합된 도면이 예시되어 있다.That is, the USB connector (not shown) of the host terminal 220 and the connector 11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cable, and the host terminal 220 uses an arbitrary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You can connect and send data. As a result, the USB host interface unit (not shown) of the host terminal 220 and the USB client interface unit (not show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re combined. 2 illustrates a diagram in which the host terminal 22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are coupled through a cable.

예를 들어, 호스트 단말기(220)는 휴대용 단말기(100)에 포함된 다수의 통신 모뎀 중 하나의 통신 모뎀을 통해 해당 통신 모뎀에 연관된 임의의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단말기(100)는 호스트 단말기(220)가 선택한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해 스위치(120)를 통해 임의의 통신 모뎀이 커넥터(110)를 경유하여 호스트 단말기(22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호스트 단말기(220)는 휴대용 단말기(100)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통신망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host terminal 220 may select a connection to any communication network associated with the communication modem through one communication modem amo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ems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onnected so that any communication modem can be connected to the host terminal 220 via the connector 110 through the switch 120 for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selected by the host terminal 220. You can set the path. Therefore, as a result, the host terminal 22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본 명세서에서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100)와 호스트 단말기 (220)가 결합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근거리 무선 통신(예를 들어,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blutooth)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host terminal 22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using a cable. However,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or example, infrared communication, Bluetooth, etc.). It can also send and receive data.

스위치(120)는 커넥터(110)와 제1 모뎀(130) 및 제2 모뎀(140) 중 어느 하나의 모뎀으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스위치(120)는 호스트 단말기(220)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액티브싱크(Active Sync)의 기능을 수행을 위한 연결 경로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스위치(120)는 제1 단자(122), 제2 단자(124) 및 제3 단자(126)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120 performs a function of setting a connection path to any one of the connector 110, the first modem 130, and the second modem 140. In addition, the switch 120 may set a connection path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an active sync between the host terminal 22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addition, the switch 120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122, a second terminal 124, and a third terminal 126.

예를 들어, 호스트 단말기(220) 또는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위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제어 명령은 스위치(120)가 커넥터(110)와 제1 단자(122), 제2 단자(124) 및 제3 단자(126) 중 어느 하나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여 접속 선택 명령에 상응하는 통신 모뎀(예를 들어, 제1 모뎀(130), 제2 모뎀(140))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15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 명령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For example, when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or connection to a certain communication network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host terminal 220 or the input unit 160,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generates a connection control command to switch 120. Can be delivered to. Herein, the connec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s to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by setting the connection path of the switch 120 to any one of the connector 110, the first terminal 122, the second terminal 124, and the third terminal 126. It will be defined as a control comman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any one of the communication modem (for example, the first modem 130, the second modem 140) or the application processor 150.

또한 호스트 단말기(220)가 커넥터(110)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통신 모뎀(예를 들어, 제1 모뎀(130), 제2 모뎀(140))을 통한 임의의 통신망으로의 접속 선택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스위치(120)는 호스트 단말기(220)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액티브싱크의 기능을 수 행할 수 있도록 연결 경로를 설정한다(즉, 스위치(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와 커넥터(110)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여 액티브싱크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ost terminal 22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rough the connector 110, any communication modem (for example, the first modem 130 and the second modem 140) may be connected from the user. If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to any communication network is not inputted, the switch 120 sets a connection path so as to perform an active sync function of the host terminal 22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that is, the switch ( 120 may set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application processor 150 and the connector 110 to perform active syncing).

여기서, 액티브싱크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용 단말기(100) 등의 불완전성을 보완하기 위해 호스트 단말기(예를 들어, 데크스탑 컴퓨터, 노트북 등)와의 통신이 필수로 요구된다. 이때 액티브싱크는 휴대용 단말기(100)와 호스트 단말기(220)로의 연결을 위한 프로세서로서, 휴대용 단말기(100)의 관리를 위한 임의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일련의 프로그램으로 소프트웨어 형식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Here, ActiveSync requires communication with a host terminal (eg, a deckstop computer, a laptop, etc.) to compensate for imperfections such a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do. At this time, the active sync is a processor for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host terminal 220, and may be an application implemented in a software form as a series of programs including arbitrary functions for manag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have.

