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3241A -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3241A
KR20070043241A KR1020050099280A KR20050099280A KR20070043241A KR 20070043241 A KR20070043241 A KR 20070043241A KR 1020050099280 A KR1020050099280 A KR 1020050099280A KR 20050099280 A KR20050099280 A KR 20050099280A KR 20070043241 A KR20070043241 A KR 20070043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uel cell
cell system
stack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영승
서준원
신정섭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43241A/ko
Priority to EP06122590A priority patent/EP1777770B1/en
Priority to US11/585,346 priority patent/US8257878B2/en
Priority to DE602006016389T priority patent/DE602006016389D1/de
Priority to JP2006286242A priority patent/JP5241092B2/ja
Priority to CNB2006101528212A priority patent/CN100505399C/zh
Publication of KR20070043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241A/ko
Priority to US13/492,712 priority patent/US2012029517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4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external manifo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01M8/0265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the reactant or coolant channels having varying cross s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11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simultaneous supply or evacuation of electrolyte; Humidifying or dehumidif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87Reactant purification by the use of membranes or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9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with one of the reactants being liquid, solid or liquid-charged
    • H01M8/1011Direct alcohol fuel cells [DAFC], e.g. direct methanol fuel cells [DMF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풍수단과 스택의 상부를 연결하여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하는 덕트가 형성되고, 덕트의 내면에서 스택의 상부에 설치되는 금속망 또는 금속 다공성 폼으로 형성되는 공기분산망에 의하여 공기의 압력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하여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공기통로들에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 세미 패시브형, 블로워, 덕트, 공기분산망

Description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Semi 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택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택과 송풍수단 및 공기분산망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산망의 확대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스택과 송풍수단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스택에서 위치별로 측정된 공기 유속분포를 나타낸다.
도 9는 종래의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스택과 송풍수단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택 12 - MEA
13, 13a, 13b - 애노드 전극 14, 14a, 14b- 캐소드 전극
16 - 바이폴라 플레이트 19, 19a, 19b - 공기통로
30 - 연료공급수단
50 - 공기공급수단 51 - 송풍수단
61 - 제1덕트 71 - 제2덕트
80 - 공기분산망 81, 85 - 금속망
82, 86 - 기액분리막 90 - 히트파이프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6717호
본 발명은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풍수단과 스택의 상부를 연결하여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하는 덕트가 형성되고, 덕트의 내면에서 스택의 상부에 설치되는 금속망 또는 금속 다공성 폼으로 형성되는 공기분산망에 의하여 공기의 압력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하여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공기통로들에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Fuel cell)는 메탄올, 에탄올, 천연기체와 같은 탄화수소 계열의 물질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와 산화제의 화학 반응 에너지를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 시스템이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연료 전지 시스템은 대표적으로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 이하 "PEMFC"라 한다.) 시스템과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 이하 "DMFC"라 한다) 시스템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PEMFC 시스템은 수소와 산소의 반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스택과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개질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PEMFC 시스템은 에너지 밀도가 크고, 출력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수소 가스의 취급에 주의를 요하고 연료가스인 수소를 생산하기 위하여 메탄이나 메탄올 및 천연 가스 등을 개질하기 위한 연료 개질 장치 등의 부대 설비를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DMFC 시스템은 스택에 직접 메탄올 연료와 산화제인 산소를 공급하여 전기화학반응에 의해 전기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DMFC 시스템은 에너지밀도 및 전력밀도가 매우 높으며, 메탄올 등 액체연료를 직접 사용하기 때문에 연료개질기(reformer) 등 부대 설비가 필요치 않으며 연료의 저장 및 공급이 쉽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DMFC 시스템은 스택에 에어 컴프레서(air compressor) 또는 공압펌프(air pump)와 같은 공기 공급수단을 사용하여 강제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DMFC 시스템은 휴대가 가능하여 노트북, 이동통신기기와 같은 이동기기에 대한 적용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DMFC 시스템에 사용되는 공기 공급수단은 소음이 심하여 사용자에게 소음으로 인한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 따라 서, 이러한 DMFC 시스템은 스택에 공급하는 공기가 자연대류 방식에 의하여 공급되는 패시브형 DMFC 시스템 또는 공기가 송풍기와 같은 송풍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세미 패시브형 DMFC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패시브형 DMFC 시스템은 공기를 자연대류 방식에 의하여 공급하게 되므로 각 캐소드에 공기가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시브형 DMFC 시스템은 스택을 적층하지 않고 평면상으로 형성하게 되어 스택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게 되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한편, 상기 세미 패시브형 DMFC 시스템은 송풍기와 같은 송풍수단을 사용하므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패시브형 DMFC 연료전지 시스템에 비하여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미 패시브형 DMFC 연료전지 시스템은 스택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일본특허 공개공보 제2001-6717호(특허문헌 1)에는 연료극과 산화제극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전극이 내장되어 있는 연료전지 본체가 개시(도 9 참조)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연료전지 본체(1)의 산화제극에 있어서 전극반응에 의하여 산소가 소비되는 것을 보충하기 위하여 산화제 도입구측에 산화제 가스를 도입하기 위한 송기수단(5)이 제공되어 있고, 산화제극에 형성되어 있는 산화제 가스유로의 단면적을 산화제 가스의 입구로부터 출구에 걸쳐 작아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미 패시브형 DMFC 시스템은 송풍기를 사용하더라도 스택의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통로들에 공기를 균일하게 공급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세미 패시브형 DMFC 시스템은 공기통로의 송풍 수단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공기 흐름의 저항 차이로 인하여 공기통로 별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풍수단과 스택의 상부를 연결하여 공기의 통로 역할을 하는 덕트가 형성되고, 덕트의 내면에서 스택의 상부에 