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6740A - 통증 완화 방법 - Google Patents

통증 완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6740A
KR20070036740A KR1020067019298A KR20067019298A KR20070036740A KR 20070036740 A KR20070036740 A KR 20070036740A KR 1020067019298 A KR1020067019298 A KR 1020067019298A KR 20067019298 A KR20067019298 A KR 20067019298A KR 20070036740 A KR20070036740 A KR 20070036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ain
propenyl
formula
alk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스벤 크라크로프트 라이스
세버린 밴드브르드
디디에 람베르
Original Assignee
임페리얼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페리얼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임페리얼 이노베이션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036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7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6Antimigrai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통증 완화용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RC(O)-NH-(CH2)n-CH=CH2
상기 식에서 R은 C1 -20 알킬, C2 -20 알케닐 또는 C2 -20 알키닐이며; 그리고 n은 0 내지 3의 정수이다.
화학식 I 화합물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 대한 통증 완화를 제공하는 방법.
바람직한 화합물은 N-(2프로페닐)헥사데칸아마이드이다.

Description

통증 완화 방법{METHODS TO RELIEF PAIN}
본 발명은 통증완화, 특히 진통제로 사용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통증의 조절과 완화는 의약의 중요한 분야이다. 고통은 병 또는 부상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화학요법 같은 치료의 결과로서도 발생한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고통을 격는 자가 정상적으로 기능 할 수 있도록 통증을 가능한 완화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통증은 복잡한 감각이며 질병의 가장 일반적인 증세이다. 통증은 통증 수용체 또는 중앙신경조직 내지 말초신경조직의 질병의 결과로 나타나는 신경병적 통증을 활성화 시키는 해로운 자극(화학적, 열적, 물리적)에 기인하는 침해수용성(nociceptive) 통증 일 수 있다. 통증은 본질적으로 급성 또는 만성으로도 분류될 수 있다. 급성 통증은 일반적으로 상해(예를 들어 외상 또는 질병)의 결과로 나타나며 단시간 지속되고 전형적으로 상처입은 조직이 치유됨에 따라 혹은 곧 해소된다. 만성통증은 일반적으로 광범위하게 그리고 임의적으로 정의되는데 급성적 조직손상이 해소된 후에도 통증이 한 달 이상 지속되거나, 통증이 세 달 이상 지속되거나 되풀이되거나, 계속되거나 진행중인 조직손상과 관련된 통증의 경우이다(The Merck Manual, 1999).
몇 가지 통증 증후군들은 이러한 기준에 의해 분류하기 어렵다. 이들은 예를 들면 만성 두통과 악성질병의 신체조직에의 침입에 의해 생성되는 지속적인 급성 통증을 포함한다.
통증과 관련된 두 가지 신경통로는 체내에서 동시에 작용한다: (1) 조직손상을 감지하여 그 결과로서 통증의 감각을 만들어 내는 감각경로(sensory pathway); (2) 통증의 감각을 감소시키고 중앙신경조직(CNS)으로 통증에 관한 정보가 흐르는 것을 막아서 기관들이 부상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인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진통경로(analgesic pathway). 이들은 다른 경로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물질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아스피린과 리도카인은 말초 감각경로를 활성화시키는 반면 몰핀과 관련물질들은 진통체계를 활성화시킨다.
몰핀과 관련된 아편양제제 화합물과 같은 아편유사약물(Opioids)은 가장 강력한 진통제로 여겨지며 심한 통증 완화에 자주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마취성 약제는 의존성과 중독성이라는 심각한 결점을 가진다. 또한 아편유사 약물을 투여받은 환자는 그 약제에 대해 내성을 가지게 되는 경향이 있으며 진통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투약량을 증가시키고 이후 금단현상을 일으킨다. 나아가 아편유사약물과 관련한 부작용에는 메스꺼움과 진정(sedation) 그리고 호흡기 기능감소가 관련되어 있다.
비마약성(nonopioid) 진통제, 예를 들면 아세트아미노펜(파라세타몰)과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물(NSAIDs)과 같은 산화효소(cyclooxygenase) 억제제들은 가볍거나 보통의 통증을 처리하는데 효과적이다. 아세틸살리실산(아스피린),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 벤지다민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물군의(anti-inflammatory drugs,NSAID) 항염증 인자는 외상과 감염에 관련된 통증에 대한 진통제로 사용되어 왔다. NSAID군의 일반적인 부작용은 위장자극 및 궤양, 혈소판 응집 저해, 신장 기능장애, 그리고 간장 손상 등을 포함한다.
진통제의 또 다른 분류군은 나트륨 채널들을 막는 국소 마취제이다. 리도카인과 같이 이 분류에 속하는 화합물은 원칙적으로 척추에 투여했을 때 외상이나 수술 후의 통증조절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투여하고 적절히 모니터하기 위해서는 전문지식과 토대가 요구된다. 리도카인의 규칙적인 주입은 급성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경련으로부터 의식이 회복되거나 일시적 호흡정지의 경우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계속적인 관찰이 요구된다.
진통제의 또 다른 분류군으로는 국소마취제, NMDA 수용체의 길항제, 항우울증 치료제 및 항경련제를 포함한다.
상기 진통제의 분류군에 부가적으로, 염증성 그리고 신경성 통증에서 커내비노이드 무통증(cannabinoid analgesia)의 일화적 청구물에 대해 강한 실험적 증거가 아래에 기술된다(Rice et al(2003)Cannabinoid and pain. In: Dostrovsky, carr and Kolzenburg Eds. Seattle: LASP Press, 437-368). 최근의 진보는 커내비노이드(cannabinoid)의 약리학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극적으로 증가시켰다. 카나비스 사티바(Cannabis sativa)의 정신활성의 구성분이 분리되었고 합성 커내비노이드들이 설명되었으며, 엔도커내비노이드계(endocannabinoid system)가 그 구성분 수용체, 리간드 및 이의 생화학과 함께 확인되었다. 뇌, 척수 및 말초에서의 진통작용부위가 확인되었으며 척수와 말초는 커내비노이드의 진통작용과 향정신성 효과를 분리하는데 매력적인 표적이다.
두가지의 커내비노이드 수용체가 클로닝되었는데 1990년에 CB1(Matsuda et al (1990) Nature 346, 561-564) 그리고 1993년에 CB2(Munro et al (1993) Nature 365 61-65)가 클로닝되었다. 양자는 모두 G-단백질이 연결된 수용체이며 세포외 N-말단 도메인, 7개의 트랜스멤브레인 헬릭스 및 세포내 C-말단 도메인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CB1에 결합하는 몇몇 내인성 리간드가 발견되었다. 두 가지 기본형 리간드는 아난다미드(anandamide)(아라키도닐 에탄올아마이드, AEA) 및 2-아라키도닐글리세롤(2-AG)이며 양자는 모두 긴 지방산 사슬의 유도체이다(도 1). AEA는 CB1수용체에 결합하여 커내비노이드의 전형적인 4가지 효과인 진통효과, (위장의) 운동 감약증, 강경증(근육경직 등), 체온저하의 효과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기억과정, 경련 및 세포 증식에도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CB2 수용체에도 결합하는데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활성을 일으키지는 않으며, 또한 바닐로이드 수용체(VR1)에 대해 약한 작용물질이다. 2-AG도 커내비노이드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며 AEA보다 훨씬 높은 농도로 내생적으로 발견된다. 이는 CB1에만 약하게 결합하지만 완전한 작용물질이며 CB2 수용체에도 결합한다. 2-AG는 CB2 수용체의 내인성 리간드라는 것이 제시된 바 있다(Hillard(2000) Prostaglandins Other Lipid Mediate 61, 3-18).
팔미토일에탄올아미드(PEA)(도1)은 지방산 유도체인 또 다른 내인성 커내비미메틱(cannabimimetic) 화합물이다. 이것은 CB1 또는 CB2 수용체에 제한된 결합만을 하며, 게다가 일부 효과는 CB2 수용체의 길항제인 SR144528(SR2)에 의해 방해를 받는다(Calignano et al (1998) Nature 394 277-281; Farquhar-Smith et al(2002) Pain 97, 11-21; Farquhar-Smith and Rice(2001) Anesthesiology 94(3), 507-513; Farquhar-Smith and Rice(2003) Anesthesiology 99, 1391-1401).
PEA는 생체 내에서 항염증 효과와 진통효과를 가지며(Calignano et al(1998) Nature 394 277-281; Jaggar et al(1998) Pain 76 189-199; Lambert et al(2001) Epilepsia 42 321-327; Farquhar-Smith et al(2002) Pain 97, 11-21; Farquhar-Smith and Rice(2001) Anesthesiology 94(3), 507-513; Farquhar-Smith and Rice(2003) Anesthesiology 99, 1391-1401), 어떻게 이러한 효과가 달성되는가에 대해서 몇 가지 이론들이 있다. PEA는 CB2 수용체에 결합하는 다른 내인성 리간드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거나(주위(entourage) 효과) 또는 SR2도 길항제로 작용하는 수용체로서 CB1/CB2가 아닌 새로운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다.
지방산 아미드 가수분해효소(FAAH)는 엔도커내비노이드를 포함한 많은 지방산 아미드를 분해하는 효소이다(Boger et al(2000) Bioorganic and Medical Chemistry Letters 10 2613-2616). 이는 뇌(Egertova et al(1998) Proc R Soc Lond 265 2081-2085; Tsou et al(1998) Neuroscience Letters 254 137-140; Romero et al(2002) Molecular Brain Res 100 85-93)와 말초에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AEA와 PEA모두를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iger et al(2000) Biochemical Pharmacology 59 647-653). 최근 증거는 통증 경로와 관련된 부위를 포함하여 뇌의 많은 부위에서 FAAH가 CB1 수용체와 상보적인 국재성(localisation)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Egertova et al(1998) Proc R Lond 265 2081-2085).
FAAH가 엔도커내비노이드, AEA 및 PEA를 포함한 지방산 아미드들을 분해함에 따라, 생체내에서 FAAH 기능의 억제는 엔도커내비노이드가 보다 오래 지속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따라서 진통효과와 같은 보다 연장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양한 FAAH 억제제가 발견되었고(Martin et al(2000) J Pharmacol Exp Ther 294 1209-1218; Boger et al(2000) Proc Natl Acad Sci USA 97 5044-5049), 실제로, PEA 자체는 FAAH를 억제하는데 일부 능력을 가진다(Jonsson et al(2001) Br J Pharmacol 133 1263-1275).
최근 PEA의 구조 활성에 대해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Vandevoorde 등(2003) (J Med Chem 46 1440-1448)은 에탄올아민 헤드기가 바뀐 PEA의 유사체와 상동체를 합성하였으며, FAAH기능을 억제하여 AEA 대사작용을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이들 화합물중 어느 것도 PEA보다 강력하지 못함을 발견하였다.
유사하게 Jonsson 등(2001) (Br J Pharmacol 13, 1263-1275)은 에탄올아민 헤드기와 지방산 꼬리 모두가 변형된 다수의 PEA 상동체와 유사체를 합성하였다. 저자들은 PEA와 비교하여 유사체의 FAHH에 의한 AEA 대사작용 감소 능력이 거의 변화되지 않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두 화합물은 PEA와 비교할때 세포내로 AEA의 유입을 증가시키므로 '앤토리지(entourage)' 화합물로서 유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간 연구 Lambert et al(1999) Biochem Biophys Acta 1440 266-274에서 PEA와 에탄올아민 헤드기와 지방산 꼬리 모두에서 변화를 갖는 유사체 및 상동체에 대해 CB1 및 CB2의 리간드로서 수행하는 능력을 시험하였다. 저자들은 유사체와 상동체가 본질적으로 수용체에 결합하지 못한 반면, PEA는 CB1 및 CB2에 대해 약한 리간드임을 발견하였다.
WO 00/32200에서 더 많은 아난다미드 유사체들을 검토하였으나 생체내에서의 활성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도 1:
(A) 아난다미드(AEA), 2-아라키도닐글리세롤(2-AG), 팔미토일에탄올 아미드(PEA) 및 팔미토일알릴아미드(L-29)의 구조
(B) PEA와 유사한 화합물의 구조
도 2: 탈분극(Depolarisation)-유도된 흥분의 억제
전-시냅스 세포에서 활동전위는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일으키며 후-시냅스 수용체에 바인딩한다. 후속적인 칼슘 유입은 엔도커내비노이드 합성 및 방출을 야기한다. 엔도커내비노이드는 역행하는 형식으로 시냅스를 지나서 이동하고 전-시냅스 CB1 수용체에 바인딩한다. 이것은 칼슘채널을 차단하는 G-단백질을 활성화시켜서 다른 활동전위가 역치 수준에 이르게 하는 가능성을 낮춘다.
