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295A - 보강토 옹벽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295A
KR20070031295A KR1020067022798A KR20067022798A KR20070031295A KR 20070031295 A KR20070031295 A KR 20070031295A KR 1020067022798 A KR1020067022798 A KR 1020067022798A KR 20067022798 A KR20067022798 A KR 20067022798A KR 20070031295 A KR20070031295 A KR 20070031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block
retaining wall
wall
wal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무엘 패트릭 코스틴
Original Assignee
모달코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달코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모달코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to KR1020067022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1295A/ko
Publication of KR20070031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블록들이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층상으로 조적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강부재로써 블록 내 삽입되거나 블록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다수의 띠형 보강재들이 제공되며, 상기 띠형 보강재는 각각의 블록층이 조적됨에 따라 또는 벽체가 조성된 후에 뒷채움재에 매설되어 다짐된다. 또한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과는 이격되며 벽체와 수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이 조성된다.
보강토 옹벽, 띠형 보강재, 제1보강재 구간, 제2보강재 구간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시스템 및 보강토 옹벽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토 옹벽 시공에 사용되는 블록 및 보강토 옹벽 시공에 사용되는 띠형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4년 4월 1일 출원된 호주의 가(provisional) 특허출원번호 2004901725, 2004년 4월 5일 출원된 호주의 가 특허출원번호 2004901789, 2004년 12월 15일 출원된 호주의 가 특허출원번호 20004907121, 2005년 2월 23일 출원된 호주의 가 특허출원번호 2004900832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다.
옹벽은 표고 차이를 유지하기 위하여 벽의 한쪽 면 상에서 물질을 억누르는 벽체로서 정의된다. 주변의 경사, 도로, 건물, 계단식 벽들 모두는 옹벽에 대한 잠재적 하중을 나타낸다. 옹벽은 주로 3가지 타입, 즉 중력식, 캔틸레버식, 보강토 옹벽으로 구분된다. "중력식 옹벽"은 블록들 자체의 무게만으로 가두어진 흙의 하중을 견디는 보강토없는 옹벽의 형태이다. 중력식 옹벽의 경우 각 블록이 콘크리트 또는 석조 덩어리로 구성되므로 시공비가 더 많이 들어간다. 중력식 옹벽은 토압을 견디기 위해 구조체의 무게에 의존한다. 옹벽배면의 토양을 굴착하는 것은 옹벽의 구조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니한다. 캔틸레버식 옹벽은 전형적으로 토양속에 타설된 널말뚝의 구조를 가지며, 지지되는 토양아래의 널말뚝의 회전에 대한 저항력으로부터 지지력을 얻는다. 캔틸레버 옹벽은 뒷채움에 아래 묻힌 수평기저부(horizontal base section)를 가지며, 뒷채움흙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저부에 영구적으로 연결되어 수직으로 뻗는 줄기부(stem section)갖는다. 캔틸레버식 옹벽은 벽체의 기울어짐을 막기 위해서 기저부위의 뒷채움의 중량에 의존한다.
"보강토 옹벽(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이란 용어는 실질적으로 벽체에 의해 지지될 토양아래 매설된 수평의 보강재를 갖는 옹벽을 말한다. 보강토 옹벽의 일종으로 지지토양 속에 강메쉬(steel mesh) 형태의 보강재를 갖는 것이 있다. 강메쉬는 옹벽의 벽체면으로서 작용하는 콘크리트 슬라브, 강말뚝 또는 락필철망(rock filled wire basket)을 정착하는데, 이 벽체면은 보통 수직 또는 경사진 형태를 갖는 벽체의 전면을 형성하는 구조이다. 벽체면은 보강재의 층들 사이로부터 토양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배경기술의 방법들을 이용하여, 상기 토 보강재는 블록들의 층들 모두 또는 대부분에 추가되며, 토양이 보강재 주변에서 다짐되는 동안 벽체면이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해서 어떤 형태의 지지대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들의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여기에서 수많은 배경기술들 및/또는 출판물들이 언급되더라도, 이 참증은, 이들 방법들 또는 간행물들 중 어느 것이 호주 또는 다른 나라에서 이 기술에서 공통의 일반적인 지식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용인을 구성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자명하다. 뒤따르는 발명의 요약,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항에서, 언어 또는 필요한 암시를 표현하기 위하여 문맥상 다른 표현으로 할 경우를 제외하고는, 포함하다(comprise) 또는 이의 어미변화(comprises, comprising)는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것이며, 즉 언급된 특징들을 명확히 설명하는 것이지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나타나는 특징에 추가되는 점을 배제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면, 보강토 옹벽 시스템은, 기층으로부터 층층이 조적되어 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는 지지측(retained side)과 준설측(dredge side)을 가지는 다수의 블록들, 상기 다수의 블록들의 각 블록은 상기 벽체의 상기 준설측 방향을 향하는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을 향하고 있는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 상기 블록의 폭을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 측면, 그리고 상기 블록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의 제1개구부에서 끝나는 통로를 가지며, 상기 통로와 상기 제1 개구부는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벽체를 정착하기 위한 다수의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통로 내에 수용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2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3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어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에 벽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다수의 띠형 보강재의 각각은 상기 다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통로는 대체로 띠형 보강재가 삽입된 후 이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당기는 힘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상부 또는 바닥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되어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띠형 보강재는 탄력있게 유연성이 있다.
모르타르(mortar)없는 시공을 위해서, 상기 블록은 상기 제1 개구부 통로로부터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에서 끝나며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2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띠형 보강재의 제3부분은 뒷채움과 다짐작업 직전에 상부 또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의 배열을 이루거나 뒷채움과 다짐을 하는 동안에 벽체에 대해 비스듬히 놓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로는 상기 바닥면에 구비된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상부면에 구비된 제2개구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띠형 보강재가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까지 상기 통로를 거쳐 삽입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제4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배열되어 뒷채움과 다짐을 하는 동안 상기 벽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4부분은 인장에 대한 저항을 최대로 하기 위해서 대체로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며 뒷채움과 다짐을 하기 직전에 벽체로부터 이격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통로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면에 이르는 배수용 골재 또는 콘크리트나 시멘트와 같은 불투수성의 자재로 채워지는 공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통로는 다수의 통로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은 인접한 층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쉬어 핀(shear pin) 및 수분을 지지측에서 준설측으로 유도되도록 설치된 배수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수로는 지지측의 정수압의 상승을 감소시키기 위해 특히 점토질 토양의 경우에 있어 유리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 다수의 띠형 보강재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삽입되는 삽입부(threaded section)와 상기 삽입부와 상호 연결된 자유부(free section)로 나누어지며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 블록의 배면으로 부터 외부로 연장되며 벽체에 대체로 수직으로 고정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 보강토 옹벽 시스템은 혼합식벽(composite wall)의 하부를 형성한다. 상기 혼합식벽은 상부에서 하부로의 전이대로 나누어진다. 상기 상부는 중력식 또는 캔틸레버식 옹벽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보강토방벽(soil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은 혼합식벽의 하부를 이루는 최상단 블록층과 동일평면상에 배열하는 전이대에 놓일 수 있다. 상기 보강토방벽은 전이대의 물리적 징후를 제공하는 콘크리트 슬라브 또는 전이대의 시각적 징후를 제공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얇은 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라서,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층을 토대로 층층이 배열된 다수의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벽체는 층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어느 일부에 대해 효율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띠형 보강재 위에 흙의 뒷채움과 다짐작업에 의하여 정착되며,
a) 블록층을 배열하기 위한 수준면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각 블록은 전면,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 상기 블록의 폭을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 측면, 그리고 상기 블록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의 제1개구부에서 끝나는 통로를 가지며, 상기 통로와 상기 제1 개구부는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b)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통로 내에 수용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2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3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열되도록 층상으로 놓인 상기 블록으로 띠형 보강재를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과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3부분이 벽체에 의해 지지되는 토양측을 향하도록 상기 블록과 상기 삽입된 띠형 보강재를 상기 수준면에 위치시키는 단계;
d) 상기 옹벽의 요구된 높이가 달성될 때까지 상기 a)부터 c)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e)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 뒤에 상당한 양의 흙을 뒷채움 및 다짐작업을 함으로써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3부분을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e)단계는 블록의 각층이 완성된 후 또는 벽체가 단 한 번의 작업으로 완성된 후에는 c)단계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모르타르 없는 시공을 위해서 각 블록은 상기 제1개구부 통로로부터 상기 상부면 또는 바닥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가이드 홈(guide slot)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블록의 배면에서 끝나며 상기 띠형 보강재의 제2부분을 수용한다. 띠형 보강재의 제3부분은 상기 e)단계 직전에 상부 또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배열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로는 바닥면에 있는 제1개구부로부터 상부면에 있는 제2개구부까지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b)단계는 띠형 보강재의 제4부분이 상기 블록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배열되도록 제1개구부로부터 제2개구부까지의 통로에 띠형 보강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를 위해 e)단계는 블록의 배면을 뒷채움 및 다짐함으로써 상기 띠형 보강재의 제4부분을 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4부분은 뒷채움과 다짐을 하기 직전에 벽체로부터 떨어져서 대체로 블록의 상부 또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배열되거나 벽체와 각을 이루며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통로는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면에 이르는 공동이며, 각각의 블록 또는 블록층이 놓인 후 상당한 밸러스트(ballast)로 채워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밸러스트는 배수용 골재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불투수성 물질이 될 수 있다.
