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514A - 탄성 중합체와 부직포 웹 사이의 결합이 개선된부직포-탄성 중합체 라미네이트 - Google Patents

탄성 중합체와 부직포 웹 사이의 결합이 개선된부직포-탄성 중합체 라미네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514A
KR20070035514A KR1020067027429A KR20067027429A KR20070035514A KR 20070035514 A KR20070035514 A KR 20070035514A KR 1020067027429 A KR1020067027429 A KR 1020067027429A KR 20067027429 A KR20067027429 A KR 20067027429A KR 20070035514 A KR20070035514 A KR 20070035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
elastomeric film
nonwoven web
nonwoven
elastome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7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 포우스
지송 황
벤 반마르케
Original Assignee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67027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5514A/ko
Publication of KR20070035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202)의 적어도 주요 부분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 층(214, 218)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탄성 중합체 필름(206)을 포함하고, 여기서, 라미네이트(202)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고, 탄성 중합체 필름(206)은 비닐 아렌-함유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이 탄성 중합체 필름(206)은 점성 강화제의 점성 증진량이 실질적으로 없는 것인,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202) 및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202)의 생산 공정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206)의 전체 비닐 아렌 함량은 약 30% 이하이다.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202)는 예를 들면 기저귀 탭에 유용하다.

Description

탄성 중합체와 부직포 웹 사이의 결합이 개선된 부직포-탄성 중합체 라미네이트 {NONWOVEN-ELASTOMERIC LAMINATE WITH IMPROVED BONDING BETWEEN ELASTOMER AND NONWOVEN WEB}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 층에 결합된 탄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는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라미네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 층 상으로 직접적으로 압출된 탄성 중합체 필름을 가질 수 있다.
부직포 라미네이트들을 위한 탄성 필름들은 블록 공중합체들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는 종래의 압출법을 통해 생산되어 왔다. 그러한 블록 공중합체들은 비교적 낮은 단가로 양호한 탄성 특성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 물질들을 가공하는 것은 탄성 중합체 필름이 부직포 층 상으로 직접적으로 압출될 때 복잡해질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의 특성으로 인해, 2가지 주요 문제점: 즉, 불량한 용융 강도를 초래하는 불량한 유동학; 및 부직포 층에 대한 불량한 결합이 발생한다. 이들 문제점들은 선행 기술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이 형성되는 탄성 중합체에 접착제 층들을 부가함으로써 및/또는 점성 강화제를 부가함으로써 다루어져 왔다.
탄성 중합체 필름과 부직포 층 사이에 접착제 층들을 제공하거나 또는 탄성 중합체에 점성 강화제를 부가할 필요 없이 부직포 층에 탄성 중합체 필름을 양호하 게 결합시키고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 라미네이트들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주요 부분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 층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탄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는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이 라미네이트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고,
탄성 중합체 필름은 비닐 아렌-함유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탄성 중합체 필름은 점성강화제의 점성증진량이 실질적으로 없다. 일 실시 형태에서, 블록 공중합체는 SBS 및(또는) SEBS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이 탄성 중합체 필름은 폴리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가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이 탄성 중합체 필름은 프로세스 오일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의 전체 비닐 아렌 함량은 약 30% 이하이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적어도 한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 및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의 하나로부터 기판에 대한 부착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을 포함하고,
여기서,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는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주요 부분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 층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탄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고,
탄성 중합체 필름은 비닐 아렌-함유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탄성 중합체 필름은 점성강화제의 점성증진량이 실질적으로 없는 기저귀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에 직접적으로 압출된 탄성 중합체 필름을 압출 결합시킴으로써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압출-결합된 라미네이트를 생산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주요 부분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부직포 웹들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탄성 중합체 필름은 비닐 아렌-함유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탄성 중합체 필름은 점성강화제의 점성증진량이 실질적으로 없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SBS 및(또는) SEBS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압출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이 공정은 폴리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가제를 혼합물에 부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에 직접적으로 압출된 탄성 중합체 필름을 압출 결합시킴으로써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는 단일 공정으로 수행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이 탄성 중합체 필름은 프로세서 오일을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의 전체 비닐 아렌 함량은 약 30% 이하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탄성 중합체 필름과 부직포 층 사이에 접착제 층들을 제공하거나 또는 탄성 중합체에 점성 강화제를 부가할 필요 없이 부직포 층에 탄성 중합체 필름을 양호하게 결합시키고 양호한 유동성을 갖는 라미네이트들을 제공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큰 파단 신장률을 갖고, 파열 전에 층 분리되지 않는 라미네이트들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압출-결합된 라미네이트의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탄성 중합체 필름 내에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하지만 도 2의 그것과 유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압출-결합된 라미네이트의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도 1의 그것과 유사하게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직선 5-5를 따라 취한 도 4에 도시된 한 벌의 롤러들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기저귀 클로저 등의 구조물의 개략적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라 기저귀 탭을 제조하는 공정의 개략도.
도 8-15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 형태들의 시료들에 대한 응력/변형 그래프도.
단순 명료한 예시를 위해, 도면에 나타낸 소자들은 반드시 척도에 맞게 도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소자들의 일부의 치수는 단순화시키기 위해 상호 상대적으로 과장될 수 있다. 더욱이, 적절히 고려되는 경우, 대응하는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도면에서 참조 번호들이 반복되고 있다.
