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3339A -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소자 - Google Patents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3339A
KR20060133339A KR1020050053147A KR20050053147A KR20060133339A KR 20060133339 A KR20060133339 A KR 20060133339A KR 1020050053147 A KR1020050053147 A KR 1020050053147A KR 20050053147 A KR20050053147 A KR 20050053147A KR 20060133339 A KR20060133339 A KR 200601333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material
liquid crystal
auxiliary
main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9503B1 (ko
Inventor
황영근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503B1/ko
Priority to US11/321,080 priority patent/US7292306B2/en
Publication of KR20060133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액정을 적하하는 공정;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주입구 없는 메인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상기 메인 씨일재 외곽을 둘러싸도록 보조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양 기판을 합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메인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보조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씨일재 및 보조 씨일재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주입구 없는 메인 씨일재 외곽을 둘러싸도록 보조 씨일재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합착공정시 외부 압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상기 메인 씨일재의 패턴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메인 씨일재 및 보조 씨일재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보조 씨일재 형성으로 인해 공정시간이 추가로 요구되지 않는다.
액정적하, 씨일재

Description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소자{An Apparatus for dispensing a sealant, method of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manufactured by the method}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액정적하방식에 의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합착전 사시도이고, 도 5b는 합착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기판 30 : 상부기판
50 : 액정 70 : 메인 씨일재
80 : 보조 씨일재 100 : 실린지
110 : 회전축 120 : 메인 노즐
130 : 보조 노즐 140 : 연결바
150 : 배관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 LCD)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액정적하방식에 의한 액정표시소자의 씨일재(sealant)에 관한 것이다.
표시화면의 두께가 수 센치미터(cm)에 불과한 초박형의 평판표시소자(Flat Panel Display), 그 중에서도 액정표시소자는 동작 전압이 낮아 소비 전력이 적고 휴대용으로 쓰일 수 있는 등의 이점으로 노트북 컴퓨터, 모니터, 우주선, 항공기 등에 이르기까지 응용분야가 넓고 다양하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소자는 일반적으로 그 위에 박막트랜지스터와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과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그 위에 차광막, 칼라필터층, 및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기판과, 그리고 상기 양 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에 의해 양 기판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어 액정층이 구동되고, 그 구동되는 액정층을 통해서 광투과도가 조절되어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종래에는 모세관 현상과 압력차를 이용한 진공주입방식을 사용하였다. 상기 진공주입방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을 제조한다.
그리고, 상기 양 기판을 접착하기 위해서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주입구를 갖는 씨일재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양 기판을 합착한 후 상기 씨일재를 경화시켜 합착 기판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합착 기판을 진공챔버에 위치시켜 합착 기판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한 후 액정에 담근다. 이와 같이 합착 기판 내부가 진공이 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정이 상기 합착 기판의 주입구를 통해 내부로 빨려 올라가게 되고, 그에 따라 합착 기판 내부에 액정층이 형성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진공주입방식은 표시화면이 대면적화 됨에 따라 액정주입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액정적하방식이라는 새로운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액정적하방식에 의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액정적하방식에 의한 액정표시소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도 1a와 같이, 하부기판(1)과 상부기판(3)을 준비한다.