상기 시공방법은 어느 블록층이 인접한 다른 블록층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쉬어 핀(shear pin)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다수의 띠형 보강재는 b)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삽입되는 삽입부(threaded section)와 삽입부와 상호 연결되고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 블록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e)단계 동안벽체에 대체로 수직으로 고정된 자유부(free section)로 나누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토 옹벽은 혼합식벽(composite wall)의 하부를 이루며 상기 혼합식벽은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는 전이대를 가진다. 이를 시공하는 방법은 상기 혼합식벽의 상부를 이루는 중력식 또는 캔틸레버식 옹벽을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식벽을 시공하는 방법은 혼합식벽의 하부를 이루는 최상단 블록층과 동일평면상에 배열하는 전이대에 보강토방벽(soil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토방벽을 설치하는 단계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측면의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데 필요한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측면의 시공방법에 따라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는 데 있어 필요한 띠형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측면에 따라서 보강토 옹벽 시스템이 제공되며 그 구성에 있어서, 준설측과 지지측을 갖는 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층 위에 층층이 조적된 다수의 블록들, 상기 블록들의 각각은 상기 벽체의 상기 준설측 방향을 향하는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을 향하고 있는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 상기 블록의 폭을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 측면을 포함하고;
뒷채움에 상기 벽체를 정착하고, 상기 벽체의 인접층들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블록들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 위까지 연장된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 및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 위에 뒷채움 및 다짐된 소정량의 토양을 안정화시키며, 상기 제1보강재 구간들과 이격되고, 뒷채움 및 다짐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벽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보강재 구간은 벽체의 배면과 떨어져서 있거나, 그것에 매우 인접하거나 또는 접하여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2 보강재 구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원형으로 회복되기 쉬운 탄성재질이다. 제2 보강재 구간의 길이는 특정한 응용에 따라 다르며 적어도 옹벽높이의 60%,70% 또는 80%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보강재 구간은 적어도 뒷채움재 및 옹벽자체의 특성등을 포함하여 여러가지 요인에 결정되는 뒷채움구간의 예상되는 파괴면을 지나서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1,2 보강재 구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지오메쉬(geomesh)와 같은 판상의 형태나 띠형 보강재의 연장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과 제2의 보강재 구간은 상호간에 동일평면상에 수평으로 배열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보강재 구간은 제1층으로 배열되고 제2 보강재 구간은 제1층과 떨어져서 제2층으로 배열된다.
제1,2 보강재 구간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뒷채움 및 다짐 작업 직전에 상기 다수의 블록 중 하나 이상의 상부면 또는 바닥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보강재 구간은 다른 높이에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은 바닥면에서 상부면에 이르는 공동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동은 배수용 골재인 밸러스트 또는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와 같은 불투수성 재료로 채워진다. 배수성이 불량한 토양을 위해 상기 시스템은 벽체의 지지측으로부터 준설측으로 향해 배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은 혼합식벽의 하부를 이루며 상기 혼합식벽은 상부와 하부로 나뉘는 전이대를 가진다. 상기 상부는 중력식 또는 캔틸레버식 옹벽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슬라브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널판과 같은 보강토방벽(soil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이 상기 혼합식벽의 상기 하부을 이루는 최상단의 블록층과 대체로 동일평면상으로 상기 전이대에 설치될 수 있다.
모르타르가 사용되는 곳에서 제1보강재 구간은 양 인접 블록층의 사이에 모르타를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모르타르가 없는 시공에 있어서는 제1보강재 구간은 인접 블록층을 이루는 상기 블록의 하중에 의해 중력으로 블록층들 사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6측면에 따라 보강토 옹벽 시스템을 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시스템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층 위에 층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을 축조하는 방법으로서,
a) 블록들의 층을 배열할 수준면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블록들의 각각은 전면,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상기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 상기 블록의 너비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면들을 가지며;
b) 상기 블록들의 각 층을 배열하는 동안 상기 벽체를 상기 벽체에 인접한 양 층들 간의 뒷채움에 정착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들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벽체의 지지측 위에까지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배열된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을 배열하는 단계;
c) 필요한 옹벽높이에 이르기까지 각 후속 층을 쌓는 단계;
d) 상기 다수의 제1 보강재 구간들과 이격되고 e)단계를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벽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e) 상기 다수의 제1 및 2 보강재 구간들을 정착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들의 상기 배면 뒤에 소정량의 흙을 뒷채움 및 다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e)단계는 벽이 완성된 후 수행되는 각 단을 위하여 b) 단계 후 및 c) 단계 전헤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재 구간은 e)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벽체의 배면에서 떨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2 보강재 구간은 상호간에 수평적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열된다. 이와 달리, 제1 보강재 구간은 제1층으로 제2보강재 구간은 제1층과 떨어져서 제2층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또는 2의 보강재 구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뒷채움과 다짐작업 직전에 다수의 블록 중 하나 이상의 상부 또는 바닥면에 동일평면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은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공동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동은 상당한 양의 밸러스트를 수용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각 블록 또는 블록층이 배열된 후 상당한 양의 밸러스트를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밸러스트는 배수용 골재 또는 콘크리트나 시멘트 모르타르과 같은 불투수성 재료일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제1층이 인접한 제2층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쉬어 핀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토 옹벽은 혼합식벽의 하부를 이루며 상기 혼합식벽은 상부와 상기 하부로 나뉘어지는 전이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상부를 구성하는 중력식 또는 캔틸레버식 옹벽을 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전이대에는 상기 혼합식벽의 하부를 이루는 최상단 블록층과 대체로 동일평면상으로 보강토방벽(soil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이 설치될 수 있다.
모르타르가 사용되는 곳에서 제1 보강재 구간은 양 인접 블록층의 사이에 모르타를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모르타르가 없는 시공에 있어서는 제1 보강재 구간은 인접 블록층을 이루는 상기 블록의 하중에 의해 중력으로 블록층들 사이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더욱 상세한 이해가 용이하도록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여러 가지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블록들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모르타르를 이용하고, 뒷채움토 및 다짐토 아래에 벽체를 정착시키는 띠형 보강재 및 블록들로 구성된 층들의 배열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보강토 시스템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벽체를 통한 측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a) 및 2(b)는 각각 도 1의 벽체를 시공하는데 이용되고, 모르타르 없는 벽체의 시공에 있어서 인접한 층들의 블록들이 상호 간에 같은 높이로 놓여 있도록 블록이 쌓이기 전에 띠형 보강재가 삽입되는 통로의 위치 및 띠형 보강재의 제2 부분을 받아들이기 위한 가이드 홈의 위치를 도시하는 블록들 중 하나에 대한 등각투상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a)의 블록의 섹션 A-A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그 안에 삽입된 띠형 보강재를 갖는 도 3의 블록을 도시한다.
도 5는 블록들을 관통하여 꿰어진 띠형 보강재를 보여주는 벽체 일부의 등각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위한 뒷채움 및 다짐 전에 블록들 및 띠형 보강재의 배열을 보여주면서 2개의 층이 시공된 벽체의 부분적인 등각투상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위한 뒷채움 및 다짐 후에 두 층의 블록들을 통해 블록들 및 띠형 보강재의 배열을 보여주는 완성된 벽체의 등각투상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블록의 등각투상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블록 안에 삽입된 띠형 보강재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 8에서 도시되는 블록의 섹션 B-B에 따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 제2실시예에 있어서 뒷채움 및 다짐 전에 블록 및 띠형 보강재의 배열을 보여주면서 2개의 층이 시공된 벽체에 대한 부분적인 등각투상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상부 및 하부를 갖는 혼합식벽을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점토질 토양을 지지하기 위한 불투수층 및 배수로를 보여주는 본 발 명의 제5실시예의 측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블록들의 공동들(cavities)이 투수층을 형성하는 배수용 골재로 채워지고, 점토질 토양을 이용하기 위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이용하여 시공된 완성된 벽체의 부분적인 등각투상도를 나타내며, 이에 따라 띠형 보강재는 섹션들 내에 놓인다.
