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4247A - Multi function switch - Google Patents

Multi function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4247A
KR20070014247A KR1020050068684A KR20050068684A KR20070014247A KR 20070014247 A KR20070014247 A KR 20070014247A KR 1020050068684 A KR1020050068684 A KR 1020050068684A KR 20050068684 A KR20050068684 A KR 20050068684A KR 20070014247 A KR20070014247 A KR 20070014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late
inner case
switch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86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11139B1 (en
Inventor
이명우
김영대
Original Assignee
포스텍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텍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텍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1139B1/en
Publication of KR20070014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42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1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Abstract

A multi-functional switch is provided to integrate a push-type ON/OFF switch, a rotary encoder, and an eight-directional slide-type switch as one assembly. A case(10) has guide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a through-hole. A second PCB(Printed Circuit Board) is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case to cover the through-hole. An inner case(15) is disposed in the case. A slide plate(14) is disposed between a bottom surface of the case and a lower end of the inner case. A first PCB(18) is mounted between a vertical pipe and a partition of the inner case. An infrared sensor(R) is mounted on an opening of the vertical pipe. A resilient unit(16) is interposed between an outer wall of the inner case and the partition. A sensor operation plate has a connecting rod and two protruding walls. A cover(20) is engaged to an upper end of the case, and has a through-hole for receiving an operation shaft(22).

Description

다기능 스위치{multi function switch} Multi function switch

도 1 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위치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multifunction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위치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the multifunction swi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3 은 상기 다기능 스위치를 구성하는 커버의 평면도, 3 is a plan view of a cover constituting the multifunction switch;

도 4 는 상기 커버의 측단면도,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ver,

도 5 는 상기 다기능 스위치를 구성하는 케이스와 그 상대 결합 부품들의 조립 상태 평면도, 5 is an assembled state plan view of a case constituting the multifunction switch and its mating coupling parts;

도 6 은 상기 도 5 와 동일한 조립 상태의 저면도, 6 is a bottom view of the same assembled state as in FIG. 5;

도 7 은 상기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드 판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a slide plate constituting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

도 8 은 상기 슬라이드 판의 우측면도, 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slide plate,

도 9 는 상기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를 구성하는 내부 케이스의 평면도, 9 is a plan view of an inner case constituting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

도 10 은 상기 내부 케이스에 상대 부품들이 서브 어셈블리 형태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FIG. 10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counterpart parts are assembled in a subassembly form in the inner case; FIG.

도 11 은 상기 도 10 에 있어 A-A선 단면도,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0;

도 12 는 상기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를 구성하는 센서 작동판의 평면도, 12 is a plan view of a sensor operating plate constituting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

도 13 은 상기 센서 작동판의 우측면도, 1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sensor operation plate;

도 14 는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를 구성하는 조작축의 평면도, 14 is a plan view of the operation shaft constituting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

도 15 는 상기 도 14 에 있어 C-C선 단면도,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14;

도 16 은 상기 도 10 상의 B-B선 단면에 해당하는 전체적 조립 상태 단면도로서,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가 회전형 엔코더로 작동하는 경우,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verall assembled stat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0, in which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 is operated by a rotary encoder;

도 17 은 상기 도 10 상의 B-B선 단면에 해당하는 전체적 조립 상태 단면도로서,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가 푸쉬 타입 온/오프 스위치로 작동하는 경우,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verall assembly stat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n FIG. 10, in which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 operates as a push type on / off switch,

도 18 은 스위치 조작 수단으로서의 노브가 상기 도 2 상에 있어 화살표(3)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주요 부품 간 상관 관계도,Fig. 18 is a correlation diagram between the main parts when the knob as the switch operating means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3 on the Fig. 2;

도 19 는 상기 도 18 의 경우에 해당하는 스위치 내부 상태도이다.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witch internal state corresponding to the case of FIG. 18.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다기능 스위치 10 : 케이스       1: multifunction switch 10: case

11 : 광 차단판 12 : 제 2 PCB     11: light blocking plate 12: second PCB

14 : 슬라이드 판 15 : 내부 케이스     14: slide plate 15: inner case

16 : 탄성 유지체 17 : 윤활판      16: elastic holder 17: lubricating plate

18 : 제 1 PCB 19 : 중립 복귀봉      18: first PCB 19: neutral return rod

20 : 커버 21 : 센서 작동판      20: cover 21: sensor operation plate

22 : 조작축 30 : 노브      22: operating axis 30: knob

R : 적외선 센서 TR : 광 트랜지스터       R: infrared sensor TR: phototransistor

본 발명은 다기능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조합체 내에 푸쉬 타입(push type) 온/오프(ON/OFF) 스위치, 회전형 엔코더(encoder) 및 8 방향 슬라이드(slide) 타입 스위치 기능을 갖는 동시에, 작동 정밀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다기능 스위치에 관한 발명이다. 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sh type ON / OFF switch, a rotary encoder and an 8-way slide type switch function in one combination.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switch excellent in operating precision and durability.

전기적 흐름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를 통상 스위치라 하는데, 본 명세서 상에서의 스위치는, 상기 엔코더와 같이 노브(rotor)의 회전각 변위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 즉 펄스(pulse)를 발생시키는 부재를 총칭하는 개념임을 우선 밝혀 둔다. A member that serves to connect or interrupt an electrical flow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switch. The switch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generates a different electrical signal, that is, a pulse, according to a rotation angle displacement of a knob, as in the encoder. First of all, it is a concept that is a general term for a member.

전기/전자 산업의 발달과 함께 관련 제품 내 전기적 회로가 복잡해질수록 다수의 스위치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이는 전기적 회로가 복잡한 만큼 그 연결 또는 차단의 대상 부위 또한 많아지기 때문이다. As electrical circuits in related products become more complicat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ical / electronics industry, the number of switches is required because the electrical circuits are more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targets for connection or disconnection increases.

그런데, 자동 제어 장치에 의하여 자동 조작되는 스위치의 경우 그 숫자가 많아도 문제될 것은 없지만, 사람이 직접 손으로 조작해야 하는 스위치의 경우 그 숫자 또는 위치에 제한이 따를 수밖에 없다. By the way, in the case of a switch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automatic control device is not a problem even if the number is large,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r position of the switch that must be operated by a human hand.

조작 상의 번거로움 또는 그로 인한 조작 실수를 초래할 정도로 스위치가 많거나, 사람의 손이 잘 닿지 않을 정도의 거리에 위치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이다. This means that it should not be located at a distance that is too large for the human hand or that the switch is too large to cause operational inconvenience or a mistake in operation thereof.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근래 하나의 스위치 조합체로써 다수의 스위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위 다기능 스위치가 개발되고는 있으나, 작동 정밀도 및 내구성을 포함한 전체적 품질 면에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Considering this point, recently, so-called multi-function switches that can perform multiple switch functions as a single switch combination have been developed, but they do not meet the demands of the consumer in terms of overall quality including operation precision and durability. .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인출한 것으로서, 앞서 언급한 바의 다수 스위치 기능을 하나의 조합체 내에 갖는 동시에 작동 정밀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다기능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rawn out in view of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al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switch functions as mentioned above in one combination and having excellent operating accuracy and durabilit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box) 형태의 케이스 내부에 각각의 독자적 스위치 기능을 갖는 상하 직선 운동계, 수평 회전 운동계 및 수평 방사상 직선 운동계를 포함하는 전체적 운동계를 구성하고, 이 운동계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수단으로서의 노브를 상기 케이스 중앙부에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onstitutes an overall kinematic system including a vertical linear motion system, a horizontal rotary kinematic system and a horizontal radial linear kinematic system each having its own switching function inside a box-shaped case, and operating the kinematic system. This is achieved by providing a knob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ase as an opera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sam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기능 스위치는, 상기 노브를 상하로 누르거나 누름 해제함에 따라 푸쉬 타입 온/오프 스위치로서 작동하며, 노브를 회전시킴에 따라서는 엔코더로서 작동하는 한편, 노브를 방사상의 8 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킴에 따라서는 슬라이드 타입 스위치로서 작동하는 특징이 있다. Specifically,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acts as a push type on / off switch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knob up and down, and acts as an encoder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knob, while the knob is operated radially. Sliding in the direction is characterized by operating as a slide type switch.

