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970A - Forma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of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 Google Patents

Forma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of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970A
KR20070010970A KR1020050065993A KR20050065993A KR20070010970A KR 20070010970 A KR20070010970 A KR 20070010970A KR 1020050065993 A KR1020050065993 A KR 1020050065993A KR 20050065993 A KR20050065993 A KR 20050065993A KR 20070010970 A KR20070010970 A KR 20070010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recording layer
formatting
data
informatio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77603B1 (en
Inventor
이경근
황욱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5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603B1/en
Publication of KR20070010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9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6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35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session, i.e. a contiguous area having its own lead-in area, program area and lead-out are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88Formatting by padding empty spaces with dummy data, e.g. writing zeroes or random data when de-icing optical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9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serves a specific purpose
    • G11B2020/1294Increase of the access speed
    • G11B2020/1297Increase of the access speed wherein the focus is on the write access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A formatting method for a multi-layer information storing medium and 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re provided so that it is unnecessary for a user to wait until formatting for all recording layers is performed by primarily formatting a recording layer primarily used for recording and successively formatting the other recording layers while the user uses the other recording layers. A write/read unit(301) writes data in recording layers or reads the written data, and formats the recording layers. A control unit(302) controls the write/read unit(301) to perform formatting from the recording layer which is nearest from a pickup among the recording layers. After the formatting for the recording layer which is nearest from the pickup is completed, the control unit(302) controls the write/read unit(301) to immediately record user data.

Description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포맷팅 방법 및 기록/재생 장치{Forma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of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Forma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 reproducing of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재기록이 가능한 광 디스크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1A is a view showing a general structure of a rewritable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재생 전용 광 디스크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1B is a view showing a general structure of a read-only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a 및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기록층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2A and 2B are view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data recording method on a dual recording layer disc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a 및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기록층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3A and 3B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data recording method on a dual recording layer disc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a 및 4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기록층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4A and 4B are views for explaining still another example of a data recording method on a dual recording layer disc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정보 저장 매체에 대하여 수행되는 포맷팅 방법을 나타낸 도면.5A-5E illustrate a formatting method performed on a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포맷팅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atting a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Fig.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at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층 정보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포맷팅 방법 및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formatting a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for a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일반적으로 정보 저장 매체는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픽업부의 정보 기록매체로 널리 채용되며, 정보 저장 매체의 한 종류인 광디스크는 정보기록용량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CD;compact disk),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digital versatile disk)로 구분된다. 그리고, 기록, 소거 및 재생이 가능한 광디스크로는 650MB CD-R, CD-RW, 4.7GB DVD ROM등이 있다. 더 나아가 기록용량이 15GB 이상인 HD-DVD 또는 블루 레이 디스크도 개발되고 있으며, 분해능 한계를 넘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초해상 디스크도 개발되고 있다. In general,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is widely used as a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of a pickup unit for recording / reproducing information in a non-contact manner. An optical disc, which is a type of information storage medium, is a compact disk (CD) or a digital multifunction disk according to an information recording capacity. (DVD; digital versatile disk). In addition, optical discs capable of recording, erasing and reproducing include 650MB CD-R, CD-RW, 4.7GB DVD ROM and the like. In addition, HD-DVD or Blu-ray discs with recording capacity of 15GB or more are being developed, and super-resolution discs that can play data beyond the resolution limit are also being developed.

기존 시장에 나와있는 기록 가능한 DVD의 경우, 용향이 4.7GB에 해당하는 단층 디스크밖에 없다. 그러나, DVD-ROM인 경우에는 이미 용량이 8.5GB에 해당하는 2층 디스크가 있어, 이와 같은 용량의 디스크를 back-up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용량의 기록가능한 DVD도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기본적으로 기록 시간이 대략 두 배가 되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단점이 될 수 있다. 물론 기록 속도를 향상 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이는 디스크 기술의 향상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당장 시장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존 속도에서도 효과적으로 기록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For recordable DVDs on the market, there is only 4.7GB of single-sided discs. However, in the case of a DVD-ROM, there is already a two-layer disk having a capacity of 8.5 GB, and in order to back up a disk of such a capacity, a recordable DVD of the same capacity is also required. In this case, the recording time is basically doubled, which may be a disadvantage for the user. Of course, there is a method of improving the recording speed, but since this is to be improved before the disk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have a method capable of effectively recording at the existing speed in order to be introduced to the market immediately.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재기록이 가능한 광 디스크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재생 전용 광 디스크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에 도시된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의 lead-out 영역의 구조는 lead-in 영역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 Fig. 1A shows a general structure of a rewritable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1B shows a general structure of a read-only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structure of the lead-out area of the rewritable optical disc shown in FIG. 1A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the lead-in area.