도 15는 층들 사이에 제1보강토 구간 및 제1 보강토 구간들과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고 뒷채움토에 매설된 제2 보강토 구간들을 이용하여 시공된 보강토 옹벽 시스템에 대한 등각투상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여러 측면에서의 특별한 실시예가 선형의 단층 옹벽을 시공하는 맥락에서 이하 기술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은 쉽게 복층 또는 곡선형의 옹벽 시공에 적용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목적에 한정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용어가 정의되지 않은 경우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하고 있는 의미로 사용된 것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이하에서 몇몇 용어에 대한 정의를 기술한다.
옹벽의 "준설측"은 지표면의 표고가 더 낮은 쪽을 말한다. "준설라인(dredge line)"은 벽체와 준설측의 표고가 교차되는 선을 의미한다. 옹벽의 "지지측(retained side)"은 뒷채움후 표고가 더 높은 쪽을 말한다. "뒷채움(backfill)" 은 옹벽의 지지측에 성토될 전형적으로는 토양과 같은 형태의 재료를 의미한다. 옹벽의 배후에 성토될 뒷채움은 "보강토(reinforced soil)"로도 언급된다. 다짐이 안된 뒷채움은 수분을 더 포함하여 옹벽에 하중을 더 줄 수 있으며 침하문제를 일으키고 보강재가 적절하게 정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든 뒷채움은 표준 시방서에서 요구되는 절차에 의해 적절하게 다져질 것이다."다짐(compaction)"은 뒷채움 재료의 압축률을 감소시키고 장래 옹벽의 거동으로 인한 위험을 완화시키기 위해 기계의 힘을 적용하는 것이다.
"배수용 골재(drainage aggregate)"는 수분의 배수를 신속히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대체로 거칠고 크기가 고른 전형적으로 각진 밸러스트를 말한다. 최상의 결과를 위해서는 물의 흐름을 원활히 하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충분히 크고 고른 크기의 석질입자를 포함하여야 하며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미세입자를 포함하여서는 안된다.
"층(course)"은 옹벽 블록의 수평층을 의미한다. "기층(base course)"은 평탄한 기초에 설치된 최초 블록층을 말한다. "캡핑(capping)"은 장식 목적의 마지막 또는 최상단의 블록층을 의미한다. 캡핑은 침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속이 꽉찬 블록을 사용하여 시공된다. "결합(bond)"은 층간 블록의 배열 또는 그 패턴을 의미한다. 선행 층의 인접 블록에 의해 생긴 수직 접합부상에 중심을 둔 블록은 "신장 결합(stretcher bond)"을 한 것으로 설명된다.
"지오메쉬(geomesh)"란 용어는 이하 명세서에서 시트형태의 고분자 중합체 소재의 보강재를 의미한다. 상기 보강재는 격자 형태로 짜여진 것이 전형적이나 반 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시스템(10)에 관한 제1실시예는 도 1에서 7까지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고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 (10)은 벽체(16)를 형성하는 층(14)의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블록(12)을 포함한다. 보강재가 상기 블록(12)에 삽입되어 연장되는 다수의 띠형 보강재(18)를 사용하는 상기 벽체(16)에 제공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상기 각 층(14)이 놓이거나 상기 벽체(16)를 시공한 후 다짐된 뒷채움토(20) 아래에 매설된다.
도 1,2(a) 및 2(b)를 참조하면, 보강토 옹벽 시스템(10)에 관한 제1실시예에 따라 사용된 상기 블록(12)은 전면(22), 블록의 깊이로 정의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후면(24), 블록의 너비로 정의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각각의 대향면(26)과 대향면(28), 상부면(30)과 블록 높이로 정의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32)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블록(12)은 상기 전면(22)이 벽체(16)의 준설측(34)으로 향하고 상기 배면(24)은 상기 벽체(16)의 지지측(36)으로 향하도록 놓인다. 상기 블록(12)은 상기 바닥면(32)의 제1개구부(42)로부터 상부면(36)으로 연장된 통로(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개구부(42)는 상기 상부면(30)에 놓여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통로(40)는 상기 벽체(16)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띠형 보강재(18)의 제1부분(44)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각각의 블록(12)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모르타르층(47)을 사용하여 시공된 벽체(16)을 도시하고 있다. 모르타르없는 시공을 위하여 상기 블록(12)의 상기 바닥면(32)에는 상기 통로(40)의 제1개구부(42)로부터 상기 블록(12)의 배 면(24)에 이르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5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홈(50)은, 후속층(14')에 제공된 바닥면(32)이 밑에 놓인 선행층(14") 블록(12)의 상기 상부면(30)에 대해 동일평면상에 놓이는 방식으로 블록(12)의 띠형 보강재(18)의 제2부분(46)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 홈(50)은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두께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깊이를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50)은 상기 벽체(16)의 지지측(36)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돕는다.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제3부분(48)은 상기 블록(12)에 수용되기보다는 상기 블록(12)의 배면(24)으로부터 이격되어 외부로 연장된다.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10)의 시공에 있어 모르타르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 홈(50)은 선택사항에 해당하고 구비될 필요가 없다. 이는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제2부분이 모르타르층(47)에 수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모르타르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제1부분(44)은 상기 블록(12)의 통로(40)로 들어가고, 상기 제2부분(46)은 상기 모르타르층(17)을 통해 상기 각각의 블록(12)의 상부면(30) 또는 바닥면(32)과 동일평면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3부분은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에 상기 벽체(16)에 대체로 수직으로 고정되도록 상기 블록(12)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배열된다.
상기 통로(40)는, 상기 띠형 보강재(12)가 뒷채움과 다짐작업 후에 적용되는, 보강재에 장력을 가하는 인장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임의의 각, 바람직하게는 대략 90도의 각으로 구부러진다면, 블록(12)의 최대 높이까지 연장될 필요가 없음은 분명하다. 상기 통로(40)는 각각의 블록(12)의 상부면(30) 또는 바닥면(32)에 대해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까닭에,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원형복귀성질의 탄성이 있어 90도까지 휠 수 있다. 상기 통로(40)는 블록(12)의 전면(22)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블록(12)에 직접 기계적으로 연결될 것은 아니다. 띠형 보강재의 위치는 뒷채움과 다짐작업중에 효과적으로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띠형 보강재(18)는 상기 제1부분(44)이 통로(40)에 수용되도록 제1개구부(42)를 통해 블록(12)에 삽입되고, 상기 제2부분이 모르타르없는 시공에 있어서는 상기 가이드 홈(50)에 수용되거나,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경우 모르타르층(47)에 수용되도록 구부러진다. 만약, 상기 통로(40)가 상기 블록의 바닥면(32)으로부터 상부면(30)까지 상기 블록(12)의 최대높이까지 연장된다면, 상기 통로(40)는 상기 상부면(30)에 구비된 제2개구부(52)에서 끝날 것이다.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상기 제1개구부(42) 또는 제2개구부(52)을 거쳐 상기 통로(4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보강토공법 적용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다른 소재 예를 들어 아연도금강띠, 고강도 폴리에스테를 편직물, 폴리머 섬유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편리하게는, 각 띠형 보강재(18)는 지오메쉬와 같은 시트형태의 메쉬보강재로부터 잘라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단일의 종부(single longitudinal section) 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상기 통로(40)에 여전히 삽입가능한 경우, 다수의 횡부(horizontal section)에 의해 결합된 다수의 종부을 포함한다. 상기 벽체(16)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길이 는 상기 벽체(16)의 높이에 직접 비례하며 적어도 벽체높이의 0.7배의 길이가 되어야 한다. 연약토 및 과잉하중에 대하여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더욱 길어지고 많은 양이 되어야 한다.
상기 블록의 시공을 위한 재료는 본 발명의 작용에 있어 크게 중요하지 않다. 전형적으로 각 블록(12)은 시멘트, 물과 하나의 타입 또는 그 이상의 골재의 혼합으로 만들어진 콘크리트로부터 시공된다. 상기 블록은 지오폴리머(geopolymers), 석회석 또는 금속등을 포함하는 옹벽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자재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의 색상과/또는 조직은 중요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콘크리트 또는 지오폴리머에 산화제를 첨가하거나 미학적 고려에서 사용되는 골재를 변경함으로써 다양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블록(12)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시공방법에 대해 지금부터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시공방법의 맥락에서 기술될 것이다. 그럼에도,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하여 아래에 기술되듯 무모르타르시공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단계는 부지마련과 기초(60)의 포설이다. 상기 벽체(16)의 준설측 방향의 높이에 비례하여 계획된 길이의 보강재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벽체(16)의 지지측 지역이 굴착된다. 상기 굴착된 토양이 뒷채움토의 일부로 사용되는 경우라면 부지토양의 벌개제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벽체의 종축 길이에 걸쳐 도랑을 파고 상기 기초(60)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하거나 또는 쇄석,도로기초용 골재,밸러스트 또 는 거친 모래등과 같은 적당한 다짐가능한 입자성 자재를 포설하여 준비된다. 상기 기초(60)는 최상의 결과를 위해 상기 벽체의 전체 길이에 걸쳐 평탄하여야 한다.