[상세한 설명]
아래 개시된 공정 단계들 및 구조물들은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 생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완전한 공정 흐름을 형성할 수 없음을 인식해야 한다. 본 발명은 당업계에 현재 사용되는 탄성 중합체, 부직포 물질 및 라미네이트 제조 기술들과 관련하여 실시될 수 있고, 단지 그렇게 많은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공정 단계들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것으로서 포함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주요 부분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탄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는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라미네이트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고, 탄성 중합체 필름은 점성강화제의 점성증진량이 실질적으로 없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의 전체 비닐 아렌 함량은 약 30% 이하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 "점성 강화제"라는 용어는 접착제 등의 조성물에 점성을 부여하는데 유용한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조성물들 또는 재료들을 의미한다. ASTM D-1878-61T는 "다른 표면과 접촉함에 따라 즉각적으로 측정 가능한 강도의 결합을 형성하게 하는 재료의 특성"으로서 점성을 정의한다. 점성 강화제는 예를 들면 로진산 유도체, α- 또는 β-피넨 등의 테르펜류에 기초한 점성 강화제, C-5 또는 C-9 레진들과 같은 석유-기재 점성 강화제, 및 t-부틸 페놀산 수지류 등의 기타 점성 강화제들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 "점성강화제의 점성증진량이 실질적으로 없는"이라는 용어는 개시된 바의 조성물이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경우, 조성물에서 점성 강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재료가 없는 것을 의미한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점성 강화제가 조성물에 부가될 때, 충분한 양의 점성 강화제가 조성물 중에서 점성 강화제로서 작용해야 하는 경우 조성물에 점성을 제공하기 위해 부가되어야 하고; 그러한 양은 "점성 증진량"이다. 따라서, 일 실시 형태에서, 점성 강화제의 점성 증진량은 그 점성 강화제가 부가되는 조성물의 약 5중량% 이상이고, 그러한 조성물에 대해 점성강화제의 점성증진량이 실질적으로 없다는 것은 조성물의 약 5중량% 미만이 점성 강화제임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점성 증진량은 약 2중량% 이상이고, 그러한 조성물에 대해 점성강화제의 점성증진량이 실질적으로 없다는 것은 조성물의 약 2중량% 미만이 점성 강화제임을 의미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적절한 양의 점성 강화제는 1중량%이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 적절한 양의 점 성 강화제는 약 10중량%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탄성 중합체 필름은 적절한 양 미만의 점성 강화제가 존재할 때 점성강화제의 점성증진량이 실질적으로 없고, 달리 점성 강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임의의 물질이 조성물에 점성을 제공하거나 또는 점성을 부여하기에 불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의, "탄성의", "탄성화된" 및 "탄성"이라는 용어는 변형을 유발하는 힘을 제거한 후 그의 원래 크기 및 형상을 회복하거나 또는 그에 근접하고자 하는 경향 덕택에 갖는 재료 또는 복합체의 특성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의, "탄성 중합체"라는 용어는 그의 이완된 길이의 적어도 50% 만큼 신장될 수 있고, 인가된 힘을 방출함에 따라, 그의 신장율의 적어도 40%를 회복할 재료 또는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물질 또는 복합체는 적어도 100%만큼 신장될 수 있고, 일 실시 형태에서, 그의 이완된 길이의 적어도 300%까지, 인가된 힘을 방출함에 따라, 그의 신장률의 적어도 50%를 회복하게 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물질 또는 복합체는 적어도 100%만큼 신장될 수 있고, 일 실시 형태에서, 그의 이완된 길이의 적어도 300%까지, 인가된 힘을 방출함에 따라, 그의 신장률의 적어도 25%를 회복하게 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의, 단일로 사용되었을 때 "층"이라는 용어는 예를 들면 단일 층을 형성하는 2개 이상의 동시 압출된 필름들 등의 복수개의 소자들 또는 단일 소자의 이중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의, "신장 가능한" 및 "확장 가능한"이라는 용어는 어떤 물 질이 파열 없이 적어도 한 방향으로 초기(신장되지 않은) 길이의 적어도 50% 내지 적어도 150% 만큼 신장될 수 있고, 일 실시 형태에서 그의 초기 길이의 적어도 100% 내지 적어도 200% 만큼, 다른 실시 형태에서 그의 초기 길이의 적어도 150% 내지 적어도 250% 만큼 신장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신장 가능한" 및 "확장 가능한"이라는 용어는 탄성 재료들 뿐만 아니라 신장되지만, 탄성 재료들에 대해 상기 정의된 정도로 반응하지 않는 재료들을 포함하고, 신장되지만, 현저히 수축되지 않는 재료들을 포함한다.
도면들 중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 층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탄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는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102)를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100)가 개략적으로 예시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출 장치(104)는 2개의 캘린더 롤러들(110 및 112) 사이에 형성된 닙(108) 내로 공급된 탄성 중합체 압출물(106)을 압출시킨다. 일 실시 형태에서, 압출 장치(104)는 압출물의 단일층을 압출하고,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압출 장치(104)는 아래에 보다 상세히 개시되는 바와 같이 압출물의 복수개의 층들을 압출 또는 동시 압출하도록 적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하나의 캘린더 롤러(110 또는 112)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강으로 제조된 일반적으로 원활한 캘린더 롤일 수 있고, 다른 캘린더 롤들은 예를 들면 고무로 제조된 원활한 롤러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롤러들 중의 하나 또는 모두는 냉각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이 장치의 다른 롤러들이 냉각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압출물(106)은 연속적인 시트 형태로 압출되 고, 여기서 이 시트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압출물은 연속적인 시트 형태로 압출되고, 여기서 이 시트는 연속적인 시트 내의 비교적 얇은 부분들에 의해 분리된 비교적 두꺼운 부분들에 의해 형성된 횡문 또는 선들을 갖는 불균일한 두께의 영역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압출물은 스트랜드 또는 리본 형태로 압출되지 않고, 스트랜드들 또는 리본들은 서로 분리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제1 부직포 웹(114)은 피드 롤(116)로부터 닙(108)에 제공되고, 제2 부직포 웹(118)은 제2 피드 롤(120)로부터 닙(108)에 제공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단일 부직포 웹 만이 닙(108)에 제공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라미네이트의 일 측면은 노출된 탄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 형태에서, 노출된 탄성 중합체 압출물은 고무 롤러보다는 오히려 금속 롤러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압출물(106), 제1 부직포 웹(114) 및 제2 부직포 웹(118)은 닙(108)에 함께 공급됨으로써 테이크-업 롤(122) 상에 감겨질 수 있는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102)를 형성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테이크-업 롤(122) 및 아이들러 롤(124)에 의해 부직포 웹들(114, 118) 상에 인장이 제공된다. 아래 개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탄성 중합체 층(106)은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단일 층일 수 있다. 탄성 중합체층(106)이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실시 형태들에서, 각각의 그러한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부직포 층에 직접적으로 인가된다.
닙(108)에서 롤러들(110, 112) 사이의 압력은 약 0.25 내지 약 5바 범위 내이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1 내지 약 3바,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0.5 내지 약 1바 범위에 있다. 일반적으로, 더 높은 압력들에 비해 더 낮은 압력들이 바람직하고, 단, 인가된 압력은 탄성 중합체 압출물과 그것이 결합되는 부직포 웹 사이에 양호한 결합을 얻기에 적절해야 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압력은 적층을 위해 사용된 특정 장비에 의존한다. 일부 장비는 본래 다른 장비들보다 더 높은 인가 압력을 필요로 한다. 본원 발명자들은 부직포 층(들)에 탄성 중합체 물질을 적층하는데 너무 높은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탄성 중합체 물질은 웹 내에 깊게 내장되고, 결과의 라미네이트는 탄성체보다 더 약한 섬유-강화 복합체로서 작용한다. 그러한 라미네이트는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응력/변형 시험을 수행할 때, 낮은 파단 신장율 및 높은 응력 값이 얻어진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적절한 압력이 인가될 때, 양호한 결합이 얻어지지만, 층들은 실질적으로 독특하게 남겨진다.
닙(108) 내의 롤러들(110, 112) 사이의 갭은 약 0 내지 약 1000 미크론 범위이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0 내지 약 700 미크론이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500 미크론 이하이다.
따라서,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에 직접적으로 탄성 중합체 필름을 압출 결합시킴으로써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주요 부분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부직포 웹들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여기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점성강화제의 점성증진량이 실질적으로 없는 것인, 적어도 한 방향으로 확장 가능 한 압출-결합된 라미네이트의 생산 공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의 전체 비닐 아렌 함량은 약 30% 이하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그 형성 단계는 단일 단계로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일 실시 형태에서, 단일 부직포 웹 만이 사용되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 한 벌의 부직포 웹들이 사용된다. 도 1에 나타낸 장치는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기 적절하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약 100-500 fpm (약 0.5 내지 2.5 m/s)의 고속 생산 기계로 수행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 부직포 웹은 탄성 중합체 필름 또는 압출물과 함께 압출 적증을 위해 한 벌의 롤러들의 닙 내로 도입된다. 탄성 중합체 필름은 부직포 웹으로 적층된 탄성 중합체 필름을 형성하기 위해 그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에서 닙 내로 압출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압출물의 온도는 그것이 닙 내의 부직포 웹과 접촉하는 시점에 그의 연화점 이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부직포 웹과 탄성 중합체 필름 사이의 압축력은 라미네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탄성 중합체 필름에 부직포 웹의 한쪽 표면을 결합시키도록 조절된다. 이 압축력은 상기한 바와 같이 롤러들 사이의 압력을 조절하거나, 또는 닙 롤들 사이의 갭을 세팅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압출-결합된 라미네이트(202)를 포함하는 구조물(200)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202)는 제1 부직포 웹 층(214)과 제2 부직포 웹 층(218) 사이에 샌드위치된 탄성 중합체 층(206)을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3개의 층들은 라미네이트(202)를 형성한다. 아래 개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 형태들에 서, 탄성 중합체 층(206)은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단일층일 수 있다. 탄성 중합체 층(206)이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실시 형태들에서, 각각의 그러한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층은 부직포층에 직접적으로 인가된다.