그리고, 도 1b와 같이, 상기 하부기판(1) 위에 주입구 없는 씨일재(7)를 형성하고, 액정(5)을 적하하여 액정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c와 같이, 상기 하부기판(1)과 상부기판(3)을 합착한 후 상기 씨일재(7)를 경화시켜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액정적하방식의 경우는 기판 상에 직접 액정을 적하하기 때문에 액정주입방식과 같이 액정을 주입하는 시간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공정이 매우 단축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액정적하방식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없는 씨일재(7)가 합착공정 중에 외부 압력에 의해 그 패턴이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즉, 종래 진공주입방식의 경우에는 씨일재 형성시 주입구 있는 패턴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합착공정시 상기 주입구에 의해 씨일재 내부와 외부가 통해 있어 외부 압력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지만, 액정적하방식의 경우에는 씨일재 형성시 주입구 없는 패턴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합착공정시 외부 압력이 작용할 경우 씨일재 패턴이 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액정적하방식에 의해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합착 공정 중에 씨일재의 패턴이 변형되지 않는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액정표시소자의 씨일재를 형성하기 위한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액정을 적하하는 공정;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주입구 없는 메인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상기 메인 씨일재 외곽을 둘러싸도록 보조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양 기판을 합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메인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보조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주입구 없는 메인 씨일재 외곽을 둘러싸도록 보조 씨일재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합착공정시 외부 압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상기 메인 씨일재의 패턴 변형을 최소화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 씨일재는 씨일재 본래의 목적인 액정을 밀봉하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보조 씨일재는 상기 메인 씨일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보조 씨일재는 상기 합착공정 이후에 셀절단공정에서 제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씨일재와 보조 씨일재를 별개의 공정으로 형성한 것이 아니라 동시 공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보조 씨일재 형성으로 인해 공정시간이 추가로 요구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 씨일재 및 상기 보조 씨일재 형성시, 상기 씨일재를 완전 한 폐쇄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상기 합착공정중 압착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 씨일재 및 상기 보조 씨일재를 동시에 형성하는 공정은 메인 노즐과 보조 노즐을 구비한 디스펜싱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메인 씨일재 및 보조 씨일재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는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씨일재를 수용하는 실린지; 및 상기 실린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실린지에 수용된 씨일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메인 노즐 및 보조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노즐은 상기 메인 노즐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씨일재와 보조 씨일재를 동시에 형성하기 위해서 하나의 실린지에 메인 노즐 및 보조 노즐을 각각 연결한 것이며, 이때 보조 노즐을 메인 노즐 주위를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메인 씨일재 외곽에 형성되는 보조 씨일재를 원활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상기 메인 노즐과 보조 노즐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메인 씨일재와 보조 씨일재 사이의 거리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는 형성되는 씨일재의 단선 여부 또는 선폭 등을 확인하기 위한 패턴 확인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디스펜싱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한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 상기 양 기판 사이에 주입구 없이 형 성된 메인 씨일재; 상기 메인 씨일재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보조 씨일재; 및 상기 메인 씨일재 내부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씨일재는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씨일재는 네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진 사각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1.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 사시도이다.
우선, 도 2a와 같이, 하부기판(10) 및 상부기판(30)을 준비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하부기판(10) 상에는 종횡으로 교차하여 화소영역을 정의하는 복수개의 게이트배선과 데이터배선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배선과 데이터배선의 교차점에 게이트전극, 반도체층, 소스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화소전극을 상기 화소영역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30) 상에는 상기 게이트배선, 데이터배선, 및 박막트랜지스터 형성영역에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막을 형성하고, 상기 차광막 위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컬러필터층을 형성하고, 상기 컬러필터층 위에 공통전극을 형성한다.
한편, 소위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액정표시소자의 경우는 상기 공통전극을 상기 상부기판 상에 형성하지 않고 상기 하부기판 상에 형성한다. 보다 구 체적으로는 공통전극을 상기 화소전극과 평행하게 형성하여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서 횡전계를 유도하게 되며, 상기 상부기판의 컬러필터 상에는 공통전극 대시에 오버코트층이 형성되어 기판의 평탄화를 도모한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10) 및 상부기판(30) 중 적어도 하나의 기판 상에는 액정의 초기배향을 위한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향막은 폴리아미드(polyamide) 또는 폴리이미드(polyimide)계 화합물, PVA(polyvinylalcohol), 폴리아믹산(polyamic acid)등의 물질을 러빙 배향 처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PVCN(polyvinylcinnamate), PSCN(polysiloxanecinnamate), 또는 CelCN(cellulosecinnamate)계 화합물과 같은 광반응성 물질을 광 배향 처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그 후, 도 2b와 같이, 상기 하부기판(10) 상에 액정(50)을 적하하고, 상기 상부기판(30) 상에 메인 씨일재(70) 및 보조 씨일재(80)를 동시에 형성한다.
도면에는 4개의 단위셀 만을 도시하였지만, 단위셀의 개수는 기판의 사이즈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단위셀의 크기는 모두 동일할 수도 있지만, 서로 상이한 크기의 단위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액정(50)은 상기 단위셀의 중앙부에 적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후 공정인 합착공정시 상기 메인 및 보조 씨일재(70, 80)가 경화되기 전에 상기 액정(50)이 메인 및 보조 씨일재(70, 80)와 만나게 되면 액정(50)이 오염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중앙부에 적하된 액정(50)은 상기 메인 및 보조 씨일재(70, 80)가 경화된 후까지 서서히 퍼져나가 기판 전체에 동일한 밀도로 분포되게 된다.