모뎀부(125)는 제1 모뎀(130) 및 제2 모뎀(140)으로 구성되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에 의해 호스트 단말기(220)가 제1 모뎀(130) 및 제2 모뎀(140) 중 어느 하나와 연관된 통신망으로 접속하여 송수신된 데이터를 변복조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modem unit 125 includes a first modem 130 and a second modem 140, and the host terminal 220 is connected to the first modem 130 and the second modem 140 by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Access to a communication network associated with any one of the functions to perform demodulation and transfer of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또한, 제1 모뎀(130)과 제2 모뎀(140)은 각각 유에스비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유에스비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해 스위치(120)를 경유하여 커넥터(110)를 통해 호스트 단말기(220)의 유에스비 호스트 인터페이스부(미도시)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고속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는 제1 모뎀(130)과 제2 모뎀(140)이 유에스비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하고, 호스트 단말기(220)가 유에스비 호스트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odem 130 and the second modem 140 may each include a USB client interface (not shown). Therefore, the UBS client interface unit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UBS host interface unit (not shown) of the host terminal 220 through the connector 110 via the switch 120 to transmit data at high speed. Can send and receive Herei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modem 130 and the second modem 140 include a USB client interface unit (not shown), and the host terminal 220 includes a USB host interface unit (not shown). Although the description focuses 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it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여기서, "제1 모뎀"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W-CDMA(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등과 같이 이동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통신 모뎀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즉, 제1 모뎀(130)은 이동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통신 모뎀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다른 이동통신 방식도 포함될 수 있다. 즉, 제1 모뎀(130)은 이동통신망으로 접속을 가능케하여 이동통신 사업자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변복조할 수 있는 모뎀이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first modem" refers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Wideband-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or the like. This will be defined as a communication modem for connection. That is, the first modem 130 is a communication modem for connec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also include other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not described herein. That is, the first modem 130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a modem capable of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o as to transmit and receive demodulated data corresponding to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제2 모뎀"은 wibro(wireless broadband), wi-fi, mobilefi,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초고속 무선 인터넷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통신 모뎀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물론, 제2 모뎀(140)은 본 명세서에 기재되지 않은 다른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방식들이 더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즉, 제2 모뎀(140)은 초고속 휴대 인터넷(무선 인터넷)망으로 접속을 가능케하여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서비스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변복조할 수 있는 모뎀이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modem" is a communication modem for connection to a high-speed wireless Internet network such as wibro (wireless broadband), wi-fi, mobilefi,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nd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It is defined as. Of course, the second modem 140 may further include schemes for other wireless Internet access not described herein. That is, the second modem 140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a modem capable of transmitting / remodulating and demodulating data corresponding to various services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by enabling connection to a high-speed portable Internet (wireless Internet) network.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휴대용 단말기(100)의 모뎀부(125)가 제1 모뎀(130) 및 제2 모뎀(140)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구현 방법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모뎀(130) 중 각기 다른 이동통신 모뎀(예를 들어, CDMA 통신 모뎀, WCDMA 통신 모뎀)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2 모뎀(140) 중 각기 다른 초고속 휴대 인터넷 통신 모뎀(예를 들어, wibro, wi-fi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모뎀부(125)는 각각 상이한 이동통신 모뎀들 중 둘이상 또는 각각 상이한 초고속 휴대 인터넷 통신 모뎀 중 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the modem unit 125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described with an emphasis on providing the first modem 130 and the second modem 140, respectively.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include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modems (eg, CDMA communication modems, WCDMA communication modems) of the first modem 130.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include different high-speed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modems (eg, wibro, wi-fi, etc.) of the second modem 140. That is, the modem unit 125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two or more of different mobile communication modems, respectively, or two or more of different high speed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modems, respectively.

또한, 제1 모뎀(130)과 제2 모뎀(140)은 각각 범용 입출력 포트(이하에서 이동통신 모뎀(130)에 포함된 범용 입출력 포트를 "제1 범용 입출력 포트"라 칭하며, 초고속 휴대 인터넷 통신 모뎀(140)에 포함된 범용 입출력 포트를 "제2 범용 입출력 포트"라 칭하기로 한다)를 포함할 수 있으며, DPRAM(Dual Ported RAM) 및 SDIO(Secure Digital Input/Output) 인터페이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와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modem 130 and the second modem 140 each referred to as a universal input / output po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niversal input / output port inclu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em 130 is referred to as a “first universal input / output port”), and high-speed portable Internet communication. The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port included in the modem 14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port”.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may be configured through a dual ported RAM (DPRAM) and a secure digital input / output (SDIO) interface. And may be connected to 150.

