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4837A - 건물 유리창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발광형광고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건물 유리창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발광형광고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4837A
KR20070024837A KR1020050080382A KR20050080382A KR20070024837A KR 20070024837 A KR20070024837 A KR 20070024837A KR 1020050080382 A KR1020050080382 A KR 1020050080382A KR 20050080382 A KR20050080382 A KR 20050080382A KR 20070024837 A KR20070024837 A KR 20070024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uni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9851B1 (ko
Inventor
명범영
Original Assignee
(주) 휴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휴네텍 filed Critical (주) 휴네텍
Priority to KR102005008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851B1/ko
Publication of KR20070024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6External wall display means; Facade advertis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05Illumination controller or illuminated signs including an illumination control syste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다수의 유리창을 광고 등을 표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화면은 모자이크 방식이나 픽셀 방식으로 구성된다. 모자이크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다수의 도광판의 일부 또는 전부의 발광에 의해 소정의 표현내용을 표시하되 그 표현내용은 발광하는 도광판들의 발광영역들의 모자이크 합성에 의해 구성된다. 픽셀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각 발광도광판 유닛이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로서 기능하도록 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 건물 외벽의 각 판유리에는 발광도광판 유닛이 설치된다. 발광도광판 유닛은 한쪽 표면의 소정 영역에 광산란요소가 형성된 도광판과 이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광을 입사시키는 광원부로 구성된다. 각 발광도광판 유닛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해, 각 발광도광판 유닛마다 하나씩 설치되어 수신된 원격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대응 발광도광판 유닛의 점멸을 직접 제어하는 다수의 로컬제어부와, 이들 로컬제어부들과는 떨어진 원격지에 위치하여 각 로컬제어부가 담당하는 발광도광판 유닛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각 로컬제어부들에게 송신하는 원격제어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물 유리창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Luminous type advertizement display apparatus for utilizing glass-wall of building as display screen}
도 1은 외벽이 판유리로 마감된 어떤 건물에 돌출 간판이나 박형 간판, 플래카드 등과 같은 광고 시설물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과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광고표시장치를 건물의 유리창에 설치하여 특정 표현내용을 모자이크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표시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5는 도 4의 [2, 3]의 위치에 있는 판유리에 발광도광판 유닛과 로컬제어부가 한 조를 이루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샌드블라스팅 방법을 이용하여 도광판에 미세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도 8은 냉음극형 형광등(CCFL)을 채용한 광원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9는 RGB 세 종류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채용한 광원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 록도이다.
도 10과 11은 CCFL과 LED를 이용하여 광원부를 구성한 것을 각각 보여준다.
도 12는 위에서 설명한 도 5의 절단선 A-A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광고표시장치(10)의 점멸제어부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서, 원격제어부와 로컬제어부 간의 통신방식과 관련하여 도 13의 점멸제어부는 무선통신방식을 채용한 것이고, 도 14의 점멸제어부는 유선통신방식을 채용한 것이며, 도 15는 유무선 혼합의 통신방식을 채용한 것이다.
도 16과 17은 픽셀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이용하여 원하는 내용을 그 화면에서 표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과 19는 픽셀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 장치가 설치된 건물의 외벽 유리창에서 영문자 "H"와 "N"을 표현한 예를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20, 100: 도광판
30: 램프부 40: 램프구동부
50: 광원부 60: 발광도광판 유닛
70: 로컬제어부 80: 원격제어부
90: 점멸제어부 102a, 102b, 102c: 발광영역
본 발명은 건물의 유리창을 활용한 광고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다수의 유리창에 소정 모양의 발광영역을 형성하고 그 발광영역들의 조합하여 원하는 문구나 내용을 표시하는 발광형 광고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그 건물의 입자주체를 표상하기 위한 문구 등을 표현하는 간판이나 외부에 선전하기 위한 플래카드 등과 같은 시설물(이하, 광고 시설물이라 한다)이 설치된다. 그러한 광고 시설물들은 건물 내부에도 설치되지만, 건물의 외벽에도 많이 설치된다. 최근에는 건물의 외벽 대부분을 판유리로 마감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판유리 외벽의 건물은 판유리가 갖는 깔끔한 질감의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유리창을 통한 넓은 외부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외벽이 판유리로 마감된 어떤 건물에 돌출 간판(10a, 10b)이나 박형 간판(10c), 플래카드(10d) 등과 같은 광고 시설물이 설치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들 광고 시설물은 건물 외벽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광고 시설물을 건물 외벽의 바깥 면에 설치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단점들이 있다. 첫째, 건물 외벽의 바깥 면에 설치된 광고 시설물들은 건물의 미관을 훼손할 수 있다. 특히 판유리로 외벽이 마감된 건물은 미관이 수려한데, 그러한 수려한 미관을 해치지 않으려면 어울리는 광고 시설물이 설치될 필요가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돌출 간판(10a, 10b)은 유리 외벽 건물에 잘 어울린다고 보기 힘들다. 돌출 간판(10a, 10b)은 미관 훼손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위치에 설치되는 등 설치 위치에 제약을 받는다. 둘째, 종래의 광고 시설물(10a, 10b, 10c, 10d)은 불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건 물 안에 있는 사람들의 시야를 방해한다. 그러한 시야 방해를 무릅쓰고 설치하던가 아니면 시야 방해가 큰 문제가 없는 제한된 장소에만 설치되는 제약이 따른다. 셋째, 종래의 광고 시설물들은 건물 외벽의 바깥에 설치되므로, 그러한 설치에 많은 비용이 들고 경우에 따라서는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를 동원해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한 번 설치된 광고 시설물을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또한 광고 시설물의 교체에 따른 건물 외관의 훼손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실제로도 자주 교체하지도 않는다. 넷째, 종래의 광고 시설물들은 그것을 통해 표현하는 내용이 고정되기 때문에 변화를 줄 수 없다. 내용의 변화를 주려면 다른 내용의 광고 시설물로 교체해야 한다. 끝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종래의 광고 시설물은 대부분 자체적인 발광 특성을 갖지 못한 것들이기 때문에, 야간에는 광고 시설물로서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거나 또는 야간에도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한 조명 시설을 함께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건물주들은 건물에 가급적 광고 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고, 설치가 불가피한 경우 제한된 위치에 필요 최소한의 광고 시설물만 설치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은 건물 외벽을 구성하는 유리창들의 특정 영역을 발광시켜 원하는 내용을 표현함으로써 그 건물의 유리 외벽을 아름다운 광채를 띄게 하는 장식을 하거나 광고 표시화면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발광형 광고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건물 외벽 유리창의 안쪽에 설치되어 건물의 미관이나 외관에 대한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설치가 간편하고 제거 또는 교체가 용이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유리창에 설치되지만 발광하지 않는 동안에는 투명하여 그 유리창을 통한 외부에 대한 시야를 가리지 않는 발광형 광고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램프의 점멸을 제어하여 발광 영역에 변화를 줌으로써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가변시킬 수 있는 발광형 광고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 외벽을 구성하는 다수의 판유리를 이용하여 모자이크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발광형 도광판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상기 판유리마다 적어도 한 개의 도광판이 덧대는 형태로 설치되며, 각 도광판의 하면에는 소정모양의 발광영역이 할당되되 각 도광판별로 할당된 그 발광영역의 모양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과 각 도광판이 설치되는 판유리의 위치에 의거하여 정해지며, 그 발광영역에는 광산란 요소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광판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입사된 광은 그 광산란요소들에 의해 산란 및 반사되어 출광됨으로써 그 발광영역만이 빛을 발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다수의 도광판; 각 도광판과 한 조를 이루어 각 판유리에 설치되고, 각 도광판의 적어도 어느 일 측면을 통해 그 도광판의 내부로 빛을 입사시키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점멸을 제어하는 점멸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다수의 도광판의 일부 또는 전부의 발광에 의해 소정의 표현내용을 표시하되 그 표현내용은 발광하는 도광판들의 발광영역들의 모자이크 합성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원부는 상기 판유리의 건물 내부쪽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한 조를 이루는 도광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따라서 근접 배치되고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생성하여 그 도광판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입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와, 상기 램프의 점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램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대략 'ㄷ' 모양으로 상기 램프의 길이만큼 연장된 반사갓과 내부가 공동이며 상기 반사갓과 일체가 되어 길게 연장된 수납관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램프와 상기 램프구동부는 상기 반사갓과 상기 수납관 안에 각각 수납되어 단일체의 광원 모듈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램프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단자가 배치되어, 복수의 광원모듈은 각각의 전극단자 사이에 연결잭을 개재하여 전기 접속을 이루면서 길이가 연장된 광원부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멸제어부는 