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4894A - Calling method using keyboard shortcut - Google Patents

Calling method using keyboard shortc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4894A
KR20070034894A KR1020050089543A KR20050089543A KR20070034894A KR 20070034894 A KR20070034894 A KR 20070034894A KR 1020050089543 A KR1020050089543 A KR 1020050089543A KR 20050089543 A KR20050089543 A KR 20050089543A KR 20070034894 A KR20070034894 A KR 20070034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hortcut
shortcut key
group number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5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31619B1 (en
Inventor
주정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619B1/en
Publication of KR20070034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8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6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축키 기능을 개인과 그룹으로 분할, 지정함으로써 단축키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발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단축키 눌림으로 확인되면 키 눌림이 소정 시간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키 눌림이 소정시간 이내로 짧다면 해당 단축키에 지정된 개인 번호를 표시부(140)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키 눌림이 소정 시간 이상 길다면 해당 단축키에 지정된 그룹 번호를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번호 또는 그룹번호가 표시된 상태에서 옵션 키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옵션키가 입력되면 개인 번호 또는 그룹번호 중 선택된 번호에 대한 서비스 목록을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하여 서비스 항목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와, 통화키가 눌리면 상기 서비스 항목을 참조하여 개인번호 또는 그룹번호 각각에 대한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mission method using a shortcut key, and 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shortcut key efficiency by dividing and designating a shortcut function into individuals and groups.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i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utgoing call of a mobile terminal, the step of confirming that the key press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key press is confirmed, and if the key press is shor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display unit (1)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shortcut key ( 140), if the key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displaying the group number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shortcut on the display unit 140, and checking the option key input in the state where the personal number or the group number is displayed. And receiving the service item selection by displaying the service list of the selected number of the personal number or the group number on the display unit 140 when the option key is input, and referring to the service item when the call key is press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the call for each number or group number.

Description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CALLING METHOD USING HOT KEY} Calling method using shortcut key {CALLING METHOD USING HOT KEY}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축키에 대한 옵션키 입력 시의 화면 예시도. Figure 2 is an exemplary screen when the option key for the shortcut ke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과정을 보인 동작 순서도. Figure 3 is an operation flowchart showing a transmission process using a shortcut ke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키 입력부 120 : 단말제어부 110: key input unit 120: terminal control unit

130 : 단축키처리부 140 : 표시부 130: hotkey processing unit 140: display unit

150 : 메모리부 160 : 단축키설정부 150: memory unit 160: hot key setting uni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mission method using a shortcut key.

일반적으로 이동단말기에서 단축키(hot-key)는 임의의 상대방과의 통화를 위해 해당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발신하도록 지정된 특정 기능키이다. In general, a hot-key in a mobile terminal is a specific function key designated to transmit a corresponding party's telephone number for a call with an arbitrary party.

즉, 사용자가 미리 단축키에 특정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지정하고, 이후 단축 키를 누르면 지정된 전화번호를 발신하게 된다. 이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여 전화를 거는 것에 비해 상당히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That is, when a user designates a specific user's telephone number in a shortcut key in advance, and then presses a shortcut key, the designated telephone number is transmitted. This provides a great convenience compared to making a call by directly entering the other party's telephone number.

종래의 단축 키 방식은 폴더를 열고 원하는 번호의 키를 길게 누르거나 원하는 번호를 누른 후 통화 버튼을 눌러 상대방을 호출하게 된다. In a conventional shortcut key method, a user opens a folder and presses a key of a desired number or presses a desired number and then calls a caller by pressing a call button.

단축키를 이용하기 전에 미리 폰북(phone book)에 전화번호를 등록 시에 단축키를 원하는 번호에 등록하여야 한다. Before using a shortcut key, when registering a phone number in a phone book, the shortcut key must be registered to the desired number.

우선, 단축키를 이용하여 개인에게 통화를 시도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First, the method of attempting a call to an individual by using a shortcut key will be described.

1. 원하는 단축키를 길게 누른다. 이에 따라, 단축키에 지정된 전화번호가 엘씨디에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전화번호를 발신하여 통화를 시도한다. 1. Press and hold the desired shortcut. Accordingly, the phone number specified in the shortcut key is displayed on the LCD and at the same time, the phone number is sent to attempt the call.

2. 원하는 단축키를 짧게 한번 누르고 통화 버튼을 누른다. 이에 따라, 단축키에 지정된 전화번호가 엘씨디에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전화번호를 발신하여 통화를 시도한다. 2. Press the desired shortcut key once and then press the call button. Accordingly, the phone number specified in the shortcut key is displayed on the LCD and at the same time, the phone number is sent to attempt the call.

