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988A - Mobile communication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988A
KR20060132988A KR1020067020542A KR20067020542A KR20060132988A KR 20060132988 A KR20060132988 A KR 20060132988A KR 1020067020542 A KR1020067020542 A KR 1020067020542A KR 20067020542 A KR20067020542 A KR 20067020542A KR 20060132988 A KR20060132988 A KR 20060132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network
handover
network
mobile station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5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자리 빅베르그
토마스 니란더
매그너스 할렌스톨
토마스 왈딘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to KR1020067020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32988A/en
Publication of KR20060132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9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04W36/38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 H04W36/385Reselection control by fixed network equipment of the cor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includes a core network portion, a first access network and a second access network. The first access network compris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dapted to communicate with mobile stations via a licensed radio interface and with the core network portion. The second access network comprises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each defining a mini-cell and adapted to communicate with mobile stations over an unlicensed-radio interface and an access network controller adapted to communicate with the core network portion and with the plurality of access points. The second access network is further adapted to set up a radio link with a mobile station that is entering a mini-cell and conducting an active call with the first access network and to communicate a cell identifier to the mobile station. The cell identifier identifies at least one mini-cell of the second access network to the core network portion for handover. At least one base station of the first access network is adapted to receive a handover proposal message from the mobile station containing the cell identifier and to communicate the cell identifier to the core network portion in a message indicating that handover is required.

Description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이동 통신{MOBILE COMMUNICATION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MOBILE COMMUNICATION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본 발명은 공중 이동 액세스 네트워크 및 비인가 액세스 네트워크 둘 모두를 결합한 이동 통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공중 이동 네트워크 및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접속의 전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combining both a public mobile access network and an unauthorized access network. The invention relates in particular to the transfer of a connection between a public mobile network and an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GSM과 같은 임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 및 기지국 사이에 행해진 활성 호출은 이동국이 여러 커버리지 에어리어들, 또는 셀들 사이를 이동할 때 핸드오버될 필요가 있다. 각각의 셀이 규정되는 방법에 따라서, 핸드오버는 활성 호출이 단순히 상이한 기지국 송수신기(BTS), 상이한 기지국 제어기(BSC) 또는 상이한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CS)를 통하여 재-라우팅되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핸드오버는 또한 임의의 한 셀에서 용량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필요로 될 수 있다. In any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GSM, an active call made between a mobile station and a base station needs to be handed over as the mobile station moves between several coverage areas, or cells. Depending on how each cell is defined, handover may simply require that the active call is re-routed through different base station transceivers (BTSs), different 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or different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s (MCSs). have. Handover may also be needed if capacity problems occur in any one cell.

핸드오버는 이웃하는 셀 뿐만 아니라, 기지국 제어기(BSC) 및 셀을 제어하는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룰 규정하는 것, 핸드오버를 개시하기 위하여 어떤 임계 값이 사용될지 및 어느 셀 주파수가 측정되어야 하는지를 규정하는 것과 같이 네트워크에서 일정한 양의 운영 및 유지보수 활동을 포함한다. 통상적인 GSM 네트 워크에서, 기지국 제어기(BSC)는 측정될 주파수의 리스트를 이동국에 송신한다. 두 개의 리스트가 송출될 수 있는데, 제1 리스트는 이동국(MS)이 로밍하고 있는 경우와 같은 유휴 모드를 위해 사용되며, 제2 리스트는 호출이 진행중인 경우인 활성 모드를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제2 리스트는 이동국이 어느 주파수를 측정하여 보고하는지를 규정한다. 이러한 리스트는 이웃하는 셀의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ARFCN)라 칭하는 한 세트의 값을 포함한다. 이러한 주파수 채널 번호 이외에, 기지국 제어기(BSC)는 또한 모든 이웃하는 셀의 기지국 아이덴티티 코드(BSIC)를 인지한다. 이동국은 이러한 채널 번호에 의해 규정된 주파수를 측정하여 이러한 측정치를 기지국 제어기에 보고한다. 실제로, 이동국은 단지 여섯 개의 가장 양호한 측정 값에 대해서만, 그리고 단지 이동국이 동기화되고, 결과적으로 기지국에 관한 아이덴티티 코드(BSIC)를 수신할 수 있는 그러한 셀 주파수에 대해서만 보고한다. 이동국(MS)에 의해 기지국 제어기(BSC)로 역 송신된 측정치 보고는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ARFCN), 기지국 아이덴티티 코드(BSIC) 및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 세기의 표시에 대한 기준을 포함한다. 실제로, 상기 보고는 정확한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ARFCN)를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 번호가 측정 리스트에서 점유된 위치와 관련된다. 이 보고를 토대로 하여, 기지국 제어기(BSC)는 핸드오버가 필요로 되는지 및 어느 셀로 핸드오버할지를 결정한다. 핸드오버의 개시는 각각의 벤더(vendor)를 위한 표준 GSM 메커니즘에 따라 수행된다. 특히, 핸드오버가 필요로 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는 기지국 제어기(BSC)에 접속된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로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송신된다. 이 메시지는 이동 국가 코드, 이 동 네트워크 코드, 위치 에어리어 코드 및 핸드오버가 필요로 되는 셀에 대한 셀 식별자를 규정하는 하나 이상의 셀 글로벌 식별자(CGI)를 포함한 셀 식별자를 포함한다. 셀 글로벌 식별자(CGI)는 셀에 대해 획득된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 및 기지국 식별 코드(BSIC)를 사용하여 리스트로부터 기지국 제어기에 의해 페칭(fetching)된다. 이 셀 글로벌 식별자(CGI)에 의하여,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는 어느 다른 MSC가 CGI 값에 의해 규정된 셀을 핸들링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The handover is to define not only the neighboring cell but als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BSC) and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that controls the cell, which threshold is used to initiate the handover and which cell frequency should be measured. It includes a certain amount of operational and maintenance activity in the network, such as specifying whether it is. In a typical GSM network,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sends a list of frequencies to be measured to the mobile station. Two lists may be sent, the first list being used for an idle mode, such as when the mobile station MS is roaming, and the second list being used for an active mode, when a call is in progress. This second list defines which frequencies the mobile station measures and reports. This list contains a set of values called the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ARFCN) of the neighboring cell. In addition to this frequency channel number, the base station controller (BSC) also knows the base station identity code (BSIC) of all neighboring cells. The mobile station measures the frequency defined by this channel number and reports this measurement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In practice, the mobile station reports only for the six best measurements and only for those cell frequencies from which the mobile station can synchronize and, as a result, receive an identity code (BSIC) for the base station. The measurement report transmitted back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BSC) by the mobile station MS includes a reference to an indication of the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ARFCN), the base station identity code (BSIC) and the received downlink signal strength. Indeed, the report does not specify the exact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ARFCN), but rather relates to the position where this number is occupied in the measurement list. Based on this report, the base station controller (BSC) determines which handover is needed and to which cell. Initiation of the handover is performed according to standard GSM mechanisms for each vendor. In particular, a message indicating that handover is required is sent by the base station controller to a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controller (BSC). The message includes a cell identifier including a mobile country code, a mobile network code, a location area code, and one or more cell global identifiers (CGIs) that define cell identifiers for the cells in need of handover. The cell global identifier (CGI) is fetched by the base station controller from the list using the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and base station identification code (BSIC) obtained for the cell. This cell global identifier (CGI) allows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to determine which other MSC will handle the cell defined by the CGI value.