본 명세서에서 접속 선택 명령은 호스트 단말기(220) 또는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통해 임의의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임의의 통신 모뎀의 선택을 위한 명령, 호스트 단말기(220)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액티브싱크의 기능 수행을 위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인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is a command for selecting an arbitrary communication modem for connection to an arbitrary communication network from the user through the host terminal 220 or the input unit 160, the host terminal 22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It is defined as a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o perform the function of ActiveSync.

또한, "제1 접속 제어 명령"은 사용자로부터 제1 모뎀(130) 및 제2 모뎀(140)으로의 접속 명령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호스트 단말기(220)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액티브싱크 기능 수행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가 커넥터(110)와 제3 단자(126)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도록 스위치(120)로 전달하는 제어 명령인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access control command” may perform an active sync function of the host terminal 22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when a connection command from the user to the first modem 130 and the second modem 140 is not input. For this purpose, the application processor 150 will be defined as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to the switch 120 to set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 connector 110 and the third terminal 126.

또한, "제2 접속 제어 명령"은 사용자로부터 이동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접속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가 커넥터(110)와 제1 단자(122)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도록 스위치(120)로 전달하는 제어 명령인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control command" means that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sets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 connector 110 and the first terminal 122 when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is inputted from the us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t is defined as being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to the switch 120.

또한, "제3 접속 제어 명령"은 사용자로부터 제2 모뎀(140)을 통해 초고속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 선택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가 커넥터(110)와 제2 단자(124)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도록 스위치(120)로 전달하는 제어 명령인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or the connection to the high speed communication network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second modem 140, the "third connection control command" means that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connects the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terminal. It is defined as being a control command transmitted to the switch 120 to set the connection path to (124).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60) 또는 호스트 단말기(220)를 통해 제1 모뎀(130)을 통한 이동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제2 접속 제어 명령을 스위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접속 제어 명령을 입력받은 스위치(120)는 접속 선택 명령에 따라 커넥터(110)와 제1 단자(12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모뎀(130)과 호스트 단말기(220)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호스트 단말기(220)는 이동통신망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suppose that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or connec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first modem 130 through the input unit 160 or the host terminal 220 is input.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processor 150 may transmit the second access control command to the switch 120. The switch 120 receiving the second connection control command may set a connection path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110 and the first terminal 122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As a result, the first modem 130 and the host terminal 220 may be connected. Therefore, the host terminal 22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40)는 제1 모뎀(130) 또는 제2 모뎀(140)의 상태(예를 들어, 이용 가능 여부)를 파악하며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통신 모뎀을 통해 임의의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위치(120)로 전달한다.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40 determines the state (eg, availability) of the first modem 130 or the second modem 140, and establishes a connection to an arbitrary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 arbitrary communication modem by a user. When a command for input is generated, a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witch 120.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제1 모뎀(130)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DPRAM(Dual Ported RAM)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제1 모뎀(1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이동통신망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DPRAM (Dual Ported RAM)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first modem 130. As a result,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may determine the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at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modem 130.

또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제2 모뎀(140)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SDIO 인터페이스(Secure Digital Input/Output)를 통해 연결되어 제2 모뎀(14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는 무선 인터넷망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is connected through an SDIO interface (Secure Digital Input / Output)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second modem 140, which is a state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second modem 140 Can be identified.

여기서, DPRAM 및 SDIO 인터페이스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since the DPRAM and SDIO interfaces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물론, 구현 방법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와 제1 모뎀(130) 또는/및 제2 모뎀(140)은 DPRAM 또는 SDIO 인터페이스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Of cours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and the first modem 130 or / and the second modem 140 may be connected in a manner other than the DPRAM or SDIO interface.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호스트 단말기(220)와의 액티브싱크의 동작 수행을 위해 데이터를 고속으로 입출력하기 위한 유에스비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휴대용 단말기(100)가 통신 모뎀으로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호스트 단말기(220)와 연결되었을 경우 호스트 단말기(220)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액티브싱크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고속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제1 모뎀(130) 및 제2 모뎀(140)의 제1 범용 입출력 포트 및 제2 범용 입출력 포트의 상태(예를 들어, 로우(Low), 하이(High) 등)를 미리 정해진 상태 정보와 비교하여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위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USB client interface unit (not shown)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at high speed to perform an active sync operation with the host terminal 220. Thus,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onnected to the host terminal 220 without performing an operation as a communication modem, the active terminal of the host terminal 22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operated.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at high speed. That is,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state of the first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port and the second general purpose input / output port of the first modem 130 and the second modem 140 (for example, low and high). And the like)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witch 120 by comparing the connection control command with predetermined state information.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가 스위치(120)로 임의의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제어 라인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라인(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과 스위치(120)의 제3 단자로의 연결 라인)을 각각 별도로 설명하고 있으나, 동일한 라인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nd description, a control line for transmitting an arbitrary command to the switch 120 and a lin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for example, the application processor 150 and the switch) for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to switch 120. Although the connection lines to the third terminals of 120 are separately described, it is obvious that the same lines may be implemented.

