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0592A -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s play back by using digital media renderer in home network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s play back by using digital media renderer in home network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0592A
KR20070040592A KR1020050096111A KR20050096111A KR20070040592A KR 20070040592 A KR20070040592 A KR 20070040592A KR 1020050096111 A KR1020050096111 A KR 1020050096111A KR 20050096111 A KR20050096111 A KR 20050096111A KR 20070040592 A KR20070040592 A KR 20070040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media player
digital content
conten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61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17286B1 (en
Inventor
강승미
신호철
한영섭
김준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6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286B1/en
Publication of KR20070040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05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2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디어 컨트롤러와 미디어 재생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미디어 컨트롤러가 위치한 서비스 영역에 상응하는 미디어 재생기가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동을 하는 경우 미디어 컨트롤러의 위치에 따라 제1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던 컨텐츠의 재생 정보를 제2 미디어 플레이어로 전송하여 재생 중이던 컨텐츠를 이어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정에서 움직이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system for playing digital content using a media controller and a media player, and a method thereof, wherein a media player corresponding to a service area where a media controller is located provides digital content and the user mov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edia controller, the playback information of the content played in the first media player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media player to continuously provide the played content, so that the digital content can be conveniently used even when the user moves at home.

Description

미디어 재생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s Play Back by using Digital Media Renderer in Home Network System}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 using a media player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s Play Back by using Digital Media Renderer in Home Network System}

도 1은 DLNA 가이드라인에서 제정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주요 계층을 나타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jor layers of a home network system as enacted in DLNA guideline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medi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트롤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edi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기의 핸드 오버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procedure of a media p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M-NCF 41 : 통신부10: M-NCF 41: communication unit

20 : 미디어 서버(DMS) 42 : 위치 측정부20: media server (DMS) 42: position measuring unit

30 : 미디어 재생기(DMR) 43 : 제어부30: media player (DMR) 43: control unit

40 : 미디어 컨트롤러(DMC)40: Media controller (DMC)

본 발명은 미디어 컨트롤러와 미디어 재생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미디어 컨트롤러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a controller and method for playing digital content using a media controller and a media player.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는 홈 네트워크 상용화를 위한 공식적 협력체로서 2003년 6월 출범한 DHWG(Digital Home Working Group) 명칭을 변경하여 새롭게 출범한 것이다. DLNA는 이미 구축되어 있는 업계 표준에 기반하여 상호 호환이 가능한 플랫폼(Flatform)을 구축하고, 업계 간 컨버전스(Convergence)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DLNA는 가전제품, 개인용 컴퓨터(PC), 무선기기 등의 제조업체들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를 기반으로 업체의 가이드라인 도입을 촉진하고 있다. 여기서 UPnP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정보가전 기기 간에 복잡한 설정 절차 없이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로서, 한 기기가 가진 서비스를 다른 기기가 자동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다. Th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is the official partnership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home networks, and was newly launched under the name of the Digital Home Working Group (DHWG), which was launched in June 2003. DLNA aims to build interoperable platforms based on industry standards already in place and to achieve industry convergence. Such DLNA is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guidelines by companies based on Universal Plug and Play (UPnP), which is widely used by manufacturers of consumer electronics, personal computers (PCs), and wireless devices. UPnP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information appliances connected to a network without complicated setup procedures, and enables other devices to automatically find a service of one device.

한편, 가이드라인은 현제 버전 1.0까지 발표되었으며, 가이드라인 버전 1.0 은 가전제품, PC, 무선기기 사이의 유무선 홈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다른 브랜드와 제품 간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설계 원칙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가이드라인에 따라 설계된 제품들은 음악, 사진, 비디오 등의 미디어 콘텐츠(Media Contents)를 홈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공유할 수 있게 된다.In the meantime, the guideline has been released up to version 1.0, and the guideline version 1.0 provides design principles for sharing content between different brands and products through wired and wireless home networks between consumer electronics, PCs and wireless devices. As a result, products design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will be able to share media content, such as music, photos, and videos, over a home network.

이와 같은 DLNA는 현재 삼성전자를 비롯하여 후지쓰, 게이트웨이, HP, 인텔, IBM, 켄우드, 레노보, 마이크로소프트, NEC, 노키아, 파나소닉, 마쓰시타, 필립스, 샤프, 소니, ST마이크로, 톰슨 등 DHWG를 창립한 17개사가 주도하고 있으며, 앞으로 140여개사가 참여할 예정이다. 이하 DLNA가 제시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Such DLNA has now formed DHWG including Samsung Electronics, Fujitsu, Gateway, HP, Intel, IBM, Kenwood, Lenovo, Microsoft, NEC, Nokia, Panasonic, Matsushita, Philips, Sharp, Sony, STMicro, Thompson, etc. The initiative is led by more than 140 companies. Hereinafter, the home network system proposed by DLNA will be described.

도 1은 DLNA 가이드라인에서 제정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주요 계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layers of a home network system as enacted by DLNA guideline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DLNA 가이드라인 버전 1.0에서 제정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네트워크 연결, 미디어 전송, 장치 등록 및 제어, 미디어 관리, 미디어 포맷 관리 등의 기능을 하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1, the home network system established in DLNA guideline version 1.0 performs functions such as network connection, media transmission, device registration and control, media management, and media format management.

네트워크 연결(Networking and Connectivity) 기능은 홈 네트워크 장치들의 통신과 관련된 기능이다. 이에 대하여 DLNA는 홈 네트워크 장치들이 기본적으로 IPv4를 지원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와 같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위상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장치들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홈 네트워크 장치들을 인터넷과 연결 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넷 프로토콜로서 유선 이더넷(Ethernet)인 802.3i, 802.3u와 무선 기술인 802.11a, 802.11b 및 802.11g의 솔루션이 있다.Networking and Connectivity is a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communication of home network devices. On the other hand, DLNA requires that home network devices natively support IPv4. When using an Internet protocol such as IPv4 (Internet Protocol version 4), all home network devices using networks of different topologies can be used, and each home network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Internet. These Internet protocols include 802.3i and 802.3u wired Ethernet and 802.11a, 802.11b and 802.11g wireless technologies.