상기 기층(62)은 기초(60)상에 놓인다. 블록을 사용하는 벽체에 있어 흔하듯, 무모르타르 시공에 있어서 기층의 배열이 불규칙한 경우 벽체의 높이가 올라감에 따라 그 불규칙의 정도가 심해지므로 시공시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모르타르시공에 있어서는 기층의 불규칙이 모르타르의 양에 의해 시정될 수 있으므로 기층시공의 중요성은 무모르타르시공에 비해 적다. 기층 블록의 정확한 안착을 돕기 위해, 레이저싸이트(laser sight)와 같은 스트링라인(string line) 또는 다른 적당한 안내장비가 블록의 위치를 안내하는데 사용되어야 한다. 블록의 위치를 잡은 후에는 전후좌우 방향에서 블록의 수준을 측정할 스피릿레벨(spirit level)과 같은 수준측량장치가 사용되어야 한다. 요구되는 라인과 수준으로 주어진 블록위치의 조정을 돕기 위해 고무망치 또는 다른 적당한 데드블로우해머(dead blow hammer)가 사용될 수 있다. 기층의 수준이 고르지 않은 경우 필요하다면 적당한 레벨수정도구,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쐐기를 사용하여 수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기층(62)은 상기 블록들이 준설라인(38) 아래로 일부 매설된다. 상기 기층블록의 부분적 매설은 상기 기층(62)에 보강력을 제공하여 상기 준설라인(38)에서 상기 벽체(16) 아래로의 침하의 위험을 감소시켜준다. 상기 기층의 지지를 위해 어떠한 보강재의 사용도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블록(12)이 기층의 시공에 있어서 사용될 필요는 없다. 편리하다면 속이 꽉 찬 블록을 포함하여, 적당한 크기의 임의의 블록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속이 빈 블록이 상기 기층(62)의 시공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블록의 공동은 배수용 골재나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와 같은 불투수성 자재로 속이 채워질 수 있다. 골재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골재는 상기 블록의 위치를 교란시키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상기 공동에 단단히 다져지며 채워져야 한다.
상기 기층(62)이 놓이면, 적당한 속채움토가 상기 기층(62)의 배후에 뒷채움토(20)로 이용된다. 이때 상기 뒷채움토(20)는 핸드탬퍼와 같은 적당한 다짐장치 또는 평탄다짐기계를 사용하여 다져진다. 다짐은 나라마다 다른 토목공사에 관한 표준시방서에 따라 수행된다. 옹벽의 완성에 대한 토목인증을 달성하기에 필요한 다짐정도를 평가하는 일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상기 마지막 층(64)과 달리 블록(12)의 제2층과 후속층은 본 발명의 상기 블록(12)을 이용하여 시공된다. 각각의 후속층(14)을 배열하기 전에, 먼저 조적된 층의 블록(12)의 상부면에서 잔해물질 또는 표면의 이물질들이 제거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다음 블록층의 배열을 위해 평탄한 표면을 제공한다. 여기에 더하여 상기 블록(12)의 정확한 정열을 돕고자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 스트링라인(string line)을 리셋하고 스피릿 레벨(spirit level)을 사용할 것이 바람직하다. 각 후속층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최대힘을 받을 수 있도록 수직이음새(66)들이 단을 지어 떨어지도록 시공된다. 상기 블록은 물론 신축결합(stretcher bond)에 의한 배열을 할 필요는 없다.
도 5를 참조하면, 띠형 보강재(18)은 제1개구부(18)을 통하여 제1부분(44)이 상기 통로(40)안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통로(40)안으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띠형 보강재(18)은 상기 제2부분이 상기 제1개구부(42)로부터 상기 배면(24)방향으로 상기 바닥면(32)을 따라 연장되어 배열되도록 구부러진다. 이후 모르타르(47)이 타설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18)가 삽입된 상기 블록(12)은 선행층을 형성하는 상기 블록(12) 위에 조적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제3부분(48)은 상기 블록(12)으로부터 상기 벽체(16)의 지지측(36)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18)를 제자리에 정착시키기 위하여 뒷채움과 다짐은 각각의 층(14)이 놓이거나 상기 벽체(16)가 완성된 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기층(62)의 포설에 대하여 상기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층과 그 이후 후속되는 층(14)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조적된 후 뒷채움 바로 직전에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제3부분(48)중 어느 하나가 상기 벽체(16)에 대략 수직이 되고 상기 블록(12)의 각기 상부면(30)과 바닥면(32)에 관하여 대체로 동일평면상에 놓이도록 방향을 잡는다. 그후 어느 하나의 제3부분(48)은 다음 뒷채움과 다짐작업중에 채우기용 토양으로 덮여질 때 상기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중에 작업조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블록깔기작업중에 띠형 보강재(18)를 상기 블록(12)로 삽입하는 블록쌓기조와 상기 벽체의 완성후에 뒷채움과 다짐작업중에 상기 제3부분의 위치를 잡아주는 지반다짐조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되는 층들(14)는 상기 벽체(16)가 요구되는 높이에 이르기전까지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조적된다.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 상기 벽체(16)뒤의 뒷채움(20)의 중량은 상기 벽체가 상기 준설측(34)쪽으로 기울게 할 수 있다. 이를 상 쇄하기 위해서, 각 층(14)은 뒷채움을 하기 이전에 완성된 상기 벽체(16)가 상기 지지측(36)방향으로 2%만큼 또는 그 이상 후방으로 기울도록 상기 선행층(14)로부터 상기 벽체(16)의 지지측(36) 방향으로 약 4mm만큼 또는 그 이상 물러나게 조적될 수 있다. 뒷채움과 다짐 후에 상기 벽체는 대체로 수직을 이루게 된다.
만약 원한다면, 상기 벽체에 더 나은 미학적으로 만족스러운 외관을 조성하기 위하여, 상기 마지막 층(64)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캡핑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캡핑(64)은 방수공사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벽체(16)를 시공하기 위하여 사용된 상기 블록(12)에 구비된 상기 통로(40)로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속이 꽉 찬 형태일 수 있다.
지지되는 토양이 점토와 같이 낮은 투수율을 가진 경우에는, 벽체의 측면에 대한 정수압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용골재(104)가 상기 벽체(16)의 지지측(36)과 바로 인접한 곳에 포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블록에 관한 제2실시예가 도 8에서 10까지 도시되고 있으며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가리킨다. 이런 실시예에서, 상기 블록(12)은 다수의 공동(72)이 구비된다.(이곳 예에서,2개의 공동이 구비된다) 각각의 공동(72)은 상기 블록(12)의 최대높이까지 연장되고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에 기술된 상기 블록(12)의 통로(4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블록(12)은 이하에서 속이 빈(hollow) 블록으로 언급될 것이다. 속이 빈 블록(12)을 이용하는 이점 중의 하나는 각 블록의 효율적인 중량이 동등한 크기의 속이 찬 블록보다 중량이 덜 나가가고 운반,쌓기,깔기가 더 용이하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은 상기 공 동(72)은 제1실시예의 상기 통로(40)보다 더 큰 용적을 가지고 있어 상기 띠형 보강재의 삽입이 더 용이하다는 것이다.
무모르타르 시공을 위하여, 각각의 속이 빈 블록(12)은 상기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가이드 홈(5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곳에서, 상기 가이드 홈(50)은 필요하지 않다. 가이드 홈(50)이 상기 각 공동(72)에 제공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여러 측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속이 빈 블록(12)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의 무모르타르 시공방법이 도 8부터 10을 참조하여 이하 기술될 것이며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부분을 가리킨다.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 기술된 방법과 유사하게 모르타르를 사용한 시공에도 동등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속이 빈 블록(12)을 이용하여 상기 벽체(16)를 시공하는 동안 상기 기초(60)과 기층(62)는 제1실시예에서 기술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포설될 것이다. 뒷채움과 다짐은 상기 기층(62)이 놓인 후에 수행된다.