도 3에 제1 범용 입출력 포트 및 제2 범용 입출력 포트의 상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의 연결 상태 인식을 예시한 표를 살펴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제1 범용 입출력 포트 및 제2 범용 입출력 포트가 각각 로우(Low) 상태이면 제1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위치(120)로 전달한다. 이로 인해, 스위치(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의 유에스비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미도시)와 호스트 단말기(2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경로를 설정한다. Referring to the table illustrating the connection state recognition of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according to the states of the first general purpose I / O port and the second general purpose I / O port in FIG. 3,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may include the first general purpose I / O port and the second. When the general-purpose input / output ports are in a low state, the first connection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witch 120. As a result, the switch 120 sets a connection path so that the USB client interface (not shown) of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and the host terminal 220 can be connected.

만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제1 범용 입출력 포트가 하이 상태이고 제2 범용 입출력 포트가 로우 상태이면 제1 모뎀(130)으로의 연결 경로 설정을 위한 제2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위치(120)로 전달한다. 이로 인해 스위치(120)는 커넥터(110)와 제1 단자(122)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여 호스트 단말기(220)가 제1 모뎀(130)을 통해 이동통신망으로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If the first general purpose I / O port is high and the second general purpose I / O port is low,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generates a second connection control command for setting a connection path to the first modem 130 and switches 120 To pass). As a result, the switch 120 may set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connector 110 and the first terminal 122 so that the host terminal 22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first modem 130.

또한 만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가 제1 범용 입출력 포트가 로우 상태이고 제2 범용 입출력 포트의 상태가 하이로 인식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호스트 단말기(220)가 제2 모뎀(140)을 통한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3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위치(120)로 전달한다. 이로 인해 스위치(120)는 커넥터(110)와 제2 단자(124)를 연결하여 호스트 단말기(220)가 제2 모뎀(140)을 통해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recognizes that the first general-purpose I / O port is low and the state of the second general-purpose I / O port is high,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determines that the host terminal 220 uses the second modem 140. A third access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switch 120 so as to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As a result, the switch 120 may connect the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terminal 124 to allow the host terminal 220 to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through the second modem 140.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제1 모뎀(130) 및 제2 모뎀(140)의 상태에 따라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위치(120)로 전달하여 호스트 단말기(220)가 임의의 통신 모뎀을 통해 임의의 통신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generates a connection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states of the first modem 130 and the second modem 140, and transmits the connection control command to the switch 120 so that the host terminal 220 may be randomly selected. It can be connected to any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communication modem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기능 선택 명령(예를 들어, 접속 선택 명령) 등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160)는 복수의 키 버튼(예를 들어, 숫자/문자 키, * 또는 #의 기호 키, 하나 이상의 기능 키(예를 들어, 메뉴키, 통화 키, 확인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키 등))으로 구현되거나 터치 스크린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nput unit 160 is a means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 function selection command (for example,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etc. from the user. For example, the input unit 1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key buttons (for example, numeric / character keys, a symbol key of * or #, one or more function keys (for example, a menu key, a call key, a confirmation key, and a wireless Internet). Key for connection)) or a touch screen or the like.

예를 들어,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능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기능 버튼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접속 선택 명령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입력부(160)로부터 접속 선택 명령을 입력받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해당 접속 선택 명령을 분석하여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위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function button preset for a connection from a user to an arbitrary communication network is pressed, the input unit 160 may transmit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preset to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button. The application processor 150 receiving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rom the input unit 160 may analyze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generate a connection control command, and transmit the connection control command to the switch 120.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에 호스트 단말기(22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호스트 단말기(220)에 임의의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접속 선택 명령을 입력받아 휴대 용 단말기(1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즉, 호스트 단말기(220)의 유에스비 호스트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100)의 커넥터(110)를 경유하여 스위치(120)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로 접속 선택 명령이 전달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host terminal 220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when the application for connection to any communication network is installed in the host terminal 220, input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rom the user throug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It can also be deliver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hat is,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through the switch 120 via the connector 11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rough the USB host interface unit (not shown) of the host terminal 220. It may be.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하나의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통신 모뎀을 선택을 위해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당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하나의 통신 모뎀을 선택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을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pplication implemented in a program form for selecting a communication modem for connection to one communication network. You can also receive a command to select your communications modem.