설치되는 금속망 또는 금속 다공성 폼으로 형성되는 공기분산망에 의하여 공기의 압력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하여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공기통로들에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발명의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은 전해질막과 상기 전해질막의 양측에 형성되는 캐소드전극과 애노드 전극을 구비하는 막-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측에 배치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다수의 단위셀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스택과 연료공급수단과 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택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상기 캐소드 전극과 접하는 면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공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상기 스택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덕트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덕트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스택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균일하게 되도록 금속망으로 형성되는 공기분산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공기통로는 스택의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덕트는 상기 스택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덕트와 상기 스택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제1덕트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덕트는 일측의 내부에 상기 송풍수단이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스택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덕트의 일측의 상면에 상기 송풍수단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흡입구와, 타측의 하면에 상기 스택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공기를 스택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구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덕트의 타측 상면은 내부 높이가 상기 송풍수단이 설치된 일측으로부터 타단으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덕트는 상면에 상기 스택의 하부 영역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유입구와 타단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측의 하면에 상기 스택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공기를 스택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구를 구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덕트의 하면은 내부 높이가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증가되도록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덕트의 상면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분산망은 상기 스택의 상부에서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공기통로가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1금속망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금속망은 상기 공기공급구를 전체적으로 차폐하도록 공기공급구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분산망은 상기 제2덕트의 공기배출구를 전체적으로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제2금속망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기분산망은 금속시브 또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공기가 관통될 수 있는 금속 다공성 폼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분산망은 구멍의 크기가 상기 공기통로의 크기보다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금속망은 일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기액분리막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금속망은 일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기액분리막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액분리막은 사불화폴리에틸렌(PTFE),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의 재질에 의한 기액분리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상기 제1금속망과 제2금속망에 연결되는 히트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제1금속망의 폭에 상응하는 영역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바 또는 봉 또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제1금속망의 폭에 상응하는 폭과 소정 두께를 갖는 하나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스택과의 사이에 전기절연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송풍수단은 블로워 또는 팬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시스템 또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택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스택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택과 송풍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산망의 확대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스택(10)과 상기 스택(10)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수단(30)과 스택(10)에 균일한 압력을 갖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5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은 히트파이프(9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을 직접 연료로 사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 이하 "DMFC"라 한다) 시스템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연료를 개질하여 발생되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 이하 "PEMFC"라 한 다.)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러한 PEMFC 시스템은 액체연료를 개질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개질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스택(10)은 막-전극 어셈블리(Membrane-Electrode Assembly : 이하 "MEA"라 한다)(12)와 MEA(12)의 양측에 배치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16)로 구성되는 단위셀(10a)이 다수 개로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양면에 MEA(12)가 접촉되어 서로 인접하는 단위셀(10a)에 공유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택(10)은 양측의 외곽에 위치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인 엔드 플레이트(End Plate)(16a)를 통하여 외부의 부하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스택(10)은 엔드 플레이트(16a)의 외측에 결합되어 바이폴라 플레이트(16)와 MEA(12)를 고정하는 지지판(16b)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6b)은 연료공급수단(30)에서 공급되는 연료가 바이폴라 플레이트(16)에 공급되도록 내부에 소정의 통로(도면에 표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엔드플레이트(16a)는 지지판의 역할을 동시에 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스택(10)은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각각의 단위셀(10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택(10)은 정면방향에서 볼 때 좌우에 독립적인 단위셀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택(10)은 좌우에 형성되는 단위셀 사이의 소정 폭으로 형성되는 미반응 영역에 연료공급통로인 제1관통로와 제2관통로(17a, 17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택(10)은 측면 방향에서 제1관통로와 제2관통로(17a, 17b)를 통하여 연료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스택(10) 은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일면에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는 공기 통로(19)를 통하여 공기가 공급된다. 한편, 상기 스택은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형성되는 단위셀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스택은 중앙에 미반응 영역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스택은 제1관통로와 제2관통로(17a, 17b)가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좌우측에 형성된다.