미디어 전송(Media Transport)은 미디어 서버에서 미디어 플레이어로 미디어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LNA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이용하여 미디어를 스트리밍하도록 제정하고 있다. Media transport relates to a method of transferring media from a media server to a media player. DLNA is enacted to stream media using th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장치 등록 / 제어(Device Discovery, Control)는 홈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장치들을 자동적으로 검색, 환경 설정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환경 설정을 위하여 IP 주소를 할당하고, 현재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 현재 이용 가능 여부 등의 정보를 체크한다. DLNA에서는 UPnP 기술을 이용하여 장치 등록 / 제어 기능을 하도록 제정하였다.Device discovery and control means to automatically discover and configure devices on the home network. For example, an IP address is allocated for the environment setting, and information such as whether current power is supplied and currently available is checked. DLNA enacted the device registration / control function using UPnP technology.

미디어 관리(Media Management)는 홈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미디어 컨텐츠의 정보를 검색, 관리하게 하는 기능이다. DLNA에서는 UPnP A/V (Universal Plug and Play Audio / Video) 기술을 이용하여 미디어 관리를 하도록 규정한다. 상기 UPnP A/V 기술은 위에서 설명한 기능을 하기 위하여 미디어 서버와, 미디어 플레이어의 두 가지 장치를 정의한다. 이러한 장치들을 이용하여, UPnP A/V는 사용 가능한 컨텐츠 정보, 미디어 서버에서 컨텐츠를 미디어 플레이어로 전송하는 방법, 컨텐츠의 흐름 제어, 컨텐츠의 재생 방법 등을 관리하게 된다.Media management is a function that allows a home network device and an application program included in the device to search for and manage information on media content. DLNA requires UPnP A / V (Universal Plug and Play Audio / Video) technology to manage media. The UPnP A / V technology defines two devices, a media server and a media player, to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above. Using these devices, UPnP A / V manages the available content information,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content from the media server to the media player, the flow control of the content, the method of playing the content, and the like.

미디어 포맷 관리(Media Format)는 컨텐츠를 어떠한 방법으로 인코딩하고 전송, 재생할 것인지와 관련한 기능이다. DLNA는 미디어를 이미지, 음향, 동영상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하여 어떠한 인코딩 방법을 지원할 것인지 규정하고 있다. Media Format Management is a function related to how to encode, transmit and play content. DLNA divides media into images, sounds, and videos, and specifies which encoding method to support for each.

가정에는 일반적으로 독립된 공간이 존재하고, 각 공간마다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미디어 플레이어는 여러 종류가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위치 변경에 따라 제1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던 디지털 컨텐츠를 제2 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재생하고 싶은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제1 미디어 플레이어의 동작을 종료하고, 제2 미디어 플레이어에 전원을 공급한 후 스트리밍되던 컨텐츠의 위치를 검색하고, 디지털 서버로 하여금 그 시점부터 컨텐츠를 제2 미디어 플레이어로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이와 같은 절차를 사용자가 미디어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조작하였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다. 즉, 가정 내에 존재하는 장치들 사이에 컨텐츠에 대한 공유가 매우 힘들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In general, there are independent spaces in the home, and there are many kinds of media players that can play digital content in each space. In this case, there is a case where the digital content played in the first media player is desired to be played using the second media playe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user's position.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tes the operation of the first media player, supplies power to the second media player, retrieves the location of the streamed content, and causes the digital server to stream the content to the second media player from that point on. Control. Conventionally, this procedure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media controller.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sharing of content is very difficult among devices existing in the hom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치 추적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동을 하는 경우 제1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던 컨텐츠를 제2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이어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home control for controlling the playback of the content that was played in the first media player in the second media player when the user moves by using the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A network system and a service provid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미디어 서버,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유무에 따라 미디어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재생기, 및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미디어 서버로 하여금 상기 측정된 위치가 속한 서비스 영역을 관리하는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me network system includes a media server for streaming digital content, at least one media player for playing digital content streamed from the medi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located in its service area, and a current location. And a medi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media server to stream digital content to a media player that manages the service area to which the measured location belongs.

이 경우 미디어 컨트롤러는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와 미디어 재생기의 위치에 따라 각 미디어 재생기별 서비스 영역을 설정하고, 미디어 서버로 하여금 측정된 미디어 컨트롤러의 위치와 매칭되는 서비스 영역을 관리하는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측정된 위치에 따른 서비스 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미디어 서버로 하여금 측정된 위치와 가장 인접한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측정부는 위성 항법 장치(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개선된 시간차 측위법(E-OTD : 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TA법(Timing Advance) 등을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edia controller sets a service area for each media play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measuring unit and the media player measuring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media player manages the service area matching the position of the measured media controller by the media server. It may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o stream the digital content. In this case, if there is no service area according to the measured pos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edia server to stream the digital content to the media player closest to the measured position. In addition, the position measuring unit may measure the position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 enhanced observer time difference (E-OTD), a timing advance (TA) method, or the like.