각 광원부마다 하나 씩 배치되어 그 해당 광원부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그 광원부의 점멸을 직접 제어하는 로컬제어부와, 전체 로컬제어부들과는 떨어진 원격지에 위치하며 각 로컬제어부를 통해 해당 광원부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로컬제어부들에게 송신하는 원격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로컬제어부가 수신할 수 있도록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각 로컬제어부에게 송신하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는 목적지 로컬제어부의 ID정보와 그 목적지 로컬제어부가 맡고 있는 광원부의 점멸제어정보를 포함하며, 기 로컬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포함된 목적지 로컬제어부 ID정보가 자신의 ID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그 원격제어신호에 포함된 점멸제어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램프구동부의 상기 램프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부는 상기 램프구동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수납관에 수납되며,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컬제어부에게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램프는 굵기가 상기 도광판의 두께보다 크지 않는 관형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LED) 중 어느 한 가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요소 형성영역에는 육안으로는 식별할 수 없을 정도의 아주 미세한 크기의 무수히 많은 음각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광산란 요소 형성영역은 상기 광원부가 빛을 상기 도광판 내부로 입사시키지 않는 동안에는 바깥에 대한 시야를 거의 가리지 않는 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판유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산란 요소 형성영역에서 발광되는 색을 특정의 색으로 표현되도록 하는 칼라 필름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판유리와 대면하는 표면 쪽에 미세 입자들을 엷게 개재시켜 상기 판유리와 완전 밀착되지 않게 약간의 틈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투명한 아크릴수지 판재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건물 외벽을 구성하는 다수의 판유리를 이용하여 픽셀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발광형 도광판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각 판유리마다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닛이 설치되며, 각 유닛은 상기 판유리마다 그 판유리의 건물 내부쪽 표면에 덧대는 형태로 설치되고 하면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입사광을 산란 및 반사시켜 상기 도광판의 상면으로 출광되도록 하는 광산란 요소들이 형성되어 있어 측면을 통해 내부로 광이 입사되는 동안에 상기 광산란 요소들이 형성되어 있 는 영역이 발광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 램프가 근접 배치되게 하고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생시킨 빛을 그 도광판의 내부로 입사시키는 광원부를 구비하여, 각 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로서 기능하는 다수의 발광도광판 유닛; 및 상기 광원부의 점멸을 제어하는 점멸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표현내용은 상기 다수의 발광도광판 유닛들의 점멸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점등되는 발광도광판 유닛의 조합을 다르게 함으로써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멸제어부는 각 발광도광판 유닛마다 하나씩 설치되고, 각각은 수신된 원격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대응되는 발광도광판 유닛의 광원부의 램프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그 발광도광판 유닛의 점멸을 직접 제어하는 다수의 로컬제어부; 및 상기 다수의 로컬제어부들과는 떨어진 원격지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로컬제어부 각각을 통해 각 로컬제어부가 담당하는 발광도광판 유닛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로컬제어부들에게 송신하는 원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로컬제어부가 수신할 수 있도록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각 로컬제어부에게 송신하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는 목적지 로컬제어부의 ID정보와 그 목적지 로컬제어부가 맡고 있는 광원부의 점멸제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포함된 목적지 로컬제어부 ID정 보가 자신의 ID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그 원격제어신호에 포함된 점멸제어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램프구동부의 상기 램프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부는 상기 램프구동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수납관에 수납되며,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컬제어부에게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가 각 로컬제어부에게 송신하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는 목적지 로컬제어부의 ID정보와 그 목적지 로컬제어부가 맡고 있는 광원부의 점멸제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로컬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발광도광판 유닛을 복수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각 그룹별로 하나씩 제공되는 다수의 로컬 주제어부와 각 그룹에 속하는 각 발광도광판 유닛별로 하나씩 제공되는 다수의 로컬 부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 주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 안에 포함된 목적지 로컬 부제어부 ID정보가 자신이 관리하는 로컬 부제어부의 ID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그 원격제어신호에 포함된 점멸제어정보를 해당 목적지 로컬 부제어부에게 전달하고, 상기 로컬 부제어부는 수신된 점멸제어정보에 의거하여 대응 발광도광판 유닛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미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다수의 발광도광판 유닛의 점멸 스케줄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제어프로그램의 수정 또는 새로운 제어프로그램 의 추가 설치 등과 같은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장치와 인터페이스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유리 각각의 표면은 복수개의 섹션으로 구분되어 각 섹션별로 상기 발광도광판 유닛이 하나씩 설치되어 각 판유리에 복수개의 픽셀이 존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점멸제어부는 각 섹션별로 상기 발광도광판 유닛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도광판 유닛의 도광판들은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는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에는 그 측면을 통해 밖으로 광이 새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광반사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사용자가 리모컨이나 컴퓨터 등과 같은 사용자 조작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모드를 지시할 수 있도록 이들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판유리와 대면하는 표면 쪽에 미세 입자들을 엷게 개재시켜 상기 판유리와 완전 밀착되지 않게 약간의 틈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판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칼라 필름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대략 'ㄷ' 모양으로 상기 램프의 길이만큼 연장된 반사갓과 내부가 공동이며 상기 반사갓과 일체가 되어 길게 연장된 수납관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램프는 상기 반사갓 안에 장착되고, 상기 램프구동부는 상기 로컬제어부와 함께 상기 수납관 안에 각각 수납되어 단일체의 광원 모듈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램프는 그 지름이 상기 도광판의 두께보다 크지 않는 관형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LED) 중 어느 한 가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형 광고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상기 광산란요소가 형성된 영역에는 육안으로는 식별할 수 없을 정도의 아주 미세한 크기의 무수히 많은 음각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광산란 요소 형성영역은 상기 광원부가 빛을 상기 도광판 내부로 입사시키지 않는 동안에는 바깥에 대한 시야를 거의 가리지 않는 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형 광고표시장치(1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광고표시장치(10)는 발광도광판 유닛(60)과 점멸제어부(90)로 구성된다. 발광도광판 유닛(60)은 측면으로 입사되는 광을 산란 및 반사시켜 상면으로 출광되도록 하는 도광판(20)과 이 도광판(20)의 적어도 어느 일 측면을 통해 그 내부로 광을 입사시키는 광원부(50)를 포함한다. 광원부(5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램프를 포함하는 램프부(30)와 이 램프의 점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램프구동부(40)를 포함한다. 이 발광도광판 유닛(60)은 빌딩의 유리창들 중에서 디스플레이 화면창으로 이용하려는 유리창들에 설치된다. 각 유리창마다 한 개 발광도 광판 유닛(60)이 설치되거나 또는 다수의 발광도광판 유닛(60)이 설치된다. 다수의 발광도광판 유닛(60)을 각 유리창마다 설치하는 경우, 각 유리창을 다수의 영역을 구분하고 그 각 영역마다 하나의 발광도광판 유닛(60)이 설치된다. 점멸제어부(90)는 광원부(50)를 제어하여 발광도광판 유닛(60)의 발광 즉, 점멸을 제어한다. 다수의 발광도광판 유닛(60)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점멸제어부를 구성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성예로서, 점멸제어부(90)는 각 광원부(50)마다 그것에 근접한 위치에 하나씩 배치되어 그 해당 광원부(50)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그 광원부(50)의 점멸을 직접 제어하는 로컬제어부(70)와, 전체 로컬제어부들과는 떨어진 원격지에 위치하며 각 로컬제어부(70)를 통해 해당 광원부(50)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로컬제어부들에게 제공하는 원격제어부(80)를 포함한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물 외벽을 이루는 유리창들을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 방식은 크게 모자이크 방식과 픽셀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모자이크 방식은 유리창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모자이크 그림으로 보고 화면을 구성하는 유리창마다 해당 모자이크 조각 그림을 각각 할당하여 표현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화면을 통해 표현하는 내용이 고정적이라는 제한을 갖는 반면 표현내용을 섬세하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픽셀방식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많은 수의 픽셀들로 구성되도록 하는 방식으로서, 각 유리창이 하나의 픽셀로 기능하게 하거나 또는 각 유리창을 다수의 서브영역으로 구분하여 서브영역단위로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그 서브영역을 하나의 픽셀로 기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표현할 수 있는 내용이 고정적이지 않고 여러 가지 다양하게 바꿀 수 있는 것이 장점이나, 서브영역을 작게 만들지 않으면 섬세한 표현내용을 표시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들 두 방식을 혼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들 두 가지 방식은 원하는 내용을 표현하기 위해 도광판의 특정 영역을 발광시키고 그러한 발광하는 도광판을 건물 외벽 유리창에 설치함으로써 영역을 이용하여 발광시켜 표현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다.
