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9522A - 식기세척기 내에 날붙이를 적재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내에 날붙이를 적재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9522A
KR20070039522A KR1020077000015A KR20077000015A KR20070039522A KR 20070039522 A KR20070039522 A KR 20070039522A KR 1020077000015 A KR1020077000015 A KR 1020077000015A KR 20077000015 A KR20077000015 A KR 20077000015A KR 20070039522 A KR20070039522 A KR 20070039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cutlery
pottery
holder
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0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벌메이어
게르하르트 에게르
레이너 쉴트
Original Assignee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0410035727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04035727A1/de
Application filed by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39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9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되는 물품(item)들을 적재하기 위한(stacking) 장치, 특히 식기세척기 내에서 날붙이 물품들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내에서 날붙이 물품들을 적재하기 위한 날붙이 바구니(cutlery basket)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내에 날붙이를 적재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CUTLERY STACKING IN DISHWASHERS}
본 발명은 세척되는 물품(item)들을 적재하기 위한(stacking) 장치, 특히 식기세척기 내에서 날붙이 물품들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내에서 날붙이 물품들을 적재하기 위한 날붙이 바구니(cutlery basket)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의 세척 용기에서 세척되어지는 물품들은 하나 또는 복수의 도기 바구니(crockery basket)에 배치되는 것을 알려졌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도기 바구니들은 플라스틱 코팅된 와이어 메쉬로 구성되며, 세척 용기의 측면 벽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빌트-언더 식기세척기의 전방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도기 바구니들이 세척 용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날붙이 물품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날붙이 바구니의 형태인 분리된 모듈(module)이 하부 도기 바구니에 제공되고, 이러한 날붙이 바구니는 도기 바구니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공지된 날붙이 바구니의 문제점으로는 날붙이 바구니들이 하부 도기 바구니에 수용되어 다루기에 불편하고 하중이 실리는 데 있다. 공지된 날붙이 바구니의 추가적인 문제점은 날붙이 물품들이 루즈한 상태로 수용되고, 서로 접촉하여 손상이 가해질 수 있으며, 소음이 발생되고, 세척 작업 동안 세척 기능이 저하되는 데 있다.
추가적인 나이프 랙(knife rack)들이 날붙이 물품들이 적재될 수 있는 상부 도기 바구니의 영역에 제공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추가적인 나이프 랙들이 도기 바구니에서 큰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세척되어지는 추가적인 물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소실된다. 날붙이 물품들을 적재하기 위한 그 외의 다른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 날붙이 서랍(cutlery drawer)이 도기 바구니에 인접하게 제공되고, 상기 날붙이 서랍은 식기세척기의 세척 용기 내에서 내외로 미끄러질 수 있다. 그러나 날붙이 서랍은 임의의 부피가 큰 날붙이 물품들을 보유할 수 없고, 추가적인 서랍의 설치로 인해 식기 세척기의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추가적으로, 불리하게도 스토잉 높이(stowing height)가 저하된다.
DE 35 20 148호는 식기세척기를 위한 날붙이 바구니가 기술하며, 날붙이 바구니는 식기세척기의 세척 용기로 미끄러질 수 있는 도기 바구니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날붙이 바구니의 적재와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날붙이 바구니는 도기 바구니의 전방 바구니 벽 상에서 수평 축에 대해 피벗 운동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장치의 문제점에 따르면, 날붙이 바구니는 오직 도기 바구니로부터 전체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도기 바구니로의 날붙이 바구니의 제거와 재부착은 높은 정밀도와 기민함(dexterity)이 요구되며, 이와 관련하여 비용이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하기에 상당히 용이하고, 날붙이 물품들이 낮은 제조 비용으로 세척 용기에 보다 용이하게 접근 가능하며 공간이 절약되고 깔끔하게 정돈되도록 날붙이 물품들을 식기세척기에 적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날붙이 물품이 도기 바구니에 보다 용이하게 적재되고 제거되며, 보다 신뢰성 있게 분리되는 식기세척기 내에 날붙이 물품들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들은 청구항 제 12항에 따르는 특징들을 가지는 날붙이 바구니 또는 청구항 제 1 항에 따르는 특징들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기 바구니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개선점은 종속항 제 13 항 내지 제 22항과 종속항 제 2 항 내지 11 항에 각각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기 바구니는 식기세척기 내에서 세척되는 물품을 배열하기 위한, 특히 날붙이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적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도기 바구니의 외측 측면상에 피벗 운동하도록 배열되며,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내에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날붙이 바구니가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기 바구니는 세척 용기를 가지는 모든 식기세척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세척 용기는 힌지 연결된 도어에 의해 밀폐되고, 세척 용기의 측면 벽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나 이상의 도기 바구니가 배열되며, 힌지 고정된 도어가 개방될 때 전방 측면에 의해 빌트-언더식 식기세척기의 세척 용기로부터 상기 도기 바구니가 끌어 당겨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기 바구니의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에 따르는 장점에 있어서, 날붙이 바구니가 도기 바구니의 외측 측면 상의 적재 장치의 홀더에서 피벗 운동하도록 배열되기 때문에 날붙이 물품들은 추가적인 보조부(aid) 없이 적재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날붙이 물품들은 도기 바구니의 외측 측면 상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특히 날붙이 물품들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도기 바구니의 전방 측면상에 배열된다면 힌지 연결된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장치는 측면에 의해 빌트-언더식 식기세척기의 세척 용기로부터 뽑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기 바구니의 장점에 있어서, 날붙이 바구니와 도기 바구니는 동시에 접근 가능하다.