미디어 컨트롤러는 제1 미디어 재생기의 제1 서비스 영역에서 제2 미디어 재생기의 제2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미디어 서버로 하여금 제2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미디어 컨트롤러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던 제1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여, 제2 미디어 재생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는 컨텐츠의 포맷 정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미디어 서버 정보 또는 제1 미디어 재생기가 스트리밍하던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와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며, 제2 미디어 재생기는 제1미디어 재생기가 스트리밍하던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When the media controller moves from the first service area of the first media player to the second service area of the second media player, the media controller controls the media server to stream digital content to the second media player. In this case, the media controller includes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media player that was playing the digital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media player. 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includes content format information, media server information streaming content, fram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content streamed by the first media player, and the second media player is used to stream the first media player. The digital content can be reproduced subsequently using the frame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of the conten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미디어 서버, 소정의 서비스 영역을 관리하며,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재생기 및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제1 미디어 재생기의 제1 서비스 영역에서 제2 미디어 재생기의 제2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미디어 서버가 제2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컨트롤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me network system manages a media server for streaming digital content, a predetermined service area, and measures at least one media player and current position for playing digital content streamed from the media server, And a media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media server to stream digital content to the second media player when moving from the first service area of the first media player to the second service area of the second media player.

이 경우 미디어 컨트롤러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던 제1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여, 제2 미디어 재생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는 컨텐츠의 포맷 정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미디어 서버 정보 또는 제1 미디어 재생기가 스트리밍하던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와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제2 미디어 재생기는 상기 제1미디어 재생기가 재생하던 디지털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media controller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receiving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from a first media player that has played digital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to a second media player, wherein 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includes format information and content of the content. It includes streaming media server information or fram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content that the first media player is streaming. In addition, the second media player subsequently plays the digital content played by the first media pl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은 미디어 재생기의 위치에 따라 각 미디어 재생기별 서비스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미디어 컨 트롤러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위치와 매칭되는 서비스 영역을 관리하는 미디어 재생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 미디어 서버가 상기 선택된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home network service, the method comprising: setting a service area for each media player according to a location of a media player, measuring a current location of a media controller, and matching a service area with the measured location; Selecting a media player to manage the digital server and the media server to play the digital content by streaming the digital content to the selected media player.

이 경우 미디어 컨트롤러의 현재 위치에 따른 서비스 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미디어 컨트롤러 위치와 가장 인접한 미디어 재생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트롤러가 사용자가 제1 미디어 재생기의 제1 서비스 영역에서 제2 미디어 재생기의 제2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미디어 서버가 제2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if there is no service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edia controller,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lecting a media player closest to the media controller location. In addition, the media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he media server streaming the digital content to the second media player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first service area of the first media player to the second service area of the second media player. have.

미디어 서버가 제2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는 미디어 컨트롤러가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던 제1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정보를 수신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제2 미디어 재생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는 컨텐츠의 포맷 정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미디어 서버 정보, 상기 제1 미디어 재생기가 스트리밍하던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와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제2 미디어 재생기는 제1 미디어 재생기가 재생하던 디지털 컨텐츠를 끊김없이 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The streaming of the digital content to the second media player by the media server may include receiving, by the media controller, the playback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from the first media player that was playing the digital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digital content to the second media player to be played. It may include. In this case, 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includes format information of the content, media server information streaming the content, fram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content streamed by the first media player, and the like. The digital content played by the media player can be played continuously without interrup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컨트롤러의 위치에 따른 미디어 재생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home network system and a method for playing content using a media player according to a position of a medi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medi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홈 네트워크는 M-NCF(Mobile-Network Connectivity Function)(10), 미디어 서버(20)(DMS : Digital Media Server), 미디어 재생기(30)(DMR : Digital Media Renderer), 미디어 컨트롤러(40)(Digital Media Controller)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media home network includes a mobile-network connectivity function (M-NCF) 10, a media server 20 (DMS: Digital Media Server), and a media player 30 (DMR: Digital Media Renderer). It may be configured as a media controller 40.

M-NCF(10)는 유무선 통신을 위한 일종의 네트워크 장비에 해당한다. 미디어 서버(20)는 오디오/비디오 컨텐츠를 스트리밍(Streaming)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 DLNA가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상기 미디어 서버(20)는 UPnP(Universal Plug and Play)의 미디어 서버가 내장되어 있는 서버용 디바이스이다. 상기 미디어 서버(20)는 디지털 컨텐츠를 DVD 매체, 또는 CD 매체 등을 통하여 제공받고 이를 미디어 재생기(30)로 스트리밍한다. 미디어 재생기(30)는 미디어 서버(2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오디오/비디오 컨텐츠를 수신하여 음성/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미디어 재생기(30)로 각종 TV, 오디오, 스피커 등이 있을 수 있다. 미디어 컨트롤러(40)는 컨트롤 포인터(Control Pointer)만을 독립시킨 장치로서, 사용자는 상기 미디어 컨트롤러(40)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컨트롤러(4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E-OTD(Enhanced-Observed Time Difference)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미디어 컨트롤러(4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미디어 컨트롤러(40)는 상기 측정된 위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미디어 재생기(30)를 선택하게 된다.The M-NCF 10 corresponds to a kind of network equipment for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he media server 20 corresponds to a component that streams audio / video content. According to the guidelines suggested by DLNA, the media server 20 is a server device in which a media server of UPnP (Universal Plug and Play) is embedded. The media server 20 receives digital content through a DVD medium or a CD medium and streams the digital content to the media player 30. The media player 30 is a device that receives audio / video content streamed from the media server 20 and outputs audio / video. The media player 30 may include various TVs, audio, speakers, and the like. The media controller 40 is a device in which only a control pointer is independent, and a user can operate a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media controller 40. In addition, the media controller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edia controller 40 by using a technology such a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or an enhanced-observed time difference (E-OTD). The media controller 40 selects the media player 30 to play digital content using the measured position.

이 경우 미디어 서버(20), 미디어 재생기(30), 미디어 컨트롤러(40)는 각각의 독립된 하드웨어를 의미하지 않는다. 이러한 장치들은 기능별로 구분을 한 것이며, 하나의 디바이스에 상기 미디어 서버(20), 미디어 재생기(30) 등이 공존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media server 20, the media player 30, and the media controller 40 do not mean independent hardware. These devices are classified by function, and the media server 20, the media player 30, and the like may coexist in one device.

