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1210A -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dmb 데이터 서버, 및 광대역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dmb 데이터 서버, 및 광대역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1210A
KR20070041210A KR1020050097112A KR20050097112A KR20070041210A KR 20070041210 A KR20070041210 A KR 20070041210A KR 1020050097112 A KR1020050097112 A KR 1020050097112A KR 20050097112 A KR20050097112 A KR 20050097112A KR 20070041210 A KR20070041210 A KR 20070041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and
service
dmb
addi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3959B1 (ko
Inventor
조삼모
함영권
안충현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9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3959B1/ko
Priority to EP06769135A priority patent/EP1946547A4/en
Priority to PCT/KR2006/002568 priority patent/WO2007043745A1/en
Publication of KR2007004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3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3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8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broadcast of plural pieces of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which locates resources of other pieces of information, e.g.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DMB 데이터 서버, 및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주파수대역의 한계로 인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기존의 DMB 송수신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별도의 추가 대역을 제공함으로써 고효율 및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DMB 데이터 서버, 및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기본 대역)을 가지는 기본 DMB 송신 시스템과 상기 기본 대역과는 다른 범위의 주파수대역(추가 대역)을 가지는 추가 DMB 방송시스템을 통하여, 광대역의 DMB 데이터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마다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기 위한 대역 확인 수단; 및 상기 대역 확인 수단에서의 대역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상기 기본 DMB 송신 시스템 또는 상기 추가 DMB 송신 시스템 중에서 상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시스템으로 분배하기 위한 데이터 분배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DMB 송수신 시스템에서의 대역폭 확장 등에 이용됨.
DMB 송수신 시스템, DMB, DAB, 대역폭 확장, 기본 대역, 추가 대역, 데이터서비스 관리, 데이터 결합

Description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DMB 데이터 서버, 및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Data Service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frequency bandwidth, DMB Data Server using it, and DMB Receiving System for Broadband Data Servic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에서의 주파수 대역 확장 방법에 대한 개념설명도,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확장한 경우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을 이용하는 형태에 대한 설명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DMB 데이터 서버의 일실 시예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1: 데이터 서비스 관리 장치 42, 62: 기본 DMB 송신 시스템
43: 추가 DMB 송신 시스템 61: 추가 데이터 서버
81: 기본 RF 처리부 82: 기본 기저대역 처리부
83: 추가 RF 처리부 84: 추가 기저대역 처리부
85, 93: 데이터 디코더 91: 광대역 RF 처리부
본 발명은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데이터 서버, 및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파수대역의 한계로 인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기존의 DMB 송수신 시스 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별도의 추가 대역을 제공함으로써 고효율 및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DMB 데이터 서버, 및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상파 DMB 시스템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시스템의 전송 인프라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비교적 에러에 강하도록 설계한 시스템으로서, 이동 중에도 안정적인 동영상 및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여 차량 및 휴대폰 등 이동용 수신기를 주 목표로 하는 서비스에 적합한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지상파 DMB 시스템은 초기에 오디오 위주의 서비스를 목표로 하였기 때문에, 대역폭이 1.5 Mbps로 한정되어 있어서(이로 인하여 약 1Mbps 정도의 데이터 전송능력을 갖게 됨) SD(Standard Definition)급의 비디오 전송 등 대용량 데이터 서비스가 불가능하고, 또한 90년대 초에 개발된 표준이라 변조방식도 현재의 변조방식보다는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주파수대역의 한계로 인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기존의 DMB 송수신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별도의 추가 대역을 제공함으로써 고효율 및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DMB 데이터 서버, 및 광대역 데이터 서 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기본 대역)을 가지는 기본 DMB 송신 시스템과 상기 기본 대역과는 다른 범위의 주파수대역(추가 대역)을 가지는 추가 DMB 방송시스템을 통하여, 광대역의 DMB 데이터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마다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기 위한 대역 확인 수단; 및 상기 대역 확인 수단에서의 대역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상기 기본 DMB 송신 시스템 또는 상기 추가 DMB 송신 시스템 중에서 상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시스템으로 분배하기 위한 데이터 분배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DMB 데이터 서버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마다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여, 기본 대역에서 처리 가능한 서비스데이터는 기본 DMB 송신 시스템으로 바이패스 시키고, 추가 