상기 제2 및 각기의 후속 블록층(12)(최종 블록층(64)를 제외하고)은 상기 속이 빈 블록(12)을 사용하여 시공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띠형 보강재(18)는 제1부분이 상기 공동(72)안으로 수용되는 방식으로 상기 공동(72) 중 어느 하나를 관통한다. 상기 띠형 보강재(18)는 이때 상기 제2부분이 상기 가이드 홈(50)에 수용되도록 대체로 90도의 각까지 굴곡 된다. 상기 제1부분(44)이 상기 벽체(16)를 전복시키려는 힘에 대한 저항을 최대로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블록(12)의 전면(22)쪽 의 상기 공동(72)안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띠형 보강재(18)가 삽입된 채로 상기 속이 빈 블록(12)은 선행층(14)을 이루는 상기 블록의 위에 설치될 때, 상기 가이드 홈(50)은 상기 벽체(16)의 지지측(36) 방향으로 위치를 잡는다. 각각의 새로운 층이 놓일 때 또는 그 후에, 상기 속이 빈 블록의 공동(72)은 예를 들면 콘크리트와 같은 불투수성 자재 또는 배수용 골재와 같은 투수성 자재의 형태로 상당한 밸러스트(76)로 속이 채워진다. 배수용 골재가 사용되는 곳에서, 상기 자재는 빈 공간이 없도록 다져져야 한다. 상기 밸러스트(76)은 벽체에 안정성을 제공하고, 상기 공동(72)과의 관계에서 띠형 보강재(18)의 위치를 지지하는 데 도움이 되고 뒷채움과 다짐작업 중에 상기 블록의 거동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배수용 골재는 또한 띠형 보강재가 상기 공동(72)의 배후의 모서리에 접촉하게 된다면 생길지 모를 손실로부터 띠형 보강재를 보호하는 쿠션으로 작용한다. 더욱이, 콘크리트는 휨력에 약하기 때문에 상기 골재는 띠형 보강재(18)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더 큰 표면 즉 상기 공동(72)의 내부 배면(80)으로 분산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속이 빈 공동(72)이 상당한 밸러스트(76)로 속이 채워진 후, 상기 벽체(16)는 적당한 속채움 토양을 사용하여 뒷채움되며 상기 기층(62)과 관련하여 위에서 기술된 방법으로 다져진다. 제2 또는 후속층(14)이 놓인 후 뒷채움을 하기 바로 전에, 상기 띠형 보강재(18)의 제3부분(48)이 상기 벽체(18)에 대략 수직이 되고, 대체로 상기 블록(12)의 바닥면(32)과 동일평면상에 방향을 잡는다. 이후 제3부분(48)은 각 층(14)이 깔린 후 속채움 흙이 덮일 때 또는 벽체(16)이 완성된 때 에 상기 위치에 고정된다.
도 9 및 10과 관련하여, 상기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는 달리 띠형 보강재(18)의 제4부분(74)이 상기 공동(72)안에 수용되는 제1부분(44)으로부터 연장되어 띠형 보강재(18)의 효과적인 길이가 대략 2배가 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상기 제4부분(74)은 막 놓인 층(14)에 뒷채움 및 다짐하는 동안 벽체(16)의 준설측(34) 위에 걸쳐 덮이도록 한다.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 제3부분(48) 및 제4부분(74)은 먼저 다짐된 토양 위에 놓이고 벽체(16)에 대략 수직이 되고 각각의 속이 빈 블록(12)의 상부면(30) 또는 바닥면(32)과 동일평면상에 놓이도록 방향을 잡는다.
추가되는 층(14)들은 벽체(16)가 필요한 높이에 이르기까지 상기 방법으로 놓인다. 원한다면, 마지막 층(64)은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캡핑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뒷채움과 다짐은 각 층(14)이 놓인 후 또는 벽체(16)가 완성된 후에 수행된다.
상기 벽체(16)의 인접층(14)간의 전단 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고자, 상기 시스템(10)은 도 9에서 도시된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다수의 직사각형 블록의 형태를 띠고 공동(72)에 밸러스트(76)이 채워지기 전에 공동(72) 내로 삽입되는 다수의 쉬어 핀(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거친 골재가 공동 내에 밸러스트(76)로써 채워진 경우에는 그 자체의 입자들에 의해 전단력에 대한 저항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 쉬어 핀(82)의 사용은 전적으로 선택사항이라 점은 주목할 만한 사항이다. 상기 공동(72)이 거친 골재로 채워진 경우, 인접한 층의 인접 블록과의 관계에서 하 나의 블록(12)의 거동은 상기 거친 골재의 입자들 서로 간의 변형을 필요로 한다. 배수용 골재 입자들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크기이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인접층간에 전단변형에 대한 추가적인 저항력을 제공한다.
비록 성가실지라도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층(14)에 다수의 블록(12)을 관통하여 상기 띠형 보강재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과잉하중이 예상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모든 블록(12)에 하나의 길이의 띠형 보강재가 제공될 필요는 없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벽체시공을 위해 필요한 띠형 보강재의 양, 벽체의 높이, 예상하중 및 뒷채움 타입을 결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의 띠형 보강재 시스템(10)과 블록(12)의 제3실시예가 도 11에 도시되며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 부분을 가리킨다. 건축현장에서 시공하는 경우, 옹벽은 대개 배관, 전기, 기초공사등과 같은 다른 공종에 앞서서 설치된다. 여기 제3실시예에서 상기 시스템(10)은 전이대(92)에서 상부(94)와 하부(96)로 나뉘는 혼합식벽(90)을 포함한다. 상기 혼합식벽의 하부(96)는 상기 제1 및 2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시공된 보강토 옹벽(16)이다. 하부(96)가 놓이고 혼합식벽(90)의 지지측(36)에 뒷채움과 다짐작업이 수행된다. 이후, 상기 혼합식벽의 상부(94)는 상기 전이대(92)에 해당하는 높이를 갖는 중력식 옹벽으로서 시공된다. 상기 중력식 옹벽(94)는 배경기술의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다.
상기 상부(94)는 혼합식벽(90)의 상부(94)의 시공에 사용되는 블록의 공동(72)을 관통하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다수의 봉강(steel bar)을 위치시킴으 로써 강보강 캔틸레버 옹벽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공동(72)은 그 이후에 상기 봉강을 제자리에 고정시킬 콘크리트로 채워진다. 다수의 쉬어 핀(82)이 하부(96)에 대한 상부의 전단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고자 전이대(92)에 있는 혼합식벽의 하부(96)의 최상단층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실시예는 옹벽의 상단부 0.1~0.9m는 효과적으로 자가지지(self-supporting)가 가능하다는 인식에 기초를 두었다. 상기 전이대(92)의 두께는 부분적으로 옹벽의 지지측에 시공되는 시설 또는 구조의 예상되는 깊이에 의존하나, 전이대의 두께는 1m를 초과하지않을 것이며 혼합식벽(90)의 최종 예상높이 아래 약 0.4~0.6m에 있게 될 것이다.
보강토방벽(98)(soil reinforcement protection barrier)은 대체로 상기 하부(96)의 최상층(14)의 상부면(30)과 동일평면상에서 전이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벽(98)은 완성된 옹벽에 인접하여 나중에 시공될 건물의 작동중에 있을지 모를 손실로부터 상기 띠형 보강재(18)를 보호하기 위해 시각적 또는 물리적 방벽으로써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방벽(98)은 후속 굴착작업중에 전이대에 도달하였음을 보여주는 시각적 지시자 역할을 제공하는 얇은 판상의 플라스틱 띠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방벽(98)은 후속굴착으로부터의 관통을 방지하여 그 아래의 띠형 보강재를 보호하는 물리적 저항력을 제공하는 콘크리트 슬라브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10)과 블록(12)의 제4실시예는 도 12와 13에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가리킨다. 이러한 실시예는 수분에 대해 낮 은 투수율을 가진 점토질 토양과 같은 뒷채움재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를 특별히 다루기 위해 계획된 것이다. 토양의 낮은 투수율로 인해, 상기 뒷채움(20)은 강수와 같은 것에 의해 장시간 포화된 상태로 있게되어 벽체(16)의 지지측(32)에 저장된 수분의 증가를 가져온다. 이로 인해 상기 벽체(16)에 대한 정수압이 증가하게되어 벽체의 지지측(32)에 대한 압력을 효과적으로 가하게 된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벽체(16)의 기층쪽에 위치하고 투수층(104)로부터 준설측(34)쪽으로 연장된 배수로(106)를 통해, 벽체 뒤에서 중력에 의해 물을 흘려보낼 수 있도록 벽체(16)의 지지측(32)에 인접하게 배수용 골재와 같은 투수성자재로 된 투수층(104)을 수직으로 위치시키는 방법이 있다. 상기 배수용 골재는 전형적으로 투수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충분히 크고 고른 석질의 입자로 구성될 것이다. 상기 투수층(104)은 각 층(14)이 놓임에 따라 하여 분할해체식으로 포설하여 상기 띠형 보강재(18)가 투수층을 거쳐 뒷 편의 뒷채움과 다짐된 토양에 정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벽체(16)는 상기 먼저 기술된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시공된다.