먼저, 도 2에 도시된 서비스 영역(Service Area)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서비스 영역이란, 임의의 미디어 재생기(30)가 관리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즉, 미디어 컨트롤러(40)가 특정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게 되면, 그 서비스 영역을 관리하는 미디어 재생기(30)가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미디어 컨트롤러(40)가 서비스 영역 1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1 미디어 재생기(30A)가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한다. 만일 미디어 컨트롤러(40)가 서비스 영역 2에 위치한 경우에는 제2 미디어 재생기(30B)가 컨텐츠를 재생한다. 이러한 서비스 영역은 미디어 컨트롤러(40)가 수 개의 미디어 재생기(30)의 위치를 체크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수동으로 서비스 영역을 설정할 수도 있다.First, the service area illustrated in FIG. 2 will be described. The service area means an area managed by any media player 30. That is, when the media controller 40 is located in a specific service area, the media player 30 managing the service area plays digital content. For example, when the media controller 40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1 in FIG. 2, the first media player 30A plays digital content. If the media controller 40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2, the second media player 30B plays the content. This service area may be set by the media controller 40 checking the positions of several media players 30, or the user may manually set the service area.

물론, 사용자는 위에서 설명한 서비스 영역에 구속되지 않고 인위적으로 원하는 미디어 재생기(30)를 선택하여, 선택된 미디어 재생기(30)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미디어 컨트롤러(40)가 설정된 서비스 영역 외의 지역에 위치한 경우, 상기 미디어 컨트롤러(40)와 가장 근접한 미디어 재생기(30)로 하여금 컨텐츠를 재생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Of course, the user may select an artificially desired media player 30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service area described above, and use the content using the selected media player 30. In addition, when the media controller 40 is located outside the set service area, the media player 30 closest to the media controller 40 may play the content.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미디어 컨트롤러(40)를 가진 사용자가 이동하는 경우 다음의 방법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In the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having the media controller 40 moves, the digital content is provid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사용자가 거실에서 미디어 컨트롤러(40)를 조작하여, 서비스 영역 1에 존재하는 제1 미디어 재생기(30A)를 통하여 컨텐츠를 이용한다. 물론 이 때 디지털 컨텐츠는 DVD 플레이어와 같은 미디어 서버(20)를 통하여 스트리밍되며, 제1 미디어 재생기(30A)는 상기 스트리밍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영상과 음성 등을 출력할 것이다. 만일, 사용자가 미디어 컨트롤러(40)를 가지고 서비스 영역 2로 이동하는 경우 미디어 컨트롤러(40)는 그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게 된다. 미디어 컨트롤러(40)는 상기 측정 위치에 따른 서비스 영역을 다시 체크하고, 그 결과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미디어 재생기(30)를 선택하게 된다. 위의 예에서, 미디어 컨트롤러(40)는 이동 후 서비스 영역 2에 위치하므로, 그에 상응하는 제2 미디어 재생기(30B)가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영역 1의 제1 미디어 재생기(30A)는 재생하던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정보를 미디어 컨트롤러(40)를 통하여 제2 미디어 재생기(30B)로 전송한다.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미디어 재생기(30B)는 재생하던 디지털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 그 후 서비스 영역 1의 제1 미디어 재생기(30A)는 컨텐츠의 재생을 종료하게 된다.The user manipulates the media controller 40 in the living room to use the content through the first media player 30A existing in the service area 1. Of course, at this time, the digital content is streamed through a media server 20 such as a DVD player, and the first media player 30A receives the streamed content and outputs an image and an audio. If the user moves to the service area 2 with the media controller 40, the media controller 40 updates its location information. The media controller 40 checks the service area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position again, and selects the media player 30 to play the digital content according to the result. In the above example, since the media controller 40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2 after the movement, the corresponding second media player 30B provides the digital content to the user. To this end, the first media player 30A of the service area 1 transmits the playback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which has been played, to the second media player 30B through the media controller 40. Using the information, the second media player 30B may subsequently play the digital content that was being played back. Thereafter, the first media player 30A in the service area 1 ends the playback of the conten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트롤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medi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컨트롤러(40)는 통신부(41), 위치 측정부 (42), 제어부(43), 키 입력부(44) 및 메모리부(45)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media controller 4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41, a position measuring unit 42, a control unit 43, a key input unit 44, and a memory unit 45.

키 입력부(44)는 사용자가 미디어 재생기(30) 등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장치이다. 통신부(41)는 미디어 재생기(30), 미디어 서버 등 다른 모듈과의 통신을 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이러한 통신부(41)는 DLNA가 제정한 이더넷, IEEE 1394, 블루투스, 802.11b와 같은 네트워크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을 할 수 있다. 메모리부(45)는 사용자에 의하여 이미 설정되어 있는 서비스 영역 등의 위치 정보,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수신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정보 등을 저장하는 구성 요소에 해당한다.The key input unit 44 is a device that receives a command for the user to operate the media player 30 or the like. The communication unit 41 is a component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modules such as the media player 30 and the media server. The communication unit 41 may communicate using network technologies such as Ethernet, IEEE 1394, Bluetooth, and 802.11b established by DLNA. The memory unit 45 corresponds to a component that stores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a service area already set by the user, reproduction information of digital content received from the media player, and the like.

미디어 컨트롤러(40)는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위치 측정부(4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미디어 컨트롤러(40)는 이동 전화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 전화기는 이미 표준 특정 위치 지정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표준 위치 지정 기술로는 정밀한 개선된 관측 시간차법(E-OTD : 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과 같은 기술 또는 TA(Timimg Advance) 법을 사용하여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내 Cell ID를 얻는 기술 등이 존재한다. 또한, 이동 전화기가 아닌 일반 미디어 컨트롤러(40)의 경우에는 GPS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이 내장되어, 그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The media controller 40 includes a position measuring unit 42 to measure the position. For example, the media controller 40 can b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Such mobile telephones have already developed standard specific positioning techniques. These standard positioning techniques include precise techniques such as 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E-OTD) or techniques for obtaining Cell ID in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using the Timim Advance (TA) method. And the lik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general media controller 40, which is not a mobile phone, a module providing a GPS function may be built in to measure the position thereof.