대역에서 처리 가능한 서비스데이터는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 관리 수단; 및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DMB 규격에 따라 처리하여 DMB 방송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중간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RF 처리 수단; 상기 RF 처리 수단에서 변환된 I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기저대역 처리 수단; 상기 기저대역 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디코딩하되, 송신측에서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되어 서비스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 결합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디코딩 수단; 및 상기 데이터 디코딩 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서비스 디코딩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기본 대역)을 가지는 기본 DMB 송신 시스템과 상기 기본 대역의 상위 또는 하위 대역을 주파수대역(추가 대역)으로 가지는 추가 DMB 방송시스템을 통하여, 광대역의 DMB 데이터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마다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는 대역 확인 단계; 상기 대역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기본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이면,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상기 기본 DMB 송신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기본대역 처리 단계; 상기 대역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추가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이면,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상기 추가 DMB 송신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추가대역 처리 단계; 및 상기 대역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을 모두 이용하면,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전송속도에 따라 상기 기본 DMB 송신 시스템 또는 상기 추가 DMB 송신 시스템 중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DMB 송신 시스템으로 분배하는 광대역 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상파 DMB에서의 주파수 대역 확장 방법에 대한 개념설명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1.5 MHz로 할당되어 있는 지상파 DMB의 주파수 대역(기본 대역)에 별도의 대역을 추가함으로써, 전체 대역폭(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의 합)을 3 MHz 또는 TV 대역폭인 6 MHz로 확장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에 따라 주파수 대역을 확장한 경우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을 이용하는 형태에 대한 설명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의 설명과 관련해서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은 간단히 '단말기'라 한다.
도 2는 서비스나 단말기 별로 기본 대역 또는 추가 대역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는 형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동일한 서비스 또는 동일한 단말기가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을 모두 사용하는 형태를 나타낸다.
도 2의 경우, 기본 대역만을 이용하는 서비스 A는 기존 단말기A(기본대역만 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 새로운 단말기B(기본대역과 추가대역을 모두 지원하는 단말기)에서 모두 수신이 가능하고, 새로운 대역(추가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 B는 새로운 단말기 B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 3의 경우는 새로운 단말기가 기본 대역 및 새로운 추가 대역 모두를 통해 수신되는 서비스 C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이때 송신 측에서는 데이터 서비스의 필요 용량 또는 서비스의 효율성에 따라 기본 대역과 새로운 대역(추가 대역)을 함께 사용하도록 다중화하여 송신하게 된다. 즉, 어떤 서비스가 기본 대역 전체 또는 기본 대역에서 남아 있는 용량으로는 처리할 수 없을 경우에는, 새로운 추가 대역에서 남아 있는 서비스 용량을 확인하여 수용가능하면, 두 개의 대역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나누어 서비스하게 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41), 기본 DMB 송신 시스템(42), 및 추가 DMB 송신 시스템(4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기본 DMB 송신 시스템(42)은 기본 대역(예를 들면, 1.5 MHz) 내에서 DMB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여 송신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 서버(421)와 기본 송신 시스템(422)으로 구성된다. 한편, 추가 DMB 송신 시스템(43)은 추가 대역 내에서 DMB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여 송신하기 위한 추가 데이터 서버(431)와 추가 송신 시스템(4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추가 대역이란 기본 대역 옆의 대역(상위 또는 하위 대역)으로서 전체 대역폭을 3MHz로 하는 경우는 1.464MHz의 대역폭을 갖게 하고, 전체 대역폭을 6MHz로 하는 경우는 4.464MHz의 대역폭을 갖게 한 다. 그리고,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 간의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적절한 크기의 가드밴드(Guardband)를 둘 수도 있다.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41)는 기본 데이터 서버(421)와 추가 데이터 서버(431)의 앞 단에 위치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기본 데이터 서버(421)와 추가 데이터 서버(431) 중 어느 쪽으로 송출할 것인지를 판단하고, 특정 고용량의 서비스의 경우에는 데이터를 나누어 양쪽 시스템 모두를 통하여 송출한다.
한편, 추가 송신 시스템(432)은 기본 송신 시스템(422)이 이용하는 DQPSK-COFDM 방식과 동일하게 사용하면서 대역의 크기에 따른 서브-캐리어(sub-carrier)의 수만 증가 또는 감소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추가 송신 시스템(432)은 기본 송신 시스템(422)이 이용하는 COFDM 방식과 동일하게 사용하면서 DQPSK 방식보다 고효율의 다른 변조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는, 추가 송신 시스템(432)은 기본 송신 시스템(422)이 이용하는 DQPSK 및 COFDM 방식과는 다른 고효율의 변조 방식 또는 CDM(Code Division Multiplexing)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에서 하기로 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로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데이터서비스 관리 방법도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41)는 광대역의 데이터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역 확인부(51)와 데이터 분배부(52)로 구성된다.