한편, 근래에는 이동단말기로 음성 통화뿐 아니라, 단문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SMS(Short Message Service)와, 사진, 동영상, 오디오 등이 포함된 멀티 미디어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및 e-mail, Fax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Meanwhile, SMS (Short Message Service) enables mobile terminals to transmit / receive short messages as well as voice calls, and to transmit / receive multimedia messages including pictures, videos, and audio. Services such as 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e-mail, and fax are available.

그룹 SMS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식은 검색 키를 눌러 폰북 메뉴로 진입하고, 방향 키를 이용하여 해당 그룹을 찾는다. 이에 따라, 해당 그룹에 대해 그룹 SMS 서비스를 실행시킨다. In the method of supporting the group SMS service, press the search key to enter the phone book menu and use the direction keys to find the group. Accordingly, the group SMS service is executed for the group.

그러나, 종래의 단축키 방식은 동일한 방식을 롱 키 방식과 (단축키 + 통화 버튼) 방식의 2가지으로 지원함으로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hortcut key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efficiency is reduced by supporting the same method as a long key method and a (shortcut key + call button) method.

또한, 종래에는 그룹을 지정하는 방식이 있으나, 폰북과 다수의 버튼을 이용하여 해당 그룹을 찾아야 함으로 많은 시간이 허비됨은 물론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SMS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발신하고자 할 때 메뉴에서 메시지 서비스 및 발신 서비스를 검색하여 이동하고, 착신번호를 입력하는 등 다수의 키를 눌러야 함으로 많은 시간 소비가 허비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re is a method of designating a group, but by using a phone book and a plurality of buttons to find the group has a disadvantage that a lot of time is spent and efficiency is reduced. That is, in the related art, when a short message is to be sent using an SMS service, a large number of time is wasted because a number of keys must be pressed such as searching for a message service and an outgoing service on a menu, and entering a called number. .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단축키 기능을 개인과 그룹으로 분할, 지정함으로써 단축키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창안한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mission method using a shortcut key created to improve shortcut key efficiency by dividing and designating a shortcut function into individuals and groups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단축키 눌림으로 지정된 전화번호가 표시된 상태에서 옵션 키를 이용하여 해당 전화번호에 설정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be able to select a service set in the telephone number by using the option key in the state that the designated telephone number is displayed by pressing the shortcut key.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기의 발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단축키에 대해 개인번호 및 그룹번호를 지정하는 단계와, 단축키 눌림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단축키 눌림으로 확인되면 키 눌림이 소정 시간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키 눌림이 소정시간 이내로 짧다면 해당 단축키에 지정된 개인 번호의 발신을 지원하는 단계와, 상기 키 눌림이 소정 시간 이상 길다면 해당 단축키에 지정된 그룹 번호에 대한 발신을 지원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rigination of a mobile terminal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ep of specifying a personal number and a group number for one shortcut key, confirming whether the shortcut key is pressed, the key is pressed when the shortcut key is confirmed Checking whether the key is kept for a predetermined time; if the key press is shor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supporting a call of the personal number assigned to the shortcut key; and if the key press is longer than the predetermined time, dialing to the group number assigned to the shortcut ke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erform the steps to support the.

상기 과정 중 개인 번호 통신 단계는 단축키가 소정시간 이내로 짧게 눌리면 해당 키에 지정된 개인 번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개인 번호가 표시된 상태에서 옵션 키가 눌리면 해당 번호에 연계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목록 중 원하는 항목이 선택되고 통화버튼이 눌리면 해당 번호에 대해 선택한 서비스를 참조하여 통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The personal number communication step may include displaying a personal number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key when the shortcut key is shortly press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displaying a list of services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number when the option key is pressed while the personal number is displayed. When the desired item is selected from the service list and the call button is pressed,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reference to the selected service for the corresponding number is made.