상기 MEA(12)는 애노드 전극(anode electrode)(13)과 캐소드 전극(cathode electrode)(15) 사이에 전해질막(membrane)(14)이 적층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애노드 전극(13)과 캐소드 전극(15)은 전해질막(14)의 양면에 각각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소정 면적으로 애노드 전극(13a, 13b)과 캐소드 전극(15a, 15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MEA(12)는 양면에서 중앙에 애노드 전극(anode electrode)(13)과 캐소드 전극(cathode electrode)(15)이 형성되지 않는 미반응 영역(12a)이 형성되며, 상기 미반응 영역(12a)에는 연료가 흐르는 연료공급통로인 제1관통로(17a)와 제2관통로(17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MEA(12)는 제1관통로(17a)와 제2관통로(17b) 사이에 스택(10)의 체결을 위한 볼트가 관통되는 체결홀(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전극(13)과 캐소드 전극(15)은 연료의 공급 및 확산을 위한 연료확산층(diffusion layer)과 연료의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촉매층, 그리고 전극 지지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애노드 전극(13)은 공급되는 연료로부터 전자와 수소이온을 분리시키며, 전해질막(14)은 수소 이온을 캐소드 전극(15)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캐소드 전극(15)은 애노드 전극(13)으로부터 공급된 전자와 수소 및 산소를 반응시켜 물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택(10)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양측에 MEA(12)가 밀착되며, 양면에 각각 연료통로(18)와 공기통로(19)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의 소정 영역에 연료통로(18)와 공기통로(19)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중앙에 연료통로(18)와 공기통로(19)가 형성되지 않는 미형성 영역(16c, 16d)이 형성된다.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일면에 MEA(12)의 애노드 전극(13)이 밀착되며, 타면에 MEA(12)의 캐소드 전극(15)이 밀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애노드 전극(13)이 밀착되는 면에 연료통로(18)가 형성되어 애노드 전극(13)에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캐소드 전극(15)이 밀착되는 면에 공기통로(19)가 형성되어 캐소드 전극(15)에 공기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연료통로(18)가 형성되는 영역 사이의 미형성 영역(16d)에 바이폴라 플레이트(16)를 관통하며 연료통로(18)의 일단과 타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관통로(17a)와 제2관통로(17b)가 상하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제1관통로(17a)를 통하여 공급되는 연료가 연료통로(18)를 흐른 후에 제2관통로(17b)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관통로(17a)와 제2관통로(17b)는 각각의 바이폴라 플레이트(16)와 MEA(12)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스택(10)의 상하부를 전체적으로 관통하는 연료의 통로를 형성된다. 따라 서, 상기 스택(10)은 일측에서 제1관통로(17a)를 통하여 연료가 공급되며, 타측에서 제2관통로(17b)를 통하여 미반응 연료와 반응 부산물인 이산화탄소가 배출된다.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제1관통로(17a)와 제2관통로(17b) 사이에 스택(10)을 체결하는 볼트(도면에 도시하지 않음)가 삽입되는 체결홀(20)이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로(17a)와 제2관통로(17b)는 지지판(16b)에 형성되는 소정의 통로(도면에 표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연료공급수단(30)과 연결되어 연료가 흐르게 된다. 상기 지지판(16b)에 형성되는 통로는 스택(1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는 금속 소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 구리, 철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카본 합성물과 같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연료통로(18)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일면 즉, MEA(12)의 애노드 전극(13)과 접촉되는 영역에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표면을 따라 소정 깊이와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통로(18a, 18b)는 중앙에 형성되는 미형성 영역(16d)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연료통로(18)는 바람직하게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료통로(18)의 면적이 증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연료통로(18)는 MEA(12)의 애노드 전극(13)과 접촉면적이 증가되면서 연료가 직접 접촉되는 애노드 전극(13)의 면적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스택(10)은 연료가 연료펌프에 의하여 소정 압력으로 공급되므로 연료통로(18)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연료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기통로(19)는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타면 즉. MEA(12)의 캐소드 전극(15)과 접촉되는 영역에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표면을 따라 소정 폭과 깊이와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통로(19a, 19b)는 중앙에 형성되는 미형성영역(16c)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19)는 바람직하게는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또는 하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통로(19)는 일면의 연료통로(18)와 달리 제1관통로(17a)와 제2관통로(17b)에 연결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MEA와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중앙의 미반응 영역 또는 미형성영역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MEA는 일면과 타면에 각각 형성되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미반응 영역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일면과 타면에 형성되는 연료통로와 공기통로가 각각 중앙의 미형성영역 없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스택은 제1관통로와 제2관통로가 바이폴라 플레이트와 MEA의 좌우측에 형성된다.