도 3은 탄성 중합체 필름(306) 내에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하지만 도 2의 그것과 유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압출-결합된 라미네이트(302)를 포함하는 구조물(300)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306)은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하고, 이 실시예에서 3개의 층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본 발명의 탄성 중합체 필름이 부직포 웹 층들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한 추가의 층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이 탄성 중합체 필름(306)은 상부 탄성 중합체 필름(306A) 및 하부 탄성 중합체 필름(306B)을 포함하고, 그 층들은 이들과 중간체 층(338) 사이에 샌드위치되어 있다. 중간층(338)은 임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대부분 종종 탄성 중합체 물질이다. 중간층(338)의 탄성 중합체 물질은 탄성 중합체 층으로서 사용하기 위해 상기 개시된 재료들 중의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지만, 탄성 중합체 필름(306A 및 306B)에 필적하고,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기타 탄성 중합체 또는 신장 가능한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적절한 물질들이 아래 개시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306)의 복수개의 층들은 적절한 압출 금형으로부터 동시 압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 층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탄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는 압출-결합된 라미네이트(102)를 형 성하기 위해, 도 1에 예시된 장치(100)의 그것과 유사하게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4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도 4에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요소들은 도 1에 예시된 것들과 동일하고, 참조 번호들은 도 1의 그것에 대응하지만, 400, 402 등으로 수정된다. 따라서, 도 4의 실시 형태는 장치(400)이 횡 방향으로 라미네이트(402)를 신장시키는 추가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의 실시 형태와 유사하다. 도 4에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한 벌의 롤러들(434, 436)은 횡 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라미네이트(402)를 활성화시키도록 배열되어, 활성화된 라미네이트(438)를 형성한다. 롤러들(434, 436)은 표면 상에 인터메싱 파문 또는 사선 톱니에 의해 횡 방향으로 라미네이트(402)를 신장시킨다. 횡 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활성화는 임의의 단계이다. 예를 들면, 탄성 중합체 필름에 적층될 때 부직포 웹이 탄성인 경우 어떠한 활성화도 필요치 않다.
도 5는 도 4의 직선 5-5를 따라 취한, 도 4에 도시된 한 벌의 롤러들(434, 436)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에서, 롤러들(434, 436)은 라미네이트가 이 롤러들(434, 436) 사이로 통과할 때 라미네이트(402)에 횡-방향 신축을 부여하는 롤러 표면들 상에 인터메싱 파문 또는 톱니를 갖는다. 적절한 횡-방향 신장 장치가 미합중국 특허 제5,86592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라미네이트의 횡-방향 신장과 관련한 개시 내용을 본원에 참조 문헌으로서 인용한다.
따라서, 일 실시 형태에서, 라미네이트는 횡 방향(CD)으로 신장되어 CD 신장된 라미네이트를 형성한다.
횡-방향 신장의 하나의 특정 실시 형태가 도 4 및 5에 예시되어 있지만,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그러한 신장 방법은 라미네이트가 횡 방향으로 신장되기를 희망하는 적절한 실시 형태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한 횡-방향 신장 방법들은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되어 있고, 그들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이 라미네이트는 약 0.25밀 내지 약 10밀(약 6㎛ 내지 약 250㎛) 사이의 게이지 또는 두께를 갖는 탄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필름 두께는 약 3밀 내지 약 8밀(약 76㎛ 내지 약 203㎛)의 범위이고,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필름 두께는 약 4밀 내지 약 6밀(약 102㎛ 내지 약 152㎛)의 범위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부직포 웹은 제곱 미터당 약 5 그램(g/m2) 내지 약 75 g/m2의 중량을 갖고, 일 실시 형태에서 약 10 g/m2 내지 약 50 g/m2의 중량을 갖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20 g/m2 내지 약 40 g/m2의 중량을 갖고, 일 실시 형태에서, 약 30-31 g/m2의 중량을 갖는다.
따라서, 이 라미네이트는 탄성 중합체 필름의 적층된 층들 및 부직포 재료 층들의 두께의 합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더 작은 전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중량은 부가되어야 하지만, 그 두께는 탄성 중합체 필름 및 부직포의 일부 흡수 및 상호 혼합으로 인해 부가제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
부직포 웹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류, 레이온, 셀룰로스, 나일론의 섬유들 및 그러한 섬유들의 블렌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직포 웹들에 대한 많은 정의들이 제안되고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부직포 웹은 보풀 세워진 폴리프로필렌이고, 상표명 PROSOFT로 RKW AG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것은 예를 들면 31 g/m2의 중량으로 입수된다. 본원에 사용될 수 있는 바의 그러한 부직포들의 섬유들은 보편적으로 스테이플 섬유들 또는 연속 필라멘트들이고, 일반적으로 함께 열적으로 결합되어 웹을 형성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의 "부직포 웹"은 비교적 편평하고, 가요성 및 다공성이고, 스테이플 섬유들 또는 연속 필라멘트들로 구성된 일반적인 평면 구조물을 정의하기 위해 그의 포괄적 의미로 사용되고, 열적으로 결합되어 부직포 웹을 형성한다. 부직포들의 세부적인 설명을 위해, E.A. Vaughn에 의한 "Nonwoven Fabric Primer and Reference Sampler" (부직포 공업 협회, 3판(1992)) 참조. 부직포 물질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보풀 세워지고, 방적 결합되고, 습윤 꼬임, 공기중 꼬임 및 용융 취입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부직포 웹으로서 언급되었지만, 라미네이트의 외부 "부직포" 층들 중의 하나 또는 모두는 탄성 직포 등의 신장 가능하거나 또는 확장 가능한 직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부직포 웹은 탄성 부직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탄성 중합체 수지들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수지는 일반식 A--B--A' 또는 A--B를 갖는 비닐 아렌-함유 블록 공중합체이고, 여기서 A 및 A'는 각각 폴리(비닐 아렌) 등의 비닐 아렌 모이어티를 함유하고, 비닐 아렌은 예를 들면 스티렌일 수 있는 열가소성 중합체 엔드블록이고, B는 이소프렌, 부타디엔 또는 에틸렌-부틸렌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등의 콘쥬게이트된 디엔 또는 저급 알켄 중합체 등의 탄성 중합체 폴리머 미드블록이다. 이 블록 공중합체는 삼중 블록 또는 이중 블록일 수 있거나, 또는 보다 종종 삼중 블록 및 이중 블록 공중합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A--B--A' 타입의 블록 공중합체들은 A 및 A' 블록들에 대해 상이하거나 또는 동일한 열가소성 블록 중합체들을 가질 수 있고, 현존하는 블록 공중합체들은 선형, 분지 및 방사상의 블록 공중합체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방사상의 블록 공중합체들은 (A--B)m-X로 지정될 수 있고, 여기서, X는 다중 기능성 원자 또는 분자이고, 각각의 (A--B)m-은 A가 엔드블록인 방식으로 X로부터 방사된다. 방사상의 블록 공중합체에서, X는 유기 또는 무기 다중 기능성 원자 또는 분자일 수 있고, m은 X에 원시적으로 존재하는 기능기와 동일한 값을 갖는 정수이다. 그것은 보편적으로 적어도 3이고, 빈번하게는 4 또는 5이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사중 블록 공중합체들, A--B--A'--B'(여기서 A 및 A', 및 B 및 B' 각각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음) 역시 본 발명의 탄성 중합체에 유용한 블록 공중합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블록 공중합체" 및 특히 A--B--A' 및 A--B 블록 공중합체라는 표현은 상기 고찰된 바와 같이 고무 블록들 및 열가소성 블록들을 갖는 모든 블록 공중합체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고, 블록들의 수에 관한 제한 없이, (예, 용융 취입 및 시트 형성에 의해) 압출될 수 있다. 