도 3:
(A) 아난다미드 및 다른 커내비노이드는 합성되어 시냅스로 방출되며, 거기서 CB1 수용체에 바인딩할 수 있다. AEA는 촉진된 확산 또는 수동적 확산에 의해 농도구배를 통해 세포에 재유입된다. 세포내로 들어가게 되면 엔도커내비노이드는 FAAH에 의해 비활성대사산물로 분해된다.
(B) FAAH가 억제되면 세포내로의 농도구배가 감소되고 시냅스에 존재하는 엔도커내비노이드들의 양이 증가하여, 이에 따라 CB1 수용체에 대한 바인딩이 증가한다.
도 4: 포르말린 시험에서 통증 작용이 팔미토일알릴아미드에 의해 약화된다.
(A) 2.5%포르말린을 배후의 뒷다리에 s.c. 주입후, 대조군, 0.1mg/kg L-29, 1mg/kg L-29 및 10mg/kg L-29에 대한 침해 수용적 활성(평균 CPS-WST(0,1,2) + S.E.M)의 시간 경과.
(B) 대조군, 0.1mg/kg L-29, 1mg/kg L-29 및 10mg/kg L-29에 대한 포르말린 시험의 1단계(0-15분) 및 2단계(15-60분) 모두에 대한 평균 통증 스코어(평균 CPS-WST(0,1,2) + S.E.M).
*P<0.05 Dunnett의 시험이 후속하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에 의한 대조군 수치와 비교
도 5: 팔미토일알릴아미드로 매개되는 항침해수용에 대한 수용체 길항제의 영향
(A) 대조군, 1mg/kg L-29, 및 사전에 1mg/kg SR141716A, 1mg/kg SR144528 또는 10mg/kg 캅사제핀(capsazepine)중 하나를 투여한 1mg/kg L-29에 대한 침해수용적 활성(평균 CPS - WST(0,1,2) + S.E.M )의 시간 경과.
(B) 대조군, 1mg/kg L-29, 및 사전에 1mg/kg SR141716A, 1mg/kg SR144528 또는 10mg/kg 캅사제핀(capsazepine)중 하나를 투여한 1mg/kg L-29에 대한 포르말린 시험의 1단계(0-15분) 및 2단계(15-60분) 모두에 대한 평균 통증 스코어(평균 CPS-WST(0,1,2) + S.E.M.).
# P<0.05 Dunnett의 시험이 후속하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에 의한 대조군 수치와 비교
도 6: L-29가 투여된(0.1-10mg/kg, i.p., n=6 per dose) 부분적인 좌골 신경의 결찰에 의해 신경병증이 부여된 래트에서 냉 자극(아세톤 방울)에 대한 양쪽 뒷다리의 물러나기 반응.
도 7: L-29가 투여된(0.1-10mg/kg, i.p., n=6 per dose) 부분적인 좌골 신경의 결찰에 의해 신경병증이 부여된 래트에서 기계적 자극(electronic Von Frey)에 대한 양쪽 뒷다리의 물러나기 반응.
도 8: L-29가 투여된(0.1-10mg/kg, i.p., n=6 per dose) 부분적인 좌골 신경의 결찰에 의해 신경병증이 부여된 래트에서 열 자극(Hargreaves'device)에 대한 양쪽 뒷다리의 물러나기 반응.
도 9: 투약 후 20분에서 L-29(0.1-10mg/kg)에 대한 열적 및 기계적 자극에 대한 투여량-반응의 관계.
도 10: SR14176a(1mg/kg, i.p.)와 유효투여량의 L-29(1mg/kg, i.p.)가 동시투여된(n=6 per dose) 부분적인 좌골 신경의 결찰에 의해 신경병증이 부여된 래트에서 냉(아세톤 방울), 기계적(electronic Von Frey) 및 열적(Hargreaves' device) 자극에 대한 양쪽 뒷다리의 물러나기 반응.
도 11: SR14176a(1mg/kg, i.p.)와 유효투여량의 L-29(1mg/kg, i.p.)가 동시투여된(n=6 per dose) 부분적인 좌골 신경의 결찰에 의해 신경병증이 부여된 래트에서 냉(아세톤 방울), 기계적(electronic Von Frey) 및 열적(Hargreaves' device) 자극에 대한 양쪽 뒷다리의 물러나기 반응.
본 발명자들은 에탄올아민기가 알릴아민기로 치환된 PEA와 유사한 화합물이 동물모델에서 진통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제 1 견지는 화학식(Ⅰ) 화합물의 통증완화를 위한 의약제조에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RC(O)-NH-(CH2)n0CH=CH2
상기 식에서, R은 C1-20 알킬, C2-20 알케닐 또는 C2-20 알키닐을 나타내며; 그리고
n은 0 내지 3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제 2 견지는 상기 정의된 화학식 Ⅰ 화합물을 의약으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견지는 환자에게 상기에서 정의된 화학식 Ⅰ 화합물을 유효량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 대한 통증 완화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되는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다. 의문을 피하기 위해 알케닐기는 하나 또는 (적절한 경우) 그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예를 들면 1 내지 3개의 C=C이중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알키닐기는 하나 또는 (적절한 경우) 그 이상의 탄소-탄소 삼중결합(예를 들면 1 내지 3개의 C≡C삼중결합)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알케닐기 및 알키닐기는 오직 하나의 불포화 지점을 함유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는 직쇄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화합물은 말단 알릴아민 헤드기를 공통적으로 가진 지방산의 아미드이다.
상기 환자는 통증완화의 필요성이 있거나 필요해 보이는 환자이다. '통증'이란 본 발명자들은 모든 종류의 통증을 포함시키는데, 예를 들면 신경병적 통증 및 수술 후의 통증, 만성적인 하배부 통증, 군발성 두통, 헤르페스(herpes) 신경통, 포진성신경통, 환지통, 중추성 통증, 치통, 오피오이드(opioid) 저항성 통증, 암 관련 통증, 내장의 통증, 외과적 통증, 골 손상 통증, 출산중의 통증, 햇볕에 탄 것을 포함한 화상에 의한 통증, 산후의 통증, 편두통, 협심증 통증 및 방광염을 포함한 비뇨생식기의 관과 관련된 통증 등과 같은 급성 및 만성 통증이다. 이 용어는 침해수용적 통증 또는 침해수용을 포함한다.
상기 환자는 예를 들어 사람, 말, 돼지, 소, 양, 닭, 개, 고양이, 래트 또는 마우스와 같이 통증완화가 필요한 어떤 동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자는 사람 환자이다.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3 견지의 구현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통제를 더욱 포함하는 약제인 경우이거나 상기 환자가 상기 언급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통제를 더욱 투여받는 경우이다.
추가적인 진통제는 바람직하게 커내비노이드 수용체 리간드이며, 예를들어 아라키도닐에탄올아미드(AEA) 또는 2-아라키도닐글리세롤(2-AG) 또는 팔미토일에탄올아미드(PEA), 또는 PEA와 같은 FAAH의 기질이다. 다른 진통제들의 예시는 아래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또는 제 3 견지의 구현은 화학식Ⅰ 화합물 중에서 R이 C-10-20 알킬, C10 -20 알케닐 또는 C-10-20 알키닐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또는 제 3 견지의 다른 구현은 화학식Ⅰ 화합물 중에서 R이 C10 -20 n-알킬, C10 -20 모노-알케닐 또는 C-10-20 모노-알키닐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또는 제 3 견지의 다른 구현은 화학식Ⅰ 화합물 중에서 R이 C10 -20 n-알킬, C10-20 모노-n-알케닐 또는 C10-20 모노-n-알키닐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또는 제 3 견지의 다른 구현은 화학식Ⅰ 화합물 중에서 R이 C11 -19 n-알킬 또는 C11-19 모노-n-알케닐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또는 제 3 견지의 다른 구현은 화학식Ⅰ 화합물 중에서 R이 C11 -18 n-알킬, 또는 C11 -18 모노-n-알케닐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또는 제 3 견지의 다른 구현은 화학식Ⅰ 화합물 중에서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가 각각 C-C의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을 3개 이상 갖지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또는 제 3 견지의 다른 구현은 상기 화합물이 N-(2-프로페닐)-5,8,11,14-에이코사테트라에나마이드(eicosatetraenamide)가 아닌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또는 제 3 견지의 다른 구현은 화학식Ⅰ 화합물 중에서 n은 0 또는 1을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n은 1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제 2 또는 제 3 견지의 일 구현은 상기 화합물이 N-(2-프로페닐) 헥사데칸아미드, N-(2-프로페닐) 시스-9-옥타데칸아미드, N-(2-프로페닐) 시스-9-헥사데칸아미드, N-(2-프로페닐) 테트라데칸아미드, N-(2-프로페닐) 시스-9-테트라데칸아미드, N-(2-프로페닐) 옥타데칸아미드, N-(2-프로페닐) 트랜스-9-옥타데칸아미드, N-(2-프로페닐) 도데칸아미드, 또는 N-(2-프로페닐) 시스-5-도데칸아미드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N-(2-프로페닐) 헥사데칸아미드이다. 도 1은 이러한 회합물의 예시적인 도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견지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N-(2-프로페닐) 헥사데칸아미드는 Vandevoorde et al(2003) J Med Chem 46 1440-1448의 스킴 1에 약술된 바와 같이 팔미톨리 클로라이드 및 알릴아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N-(2-프로페닐) 시스-9-옥타데칸아미드는 올레오일 클로라이드 및 알릴아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 화합물은 CAS 번호 187529-39-1로 등록되어 있다.
N-(2-프로페닐) 시스-9-헥사데칸아미드는 팔미톨레인산, 옥살릴 클로라이드 및 알릴아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N-(2-프로페닐) 테트라데칸아미드는 미리스토일 클로라이드 및 알릴아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N-(2-프로페닐) 시스-9-테트라데칸아미드는 미리스트올레산, 옥살릴 클로라이드 및 알릴아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N-(2-프로페닐) 옥타데칸아미드는 스테아릴 클로라이드 및 알릴아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N-(2-프로페닐) 트랜스-9-옥타데칸아미드는 엘라이딘산, 옥살릴 클로라이드 및 알릴아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N-(2-프로페닐) 도데칸아미드는 라우로일 클로라이드 및 알릴아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N-(2-프로페닐) 시스-5-도데칸아미드는 시스-5-도데센산, 옥살릴 클로라이드및 알릴아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N-(2-프로페닐)-5,8,11,14-에이코사테트라에나마이드(eicosatetraenamide)는 아라키돈산, 옥살릴 클로라이드 및 알릴아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 화합물은 CAS번호 177037-49-9로 등록되어있다. 이 화합물은 Boger et al (1999) Bioorg Med Chem Lett 9, 1151-1154; Lin et al(1998) J Med Chem 41, 5353-5361; Pate et al(1996) Life Sci 58, 1849-1860; WO 00/32200에 언급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시약은 Sigma-Aldrich-Fluka, Across Chimica로 부터 구입할 수 있다. 만일 아실 클로라이드가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없다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디클로로메탄에서 그에 상당하는 카르복실산 및 옥살릴 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N-(2-프로페닐) 헥사데칸아미드 합성을 위한 상세한 프로토콜을 아래에 제공한다.
2구 플라스크에 알릴아민 5.7g(100mmol)을 10mL의 건조 메틸렌 클로라이드에 부었다. 이 용액을 아이스 배스에 넣어 냉각하고 자기적으로 교반시켰다. 팔미토일 클로라이드 2.74g(10mmol)을 적가하였다. 혼합 반응물을 실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5% 소디움 바이카보네이트 용액, 1M HCL,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MgSO4로 유기층을 건조시키고, 여과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1.74g(59%)의 흰색 고형물을 얻었다.