날붙이 물품들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르는 도기 바구니에서 도기 바구니의 외측 측면에 배열되기 때문에, 날붙이 물품들은 특히 공간이 절약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도기 바구니의 내부 영역은 세척되어지는 물품들을 적재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기 바구니의 외측 측면 상에 날붙이 물품들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의 추가적인 장점에 있어서, 도기 바구니의 전체 높이는 날붙이 물품들을 수용하기에 적합하며, 이에 따라 넓거나 부피가 큰 물품들 또는 세척되어지는 그 외의 물품들이 상기 도기 바구니에 수용될 수 있다. 기능과 시각적인 느낌 및 보다 복잡한 설비를 가진 식기 세척기와 표준 형상의 식기세척기 사이의 시각적인 차이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기 바구니의 형상에 의해 보다 잘 표현될 수 있다.
상부 도기 바구니에서 날붙이 바구니의 배열로 인해 하부 도기 바구니 내에 날붙이 물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추가적인 설비가 더 이상 요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하부 도기 바구니는 구속되지 않는 공간으로서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세척 공정 동안 식기세척기의 하부 영역에서의 온도보다 식기세척기의 상부 영역의 온도가 보다 높아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상부 바구니에 저장된 날붙이들은 보다 우수하게 건조된다.
날붙이 바구니들이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의 홀더에 삽입될 수 있기 때문에, 날붙이 바구니는 상기 적재 장치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날붙이 물품들을 포함하는 날붙이는 보다 용이하게 적재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게다가, 날붙이 바구니는 다양한 형태의 날붙이 바구니에 의해 교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요구사항, 즉 특정 도시에서의 특정 요구사항에 적합하다. 식기세척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도기 바구니의 추가적인 장점은 선호되는 실시예의 하기 설명으로부터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기 바구니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의 홀더는 상부 도기 바구니의 전방 측면의 외측 측면상에 배열된다. 이에 따라 도기 바구니의 내측에서 또는 하부 도기 바구니에서의 배열(arrangement)에 비해 날붙이 바구니 또는 피벗 운동식 장치의 홀더에 수용된 날붙이 물품들 또는 도기의 접근 가능성이 개선된다. 날붙이 바구니가 상부 도기 바구니의 내측에 또는 하부 도기 바구니에 위치되는 경우보다 상부 도기 바구니에 위치된 날붙이 바구니로부터 날붙이 물품들을 적재하거나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인체 공학적으로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도기 바구니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다수의 분리된 날붙이 바구니들은 바람직하게 서로 인접한 피벗 운동식 장치의 홀더 내에 배열될 수 있다.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의 홀더는 이에 삽입될 수 있는 날붙이 바구니의 삽입을 돕기 위한 가이드를 가진다. 날붙이 물품들을 위한 가능한 넓은 적재 영역을 제공하거나 또는 날붙이 바구니에 상대적으로 많이 수용되도록 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홀더는 도기 바구니의 전체 폭에 대해 연장된다. 유지와 보수 작업을 돕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홀더가 배열되며, 상기 홀더는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고로 도기 바구니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의 홀더는 홀더가 수직하게 배열되는 접혀진 위치와 홀더가 도기 바구니로부터 각을 형성하여 돌출되는 펼쳐진 위치로 피벗 운동할 수 있다. 