도 2a 및 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기록층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기록 방향이 OTP(Opposite track pass)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2b는 기록 방향이 PTP(Parallel track pass)인 경우를 나타낸다. 2A and 2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data recording method on a dual recording layer disc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2A shows a case where the recording direction is an OTP (Opposite track pass), and FIG. 2B shows a case where the recording direction is a PTP (Parallel track pass).

도 2a 및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데이터가 재생되는 기록층 L1에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된 후 기록층 L1에 기록되지 못한 나머지 사용자 데이터는 기록층 L2에 기록된다. 그리고 기록층 L2의 영역 중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지 못한 영역은 lead-out 속성을 갖는 패턴 데이터로 모두 채워지게 된다. 통상 이와 같이 정보 저장층을 연결하는 영역을 lead-in 영역 및 lead-out 영역과는 구별하여 연결 영역이라 통칭한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기록 방법은 재생 전용 디스크 및 재기록용 디스크인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user data is first recorded in the recording layer L1 where the data is reproduced, and the remaining user data which is not recorded in the recording layer L1 is recorded in the recording layer L2. In the area of the recording layer L2, the area where the user data is not recorded is filled with the pattern data having the lead-out attribute. In general, the area connecting the information storage layer is called a connection area by being distinguished from a lead-in area and a lead-out area. The recording methods shown in Figs. 2A and 2B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case of a read only disc and a rewritable disc.

도 3a 및 3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기록층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기록 방향이 OTP(Opposite track pass)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3b는 기록 방향이 PTP(Parallel track pass)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3a 및 3b는 기록할 전체 데이터 용량이 2개 기록층에 기록가능한 데이터 용량보다 적을 경우, 두 개 기록층 각각에 동일한 용량이 기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기록층에 lead-out 영역 전까지 데이터를 기록하고 그 이후의 부분은 lead-out 속성을 갖는 패턴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를 나타낸다. 특히 lead-out 속성의 패턴을 디스크 최외주까지 기록한다.3A and 3B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data recording method on a dual recording layer disc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3A shows a case where the recording direction is an OTP (Opposite track pass) and FIG. 3B shows a case where the recording direction is a PTP (Parallel track pass). 3A and 3B show data before the lead-out area in each recording layer so that when the total data capacity to be recorded is less than the data capacity recordable in the two recording layers, the same capacity can be recorded in each of the two recording layers. The portion after recording represents the case of recording pattern data with lead-out attributes. In particular, record the pattern of the lead-out attribute to the outermost circumference of the disc.