물리적 및 스펙트럼 데이타: mp 61-63℃(무교정);
TLC(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8:2 vv-1) Rf) 0.77; 1H NMR(CDC13) ‰(ppm) 0.87 (t, J) 3Hz, 3H), 1.22-1.54(m, 26H), 2.19(t, J) 7Hz, 2H), 5.11-5.2(m, 2H), 5.55(NH), 5.79-5.88(m, 1H); 13C NMR(CDC13)‰(ppm) 14.10(CH3), 22.77, 25.88, 29.43, 29.56, 29.76, 32.02, 35.39, 36.87, 41.99, 58.48, 116.39(CH2), 134.51(CH), 173.07(C=O); 질량분석[M+·])196;IR (cm-1)3299(NH),1636(C=O). CAS 번호: 1012114-99-8.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추가적인 화합물의 합성에 요구되는 변형은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배합물의 형태로, 임의로 비독성 유기물 또는 무기물, 산 또는 염기의 형태, 추가 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투여 형태로 통상적으로 경구로 또는 어떠한 비경구 경로에 의해 투여될 것이다. 투여 경로 뿐만 아니라 치료되는 질환과 환자에 따라 그 조성물은 다양한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합물은 상기 활성 성분의 일일 투여량 또는 유니트, 일일 보조 투여량 또는 이의 적절한 분획을 함유하는 단위 투약이다.
사람 치료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의도된 투여경로 및 표준 약학 기준을 고려하여 선택된 일반적으로 적절한 약학 부형제, 희석제 또는 캐리어와 함께 혼합물로서 투여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물의 즉시방출, 지연방출,또는 약물제어방출(controlled-release)을 위해 향미 또는 색채의 작용물을 포함하기도 하는 정제, 캡슐, 엘릭시르제(elixirs),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로 경구, 구강 또는 설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해면체내주사요법을 통해서도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정제는 미정질 셀룰로즈, 락토즈, 소디움 시트레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2가의 칼슘 포스페이트 및 글리세린과 같은 부형제, 전분(바람직하게는 옥수수, 감자, 또는 타피오카전분), 소디움 전분 글리콜레이트, 크로스카멜로즈소디움 및 특정의 복합 실리케이트와 같은 붕괴제,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HPC), 수크로즈, 젤라틴 및 아카시아 같은 과립상태의 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린산, 글리세릴 베헤네이트(glyceryl behenate) 및 탤크와 같은 윤활제가 포함될 수 있다.
유사한 타입의 고체 조성물이 또한 젤라틴 캡슐의 필러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바람직한 부형제는 락토오즈, 전분, 셀룰로즈, 유당 또는 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수성 서스펜션 및/또는 엘릭시르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감미제 또는 향료, 착색 물질 또는 염료와 혼합될 수 있으며, 에멀젼화제 및/또는 서스펜딩제와 혼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물,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 및 이의 혼합물과 같은 희석제와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맥내, 동맥내, 경막외, 복강내, 척추강내, 심실내, 흉골내, 두개골내, 근육내 또는 피하로 투여될 수 있으며 또는 (정맥에) 주입기술을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이들을 사용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혈액과 등삼투압 용액을 만들기 위한 충분한 염 또는 글루코스 등과 같은 다른 물질들을 포함하는 멸균 수성 용액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수성 용액은 필요한 경우 적절히 완충되어야 한다(바람직하게는 pH 3 내지 9). 멸균조건하에서 적절한 비경구용 배합물의 제조는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잘 알려진 표준 약학 기술에 의해 쉽게 수행된다.
비 경구적 투여에 적합한 배합물은 수성 및 비수성의 멸균 주사 용액을 포함하며 이는 항산화제, 완충제, 세균발육엑제제 및 배합물에 의도된 수용체의 혈액과 등장성을 부여하는 용질을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서스펜딩제 및 증점제를 포함할 수 있는 수성 및 비수성 멸균 서스펜션을 포함한다. 상기 배합물은 예를 들어, 밀봉된 앰플 및 바이얼과 같은 단위 조제 또는 다회량 조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 직전 주사용 물과 같은 멸균 액상 캐리어의 첨가만을 요하는 동결건조(lyophilised) 조건으로 보관될 수 있다. 즉석 주사 용액 및 서스펜션은 상기 종류의 멸균 분말, 과립 및 정제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사람 환자에 대한 경구 및 비경구로 투여에 있어서, 본 발명 화합물의 일일의 투여 수준은 일반적으로 어른에 대해 1 내지 1000mg(즉, 약 0.015 내지 15mg/kg)이 한번에 또는 나누어진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일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발명 화합물의 정제 또는 캡슐은 한번에 1회 또는 2회 이상의 투여를 위한 활성 화합물을 1mg 내지 1000mg까지 적당한 만큼 함유할 수 있다. 어떠한 이벤트에서 의사는 어느 개개인의 환자에게 가장 적절한 실제 투여량을 결정할 것이고 이는 연령, 체중, 특정 환자의 반응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상기의 투여량은 평균적인 사안의 예시이다. 당연히 보다 높거나 보다 낮은 투여량 범위가 가치가 있는 개개의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비강내로 또는 흡입에 의해서도 투여될 수 있고 이들은 건조 분말 흡입기 또는 적절한 추진체의 사용과 함께 기밀구조의 용기, 펌프, 스프레이 분무기(nebuliser)로부터의 에어로졸 분무기에 의해 편리하게 운반된다. 적절한 추진체로는 예를 들어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HFA 134ATM) 또는 1,1,1,2,3,3,3--헵타플루오로프로판(HFA 227EATM),과 같은 하이드로플루오로알칸,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절한 기체가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는 투여량 단위가 계량된 양의 전달을 위한 벨브의 제공에 의해 결정된다. 가압한 용기, 펌프, 스프레이, 또는 분무기는 상기 활성 화합물의 용액 또는 서스펜션을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매로서 에탄올과 추진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며 이는 부가적으로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와 같은 윤활제를 함유할 수 있다. 흡입기 또는 취입기(insufflator)로 사용하기 위한 캡슐 및 카트리지(예를 들어 젤라틴으로부터 만들어진 것)는 본 발명 화합물의 분말 혼합물과 락토즈 또는 전분 같은 적절한 분말 베이스를 함유하도록 배합될 수 있다.
에어로졸 또는 건조 분말 배합물은 바람직하게 환자에게 운반되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계량된 투여량 또는 "퍼프(puff)"가 적어도 본 발명 화합물을 1mg 함유하도록 조절된다. 에어로졸을 이용한 전체적인 일일 투여량은 환자마다 다르고 하루에 한번 또는 보통 나누어진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택일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좌약 또는 질좌약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또는 로션, 용액, 크림, 연고 또는 살포제의 형태로 국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예를 들어, 피부 패치의 사용에 의해 경피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특히 눈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눈을 통한 경로로도 투여될 수 있다.
눈에 사용을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등장(isotonic)의, pH 조절된, 멸균 식염수의, 또는 바람직하게는 등장액의 pH 조절된, 멸균 식염수에 임의로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방부제가 조합된 용액에 미세하게 분화된 서스펜션으로서 배합될 수 있다.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이하에서 언급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과의 혼합물내에 현탁 또는 용해된 활성화합물을 함유하는 적절한 연고로 배합될 수 있다: 광유(mineral oil), 액상 바셀린, 백색 바셀린,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화합물, 유화 왁스, 및 물. 택일적으로, 이들은 예를 들어, 이하에서 언급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과의 혼합물내에 현탁 또는 용해된 적절한 로션 또는 크림으로 배합될 수도 있다: 광유,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액상 파라핀, 폴리소르베이트 60, 세틸에스테르 왁스, 세티아릴 알콜, 2-옥틸도데칸올, 벤질 알콜 및 물.
구강에 국소 투여용으로 적절한 배합물은 향 베이시스, 일반적으로 수크로즈 및 아카시아 또는 트래거캔스고무(tragacanth)내에 상기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마름모꼴)정제(lozenges),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즈 및 아카시아와 같은 불활성 베이시스내에 상기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향정(pastille); 및 적절한 액상 캐리어내에 상기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에서, 본 발명 화합물의 구강 또는 국소 투여가 바람직하고 가장 편리한 경로이다. 수용자가 삼키는 작용에 기능장애 또는 구강투여 후 약의 흡수작용에 손상을 겪고 있는 환경에서는 약은 혀 밑으로(sublingually) 또는 볼(buccally) 등으로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것이다.
수의학적 사용을 위해서는 발명화합물은 일반적인 수의학적 행위에 따라서 적절히 받아들여지는 배합으로 투여되며 수의사가 투여량의 투여계획과 특정 동물에 가장 적합한 투여경로를 결정할 것이다.
편리하게, 상기 배합물은 약제학적 배합물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화합물의 염은 예를 들면 상기 화합물을 적절한 염기와 반응시켜 이에 상응하는 염기 염를 형성하거나, 또는 적절한 산과 반응시켜 이에 상응하는 산 염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생리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산 염으로는 염화수소산염, 황산염, 메실산, 베실산(brsylate), 인산 그리고 글루타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화합물은 또한 '프로드럭'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출원서에 사용된 용어 '프로드럭'은 효소적으로 활성화되거나 또는 보다 활성적인 근원 형태로 전환될수 있는 약제학적 활성 물질의 프로드럭 또는 파생물의 형태를 말한다(참조, 예, D.E.V. Wilman "Prodrugs in Cancer Chemotherapy" Biochemical Society Transanctions 14, 375-382 (615th Meeting, Belfast 1986) 과 V.J. Stella et al "Prodrugs:A Chemical Approach to Targeted Drug Delivery" Directed Drug Delivery R. Borchardt et al(ed.) pages 247-267 (Humana Press 1985)).
프로드럭은 예를 들어, 투여하기가 보다 쉽고, 저장에 더 적합하거나 또는 독성이 약하거나 투여부위가 덜 불쾌할 수 있다.
프로드럭 활성화를 위한 효소의 선택시 몇 가지 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들은 효소의 분자량 및 물리적 특성, 생리적 조건하에서의 활성도 및 안정성, 그리고 효소가 생성하는 약의 특성을 포함한다. 효소는 통증완화가 요구되는 부위(예를 들어, 종양 부위)를 표적으로 하는 내인성 효소 또는 외인성 효소일 수 있다.
표유류 및 비표유류 모든 기원의 효소는 광범위한 범위의 프로드럭의 활성화를 위해 널리 조사되었다(Senter et al, 1993. Generation of cytotoxic agents by targeted enzymes. Bioconjugate 4, 3-9; Senter et al, 1991. Activation of prodrugs by antibody-enzyme conjugates. In Immunobiology of Proteins and Peptides Ⅵ, ed. M.Z.Atassi. Plenum Press, New York, pp 97-105). 포유류 기원의 효소는 감소된 면역원성에 기인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이들이 작용하는 프로드럭은 이에 상응하는 내인성 효소에 대한 기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효소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인산을 함유하는 프로드럭을 프리 약물로 전환하는데 유용한 알칼리성 포스파타아제, 황산염을 함유하는 프로드럭을 프리 약물로 전환하는데 유용한 아릴설파타제(arylsulfatase), 펩티드함유 프로드럭을 프리 약물로 전환하는데 유용한 세라티아 프로테아제, 서몰리신, 서브틸리신, 카르복시펩티다아제 및 카텝신(카텝신 B 및 L)과 같은 프로테아제, D-아미노산 치환체를 함유하는 프로드럭을 전환하는데 유용한 D-알라닐카르복시펩티다아제, 글리코실화 프로드럭을 프리 약물로 전환하는데 유용한 β-갈락토시다아제 및 뉴라미니다아제와 같은 탄수화물 분해효소, β-락탐으로 유도된 약물을 프리 약물로 전환하는데 유용한 β-락타마아제, 그리고 아민의 질소에 페녹시아세틸 또는 페닐아세틸기로 각각 유도된 약물을 프리 약물로 전환하는데 유용한 페니실린 V 아미다제 또는 페니실린 G 아미다제 같은 페니실린 아미다제를 포함한다. 택일적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항체효소(abzyme)라고도 알려진 효소적 활성을 갖는 항체가 본 발명의 프로드럭을 프리 활성 약물로 전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참조, 예, RJ Massy, Natuer, 328, pp. 457-458(1987)].
유사하게, 본 발명의 프로드럭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인산 함유 프로드럭, 티오 인산염 함유 프로드럭, 황산염 함유 프로드럭, 펩티드 함유 프로드럭, D-아미노산 변형 프로드럭, 글리코실화 프로드럭, β-락탐 함유 프로드럭, 임의로 치환된 페녹시아세트아미드 함유 프로드럭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아세트아미드 함유 프로드럭이다.
본 발명의 제 4 견지은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정의된 화합물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통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제 5 견지는
(a) 발명의 첫 번째 특징에서 정의된 화합물; 및,
(b)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통제; 및,
(c)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를 포함하는 성분의 키트이다.
