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517A - Methods for treating a mammal before, during and after cardiac arrest - Google Patents

Methods for treating a mammal before, during and after cardiac arre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517A
KR20070035517A KR1020067027456A KR20067027456A KR20070035517A KR 20070035517 A KR20070035517 A KR 20070035517A KR 1020067027456 A KR1020067027456 A KR 1020067027456A KR 20067027456 A KR20067027456 A KR 20067027456A KR 20070035517 A KR20070035517 A KR 20070035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mmal
compound
administering
levocimendane
cardi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맥스 에이치 웨일
시제 선
완춘 탕
레티시아 델가도-헤레라
로버트 제이 패들리
Original Assignee
아보트 러보러터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보트 러보러터리즈 filed Critical 아보트 러보러터리즈
Priority to KR102006702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5517A/en
Publication of KR20070035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51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61N1/3904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in combination wit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ritical Care (AREA)

Abstract

심장 정지 전, 심장 정지 중 및 심장 정지 후에 포유동물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이러한 치료에 유용한 레보시멘단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도 개시한다. A method of treating a mammal prior to, during and after cardiac arrest is disclosed. Also disclosed ar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levocimendane useful for such treatment.

심장 정지, 레보시멘단, 심폐 소생술, 제세동 충격 Cardiac arrest, levocymendan, CPR, defibrillation shock

Description

심장 정지 전, 중 및 후의 포유동물 치료방법{Methods for treating a mammal before, during and after cardiac arrest}Methods for treating a mammal before, during and after cardiac arrest}

본 발명은 심장 정지 전, 중 및 후의 포유동물 치료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thods of treating mammals before, during and after cardiac arres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suitable for use in such methods.

서방 세계에서 심혈관 질환은 사망의 주요 원인으로 남아 있다. 심장 정지를 당하면 병원 안에서나 그 외의 곳을 불문하고 사람의 생존율은 비교적 낮다. 더욱이, 심폐 소생의 초기 성공률은 약 39%(13 내지 59% 범위)이지만, 이들의 대부분은 72시간 이내에 주로 심부전 및/또는 재발 심실세동으로 인해 사망한다. 불행히도, 겨우 5% 또는 원외에서 성공적으로 소생한 환자 중 8명 중 1명이 입원하여 생존한다. 심장 정지 시 성공적인 소생 후에 가역성 심근 기능이상이 실험 모델(Tang et al., Crit.Care Med., 21: 1046-1050(1993); Tang et al., Circulation, 92: 3089-3093(1995); Gazmuri et al., Crit. Care Med., 24: 992-1000(1996); Kern et al., J.Am.Coll.Cardiol., 28: 232-240(1996)) 및 환자(Deantonio et al. Pacing Clin. Electrophysiol., 13: 982-985(1990))에서 관 찰되었다. 이러한 기능이상은 래트 모델에서는 2 내지 5시간 후 최대이며, 흔히 72시간 내에 소멸된다(Kern et al., J.Am.Coll.Cardiol., 28:232-240(1996)). 환자의 경우에 심근 수축 기능의 장애가 1 내지 2주 간격으로 지속될 수 있다(Deantonio et al. Pacing Clin. Electrophysiol., 13: 982-985(1990)). 일과성 심장 폐색 후 가역성 심실 기능이상의 현상은 급성 심근경색 상황에서 "기절한(stunned)" 심근이라는 표현과 비슷한 것으로 간주된다(Braunwald et al., Circulation, 66(6): 1146-9(1982)). 이것은 심장 정지로부터 성공적인 소생 후 초기 72시간 내에 심실 부정맥 및 심부전으로 인한 높은 치명률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명해준다(Liberthson et al., N.Engl.J.Med., 291(7): 317-321(1974)). In the western world, cardiovascular disease remains the leading cause of death. Cardiac arrest results in a relatively low survival rate for humans, whether in the hospital or elsewhere. Moreover, the initial success rat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about 39% (range 13-59%), but most of them die mainly within 72 hours due to heart failure and / or recurrent ventricular fibrillation. Unfortunately, only 5% or 1 out of 8 patients successfully revived out of the hospital survive in hospital. Reversible myocardial dysfunction after successful resuscitation at cardiac arrest was reported in experimental models (Tang et al., Crit. Care Med., 21: 1046-1050 (1993); Tang et al., Circulation, 92: 3089-3093 (1995); Gazmuri et al., Crit. Care Med., 24: 992-1000 (1996); Kern et al., J. Am. Coll. Cardiol., 28: 232-240 (1996)) and patients (Deantonio et al. Pacing Clin. Electrophysiol., 13: 982-985 (1990)). This dysfunction is maximal after 2 to 5 hours in rat models and often disappears within 72 hours (Kern et al., J. Am. Coll. Cardiol., 28: 232-240 (1996)). In patients, impairment of myocardial contractile function may persist at intervals of 1 to 2 weeks (Deantonio et al. Pacing Clin. Electrophysiol., 13: 982-985 (1990)). The phenomenon of reversible ventricular dysfunction after transient cardiac occlusion is considered to be similar to the expression "stunned" myocardium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Braunwald et al., Circulation, 66 (6): 1146-9 (1982)). . This at least partly explains the high mortality rate due to ventricular arrhythmias and heart failure within the initial 72 hours after successful resuscitation from cardiac arrest (Liberthson et al., N. Engl. J. Med., 291 (7): 317-321 (1974). )).

일반적으로, 심장 정지된 심장의 제세동 및 이후 자발적 혈행 복원 또는 회복(ROSC)에 대한 반응도는, 심장 정지에서부터 CPR 및 제세동을 비롯한 시술까지의 허혈의 총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 허혈 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심실 세동 기간이 길수록, 제세동술을 비롯한 심폐소생술(Advanced Cardiac Life Support(ACLS))에 대한 반응을 일으키기가 더욱 어렵다(ACLS guidelines, 1st paragraph, p. I90: MH Hayes, RA Berg, CW Otto Current Opinion Critical Care 2003; 9: 211-217). 이것은 허혈이 제세동 역치 시간을 더 많이 요구하여 제세동 시도 및/또는 제세동 에너지가 더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ACLS 안내서에서 권장하는 다수의 약물, 예컨대 에피네프린, 및 리도카인과 같은 기타 약물도 제세동 역치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누적된 제세동 에너지 및 시도가 많아질수록 심근 손상 및 기능이상과 소생 후 혈행 손상 및 기관 관류 손상이 더 커진다. 이와 같은 기관 관류 장애 또는 손상은 소생후 증후군에도 영향을 미치고(ACLS guidelines, p.I166), 심장 정지 환자의 저조한 회복 및 결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소생후 심근 기능이상은 종종 심근 전기적 불안정 및 재발 부정맥을 유발하여, 추가 제세동 시도 및 전위를 필요로 하여 심근 손상을 더 증대시킨다(Gazmuri et al., Current Opinion Critical Care 2003; 9 199-204).In general, the responsiveness to defibrillation of a cardiac arrested heart and subsequent spontaneous hematopoietic restoration or recovery (ROSC) depends on the total time of ischemia from cardiac arrest to procedures including CPR and defibrillation. The longer the ischemic time and the longer the duration of ventricular fibrillation, the more difficult it is to develop a response to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CLS), including defibrillation (ACLS guidelines, 1 st paragraph, p. I90: MH Hayes, RA Berg, CW Otto Current Opinion Critical Care 2003; 9: 211-217). This is because ischemia requires more defibrillation threshold time and more defibrillation attempts and / or defibrillation energy. Moreover, many of the drugs recommended in the ACLS Handbook, such as epinephrine, and other drugs such as lidocaine, also raise the defibrillation threshold. The more accumulated defibrillation energy and attempts, the greater the myocardial injury and dysfunction, post-survival hematogenous damage and organ perfusion injury. This organ perfusion disorder or injury also affects resuscitation syndrome (ACLS guidelines, p.I166) and also affects poor recovery and outcomes in patients with cardiac arrest. Myocardial dysfunction after resuscitation often leads to myocardial electrical instability and recurrent arrhythmias, requiring further defibrillation attempts and dislocations to further increase myocardial damage (Gazmuri et al., Current Opinion Critical Care 2003; 9 199-204).

또한, 환자의 소생(즉, 심실 및 혈행 복원) 과정에 관여하는 다른 요인들도 심근 손상 및 기능이상 증가의 원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이용되는 약물인 도부타민 또는 노르에피네프린 또는 에피네프린은 심근 기절 또는 기능이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심근 및 기관 허혈 유발 및/또는 악화, 산소 소비 증가 및 칼슘 세포 유입 증가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심장 정지 및/또는 소생후 회복 치료에 사용되는 β 수용체 작동제 활성이 있는 다른 약물(예, 에피네프린)은 β 수용체 자극으로 인한 이소성 활성 및 심근의 전기적 불안정을 증가시키며(Gazmuri, et al., 상기 문헌설명 참조), β 수용체 작동작용을 통한 칼슘의 세포내 유입 및 산소 소비의 증가를 유발할 수 있다. β 수용체 작동제 작용을 처리하기 위한 β 수용체 길항제의 사용은 소생후 회복을 호전시키는 것으로 개시되었다(Gazmuri, et al., 상기 문헌 참조). 그러나, β 수용체 길항제는 소생 중이나 후에 심장 기능 장애의 원인일 수 있는 음성 수축촉진제(negative inotrope)이다. 또한, 바소프레신은 β 수용체 작동작용의 음성 영향 없이 심장 관류 혈압(coronary perfusion pressure)의 개선을 통해 심장 정지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바소프레신의 혈관수축 효과는 소생후 기간에도 길게 지속되어 기관 혈액 흐름을 약화시킨다. 장기적인 혈관수축은 또한 심장 후부하를 증가시켜 심근 기능이상을 악화시킨다.In addition, other factors involved in the patient's resuscitation (ie, ventricular and hematopoietic restoration) processes may also be responsible for myocardial damage and increased dysfunction. For example, the currently used drugs dobutamine or norepinephrine or epinephrine can be used to treat myocardial stunking or dysfunction, but can cause myocardial and organ ischemia and / or worse, increased oxygen consumption and increased calcium cell influx. have. In addition, other drugs with β receptor agonist activity (eg, epinephrine) used to treat cardiac arrest and / or post-vivo recovery increase ectopic activity and myocardial electrical instability due to β receptor stimulation (Gazmuri, et al. , See the literature, above), can cause an increase in oxygen consumption and intracellular influx of calcium through β receptor agonism. The use of β receptor antagonists to treat β receptor agonist action has been disclosed to improve recovery after resuscitation (Gazmuri, et al., supra). However, β receptor antagonists are negative inotrope that may be the cause of cardiac dysfunction during or after resuscitation. Vasopressin is also used to treat cardiac arrest through the improvement of coronary perfusion pressure without the negative effect of β receptor agonism. However, vasopressin's vasoconstrictive effect persists long after resuscitation, weakening organ blood flow. Long-term vasoconstriction also increases cardiac backload, exacerbating myocardial dysfunction.

따라서, 심장 정지 전, 심장 정지 중 및 심장 정지 후에 심근 및 다른 기관과 조직을 보호하는 방법론과 약물이 당해 기술분야에서는 필요한 실정이다. 더 상세하게는, ROSC 시간 개선, 제세동 역치 저하, 소생전 또는 소생후 심근 기능이상의 최소화 또는 예방, 재관류 손상의 최소화 또는 예방 및/또는 심장 정지를 겪은 개체의 생존율 개선을 제공하는 치료 방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필요한 실정이다.Thus, there is a need in the art for methods and drugs that protect myocardium and other organs and tissues prior to, during, and after cardiac arrest. More specifically, treatment methods that provide improved ROSC time, reduced defibrillation thresholds, minimization or prevention of pre- or post-resuscitation myocardial dysfunction, minimization or prevention of reperfusion injury, and / or improved survival of individuals who have undergone cardiac arrest It is necessary in the field.

발명의 개요Summary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개괄적으로 심장 정지 전, 심장 정지 중 또는 심장 정지 후에 포유동물을 치료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이러한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레보시멘단(levosimendan)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1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의 자발적 혈행을 복원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상기 포유동물에게 심폐 소생술(CPR) 및 제세동 충격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보시멘단 화합물은 레보시멘단 또는 레보시멘단의 대사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레보시멘단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는 CPR 처치 초기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generally to methods of treating mammals prior to, during or after cardiac arrest, as well a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levosimendan suitable for use in such methods. In a first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storing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in a cardiac arrested mammal, the method comprising applying CPR and defibrillation shock to the mammal, wherein the levocimendane compound Or administering to said mamm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levosimendan compound is a levocymendan or a metabolite of a levocymendan. Preferably, the step of administering the levosimendan compound is performed early in the CPR treatment.

제2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 적용되는 제세동 충격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제세동 충격을 가하기 전에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후속으로 제세동 충격을 유효 심장 리듬을 복원시키기에 충분한 빈도로 가하되, 그 빈도는 공식 치료 프로토콜 기준에 정해진 빈도에 비해 감소된 단계를 포함한다. In a second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ducing the frequency of defibrillation shocks applied to a cardiac arrest mammal, wherein the method provides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prior to applying the defibrillation shock. Administering an effective amount to said mammal; And subsequently applying the defibrillation shock at a frequency sufficient to restore the effective heart rhythm, the frequency being reduced compared to the frequency defined in the official treatment protocol criteria.

대안적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 적용되는 제세동 충격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제세동 충격을 가하기 전에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및 후속으로 제세동 충격을 유효 심장 리듬을 복원시키기에 충분한 빈도로 가하되, 당해 빈도는 레보시멘단 화합물로 치료되지 않은 유사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게 가해지는 제세동 충격의 빈도에 비해 감소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ducing the frequency of defibrillation shocks applied to a cardiac arrest mammal, wherein the method provides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ompound to the mammal prior to applying the defibrillation shock.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salt to be treated; And subsequently applying the defibrillation shock at a frequency sufficient to restore an effective heart rhythm, the frequency being reduced relative to the frequency of the defibrillation shock applied to a similar cardiac arrested mammal not treated with the levocimendane compound. do.

제3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게 가해지는 제세동 충격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제세동 충격을 가하기 전에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및 후속으로 유효 심장 리듬을 복원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로 제세동 충격을 포유동물에게 가하되, 당해 에너지는 공식 치료 프로토콜 기준에 정해진 에너지에 비해 감소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 third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ducing the energy of a defibrillation shock applied to a cardiac arrested mammal, wherein the method provides a levocimendan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ompound thereof to the mammal prior to applying the defibrillation shock.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salt; And subsequently applying a defibrillation shock to the mammal with sufficient energy to restore the effective heart rhythm, the energy being reduced relative to the energy specified in the official treatment protocol criteria.

대안적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 적용되는 제세동 충격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제세동 충격을 가하기 전에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및 후속으로 제세동 충격을 유효 심장 리듬을 복원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로 포유동물에게 가하되, 당해 에너지는 레보시멘단 화합물로 치료되지 않은 유사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게 가해지는 에너지에 비해 감소된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ducing the energy of a defibrillation shock applied to a cardiac arrest mammal, wherein the method provides the mammal with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ompound thereof prior to applying the defibrillation shock.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salt to be treated; And subsequently applying the defibrillation shock to the mammal with sufficient energy to restore the effective heart rhythm, the energy being reduced compared to the energy applied to the similar cardiac arrested mammal not treated with the levocimendane compound. do.

제4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심장 정지로부터 소생 중이나 소생 후에 심근 기능이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의 심근 기능이상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s a fourth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myocardial dysfunction in a mammal in need of treatment of myocardial dysfunction during or after resuscitation from cardiac arrest, the method comprising: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제5 양태로서, 본 발명은 포유동물의 심장 부정맥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1회 이상의 제세동 충격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당해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보시멘단 화합물의 투여는 상기 제세동 충격을 1회 이상 가한 후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fifth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cardiac arrhythmias in a mammal, the method comprising subjecting the mammal to one or more defibrillation shocks, wherein the mammal is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Administration of the lebocymendan compound is preferably performed after applying the defibrillation shock one or more times.

제6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심장 정지 이후의 포유동물의 기관 기능을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상기 포유동물의 자발적 혈행을 복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당해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기관 기능은 뇌, 신장 또는 간 기관의 기능인 것이 바람직하다.As a sixth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tecting organ function of a mammal after cardiac arrest, the method comprising restoring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of the mammal, wherein Or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Organ function is preferably a function of the brain, kidney or liver organs.

제7 양태로서, 본 발명은 심장 정지 또는 전뇌 허혈 전에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의 심근 기능이상을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당해 방법은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s a seventh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eventing myocardial dysfunction in a mammal in need of treatment before cardiac arrest or forebrain ischemia, the method compris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dministering to the mammal.

전술한 임의의 또는 모든 양태에 있어서, 레보시멘단 화합물의 투여는 1회 용량 투여로서 또는 연속 주입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포유동물에 대한 투여는 비경구 경로를 통한 투여가 바람직하고, 특히 정맥내, 기관내, 동맥내, 경피 또는 심장내 투여가 더욱 바람직하다. In any or all of the foregoing embodiments, the administration of the levocymendan compound comprises administering the compound as a single dose administration or as a continuous infusion. Administration to mammals is preferably via the parenteral route, more preferably intravenous, intratracheal, intraarterial, transdermal or intracardiac.

전술한 임의의 또는 모든 양태에 있어서, 바람직한 포유동물은 사람이다. 또한, 전술한 임의의 모든 양태에 있어서, 포유동물에 투여되는 레보시멘단 화합물의 함량은 약 0.01 내지 약 5.0㎍/kg/분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0.4㎍/kg/분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kg/분이다. 또는, 레보시멘단 화합물의 투여량은 약 0.06 내지 약 36㎍/kg 범위이다.In any or all of the foregoing embodiments, the preferred mammal is a human. In addition, in any of the foregoing embodiments, the content of the lebocymendan compound administered to the mammal ranges from about 0.01 to about 5.0 μg / kg / min, preferably from about 0.05 to about 0.4 μg / kg / min, More preferably about 0.1 μg / kg / min. Alternatively, the dosage of the lebocymendan compound is in the range of about 0.06 to about 36 μg / kg.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임의의 또는 모든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은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의 치료적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러한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는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 또는 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일 수 있다.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인 경우에, 차단제는 베타-1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 또는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일 수 있다.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는 프로파놀롤, 메토프롤롤, 에스몰롤 또는 아테놀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인 경우에, 차단제는 알파-1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이다. 베타 또는 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로서 특징을 나타내는 바람직한 차단제는 카베딜롤(carvedilol)이다. In addition, in any or all aspec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further comprise administering to the mamm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 adrenergic receptor blocker. Such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may be beta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or alpha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In the case of beta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the blocker may be a beta-1 adrenergic receptor blocker or a beta-2 adrenergic receptor blocker. The beta adrenergic receptor blocker is preferably propanolol, metoprolol, esmolol or atenolol. Or, in the case of an alpha adrenergic receptor blocker, the blocker is an alpha-1 adrenergic receptor blocker. Preferred blockers characterized as beta or alpha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are carvedilols.

도 1은 레보시멘단 0.4㎍/kg/분(□), 레보시멘단 0.3㎍/kg/분(△), 레보시멘단 2㎍/kg/분(○) 및 위약(◆)으로 처리된 래트의 심장박출계수(ml/kg/분)를 측정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 is rats treated with 0.4 μg / kg / min (□) of lebocymendan, 0.3 μg / kg / min (△) of lebocymendan, 2 μg / kg / min (○) and placebo (◆). The graph shows the measurement of the cardiac output coefficient (ml / kg / min).

도 2는 레보시멘단 0.4㎍/kg/분(□), 레보시멘단 0.3㎍/kg/분(△), 레보시멘단 2㎍/kg/분(○) 및 위약(◆)으로 처리된 래트의 평균 동맥압(mmHg)을 측정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FIG. 2 shows rats treated with 0.4 μg / kg / min of lebocimendan (□), 0.3 μg / kg / min of levocymendan (Δ), 2 μg / kg / min of levosimendan (○) and placebo (◆). Shows a graph of measuring the average arterial pressure (mmHg).

도 3은 레보시멘단 0.4㎍/kg/분(□), 레보시멘단 0.3㎍/kg/분(△), 레보시멘단 2㎍/kg/분(○) 및 위약(◆)으로 처리된 래트의 심박수(박동수/분)를 측정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rats treated with 0.4 μg / kg / min of lebocimendan (□), 0.3 μg / kg / min of levosimendan (Δ), 2 μg / kg / min of levosimendan (○) and placebo (◆). Shows a graph measuring heart rate (heart rate / minute).