제어부(4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컨트롤러(4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3)는 위치 측정부(42)가 측정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미디어 재생기(30)를 선택한다. 예를 들어, 미디어 컨트롤러(40)가 서비스 영역 1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 미디어 재생기(30A)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만일, 미디어 컨트롤러가 소정의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장 인접한 미디어 재생기로 하여금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물론, 상기 제어부(43)는 미디어 컨트롤러(40)의 이동에 따라 미디어 재생기의 핸드 오버 절차를 제어한다.The controller 43 i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control of the media controller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4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the media player 30 to play the digital content by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42. For example, when the media controller 40 exists in the service area 1, the media controller 40 controls to play the content by the first media player 30A. If the media controller does not exist in the predetermined area, the nearest media player controls to play the content. Of course, the controller 43 controls the handover procedure of the media player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media controller 4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재생기의 핸드 오버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andover procedure of a media pla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제1 미디어 재생기(30A)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다가(S401) 미디어 컨트롤러(40)를 가지고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다(S402). 미디어 컨트롤러(40)는 주기적으로 인접해 있는 미디어 재생기(30A, 30B)의 상태를 체크한다. 만일 미디어 컨트롤러(4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경우 미디어 컨트롤러(40)는 제1 미디어 재생기(30A)로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정보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403).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제1 미디어 재생기(30A)는 미디어 컨트롤러(40)로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S404).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로는 컨텐츠의 포맷 정보, 컨텐츠가 속하는 미디어 서버 정보, 제1 미디어 재생기가 스트리밍되던 프레임 정보와 그 시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미디어 컨트롤러(40)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미디어 재생기(30)를 검색한다(S405). 도 1의 예에서 미디어 컨트롤러(40)는 서비스 영역 2로 이동하였으므로 제2 미디어 재생기(30B)를 선택하게 된다(S406). 만일, 미디어 컨트롤러(40)의 위치에 상응하는 영역이 미리 설정되지 않은 경우라면, 미디어 컨트롤러(40)는 가장 인접한 미디어 재생기를 선택 할 수 있다. 미디어 컨트롤러(40)는 컨텐츠를 재생할 미디어 재생기(30)로 S404과정에서 수신한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를 전송한다(S407). 도 1의 예에서 미디어 컨트롤러(40)는 제2 미디어 재생기(30B)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다.The user plays the digital content using the first media player 30A (S401) and moves to another area with the media controller 40 (S402). The media controller 40 periodically checks the states of the adjacent media players 30A and 30B. If the position of the media controller 40 changes, the media controller 40 transmits a reproductio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f digital content to the first media player 30A (S403). Upon receiving the message, the first media player 30A transmits the re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to the media controller 40 (S404). 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ntent format information, media server information to which the content belongs, frame information on which the first media player is streamed, and time information thereof. The media controller 40 searches for the media player 30 to play the digital content (S405). In the example of FIG. 1, since the media controller 40 moves to the service area 2, the media controller 40 selects the second media player 30B (S406). I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edia controller 40 is not set in advance, the media controller 40 may select the nearest media player. The media controller 40 transmits 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404 to the media player 30 to reproduce the content (S407). In the example of FIG. 1, the media controller 40 transmits 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media player 30B.

일정 시간 이상 미디어 컨트롤러(40)가 속하는 서비스 영역이 변경되지 않는 경우, 제2 미디어 재생기(30B)는 디지털 컨텐츠의 스트리밍 프레임 정보를 이용하여, 이전에 재생하던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한다(S408). 미디어 컨트롤러(40)는 제1 미디어 재생기(30A)로 재생 종료 메시지를 전송하고(S409),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제1 미디어 재생기(30A)는 컨텐츠의 재생을 종료하게 된다.If the service area to which the media controller 40 belongs does not change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second media player 30B subsequently plays back the content previously played using the streaming frame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S408). The media controller 40 transmits a playback end message to the first media player 30A (S409), and the first media player 30A receiving the message ends playback of the content.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의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이용하여 작성된 예이다. 물론,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정보는 XML 뿐만 아닌 기타 언어를 이용하여 충분히 구현 가능하다.The re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of FIG. 5 is an example created using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Of course, the re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can be sufficiently implemented using not only XML but other languages.

<ContentsInfo>는 디지털 컨텐츠의 기본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는 부분이다. 그 중 <FriendlyName> 필드는 디지털 컨텐츠의 제목을 나타내며, <Description>은 디지털 컨텐츠가 속한 분야 정보를 포함한다.<ContentsInfo> is a part that contains basic information of digital content. Among them, the <FriendlyName> field represents the title of the digital content, and the <Description> includes field information to which the digital content belongs.

<ServerInfo>는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미디어 서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ServerInfo>의 <FriendlyName>는 미디어 서버의 명칭을 나 타내며, <ServerInfo>의 <Description>은 미디어 서버의 종류를 의미한다.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미디어 서버는 DVD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일반 VIDEO 등이 될 수 있다. <Area>는 미디어 서버가 존재하는 서비스 영역을 의미한다. <StreamPoint>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스트리밍되던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를 나타내내고 있다. 도 3의 예에서"I-Frame : 1821" 이라는 것은, 종전의 미디어 서버가 1821번째 프레임까지 컨텐츠를 스트리밍한 것을 의미한다. <Playtime>은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중단한 시점에서의 스트리밍 시간 정보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프레임 정보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재생기는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ServerInfo> includes information about a media server that streams digital content. Similarly, <FriendlyName> of <ServerInfo> represents the name of the media server, and <Description> of <ServerInfo> represents the type of media server. The media server for streaming digital content may be a DVD player, a CD player, a general video, or the like. <Area> means a service area where a media server exists. <StreamPoint> represents frame information of the streamed content when the user plays the content. In the example of FIG. 3, "I-Frame: 1821" means that the previous media server has streamed content to the 1821st frame. <Playtime> includes streaming time information when the streaming of the content is stopped. Of course, by using the frame information and the time information, the media player can play back content.