상기 캐리어(들)는 본 발명 화합물과 혼화가능해야 하며 수용자에게 해롭지 않아야 한다는 관점에서 "수용가능"해야 한다. 전형적으로 상기 캐리어는 무균처리되고 발열원이(pyrogen) 없는 물 또는 식염수가 된다. 약학 조성물의 투여 수단은 상기에서 약술하였다.
예를 들어, 상기 성분의 키트는 화학식Ⅰ의 화합물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통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은 별도의 배합물로 제공되며 함께 사용하기 위해 라벨을 단다.
본 발명의 제 1, 제 3, 제 4 또는 제 5 견지의 구현은 상기 진통제가 오피오이드(opioid),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부분 마취제, NMDA 수용체의 길항제, 커내비노이드, 우울증치료제, 및/또는 항경련제인 것이다.
본 발명의 견지의 이러한 구현에 포함되는 진통제의 예시들은 몰핀, 코데인, 페치딘, 메타돈, 아스피린 및 이와 관련된 화합물과 같은 오피오이드, 이부프로펜, 아세트아미노펜(파라쎄타몰)과 같은 씨클로옥시게나아제 억제제, 리도카인, 디부카인 및 테트라카인과 같은 소디움 채널 차단제, 칼슘 체널 차단제, 케타민 및 펜시클리딘과 같은 N-메틸-D-아스파테이트(NDMA) 수용체의 길항제, 아난다미드(아라키도닐에탄올아미드, AEA) 및 2-아라키도닐글리세롤(2-AG)와 같은 커내비노이드, 트리시클릭 항우울제 이미프라민 및 세로토닌 재흡수 차단제 파록세틴과 같은 항우울제, 가바펜틴, 카바마제핀 및 페니토인과 같은 항경련제 및 용체 전위(transient receptor potential (TRP)) 이온 채널과 상호작용하는 제제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어떠한 발표물은 참고문헌으로 편입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 래트에서 포르말린에 의해 유발된 통증에 대한 팔미토일알릴아미 드, 지방산아미드 가수분해효소 억제제의 영향
요약
이 연구는 염증성 통증의 래트 모델에서, 새롭게 특성화된 지방산 아미드, 팔미토일알릴아미드의 항침해수용적 효과를 평가하였다. 팔미토일알릴아미드는 내인성 커내비미메틱 화합물인 팔미토일에탄올아미드의 유사체이다. 팔미토일알릴아미드는 지방산아미드 가수분해효소를 억제하지만 CB1 또는 CB2 수용체 중 어느 것에도 현저히 바인딩하지 않는다. 포르말린의 피하주사에 대한 행동반응의 팔미토일알릴아미드의 치료효과가 시험되었다. 대조군 동물은 포르말린 주사에 대해 특징적인 양국면(1단계 및 2단계)의 반응을 나타내었다. 팔미토일알릴아미드(10mg/kg 및 1mg/kg i.p.)는 1단계 및 2단계 모두의 용매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통증행동을 감소시켰다. 선택적인 CB1 수용체 길항제인 SR141716A(1mg/kg)은 포르말린 시험의 2단계에서 팔미토일알릴아미드에 의해 생상된 항침해수용성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선택적인 CB2 길항제인 SR144528(1mg/kg i.p.)과 선택적 VR1의 길항제인 캅사제핀(capsazepin)(10 mg/kg)은 팔미토일알릴아미드에 의해 유도된 항침해수용성을 바꾸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방산 아미드 가수분해효소 억제제가 엔도커내비노이드의 세포외 수준을 높여서 CB1 수용체 활성화를 증가시켜서 항침해수용성을 유도한다는 가설을 지지해준다.
약어: L-29, 팔미토일알릴아미드;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9-THC, △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 PEA, 팔미토일에탄올아미드; SR1,SR141716A; SR2, SR144528; FAAH, 지방산 아미드 가수분해효소; i.p.,복강내; s.c.,피하; AEA, 아난다미드; 2-AG, 2-아라키도닐글리세롤; VR1, 바닐로이드 수용체; CB1, 커내비노이드 수용체 1; CB2, 커내비노이드 수용체 2, WIN2, WIN55, 212-2;
1.서론
칸나비스(Cannabis)는 수천년동안 삼 섬유 및 향정신성과 진통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어왔으나 1960년대가 되서야 커내비노이드 화합물의 의미있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 이래로 칸나비스의 활성 구성요소가 설명되었고, 합성 커내비노이드가 발견되었으며 그리고 내인성 수용체와 리간드가 확인되었다.
커내비노이드의 전통적인 네가지 효과들은 삼(Cannabis sativa)의 주요 정신활성의 구성요소인 △9-테트라하이드로카나비놀(△9-THC)에 의해서 매개된다. 이러한 효과는 진통효과, (위장의)운동감약증(hypomotility), 강경증(catalepsy) 및 저체온증이다. 커내비노이드 연구에서 주요 문제점은 어떻게 바람직하지 않은 향정신성 효과를 통증, 녹내장, 구역질, 구토 그리고 경련의 치료에 대한 잠재적인 이로움으로부터 분리하는가이다. 포유류의 커내비노이드 수용체와 내인성 리간드의 발견은 커내비노이드 화합물들의 향정신성 효과의 뒤에 있는 매커니즘에 대한 더 큰 이해를 가능하게 하였다.
커내비노이드의 두개의 수용체들이 클로닝된 연대를 추정해 보면, CB1는 1990년(Matsuda et al 1990) 그리고 CB2는 1993년(Munro et al 1993)이다. CB1은 최초로 뉴론에서 발현된다. 이는 뇌, 특히 통증 처리부위(Egertova et al 1998)에서 넓게 분포하고 또한 척수(Farquhar-Smith et al 2000) 그리고 등쪽 뿌리 신경절에서도 발견된다. 유전자결손 마우스(CB1 -/-)가 △9-THC의 중추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커내비노이드의 척수상부 효과의 대부분을 성립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Ledent et al 1999). CB2 수용체는 본래 비장의 대식세포에서 발견되었고 뇌의 소교세포(microglia)의 CB2를 보여주는 보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면역세포주에만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CB2 수용체의 활성화는 항염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것이 마스트 세포의 하향조절에 의한 것이라는 몇몇의 증거가 있다(Facci et al 1995).
커내비노이드들은 지방산으로서 독특한 신경전달물질이며, 세포내에 저장되는 대신 '요구'에 의해 합성되고, 보통 시냅스를 역행하는 형태로 지나서 이동한다. 이들은 뇌의 탈분극화에 의해 유발된 흥분상태의 억제(depolarisation-induced suppression of exitation, DSE) 현상을 매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후시냅스의 탈분극은 후시냅스 세포에서 엔도커내비노이드를 합성하는 효소를 활성화시킨다. 새롭게 합성된 엔도커내비노이드는 이후 후 시냅스 세포에서 확산되어 나가고 전시냅스 세포의 세포막에 있는 CB1 수용체에 바인딩하기 위해서 시냅스를 통해 역행하여 이동한다. CB1 수용체에 바인딩하는 작용물질은 G-단백질을 활성화시키고 즉시 전 시냅스의 Ca2 +가 전시냅스 세포에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이에 따라 활동전위가 역치에 이르러서 신경전달물질을 방출 가능성을 감소시킨다(Krietzer and Regehr 2001)(도 2). 이들은 CB1 수용체를 가진 중뇌 수도 주위 회백질(PAG) 및 위복내측연수(rostral ventromedial medulla, RVM)로부터 내려오는 통증조절 경로를 무억제할수 있기 때문에 이것은 커내비노이드의 몇몇 진통작용적 특성을 설명해 줄 수 있다(Egertova et al 1998).
지방산 아미드 가수분해효소(FAAH)는 엔도커내비노이드를 포함한 많은 지방산 아미드들을 분해하는 효소이다(Boger et al 2000a). 이는 뇌(Egertova et al 1998, Tsou et al 1998, Romero et al 2002)와 말초신경에 널리 분포하며, AEA와 PEA 모두를 분해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iger et al 2000). 최근의 증거는 통증경로와 관계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뇌의 많은 부위(Egertova et al 1998)에서 FAAH가 CB1수용체와 상보적인 위치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엔도커내비노이드가 시냅스에서 방출된 후에 이들은 후시냅스 세포로 수동적 확산과 농도구배에 따라 촉진 수송에 의해 재유입된다. PEA 수송은 대략 50%가 수동적 확산(Jacobsson and Fowler 2001)인 반면 AEA는 주로 촉진수송(Day et al 2001, Jacbsson and Fowler 2001)에 의해 이동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두 화합물은 서로 다른 운반자 분자를 가질 수 있다. 일단 후 시냅스 세포내에 두 화합물이 들어가면 이들은 FAAH에 의해 비활성 대사산물로 대사된다(도 3A)(Tiger et al 2000).
FAAH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결핍된 마우스(FAAH_/_)가 개발되었으며(Cravatt et al) 이는 감소된 통증감각을 가지고 증가된 아난다미드의 수준을 가지며, FAAH가 내인성 커내비노이드들을 조절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FAAH의 억제는 AEA 수준을 증가시키며(Martin et al 2000, Day et al 2001, Deutsch et al 2001) 후시냅스 세포내의 PEA는 그 때문에 내부의 농도구배를 감소시키고 그 결과로서 시냅스 내의 엔도커내비노이드의 양을 증가시킨다. 이것은 증가된 수준의 CB1 바인딩을 일으킬 것이다(도 3B). 말초 FAAH 및 엔도커내비노이드의 증가된 세포외 수준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된다. 사용된 효소억제제가 FAAH에 특유한 것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FAAH의 억제가 칸나비미메틱(cannabimimetic) 효과를 일으킨다는 증거가 있다(Compton and Martin 1997).
엔토리지 학설(entourage theory)에 무게를 실어주는 증거로 다양한 FAAH 억제제들이 발견되었고(Martin et al 2000, Boger et al 2000b) 실제로 PEA 자체는 어느정도 FAAH 억제 능력을 갖는다(Jonsson et al 2001). 본 발명자들이 조사한 FAAH 억제 화합물은 팔미토일알릴아미드(L-29)라고 불리우는 PEA의 유사체이다. 이는 Didier Lambert 박사와 Unite de Chimie pharmaceutique et de Radiopharmacie, Universite catholique de Louvain, Brussels, Belgium의 팀에 의해 개발되었다. FAAH로 촉매된 [3H]-AEA 가수분해를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을 측정하여 L-29의 FAAH 억제 능력이 계산되었다(최대 억제와 pI50이 계산되었다). L-29는 최대 억제의 67%를 활성화 시켜서(±3%) 상당히 효과가 있으며, 5.47μM의 pI50(±0.06)으로 상당히 강력하다(공표되지 않은 데이타이나, 방법에 대해서는 Jonsson ey al 2001를 참조바람). 이와 비교하여 PEA에 대한 수치는 78%(±7%) 및 5.3μM(±0.15)이었다. CB1 수용체와 함께 세포내 핵산을 넣은(transfered) 세포주로 부터 유래한 방사성 [3H]-CP55,940 그리고 CB2 수용체와 함께 세포내 핵산을 넣은(transfered) 세포주로 부터 유래한 방사성 [3H]-WIN55,212-2의 치환의 계산을 통하여 CB1 및 CB2 수용체에 대한 바인딩도 계산되었다. 10μM 농도의 L-29가 CB1 시험에서 13.3%(±0.4%) 및 CB2 시험에서 7.8%(±0.3%) 치환되었다. PEA가 23.8%(0.07%) 및 13.9%(1.7%)로 각각 대체된 것과 비교해 볼 때 L-29가 CB1 및 CB2 수용체에 대해 낮은 친화력을 갖는다는 것을 입증한다.
포르말린 테스트는 1977년에 Dubuission과 Dennis에 의해 처음으로 설명되었으며(Dubuisson and Dennis 1977) 이는 급성 또는 강직성 염증성 통증에 관한 널리 쓰이고 특징이 잘 나타내어진 모델이다. 쥐의 뒷다리에 희석된 포르말린을 주사하면 양면성 통증과 관련된 행동적 반응이 나타난다. 여기에는 주사 후 최초 5분간 통증행동의 시작 기간이 있으며 십분 내지 십오분간 지속되는 정지기간이 뒤따른다. 여기에 실험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는 통증행동의 두번째 기간이 뒤따른다.