상기 연료공급수단(30)은 소정 농도로 희석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32)와 연료를 스택(10)에 공급하는 연료펌프(34)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료탱크는 별도로 공급되는 연료원액과 물을 혼합하여 소정 농도로 희석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연료공급수단(30)은 연료원액을 저장하는 연료원액탱크(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와 원액펌프(도면에 표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 편, 상기 연료탱크(32)는 소정 농도로 희석된 연료가 저장된 카트리지 형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연료탱크(32)에 저장된 연료가 다 소진된 경우에 연료를 재충전하거나 새로운 연료탱크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연료탱크(32)는 소정 농도로 희석되어 있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액상의 연료가 저장된다. 상기 연료펌프(34)는 연료탱크와 연결되며, 연료탱크(32)의 연료를 스택(10)의 애노드 전극으로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료탱크가 연료원액을 공급받아 소정 농도로 희석하는 경우에, 연료 탱크(32)는 스택(10)의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배출되는 미반응 연료와 스택(10)의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회수되도록 별도의 배관에 의하여 스택(10)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연결된다.
상기 공기공급수단(50)은 공기를 흡입하여 분출하는 송풍수단(51)과 송풍수단(51)에서 분출되는 공기를 스택(10)의 상부 또는 하부로 공급하는 덕트(60) 및 스택(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택(1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하는 공기분산망(8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송풍수단(51)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소정 압력으로 분출하게 되며, 블로워(blower), 또는 팬(fan)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송풍수단(51)은 공기를 소정 압력으로 분출하는 다양한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덕트(60)는 스택(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덕트(61)와 스택(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덕트(71)를 포함하며, 제1덕트 또는 제2덕트의 내부 또는 외부에 송풍수단(51)이 설치된다. 상기 덕트(60)는 제1덕트(61)의 일측에 설치되는 송풍수단(51)에서 분출되는 공기를 스택(10)의 상부로 유도하여 공기통로(18)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는, 상기 제1덕트(61)가 상부에 형성되고, 제2덕트(71)가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사용되는 이동통신기기의 사양 또는 사용 방법에 따라 제1덕트가 하부에 형성되고, 제2덕트가 상부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1덕트(71)는 내부가 중공인 대략 판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의 내부 또는 외부에 송풍수단(51)이 설치되고, 타측이 스택(1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다.(여기서 제1덕트의 일측은 도 5에서 송풍수단이 설치되며 스택의 상부로부터 벗어나 있는 좌측을 의미하며, 타측은 스택의 상부에 설치되는 우측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제1덕트(61)는 일측이 바람직하게는 송풍수단(51)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내부에 송풍수단(51)이 설치되며, 상면에 송풍수단(51)의 공기 흡입을 위한 공기흡입구(62)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흡입구(62)는 바람직하게는 송풍수단(51)의 상부 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덕트(61)의 일측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흡입된 공기가 타측으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덕트(61)의 일단(61a)은 폐쇄되어 송풍수단(51)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덕트(61)는 송풍수단(51)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가 타측으로만 분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덕트(61)의 타측은 스택(10)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적어도 스택(10)의 상부 면적에 상응하는 면적과 소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덕트(61)의 타측은 스택(10)의 상부와 접촉되는 하부 영역이 개방되어 공기공급 구(63)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공급구(63)는 바람직하게는 스택의 상부 형상과 면적에 상응하는 형상과 면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덕트(61)는 송풍수단(51)에 의하여 일측의 공기흡입구(6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타측으로 유도되어 공기공급구(63)를 통하여 스택(10)의 공기통로(18)로 공급된다.