상기 메인 및 보조 씨일재(70, 80)는 주입구 없는 폐쇄된 패턴으로 형성되는데, 형성되는 방법으로는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Method)이나 디스펜서법(Dispensing Method)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스크린 인쇄법은 스크린이 기판과 접촉하기 때문에 기판 위에 형성된 소자 등이 손상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기판이 대면적일 경우 씨일재의 손실량이 증가되어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디스펜서법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디스펜서법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및 보조 씨일재(70, 80)를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메인 씨일재(70)를 형성하기 위한 메인 노즐 및 상기 보조 씨일재(80)를 형성하기 위한 보조 노즐을 구비한 디스펜싱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b의 경우는 메인 노즐 및 보조 노즐을 구비한 디스펜싱 장치를 이용하여 메인 씨일재(70)와 보조 씨일재(80)를 동시에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를 이용할 경우 상기 메인 씨일재(70)는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씨일재(80)는 네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진 사각형 구조로 형성된다. 그 구체적인 형성방법과 관련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만,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및 보조 씨일재(70, 80)를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보조 씨일재(80)도 상기 메인 씨일재(70)와 동일한 사각형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메인 씨일재(70)와 보조 씨일재(80)의 선폭은 동일할 수도 있지만, 서 로 상이할 수도 있다. 보조 씨일재(80)는 추후 셀절단공정에서 제거될 수 있으므로, 그 선폭이 너무 크면 셀절단공정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씨일재(70)의 선폭보다 보조 씨일재(80)의 선폭을 더 작게 형성하는 것이 셀절단공정에 유리하다.
상기 메인 및 보조 씨일재(70, 80)의 재료로는 UV경화형 씨일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UV경화형 씨일재로는 양 말단에 아크릴기가 결합된 폴리머를 개시제와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한쪽 말단에는 아크릴기가 다른 쪽 말단에는 에폭시기가 결합된 폴리머를 개시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상기 하부기판(10) 위에 액정(50)을 적하하고 상기 상부기판(30)에 씨일재(70, 80)를 형성하는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상부기판(30) 위에 액정(50)을 적하하고 상기 하부기판(10)에 씨일재(70, 8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정(50)과 씨일재(70, 80)를 동일기판에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액정(50)과 씨일재(70, 80)를 동일기판에 형성할 경우, 액정 및 씨일재가 형성되는 기판과 그렇지 않은 기판과의 공정간에 불균형이 발생되어 공정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액정과 씨일재가 동일기판에 형성되므로 합착 공정전에 씨일재에 오염물질이 형성된다 하더라도 기판 세정을 할 수 없게 되므로, 상기 액정과 씨일재는 서로 다른 기판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양 기판(10,30) 중 어느 하나의 기판,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기판(30) 위에 셀갭유지를 위한 스페이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볼 스페이서 또는 컬럼 스페이서가 적용될 수 있는데, 볼 스페이서의 경우 대면적에 적용할 경우에 셀갭이 불균일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대면적 기판에는 컬럼 스페이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럼 스페이서의 재료로는 감광성 유기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차광막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그 후, 도 2c와 같이, 상기 양 기판(10, 30)을 합착한다.
합착공정은 상기 양 기판(10, 30) 중 액정이 적하되어 있는 하부기판(10)을 하면에 위치시키고, 나머지 상부기판(30)을 레이어(layer) 형성 면이 상기 하부기판(10)을 향하도록 180도 회전하여 상면에 위치시켜 합착한다.