또한, 본 발명의 다기능 스위치에 있어 상기 슬라이드 타입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갖는 수평 방사상 직선 운동계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적외선 센서(IRED sensor) 및 광 트랜지스터(photo-transistor)를 이용함에 따라 고도의 작동 정밀도는 물론 반영구적일 정도의 내구성을 갖는다. In the multifunctional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frared sensor and an photo-transistor are used to construct a horizontal radial linear kinematic system having the function as the slide type switch. It has a degree of durability.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multifunction swi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을 전개함에 있어서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위치의 구성 요 소들을 그 조립 순서에 맞춰 설명해 나가면서, 구체적으로 어떤 구성 요소들이 상기 각각의 운동계를 구성하게 되는지, 또는 그 작동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등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하기로 한다. In developing the description, while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multifunction swi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ssembling order, in detail, what components constitute the respective kinematics, or in what manner is the operation thereof? It will be specifically mentioned as to whether it is made.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는 박스 형태의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상단부에 결합된 커버(cover, 20)와, 이 커버(20) 상방 중앙에 위치하며 합성수지재 손잡이 내지 버튼(button) 형태인 스위치 조작 수단으로서의 노브(30)를 포함하는 외관을 이루고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multifunction swi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in a box-shaped case 10, a cover 20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case 10, and a central portion above the cover 20. And a knob 30 as a switch operation means in the form of a synthetic resin handle or a button.

도면 부호 “12”는 상기 케이스(10)의 하단면 중앙의 통공(도시하지 않음)을 폐쇄하는 형태로 장착된 제 2 PCB(printed circuit board)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12 denotes a second printed circuit board (PCB) mounted in a form of closing a through hole (not shown)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상기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스위치의 평면도인 도 2 와, 상기 커버(20)만을 발췌하여 평면도로 나타낸 도 3 과 같이, 상기 커버(20)의 양 측단 중앙에는 케이스(10)와의 상호 결합을 위한 걸이판(20-1)이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2, which is a plan view of the multi-function swit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3, which is a plan view extracting only the cover 20, a hook for mutual coupling with the case 10 at the center of both side ends of the cover 20. The plate 20-1 is formed vertically downward.

커버(20) 중앙부에는 상기 노브(30)를 잡아주는 동시에 그 작동 상태를 케이스(10) 내 각 운동계로 전달하기 위한 조작축을 수용하는 통공 1(h1)이 형성되어 있다.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20, a through hole 1 (h1) is formed to hold the knob 30 and to receive an operation shaft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state to each motion system in the case 10.

상기 커버(20) 상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4 개 구멍(m)은 상기 다기능 스위치와 다른 부재(예를 들면, 차체 프레임 등) 사이의 상호 결합을 위한 나사 구멍을 나타낸다. Four holes m formed at the corners on the cover 20 represent screw holes for mutual coupling between the multifunction switch and another member (eg, a vehicle body frame, etc.).

커버(20)의 측단면도인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걸이판(20-1) 상에는 상기 케이스(10)와의 상호 결합을 위한 통공 2(h2)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which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ver 20, a through hole 2 (h2) is formed on the hanging plate 20-1 for mutual coupling with the case 10.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에 있어 조작 수단으로서의 상기 노브(30)는 상하 직선 운동이 가능하며("PUSH" 참조), 화살표(R) 방향의 수평 회전 운동이 가능한 한편, 방사상 8 개 방향(“1” 내지 “8” 표시 방향)으로의 수평 직선 운동이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이들 각각의 운동은 독자적 스위치로서의 역할 수행을 의미하는 것이다. As shown, in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b 30 as an operation means is capable of linear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see "PUSH"), and horizontal rotational movement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while radial 8 There is a characteristic that horizontal linear motion in the open direction ("1" to "8" display direction) is possible, and each of these motions means performing a role as an independent switch.

상기 케이스(10)와 상대 결합 부품들의 조립 상태 평면도인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10)의 상단부는 개방된 반면 그 하단부는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통공 3(h3)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된 구조이다. As shown in FIG. 5, which is a plan view of the assembled state of the case 10 and the mating coupling parts, the upper end of the case 10 forming a box shape is opened while the lower end thereof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3 (h3)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It i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outside.

또한, 케이스(10)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통공 3(h)의 대부분을 가리는 형태로 광 차단판(11)이 결합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blocking plate 11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so as to cover most of the through holes 3 (h).

이로써, 도 5 에 있어서는, 케이스(10) 바닥면 상에 위치한 광 차단판(11)과 케이스(10) 하단면, 즉 상기 바닥면 반대쪽 표면 상에 위치한 제 2 PCB(12)가 중첩된 형태로 나타나 있다. Accordingly, in FIG. 5, the light blocking plate 11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and the second PCB 12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that is,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bottom surface, overlap each other. Is shown.

상기 광 차단판(11)에는 8 개의 작은 통공 4(h4)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통공 4(h4)의 위치는 앞서 언급한 노브(30)에 있어서의 8 개 수평 방사상 직선 운동 방향, 즉 슬라이딩 방향과 일치한다. Eight small through holes 4 (h4) are formed in the light blocking plate 11, and the positions of these through holes 4 (h4) are eight horizontal radial linear motion directions in the knob 30, that is, sliding.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이들 8 개의 통공 4(h4) 아래 상기 제 2 PCB((12) 상에는 각각의 통공 4(h4) 위치에 상응하는 역시 8 개의 광 트랜지스터(transistor)(TR)가 장착되어 있다. (도 16 또는 도 17 참조) On these second PCBs 12 below these eight vias 4 (h4) are also mounted eight phototransistors TR corresponding to their respective through 4 (h4) positions. See 17)

즉, 앞서 언급한 바의 수평 방사상 직선 운동계를 구성하는 적외선 센서가 상기 8 개 통공 4(h4) 중 어느 위치에 놓이면, 그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광 트랜지스터가 이를 감지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infrared sensor constituting the horizontal radial linear mo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is placed at any one of the eight through holes 4 (h4), the phototransistor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etects the same and at the same time, the electric signal Will occur.

이것은 본 발명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가 8 방향 슬라이드 타입 스위치로 작동하게 되는 메커니즘(mechanism)이다. This is the mechanism by which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n eight-way slide type switch.

케이스(10) 바닥면 상에 있어 상기 광 차단판(11) 양 측방으로는 반구 형상의 홈(H)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 홈(H)이 반구 형상, 즉 중앙부가 오목한 형상을 구비함에 따라, 스위치 사용자가 상기 노브(30)를 방사상 8 개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밀었다가 놓음과 동시에 노브(30)는 다시 중립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Hemispherical grooves H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ight blocking plate 11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As the switch user pushes and releases the knob 30 in one of eight radial directions, the knob 30 returns to the neutral position.

그 작동 메커니즘에 관하여는 관련 부재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mechanism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course of describing the relevant members.

케이스(10) 바닥면 상에 있어 상기 반구형 홈(H)에 대한 경사 방향, 바람직하게는, 45 ° 경사 방향 양측으로는 가이드(guide)용 돌출부 1(10-2)이 형성되며, 이들 가이드용 돌출부 1(10-2)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p)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guide protrusions 1 (10-2) for guid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emispherical groove H in an inclined direction, preferably in a 45 ° inclined direction. A guide groove p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rotrusion 1 (10-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들 가이드 홈(p)은 상기 노브가 8 개 수평 방사상 직선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제 1 안내 홈 역할을 하게 된다. These guide grooves p serve as the first guide grooves when the knob performs eight horizontal radial linear motions.

상기 케이스(10) 상단 약 측방에는 걸림턱(10-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걸이판(20-1) 상의 통공 2(h2)와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A locking jaw 10-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10, which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2 (h 2) on the hook plate 20-1 described above.

한편, 도면 부호 “s”는 나사못 등과 같이, 상기 광 차단판(11)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를 나타낸다. On the other hand, "s" denotes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light blocking plate 11, such as a screw.

상기 도 5 와 동일한 조립 상태의 저면도인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0) 하단면 중앙부에는 상기 제 2 PCB(12)가 체결되며, 이 제 2 PCB(12) 상에는 두 개의 커넥터(connector)가 착설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6, which is a bottom view of the same assembled state as in FIG. 5, the second PCB 12 is fasten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10, and two connectors are connected on the second PCB 12. ) Is installed.