대역 확인부(51)는 데이터 서비스마다 그 서비스에서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확인한다. 즉, 대역 확인부(51)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기본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인지, 추가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인지, 아니면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을 함께 이용하는 서비스인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데이터 분배부(52)는 대역 확인부(51)에서의 대역 확인 결과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기본 DMB 송신 시스템(42) 또는 추가 DMB 송신 시스템(43) 중 해당하는 시스템으로 분배한다.
즉, 데이터 분배부(52)는 기본 대역을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데이터(DMB 송신 시스템을 통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기본 DMB 송신 시스템(42)으로 전달하고, 추가 대역을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데이터를 추가 DMB 송신 시스템(43)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데이터 분배부(52)는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데이터의 전송속도에 따라 기본 DMB 송신 시스템(42) 또는 추가 DMB 송신 시스템(43) 중 서비스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DMB 송신 시스템으로 분배한다.
또한, 데이터 분배부(52)는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서는 해당 DMB 송신 시스템으로 분배되는 데이터에 '두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서비스의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와 수신측에서의 데이터 결합을 위한 시퀀스 정보를 부가하여, 해당 DMB 송신 시스템으로 분배한다. 그러면, 기본 데이터 서버(421)와 추가 데이터 서버(431)는 DMB 규격에 따라 DMB 방송신호를 생성할 때 상기 식별정보와 시퀀스정보를 고속정보채널(FIC) 내에 삽입하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6에서는 도 4와 달리 데이터 서비스 관리 장치를 따로 두지 않고, 추가 데이터 서버(즉, DMB 데이터 서버)(61)가 서비스 관리 기능을 담당한다.
여기서 추가 데이터 서버(61)는 기존 시스템을 통해 송출될 데이터는 기본 데이터 서버(621)로 바이패스(bypass) 시키고, 추가 송신 시스템(63)을 통해 송출될 데이터는 자체적으로 DMB 규격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 한 후 추가 송신 시스템(63)으로 보낸다. 이 때에도 고용량 데이터 서비스나 기본 시스템과 추가 시스템을 모두 이용하여 송출해야 될 특정 서비스의 경우에는 추가 데이터 서버(61)가 데이터를 나누어 두 시스템을 통하여 송출되게 한다.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에 대한 설정 방법과 추가 송신 시스템(63)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의 도 7에서 하기로 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DMB 데이터 서버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DMB 데이터 서버(도6, 도 7에서의 추가 데이터 서버)(61)는 데이터 서비스 관리 장치(41)의 서비스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서비스 관리부(71)와 추가 데이터 서버(431)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부(72)로 구성된다.
여기서, 데이터 서비스 관리부(71)는 광대역의 데이터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역 확인부(711)와 데이터 분배부(712)로 구성된다.
대역 확인부(711)는 데이터 서비스마다 그 서비스에서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는 도 5에서의 대역 확인부(5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데이터 분배부(712)는 대역 확인부(711)에서의 대역 확인 결과에 따라,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기본 DMB 송신 시스템(42)으로 전달하거나, 또는 자체 처리를 위해 데이터 처리부(72)로 전달한다.
보다 상세하게, 데이터 분배부(712)는 기본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데이터를 기본 DMB 송신 시스템(42)으로 바이패스 시키고, 추가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데이터 처리부(72)로 전달한다.
그리고, 데이터 분배부(712)는 기본 대역과 상기 추가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데이터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72) 또는 기본 DMB 송신 시스템(42)으로 분배한다.