(1) 모자이크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
1) 광고표시장치(10)의 구성
발광도광판 유닛(60)은 건물 외벽을 구성하는 판유리에 설치된다. 건물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잘 보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표현내용을 여러 장의 판유리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그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표현내용을 모자이크 그림으로 볼 경우, 그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판유리 각각에 표현되는 내용은 그 모자이크 그림을 구성하는 모자이크 조각 그림으로 볼 수 있다. 각 판유리에 할당될 모자이크 조각 그림은 그 판유리에 설치되는 발광도광판 유닛의 발광영역으로 구현된다. 각 발광영역의 모양은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 즉, 전체 모자이크 그림과 각 발광도광판 유닛이 설치되는 판유리의 위치에 따라서 정해진다. 그러므로 모자이크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그 화면을 구성하는 각 발광도광판 유닛을 그에 할당되는 모자이크 조각 그림(발광영역)만이 밝게 발광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어떤 모자이크 조각 그림이 할당되는가에 따라 도광판 전면의 전부 가 발광영역이 되거나 일부분만이 발광영역이 될 것이다. 이 점에서 LCD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은 그 도광판 전면의 전부가 발광해야 한다는 점과는 차이가 있다.
도 3과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광고표시장치를 건물의 유리창에 설치하여 특정 표현내용을 모자이크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표시한 경우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도 3의 문구와 로고 및 그림(20a, 20b, 20c)은 도 1에서 박형 간판(15c)과 플래카드(15d)로 표현된 광고문구와 로고를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광고표시장치를 이용하여 표현한 것이다. 도 4의 경우도 본 발명에 따른 발광형 광고표시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나 그림을 표현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모자이크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있어서, 모자이크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어떤 문자나 도형 또는 그림을 다수의 판유리 각각에 할당된 모자이크 조각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에서, 로고 및 "한국환경자원공사"와 이에 대응되는 영어 문구로 구성된 문자들(25a)은, 좌상단의 유리창의 위치를 기준점 좌표인 [1, 1]로 보았을 때, [2, 2]~[2, 8]의 위치에 있는 8장의 유리창을 이용하여 표현된 것이다 또한, 그 아래의 그림(25b)은 [3, 6]~[3, 8], [4, 3]~[4, 7], [5, 3]~[5, 7], [6, 2]~[6, 6]의 위치에 있는 17장의 유리창을 이용하여 모자이크 방식으로 표현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원하는 표현 내용을 모자이크 그림 형태로 합성할 수 있도록 구현된 다수의 발광도광판 유닛을 건물 유리창에 설치하는 형태로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각 발광도광판 유닛의 발광영역의 모양은 설치되는 유리창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정의된다. 그러므로 유리창의 위치에 따라 할당된 모자이크 조각 그림에 맞게 발광도광판 유닛의 발광영역을 만들어야 한다.
발광도광판 유닛(60)과 로컬제어부(70)는 건물의 외벽 유리창에 설치된다. 원격제어부(80)부는 사용자의 접근과 조작이 용이하고 로컬제어부(70)와는 통신을 통해 전체 로컬제어부(70)에 원격제어신호(RC)를 전달하기에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원격제어부(80)와 로컬제어부(70)간의 통신방식을 무선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건물 외부에 원격제어부(8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유선통신방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건물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건물 외부에 원격제어부(80)를 설치하는 경우, 무선 통신에 지장을 주는 방해물이 없는 위치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도 4의 [2, 3]의 위치에 있는 판유리에 발광도광판 유닛과 로컬제어부가 한 조를 이루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발광도광판 유닛(60)은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판유리에 설치된다. 판유리의 건물 안쪽 면이나 바깥쪽 면 어디에나 설치는 가능하지만, 건물의 미관이나 설치 및 유지 보수의 편의성 등을 고려할 때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창의 건물 안쪽 면에 설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시된 것도 발광도광판 유닛(60)이 판유리의 건물 안쪽 면에 설치된 경우이다. 발광도광판 유닛(60)은 도광판의 측면 길이에 맞게 3개의 광원모듈(200-1, 200-2, 200-3)이 일렬로 연결되어 구성된 광원부(50)가 도광판(100)의 좌측 측면을 따라 배치된 구성을 갖는다. 도광판(100)은 판유리(110)에 덧대는 형태로 창틀(180)에 고정된다. 도광판(100)의 고정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 쉽게 교환할 수 있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창틀(180)의 내면과 도광판(100)의 가장자리의 경계선을 따라 예컨대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170)를 바르는 방법 또 는 예컨대 집게와 같은 고정부재(165)를 창틀(180)에 채웠을 때 그 고정부재(165)의 단부가 도광판(100)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여 도광판(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엣지라이트 방식의 발광을 위해, 도광판(100)의 하면에는 광산란요소가 형성된 발광영역(102a, 102b, 102c)이 마련된다. 도광판(100)의 어느 측면을 통해 광원부(50)가 발생시킨 광이 도광판(100) 내부로 입사되면, 그 입사광은 광산란요소가 형성되어 있는 발광영역(102a, 102b, 102c)에서 산란 및 반사되어 도광판(100)의 상면 및 그와 대면하는 판유리(110)를 통해 출광된다. 그러므로 건물 외부에서 볼 때, 그 발광영역(102a, 102b, 102c) 부분만이 빛을 발하는 것처럼 보여 광산란요소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영역(140)과 밝기 및 색상(광원부(50)에 채용된 램프의 광원색이 다양한 색인 경우) 면에서 확연히 구분된다. 즉, 도 3과 4에 예시된 모자이크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 경우, 각 발광도광판 유닛의 도광판마다 발광영역이 되어야 할 부분에 광산란요소가 형성된다.
발광도광판 유닛을 이용한 표현방식에는 양각 표현법과 음각 표현법이 있다. 이들 두 방법은 본 발명에 다 적용될 수 있다. 양각 표현법은 예컨대 어떤 도광판에서 특정 글자나 그림 등의 표현 내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모양을 표현하고자 할 경우, 도광판의 하면에서 그 표현내용에 대응되는 영역에만 광산란 패턴을 형성하고 나머지 영역은 원상태로 두는 방식이다. 음각 표현법은 이와 반대되는 표현방식으로서, 표현 내용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만 광산란 패턴을 형성한다. 광산란 패턴이 형성된 영역만 밝게 빛나게 된다. 따라서 양각 표현법으로 만 들어진 발광도광판 유닛은 광산란요소가 형성된 그 글자나 그림 부분만이 빛을 발하는 데 비해, 음각 표현법으로 만들어진 발광도광판 유닛은 그 글자나 그림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이 밝게 빛을 발하는 형태로 표현된다.
도광판에 형성되는 광산란 요소와 관련하여, 원칙적으로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 채용되고 있는 다양한 광산란 요소들(예컨대 잉크 도트 패턴, 브이-컷(V-cut) 패턴, 홀로그램 패턴, 음각 또는 돌기 패턴 등)이라면 본 발명의 광산란 요소로 채용될 수 있다. 어떤 종류의 광산란 요소를 채용할 것인가를 정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건물의 유리 외벽에 적용되는 점을 특히 고려한다면 도광판의 투명성이다. 광산란 요소는 우수한 광산란의 특성 외에도 그 자체가 도광판의 투명성을 크게 훼손하지 않아야 한다는 특성이다. 잉크 도트 패턴과 같이 그 자체가 불투명하여 빛의 통과를 차단하거나 V-컷 패턴과 같이 도광판의 하면에서 상면으로(혹은 그 반대로) 유입된 빛을 크게 굴절시키는 광산란 요소를 채용한 도광판이 유리창에 설치되면, 램프가 발광하지 않는 동안에 그 도광판으로 인해 그 유리창의 시야는 크게 방해를 받는다. 이에 비해, 육안으로는 식별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크기를 갖는 무수한 미세 음각을 광산란 요소로 채용하면 우수한 발광특성 외에 발광도광판 유닛이 발광하지 않는 동안에는 유리창 바깥에 대하여 투명성을 보장해준다. 깊이와 입구직경이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 정도인 미세 음각이 도광판(100)의 하면에 무수히 형성되어 발광영역(102a, 102b, 102c)을 이루면, 그 발광영역(102a, 102b, 102c)은 미세 음각이 새겨지지 않은 나머지 영역의 도광판 표면에 비해 다소 거친 표면이어서 약간 흐리게 보이긴 하나 그 흐림 정도 는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다. 따라서 램프부(30)가 켜져 있지 않은 동안에 그 발광영역(102a, 102b, 102c)은 그를 통해서도 반대편 사물을 충분히 선명하게 볼 수 있을 정도의 투명성을 제공한다(참고로, 램프부(30)가 켜져서 도광판(100) 측면을 통해 내부로 빛이 입사되는 동안에는 그 발광영역(102a, 102b, 102c)은 빛을 발하므로 시야는 차단된다.) 그러므로 미세 음각은 투명성의 요건을 훌륭하게 충족시킨다는 점에서 가장 바람직한 광산란 요소로 볼 수 있다.