상기 제1덕트(61)의 타측은 바람직하게는 내부의 높이가 스택(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덕트(61)의 타측은 상면(61c)이 스택(10)의 상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덕트(61)의 타측은 송풍수단(5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어 송풍수단(51)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감소되지 않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덕트의 단면적이 일정한 경우에 분출되는 공기는 송풍수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속도가 감소되며 공기의 공급량이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송풍수단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양이 작을수록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덕트(61)의 타측은 상면(61c)의 경사각이 송풍수단(51)으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 적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송풍수단(51)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양이 많게 되면, 제1덕트(61)의 타측은 상면(61c)이 경사각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송풍수단(61)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양이 작게 되면, 제1덕트(61)의 타측은 상면(61c)의 경사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71)는 제1덕트(61)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중공인 대략 판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덕트(71)는 스택(10)의 하부를 덮도록 스택(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스택(10)의 하부 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을 갖는 공기유 입구(7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덕트(71)는 일단(71a)이 폐쇄되고 타단(71b)이 개방되어 공기배출구(72)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덕트(71)는 스택(10)을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덕트(71)는 내부의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도록 하면(71c)이 일단(71a)으로부터 타단(71b)으로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2덕트(71)로 유입된 공기는 일단(71a)에서의 공기 속도가 타단(71c)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되어 전체적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덕트(71)의 하면(71c)은 바람직하게는 제1덕트(61)의 타측 상면(61c)의 경사각도에 상응하는 경사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전체적으로 높이가 균일하게 형성되며, 덕트(50)에 의하여 높이가 부분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택(10)은 제1덕트(61)의 상면 또는 제2덕트(71)의 하면의 경사각도에 상응하는 각도로 기울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덕트는 스택(10)의 캐소드로부터 반응 후에 배출되는 물의 배수통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덕트의 타단에는 이러한 물을 회수하기 위한 별도의 배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산망(80)은 스택(10)의 상부에서 공기통로(19)가 설치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설치되는 제1금속망(81)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공기분산망(80)은 스택(10)의 하부에서 제2덕트(71)의 출구인 공기배출구(72)의 소정 영역에 설치되는 제2금속망(85)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분산망(80)은 상기 제1금속망(81)과 제2금속망(85)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기액분리막(82, 86)을 더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산망(80)은 금속시브(metal sieve) 또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공기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금속 다공성 폼(form)으로 형성된다. 상기 금속시브는 금속와이어에 의하여 소정 크기의 구멍을 갖도록 형성되는 일종의 그물망이며, 구멍이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시브는 일반적으로 메쉬(mesh)라는 단위에 의하여 그 구멍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메쉬는 어느 하나의 금속와이어를 중심으로부터 정확히 1인치 내에 몇 개의 구멍(opening)이 존재하는가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또는 상기 금속시브는 인접한 두개의 금속와이어 사이의 구멍(opening) 길이를 인치나 밀리미터 등으로 그 크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상기 금속시브의 크기를 나타내는 메쉬는 나라 또는 제조회사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표준에 따르면, 메쉬번호가 100인 금속시브는 구멍의 크기가 149 미크론이며, 금속와이어 직경이 110 미크론으로 형성된다. 또한, 메쉬번호가 5인 금속시브는 구멍의 크기가 4000 미크론이며, 금속와이어의 직경이 1370 미크론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금속시브는 메쉬로 정해진 규격은 없지만 소정의 구멍크기를 갖도록 소정의 직경을 갖는 금속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다공성 폼은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되는 소정 크기의 기공을 갖는 금속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금속망(81)은 스택(10)의 상부에서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공기통로(19)가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금속망(81)은 바람직하게는 제1덕트(61)의 내부에서 스택(10)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금속망(81)은 제1덕트(6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공급구(63)를 전체적으로 차폐하도록 공기공급구(63)에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19)의 상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송풍수단(51)으로부터의 거리와 제1덕트(61) 상부의 형상에 따라 위치별로 공기의 압력에 차이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금속망(81)은 공기통로(19)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 저항을 증가시켜 공기의 압력 차이를 감소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 제1금속망(81)은 제1덕트(61)내에서 길이방향에 따른 