또한, 데이터 분배부(712)는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서는 분배되는 데이터에 '두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서비스의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와 수신측에서의 데이터 결합을 위한 시퀀스 정보를 부가한다. 그러면, 기본 데이터 서버(621)와 데이터 처리부(72)는 DMB 규격에 따라 DMB 방송신호를 생성할 때 상기 식별정보와 시퀀스정보를 고속정보채널(FIC) 내에 삽입 하게 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시스템(도 4 내지 도 7)을 통하여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수신 시스템에서도 이를 위한 특별한 디코딩 방식이 필요하다. 지상파DMB 신호를 검출하여 특정 서비스가 양 쪽 대역(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을 모두 이용한다고 판단하면, 각각의 대역에서 디코딩한 후 두 개로 분리된 데이터를 하나로 합하여 응용서비스 디코딩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본 RF처리부(81)와 추가 RF처리부(83)가 각각의 주파수 대역 범위 내에서 지상파DMB RF신호를 수신하여 중간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면, 기본 기저대역 처리부(83)와 추가 기저대역 처리부(84)는 각각의 RF 처리부(81, 83)에서 출력되는 I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만약 송신측의 추가 송신 시스템(432, 63)이 기본 송신 시스템(422, 622)이 이용하는 DQPSK 및 COFDM 방식과 다른 방식을 사용한 경우에는, 수신측의 추가 RF처리부(83)와 추가 기저대역 처리부(84)도 송신측의 방식에 부합되게 처리하도록 구성해야 한다.
그러면, 데이터 디코더(85)는 기저대역 신호를 디코딩하는데, 만약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각각의 대역에 대해서 디코딩한 후, 그 디코딩된 데이터를 결합한다. 이 때, 데이터 디코더(85)는 디코딩시 FIC 내에 있는 식별정보(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임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와 수신측에서의 데이터 결합을 위한 시퀀스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 결합에 이용한다.
응용서비스 디코더(86)는 데이터 디코더(85)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용 서비스(예를 들면, 지리정보 서비스 등)를 제공한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신 시스템은 두 개의 RF처리부를 이용하지 않고 두 대역을 모두 수신할 수 있는 광대역(3 MHz 또는 6 MHz)의 RF처리부(91)를 이용하여 지상파DMB RF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지상파DMB RF신호는 하나의 기저대역 처리부(92)에서 기저대역신호로 변환된 후, 데이터 디코더(93)와 응용서비스 디코더(94)를 통하여 디코딩되어 서비스된다.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송신측에서 두 대역으로 분리되어 송신된 경우에는, 광대역 RF 처리부(91)와 기저대역 처리부(92)를 거쳐 각각의 대역 범위 내에서 처리되어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된 후, 데이터 디코더(93)에서 디코딩된 다음 원래대로 데이터 결합된다. 데이터 결합 과정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응용서비스 디코더(94)는 데이터 디코더(93)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용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도 4 내지 도 9를 통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지상파DMB 시스템보다 향후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용하기 위해 좀 더 대역폭 이 넓은 시스템이 요구될 때, 최종적인 3 MHz 또는 6 MHz의 지상파 DMB 시스템으로 교체되기 전에, 1.5 MHz 대역을 이용하는 기존 DMB 시스템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SDR(Software Defined Radio) 기술 등을 적용하면 새로운 시스템으로 변경할 필요없이 용이하고도 저렴하게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지상파 DAB/DMB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지상파 DMB 시스템의 전송 대역폭을 확장하고 그 확장된 대역폭에 고효율의 변조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향후에 요구되는 고효율 및 대용량의 데이터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1.5 MHz 대역폭을 사용하는 DMB 시스템 및 그 수신기를 지원하면서도, 3 MHz 또는 TV 채널폭인 6 MHz까지로 전송 대역폭을 확장하여 전송할 수 있게 함으로써, 향후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소정의 주파수 대역(기본 대역)을 가지는 기본 DMB 송신 시스템과 상기 기본 대역과는 다른 범위의 주파수대역(추가 대역)을 가지는 추가 DMB 방송시스템을 통하여, 광대역의 DMB 데이터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마다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기 위한 대역 확인 수단; 및
    상기 대역 확인 수단에서의 대역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데이터 서비스의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상기 기본 DMB 송신 시스템 또는 상기 추가 DMB 송신 시스템 중에서 상기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시스템으로 분배하기 위한 데이터 분배 수단
    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확인 수단은,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기본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인지, 추가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인지, 또는 상기 기본 대역과 상기 추가 대역을 함께 이용하는 서비스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대역은,
    상기 기본 DMB 송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인 기본 대역 옆의 소정의 범위 내의 상위 대역 또는 하위 대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대역 확인 수단에서의 대역 확인 결과, 상기 기본 대역을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데이터를 상기 기본 DMB 송신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상기 추가 대역을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데이터를 상기 추가 DMB 송신 시스템으로 전달하며, 상기 기본 대역과 상기 추가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데이터의 전송속도에 따라 상기 기본 DMB 송신 시스템 또는 상기 추가 DMB 송신 시스템 중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DMB 송신 시스템으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기본 대역과 상기 추가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서는 해당 DMB 송신 시스템으로 분배되는 데이터에, '두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서비스의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와 수신측에서의 데이터 결합을 위한 시퀀스 정보를 부가하여, 해당 DMB 송신 시스템으로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6.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DMB 데이터 서버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마다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여, 기본 대역에서 처리 가능한 서비스데이터는 기본 DMB 송신 시스템으로 바이패스 시키고, 추가 대역에서 처리 가능한 서비스데이터는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서비스 관리 수단; 및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수단으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DMB 규격에 따라 처리하여 DMB 방송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