이상에서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미디어 컨트롤러가 위치에 따른 제어 절차를 수행하였지만, 미디어 컨트롤러의 소형화를 위하여 미디어 컨트롤러는 현재 위치만을 측정하고 미디어 서버와 같은 장치가 그에 따른 제어 절차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DLNA에 따른 가이드라인 버전 1.0뿐만 아니라 추후 DLNA가 제정할 가이드라인 버전 1.5 등에서 제정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one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a controller performs the control procedure according to the position, but for the miniaturization of the media controller, the media controller may measure only the current position and allow a device such as a media server to perform the control procedure accordingly. . In addition, the home network system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not only guideline version 1.0 according to DLNA but also home network system established in guideline version 1.5 to be established later by DLNA.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디어 컨트롤러와 인접한 미디어 재생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미디어 컨트롤러가 위치한 서비스 영역에 따라 미디어 재생기를 선택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고, 특히 미디어 컨트롤러를 가진 사용자가 이동을 하는 경우 제1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던 컨텐츠를 제2 미디어 플레이어에서 재생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이용하던 컨텐츠를 끊김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content using the media player adjacent to the media con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content may be selected by selecting the media player according to the service area where the media controller is located. When the user having the media controller moves, the content played in the first media player is played in the second media player, so that the user can continue to use the content conveniently used.

Claims (19)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In a home network system,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미디어 서버;A media server for streaming digital content; 자신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유무에 따라,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재생기; 및At least one media player for playing digital content streamed from the media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 user located in its service area; And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 하여금 상기 측정된 위치가 속한 서비스 영역을 관리하는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A media controller that measures a current location and controls the media server to stream digital content to a media player that manages the service area to which the measured location belong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미디어 컨트롤러는,The media controller, 상기 미디어 컨트롤러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 와A position measuring unit measur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media controller; Wow 미디어 재생기의 위치에 따라 각 미디어 재생기별 서비스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미디어 서버로 하여금 상기 측정된 미디어 컨트롤러의 위치와 매칭되는 서비스 영역을 관리하는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And setting a service area for each media play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edia player, and controlling the media server to stream digital content to a media player that manages the service area matched with the measured position of the media controller. Home network system.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위치에 따른 서비스 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로 하여금 상기 측정된 위치와 가장 인접한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edia server to stream digital content to the media player closest to the measured location when there is no service area according to the measured loca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위치 측정부는 위성 항법 장치(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개선된 시간차 측위법(E-OTD : 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TA 법(Timing Advanc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The position measuring unit measures a position using at least one of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EPS), 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E-OTD), and Timing Advance (TA). .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미디어 컨트롤러는,The media controller, 제1 미디어 재생기의 제1 서비스 영역에서 제2 미디어 재생기의 제2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로 하여금 제2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Moving from the first service area of the first media player to the second service area of the second media player, controlling the media server to stream digital content to the second media player.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미디어 컨트롤러는,The media controller,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던 제1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미디어 재생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media player that was playing the digital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media player.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는 컨텐츠의 포맷 정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미디어 서버 정보 또는 상기 제1 미디어 재생기가 스트리밍하던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와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format information of content, media server information streaming content, or fram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content streamed by the first media player.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2 미디어 재생기는 상기 제1미디어 재생기가 스트리밍하던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And the second media player continuously plays the digital content using fram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content streamed by the first media player.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In a home network system,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미디어 서버;A media server for streaming digital content; 소정의 서비스 영역을 관리하며, 상기 미디어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되는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재생기; 및At least one media player that manages a predetermined service area and plays digital content streamed from the media server; And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제1 미디어 재생기의 제1 서비스 영역에서 제2 미디어 재생기의 제2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가 제2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도록 제어하는 미디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A media controller that measures the current location and controls the media server to stream digital content to a second media player when moving from the first service area of the first media player to the second service area of the second media player; Home network system.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미디어 컨트롤러는,The media controller,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던 제1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미디어 재생기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media player that was playing the digital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media player.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는 컨텐츠의 포맷 정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미디어 서버 정보 또는 상기 제1 미디어 재생기가 스트리밍하던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와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format information of content, media server information streaming content, or fram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content streamed by the first media player.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2 미디어 재생기는 상기 제1미디어 재생기가 스트리밍하던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And the second media player continuously plays the digital content using fram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the content streamed by the first media player.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In the home network service providing method, 미디어 재생기의 위치에 따라 각 미디어 재생기별 서비스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service area for each media play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media player; 미디어 컨트롤러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위치와 매칭되는 서비스 영역을 관리하는 미디어 재생기를 선택하는 단계; 및Selecting a media player that measures a current location of a media controller and manages a service area that matches the measured location; And 미디어 서버가 상기 선택된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And playing, by the media server, the digital content by streaming the digital content to the selected media player.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미디어 컨트롤러의 현재 위치에 따른 서비스 영역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미디어 컨트롤러 위치와 가장 인접한 미디어 재생기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If there is no service area according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media controller, selecting the media player closest to the media controller location.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미디어 컨트롤러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는,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media controller, 위성 항법 장치, 개선된 시간차 측위 방법, TA 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A method of providing a home network service using at least one of a satellite navigation device, an improved time difference positioning method, and a TA method.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미디어 컨트롤러가 사용자가 제1 미디어 재생기의 제1 서비스 영역에서 제2 미디어 재생기의 제2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미디어 서버가 제2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If the user moves from the first service area of the first media player to the second service area of the second media player, the media controller further comprises streaming the digital content to the second media player. How to provide network services.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미디어 서버가 제2 미디어 재생기로 디지털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는,The media server streaming the digital content to the second media player, 상기 미디어 컨트롤러가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던 제1 미디어 재생기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정보를 수신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제2 미디어 재생 기로 전송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And receiving, by the media controller, the playback information of the digital content from the first media player that was playing the digital content, and transmitting the digital content to the second media player to be played.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디지털 컨텐츠 재생 정보는 컨텐츠의 포맷 정보, 컨텐츠를 스트리밍하는 미디어 서버 정보, 상기 제1 미디어 재생기가 스트리밍하던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와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And the digital content presentation information comprises at least one of format information of content, media server information streaming content, fram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content streamed by the first media player. 제1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2 미디어 재생기는 상기 제1 미디어 재생기가 스트리밍하던 컨텐츠의 프레임 정보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어서 재생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방법.And the second media player continuously plays the digital content using fram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content streamed by the first media player.
KR1020050096111A 2005-10-12 2005-10-12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s Play Back by using Digital Media Renderer in Home Network System KR1011172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111A KR101117286B1 (en) 2005-10-12 2005-10-12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s Play Back by using Digital Media Renderer in Home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6111A KR101117286B1 (en) 2005-10-12 2005-10-12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s Play Back by using Digital Media Renderer in Home Network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0592A true KR20070040592A (en) 2007-04-17
KR101117286B1 KR101117286B1 (en) 2012-03-22