탄성 중합체 필름은 임의의 적절한 폴리비닐 아렌) 및 폴리(콘쥬게이트된 디엔) 또는 폴리(올레핀)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예를 들면 탄성 중합체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폴리스티렌)(SEBS) 블록 공중합체들 및(또는) (폴리스티렌/폴리(부타디엔)/폴리스티렌)(SBS) 블록 공중합체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탄성 중합체 공중합체들의 상업적 예들은 예를 들면 KRATON® 물질들로서 공지된 것들, 예를 들면 텍사스 휴스턴 소재 KRATON 폴리머스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KRATON G-1657이다. KRATON® 블록 공중합체들은 각종 상이한 포뮬러 번호들 및 등급들로 입수할 수 있다. 적절한 탄성 중합성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배합된 조성물은 스웨덴 아말 소재 VTC 엘라스토테크닉 AB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DRYFLEX® 938115이다. DRYFLEX® 938115는 SEBS 및 기타 중합체들의 적절한 블렌드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는 블록 공중합체들은 선형, 방사상 또는 별모양 구조를 갖고, 일반적으로 AB 또는 ABA 블록 공중합체들이라는 용어를 갖는 것으로 형성되는 A 블록들 및 B 블록들을 갖는 열가소성 블록 공중합체들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A 블록은 비닐 아렌, 주로 폴리스티렌이고, 약 4,000 내지 약 50,000의 분자량을 갖고, 일 실시 형태에서, 약 7,000 내지 약 30,000의 분자량을 갖는다. 다른 적절한 A 블록들은 알파-메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t-부틸 스티렌 및 기타 고리 알킬화된 스티렌류 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A 블록 함량은 약 5% 내지 약 30%이고, 일 실시 형태에서 블록 공중합체의 약 10% 내지 약 25%이다. 여기서, 명세서 전반의 다른 부분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와 마찬가지로, 범위 및 비율의 수치 제한들이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에서 명확히 진술되지 않더라도, A-블록 함량의 약 5% 내지 약 25% 범위가 명세서에 포함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B 블록은 약 5,000 내지 약 500,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고, 일 실시 형태에서는 약 50,000 내지 200,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 등의 콘쥬게이트된 디엔으로부터 유도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B 블록은 블록 공중합 후 수소 첨가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ABA 삼중 블록 및 AB 이중 블록 공중합체들은 탄성 중합체 필름의 블록 공중합체 탄성 중합체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이중 블록의 백분율은 블록 공중합체의 약 95% 미만이고, 일 실시 형태에서 약 85% 미만, 일 실시 형태에서 약 75% 미만이다. 다른 종래의 디엔 탄성 중합체들은 소량의 정도로 사용될 수 있지만, 탄성 중합체 특성들에 현저하게 영향을 미치지는 못한다.
스티렌 및 이소프렌의 ABA-타입 공중합체들의 특정 실시예들은 Kraton사로부터의 KRATON® 1107 및KRATON® 1117 및 Fina 케미컬 컴퍼니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30중량%의 스티렌 함량을 갖는 스티렌 부타디엔 블록 합성 고무(Finaprene 411)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A 블록, 예를 들면 블록 공중합체의 비닐 아렌 함량이 약 40% 이하인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A 블록 함량은 약 38% 이하이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 A 블록 함량은 약 30% 이하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A 블록 함량은 약 25% 이하이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 A 블록 함량은 약 20% 이하이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블록 공중합체들로 유용한 에틸렌-프로필렌 및 에틸렌-부틸렌 함유 블록 공중합체들은 폴리(비닐 아렌) 엔드블록들을 갖는다. 이 엔드블록들은 스티렌 및 기타 비닐 아렌, 예를 들면 알파 메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SEPS)는 Kraton 폴리머스사가 제조한 KRATON® RP-6906이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 스티렌 에틸렌-부틸렌 블록 공중합체(SEBS)는 Kraton 폴리머스사가 제조한 KRATON® G-1657 공중합체이다. 다른 공중합체들은 에틸렌-프로필렌 및 에틸렌-부틸렌 기들이 블록 공중합체의 미드블록으로서 작용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B는 에틸렌-프로필렌 또는 에틸렌-부타디엔 등의 탄성 중합체 수소 첨가된 올레핀이고, 약 5,000 내지 약 500,000, 일 실시 형태에서 약 50,000 내지 약 200,00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약 65중량%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 필름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약 70중량% 이상,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75중량%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물질의 전체 비닐 아렌(예, 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 등, 블록 공중합체 및 임의의 부가된 폴리(비닐아렌) 모두로부터 얻어짐) 함량은 약 30% 미만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약 30% 이하의 전체 비닐 아렌 함량을 유지하는 것은 비닐 아렌의 존재로 인해 강도 및 압출 능력의 개선된 조합을 제공하면서, 부직포 물질에 대한 양호한 결합 및 탄성 및(또는) 신출성을 제공 하고, 탄성 중합체 물질의 블록 공중합체 중에 충분한 양의 고무질 미드블록을 갖는 것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비닐 아렌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 라미네이트의 인장 시험이 아래 개시되는 바와 같이 신장 인장기의 InstronTM 모델 5500R 일정 속도를 사용하여 ASTM D882 등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때 더 큰 모듈러스(응력)가 얻어진다. 비닐 아렌 함량이 너무 낮은 경우, 라미네이트는 충분히 강하지 않고, 탄성 중합체 물질들은 압출시키기가 더욱 어렵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공정 보조제로서 블록 공중합체에 부가되는 폴리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폴리(비닐톨루엔), 폴리(t-부틸스티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가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당업계의 숙련자들에 의해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그러한 부가제들은 점성 강화제들이 아니고, 점성 강화제로서 기능하지 않고, 이들 부가제들의 부가는 탄성 중합체 필름에 대한 점성 강화제의 부가를 구성하지 않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부가제는 공정 보조제로서 작용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부가제는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에 대한 탄성 중합체 필름의 접착성 및 유동학 중의 하나 이상을 개선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본원 발명자들은 비닐 아렌(들) 및 일부 실시 형태들에서, 블록 공중합체 및 임의의 부가된 비닐 아렌 및(또는) 기타 공정 보조제 모두에서 기타 부가제들의 함 량은 부직포 웹에 대한 탄성 중합체 필름의 접착성 및 유동학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닐 아렌류는 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 또는 기타 α-알킬스티렌류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높은 수준의 비닐 아렌에 의해 생산된 물질들은 양호한 유동학을 갖지만, 일부 부직포 물질들과 혼용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면 낮은 수준의 비닐 아렌을 갖는 물질들은 부직포 재료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을 갖지만, 불량한 유동학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고, 낮은 용융 강도 또는 서징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특성들을 나타낸다.