그 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합착 공정 이후에 상기 씨일재(70, 80) 경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씨일재(70, 80) 경화 공정은 씨일재의 재료에 따라 결정되는데, 전술한 UV경화형 씨일재의 경우에는 UV조사공정 단독 또는 UV조사공정 및 가열공정의 조합으로 씨일재 경화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씨일재 경화를 위해 UV를 조사할 경우에 UV를 합착기판의 전면에 조사할 경우에는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소자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액정의 초기배향을 위해 형성하는 배향막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이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씨일재 경화를 위해 UV를 조사할 경우에는 상기 씨일재(70, 80)가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을 마스크로 가리고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합착 공정 이후에 셀단위로 절단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셀단위로 절단하는 공정시 상기 보조 씨일재(80)가 제거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공정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은 도 3a와 같이 하부기판(10) 및 상부기판(30)을 준비하고, 도 3b와 같이 상기 하부기판(10) 상에 액정(50)을 적하하고 상기 상부기판(30) 상에 메인 씨일재(70) 및 보조 씨일재(80)를 동시에 형성하고, 그 후, 도 3c와 같이, 상기 양 기판을 합착하여 액정표시소자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도 3b의 공정에서 메인 씨일재(70) 및 보조 씨일재(80) 형성시 합착공정시 압착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b의 "A영역"에서 알 수 있듯이, 상부기판(30) 상에 메인 씨일재(70) 및 보조 씨일재(80)를 형성하는 공정 시 상기 씨일재(70, 80)를 완전히 폐쇄형으로 형성하지 않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간격은 합착공정시 압착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다. 즉, 도 3c의 합착공정에서 양 기판(10, 30)을 압착할 경우 상기 씨일재(70, 80)가 압착에 의해 소정 거리만큼 늘어나게 되므로 결국 상기 소정의 간격은 합착공정에서 서로 연결되어 비로소 폐쇄형의 씨일재(70, 80)가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2.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싱 장치는 실린지(100) 및 상기 실린지에 연결된 노즐부(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부(101)는 회전축(110), 메인 노즐(120), 보조 노즐(130), 연결바(140), 및 배관(1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린지(100)는 씨일재를 수용하고 있으며, 상기 배관(150)에 의해 상기 메인 노즐(120) 및 보조 노즐(130)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실린지(100)에 수용된 씨일재는 상기 배관(150)을 통해 상기 메인 노즐(120) 및 보조 노즐(130)로 이동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메인 노즐(120)은 상기 메인 씨일재(70)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조 노즐(130)은 상기 보조 씨일재(80)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축(110)은 상기 연결바(14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바(140)에는 상기 메인 노즐(120)과 보조 노즐(130)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노즐(120)은 상기 연결바(14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축(110)과 대향되어 있고, 상기 보조 노즐(130)은 상기 회전축(110)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10)이 회전하면, 상기 메인 노즐(120)은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보조 노즐(130)은 상기 메인 노즐(120) 주위를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에 의해, 전술한 도 2b에서, 메인 씨일재(70) 는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고, 보조 씨일재(80)는 네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진 사각형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노즐(130)은 상기 연결바(140)를 통해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메인 노즐(120)과 상기 보조 노즐(13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된다. 따라서, 도 2b에서 메인 씨일재(70)와 보조 씨일재(80)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게 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는 패턴 확인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 확인부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 확인부는 형성되는 씨일재의 단선 여부 또는 선폭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메인 노즐(120) 및 보조 노즐(130)이 이동되는 경로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개수는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3. 액정표시소자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합착전 사시도이고, 도 5b는 합착후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소자는 하부기판(10), 상부기판(30), 상기 양 기판(10, 30) 사이에 형성된 메인 씨일재(70) 및 보조 씨일재(80), 및 상기 양 기판(10, 30)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기판(10) 및 상부기판(30)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메인 씨일재(70) 및 보조 씨일재(80)는 디스펜싱 장치로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메인 씨일재(70)는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씨일재(80)는 상기 메인 씨일재(70) 외곽을 둘러싸면서 네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진 사각형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 씨일재(70) 및 보조 씨일재(80)는 합착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지만, 합착후에는 주입구 없는 폐쇄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 씨일재(70) 및 보조 씨일재(80)는 UV경화형 씨일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변경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씨일재 외곽을 둘러싸도록 보조 씨일재를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합착공정시 외부 압력이 작용한다 하더라도 상기 메인 씨일재의 패턴 변형이 최소화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실린지에 메인 노즐 및 보조 노즐을 각각 연결하고 보조 노즐을 메인 노즐 주위를 회전하도록 구성한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메인 씨일재와 보조 씨일재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 씨일재와 보조 씨일재를 별개의 공정으로 형성한 것이 아니라 동시 공정으로 형성함 으로써 보조 씨일재 형성으로 인해 공정시간이 추가로 요구되지 않는다.