    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DMB 데이터 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관리 수단은,
    데이터 서비스마다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기 위한 대역 확인 수단; 및
    상기 기본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데이터를 상기 기본 DMB 송신 시스템으로 바이패스 시키고, 추가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데이터를 자체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으로 전달하며, 상기 기본 대역과 상기 추가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서비스에 대해서는 서비스데이터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 또는 상기 기본 DMB 송신 시스템으로 분배하기 위한 데이터 분배 수단
    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DMB 데이터 서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분배 수단은,
    상기 기본 대역과 상기 추가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해서는 해당 DMB 송신 시스템으로 분배되는 데이터에 '두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서비스의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와 수신측에서의 데이터 결합을 위한 시퀀스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DMB 데이터 서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수단은,
    상기 DMB 방송신호의 생성시, 고속정보채널(FIC) 내에 상기 식별정보와 상기 시퀀스정보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DMB 데이터 서버.
  10.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중간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RF 처리 수단;
    상기 RF 처리 수단에서 변환된 I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기저대역 처리 수단;
    상기 기저대역 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디코딩하되, 송신측에서 주파수 대역에 따라 분리되어 서비스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 결합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디코딩 수단; 및
    상기 데이터 디코딩 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서비스 디코딩 수단
    을 포함하는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디코딩 수단은,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디코딩 과정 중에 고속정보채널(FIC)에서 '두 대역을 모두 이용하는 서비스의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와 데이터 결합을 위한 시퀀스 정보를 추출하여 데이터 결합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RF 처리 수단은,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으로 분리하여 RF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기본 대역용 RF 처리 수단과 추가 대역용 RF 처리 수단으로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대역 처리 수단은,
    상기 기본 대역용 RF 처리 수단과 상기 추가 대역용 RF 처리 수단에서 출력 되는 신호를 개별적으로 기저대역 처리하기 위하여 RF 처리 수단마다 분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RF 처리수단은,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의 구분없이 무선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의 광대역 RF 처리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대역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
  15. 소정의 주파수 대역(기본 대역)을 가지는 기본 DMB 송신 시스템과 상기 기본 대역의 상위 또는 하위 대역을 주파수대역(추가 대역)으로 가지는 추가 DMB 방송시스템을 통하여, 광대역의 DMB 데이터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서비스마다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는 대역 확인 단계;
    상기 대역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기본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이면,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상기 기본 DMB 송신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기본대역 처리 단계;
    상기 대역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추가 대역을 이용하는 서 비스이면,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상기 추가 DMB 송신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추가대역 처리 단계; 및
    상기 대역 확인 결과,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기본 대역과 추가 대역을 모두 이용하면, 해당 서비스데이터를 전송속도에 따라 상기 기본 DMB 송신 시스템 또는 상기 추가 DMB 송신 시스템 중 상기 서비스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DMB 송신 시스템으로 분배하는 광대역 처리 단계
    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확인 단계는,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의 전송속도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가 상기 기본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인지, 상기 추가 대역을 이용하는 서비스인지, 또는 상기 기본 대역과 상기 추가 대역을 함께 이용하는 서비스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방법.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광대역 처리 단계는,
    해당 DMB 송신 시스템으로 분배되는 서비스데이터에, '두 대역을 모두 이용 하는 서비스의 데이터'임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와 수신측에서의 데이터 결합을 위한 시퀀스 정보를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방법.