세척 모드 동안, 도기 바구니가 내부로 가압되고 식기세척기의 도어가 밀폐될 때 홀더는 접혀진 위치에 위치되고, 홀더는 적재와 제거를 위하여 펼쳐진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는 홀더의 하부 영역에서 수평 피벗 축에 대해 적절히 피벗 운동을 하며, 이에 따라 날붙이 바구니는 도기 바구니를 자체적으로 이동시킬 필요 없이 도기 바구니로부터 떨어지도록 식기세척기로부터 펼쳐질 수 있다. 이러한 펼쳐짐은 도어를 개방할 때 지지되는 상태로 또는 회전축에 대한 날붙이 바구니와 홀더의 무게 중심에 해당하는 위치를 통해 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홀더의 의도되지 않은 피벗 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클램핑 또는 위치 결정 메커니즘이 접혀진 위치에서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의 홀더에 보유되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도기 바구니는 식기세척기로부터 빼내진다면, 메커니즘, 예를 들어 링크 가이드(link guide)에 의해 상기 도기 바구니가 식기세척기로부터 빼내지는 운동에 따라 홀더는 접혀진 위치로부터 펼쳐진 위치로 자동적으로 피벗 운동한다. 상기 링크 가이드의 메커니즘은 도기 바구니가 식기세척기로 삽입되는 운동에 따라 상기 홀더가 펼쳐진 위치로부터 접혀진 위치로 자동적으로 피벗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인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식기세척기의 힌지 연결된 도어를 밀폐하고 개방하는 동안 홀더는 펼쳐진 위치로 전방을 향하여 자동적으로 피벗 운동하고, 재차 접혀진 위치로 피벗 운동하여 날붙이 바구니는 상부 도기 바구니를 빼내지 않고 날붙이 바구니의 작동이 최적화된다. 자동화 메커니즘은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의 홀더와 도기 바구니 또는 힌지 연결된 도어를 조정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스톱이 접혀진 위치와 펼쳐진 위치 사이에서 홀더의 피벗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날붙이 바구니 또는 바구니들이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의 홀더 내에 최적화되도록 삽입되어지기 위하여 홀더는 전방 벽과 이에 삽입되어지는 날붙이 바구니의 높이를 적어도 가지는 선택적인 측벽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는 하나 이상의 핸들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핸들 수단에 의하여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는 접혀진 위치와 펼쳐진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핸들은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에 형성된 홀더의 전방 벽상에 제공된다.
도기 바구니의 장착과 제거를 돕고 개별적으로 날붙이 물품들을 식기세척기에서 신뢰성 있게 분리시킬 수 있는 날붙이 물품들을 적재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언급된 목적은 상기 언급된 타입의 식기세척기에 대해 도기 바구니 내에 삽입하기 위한 날붙이 물품들을 적재하기 위한 날붙이 바구니에 의해 구현되며, 상기 도기 바구니는 날붙이 물품들의 분리와 적절한 배열을 위한 제거 가능한 보조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날붙이 물품들은 보조부들이 제거되기 전 날붙이 바구니의 다양한 평면에 분배될 수 있으며, 보조부들이 제거된 후 날붙이 물품들은 한 평면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세척 프로그램이 마무리된 후 상기 보조부들이 제거되어 세척된 날붙이 물품들은 예를 들어 날붙이 바구니의 측면 벽에 배열되는 것과 같이 한 평면에 배열되기 때문에 상기 날붙이 물품들은 용이하게 집어올릴 수 있다.
상기 보조부들은 로드, 그리드 또는 오목부가 있거나 없는 경계 벽들과 같은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장치들은 예를 들어 날붙이 바구니의 개구부에 배열된다. 날붙이 바구니의 피벗 운동가능한 장착에 추가하여, 보조부들이 제거되기 전 또는 후에 날붙이 바구니들은 보조부들이 제거될 때 날붙이 물품들이 측면 벽과 같은 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위치에 트위스트 된다(twist).