상기 과정 중 그룹 번호 통신 단계는 단축키가 소정 시간 이상 길게 눌리면 해당 단축키에 지정된 그룹 번호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번호 중 임의의 번호가 선택되고 옵션 키가 눌리면 해당 번호에 연계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그룹 번호에 대한 서비스 항목 지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통화 버튼이 눌리면 상기 그룹 번호에 대해 현재 지정된 서비스를 참조하여 통신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The group number communication step of the process is to display the group number assigned to the shortcut key if the shortcut key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and if any number of the group number is selected and the option key is pressed, the service list associated with the number is displayed. And when a call button is pressed in a state in which service item designation for the group number is completed, communicating with reference to a service currently designated for the group number.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지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 설명들을 기재함은 물론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ferred embodiment.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number of specific details such as a specific processing flow as well as accompanying drawings to help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위한 단말기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 이, 키입력부(110), 단말제어부(120), 표시부(140), 메모리부(150), 단축키처리부(130) 및 단축키설정부(16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fo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rein, a key input unit 110, a terminal control unit 120, a display unit 140, a memory unit 150, and a shortcut key processing unit 130. And a shortcut key setting unit 160.

상기 키입력부(110)는 다수의 숫자 및 기능키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단말제어부(120)로 전달한다. The key input unit 1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numbers and function keys, and transmits data corresponding to the key selected by the user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120.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제어부(120)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동작 운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 및 단축키 입력에 관련된 정보(전화번호,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서비스 목록 등)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40 displays information generated in a terminal operation operation process input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120 and information related to a shortcut key input (phone number, service list for the corresponding phone number, etc.).

상기 메모리부(150)는 단말기 동작을 위한 알고리즘, 폰북, 단문메시지 및 단축키 정보 등을 저장한다. The memory unit 150 stores algorithms, phonebooks, short messages, shortcut keys, and the like for operating the terminal.

상기 단축키처리부(130)는 키입력부(110)를 통해 단축키가 입력되면 해당 입력정보를 단말제어부(12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축키처리부(130)는 단축키 입력에 대응하는 상대방 정보 또는 해당 단축키에 대한 옵션 선택에 따라 해당 서비스 관련정보를 단말제어부(120)에 전달한다.When the shortcut key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0, the shortcut key 130 outputs the corresponding inpu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controller 120. For example, the shortcut key 130 may transmit the corresponding service relat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controller 120 according to the counterpar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key input or the option selection for the shortcut key.

상기 단축키설정부(160)는 사용자가 설정한 단축키 관련정보를 단말제어부(120)에 전달하여 메모리부(150)에 저장시킨다. 이때, 임의의 단축 키에 대해 개인 전화번호 또는 그룹 전화번호를 지정할 수 있다. The shortcut key setting unit 160 transmits the shortcut key related information set by the user to the terminal controller 120 and stores the shortcut key related information in the memory unit 150. At this time, a personal telephone number or a group telephone number can be designated for any shortcut key.

상기 단말제어부(12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제어를 수행한다. The terminal controller 120 performs overall operation control of the terminal.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우선, 사용자가 키 입력부(110)에서 단축키를 소정시간 이내로 짧게 입력하 면 단축키 처리부(130)는 해당 단축키에 지정된 상대방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폰북으로부터 검출하여 단말제어부(120)에 전달하여 표시부(140)에 표시시킨다. First, when a user shortly inputs a shortcut ke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n the key input unit 110, the shortcut processor 130 detects the other party's information (eg, a phone number) specified in the shortcut key from the phone book stored in the memory unit 150. By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120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40.

이때, 단축 키에 개인의 휴대폰 전화번호가 지정된 경우 단말제어부(120)는 표시부(140)에 단축키에 지정된 개인 휴대폰 전화번호를 표시하고 개인 휴대폰 전화번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옵션 키를 선택하면 해당 단축키에 지정된 개인의 모든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데, 그 예는 도2에 도시하였다. At this time, when the personal mobile phone number is assigned to the shortcut key, the terminal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personal mobile phone number specified in the shortcut key on the display unit 140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option key while the personal mobile phone number is displayed. A list of all services of the individual specified in the shortcut is displayed, an example of which is shown in FIG.

즉, 단축키 입력으로 지정된 개인 전화번호를 표시한 상태에서 옵션키를 선택하면 해당 단축키에 지정된 번호와 관련된 모든 번호(휴대폰 번호, 자택 전화번호, 사무실 번호, 이메일, SMS, MMS, 팩스 및 동영상전송 등의 서비스 관련정보)가 표시부(140) 상에 표시된다. In other words, if you select an option key while displaying the personal phone number specified by the shortcut key, all the numbers related to the number specified in the shortcut key (mobile phone number, home phone number, office number, e-mail, SMS, MMS, fax and video transmission, etc.) Service related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방식을 선택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selects a service method to be used at present.