배수용골재는 뒷채움과 다짐을 하는 동안 작업자에에 의해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블록쌓기조는 블록의 다음 층을 깔기 전에 느슨한 돌들을 제거해야만 한다. 더욱이, 상기 투수층(104)은 자가지지력(self-supporting)이 없어서 이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필요한 것보다 더 두꺼운 층을 가지게 되어 결국 자재비 및 설치비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잠재적 문제를 덜기 위해서, 상기 제2실시예의 속이 빈 블록이 점토 질 토양에 대해 특히 적합하다. 만약 상기 공동(72)이 배수용 골재로 채워진다면, 벽체 자체가 상기 투수층(104)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속이 빈 블록(12)에 마련된 가이드 홈(50)이 지지측(36)의 물을 배수용 골재로 채워진 공동(72)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기층(62)의 시공에 사용된 블록(12)은 가이드 홈이 벽체 자체로부터 배수가 되도록 투수층(104)로부터 나온 물을 준설측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반대로 놓이게 된다.
상기 가이드 홈(50)의 크기와 형태는 주어진 지리적 위치에서 뒷채움재(20)의 알려진 우수 처리용량보다 더 빠른 비율로 배수를 할 수 있도록 최대 예상 강우량에 대비하여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속이 빈 블록의 채워진 공동으로 정의되는 상기 투수층(104) 내부에 축적된 액체는, 상기 기층(62)을 형성하는 반대로 놓인 블록(12)의 가이드 홈(50)을 통해 액체의 흐름을 가속하는 압력헤드(a head of pressure)를 생성한다.
이러한 제4실시예의 상기 기층(62)은 반대로 놓인 속이 빈 블록(12)을 사용하여 시공될 필요가 없으며, 상기 벽체(16)에 투수층(104)안의 액체의 흐름을 준설측(34)쪽으로 유도할 수 있을 정도의 적당한 크기의 배수로가 적어도 하나 구비된다면 제1실시예의 속이 찬 블록 또는 어느 다른 솔리드 블록타입을 사용하여 동등하게 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10)과 블록(12)의 제5실시예가 도 14에 도시되며,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가리킨다. 제1 및 2실시예에서 간략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띠형 보강재(18)의 길이는 상기 벽체(16)의 예상 높이에 직접 비례한다. 이러 한 점에서 벽체가 높은 경우, 특히 약 1.6m 이상인 경우에는 띠형 보강재를 통로(40) 또는 공동(72)을 관통하여 꿰기가 어려워진다. 벽체(16)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공동(72) 또는 통로(40)를 관통하여 띠형 보강재를 삽입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각 블록층을 깔 때 쉽게 말리고 걸리기 쉬운 띠형 보강재(18)의 긴 길이를 일반적으로 다루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는 띠형 보강재를 짧은 삽입부(100)와 이보다 긴 자유부(102)로 나눔으로써 극복될 수 있다. 각각의 짧은 삽입부(100)는 제1~3실시예중 어느 하나의 경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긴 자유부(102)가 각 층(14)이 완성되거나 상기 벽체(16)가 완성된 후에 뒷채움과 다짐작업을 하는 동안 분리하여 놓이게 된다. 각 자유부(102)는 해당 삽입부(100)에 부착되어 고정되거나 뒷채움(20)내의 임의 깊이에 지지측(32) 벽체(16)로부터 이격되어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놓일 수 있다.
뒷채움과 다짐후에, 상기 삽입부(100)와 분리되거나 상호의존적으로 상기 자유부(102)를 설치하는 것의 결합효과는, 만약 자유부(102)가 벽체(16)의 지지측(32)로부터 적어도 뒷채움(20)의 예상 파괴면을 지나 연장된다면, 하나의 연결된 띠형 보강재(18)를 포설하는 것과 동일하다. 상기 파괴면(110)은 벽체의 준설라인(38)과 β각을 이루고 상기 β각은 지지되는 뒷채움(20) 타입과 상관관계가 있는 랭킨각(또는 내부마찰각)이 된다.
상기 실시예를 사용하여 더 유리한 점은 짧은 벽체에도 마찬가지로 분리된 작업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블록쌓기조는 삽입부(100)을 블록(12)에 삽입하는 일을 담당하고 지반다짐조는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 자유부(102)를 설치하는 일을 담당한다.
상기 삽입부(100)와 자유부(102)는 띠형 보강재형태로 제공될 필요는 없으며 지오메쉬와 같은 격자 또는 시트형태의 보강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더욱 인식되어진다. 이와 같이, 도 15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10)을 도시하면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부분을 가리킨다. 이러한 실시예의 블록(112)은 보강토 옹벽의 시공에 상용되는 표준형태이거나 상기 제1 내지 5 실시예에서 기술된 블록(12)일 수 있다.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110)은 상기 벽체(16)을 뒷채움(20)에 정착하기 위한 제1보강재 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제1보강재구간은 벽체(16)의 인접층인 14'와 14"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블록(112)의 배면(24)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도 15에 도신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보강재 구간(114)은 짧은 지오메쉬 형태이다. 도 14와 관련하여, 제1보강재 구간(114)은, 만약 도 14에서 도시된 삽입부(100)와 같은 연장된 띠가 인접층인 14'와 14"사이에 배열되고 벽체(16)의 지지측(36)상의 블록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도 14에서 도시된 삽입부(100)와 같은 연장된 띠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연장된 띠는 블록을 관통할 필요가 없다는 점은 물론이다.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110)은 상기 벽체(16)의 지지측(36)에 뒷채움되고 다짐된 토양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제2보강재 구간(116)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보강재 구간은 제1보강재 구간(114)과 이격되어 있으며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에 벽체(16)에 대체로 수직으로 배열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보강재 구간(116)은 더 큰 판상의 지오메쉬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지오메쉬는 제1보강재 구간(114)과 이격되어 있다. 지오메쉬가 선호되는 반면에, 특정한 토양환경에서 풍화에 견딜 수 있으며 통상의 예상하중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진 적당한 자재로써 다른 종류의 보강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5에서, 상기 제2보강재 구간(116)은 벽체(16)의 지지측(36)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된다. 제2보강재 구간(116)이 벽체의 지지측상의 블록의 배면과 이격되어있음은 물론이다.
도 15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보강재 구간(114) 및 제2보강재 구간(116)은 각각 상호간에 수평적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열되며 제1보강재 구간(114)는 제1층(118)을 이루고 상기 제2보강재 구간(116)은 제1층(118)과 이격되어 제2층(120)으로 배열된다. 제1층과 제2층간의 간격은 여러 요인에 의해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1m를 초과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제1보강재 구간(114)는 뒷채움과 다짐하기 직전에 각기 하나 이상의 블록(112)의 상부면(30) 또는 바닥면(32)에 동일평면상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2보강재 구간(116)은 상부면(30) 또는 바닥면(32)과 동일평면상에 배열될 필요는 없으나 상부면(30)과 바닥면(32) 사이의 높이에서 상기 블록(112)와 교차하는 평면(122)과 일직선이 되게 배열된다.
상기 제1보강재 구간(114)은 모르타르를 사용하거나 상부층을 이루는 블록의 자연적인 중량아래에서 중력에 의해 인접한 층 14'와 14"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뒷채움(20)에 사용된 토양의 종류 및 질을 포함하는 여러 요인에 의하여 상 기 제2보강재 구간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벽체(16)의 높이의 60%, 70% 또는 80%가 될 수 있으며 적어도 뒷채움(20)의 파괴면을 지나서 연장되어야 한다. 옹벽의 높이, 과잉하중과 상부경사각 등의 요인뿐만 아니라 경사의 안정도,토양의 내부마찰각 β,토양의 점착력, 토양의 수분단위중량등의 요인에 의존하여 특별한 적용을 위해 요구되는 제2보강재 구간(116)의 양과 길이를 결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낮은 질의 토양에서는, 옹벽에 충분한 안정성을 주기 위하여 더 큰 제2보강재 구간(116)이 요구될 수 있다. 더 많은 양의 보강재가 사용되는 곳에서, 각기 독립된 부분에 미치는 하중이 작은 만큼, 각 부분의 인장강도는 더 클 필요는 없다.