도 4a 및 4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 기록층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기록 방향이 OTP(Opposite track pass)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4b는 기록 방향이 PTP(Parallel track pass)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데이터 기록 방법도 도 3a 및 3b에 도시한 데이터 기록 방법과 마찬가지로, 기록할 전체 데이터 용량이 2개 기록층에 기록가능한 데이터 용량보다 적을 경우, 두 개 기록층 각각에 동일한 용량이 기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기록층에 lead-out 영역 전까지 데이터를 기록하고 그 이후의 부분은 lead-out 속성을 갖는 패턴 데이터를 기록한 경우를 나타낸다. 다만, 도 3a 및 3b에 도시한 데이터 기록 방법의 경우 lead-out 속성의 패턴을 디스크 최외주까지 기록한 반면, 도 4a 및 4b에 도시된 데이터 기록 방법은 디스크 최외주까지 lead-out 속성의 패턴을 기록하지 않고 필요한 부분까지만 기록한다. 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data recording method on a dual recording layer disc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4A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recording direction is an OTP (Opposite track pass), and FIG. 4B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recording direction is a PTP (Parallel track pass). Similarly to the data recording method shown in FIGS. 3A and 3B, the data recording method shown in FIGS. 4A and 4B is the same for each of the two recording layers when the total data capacity to be recorded is less than the data capacity recordable in the two recording layers. In order to allow the capacity to be recorded, data is recorded in each recording layer before the lead-out area, and the subsequent part shows the case in which pattern data having the lead-out attribute is recorded. However, in the data recording method shown in FIGS. 3A and 3B, the pattern of the lead-out attribute is recorded to the outermost circumference of the disc, whereas the data recording method shown in FIGS. 4A and 4B records the pattern of the lead-out attribute to the outermost circumference of the disc. Record only the parts you need without recording them.

이상 설명한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기록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 데이터가 기록되지 못한 영역에 lead-out 속성을 갖는 패턴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추가로 데이터 기록 시간이 소요된다. According to the data recording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described above, additional data recording time is required to record pattern data having a lead-out attribute in an area where user data is not recorded.

한편, 이중 기록층 광 디스크의 경우, 픽업에서 가까운 기록층 L1에 기록이 되어 있느냐, 안 되어 있느냐의 여부 및 기록 모드에 따라 기록층 L2의 기록 특성이 달라진다. 따라서, 각 기록층의 특성이나, 기록 모드에 따라 기록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 물론, 사전에 기록층 L1을 포맷팅하여, 기록층 L2의 기록 특성이 언제나 동일하도록 할 수 있지만, 사용자 영역, PCA(Power Calibration Area) 및 리드-인 영역을 모두 포함하여 사전에 기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포맷팅은 디스크 제조시에 할 수도 있고, 사용자가 디스크를 사용하기 전 포맷시 수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포맷팅은 특히 복수 개의 정보 저장층을 갖는 다층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 많은 시간이 소비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dual recording layer optical disc, the recording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ing layer L2 var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recording is made in the recording layer L1 close to the pickup and whether the recording mode is used. Therefore, the recording method must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cording layer or the recording mod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format the recording layer L1 in advance so that the recording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ing layer L2 are always the same, but it is necessary to perform recording in advance including all of the user area, the power calibration area (PCA) and the lead-in area. There is. Such formatting may be perform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disc, or at the time of formatting before the user uses the disc. However, such formatting may be time consuming and inconvenient for a user, especially in a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storage layers.

또한, 기본 ECC(Error Correction Code) 단위인 ECC 블록보다 용량이 작은 섹터(2KB) 단위로 랜덤 액세스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사전에 미리 기록층의 전 영역을 기록해야만 사용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perform random access in units of sectors (2 KB) having a smaller capacity than ECC blocks, which are basic ECC (Error Correction Code) units, the entire area of the recording layer can be used beforehan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층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포맷팅을 수행시 보다 신속하게 상기 다층 정보 저장 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도록 포맷팅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the formatting to record the data on the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the formatting is performed so that the data can be recorded on the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more quickly.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method and 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thereof.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복수 개의 기록층을 구비한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포맷팅 방법은, 상기 기록층 중 픽업에서 가장 가까 운 기록층부터 포맷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method of formatting a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performing formatting from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a pickup among the recording layers. do.

상기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이 완료된 후, 바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fter formatting of the recording layer nearest to the pickup is completed, recording the user data immediately.

상기 가장 가까운 기록층을 제외한 나머지 기록층은 사용 중에 포맷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maining recording layer except for the closest recording layer preferably includes formatting during use.

상기 나머지 기록층은 상기 기록층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재생되거나 상기 기록층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 미사용시에 포맷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maining recording layer is preferably formatted when no data is reproduced from the recording layer or when no data is recorded in the recording layer.

상기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이 수행된 후, 섹터 단위의 어드레스가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formatting of the recording layer is performed, it is preferable that an address in sector units is recorded.