또한, 휴대용 단말기(100)의 운용 프로그램, 설정된 알고리즘, 임의의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프로그램에 연관된 어플리케이션 등이 저장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not shown) that stores an operation program, a set algorithm, an application related to a program for accessing an arbitrary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호스트 단말기(220)가 유에스비 호스트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제1 모뎀(130), 제2 모뎀(14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가 유에스비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구비하여 호스트 단말기(220)와 휴대용 단말기(100)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외에도 구현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버스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host terminal 220 includes a USB host interface unit (not shown), and the first modem 130, the second modem 140, and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use the USB client interface unit (not show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a focus 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host terminal 22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addition to this, it may be implemented as a data bus or an input / output interfa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metho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통신 모뎀을 통해 해당 통신망으로 접속 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는 둘 이상의 통신 모뎀(예를 들어, 제1 모뎀(130), 제2 모뎀(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통신 모뎀을 통한 통신망의 접속 선택 명령을 입력받아 호스트 단말기(220)가 해당 통신 모뎀을 통해 해당 통신망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단말기(220) 및 휴대용 단말기(100)의 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통신 모뎀을 통한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 선택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입력부(160)를 통해 접속 선택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necting to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y communication mod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comprises two or more communication modems (eg, the first modem 130, the second modem 140, etc.), and any communication from the user. The host terminal 220 may receive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of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modem to connect to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em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 addition, the user may receive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or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n arbitrary communication modem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60 of the host terminal 22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A description will be given focusing on receiving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rom a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60.

단계 410에서 사용자로부터 휴대용 단말기(100)에 구비된 입력부(160)를 통해 임의의 통신망(예를 들어, 이동통신망, 초고속 무선 인터넷망 등)으로의 접속 선택 명령을 입력받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로 전달한다. In step 410,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receives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rom a user to an arbitrary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high-speed wireless Internet network, etc.) through the input unit 160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pass.

예를 들어, 임의의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GUI(Graphic User Interface) 형식으로 구현되어 호스트 단말기(220) 또는/및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휴대용 단말기(100)에 설치된 해당 GUI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부(160)는 이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suppose that an application for accessing an arbitrary communication network is implemented in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format and installed in the host terminal 220 or /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addition, when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or accessing an arbitrary communication network is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corresponding GUI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input unit 160 may transmit it to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또 다른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100)의 이동통신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기능 버튼과 초고속 무선 인터넷 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기능 버튼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기능 버튼이 눌려지면 입력부(160)는 눌려진 기능 버튼에 상응하여 미리 설정된 접속 선택 명령을 생성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 (150)로 전달할 수도 있다. As another example, a function button for connecting to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function button for connecting to a high-speed wireless Internet network are provided, respectively. When an arbitrary function button is pressed by a user, the input unit is provided. The 160 may generate a preset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pressed function button and transmit the preset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to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단계 415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입력부(160)로부터 입력된 접속 선택 명령을 분석하여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위치(120)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부(160)를 통해 이동통신망으로의 접속 선택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가정하자.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입력부(160)로부터 입력된 접속 선택 명령을 분석하여 제1 모뎀(130)과 호스트 단말기(220)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이에 상응하는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스위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In operation 415, the application processor 150 analyzes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unit 160, generates a connection control command, and transmits the connection control command to the switch 120. For example, suppose that a user inputs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input unit 160. The application processor 150 analyzes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input from the input unit 160 and generates a connection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modem 130 and the host terminal 220 to the switch 120. I can deliver it.

단계 420에서 스위치(12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로부터 입력된 접속 제어 명령에 따라 커넥터(110)와 제1 단자(122), 제2 단자(124) 및 제3 단자(126) 중 어느 하나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한다.In operation 420, the switch 120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onnector 110, the first terminal 122, the second terminal 124, and the third terminal 126 according to the connection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Sets the connection path of.