바람직하게 보조부들은 후크 형태의 단부들을 가진 연장부로 구성된다. 이 경우, 후크 형태의 연장부들의 후크 형태의 단부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날붙이 바구니가 가지는 장점에 따르면, 후크 형태의 연장부들은 날붙이 바구니 그리드의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리드 수단에 의하여 날붙이 물품들은 날붙이 바구니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척 공정 동안 날붙이들 사이에 접촉이 방지되며, 최상의 세척 결과가 구현될 수 있다. 후크 형태의 연장부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됨에 따라,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의 홀더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날붙이 바구니는 측면상에 배열되어 이에 위치된 날붙이 물품들은 후크 형태의 연장부들을 지나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에 따라 날붙이 물품들은 날붙이 바구니로부터 제거되는데 도움이 된다.
날붙이 바구니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후크 형태의 연장부들이 날붙이 바구니의 마주보는 측면에 대해 날붙이 바구니의 한 측면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연장되는 횡단 스트럿상에 배열된다. 이 경우, 후크 형태의 연장부들을 가진 다수의 횡단 스트럿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럿들은 날붙이 바구니 상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선호된다. 바람직하게 후크 형태의 연장부들은 횡단 스크럿 상에서 쌍을 이루고 마주보는 측면 상에 각각 배열된다. 후크 형태의 연장부들은 날붙이 물품들의 걸림(hook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횡단 스크럿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된 날붙이 바구니 그리드는 날붙이 바구니내에 형성되어 날붙이 물품들은 날붙이 바구니 내에서 최적의 상태로 이격된다.
날붙이 바구니 그리드의 기능은 후크 형태의 연장부들이 날붙이 물품들이 날붙이 바구니로 삽입되어지는 삽입의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열될 때 특히 효과적이다. 날붙이 바구니가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의 홀더로부터 제거되고 한 측면상에 배열된다면, 후크 형태의 연장부의 배열에 따라 날붙이 물품들은 중력에 따라 개방된 날붙이 바구니 그리드를 통해 하부로 향하여 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날붙이 바구니의 특정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도시 바구니의 하나 이상의 측면 벽이 펼쳐질 수 있다(fold out). 이 경우 바람직하게 밀폐된 위치에서 힌지 연결된 측면 벽은 밀폐된 위치에서 힌지 연결된 측면 벽을 고정하기 위하여 날붙이 바구니의 다른 측면 벽들 중 하나의 측면 벽에 적어도 연결된다. 후크 형태의 연장부들을 가지는 횡단 스트럿들은 힌지 연결된 측면 벽과 도기 바구니의 마주보는 측면 벽상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스트럿들은 힌지 연결된 측면 벽의 밀폐된 위치에서 서로 평행하고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의 홀더로부터 제거된 날붙이 바구니가 측면에 배열될 때, 그 뒤 날붙이 바구니의 힌지 연결된 측면 벽이 개방되고, 날붙이 물품들은 날붙이 바구니의 하부 측면에 수집되며 날붙이 물품들을 날붙이 바구니 그리드로부터 개별적으로 안내할 필요없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는 날붙이 바구니의 장점에 따르면, 날붙이 물품들은 날붙이 바구니로부터 제거하는 동안 손에 의해 위생적으로 파지될 수 있으며, 전방 영역을 파지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부상의 위험성이 감소된다.
날붙이 바구니의 추가적으로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날붙이 바구니는 다양한 삽입 깊이를 가지는 영역을 포함한다. 날붙이 바구니를 다양한 삽입 깊이의 영역에 장착함에 따라, 적절한 저장 공간이 다양한 길이의 날붙이 물품들을 위한 날붙이 바구니에 제공된다. 이 경우, 날붙이 물품들은 상기 길이에 따라 분류된 날붙이 바구니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날붙이를 배열하는 동안 이러한 예비 분류로 인해 날붙이 물품들이 날붙이 서랍으로 분류되고 재 위치로 배열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효과는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의 홀더내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날붙이 바구니를 이용함으로써 유지된다.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의 홀더로부터 도시 바구니를 제거하거나 삽입시키는 것을 돕기 위하여, 도기 바구니는 날붙이 바구니 위에서 바람직하게 상향으로 돌출되는 핸들과 끼워 맞춤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날붙이 바구니 내에 세워진 날붙이 물품들로부터 부상의 위험성이 없이 안전하게 파지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날붙이 바구니 및/또는 도기 바구니는 본 발명에 따라 식기세척기내에 배열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르는 선호되는 실시예를 이용하여 하기에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는 도시 바구니를 가지는 식기세척기의 투시도.
도 2는 밀폐된 위치에서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는 날붙이 바구니의 투시도.
도 3은 개방된 위치에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는 날붙이 바구니의 투시도.