이후, 통화버튼을 누르면 단말제어부(120)는 현재 선택된 단축키에 대해 선택된 서비스 방식(통화, SMS, MMS, 이메일, 팩스 등)을 지원하게 된다. After that, when the call button is pressed, the terminal controller 120 supports the selected service method (call, SMS, MMS, email, fax, etc.) for the currently selected shortcut key.

즉, 단말제어부(120)는 휴대폰 번호가 선택된 후 통화버튼을 누르면 상대방 휴대폰을 호출하기 위한 발신을 수행하고, SMS가 선택되면 단문메시지 작성을 위한 화면을 표시한 후 메시지 작성 완료에 따라 통화버튼이 눌리면 단문 메시지를 발송하게 된다. That is, the terminal control unit 120 performs a call for calling the other party's mobile phone when the call button is pressed after the mobile phone number is selected, and when the SMS is selected, the call button is displayed upon completion of the message creation after displaying a screen for writing a short message. Press to send a short message.

또한, 단축키에 그룹 번호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단축키가 소정시간 이상 길게 입력되면 단축키 처리부(130)는 메모리부(150)에 저장된 폰북에서 해당 그 룹의 번호를 검색하여 단말제어부(120)에 전달한다. In addition, if a group number is specified in the shortcut key, when the corresponding shortcut key is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he shortcut processor 130 searches for the group number in the phone book stored in the memory unit 150 and transmits the number to the terminal controller 120. do.

이때, 단말제어부(120)는 단축키처리부(130)에서 전달된 그룹 번호를 표시부(140)에 표시한다. At this time, the terminal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group number transferred from the shortcut key processing unit 130 on the display unit 140.

이후, 사용자가 그룹 번호 중 임의의 번호에 대해 옵션키를 입력하면 단말제어부(120)는 해당 번호에 관련된 모든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데, 이는 도2의 예시도와 동일하다. 이때, 사용자는 그룹 번호 중 현재 선택된 번호에 대한 모든 서비스 목록 중 현재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이는 그룹 번호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선택하거나 또는 그룹 번호의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해 한번에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항목은 하나 이상 선택하도록 구성한다. Then, when the user enters an option key for any number of the group number, the terminal control unit 120 displays a list of all services related to the number, which is the same as the example of FIG. 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 a service method to be used currently among all service lists for the currently selected number of the group number. This can be done sequentially for each group number or can be done at once for some or all of the group numbers. Here, the service item is configured to select one or more.

이에 따라, 그룹 번호에 대해 서비스 방식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통화버튼을 누르면 단말제어부(120)는 그룹 번호 각각에 대해 설정된 서비스 방식을 지원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call button is pressed while the service method setting is completed for the group number, the terminal controller 120 supports the service method set for each group number.

한편, 상기 과정을 도3의 동작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operation flowchart of FIG.

도3의 동작 순서도는 단축키 눌림으로 확인되면 단축키처리부(130)는 키 눌림이 소정 시간 유지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키 눌림이 소정시간 이내로 짧다면 해당 단축키에 지정된 개인 번호를 단말제어부(120)에 전달하여 표시부(140)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키 눌림이 소정 시간 이상 길다면 해당 단축키에 지정된 그룹 번호를 상기 단말제어부(120)에 전달하여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제어부(120)가 표시부(140)에 개인번호 또는 그룹번호를 표시한 상태에서 옵션 키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옵션키가 입력되면 개인 번호 또는 그 룹번호 중 선택된 번호에 대한 서비스 목록을 상기 표시부(140)에 표시하여 서비스 항목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와, 통화키가 눌리면 상기 서비스 항목을 참조하여 개인번호 또는 그룹번호 각각에 대한 발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이루어지며, 이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f the operation flow chart of Figure 3 is confirmed that the hot key is pressed, the hot key processing unit 130 checks whether the key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if the key press is shor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terminal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personal number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hot key. Transmitting to the display unit 140, and if the key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transmitting the group number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shortcut key to the terminal controller 120 to display it on the display unit 140; Confirming the option key input while the control unit 120 displays the personal number or the group number on the display unit 140; and when the option key is input, the service list for the selected number of the personal number or the group number is recalled. Displaying on the display unit 140 and receiving a service item selection, and when the call key is pressed with reference to the service item to the individual number or group number respectively Comprised the step of performing a calling, it will be described this process as follows.