예를 들어, 접속 제어 명령이 커넥터(110)와 제1 모뎀(13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라면, 스위치(120)는 커넥터(110)와 제1 단자(122)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여 제1 모뎀(130)과 호스트 단말기(22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호스트 단말기(220)는 제1 모뎀(130)과 연결되어 이동통신망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connection control command is a command for controlling to establish a connection path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110 and the first modem 130, the switch 120 may connect the connector 110 and the first terminal 122. The first modem 130 and the host terminal 220 may be connected by setting a connection path to the network. As a result, the host terminal 2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odem 130 and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또한, 접속 제어 명령이 초고속 무선 인터넷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연결 경로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라면, 스위치(120)는 커넥터(110)와 제2 단자(124)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여 제2 모뎀(140)과 호스트 단말기(22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호스트 단말기(220)는 제2 모뎀(140)과 연결되어 초고속 무선 인터넷망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access control command i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connection path setting for access to the high-speed wireless Internet network, the switch 120 sets the connection path between the connector 110 and the second terminal 124 to the second modem. 140 and the host terminal 220 may be connected. For this reason, the host terminal 2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modem 140 and connected to the high-speed wireless Internet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또한, 접속 제어 명령이 호스트 단말기(220)와 휴대용 단말기(100)의 액티브싱크 기능 수행을 위한 연결 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라면, 스위치(120)는 커넥터(110)와 제3 단자(126)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여 호스트 단말기(220)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호스트 단말기(220)와 휴대용 단말기(100)가 연결되어 액티브싱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access control command is a control command for setting a connection path for performing an active sync function between the host terminal 22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switch 120 may connect the connector 110 and the third terminal 126. The host terminal 220 and the application processor 150 may be connected by setting a connection path to the network. As a result, the host terminal 22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perform an active sync function.

단계 425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호스트 단말기(220)가 통신망으로의 접속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호스트 단말기(220)와 액티브싱크의 기능 수행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In operation 425,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host terminal 220 is disconnected from the communication network. Alternatively,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determines whether the function of the host terminal 220 and the active sync is released.

만일 접속이 해제되지 않았다면, 단계 410으로 진행한다. 즉, 이로 인해, 호스트 단말기(220)가 다른 통신망으로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f the connection was not released, go to step 410. That is, this may allow the host terminal 220 to connect to another communication network.

그러나, 만일 접속이 해제되었다면, 단계 430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150)는 스위치(120)에 연결 경로 설정을 해제하기 위한 명령을 생성하여 전달하여 연결 경로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However, if the connection is released, in step 430,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150 may generate and transmit a command for releasing the connection path setting to the switch 120 to release the connection path.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복합 단말기를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케이블을 새로 제작할 필요없이 호스트 단말기가 휴대용 단말기에 연결되어 초고속 휴대 인터넷망으로 접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the portable composit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o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can be connected to the high-speed portable Internet network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produce a separate cable.

또한, 본 발명은 전송 속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며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without reducing the transmission spe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Claims (9)