도 4는 소생후 레보시멘단(■), 도부타민(○) 및 위약(△)으로 처리된 마우스의 평균 동맥압(mmHg)을 측정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 graph measuring the average arterial pressure (mmHg) of mice treated with levocimendane (■), dobutamine (○) and placebo (△) after resuscitation.

도 5는 소생후 레보시멘단(■), 도부타민(○) 및 위약(△)으로 처리된 래트의 심박수(박동수/분)를 측정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a graph measuring the heart rate (heart rate / minute) of rats treated with levocimendane (■), dobutamine (○) and placebo (△) after resuscitation.

도 6은 소생후 레보시멘단(■), 도부타민(○) 및 위약(△)으로 처리된 래트의 심장박출계수(ml/kg/분)를 측정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6 shows a graph measuring the cardiac output coefficient (ml / kg / min) of rats treated with levocimendane (■), dobutamine (○) and placebo (△) after resuscitation.

도 7은 소생후 레보시멘단(■), 도부타민(○) 및 위약(△)으로 처리된 래트의 1회 박출량을 측정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7 shows a graph measuring the amount of single ejection of rats treated with levocimendane (■), dobutamine (○) and placebo (△) after resuscitation.

도 8은 소생후 레보시멘단(■), 도부타민(○) 및 위약(△)으로 처리된 래트의 전신 혈관 저항을 측정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FIG. 8 shows a graph measuring systemic vascular resistance of rats treated with levocimendane (■), dobutamine (○) and placebo (Δ) after resuscitation.

도 9는 소생후 레보시멘단(■), 도부타민(○) 및 위약(△)으로 처리된 래트의 수축력(dP/dt40에 의해 반영된다)을 측정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9 shows a graph measuring the contractile force (reflected by dP / dt40) of rats treated with levocimendane (■), dobutamine (○) and placebo (Δ) after resuscitation.

도 10은 소생후 레보시멘단(■), 도부타민(○) 및 위약(△)으로 처리된 래트의 이완촉진 또는 이완 효과(음성 dP/dt40에 의해 반영됨)를 측정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FIG. 10 shows a graph measuring the relaxation or relaxation effect (reflected by negative dP / dt40) of rats treated with levocimendane (■), dobutamine (○) and placebo (Δ) after resuscitation.

도 11은 소생후 레보시멘단(■), 도부타민(○) 및 위약(△)으로 처리된 래트의 좌심실 이완기(충만) 혈압(mmHg)을 측정한 그래프를 도시한 것이다. FIG. 11 shows a graph measuring left ventricular diastolic (full) blood pressure (mmHg) of rats treated with levocimendane (■), dobutamine (○) and placebo (Δ) after resuscitation.

도 12는 대조군, 도부타민 및 레보시멘단 치료 후 생존 기간(시간)을 도시한 도표이다.FIG. 12 is a chart depicting survival time (hours) after treatment with control, dobutamine and lebocymendan.

도 13은 소생후 심박수(분당 박동수), 평균 동맥압(mmHg) 및 심장박출계수(ml min-1kg-1)에 미치는 3회 시술의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각 값은 평균값과 표준편차이다. BL=기준선; DF=제세동; PC=전흉부 압박; VF=심실 세동. *P<0.05, **P<0.01 vs 식염수 위약; P<0.05 vs 도부타민.FIG. 13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ree procedures on heart rate (beats per minute), mean arterial pressure (mmHg), and cardiac output coefficient (ml min −1 kg −1 ) after resuscitation. Each value i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L = baseline; DF = defibrillation; PC = prothoracic compression; VF = ventricular fibrillation. * P <0.05, ** P <0.01 vs saline placebo; P <0.05 vs dobutamine.

도 14는 dP/dt40(mmHg sec-1 ×103), -dP/dt(mmHg sec-1×103) 및 PLVD(mmHg)의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BL=기준선; DF=제세동; PC=전흉부 압박; VF=심실 세동. *P<0.05, **P<0.01 vs 식염수 위약; P<0.05 vs 도부타민. 14 is a graph showing the values of dP / dt 40 (mmHg sec −1 × 10 3 ), −dP / dt (mmHg sec −1 × 10 3 ), and P LVD (mmHg). BL = baseline; DF = defibrillation; PC = prothoracic compression; VF = ventricular fibrillation. * P <0.05, ** P <0.01 vs saline placebo; P <0.05 vs dobutamine.

도 15는 72시간째의 생존 시간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BL=기준선; DF=제세동; PC=전흉부 압박; VF=심실 세동. *P<0.05, **P<0.01 vs 식염수 위약; P<0.05 vs 도부타민.15 is a chart showing survival time at 72 hours. BL = baseline; DF = defibrillation; PC = prothoracic compression; VF = ventricular fibrillation. * P <0.05, ** P <0.01 vs saline placebo; P <0.05 vs dobutamine.

도 16은 소생후 심박출량(mL min-1)에 미치는 3회의 시술 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각 값은 평균값과 표준편차이다. BL=기준선; DF=제세동; PC=전흉부 압박; VF=심실 세동. *P<0.05, **P<0.01 vs 식염수 위약16 is a graph showing the effect of three procedures on cardiac output after resuscitation (mL min −1 ). Each value i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L = baseline; DF = defibrillation; PC = prothoracic compression; VF = ventricular fibrillation. * P <0.05, ** P <0.01 vs saline placebo

도 17은 박출율(EF, %)의 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각 값은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BL=기준선; DF=제세동; PC=전흉부 압박; VF=심실 세동. *P<0.05, **P<0.01 vs 식염수 위약; P<0.05, ††P<0.01 vs 도부타민.17 is a graph showing the values of ejection fraction (EF,%). Each value represents an average value and standard deviation. BL = baseline; DF = defibrillation; PC = prothoracic compression; VF = ventricular fibrillation. * P <0.05, ** P <0.01 vs saline placebo; P <0.05, †† P <0.01 vs dobutamine.

도 18은 FAC(%) 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각 값은 평균을 나타내고, 막대는 ±S.D.를 나타낸다. VF=심실 세동. PC=전흉부 압박. DF=제세동. *P<0.05, **P<0.01 vs 식염수 위약; P<0.05 vs 도부타민. 18 is a graph showing FAC (%) values. Each value represents an average and the bars represent ± SD. VF = ventricular fibrillation. PC = front chest compressions. DF = defibrillation. * P <0.05, ** P <0.01 vs saline placebo; P <0.05 vs dobutamine.

도 19는 동맥 및 좌심장정맥 혈액 간의 PO2 차의 값(Pa-vO2)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각 값은 평균을 나타내고, 막대는 ±S.D.를 나타낸다. BL=기준선; VF= 심실 세동; PC=전흉부 압박; DF=제세동. *P<0.05 vs 식염수 위약.19 is a graph showing the value of PO 2nd order (Pa-vO 2 ) between arterial and left cardiac vein blood. Each value represents an average and the bars represent ± SD. BL = baseline; VF = ventricular fibrillation; PC = prothoracic compression; DF = defibrillation. * P <0.05 vs saline placebo.

도 20은 소생 후 240분째 BL 수준의 EF 및 Pa-vO2 백분율을 나타내는 도표이다.20 is a chart showing EF and Pa-vO 2 percentages of BL levels at 240 minutes after resuscitation.

도 21은 대심장정맥 혈액의 락테이트 값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21 is a graph showing lactate values in large venous blood.

도 22는 식염수 위약(□)과 비교하여 레보시멘단(●)후 심장박출계수(CI), 수축력(dP/dt40) 및 평균 동맥압(MAP)의 증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각 값은 평균값을 나타내고, 막대는 ±S.D.를 나타낸다. BL=기준선. VF=심실 세동. PC=전흉부 압박. DF=제세동.FIG. 22 is a graph showing an increase in cardiac output coefficient (CI), contractility (dP / dt40) and mean arterial pressure (MAP) after levocimendane (•) compared to saline placebo (□). Each value represents an average value, and bars represent ± S.D. BL = baseline. VF = ventricular fibrillation. PC = front chest compressions. DF = defibrillation.

도 23은 좌심실 이완기 혈압(LVDP)의 감소, 이완기 심실 기능의 증가와 일치하는 음성 dP/dt의 증가, 및 심박출량의 증가와 일치하는 호기말 CO2(ETCO2) 증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레보시멘단(●) 및 식염수 위약(□). 각 값은 평균값을 나타내고, 막대는 ±S.D.이다. BL=기준선, VF=심실 세동. PC=전흉부 압박. DF=제세동.FIG. 23 is a graph showing decreased left ventricular diastolic blood pressure (LVDP), an increase in negative dP / dt consistent with an increase in diastolic ventricular function, and an increase in end-tidal CO 2 (ETCO 2 ) consistent with an increase in cardiac output. Lebocymendan (●) and saline placebo (□). Each value represents an average value and the bars are ± SD. BL = baseline, VF = ventricular fibrillation. PC = front chest compressions. DF = defibrillation.

도 24는 레보시멘단(●) 및 식염수 위약(□)의 투여 후 말초 동맥 저항성(PAR)의 감소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각 값은 평균값을 나타내고, 막대는 ±S.D.이다. BL=기준선, VF=심실 세동. PC=전흉부 압박. DF=제세동.FIG. 24 is a graph showing a decrease in peripheral arterial resistance (PAR) after administration of lebocymendan (•) and saline placebo (□). Each value represents an average value and the bars are ± S.D. BL = baseline, VF = ventricular fibrillation. PC = front chest compressions. DF = defibrillation.

도 25는 연구를 수행하는 실험 절차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VF=심실 세동. DF=제세동.25 is a graph illustrating an experimental procedure for conducting a study. VF = ventricular fibrillation. DF = defibrillation.

도 26은 프로프라놀롤 그룹의 유의적으로 개선된 제세동 충격, PVB 수 및 ST-T 측정값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각 값은 평균값±S.D.로 나타냈다.FIG. 26 is a chart showing significantly improved defibrillation shock, PVB number, and ST-T measurements of the propranolol group. Each value is represented by the mean value ± S.D.

도 27은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레보시멘단+프로프라놀롤 그룹 및 프로프라놀롤 그룹의 유의적으로 증가된 FAC 및 EF를 보여준 그래프이다. 각 값은 평균값±S.D.로 나타냈다.FIG. 27 is a graph showing significantly increased FAC and EF of the levocimendane + propranolol group and propranolol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Each value is represented by the mean value ± S.D.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초록, 참고문헌, 특허 및 공개된 특허출원 문헌은 그 전문이 참고인용된 것이다.All abstracts, references, patents, and published patent applications mentioned herein are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본 명세서에 사용된,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란 용어는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차단하는 작용을 하는 임의의 약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황에서 이러한 약물에는 공지된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 예컨대 프로파놀롤, 메토프롤롤, 카베딜롤 뿐만 아니라 그러한 차단 활성을 보유하는 다른 화합물이 포함된다.As used herein, the term "adrenergic receptor blocker" means any drug that acts to block the adrenergic receptor. Such drugs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known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such as propanolol, metoprolol, carvedilol as well as other compounds possessing such blocking activity.

본 명세서에 사용된, "심장 부정맥"이란 용어는 비정상적인 심박수 또는 심장 리듬을 의미한다. 이 상태의 원인은 박동조율기 기능을 유지하는 결절의 결함이나, 또는 전기 전도 시스템의 기능상실일 수 있다. 부정맥의 예에는 서맥, 빈맥(예, 심실위 빈맥, 및 심실성 빈맥), 심실 세동 및 주기외수축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심장 부정맥 치료"는 심장 부정맥의 상태를 경감 또는 반전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cardiac arrhythmia" refers to an abnormal heart rate or heart rhythm. The cause of this condition could be a defect in the nodule that maintains the pacemaker function, or a malfunction of the electrical conduction system. Examples of arrhythmia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bradycardia, tachycardia (eg, ventricular tachycardia, and ventricular tachycardia), ventricular fibrillation, and extracyclic contraction. "Health arrhythmia treatment" means alleviating or reversing the state of cardiac arrhythmias.

본 명세서에 사용된 "서맥"이란 용어는 심장이 안정하게 수축그러나 1분당 60회 미만의 수축률로 수축하는 혈행 상태를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bleeding" refers to a circulating state in which the heart contracts stably but contracts at a contraction rate of less than 60 times per minute.

본 명세서에 사용된 "심장 정지"란 용어는 심박출량 및 실제 혈행의 정지를 의미한다. 심장 정지는 일반적으로 심장 부정맥, 예컨대 심실 빈맥 및 심실 세동(또는 둘 모두) 또는 서맥에 의해 촉진된다. 심장 정지는 심장 질환이나 심장 발작에 의하거나 또는 호흡 정지, 감전사, 익사, 질식 및 외상과 같은 다른 요인에 의해 일어날 수 있다. 심장 정지가 일어난 경우에 산소 전달 및 이산화탄소 제거는 정지하고, 조직 세포 대사가 혐기성이 되고, 결과적으로 대사 및 호흡 산증이 일어난다. 따라서, 심장, 폐, 신장 및 뇌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심폐 소생의 즉각적인 개시가 필요하다. 뇌사 및 영구 사망은 정지 4 내지 6분 이내에 일어나기 시작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cardiac arrest" refers to cardiac output and actual halt of blood circulation. Cardiac arrest is generally facilitated by cardiac arrhythmias such as ventricular tachycardia and ventricular fibrillation (or both) or bradycardia. Cardiac arrest may be caused by heart disease or a heart attack or by other factors such as respiratory arrest, electrocution, drowning, choking and trauma. When cardiac arrest occurs, oxygen delivery and carbon dioxide removal stop, tissue cell metabolism becomes anaerobic, and consequently metabolism and respiratory acidosis occur. Thus, immediate onset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s necessary to prevent heart, lung, kidney and brain damage. Brain death and permanent death begin to occur within 4-6 minutes of suspension.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심폐 소생" 또는 "CPR"은 치료를 요하는 개체에게 구강대구강 인공호흡 및 흉부 압박(일반적으로, 장비의 도움 없이 개체에 의한 것)을 가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CPR을 가하는 표준 치료 지침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예, 미국 심장협회(AHA)/국제소생술협회(ILCOR)의 전문심장소생술(ACLS)의 지침을 참조한다)(예, Supplement to Circulation, Vol. 102(8), August 22, 2000).As used here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r "CPR" refers to the process of applying oral buccal ventilation and chest compressions (generally by an individual without the aid of a device) to an individual in need of treatment. . Standard treatment guidelines for applying CPR are known in the art (e.g., refer to the guidelines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 International Resuscitation Association (ILCOR) Specialty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CLS)) (e.g. Supplement to Circulation, Vol. 102 (8), August 22, 2000).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울혈심부전증"은 신체의 다른 기관으로 충분한 혈액을 강제공급하는 능력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심장의 비정상적 상태를 의미한다. 울혈심부전증은 임의의 수의 상태, 예컨대 심장 동맥 질환, 심근 경색, 심내막염, 심근염 또는 심근병증 등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심실의 혈액 박출의 기능상실은 부피 과부하, 심방실 확장 및 심장내압 상승을 초래한다. 좌심장에서부터 증가된 수 압의 역전달은 폐울혈을 유발하고, 상승된 우심장 혈압은 전신 정맥 울혈 및 말초부종을 유발한다.As used herein, "congestive heart failure" refers to an abnormal condition of the heart characterized by a disorder of the ability to force enough blood to other organs of the body. Congestive heart failure can result from any number of conditions, such as coronary artery disease, myocardial infarction, endocarditis, myocarditis or cardiomyopathy and the like. Malfunction of ventricular blood ejection results in volume overload, atrial dilatation and elevated intracardiac pressure. Increasing back pressure from the left heart causes pulmonary congestion, and elevated right heart blood pressure causes systemic venous congestion and peripheral edema.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제세동"이란 용어는 유효 심장 리듬의 복원과 함께 심장 근육(동맥 또는 심실)의 세동 정지 또는 중지를 의미한다. 제세동은 전기적 충격을 전달하는 장치(예, 제세동기)의 도움으로 달성되는 것이 전형적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defibrillation” refers to stopping or stopping the fibrillation of the heart muscle (artery or ventricle) with the restoration of an effective heart rhythm. Defibrillation is typically accomplished with the aid of a device that delivers an electrical shock (eg, defibrillator).

본 명세서에 사용된 "유효 심장 리듬"이란 용어는 원하는 치료 결과, 예컨대 개체 안정화 및/또는 생존을 달성하는 심장 리듬이다.The term "effective heart rhythm" as used herein is a heart rhythm that achieves the desired therapeutic outcome, such as individual stabilization and / or survival.

본 명세서에 사용된 "주기외수축"이란 용어는 이소성 충동에 의한 탈분극으로부터 일어나는 비정상적 심장 수축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external contraction" refers to abnormal cardiac contractions resulting from depolarization due to ectopic impulses.

본 명세서에 사용된 "허혈"이란 용어는 혈액 흐름이 신체의 일부에 제한된 상태를 의미한다. 허혈은 혈액 공급의 기계적 폐색(예, 동맥 협소)에 의한 일어날 수 있다. "국소 허혈"은 기관의 일부가 제한적인 혈액 흐름을 공급받는 상태를 의미한다. "전신 허혈"은 전기관이 제한적인 혈액 흐름을 공급받는 상태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ischemic" means a condition in which blood flow is restricted to a part of the body. Ischemia can be caused by mechanical obstruction of the blood supply (eg, arterial narrowing). "Local ischemia" means a condition in which some of the organs receive limited blood flow. "Whole body ischemia" means a condition in which the electric tube receives a limited blood flow.

본 명세서에 사용된 "레보시멘단 화합물"이란 용어는 레보시멘단의 임의의 라세미 혼합물 또는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레보시멘단 대사산물의 라세미 혼합물 또는 거울상이성질체를 의미한다. "레보시멘단"이란 용어는 구체적으로 [4-(1,4,5,6-테트라하이드로-4-메틸-6-옥소-3-피리다지닐)페닐]하이드라조노]프로판디니트릴의 (-)-거울상이성질체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lebocymendan compound" refers to any racemic mixture or enantiomer of lebocymendan, or the racemic mixture or enantiomer of levocymendan metabolite. The term "lebocymendan" specifically refers to [4- (1,4,5,6-tetrahydro-4-methyl-6-oxo-3-pyridazinyl) phenyl] hydrazono] propanedinitrile; -)-Means an enantiomer.

본 명세서에 사용된 "포유동물"이란 용어는 신체에 털이 다소 덮여있고, 새 끼에게 유선 유래의 젖을 주며, 알을 낳는 단공류를 제외하고 새끼를 낳는 포유동물류의 임의의 척추동물을 의미한다. 포유동물의 예에는 마우스, 래트, 고양이, 개, 돼지, 원숭이 및 사람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포유동물은 사람이다.As used herein, the term "mammal" refers to any vertebrate animal of mammals that has some hairs on its body, gives milk to the mammary gland, and gives birth to babies, except for the small pore that lays eggs. Examples of mammal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ice, rats, cats, dogs, pigs, monkeys, and humans. Preferred mammals are humans.

본 명세서에 사용된 "심근 기능이상"이란 용어는 심박출량 감소, 심장 수축력 감소 및 동맥압 증가와 함께, 심장 정지 또는 심장 정치의 치료에 사용되는 치료(들)에 수반되거나 그로부터 발생하거나 또는 그에 의해 유발되는 좌심실 충만 혈압의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심장 상태를 의미한다. "심근 기능이상의 치료" 또는 "심근 기능이상의 개선"이란 심근 기능이상의 상태를 경감, 약화, 회복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심근 기능/기능이상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기구 및 수단을 사용하여 측정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myocardial dysfunction" is accompanied by, occurs from, or is caused by, treatment (s) used in the treatment of cardiac arrest or cardiac arrest, with decreased cardiac output, decreased cardiac contractility, and increased arterial pressure. Refers to a heart condition characterized by an increase in left ventricular fullness blood pressure. "Treatment of myocardial dysfunction" or "improvement of myocardial dysfunction" means reducing, weakening, restoring or alleviating the condition of myocardial dysfunction. Myocardial function / dysfunction is measured using instruments and mean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 사용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란 용어는 약제학용으로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활성 성분, 예컨대 레보시멘단의 염 형태를 의미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refers to salt forms of physiologically active active ingredients such as levocymendan for pharmaceutical use.

본 명세서에 사용된 "기관 기능 보호"란 실제 기관 기능을 복원시키거나, 실제 기관 기능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심장 정지 후 포유동물의 기관 기능의 추가 악화를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As used herein, "organ function protection" means restoring actual organ function, maintaining actual organ function, or preventing further deterioration of organ function in a mammal after cardiac arrest.

