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0506A -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0506A
KR20070030506A KR1020050085221A KR20050085221A KR20070030506A KR 20070030506 A KR20070030506 A KR 20070030506A KR 1020050085221 A KR1020050085221 A KR 1020050085221A KR 20050085221 A KR20050085221 A KR 20050085221A KR 20070030506 A KR20070030506 A KR 20070030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panel
upper case
slide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남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85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0506A/ko
Publication of KR20070030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0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가 본래 지니고 있는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상기 상부 본체에 대하여 엘씨디 화면 부분만을 별도로 구획하여 일정 각도로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정 화면을 통해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이나 동영상 등을 더욱 편리하게 시청(감상)할 수 있도록 한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상면에 입력키들이 구비된 하부 본체(100)와; 상기 하부 본체(100)의 상면에 상,하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부(210)와;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직선 운동 가이드(300)와; 액정 화면(251)을 구비하고, 그의 한쪽 하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에 고정된 직선 운동 가이드(300)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회동의 중심이 되도록 피벗 결합되는 액정 패널부(250)와;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와 상기 액정 패널부(250)를 연결하여, 상기 액정 패널부(250)가 미끄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피벗 결합부 반대측을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액정 패널부(250)가 세워지도록 하는 연결 링크(400a 또는 400b 또는 400c)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본체(100)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가 상,하 미끄럼 이동으로 개폐됨과 더불어, 상기 액정 화면(251)을 가지는 액정 패널부(250)를 상기 직선 운동 가이드(300)와 연결 링크(400a 또는 400b 또는 400c)의 조합적인 운동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에 겹쳐지는 제1위치와 상부 케이스 부(210)로부터 일정 각도로 세워지는 제2위치로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드, 슬라이딩, 액정 화면, 기립, 휴대폰, 단말기

Description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Sli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tanding-up of LCD display}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기구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하나의 형태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3a는 상부 본체의 슬라이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액정 화면이 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또 다른 형태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4a는 상부 본체의 슬라이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액정 화면이 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또 다른 형태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5a는 상부 본체의 슬라이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액정 화면이 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또 다른 하나의 형태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6a는 상부 본체의 슬라이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액정 화면이 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7a는 휴대 단말기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고, 도 7b는 기립 동작 기구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 측면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A-A 단면도이고, 도 7d는 도 7b의 B-B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화면의 기립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립 동작 기구의 주요 부분을 보여주는 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화면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립 동작 기구의 주요 부분을 보여주는 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액정 화면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도 13a는 휴대 단말기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고, 도 13b는 기립 동작 기구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주요부 측면도이며, 도 13c는 도 13b의 C-C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a : 슬라이드 기구 30 : 인장 코일 스프링
40 : 가이드 부재 41 : 스크류
50 : 슬라이드 부재 51 : 고정구
52 : 힌지축 100 : 하부 본체
101 : 입력키 200 : 상부 본체
210, 210a, 210b, 210c : 상부 케이스부
211, 211a : 수용홈 211b : 살 부분
211c : 절취홈 212 : 기능키
213 : 수화구
250, 250a, 250b, 250c : 액정 패널부
251 : 액정 화면 252 : 피벗축
253 : 안내홈 254 : 결합홈
300 : 직선 운동 가이드 310 : 가이드 레일
311 : 걸림홈 320 : 슬라이딩 블록
321 : 개구홈 322 : 탄성부재
323 : 볼 330 : 탄성 걸림 기구
400a, 400b, 400c : 연결 링크
410 : 회동 바 411 : 피벗축
412 : 안내축 420 : 제1링크
421, 431 : 피벗축 430 : 제2링크
440 : 힌지축 450 : 제1피벗축
451,461 : 힌지축 452 : 이동 제한 홈
460 : 제2피벗축 462 : 삽입축
270 : 압축성 탄성 부재
본 발명은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부 본체를 상,하 미끄럼 이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가 본래 지니고 있는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상기 상부 본체에 대하여 엘씨디 화면 부분만을 별도로 구획하여 일정 각도로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정 화면을 통해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이나 동영상 등을 더욱 편리하게 시청(감상)할 수 있도록 한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 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 폰(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Phone)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의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 본체(10)에 대하여 상부 본체(20)를 소정의 미끄럼 운동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상,하 미끄럼 이동(slide up and down)이 가능하게 결합한 형태의 단말기이다. 이러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기존에 주류를 이루던 이른바 '막대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또는 '절첩형(Folding type)' 등과는 다른 디자인적으로 독특한 미감을 제공하고 매우 컴팩트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본체(10)의 정면에는 복수의 입력키 버튼(12)이 설치되고, 상부 본체(20)의 정면에는 액정 화면(22) 및 '네비게이션'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기능키(24)들이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부 본체(10)에 노출되어 있는 대형의 액정 화면(22)을 언제나 확인할 수 있으면서, 상기 하부 본체(10)에 대하여 상부 본체(20)를 밀어 올리면 하부 본체(10)측의 입력키 버튼(12)들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부 본체(20)를 일정 지점까지 이동시키면 소정의 탄성 부재의 역할에 의해 상부 본체(20)가 자동으로 슬라이드 개폐되는 이른바,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가 알려져 있다. 또한, 모터 등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이른바, '자동식 슬라이드 기구'가 알려져 있다.