미세 음각을 도광판(100)의 하면에 형성하는 방법에는 샌드블라스팅 공정, 사출성형공정, 압출성형공정, 레이저가공법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 도광판의 크기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여러 가지 모양의 발광영역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식은 샌드블라스팅 공정이다. 도 7은 샌드블라스팅 공정을 이용하여 도광판에 미세 음각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여기서 광원부(50)는 도광판(100)의 광입사 측면(도 7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측면)에만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광판(100) 원판의 한 쪽 면 위에 미세 음각을 형성할 부분(104)이 도려내진 도광판 보호용 필름(102)을 얹는다. 도시된 도광판 보호용 필름(102)은 도 6에 예시된 도광판(100)을 만들기 위해 '한'자, 'K'자, 'o'자의 일부, 그리고 로고의 일부에 해당되는 부분이 도려내진 필름이다. 그 필름(102)이 도광판(100)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그 위로 샌드블라스팅 장치(190)를 이용하여 예컨대 금강사와 같은 미세 입자를 강하게 분사한다. 그러면 그 미세음각 형성부분(104)만 분사입자에 노출되어 그 부분만 미세음각이 무수히 형성되어 발광영역(102a, 102b, 102c)을 이루게 된다. 발광역역의 휘도를 위치에 상관없이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서는 광산란 요소 즉, 미세 음각의 밀도 및/또는 크기가 램프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패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여 미세 음각의 형성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기(196)에 담겨져 있던 미세 입자들은 그 용기(196)의 하부에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자유낙하의 형태로 토출된다. 그 자유낙하 된 미세 입자들은 송풍기(194)의 입구를 지나면서 송풍기(194)의 강항 흡입력에 의해 그 입구로 빨려 들어간다. 미세 입자들은 송풍기(194)가 분사관(192)을 향해 내보내는 강한 바람에 실려 분사관(192)으로 보내진다. 분사관(192)의 출구를 지나는 과정에서 미세 입자들은 그 분포 형태가 분사관(192)의 출구 모양에 의해 규정된다. 즉, 분사관(192)의 출구에서 가운데 부분이 양쪽 단부쪽 부분에 비해 폭이 넓으므로 보다 높은 분포밀도로 미세 입자를 분사한다. 분사된 미세 입자가 필름(102)에 부딪히면 도광판(100)에는 아무런 흠이 생기지 않지만, 그 도려내진 부분(104)에 부딪히면 그 부분의 도광판 표면을 미세하게 깎아내어 무수히 많은 미세 음각들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형성된 미세 음각 영역이 바로 그 도광판(100)의 발광영역(102a, 102b, 102c)이 된다. 발광영역(102a, 102b, 102c)에서의 휘도가 균일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미세음각을 형성함에 있어서 미세음각의 밀도가 혹은 밀도와 크기가 광입사 측면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도시된 샌드블라스팅 장치(190)를 이용하면 단위시간당 분사되는 미세입자의 양을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광입사 측면에서부터 멀어질수록 단위시간당 도광판의 표면에 충돌하는 입자의 수와 그 입자가 가하는 충격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이에 의해 미세 음각들의 밀도와 평균 크기 내지 깊이는 광입사 측면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위와 같은 음각의 패턴을 얻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샌드블라스팅 장치의 구성 및 작용과 도광판에 대한 미세 음각의 형성 방법에 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3-0079659호(발명의 명칭: 도광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와 이를 위한 도광판 제조용 입자분사장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참조하기 바란다.
이렇게 가공된 도광판(100)에 따르면, 그의 측면으로 광이 입사되지 않을 때에는 음각형성영역 즉, 발광영역(102a, 102b, 102c)은 빛을 발하지 않고 음각이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을 정도의 아주 미세한 크기 이므로 건너편에 대한 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투명성이 그대로 유지된다. 하지만, 도광판(100)의 측면에 광이 입사되면 도광판(100) 안으로 입사된 광은 음각이 새겨지지 않은 부분(140)에서는 전반사를 일으켜 빛이 출광되지 못하므로 여전히 투명하게 보이지만, 발광영역(102a, 102b, 102c)의 광산란 요소에 부딪힌 광은 산란 및 반사되어 외부에서 보았을 때 그 광산란요소가 형성된 영역(102a, 102b, 102c)은 광원의 색상을 발하는 발광체처럼 보여 불투명하게 된다.
도광판(100)은 예컨대 투명한 아크릴수지와 같은 광의 투광성이 우수한 판재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수지는 유리보다 경도가 약하고 긁힘에 약하다. 도광판(100)의 발광 영역이 아닌 표면에 긁힘 자국이 생기면 그 부분이 광산란에 의해 빛을 발하므로 원하지 않는 흠이 된다. 이와 같은 흠 방지를 위해, 판유리(110)의 반대쪽 도광판(100) 면에는 긁힘에 의한 흠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판유리(120)를 덧대면 좋다. 실제 설치 시에, 조임부재(160)를 이용하여 도광판(100)과 보호용 판유리(120)의 가장자리 부분을 조이는 것이 좋다. 표면 강화 처리된 아크릴수지 판재를 채용하면 표면 강도가 강하여 내긁힘성이 우수하므로 보호용 판유리(120)를 별도로 덧대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광판(100)의 네 측면 중에서 램프부(30)가 배치되지 않은 측면들은 광반사테이프(106)를 부착하여 내부의 광이 그 측면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측면을 통한 광손실을 막기 위함이다.
도광판(100)을 설치함에 있어서 판유리(110)와 완전 밀착이 된 상태로 계속 사용하게 되면, 어떤 원인으로 인해 그 밀착표면의 일부 영역에서 약한 무지개 빛을 띠는 부정형의 얼룩무늬 현상이 나타난다. 그 부분이 발광영역에 위치하면 발광영역의 광이 약화되는 등의 문제가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완전 밀착으로 인해 전반사 기능이 훼손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므로 도광판(100)이 판유리(110)와 완전 밀착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판유리(110)와 대면하는 도광판(100)의 표면 쪽에 예컨대 미세 입자들을 엷게 도포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판유리(110)와 약간의 틈을 두고 도광판(100)을 설치한다.
광원부(50)는 램프부(30)와 램프구동부(40)를 포함한 구성이다. 램프부(30)는 램프와 반사갓을 포함한다. 램프는 도광판(100)의 광입사면에 근접되게 배치된다. 램프는 엣지라이트 방식에 따르기 위해서는 도광판의 두께와 조화를 이루는 크기의 램프 즉, 굵기가 도광판(100)의 두께보다 작은 램프가 선정될 필요가 있다. 이에 적합한 램프로는 LCD 백라이트 유닛의 램프로 많이 사용되는 냉음극형 형광등(CCFL) 또는 발광다이오드(LED) 등을 들 수 있다.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을 칼라로 표현하려면 적(R), 녹(G), 청(B)의 3색을 표현할 수 있는 세 가지 종류의 발광다이오드를 함께 채용하면 된다. 유리창을 통해 발광되는 빛의 색상을 다양하게 연출하기 위해, 도광판(100)과 판유리(110) 사이에 특정 색상의 칼라필름(비도시)을 개재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도 3은 발광도광판 유닛이 백색광을 발하는 냉음극형 형광등(CCFL)을 광원으로 채용한 경우이고, 도 4는 문자 부분(25a)은 CCFL을 광원으로 채용하였고, 그림부분(25b)은 RGB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채용하여 표현한 경우이다.