통증행동의 수치를 기록하기 위한 많은 스킴이 제안되었다. Dubuisson과 Dennis는 영향받은 다리를 조심해서 다루기, 영향받은 다리를 들어올리기, 영향받은 다리를 핥는 세 가지의 행동적 카테고리 각각에 소요되는 시간의 양을 측정하는 가중된 수치기록을 설명하였다(Dubbuison and Dennis 1977). 다른 사람들은 영향받은 다리를 움찔하는 수를 세었다. 두 논문이 다른 수치 매기기(scoring) 방법을 증명하기 위한 시도를 했다. Abbott et al(1995)는 단순히 들어올리기와 핥기에 소요된 시간의 합산 또는 Dubbuison과 Dennis의 수치기록방법이 어떠한 단독의 측정보다 우위에 있으며, 움찔거림과 조심히 다루기의 추가는 타당성을 증가시키지 않았다. Watson et al(1997)은 Dubbuison과 Dennis의 방법에 통증수치와 권장된 교체를 결합시키는 최적의 가중치방법을 증명하였다. 조심히 다루기는 수치화되지 않았으며 다리 들어올리기는 무게 1이 주어졌고, 다리 핥기는 무게 2가 주어졌다. 이 새로운 통증 수치는 Combined Pain Score-Weighted Scores Techinique(0,1,2)(CPS-WST(0,1,2))라고 불리며 이 방법은 여기에서의 연구에서 사용된 것이다.
무엇이 포름알데히드 실험에서 통증행동을 매개하는 메카니즘인가? 일반적으로 첫번째 국면은 C-섬유 타입의 최초의 구심성 뉴론이 직접적인 화학적 활성화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Puig and Sorkin 1995, Dallel et al 1995, Mc Call et al 1996). 포르말린 주사 부위의 C-섬유가 주사에 의해서 파괴되고 낮은 농도의 포르말린을 받게되는 주사부위에서 먼 곳은 잔존하여 자극에 반응하는 것으로 보인다(McCall et al 1996). 몇몇의 저자들은 두번째 국면이 첫번째 국면의 강한 구심성 집중공세로 발생한 척수의 척수후각세포에 중심 감작작용(sensitisation)에 의한 것으로 믿는다(Martindale et al 2001). 그러나 감소된 강도에도 불구하고 두번째 국면 내내 계속되는 C-섬유의 활성화를 보여주는 수많은 전기생리학적 실험이 있어왔다(Puig and Sorkin 1995, Dallel et al 1995); 이는 아마도 다리의 염증에 기인한 것이다(Damas and Liegeois 1999).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가설은 진행중인 염증에 의해 계속되는 최초의 구심성 촉발에 의해서 유지되는 중심신경병성 통로(central sensitisation)의 결합이 두반째 국면의 통증행동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분열간기가 높은 중심으로부터 척수로의 하강의 억제에 의한 것이라는데 대한 증거도 있으나(Puig and Sorkin 1995, Henly et al 1999) 다른 것들은 간기에소 보다 적은 C-섬유의 촉발을 보고하였다(McCall et al1996).
이 실험의 목적은 첫번째로 L-29가 염증성 통증에 대한 포르말린 모델에서 항침해수용성인지와, 어디서 이 효과가 달성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L-29에 앞서서 특정한 수용체의 길항제를 사용하며, 이는 이들이 어떠한 가능한 항침해수용성을 바꾸는지를 보기 위한 것이다. SR141716A(SR1)은 처음으로 설명된 선택적 CB1수용체의 길항제이다(Rinaldi-Carmona et al 1995). Strangman et al(1998)은 SR1에 대한 약간의 약물동태학을 설명하였다. 저자는 강력한 CB1의 길항제인 WIN 55,212-2(WIN2)를 강경증을 발생시키는 쥐에 투여하였다. SR1은 Win2 의해 유도된 강경증에 대해 투약(1mg/kg i.p.) 후 15분 내에 크게 대립하였으며(antagonised) 이 효과는 적어도 투약 후 대략 50분간 실험이 끝날때 까지 지속되었다. SR2는 선택적인 CB2수용체의 길항제로 최초로 (Ueda et al 2000)에서 설명되었다. 이 것은 연구들에서 0.3mg/kg 그리고 3mg/kg i.p.의 투약량으로 사용되었다(Beaulieu et al 2000). 캅사제핀은 (Bevan et al 1991)에 의해 발전된 VR1의 경쟁적인 길항제이고, 나아가 캅사이신의 항침해수용성 효과의 반대작용을 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Urbanand Dray 1991, Dickenson and Dray 1991, Di Marzo et al 2001b). 이것은 연구들에서 10mg/kg i.p.의 투약량으로 사용되었다(Bouaboula et al 1997). 따라서 우리는 SR1(1mg/kg), SR2(1mg/kg) 그리고 캅사제핀(10mg/kg)을 L-29 투약에 앞서서 사용하였다.
2. 재료 및 방법
2.1 동물
모든 실험은 British Home Office의 규칙에 따랐다. 무게가 230-290g인 수컷 위스터 래트(Wistar rat)를 B&K로부터 얻었다. 동물은 집단의 우리에 두고 음식과 물에 대한 접근을 마음대로 하여 12시간의 빛-어둠 순환을 계속하였다. 각각의 동물은 오직 하나의 실험에서만 사용되었다.
2.2 재료
L-29는 D Lambert로 부터의 기증받았다(화학구조와 관련하여서는 도 1 참조). SR1과 SR2는 Sanofi로 부터의 기증받았고 캅사제핀은 Tcris로 부터 구입히였다. 모든 약은 40%의 다이메틸셀폭사이드(DMSO)와 식염수에 용해되었다.
2.3 치료집단
래트는 일곱개의 그룹으로 임의추출하였다. 연구자 JB는 Home Office 규칙에 맞춰 동물에 대한 투약을 수행하였고, 반면 연구원 HJ는 행동실험의 수치화를 포함한 모든 다른 의무들을 수행하였으며 그녀는 주어진 약물에 대해 눈가림하였다. 모든 동물은 실험에 앞서서 실험 환경에 적어도 30분간 순응시켰다. 각각의 동물은 매개물 또는 길항제에 첫번째로 복강내의(i.p.) 주사를, 5분 경과후에 매개물 또는 L-29의 두번째 i.p.주사를 투여받았다. 모든 i.p.주사는 1mg/kg의 용량을 가졌다. 10분 후에 모든 동물은 포르말린 주사를 맞았다. 그룹에 대해서는 표 1 참조.
2.4 포르말린 실험
2.5% 포르말린 50μl를 오른쪽 뒷다리의 배부(dorsum)에 27G 바늘로 피하 주사하였다. 그리고나서 다리는 영구적 잉크로 표시되었다. 이 동물은 즉시 다리에 대한 시야를 방해받지 않기 위해 아래쪽 45°에 거울이 놓인 23cm×18cm×14cm로 측정된 깨끗한 플렉시글라스의 관찰방으로 옮겨진다. 관찰은 래트가 상자안에 놓여진 때로부터 시작하며 60분간 계속된다. 이의 행동은 래트의 포르말린 실험(Watson et al 1997)을 위해 공인된 통증행동 수치화 시스템인 Composite Pain Score, Weighted Scores Techinique(CPS-WST(0,1,2))에 따라서 평가된다. 각각의 2 행동적 카테고리에 소요된 시간량은 기록된 한 시간안내에 각각의 연속적인 5분 기간에 대해 측정되었다. 카테고리 1은 주사된 다리가 어떤 표면과도 접촉에 의하지 않고 들어올려지고 카테고리 2는 주사된 다리가 핥아지거나, 물리거나, 흔들려진다. 그리고 나서 아래 식에 의해 각 5분 기간과 1단계(0-15분)와 2단계(15-60분) 대한 가중치 점수가 얻어진다.
CPS-WST=(1× 카테고리1의 시간)+(2× 카테고리2의 소요시간)
실험기간의 지속시간
2.5 통계학적 분석
데이타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테스트와 뒤이은 SigmaStat 2.3 컴퓨터패키지를 이용한 Dunnett의 테스트의 사용으로 분석되었다.
3. 결과
3.1 포르말린에 의해 촉발된 침해수용(nociception)에 대한 L-29의 효과
도 4A는 대조군과 L-29의 모든 투약에 대한 포르말린 주사에 뒤따르는 통증행동의 시간코스를 보여주고, 도 4B는 이러한 그룹의 1단계와 2단계의 평균 통증 스코어를 보여준다. 대조군은 초기 5분의 높은 통증 스코어와 뒤따르는 진정기의 기간 그리고 실험의 종료기까지 지속되는 증가된 통증 스코어에 의해 표시되는 두번째 단계의 시작과 함께 이전에 설명된 포르말린에 대한 양국면적 반응(Dubuisson and Dennis 1977, Malmberg and Yaksh 1992,Abbott et al 1995)을 뒷받침 해준다. 포르말린 테스트의 양 단계에서의 통증 행동은 투여량 의존적으로 L-19 투여에 의해 억제되었으나, 그들은 통증 행동의 양면적 패턴을 유지하였다. 10mg/kg L-29와 1mg/kg L-29는 모두 현저하게 통증행동을 약화시켰으나(P<0.05 by one-way ANOVA plus Dunnett's test v control ) 0.1mg/kg L-29는 대조군과 크게 다른 바가 없었다. L-29의 10mg/kg 복용량은 1mg/kg 복용량에 비해 크게 더 항침해수용적이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도 4에서 하나의 경향을 볼 수 있다.
3.2 L-29에 의해 일어난 진통에 대한 수용체 길항제의 효과
도 5A는 대조군, 1mg/kg L-29 그룹 및 수용체 길항제 그룹의 통증행동의 시간코스를 보여주며, 이들은 1mg/kg L-29와 함께 1mg/kg SR1, 1mg/kg SR2 또는 10mg/kg 캅사제핀 중 하나를 사전에 투여한 것이다. 도 5B는 상기 그룹의 1단계와 2단계에 대한 평균의 통증 스코어를 보여준다. 모든 그룹들은 포르말린 주사에 대해 양면의 반응을 나타낸다. 우리는 수용체 길항제가 L-29의 항침해수용적 효과를 감소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싶어서 L-29그룹에 대비하여 데이타를 분석하였다. 포르말린 실험의 1단계에서 L-29와 크게 다른 (P<0.05 by one-way ANOVA with Dunnett's test v 1mg/kg L-29 ) 하나의 그룹은 대조군 뿐이었다. 그러나 2단계에서는 SR1이 포르말린 테스트 2단계에서의 L-29의 항침해수용적 효과를 바꾼다. SR2와 캅사제핀은 양쪽 중 어느 단계에서도 L-29의 항침해수용적 효과를 크게 바꾸지 않는다.
4. 검토
상기 결과는 L-29가 래트에서의 감염통증의 포르말린 모델의 1단계 2단계 모두에서 복용량 의존 방식으로 통증행동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실증한다. 선택적인 CB1 수용체 길항제인 SR1은 2단계에서의 L-29의 항침해수용적 효과를 현저히 억제하는 반면 SR2와 캅사제핀은 이 활동을 바꾸지 않는다. 이것은 L-29의 효과가 CB1 수용체에 붙은 엔도커내비노이드의 증가수준에 의해 매개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놀랍게도 1단계와 2단계 모두의 침해수용적 행동이 L-29에 의해 약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단계의 항침해수용적 효과만이 SR1에 의해 바뀌었다.
모든 동물의 행동적 테스트에서 환경적 요소들은 큰 영향을 가지며, 이를 주의 깊게 통제하지 않으면 편견을 갖게 할 수 있다. 진통을 유발시키는 새로운 스트레스는 새로운 환경에 놓인 래트의 현상을 통해서 인식되었으며 내인성 진정제(opiate)의 방출에 의해 매개된다(review Yamada and Nabeshima 1995). 어떠한 편차를 줄이기 위해 우리는 엄격한 실험계획에 따랐다. 모든 래트는 6-8주의 나이이고 제공자로부터 실험이 시작되기 적어도 3주 전에 동물집으로 도착하였다. 단독으로 수용하면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5마리의 그룹 우리에 수용되었고, 실험하는 동안 취급에 의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 정기적으로 취급되었다. 실험이 이루어지는 날에 래트는 적어도 실험 시작하기 1시간 전에 도착하였고 실험이 시작하기 적어도 30분 전에는 관찰방에 길들여졌다. 환경의 온도가 또한 포르말린 실험에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있으며(Rosland 1991), 따라서 모든 실험은 동일한 기후 조절 방에서 수행되었다. 주사 부위 또한 편차를 생기게 할 수 있어서 (Puig and Sorkin 1995), 모든 주사들은 동일한 연구원에 의해 수행되었고 현저한 부종(oedema)이 없거나 주사된 다리가 붉지 않은(주사의 실패를 나타내는) 어떠한 래트도 배제되었다.