*도면 부호*
1: 식기세척기 2: 식기세척기의 세척 용기
3: 힌지 연결된 도어 4: 도기 바구니
5: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 6: 홀더
7: 날붙이 바구니 8: 후크 형태의 연장부
9: 횡단 스크럿 10: 힌지 연결된 측면 벽
11: 측면 벽 12: 중간 벽
13: 날붙이 물품
상세도 1은 세척 용기(washing container, 2)를 포함하는 빌트-언더식 식기세척기(built-under dishwashing machine, 1)를 도시하며, 상기 세척 용기(2)는 식기세척기(1)의 전방 측면에 피벗 운동하게 장착된 힌지 연결된 도어(hinged door, 3)에 의해 밀폐된다. 세척 용기(2)에 위치된 도기 바구니(crockery basket, 4)는 세척 용기(2)의 측면 벽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세척 용기(2)로부터 도기 또는 날붙이 물품(cutlery piece)을 제거하거나 적재하기(load) 위하여 세척 용기(2)로부터 뽑혀 질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식기세척기(1)의 힌지 연결된 도어(3)가 개방되고, 도기 바구니(4)는 세척 용기(2)로부터 부분적으로 뽑혀진 상태이다.
날붙이 물품들을 적재하기 위한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pivoting stacking device, 5)는 도기 바구니(4)의 전방 벽에 배열된다.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5)는 홀더(holder, 6)를 포함하고, 2개의 날붙이 바구니(7)들이 상기 홀더 내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5)의 홀더(6)는 이에 삽입된 날붙이 바구니의 높이를 실질적으로 가지는 전방 벽과 측면 벽을 가진다. 날붙이 바구니(7)는 날붙이 물품들을 제거, 적재, 유지 또는 교환하기 위하여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5)의 홀더(6)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5)의 홀더(6)는 도기 바구니(4)로부터 각을 형성하여 돌출된 펼쳐진 위치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정렬된 접혀진 위치 사이에서 이중 화살표 방향에 따라 피벗 운동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홀더(6)는 펼쳐진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홀더(6)는 도기 바구니(4)로부터 예를 들어 45°의 각도로 돌출된다.
홀더(6)의 피벗 운동(pivoting movement)은 도기 바구니(4)의 변위 운동(displacement movement)에 기본적으로 의존되지 않는다. 그러나 홀더(6)가 도기 바구니(4)의 빼냄 운동에 따른 메커니즘에 의해 접혀진 위치로부터 펼쳐진 위치로 자동적으로 피벗 운동하고, 홀더(6)가 식기세척기(1)로의 도기 바구니(4)의 삽입 운동에 따라 펼쳐진 위치로부터 접혀진 위치로 역방향으로 재차 자동적으로 피벗 운동하도록 홀더(6)의 피벗 운동은 도기 바구니(4)의 삽입 또는 빼냄(withdrawal) 운동과 결합될 수 있으며, 힌지 연결된 도어(3)의 운동과 결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힌지 연결된 도어(3)를 개방할 때 홀더(6)가 펼쳐진 위치로 전방을 향하여 자동적으로 피벗 운동하고 힌지 연결된 도어(3)를 밀폐할 때 상기 홀더(6)가 접혀진 위치로 재차 역방향으로 피벗 운동하도록 홀더의 피벗 운동은 식기세척기(1)의 힌지 연결된 도어(3)의 운동과 결합된다.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스톱(stop)이 접혀진 위치와 펼쳐진 위치 사이에서 홀더(6)의 피벗 운동을 한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2는 날붙이 물품(13)을 적재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는 날붙이 바구니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날붙이 바구니(7)는 본 발명에 따르는 도기 바구니(4)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날붙이 바구니(7)는 날붙이 물품(13)을 배치시키고 분리시키기에 적합한 후크 형태의 단부들을 가진 연장부(continuation, 8) 형태의 보조부(aid)들을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형태의 연장부(8)의 후크 형태의 단부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배열된다. 이 경우, 후크 형태의 연장부(8)는 날붙이 물품(13)들이 날붙이 바구니(7)로 삽입되는 삽입의 방향과 수직하게 배열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르는 날붙이 바구니(7)의 실례에서, 후크 형태의 연장부(8)는 날붙이 바구니(7)의 한 측면으로터 마주보는 측면으로 연장되는 횡단 스트럿(9) 상에 배열된다. 후크 형태의 연장부(8)를 가진 복수의 횡단 스트럿(9)은 날붙이 바구니(7)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제공된다. 