이들 중,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대한 종래의 예들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8165호 공보(2003년03월19일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4358호 공보(2004년12월10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29974호 공보(2005년03월29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46519호 공보(2005년05월18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88994호(2004년11월03일 출원) 등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자료들에 개시된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의 공통된 구성은, 플레이트 또는/그리고 블록 형태를 이루는 2개의 슬라이드 부재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2개의 슬라이드 부재를 '링 스프링', '토션 스프링' 인장(코일) 스프링'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로 연결하여, 하나의 슬라이드 부재에 대하여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탄성부재가 가지는 탄성 복원력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전환점(임계점)이 되는 지점까지 미끄럼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자동식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대한 종래의 예들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86951호 공보(2004년10월13일 공개)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41271호 공보(2005년05월04일 공개) 등을 포함하여 매우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 등에 개시된 자동식 슬라이드 기구의 공통된 구성은, 플레이트 또는/그리고 블록 형태를 이루는 2개의 슬라이드 부재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슬라이드 부재 중 하나는 하부 본체에, 나머지 하나는 상부 본체에 고정시틴다. 그리고, 2개의 슬라이드 부재 중 하나 이상을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작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 다.
따라서, 상술한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와 '자동식 슬라이드 기구'는, 서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2개의 슬라이드 부재(통상적으로는, '가이드'와 '슬라이더'가 결합된 형태이다)를, 하나는 하부 본체에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부 본체에 연결한다는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다만, 2개의 슬라이드 부재의 미끄럼 이동 동작을 탄성부재를 사용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모터 등의 구동원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2에는 상기한 종래의 자동식 또는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중,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88994호에 개시되어 있는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가 하나의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30a)는, 길이가 긴 인장 코일 스프링(30)이 굴곡이 되면 다시 펴지려는(복원되려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30a)는, 가이드 부재(40)에 슬라이드 부재(50)를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30)을 상기 가이드 부재(40)와 슬라이드 부재(50)에 연결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30a)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40)를 단말기의 하부 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50)를 단말기의 상부 본체에 고정시키면,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가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부 본체를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밀면, 처음에는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30)이 구부려지고, 중간 정도의 지점까지 가서는 탄성 가압력의 전환점에 도달하고, 그 이후부터는 인장 코일 스프링(30)이 다시 복원되려고(펴지려고) 한다. 따라서, 상부 본체가 일정 구간까지 이동된 이후에는 더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부 본체가 자동적으로 열림 위치나 닫힘 위치까지 이동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디자인적인 측면이나 편리성인 측면에서 상술한 특유의 장점이 있기는 하나, 이러한 장점들이 경우에 따라서는 더 나은(편리한) 단말기로의 발전 가능성을 저해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예컨대, 현재의 휴대폰, PDA, MP3 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DMB 폰 등은, 통화 기능, 디지털 영상 촬영 기능, 멀티미디어 녹음/재생 기능, 게임,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DMB) 서비스 기능, 금융 결제 기능, 가정용 원격 제어/모니터링 기능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이른바 '휴대용 디지털 복합 기기'나 '휴대용 멀티미디어 복합 기기'로 발전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형태의 휴대 단말기도 위와 같은 기능들을 모두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될 것이 자명하다. 그러나, 종래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그 형태상의 한계로 인하여 상기한 요구들에 모두 부합하기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부 본체를 단순히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엘씨디 화면을 볼 수 있는 방향도 한 방향으로만 정해져 있다. 따라서, DMB 방송 수신이나 게임 등의 목적으로 액정 화면을 장시간 보고 있어야 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항상 단말기를 장시간 손에 들고 액정 화면을 자신의 시야 정면으로 계속적으로 맞추어야 하거나, 별도의 거치대에 올려 놓아야만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만 하였다.
이에 비하여, 절첩형 휴대 단말기는, 회전 힌지체 의한 연결에 의해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부 본체를 일정각도(통상적으로 135도 각도) 회동시켜 열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회동 기능을 간단한 변형 내지 응용만으로도 액정화면이 구비된 상부 본체를 필요한 각도로 열어서 세워 놓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77168호 공보(2004년09월04일 공개)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3084호 공보(2004년06월22일 공고) 등에는, 하부 본체와 상부 본체의 힌지 구조를 응용하여, 상부 본체의 각도를 일정한 각도로 거치시키거나 멈출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77168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액정 화면 자체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액정화면을 가지는 상부 본체를 기울여 하부 본체 위에 거치시키는 형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상부 본체를 일정 각도로 세워 거치시키는 경우, 상부 본체에 의해 하부 본체의 입력키들이 가려져서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3084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엘씨디 화면을 가지는 상부 본체를 연결하는 기존의 힌지체가 탄성부재와 캠을 이용하여 '통화에 적합한 각도'(약135도 ~ 150도 각도)로 열리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탄성부재와 캠이 조합된 형태의 힌지체에 의해서 상부본체를 열림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힘에 대항하여, 상부 본체를 90도 각도와 같은 '중간의 각도'에서 멈추기 위한 탄성부재를 이용한 또 다른 하나의 고정장치를 구비하여야 함으로써, 힌지체와 고정장치간의 힘의 안배 등의 구성이 어렵다. 예를 들어, 고정 장치의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너무 약한 경우에는 '중간의 각도'에 서 멈추기 어렵고, 고정 장치의 탄성력이 너무 강한 경우에는, '중간의 각도'에서 '통화에 적합한 각도'로 여는데 너무 많은 힘을 필요로 하여, '중간의 각도'를 벗어나도록 열더라도 상부 본체를 밀고 있던 관성력이 그대로 작용하여, 상부 본체가 '통화에 적합한 각도' 이상으로 더욱 큰 힘으로 밀어젖혀지게 됨으로써,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힌지체 및 힌지 부분의 파손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차치하더라도, 무엇보다도 상기한 2개의 공보에 개시된 기술들은 모두 '절첩형 휴대 단말기' 라고 하는 특성 때문에,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추구하는 전술한 기본적인 장점이나 특성을 유지할 수는 없는 한계가 있다.