치료 약물 투여를 위한 실험계획은 이전 작업의 참조문헌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SR1에 대해 유용한 약리학적 데이타(Strangman et al 1998)는 SR1이 효과에 대해 약 15분간의 잠복기간이 있음을 보여주었고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길항제 약물을 실험 시작 15분 전에 투여하기로 결정했다. 이전의 데이타는 L-29에 대해 채용 할 수 없어서 L-29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여 채용가능한 PEA의 데이타에 기초하여 결정하였다. PEA는 포르말린 실험에 앞서 즉시 i.p.가 주어졌고(Jagger et al 1998b) 또한 라이딩(writhing) 테스트에서의 해로운 물질의 투여에 앞서서 30분의 l.p.가 주어졌다(Calignano et al 2001). 우리는 따라서 작용물질이 일반적으로 그들의 길항제 다음에 주어지는 것과 같이 포르말린 주사의 10분 전에 L-29를 주기로 했다. 이것은 작용 물질이 이미 수용체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면 길항제가 완전한 효과로서 작용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된 포르말린의 투여량 또한 중요하다(Lee et al 2000). 낮은 농도는 작은 통증 반응을 만들어내며, 잠재적으로 진통효과의 탐지를 어렵게 만든다. 만약 너무 높은 농도가 사용되면 최대의 통증행동 수준에 다다를수 있어서 과대통각(huperalgesic) 효과의 탐지를 어렵게 한다. 우리는 일상적으로 우리 연구실에서 사용되는 2.5%포르말린의 중간값 투여량을 사용하였다.
통증에 대해 많은 다른 동물 모델들이 있다. 침해수용적 분석간의 차이점은 자극의 자극원론(aetiology), 강도, 위치 그리고 기간과 반응의 특징을 포함한다. 포르말린 테스트는 피하의 위치에 주어진 화학적/감염적 자극으로서 강직성의 그러나 제한된 기간과 함께 중간 정도 강도의 자극을 만들어내는 자극에 의해 유발된다. 이것은 단순히 반사 반응이 아닌 조직적이고 통합된 행동적 반응을 일으킨다. 꼬리치기 시험(tail-flick test)과 같은 단순한 침해수용적 자극을 보는 모델의 주요 장점은 장기간동안 지속되며 피할 수 없는 인간의 병상의 통증 컨디션을 자극한다. 곧 일어나는 공격과 제한된 지속기간은 카라게닌과 같은 다른 감염성 통증 모델의 보다 더 연장된 시간 코스의 장점이다. 또 다른 장점은 포르말린 테스트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동물을 사용하며 이는 감금의 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되는 내인성 진통제의 혼동 요소를 방지한다. 포르말린 테스트의 단점은 약물동태학이 불분명한 경우에 반응의 양면성적 특성이 결과의 해석을 보다 어렵게 만든다. 포르말린 테스트가 염증성 통증에 대한 확고한 모델일지라도 이 연구에서 우리가 얻은 결과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다른 통증 모델을 사용한 그 이상의 작업이 필요하다.
SR1과 SR2는 커내비노이드 수용체들에 대한 순수한 길항제라기 보다 반대의 작용물일 수 있다(Bouaboula et al 1997). 반대의 작용물질은 그 작용물의 효과와 반대되는 효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수용체를 활성화 시킨다. SR1이 CB1수용체에서 통각과민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으며 내인성의 커내비노이드 경향에 대한 길항 작용 또는 역의 작용물 효과를 시사한다. Calignano et al 1998은 포르말린 테스트에서 SR1의 통각과민증 효과를 보여주었으나 다른 것에서는(Beaulieu et al 2000) 이 효과가 반복되지 않았다. 포르말린 주사후 내인성 커내비노이드 수준의 증가를 실증하는 연구는(Walker et al 1999) SR1이 반대의 작용물질 효과보다 오히려 내인성 경향의 반전를 유발시킨다는 증거를 제공하였다. 또한 SR1이 많은 다른 시스템에서 어떠한 효과도 갖지 않는다는 광범위한 증거도 있다(참조 Martin and Lichtman 1998).
VR1 수용체는 해로운 열 그리고 칠레고추의 자극성 성분인 캅사이신에 의해 활성화되는 양이온 채널이고 뜨거운 통증 감각을 매개한다. AEA는 커내비노이드 수용체의 내인성 리간드이고 또한 이 연구 내에서의 활동이 생리학적으로 가치있는 농도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VR1에 충분한 작용물이라는 증거도 있다(Smart et al 2000). 한편 VR1 수용체에서의 아난다미드의 작용이 어떤 환경에서 효능이 높아질 수 있다는 약간의 증거가 있다. 아난다미드 가수분해의 억제는 VR1의 경우 적어도 5배 향상된 것과 같이 아난다미드의 유효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De Petrocellis et al 2001a). 증가된 PEA 수준는 또한 VR1수용체에서의 아난다미드의 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De Petrocellis et al 2001). 따라서 VR1 수용체에서의 가능한 효과의 관점에서 우리는 어떠한 가능한 효과를 탐지하기 위해 잠재적이고 선택적 VR1 길항제인 캅사제핀을 사용하였다(Bevant et al 1992).
FAHH는 광범위한 기질 특이성을 가지고 광범위한 범위의 AEA 유사체와 PEA 및 올레아미드와 같은 다른 지방산 아미드를 대사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몇몇의 표준 화합물은 페닐메틸설포닐 플루오라이드(PMSF)(Compton and Martin 1997) 및 메틸아라키도닐플루오로포스포네이트(MAPH)(Martin et al 2000)을 포함하는 FAAH 활동을 차단하는 능력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너무 유독해서 치료법으로 사용될 수 없어서 다양한 AEA 유사체와 다른 지방산 유도체의 FAAH 억제능력이 조사되었다(Lambert et al 1999, Boger et al 2000). FAAH가 결핍된 쥐(FAAH-/-)가 감소된 통증 감각을 가지는 것에도 불구하고(Cravatt et al 2001), 많은 FAAH 억제제가 생체내에서 커내비미메틱 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과 같이 FAAH 억제제가 보통의 상태에서 많은 진통효과를 가질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있다. FAAH 억제제는 감염상태에서 AEA와 PEA가 증가함에 따라 더 유익할 것이며 예를 들어 다발성 경화증이 있는 마우스 모델(Backer et al 2000) 및 포르말린 테스트에 대한 반응으로 증가된 뇌의 수준이 검출되었다(Walker et al 1999). 게다가 외인성으로 주어진 AEA 및 PEA가 감염성 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발견되었다(Jagger et a; 1998a, Calignano et al 2001).
이 연구는 FAAH 억제제 L-29가 CB1수용체의 결합에 유용한 내인성 커내비노이드의 수준을 주로 증가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하지만 본 발명자들의 결과의 뒷받침과 L-29활동의 메카니즘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서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 또 다른 가능성은 L-29가 CB1/CB2가 아닌 새로운 수용체에 대한 활동에 의해서 진통효과를 발생시키는 것 일 수 있다. 새로운 커내비노이드 수용체가 있다는 것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이 가설은 아직까지 수용체의 복제에 의해서 증명되지 않았다. 추정되는 수용체에 대한 가장 알맞은 내인성 리간드는 PEA이다. 이것이 L-29가 이 수용체를 통해서 작용할 가능성을 낮추며 이는 PEA의 효과가 CB1 수용체의 길항제가 아닌 CB2 수용체의 길항제에 의해 상쇄되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몇몇의 다양한 통증 모델에서 L-29의 작용을 확인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이들은 꼬리치기(tail flick) 시험(D'Amour and Smith 1941)과 같은 반사 철회(reflex withdrawal)의 모델, 결장직장의 팽만(Ness and Gebhart 1998) 또는 방광 속으로의 테레빈(turpentine) 주입에 의해 생긴 감염성 내장 통증 같은 내장의 통증, 그리고 L5와 L6의 척수신경 결찰과 같은 신경병적 통증모델(KIm and Chung 1992)이다. 시험은 커내비미매틱의 4가지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L-29의 주입 후에 수행되었다. 강경증, 하이포로코모션(hypolocomotion), 진통(이미 행해진), 그리고 저체온증이 내인성 커내비노이드들에 일반화된 원인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아난다미드는 외인성으로 주어지는 경우 이러한 커내비미매틱의 모든 효과를 발생시켜서, 만약 L-29의 주요한 효과가 SR1에서 시사된바와 같이 내인성 아난다미드의 증가에 있다면 L-29는 또한 유사한 효과를 발생시킬 것이다.
CB1 길항제는 의심의 여지없이 다양한 통증의 동물모델에서와(review Pertwee 2001) 임상치료의 통증상태에서 모두 항침해수용적이지만 용량 제한적인(dose-limiting) 향정신적 부작용이 지금까지 그 사용을 제한하였다. 그 결과로 언도커내비노이드계의 조작을 위한 새로운 전략들이 발전되고 있다(review Porter and Felder 2001). 작용물질 활성을 가지지 않으나 작용물질에 대한 반응의 효능을 높이는 수용체 모듈레이터(modulator)인 불완전한 작용물질들은 억제제를 재흡수하고 FAAH 억제제는 치료의 요소로서 더 많은 잠재력을 가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은 임상치료적으로 적절한 염증성 통각 모델의에서 FAAH 억제제의 통증억제 역할을 증명하였다.
참고문헌
Abbott et al Pain 60 (1995) 91-102
Baker et al FASERB Journal 15 (2001) 300-2
Beaulieu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396 (2000) 85-92
Bevan et al Br.J Pharmacol. 102 (1991)77
Boger et al Bioorganic&Medicinal Chemistry Letters 10 (2000) 2613-2616
Boger et al PNAS 97 (2002) 5044-5049
Bouaboula et al Th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2 (1997)22330-22339
Calignano et al Nature 394 (1998) 277-281
Calignano et al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419 (2001) 191-198
Compton and Martin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83(1997) 1138-1143
Cravatt et al PNAS 98(2001) 9371-9376
Dallel et al Pain 61 (1995) 11-16
Damas and Liegeois Naunyn-Schmiedeberg's Arch. Pharmacol. 359 (1999) 220-227
D'Amour and Smith J. Pharmacol. Exp. Ther. 72 (1941)72
Day et al Molecular Pharmacology 59 (2001) 1369-1375
De Petrocellis et al FEBS Letters 506 (2001) 253-256
Deutsch et al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276(2001) 6967-6973
Dickenson and Dray Br. J. Pharmacol. 104(1991_1045-9
Di Marzo et al TRENDS in Pharmacological Sciences 22(2001)346-349
Di Marzo et al Eur. J. Pharmacol. 420(2001)123-31
Dubuisson and Dennis Pain 4 (1977)161-174
Egertova et al Proc. R. Soc. Lond. 265(1998) 2081-2085
Facci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2(1995)3376-3380
Farquhar-Smith et al Molecular and Cellular Neuroscience 15(2000)510-521
Henry et al Pain 82(1999)57-63
Hillard Prostaglandins Other Lipid Medat. 61 2000 3-18
Jacobsson and Fowler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32(2001)1743-1754
Jagger et al Pain 76(1998)189-199
Jagger et al Neuroscience Letters 253(1998)123-126
Jonsson et al British Journal of Pharmacology 133(2001)1263-1275
Kim and Chung Pain 50(1992)355
Kreitzer and Regehr Neuron 29(2001)717-727
Lee et al Acta Anaesthesiol. Sin. 38(2000)59-64
Medent et al Science 283(1999)401-404
Malmberg and Yaksh The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94(2000)1209-1218
Martin and Lichtman Neurobiol. Dis. 5(1998) 447-461
Martindale et al Neuroscience Letters 316(2001)33-36
Matsuda et al Nature 346(1990)561-564
McCall et al Neuroscience Letters 208(1996)45-48
McMahon and Abel Pain 28(1987)109-127
Munro et al Nature 365(1993)61-65
Ness and Gebhart Brain Res. 450(1998)153
Pertwee Progress in Neurobiology 63(2001)569-611
Porter and Felder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90(2001)45-60
Puig and Sorkin Pain 64(1995) 345-355
Rinaldi-Carmna et al Journal of Pharmacology and Experimental Therapeutics 284(1998)644-650
Rinaldi-Carmona et al Life Sciences 56(1995)1941-1947
Romero et al Molecular Brain Research In Press
Rosland Pain 45(1991)211-6
Smart et al Br. Pharmacol. 129(2000)227-30
Strangmen et al Brain Research 813 (1998)323-328
Tiger et al Biochemical Pharmacology 59(2000)647-653
Tsou et al Neuroscience Letters 254(1998)137-140
Ueda et al Chemistry and Physics of Lipids 108(2000)107-121
Urbanand Dray Neurosci.Lett. 134(1991)9-11
Walker et al PNAS 96(1999)12198-12203
Astson et al Pain 70(1997) 53-58
Yamada and Nabeshima Behav.ㅠㄱ먀ㅜ. Res. 67(1995)133-45
부록
표 1
집단(group) 1차 i.p.주사 2차 i.p.주사
1 매개체 매개체
2 매개체 10 mg/kg L-29
3 매개체 1 mg/kg L-29
4 매개체 0.1 mg/kg L-29
5 1 mg/kg SR144528 1 mg/kg L-29
6 1 mg/kg SR141716A 1 mg/kg L-29
7 10 mg/kg 캅사제핀 1 mg/kg L-29
실시예 2: 신경병적 통증 래트 모델에서의 팔미토일알릴아미드(L-29)의 진통효과의 평가
1. 서론
팔미토일알릴아미드(L-29)는 내인성 커내비미메틱 화합물인 팔미토일 에탄올아미드(PEA)의 구조적 유사체이나 CB1 또는 CB2 수용체중 어느 것에도 현저하게 바인딩하지 않는다. L-29는 원형적(prototypical) 리간드인 아난다미드와 PEA를 포함한 내인성 커내비노이드를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지방산 아미드 가수분해효소를 억제한다. 이 메카니즘은 세포외의 엔도커내비노이드의 수준을 상승시키고 그 때문에 CB1 수용체의 활성을 증가시키므로 인해 통증억제를 유발한다고 생각된다. L-29가 특성이 밝혀지지 않은 CB2와 비슷한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르말린에 의해 유발된 염증성 통증의 래트 모델에서 행동적 반응에 대한 L-29의 치료상의 효과는 이전에 조사된 바 있다1. 그러나 신경병적 통증의 확립된 설치류 모델에서의 효과는 아직 더 연구되어야 한다. 두 가지 목표가 있는데 첫번째로는 이전에 Seltzer et al.2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불완전한 좌골 신경의 결찰 모델에서 L-29의 진통효과를 평가하는 것이고, 그리고 나서 이러한 효과가 어디에서 매개되는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선택적인 CB1 그리고 CB2 수용체 길항제인 SR1(SR141716a)과 SR2(SR144528)을 사용할 것이다.