압력차이를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통로(19)로 공급되는 공기는 공기통로(19)의 길이방향에 따른 위치에 관계없이 균일한 압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금속망(81)은 구멍(opening) 또는 기공의 크기가 공기통로(19)의 단면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금속망(81)은 소정의 기체 투과도(permeability)를 갖도록 소정 크기의 구멍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금속망(81)은 송풍수단(51)에서 분출되는 공기의 압력,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공기통로(19)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기의 압력, 공기의 유량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기체 투과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금속망(85)은 제1금속망(81)과 같은 금속시브 또는 다공성 폼으로 형성되며, 제2덕트(71)의 공기배출구(72)를 전체적으로 막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금속망(85)은 바람직하게는 제2덕트(71)의 공기배출구(72)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금속망(85)은 공기배출구(72)로 배출되는 공기를 일시적으로 막아 제2덕트(71) 내부의 공기 저항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통로(19)를 흐르는 공기는 공기통로(19) 하부에서의 공기 흐름에 대한 압력 저항을 증가되어 공기통로(19) 내부에서 보다 균일한 속도로 흐르게 된다. 상기 제2금속망(85)은 그 구멍이 제1금속망의 구멍보다 큰 구멍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금속망(85)의 크기가 너무 작게 되면 공기통로(19) 하부에서의 공기 저항이 너무 크게 되며 공기통로(19)로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막(82, 86)은 제1금속망(81)과 제2금속망(85) 각각의 어느 한 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액분리막(82, 86)은 공기와 같은 기체는 통과시키되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는 소수성막으로 형성된다. 상기 기액분리막(82, 86)은 사불화폴리에틸렌(PTFE),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소수성 멤브레인(hydrophobic membrane)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막(82, 86)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여기서 상기 기액분리막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소수성을 갖는 다양한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액분리막(82, 86)은 제1금속망(81) 및 제2금속망(85)과 함께 스택(1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균일하게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금속망(81)에 설치되는 기액분리막(82)은 연료전지 시스템의 방향이 바뀌는 경우에 스택(10)의 캐소드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거꾸로 송풍수단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2금속망(85)에 설치되는 기액분리막(86)은 스택(10)의 하부로 배출되는 물이 제2금속망(85)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히트파이프(90)는 철, 스테인레스 스틸, 구리,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다. 상기 히트파이프(90)는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다수의 판상 또는 파이프 또는 봉이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금속망(81)과 제2금속망(85)에 양측이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90)는 제1금속망(81)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하나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트파이프(90)는 제2금속망(85)의 열을 제1금속망(81)으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2금속망(85)은 제2덕트(71)의 공기배출구(72)에 형성되므로 스택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높아진 공기에 의하여 온도가 상승된다. 상기 히트파이프(90)는 일측이 제2금속망(85)에 연결되어 제2금속망(85)으로부터 열이 전도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1금속망(81)은 히트파이프(90)의 타측이 연결되므로 히트파이프(90)로부터 열이 전도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1금속망(81)을 통과하는 공기는 제1금속망(81)의 열에 의하여 소정 온도로 상승되어 공기통로(19)로 공급된다. 상기 스택(10)은 온도가 상승된 공기가 공급되므로 전체적으로 반응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히트파이프(90)는 스택910)이 형성되는 방향의 측면에 별도의 전기절연층(9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트파이프(90)와 스택(10) 사이에 절연층(92)이 형성되어 히트파이프(90)와 스택(10)이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절연층(90)은 히트파이프(9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스택(10)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92)은 전기적 절연성이 있는 접착테이프, 플라스틱 등 유기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92)은 바람직하게는 스택 (10)의 온도를 고려하여 내열성 접착테이프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스택과 송풍수단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의 스택에서 위치별로 측정된 공기 유속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상기 공기공급수단(50)이 스택(10)에 공기를 공급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연료공급수단(30)이 스택(10)에 연료를 공급하는 방법은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기술자에게 알려진 일반적인 방법이 사용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덕트(60)는 스택(10)을 중심으로 상부에 제1덕트(61)가 결합되며, 하부에 제2덕트(71)가 결합된다. 상기 제1덕트(71)는 일측에 송풍수단(51)이 장착되며, 타측이 스택(10)의 상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수단(51)이 작동되면, 송풍수단(51)은 상부의 공기흡입구(62)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수단(51)의 측부를 통하여 제1덕트(61)의 타측으로 분출하게 된다. 상기 제1덕트(61)는 송풍수단(51)을 통하여 분출되는 공기를 타측으로 흐르게 한다. 상기 제1덕트(61)의 타측은 상면(61c)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공기의 속도가 감소되지 않게 된다. 상기 공기분산망(80)은 공기통로(19)로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전체적으로 감소시켜 균일하게 한다. 