우선, 단축키가 입력되면 키 입력이 소정 시간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First, when a shortcut key is input, it is checked whether the key input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이때, 단축키 입력이 소정시간 유지되지 않고 짧게 입력되면 단축키처리부(130)는 개인번호에 대한 단축키 입력으로 판단하고 폰북에서 해당 개인 번호를 검색하여 단말제어부(120)에 전달한다. At this time, if the shortcut key is input for a short time without being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hortcut key 130 determines that the shortcut key is input to the personal number, retrieves the corresponding personal number from the phone book,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personal number to the terminal controller 120.

이에 따라, 단말제어부(120)는 해당 단축키에 지정된 개인 번호(예로, 휴대폰 번호, 사무실 번호, 집 전화번호, SMS, MMS, 이메일, 팩스 중 하나)를 표시부(140) 상에 표시하고 옵션키가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Accordingly, the terminal controller 120 displays the personal number (for example, one of a mobile phone number, office number, home phone number, SMS, MMS, email, and fax)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shortcut on the display unit 140, and the option key is displayed. Check if it is entered.

이때, 옵션키가 입력되면 단말제어부(120)는 현재 선택된 단축키에 관련된 모든 서비스 목록을 도2의 예시도와 같이 표시부(140)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옵션 선택을 입력받는다. In this case, when the option key is input, the terminal controller 120 displays a list of all services related to the currently selected shortcut key on the display unit 140 as shown in FIG. 2 and receives a user's option selection.

이에 따라, 사용자가 단축키에 해당 서비스 방식을 선택하고 통화 키를 입력하면 단말제어부(120)는 해당 서비스 방식(통화, 메시지 전송 등)을 지원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service method in the shortcut key and inputs a call key, the terminal controller 120 supports the corresponding service method (call, message transmission, etc.).

만일, 단축키 입력이 소정시간 유지되게 길게 입력되면 단축키처리부(130)는 그룹번호에 대한 단축키 입력으로 판단하고 폰북에서 해당 그룹번호를 검색하여 단말제어부(120)에 전달한다. If the input of the shortcut key is kept long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hortcut key processor 130 determines that the shortcut key is input to the group number, retrieves the corresponding group number from the phone book,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group number to the terminal controller 120.

이때, 단말제어부(120)에 의해 표시부(140)에 단축키에 지정된 그룹 번호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각각의 번호에 대해 서비스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can select a service method for each number while the group number specified in the shortcut ke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by the terminal controller 120.

이에 따라, 그룹번호에 대한 서비스 방식이 설정된 후 통화 키가 눌리면 단말제어부(120)가 그룹 번호 각각에 대해 현재 설정된 서비스 방식을 지원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call key is pressed after the service method for the group number is set, the terminal controller 120 supports the currently set service method for each group number.

그리고, 상기 과정에서 단축키가 입력된 후 옵션키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현재 단축키에 지정된 번호의 서비스 방식을 지원하게 된다. If there is no option key input after the shortcut key is input in the above process, the service method of the number assigned to the current shortcut key is supported.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과 관련된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ile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thereof.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축키를 입력시간에 따라 개인번호 또는 그룹번호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단축키에 대한 옵션을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단축키 이용 효율성을 증대시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o designate a personal number or a group number according to an input time, and supports an option for a shortcut key,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using the shortcut key,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

Claims (8)