상기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을 먼저 포맷팅하는 단계는 기록 모드가 랜덤 기록 모드, 랜덤 액세스 모드 및 덮어쓰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matting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pickup first is preferably performed when the recording mode is any one of a random recording mode, a random access mode, and an overwrite mode.

또한, 본 발명인 복수 개의 기록층을 구비한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는, 상기 기록층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며, 상기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을 수행하는 기록/독출부; 및 상기 기록층 중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부터 포맷팅을 수행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ording /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in the recording layer or reading recorded data and performing formatting on the recording layer. Reading unit;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perform formatting from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pickup among the recording layers.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이 완료된 후, 바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The control unit preferably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user data immediately after formatting of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pickup is comple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장 가까운 기록층을 제외한 나머지 기록층은 사용 중에 포맷팅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preferably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format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s except the closest recording layer during us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층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재생되거나 상기 기록층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 미사용시에 상기 나머지 기록층이 포맷팅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preferably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so that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 is formatted when predetermined data is not reproduced from the recording layer or not recorded in the recording lay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이 수행된 후, 섹터 단위의 어드레스가 기록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formatting of the recording layer is performed, the controller preferably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so that addresses in sector units are recorded.

상기 제어부는 기록 모드가 랜덤 기록 모드, 랜덤 액세스 모드 및 덮어쓰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상기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을 먼저 포맷팅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preferably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first format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pickup when the recording mode is any one of a random recording mode, a random access mode, and an overwrite mo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 상에서 덮어쓰기(overwrite) 및 임의로 읽기/쓰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정보 저장 매체에 대하여 수행되는 포맷팅(formatting)은 사전 기록이라는 용어로 언급되기도 한다.Formatting performed on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to enable overwriting and arbitrary read / write may also be referred to herein as the term pre-recording.

기록 가능한 다층 정보 저장 매체, 특히 재기록 가능한 다층 정보 저장 매체에 대해서 섹터 단위로 랜덤 액세스 및 기록/재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DVD-RAM 과 달리 DVD±RW와 같이 섹터 단위가 아닌 ECC 블록 단위로 어드레스가 기 록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기 전에 사전에 기록층의 전 기록 영역에 임의의 데이터를 기록하여, ROM과 같이 섹터 단위의 어드레스를 기록하게 된다. 그러면,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재생 장치에서는 섹터 단위로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It is necessary to perform random access and recording / reproducing on a sector basis for a recordable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particularly a rewritable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However, unlike DVD-RAM, when addresses are recorded in ECC blocks rather than sectors, such as DVD ± RW, arbitrary data is recorded in the entire recording area of the recording layer before recording user data. Like the ROM, sector addresses are recorded. Then,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of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can be accessed in units of sectors.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정보 저장 매체에 있어서도, 섹터 단위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기록층의 전 기록 영역을 포맷팅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각 기록층을 사전에 기록함으로써 포맷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물론,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제조시에 미리 포맷팅을 수행한 후 제품을 출시할 수 있으나, 이는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된다.Also in the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nable sector-by-sector access, it is necessary to format the entire recording area of the recording layer. However, conventionally, a lot of time was required for formatting by recording each recording layer of the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in advance. Of course, the product can be released after formatting in advance in the manufacture of the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but this causes a cost increase.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층 정보 저장 매체에 대한 포맷팅(formatting)을 수행하는 경우, 복수 개의 기록층 전체에 대하여 포맷팅을 하지 않고, 가장 먼저 이용되는 기록층에 대해서만 먼저 포맷팅을 수행하고, 나머지 기록층에 대해서는 먼저 포맷팅된 기록층을 사용해가면서 포맷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포맷팅을 통해, 단일층의 정보 저장 매체에서 포맷팅에 소요되었던 시간만을 통해서도 적어도 복수 개의 기록층 중 적어도 하나의 기록층의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먼지 포맷팅되는 기록층은 기록 영역 전체, 즉 PCA에서부터 최외주에 위치한 전 영역을 모두 기록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formatting a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the entire recording layer is not formatted, only the first recording layer is used, and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 is first formatted. For the above, formatting is performed while using the formatted recording layer. Through such formatting,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use of at least one recording layer among the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only by the time required for formatting in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of a single layer. Here, the dust-formatted recording layer needs to record the entire recording area, that is, the entire area located from the PCA to the outermost circumference.