이들 커넥터 중 제 1 커넥터(c1)는 후술하게 될 제 1 PCB로부터 인출된 연결용 잭(j)과의 상호 연결을 위한 것이며, 제 2 커넥터(c2)는 스위치 작동 유무의 출력 신호 제어 유닛(unit) 등 외부 장비와의 상호 연결을 위한 것이다. Among these connectors, the first connector c1 is for interconnection with the connecting jack j drawn from the first PC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connector c2 is an output signal control unit with or without switch operation. Etc.) for interconnection with external equipment.

도 7 및 도 8 은 앞서 언급한 바의 수평 방사상 직선 운동계를 구성하며, 상기 케이스(10) 바닥면 상의 가이드용 돌출부 1(10-2)과 연동, 즉 연계 운동하는 슬라이드 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그 우측면도이다. 7 and 8 constitute a horizontal radial linear motion system as described above, and a plan view showing a slide plate interlocked with, ie, in conjunction with, the guide protrusion 1 (10-2)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and its Right side view.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판(14)은 원환 형상의 몸체 판(14-1)과, 이 몸체 판(14-1) 양쪽 표면 상에 형성된 4 개의 활주 돌기(14-2)로 구성되는데, 하부 표면(b) 상의 활주 돌기(14-2)는 앞서 언급한 케이스(10) 바닥면 상에 형성된 가이드용 돌출부 1(10-2) 중앙의 가이드 홈(p) 내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 수평 직선 운동, 즉 슬라이딩 하게 된다.As shown, the slide plate 14 is composed of an annular body plate 14-1 and four sliding protrusions 14-2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body plate 14-1. The sliding protrusion 14-2 on the surface b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p at the center of the guide protrusion 1 (10-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mentioned above, and thus the horizontal linear motion, That is, sliding.

상기 4 개의 활주 돌기(14-2)는 몸체 판(14-1)의 상, 하부 표면에 각각 2 개씩 형성되는데, 동일 표면 상의 2 개 활주 돌기(14-2)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반면 각 표면 상의 활주 돌기(14-2)는 서로 직교하는 형태, 즉 도면상의 이동 축선 1(X)과 이동 축선 2(Y)의 교차 각이 90 °를 이루는 형태로 배치된다.Each of the four sliding protrusions 14-2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plate 14-1, respectively, and the two sliding protrusions 14-2 on the same surface face each other. The sliding projections 14-2 on the surface are arranged in a form orthogonal to each other, that is, in a form in which a crossing angle between the moving axis 1 (X) and the moving axis 2 (Y) on the drawing forms 90 °.

상기 몸체 판(14-1)에 있어 상부 표면(a) 상의 활주 돌기(14-2)는 후술하게 될 내부 케이스 하단면 상의 가이드용 돌출부 2(15-5)와 연동하게 된다.In the body plate 14-1, the sliding protrusion 14-2 on the upper surface a is interlocked with the guide protrusion 2 (15-5)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상, 하부 표면(a, b) 상의 활주 돌기(14-2)가 이루는 이동 축선(X, Y)이 서로 직교함에 따라, 상기 내부 케이스, 나아가서는, 내부 케이스를 움직이는 상기 노브(30)의 수평 방사상 직선 운동이 8 개 방향성을 갖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the movement axes X and Y of the sliding protrusions 14-2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and b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the knob 30 for moving the inner case, and further, the inner case. The horizontal radial linear motion of) has eight directions.

도 9 는 상기 수평 방사상 직선 운동계와 앞서 언급한 바의 상하 직선 운동계 및 수평 회전 운동계를 함께 구성하며, 상기 슬라이드 판(14)의 몸체 판(14-1)에 있어 상부 표면(a) 상의 활주 돌기(14-2)와 연동하는 상기 내부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9 together constitutes the horizontal radial linear kinematic system and the above-described linear linear kinematic system and horizontal rotary kinematic system, the sliding projection on the upper surface (a) in the body plate 14-1 of the slide plate 14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said inner case which cooperates with (14-2).

상기 도 9 의 평면도와 도 16 의 전체적 조립 상태 단면도에 따르면, 내부 케이스(15)는 그 상단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서 바닥면 중앙에는 상하 관통관(15-1)이 형성되며, 하단면, 즉 바닥면의 반대쪽 표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하향 돌출관(15-2)이 2 개 형성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plan view of FIG. 9 and the cross-sectional view of the overall assembly state of FIG. 16, the inner case 15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end thereof, and an upper and lower through pipe 15-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thereof,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two downwardly protruding tubes 15-2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하향 돌출관(15-2)의 상단 개구부, 즉 상기 바닥면과 연결된 부분은 완전 개방된 반면 그 하단부는 내경 축소에 따른 걸림턱을 이루고 있다. The upper opening of the downwardly protruding tube 15-2, that is,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is completely open, while the lower end of the downward protrusion tube 15-2 forms a locking step according to the reduction of the inner diameter.

상기 내부 케이스(15)의 외주벽(15-3)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지점에는 당해 외주벽(15-3) 보다 낮은 높이의 원통형 구획벽(15-4)이 돌출 형성됨에 따라, 이들 외주벽(15-3)과 구획벽(15-4) 사이 공간은 일정 폭의 원환형 홈을 이루게 된다. As the cylindrical partition wall 15-4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5-3 protrude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5-3 of the inner case 15,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 The space between 15-3) and partition wall 15-4 forms an annular groove of a predetermined width.

상기 상하 관통관(15-1)의 하단 개구부에는 앞서 언급한 바의 적외선 센서(R)가 동 개구부를 폐쇄하는 형태로 장착되는 반면 상단 개구부에는 후술하게 될 조작축 중앙부가 삽설된다. In the lower opening of the upper and lower through pipes 15-1, the infrared sensor R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to close the opening, while a central portion of the operation shaft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 the upper opening.

또한, 내부 케이스(15) 상의 상기 외주벽(15-3)과 구획벽(15-4) 사이에 형성된 원환형 홈 내에는 상기 조작축의 외측단부가 배치된다. Further, an outer end of the operation shaft is disposed in an annular groove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5-3 and the partition wall 15-4 on the inner case 15.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케이스(15) 내에는 앞서 언급한 상하 직선 운동계, 수평 회전 운동계 및 수평 방사상 직선 운동계를 구성하는 다수의 상대 부품들이 결합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relative parts constituting the aforementioned vertical linear motion system, horizontal rotary motion system and horizontal radial linear motion system are combined in the inner case 15.

이들을 그 조립 순서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se are explained according to the assembling procedure as follows.

우선, 상기 2 개의 하향 돌출관(15-2) 내 중공부에 중립 복귀봉(19)과 스프링 1(t1)을 각각 삽입한 다음, 그 위에 제 1 PCB(18)를 올려놓고 내부 케이스(15) 바닥면 상에 장착, 즉 고정시킨다. (“s”는 체결 부재를 나타냄)First, the neutral return rod 19 and the spring 1 (t1)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hollows in the two downward protruding pipes 15-2, and then the first PCB 18 is placed thereon, and the inner case 15 )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i.e., fixed. (“S” stands for fastening member)

상기 제 1 PCB(18)는 내부 케이스(15) 상의 상하 관통관(15-1)과 구획벽(15-4) 사이 공간에 맞도록 그 중앙부가 통공으로 형성된 원환형 기판이다. The first PCB 18 is an annular substrate having a central portion formed through the hole so as to fit in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hrough-pipes 15-1 and the partition walls 15-4 on the inner case 15.

또한, 상기 중립 복귀봉(19)의 하단부는 반구 형상인 반면 스프링 1(t1)의 탄발력을 받는 그 상단부는 직경 확대에 따른 걸림 돌기를 이룸에 따라, 중립 복귀봉(19)이 상기 하향 돌출관(15-2) 하단의 걸림 턱을 벗어나 하향 분리되지는 않는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neutral return rod 19 has a hemispherical shape while the upper end of the spring 1 (t1) is subjected to a resilient protrusion as the diameter increases, so the neutral return rod 19 protrudes downward. It is not separated downward beyond the locking jaw at the bottom of the pipe 15-2.