본 명세서에 사용된 "공식 치료 프로토콜 기준"이란 특정 상태의 치료 수단으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인정하는 일련의 교육용 지침서를 의미한다. 일 예로서, 심장이 정지된 개체에게 CPR 및 제세동을 처치하는 AHA/LIROC에 의해 수립된 지침은 공식 치료 프로토콜 기준이다.As used herein, “official treatment protocol criteria” means a set of educational guidelines recogniz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s a means of treatment for a particular condition. As an example, the guidelines established by AHA / LIROC to treat CPR and defibrillation in individuals with cardiac arrest are official treatment protocol criteria.

본 명세서에 사용된 "자발적 혈행 복원", "자발적 혈행 회복" 또는 "ROSC"란 용어는 개체 스스로의 혈행 회복 또는 재개시를 의미한다. 이러한 자발적 혈행을 유지하기 위해 개체를 돕는 부가 지지 측정이 필요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s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restoration",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recovery" or "ROSC" refer to the recovery or resumption of blood circulation of the subject itself. Additional support measures to assist the subject may or may not be needed to maintain this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본 명세서에 사용된 "빈맥"이란 용어는 심장이 1분당 100회를 넘는 박동수로 수축하는 심장 상태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tachycardia" refers to a heart condition in which the heart contracts with more than 100 beats per minute.

본 명세서에 사용된 "심실 세동"이란 용어는 조직적인 전기 충격, 전도 및 심실 수축의 결여를 특징으로 하는 심장 상태를 의미한다.The term "ventricular fibrillation" as used herein refers to a heart condition characterized by a lack of systemic electric shock, conduction and ventricular contraction.

본 발명은 심근 기능 장애의 특정 상태를 앓고 있는 포유동물을 치료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신 심장 허혈 또는 이러한 허혈 전에 선행하는 임의의 부정맥을 앓고 있는 포유동물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특히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방법은 전술한 상태를 경험한 적이 있고 그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method of treating a mammal suffering from a particular condition of myocardial dysfunctio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treating a mammal suffering from systemic cardiac ischemia or any arrhythmia that precedes such ischemia. More particularly specifically,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mammal that has experienced the condition described above and needs such treatment.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의 자발적 혈행을 복원시키는 개선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개선은 심장 정지되고 그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 때 포유동물은 자발적 혈행 복원을 위해 심폐 소생술(CPR) 및 제세동 충격을 처치받거나 처치받을 것이다. 미국 심장협회(AHA)는 국제소생술협회(ILROC)와 함께, 자발적 혈행 복원 절차를 포함한 심장 정지를 당한 개체를 소생시키는 지침을 수립했다. 이 지침은 응급구조시스템(EMS) 전대원(예, 의료보조자) 및 병원 직원이 심장 정지된 개체의 치료용으로 알고 있는 치료 프로토콜 기준을 구성하며, 병원 및 원외 환경에서 이러한 의료진 및 다른 위생관리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처치된다. 또한, 이러한 지침은 그러한 치료를 요하는 모든 개체에게 일반적으로 처치되지만, 실제 처치는 필요에 따라 개체마다 다르게 수행되기도 한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잘 알 것이다.In one aspect, the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method for restoring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in a cardiac arrested mammal. Specifically, the improvement comprises administering to a mammal in need of treatment a cardiac arrest and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wherein the mammal is capable of resto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nd defibrillation shocks will or will be treate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 together with the International Resuscitation Association (ILROC), has established guidelines for resuscitating individuals with cardiac arrest, including spontaneous hemostasis procedures. These guidelines form the standard of care protocols known to emergency rescue systems (EMS) personnel (eg, paramedics) and hospital staff for the treatment of cardiac arrest. Usually treated. In addition, while these instructions are generally administered to all individuals in need of such treatment,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actual treatment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as needed.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는 포유동물이 심장 정지를 당할 것으로 예상되는 시기 직전 또는 포유동물이 실제 심장 정지되어 있는 시기 동안 또는 또는 포유동물이 심장 정지되어 있는 시간 중이나 심장 정지 사건 후 임의의 시기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레보시멘단 화합물의 투여 단계는 레보시멘단 화합물을 1회 용량 또는 볼러스(bolus) 용량으로 투여하거나 연속 주입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포유동물이 심장 발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거나 실제 심장 정지되는 시기를 측정하는 방법은 당업자라면 잘 알고 있고 수행할 수 있는 것이지만, 그 예로는 심전도(ECG) 사용 및 크레아틴 키나제-MB, 미오글로빈 및 트로포닌 I의 검사실 검사법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tep of administering the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the mammal is immediately before the mammal is expected to be cardiac arrest or during the time that the mammal is actually cardiac arrest or the mammal is cardiac arrest. It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during or after the cardiac arrest event. In addition, the step of administering the levocimendane compound may be carried out by administering or continuously injecting the levocimendane compound in a single dose or a bolus dose. Methods for determining when a mammal is likely to cause a heart attack or when actual cardiac arrest is well known and can be perform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electrocardiogram (ECG) use and creatine kinase-MB, myoglobin and troponin I Laboratory tests of, but not limited to.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세동 치료 전에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이 (1) 혈류역학적 유효 심장 기능을 재개시키기 위하여 심실 세동을 앓고 있는 포유동물에게 반복 처치되어야 하는 제세동 치료 횟수를 감소시키고; 및/또는 (2) 심실 세동을 앓 고 있는 포유동물의 혈류역학적 유효 심장 기능을 재개시키기 위하여 제세동 치료 중에 적용되는 에너지(즉, 전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발견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dministering levocimenda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mammal prior to defibrillation treatment, which includes: (1) a mammal suffering from ventricular fibrillation to resume hemodynamically effective cardiac function; Reducing the number of defibrillation treatments to be repeated for the animal; And / or (2) reduce the amount of energy (ie, current) applied during defibrillation therapy to resume the hemodynamically effective cardiac function of a mammal suffering from ventricular fibrillation.

일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심장 정지 전이나 심장 정지 중에, 1회 이상의 제세동 충격을 가하기 전에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후속으로 제세동 충격(들)을 유효 심장 리듬을 복원시키기에 충분한 빈도(즉, 많은 횟수)로 가하되, 이 빈도는 공식 치료 프로토콜 기준에 수립된 빈도에 비해 감소된 단계를 포함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식 치료 프로토콜 기준은 예컨대 심장 정지된 개체의 제세동을 위해 AHA/ILROC에 의해 수립된 것이다. 이러한 개체는 CPR을 필요로 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제세동 충격의 횟수는 바람직하게는 50% 감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감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감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감소,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감소,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감소된 것이 좋다.According to one aspect,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dministering to a mamm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prior to or during cardiac arrest before subjecting the at least one defibrillation shock and subsequent The defibrillation shock (s) is applied at a frequency sufficient to restore the effective cardiac rhythm (ie, a number of times), the frequency comprising a reduced step compared to the frequency established in the official treatment protocol criteria. As mentioned above, official treatment protocol criteria are established by AHA / ILROC, for example for defibrillation of cardiac arrested individuals. Such individuals may or may not require CPR. The number of defibrillation shocks is preferably reduced by 50%, more preferably reduced by 60%, more preferably reduced by 70%, more preferably reduced by 80%,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reduced by 90%, even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100% reduction is good.

대안적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 적용되는 제세동 충격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1회 이상의 제세동 충격을 가하기 전에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상기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후속으로 제세동 충격을 유효 심장 리듬을 복원시키기에 충분한 빈도로 가하되, 그 빈도는 레보시멘단 화합물로 치료되지 않은 유사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 가하는 제세동 충격의 빈도에 비해 감소된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세동 충격의 횟수는 바람직하게는 50% 감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감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감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감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감소,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감소된 것이 좋다.According to an alternative aspect, the invention is a method of reducing the frequency of defibrillation shocks applied to a cardiac arrest mammal, wherein the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s applied prior to applying one or more defibrillation shocks. Administering to the mammal; And subsequently applying the defibrillation shock at a frequency sufficient to restore an effective heart rhythm, the frequency being reduced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the defibrillation shock applied to a similar cardiac arrested mammal not treated with the levocimendane compound. Provide a method. Here, the number of defibrillation shocks is preferably reduced by 50%, more preferably reduced by 60%, more preferably reduced by 70%, more preferably reduced by 80%, more preferably reduced by 90%, even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Is reduced by 100%.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게 가해지는 제세동 충격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1회 이상의 제세동 충격을 가하기 전에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및 후속으로 유효 심장 리듬을 복원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로 제세동 충격을 포유동물에게 가하되, 그 에너지는 공식 치료 프로토콜 기준에 정해진 제세동 충격 에너지에 비해 감소된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세동 충격의 에너지는 바람직하게는 50% 감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감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감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감소,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감소,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감소된 것이 좋다.According to yet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ducing the energy of a defibrillation shock applied to a cardiac arrest mammal, wherein the mammal is treated with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before applying the at least one defibrillation shock.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And subsequently applying the defibrillation shock to the mammal with sufficient energy to restore the effective heart rhythm, the energy being reduced compared to the defibrillation shock energy set forth in the official treatment protocol criteria. Here, the energy of the defibrillation shock is preferably reduced by 50%, more preferably reduced by 60%, more preferably reduced by 70%, more preferably reduced by 80%,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reduced by 90%, even more particularly preferred. 100% reduction is good.

또 다른 대안적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 적용되는 제세동 충격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1회 이상의 제세동 충격을 가하기 전에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및 후속으로 제세동 충격을 유효 심장 리듬을 복원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로 포유동물에게 가하되, 그 에너지는 레보시멘단 화합물로 치료되지 않은 유사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게 가해지는 제세동 에너지에 비해 감소된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세동 충격 에너지는 바람직하게는 50% 감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감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감소,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감소,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감소,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 는 100% 감소된 것이 좋다.According to another alternativ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reducing the frequency of defibrillation shocks applied to a cardiac arrest mammal, wherein the mammalian levocimendane compound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thereof is applied to the mammal prior to applying one or more defibrillation shocks.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salt to be treated; And subsequently applying the defibrillation shock to the mammal with sufficient energy to restore the effective heart rhythm, the energy being reduced compared to the defibrillation energy applied to the similar cardiac arrested mammal not treated with the levocimendane compound. It provides a method to include. Here, the defibrillation impact energy is preferably reduced by 50%, more preferably reduced by 60%, more preferably reduced by 70%, more preferably reduced by 80%, even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reduced by 90%, even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Is reduced by 100%.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양태 및/또는 관점에 있어서, 제세동 치료는 심실 세동을 앓고 있는 대상체의 혈류역학적 유효 심장 기능을 재개시키기 위한 시도로 포유동물의 흉부 부위에 또는 심장 자체에 직접 전기적 충격을 전달하는 제세동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제세동 전극은 가능한 한 많은 심장 근육 질량이 제세동 충격의 직류 경로 안에 위치하도록 심장의 대향 측면(예컨대, 좌측면 심실 심장외막과 우측면 심실 심장외막)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세동기는 전형적으로 대상체에게 약 200주울 내지 약 400주울 사이의 에너지를 전달한다. 성공적인 제세동의 핵심은 심실 세동이나 다른 부정맥증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충분한 에너지(즉, 전류)가 심장으로 전달되게 하는 것이다. 이 에너지는 치료받는 대상체를 손상(화상 또는 기억 상실 유발)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높지는 않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제세동의 1차 시도 후, 후속 제세동 시도마다 가해지는 에너지(전류)는 증가되어, 대상체에게 손상을 입힐 위험이 증가한다. 제세동 치료는 매우 중요한 의학적 수단이지만, 가해지는 각 제세동 충격은 치료받는 대상체의 손상 위험을 증가시킨다.In any aspect and / or aspect disclosed herein, defibrillation therapy delivers an electrical shock directly to the thoracic region of a mammal or directly to the heart itself in an attempt to resume hemodynamically effective cardiac function in a subject suffering from ventricular fibrillation. Can be provided by a defibrillator. The defibrillation electrodes are preferably placed on opposite sides of the heart (eg, left ventricular epicardium and right ventricular epicardium) so that as much cardiac muscle mass as possible is located in the direct current path of the defibrillation shock. The defibrillator typically delivers energy between about 200 joules and about 400 joules to the subject. The key to successful defibrillation is to ensure that enough energy (ie, current) is delivered to the heart to stop ventricular fibrillation or other arrhythmia. This energy should not be high enough to cause injury (burn or memory loss) to the subject being treated. In general, after the first attempt of defibrillation, the energy (current) applied to each subsequent defibrillation attempt is increased, increasing the risk of damaging the subject. Defibrillation therapy is a very important medical tool, but each defibrillation shock applied increases the risk of injury to the subject being treated.

다양한 종류의 제세동기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세동기는 외장형(예컨대, 수동 제세동기 또는 자동 외부 제세동기) 또는 내장형(예, 이식가능 심장율동전환 제세동기)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이식된 제세동기는 대상체의 심장 활동을 모니터하고 필요할 때마다 대상체 심장에 전기치료적 펄스를 자동으로 가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포유동물에게 제세동 치료를 제공하는 단 계는 심장 정지 전, 중 또는 후와 같이(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포유동물의 치료 중 임의의 시기에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세동 치료는 심장 정지 초기에 수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세동은 본 발명에 따른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 헝용성 염의 투여 전이나, 투여 중이나 또는 투여 후에 수행할 수도 있다.Various types of defibrillators are known in the art. Specifically, the defibrillator may be external (eg, manual defibrillator 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or internal (eg, implantable cardioversion defibrillator). Typically, the implanted defibrillator monitors the subject's cardiac activity and automatically applies electrotherapeutic pulses to the subject's heart whenever need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roviding the mammal with defibrillation treatment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during the treatment of the mammal, such as but not limited to, before, during or after cardiac arrest. Preferably, the defibrillation treatment is performed early in cardiac arrest. Defibrillation may also be carried out before, during or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 soluble salt thereof according to the invention.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심장 부정맥증, 예컨대 심실위 빈맥, 심실 빈맥, 심실 세동 또는 주기외수축(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등을 나타내는 포유동물의 개선된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개선은 심장 부정맥증을 나타내고 이의 치료를 요하며, 1회 이상의 제세동 충격 처리를 받은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method of treating a mammal that exhibits cardiac arrhythmias such as, but not limited to, ventricular tachycardia, ventricular tachycardia, ventricular fibrillation or extracyclic contraction. Specifically, the improvement includes cardiac arrhythmia and requires treatment thereof,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mammal undergoing one or more defibrillation shock treatments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단계는 포유동물이 심장 부정맥증을 나타내는 동안의 임의의 시기에 수행할 수 있다. 심장 부정맥증을 측정하는 방법은 당업자의 기술 수준에서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며, 그 예에는 심전도 사용이 있다.The step of administering the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mammal in need thereof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while the mammal exhibits cardiac arrhythmia. Methods for measuring cardiac arrhythmia are those that can be performed sufficiently at the skill of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the use of an electrocardiogram.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심장 정지 또는 전신 허혈 전에 심근 기능이상의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의 심근 기능이상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사전조정(pre-conditioning)"은 심장 정지 중에 일어날 수 있는 허혈 손상으로부터 심근을 보호한다. 이러한 치료 를 요하는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단계는 예컨대 심장 수술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method for preventing myocardial dysfunction in a mammal requiring treatment of myocardial dysfunction prior to cardiac arrest or systemic ischemia, wherein the mammal has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t relates to a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This "pre-conditioning" protects the myocardium from ischemic damage that may occur during cardiac arrest. The step of administering the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mammal in need of such treatment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prior to cardiac surgery.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심장 정지를 당한 후 소생한 포유동물의 심근 기능이상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심장 정지 후 소생하고 심근 기능이상의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심근 기능의 개선뿐만 아니라 포유동물의 소생후 생존 길이의 증가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자발적 혈행이 복원된 후 포유동물에게 투여했을 때 심장의 심장 기능을 개선시키고, 심실 충만 혈압을 저하시키며, 수축 촉진 효과를 증대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eating myocardial dysfunction in a surviving mammal after cardiac arrest. The method includes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levocimendan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mammal that is resuscitated after cardiac arrest and in need of treatment for myocardial dysfunction. In particular, the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an be used to improve myocardial function as well as to increase the length of survival after resuscitation of a mamma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mproves the cardiac function of the heart, lowers ventricular fill blood pressure, and promotes contraction when administered to a mammal after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is restored. Found to increase.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는 단계는 심장 정지 후 대상체가 자발적 혈행을 복원하고 심근 기능이상을 나타낸 다음 임의의 시기에 수행할 수 있다. 심근 기능이상을 측정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고, 그 예에는 심전도의 사용 방법이 있다. The step of administering levocimendan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mammal in need thereof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after the subject has stopped cardiac restoring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and exhibiting myocardial dysfunction. Methods of measuring myocardial dysfunction are known in the art,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the use of electrocardiograms.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의 기관 기능을 보호하는 개선된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개선은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자발적 혈행이 복원된 상기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자발적 혈행이 반드시 복원되었음 에도 불구하고, ROSC로부터 초래되는 신체 기관 및 조직의 재관류는 "재관류 손상"이라고 알려진 포유동물의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재관류 손상"은 무엇보다도 심근 기절, 미세혈관 및 내피 손상, 그리고 비가역성 세포 손상 또는 괴사를 분명히 나타내는 재관류 관련 병리상태 범위를 의미한다(Suboth Verma, et al., Fundamentals of Reperfusion Injury for the Clinical Cadiologist, Circulation, Vol. 105: 2332-2336(2002)). 재관류 손상의 매개인자에는 산소 자유 라디칼, 세포내 칼슘 과부하, 내피 및 미세혈관 기능이상 및 변경된 심근 대사가 있다(S.Verma et al., 상기 문헌설명 참조). 따라서, 일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재관류 손상의 결과로부터 기관 기능을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임의의 기관을 보호할 수 있지만, 특히 뇌, 신장, 간 및 심장 조직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보호 정도는 기관 손상의 초기 병도에 따라 다를 것이다. 따라서,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기관 보호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는 자발적 혈행의 복원 또는 회복 이전 또는 이후의 임의의 시기에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method of protecting organ function of a mammal in need of treatment. In particular, the improvement comprises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mammal in need of such treatment for which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has been restored. Although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is necessarily restored, reperfusion of body organs and tissues resulting from ROSCs can lead to a condition in a mammal known as "reperfusion injury". "Reperfusion injury" refers to a range of reperfusion-related pathologies that manifests, among other things, myocardial stunning, microvascular and endothelial damage, and irreversible cell damage or necrosis (Suboth Verma, et al., Fundamentals of Reperfusion Injury for the Clinical Cadiologist, Circulation, Vol. 105: 2332-2336 (2002)). Mediators of reperfusion injury include oxygen free radicals, intracellular calcium overload, endothelial and microvascular dysfunction, and altered myocardial metabolism (S. Verma et al., Supra). Thus, in one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tecting organ function from the consequences of reperfusion injury. The method can protect any organ, but it is particularly desirable to protect brain, kidney, liver and heart tissue.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gree of protectio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depend upon the initial pathology of organ damage. Thus, the step of administering the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mammal in need of organ protection may be performed at any time before or after restoration or recovery of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기관 기능이상/기능을 측정하는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기관 기능 또는 손상을 측정하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관 기능이상/기능은 심장 트로포닌 I(심장 조직인 경우), 크레아티닌 또는 BUN(신장 조직인 경우), 혈청 AST 및 ALT(간 조직인 경우) 등을 비롯한 이에 국한되지 않는, 기관 생육성의 효소 또는 다른 마커의 농도를 평가하여 측정할 수 있다. 기관 생육성을 측 정하는 다른 수단에는 뇌조직의 뇌파도, 심장 조직의 심전도 등이 있다.Methods of measuring organ dysfunction / function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nclude any means of measuring organ function or injury. For example, organ dysfunction / function is an organogenic enzyme,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cardiac troponin I (for heart tissue), creatinine or BUN (for kidney tissue), serum AST and ALT (for liver tissue), and the like. Or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another marker. Other means of measuring organ growth include electroencephalograms of brain tissue and electrocardiograms of heart tissue.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양태 및/또는 관점에 따르면, 레보시멘단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에서 화합물은 [4-(1,4,5,6-테트라하이드로-4-메틸-6-옥소-3-피리다지닐)페닐]하이드라조노]프로판디니트릴의 (-) 및 (+) 형태를 모두 함유하는 레보시멘단의 라세미 혼합물, 또는 (-)-거울상이성질체 단독(예컨대, (-)-[4-(1,4,5,6-테트라하이드로-4-메틸-6-옥소-3-피리다지닐)페닐]하이드라조노]프로판디니트릴)이거나, 또는 라세미 대사산물 (N-[4-(1,4,5,6-테트라하이드로-4-메틸-6-옥소-3-피리다지닐)페닐]아세트아미드) 또는 거울상이성질체 대사산물 ([R]-N-[4-(1,4,5,6-테트라하이드로-4-메틸-6-옥소-3-피리다지닐)페닐]아세트아미드)일 수 있다. 바람직한 레보시멘단 화합물은 (-)-[4-(1,4,5,6-테트라하이드로-4-메틸-6-옥소-3-피리다지닐)페닐]하이드라조노]프로판디니트릴이다. 레보시멘단의 라세미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미국 특허 5,019,575(1991.5.28 공개) 및 EP 특허 EP 0383 449(1995.9.6.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4-(1,4,5,6-테트라하이드로-4-메틸-6-옥소-3-피리다지닐)페닐]하이드라조노]프로판디니트릴(즉, 레보시멘단)이 (-)-거울상이성질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미국 특허 5,424,428(1995.6.13 공개) 및 EP 0565 546(1995.3.8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레보시멘단 대사산물의 라세미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미국 특허 3,746,712 및 4,397,854(각각 1973.7.17 및 1983.8.9 공개)에 기술되어 있다. 대사산물의 [R]-거울상이성질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미국 특허 5,905,078(1999.5.18 공개) 및 RE38,102E(2003.4.29 공개) 및 EP 1 087 769(2004.3.10 공개)에 기술되어 있다.According to any of the embodiments and / or aspects described herein, in the step of administering the levocymendan compound, the compound is [4- (1,4,5,6-tetrahydro-4-methyl-6-oxo-3 Racemic mixtures of lebocymendans containing both the (-) and (+) forms of -pyridazinyl) phenyl] hydrazono] propanedinitrile, or (-)-enantiomers alone (e.g., (-)- [4- (1,4,5,6-tetrahydro-4-methyl-6-oxo-3-pyridazinyl) phenyl] hydrazono] propanedinitrile) or racemic metabolite (N- [ 4- (1,4,5,6-tetrahydro-4-methyl-6-oxo-3-pyridazinyl) phenyl] acetamide) or enantiomeric metabolite ([R] -N- [4- (1 , 4,5,6-tetrahydro-4-methyl-6-oxo-3-pyridazinyl) phenyl] acetamide). Preferred lebocymendan compounds are (-)-[4- (1,4,5,6-tetrahydro-4-methyl-6-oxo-3-pyridazinyl) phenyl] hydrazono] propanedinitrile. Processes for preparing racemic mixtures of levocimendane are disclosed in US Pat. No. 5,019,575 (published 11.5.28) and EP Patent EP 0383 449 (published 19.6.19). [4- (1,4,5,6-tetrahydro-4-methyl-6-oxo-3-pyridazinyl) phenyl] hydrazono] propanedinitrile (i.e. levocymendan) is (-)- Methods for preparing enantiomers are disclosed in US Pat. No. 5,424,428 (published 15.6.13) and EP 0565 546 (published 1995.3.8). Methods for preparing racemic mixtures of lebocymendan metabolites are described in US Pat. Nos. 3,746,712 and 4,397,854 (published 1973.7.17 and 1983.8.9, respectively). Methods of preparing the [R] -enantiomers of metabolites are described in US Pat. Nos. 5,905,078 (published 199.9.51) and RE38,102E (published 2003.4.29) and EP 1 087 769 (published 3 March 2004).