Family

ID=3817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6111A KR101117286B1 (en) 2005-10-12 2005-10-12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s Play Back by using Digital Media Renderer in Home Network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7286B1 (en)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4219A (en) * 2007-10-31 2009-05-06 Symbian Software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a content to a reproduction apparatus
KR20120043360A (en) * 2010-10-26 2012-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media
KR20120072652A (en) * 2010-12-24 2012-07-0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of house in remote and method thereof
KR101240884B1 (en) * 2009-02-06 2013-03-08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Media file synchronization
KR101276846B1 (en) * 2011-04-22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control of media data
KR101292280B1 (en) * 2010-10-01 2013-08-01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in homenetwork environment
WO2014004174A1 (en) * 2012-06-25 2014-01-03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provide automatic wireless configuration
US8893232B2 (en) 2009-02-06 2014-11-1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dia monitoring system
KR101501923B1 (en) * 2007-12-11 2015-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Data Transmission based on DLNA network
WO2015134692A1 (en) * 2014-03-05 2015-09-11 Sonos, Inc. Webpage media playback
US9690540B2 (en) 2014-09-24 2017-06-27 Sonos, Inc. Social media queue
US9723038B2 (en) 2014-09-24 2017-08-01 Sonos, Inc. Social media connec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playback information
US9860286B2 (en) 2014-09-24 2018-01-02 Sonos, Inc. Associating a captured image with a media item
US9874997B2 (en) 2014-08-08 2018-01-23 Sonos, Inc. Social playback queues
US9886234B2 (en) 2016-01-28 2018-02-06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stributing audio to one or more playback devices
US9959087B2 (en) 2014-09-24 2018-05-01 Sonos, Inc. Media item context from social media
US10097893B2 (en) 2013-01-23 2018-10-09 Sonos, Inc. Media experience social interface
US10360290B2 (en) 2014-02-05 2019-07-23 Sonos, Inc. Remote creation of a playback queue for a future event
US10621310B2 (en) 2014-05-12 2020-04-14 Sonos, Inc. Share restriction for curated playlists
US10645130B2 (en) 2014-09-24 2020-05-05 Sonos, Inc. Playback updates
US10873612B2 (en) 2014-09-24 2020-12-22 Sonos, Inc. Indicating an association between a social-media account and a media playback system
US11190564B2 (en) 2014-06-05 2021-11-30 Sonos, Inc.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11223661B2 (en) 2014-09-24 2022-01-11 Sonos, Inc. Social media connec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playback information
KR102463242B1 (en) * 2021-08-27 2022-11-0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Environment-Aware automated N-screen display system,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9252A (en) 2001-02-28 2002-09-13 Ntt Docomo Inc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JP2004240761A (en) 2003-02-06 2004-08-26 Fujitsu Ltd Messaging system
KR101015811B1 (en) * 2003-09-23 2011-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A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 REPRODUCTION MEDIA CONTENTS BASED ON UPnP AND METHOD THEREOF
KR100652957B1 (en) * 2005-02-17 2006-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of moving multimedia content and system thereof