이어서, 내부 케이스(15) 상 외주벽(15-3)과 구획벽(15-4) 사이의 원환형 홈 내에 탄성 유지체(16) 및 윤활판(17)을 차례로 삽설한다. Subsequently, the elastic retainer 16 and the lubrication plate 17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annular groov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5-3 and the partition wall 15-4 on the inner case 15.

탄성 유지체(16)가 있음에 따라, 스위치 사용자가 상기 노브를 눌렀다가 놓으면 그 즉시 원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As the elastic retainer 16 is present, the switch user presses and releases the knob and immediately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상기 탄성 유지체(16)는 내부 케이스(15) 상의 외주벽(15-3)과 구획벽(15-4) 사이 공간에 상응하는 형상으로서 그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탄성 돌기(16-1)를 포함하며, 고무 또는 연질 합성수지 등의 탄성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astic retainer 16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5-3 and the partition wall 15-4 on the inner case 15 and has a plurality of elastic protrusions 16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1),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or soft synthetic resin.

또한, 탄성 돌기(16-1) 상방에는 연질 필름(film) 형태의 윤활판(17)을 올려놓는데, 앞서 언급한 조작축 회전 시에 있어 그 외측단과 상기 탄성 유지체 사이의 마찰 저항을 줄이기 위함이다. In addition, the lubrication plate 17 in the form of a soft film is placed above the elastic protrusion 16-1, 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outer end and the elastic retainer during the rotation of the aforementioned operation shaft. to be.

이처럼, 상기 내부 케이스(15)는 앞서 언급한 케이스(10) 내 조립에 앞서 상기 중립 복귀봉(19), 스프링 1(t1), 제 1 PCB(18), 탄성 유지체(16) 및 윤활판(17)과 결합된 서브-어셈블리(sub-assembly) 형태를 갖추게 된다. As such, the inner case 15 is the neutral return rod 19, the spring 1 (t1), the first PCB 18, the elastic retainer 16 and the lubrication plate prior to assembly in the case 10 mentioned above. It has a sub-assembly form combined with (17).

한편, 상기 제 1 PCB(18) 표면 상에는 3 개의 광센서가 부착되는데, 동일 원주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2 개의 센서 1(x1)은 앞서 언급한 수평 회전 운동계를 구성하는 반면, 보다 작은 원주 상에 단독으로 부착된 센서 2(x2)는 역시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수직 직선 운동계를 구성한다. On the other hand, three optical sensors are attach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PCB 18, and two sensors 1 (x1)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ame circumference constitute the aforementioned horizontal rotational motion system, Sensor 2 (x2) attached solely to the phase also constitutes a vertical linear kinematic as mentioned above.

이들 광 센서(x1, x2)는 “U”자 형상을 이룬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 공간 내에 있어 센서 작동판(후술하게 됨)의 수평 회전 운동(x1 의 경우) 또는 상하 수직 운동(x2 의 경우) 상태를 감지하게 되는데, 구체적 작동 메커니즘에 관해서는 그 상대 부품으로서의 상기 센서 작동판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These optical sensors (x1, x2) are in the space between the “U” shaped light-emitting part and the light-receiving part, so that the horizontal rotational motion (for x1) or vertical vertical motion (for x2) of the sensor operating plate (described later) The state is detected, and a specific operating mechanism will b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sensor operating plate as its counterpart.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케이스(15)의 외주벽(15-3) 안쪽 표면에는 다수 곡면의 연속에 의한 굴곡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노브의 수평 회전 운동 시 클릭(click) 감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대 부품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역 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As show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5-3) of the inner case 15 is formed by the continuation of a plurality of curved surfaces, which is to form a click (click) during the horizontal rotation of the knob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counterpart part, it will be described together.

도 10 은 상기 내부 케이스(15)에 상대 부품들이 서브 어셈블리 형태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FIG. 10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counterpart parts are assembled in a subassembly form on the inner case 15.

즉,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내부 케이스(15)의 하단면 상에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하향 돌출관(15-2)이 2 개 형성되며, 그 밖으로 상기 중립 복귀봉(19)이 돌출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That is, as described abov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5, two downwardly protruding pipes 15-2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neutral return rods 19 protrude out of them. have.

또한, 내부 케이스(15) 중앙부를 상하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상기 상하 관통관(15-1)에 있어 적외선 센서(R)가 착설되는 그 하단 개구부는 사각 관 형상으로 하는 것이 조립 편의성 내지 강도 증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upper and lower through-pipes 15-1 formed to penetrate the inner portion of the inner case 15 up and down, the lower end openings on which the infrared sensor R is mounted are formed in a square tube shape to facilitate assembly or increase strength. Preferred at

한편, 상기 내부 케이스(15)의 바닥면 일부를 절개하여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케이스 안쪽의 상기 제 1 PCB(18)와 그 바깥쪽의 상기 적외선 센서(R) 및 연결용 잭(j)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5 to form an opening, the first PCB 18 inside the case, the infrared sensor R and the connecting jack (j) in the outside of each other Make sure you can connect.

내부 케이스(15) 하단면 상에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가이드용 돌출부 2(15-5)가 2 개 형성되며, 이들 가이드용 돌출부 2(15-5)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p)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5, two guide protrusions 2 (15-5)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guide grooves p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guide protrusions 2 (15-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이들 가이드 홈(p)은 앞서 설명한 슬라이드 판(14)에 있어 몸체 판(14-1)의 상부 표면(a) 상 활주 돌기(14-2)와 연동함으로써, 상기 노브가 8 개 수평 방사상 직선 운동을 수행함에 있어 제 2 안내 홈 역할을 하게 된다. These guide grooves p interlock with the sliding projections 14-2 on the upper surface a of the body plate 14-1 in the slide plate 14 described above, whereby the knobs move eight horizontal radial linear motions. In acting as a second guide home.

도 11 은 상기 도 10 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로서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 2(15-5)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데, 앞서 설명한 케이스(10) 바닥면 상 가이드용 돌출부 1(10-2) 역시 이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해하면 된다.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0 and shows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guide protrusions 2 (15-5), and the guide protrusions 1 (10-2)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described above are the same. You can understand it as a shape.

도 12 및 도 13 은 앞서 설명한 제 1 PCB(18) 상의 광센서들과 연동하게 되는 센서 작동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그 우측면도이다. 12 and 13 are a plan view and a right side view showing a sensor operating plate to be interlocked with the optical sensors on the first PCB 18 described above.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작동판(21)은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원환형 부재로서, 그 상단면 표면 상에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연결봉(21-1)이 2 개 돌출되는 반면 하단면 상에는 서로 다른 직경의 원주를 이루는 2 개의 돌출벽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the sensor operating plate 21 is an annular member having a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nd two connecting rods 21-1 facing each other protrude from each other on the top surface thereof, while having different diameters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wo protruding walls are formed circumferentially.

상기 2 개의 돌출벽 중 내측 돌출벽(21-2)은 다수의 직립 돌기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사이 간격 있는 원주상 벽체를 이루는 반면, 센서 작동판(21)의 외측단부를 이루는 외측 돌출벽(21-3)은 사이 간격 없는 완전한 벽체를 이룬다.The inner protruding wall 21-2 of the two protruding walls has a plurality of upright protrusion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circumferential wall with one space therebetween, while an outer protruding portion forming an outer end of the sensor operating plate 21. The walls 21-3 form a complete wall with no gaps in between.