한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의 액정 화면을 장시간 볼 수 있도록 구성한 형태와 유사한 예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3291호 공보(2004년10월1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8901호 공보(2005년03월16일 공고)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363291호 공보에 개시된 단말기에서는, 액정화면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안테나에 전파 방해를 주는 현상을 줄이기 위해, 하부 본체와 상부 본체를 2개의 지지대로 연결하여, 상부 본체를 밀면 상기 2개의 지지대에 의해 상부 본체 자체가 하부 본체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약간 경사지도록 한 구성을 갖추고 있다. 그러나, 이는 상부 본체가 하부 본체로부터 이격되어 개방되는 특이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이므로, 상부 본체가 하부 본체에 밀접하여 슬라이딩 운동하는 전형적인 의미의 슬라이드형 단말기로 분류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전통적인 슬라이드형 단말기가 고유하게 지니고 있던 전술한 유리한 특성을 향유할 수는 없는 것이다. 특히, 상부 본체를 개방시킨 후 통화를 하고자 하면, 상부 본체는 언제나 하부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로 개방되어 최종적으로도 경사진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통화가 불편하거나 불가능할 수밖에 없는 폐단이 있다.
또한,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20-0378901호 공보에서는,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거치시켜서 책상 등에 올려놓을 수 있는 별도의 케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액정 화면을 장시간 보기 위하여는 상기 케이스를 별도로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동중일 때와 같이, 케이스를 올려놓을 수 있는 장소가 마땅히 없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형 단말기가 가지는 장점을 그대로 보유하면서도 상기 상부 본체에 대하여 엘씨디 화면 부분만을 별도로 구획하여 일정 각도로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정 화면을 통해 방송이나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더욱 편리하게 향유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사용도 편리한,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상면에 입력키들이 구비된 하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상면에 상,하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직선 운동 가이드와; 액정 화면을 구 비하고, 그의 한쪽 하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고정된 직선 운동 가이드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회동의 중심이 되도록 피벗 결합되는 액정 패널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연결하여, 상기 액정 패널부가 미끄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액정 패널부의 피벗 결합부 반대측을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액정 패널부가 세워지도록 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부가 상,하 미끄럼 이동으로 개폐됨과 더불어, 상기 액정 화면을 가지는 액정 패널부를 상기 직선 운동 가이드와 연결 링크의 조합적인 운동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겹쳐지는 제1위치와 상부 케이스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세워지는 제2위치로 동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선 운동 가이드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 패널부의 한쪽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피벗 결합되어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선 운동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상기 액정 패널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겹쳐지는 제1위치와 상부 케이스부로부터 세워지는 제2위치에서 일정한 탄성 가압력으로 멈춰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 걸림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탄성 걸림 기구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형성되는 개구홈과; 상기 개구홈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선단에 안착되는 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상기 액정 패널부에 대한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가 되는 지점 에 상기 볼이 일정량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걸림 홈을 포함하여, 상기 볼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 홈에 걸려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이동이 멈춰지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가압력 이상으로 밀 때 상기 볼이 상기 걸림 홈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여러 각도에서 멈춰 세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제1,2위치 이외의 지점에 하나 이상의 걸림 홈이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는, 상기 액정 패널부에, 액정 패널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안내홈과,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액정 패널부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액정 패널부의 안내홈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액정 패널부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액정 패널부 쪽으로 연장되는 제1링크와, 상기 액정 패널부에 액정 패널부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제1링크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액정 패널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 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액정 패널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피벗축과; 상기 액정 패널부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피벗축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피벗축과; 상기 제1피벗축과 제2피벗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2피벗축을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압축성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2피벗축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2피벗축 중 하나에는 이동 제한 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이동 제한 홈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축이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상면에 입력키들이 구비된 하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상면에 상,하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부와; 가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가 서로 직선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고정되는 공지의 슬라이드 기구와; 액정 화면을 가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부 상부에서 그의 한쪽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기구의 슬라이드 부재에 회동이 가능하게 피벗 결합되는 액정 패널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연결하여, 상기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상기 액정 패널부가 미끄럼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벗 결합부의 반대측을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액정 패널부가 세워지도록 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부가 상,하 미끄럼 이동으로 개폐됨과 더불어, 상기 액정 화면을 가지는 액정 패널부를 상기 슬라이드 기구와 연결 링크의 조합적인 운동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겹쳐지는 제1위치와 상부 케이스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세워지는 제2위치로 동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가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복원력의 전환점을 가지도록 연결된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이어도 좋다.
또 다르게,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가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가,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직선 이동되도록 한 자동식 슬라이드 기구이어도 좋다.
상술한 본 발명의 두 가지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부는, 그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횡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는 상부 본체를 상,하 2분할한 형태로 서로 동일한 크기의 평면적을 가지고, 상기 액정 패널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 상면에 단순 안착된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한 횡방향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액정 패널부의 상면에는 그의 액정 화면 이외의 부분에 각종의 기능키와 수화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부의 평면적의 크기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평면적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상면에는 그를 횡단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작은 크기의 액정 패널부가 삽입되어 상기한 횡방향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상면중 상기 수용홈 이외의 부분에는 각종의 기능키와 수화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두 가지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부는, 그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한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미끄럼 이동 방향과 동일 방향인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는, 상부 본체를 상,하 2분할한 형태로 서로 동일한 크기의 평면적을 가지고, 상기 액정 패널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 상면에 단순 안착된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한 길이 방향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액정 패널부의 상면에는, 그의 액정 화면 이외의 부분에 각종의 기능키와 수화구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부의 평면적의 크기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평면적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부는 그의 상면의 아래쪽에 일부의 살(肉) 부분을 남기고, 상기 살 부분으로부터 상부 케이스부의 상단부 끝까지 연장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작은 크기의 액정 패널부가 삽입되어 상기한 길이 방향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상면중 상기 수용홈 이외의 살 부분에는 각종의 기능키가 배치되고, 상기 액정 패널부에는 수화구가 배치되는 형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단말기의 외부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도 3a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단말기와 동일하게, 하부 본체(100)와 상부 본체(200)가 앞서 설명한 공지의 슬라이드 기구들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상부 본체(200)는 액정 패널부(250)가 분리 구획되어 별도로 조립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부 본체(200)는 상부 케이스부(210)와 액정 패널부(250)가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액정 패널부(250)에는 액정 화면(25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본체(100)에는 각종 입력키(101)들이 구비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평면적(平面積)은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의 평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액정 패널부(250)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횡방향으로 이동과 기립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본체(200)의 상부 케이스부(210)에는 그를 횡단하는 수용홈(211)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211)에 상기 액정 패널부(250)가 삽입 수용된다. 여기서,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표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의 표면과 일치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통화 기능적인 측면이나 미관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별도로 제조된 액정 패널부(250)와 상부 케이스부(210)가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 상부 본체(200)를 하부 본체(100)에 대하여 상부로 미끄럼 이동시키면, 하부 본체(100)에 구비된 입력키(101) 등이 노출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의 상면중 수용홈(211) 이외의 부분에는, 종래의 통상적인 슬라이드형 단말기와 동일하게, '네비게이션'이나 '모드 설정', '입력' 등의 조작을 위한 각종의 기능키(212)들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화구(213)도 설치될 수 있다.