일 실시 형태에서, 부가제는 탄성 중합체의 약 5중량%에 이르는 양으로, 폴리스티렌 및 폴리-α-메틸스티렌의 하나 이상과 같은 폴리(비닐아렌)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부가된 폴리비닐 아렌의 양은 약 1% 내지 약 4중량% 범위이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의 약 2% 내지 약 3중량% 범위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부가제는 탄성 중합체의 약 20중량%에 이르는 양으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탄성 중합체의 약 5% 내지 약 15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약 8% 내지 약 28중량%, 다른 실시 형태에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약 10 내지 20중량% 범위의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독립적으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폴리(비닐 아렌) 모두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신장 파열될 때, 라미네이트는 파열 전에 층 분리되지 않 는다. 이러한 특징은 이전에 공지된 라미네이트들과 상당히 상이하고, 보편적으로 약 150% 내지 약 250% 신장율 범위의 일부 신장율로, 탄성 중합체 필름은 층 분리에 후속한 탄성 중합체 파열에 의해서 및 층 분리 후 응력의 감소에 의해 파열 전에 부직포 웹 층들로부터 층 분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형태들에 따라, 파열 전에 실질적으로 어떠한 층 분리나 신장도 없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는 표준 시험 방법들에 따라 시험되었을 때 파열 전에 층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인장 시험이 신장 인장기의 InstronTM 모델 5500R 일정 속도를 사용하여 ASTM D882 등의 방법에 따라 수행될 때, 라미네이트는 층 분리 없이 파열되기까지 신장된다. 이 시험에서, 라미네이트는 활성화 전에 또는 활성화 후에 기계(압출)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시험될 수 있다. 시료는 라미네이트의 횡 방향인 길이 방향으로 35 mm 폭 x 76 mm 길이로 라미네이트로부터 절단된다. 이 시료는 76 mm의 초기 턱(jaw) 분리에 의해 시험기의 턱들에 설치된다. 시료의 파단점에 도달할 때까지 턱들은 51 cm/분의 속도로 분리된다. 100%의 파단 신장율에서 부하가 기록된다. 100% 부하 도달 후,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트 시료는 항복점(순간적인 응력이 신장에 의해 감소되는 지점)을 나타내지 않고, 보편적으로 부직포 층(들)이 편재된 영역에서 파열될 때 및(또는) 부직포 층들이 탄성 중합체 필름층으로부터 층 분리되는 경우에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인장 시험 동안 관찰된 응력은 시료가 파열될 때까지 증가되도록 구성되고, 파열 전에 어떠한 층 분리나 응력의 감소도 없다.
일 실시 형태에서, 라미네이트는 약 250% 이상,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300% 이상의 파단 신장률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파단 신장율은 약 250% 이상이고, 라미네이트는 실질적으로 파열 전에 층 분리되지 않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파단 신장율은 약 300% 이상이고, 라미네이트는 파열 전에 실질적으로 층 분리되지 않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라미네이트는 인장 강도의 현저한 손실 없이 반복적으로 약 100% 이상의 신장율로 신장될 수 있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200% 이상의 신장율, 다른 실시 형태에서, 약 250% 이상의 신장율로 신장될 수 있다. 그러한 신장 후, 일 실시 형태에서, 라미네이트는 회수되고, 즉 그의 원래 길이의 20% 이하의 증가된 백분율로, 다른 실시 형태에서 그의 원래 길이보다 약 10% 이하, 또는 이상의 증가된 백분율 내로 복원된다. 이는 신장 후, 이완에 따라, 신장된 시료의 길이는 그의 원래 길이보다 20% 이상, 또는 10% 이상(반복적으로)의 길이로 복원된다. 반복적이라는 것은 재료가 적어도 2회 내지 약 5회 이상 신장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본질적으로 단일층을 구성된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단일층으로 압출되고, 라미네이트는 2개의 부직포 웹 층들 사이에서 그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탄성 중합체 필름의 단일층 만을 함유한다.
상기한 바의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그러한 실시 형태에서, 도 3에 관하여 상기한 것들과 같이, 복수개의 층들은 각각의 탄성 중합체 필름과 그것이 결합된 부직포 웹 사이의 다른 물질의 어떠한 개입층도 없이 각각의 부직포 웹 층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탄성 중합체 필름(상기한 바)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복수개의 층들은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이기도 한 적어도 하나의 내부층을 포함하지만, 이는 상기 블록 공중합체들과 상이한 물질로 형성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층은 탄성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초저밀도 탄성 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예를 들면 "단일-부위" 또는 메탈로센 촉매 반응 방법들에 의해 생산된 것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중합체들은 상표명 ENGAGE® 하에, 미시건주 미드랜드 소재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고, "Elastic Substantially Linear Olefin Polymers"라는 표제로 Lai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5,278,272호 및 동 제5,272,236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양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5,539,056호 및 Resconi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5,596,052호(이들 실체로 참고 문헌으로서 본원에 인용됨)에 개시된 특정 탄성 중합체 프로필렌류, 및 텍사스주 휴스턴의 Exxon사로부터 입수하는
EXACT®4049, 4011 및4041 뿐만 아니라, 미시건주 미드랜드의 다우 케미컬사로부터 AFFINITYOR® EG8200 등의 폴리에틸렌류 뿐만 아니라 이들의 혼합물들도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라미네이트를 제고하는 공정의 일 실시 형태에서, 이 공정은 2개의 부직포 웹 층들 사이에서, 일 실시 형태에서 이들 2 층들 중의 적어도 하나와 접촉함에 따라 탄성 중합체 필름의 단일층을 압출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다중층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공정은 제1 및 제2 외부 층들 및 제1 내부 층을 갖는 다중층 탄성 중합체 필름을 압출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적어도 제1 및 제2 외부 층들은 부직포 웹 층들에 직접 결합된 탄성 중합체 필름들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필름은 폴리-α-올레핀 층이 실질적으로 없다. 즉, 이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층과 부직포 웹 층 사이에 어떠한 폴리올레핀 층도 없다.