호스트 단말기와 결합되며,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A connector coupled to a host terminal, the connector including one or more data terminal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host terminal; 제1 통신 방법에 따른 제1 모뎀 및 제2 통신 방법에 따른 제2 모뎀을 포함하는 모뎀부;A modem unit including a first modem accor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and a second modem according to the second communication method;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 중 어느 하나로의 접속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rom any one of the first modem and the second modem; 상기 접속 선택 명령에 따른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 및An application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nection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And 상기 접속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 모뎀, 상기 제2 모뎀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 중 어느 하나간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switch for setting a connection path between any one of the connector, the first modem, the second modem, and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according to the access control comman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모뎀은 CDMA, GSM, W-CDMA 및 GPRS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이며,The first modem is any one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CDMA, GSM, W-CDMA and GPRS, 상기 제2 모뎀은 은 wibro, wi-fi, mobilefi, wimax 및 HSDPA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인 휴대용 단말기.The second modem is a silver terminal, any one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wibro, wi-fi, mobilefi, wimax and HSDP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 모뎀, 상기 제2 모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는 각각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first modem, the second modem and 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each of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client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호스트 단말기는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에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블루투스 및 적외선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host terminal includes a host inte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via a ca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connector or a portable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portable terminal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ny one of Bluetooth and infrared communication. .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는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과 DPRAM 또는 SDIO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태를 확인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is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modem and the second modem via a DPRAM or SDIO interface to check the status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은 제1 범용 입출력 포트와 제2 범용 입출력 포트를 구비하여 각각의 모뎀에 연관된 통신망으로의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제1 범용 입출력 포트와 상기 제2 범용 입출력 포트의 상태를 하이(high)로 변경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first modem and the second modem includes a first universal input and output port and a second universal input and output port, if the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ssociated with each modem is possible, A portable terminal for changing the state to high.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부는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통신 모뎀 중 어느 하나로의 접속 선택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액티브싱크 수행을 위한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스위치로 전달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application processor unit generates a connection control command for performing an active sync with the host terminal when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to any one of the first modem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modem is not inpu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host terminal. Handheld terminal to pass to the switch. 휴대용 단말기가 호스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둘 이상의 통신 모뎀을 구비하여 상기 호스트 단말기를 임의의 통신망으로 접속하도록 하는 방법에 있어서,A portab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host terminal and has two or more communication modems for connecting the host terminal to any communication network. 사용자로부터 통신 방식이 상이한 복수의 통신망 중 어느 하나로의 접속을 위한 접속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or connection to any one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etworks having different communication schemes from a user; 상기 접속 선택 명령에 따라 커넥터와 제1 모뎀 및 제2 모뎀 중 어느 하나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Generating a connection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o establish a connection path to a connector, any one of a first modem and a second modem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상기 접속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 중 어느 하나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Establishing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connector, the first modem, and the second modem according to the connection control command; And 상기 호스트 단말기는 상기 설정된 연결 경로에 통해 상기 제1 모뎀 및 상기 제2 모뎀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망으로의 연결 설정 방법.And the host termi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one of the first modem and the second modem through the established connection path.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사용자로부터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액티브싱크 수행을 위한 접속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Receiving a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for performing an active sync between the host terminal and the portable terminal from a user; 상기 접속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의 연결 경로 설정을 위한 접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및Generating a connection control command for setting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host terminal and an application processor according to the connection selection command; And 상기 접속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호스트 단말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로의 연결 경로를 설정하여 액티브싱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망으로의 연결 설정 방법.And establishing an active path by setting a connection path between the host terminal and the application processor according to the access control command.
KR1020050113257A 2005-11-25 2005-11-25 Portable compound terminal KR1008812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257A KR100881220B1 (en) 2005-11-25 2005-11-25 Portable compound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257A KR100881220B1 (en) 2005-11-25 2005-11-25 Portable compound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022A true KR20070055022A (en) 2007-05-30
KR100881220B1 KR100881220B1 (en) 2009-02-05

Family

ID=3827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257A KR100881220B1 (en) 2005-11-25 2005-11-25 Portable compound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2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384B1 (en) * 2010-09-13 2013-02-28 주식회사 케이티 IP Connection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Each of Wireless Modem Communication Protocol of Integrated CM Client Based on 3W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1722A (en) * 2002-09-27 2006-01-12 アクシズステ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Multi-mode telephone including two wireless modems and a modem proces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384B1 (en) * 2010-09-13 2013-02-28 주식회사 케이티 IP Connection Support Method and Apparatus for Each of Wireless Modem Communication Protocol of Integrated CM Client Based on 3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1220B1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3710B (en) Electronic equipment and the method operating the electronic equip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735427B1 (en) Method for sharing sim car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50381788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Bluetooth Connection and Mobile Terminal
US8116686B2 (en) Instant message audio connec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3368611A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file transfer
US108635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4380776A (en) Network connection method, hotspot terminal and management terminal
KR20120044995A (en) Method, system and mobile device for prioritizing a discovered device list
CN109309967B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transmitting file
CN104426583A (en) Data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device thereof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equipment
CN104660494B (en) A kind of communication system
CN104092823A (en) Information safety device and Bluetooth pairing method
CN103561087A (en) Equipment interconnection method and device
KR100881220B1 (en) Portable compound terminal
JP438370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3598276A1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system, setting adaptation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KR20120060712A (en) Application install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method through user recommendation
WO2017061974A1 (en) Device for sending confidential messages using a mobile telephone (gadget)
CN107438277B (en) Network system capable of quickly establishing WPS online and WPS online method thereof
CN204856397U (en) Wired keyboard and operating system with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CN10234664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lide demonstration system and method
CN104348709A (en) Management method of instant messaging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90066174A (en) Ptt terminal
KR100423815B1 (en) A method of phone-chatting among multi users
KR20070030459A (en) System for offering mobile messenger service using electronic dictionary and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