2. 특이적 목적
말초신경부상과 관련된 신경장애 모델로서 이전에 Seltzer et al.2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이 부분적 좌골신경결찰법(partial sciatic nerve ligation, PSL)의 확립된 래트 모델을 재생한다.
이 모델에서 래트가 신경병적 통증의 행동적 특징을 나타내는지 여부와 행동적 반응이 L-29에 의해서 바뀌는지 여부를 조사한다.
어떤 커내비노이드 수용체를 통해서 이 진통효과가 매개되는지를 선택적인 CB1 및 CB2 수용체의 길항제를 사용하여 확인한다.
투여량/반응 커브를 작도한다.
3. 재료 및 방법
모든 실험은 British Home Office의 규정에 따라서 5주간의 기간에 걸쳐서 주사되는 약물에 대해 모르는 자에 의해 수행되었다.
3.1 동물의 유지
250-350g(평균 300g) 무게의 수컷 위스터 래트(Wistar rat)를 일정한 온도에서 14:10 빛/어둠의 순환하에서 음식과 물에 대한 접근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수용하였다.
3.2 실험 그룹
동물은 각각의 그룹에 6마리가 포함된 4개의 실험 그룹으로 임의로 추출되었다.
집단 A. 용매 대조군(DMSO 운반체+식염수)
모든 세가지의 양상에 대한 행동적 역치를 시간(t)=0에서 기록하였다. 그 다음, 각 동물에 전체 부피 1ml로 40% 다이메틸설폭사이드(DMSO) 운반체 및 식염수를 복강내 주사하였다. 약물은 투여되지 않았다.
집단 B. 세가지 i,p, 투여량(0.1mgkg-1, 1mgkg-1, 10mgkg-1)으로 DMSO 운반체내에 용해된 L-29
포르말린에 의해 유발된 염증성 통증 모델에서의 이전의 실험은 L-29의 세개의 투여량 그룹(0.1mgkg-1, 1mgkg-1, 10mgkg-1을 복강내주사)을 조사하였고 1mgkg-1, 10mgkg-1 양자의 투여량에서는 크게 통증행동을 약화시킨 반면 L-29의 0.1mgkg-1 i.p. 투여량의 경우 대조군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 연구에서 여섯 마리의 동물은 각각의 투여량 그룹으로 나누어졌고, 기준치 다리 굽힘(withdrawal) 역치를 각각의 동물에 대해서 시간이 t=0인 때에 기록하였다. 뒤이어 즉시 L-29 용액의 i.p.투여가 이루어졌다.
그룹 C. CB1 수용체 길항제: SR1(1mgkg-1 i.p.)
모든 세가지 양상에서 다리굽힘 역치를 시간이 t=0일 때 기록하였다. 각각의 동물에 40% DMSO와 식염수용액내의 길항제를 i.p.주사를 통해 주입하고 즉시 동일한 경로를 통해 1mgkg-1 투여량의 L-19를 투여하였다. 감각테스트를 다시 시작하고 다리굽힘 역치를 설명한 바와 같이 실험 코스에 따라서 기록하였다.
집단 D. CB2 수용체의 길항제: SR2(1 mgkg-1i.p.)
그룹 C와 같다.
3.3 부분적인 좌골신경 손상(PSL 모델)
Seltzer et al2에 의한 부분적 좌골신경결찰에 대한 원래의 설명에 따르면 수술은 균등한 수로 수행되었다. 이소플루란 및 이산화질소를 사용한 흡입에 의한 마취하에서 왼쪽의 좌골신경이 대퇴부 수준으로 노출되었고 좌골신경을 단절하여 후부의 이두근 반건양근 신경가지로 부터 먼 위치에서 등쪽 좌골신경의 삼분의 일에서 반까지가 7-0의 견 봉합사로 단단하게 결찰되었다. 항상성이 확인되었고 상처는 그 후 근육과 피부구조로 덮고 소량의 0.5% 버피비카인(bupivicaine)을 피하주사하였다. 엄격한 무균의 테크닉이 내내 유지되었다. 동물은 그리고 나서 회복되었으며 수용된 환경으로 되돌려졌고 다음날 수술 후의 체크가 수행되었다. 전체설명과 실험계획안을 위해서는 표 1B를 참조바람.
표 1B
실험 진행의 개요
수술 당일에 쥐를 15분간 적응시키고 차가운, 기계적인 그리고 열적인 자극에 대한 감각 역치의 수술 전 기준치를 측정한다.(실험계획안에 의해)
부분적 궁둥신경결찰 수술을 실행한다(실험계획안에 의해)
수술후 8일째 되는 날에 신경장애를 확인하기 위해 행동적 테스트를 반복한다.(상기와 같이)
시간이 t=0인 때에 모든 양상에서 감각 역치를 측정한다.
용액 대조군 또는 L-29용액의 i.p.주사를 투여한다.(i.p. 길항제 용액은 L-29용액의 투여를 진행시킬 것이다.)
약물 투여후 20,40,60,그리고80분의 각각의 양상에서 감각 역치를 측정한다.
3.4 감각 테스팅
행동적 테스트는 기계적, 열적 및 냉 자극에 대한 단순한 후퇴반사를 포함하였다. 실험을 개시하기 전에 동물은 탐구적인 행동이 사라질 때까지 적어도 15분간 테스팅 환경에 적응되도록 하였다. 실시되는 실험은 치우침을 막기 위해 테스팅되는 날에 임의 추출하고(미리 결정된 무작위적 숫자 표에 따름 - 표 2 참조), 약물의 투여량은 분리된 연구원에 의해 작성되고 주어졌으며 행동적 테스트를 수치화하는 자는 주어진 약물에 대해 알지 못하였다. 기준치 감각 역치는 수술 당일날 수술전과 수술 후 8일 후에 측정되었다. 약물 테스트에 포함된 모든 동물은 모든 감각 양상에서 수술 전 역치와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주목 할만 한 감각 역치의 감소(p <0.05)를 나타내었다. 감각 역치들은 약물 투여 후(t) 0, 20, 40, 60, 및 80분에 기록되었다.
표 2: 무작위 추출 표
1. 대조군 7.허위 (sham) 13. SR2 19.SR1 25.L-29(10) 31.대조군
2. SR2 8.SR1 14.SR1 20. L-29(1) 26. SR2 32.SR1
3. L-29(1) 9.L-29(10) 15.허위 (sham) 21.허위 (sham) 27.대조군 33. SR2
4. SR1 10. SR2 16.L-29(10) 22.대조군 28. L-29(1) 34.허위 (sham)
5. L-29(10) 11.대조군 17. L-29(1) 23.L-29(10) 29.SR1 35. L-29(1)
6. 허위 (sham) 12. L-29(1) 18.대조군 24. SR2 30.허위 (sham) 36.L-29(10)
3.4.1 냉 이질통(allodynia)
냉 이질통은 Carlton et al.3 에 의해 수정된 아세톤 도포 기술에 의해 평가되었다. 플라스틱 메쉬(mash) 바닥이 있는 깨끗한 플랙시 유리 상자(23×18×14cm)에 동물을 넣는다. 아세톤 한 방울을 조심스럽게 각각의 뒷다리 발바닥 중앙 표면에 도포하고 동물의 반응들을 주목하였다. 만일 비 체중부하 보행(non-weight bearing), 다리 비비기 또는 발성과 같은 통증 반응을 동반한 다리의 굽힘이 있다면 반응은 양성으로 여겨졌다. 각각의 다리는 각 테스트간 적어도 3분을 두고 다섯 번 시험 하고 평균 %의 양성 굽힘 반응을 계산하였다.
3.4.3 열적 통각 과민(thermal hyperalgesia)
열적 통각과민은 Hargreaves et al.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양쪽 뒷다리에 발바닥 표면에 해로운 적외선 열 자극을 사용하여 평가된다. 일정한 46℃ 온도의 복사열의 집중된 광선에 대한 다리굽힘의 역치와 적외선 강도(20개는 래트에 대해서, 30개는 마우스에 대해서)가 측정된다. 21.4초의 표준 차단 잠복기는 가능한 조직 손상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시험은 각각의 다리마다 시험간 3분의 간격을 두고 다섯 번 반복되고 평균 굽힘역치가 계산된다.
3.5 데이타 분석
대응 t-검정(Paired t-test)에 의한 신경장애 그리고 일원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VA(Dunnett의 테스트))에 의한 약물 효과를 위한 통계학적 중요성이 평가되었으며(수술 후 수치와 비교할 때) 양자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p<0.05를가진다.
4. 결과
서른 다섯 마리의 동물은 모든 양상에서 부분적 궁둥신경 결찰 수술 8일후에 바뀌어진 감각 역치를 입증하였다. 이는 대응 t검정(+p<0.05,++p<0.005)을 사용한 통계학적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오직 하나의 동물만이 연구에서 제외되었으며 이는 어떠한 감각 양상 테스트에도 굽힘 반응 없이 수술한 다리에 완전한 탈신경(Denervation)을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수술 후 용매(40% DMSO와 식염수)가 대조군으로서 투여된 동물에는 표준 역치 감각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것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Dunnett의 테스트))에 의한 통계학적 분석에 의해서 확인되었다(*p<0.05,**p<0.005).
4.1 L-29 연구
4.1.1 열적 통각과민
열적 통각과민의 약화는 i.p.약물 투여 후 20분에서 60분 사이에 10mgkg-1의 투여량에서 가장 컸다. 1mgkg- 1 의 투여량에서 열적 통각과민은 약물 주사 후 40분에서 60분사이에 늦게 약화되었고, L-29 0.1mgkg- 1투여량의 경우 오직 40분에 약화되었다(도 8).