도 5a 내지 도 5e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정보 저장 매체에 대하여 수행되는 포맷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포맷팅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5A to 5E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ormatting method performed on a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ormatting method of a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e에서는 기록 방향이 OTP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기록 방향이 PTP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5A to 5E, the case where the recording direction is OTP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recording direction is PTP.

구체적으로는, 도 5a는 포맷팅이 수행되기 전의 다층 정보 저장 매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5b를 참조하면, 픽업에서 가까운 제 1 기록층(L1)에 대하여 먼저 포맷팅을 수행한다(단계 101). 이 때, 최적의 기록 파워를 결정하는 데 이용되는 PCA 영역도 포맷팅된다. 상기 픽업에서 가까운 제 1 기록층(L1)에 대하여 먼저 포맷팅을 수행하는 것은, 기록 모드가 랜덤 기록 모드, 랜덤 액세스 모드 및 덮어쓰기(overwrite) 모드 등의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도 5b 내지 도 5e에서 사용자 데이터 영역(203) 중 점무늬로 표시된 영역은 포맷팅이 수행된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포맷팅이 완료된 기록층에 대해서는 섹터 단위의 어드레스를 기록함으로써, 섹터 단위의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FIG. 5A shows a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before formatting is performed. In this state, referring to FIG. 5B, formatting is first performed on the first recording layer L1 close to the pickup (step 101). At this time, the PCA area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recording power is also formatted. Formatting first of the first recording layer L1 close to the pickup may be performed when the recording mode is a random recording mode, a random access mode, an overwrite mode, or the like. In FIGS. 5B to 5E, the dotted areas of the user data area 203 represent areas where formatting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sector-based access can be made possible by recording an address in a sector for the recording layer on which the formatting is completed.

다음,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맷팅된 제 1 기록층(L1)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203)에 임의의 데이터(d)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단계 103)Next, referring to FIG. 5C, arbitrary data d can be recorded in the user data area 203 of the first recording layer L1 formatted as shown in FIG. 5B (step 103).

다음,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먼저 포맷팅된 제 1 기록층(L1)을 임의의 데이터(d)를 기록하는 데 이용하면서, 나머지 제 2 기록층(L2)의 포맷팅을 진행한다(단계 105).Next, referring to FIG. 5D, the first formatted recording layer L1 is used to record arbitrary data d, and the remaining second recording layer L2 is formatted (step 105). .

도 5e를 참조하면, 상기 과정을 통해 나머지 제 2 기록층(L2)에도 포맷팅이 완료되면, 상기 제한적 덮어쓰기 기록 모드하에서 섹터 단위로 액세스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제 1 또는 제 2 기록층(L1, L2)의 사용자 데이터 영역(203,233)에 기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E, when formatting of the remaining second recording layer L2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predetermined data is accessed on a sector-by-sector basis under the limited overwrite recording mode to access predetermined data to the first or second recording layer L1,. The data can be recorded in the user data areas 203 and 233 of L2).