더욱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임의의 양태 및/또는 관점에 따르면, 심장 정지 직전이나 심장 정지 중의 포유동물에게 다른 화합물을 또한 투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른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투여하기 전이나 투여한 후 또는 투여와 동시에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드레날린 차단제 치료를 받은 바 있고 심장 정지 에피소드를 겪은 환자는 그 다음 레보시멘단 화합물로 치료될 수 있다. 투여될 수 있는 화합물의 예에는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 항혈전제, 혈관확장제 및 진통제가 있다. 투여될 수 있는 아데르날린 수용체 차단제에는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예, 베타-1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 또는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 및 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 예컨대 알파-1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가 있다. 투여될 수 있는 베타-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의 예에는 아테놀롤, 메토프롤롤, 에스몰롤 및 프로파놀롤 및 카베딜롤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의 예에는 카베딜롤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될 수 있는 항혈전제의 예에는 아스피린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될 수 있는 혈관확장제의 예에는 니트로글리세린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투여될 수 있는 진통제의 예에는 몰핀 설페이트가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임의의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며, 투여되어야 하는 실제 함량은 치료되어야 할 상태, 투여 경로, 대상체의 연령, 체중 및 상태에 따라 다르고, 당업계의 전문의라면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any of the aspects and / or aspects disclosed herein, other compounds may also be administered to the mammal immediately before or during cardiac arrest. Such compounds may be administered before, after or concurrent with the administration of the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example, a patient who has been treated with an adrenaline blocker and who has undergone a cardiac arrest episode may then be treated with a levocimendane compound. Examples of compounds that can be administered include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antithrombotic agents, vasodilators and analgesics.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that may be administered include beta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eg, beta-1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or beta-2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and alpha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such as alpha-1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Examples of beta-adrenergic receptor blockers that may be administere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tenolol, metoprolol, esmolol and propanolol and carvedilol. Examples of alpha adrenergic receptor block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carvedilol. Examples of antithrombotic agents that may be administere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spirin. Examples of vasodilators that may be administere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nitroglycerin. Examples of analgesics that may be administere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morphine sulfate. Generally,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y of the compounds described above is administered to a mammal in need of treatment, and the actual amount to be administered depends on the condition to be treate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age, weight and condition of the subject, Experts in the industry can easily decide.

본 발명에 따르면,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여러 경로를 통해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구강 및 직장 경로 등을 통한 장 투여, 또는 피하, 근육내, 복강내, 설하, 정맥내, 기관내, 동맥내, 경피 또는 심장내 경로 등의 비경구 투여가 있다. 포유동물의 치료에 있어 상황의 위급성은 바람직한 투여 경로, 예컨대 심장내 주사 등을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an be administered to a mammal in need of treatment through a variety of route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via the oral and rectal routes, and the like. Enteral administration,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such as subcutaneous, intramuscular, intraperitoneal, sublingual, intravenous, intratracheal, intraarterial, transdermal or intracardiac routes. Urgency of the situation in the treatment of mammals may suggest a preferred route of administration such as intracardiac injection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 사용된 "치료적 유효량" 또는 "약제학적 유효량"이란 용어는 목적하는 치료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투여량과 필요한 기간 동안의 효과적인 레보시멘단 화합물의 함량을 의미한다. 포유동물에게 투여되어야 하는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되어야 할 상태, 투여 경로, 대상체의 연령, 체중 및 상태에 따라 다르고, 당업계 전문의라면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약 0.01 내지 약 5.0㎍/kg/분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0.4㎍/kg/분 범위의 함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1㎍/kg/분이다. 포유동물 상태의 특성에 따라서, 레보시멘단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심장 정지 직전의 시기에서부터 심장 정지 시까지 또는 심장 정지 중에도 치료 효과가 달성될 때까지 연속 투여될 수도 있다. 볼러스 주사를 제공할 수도 있고, 또는 이 주사 후 연속 투여를 전술한 바와 같이 수행할 수도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r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refers to the dosage to achieve the desired therapeutic result and the content of the effective levocimendane compound for the required time period. The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be administered to a mammal depends on the condition to be treate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age, weight and condition of the subject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general, the lebocymendan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is in the range of about 0.01 to about 5.0 μg / kg / min,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0.5 to about 0.4 μg / kg / min, most preferably about 0.1 μg / kg / min.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mammal's condition, levocimendan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ay be administered continuously from the time immediately before the cardiac arrest to the cardiac arrest or until the therapeutic effect is achieved even during cardiac arrest. A bolus injection may be provided, or subsequent administration may b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포유동물의 심장 정지를 치료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 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과 약제학적 허용성 담체를 함유한다.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COR 및 제세동 처치와 함께 그 조성물을 투여했을 때 상기 포유동물의 자발적 혈행을 복원시키기에 충분하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제세동과 함께 처치할 때 제세동 충격의 빈도 또는 에너지를 감소시키기에 충분하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제세동과 함께 처치했을 때 심장 부정맥증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한 약제학적 조성물은 심장 정지로부터 소생 후 투여했을 때 기관 기능을 보호하기에 충분하다.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임의의 형태로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지만, 동결 건조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필요하거나 바람직한 경우에 다른 적당한 부형제, 담체 또는 다른 화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cardiac arrest in a mammal.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nd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administered to a mammal in need of treatment is sufficient to restore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of the mammal when the composition is administered with COR and defibrillation treatment. In another embodiment,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administered to a mammal in need thereof are sufficient to reduce the frequency or energy of the defibrillation shock when treated with defibrilla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administered to a mammal in need thereof are sufficient to treat cardiac arrhythmia when treated with defibrilla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dministered to a mammal in need of treatment is sufficient to protect organ function when administered after resuscitation from cardiac arrest. Lebocymendan compound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can be us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 any form, but lyophilized forms are preferre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y contain other suitable excipients, carriers or other compounds as necessary or desirable.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한 순도의 활성 성분(예컨대, 레보시멘단 및 임의의 다른 화합물, 예컨대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 등)을 선택적인 생리적 허용성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제(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edition, Osol, A. Ed.(1980))와 혼합하여 동결건조 조성물 또는 수용액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실질적으로 물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용성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제는 사용되는 투여량 및 농도에서 수용체에 대해 비독성이며, 예컨대 인산염, 구연산염 및 다른 유기산과 같은 완충액;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 저분자량(약 10개 잔기 미만) 폴리펩타이드; 단백질, 예컨대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글로불린;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친수성 중합체,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또는 리신과 같은 아미노산; 단당류, 이당류 및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과 같은 기타 탄수화물; EDTA와 같은 킬레이트제;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당 알콜; 나트륨과 같은 염형성 반대이온; 및/또는 TWEEN™, PLURONICS™ 또는 PEG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active ingredients of the desired purity (e.g., levocimendane and any other compounds such as adrenaline receptor blockers, etc.), which are selective physiologically acceptable carriers, excipients or stabilizers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 edition, Osol). , A. Ed. (1980)) can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lyophilized composition or an aqueous solu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free of water. Acceptable carriers, excipients or stabilizers are nontoxic to receptors at the dosages and concentrations employed, such as buffers such as phosphates, citrates and other organic acids; Antioxidants such as ascorbic acid; Low molecular weight (less than about 10 residues) polypeptides; Proteins such as serum albumin, gelatin or immunoglobulins; Hydrophilic polymers such as polyvinylpyrrolidone, amino acids such as glycine, glutamine, asparagine, arginine or lysine; Monosaccharides, disaccharides and other carbohydrates such as glucose, mannose, or dextrins; Chelating agents such as EDTA; Sugar alcohols such as mannitol or sorbitol; Salting counterions such as sodium; And / or nonionic surfactants such as TWEEN ™, PLURONICS ™ or PEG.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 및 바람직한 약물 농도는 치료되어야 할 상태, 투여 경로, 대상체의 연령, 체중 및 상태에 따라 다르고, 당업계 전문의라면 잘 알 것이다. 또한, 동물 실험을 통해 사람 치료에 효과적인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신뢰할 수 있는 지침을 얻을 수 있다.Dosages and preferred drug concentration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pend on the condition to be treate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age, weight and condition of the subject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imal testing also provides reliable guidance for determining effective doses for human treatment.

본 발명은 이상의 상세한 설명과 이하 실시예를 통해 설명되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제한이 아닌 예시적 설명일 뿐이며, 따라서 다양한 변형을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examples.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limit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즉,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의 조성물,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 및 구성은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 안에서 변화될 수 있다.That is,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the implement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with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1: 심장 정지 후에 소생한 포유동물의 심근 기능이상을 치료하기 위한  1: to treat myocardial dysfunction in a mammal that is revived after cardiac arrest 레보시멘단의Lebocymendan 용도 Usage

미국의과대학협회의 공식 실험 동물 처리 원칙 및 실험동물자원연구소에서 준비하고 미국국립보건원에서 공개한 실험 동물의 처리 및 사용 안내서(NIH 간행 86-32, 1985 개정)에 따라 모든 동물을 인도적으로 처리했다.All animals were treated humanely in accordance with the Official Laboratory Animal Principles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and the Laboratory Animal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and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 Publication 86-32, revised 1985). .

방법: 체중이 500 내지 550g인 수컷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 래트를 밤새 금식시켰고, 단 물은 자유 공급했다. 이러한 동물에게 펜토바르비탈(45mg/kg)을 복강 내 주사하여 마취시켰다. 추가 용량(10mg/kg)을 약 1시간 간격으로 투여하거나, 마취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할 때마다 투여했고, 단 심장 정지를 유도하기 30분 전에는 마취제를 투여하지 않았다. 기관에 스타크(Stark et al., J.Appl.Physiol.Resp.Environ.Exercise Physiol., 51(5): 1355-1356(1981))의 방법에 따라 팁이 145°각을 이룬 무딘 바늘이 장착된 14g 캐뉼라를 구강을 통해 삽관했다. 혈관 카테터삽입, 혈류역학적 측정, 혈액 채혈, ETCO2 모니터링, VF 유도 및 전흉부 압박의 시술은 문헌[Von Planta I et al., J.Appl.Physiol., 65(6): 2641-2647(1988)]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했다.Methods: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500-550 g were fasted overnight and sweet water was freely supplied. These animals were anesthetiz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pentobarbital (45 mg / kg). An additional dose (10 mg / kg) was administered about every hour or as needed to maintain anesthesia, but no anesthetic was given 30 minutes before inducing cardiac arrest. The trachea is equipped with a blunt needle with a tip of 145 ° angle according to the method of Stark et al., J. Appl. Physiol. Resp. Environ. Exercise Physiol., 51 (5): 1355-1356 (1981). 14 g cannula were intubated through the oral cavity. Procedures for vascular catheterization, hemodynamic measurements, blood draw, ETCO 2 monitoring, VF induction, and prethoracic compression are described in Von Planta I et al., J. Appl. Physiol., 65 (6): 2641-2647 (1988). )].

폴리에틸렌 카테터(PE50, Becton-Dickinson)는 좌심실압, dP/dt40 및 음성 dP/dtmax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술로 노출된 우측 목동맥에서부터 좌심실로 진행시켰다. 길이 10cm, 직경 0.5mm의 열전대 마이크로프로브는 우측 대퇴동맥으로 삽입하여 대동맥 판막으로 진행시킨 다음, 더 원위의 상행 대동맥으로 빼냈다. 이 센서로 혈액 온도를 측정했다. 심박출량 측정을 위해 좌측 목정맥에서부터 진행시킨 카테터를 통해 우심방으로 실온의 등장성 식염수 지시제 0.2ml를 주사했다. 열희 석 곡선을 반복하여 수득하여 기록하고, 심박출량 컴퓨터 시스템(Model CO100, ICCM, Palm Springs, CA)을 사용하여 심박출량을 계산했다.A polyethylene catheter (PE50, Becton-Dickinson) advanced from the surgically exposed right carotid artery to the left ventricle to measure left ventricular pressure, dP / dt 40 and negative dP / dt max . Thermocouple microprobes 10 cm in length and 0.5 mm in diameter were inserted into the right femoral artery, advanced to the aortic valve, and then withdrawn into the more distal ascending aorta. Blood temperature was measured with this sensor. To measure cardiac output, 0.2 ml of isotonic saline indicator at room temperature was injected into the right atrium through a catheter advanced from the left jugular vein. Thermal dilution curves were obtained and recorded repeatedly, and cardiac output was calculated using a cardiac output computer system (Model CO100, ICCM, Palm Springs, CA).

심실 세동("VF")은 우측 목정맥에서부터 우심실로 진행되어 있는 유도 철사를 통해 유도했다. 최대 2mA까지 60Hz 전류의 점진적 증가를 우심실 심장내막으로 전달하고, 자발적 제세동 방지를 위해 전류 흐름을 3분간 지속시켰다. VF 개시 후 기계적 인공호흡을 멈췄다. VF 개시 후, VF는 6분 동안 처리하지 않고, 인공호흡을 비롯한 CPR 및 공기 유도식 기계적 흉부 압박기에 의한 전흉부 압박을 완료했다. 이러한 절차는 문헌[Von Planta et al., J.Appl.Physiol., 65(6): 2641-2647(1988)]에 기술된 바와 같고, 문헌[Tang et al., Circulation, 92: 3089-3093(1995); Sun et al., J.Pharm.Exp.Ther., 291: 773-777(1999)]에 충분히 설명되어 있다. 전흉부 압박의 개시와 함께 동물에게 기계적 인공호흡을 실시했다. 1회 호흡량은 FiO2 1.0과 0.65ml/100g 동물 체중, 빈도 100min-1로 설정했다. 전흉부 압박은 200min-1의 비율로 유지시키고, 동일한 압박-이완 기간으로 압박/인공호흡 비가 2:1이 되게 했다. 압박 깊이는 초기에는 심장 관류압(CPP)이 18-22mmHg가 되도록 조정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호기말 PCO2가 8-12mmHg가 되었다(Von Planta et al., J.Appl.Physiol., 65(6): 2641-2647(1988)). 카테터는 동맥압과 혈액 가스의 측정을 위하여 좌측 대퇴 동맥으로 삽입했다. 또 다른 카테터는 혈액 가스의 측정을 위하여 좌측 대퇴 정맥으로 삽입했다. 소생은 최고 3회의 2주울의 카운터쇼크로 시도했다. 자발적 혈행 복원은 평균 대동맥압 60mmHg가 최소 5분간 지속되는 심실위 리듬의 회복으로 정의했다. 그룹 1의 동물은 VF 유도 직후 무작위로 추출하여 3가지 섭생 중 하나를 적용했다. 레보시멘단(12㎍/kg)의 볼러스 용량 이후 0.3㎍/kg/min을 연속 주입했다. 그룹 2에는 비교군으로서 우심방에 도부타민(3㎍/kg/min)의 용량을 연속 주입하기 시작했다. 그룹 3에는 위약으로서 동등 부피의 레보시멘단 희석제를 먼저 볼러스로 주입한 다음, 상기 레보시멘단 및 도부타민과 동등한 부피로 연속 주입했다. 주입은 소생 후(PR) 총 240분 동안 지속했다. 기계적 인공호흡은 소생 후 4시간 간격마다 100% 흡기 산소를 이용하여 지속했다. 동물을 마취에서 회복시키고 마지막 4시간째, 기관내 관을 비롯한 모든 카테터를 제거했다. 그 다음, 동물을 우리로 돌려보냈다. 부검 후 조직(심장, 간, 신장)을 시료채취하여 실온 보관을 위해 포르말린에 넣어 두었다.Ventricular fibrillation ("VF") was induced through a guide wire running from the right jugular vein to the right ventricle. A gradual increase of 60 Hz current up to 2 mA was delivered to the right ventricular endocardium and current flow was continued for 3 minutes to prevent spontaneous defibrillation. Mechanical ventilation was stopped after the onset of VF. After initiation of VF, VF was not treated for 6 minutes and completed prethoracic compression with CPR and air-induced mechanical chest compressions, including ventilation. This procedure is as described in Von Planta et al., J. Appl. Physiol., 65 (6): 2641-2647 (1988), and in Tang et al., Circulation, 92: 3089-3093 (1995); Sun et al., J. Pharm. Exp. Ther., 291: 773-777 (1999). The animals were subjected to mechanical ventilation with the onset of anterior chest compressions. Respiratory volume was set to FiO 2 1.0 and 0.65 ml / 100 g animal body weight, frequency 100 min −1 . Prothoracic compression was maintained at a rate of 200 min −1 and the compression / ventilation ratio was 2: 1 with the same compression-relaxation period. Compression depth was initially adjusted to achieve cardiac perfusion pressure (CPP) of 18-22 mmHg. This generally led to end-tidal PCO 2 of 8-12 mmHg (Von Planta et al., J. Appl. Physiol., 65 (6): 2641-2647 (1988)). The catheter was inserted into the left femoral artery for measurement of arterial pressure and blood gas. Another catheter was inserted into the left femoral vein for measurement of blood gas. Resuscitation attempted a maximum of three two-week counter shocks. Spontaneous hemorrhage was defined as the recovery of ventricular rhythm with an average aortic pressure of 60 mmHg lasting at least 5 minutes. Animals in group 1 were randomized immediately after VF induction and applied one of three regimens. 0.3 μg / kg / min was continuously injected after the bolus dose of lebocymendan (12 μg / kg). In Group 2, as a comparison group, dosamine (3 µg / kg / min) was continuously injected into the right atrium. Group 3 was first injected with a bolus with an equal volume of levocymendan diluent as a placebo, followed by continuous injections in volumes equivalent to the levocymendan and dobutamine. Infusion lasted 240 minutes after resuscitation (PR). Mechanical ventilation was continued using 100% inspiratory oxygen every four hours after resuscitation. The animals were recovered from anesthesia and the last 4 hours, all catheters, including the endotracheal tube, were removed. Then the animal was returned to the cage. After necropsy, tissues (heart, liver, kidneys) were sampled and placed in formalin for room temperature storage.