KR1020050097112A 2005-10-14 2005-10-14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dmb 데이터 서버, 및 광대역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 KR100733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112A KR100733959B1 (ko) 2005-10-14 2005-10-14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dmb 데이터 서버, 및 광대역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
EP06769135A EP1946547A4 (en) 2005-10-14 2006-06-30 DATA SERVICE MANAGEMENT DEVICE / FREQUENCY BAND EXTENSION METHOD AND DMB DATABASE SERVER USING SAID DEVICE AND METHOD AND DMB RECEIVER SYSTEM FOR BROADBAND DATA SERVICE
PCT/KR2006/002568 WO2007043745A1 (en) 2005-10-14 2006-06-30 Data service man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requency band extension and dmb data server using the same and dmb receiving system for broadband data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112A KR100733959B1 (ko) 2005-10-14 2005-10-14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dmb 데이터 서버, 및 광대역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1210A true KR20070041210A (ko) 2007-04-18
KR100733959B1 KR100733959B1 (ko) 2007-06-29

Family

ID=37942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112A KR100733959B1 (ko) 2005-10-14 2005-10-14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dmb 데이터 서버, 및 광대역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946547A4 (ko)
KR (1) KR100733959B1 (ko)
WO (1) WO20070437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557B1 (ko) * 2013-12-24 2015-07-20 전자부품연구원 Drm 방송 시스템의 송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2979B2 (ja) * 1997-02-26 2004-10-27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記録媒体
KR100288149B1 (ko) * 1997-08-25 2001-05-02 구자홍 광대역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장치
US7974255B2 (en) * 1999-09-15 2011-07-05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tream transmission with time and frequency diversity in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communication system
JP2001144703A (ja) * 1999-11-16 2001-05-25 Toshiba Corp データ放送に於ける番組運用方法及びデータ放送送出システム
JP2003060600A (ja) * 2001-08-20 2003-02-28 Sony Communication Network Corp データ送信方法とこの方法を利用可能な送信装置、データ受信方法とこの方法を利用可能な受信装置
US20040022326A1 (en) * 2002-07-30 2004-02-05 John Morrish Digital audio receiver
AU2003272752B2 (en) * 2002-09-27 2008-07-03 Ibiquity Digita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leaving signal bits in a digital audio broadcasting system
KR100585933B1 (ko) * 2003-08-20 200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US7230992B2 (en) * 2003-11-26 2007-06-12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to create hierarchical modulation in OFDM
KR100739218B1 (ko) * 2005-09-02 2007-07-13 노키아 코포레이션 광대역 전송으로 운반되는 전송 스트림에 대한 계층 모드를표시하는 방법, 시스템 및 네트워크 엔티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557B1 (ko) * 2013-12-24 2015-07-20 전자부품연구원 Drm 방송 시스템의 송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3959B1 (ko) 2007-06-29
EP1946547A1 (en) 2008-07-23
EP1946547A4 (en) 2012-06-06
WO2007043745A1 (en) 200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0423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CA2972073C (en) Systems and method for digital radio broadcast with cross platform reception
US20060039308A1 (en) Mobile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decoding broadcast service using the same
US81117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atting data signals in a digital audio broadcasting system
JP2005130460A (ja) 地域特化付加情報放送のためのディジタル放送システム及びその放送サービス方法
KR101394580B1 (ko) 디지털 방송 신호의 전송 방법, 전송 장치, 수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이의 전송 프레임 구조
KR20080005063A (ko) Ipdc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및 ipdc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AU2006256486A1 (en) Signaling network ID in TPS bits
TW200849875A (en) Digital broadcast service discovery correlation
KR101418292B1 (ko) Atsc-m/h 방송 서비스 송수신 시스템
KR100733959B1 (ko) 주파수 대역의 확장을 위한 데이터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방법과 그를 이용한 dmb 데이터 서버, 및 광대역 데이터서비스를 위한 dmb 수신 시스템
CN101584213B (zh) 在地面数字多媒体广播条件访问***中使用的传送和接收设备及方法
KR100856389B1 (ko)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 및 그방법
KR100831357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송신방법 및 수신방법
KR100691304B1 (ko) 응용프로그램의 모듈화를 이용한 dmb 응용프로그램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에 따른 dmb 방송 수신기및 그 방법
KR101721702B1 (ko) 부가 데이터의 패딩과 제거를 이용해서 고속으로 부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86335B1 (ko)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
CN101022305A (zh) T-mmb***中一种实用的灵活实现ldpc编码的指示的方法
KR20090063410A (ko) 방송 시스템에서의 신호 송신 방법 및 신호 수신 방법
KR20090056274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의 송신 방법 및 수신 방법
KR20080049494A (ko) Dmb 베이스밴드 수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