도 13 의 우측면도와 도 16 의 전체적 조립 상태 단면도에 따르면, 상기 센서 작동판(21) 상의 외측 돌출벽(21-3)은 상기 내부 케이스(15) 상 구획벽(15-4)의 상단부와 상응하는 형상 및 치수로서 당해 구획벽(15-4) 상단부에 덮어씌워지는 반면, 내측 돌출벽(21-2)은 상기 제 1 PCB(18) 상 2 개 광센서(x1)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right side view of FIG. 13 and the overall assembled state sectional view of FIG. 16, the outer protruding wall 21-3 on the sensor operating plate 21 corresponds to the upper end of the partition wall 15-4 on the inner case 15. O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5-4, the inner protrusion wall 21-2 is disposed between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of the two optical sensors x1 on the first PCB 18. It is located at.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작동판(21)은 상기 연결봉(21-1)을 매개로 조작축(22)와 결합된 관계로서, 센서 작동판(21) 상의 내측 돌출벽(21-2)을 구성하는 상기 다수의 직립 돌기들은 노브 회전 시 상기 제 1 PCB(18) 상의 2 개 광센서(x1)를 차례로 통과하며, 이들 광센서(x1)가 그 통과 개수를 노브 회전각으로 인식함에 따 라 그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As shown, the sensor operating plate 21 is coupled to the operation shaft 22 via the connecting rod 21-1, and constitutes an inner protruding wall 21-2 on the sensor operating plate 21. The plurality of upright protrusions sequentially pass through two optical sensors x1 on the first PCB 18 when the knob is rotated, and these optical sensors x1 recognize the number of passes as the knob rotation angle. The corresponding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이것은 상기와 같은 내부 구조를 갖는 본 발명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가 회전형 엔코더로 작동하게 되는 기본적 메커니즘이다. This is the basic mechanism by which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interna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a rotary encoder.

도 14 및 도 15 는 스위치 조작 수단으로서의 상기 노브와 직접 결합됨으로써 이를 지탱함은 물론 그 작동 상태를 케이스(10) 내부로 전달하는 조작축(22)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그 C-C선 단면도이다. 14 and 15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the operation shaft 22 which directly engages with the knob as a switch operating means to support it and transmit its operating state to the case 10.

조작축(22)은 원통체의 상단면 중앙에 환봉 형상의 지지축이 돌출된 형상으로서, 상단면(22-2)의 외측단 하방으로 형성된 외주벽(22-3)과 그 안쪽에 형성된 내주벽(22-4)을 포함하는 이중 벽체 구조를 이루고 있다. The operation shaft 22 is a shape in which a round bar-shaped support shaft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cylindrical body, and the inner peripheral wall 22-3 formed below the outer end of the upper end 22-2 and the inner side formed therein. The double wall structure including the main wall 22-4 is comprised.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축(22)을 내부 케이스(15) 내에 조립하면, 상기 외주벽(22-3)은 내부 케이스(15) 상의 외주벽(15-3)과 구획벽(15-4) 사이에 위치하는 반면, 상기 내주벽(22-4)은 제 1 PCB(18) 상의 광센서(x2)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16, when the operation shaft 22 is assembled into the inner case 15,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22-3 is divid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5-3 and the partition wall 15 on the inner case 15.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2-4 is positioned above the optical sensor x2 on the first PCB 18, while located between −4).

이로써,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사용자가 조작축(22)을 누르면, 상기 조작축(22) 상의 내주벽(22-4) 하단부가 광센서(x2)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로 들어가 감지 매체로서의 빛을 찬단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전기적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Thus, as shown in FIG. 17, when the switch user presses the operation shaft 22,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2-4 on the operation shaft 22 enters between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f the optical sensor x2 and the sensing medium. As soon as light is emitted, an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ly.

상기 노브로부터 손을 떼면, 앞서 언급한 탄성 유지체(16) 및 스프링 2(t2)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기 조작축(22)은 원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knob, the operation shaft 22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ity of the aforementioned elastic retainer 16 and the spring 2 (t2).

이것은 본 발명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가 푸쉬 타입 온/오프 스위치로 작동 하게 되는 메커니즘이다. This is the mechanism by which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push type on / off switch.

이처럼, 상기 도 16 및 도 17 은 도 10 상의 B-B선 단면에 해당하는 전체적 조립 상태 단면도로서, 도 16 은 본 발명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가 회전형 엔코더로 작동하는 경우를, 도 17 은 푸쉬 타입 온/오프 스위치로 작동하는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As such, FIGS. 16 and 17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assembled stat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0, and FIG. 1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rotary encoder, and FIG. The case of operating with an off switch is shown respectively.

본 발명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에 있어 전체적 조립 상태 단면도인 이들 도 16 및 도 17 에 있어서는 도면의 간략화 차원에서 노브를 생략하고 나타내었다. 16 and 17, which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overall assembled state in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bs are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city of the drawings.

또한, 앞서 언급한 슬라이드 판(14)을 나타냄에 있어서는, 역시 동일 목적 차원에서 그 양쪽 표면 상의 활주 돌기(14-2)를 생략하였다. In the above-described slide plate 14, the slide projections 14-2 on both surfaces thereof are also omitted for the same purpose.

즉, 상기 슬라이드 판(14)에 있어 상하 양쪽 표면(a, b) 상의 4 개 활주 돌기(14-2)는 케이스(10) 바닥면 상의 가이드용 돌출부 1(10-2)과 내부 케이스(15) 하단면 상의 가이드용 돌출부 2(15-5)와 각각 맞물려 있는 상태이다. That is, the four sliding protrusions 14-2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and b of the slide plate 14 are guide protrusions 1 (10-2) and the inner case 15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 Are engaged with the guide protrusions 2 (15-5) on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도면 부호 “u” 및 “r”은 노브와의 상호 결합 내지 맞물림을 위한 돌기 및 리브(rib)를 각각 나타낸다. Reference numerals "u" and "r" denote protrusions and ribs for mutual engagement or engagement with the knobs, respectively.

노브 상의 중공부에 이들과 상응하는 형상의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Of course, grooves (not shown) corresponding to these are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on the knob.

다시 도 15 를 참조하면, 조작축(22) 상 내주벽(22-4) 안쪽 중앙에는 지지봉(22-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내부 케이스(15) 상의 상하 관통관(15-1)내에 삽설됨으로써 조작축(22)의 회전 중심축 역할을 하게 된다. Referring back to FIG. 15, a support bar 22-5 is form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2-4 on the operation shaft 22, which is the upper and lower through pipes 15-1 on the inner case 15 described above. By inserting in the inside), it serves as a rotation center axis of the operation shaft 22.

상기 상단면(22-2) 상에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2 개의 통공 5(h5)이 형성 되며, 센서 작동판(21) 상의 연결봉(21-1)이 상기 통공 5(h5) 속에 삽설된다. Two through holes 5 (h5)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 22-2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 connecting rod 21-1 on the sensor operation plate 21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5 (h5).

상기 연결봉(21-1)을 통공 5(h5) 속으로 삽입함에 있어서는 상기 센서 작동판(21)의 상단면과 상기 조작축(22) 상 상단면(22-2)의 안쪽 표면 사이에 스프링 2(t2)을 삽설함에 따라, 상기 조작축(22)에는 항상 탄발력, 즉 상향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When inserting the connecting rod 21-1 into the through hole 5 (h5), the spring 2 i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nsor operation plate 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22-2 of the operation shaft 22. As the t2 is inserted, an elastic force, that is, an upward restoring force, is always applied to the operation shaft 22.

조작축(22) 중앙부에는, 도시한 바의 실시예와 같이, 노브 표면상의 문자 또는 기타 표시를 비춰주기 위한 빛 통로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operation shaft 22,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rough-holes as light tubes for illuminating characters or other marks on the knob surface are formed.

물론, 상기 노브 표면상의 문자 또는 기타 표시를 비춰줄 필요가 없는 경우라면, 상기 조작축 중앙부의 통공이 없어도 무방하다. Of course, if there is no need to illuminate letters or other marks on the surface of the knob, there may be no hol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operating shaft.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축(22)의 상단면(22-1)에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의 통공이 형성되며, 이 통공 내부에는 스프링 3(t3) 및 강구(b)가 삽입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5, through-holes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in the upper end surface 22-1 of the operation shaft 22, and the spring 3 (t3) and the steel ball (b)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도 9 및 도 16 을 참조로 하여 상기 스프링 3(t3) 및 강구(b)의 역할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role of the spring 3 (t3) and the steel ball (b) with reference to Figures 9 and 16 as follows.

우선, 상기 조작축(22)는 스프링 3(t3) 및 강구(b)가 내장된 상태로 내부 케이스(15) 내에 장착되며, 이때 상기 강구(b)는 스프링 3(t3)의 탄발력을 받아 상기 내부 케이스(15) 상 외주벽(15-3)의 굴곡진 안쪽 표면에 맞닿게 된다. First, the operation shaft 22 is mounted in the inner case 15 with the spring 3 (t3) and the steel ball (b) built-in, wherein the steel ball (b) is subjected to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 (t3) The inner case 15 abuts against the curved inner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5-3.