독립 변수는 레보시멘단이다. 종속 변수는 소생후 심근 기능 및 생존 기간이다. 혈류역학적 측정값 및 대사 측정값을 비롯한 각 실험의 1차적인 결과 변수는 모수적 분석에 적당한 것으로 이미 입증된 바 있다. 종래 실험은 분산 동질성을 보유한 정규 분포를 나타냈다. 따라서, 분산 분석 및 공분산 분석을 데이터 분석의 1차적인 방법으로 사용했다. 그룹간 차의 측정을 위해 ANOVA 및 쉐페의 다중비교 기술을 이용했다. The independent variable is lebocymendan. Dependent variables are myocardial function and survival after resuscitation. The primary outcome variable of each experiment, including hemodynamic and metabolic measurements, has already been demonstrated to be suitable for parametric analysis. Previous experiments have shown a normal distribution with dispersion homogeneity. Therefore, variance analysis and covariance analysis were used as the primary methods of data analysis. ANOVA and Chepe's multiple comparison technique was used to measu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실현가능성 연구 및 용량 적정: 용량 적정 결과는 도 1 내지 3에 도시했다. 레보시멘단 12㎍ 용량과 그 다음 0.3㎍/kg/min은 도부타민 3㎍/kg/min에 의해 산출되는 결과와 비슷한 동맥압의 감소와 심박출량의 증가를 나타냈다. 이보다 높은 용량의 레보시멘단은 심박출량의 추가 증가가 있지만, 동맥압 감소 및 심박수 증가를 나타냈다. Feasibility Study and Dose Titration: The dose titration results are shown in FIGS. The 12 μg dose of lebocymendan and then 0.3 μg / kg / min showed a decrease in arterial pressure and an increase in cardiac output, similar to the results produced by dobutamine 3 μg / kg / min. Higher doses of levosimendan showed a further increase in cardiac output but showed decreased arterial pressure and increased heart rate.

결과: 소생 후 10분째(PR10)와 약물 투여 후 3 그룹 간의 동맥압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도 4). 더욱이, 동맥 혈액 가스, 동맥 혈액 락테이트이나 호기말 CO2도 이하 표 1과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그룹 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도부타민은 경계선 정도의 유의성인 심박수 증가를 나타냈다(도 5). 레보시멘단 및 도부타민은 모두 심장박출계수 심장박출계수의 비슷한 증가를 나타냈고(도 6), 처음에는 1회 박출량이 훨씬 더 많았다(도 7). 전신 혈관(동맥) 저항의 감소는 위약 처리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레보시멘단에서 비슷한 유의적 감소가 관찰되었다(도 8). 레보시멘단은 dP/dt40에서 반영되는 바와 같이 수축력을 일정하게 증가시켰다(도 9). 더욱 심원한 이완가속(이완) 효과는 도부타민에 의해서 관찰되었다(도 10). 그러나, 대조군 및 도부타민 처리된 동물 모두와 비교했을 때 레보시멘단에 의해 수득되는 좌심실 이완기(충만) 혈압은 훨씬 낮거나 정상 부근이어서 매우 놀라웠다(도 11). 마지막으로, 대조군 및 도부타민, 특히 위약과 비교했을 때 레보시멘단에 의한 소생후 생존율은 유의적으로 더 길었다(도 12).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rterial pressure 10 minutes after resuscitation (PR10) and 3 groups after drug administration (FIG. 4). Moreover, arterial blood gas, arterial blood lactate or end-tidal CO 2 also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as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Dobutamine showed an increase in heart rate, which was significant at the borderline level (FIG. 5). Lebosimendan and dobutamine both showed similar increases in cardiac ejection fraction cardiac output coefficient (FIG. 6), initially with much higher single stroke volume (FIG. 7). A decrease in systemic vascular (arterial) resistance was observed with a similar significant decrease in lebocimendan compared to placebo treated controls (FIG. 8). Lebocymendan consistently increased contractile force as reflected in dP / dt 40 (FIG. 9). More profound relaxation acceleration (relaxation) effects were observed by dobutamine (FIG. 10). However, the left ventricular diastolic (full) blood pressure obtained by levocimendan was much lower or near normal compared to both control and dobutamine treated animals (FIG. 11). Finally, the survival after resuscitation by levocimendane was significantly longer compared to control and dobutamine, especially placebo (FIG. 12).

Figure 112006097085212-PCT00001
Figure 112006097085212-PCT00001

Figure 112006097085212-PCT00002
Figure 112006097085212-PCT00002

실시예 2: 래트의 소생후 심근부전을 치료하는 도부타민과 레보시멘단의 비교Example 2: Comparison of Dobutamine and Levosimendan for Treating Myocardial Failure after Resuscitation of Rats

도부타민은 장기간 심장 정지로부터 소생 후 심근 수축 부전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도부타민은 허혈성 심근 손상의 병도를 증가시키는 잠재성이 있다. 대체 수축촉진제인 레보시멘단은 허혈성 손상의 병도를 증가시킴이 없이 심근 수축력을 개선시키는 잠재적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레보시멘단이 소생후 심근 허혈성 손상을 완화하고 심장 정지로부터 소생 후 투여했을 때 도부타민 및 위약에 비해 개선된 결과를 나타내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했다.Dobutamine is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myocardial contractile failure after resuscitation from prolonged cardiac arrest. Dobutamine, however, has the potential to increase the degree of ischemic myocardial injury. Lebocymendan, an alternative contraction promoter, has the potential advantage of improving myocardial contractility without increasing the incidence of ischemic injury. Therefor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levocimendane relieves myocardial ischemic injury after resuscitation and showed improved results compared to dobutamine and placebo when administered after resuscitation from cardiac arrest.

동물 준비: 450 내지 550g의 수컷 스프라그 돌리 래트 15마리를 물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 밤새 금식시켰다. 이 동물에게 펜토바르비탈 45mg/kg을 복강내 주사하여 마취시켰다. 추가 복강내 용량 10mg/kg을 약 1시간 간격으로 투여하거나 마취 유지를 위해 필요할 때마다 투여했다. 심장 정지 유도전 30분 동안에는 마취제를 투여하지 않았다. Animal Preparation: Fifteen male Sprague Dawley rats weighing 450-550 g were fasted overnight except water was freely available. The animals were anesthetiz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45 mg / kg of pentobarbital. An additional intraperitoneal dose of 10 mg / kg was administered about every hour or as needed to maintain anesthesia. No anesthetic was administered for 30 minutes prior to induction of cardiac arrest.

기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팁이 145°각을 이룬 무딘 바늘이 장착된 14게이지 캐뉼라(Abbocath-T; Abbott Hospital Inc., North Chicago, IL)를 구강을 통해 삽관했다. 호기말 PCO2(PETCO2)는 적당한 분당 인공호흡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기관 캐뉼라와 인공호흡기 사이에 배치한 측류 적외선 CO2 분석기(모델 200; Intrumentation Laboratories, Lexington, MA)로 측정했다. 23게이지의 폴리에틸렌 카테터(PE50, Becton-Dickinson, Sparks, MD)는 좌심실압, dP/dt40 및 음성 dP/dtmax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술로 노출된 우측 목동맥에서부터 좌심실로 진행시켰다. 혈압은 고감도 압력 변환기(Model 42584-01; Abbott Critical Care System, North Chicago, IL)로 측정했다. 이 시스템의 최적 감쇠 진동수 반응은 22Hz에서 였다. 23게이지 폴리에틸렌 카테터(PE50)는 좌외목정맥을 통해, 상대정맥을 통해 우심실로 진행시켰다. 혈압 모니터링에 의해 유도되는 카테터는 우심방으로 서서히 빼냈다. 우심방압은 다른 고감도 압력 변환기(Abbott model 42584-01)를 사용하여 흉부중앙과 비교하여 측정했다. 이 카테터는 열 추적기의 주사 부위로도 사용했다. 4F 폴리에틸렌 카테터(모델 C-PMS-401J; Cook Critical Care, Bloomington, IN)는 우외목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진행시켰다. 그 다음, 이 카테터를 통해 공급하는 미리굽힌 유도 철사를 심장내막 전기도가 관찰될 때까지 카테터를 통해 우심실로 진행시켰다. 또 다른 23게이지 폴리에틸렌 카테터(PE50)는 좌대퇴 동맥을 통해 복부 대동맥으로 진행시켜 동일한 애보트 고감도 변환기로 대동맥 혈압을 측정하고 동맥 혈액 채취에도 이용했다. 길이 10cm, 직경 0.5mm의 열전대 마이크로프로브(9030-12-D-34; Columbus Instruments, Columbus, OH)는 우측 대퇴동맥으로 삽입하여 상행 대동맥으로 진행시켰다. 이 열전대는 혈액 온도 측정과 열희석 심박출량 측정에 이용했다. 또 다른 PE50 카테터는 좌대퇴정맥을 통해 하대정맥으로 진행시켜 정맥 혈액 채취와 수혈 혈액 투여에 이용했다. 또 다른 PE50 카테터는 약물 주입을 위해 우대퇴정맥으로 진행시켰다. EKG 유도 II를 계속 기록했다.The trachea was inserted through the oral cavity with a 14 gauge cannula (Abbocath-T; Abbott Hospital Inc., North Chicago, Ill.) Equipped with a blunt needle with a 145 ° angled tip as described above. End-tidal PCO 2 (P ET CO 2 ) was measured with a lateral infrared CO 2 analyzer (Model 200; Intrumentation Laboratories, Lexington, Mass.) Placed between the tracheal cannula and the ventilator to confirm proper minute ventilation. A 23-gauge polyethylene catheter (PE50, Becton-Dickinson, Sparks, MD) proceeded from the surgically exposed right carotid artery to the left ventricle to measure left ventricular pressure, dP / dt 40 and negative dP / dt max . Blood pressure was measured with a high sensitivity pressure transducer (Model 42584-01; Abbott Critical Care System, North Chicago, IL). The optimum damping frequency response of this system was at 22 Hz. A 23 gauge polyethylene catheter (PE50) was advanced to the right ventricle through the left lateral lateral vein and the relative vein. Catheter induced by blood pressure monitoring was slowly withdrawn to the right atrium. Right atrial pressure was measured by comparison with the central chest using another high-sensitivity pressure transducer (Abbott model 42584-01). This catheter was also used as the injection site for the heat tracer. A 4F polyethylene catheter (Model C-PMS-401J; Cook Critical Care, Bloomington, Ind.) Proceeded to the right atrium through the right lateral vein. The pre-bended induction wire fed through the catheter was then advanced through the catheter to the right ventricle until endocardial electrical conductivity was observed. Another 23-gauge polyethylene catheter (PE50) proceeded through the left femoral artery to the abdominal aorta, using the same Abbott High Sensitivity Transducer to measure aortic blood pressure and for arterial blood sampling. A thermocouple microprobe (9030-12-D-34; Columbus Instruments, Columbus, OH) 10 cm long and 0.5 mm in diameter was inserted into the right femoral artery and advanced to the ascending aorta. This thermocouple was used to measure blood temperature and thermal dilution cardiac output. Another PE50 catheter was passed through the left femoral vein to the inferior vena cava for use in venous blood collection and transfusion blood administration. Another PE50 catheter was advanced to the right femoral vein for drug injection. EKG Induction II continued to be recorded.

실험 절차: 총 15마리의 동물을 조사했다. 연구자들은 VF 유도 직전까지 시술에 대해 모르게 했고, 선임 연구자가 밀봉함을 열어 3 그룹 중 1 그룹에 지정했다: (1) 레보시멘단, (2) 도부타민 또는 (3) 식염수 위약. 이로써, 선택한 약물의 새로운 희석물을 준비할 시간을 주었다. VF는 60Hz 전류로 유도하고, 2.0mA에서부터 최대 5.0mA까지 점차 증가시켰다. 전류 흐름은 종래 개시된 바와 같이 자발적 제세동을 차단하기 위해 3분간 지속시켰다(Von Planta I, Weil M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rat. J Appl Physiol. 1988; 65(6): 2641-2647). 인공호흡은 VF 개시 후 중지했다. 전흉부 압박은 VF 미처리 8분 후 공기식 기계적 흉부 압박기로 개시하고 6분간 지속했다. 이러한 방법은 널리 사용되었고 문헌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Von Planta I(상기 문헌 참조) 및 Sun SJ, Weil MH, Tang W, et al. Combined effects of buffer and adrenergic agent on postresuscitation myocardial function. J Pharm Exp ther. 1999; 291: 773-777). 전흉부 압박 개시와 함께 동물을 기계적 인공호흡시켰다. 1회 호흡량은 FiO2 1.0에서 6.5ml/100g 동물 체중, 빈도 100min-1로 설정했다. 전흉부 압박은 200min-1의 비율로 유지시키고, 동일한 압박-이완 기간으로 압박/인공호흡 비가 2:1이 되게 했다. 압박 깊이는 초기에는 심장 관류압(CPP)이 24mmHg가 되도록 조정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PETCO2가 14mmHg가 되었다(Von Planta I, 상기 문헌 참조). 전흉부 압박 6분 후, 제세동은 최고 3회, 2주울의 DC 전기 충격으로 시도했다. 동물이 소생하지 않으면, 전흉부 압박을 30초마다 재개하고, 다음 다른 연속의 전기적 충격을 가했다. 자발적 혈행 복원(ROSC)은 평균 대동맥압 60mmHg가 최소 5분간 지속되는 심실위 리듬의 회복으로 정의했다. ROSC 후 10분째, 3가지 시술 하나를 시작했다. 종래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급성 대상부전형 심부전 상황에서) 동시에 동맥 혈압은 변경시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레보시멘단 및 도부타민의 용량을 선택했다. 레보시멘단은 10분 동안 주입된 부하 용량이 12㎍/kg이 되게 투여한 다음, 0.3㎍/kg/분을 230분 동안 주입했다. 도부타민은 240분 동안에 걸쳐 3㎍/kg/분의 함량으로 우심방으로 주입했다. 식염수 위약은 240분 동안 도부타민 및 레보시멘단의 용량과 동일한 함량으로 총 5ml의 용량으로 주입했다. 주사기 펌프(Model 940, Harvard Apparatus, Southnatick. MA)를 사용했다. 기계식 산소 인공호흡과 혈류역학적 측정은 소생 성공 후 총 4시간 동안 지속했다. 4시간 후 동물이 마취에서 회복되면 기관내 관과 함께 모든 카테터를 제거하고, 동물이 실내 공기를 호흡할 수 있게 했다. 생존율은 이후 72시간 동안 관찰했다. 72시간 후, 동물을 안락사시키고 부검을 통상적 방식으로 수행했다. 기관을 삽관술, 기도 관리 또는 전흉부 압박으로 인한 외상적 손상의 증거를 비롯한 육안적 이상을 검사했다. Experimental Procedures: A total of 15 animals were examined. The researchers did not know about the procedure until just before VF induction, and the senior investigator opened the seal and assigned it to one of three groups: (1) levocymendan, (2) dobutamine or (3) saline placebo. This gave time to prepare new dilutions of the drug of choice. VF was induced at 60Hz current and gradually increased from 2.0mA up to 5.0mA. Current flow was continued for 3 minutes to block spontaneous defibrillation as previously disclosed (Von Planta I, Weil MH.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the rat. J Appl Physiol. 1988; 65 (6): 2641-2647). Ventilation was stopped after the onset of VF. Anterior chest compressions began with pneumatic mechanical chest compressions 8 minutes after VF untreated and lasted 6 minutes. This method has been widely us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literature (Von Planta I (see above)) and Sun SJ, Weil MH, Tang W, et al. Combined effects of buffer and adrenergic agent on postresuscitation myocardial function.J Pharm Exp ther 1999; 291: 773-777. Animals were mechanically ventilated with prethoracic compression initiation. The tidal volume was set at 6.5 ml / 100 g animal body weight, frequency 100 min −1 at FiO 2 1.0. Prothoracic compression was maintained at a rate of 200 min −1 and the compression / ventilation ratio was 2: 1 with the same compression-relaxation period. Compression depth was initially adjusted to achieve cardiac perfusion pressure (CPP) of 24 mm Hg. Accordingly generally was a P ET CO 2 14mmHg (supra Von Planta I,). After 6 minutes of prethoracic compression, defibrillation was attempted up to three times with a DC electric shock of two joules. If the animal did not resuscitate, the prethoracic compression was resumed every 30 seconds, followed by another subsequent electrical shock. Spontaneous hematogenous reconstruction (ROSC) was defined as the recovery of ventricular rhythms with an average aortic pressure of 60 mmHg lasting at least 5 minutes. Ten minutes after ROSC, one of three procedures was started. The doses of levocimendan and dobutamine that have been shown to have a therapeutic effect in the past (in acute target heart failure situations) and have been found not to alter arterial blood pressure have been selected. Lebocymendan was administered at a loading dose of 12 μg / kg for 10 minutes, followed by 230 μg of 0.3 μg / kg / min. Dobutamine was injected into the right atrium at a content of 3 μg / kg / min over 240 minutes. The saline placebo was injected for a total of 5 ml at a dose equal to the doses of dobutamine and lebocymendan for 240 minutes. A syringe pump (Model 940, Harvard Apparatus, Southnatick. MA) was used. Mechanical oxygen ventilation and hemodynamic measurements continued for a total of 4 hours after successful resuscitation. After 4 hours, when the animal recovered from anesthesia, all catheters were removed with the endotracheal tube, allowing the animal to breathe indoor air. Survival was then observed for 72 hours. After 72 hours, the animals were euthanized and necropsy was performed in the usual manner. The trachea was examined for gross abnormalities, including evidence of traumatic injury due to intubation, airway management, or anterior chest compressions.

측정: PO2, PCO2, pH, SO2 및 락테이트, 칼슘 및 혈액 글루코스는 종래 개시된 기술4,21에 따라 0.5ml 동맥 및 정맥 혈액 시료를 가지고 측정했다. 동일 집단의 마취된 제공자 래트의 동맥 혈액 1.0ml 볼러스를, 실험 측정을 위해 대동맥 및 대퇴 정맥에서 채취한 0.5ml 분취량과 동일한 함량으로 하대정맥으로 수혈했다. 소생 성공 후 기준선, 30분, 120분 및 240분에서 측정값을 수득했다. 대동맥, 좌심실, 우심방압, EKG 및 PETCO2는 CODAS 소프트웨어(DATAQ Inc., Akron, OH)에 의해 지원되는 PC 기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기록했다. CPP는 전흉부 압박 매분 말기에 측정한 압박 이완기 대동맥 혈압과 동시적인 우심방압 간의 차이로서 계산했다. Measurements: PO 2 , PCO 2 , pH, SO 2 and lactate, calcium and blood glucose were measured with 0.5 ml arterial and venous blood sampl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isclosed 4,21 . 1.0 ml bolus of arterial blood from the same group of anesthetized donor rats was transfused into the inferior vena cava in an amount equal to 0.5 ml aliquots taken from the aorta and femoral veins for experimental measurements. Measurements were obtained at baseline, 30 minutes, 120 minutes and 240 minutes after successful resuscitation. Aorta, left ventricle, right atrial pressure, EKG and P ET CO 2 was recorded continuously with a PC-based data acquisition system, supported by the CODAS software (DATAQ Inc., Akron, OH). CPP was calculat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ompression diastolic aortic blood pressure and simultaneous right atrial pressure measured at the end of every chest compression.

좌심실압 증가의 속도(dP/dt40)는 40mmHg에서 좌심실압의 차이로 측정했고, 등용적성 수축력의 정량적 추정값으로 사용했다. 최대 좌심실압 감소 속도, -dP/dt도 역시 심근 이완가속의 추정값으로서 좌심실 이완기 혈압과 함께 측정했다20,21. 심박출량은 소생 성공 후 기준선 및 30분, 60분, 180분 및 240분에서 심박출량 컴퓨터(CO-100; Institute of Critical Care Medicine, Palm Springs, CA)를 보조로 사용하여 열희석법으로 측정했다. 각 경우마다 반복 측정값의 차이는 5% 이하였다.The rate of left ventricular pressure increase (dP / dt 40 ) was measured as the difference in left ventricular pressure at 40 mmHg and used as a quantitative estimate of isostatic contractile force. The maximum left ventricular pressure reduction rate, -dP / dt, was also measured with left ventricular diastolic blood pressure as an estimate of myocardial relaxation acceleration 20,21. Cardiac output was measured by thermal dilution using a cardiac output computer (CO-100; Institute of Critical Care Medicine, Palm Springs, CA) at baseline and at 30, 60, 180 and 240 minutes after successful resuscitation. In each case, the difference in repeat measurements was less than 5%.