일 실시 형태에서, 라미네이트는 이 라미네이트의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확장하는 섬유들이 실질적으로 없다. 즉, 일 실시 형태에서, 부직포 웹 층은 웹 평면 내에서 실질적으로 섬유들을 포함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서, 이 웹은 처리되지 않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섬유들이 웹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확장하게 하도록 변경된다. 그러한 처리는 때때로 부직포 웹과 인접한 층들 사이의 접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및/또는 섬유들의 로프트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라미네이트는 도 6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아래 개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 클로저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 관하여 아래 개시된 일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은 추가로, 제1 주요 대향면 및 제2 주요 대향면을 갖고, 적어도 한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 및 상기 제1 주요 대향면 및 상기 제2 주요 대향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도포된 적어도 하나의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기저귀 클로저에 관한 것 으로, 여기서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는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주요 부분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 층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탄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고, 탄성 중합체 필름은 이 탄성 중합체 필름의 전체 비닐 아렌 함량이 약 30% 이하인 비닐 아렌-함유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이 탄성 중합체 필름은 점성강화제의 점성증진량이 실질적으로 없다. 기저귀 클로저에 유용한 라미네이트들은 상기 완전히 개시된 것들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중합체 라미네이트는 아베이 데니슨 코포레이션사의 특수 테잎 분과에서 입수할 수 있는 미리 조합된 탄성 기저귀 테잎 시스템인 Avery DennisonTM Y9757C Wave C 내로 혼입된다. 이 시스템의 예는 도 6에 도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라 라미네이트(602)를 포함하는 기저귀 클로저 등의 구조물(600)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 구조물(600)은 제1 부직포 웹 층과 제2 부직포 웹 층 사이에 샌드위치된 탄성 중합체 층을 포함하는 압출-결합된 라미네이트(602)를 포함한다. 라미네이트(602)에 의해 형성된 탄성 존 외에, 이 구조물(600)은 부직포 존(640), 방출 테잎(642), 및 접착제 또는 훅 요소(644)를 포함한다. 이 탄성 중합체 필름 층은 상기 소자들 중의 임의의 것, 예를 들면 단일층 또는 복수개의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기저귀 클로저 시스템(600)은 사용중인 기저귀 클로저를 전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핑거-리프트 또는 그립(646)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테잎(642)은 접착제 층(648)을 구비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방출 테잎(642)은 기판, 예를 들면 기저귀 또는 기타 디바이스에 접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부직포 존(640)은 정전기적으로 용접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기판에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방출 테잎(642)은 접착제층(648) 이외의 수단에 의해 기판에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기저귀 클로저 시스템은 기판에 2 위치에서 결합되거나 또는 단단히 접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 웹(640)은 당업계에 공지된 바의 임의의 적절히 선택된 부속 장치에 의해 라미네이트(602)의 단부 및 방출 라이너(642)에 적절히 부착될 수 있다. 이 라미네이트(602)의 제2 단부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임의의 적절히 선택된 부속 장치에 의해 훅 또는 접착제 존(644)에 유사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6에 예시된 실시 형태에서 훅 또는 접착제 존(644)은 훅 소자, 예를 들면 훅-및-고리 클로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이 존(644)은 아래 개시된 바와 같이 압력-민감성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훅 요소(644)는 직포 브러쉬된 직물들, 잠금 루프 직물들 및 부직포 루프 물질들 등의 각종 루프 물질들에 부착될 때 큰 박리 강도 및 큰 전단 강도를 제공한다.
접착제층(648)에 대해 또는 그 존(644)이 접착제를 포함하는 실시 형태에 대해, 각종 압력-민감성 접착제들은 고온-용융된 접착제들, 물-기재 접착제들 및 용매-기재 접착제들을 포함하는 것들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접착제 조성물들은 예를 들면 "Adhesion and Bonding" (Encyclopedia of Polymer Science and Engineering, 1권, 476-546페이지, 인터사이언스 퍼블리셔, 제2판, 1985)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한 조성물들은 일반적으로 주성분으로서 천연 고무, 재생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또는 스티렌 이소프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비닐 에테르) 또는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의 접착제 조성물을 함유한다. 예를 들면 로진 에스테르류, 오일-가용성 페놀릭스, 또는 폴리테르펜을 포함하는 수지 점성 강화제; 항산화제들; 미네랄 오일 또는 액체 폴리이소부틸렌류 등의 가소제; 및 산화 아연 또는 수화된 알루미나 등의 충전제들 등의 기타 물질들이 압력-민감성 접착제 조성물들에 포함될 수 있다. 적절한 항산화제는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스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IRGANOX® 1010이다.
본 발명의 탄성 중합체 필름을 포함하는 기저귀 클로저들에 유용한 압력-민감성 접착제는 고온-용융된 고무-기재 물질들 또는 아크릴계-기재 물질들일 수 있다. 고온 용융 접착제들의 예는 공중합체들의 점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Korpman의 미합중국 특허 제4,080,348호에 개시된 바의 탄화 수소 수지 또는 수지 에스테르들과 조합될 수 있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들을 포함한다. 고온-용융된 압력-민감성 접착제들을 기재하는 다른 특허들은 미합중국 특허 제3,676,202호, 동 제3,723,170호, 및 동 제3,787,531호를 포함한다.
유용한 아크릴계 압력-민감성 접착제들은 전형적으로 연쇄 종결제들의 존재하여 벌크 중합 반응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들이다. 압력-민감성 아크릴계 접착제들을 형성하는데 유용하 전형적인 단량체들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유용한 압력-민감성 접착제들의 특별한 예들은 오하이오주 페인스바일 소재 Fasson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S-490 접착제; 명칭 S-2176 접착제로 Fasson사로부터 역시 입수할 수 있는 고온 용융 점성 강화된 Kraton-기재 접착제(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용매-기재 스티렌-부타디엔 접착제 등의 아크릴-기재 에멀젼류를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라미네이트 제조 공정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1개 이상의 섹션들 내로 라미네이트를 절삭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횡 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활성화시킨 결과로서, 섹션들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신장 가능하고, 신장력신장력방향을 이루어진다. 일 실시 형태에서, 섹션들은 탄성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부직포 물질은 탄성 물질로써, 횡 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활성화는 필요 없고, 수행되지 않는다. 즉, 일 실시 형태에서, 횡-방향 신장은 라미네이트가 횡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게 하는 한편, 다른 실시 형태들에서, 신장 가능하거나 또는 탄성인 부직포 물질이 사용되기 때문에 횡 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어떠한 활성화 단계도 없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라 기저귀 탭을 제조하는 공정의 개략도이다.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702)는 활성화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횡 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서 임의로 활성화될 수 있고, 횡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대안으로, 라미네이트(738)는 이미 탄성일 수 있고, 그것은 이미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그러한 스트레칭에 의해 활성화될 필요가 없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및(또는) 활성화된 라미네이트는 횡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일 실시 형태에서, 탄성 및(또는) 활성화된 라미네이트(738)는 상대적으로 넓은 필름 상에 형성되고, 이는 감겨질 수 있다. 이어서, 필름의 롤 또는 감기 전의 필름은 복수개의 보다 좁게 라미네이트된 필름들 또는 스트립들(740)을 형성하기 위해 기계 방향으로 슬릿을 가질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다. 이후, 더 좁게 라미네이트된 필름 또는 스트립(740)은 예를 들면 기저귀 탭들을 제조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1개 또는 2개의 적절한 기판들(742 및(또는) 744)에 부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형태에서, 라미네이트(740)는 2개의 적절한 기판들(742, 744)에 부착되고, 이어서 도 7에 나타낸 바의 탄성을 갖는 기저귀 탭들(750)을 형성하기 위해 횡 방향으로 절개된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형태에서, 라미네이트(740)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중의 하나를 통해 기판(742 및 744)에 부착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기판에 라미네이트를 부착시키는 하나의 단부는 부속 장치를 제공하는 웹에 부착되고, 하나의 그러한 실시 형태에서, 도 8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부속 장치 제공 웹은 부직포 웹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라미네이트가 부착되고,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기저귀 클로저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형성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라미네이트는 기저귀 클로저 내로 혼입되고, 기저귀인 기판에 부착 및(또는) 접착된다.