도 8은 냉음극형 형광등(CCFL)을 채용한 광원부(50a)의 블록도이고, 도 9는 RGB 세 종류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채용한 광원부(50b)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에서 램프부(30a)는 반사갓(350) 안에 배치된 적어도 한 개의 CCFL(32a)로 구성되고, 이 CCFL(32a)에 램프구동부(40a)가 구동 전원을 공급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발광도광판 유닛(60)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CCFL(32a)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면 되므로, 로컬제어부(70a)는 램프구동부(40a)의 CCFL(32a)에 대한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로컬제어신호(LC)를 제공할 수 있도록 램프구동부(40a)에 연결된다. 램프구동부(40a)는 CCFL(32a)을 점등하기 위한 인버터회로를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CCFL용 인버터회로의 구성에 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어 그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에 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의 램프부(30b)는 RGB의 세 종류의 LED가 번갈아가면서 일렬로 배치된 형태의 LED 램프(32b)들과 이를 내포하는 반사갓(350)을 포함한 구성이다. 램프구동부(40b)는 이들 RGB 세 종류의 LED 각각에 대하여 전원을 별도로 공급할 수 있도록 각 LED(32b)와 연결된다. 이 램프부(30b)는 적, 녹, 청의 세 가지 색상은 물론이고 이들 세 가지 색을 적당한 비율로 조합함으로써 좀 더 다양한 색을 표현할 수 있다. 로컬제어부(70b)는 램프부(30b)의 각 LED 램프(32b)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로컬제어신호(LC)를 램프구동부(40b)에 제공할 수 있도록 램프구동부(40b)에 연결된다. LED램프(32b)의 램프구동부(40b)의 회로구성도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그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과 11은 광원부(50)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보여준다. 도 10은 CCFL(32a)을 이용하여 도 8의 램프부(30a)를 구성한 경우이고, 도 11은 LED(32b)를 이용하여 도 9의 램프부(30b)를 구성한 것을 보여준다. 도 10의 광원모듈(200-1a, 200-2a, 200-3a)은 도 11의 광원모듈(200-1b, 200-2b, 200-3b)과 비교할 때 램프부가 다수의 LED(32b)를 일렬로 배치하여 구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나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동일하다. 램프부(30)와 램프구동부(40)는 설치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이들 둘을 일체화한 형태의 모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로컬제어부(70)까지도 그 모듈에 일체화할 수 있으면 더욱 좋다. 램프구동부(40)와 로컬제어부(70)는 회로이므로 동일한 인쇄회로기판 위에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여 광원부(50)를 설명하기로 한다. 3개의 광원모듈(200-1a, 200-2a, 200-3a)은 일렬로 접속하여 하나의 광원부(50)를 이룬다. 각 광원모듈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비도시) 위에 구현된 램프구동부(40a)와 로컬제어부(70a)를 CCFL(32a)과 함께 하나의 하우징(300)에 장착하여 단일체로 모듈화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하나의 광원모듈(200-1a)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우징(300)은 수납 관(310)과 반사갓(350)이 일체로 접합되어 길게 연장된 막대형(bar type)의 구조이다. 하우징(300)은 열전도 특성이 아주 우수하고 도광판이나 유리를 붙잡고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지닌 금속재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을 주원료로 하는 합금으로 만들면 좋다.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하우징(300)은 CCFL(32a)의 점등 중에 발생하는 고열을 흡수하여 신속하게 분산시켜 발산해줌으로써 CCFL(32a)의 효율과 수명을 좋게 해줄 수 있다. 수납관(310)의 내부는 공동이어서 그 안에 램프구동부(40a) 및 로컬제어부(70a)가 구현된 인쇄회로기판(도 12 참조)을 수납된다. 로컬제어부(70a)에 연결된 안테나(210)는 수납관(310) 외부에 배치된다. 광원모듈은 길이 확장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수납관(310)의 양 단부는 마개(360)로 폐쇄되고 그 마개(360)에는 홈이 마련되고 그 홈 안에는 램프구동부(40a)와 로컬제어부(70a)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 제1 전극단자(330a)가 설치된다. 상용전원 공급라인(182)은 창틀(180)을 따라 연장되면서 각 발광도광판 유닛의 광원모듈(200-1a)로 분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분기된 전원공급 케이블(82)과 광원모듈(200-1a)간의 접속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전원공급 케이블(82)의 플러그(84)와의 전기 접속을 이루는 제2 전극단자(330b)는 수납관(310)의 측면에 마련된다. 수납관(310)의 양단의 마개(360)에 마련된 제1 전극단자(330a)와 전기접속을 이룰 수 있는 제3 전극단자(314)가 마련된 연결잭(370)을 이용하면, 복수 개의 광원모듈(200-1a, 200-2a, 200-3a)이 일렬로 연결되면서 전원공급 케이블(82)과는 병렬연결을 이루면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연결된다. 따라서 광원부(50)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서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이즈가 다른 도광판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반사갓(350)은 대략 'ㄷ'자 모양을 취하며 그 안에 CCFL(32a)을 수납하여 개방면 쪽으로 빛을 내보낸다. 반사갓(350)의 돌출길이는 설치된 CCFL(32a)의 최외면과 대략 같은 높이이거나 이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그 안에 램프가 파묻히도록 한다. 반사갓(350)의 내벽에는 광반사 효율을 강화하기 위한 광반사막 또는 광반사 필름(비도시)이 더 부가될 수 있다. CCFL(32a)를 반사갓(350)에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CCFL(32a)은 램프홀더(340)를 개재하여 반사갓(350)에 장착된다. 램프홀더는 예컨대 고무와 같은 휘임성이 있고 고온에서도 견디는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램프홀더(340)는 반사갓(350)의 양쪽 끝에 꽉 끼이게 삽입되고, 내부에는 대략 직각으로 굽은 관통공이 마련된다. 그 관통공에 CCFL(32a)의 양쪽 단부가 삽입되고 CCFL(32a)의 리드선이 그 관통공을 통해 수납관(310) 내부로 연장되어 램프구동부(40a)와 연결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광원모듈(200-1a, 200-2a, 200-3a)은 설치 시에 별도의 복잡한 전선연결 작업을 요하지 않고 단순히 연결잭(370)과 플러그(84)를 각 광원모듈(200-1a, 200-2a, 200-3a)에 마련된 전극단자와 연결해주기만 하면 되므로, 초보자라도 현장에서 매우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2는 위에서 설명한 도 5의 절단선 A-A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광판(100)은 광산란요소가 형성된 표면이 건물 내부쪽을 향하게 하여 판유리(110)의 건물 내부쪽 표면에 덧대는 형태로 설치된다. 보호용 유리(120)를 광산란요소가 형성된 표면에 부가하는 경우 조임부재(160)를 이용하여 그 둘을 조여 준다. 하우징(300)은 도광판(100)과 창틀(180) 사이에 배치되고, 도광판(100)의 광입사 측면은 하우징 (300)의 반사갓(350)의 연장부에 끼워져 CCFL(32a)이 그 측면에 근접 배치된다. 하우징(300)과 도광판(100)은 그와 같은 결합상태로 접착제(170)로 창틀(180)에 고정된다. 안테나(210)는 건물 내부쪽에 배치된다.
2) 광고표시장치의 제어방법
발광형 광고표시장치(10)에서 도광판(100)의 발광영역 즉, 표현 내용은 램프(32a, 32b)가 켜져 있는 동안에만 발광상태를 유지한다.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 위한 방편으로 램프(32a, 32b)들을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점멸을 제어할 수도 있다. 점멸제어는 각 램프에 대한 전원 공급의 제어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로컬제어부(70a, 70b)는 로컬제어신호(LC)를 램프구동부(40a, 40b)에 제공하여 램프(32a, 32b)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점멸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로컬제어부(70a, 70b)의 램프구동부(40a, 40b)에 대한 제어는 광고표시장치(10)가 설치되는 건물의 조건과 표현 내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가지 제어방식은 원격지에 위치하는 원격제어부(80)가 각 램프구동부(40a, 40b)에 제공할 로컬제어신호(LC)와 기타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신호(RC)를 만들어 해당 로컬제어부(70a, 70b)에게 제공하고, 각 로컬제어부(70a, 70b)는 원격제어신호(RC)를 분석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것인 경우 그 원격제어신호에 포함된 로컬제어신호(LC)를 해당 램프구동부(40a, 40b)에 제공하여 원격제어부(80)가 지시한 바대로 점멸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제1 제어방식)이다. 다른 제어방식은 로컬제어부(70a, 70b)가 그 내부에 미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로컬제어신호(LC)를 직접 생성하여 램프구동부(40a, 40b)를 제어하는 방식(제2 제 어방식)이다. 제2 제어방식은 각 로컬제어부(70a, 70b)가 담당 램프구동부(40a, 40b)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인데 비해, 제1 제어방식은 원격제어부(80)가 중심이 되어 제어의 주도권을 가지고 로컬제어부(70a, 70b)를 활용하여 각 램프구동부(40a, 40b)를 제어하는 방식이다. 특히 제1 제어방식에서는 각 로컬제어부(70a, 70b)는 원격제어부(80)가 생성한 원격제어신호(RC)의 대리 수행자 역할을 하는 형태가 된다. 또한, 이들 두 방식을 혼용하여 원격제어부(80)와 로컬제어부(70a, 70b)가 제어권을 적절히 분점한 형태의 제어방식 즉, 각 로컬제어부(70a, 70b)는 다양한 제어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미리 갖추고 있고 원격제어부(80)는 각 로컬제어부(70a, 70b)가 수행해야 할 제어모드만을 특정해주면 각 로컬제어부(70a, 70b)는 그에 응하여 그 특정된 제어모드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방식(제3 제어방식)도 가능할 것이다.