통계 분석: 그룹 간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ANOVA 및 쉐페 다중비교 기술을 이용했다. 결과 차이는 피셔의 정확 검정으로 분석했다. 측정값은 평균±SD로 기록했다. P<0.05 값은 유의적인 값으로 간주했다. Statistical analysis: ANOVA and Chepe multiple comparison techniques were used to measu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ing differences were analyzed by Fisher's exact test. The measured value was recorded as mean ± SD. P <0.05 values were considered significant.

결과: 심박수, 동맥 혈압, 좌심실 이완기 혈압, dP/dt40, 음성 dP/dt, 심장박출계수 및 ETCO2의 기준선에서의 각 값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표 3). 또한, 동맥 및 정맥 혈액 가스, 락테이트, 칼슘 또는 혈액 글루코스에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각 동물은 VF 미처리 8분을 비롯한 심장 정지 14분 후, 그 다음 전흉부 압박과 기계적 인공호흡 6분 후 성공적으로 소생했다.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heart rate, arterial blood pressure, left ventricular diastolic blood pressure, dP / dt 40 , negative dP / dt, cardiac output coefficient, and baseline values of ETCO 2 (Table 3).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rterial and venous blood gas, lactate, calcium or blood glucose. Each animal revived successfully after 14 minutes of cardiac arrest, including 8 minutes of untreated VF, and then 6 minutes after prethoracic compress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심박수는 투여된 용량의 예상 반응에 따라 도부타민 투여 후 중간 정도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평균 동맥 혈압(MAP)은 3 그룹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예상한 바와 같이, 위약을 제외한 도부타민과 레보시멘단은 심장박출계수의 유의적인 증가를 산출했다(도 13).A moderate increase in heart rate was observed following dobutamine administration, depending on the expected response of the dose administered. However,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MA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As expected, dobutamine and levocimendane, except for placebo, produ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ardiac output coefficient (FIG. 13).

도부타민과 레보시멘단은 모두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 및 이완가속 기능을 개선시켰다. 식염수 위약과 비교했을 때 dP/dt40 및 -dP/dt가 유의적으로 증가된 것으로 증명되었다. 레보시멘단은 좌심실 이완기(충만) 압력의 유의적으로 더 적은 증가를 초래했다. ROSC 후 제2 시간과 제4 시간 사이에 도부타민 처리된 동물에서는 동맥 PCO2 및 ETCO2가 유의적으로 증가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도부타민 처리 후 동맥 산소 포화도가 지속적으로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것은 아니었다(표 4). 그러나, 동맥 및 혼합 정맥의 pH, PO2, 락테이트, 글루코스 또는 칼슘에는 어떠한 일정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Dobutamine and lebocymendan both improved contraction and relaxation acceleration functions as shown in FIG. 14. DP / dt 40 and -dP / dt were demonstrate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to saline placebo. Lebocymendan resulted in a significantly less increase in left ventricular diastolic (fullness) pressure. Significant increases in arterial PCO 2 and ETCO 2 were observed in dobutamine treated animals between the second and fourth hours after ROSC. In addition, arterial oxygen saturation was observed to be consistently low after dobutamine treatment,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able 4). However, no const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H, PO 2 , lactate, glucose or calcium in arteries and mixed veins.

가장 중요한 발견은 레보시멘단에 의해 최대이고, 도부타민에 의해 중간이며, 식염수 위약에 의해 최소인 생존 기간의 증가였다. 레보시멘단과 도부타민 및 식염수 위약 간의 차이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의적인 것이었다. 부검 결과, 흉부 또는 복부 내장에 대한 육안 관찰되는 손상은 없었다.The most significant finding was an increase in survival, which was maximum by lebocymendan, intermediate by dobutamine, and minimal by saline placebo. Differences between lebocymendan and dobutamine and saline placebo were significant as shown in FIG. 15. The autopsy revealed no visible damage to the thoracic or abdominal viscera.

이러한 실험 비교를 통해, 심장 정지로부터 소생 후 레보시멘단을 투여하는 것이 도부타민에 의한 것과 비슷한 소생후 심근 기능의 개선을 초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레보시멘단은 심박수 증가가 더 적고 좌심실 충만 혈압이 더 적합하다는 점과 관련하여 생존률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These experimental comparisons showed that administration of levocymendan after resuscitation from cardiac arrest resulted in an improvement in post-retinal myocardial function similar to that caused by dobutamine. However, levocymendan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survival in terms of lower heart rate and better fit of left ventricular full blood pressure.

실시예 3: 돼지의 소생후 심근 부전의 치료에 사용되는 도부타민과 레보시멘단 간의 비교Example 3: Comparison between Dobutamine and Levocimendane Used to Treat Myocardial Dysfunction in Pigs after Resuscitation

실험 준비: 본 실험은 심장 정지되고 심장 소생술이 충분히 실시된 돼지 모델을 가지고 실시했다(21,22). 간략히 설명하면, 35 내지 40kg 사이의 수컷 집돼지 15마리를 물을 제외하고는 하룻밤 동안 금식시켰다. 케타민(20mg/kg)을 근육내 주사하여 마취를 시작하고 소듐 펜토바르비탈(30mg/kg)의 귀정맥 주사로 마무리했다. 추가 8mg/kg 용량의 소듐 펜토바르비탈을 1시간 간격으로 주사하여 마취를 유지시켰다. 커프(cuff)를 가진 기관내 관을 기관 중으로 진행시켰다. 용적 조절식 인공호흡기(Model MA-1, Puritan-Bennett, Carlsbad, CA)를 사용하여 용적 15ml kg-1, 피크 기도 흐름 40L min-1 및 FiO2 0.2로 동물에게 기계적 인공호흡을 실시했다. 호기말 PCO2(PETCO2)는 적외선 분석기(Model 01R-7101A, Nihon Kohden Corp., Tokyo, Japan)로 모니터했다. 호흡 빈도는 PETCO2가 35 내지 40mmHg 사이를 유지하도록 조정했다. 혈액 온도는 필요한 경우 적외선 가열 램프를 사용하여 37±0.5℃로 유지시켰다. Experimental preparation: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a pig model with cardiac arrest and cardiac resuscitation (21,22). Briefly, 15 male pigs between 35 and 40 kg were fasted overnight except water. Anesthesia was initiated by intramuscular injection of ketamine (20 mg / kg) and finished with an intravenous injection of sodium pentobarbital (30 mg / kg). Anesthesia was maintained by injection of an additional 8 mg / kg dose of sodium pentobarbital at 1 hour intervals. An endotracheal tube with a cuff was advanced into the trachea. Animals were mechanically ventilated using a volume-controlled ventilator (Model MA-1, Puritan-Bennett, Carlsbad, Calif.) With a volume of 15 ml kg −1 , peak airway flow 40 L min −1 and FiO 2 0.2. End-tidal PCO 2 (P ET CO 2 ) was monitored by an infrared analyzer (Model 01R-7101A, Nihon Kohden Corp., Tokyo, Japan). Respiratory frequency was adjusted to maintain a P ET CO 2 between 35 to 40mmHg. Blood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37 ± 0.5 ° C. using an infrared heating lamp if necessary.

좌심실 기능의 측정을 위하여, 4방향 플렉셔(flexure)를 구비한 5.5/7.5MHz 바이플레인 맥동파 도플러 경식도 심장초음파 탐촉자(Model 21363A, Hewlett-Packard Co. Medical Products Group, Andover, MA)를 앞니에서부터 식도로 약 40cm의 거리만큼 진행시켰다. 대동맥압의 측정을 위해서는 유체 충진된 카테터를 수술로 노출된 좌대퇴동맥에서부터 흉부 대동맥으로 진행시켰다. 우심방 및 폐동맥압, 혈액 온도 및 심박출량의 측정을 위해서는 7-프렌치 펜타루멘 열희석 팁이 있는 카테터를 수술로 노출된 좌대퇴 정맥에서부터 폐동맥으로 진행시켜 흐름을 유도했다. VF를 유도하기 위하여 5-프렌치 조율 카테터(EP Technologies, Inc., Mountain View, CA)를 수술로 노출된 우두부 정맥에서부터 우심실로 진행시켰다. 수술로 노출된 좌두부 정맥을 통해 7-프렌치 혈관조영 카테터(5470, USCI C.R. Bard, Murray Hill, NJ)를 투시검사의 도움을 받아서 상대정맥을 통해 우심방과 심장정맥굴로 삽관했다. 그 다음, 이 카테터를 측면으로 루프화하고 심장정맥의 혈액을 채취하기 위하여 좌심장 정맥으로 5cm 거리만큼 아래로 진행시켰다. 심전도(EKG) 유도 II를 계속 기록했다.For measurement of left ventricular function, we insist on a 5.5 / 7.5 MHz biplane pulsating Doppler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m (Model 21363A, Hewlett-Packard Co. Medical Products Group, Andover, MA) with a four-way flexure. From the esophagus from about 40 cm. For measurement of aortic pressure, fluid-filled catheters were advanced from the surgically exposed left femoral artery to the thoracic aorta. For measurement of right atrium and pulmonary artery pressure, blood temperature and cardiac output, a catheter with a 7-French pentalumen thermal dilution tip was advanced from the left exposed femoral vein into the pulmonary artery to induce flow. To induce VF, a 5-french tuning catheter (EP Technologies, Inc., Mountain View, Calif.) Was advanced from the surgically exposed right head vein to the right ventricle. A 7-French angiography catheter (5470, USCI C.R. Bard, Murray Hill, NJ) was surgically exposed to the right atrium and cardiac vein through a surgically exposed left head vein. The catheter was then looped laterally and advanced down a 5 cm distance into the left heart vein to collect blood from the heart vein. Electrocardiogram (EKG) induction II was recorded continuously.

실험 절차: 총 15마리의 동물을 조사했다. VF를 유도하기 15분 전에, 밀봉함법(sealed envelope method)으로 동물을 무작위로 선택했다. 심장 정지는 우심실의 심장내막으로 1 내지 2mA AC를 전달하여 유도했다. 기계적 인공호흡은 VF 개시 후 중단했다. VF 미처리 7분 간격 마지막에, 전흉부 압박(PC)을 공기 피스톤 구동식 흉부 압박기(Thumper, Model 1000, Michigan Instruments, Grand Rapids, MI)로 개시했다. PC 개시와 함께 1회 호흡량 15mg kg-1 및 FiO2 1.0으로 기계적 인공호흡을 동물에게 실시했다. PC는 1분당 100회의 압박을 가하도록 프로그램화하고 압박-이완 간격이 동일하게, 즉 50% 동작비율을 제공하도록 동조화시켰다. 압박력은 흉부의 전후 직경이 25% 정도 감소하도록 조정했다. PC 5분 후, 우측 빗장아래 부위와 심장 끝 사이에 150J 이상성 파형 충격을 가하여 제세동을 시도했다. 평균 대동맥압이 60mmHg보다 큰 조직적인 심장 리듬이 5분 이상 동안 지속되면, 그 동물은 성공적으로 소생된 것으로 간주했다. 자발적 혈행 복원(ROSC) 10분 후 3가지 시술 중 하나를 개시했다. 레보시멘단과 도부타민은 이전 실험(23-25)에 따라 투여하고, 그 후 이 용량들이 생리적 조건하에서 마취된 정상 돼지의 평균 동맥압을 변경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했다. 생리식염수에 희석한 레보시멘단을 20㎍ kg-1의 부하 용량으로 10분 동안에 걸쳐 주입하고, 그 다음 역시 생리식염수 중의 0.4㎍ kg-1 min-1의 주입액을 총 230분 동안 투여했다. 생리식염수에 희석한 도부타민은 5㎍ kg-1 min-1의 함량으로 우심방으로 총 240분 동안에 걸쳐 주입했다. 약물을 첨가하지 않은 동량의 생리식염수는 ROSC 후 10분 동안에 걸쳐 주입한 다음 레보시멘단 및 도부타민과 동일한 용적의 주입물로 230분간 연속 투여했다. 100% 산소를 이용한 기계식 인공호흡과 함께 혈류역학적 측정을 소생 후 총 4시간 동안 계속했다. 그 다음, 동물을 마취에서 회복되게 하고, 기관내 관을 비롯한 모든 카테터를 4시간 후 제거했다. 72시간 동안 관찰한 후, 동물을 안락사시키고 부검을 통상적으로 실시했다. 부검 시, 삽관술, 기도 관리 또는 전흉부 압박에 따른 외상 손상의 증거를 비롯한 기관의 비정상을 육안으로 조사했다. Experimental Procedures: A total of 15 animals were examined. Fifteen minutes before inducing VF, animals were randomly selected by the sealed envelope method. Cardiac arrest was induced by delivering 1-2 mA AC to the endocardium of the right ventricle. Mechanical ventilation was stopped after the onset of VF. At the end of the VF untreated 7 minute intervals, anterior chest compression (PC) was initiated with an air piston driven chest compression machine (Thumper, Model 1000, Michigan Instruments, Grand Rapids, MI). Animal ventilation was performed on animals with a single dose of 15 mg kg −1 and FiO 2 1.0 with PC initiation. The PC was programmed to apply 100 compressions per minute and synchronized so that the compression-relaxation intervals were equal, ie providing a 50% operating rate. The compression force was adjusted to reduce the anterior and posterior diameter of the chest by about 25%. Five minutes after the PC, defibrillation was attempted with a 150 J biphasic wave impact between the area under the right clad and the tip of the heart. If a systemic heart rhythm with an average aortic pressure greater than 60 mm Hg lasted for more than 5 minutes, the animal was considered to have revived successfully. After 10 minutes of spontaneous hemostasis (ROSC), one of three procedures was initiated. Lebocymendan and dobutamine were administered according to previous experiments (23-25) and then confirmed that these doses did not alter the average arterial pressure of normal pigs anesthetized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Levocymendan diluted in physiological saline was injected over a 10 minute period at a loading dose of 20 μg kg −1 , followed by a total of 230 μg of 0.4 μg kg −1 min −1 in physiological saline. Dobutamine diluted in physiological saline was injected into the right atrium for a total of 240 minutes at a content of 5 μg kg −1 min −1 . The same amount of physiological saline without the addition of the drug was infused over 10 minutes after ROSC, followed by continuous administration for 230 minutes in the same volume of infusion with levocimendane and dobutamine. Hemodynamic measurements were continued for a total of 4 hours after resuscitation with mechanical ventilation using 100% oxygen. The animals were then allowed to recover from anesthesia and all catheters, including the endotracheal tube, were removed after 4 hours. After 72 hours of observation, animals were euthanized and autopsies were routinely performed. At necropsy, abnormalities in the organs were examined visually, including evidence of traumatic injury from intubation, airway management, or anterior chest compressions.

측정: 대동맥, 우심방 및 평균 폐동맥압, 심장관류압, 호기말 PCO2 및 EKG의 유도 2를 비롯한 혈류역학적 데이터를 이전에 기술된 바(21, 22)와 같이 CODAS 소프트웨어(DATAQ Inc., Akron, OH)에 의해 지원되는 PC 기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실시간으로 모니터하고, 기록했다. Measurements: Hemodynamic data, including aortic, right atrium and mean pulmonary arterial pressure, cardiac perfusion pressure, end-tidal PCO 2 and induction 2 of EKG, were described in the CODAS software (DATAQ Inc., Akron, OH) as previously described (21, 22). Monitored and recorded in real time continuously with a PC-based data acquisition system supported by.

심장초음파 측정은 4방향 플렉셔를 구비한 경식도 심장초음파 탐촉자를 사용하여 수득했다. 좌심실 수축기말 용적 및 이완기말 용적은 장축단면도로부터 원반법(Acoustic Quantification Technology, Hewlett-Packard, Andover, MA)으로 계산했다. 이로부터 박출율 및 면적변화율을 계산했다. 이러한 측정값을 심근 수축 기능의 정량인자로서 사용했다.Echocardiography was obtained using a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m with four-way flexure. Left ventricular systolic volume and diastolic volume were calculated by the disk method (Acoustic Quantification Technology, Hewlett-Packard, Andover, Mass.) From the longitudinal section. From this, the ejection fraction and area change rate were calculated. These measurements were used as quantifiers of myocardial contractile function.

동맥 혈액 가스는 돼지 혈액에 대해 조정된 정지 프로필(stat profile) 분석기(ULTRA C, Nova Biomedical Corporation, Waltham, MA)로 200㎕ 분량의 혈액에 대하여 측정했다. 신경계 각성도는 종래 개시된 바와 같이(22) 100(완전 각성 및 활성)에서 0(무호흡으로 무반응)의 척도로 기록했다. 각성도 및 활성 외에도, 점수는 심장 정지로부터 소생 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째 측정된 태도, 물 및 음식 섭취 및 자기관리의 객관적인 징후들을 포함한다. Arterial blood gas was measured on 200 μl portions of blood with a stat profile analyzer (ULTRA C, Nova Biomedical Corporation, Waltham, Mass.) Adjusted for pig blood. The nervous system arousal was recorded on a scale from 100 (complete awakening and activity) to 0 (no response to apnea) as previously disclosed (22). In addition to arousal and activity, scores include objective signs of attitude, water and food intake, and self-management measured 24 hours, 48 hours, and 72 hours after resuscitation from cardiac arrest.

통계 분석: 그룹 간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ANOVA 및 쉐페 다중비교 기술을 이용했다. 결과 차이는 피셔의 정확 검정으로 분석했다. 측정값은 평균±SD로 기록했다. P<0.05 값은 유의적인 값으로 간주했다. Statistical analysis: ANOVA and Chepe multiple comparison techniques were used to measu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ing differences were analyzed by Fisher's exact test. The measured value was recorded as mean ± SD. P <0.05 values were considered significant.

결과: 심박수(HR), 평균 동맥 혈압(MAP), 우심방압(RAP), 평균폐동맥압 박출량(MPAP), 박출율(EF), 면적변화율(FAC), 심박출량(CO) 및 호기말 PCO2(PETCO2)를 관찰했다. 또한, 기준선에서의 혈액 가스 측정값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각 동물은 VF 미처리 7분 후, 전흉부 압박과 기계적 인공호흡 5분, 즉 심장 정지 총 12분 후 성공적으로 소생했다. Results: HR,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MAP), right atrium pressure (RAP), mean pulmonary artery pressure ejection (MPAP), ejection fraction (EF), area change rate (FAC), cardiac output (CO), and end-tidal PCO 2 ( PET CO 2 ) was observed.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gas measurements at baseline. Each animal revived successfully after 7 minutes of untreated VF, 5 minutes of prethoracic compression and mechanical ventilation, 12 minutes after cardiac arrest.

심박수도 3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다. 예상한 바와 같이 레보시멘단과 도부타민 간에 동맥압의 차이는 없었지만, 소생 후 60분째 식염수 위약에 의한 동맥압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레보시멘단 처리 후 4시간 동안에는 평균 폐동맥 및 우심방(충만)압이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표 5).Heart rate also did not differ between the three groups. As expecte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rterial pressure between levocimendane and dobutamine, but the arterial pressure caused by saline placebo was significantly lower at 60 minutes after resuscitation. The mean pulmonary artery and right atrium (fullness) pressure was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lower for 4 hours after levocimendane treatment (Table 5).

레보시멘단과 도부타민은 둘 다 투여된 용량에서 수축 기능을 개선시켰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염수 위약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심박출량은 모두 수축촉진제임을 증명했다. 그러나, 레보시멘단은 도부타민에 비해 수치적으로 적은 심장동맥-정맥 산소 차이(도 19)와 함께 72시간 동안 지속되는 유의적으로 높은 EF 및 FAC(도 17 및 도 18)를 초래했다. 따라서, 박출율에 의한 수축력의 증가는 산소 추출의 증가 없이 관찰되었다(도 20). 심장 정맥 락테이트에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도 21). Lebocymendan and dobutamine both improved contractile function at the doses administered. As shown in FIG. 16, all of the significantly higher cardiac output compared to the saline placebo were proved to be contraction accelerators. However, lebocymendan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EF and FAC (FIGS. 17 and 18) lasting 72 hours with numerically less coronary-vein oxygen differences (FIG. 19) compared to dobutamine. Thus, an increase in contractile force by ejection fraction was observed without an increase in oxygen extraction (FIG. 20).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cardiac venous lactate (FIG. 21).

신경계 각성도는 24시간째 레보시멘단의 경우 유의적으로 양호했다(표 6).Nervous system arousal was significantly better for levosimendan at 24 hours (Table 6).