도 1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체(16)는 가이드 홈(50)이 요구되지 않는 예외를 보여주는 상기 제2실시예와 관련하여 상기에서 기술된 속이 빈 블록을 사용하여 시공될 수 있다. 상기 속이 빈 블록(112)의 공동(72)은 상기에서 기술된 밸러스트(76)을 수용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밸러스트(76)은 배수용 골재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불투수성 자재로 이루어지며 블록(112)의 공동에 채워진다. 필요하다면, 하나 이상의 쉬어 핀(82)이 제1층(14')이 인접한 제2층(14")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에 저항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분을 벽체(16)의 지지측(36)으로부터 준설측(34)로 유도하는 것으로 설정된 배수로(106)가 필요한 경우 마련될 수 있으며, 이는 뒷채움이 점토질 토양인 경우 벽체에 가해지는 정수압을 제거하기위해 특히 유리한다.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110)은 상기에서 기술된 바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서 혼합식벽(90)의 시공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보강토 옹벽(110)의 시공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가 도 15를 참조하여 무모르타르시공의 맥락에서 이제부터 기술될 것이다. 상기 보강토 옹벽 시스템(110)은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모르타르은 제1보강재 구간(114)의 위치를 인접한 층(14)사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기초(60)와 기층(62)은 상기 기술된 바와 비슷한 방법으로 놓인다. 일단 상기 기층(62)가 놓이면, 나라마다 다를지 모를 토목공사 표준시방서에 의해 적당한 채움재가 기층(62)의 뒷채움재로 사용되고 다져진다. 후속층이 놓이기 전에 제1보강재 구간(114)이 상기 벽체(16)를 뒷채움(20)에 정착시키기 위하여 기층(62)을 형성하는 블록(112)의 상부면(30)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제1보강재 구간(114)는 블록(112)의 지지측(36)상의 배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제1보강재 구간(114)는 벽체(16)의 전 구간을 따라 연장될 필요는 없으며 벽체를 형성하는 인접한 층(14)간에 마련될 필요는 없다. 무모르타르 시공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토 구간(114)은 그 위에 놓이는 다음 층의 블록의 하중에 의해 제자리에 유지된다.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시공에 있어서는, 상기 모르타르층(47)은 뒷채움 이전에 제1보강토 구간의 위치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제2보강토 구간(116)은 각 층(14)이 놓이거나 벽체(16)이 완성된 후에 수행될 수 있는 뒷채움과 다짐작업중에 포설되며 기층(62)의 포설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기술된 방법과 유사하게 시공된다. 제2보강토 구간(116)은 제1보강토 구간(114)은 이격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며, 상기 제1,2보강토 구간의 위치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블록(112)의 배면에 뒷채움 및 다짐을 하는 동안 벽체(16)에 대체로 수 직으로 연장된다. 추가되는 층(14)은 상기 벽체(16)가 필요한 높이에 이르기까지 상기 방식에 의해 포설된다.
원한다면, 마지막 층(64)은 옹벽에 좀더 미학적으로 만족스러운 외관을 부여하기 위하여, 도 7에서 도시된 바대로 캡핑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지지되는 토양이 점토와 같이 낮은 투수율을 갖는 경우에는, 배수용 골재층(104)을 벽체의 배면에 작용하는 정수압의 증가를 막고자 벽체의 지지측(36)에 바로 인접한 곳에 포설할 수 있다.
만약 속이 빈 블록이 상기 벽체(16)의 시공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시공방법은 각 블록 또는 블록층이 상기 제2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유사하게 놓인 후에, 상기 공동(72)에 상당한 밸러스트(76)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쉬어 핀(82)이 제1층(14')이 인접한 층(14")위에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곳에서, 그것들의 위치가 제1보강토 구간의 위치를 방해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쉬어 핀(82)은 모든 블록(112)의 제2층(14)사이에 제공되며 제1보강토 구간(114)은 잔여 층 사이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선별된 실시예가 자세하게 기술된 이상,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여러 가지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a) 속이 빈 블록들은 가벼워서 빠른 시공을 가능하게 하고 블록쌓기에 관련된 작업조에게 작업에서 오는 상해의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b) 띠형 보강재는 기계적으로 블록과 연결되는 것은 아니어서 블록의 구성요소비용을 절감하고 블록설치와 관련된 노동시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블록에 보강 재가 잘못 연결되는 경우가 줄어들며;
c) 블록은 표준규격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옹벽의 미학과 강도를 증가시키는 표준규격의 맞물리는 벽돌의 패턴으로 설치된다. 또한 블록은 기계적 금속구가 블록 속에 포함될 필요가 없으므로 저렴하고 용이하게 대량 생산될 수 있으며;
d) 상기 시스템은 띠형 보강재에 직접적인 기계적 부착물을 필요로 하지않으므로 플라스틱이 도금철강에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다. 종래기술을 사용하는 경우, 띠형 보강재에는 홀(hole)이 필요했으나 대부분의 플라스틱 재질은 찢어지는 것에 약하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사용을 불허하였다.
기본적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블록의 전면이 평면일 필요는 없으며 다른 형상과 표면조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옹벽 시스템은 시공후 외관을 수려하게 하기 위하여 준설측에 보호 또는 장식적인 판넬을 적용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모든 실시예에서 하나의 띠형 보강재가 블록마다 삽입되는 반면, 복수의 띠형 보강재가 하나의 블록의 통로 또는 공동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벽체를 뒤로 물리면서 축조하는 계단식 옹벽의 축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계단식 벽은 일자형 벽에 대해 매력적인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긴 지역에 식재를 할 수도 있다. 상부벽체가 하부벽체에 하중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부 벽체는 하부벽체 높이의 적어도 2배이상의 거리를 두고 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안에서 고려된 것이며, 이것의 성질은 앞서 기술된 내용과 뒤에 올 청구항으로부터 결정될 것이다.

Claims (81)

  1. 기층으로부터 층층이 조적되어 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벽체는 지지측(retained side)과 준설측(dredge side)을 가지는 다수의 블록들, 상기 다수의 블록들의 각 블록은 상기 벽체의 상기 준설측 방향을 향하는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을 향하고 있는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 상기 블록의 폭을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 측면, 그리고 상기 블록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의 제1개구부에서 끝나는 통로를 가지며, 상기 통로와 상기 제1 개구부는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벽체를 정착하기 위한 다수의 띠형 보강재를 포함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통로 내에 수용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2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3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어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에 벽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상기 다수의 띠형 보강재의 각각은 상기 다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하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는 탄력있게 유연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제1 개구부 통로로부터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에서 끝나며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2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3부분은 뒷채움과 다짐을 하기 바로 전에 상기 블록들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블록의 상기 바닥면에 구비된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블록 의 상기 상부면에 구비된 제2개구부까지 상기 블록의 최대높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띠형 보강재가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까지 상기 통로를 거쳐 삽입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제4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배열되어 뒷채움과 다짐을 하는 동안 상기 벽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부분은 뒷채움과 다짐을 하기 직전에 상기 벽체로부터 떨어져서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대체로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상부면까지 연장되는 공동이고, 상기 공동은 소정량의 밸러스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배수용 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불투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다수의 통로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층이 인접한 제2층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쉬어 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으로부터 상기 벽체의 상기 준설측으로 수분을 유도하도록 구성된 배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띠형 보강재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상호작용을 하도록 연결된 자유부로 나누어지고, 뒷채움과 다짐을 하는 동안 벽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합식벽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혼합식벽은 전이 깊이에서 상부와 상기 하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식벽의 상기 상부는 중력식 옹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식벽의 하부를 형성하는 블록들의 최상단층과 대체로 동일평면상에서 전이 깊이에서 정렬되는 보강토 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토 방벽은 콘크리트 슬라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20.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축조 방법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기층을 토대로 층층이 배열된 다수의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벽체는 층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블록들 중 적어도 어느 일부에 대해 효율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띠형 보강재 위에 흙의 뒷채움과 다짐작업에 의하여 정착되며,
    a) 블록층을 배열하기 위한 수준면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각 블록은 전면,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 상기 블록의 폭을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 측면, 그리고 상기 블록의 높이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의 제1개구부에서 끝나는 통로를 가지며, 상기 통로와 상기 제1 개구부는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b)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1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통로 내에 수용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2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고, 상기 띠형 보강재의 길이의 제3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배열되도록 층상으로 놓인 상기 블록으로 띠형 보강재를 삽입하는 단계;
    c)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과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3부분이 벽체에 의해 지지되는 토양측을 향하도록 상기 블록과 상기 삽입된 띠형 보강재를 상기 수준면에 위치시키는 단계;
    d) 상기 옹벽의 요구된 높이가 달성될 때까지 상기 a)부터 c)단계를 반복하 는 단계; 및
    e)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 뒤에 상당한 양의 흙을 뒷채움 및 다짐작업을 함으로써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3부분을 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각 층이 완성된 후 c)단계 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모르타르 없는 시공으로서 각 블록은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상기 바닥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블록의 배면에서 끝나는 가이드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2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3부분은 상기 e)단계 직전에 상기 상부면 또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블록의 상기 바닥면에 구비된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에 구비된 제2개구부까지 상기 블록의 최대 높이까지 연장되고, 상기 b)단계는 상기 띠형 보강재의 제4부분이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바깥으로 연장되어 배열되도록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상기 제2개구부까지의 통로를 통하여 띠형 보강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블록의 배면 뒤에 소정량의 흙을 뒷채움 및 다짐함으로써 상기 띠형 보강재의 상기 제4부분의 위치를 정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4부분은 뒷채움과 다짐을 하기 직전에 상기 벽체로부터 떨어져서 대체로 상기 블록의 상기 상부면 또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상부면까지 연장되는 공동이며, 상기 방법은 각 블록 또는 각 블록층이 놓인 후 소정량의 밸러스트를 상기 공동에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배수용 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불투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30.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제2층 위에서 제1층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쉬어 핀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31. 제20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띠형 보강재는 b)단계에서 적어도 하나의 블록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상호 연결되고 상기 블록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뒷채움과 다짐하는 동안 e) 단계 동안 상기 벽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위치에 고정 되도록 배치된 자유부(free section)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32. 제20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토 옹벽은 혼합식벽의 하부를 이루며, 상기 혼합식벽은 전이 깊이에서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고, 상기 방법은 상기 혼합식벽의 상기 상부를 이루는 중력식 또는 캔틸레버식 옹벽을 축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축조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식벽의 상기 하부를 이루는 최상단 블록층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는 상기 전이 깊이에 보강토 방벽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토 방벽을 설치하는 단계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시공 방법.