도 13과 14는 본 발명의 광고표시장치(10)의 점멸제어부(90)를 제1 제어방식에 따라 구성한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원격제어부(80)와 각 로컬제어부(70) 간의 통신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므로 무선통신방식, 유선통신방식 또는 이들 두 방식을 혼용한 방식 등으로 점멸제어부(9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3의 점멸제어부(90a)는 원격제어부(80a)가 그 원격제어신호(RC)를 무선통신방식으로 각 로컬제어부(70a)에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도 14의 점멸제어부(90b)는 원격제어부(80b)의 원격제어신호(RC)가 유선통신방식으로 각 로컬제어부(70b)에 제공되는 시스템이다. 도 14의 점멸제어부(90b)는 로컬제어부 매트릭스(75b)를 구성하는 로컬제어부(70b)들 각각과 원격제어부(80b)가 무선통신망이 아닌 유선통신망으로 연 결된 구성이라는 점에서 도 13의 점멸제어부(90a)와 다르다. 도 14의 점멸제어부(90b)는 원격제어부(80b)가 건물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원격제어부(80a)가 건물 외부에 있는 것이 바람직한 도 13의 점멸제어부(90a)에 비해서는 관리가 더 편리할 수 있을 것이지만, 유선통신망을 구축하는 작업이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도 13과 14는 어떤 건물에 발광도광판 유닛(60)과 로컬제어부(70)가 한 조를 이루어 n x m 개가 설치된 경우의 점멸제어부(90a, 90b)의 구성을 보여준다. 각 점멸제어부(90a, 90b)는 공히 n x m개의 로컬제어부(70a, 70b)로 구성된 로컬제어부 매트릭스(75b)와 각 로컬제어부(70a, 70b)에게 원격제어신호(RC)를 제공하는 원격제어부(80a, 80b)를 포함한다.
도 8과 9에서 언급하였듯이, 램프구동부(40a, 40b)의 램프(32a, 32b)에 대한 전원의 공급과 차단은 로컬제어부(70a, 70b)가 제공하는 로컬제어신호(LC)에 의해 제어된다. 그 로컬제어신호(LC)는 원격제어부(80a, 80b)가 제공하는 원격제어신호(RC)에 의거하여 만들어진다. 즉, 로컬제어부(70a, 70b)는 제어기(비도시)와 그 제어기에 설치되는 제어프로그램, 그리고 원격제어부(80a, 80b)와 무선통신 또는 유선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부(비도시)를 가진다. 예컨대 도 13의 점멸제어부(90a)에서 로컬제어부(70a)가 원격제어부(80a)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신호(RC)에 따라 해당 램프구동부(40a) 제어용 로컬제어신호(LC)를 만드는 경우, 로컬제어부 매트릭스(75a)를 구성하는 다수의 로컬제어부(70a)의 제어기에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은 원격제어부(80a)가 전송한 원격제어신호(RC)가 자신에 관한 것인지를 판별해내는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신호판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원격제어신호 (RC)는 적어도 그 신호의 목적지 로컬제어부에 관한 ID 정보와 각 목적지 로컬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램프의 점멸 제어에 관한 정보(램프점멸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로컬제어부 매트릭스(75a)의 각 로컬제어부(70a)는 수신된 원격제어신호(RC)에 포함된 목적지 로컬제어기의 ID 정보가 자신의 ID 정보와 일치하는지를 판별하여, 불일치하면 그 원격제어신호(RC)를 무시하고, 일치하는 경우에는 그 원격제어신호(RC)에 포함된 램프점멸 제어정보를 추출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로컬제어신호(LC)를 만들어 해당 램프구동부(40a)에 제공한다. 그 로컬제어신호(LC)에는 해당 램프구동부(40a)가 해당 램프(32a)에 대하여 전원 공급 또는 차단을 언제까지 지속할 것인지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도 14의 점멸제어부(90b)도 원격제어부(80b)와 로컬제어부 매트릭스(75b)의 각 로컬제어부(70b) 간의 원격제어신호(RC)의 전달방식이 유선통신을 통하는 것 외에는 도 13의 점멸제어부(90a)와 같은 방식에 따른 제어를 수행한다.
도 13과 14의 원격제어부(80a, 80b)는 미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적어도 목적지 로컬제어기 정보와 그 목적지 로컬제어기와 연결된 램프구동부의 해당 램프에 대한 점멸제어정보 등을 적어도 포함하는 원격제어신호(RC)를 생성하는 제어부(비도시)와 이 제어부가 생성한 원격제어신호(RC)를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송신 하는 무선통신부(비도시)를 구비한다. 시스템 운영자는 예컨대 건물 유리창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의 변화가 있거나 또는 동일한 내용을 다른 방식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필요가 있는 경우 그러한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제어프로그램을 새로 작성하여 컴퓨터를 이용하여 원격제어부(80a)의 제어기에 새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기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내용을 수정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부(80a)에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이 여러 가지 동작모드를 가지도록 프로그램 된 경우 시스템 운영자는 예컨대 리모컨이나 컴퓨터 등과 같은 사용자 조작수단(85)을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모드를 지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4에서 위에서 2번째 행의 유리창에 로고와 '한국환경자원공사'라는 문구를 T1초간 표현한 다음, 그 아래에 있는 그림 부분을 T2초 간격으로 적, 녹, 청의 세 가지 색으로 차례로 변화시키면서 표현하고, 그런 다음 T3초간은 로고, 문자 및 그림(적색으로 표현)을 동시에 표현하는 것을 일 제어주기로 하는 경우 원격제어신호(RC)는 표 1과 같이 만들면 될 것이다. 여기서, 2열의 광원부는 CCFL을 채용하고, 3~6열의 광원부는 RGB 세 가지 종류의 LED를 채용한 경우를 가정한다.
[표 1]
시간 목적지 로컬제어기 제어 내용
0~ T1(초) [2,2]~[2,8] 해당 CCFL을 T1초 동안 점등 유지
T1~ T1+T2(초) [3,6]~[3,8], [4,3]~[4,7], [5,3]~[5,7], [6,2]~[6,6] 해당 적색 LED만 T2초 동안 점등 유지
T1+T2~ T1+2T2(초) [3,6]~[3,8], [4,3]~[4,7], [5,3]~[5,7], [6,2]~[6,6] 해당 녹색 LED만 T2초 동안 점등 유지
T1+2T2~ T1+3T2(초) [3,6]~[3,8], [4,3]~[4,7], [5,3]~[5,7], [6,2]~[6,6] 해당 청색 LED만 T2초 동안 점등 유지
T1+3T2~T1+3T2+T3(초) [2,2]~[2,8], [3,6]~[3,8], [4,3]~[4,7], [5,3]~[5,7], [6,2]~[6,6] 해당 CCFL과 해당 적색 LED만 T3초 동안 점등 유지
도 15의 점멸제어부(90c)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혼용한 구성이다. 건물의 유리창에 설치된 전체 발광도광판 유닛(60)들은 복수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어 각 그룹별로 로컬제어부(70c)가 하나씩 제공된다. 각 그룹의 로컬제어부(70c)는 원격제어부(80c)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하나의 주제어부(70c-1)와 그 그룹에 속하는 발광도 광판 유닛(60)마다 하나씩 제공되고 그 그룹의 주제어부(70c-1)와는 유선통신방식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부제어부(70c-2)를 포함한다. 원격제어부(80c), 주제어부(70c-1), 부제어부(70c-2)는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기와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정의된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주제어부(70c-1)와 부제어부(70c-2)는 마스터와 슬래이브의 관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점멸제어부(90c)를 실제 구성함에 이어서, 부제어부(70c-2)끼리는 유선통신방식으로 결합되므로 그러한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룹짓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컨대 전체 발광도광판 유닛을 건물의 각 층별로 그룹지을 수도 있고, 다른 방안으로서는 예컨대 복수 층을 세로로 여러 단위로 나누었을 때 각 단위 영역별로 그룹지을 수도 있을 것이다.
(2) 픽셀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
다음으로, 픽셀방식으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화면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4에서 예시된 모자이크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표현내용을 모자이크 조각 그림으로 나누어 해당 도광판의 발광영역으로 구현하는 방식이므로 정교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는 유리하지만 표현 내용이 고정된다는 점에서는 불리하다. 즉, 모자이크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다른 내용을 표현하려면 그 내용을 도광판의 발광영역으로 구현한 새로운 발광도광판 유닛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발광도광판 유닛의 교체 없이 표현 내용을 여러 가지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유리창에 설치된 다수의 발광도광판 유닛 각각이 하나의 픽셀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이른바 픽셀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면 된다. 픽셀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예컨대 어떤 표현내용을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 그 내용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위치의 발광도광판 유닛들을 발광시키면 된다. 픽셀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알파벳, 글자, 로고나 도형 등과 같은 다양한 내용을 표현할 수 있다.