실시예 4: 심폐 소생 중에 레보시멘단 투여 효과Example 4 Effect of Levocimendan Administration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동물 준비: 450 내지 580g의 수컷 스프라그 돌리 래트 10마리를 물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 하룻밤 동안 금식시켰다. 이 동물에게 펜토바르비탈 45mg/kg을 복강내 주사하여 마취시켰다. 추가 용량 10mg/kg을 약 1시간 간격으로 투여하거나 마취 유지를 위해 필요할 때마다 투여했다. 심장 정지 유도전 30분 동안에는 마취제를 투여하지 않았다. 기관에는 스타크(Stark RA, Nahrwold ML, Cohen PJ. Blind oral tracheal intubation of rats. J.Appl.Physiol: Resp.Environ.Exercise Physiol., 1981; 51(5): 1355-1356)의 방법에 따라 팁이 145°각을 이룬 무딘 바늘이 장착된 14게이지 캐뉼라를 구강을 통해 삽관했다. 폴리에틸렌 카테터(PE50, Becton-Dickinson)는 좌심실압, dP/dt40 및 음성 dP/dtmax를 측정하기 위하여 수술로 노출된 우측 목동맥에서부터 좌심실로 진행시켰다. 폴리에틸렌 카테터(PE50, Becton-Dickinson)는 좌외목정맥을 통해, 상대정맥을 통해 우심실로 진행시켰다. 우심방압은 고감도 압력 변환기(모델 42584-01; Abbott Critical Care System, North Chicago, IL)를 사용하여 측정했다. 길이 10cm, 직경 0.5mm의 열전대 마이크로프로브(9030-12-D-34; Columbus Instruments, Columbus, OH)는 우측 대퇴동맥으로 삽입하여 하행 흉부 대동맥으로 진행시켰다. 혈액 온도는 이 센서로 측정했다. 심박출량 측정을 위해, 온도가 8 내지 12℃ 범위인 등장 식염수 0.2ml를, 좌목정맥에서부터 진행된 카테터를 통해 우심방으로 주입했다. 열희석 곡선을 반복하여 수득하고 심박출량 컴퓨터(CO-100; Institute of Critical Care Medicine, Palm Springs, CA)를 사용하여 기록했다. 고감도 압력 변환기(모델 42584-01; Abbott Critical Care System)를 이용한 대동맥압 측정과 혈액 가스 분석용 동맥혈액 채취를 위하여 PE50 카테터를 좌대퇴동맥에서부터 흉부 대동맥으로 진행시켰다. 수축기, 이완기 및 해석된 평균 동맥압을 연속 기록했다. 또 다른 PE50 카테터는 정맥혈액 가스의 분석을 위한 혈액 채취를 위해 좌대퇴 정맥에서부터 하대정맥으로 진행시켰다. 이러한 대동맥 및 하대정맥으로부터 각각 총 0.6ml 분량의 혈액을 채취한 직후, 동일한 집단의 제공자 래트 유래의 동맥 혈액 1.2ml 볼러스를 하대정맥으로 수혈했다. 4F 폴리에틸렌 카테터(모델 C-PMS-401J; Cook Critical Care, Bloomington, IN)는 VF 유도를 위해 우외목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진행시켰다. 그 다음, 이 카테터를 통해 공급하는 미리굽힌 유도 철사를 심장내막 전기도가 관찰될 때까지 카테터를 통해 우심실로 진행시켰다. VF가 유도될 때까지 60Hz AC, 최대 3.5mA를 우심실 심장내막으로 전달했다. 그 다음, 전류 흐름을 1/2로 저하시키고, 자발적 제세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3분간 유지시켰다. VF를 6분간 처리하지 않았다. VF 개시 후에는 기계적 인공호흡을 정지했다. 전흉부 압박은 공기 구동식 기계적 흉부 압박기로 실시했다. 이러한 절차는 종래 문헌(Von Planta I, 상기 문헌 참조)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고,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Tang W, Weil MH, Sun S, Noc M, Yang L, Gazmuri R. Epinephrine increases the severity of postresuscitation myocaridal dysfunction. Circulation 1995; 92: 3089-3093 and Sun S, Weil MH, Tang W, Povoas H, Mason E. Combined effect of buffer and adrenergic agent on postresuscitation myocardial function. Pharmacology 1999; 291(2); 773-777). Animal Preparation: 10 male Sprague Dawley rats weighing 450-580 g were fasted overnight except water was freely available. The animals were anesthetiz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45 mg / kg of pentobarbital. An additional dose of 10 mg / kg was administered about every hour or as needed to maintain anesthesia. Anesthesia was not administered for 30 minutes prior to induction of cardiac arrest. The trachea includes tips according to the methods of Stark RA, Nahrwold ML, Cohen PJ. Blind oral tracheal intubation of rats. J. Appl. Physiol: Resp. Environ. Exercise Physiol., 1981; 51 (5): 1355-1356. A 14-gauge cannula equipped with this 145 ° angled blunt needle was inserted through the oral cavity. A polyethylene catheter (PE50, Becton-Dickinson) advanced from the surgically exposed right carotid artery to the left ventricle to measure left ventricular pressure, dP / dt 40 and negative dP / dt max . Polyethylene catheter (PE50, Becton-Dickinson) proceeded to the right ventricle through the left ulnar vein and the relative vein. Right atrial pressure was measured using a high sensitivity pressure transducer (model 42584-01; Abbott Critical Care System, North Chicago, IL). A thermocouple microprobe (9030-12-D-34; Columbus Instruments, Columbus, OH) 10 cm long and 0.5 mm in diameter was inserted into the right femoral artery and advanced to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Blood temperature was measured with this sensor. For cardiac output measurements, 0.2 ml of isotonic saline, with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8-12 ° C., was injected into the right atrium through a catheter running from the left neck vein. Thermal dilution curves were obtained repeatedly and recorded using a cardiac output computer (CO-100; Institute of Critical Care Medicine, Palm Springs, CA). A PE50 catheter was advanced from the left femoral artery to the thoracic aorta for the measurement of aortic pressure using a highly sensitive pressure transducer (model 42584-01; Abbott Critical Care System) and arterial blood collection for blood gas analysis. Systolic, diastolic and interpreted mean arterial pressure were recorded continuously. Another PE50 catheter proceeded from the left femoral vein to the inferior vena cava for blood collection for analysis of venous blood gas. Immediately after taking a total of 0.6 ml of blood from each of these aorta and inferior vena cava, 1.2 ml bolus of arterial blood from the donor rat of the same group was transfused into the inferior vena cava. A 4F polyethylene catheter (Model C-PMS-401J; Cook Critical Care, Bloomington, Ind.) Proceeded to the right atrium through the right lateral vein for VF induction. The pre-bended induction wire fed through the catheter was then advanced through the catheter to the right ventricle until endocardial electrical conductivity was observed. 60 Hz AC, up to 3.5 mA, was delivered to the right ventricular endocardium until VF was induced. The current flow was then reduced to one half and held for three minutes to prevent spontaneous defibrillation. VF was not treated for 6 minutes. Mechanical ventilation was stopped after the onset of VF. Anterior chest compressions were performed with an air driven mechanical chest compressions. Such procedures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prior art (Von Planta I, supra) and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e.g. Tang W, Weil MH, Sun S, Noc M, Yang L, Gazmuri R. Epinephrine increases the severity of postresuscitation myocaridal dysfunction.Circulation 1995; 92: 3089-3093 and Sun S, Weil MH, Tang W, Povoas H, Mason E. Combined effect of buffer and adrenergic agent on postresuscitation myocardial function.Pharmaceology 1999; 291 (2); 773-777).

전흉부 압박을 개시하면서 기계적 인공호흡도 같이 동물에게 실시했다. 1회 호흡량은 FiO2 1.0과 0.65ml/100g 동물 체중, 빈도 100min-1로 설정했다. 전흉부 압박은 200min-1의 비율로 유지시키고, 동일한 압박-이완 기간으로 압박/인공호흡 비가 2:1이 되게 일치시켰다. 압박 깊이는 초기에는 심장 관류압(CPP)이 23±1mmHg가 되도록 조정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호기말 PCO2가 14±3mmHg가 되었다(Von Planta I, 상기 문헌 참조). 소생은 최고 3회의 2주울의 이상성 충격으로 시도했다. 자발적 혈행 복원(ROSC)은 평균 대동맥압 60mmHg가 최소 5분간 지속되는 심실위 리듬의 회복으로 정의했다. 2.5mg/ml 희석율의 레보시멘단(Orion Corp., Espoo, Finland 제공)을 20㎍/kg의 볼러스 용량으로 VF 미처리 2분 후 우심방으로 주사했다. 산소를 이용한 기계적 인공호흡은 소생 후 4시간 동안 계속했다. 그 다음, 동물을 마취에서 회복시키고 기관내 관을 비롯한 모든 카테터를 제거했다. 심전도(EKG) 유도 II는 계속 기록했다. 동물을 우리로 돌려보낸 후, 동물의 소생후 활동 상태를 총 48시간 동안 4시간 간격으로 기록했다. 동물을 펜토바르비탈(150mg/kg)의 복강내 주사로 안락사시키고, 부검을 통상적으로 실시하여 CPR 시술 중의 뼈 흉부 및 흉부 내장과 복부 내장의 손상 여부를 관찰했다.Mechanical ventilation was also performed on the animals, starting with prethoracic compression. Respiratory volume was set to FiO 2 1.0 and 0.65 ml / 100 g animal body weight, frequency 100 min −1 . Prothoracic compression was maintained at a rate of 200 min −1 , and the compression / ventilation ratio was matched to 2: 1 with the same compression-relaxation period. Compression depth was initially adjusted to achieve cardiac perfusion pressure (CPP) of 23 ± 1 mmHg. This generally resulted in end-tidal PCO 2 of 14 ± 3 mmHg (Von Planta I, supra). Resuscitation attempted with an ideal shock of up to three joules. Spontaneous hematogenous reconstruction (ROSC) was defined as the recovery of ventricular rhythms with an average aortic pressure of 60 mmHg lasting at least 5 minutes. Lebocymendan (provided by Orion Corp., Espoo, Finland) at a dilution of 2.5 mg / ml was injected into the right atrium two minutes after VF treatment at a bolus dose of 20 μg / kg. Mechanical ventilation with oxygen continued for 4 hours after resuscitation. The animal was then recovered from anesthesia and all catheter removed, including the endotracheal tube. Electrocardiogram (EKG) induction II continued to record. After returning the animals to the cages, their post-suspension activity status was recorded at 4 hour intervals for a total of 48 hours. Animals were euthaniz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pentobarbital (150 mg / kg) and autopsies were routinely performed to observe for bone thoracic and thoracic visceral and abdominal visceral injuries during the CPR procedure.

통계 분석: 그룹 간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ANOVA 및 쉐페 다중비교 기술을 이용했다. 각 그룹 내의 시간 기반 측정값 간의 비교는 ANOVA 반복 측정으로 실시했다. 범주형 변수는 피셔의 정확 검정으로 분석했다. 측정값은 평균±SD로 기록했다. p<0.05 값은 유의적인 값으로 간주했다. Statistical analysis: ANOVA and Chepe multiple comparison techniques were used to measu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Comparisons between time-based measurements in each group were made with ANOVA repeated measurements. Categorical variables were analyzed by Fisher's exact test. The measured value was recorded as mean ± SD. p <0.05 values were considered significant.

결과: 기준선에서의 혈류역학적 및 혈액 분석 결과는 레보시멘단과 위약 처리된 동물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VF 개시와 함께 평균 대동맥압(MAP)은 133±6에서 11±2mmHg로 감소하고 MAP는 1±1에서 9±2mmHg로 증가하여 종래 보고(Tang W, Weil MH, Sun S, Pernat A, Mason E. KATP channel activation reduces the severity of post-resuscitation myocardial dysfunction. Am J Physiol 2000; 279: H1609-H1615)에서와 같았다. 사망전 경련으로 인한 일시 증가를 제외하고는 CPP는 심장 정지 미처리 6분 동안 1 내지 3mmHg 사이를 유지했다. 전흉부 압박은 CPP를 평균 23±1mmHg로 증가시켰다. 후속적으로 레보시멘단 처리한 동물과 위약 처리한 동물 간에는 레보시멘단 투여 전/또는 후에 CPP의 차이가 없었다. 각 동물의 제세동은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레보시멘단 처리된 동물은 성공적인 소생 전에 요구되는 CPR의 간격이 유의적으로 짧았다(표 7). 성공적인 제세동에 요구되는 전기 충격의 누적 횟수는 위약 처리된 5마리의 동물보다 레보시멘단 처리된 동물에서 유의적으로 적었다. 레보시멘단 처리된 동물에서는 소생 후 4시간 간격동안에 심장박출계수, dP/dt40 및 MAP의 유의적인 증가를 기록했다(도 22). 좌심실 탄성의 지표로서 음성 dP/dt는 ETCO2와 함께 증가했다(도 23). 좌심실 기능의 개선 역시, 레보시멘단 후 ST 구역의 적은 상승과 함께 좌심실 이완기압의 감소(도 23)로 나타났다. 말초동맥저항(PAR)은 레보시멘단 처리 후 유의적으로 감소했다(도 24). 소생후 생존율 기간은 레보시멘단 처리 동물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표 8).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modynamic and hematological analysis between baseline and placebo treated animals. With the onset of VF, mean aortic pressure (MAP) decreased from 133 ± 6 to 11 ± 2 mmHg and MAP increased from 1 ± 1 to 9 ± 2 mmHg (Tang W, Weil MH, Sun S, Pernat A, Mason E). K ATP channel activation reduces the severity of post-resuscitation myocardial dysfunction.Am J Physiol 2000; 279: H1609-H1615). Except for the temporary increase due to convulsions before death, CPP remained between 1 and 3 mmHg for 6 minutes of untreated cardiac arrest. Anterior chest compressions increased CPP to an average of 23 ± 1 mmHg. Subsequent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CPP before and / or after administration of levocimendane between the levocimendane treated and placebo treated animals. Defibrillation of each animal was successful. But. Lebocymendan treated animals had a significantly shorter interval of CPR required before successful resuscitation (Table 7). The cumulative number of electric shocks required for successful defibrillation was significantly less in the lebocimendan treated animals than the 5 placebo treated animals. Significant increases in cardiac output coefficient, dP / dt 40 and MAP were recorded during the 4 hour intervals after resuscitation in treated animals (FIG. 22). Negative dP / dt increased with ETCO 2 as an indicator of left ventricular elasticity (FIG. 23). Improvements in left ventricular function also resulted in a decrease in left ventricular diastolic pressure (FIG. 23) with a small rise in ST zone after levocimendane. Peripheral arterial resistance (PAR)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levocimendane treatment (FIG. 24). Survival period after resuscit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lebocymendan treated animals (Table 8).

소생후 ST 구역의 적은 상승은 성공적인 소생 후 허혈성 손상 최소화 및 이에 따라 잔류 허혈증을 최소화하는 레보시멘단의 능력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증거이다. 혈관확장제이거나 말초 동맥 저항을 동시 감소시킨다는 해석도 가능그러나, 레보시멘단은 말초 저항을 감소시키는 바, 이후 좌심실 후부하 감소가 또한 심장수축기 기능 개선과 심장박출계수 증강 및 동맥압의 증가를 초래한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각 측정값이 모여, 심장 정지 중에 레보시멘단을 투여했을 때 개선된 결과를 증명한다.Small rises in the ST zone after resuscitation is another evidence of the ability of levocimendans to minimize ischemic damage and thus minimize residual ischemia after successful resuscitation. Although it is possible to interpret vasodilators or simultaneous peripheral peripheral arterial resistance, levocimendan reduces peripheral resistance,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subsequent decreases in left ventricular load also lead to improved cardiac contractile function, increased cardiac output coefficient, and increased arterial pressure. Could be. Each of these measurements is aggregated to demonstrate improved results when levocymendan is administered during cardiac arrest.

실시예 5: 베타 아드레날린 차단 후 소생후 심근 기능에 미치는 레보시멘단의 효과Example 5 Effect of Levocimendan on Myocardial Function Following Resuscitation After Beta Adrenaline Blocking

동물 준비: 35 내지 40kg 사이의 수컷 집돼지를 물을 제외하고는 하룻밤 동안 금식시켰다. 케타민(20mg/kg)을 근육내 주사하여 마취를 시작하고 소듐 펜토바르비탈(30mg/kg)의 귀정맥 주사로 마무리했다. 추가 8mg/kg 용량의 소듐 펜토바르비탈을 1시간 간격으로 주사하여 마취를 유지시켰다. 커프(cuff)를 가진 기관내 관을 기관 중으로 진행시켰다. 용적 조절식 인공호흡기(Model MA-1, Puritan-Bennett, Carlsbad, CA)를 사용하여 1회 호흡량 15ml/kg, 피크 흐름 40L/min 및 FiO2 0.21로 동물에게 기계적 인공호흡을 실시했다. 호기말 PCO2(PETCO2)는 적외선 분석기(Model 01R-7101A, Nihon Kohden Corp., Tokyo, Japan)로 모니터했다. 호흡 빈도는 PETCO2가 35 내지 40mmHg 사이를 유지하도록 조정했다. Animal Preparation: 35-40 kg male home pigs were fasted overnight except water. Anesthesia was initiated by intramuscular injection of ketamine (20 mg / kg) and finished with an intravenous injection of sodium pentobarbital (30 mg / kg). Anesthesia was maintained by injection of an additional 8 mg / kg dose of sodium pentobarbital at 1 hour intervals. An endotracheal tube with a cuff was advanced into the trachea. Animals were mechanically ventilated using a volume-controlled ventilator (Model MA-1, Puritan-Bennett, Carlsbad, Calif.) With a single breathing volume of 15 ml / kg, peak flow of 40 L / min, and FiO 2 0.21. End-tidal PCO 2 (P ET CO 2 ) was monitored by an infrared analyzer (Model 01R-7101A, Nihon Kohden Corp., Tokyo, Japan). Respiratory frequency was adjusted to maintain a P ET CO 2 between 35 to 40mmHg.

좌심실 기능의 측정을 위하여, 4방향 플렉셔(flexure)를 구비한 5.5/7.5Hz 바이플레인 도플러 경식도 심장초음파 탐촉자(Model 21363A, Hewlett-Packard Co. Medical Products Group, Andover, MA)를 앞니에서부터 식도로 약 35cm의 거리만큼 진행시켰다. 대동맥압의 측정을 위해서는 유체 충진된 카테터를 좌대퇴동맥에서부터 흉부 대동맥으로 진행시켰다. 우심방압, 폐동맥압 및 혈액 온도의 측정을 위해서는 7-프렌치 펜타루멘 열희석 팁이 있는 카테터를 좌대퇴 정맥에서부터 폐동맥으로 진행시켜 흐름을 유도했다. 좌심장 정맥 혈액 가스와 락테이트를 측정하기 위하여 7-프렌치 카테터를 좌두부 정맥에서부터 좌심장 정맥으로 진행시켰다. VF를 유도하기 위하여 5-프렌치 조율 카테터(EP Technologies, Inc., Mountain View, CA)를 우두부 정맥에서부터 우심실로 진행시켰다. For measurement of left ventricular function, a 5.5 / 7.5Hz biplane Doppler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m (Model 21363A, Hewlett-Packard Co. Medical Products Group, Andover, MA) with a four-way flexure is inserted from the esophagus into the esophagus. As the progress of a distance of about 35cm. For the measurement of aortic pressure, a fluid-filled catheter was advanced from the left femoral artery to the thoracic aorta. For the measurement of right atrial pressure, pulmonary artery pressure and blood temperature, a catheter with a 7-French pentalummen thermal dilution tip was advanced from the left femoral vein into the pulmonary artery. A 7-French catheter was advanced from the left head vein to the left heart vein to measure left heart vein blood gas and lactate. To induce VF, a 5-french tuning catheter (EP Technologies, Inc., Mountain View, Calif.) Was advanced from the right head vein to the right ventricle.