이러한 구조 하에서 스위치 사용자가 노브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조작축(2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외주벽(15-3)의 안쪽 표면이 굴곡진 관계로, 이와 맞 닿은 강구(b)는 스프링 3(t3)을 밀치면서 통공 5(h5) 속으로 완전히 들어갔다가는 다시 그 탄발력을 받아 튀어나오는 형태의 전진 및 후퇴를 반복하게 된다. Under this structure, when the operating shaft 22 rotates as the switch user rotates the knob,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5-3 is curved, and the steel ball b that contacts the spring 3 is spring 3. Pushing on (t3) completely enters through hole 5 (h5), and then receives its repulsive force and repeats its forward and backward retraction.

이것은 본 발명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가 회전형 엔코더로 작동함에 있어 앞서 언급한 클릭 감이 형성되는 원리이다. This is the principle in which the above-mentioned click feeling is formed when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 rotary encoder.

한편, 도 18 및 도 19 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스위치가 8 방향 슬라이드 타입 스위치로 작동함에 있어 상기 노브가 항상 중립 위치로의 복원력을 갖게 되는 원리 내지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18 and 19, the principle or mechanism for the knob to always have a restoring force to the neutral position when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an 8-way slide type switch is as follows.

도 18 은 노브가 상기 도 2 상에 있어 화살표(3)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의 주요 부품 간 상관 관계도이다. FIG. 18 is a correlation diagram between the main parts when the knob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3 in FIG. 2.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우에 있어 내부 케이스(15)는 케이스(10) 내에서 우측단으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상하 관통관(15-1) 하단 개구부에 장착된 적외선 센서(R) 역시 우측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As shown, in this case, the inner case 15 moves to the right end in the case 10, and accordingly, the infrared sensor R mounted at the lower opening of the upper and lower through pipes 15-1 also has the right end. Will be moved to.

상기와 같은 내부 케이스(15) 이동은 슬라이드 판(14)이 케이스(10) 상의 가이드용 돌출부 1(10-2)를 따하 최하단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내부 케이스(15)가 상기 슬라이드 판(14) 상의 가이드용 돌출부 2(14-2)를 따라 최상단으로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As described above, the inner case 15 is moved by the slide plate 14 at the lowermost end along the guide protrusion 1 (10-2) on the case 10, and the inner case 15 is moved by the slide plate 14. This is done by moving to the top along the guide projection 2 (14-2) for the upper part.

상기 도 18 의 경우에 해당하는 스위치 내부 상태도인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15) 및 그 하단면 상의 하향 돌출관(15-2)이 우측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중립 복귀봉(19)은 스프링 1(t1)을 밀치면서 하향 돌출관(14-2) 내부로 들어감과 아울러 반구형 홈(H)의 곡면을 따라 올라가게 된다. As shown in FIG. 19, which is an internal state diagram of the switch corresponding to the case of FIG. 18, the neutral return rod 19 is moved as the inner case 15 and the downward protruding pipe 15-2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move to the right side. While pushing the spring 1 (t1) enters into the downward protrusion 14-2 and ascends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hemispherical groove (H).

상기와 같은 내부 케이스(15)의 이동, 즉 하향 돌출관(15-2) 상 적외선 센서(R)의 이동은 광 차단판(11) 하방에 위치한 제 2 PCB(12) 상 해당 지점의 광 트랜지스터(TR)에 의하여 감지되며, 그에 따른 전기적 신호, 즉 펄스가 발생함은 물론이다. The movement of the inner case 15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movement of the infrared sensor R on the downward protruding pipe 15-2 is performed on the phototransistor at the corresponding point on the second PCB 12 located below the light blocking plate 11. It is detected by the (TR), and accordingly an electrical signal, that is, a pulse is generated.

앞서 언급한 바 있듯이, 본 발명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는 상기 적외선 센서(R)와 광 트랜지스터(TR)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한 비접촉식 스위칭(switching) 메카니즘을 채택함에 따라 통상의 접촉식 스위칭 메커니즘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작동 정밀도 및 내구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As mentioned above,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non-contact switching mechanism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frared sensor R and the photo transistor TR, which is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contact switching mechanism. It is characterized by excellent operating precision and durability.

그런 반면, 스위치 사용자가 노브를 놓으면, 상기 스프링 1(t1)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중립 복귀봉(19)이 다시 하향 돌출관(14-2) 밖으로 밀려나 상기 반구형 홈(H)의 곡면을 따라 내려옴에 따라, 조작축(22) 및 이에 결합된 노브는 반구형 홈(H)의 중심 위치, 즉 중립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user releases the knob, the neutral return rod 19 is pushed out of the downward protruding pipe 14-2 agai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 (t1) and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hemispherical groove H. As it descends, the operating shaft 22 and the knob coupled thereto return to the central position of the hemispherical groove H, ie the neutral position.

이상, 본 발명 실시예의 다기능 스위치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기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의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the multifunction switch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design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면, 상기 조작축 상단에 실시예와 같은 별도 노브를 장착하지 않고, 조작축 상단부를 특별히 손잡이 형상으로 성형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may be formed into a handle shape without mounting a separate knob as in the embodiment above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또한, 상기 케이스 바닥면 상의 홈과 상기 내부 케이스 상의 하향 돌출관 내 스프링 1 및 중립 복귀봉 이외의 구조로도 상기 조작축에 대하여 상향 복원력을 가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축 회전 시의 클릭 감 형성 구조 역시 상기 실시예의 경우 와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a structure other than the groove 1 on the case bottom surface and the spring 1 and the neutral return rod in the downwardly projecting tube on the inner case may apply an upward restoring force to the operating shaft, and form a click feeling when the operating shaft is rotated. Of course, it can be different from the case of the above embodiment.

그러나, 본 발명의 기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의 상기 예를 든 바와 같은 경우를 포함하는 다양한 수정 내지 변경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마땅할 것이다.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including cases described above, are also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basic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 스위치 기능을 하나의 조합체 내에 갖는 동시에 작동 정밀도 및 내구성이 우수한 다기능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multifunctional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switch functions in one combination and having excellent operation accuracy and durability.

전기 전자 산업의 발달에 따라 복잡한 내부 회로를 구비한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하나의 스위치 조합체로써 다수의 스위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다기능 스위치를 통하여 제품의 구조 단순화 및 원가 절감은 물론 사용 편의성 향상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효과를 얻게 됨을 알 수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ducts with complex internal circui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ic and electronic industry, the structure of the product is simplified through the multifunctional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perform a plurality of switch functions with one switch combin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various forms, including cost reduction as well as improved ease of use.

Claims (8)