상기 공기분산망(80)의 제1금속망(81)을 통과한 공기들의 압력이 균일하게 되어 공기통로(19)로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1금속망(81)에 기액분리막(82)이 형성된 경우에 기액분리막(82)도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 저항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제2금속망(85)은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공기통로(19)를 통과한 공기의 압력 저항을 증가시키므로, 스택을 통과하는 공기의 압력은 보다 균일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통로(19)로 공급된 공기들은 균일한 속도로 각 공기통로(19)를 통과하게 되며 공기의 유량이 균일하게 된다. 즉, 상기 스택(10)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폭 방향과 길이방향으로 공기통로(19)에 공급되는 공기의 속도가 균일하게 되며 공기통로(19)로 유입되는 양도 균일하게 된다. 도 8에서 나타내는 공기의 속도분포는 공기통로의 하부에서 공기통로를 통과한 공기들에 대한 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공기통로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은 공기의 속도와 공기통로의 단면적의 곱에 비례하게되므로 공기의 속도를 측정하여 공기의 유량을 산출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통로(19)를 통과하는 공기들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되므로, 각 공기통로(19)별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도 균일하게 된다. 수치적으로는, 상기 공기분산망(80)을 설치한 경우에 스택(10)의 하부에서 측정한 공기의 속도에 대한 위치별 편차가 4cm/s 정도로 매우 작게 나타나고 있다. 한편, 상기 공기분산망(80)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스택의 위치별 공기의 속도 편차는 30cm/s 정도로 측정된다.
한편, 상기 히트파이프(90)는 제1금속망(81)과 제2금속망(85)에 접촉되어 열을 제1금속망(81)으로 전도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스택(1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효율과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제1덕트(61)를 통과한 공기는 스택(10)의 하부로 흘러 제2덕트(71)의 공기유입구(73)를 통하여 제2덕트(71)로 유입된다.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16)의 공기통로(19)는 수직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보다 원활하게 공기가 흐르게 된다. 상기 제2덕트(71)는 일측이 스택(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스택(1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타측으로 흐르게 한다. 이때, 상기 제2덕트(71)는 내부 높이가 일단(71a)에서 타단(71b)으로 갈수록 증가되므로 스택(10)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일단(71a)으로부터 타단(71b)으로 원활하게 흐르게 된다. 상기 제2덕트(7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흐르는 공기는 타단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7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에 의하면 상면이 경사진 덕트내부에서 스택의 공기통로 상부에 공기분산망이 설치되어 스택의 공기통로로 공급되는 공기 압력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공기통로에서의 공기 속도와 공기 유량을 보다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전해질막과 상기 전해질막의 양측에 형성되는 캐소드전극과 애노드 전극을 구비하는 막-전극 어셈블리와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의 양측에 배치되는 바이폴라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다수의 단위셀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스택과 연료공급수단과 공기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택의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상기 캐소드 전극과 접하는 면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공기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공급수단은 상기 스택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덕트로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수단과, 상기 덕트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스택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균일하게 되도록 금속망으로 형성되는 공기분산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공기통로는 스택의 상부에서 하부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스택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덕트와 상기 스택의 하부에 설 치되는 제2덕트를 구비하며,
    상기 송풍수단은 상기 제1덕트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는 일측의 내부에 상기 송풍수단이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스택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덕트의 일측의 상면에 상기 송풍수단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흡입구와, 타측의 하면에 상기 스택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공기를 스택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의 타측 상면은 내부 높이가 상기 송풍수단이 설치된 일측으로부터 타단으로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덕트는 상면에 상기 스택의 하부 영역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공기유입구와 타단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측 의 하면에 상기 스택의 하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공기를 스택으로 공급하는 공기공급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덕트의 하면은 내부 높이가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증가되도록 소정의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덕트의 하면은 상기 제1덕트의 상면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산망은 상기 스택의 상부에서 바이폴라 플레이트의 공기통로가 형성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는 제1금속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망은 상기 공기공급구를 전체적으로 차폐하도록 공기공급구에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산망은 상기 제2덕트의 공기배출구를 