이 경우, 후크 형태의 연장부(8)는 횡단 스트럿(9) 상에서 등간격으로, 그리고 마주보는 측면상에서 쌍을 이루도록 각각 배열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개방된 날붙이 바구니 그리드가 형성되어 날붙이 바구니(7) 내에서 날붙이 물품(13)들은 최적의 분리된 상태로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방향으로 후크 형태의 연장부(8)가 정렬됨에 따라, 후 크 형태의 연장부(8)가 하부를 향하여 배열되도록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7)의 홀더(6)로부터 제거된 날붙이 바구니(7)는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날붙이 바구니(7)내에서의 날붙이 물품(13)은 후크 형태의 연장부(8)를 지나서 개방된 날붙이 바구니 그리드를 통해 하부를 향해 떨어져서 이에 수집되며, 이에 따라 날붙이 바구니(7)로부터 날붙이 물품(13)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후크 형태의 연장부(8)가 날붙이 물품(13)이 떨어지는 방향에 대해 수직이 아닌 기울어진 각도로 배열된다면, 후크 형태의 연장부(8)를 지나가는 날붙이 물품(13)의 슬라이딩(sliding)이 추가적으로 유발된다.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중앙 경계 벽(14)과 2개의 측면 경계 벽들은 바람직하게 날붙이 바구니(7) 내에 위치된다.
날붙이 바구니(7)의 한 측면 벽(10)은 오직 날붙이 바구니의 하측 변부에서만이 날붙이 바구니(7)에 연결되어 측면 벽(10)은 날붙이 바구니의 하측 변부의 피벗 축에 대해 상부를 향하여 회전할 수 있다. 도 3은 개방된 위치에서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는 날붙이 바구니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밀폐된 위치에서 날붙이 바구니(7)와 힌지 연결된 측면 벽(10)을 고정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힌지 연결된 측면 벽(11)은 밀폐된 위치에서 날붙이 바구니(7)의 남겨진 측면 벽(11)들과 연결된다. 횡단 스트럿(9)들이 힌지 연결된 측면 벽(10)의 밀폐된 위치에서 서로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도록 후크 형태의 연장부(8)를 각각 가지는 횡단 스트럿(9)은 힌지 연결된 측면 벽(10)과 날붙이 바구니(7)의 마주보는 측면 벽상에 배열되며, 이에 따라 개방된 날붙이 바구니 그리드가 형성된다. 또한 횡단 스트럿(9)들은 한 측면 벽(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개시되도록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붙이 바구니(7)가 측면에 배치되고 그 뒤 날붙이 바구니(7)의 힌지 연결된 측면 벽(10)이 개방된다면 날붙이 물품(13)들은 날붙이 바구니(7)의 하부 측면상에 수집된다. 날붙이 물품(13)들은 개방된 힌지 연결된 측면 벽(10)을 통해 용이하게 파지되고, 날붙이 바구니(7)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날붙이 바구니(7)의 추가적인 장점에 따르면, 날붙이 바구니(7)가 제거되는 동안 날붙이 물품(13)들은 손에 의해 위생적으로 파지될 수 있으며, 전방 영역을 파지할 필요가 없다.

Claims (26)

  1. 식기세척기 내에 세척되는 물품을 배열하기 위한, 특히 날붙이 물품(13)을 적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적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도기 바구니(4)의 외측 측면상에 피벗 운동하도록 배열되는 도기 바구니에 있어서,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5)는 홀더(6)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 내에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날붙이 바구니(7)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 바구니.
  2. 제 1 항에 있어서,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5)의 홀더(6)는 홀더가 수직하게 배열되는 접혀진 위치와 홀더가 도기 바구니(4)로부터 각을 형성하여 돌출되는 펼쳐진 위치로 피벗 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 바구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홀더(6)는 상부 도기 바구니(4)의 전방 측면의 외측 측면상에 배열되어 도기 바구니(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 바구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홀더(6)는 홀더(6)의 하부 영역에서 수평의 피벗 축에 대해 피벗 운동하고, 홀더(6)는 도기 바구니(4)의 전체 폭에 대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 바구니.