도 3b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라 액정 패널부(250)가 일정각도 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액정 패널부(250)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의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일정 각도로 세워진 형태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액정 화면(251)을 횡장형(橫長形) 와이드(wide) 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다.
도 3b에서는 상부 본체(200)가 하향 이동하여 하부 본체(100)를 덮은 상태에서 액정 패널부(250)가 일정 각도로 세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액정 패널부(250)는, 당연히 상부 본체(200)가 하부 본체(100)로부터 위쪽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도 상부 케이스부(210)로부터 세울 수 있다.
첨부도면 도 4a 및 도 4b에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또 다른 형태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액정 패널부(250a)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전술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액정 패널부(250)와 같이, 상부 케이스부(210a)의 횡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형태이다. 이 경우에도, 액정 화면(251)을 횡장형의 와이드 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a)와 상기 액정 패널부(250a)는, 상부 본체(200)를 상,하로 2분할한 형태를 가져 서로 동일한 크기의 평면적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동시에, 상기 액정 패널부(250a)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a)의 상면에 단순 안착된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액정 패널부(250a)의 상면에는, 그의 액정 화면(251) 이외의 부분에 각종의 기능키(212)와 수화구(213)가 배치되는 것이 당연하고도 바람직한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 패널부(250a)가 일정 각도로 기립하면, 상기 액정 화면(251), 기능키(212)들, 그리고 수화구(213)도 함께 기립된다.
첨부도면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또 다른 형태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액정 패널부(250b)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기립되도록 한 형태이다. 그러면서도, 상기 액정 패널부(250b)의 평면적은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b)의 평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에는 액정 화면(251)을 종장형(縱長形)의 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b)에는, 그의 상면의 아래쪽에 일부의 살(肉) 부분(211b)을 남기고, 상기 살 부분(211b)으로부터 상부 케이스부(210)의 상단부 끝까지 연장되는 수용홈(211a)이 형성된다. 액정 패널부(250b)는 상기 수용홈(211a)에 삽입되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b)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액정 패널부(250b)의 표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의 표면과 일치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미관적인 측면이나 통화 기능 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정 패널부(250b)를 용이하게 밀어 기립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부(211b)의 살 부분(211b)의 일부를 절취한 절취홈(211c)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취홈(211c)의 넓이와 깊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넣어 상기 액정 패널부(250b)를 밀기에 충분하게 형성한다.
첨부도면 도 6a 및 도 6b에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또 다른 형태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패널부(250c)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상부 케이스부(210c)의 길이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형태이다. 이 경우에도, 액정 화면(251)을 종장형의 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본체(200)를 상부 케이스부(210c)와 액정 패널부(250c)로 상,하로 2분할한 형태를 가져 서로 동일한 크기의 평면적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동시에, 상기 액정 패널부(250c)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c)의 상면에 단순 안착된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액정 패널부(250c)의 상면에는, 그의 액정 화면(251) 이외의 부분에 각종의 기능키(212)와 수화구(213)가 배치되는 것이 당연하고도 바람직한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액정 패널부(250c)가 일정 각도로 기립하면, 액정 화면(251), 기능키(212)들, 그리고 수화구(213)도 함께 기립된다.