단축키 눌림인지 확인하는 단계와, Check if the keyboard shortcut is pressed, 단축키 눌림으로 확인되면 키 눌림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와, Checking the key press time when the shortcut is confirmed, and 상기 단축키 눌림이 소정시간 이내로 짧다면 해당 단축키에 지정된 개인 번호의 발신을 지원하는 단계와, If the pressing of the shortcut key is shor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supporting the transmission of the personal number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shortcut key; 상기 단축키 눌림이 소정 시간 이상 길다면 해당 단축키에 지정된 그룹 번호에 대한 발신을 지원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If the pressing of the shortcut key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method for transmitting a call using a shortcut key,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erform the step of supporting the call to the group number specified in the corresponding shortcut key.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단축키에 대해 개인번호 및 그룹번호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configuring the personal number and the group number for one shortcut key. 제1항에 있어서, 단축키 입력으로 해당 단축키에 지정된 개인번호 또는 그룹번호를 표시한 상태에서 옵션키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firming the input of the option key in the state of displaying the personal number or the group number assigned to the corresponding shortcut key as a shortcut key input.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옵션키가 입력되면 개인번호 또는 그룹번호에 관련된 서비스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와, The method of claim 1 or 3,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 list of services related to an individual number or a group number when an option key is input; 상기 서비스 목록 중 선택된 항목을 단축키에 대한 서비스 방식으로 선택하 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And selecting a selected item of the service list as a service method for a shortcut key. 제4항에 있어서, 그룹번호에 대한 서비스 항목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rvice item for the group number is 그룹 번호 일부 또는 전체에 대해 한번에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Calling method using a shortcut key,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up number is selected at part or all at once. 제4항에 있어서, 그룹번호에 대한 서비스 항목을 그룹번호 각각에 대해 순차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rvice item for the group number is sequentially selected for each group number. 제4항에 있어서, 서비스 항목 선택은 통화(휴대폰 번호, 사무실 전화번호, 집 전화번호), SMS, MMS, 이메일, 팩스 및 동영상전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rvice item selection is at least one of a call (mobile phone number, office phone number, home phone number), SMS, MMS, e-mail, fax, and video transmission. 제1항에 있어서, 단축키에 대한 개인번호 또는 그룹번호의 발신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ersonal number or the group number for the shortcut is sent. 단축키 입력 후 또는 서비스 항목 선택 후에 통화 키의 눌림에 의해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키를 이용한 발신 방법. Calling method using a shortcut key, characterized in that executed by pressing a call key after inputting a shortcut key or after selecting a service item.
KR1020050089543A 2005-09-26 2005-09-26 Calling method using hot key KR1007316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543A KR100731619B1 (en) 2005-09-26 2005-09-26 Calling method using hot 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543A KR100731619B1 (en) 2005-09-26 2005-09-26 Calling method using hot ke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894A true KR20070034894A (en) 2007-03-29
KR100731619B1 KR100731619B1 (en) 2007-06-25

Family

ID=4163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543A KR100731619B1 (en) 2005-09-26 2005-09-26 Calling method using hot k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61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0101A1 (en) * 2007-04-23 2008-10-30 Kt Corpo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using hot key and method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WO2015088254A1 (en) * 2013-12-10 2015-06-18 김태구 Simplified method for placing telephone call and simplified method for requesting location-based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851B1 (en) * 2001-11-05 2004-04-29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short-cut menu
KR20030045893A (en) * 2001-12-03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hot key to support by grouping in telephone terminal
KR20040031458A (en) * 2002-10-07 2004-04-1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electing a menu item using short-cut keys
KR100501251B1 (en) * 2003-06-18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and method for servicing call using hot-key
KR100557152B1 (en) * 2003-11-10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executing of multi abbreviated function in wireless terminal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0101A1 (en) * 2007-04-23 2008-10-30 Kt Corpo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using hot key and method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
WO2015088254A1 (en) * 2013-12-10 2015-06-18 김태구 Simplified method for placing telephone call and simplified method for requesting location-based service
CN105814870A (en) * 2013-12-10 2016-07-27 金兑具 Simplified method for placing telephone call and simplified method for requesting location-based service
US10187744B2 (en) 2013-12-10 2019-01-22 Taegu KIM Simplified method for placing telephone call and simplified method for requesting location-based service
CN105814870B (en) * 2013-12-10 2019-03-19 金兑具 Location based service rapid requests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1619B1 (en) 2007-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8993B2 (en) Operating multiple views on a computing device in connec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session
DK3094067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CHANNEL SELECTION
US8213969B2 (en) Mobile terminal for chatting by using SMS and method thereof
US8976948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for displaying caller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US8385517B2 (en) Replying through different channels
EP1686773B1 (en)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call and method therefor
JP20095329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obile terminal events
CN101523879A (en)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a user profile to a caller identifier
US20110117941A1 (en) Information sharing during calling
KR10048722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ating recipient for transmission message in a mobile terminal
US11336764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for displaying function in communication
KR2009012651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ering one touch dial by using recent call histor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113543A (en) Method for displaying caller information of portable terminal
EP2169927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KR100383610B1 (en) Call service method of cellular phone
JP20115090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ociating an image with data
US20100074424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731619B1 (en) Calling method using hot key
KR20070045989A (en) Multi terminal and method for originating and terminating call thereof, system for providing multi-number support service to the terminal
KR100501251B1 (en) mobile and method for servicing call using hot-key
TW201605222A (en) Call response method integrating social software and phone answering interface
JP201052565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various call services using hot keys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s
KR20030009776A (en) Method for searching the phone number in calling list of mobile phone
KR101006596B1 (en) Address management method for hand-held terminal
KR20060023633A (en) Management method of short message in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