Claims (21)

  1.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을 준비하는 공정;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액정을 적하하는 공정;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주입구 없는 메인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양 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 상에 상기 메인 씨일재 외곽을 둘러싸도록 보조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양 기판을 합착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메인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 및 상기 보조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씨일재 및 상기 보조 씨일재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합착공정시 압착에 의해 연결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씨일재 및 상기 보조 씨일재를 동시에 형성하는 공정은 메인 노즐과 보조 노즐을 구비한 디스펜싱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 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씨일재는 사각형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보조 씨일재는 네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진 사각형 구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씨일재의 선폭과 상기 보조 씨일재의 선폭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 공정 이후에 씨일재 경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씨일재 경화 공정은 UV조사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V조사공정은 상기 씨일재가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을 마스크로 가리고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씨일재 경화 공정은 UV조사공정 및 가열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UV조사공정은 상기 씨일재가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을 마스크로 가리고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합착 공정 이후에 셀단위로 절단하여 상기 보조 씨일재를 제거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12. 씨일재를 수용하는 실린지; 및
    상기 실린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실린지에 수용된 씨일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메인 노즐 및 보조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노즐은 상기 메인 노즐 주위를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노즐과 보조 노즐 사이의 거리는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용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상기 노즐을 연결하는 연결바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용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노즐은 상기 연결바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전축과 대향되며, 상기 보조 노즐은 상기 회전축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 노즐이 상기 메인 노즐 주위를 회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노즐은 상기 연결바를 통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메인 노즐과 상기 보조 노즐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노즐 및 상기 보조 노즐은 각각 배관에 의해 상기 실린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씨일재의 단선 여부 또는 선폭을 확인하기 위한 패턴 확인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19.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
    상기 양 기판 사이에 주입구 없이 형성된 메인 씨일재;
    상기 메인 씨일재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보조 씨일재; 및
    상기 메인 씨일재 내부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씨일재는 사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씨일재는 네 모서리가 라운드 형태로 이루어진 사각형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씨일재 및 보조 씨일재는 양 말단에 아크릴기가 결합된 폴리머를 개시제와 혼합한 UV경화형 씨일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씨일재 및 보조 씨일재는 한쪽 말단에는 아크릴기가 다른 쪽 말단에는 에폭시기가 결합된 폴리머를 개시제와 혼합한 UV경화형 씨일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20050053147A 2005-06-20 2005-06-20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소자 KR100949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147A KR100949503B1 (ko) 2005-06-20 2005-06-20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소자
US11/321,080 US7292306B2 (en) 2005-06-20 2005-12-30 Apparatus for dispensing sealant,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147A KR100949503B1 (ko) 2005-06-20 2005-06-20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339A true KR20060133339A (ko) 2006-12-26
KR100949503B1 KR100949503B1 (ko) 2010-03-24

Family

ID=37573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147A KR100949503B1 (ko) 2005-06-20 2005-06-20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92306B2 (ko)
KR (1) KR100949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769B1 (ko) * 2008-08-14 2012-03-13 베이징 비오이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씰링재의 도포 방법, 도포 장치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4982A (ja) * 2006-07-03 2008-01-24 Nec Lcd Technologies Ltd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09099900A2 (en) * 2008-01-31 2009-08-13 Electrochromix Inc. Environmentally safe electrochromic devices and assemblies
US8988756B2 (en) * 2008-01-31 2015-03-24 Ajjer, Llc Conductive busbars and sealants for chromogenic devices
KR101670098B1 (ko) * 2008-10-23 2016-10-27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유리 기판 적층 장치 및 적층 유리 기판의 제조 방법
CN102722042B (zh) * 2012-06-06 2014-12-1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生产设备的内部环境检测***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879B1 (ko) * 1999-09-18 2006-10-0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씰 프린트 장치.
US6791660B1 (en) * 2002-02-12 2004-09-14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s
JP2004093760A (ja) * 2002-08-30 2004-03-25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724475B1 (ko) * 2002-11-13 2007-06-0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패널의 실 디스펜서 및 이를 이용한 실 패턴의단선 검출방법
KR20040061337A (ko) * 2002-12-30 2004-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의 씰패턴 형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씰패턴형성방법
TWI288842B (en) * 2003-10-29 2007-10-21 Hannstar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narrow forehead edge
JP4389780B2 (ja) * 2004-12-27 2009-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装置の製造方法、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769B1 (ko) * 2008-08-14 2012-03-13 베이징 비오이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씰링재의 도포 방법, 도포 장치 및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US8223308B2 (en) 2008-08-14 2012-07-17 Beijing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ispensing sealant and LCD pa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92306B2 (en) 2007-11-06
KR100949503B1 (ko) 2010-03-24
US20060285065A1 (en)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5448B2 (ja) 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094528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662496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362407B2 (en) Method of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RE46146E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85951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62495B1 (ko)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0949503B1 (ko) 씨일재 디스펜싱 장치,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소자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액정표시소자
US770154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3842710B2 (ja) 液晶表示素子用基板、液晶表示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30529B1 (ko)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0652050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9429A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72638B1 (ko)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20030051132A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72639B1 (ko)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133337A (ko)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