위에 설명한 단말기의 예들과 같이,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가 고유하게 가지고 있던 기능이 나 디자인적인 미감, 또는 각종의 장점들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DMB 방송 시청이나 게임 등의 목적으로 액정 화면(251)을 장시간 보고 있어야 하는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액정 패널부(250,250a,250b,250c)를 기립시킬 수 있으므로, 액정 화면(251)을 매우 편리하고 편안하게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 단말기를 장시간 손에 들고 액정 화면을 자신의 시야 정면으로 계속적으로 맞춘 자세를 힘들여 계속적으로 지탱하고 있어야 함에 따른 수고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를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상부 본체(200)에 있어서, 상부 케이스부(210)에 대한 액정 패널부(250,250a,250b,250c)의 미끄럼 이동 및 기립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특히, 도 3a 및 도 3b, 도 4a 및 도 4b, 도 5a 및 도 5b,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예들 중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형태의 단말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당연히, 나머지 형태의 단말기에도 이동 및 기립 방향만이 다르지 동일한 구성(형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1)
첨부도면 도 7a 내지 도 7d에는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대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하부 본체(100)와 상부 본체(200)가 종래의 통상적인 슬라이드형 단말기와 동 일하게 서로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상부 본체(200)는, 상부 케이스부(210)와 액정 패널부(250)로 나뉘어져 있다. 상기 액정 패널부(250)에는 액정 화면(251)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액정 패널부(250)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의 수용홈(211)내에 수용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표면은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의 표면과 일치하여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액정 패널부(250)는, 그의 한쪽(도면상 우측) 하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에 직선운동 가이드(300)에 의하여 미끄럼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회동의 중심이 되도록 피벗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 링크(400a)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와 상기 액정 패널부(250)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 링크(400a)는, 상기 액정 패널부(250)가 미끄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피벗 결합부 반대측을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액정 패널부(250)가 세워지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상부 본체(200)를 이루는 상부 케이스부(210)가 상기 하부 본체(100)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개폐된다. 또한, 상기 액정 화면(251)을 가지는 액정 패널부(250)는, 상기 직선 운동 가이드(300)와 연결 링크(400a)의 조합적인 운동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에 겹쳐지는 제1위치(수평 상태로 닫혀져 있는 위치)와 상부 케이스부(210)로부터 일정 각도로 세워지는 제2위치(기립 위치)로 동작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직선 운동 가이드(300)는 구체적으로 가이드 레일(310)과 슬라이딩 블록(32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310)은 상기 상부 케이 스부(2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블록(320)은, 상기 가이드 레일(310)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한쪽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20)에 피벗축(252)을 통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피벗결합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액정 패널부(250)가 전술한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딩 블록(320)을 멈추도록 하고, 다시 일정한 힘을 가하면 제1위치와 제2위치를 벗어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걸림 기구(33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탄성 걸림 기구(330)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320)에 형성되는 개구홈(321)과, 상기 개구홈(321)에 삽입되는 탄성부재(322)와, 상기 탄성부재(322)의 선단에 안착되는 볼(32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310)에는,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가 되는 지점에서 상기 볼(323)이 일정량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걸림 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볼(323)이 상기 탄성부재(322)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 홈(311)에 걸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블록(320)의 이동이 멈춰진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320)을 상기 탄성부재(322)의 탄성 가압력 이상으로 밀면, 상기 탄성부재(322)가 압축되면서 상기 볼(323)이 상기 걸림 홈(311)으로부터 빠져 나올수가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 홈(311)은, 상기 제1,2위치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액정 패널부(250)를 멈추고 싶은 각도에 대응하는 여러 지점에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의 취향이나 편의에 따라서 액정 패널부(250)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멈춰 세울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링크(400a)는, 안내홈(253)과 회동 바(410)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홈(253)은 액정 패널부(250)에 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 바(410)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에 피벗축(411)에 의하여 액정 패널부(250)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되고, 그의 타단부는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안내홈(253)에 안내축(412)을 통해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의 액정 화면(251)의 기립 과정을 첨부도면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부 본체(10)에 대한 상부 본체(200)의 상,하 슬라이딩 동작은 이미 설명하였을 뿐만 아니라 공지의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상부 본체(200)의 상부 케이스부(210)에 대한 액정 패널부(250)의 이동 및 기립 과정만을 설명한다.
먼저, 도 8a에서는, 액정 화면(251)을 구비한 액정 패널부(250)가 상부 케이스(210) 위에(실질적으로는 수용홈(211) 내부에) 평행하게 겹쳐져 있는 상태를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상태는, 종래의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단말기와 같이 상부 본체(200)를 하부 본체(10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시켜 가면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블록(320)의 볼(323)이 가이드 레일(310)의 제1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홈(311)에 탄성부재(322)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일부 삽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액정 화면(251)을 기립시키고자 하면,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벗축(252)에 의해 피벗 결합되어 있는 액정 패널부(250)의 일단부(도면에서는 우측 단부)를 반대 방향(도면에서는 좌측)으로 민다.
그러면, 가이드 레일(310)의 걸림홈(311)에 삽입되어 있던 볼(323)이 상승력을 받아 탄성부재(322)를 압축시키면서 걸림홈(311)을 벗어나게 되고, 그에 따라 슬라이딩 블록(320)은 상기 가이드 레일(310)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 블록(320)에는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하단이 피벗 결합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딩 블록(320)과는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된다. 이와 함께, 상기 액정 패널부(250)는 상기 연결 링크(400a)에 의해 상부 케이스부(210)에 연결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액정 패널부(250)가 슬라이딩 블록(320)과 함께 이동함에 대응하여, 연결 링크(400a)의 회동 바(410)는 피벗축(411)을 중심으로 상부 케이스(210)에 대하여 회동이 이루어지고 그의 안내축(412)은 액정 패널부(250)의 안내홈(253)을 따라 이동하여 액정 패널부(250)의 선단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액정 패널부(250)의 하단은 슬라이딩 블록(320)을 따라 이동하면서 피벗축(252)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그의 선단부는 회동 바(410)에 의하여 상승됨으로써 액정 패널부(250)가 세워지게 된다.
액정 패널부(250)를 도 8c의 상태를 지나 도 8d의 상태까지 이동시키면, 액정 패널부(250)는 최초 설계에서 정해진 최대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세워진다.
도 8d와 같이 액정 패널부(250)가 최대로 세워지면(제2위치에 다다르면) 슬라이딩 블록(320)의 볼(323)은 가이드 레일(310)의 제2위치에 해당하는 걸림홈(311)을 만나게 된다. 이에 상기 볼(323)은 탄성부재(322)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홈(311)으로 들어간다. 그러면 슬라이딩 블록(320)은 상기 탄성부재(322)가 가지는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2위치에서 멈추게 되고, 이에 따라 액정 패널부(250)도 제2위치에서 멈춰지게 된다. 단말기가 책상이나 바닥의 수평면에 올려져 있을 때에는,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세워진 액정 패널부(250)의 액정 화면(251)이 사용자의 시선과 마주하게 되므로 한층 편안하게 볼 수 있다. 또한, 단말기를 손으로 들고 있는 경우에는 팔을 수평상태로 편안하게 유지하여도 액정 화면(251)을 마주할 수 있으므로, 일부러 단말기 전체를 기울여 액정 화면(251)과 시선을 맞추어야만 하는 종래의 불편함이 없어진다.