픽셀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함에 있어서, 설치되는 발광도광판 유닛(60)들의 각 도광판(100)들은 광산란 요소를 그 하면의 전체 영역에 형성하여 도광판 상면 전체에서 고르게 발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광판의 일부 영역만 발광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그 경우에는 가능하면 발광영역의 모양이 한 가지로 통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유리 한 장마다 하나의 발광도광판 유닛(60)을 설치하면, 그 큰 유리창 하나가 하나의 픽셀로만 기능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유리창의 사이즈가 크면 디스플레이 화면의 해상도는 매우 낮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보다 많은 수의 픽셀이 확보하여 높은 해상도를 얻기 위한 방법은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사용하는 각 판유리(110) 표면을 다수의 섹션으로 구분하여 각 센션마다 발광도광판 유닛(60)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처럼 판유리(110)마다 여러 개의 발광도광판 유닛(60)이 설치되고, 각 발광도광판 유닛(60)의 점멸은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방식 즉, 각 섹션별 점멸제어방식을 채용하면, 하나의 유리창에 보다 많은 픽셀 수를 얻을 수 있다. 도 16은 건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160장(10x16)의 판유리를 활용하여 픽셀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구성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각 유리창마다 6개의 픽셀을 얻기 위 해 6개(2x3)의 발광도광판 유닛(60)을 설치한 경우인데, 이렇게 하여 구성된 디스플레이 화면은 전체 픽셀 수가 960개 이고 해상도는 20x48이다. 이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얻기 위해서는 각 유리창마다 더 많은 수의 발광도광판 유닛(60)을 설치하면 된다. 발광도광판 유닛(60)은 도광판(100)의 크기를 자유롭게 가져갈 수 있으므로 고해상도의 표시화면을 구성하는 데 별로 큰 어려움이 없다.
이렇게 구성된 픽셀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각 발광도광판 유닛이 하나의 픽셀로 기능하기 때문에 도광판을 교체하지 않고서도 원하는 문구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시된 것처럼 "VIVA! KOREA"라는 문구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도면에서 빗금친 위치의 발광도광판 유닛들만 선택적으로 빛을 발하도록 제어하면 된다. 예컨대 도 16에서 [2, 7]의 위치에 있는 유리창(150)에 설치된 6개의 발광도광판 유닛들은 영문자 'K'의 일부를 표현하는데, "VIVA! KOREA"라는 문구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그 6개의 발광도광판 유닛들 중에서 [3,1]과 [2,2]의 위치에 있는 발광도광판 유닛만 발광하도록 제어하면 된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도 16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구성을 교체 없이 그대로 이용하여 영문자 "NIKE"와 그 로고를 표현할 수도 있다. 발광하여야 할 발광도광판 유닛이 표현 내용에 맞게 제어되도록 하면 된다. 도 18과 19는 픽셀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 장치가 설치된 건물에서 영문자 "H"와 "N"을 표현한 예를 보여준다. 동일한 장치에서 다른 색의 다른 알파벳을 표현한 것이다. 이처럼, 픽셀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현되는 알파벳, 문자와 로고 등의 색상, 점멸 스케줄 등에 변화도 줄 수 있다. 픽셀방식의 표시화면에서 표현된 내용과 색상, 점멸 스케줄 등의 내용은 제어프로그램으로 미 리 구현하여 원격제어부(80) 및/또는 로컬제어부(70)에 설치하여 실행하면 된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다. 이상의 설명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발광수단을 엣지라이트 방식의 도광판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유리창의 시야 방해 문제에 있어서 양보를 한다면, 채용할 수 있는 발광수단은 매우 다양할 것이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판유리 각각에 판유리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면발광 장치를 설치하고 그 면발광 장치와 그 판유리 사이에 그 판유리 위치에 할당된 모자이크 조각 그림이 인쇄된 필름을 끼워두는 형태의 구성을 취하면, 위에서 말한 모자이크 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이 구성될 수 있다. 이 방식은 유리창의 시야를 방해하는 것이긴 하지만, 표현 내용을 칼라 인쇄된 필름으로 표시하므로 보다 선명하고 다채롭게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픽셀방식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함에 있어서도 엣지라이트 방식의 도광판이 아닌 다른 발광수단을 채용할 수 있음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밖에, 모자이크방식과 픽셀방식을 조합한 디스플레이화면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램프부도 여러 가지 램프를 조합한 형태, 예컨대 상하 2줄로 램프를 배치하되 윗줄에는 CCFL을 배치하고 아랫줄에는 LED를 배치한 형태의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램프부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표현 내용을 매우 다양한 색으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러 가지 종류의 광산란 요소를 혼용하여 만든 도광판도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점멸제어부(90)의 구성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시도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 15에서 로컬제어부의 주제어부(70c-1)와 부제어부(70c-2)도 무선통신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종래의 돌출형 광고 간판은 건물의 미려한 외관을 훼손하고, 건물 내부 사람들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는 제약이 있으며, 고가의 설치비용 및 설치 시 안전사고의 위험 등이 있고, 그로 인해 한 번 설치된 광고 간판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한꺼번에 해결해준다. 광고 시설물이 건물의 외부에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지 않고 건물의 창유리에 깔끔하게 설치되므로, 건물 미관의 훼손이 없고 오히려 잘 디자인된 발광 광고문안으로 인해 건물의 외관을 더욱 화사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어서 건물의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는 유리창의 건물 내부쪽 면에 설치되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 교체가 간편하여 비용 절감은 물론이거니와 설치 등의 작업 수행 시 위험성이 거의 없다. 또한 도광판을 이용하므로 발광하지 않는 동안은 창유리의 시야 훼손이 없다. 기존의 건물 시설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발광형 광고표시장치는 창문에 설치하여 인테리어와 광고 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건물의 유리 외벽이 마치 하나의 대형 광고 스크린처럼 기능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 그 스크린에 표현 내용과 그것의 색상을 가변시키는 등의 변화를 줄 수 있어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빛이 발하는 유리면에 표현되는 신 개념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해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의 등가적인 의미나 범위에 속하는 모든 변화들은 전부 본 발명의 권리범위 안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27)

  1. 건물 외벽을 구성하는 다수의 판유리를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판유리마다 적어도 한 개의 도광판이 덧대는 형태로 설치되며, 각 도광판의 하면에는 소정모양의 발광영역이 할당되되 각 도광판별로 할당된 그 발광영역의 모양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과 각 도광판이 설치되는 판유리의 위치에 의거하여 정해지며, 그 발광영역에는 광산란 요소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도광판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입사된 광은 그 광산란요소들에 의해 산란 및 반사되어 출광됨으로써 그 발광영역만이 빛을 발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다수의 도광판;
    각 도광판과 한 조를 이루어 각 판유리에 설치되고, 각 도광판의 적어도 어느 일 측면을 통해 그 도광판의 내부로 빛을 입사시키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점멸을 제어하는 점멸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상기 다수의 도광판의 일부 또는 전부의 발광에 의해 소정의 표현내용을 표시하되 그 표현내용은 발광하는 도광판들의 발광영역들의 모자이크 합성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및 상기 광원부는 상기 판유리의 건물 내부쪽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한 조를 이루는 도광판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따라서 근접 배치되고 공급된 전원에 의해 빛을 생성하여 그 도광판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입사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와, 상기 램프의 점등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램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대략 'ㄷ' 모양으로 상기 램프의 길이만큼 연장된 반사갓과 내부가 공동이며 상기 반사갓과 일체가 되어 길게 연장된 수납관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램프와 상기 램프구동부는 상기 반사갓과 상기 수납관 안에 각각 수납되어 단일체의 광원 모듈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길이방향의 양쪽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램프구동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단자가 배치되어, 복수의 광원모듈은 각각의 전극단자 사이에 연결잭을 개재하여 전기 접속을 이루면서 길이가 연장된 광원부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6. 제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제어부는 각 광원부마다 하나씩 배치되어 그 해당 광원부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그 광원부의 점멸을 직접 제어하는 로컬제어부와, 전체 로컬제어부들과는 떨어진 원격지에 위치하며 각 로컬제어부를 통해 해당 광원부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로컬제어부들에게 송신하는 원격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로컬제어부가 수신할 수 있도록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각 로컬제어부에게 송신하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는 목적지 로컬제어부의 ID정보와 그 목적지 로컬제어부가 맡고 있는 광원부의 점멸제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포함된 목적지 로컬제어부 ID정보가 자신의 ID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그 원격제어신호에 포함된 점멸제어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램프구동부의 상기 램프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부는 상기 램프구동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의 수납관에 수납되며,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컬제어부에게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램프는 굵기가 상기 도광판의 두께보다 크지 않는 관형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LED) 중 어느 한 가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산란 요소 형성영역에는 육안으로는 식별할 수 없을 정도의 아주 미세한 크기의 무수히 많은 음각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광산란 요소 형성영역은 상기 광원부가 빛을 상기 도광판 내부로 입사시키지 않는 동안에는 바깥에 대한 시야를 거의 가리지 않는 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판유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산란 요소 형성영역에서 발광되는 색을 특정의 색으로 표현되도록 하는 칼라 필름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판유리와 대면하는 표면 쪽에 미세 입자들을 엷게 개재시켜 상기 판유리와 완전 밀착되지 않게 약간의 틈을 두고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투명한 아크릴수지 판재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14. 건물 외벽을 구성하는 다수의 판유리를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장치로서,