상단부는 개방된 반면 그 하단부는 바닥면 상의 통공 3(h3)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된 박스 형상으로서, 통공 3(h3) 양 측방으로 형성된 가이드용 돌출부 1(10-2)을 포함하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하단면 상에 상기 통공 3(h3)을 폐쇄하는 형태로 장착되며, 그 표면 상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광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하는 제 2 PCB(12)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배치되며 그 상단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서, 바닥면 중앙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된 상하 관통관(15-1), 원통 형상의 외관을 이루는 외주벽(15-3) 및 이 외주벽(15-3)으로부터 간격을 두고서 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된 원통형 구획벽(15-4), 및 상기 하단면 상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용 돌출부 2(15-5)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15)와; 상기 케이스(10) 바닥면과 내부 케이스(15) 하단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용 돌출부 1(10-2) 및 가이드용 돌출부 2(15-5)와 연동하는 활주 돌기(14-2)를 몸체 판(14-1) 양쪽 표면 상에 갖는 슬라이드 판(14)과; 상기 내부 케이스(15) 상의 상하 관통관(15-1)과 구획벽(15-4) 사이 공간 내에 장착되며 그 표면 상에 다수의 광센서를 갖는 제 1 PCB(18)와; 상기 내부 케이스(15) 상의 상하 관통관(15-1) 하단 개구부에 장착된 적외선 센서(R)와; 상기 내부 케이스(15) 상의 외주벽(15-3)과 구획벽(15-4) 사이 공간 내에 삽설된 탄성 유지체(16)와; 중앙부에 통공이 형성된 원환형 부재로서, 그 상단면 상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돌출 형성된 연결봉(21-1), 및 상기 원환형 부재의 하단면 상에 형성되어 서로 다른 직경의 원주를 이루는 2 개 돌출벽 을 포함하는 센서 작동판(21)과; 원통체의 상단면(22-2) 중앙에 돌출 형성된 지지축(22-1), 상기 원통체 상 상단면(22-2)의 외측단 하방으로 형성된 외주벽(22-3), 이 외주벽(22-3) 안쪽에 형성된 내주벽(22-4), 이 내주벽(22-4) 안쪽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15) 상의 상하 관통관(15-1)내에 삽설되는 지지봉(22-5)을 포함하는 조작축(22)과; 상기 케이스(1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조작축(22)을 수용하기 위한 통공 1(h1)을 그 중앙부에 갖는 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1). The upper case is open while the lower portion is a box shape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3 (h3) on the bottom surface, the case 10 including a guide protrusion 1 (10-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3 (h3) Wow; A second PCB 12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to close the through hole 3 h3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hoto transistors TR disposed radially on a surface thereof; The upper and lower through-pipes 15-1, which are disposed in the case 10 and open at the upper end thereof, penetrate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5-3 forming the cylindrical appearance, and the An interior comprising a cylindrical partition wall 15-4 formed at a lower height at interval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5-3, and a guide protrusion 2 (15-5)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the bottom surface. A case 15; A sliding protrusion 14-2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5 and interlocking with the guide protrusion 1 (10-2) and the guide protrusion 2 (15-5). A slide plate (14) having both sides of the body plate (14-1); A first PCB (18) mount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hrough tubes (15-1) and the partition walls (15-4) on the inner case (15) and having a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on its surface; An infrared sensor (R) mounted at a lower opening of the upper and lower through tubes (15-1) on the inner case (15); An elastic retainer 16 inserted in a sp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5-3 and the partition wall 15-4 on the inner case 15; An annular member having a 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connecting rod 21-1 protruding from each other on a top surface of the annular member, and two rod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nnular member to form a cylinder having a different diameter. A sensor operating plate 21 including a protruding wall; A support shaft 22-1 protruding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surface 22-2 of the cylindrical body, an outer peripheral wall 22-3 formed below the outer end of the upper end surface 22-2 on the cylindrical body, and this outer peripheral wall (22-3) an inner circumferential wall 22-4 formed in the inner side, and a supporting rod form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2-4 and inserted into the upper and lower through-pipes 15-1 on the inner case 15 ( An operating shaft 22 including 22-5); It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ase (10), multi-function switch (1)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20) having a through-hole 1 (h1) for accommodating the operation shaft (22) at its cente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10)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통공 3(h3)을 가리는 형태로 광 차단판(11)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1). Multi-function switch (1),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blocking plate 11 is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to cover the through hole (3) (h3).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드 판(14)은 원환 형상의 몸체 판(14-1) 및 그 양쪽 표면 상의 4 개 활주 돌기(14-2)를 포함하는 한편, 이들 4 개의 활주 돌기(14-2) 중 동일 표면 상의 2 개 활주 돌기(14-2)는 서로 마주보는 반면 각 표면 상의 활주 돌기(14-2)는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0)의 바닥면과 상기 내부 케이스(15)의 하단면 상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용 돌출부 1(10-2)과 가이드용 돌출부 2(15-5)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 홈(p)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1). The slide plate 14 comprises an annular body plate 14-1 and four slide protrusions 14-2 on both surfaces thereof, while the slide plate 14 is on the same surface of the four slide protrusions 14-2. While the two sliding protrusions 14-2 face each other, the sliding protrusions 14-2 on each surface are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and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15 are arranged. Multi-function switch (1),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p)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guide protrusions 1 (10-2) and guide protrusions 2 (15-5) respectively formed on th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내부 케이스(15)의 바닥면 반대쪽 표면으로서의 그 하단면 상에는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하향 돌출관(15-2)이 형성되며, 이 하향 돌출관(15-2) 내 중공부에는 스프링 1(t1) 및 그 탄발력을 받는 중립 복귀봉(19)이 삽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1).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5 opposit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5, a downwardly protruding tube 15-2 is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hollow part in the downwardly protruding tube 15-2 has a spring 1 (t1). ) And a neutral return rod (19) receiving the resilience force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탄성 유지체(16)는 상기 내부 케이스(15)의 외주벽(15-3)과 구획벽(15-4) 사이에 형성된 원환형 홈에 상응하는 형상으로서,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탄성 돌기(16-1)를 포함하며, 이들 탄성 돌기(16-1) 상방에는 연질 필름 형태의 윤활판(17)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1). The elastic retainer 16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n annular groove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wall 15-3 and the partition wall 15-4 of the inner case 15, and a plurality of elastic member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thereof. A multifunction switch (1) comprising a projection (16-1), wherein a lubrication plate (17) in the form of a soft film is disposed above these elastic projections (16-1).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PCB(18) 표면 상의 광센서는 3 개로서, 동일 원주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2 개의 센서 1(x1)은 상기 센서 작동판(21)의 수평 회전 운동을, 보다 작은 원주상에 단독으로 배치된 센서 2(x2)는 상기 센서 작동판(21)의 상하 수직 운동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1). There are three optical sensors on the surface of the first PCB 18, and two sensors 1 (x1)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ame circumference may cause a horizontal circumferential movement of the sensor operation plate 21 to have a smaller cylindrical shape. The sensor 2 (x2) disposed alone in the multi-function switch (1),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detect the vertical movement state of the sensor operating plate (21).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센서 작동판(21) 하단면 상의 2 개 돌출벽 중 내측 돌출벽(21-2)은 다수의 직립 돌기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하나의 사이 간격 있는 원주상 벽체를 이루는 반면, 센서 작동판(21)의 외측단부를 이루는 외측 돌출벽(21-3)은 사이 간격 없는 완전한 벽체를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1). The inner protruding wall 21-2 of the two protruding wal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nsor operating plate 21 forms a plurality of upstanding protrusion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circumferential wall with one space therebetween, Multi-function switch (1),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rotruding wall (21-3) forming the outer end of the 21 forms a complete wall without a gap therebetween.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광 차단판(11) 양 측방으로는 반구형 홈(H)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1). Multi-function switch (1), characterized in that hemisphere groove (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ight blocking plate (11).
KR1020050068684A 2005-07-28 2005-07-28 multi function switch KR1007111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684A KR100711139B1 (en) 2005-07-28 2005-07-28 multi function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8684A KR100711139B1 (en) 2005-07-28 2005-07-28 multi function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4247A true KR20070014247A (en) 2007-02-01
KR100711139B1 KR100711139B1 (en) 2007-04-24