상기와 같이 세워서 감상하던 액정 화면(251)을 다시 눕히고자 하면, 제2위치에 세워져 있던 액정 패널부(250)의 상단부분을 탄성부재(322)의 탄성 가압력 이상으로 누른다. 그러면, 가이드 레일(310)의 걸림홈(311)에 삽입되어 있던 볼(323)이 상승력을 받아 탄성부재(322)를 압축시키면서 제2위치에 해당하는 걸림홈(311)을 벗어나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를 향하여 이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후에는, 슬라이딩 블록(320)과 연결 링크(400a)가 앞서 설명한 '기립 순서'의 역순으로 이동하여 액정 패널부(250)가 눕혀져, 상부 케이스부(210)의 수용홈(211)에 수평하게 수납된다.
(실시예 2)
첨부도면 도 9 및 도 10a ∼ 도 10d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연결 링크(400b)에 대한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의 구성들은 모두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부 케이스부(210)와 상기 액정 패널부(250)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400b)는, 제1링크(420)와 제2링크(430)에 의해 액정 패널부(250)의 기립을 가능케 하고 있다.
상기 제1링크(420)는, 그의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에 피벗축(421)에 의해 피벗 결합되고, 그의 타단부가 상기 액정 패널부(250) 쪽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420)는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제2링크(430)는, 그의 일단부가 상기 액정 패널부(250)에 피벗축(431)에 의하여 피벗 결합되어, 액정 패널부(250)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420)와 제2링크(430)의 자유단부는 서로 힌지축(440)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액정 패널부(250)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은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패널부(250)의 일측 하단이 슬라이딩 블록(320)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상부 케이스부(210)와 액정 패널부(250)를 연결하고 있는 제1,2링크(420,430)가 피벗축(421,431)과 힌지축(440)을 기준으로 하여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작용을 하면서 액정 패널부(250)를 세우거나 눕힐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첨부도면 도 11 및 도 12a ∼ 도 12d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연결 링크(400c)의 구성만이 상이하고, 나머지의 구성들은 모두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부 케이스부(210)와 상기 액정 패널부(250)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400c)는, 제1피벗축(450)과 제2피벗축(460)을 포함한다.
상기 제1피벗축(450)은, 도 12a를 병행 참조하면, 그의 일단부가 상부 케이스부(210)에 힌지핀(451)에 의하여 피벗 결합되고, 그의 타단부는 상기 액정 패널부(250)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1피벗축(450)은 상기 힌지핀(451)을 중심으로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제2피벗축(460)은, 그의 일단부가 상기 액정 패널부(250)에 힌지핀(461)에 의하여 피벗 결합되고, 그의 타단부는 상기 제1피벗축(450)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상기 제1피벗축(450)과 제2피벗축(460)중 하나를 중공의 축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를 상기 중공의 축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시킴으로써 달성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2피벗축(460)을 중공의 축으로 구성하고, 중공의 제2피벗축(460)에 상기 제1피벗축(450)을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시킨 형태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1피벗축(450)과 제2피벗축(460) 사이에는 상기 제1,2피벗축 (450,460)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압축성 탄성부재(470)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한 압축성 탄성부재(470)는, 액정 패널부(250)에 힘을 작용하여 액정 패널부(250)가 더욱 적은 힘으로도 기립될 수 있도록 조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2피벗축(450,46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2피벗축(450,460) 중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제1피벗축(450))에는 이동 제한 홈(452)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본 실시예에서는 제2피벗축(460))에는 상기 이동 제한 홈(452)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축(462)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액정 패널부(250)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은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패널부(250)를 세우거나 닫기 위하여, 액정 패널부(250)에 밀거나 누르는 힘을 가함에 따라, 액정 패널부(250)는 슬라이딩 블록(320)에 의해 이동함과 동시에, 상부 케이스부(210)와 액정 패널부(250)를 연결하고 있는 제1,2피벗축(450,460)이 압축성 탄성 부재(470)의 힘으로 점차 축방향으로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액정 패널부(250)의 선단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킴으로써, 상부 케이스부(210)에 대한 액정 패널부(250)의 이동, 기립 및 닫힘 동작이 구현된다.
(실시예 4)
첨부도면 도 13a 내지 도 13c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액정 패널부(250)의 이동 동작을 앞에서 이미 설명한 공지 의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하여 구현한 형태이다. 상기한 슬라이드 기구들 중,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는, 앞에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8165호 공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4358호 공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29974호 공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46519호 공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88994호 등,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들이 있다고 소개하였다. 또한, 이러한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는, 플레이트 또는/그리고 블록 형태를 이루는 2개의 슬라이드 부재를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2개의 슬라이드 부재를 '링 스프링', '토션 스프링' 인장(코일) 스프링'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 탄성부재로 연결하여, 하나의 슬라이드 부재에 대하여 다른 하나의 슬라이드 부재를, 상기 탄성부재가 가지는 탄성 복원력이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는 전환점(임계점)이 되는 지점까지 미끄럼 이동,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자동식 슬라이드 기구는, 서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 2개의 슬라이드 부재 즉, '가이드'와 '슬라이더'를, 하나는 하부 본체에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는 상부 본체에 연결하고, 이들의 미끄럼 이동을 모터 등의 구동원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여러 가지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 중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30a)를 이용한 것을 하나의 예로서 설명하지만, 다른 여러 가지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 및 지동식 슬라이드 기구가 원리적으로는 모두 동일하므로,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식 슬라이드 기구 또는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의 가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중, 상기 가이드 부재를 상부 케이스부(210)에 고정하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액정 패널부(250)에 피벗 결합함으로써 구현된다.