    각 판유리마다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유닛이 설치되며, 각 유닛은 상기 판유리마다 그 판유리의 건물 내부쪽 표면에 덧대는 형태로 설치되고 하면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 입사광을 산란 및 반사시켜 상기 도광판의 상면으로 출광되도록 하는 광산란 요소들이 형성되어 있어 측면을 통해 내부로 광이 입사되는 동안에 상기 광산란 요소들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이 발광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적어도 어느 일 측면에 램프가 근접 배치되게 하고 상기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생시킨 빛을 그 도광판의 내부로 입사시키는 광원부를 구비하여, 각 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픽셀로서 기능하는 다수의 발광도광판 유닛; 및
    상기 광원부의 점멸을 제어하는 점멸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표현내용은 상기 다수의 발광도광판 유닛들의 점멸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점등되는 발광도광판 유닛의 조합을 다르게 함으로써 가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점멸제어부는,
    각 발광도광판 유닛마다 하나씩 설치되고, 각각은 수신된 원격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대응되는 발광도광판 유닛의 광원부의 램프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여 그 발광도광판 유닛의 점멸을 직접 제어하는 다수의 로컬제어부; 및
    상기 다수의 로컬제어부들과는 떨어진 원격지에 위치하며 상기 다수의 로컬제어부 각각을 통해 각 로컬제어부가 담당하는 발광도광판 유닛의 점멸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상기 로컬제어부들에게 송신하는 원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로컬제어부가 수신할 수 있도록 송신하는 제1통신부를 포함하며, 각 로컬제어부에게 송신하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는 목적지 로컬제어부의 ID정보와 그 목적지 로컬제어부가 맡고 있는 광원부의 점멸제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원격제어신호에 포함된 목적지 로컬제어부 ID정보가 자신의 ID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그 원격제어신호에 포함된 점멸제어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램프구동부의 상기 램프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제어부는 상기 램프구동부와 함께 상기 하우징 의 수납관에 수납되며, 상기 원격제어부는 상기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컬제어부에게 무선통신방식으로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가 각 로컬제어부에게 송신하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는 목적지 로컬제어부의 ID정보와 그 목적지 로컬제어부가 맡고 있는 광원부의 점멸제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로컬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발광도광판 유닛을 복수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각 그룹별로 하나씩 제공되는 다수의 로컬 주제어부와 각 그룹에 속하는 각 발광도광판 유닛별로 하나씩 제공되는 다수의 로컬 부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 주제어부는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그 안에 포함된 목적지 로컬 부제어부 ID정보가 자신이 관리하는 로컬 부제어부의 ID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그 원격제어신호에 포함된 점멸제어정보를 해당 목적지 로컬 부제어부에게 전달하고, 상기 로컬 부제어부는 수신된 점멸제어정보에 의거하여 대응 발광도광판 유닛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19. 제 15항 내지 1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미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원격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다수의 발광도광판 유닛의 점멸 스케줄을 변경하기 위해 상기 제어프로그램의 수정 또는 새로운 제어프로그램의 추가 설치 등과 같은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컴퓨터 장치와 인터페이스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판유리 각각의 표면은 복수개의 섹션으로 구분되어 각 섹션별로 상기 발광도광판 유닛이 하나씩 설치되어 각 판유리에 복수개의 픽셀이 존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점멸제어부는 각 섹션별로 상기 발광도광판 유닛의 점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도광판 유닛의 도광판들은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는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에는 그 측면을 통해 밖으로 광이 새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광반사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부는 사용자가 리모컨이나 컴퓨터 등과 같은 사용자 조작수단을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모드를 지시할 수 있도록 이들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판유리와 대면하는 표면 쪽에 미세 입자들을 엷게 개재시켜 상기 판유리와 완전 밀착되지 않게 약간의 틈을 두고 설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2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과 상기 판유리 사이에 개재되는 칼라 필름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25.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대략 'ㄷ' 모양으로 상기 램프의 길이만큼 연장된 반사갓과 내부가 공동이며 상기 반사갓과 일체가 되어 길게 연장된 수납관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구비하며, 상기 램프는 상기 반사갓 안에 장착되고, 상기 램프구동부는 상기 로컬제어부와 함께 상기 수납관 안에 각각 수납되어 단일체의 광원 모듈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2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램프는 그 지름이 상기 도광판의 두께보다 크지 않는 관형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LED) 중 어느 한 가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2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상기 광산란요소가 형성된 영역에는 육안으로는 식별할 수 없을 정도의 아주 미세한 크기의 무수히 많은 음각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그 광산란 요소 형성영역은 상기 광원부가 빛을 상기 도광판 내부로 입사시 키지 않는 동안에는 바깥에 대한 시야를 거의 가리지 않는 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유리창을 활용한 발광형 광고표시장치.
KR1020050080382A 2005-08-30 2005-08-30 건물 유리창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발광형광고표시장치 KR100789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382A KR100789851B1 (ko) 2005-08-30 2005-08-30 건물 유리창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발광형광고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0382A KR100789851B1 (ko) 2005-08-30 2005-08-30 건물 유리창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발광형광고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837A true KR20070024837A (ko) 2007-03-08
KR100789851B1 KR100789851B1 (ko) 2007-12-28

Family

ID=3809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382A KR100789851B1 (ko) 2005-08-30 2005-08-30 건물 유리창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발광형광고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8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513B1 (ko) * 2020-09-04 2022-01-25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미디어 스트리트 운영 시스템
JP2022551292A (ja) * 2019-10-05 2022-12-08 ビ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ンデムなビジョン窓およびメディア表示装置
US11886089B2 (en) 2017-04-26 2024-01-30 View, Inc. Displays for tintable windows
US11892738B2 (en) 2017-04-26 2024-02-06 View, Inc. Tandem vision window and media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319B1 (ko) * 2009-02-26 2012-05-2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역동적 영상 효과를 나타내는 매직 벽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058Y1 (ko) * 2000-04-15 2000-09-15 최해용 유리창용 영상 및 광고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6089B2 (en) 2017-04-26 2024-01-30 View, Inc. Displays for tintable windows
US11892738B2 (en) 2017-04-26 2024-02-06 View, Inc. Tandem vision window and media display
JP2022551292A (ja) * 2019-10-05 2022-12-08 ビュ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ンデムなビジョン窓およびメディア表示装置
KR102355513B1 (ko) * 2020-09-04 2022-01-25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미디어 스트리트 운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851B1 (ko) 200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6893B1 (ko) 주야 변환용 멀티 광고판
EP1314147B1 (en) Indoor/outdoor advertis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89851B1 (ko) 건물 유리창을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발광형광고표시장치
KR101970997B1 (ko) 투명 led 필름을 이용한 부착/삽입형 난간 광고 장치
KR100794474B1 (ko) 선을 이용한 투명패널 라이팅
KR20080006057A (ko) 조명 분산 판넬
KR20050019473A (ko) 유리형 전광판 구조
KR101123369B1 (ko) 이미지 표시장치
KR20080024427A (ko) 채널캡에 설치된 엘이디 발광수단의 후광을 이용한채널간판
KR200394336Y1 (ko) Led 램프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56965Y1 (ko) 발광다이오드 발광소자를 이용한 반투명 전자간판
KR200251058Y1 (ko) 주야 변환용 멀티 광고판
CN221378897U (zh) 一种发光广告牌
KR20090003039U (ko) 광고용 보드
KR19990085119A (ko) 칼라사인보드
JP3232611U (ja) 発光看板
KR200243449Y1 (ko) 자외선을 가지는 led발광소자를 이용한 사인보드
KR101207998B1 (ko) 광섬유와 후광을 이용한 채널 간판
KR102457831B1 (ko) Led디스플레이부가 백그라운드 패널로 설치된 멀티 패널형 사인-시스템
KR100982250B1 (ko) 분전함용 광고판
KR102674737B1 (ko) 다양한 색상 연출이 용이한 조명장치
KR200434529Y1 (ko) 측 단면 조명 방식의 투명 재질 평판 화면장치.
KR200346369Y1 (ko) 광고장치
JPH10240178A (ja) 表示装置
KR200356894Y1 (ko) 광고용 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