  5.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기 바구니(4)는 식기세척기(1)로부터 빼내질 수 있으며, 링크 가이드(link guide)에 의해 식기세척기(1)의 힌지 연결된 도어(3)가 개방되는 동안 및/또는 상기 도기 바구니(4)가 식기세척기(1)로부터 빼내지는 운동에 따라서 홀더(6)는 접혀진 위치로부터 펼쳐진 위치로 자동적으로 피벗 운동하고 및/또는 힌지 연결된 도어(3)가 밀폐되는 동안 및/또는 도기 바구니(4)가 식기세척기(1)로 삽입되는 운동에 따라 상기 홀더(6)는 펼쳐진 위치로부터 접혀진 위치로 자동적으로 피벗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 바구니.
  6.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스톱은 접혀진 위치와 펼쳐진 위치 사이에서 홀더(6)의 피벗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 바구니.
  7.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5)의 홀더(6)는 전방 벽과 선택적인 측면 벽들을 포함하며, 상기 벽들은 적어도 이에 삽입되어지는 날붙이 바구니(7)의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 바구니.
  8.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적인 날붙이 바구니(7)들은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5)의 홀더(6) 내에 서로 인접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 바구니.
  9.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5)의 홀더(6)는 이에 삽입되어지는 날붙이 바구니(7)의 삽입을 돕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 바구니.
  10.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핑(clamping) 또는 위치 결정 메커니즘(locating mechanism)은 접혀진 위치에서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5)의 홀더(6)를 보유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 바구니.
  11.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5)는 하나 이상의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에 의해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5)는 접혀진 위치와 펼쳐진 위치로 이동될 수 있으며, 핸들은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5)의 홀더(6)의 전방 벽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기 바구니.
  12. 식기세척기는 날붙이 물품(13)을 적절히 배치하고 분리시키기 위한 보조부(aid)들이 제공되고, 도기 바구니(4)에 삽입하기 위하여 날붙이 물품(13)들을 적재하기 위한 날붙이 바구니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들은 탈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바구니.
  13. 제 12 항에 있어서, 보조부(8)들을 제거하기 전에 날붙이 물품(13)들은 날붙이 바구니 내의 다양한 평면에 분포될 수 있으며, 보조부(8)들을 제거한 후 날붙이 물품(13)들은 한 평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바구니.
  14. 제 13 항에 있어서, 보조부들이 제거된 후 날붙이 물품(13)들은 한 측면 벽(10)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바구니.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조부(8)들은 후크 형태의 단부들이 제공된 연장부(8)를 포함하고, 후크 형태의 연장부(8)의 후크는 동일한 방향으로 각각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바구니.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크 형태의 연장부(8)는 날붙이 물품(13)들이 날붙이 바구니(7)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바구니.
  17. 제 12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후크 형태의 연장부(8)는 날붙이 바구니(7)의 한 측면으로부터 날붙이 바구니(7)의 마주보는 측면으로 연장되는 횡단 스트럿(9)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바구니.
  18. 제 17 항에 있어서, 후크 형태의 연장부(8)를 가지는 다수의 횡단 스트럿(9)은 날붙이 바구니(7)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바구니.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후크 형태의 연장부(8)는 마주보는 측면상에 각각 배열되고, 횡단 스트럿(9) 상에 쌍을 이루며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바구니.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크 형태의 연장부(8)는 횡단 스트럿(9)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바구니.
  21. 제 12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붙이 바구니(9)는 다양한 삽입 깊이를 가지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바구니.
  22. 제 12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붙이 바구니(7)는 날붙이 바구니(7)에 대해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핸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바구니.
  23. 제 12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붙이 바구니(7)의 하나 이상의 측면 벽(10)은 상부를 향하여 접혀질 수 있으며, 날붙이 바구니(7)의 남겨진 측면 벽(11)들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바구니.
  24. 제 23 항에 있어서, 후크 형태의 연장부(8)들을 각각 가지는 횡단 스트럿(9) 들은 힌지 연결된 측면 벽(10)과 도기 바구니(4)의 마주보는 측면 벽(11) 상에 제공되고, 힌지 연결된 측면 벽(10)의 밀폐된 위치에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고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상기 횡단 스트럿들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바구니.
  25. 제 1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붙이 바구니(7)는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11 항에 따르는 피벗 운동식 적재 장치(5)를 포함하는 도기 바구니(4) 또는 임의의 식기세척기를 위한 다른 도기 바구니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바구니.