전술한 바와 같이,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을 먼저 포맷팅하고, 사용자가 사용을 해 가면서, 나머지 기록층을 순차적으로 포맷팅해 감으로써, 모든 기록층을 포맷팅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가 정보 저장 매체를 이용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나머지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을 수행함으로써 포맷팅에 소요되는 별도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formatting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pickup first and then formatting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s sequentially as the user uses them, there is no need to wait until all recording layers have been formatted, and the user is informed. By formatting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s by using the time not using the storage medium, an additional time required for formatting can be sa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정보 저장 매체에 의하면, 사전에 기록층의 전 영역이 모두 기록된 상태이기 때문에, 기록층의 기록 여부에 따른 투과율의 변화에 의한 기록 특성의 변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ll the areas of the recording layer have been previously recor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the change in the recording characteristics caused by the change of the transmittance depending on whether the recording layer is recorded. .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기록층(L1,L2)을 가지는 2층의 정보 저장 매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3층 이상의 기록층을 가지는 정보 저장 매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재기록 가능한 정보 저장 매체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사상은 재생 전용 정보 저장 매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two layers having the first and second recording layers L1 and L2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to an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three or more recording layer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writable information storage medium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read-only information storage medium.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재생 장치의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of a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of a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300)는 기록/독출부(301), 제어부(302) 및 메모리(303)를 포함한다. 정보 저장 매체(1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이다.Referring to FIG. 7,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ording / reading unit 301, a control unit 302, and a memory 303.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100 is a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상기 기록/독출부(301)는 제어부(302)의 제어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100)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한다. 메모리(303)는 상기 제어부(302)의 제어에 따라, 정보 저장 매체(100)에 기록할 사용자 데이터가 일시 저장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303)에는 정보 저장 매체(100)에 데이터 기록하거나 또는 재생 도중 생성된 각종 제어 데이터 또는 정보 저장 매체(10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가 저장된다.The recording / reading unit 301 records data in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100 or reads the recorded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2. The memory 303 temporarily stores user data to be recorded in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2. In addition, the memory 303 stores various control data or data read from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100 generated during data recording or reproduction in the information storage medium 100.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302)는 복수 개의 기록층 중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을 먼저 포맷팅하고, 나머지 기록층은 사용 중에 포맷팅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301)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302)는 가장 먼저 기록에 사용되는 기록층을 먼저 포맷팅한 후, 사용자가 사용을 해 가면서 나머지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301)를 제어한다.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30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301 to first format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pickup among the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and to format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s during use. That is, the controller 302 first formats the recording layer used for recording first, and then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301 to sequentially format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s while the user uses them. .

또한,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이 완료된 후, 바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301)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가장 가까운 기록층을 제외한 나머지 기록층은 사용 중에 포맷팅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30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기록층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재생되거나 상기 기록층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 미사용시에 상기 나머지 기록층이 포맷팅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301)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02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301 to record user data immediately after formatting of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pickup is completed.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302 may control the recording / reading unit 301 to format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s except the closest recording layer during us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02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301 so that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 is formatted when predetermined data is not reproduced from the recording layer or not recorded in the recording layer. To control.

또한, 상기 제어부(302)는 상기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이 수행된 후, 섹터 단위의 어드레스가 기록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301)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02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301 so that an address in sector units is recorded after the recording layer is formatted.

상기 제어부(302)는 기록 모드가 랜덤 기록 모드, 랜덤 액세스 모드 및 덮어 쓰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상기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을 먼저 포맷팅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302 preferably formats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pickup first when the recording mode is any one of a random recording mode, a random access mode, and an overwrite mode.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재생 장치(300)에 의하면, 사용자는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모든 기록층이 포맷팅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여, 나머지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oes not have to wait until all the recording layers of the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e been formatted, and also uses the time which is not used by the user for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s. By performing the formatting, no time is required.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includes being.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preferred embodiment for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포맷팅을 수행할 때 가정 먼저 기록에 사용되는 기록층을 먼저 포맷팅을 수행하고, 나머지 기록층은 사용자가 사용을 해 가면서 순차적으로 포맷팅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든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이 수행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으며, 또한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 포맷팅을 수행함으로써 별도의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performing the formatting of the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first the recording layer used for recording is first performed, and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s are sequentially formatted while the user is using it.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wait until formatting for all recording layers is performed, and no extra time is required by performing formatting at a time not used by the user.

또한, 먼저 기록되는 기록층이 픽업에서부터 가장 가까운 것인 경우에 기록 또는 미기록여부에 따라 투과율의 차이가 발생할 염려가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사전에 미리 포맷팅을 수행하여 전 기록층 영역에 모두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된 상태이기 때문에 투과율 변화에 따른 기록 특성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recording layer to be recorded first is closest to the pickup,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ransmittance depending on whether recording or unrecording is performed. Since data is in a recorded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hange in recording characteristics due to a change in transmittance.