즉, 이러한 슬라이드 기구는, 전술한 제1,2,3 실시예에 있어서의 직선운동 가이드(300)와 탄성 걸림 기구(330)를 대신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것은, 복원력의 전환점을 가지도록 설치된 탄성 부재에 의해 액정 패널부의 이동이 일정한 범위를 넘어서면 자동적으로 더 진행되도록 하는 편리함을 부가한 것이다. 한편, 자동식 슬라이드 기구를 이용한 것은, 액정 패널부의 이동이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편리함을 부가한 것이다.
첨부도면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예는, 상기한 슬라이드 기구 중,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를 실제로 적용한 예를 보여준다.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 케이스부(210)의 수용홈(211) 바닥에는 전술한 슬라이드 기구(30a)의 가이드 부재(40)가 스크류(41) 등의 수단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30a)의 슬라이드 부재(50)에는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일단부가 회동이 가능하게 피벗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피벗 결합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50)의 상면에 고정구(51)를 설치하고, 상기 액정 패널부(250)에는 상기 고정구(51)와 헐겁게 끼워지는 삽입홈(254)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홈(254)에 상기 지지부재(51)를 끼운 후 힌지축(52)으로 결합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액정 패널부(250)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50)에 대하여 상기 힌지축(52)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40)와 슬라이 드 부재(50)는 인장 코일 스프링(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자동식인 경우에는 모터 등의 구동원에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40)에 대한 상기 슬라이드 부재(50)의 이동 범위는 액정 패널부(250)의 기립 각도의 크기에 알맞게 설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결 링크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연결 링크(400a)와 동일한 연결 링크를 사용하고 있다. 즉, 상기 연결 링크(400a)는, 상기 액정 패널부(250)에 그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안내홈(253)과,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210)에 피벗축(411)에 의하여 액정 패널부(250)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되고, 그의 타단부는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안내홈(253)에 안내축(412)을 통해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바(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액정 패널부(250)를 기립시키고자 액정 패널부(250)를 이동 방향으로 밀면, 상기 액정 패널부(250)가 힌지축(52)에 의해 피벗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 부재(50)가 가이드 부재(4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한 인장 코일 스프링(30)이 구부려지게 되고, 탄성 전환점(임계점)을 지나게 되면 인장 코일 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액정 패널부(250)가 자동으로 제2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 링크(400a)의 작용에 의하여,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이동에 따라 액정 패널부(250)의 자유단부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액정 패널부(250)를 상부 케이스부(210)를 향해 닫는 동 작도 마찬가지로 작용한다. 즉, 기립되어 있는 액정 패널부(250)의 상단부를 누르면, 상기 액정 패널부(250)가 힌지축(52)에 의해 피벗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 부재(50)가 가이드 부재(40)를 따라 제1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상기한 인장 코일 스프링(30)이 다시 구부려지게 되고, 탄성 전환점(임계점)을 지나게 되면 인장 코일 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액정 패널부(250)가 자동으로 제1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링크(400a)의 작용과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액정 패널부(250)의 자유단부가 하강되어 상부 케이스부(210)의 수용홈(211)에 수평한 상태로 수납 가능하다.
(실시예 5)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앞서 제4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슬라이드 기구(30a)를 사용하고 있음과 아울러, 앞서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 링크(400b)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그 구성과 작용은 앞에서 대해 이미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6)
도 1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6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앞서 제4 및 제5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슬라이드 기구(30a)를 사용하고 있음과 아울러, 앞서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 링크(400c)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그 구성과 작용은 앞에서 이미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들이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 중 단지 몇 가지의 예를 보여준 것에 불과한 것이지,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는, 전통적인 슬라이드형 단말기가 가지는 장점을 그대로 보유하면서도, 상부 본체에 대하여 엘씨디 화면 부분만을 별도로 구획하여 일정 각도로 세워 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액정 화면을 통해 방송이나 동영상 등을 더욱 편리하게 향유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과 사용이 편리하므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P3 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 Portable Multimedia Player), DMB 폰(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obile Phone)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25)

  1. 상면에 입력키들이 구비된 하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상면에 상,하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직선 운동 가이드와;
    액정 화면을 구비하고, 그의 한쪽 하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고정된 직선 운동 가이드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회동의 중심이 되도록 피벗 결합되는 액정 패널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연결하여, 상기 액정 패널부가 미끄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액정 패널부의 피벗 결합부 반대측을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액정 패널부가 세워지도록 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부가 상,하 미끄럼 이동으로 개폐됨과 더불어, 상기 액정 화면을 가지는 액정 패널부를 상기 직선 운동 가이드와 연결 링크의 조합적인 운동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겹쳐지는 제1위치와 상부 케이스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세워지는 제2위치로 동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운동 가이드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액정 패널부의 한쪽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피벗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운동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상기 액정 패널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겹쳐지는 제1위치와 상부 케이스부로부터 세워지는 제2위치에서 일정한 탄성 가압력으로 멈춰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 걸림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걸림 기구는,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형성되는 개구홈과;
    상기 개구홈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선단에 안착되는 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상기 액정 패널부에 대한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가 되는 지점에 상기 볼이 일정량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걸림 홈을 포함하여,
    상기 볼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상기 걸림 홈에 걸려 상기 슬라이딩 블록의 이동이 멈춰지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가압력 이상으로 밀 때 상기 볼이 상기 걸림 홈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여러 각도에서 멈춰 세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제1,2위치 이외의 지점에 하나 이상의 걸림 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는,
    상기 액정 패널부에, 액정 패널부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안내홈과,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액정 패널부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액정 패널부의 안내홈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액정 패널부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액정 패널부 쪽으로 연장되는 제1링크와,
    상기 액정 패널부에 액정 패널부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제1링크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액정 패널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액정 패널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피벗축과;
    상기 액정 패널부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피벗축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피벗축과;