4.1.2 기계적 이질통(mechanical allodynia)
기계적 감각 역치의 현저한 상승과 그 때문에 부분적 좌골신경결찰에 의해 생긴 기계적 이질통(mechanical allodynia)의 역전이 L-29 1mgkg-1 투여량에서 i.p.약물 투여 후 20분과 60분에 관찰되었다. 기계적 이질통에 대한 어떠한 효과도 투여량 10mgkg- 1 에서 관찰되지 않았고 0.1mgkg-1 에 대해서는 i.p.약물 투여 후 오직 80분에만 관찰되었다.
4.1.3 냉 이질 통(cold allodynia)
L-29의 모든 투여량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부분적 좌골신경결찰과 관련된 냉 이질 통(cold allodynia)의 역전을 가져오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과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모든 투여량 집단에서 양성반응의 평균 퍼센티지가 감소한다는 점에서 이 방향에는 하나의 경향이 있다. 최대효과가 1과 10 mgkg- 1투여량에서 i.p.약물 주사후 40분과 60분 사이에서 양성반응의 100%에서 50%로의 감소와 함께 관찰되었다(도 6).
4.2 수용체 관여
L-29의 선택적 CB1 및 CB2 수용체 길항제의 효과는 L-29의 1mgkg-1 투여량에서 조사되었다.
4.2.1 CB1 수용체 길항제(SR141716a)
CB1 수용체에 이러한 선택적인 길항제의 공동투여는 L-29의 투여량 1 mgkg-1에서 보여진 항통각과민(anti-hyperalgesic)과 항이질통(anti-allodynic)적 효과를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실험을 통하여 기준치를 상당히 상위하는 감각 역치의 증가와 함께 기계적 이질통과 열적통각과민 모두가 바뀌어졌다. 냉 자극에 대한 %양성반응의 상당한 감소 그리고 그에 따른 냉 이질 통(cold allodynia)의 역전은 80분간의 실험의 끝에 일어났다. 그러나 %양성반응의 냉 자극에 대한 감소 경향은 실험의 시작부터 관찰될 수 있다(도 10).
4.2.2 CB2 수용체 길항제(SR144528)
CB2 수용체의 이러한 선택적 길항제의 공동 투여는 해석이 보다 어려운 것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오직 기계적 자극에만 1 mgkg-1 L-29의 항이질통(anti-allodynic)적 효과를 막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러한 효과는 약물투여 후 40분부터 관찰된다. 그러나 열적 자극에 대한 i.p. L-29의 항통각과민(anti-hyperalgesic) 효과와 다른 어떤 냉 이질 통에 대한 역전도 없는 듯 하다(도 11).
5. 검토
여기서 증명된 효과들을 확실히 하기위해서는 큰 그룹의 크기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말초신경 부상과 관련된 신경장애 모델에서 투여량 1 그리고 10 mgkg-1의 팔미토일알릴아미드(L-29)의 진통 활동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이것은 포르말린에 의해 일어난 감염성 통증의 쥐 모델에서 0.1 mgkg- 1 의 경우 효과를 가지지 않은 반면 투여량 1 그리고 10 mgkg- 1 의 L-29 모두에서 중대하게 통증행동을 약화시킨 이전의 작업을 뒷받침해준다.
종합적으로 부분 좌골신경 결찰에 의해 발생한 기계적 이질통은 감각 역치가 전체 실험기간 내내 현저히 상승한 열적 통각과민에서 만큼 효과적으로 약화되지 않는다. 게다가 냉이질통의 유의한 역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 기계적 자극에 대한 L-29의 항이질통 효과만이 CB2 수용체 길항제인 SR141716a에 의해 길항되고 이전의 작업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CB1 수용체에 길항제인 SR141716a에 의해서는 길항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염증성 통증의 포르말린 모델에서, 선택적인 CB2 수용체 길항제인 SR144528(1mgkg-1)가 효과를 가지지 않아서 지방산 아미드 가수분해효소 억제제(FAAHI)가 CB1 수용체로 매개되는 메카니즘에 의해서 또는 SR144528이 또한 길항제로 작용하는 CB2와 유사한 수용체와 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항통증을 유발한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반면 선택적인 CB1 수용체 길항제인 SR141716a(1 mgkg-1)는 포르말린 테스트의 2 단계에서 L-29에 의해 생성된 항통증을 상당히 약화시켰다. 유사하게 합성 커내비노이드로서 신경병적 통증에서의 WIN55,212-2의 진통적 특성을 조사한 시험은 SR144528이 아닌 SR141716a의 공동투여는 진통효과를 막는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는 WIN55,212-2가 CB1 수용체5에 의해 매개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리스트
1.Helen Jons. The effect of Palmitoylallylamide, a fatty acid amide hydrolise inhibitor, on formalin-evoked pai in the rat. 2003. ICSM. 2002.
2.Seltzer,Z.,Dubner,R.&Shir,Y.A novel behavioral model of neuropathic pain disorders produced in rats by partial sciatic nerve injury. Pain 43,205-218(1990).
3.Carlton,S.M., Lekan,H.A., Kim,S.H. & Chung,J.M. Behavioral manifestations of an experimental model for peripheral neuropathy produced by spinal nerve ligation in the primate. Pain56, 155-166(1994).
4.Hargeaves,K.,Dubner,R.,Brown,F.,Flores,C.&Joris,J.A new and sensitive method for measuring thermal nociception in cutaneous hyperalgesia. Pain32,77-88(1998).
5.Bridges,D.,Ahmad,K.&Rice,A.S.The synthetic cannabinoid WIN55,212-2 attenuates hyperalgesia and allodynia in a rat model of neuropathic pai, Br.J.Pharmacol.133,586-594(2001).

Claims (18)

  1. 통증 완화용 약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
    RC(O)-NH-(CH2)n-CH=CH2
    상기 식에서 R은 C1 -20 알킬, C2 -20 알케닐 또는 C2 -20 알키닐이며; 그리고 n은 0 내지 3의 정수이다.
  2. 의약에 사용되는 제 1항에 정의된 화학식 I의 화합물.
  3. 제 1항에 정의된 화학식 I 화합물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환자에 대한 통증 완화를 제공하는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통제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환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통제를 더 투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또는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이 C10-20 알킬, C10 -20 알케닐 또는 C10 -20 알키닐인 것을 특징으로 용도, 화합물 또는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이 C10-20 n-알킬, C10 -20 모노-알케닐 또는 C10 -20 모노-알키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화합물 또는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이 C10-20 n-알킬, C10 -20 모노-n-알케닐 또는 C10 -20 모노-n-알키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화합물 또는 방법.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이 C11-19 n-알킬 또는 C11 -19 모노-n-알케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화합물 또는 방법.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R이 C11-18 n-알킬 또는 C11 -18 모노-n-알케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화합물 또는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상기 알케닐 또는 알키닐기는 C-C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을 각각 3개 이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화합물 또는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N-(2-프로페닐)-5,8,11,14-에이코사테트라에나마이드(eicosatetraenamide)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화합물 또는 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n은 0 또는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화합물 또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에서 n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화합물 또는 방법.
  14.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N-(2-프로페닐)헥사데칸아미드, N-(2-프로페닐) 시스-9-옥타데칸아미드, N-(2-프로페닐) 시스-9-헥사데칸아미드, N-(2-프로페닐) 테트라데칸아미드, N-(2-프로페닐) 시스-9-테트라데칸아미드, N-(2-프로페닐) 옥타데칸아미드, N-(2-프로페닐) 트랜스-9-옥타데칸아미드, N-(2-프로페닐)도데칸아미드, 또는 N-(2-프로페닐) 시스-5-도데칸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용도, 화합물 또는 방법.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N-(2-프로페닐)헥사데칸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화합물 또는 방법.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과 관련하여 정의된 화합물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통제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7. (a) 제 1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과 관련하여 정의된 화합물; 및,
    (b)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진통제; 및,
    (c)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를 포함하는 성분의 키트.
  18. 제 4항 또는 제 16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진통제는 오피오이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국소 마취제, NMDA 수용체 길항제, 커내비노이드, 항우울증제, 및/또는 항경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또는 방법 또는 약학 조성물 또는 성분의 키트.
KR1020067019298A 2004-02-19 2005-02-18 통증 완화 방법 KR200700367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03629.9 2004-02-19
GBGB0403629.9A GB0403629D0 (en) 2004-02-19 2004-02-19 Method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740A true KR20070036740A (ko) 2007-04-03

Family

ID=3203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298A KR20070036740A (ko) 2004-02-19 2005-02-18 통증 완화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269325A1 (ko)
EP (1) EP1722764A1 (ko)
JP (1) JP2007523148A (ko)
KR (1) KR20070036740A (ko)
CN (1) CN1956710A (ko)
AU (1) AU2005215232A1 (ko)
CA (1) CA2556818A1 (ko)
GB (1) GB0403629D0 (ko)
WO (1) WO2005079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392670B (zh) * 2006-06-22 2013-04-11 Ucb Pharma Gmbh 經取代的2-胺基萘滿之於製造用於預防、減緩及/或治療各種類型疼痛之藥物上的用途
WO2009043395A2 (en) * 2007-10-05 2009-04-09 Sti Pharmaceuticals Ltd. Pharmaceutical composition
US8207226B1 (en) * 2008-06-03 2012-06-26 Alcon Research, Ltd. Use of FAAH antagonists for treating dry eye and ocular pain
WO2015200049A1 (en) 2014-06-26 2015-12-30 Island Breeze Systems Ca, Llc Mdi related products and methods of use
US20200290950A1 (en) * 2017-10-05 2020-09-17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Alkamide compound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26584A2 (en) * 1997-11-24 1999-06-03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Inhibitors of gap junction communication
NZ506292A (en) * 1998-02-13 2003-05-30 Upjohn Co Substituted aminophenyl isoxazoline methylamide derivatives useful as antimicrobials
CA2330681C (en) * 1998-05-29 2008-08-26 Andrea Giuffrida Control of pain with endogenous cannabinoids
EP1049474A4 (en) * 1998-11-24 2004-12-29 Univ Connecticut CANNABIMIMETIC LIPID AMIDES FOR USE AS MEDIC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23148A (ja) 2007-08-16
US20080269325A1 (en) 2008-10-30
EP1722764A1 (en) 2006-11-22
AU2005215232A1 (en) 2005-09-01
CA2556818A1 (en) 2005-09-01
GB0403629D0 (en) 2004-03-24
WO2005079771A1 (en) 2005-09-01
CN1956710A (zh) 2007-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ran et al. Targeting nociceptive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channels to treat chronic pain: current state of the field
Sawynok Topical and peripherally acting analgesics
Bahari et al. Spinal α2‐adrenoceptors and neuropathic pain modulation; therapeutic target
Meyer et al. Pharmacology of injectable anesthetics, sedatives, and tranquilizers
Congedo et al. New drugs for epidural analgesia
Starowicz et al. Non-psychotropic analgesic drugs from the endocannabinoid system:“Magic bullet” or “multiple-target” strategies?
JP2010531879A (ja) 水素化ピリド[4,3−b]インドールに基づく抗不安作用を示す薬物、その薬理学的な化合物および適用方法
US2022018407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hdac6 inhibitor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tching
JP2010505774A (ja) 低体温誘導薬剤の使用方法
JP2013533310A (ja) 苦味物質を使用して閉塞性肺疾患を処置する方法
Pena-Dos-Santos et al. Activation of peripheral κ/δ opioid receptors mediates 15-deoxy-Δ12, 14-prostaglandin J2 induced-antinociception in rat temporomandibular joint
ES2312588T3 (es) Regulacion de la secrecion del jugo pancreatico que comprende un agente de regulacion del receptor del lpa.
KR20070036740A (ko) 통증 완화 방법
US6319944B1 (en) Aryl amidines, compositions containing such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US20240091227A1 (en) Use Of 2-Phenyl-6-(1H-Imidazol-1-YL) Quinazoline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Preferably Alzheimer's Disease
Masuda et al. Roles of peripheral and central nicotinic receptors in the micturition reflex in rats
KR102232198B1 (ko) 의약으로서 사용되기 위한 (r)-펄린돌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US20070105940A1 (en) Method for treating pain
US20070259945A1 (en) Method for treating pain
US20160166577A1 (en) Treatment of pulmonary fibrosis using an inhibitor of cbp/catenin
US20230372296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nxiety disorder treatment
US20080064725A1 (en) Intrathecal administration of triptan compositions to treat non-migraine pain
US2021036970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eadache through enhancing 2-arachydonyl glyerol activity
Mathews et al. Pharmacologic and clinical principles of adjunct analgesia
JP2003238405A (ja) 敗血症の処置に使用される薬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