실험 절차: VF를 유도하기 15분 전에, 밀봉함법으로 동물을 무작위로 나누고, 이를 연구자도 모르게 했다. 심장 정지는 우심실의 심장내막으로 1 내지 2mA AC를 전달하여 유도했다. 기계적 인공호흡은 VF 개시 후 중단했다. VF 미처리 7분 마지막에, 전흉부 압박을 공기 피스톤 구동식 흉부 압박기(Thumper, Model 1000, Michigan Instruments, Grand Rapids, MI)로 개시했다. 전흉부 압박 개시와 함께 1회 호흡량 15mg kg-1 및 FiO2 1.0으로 기계적 인공호흡을 동물에게 실시했다. 전흉부 압박은 1분당 100회의 압박을 가하도록 프로그램화하고 압박-이완 간격이 동일하게, 즉 50% 동작비율을 제공하도록 압박/인공호흡 비가 5:1이 되게 동조화시켰다. 압박력은 흉부의 전후 직경이 25% 정도 감소하도록 조정했다. 전흉부 압박 5분 후, 우측 빗장아래 부위와 심장 끝 사이에 150J 이상성 파형 충격을 가하여 제세동을 시도했다. 평균 대동맥압이 60mmHg보다 큰 조직적인 심장 리듬이 5분 이상 동안 지속되면, 그 동물은 성공적으로 소생된 것으로 간주했다. 모든 동물은 전기적 제세동 후 자발적 혈행 복원(ROSC)을 나타냈고, 그 다음 무작위로 3 처리 그룹으로 나누었다: (1) 프로프라놀롤(VF 6분째 0.1mg/kg 볼러스); (2) 프로프라놀롤 + 레보시멘단(소생후 10분째, 10분동안 20㎍/kg, 그 다음 220분 동안 0.4㎍/kg/분); 및 (3) 위약으로서 동량의 식염수. Experimental procedure: 15 minutes prior to induction of VF,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by the hermetic method, which the investigator did not know. Cardiac arrest was induced by delivering 1-2 mA AC to the endocardium of the right ventricle. Mechanical ventilation was stopped after the onset of VF. At the end of 7 minutes of untreated VF, prethoracic compression was initiated with an air piston driven chest compression machine (Thumper, Model 1000, Michigan Instruments, Grand Rapids, MI). The animals were subjected to mechanical ventilation with a single breathing volume of 15 mg kg −1 and FiO 2 1.0 with anterior chest compression initiation. The prethoracic compression was programmed to apply 100 compressions per minute and synchronized so that the compression / ventilation ratio was 5: 1 so that the compression-relaxation intervals were equal, ie providing a 50% operating rate. The compression force was adjusted to reduce the anterior and posterior diameter of the chest by about 25%. Five minutes after anterior chest compressions, defibrillation was attempted with a 150 J biphasic wave impact between the area under the right clad and the end of the heart. If a systemic heart rhythm with an average aortic pressure greater than 60 mm Hg lasted for more than 5 minutes, the animal was considered to have revived successfully. All animals showed spontaneous hematopoietic reconstitution (ROSC) after electrical defibrillation and then randomly divided into three treatment groups: (1) propranolol (0.1 mg / kg bolus at 6 min VF); (2) propranolol + lebocymendan (10 min post-vivo, 20 μg / kg for 10 min, then 0.4 μg / kg / min for 220 min); And (3) the same amount of saline as a placebo.

측정은 소생 후 4시간 동안 실시했다. 실험 절차는 도 25에 정리했다. 4시간 후 동물을 150mg kg-1 펜토바르비탈을 정맥내 주사하여 안락사시켰다. 부검하여 흉부 및 복부 내장 및 뼈 흉부에 대한 손상을 기록했다.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for 4 hours after resuscitation. The experimental procedure is summarized in FIG. After 4 hours the animals were euthanized by intravenous injection of 150 mg kg -1 pentobarbital. Necropsy recorded damage to the thoracic and abdominal viscera and bone chest.

측정: 대동맥, 우심방(RAP) 및 폐동맥압(PAP)을 비롯한 역학적 데이터, 호기말 PCO2(PETCO2)와 함께 심전도는 종래 기술된 바(14)와 같은 CODAS/WINDAQ 하드웨어/소프트웨어에 의해 지원되는 PC 기반 데이터 획득 시스템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기록했다. 제안된 연구의 적당한 표본 빈도에서 연속 기록에 이용할 수 있는 총 채널은 16개였다. CPP는 디지털방식으로 계산되었고, 혈류역학적 측정값과 심전도는 실시간으로 영상화되었다. Measurements: EKG with mechanical data including aorta, right atrium (RAP) and pulmonary artery pressure (PAP), end-tidal PCO 2 (P ET CO 2 ), supported by CODAS / WINDAQ hardware / software as previously described (14) Continuously measured and recorded with a PC-based data acquisition system. At the proper sample frequency of the proposed study, there were 16 channels available for continuous recording. CPP was calculated digitally, hemodynamic measurements and electrocardiograms were imaged in real time.

심장초음파 측정은 4방향 플렉셔를 구비한 5.5/7.5 Hz 바이플레인 도플러 경식도 심장초음파 탐촉자를 사용하여, 휴렛 팩카드 Sonos 2500 심장초음파 시스템으로 수득했다. 장축에 대해 2챔버 또는 4챔버 단면도가 수득되었다. 좌심실 수축기말 용적 및 이완기말 용적은 원반법(Acoustic Quantification Technology, Hewlett-Packard, Andover, MA)으로 계산했다. 이로부터 박출율(EF) 및 면적변화율(FAC)을 계산했다. 이러한 측정값을 심근 수축 기능의 정량인자로서 사용했다.Echocardiography measurements were obtained with a Hewlett Packard Sonos 2500 echocardiography system using a 5.5 / 7.5 Hz biplane Doppler esophageal echocardiogram with four-way flexure. A two or four chamber cross section was obtained for the long axis. Left ventricular systolic volume and diastolic volume were calculated by the disk method (Acoustic Quantification Technology, Hewlett-Packard, Andover, Mass.). From this, the ejection fraction (EF) and area change ratio (FAC) were calculated. These measurements were used as quantifiers of myocardial contractile function.

대동맥, 혼합 정맥 및 좌심장 정맥혈 가스, 헤모글로빈 및 옥시헤모글로빈은 돼지 혈액에 대해 조정된 정지 프로필 분석기(ULTRA C, Nova Biomedical Corporation, Waltham, MA)로 200㎕ 분량의 혈액에 대하여 측정했다. 동맥 및 좌심장 정맥혈 락테이트는 젖산 분석기(Model 23L, Yellow Springs Instruments, Yellow Springs, OH)로 측정했다. 이러한 측정값은 심정 정지 10분전, ROSC 10분후 및 그 후 매시간 총 4시간 동안 수득했다. ST-T 구역 상승은 소생 후 5분째 측정되었고, ROSC 후 5분 동안 조기 심실 박동수(PVB) 총 수를 계수했다. 이러한 총 수 및 가해진 누적 충격 에너지를 분석했다.Aorta, mixed veins and left heart venous blood gases, hemoglobin and oxyhemoglobin were measured on 200 μl portions of blood with a stationary profile analyzer (ULTRA C, Nova Biomedical Corporation, Waltham, Mass.) Adjusted for swine blood. Arterial and left heart venous blood lactate was measured with a lactate analyzer (Model 23L, Yellow Springs Instruments, Yellow Springs, OH). These measurements were taken 10 minutes before cardiac arrest, 10 minutes after ROSC, and for a total of 4 hours every hour thereafter. ST-T zone elevations were measured 5 minutes after resuscitation and counted the total number of early ventricular beats (PVB) for 5 minutes after ROSC. This total number and cumulative impact energy applied were analyzed.

통계 분석: 모든 데이터는 평균±표준편차(SD)로 나타냈다. 그룹 간의 혈류역학적 및 대사 측정값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ANOVA 및 쉐페 다중비교 기술을 이용했다. 결과 차이는 피셔의 정확 검정으로 분석했다. 측정값은 평균±SD로 기록했다. p<0.05 값은 유의적인 값으로 간주했다. Statistical Analysis: All data are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SD). ANOVA and Chepe multiple comparison techniques were us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hemodynamic and metabolic measurements between groups. The resulting differences were analyzed by Fisher's exact test. The measured value was recorded as mean ± SD. p <0.05 values were considered significant.

결과: 기준선에서의 혈류역학적, 혈액 가스 및 락테이트 측정값은 3 그룹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각 동물마다 자발적 혈행이 복원되었다. CPR 중과 후에도 PETCO2, 혈액 가스 분석, 및 동맥 혈액 락테이트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modynamic, blood gas and lactate measurements at baseline between the three groups.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was restored in each anima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 ET CO 2 , blood gas analysis, and arterial blood lactate during and after CPR.

종래 관찰의 증거로서, CPR 중에 투여한 프로프라놀롤은 유의적으로 더 적은 전기 충격 수와 더 낮은 전기 충격 총 에너지로 소생을 촉진시켰다. 또한, 소생후 조기 심실 박동수 및 ECG 4방향 유도 2에서의 소생후 ST 구역 상승이 유의적으로 더 적게 기록되었다(도 26). As evidence of previous observations, propranolol administered in CPR facilitated resuscitation with significantly less electric shock numbers and lower electric shock total energy. In addition, significantly less post-survival ST zone elevations were recorded in early ventricular heart rate and ECG 4-way induction 2 after resuscitation (FIG. 26).

소생후 박출률 및 FAC는 식염수 위약에 비해 프로프라놀롤 후 유의적으로 증가했다. 소생후 초기에 레보시멘단을 첨가한 경우에는, 프로프라놀롤 단독에 비해 EF 및 FAC의 추가적인 유의적 증가가 관찰되었다(도 27).Post-vivo ejection fraction and FA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ropranolol compared to saline placebo. When levocymendan was added early after resuscitation, an additional significant increase in EF and FAC was observed compared to propranolol alone (FIG. 27).

본 실험 연구의 결과들은 종래 보고를 부연한 것으로서, 프로프라놀롤이 소생, 구체적으로 전기 제세동을 촉진하며, 소생후 전위 빈도를 감소시키고, 소생후 허혈성 손상의 병도를 완화시킨다는 것을 입증한다. 레보시멘단은 소생후 초기에 투여되면 심근 수축 기능도 또한 유의적으로 개선시켰다.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al study elaborate on previous reports, demonstrating that propranolol promotes resuscitation, specifically electric defibrillation, reduces the frequency of post-prandial dislocations and mitigates the incidence of post-survival ischemic damage. Lebocymendan also significantly improved myocardial contractile function when administered early in resuscitation.

Claims (32)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게 심폐 소생술(CPR) 및 제세동 충격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당해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의 자발적 혈행을 복원시키는 방법.Imparting CPR and defibrillation shock to the cardiac arrested mammal, the method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mamm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A method of restoring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in a cardiac arrested mammal. 제1항에 있어서, 레보시멘단 화합물 투여 단계가 CPR 처치 초기에 수행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administering the levocimendane compound is performed early in the CPR treatment. 제1항에 있어서, 레보시멘단 화합물이 약 0.06 내지 약 36㎍/kg/분의 함량으로 투여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bocimendan compound is administered at an amount of about 0.06 to about 36 μg / kg / min. 제세동 충격을 가하기 전에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 및 후속으로 제세동 충격을 유효 심장 리듬을 복원시키기에 충분한 빈도로 가하되, 당해 빈도는 공식 치료 프로토콜 기준에 정해진 빈도에 비해 감소된 단계를 포함하는,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 적용되는 제세동 충격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Administering to the cardiac arrest mamm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prior to defibrillation shock; And subsequently applying the defibrillation shock at a frequency sufficient to restore the effective heart rhythm, wherein the frequency is reduced compared to the frequency set forth in the official treatment protocol criteria. How to reduce it. 제세동 충격을 가하기 전에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및 후속으로 제세동 충격을 유효 심장 리듬을 복원시키기에 충분한 빈도로 가하되, 당해 빈도는 레보시멘단 화합물로 치료되지 않은 유사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게 가해지는 제세동 충격의 빈도에 비해 감소된 단계를 포함하는,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 적용되는 제세동 충격의 빈도를 감소시키는 방법 .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cardiac arrested mammal prior to defibrillation shock; And subsequently applying the defibrillation shock at a frequency sufficient to restore an effective heart rhythm, the frequency being reduced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the defibrillation shock applied to a similar cardiac arrested mammal not treated with the levocimendane compound. To reduce the frequency of defibrillation shocks applied to a cardiac arrested mammal. 제세동 충격을 가하기 전에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및 후속으로 유효 심장 리듬을 복원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로 제세동 충격을 포유동물에게 가하되, 당해 에너지는 공식 치료 프로토콜 기준에 정해진 에너지에 비해 감소된 단계를 포함하는,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게 가해지는 제세동 충격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방법.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cardiac arrested mammal prior to defibrillation shock; And subsequently applying a defibrillation shock to the mammal with sufficient energy to restore the effective heart rhythm, the energy being reduced compared to the energy specified in the official treatment protocol criteria. How to reduce the energy of the impact. 제세동 충격을 가하기 전에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 및 후속으로 제세동 충격을 유효 심장 리듬을 복원시키기에 충분한 에너지로 포유동물에게 가하되, 당해 에너지는 레보시멘단 화합물로 치료되지 않은 유사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게 가해지는 에너지에 비해 감소된 단계를 포함하는, 심장 정지된 포유동물에 적용되는 제세동 충격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방법.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cardiac arrested mammal prior to defibrillation shock; And subsequently applying the defibrillation shock to the mammal with sufficient energy to restore the effective heart rhythm, the energy being reduced compared to the energy applied to the similar cardiac arrested mammal not treated with the levocimendane compound. A method of reducing the energy of a defibrillation shock applied to a cardiac arrested mammal. 제7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게 제세동 에너지를 가하기 전에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 adrenergic receptor blocker prior to applying the defibrillation energy to the mammal.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심장 정지로부터 소생 중이나 소생 후에 심근 기능이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심근 기능이상의 치료 방법.A method of treating myocardial dysfunc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to a mammal in need of treatment of myocardial dysfunction during or after resuscitation from cardiac arrest. .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보시멘단 화합물이 레보시멘단인 방법.1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4-7, or 9, wherein the lebocymendan compound is lebocymendan.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보시멘단 화합물이 레보시멘단 대사산물인 방법.1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4-7 or 9, wherein the levocimendane compound is a levocimendane metabolite.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하는 단계가 레보시멘단 화합물의 연속 주입을 포함하는 방법.1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4-7 or 9, wherein the administering comprises continuous infusion of the lebocymandan compound.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하는 단계가 비경구 투여인 방법.1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4-7 or 9, wherein the administering is parenteral administration.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경구 투여 가 정맥 내, 기관 내, 동맥 내, 경피 또는 심장 내 투여인 방법.1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4-7 or 9, wherein the parenteral administration is intravenous, intratracheal, intraarterial, transdermal or intracardiac administration.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보시멘단 화합물이 약 0.01 내지 약 5.0㎍/kg/분의 함량으로 투여되는 방법.1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4-7 or 9, wherein the lebocymendan compound is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about 0.01 to about 5.0 μg / kg / minute.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보시멘단 화합물이 약 0.05 내지 약 0.4㎍/kg/분의 함량으로 투여되는 방법.1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4-7 or 9, wherein the lebocimendan compound is administered in an amount of about 0.05 to about 0.4 μg / kg / minute.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보시멘단 화합물이 약 0.1㎍/kg/분의 함량으로 투여되는 방법.1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4-7 or 9, wherein the lebocimendan compound is administered at an amount of about 0.1 μg / kg / min. 제1항, 제4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이 사람인 방법.1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4-7 or 9, wherein the mammal is a human. 제1항, 제5항 내지 제7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게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10.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5-7 or 9, further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mamm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 adrenergic receptor blocker. 제4항에 있어서, 포유동물에게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mamm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 adrenergic receptor blocker. 제19항에 있어서, 레보시멘단 화합물을 투여하는 단계 전에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실시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step of administering an adrenergic receptor blocker is performed prior to the step of administering the lebocymendan compound. 제19항에 있어서,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가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 또는 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adrenergic receptor blocker is a beta adrenergic receptor blocker or an alpha adrenergic receptor blocker. 제22항에 있어서,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가 베타-1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 또는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beta adrenergic receptor blocker is a beta-1 adrenergic receptor blocker or a beta-2 adrenergic receptor blocker. 제22항에 있어서,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가 프로파놀롤, 메토프롤롤, 에스몰롤 또는 아테놀롤인 방법.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beta adrenergic receptor blocker is propanolol, metoprolol, esmolol or atenolol. 제22항에 있어서, 알파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가 알파-1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alpha adrenergic receptor blocker is an alpha-1 adrenergic receptor blocker. 제22항에 있어서,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차단제가 카베딜롤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beta adrenergic receptor blocker is carvedilol. 1회 이상의 제세동 충격을 심장 부정맥의 치료를 요하는 포유동물에게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 료적 유효량을 당해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심장 부정맥의 치료 방법. Applying one or more defibrillation shocks to a mammal in need of treatment of cardiac arrhythmia, comprising administering to said mamm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 method of treating cardiac arrhythmias in mammals. 제27항에 있어서, 투여하는 단계가 제세동 충격을 1회 이상 가한 후에 수행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27, wherein administering is performed after the defibrillation shock is applied at least once. 심장 정지 이후의 포유동물의 자발적 혈행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포유동물에게 레보시멘단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유동물의 기관 기능 보호 방법.Restoring the spontaneous blood circulation of the mammal after cardiac arrest,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mammal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levocimendane compound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How to protect the function. 제29항에 있어서, 기관 기능이 뇌 기관 기능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organ function is brain organ function. 제29항에 있어서, 기관 기능이 신장 기관 기능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organ function is renal organ function. 제29항에 있어서, 기관 기능이 간 기관 기능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organ function is hepatic organ function.
KR1020067027456A 2004-05-28 2005-05-27 Methods for treating a mammal before, during and after cardiac arrest KR2007003551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7456A KR20070035517A (en) 2004-05-28 2005-05-27 Methods for treating a mammal before, during and after cardiac ar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575,765 2004-05-28
KR1020067027456A KR20070035517A (en) 2004-05-28 2005-05-27 Methods for treating a mammal before, during and after cardiac arre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517A true KR20070035517A (en) 2007-03-30

Family

ID=43656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456A KR20070035517A (en) 2004-05-28 2005-05-27 Methods for treating a mammal before, during and after cardiac arre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551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277B1 (en) * 2023-06-23 2023-10-05 주식회사 상아엠에스디 Cpr training system for pet
CN117481860A (en) * 2023-12-01 2024-02-02 四川大学华西医院 Method for establishing cardiac arrest animal model and application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277B1 (en) * 2023-06-23 2023-10-05 주식회사 상아엠에스디 Cpr training system for pet
CN117481860A (en) * 2023-12-01 2024-02-02 四川大学华西医院 Method for establishing cardiac arrest animal model and application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49498B2 (en) Methods for treating a mammal before, during and after cardiac arrest
Babar et al. Vasopressin versus epinephrine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 randomized swine outcome study
JP3872290B2 (en) Pharmacological drug combination in vagus nerve-induced asystole
KR20110026422A (en) Dronedarone for the prevention of permanent atrial fibrillation
US7781402B2 (en) Methods and implantable devices for treating supraventricular arrhythmias
Frame The effect of chronic oral and acute intravenous amiodarone administration on ventricular defibrillation threshold using implanted electrodes in dogs
US6369114B1 (en) Administration of an α2-adrenergic receptor agonist to enhanc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odrid et al. Use of nonsustained ventricular tachycardia as a guide to antiarrhythmic drug therapy in patients with malignant ventricular arrhythmia
KR20070035517A (en) Methods for treating a mammal before, during and after cardiac arrest
WO2006025450A1 (en) Method of constructing animal model of atrial fibrillation, method of inducing atrial fibrillation and method of evaluating atrial fibrillation inhibitor
Euler et al. Comparative effects of antiarrhythmic drugs on the ventricular fibrillation threshold
US10456439B2 (en) NK3 agonist for use in the treatment of a patient suffering from atrial arrhythmia or fibrillation
Duchene-Marullaz et al. Influence of chloralose and pentobarbitone sodium on atrioventricular conduction in dogs.
JP5358592B2 (en) How to induce atrial fibrillation
US20050059574A1 (en) Compositions of stable T3 and methodes of use thereof
Chen et al. The effect of amiodarone on the ventricular fibrillation threshold
Abaitey et al. Cardiovascular effects of diethylcarbamazine citrate
US8841292B2 (en) Induced hypothermia
Kashem et al. Early and late results of left ventricular reshaping by passive cardiac-support device in canine heart failure
Ganitafuri Perioperative Management in Patients with Temporary Pacemaker Who Underwent Craniotomy in Prone Position
Wilton et al. Effects of the volatile anesthetic agents on sinus node function and atrioventricular conduction in dogs: a comparison with chloralose anesthesia
Liu et al. The impact of dopamine on hemodynamics, oxygen metabolism, and cerebral resuscitation after restoration of spontaneous circulation in pigs
EP1351673B1 (en) Compositions of stable t3 and use thereof
US20230277516A1 (en) Uses of bupivacaine multivesicular liposomes as stellate ganglion block
Neto et al. The effects of atropine and methotrimeprazine on the epinephrine-induced arrhythmias in halothane-anesthetized do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