전체적으로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제2금속망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산망은 금속시브 또는 일면에서 타면으로 공기가 관통될 수 있는 금속 다공성 폼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산망은 구멍의 크기가 상기 공기통로의 크기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속망은 일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기액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속망은 일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기액분리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액분리막은 사불화폴리에틸렌(PTFE), 실리콘 수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의 재질에 의한 기액분리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상기 제1금속망과 제2금속망에 연결되는 히트파이프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제1금속망의 폭에 상응하는 영역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바 또는 봉 또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제1금속망의 폭에 상응하는 폭과 소정 두께를 갖는 하나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스택과의 사이에 전기절연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은 블로워 또는 팬을 구비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 시스템은 직접메탄올 연료전지 시스템 또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KR1020050099280A 2005-10-20 2005-10-20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KR20070043241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280A KR20070043241A (ko) 2005-10-20 2005-10-20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EP06122590A EP1777770B1 (en) 2005-10-20 2006-10-19 Semi-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US11/585,346 US8257878B2 (en) 2005-10-20 2006-10-19 Semi-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DE602006016389T DE602006016389D1 (de) 2005-10-20 2006-10-19 Teilpassives Brennstoffzellensystem
JP2006286242A JP5241092B2 (ja) 2005-10-20 2006-10-20 セミパッシブ型燃料電池システム
CNB2006101528212A CN100505399C (zh) 2005-10-20 2006-10-20 半被动型燃料电池***
US13/492,712 US20120295179A1 (en) 2005-10-20 2012-06-08 Semi-passive type fuel cel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280A KR20070043241A (ko) 2005-10-20 2005-10-20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241A true KR20070043241A (ko) 2007-04-25

Family

ID=38059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280A KR20070043241A (ko) 2005-10-20 2005-10-20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43241A (ko)
CN (1) CN10050539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873B1 (ko) * 2007-05-07 2009-0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공기호흡형 연료전지 스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03049B1 (en) * 2009-02-27 2016-11-09 LG Chem, Ltd. Medium- to large-size battery pack case having improved uniformity of distribution of coolant flow
CN102163761A (zh) * 2011-02-28 2011-08-24 徐献芝 锌氧动力电池
GB2501700A (en) * 2012-05-01 2013-11-06 Intelligent Energy Ltd Fuel cell stack assembly
US9478819B2 (en) * 2014-12-19 2016-10-25 Fuelcell Energy, Inc. High-efficiency molten carbonate fuel cell system and method
CN110429296A (zh) * 2019-08-26 2019-11-08 广东国鸿氢能科技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双极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873B1 (ko) * 2007-05-07 2009-0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공기호흡형 연료전지 스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05399C (zh) 2009-06-24
CN1953254A (zh)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1092B2 (ja) セミパッシブ型燃料電池システム
US8227129B2 (en) Passive micro fuel cell
US8211582B2 (en) Fuel cell system
KR20070043241A (ko)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EP1852931B1 (en) Separator for Fuel Cell
JP2009123680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09037759A (ja) 燃料電池
JP2022144830A (ja) 電気化学式水素ポンプ
KR100627373B1 (ko) 연료 전지용 스택
JP2006190674A (ja) 液体燃料の混合装置および直接液体燃料電池システム
JP5059416B2 (ja) 燃料電池
JP2003223922A (ja)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KR20070043242A (ko)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KR20070095510A (ko)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KR20070095509A (ko)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KR20070043240A (ko)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KR101126203B1 (ko) 연료 전지 스택 및 이를 구비한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599775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의 스택
KR20070043099A (ko)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JP2006100016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KR20080034722A (ko) 세미 패시브형 연료전지 시스템
KR100599777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이의 스택
KR20070073531A (ko) 연료 전지
JP2007234313A (ja) 反応ガス用加湿装置
JP200725799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