  26.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날붙이 바구니 및/또는 도기 바구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077000015A 2004-07-23 2005-07-13 식기세척기 내에 날붙이를 적재하기 위한 장치 KR200700395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410035727 DE102004035727A1 (de) 2004-07-23 2004-07-23 Vorrichtung zur Besteckablage in Geschirrspülmaschinen
DE102004035727.7 2004-07-23
DE202004020379 2004-07-23
DE202004020379.0 2004-07-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9522A true KR20070039522A (ko) 2007-04-12

Family

ID=35063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0015A KR20070039522A (ko) 2004-07-23 2005-07-13 식기세척기 내에 날붙이를 적재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302397A1 (ko)
EP (2) EP2090214A1 (ko)
KR (1) KR20070039522A (ko)
WO (1) WO200601071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019B1 (ko) * 2007-11-12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0942072Y (zh) * 2005-04-08 2007-09-05 Bsh博施及西门子家用器具有限公司 器皿篮、餐具篮和器皿洗涤机
EP2096980B1 (en) * 2006-12-25 2010-03-31 Arçelik Anonim Sirketi A cutlery basket
EP2368479A1 (en) * 2010-03-24 2011-09-28 Candy S.p.A. Dishwasher with additional basket
US9226643B2 (en) 2012-04-10 2016-01-05 General Electric Company Silverware basket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8733859B2 (en) 2012-06-11 2014-05-27 General Electric Company Silverware basket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9119523B2 (en) 2012-07-02 2015-09-01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appliance with rack assembly projections
WO2014094897A1 (en) * 2012-12-21 2014-06-26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 V. Cutlery stacking device
US9907452B2 (en) 2014-10-02 2018-03-06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utensil caddies
KR101691260B1 (ko) * 2014-10-17 2016-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S2899866T3 (es) 2015-08-19 2022-03-15 Foshan Shunde Midea Washing Appliances Mfg Co Ltd Conjunto de cesta de lavado y conjunto de bandeja utilizados para máquina de lavado de cuencos y máquina de lavado de cuencos
CN111067459B (zh) * 2017-03-07 2021-10-26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洗碗机的碗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329899U (de) * 1973-08-16 1975-02-20 Miele & Cie Besteckkorb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DE8437945U1 (ko) * 1984-12-24 1989-01-05 Miele & Cie Gmbh & Co, 4830 Guetersloh, De
DE3520148A1 (de) 1985-06-05 1986-12-11 Miele & Cie GmbH & Co, 4830 Gütersloh Besteckkorb fuer geschirrspuelmaschinen
DE29719505U1 (de) * 1997-11-04 1997-12-18 Miele & Cie Besteckkorb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019B1 (ko) * 2007-11-12 2014-07-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10711A2 (de) 2006-02-02
EP1773175A2 (de) 2007-04-18
WO2006010711A3 (de) 2006-04-20
US20080302397A1 (en) 2008-12-11
EP2090214A1 (de)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9522A (ko) 식기세척기 내에 날붙이를 적재하기 위한 장치
US20070119801A1 (en) Device for holding cutlery
EP3188644B1 (en) Holding assembly for stemware
US7775380B2 (en) Utensil holding retainer block for use with dish rack
EP3695770B1 (en) Rack and dishwasher including the same
US20070039971A1 (en) Article baskets for a dishwasher
US7383846B2 (en) Dishwasher basket
EP3164045B1 (en) Dishwasher comprising a wire rack with an improved carrier adaptor structure
US8579120B2 (en) Crockery basket for a dishwasher
KR20070039548A (ko) 식기세척기 내에 날붙이류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JPH01501689A (ja) 食器洗い器のための刃物類置きかご
CA2445170A1 (en) Dishwasher utility basket
US9516991B2 (en) Removable dishwasher utensil basket that transforms into a utensil holder for a drawer
CA2174205C (en) Rack for kitchen ware
US20070039636A1 (en) Device for placing silverware in dishwashers
CA2473527A1 (en) Three rack dishwasher with door mounted silverware basket
EP1776916B1 (en) Dishes basket for dishwashing machines
KR20070116780A (ko) 식기세척기내에 날붙이류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TWI568400B (zh) Tableware cleaning machine
KR20170021599A (ko)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US11589730B2 (en) Glass holder attachment
CN209315788U (zh) 篮子、承载组件和家用电器
CN209315785U (zh) 装载篮和家用电器
EP2432368B1 (en) A dishwasher and a cutlery basket used therein
CN220495326U (zh) 一种拉篮及应用有该拉篮的消毒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