다음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은 제한 없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다음 8개의 제형들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의 대표이다. 8개의 제형들 각각에 대한 응력/변형 그래프들은 도 8-15에 도시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조합된 성분들은 성분들의 혼합물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에서 적절한 압출기를 통해 압출되고, 부직포 물질의 2개의 층들에 및 그 사이에 예를 들면 도 1 또는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다. 주지된 것을 제외하고는 아래 제공된 모든 실시예들에서, 부직포 물질은 독일 웜스 소재 RKW AG Rheinische Kunststoffwerke사로부터 상표명 PROSOFT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31 g/m2의 보풀 세워진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웹이다. 이러한 부직포 물질이 여기에 사용되었지만, 그것은 단지 전형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것 이외의 임의의 특정 부직포 물질로 제한되지 않음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이한 중량을 갖고, 당업계에 공지된 상이한 물질들로 형성된 부직포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에서, 도시된 정량들은 중량부 또는 중량%(wt%)이다.
성분 배합
제형들 1-7에 대해, 분말 형태로 공급된 KRATON® G1650은 먼저 이들의 원시 입자들 내로 임의의 연관된 분말들의 덩어리들에서 벗어나 분해시키기 위해 그라인더에 부가된다. 이어서, STYRON® 695 및 ELVAX® 460의 펠렛들은 균일한 혼합물을 형성하도록 KRATON® G1650 재료 내로 블렌딩되고, 마지막으로 프로세스 오일이 혼합물 내로 부가된다. 이와 같이 얻어진 혼합물은 압출기에 의해 필름 내로 가공되기 전에 적어도 3시간 동안 조건 처리된다(오일-담금).
탄성 중합체 필름의 압출
일 실시 형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화합물(예, 제형 1-7) 또는 일 실시 형태에서, 상용 소스로부터 얻어진 화합물(예, 제형 8)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들에 의해, 그의 용융점 또는 연화점보다 더 높은 온도로 그것을 압출시킴으로써 필름 내로 가공된다. 배합된 제형들은 일반적으로 SBS 및(또는) SEBS 물질들에 적절한 전형적인 압출기 및 금형 셋업에 의해 필름들 내로 가공된다. 일 실시 형태에서, 범용 스크류를 갖는 단일 스크류 압출기 및 비교적 긴 "랜드"를 갖는 코트 행거형 대칭 압출 금형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용융 온도는 특정 화합물의 용융 점도에 따라 380℉ 내지 410℉(약 193℃ 내지 약 210℃) 범위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압출기 헤드 압력은 약 1500 psi 이상을 유지된다.
제형 1 (전체 스티렌 함량 24%)
KRATON® G1650 80
STYRON® 695 0
ELVAX® 460 0
프로세스 오일 20
제형 2 (전체 스티렌 함량 31%)
KRATON® G1650 70
STYRON® 695 10
ELVAX® 460 0
프로세스 오일 20
제형 3 (전체 스티렌 함량 38%)
KRATON® G1650 60
STYRON® 695 20
ELVAX® 460 0
프로세스 오일 20
제형 4 (전체 스티렌 함량 24.5%)
KRATON® G1650 65
STYRON® 695 5
ELVAX® 460 10
프로세스 오일 20
제형 5 (전체 스티렌 함량 35%)
KRATON® G1650 50
STYRON® 695 20
ELVAX® 460 10
프로세스 오일 20
제형 6 (전체 스티렌 함량 18%)
KRATON® G1650 60
STYRON® 695 0
ELVAX® 460 20
프로세스 오일 20
제형 7 (전체 스티렌 함량 35.5%)
KRATON® G1650 35
STYRON® 695 25
ELVAX® 460 20
프로세스 오일 20
제형 8
DRYFLEX® 938112 100%
상기 실시예들에서, KRATON® G1650은 Kraton Polymers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100% 삼중 블록 SEBS 및 30% 스티렌 물질이고; STYRON® 695는 다우 케미컬 컴퍼니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1005 함량의 폴리스티렌이고; ELVAX® 460은 E.I. 듀퐁 드 네머스 및 Co., Inc.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이고; 프로세스 오일은 세브론-텍사코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파라핀 오일인 PARALUX® 6001R이다. DRYFLEX® 938112는 VTC Elastoteknik AB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독점의 SEBS-기재 배합된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 생성물이다.
제형들 1-8 각각은 상기 부직포 물질의 2개의 층들 사이에서 압출되고, 라미네이트들 각각은 약 0.25 내지 약 0.65 mm 범위의 전체적인 두께를 갖는다. 제형들 1-8이 InstronTM 모델 5500R에서 시험될 때, 도 8-15에 나타낸 바의 결과들이 얻 어진다. 각각의 제형들 1-8 각각에 대해 도 8-15에서 그래프들 각각에 주지된 시험편들(S1-S3 또는 -S4)은 mm로 다음 두께를 갖는다.
제형 S1 S2 S3 S4
#1 0.3 0.4 0.35
#2 0.34 0.34 0.375
#3 0.3875 0.3 0.29 0.4
#4 0.41 0.405 0.405
#5 0.39 0.3875 0.46
#6 0.3625 0.3625 0.31
#7 0.625 0.59 0.575
#8 0.26 0.26 0.26
도 8-15의 그래프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시험 동안, 파열 전에 신장율의 함수로서 힘이 강하되거나 감소되지 않는다. 이는 그 결합이 탄성 중합체 필름과 탄성 중합체 웹에 적층되는 부직포 층들 사이에서 양호하다. 결합이 신장되는 동안 양호하지 않은 경우, 부직포 물질은 탄성 중합체 필름으로부터 층 분리되고, 파열되어, 파열 전에 신장율의 함수로서 힘의 강하를 초래한다.
다른 실시예들 군에서, 부직포 층 또는 층들은 다음 표의 "생성물" 컬럼에 열거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물질들로 제조된 탄성 중합체 웹에 적층된다. DRYFLEX® 938112가 상기한 바와 같이 식별된다. THERMOLAST K® HTD8758/04는 Kraiburg TPE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독점 배합된 SBS 탄성 중합체 물질이다. KRATON® G2832는 Kraton 폴리머스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독점의 배합된 SEBS 탄성 중합체 물질이다. 응력/변형이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시험되었을 때, 표에 도시된 결과들은 다음 라미네이트들에 대해 얻어진다.
제품 특성 부직포 인장 강도 (N/35mm) 파단 신장율(%) 부직포 층 분리
DRYFLEX® 938112 SEBS 1×20 g/m2 27.02 778 no
DRYFLEX® 938112 SEBS 1×31 g/m2 31.57 279 no
DRYFLEX® 938112 SEBS 2×31 g/m2 51.67 232 no
THERMOLAST K® HTD8758/04 SBS 1×31 g/m2 30.06 316 Yes
KRATON® G2832는 SEBS 1×31 g/m2 47.91 246 no
KRATON® G2832는 SEBS 2×31 g/m2 55.8 223 no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의 세트에서, 120 g/m2의 중량을 갖는 탄성 중합체 필름 물질은 압출-결합된 라미네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31 g/m2의 중량을 갖는 부직포 물질의 단일 층에 적층되었다. 응력/변형이 상기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되었을 때, 표에 도시된 결과들이 이들 라미네이트들에 대해 얻어진다.