  35.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축조에 사용되는 블록.
  36.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축조에 사용되는 띠형 보강재.
  37. 준설측과 지지측을 갖는 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층 위에 층층이 조적된 다수의 블록들, 상기 블록들의 각각은 상기 벽체의 상기 준설측 방향을 향하는 전면과, 상기 전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을 향하고 있는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면, 상기 블록의 폭을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 측면을 포함하고;
    뒷채움에 상기 벽체를 정착하고, 상기 벽체의 인접층들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블록들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 위까지 연장된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 및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 위에 뒷채움 및 다짐된 소정량의 토양을 안정화시키며, 상기 제1보강재 구간들과 이격되고, 뒷채움 및 다짐작업을 하는 동안 상기 벽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상기 벽체의 상기 배면과 이격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39.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보강재 구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탄력있게 유연성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40. 제37항 내지 3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소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상기 벽체 높이의 적어도 60%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소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상기 벽체 높이의 적어도 70%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소정 높이를 가지고,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상기 벽체 높이의 적어도 80%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43. 제37항 또는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적어도 뒷채움의 파괴 예상면을 통하여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44. 제3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보강재 구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45. 제3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보강재 구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지오메쉬(geo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46. 제37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보강재 구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긴 띠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47. 제3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보강재 구간들은 상호간에 수평적으로 동일평면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48. 제37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은 제1층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제1층과 이격되어 제2층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49. 제37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또는 제2보강재 구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뒷채움과 다짐하기 직전에 상기 다수의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상부면 또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50. 제37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은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상부면까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공동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동은 상당한 밸러스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배수용 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불투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53. 제37항 내지 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층이 인접한 제2층 위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쉬어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54. 제37항 내지 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상기 지지측의 수분을 상기 준설측으로 유도하도록 구성된 배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55. 제37항 내지 5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합식벽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혼합식벽은 전이 깊이에서 상부와 하부로 나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중력식 옹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57. 제55항 또는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식벽의 상기 하부를 형성하는 블록들의 최상단층과 대체로 동일평면상에서 정렬되어 상기 전이 깊이에 위치하는 보강토 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토 방벽은 콘크리트 슬라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59. 제37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재 구간은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인접 블록층들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60. 제37항 내지 제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은 인접한 층들을 구성하는 블록들의 하중 하의 중력에 의하여 상기 블록들의 인접한 층들 사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61. 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층 위에 층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을 축조하는 방법으로서,
    a) 블록들의 층을 배열할 수준면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블록들의 각각은 전면, 상기 블록의 깊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상기 전면으로부터 이격된 배면, 상부면,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블록의 높이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바닥 면, 상기 블록의 너비를 정의하는 거리만큼 서로 이격된 대향면들을 가지며;
    b) 상기 블록들의 각 층을 배열하는 동안 상기 벽체를 상기 벽체에 인접한 양 층들 간의 뒷채움에 정착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들의 상기 배면으로부터 상기 벽체의 지지측 위에까지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배열된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을 배열하는 단계;
    c) 필요한 옹벽높이에 이르기까지 각 후속 층을 쌓는 단계;
    d) 상기 다수의 제1 보강재 구간들과 이격되고 e)단계를 진행하는 동안에 상기 벽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을 배열하는 단계; 및
    e) 상기 다수의 제1 및 2 보강재 구간들을 정착하기 위하여 상기 블록들의 상기 배면 뒤에 소정량의 흙을 뒷채움 및 다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 방법.
  62. 제61항에 있어서,
    e)단계는 b)단계후 c)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
  63. 제61항 또는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상기 벽체의 상기 배면과 이격되도록 e)단계 동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
  64. 제6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및 2보강재 구간들은 서로에 대하여 수평적으로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
  65. 제61항 내지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은 제1층으로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제2보강재 구간들은 상기 제1층과 이격되어 제2층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
  66. 제61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보강재 구간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뒷채움과 다짐작업 직전에 상기 다수의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상부면 또는 바닥면과 동일평면상에 정렬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
  67. 제61항 내지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은 상기 바닥면에서 상기 상부면까지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공동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동은 소정량의 밸러스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법은 각 블록 또는 블록들의 각 층이 조적된 후 상기 공동에 소정량의 밸러스트를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배수용 골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
  69.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는 불투수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
  70. 제61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층이 인접한 제2층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쉬어 핀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
  71. 제61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토 옹벽은 혼합식벽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혼합식벽은 전이 깊이에서 상부와 하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방법은 상기 혼합식벽의 상부를 이루는 중력식 또는 캔틸레버식 옹벽을 축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식벽의 상기 하부를 이루는 최상단 블록층과 동일평면상에 대체로 정렬되어 상기 전이 깊이에 보강토 방벽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토 방벽을 설치하는 단계는 콘크리트 슬라브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
  74. 제61항 내지 7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은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인접한 층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
  75. 제61항 내지 7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보강재 구간들은 인접한 층들을 형성하는 상기 블록들의 하중 하에서 중력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
  76.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에 사용되는 블록.
  77.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에 사용되는 띠형 보강재.
  78.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실질적인 보강토 옹벽 시스템.
  79.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실질적인 보강토 옹벽 시스템 축조방법.
  80.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실질적인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축조에 사용되는 블록.
  81.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여기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실질적인 보강토 옹벽 시스템의 축조에 사용되는 띠형 보강재.
KR1020067022798A 2004-04-01 2005-03-31 보강토 옹벽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31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2798A KR20070031295A (ko) 2004-04-01 2005-03-31 보강토 옹벽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4901725 2004-04-01
AU2004901789 2004-04-05
AU2004907121 2004-12-15
AU2005900832 2005-02-23
KR1020067022798A KR20070031295A (ko) 2004-04-01 2005-03-31 보강토 옹벽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295A true KR20070031295A (ko) 2007-03-19

Family

ID=43655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798A KR20070031295A (ko) 2004-04-01 2005-03-31 보강토 옹벽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12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813A (ko) * 2018-08-28 2020-09-21 이장원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40930A (ko) 2021-04-09 2022-10-19 이장원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673473B1 (ko) * 2024-01-25 2024-06-10 (주)성지콘크리트 자중식 채움 블록 및 속빈 블록의 혼합 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8813A (ko) * 2018-08-28 2020-09-21 이장원 보강토옹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20140930A (ko) 2021-04-09 2022-10-19 이장원 보강토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673473B1 (ko) * 2024-01-25 2024-06-10 (주)성지콘크리트 자중식 채움 블록 및 속빈 블록의 혼합 블록을 이용한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67718A1 (e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CA2306130C (en) Reinforced retaining wall
CN102966119B (zh) 土工格栅加筋墙体及其施工方法
CN205999903U (zh) 环保型植草混凝土公路护坡结构
CN110397050A (zh) 一种新型梁锚式轻型排水挡墙及其施工方法
CN114182745B (zh) 高液限土生态挡墙生态护坡路基及施工方法
CN114575355A (zh) 一种土护降施工方法
CN110805049B (zh) 一种山体边坡超厚度喷锚永久支护结构的施工方法
CN108018865A (zh) 利用既有地下通道作为地下连续墙施工导墙的成槽工艺
CN105821902B (zh) 竖直格构式轻型钢筋混凝土生态挡墙施工方法
KR20070031295A (ko) 보강토 옹벽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08316237B (zh) 驳岸挡墙
CN110965577B (zh) 链锁式生态砌块挡墙的施工方法
CN113863334A (zh) 一种公路护坡结构
AU2005228914A1 (en)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CN106400643A (zh) 以高聚物注浆补强防水的路堑立体防护结构
KR200448481Y1 (ko) 식재 가능한 절토사면 옹벽 구조
KR200223114Y1 (ko) 암 절취사면용 옹벽 보강구조
ZA200608640B (en) A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CN214005732U (zh) 一种用于基坑局部回填的加筋挡土墙
CN113430989B (zh) 一种海塘的提升施工方法
CN219011296U (zh) 一种加筋土挡墙的施工结构
CN210421337U (zh) 预制装配式临时排水沟
WO2008070913A1 (en) Stabilised embankment
CN117738208A (zh) 多业态结构立体空间砂灌浆地基施工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