Cited B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4219A (en) * 2007-10-31 2009-05-06 Symbian Software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a content to a reproduction apparatus
KR101501923B1 (en) * 2007-12-11 2015-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Data Transmission based on DLNA network
US9077784B2 (en) 2009-02-06 2015-07-07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dia file synchronization
KR101240884B1 (en) * 2009-02-06 2013-03-08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Media file synchronization
US8893232B2 (en) 2009-02-06 2014-11-1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dia monitoring system
US9838456B2 (en) 2009-02-06 2017-12-05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edia file synchronization
KR101292280B1 (en) * 2010-10-01 2013-08-01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s in homenetwork environment
KR20120043360A (en) * 2010-10-26 2012-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media
KR20120072652A (en) * 2010-12-24 2012-07-04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of house in remote and method thereof
KR101276846B1 (en) * 2011-04-22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control of media data
US9678650B2 (en) 2011-04-22 2017-06-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treaming of media data
WO2014004174A1 (en) * 2012-06-25 2014-01-03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provide automatic wireless configuration
US10862981B2 (en) 2012-06-25 2020-12-08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provide automatic wireless configuration
US9882995B2 (en) 2012-06-25 2018-01-30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provide automatic wireless configuration
US10097893B2 (en) 2013-01-23 2018-10-09 Sonos, Inc. Media experience social interface
US10341736B2 (en) 2013-01-23 2019-07-02 Sonos, Inc. Multiple household management interface
US10587928B2 (en) 2013-01-23 2020-03-10 Sonos, Inc. Multiple household management
US11445261B2 (en) 2013-01-23 2022-09-13 Sonos, Inc. Multiple household management
US11889160B2 (en) 2013-01-23 2024-01-30 Sonos, Inc. Multiple household management
US11032617B2 (en) 2013-01-23 2021-06-08 Sonos, Inc. Multiple household management
US11182534B2 (en) 2014-02-05 2021-11-23 Sonos, Inc. Remote creation of a playback queue for an event
US10872194B2 (en) 2014-02-05 2020-12-22 Sonos, Inc. Remote creation of a playback queue for a future event
US10360290B2 (en) 2014-02-05 2019-07-23 Sonos, Inc. Remote creation of a playback queue for a future event
US11734494B2 (en) 2014-02-05 2023-08-22 Sonos, Inc. Remote creation of a playback queue for an event
US10762129B2 (en) 2014-03-05 2020-09-01 Sonos, Inc. Webpage media playback
US9679054B2 (en) 2014-03-05 2017-06-13 Sonos, Inc. Webpage media playback
US11782977B2 (en) 2014-03-05 2023-10-10 Sonos, Inc. Webpage media playback
WO2015134692A1 (en) * 2014-03-05 2015-09-11 Sonos, Inc. Webpage media playback
US11188621B2 (en) 2014-05-12 2021-11-30 Sonos, Inc. Share restriction for curated playlists
US10621310B2 (en) 2014-05-12 2020-04-14 Sonos, Inc. Share restriction for curated playlists
US11190564B2 (en) 2014-06-05 2021-11-30 Sonos, Inc.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11899708B2 (en) 2014-06-05 2024-02-13 Sonos, Inc.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9874997B2 (en) 2014-08-08 2018-01-23 Sonos, Inc. Social playback queues
US11960704B2 (en) 2014-08-08 2024-04-16 Sonos, Inc. Social playback queues
US10866698B2 (en) 2014-08-08 2020-12-15 Sonos, Inc. Social playback queues
US11360643B2 (en) 2014-08-08 2022-06-14 Sonos, Inc. Social playback queues
US10126916B2 (en) 2014-08-08 2018-11-13 Sonos, Inc. Social playback queues
US9690540B2 (en) 2014-09-24 2017-06-27 Sonos, Inc. Social media queue
US9959087B2 (en) 2014-09-24 2018-05-01 Sonos, Inc. Media item context from social media
US11539767B2 (en) 2014-09-24 2022-12-27 Sonos, Inc. Social media connec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playback information
US11134291B2 (en) 2014-09-24 2021-09-28 Sonos, Inc. Social media queue
US10645130B2 (en) 2014-09-24 2020-05-05 Sonos, Inc. Playback updates
US11223661B2 (en) 2014-09-24 2022-01-11 Sonos, Inc. Social media connec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playback information
US10873612B2 (en) 2014-09-24 2020-12-22 Sonos, Inc. Indicating an association between a social-media account and a media playback system
US11431771B2 (en) 2014-09-24 2022-08-30 Sonos, Inc. Indicating an association between a social-media account and a media playback system
US10846046B2 (en) 2014-09-24 2020-11-24 Sonos, Inc. Media item context in social media posts
US11451597B2 (en) 2014-09-24 2022-09-20 Sonos, Inc. Playback updates
US9723038B2 (en) 2014-09-24 2017-08-01 Sonos, Inc. Social media connection recommendations based on playback information
US9860286B2 (en) 2014-09-24 2018-01-02 Sonos, Inc. Associating a captured image with a media item
US11194541B2 (en) 2016-01-28 2021-12-07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stributing audio to one or more playback devices
US11526326B2 (en) 2016-01-28 2022-12-13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stributing audio to one or more playback devices
US9886234B2 (en) 2016-01-28 2018-02-06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stributing audio to one or more playback devices
US10296288B2 (en) 2016-01-28 2019-05-21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stributing audio to one or more playback devices
US10592200B2 (en) 2016-01-28 2020-03-17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of distributing audio to one or more playback devices
KR102463242B1 (en) * 2021-08-27 2022-11-03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Environment-Aware automated N-screen display system,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7286B1 (en)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2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Contents Play Back by using Digital Media Renderer in Home Network System
KR100782503B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orming Contents of Broadcasting in DLNA Network
KR100754431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a content according to the processing capability of dmr in dlna system
US823000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1600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using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 network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US8683007B2 (en) Seamless transfer of media streams
US7848351B2 (en) Method for sharing contents between devices using IEEE 1394 interface in DLNA system
US20120090001A1 (en) Apparatus having multimedia interface and network access management integrated therein
US20090268754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remotely controlling operations of digital media devices using a mobile terminal
US2009017797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lna device in dlna network
WO2005013598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omodating fast change of digital streaming sources and formats
KR2006003928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a device on upnp network, and playing content through the device
JP2014507867A (en) Proxy device behavior in command and control networks
KR102194747B1 (en) Wifi display compatible network gateway
KR20070009406A (en) Universal plug and play audio/video stream transmitting method and apparatus
EP262827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a media rendering unit
JP5142216B2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content from terminal in home network to wide area network
WO2014207899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88425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reaming service
JP4863514B2 (en) Wide area / narrow area network connection switch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program
KR100744473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rving rss in devices of dms based dlna network
JP2010239456A (en) Content list transfer system and content list transfer method
Heredia An introduction to the DLNA architecture: network technologies for media devices
KR101072451B1 (en) Multimedia stream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JP2008097297A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