    상기 제1피벗축과 제2피벗축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2피벗축을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압축성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2피벗축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2피벗축 중 하나에는 이동 제한 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이동 제한 홈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 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9. 상면에 입력키들이 구비된 하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의 상면에 상,하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부와;
    가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가 서로 직선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고정되는 공지의 슬라이드 기구와;
    액정 화면을 가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부 상부에서 그의 한쪽 하단부가 상기 슬라이드 기구의 슬라이드 부재에 회동이 가능하게 피벗 결합되는 액정 패널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연결하여, 상기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상기 액정 패널부가 미끄럼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벗 결합부의 반대측을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상기 액정 패널부가 세워지도록 하는 연결 링크를 포함하여,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부가 상,하 미끄럼 이동으로 개폐됨과 더불어, 상기 액정 화면을 가지는 액정 패널부를 상기 슬라이드 기구와 연결 링크의 조합적인 운동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겹쳐지는 제1위치와 상부 케이스부로부터 일정 각도로 세워지는 제2위치로 동작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는,
    상기 액정 패널부에, 액정 패널부의 이동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안내홈과,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액정 패널부의 길이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액정 패널부의 안내홈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액정 패널부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액정 패널부 쪽으로 연장되는 제1링크와,
    상기 액정 패널부에, 액정 패널부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제1링크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에 액정 패널부의 이동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액정 패널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피벗축과;
    상기 액정 패널부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피벗 결합됨과 동시에 그의 타단부가 상기 제1피벗축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피벗축과;
    상기 제1,2피벗축의 축방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2피벗축 중 하나에는 이동 제한 홈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이동 제한 홈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벗축과 제2피벗축 사이에는, 상기 제1,2피벗축을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압축성 탄성부재가 개재됨으로써, 상기 액정 패널부가 공지의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제1위치 및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공지의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제1,2위치에서의 멈춤력을 조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가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복원력의 전환점을 가지도록 연결된 반자동식 슬라이드 기구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가이드 부재와 슬라이드 부재가,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직선 이동되도록 한 자동식 슬라이드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16.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부는, 그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횡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는 상부 본체를 상,하 2분할한 형태로 서로 동일한 크기의 평면적을 가지고, 상기 액정 패널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 상면에 단순 안착된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한 횡방향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부의 상면에는 그의 액정 화면 이외의 부분에 각종의 기능키와 수화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부의 평면적의 크기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평면적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상면에는 그를 횡단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작은 크기의 액정 패널부가 삽입되어 상기한 횡방향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상면중 상기 수용홈 이외의 부분에는 각종의 기능키와 수화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21.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부는, 그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상기 하부 본체에 대한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미끄럼 이동 방향과 동일 방향인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길이 방향 으로 이루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와 상기 액정 패널부는, 상부 본체를 상,하 2분할한 형태로 서로 동일한 크기의 평면적을 가지고, 상기 액정 패널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부 상면에 단순 안착된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한 길이 방향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부의 상면에는, 그의 액정 화면 이외의 부분에 각종의 기능키와 수화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패널부의 평면적의 크기는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평면적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상기 상부 케이스부는 그의 상면의 아래쪽에 일부의 살(肉) 부분을 남기고, 상기 살 부분으로부터 상부 케이스부의 상단부 끝까지 연장되는 수용홈이 형성되 며,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작은 크기의 액정 패널부가 삽입되어 상기한 길이 방향의 이동 및 기립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부의 상면중 상기 수용홈 이외의 살 부분에는 각종의 기능키가 배치되고, 상기 액정 패널부에는 수화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1020050085221A 2005-09-13 2005-09-13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20070030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221A KR20070030506A (ko) 2005-09-13 2005-09-13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221A KR20070030506A (ko) 2005-09-13 2005-09-13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0506A true KR20070030506A (ko) 2007-03-16

Family

ID=43655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221A KR20070030506A (ko) 2005-09-13 2005-09-13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05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253B1 (ko) * 2008-09-12 2010-05-25 주식회사 세피온 핸드폰덮개용 개폐유닛
KR101122171B1 (ko) * 2010-04-09 2012-03-16 주식회사 다이아벨 틸팅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253B1 (ko) * 2008-09-12 2010-05-25 주식회사 세피온 핸드폰덮개용 개폐유닛
KR101122171B1 (ko) * 2010-04-09 2012-03-16 주식회사 다이아벨 틸팅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095B1 (ko) 폴더식 휴대기기
CN100531239C (zh) 旋转滑动型移动通讯终端
KR10056627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KR100800769B1 (ko)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US7957778B2 (en) Folding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KR101101073B1 (ko) 단말기
KR100693641B1 (ko) 본체와 슬라이드 커버가 수평하게 펼쳐지는 슬라이드형이동 통신 단말기
KR20070030506A (ko) 액정 화면의 기립이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US20090239594A1 (en) Communication device
CN201528350U (zh) 弹出式键盘结构的滑动型手机
KR2006012258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44136B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단말기
KR10072594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KR100378120B1 (ko) 폴더형 휴대폰
KR10101652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0338310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87200B1 (ko) 보조 표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96211Y1 (ko) 회전식 슬라이드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120159B1 (ko) 폴딩 방식의 휴대 단말기용 힌지장치
KR1007020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작동방법
KR20050056784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0677337B1 (ko) 회전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KR2005011800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반자동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0345396Y1 (ko) 폴더가 수직ㆍ수평방향으로 개ㆍ폐되는 휴대폰
KR10062874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더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