필름 층 분리시의 힘 (N/35mm) 층 분리시 신장율 (%) 파열시의 힘 (N/35mm) 파단 신장율(%)
DRYFLEX® AD4 (SBS) 14 232 18 1376
DRYFLEX® AD5 (SBS) 15.4 237 22.4 1244
DRYFLEX® AD6 (SBS) 16.8 354 22.4 1179
이들 실시예들에 사용된 DRYFLEX® AD4, AD5 및 AD6는 VTC Elastoteknik AB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독점의 배합된 SEBS 제형들이다.
다른 실시예들의 세트에서, 탄성 중합체 층의 측면들로 적층되는 부직포 물질의 2개의 층들을 포함하는 삼중 라미네이트 각각은 상기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부직포 물질로 적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험되었을 때, 다음 인장 강도 및 파 단 신장율이 얻어진다.
DRYFLEX® 938115 + 2 x 31 gsm 부직포
인장 강도: 48.2 N/35mm
파단 신장율: 1232%
DRYFLEX® AD23 + 2 x 31 gsm 부직포
인장 강도: 50.9 N/35mm
파단 신장율: 1178%
DRYFLEX® AD24 + 2 x 31 gsm 부직포
인장 강도: 58.8 N/35mm
파단 신장율: 1270%
이들 실시예들에 사용된 DRYFLEX® 938115, AD23, 및 AD24는 VTC Elastoteknik AB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독점의 배합된 SEBS 제형들이다.
본 발명을 다양한 그의 실시예들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그의 여러가지 변형들이 본원 명세서를 읽게 되는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할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본 발명은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변형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됨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3)

  1.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주요 부분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 층(114, 214, 314, 414)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탄성 중합체 필름(106, 206, 306)을 포함하고,
    상기 라미네이트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고, 약 250% 이상의 파단 신장율을 갖고, 파열 전에 층 분리되지 않고,
    상기 탄성 중합체 필름은 SEBS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중합체 필름은 점성 강화제의 점성 증진량이 실질적으로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102, 202, 302, 402, 602, 70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필름의 전체 비닐 아렌 함량은 약 30% 이하인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필름은 상기 블록 공중합체 필름의 약 65 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필름은 폴리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부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제는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에 대한 탄성 중합체 필름의 접착성 및 유동성 중의 하나 이상을 개선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인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필름은 이 탄성 중합체의 약 5중량%에 이르는 양으로 폴리스티렌 및 폴리-(α-메틸)스티렌 중의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 필름은 탄성 중합체의 약 20중량%에 이르는 양으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은 2개의 부직포 웹들(114, 214, 314, 414, 118, 218, 318, 418)을 포함하는 것인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은 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
  10. 제 1 항의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는 기저귀 클로저(600).
  11.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적어도 한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고, 약 250% 이상의 파단 신장율을 갖고, 파열 전에 층 분리되지 않는 것인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602); 및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중의 하나로부터 기판에 대한 부속 장치(attachment)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웹(640)을 포함하고,
    상기 압출 결합된 라미네이트(602)는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주요 부분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 층(114, 214, 314, 414)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탄성 중합체 필름(106, 206, 306)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중합체 필름은 SEBS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탄성 중합체 필름은 점성 강화제의 점성 증진량이 실질적으로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저귀 클로저(600).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장치를 제공하는 웹은 부직포 웹인 기저귀 클로저.
  13.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에 직접적으로 탄성 중합체 필름을 압출 결합시킴으로써 라미네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중합체 필름은 라미네이트의 적어도 주요 부분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부직포 웹들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탄성 중합체 필름은 SEBS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탄성 중합체 필름은 점성 강화제의 점성 증진량아 실질적으로 없고,
    상기 라미네이트는 약 250% 이상의 파단 신장율을 갖고, 파열 전에 층 분리되지 않는 것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압출-결합된 라미네이트의 생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를 횡 방향으로 신장시킴으로써 라미네이트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단계는 인터메싱(intermeshing) 롤러들 사이로 라미네이트를 통과 시킴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섹션들 내로 라미네이트를 절삭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섹션들은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로 신장 가능하고, 신장력은 횡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 및 제2 단부 중의 하나를 통해 기판에 라미네이트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라미네이트를 부착시키는 하나의 단부는 부속 장치 제공 웹에 부착되는 것인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 장치 제공 웹은 부직포 웹인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는 기저귀 클로저의 적어도 하나의 요소에 부착된 것인 방법.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결합은 탄성 중합체 필름의 단일층을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결합은 제1 및 제2 외부 층들 및 적어도 하나의 내부 층을 갖는 다중층 탄성 중합체 필름을 압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층들은 탄성 중합체 필름들인 방법.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부직포 웹은 탄성인 방법.
KR1020067027429A 2004-06-29 2006-12-27 탄성 중합체와 부직포 웹 사이의 결합이 개선된부직포-탄성 중합체 라미네이트 KR20070035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7429A KR20070035514A (ko) 2004-06-29 2006-12-27 탄성 중합체와 부직포 웹 사이의 결합이 개선된부직포-탄성 중합체 라미네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583,947 2004-06-29
KR1020067027429A KR20070035514A (ko) 2004-06-29 2006-12-27 탄성 중합체와 부직포 웹 사이의 결합이 개선된부직포-탄성 중합체 라미네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514A true KR20070035514A (ko) 2007-03-30

Family

ID=4365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7429A KR20070035514A (ko) 2004-06-29 2006-12-27 탄성 중합체와 부직포 웹 사이의 결합이 개선된부직포-탄성 중합체 라미네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55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1937A1 (de) 2007-07-10 2009-01-22 Samsung Electro - Mechanics Co., Ltd., Suwon Mehrstrahl-Laser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31937A1 (de) 2007-07-10 2009-01-22 Samsung Electro - Mechanics Co., Ltd., Suwon Mehrstrahl-Laservorrichtu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61229B1 (en) Nonwoven-elastomeric laminate with improved bonding between elastomer and nonwoven web
AU2014369364B2 (en) Post-bonded grooved elastic materials
US4789699A (en) Ambient temperature bondable elastomeric nonwoven web
RU2492840C2 (ru) Экструзионно-склееные ламинаты для абсорбирующих изделий
EP2675617B1 (en) Tear resistant laminate
JP5851104B2 (ja) 伸縮性積層シート
US20040197588A1 (en) High performance elastic laminates made from high molecular weight styrenic tetrablock copolymer
JP2001524405A (ja) 感圧接着剤層を有する多層フィルム
KR20020070524A (ko) 압출 결합된 부직포/탄성체 적층체
EP3078489B1 (en) Elastic laminate and article containing same
EP2076576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ppelseitigen haftklebebandes und seine verwendung
CN107532048B (zh) 拉伸层合体
WO2018180164A1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KR102356219B1 (ko) 강도와 탄성이 향상된 마이크로 질감의 다층 탄성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70632A (ko) 자가-접착 물품 및 이의 코팅된 우드칩 벽지 상의 접합을 위한 용도
CN116728919A (zh) 可横向延伸的非织造复合物
KR100528043B1 (ko) 이방성 탄성 필름 및 웨브
KR20070035514A (ko) 탄성 중합체와 부직포 웹 사이의 결합이 개선된부직포-탄성 중합체 라미네이트
US20220194048A1 (en) Elastic laminate
CN115485135A (zh) 弹性体层合物
JP6218513B2 (ja) 救急絆創膏用基材フィルム及び救急絆創膏
CA1334376C (en) Elastomeric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13727852A (zh) 多层共挤出膜和包括该多层共挤出膜的制品
JP2004338286A (ja) 粘着テープ用基材および粘着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