또한, 본 발명은 여러가지 기록 모드 하에서, 특히 랜덤 기록 모드 하에서 보다 효과적인 기록을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more effective recording under various recording modes, especially under random recording mode.

Claims (12)

복수 개의 기록층을 구비한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포맷팅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formatting a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상기 기록층 중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부터 포맷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Performing formatting from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pickup of the recording layer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이 완료된 후, 바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Recording user data immediately after formatting of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pickup is complet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가장 가까운 기록층을 제외한 나머지 기록층은 사용 중에 포맷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formatting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s except the closest recording layer during us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나머지 기록층은 상기 기록층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재생되거나 상기 기록층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 미사용시에 포맷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 is formatted when no data is reproduced from the recording layer or unused when no data is recorded in the recording lay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이 수행된 후, 섹터 단위의 어드레스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And after the formatting on the recording layer is performed, an address in sector units is record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을 먼저 포맷팅하는 단계는 기록 모드가 랜덤 기록 모드, 랜덤 액세스 모드 및 덮어쓰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First formatting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pickup is performed when the recording mode is one of a random recording mode, a random access mode, and an overwrite mode. 복수 개의 기록층을 구비한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기록 및/또는 재생 장치에 있어서,A recording and / or reproducing apparatus for a multi-layered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상기 기록층에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하며, 상기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을 수행하는 기록/독출부; 및A recording / reading unit which records data in the recording layer or reads the recorded data and performs formatting on the recording layer; And 상기 기록층 중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부터 포맷팅을 수행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perform formatting from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pickup among the recording layers.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이 완료된 후, 바로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record user data immediately after formatting of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pickup is completed.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장 가까운 기록층을 제외한 나머지 기록층은 사용 중에 포맷팅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format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s except for the closest recording layer during use.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층으로부터 소정의 데이터가 재생되거나 상기 기록층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는 미사용시에 상기 나머지 기록층이 포맷팅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so that the remaining recording layer is formatted when predetermined data is not reproduced from the recording layer or not recorded in the recording layer.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층에 대한 포맷팅이 수행된 후, 섹터 단위의 어드레스가 기록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so that an address in a sector unit is recorded after formatting of the recording layer is performed.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어부는 기록 모드가 랜덤 기록 모드, 랜덤 액세스 모드 및 덮어쓰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인 경우에 상기 픽업에서 가장 가까운 기록층을 먼저 포맷팅하도록 상기 기록/독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recording / reading unit to first format the recording layer closest to the pickup when the recording mode is any one of a random recording mode, a random access mode, and an overwrite mode.
KR1020050065993A 2005-07-20 2005-07-20 Forma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of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1006776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993A KR100677603B1 (en) 2005-07-20 2005-07-20 Forma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of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993A KR100677603B1 (en) 2005-07-20 2005-07-20 Forma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of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970A true KR20070010970A (en) 2007-01-24
KR100677603B1 KR100677603B1 (en) 2007-02-02

Family

ID=3801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993A KR100677603B1 (en) 2005-07-20 2005-07-20 Forma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of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7603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7603B1 (en) 200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2621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JP2005528726A (en) Multilayer optic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thereof
JP2004303381A (en) Recording method of optical disk, and reproducing method
JP4864148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US200802124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Information on a Multi-Layered Optical Disc
KR100677603B1 (en) Forma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of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EP1776693A1 (en) Method of allocating areas in optical disc,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and optical disc therefor
KR100727951B1 (en) Multi-layer information storage medium, method for formatting thereof,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thereof
US7333417B2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nd/or reading data from the same
KR100965882B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on and/or reading from the same
US8125880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computer program
US20090231986A1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computer program
JP4828548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577274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 capacity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ord capacity variable of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data recording/playing using the same
KR100577291B1 (en) Optical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 capacity information and method for record capacity variable of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data recording/playing using the same
KR20050121776A (en) Optical disc includ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recording the optical disc
KR20070033737A (en) Recording /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 reproducing method,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JP2008117526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 for optical di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