Family

ID=3808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8684A KR100711139B1 (en) 2005-07-28 2005-07-28 multi function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1139B1 (en)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600B1 (en) * 2005-09-20 2007-10-01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Switching apparatus
KR101346806B1 (en) * 2012-04-02 2014-01-02 양두영 Jogshuttle remote controller combined push button, rotary dial and slide lever
KR101436983B1 (en) * 2013-04-26 2014-09-11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Multi function integrating switch for vehicle
CN107039204A (en) * 2015-09-29 2017-08-1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Operate terminal organ
KR20180033607A (en) * 2013-08-09 2018-04-03 애플 인크.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190891B1 (en) 2014-07-16 2019-01-29 Apple Inc. Optical encoder for detecting rotational and axial movement
US10222909B2 (en) 2014-02-12 2019-03-05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US10222756B2 (en) 2015-04-24 2019-03-05 Apple Inc. Cover member for an input mechanism of an electronic device
US10234828B2 (en) 2013-06-11 2019-03-19 Apple Inc.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296125B2 (en) 2016-07-25 2019-05-21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0379629B2 (en) 2016-07-15 2019-08-13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electronic watch
US10551798B1 (en) 2016-05-17 2020-02-04 Apple Inc. Rotatable crown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579090B2 (en) 2016-02-27 2020-03-03 Apple Inc. Rotatable input mechanism having adjustable output
US10599101B2 (en) 2014-09-02 2020-03-24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655988B2 (en) 2015-03-05 2020-05-19 Apple Inc. Watch with rotatable optical encoder having a spindle defining an array of alternating regions extending along an axial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of a shaft
US10664074B2 (en) 2017-06-19 2020-05-26 Apple Inc. Contact-sensitive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0845764B2 (en) 2015-03-08 2020-11-24 Apple Inc. Compressible seal for rotatable and translatable input mechanisms
US10962935B1 (en) 2017-07-18 2021-03-30 Apple Inc. Tri-axis force sensor
US11181863B2 (en) 2018-08-24 2021-11-23 Apple Inc. Conductive cap for watch crown
US11194299B1 (en) 2019-02-12 2021-12-07 Apple Inc. Variable frictional feedback device for a digital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US11194298B2 (en) 2018-08-30 2021-12-07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an electronic watch
US11360440B2 (en) 2018-06-25 2022-06-1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1550268B2 (en) 2020-06-02 2023-01-10 Apple Inc. Switch module for electronic crown assembly
US11561515B2 (en) 2018-08-02 2023-01-2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1796968B2 (en) 2018-08-30 2023-10-24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an electronic watch
US11796961B2 (en) 2018-08-24 2023-10-24 Apple Inc. Conductive cap for watch crow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008B1 (en) * 2008-10-21 2010-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ntegrated key using optical sensor
KR101093943B1 (en) * 2009-06-23 2011-12-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Integrated switching unit with directional motion sustainer and integrated switching module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2572A (en) 1999-08-05 2001-02-23 Alps Electric Co Ltd Multi-way input device
JP3789733B2 (en) 2000-07-06 2006-06-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Compound operation switch
KR20050018328A (en) * 2003-08-13 2005-02-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Rotary type input apparatus using a limit switch
KR100645246B1 (en) * 2004-10-15 2006-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ulti function switch
KR20060067649A (en) * 2004-12-15 2006-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ulti function switch

Cited B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600B1 (en) * 2005-09-20 2007-10-01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Switching apparatus
KR101346806B1 (en) * 2012-04-02 2014-01-02 양두영 Jogshuttle remote controller combined push button, rotary dial and slide lever
KR101436983B1 (en) * 2013-04-26 2014-09-11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Multi function integrating switch for vehicle
US10234828B2 (en) 2013-06-11 2019-03-19 Apple Inc.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531306B2 (en) 2013-06-11 2022-12-20 Apple Inc.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962930B2 (en) 2013-08-09 2021-03-30 Apple Inc.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216147B2 (en) 2013-08-09 2019-02-26 Apple Inc.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886149B2 (en) 2013-08-09 2024-01-30 Apple Inc.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331082B2 (en) 2013-08-09 2019-06-25 Apple Inc.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331081B2 (en) 2013-08-09 2019-06-25 Apple Inc.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180033607A (en) * 2013-08-09 2018-04-03 애플 인크.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732571B2 (en) 2013-08-09 2020-08-04 Apple Inc.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884549B2 (en) 2014-02-12 2021-01-05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US10222909B2 (en) 2014-02-12 2019-03-05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US10613685B2 (en) 2014-02-12 2020-04-07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US11347351B2 (en) 2014-02-12 2022-05-31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US11669205B2 (en) 2014-02-12 2023-06-06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US10190891B1 (en) 2014-07-16 2019-01-29 Apple Inc. Optical encoder for detecting rotational and axial movement
US11015960B2 (en) 2014-07-16 2021-05-25 Apple Inc. Optical encoder for detecting crown movement
US11567457B2 (en) 2014-09-02 2023-01-31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474483B2 (en) 2014-09-02 2022-10-18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620591B2 (en) 2014-09-02 2020-04-14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627783B2 (en) 2014-09-02 2020-04-21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221590B2 (en) 2014-09-02 2022-01-11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99101B2 (en) 2014-09-02 2020-03-24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613485B2 (en) 2014-09-02 2020-04-07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942491B2 (en) 2014-09-02 2021-03-09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762342B2 (en) 2014-09-02 2023-09-19 Apple Inc.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655988B2 (en) 2015-03-05 2020-05-19 Apple Inc. Watch with rotatable optical encoder having a spindle defining an array of alternating regions extending along an axial direction parallel to the axis of a shaft
US11002572B2 (en) 2015-03-05 2021-05-11 Apple Inc. Optical encoder with direction-dependent optical properties comprising a spindle having an array of surface features defining a concave contour along a first direction and a convex contour along a second direction
US10845764B2 (en) 2015-03-08 2020-11-24 Apple Inc. Compressible seal for rotatable and translatable input mechanisms
US10222756B2 (en) 2015-04-24 2019-03-05 Apple Inc. Cover member for an input mechanism of an electronic device
CN107039204A (en) * 2015-09-29 2017-08-1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Operate terminal organ
US10579090B2 (en) 2016-02-27 2020-03-03 Apple Inc. Rotatable input mechanism having adjustable output
US10551798B1 (en) 2016-05-17 2020-02-04 Apple Inc. Rotatable crown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379629B2 (en) 2016-07-15 2019-08-13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electronic watch
US10955937B2 (en) 2016-07-15 2021-03-23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input device
US10509486B2 (en) 2016-07-15 2019-12-17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electronic watch
US11513613B2 (en) 2016-07-15 2022-11-29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input device
US11385599B2 (en) 2016-07-25 2022-07-12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0572053B2 (en) 2016-07-25 2020-02-25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0296125B2 (en) 2016-07-25 2019-05-21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1720064B2 (en) 2016-07-25 2023-08-08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0948880B2 (en) 2016-07-25 2021-03-16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0664074B2 (en) 2017-06-19 2020-05-26 Apple Inc. Contact-sensitive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0962935B1 (en) 2017-07-18 2021-03-30 Apple Inc. Tri-axis force sensor
US11754981B2 (en) 2018-06-25 2023-09-12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1360440B2 (en) 2018-06-25 2022-06-1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1561515B2 (en) 2018-08-02 2023-01-2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1906937B2 (en) 2018-08-02 2024-02-20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1181863B2 (en) 2018-08-24 2021-11-23 Apple Inc. Conductive cap for watch crown
US11796961B2 (en) 2018-08-24 2023-10-24 Apple Inc. Conductive cap for watch crown
US11194298B2 (en) 2018-08-30 2021-12-07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an electronic watch
US11796968B2 (en) 2018-08-30 2023-10-24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an electronic watch
US11860587B2 (en) 2019-02-12 2024-01-02 Apple Inc. Variable frictional feedback device for a digital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US11194299B1 (en) 2019-02-12 2021-12-07 Apple Inc. Variable frictional feedback device for a digital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US11550268B2 (en) 2020-06-02 2023-01-10 Apple Inc. Switch module for electronic crown assembly
US11815860B2 (en) 2020-06-02 2023-11-14 Apple Inc. Switch module for electronic crown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1139B1 (en) 200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139B1 (en) multi function switch
US7244898B2 (en) Button assembly for home appliance
US6555770B2 (en) Composite operation switch
US5613600A (en) Rotatively-operated electronic component with push switch
JP5373490B2 (en) OPERATING SWITCH FOR GAME MACHINE AND GAME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425949B1 (en) Pushing type signal input device
EP2482298A2 (en) Push-button switsch unit with display device
JP4777911B2 (en) Combined operation type input device
JP2000003637A (en) Inclinable stick type indicating device
CN101640140A (en) Miniature switch
CN102906845A (en) Operating device
KR20070110788A (en) Rotary-operation type electric component
CN109036922A (en) Keyboard
JP2006224860A (en) Steering switch device
JP4832317B2 (en) Combined operation type input device
JP2007227337A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KR20020020811A (en) Button assembly
JP2010003424A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KR101423145B1 (en) Multi-operation switch device
JP2009032402A (en) Mechanism for converting switch of momentary operation into alternate operation, and push button switch
JP2010282750A (en) Rotary electric component
JP2006019130A (en) Push switch
JP2005142123A (en) Illuminated push switch device
KR101190381B1 (en) Haptic switching apparatus
JP2006228620A (en) Steering switch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