통상적인 셀룰러 네트워크는 이동국과 통신하기 위하여 저전력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함으로써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스 네트워크는 표준 공중 이동 네트워크의 핵심 요소와 함께 사용되도록 디자인된다.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는 공중 이동 네트워크의 이동 스위칭 세터(MSC)와 같은 핵심 요소가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상적인 기지국 제어기(BSC)로서 간주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 및 이 액세스 네트워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이동국은 유럽 특허 출원 번호 제EP-A-1 207 708호에 설명되어 있다.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액세스 제어기 및 다수의 저전력 액세스 포인트로 이루어진다. 액세스 포인트는 광대역 패킷-교환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 제어기에 접속된다. 낮은 전력 및 결과적인 낮은 범위의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는 여러 이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가 상당히 근접하게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사무실 건물의 층당 하나의 액세스 네트워크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액세스 포인트 및 액세스 제어기를 접속하기 위하여 기존의 광대역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액세스 네트워크의 설치가 용이해져서, 가입자가 예를 들어, 자신의 집에서 액세스 네트워크를 설치하게 된다. 적절한 비인가-무선 포맷은 디지털 강화 무선 전기통신(DECT), 무선 LAN 및 블루투스를 포함한다. 표준 공중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m 인터페이스) 및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 둘 모두를 통하여 동작할 수 있는 적응형 이동 핸드셋은 가입자가 모든 환경에 대해 단지 하나의 전화만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 typical cellular network can be extended by including an access network that uses a low power unlicensed-wireless interface to communicate with a mobile station. Such access networks are designed for use with the core elements of a standard public mobile network. The access network is configured such that key elements such as mobile switching setters (MSCs) in public mobile networks regard unauthorized-wireless access networks as conventional base station controllers (BSCs). Such an access network and a mobile station for use with this access network are described in EP-A-1 207 708. The access network consists of an access controller and a plurality of low power access points that connect to the core network. The access point is connected to the access controller via a broadband packet-switched network. Low power and the resulting low range of unauthorized-wireless interface means that many such access networks are provided in close proximity, for example, one access network per floor of an office building. Using an existing broadband network to connect the access point and access controller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of the access network so that the subscriber installs the access network, for example, in his home. Suitable unlicensed-wireless formats include digital enhanced wireless telecommunications (DECT), wireless LAN, and Bluetooth. Adaptive mobile handsets that can operate over both standard air interfaces (eg, Um interfaces) and unlicensed-wireless interfaces mean that subscribers need only one phone for all environments.

GSM, UMTS 또는 CDMA2000과 같은 통상적인 공중 인가 이동 네트워크에 하나 이상의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포함시킬 때의 문제점은 공중 인가 이동 네트워크로부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필요로 되는 운영 및 유지보수 활동을 매우, 일부 경우에는 수용 불가능하게 높은 레벨로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존재하는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수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의 수는 수천 또는 수만 개에 달할 수 있다. 공중 인가 이동 네트워크의 관련 요소에서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를 규정하는 것은 시간을 소모하며 고가의 태스크일 것이다. 게다가, 여러 비인가-무선 액세스 포인트는 동일한 공중 인가 이동 네트워크 셀에 위치될 수 있다. 공중 인가 이동 네트워크에 인접한 셀의 측정에 필요한 주파수의 수 이외에, 그 셀 내에서의 측정에 필요한 주파수의 수는 너무 많아서 통상적인 측정 보고에 포함시킬 수 없다. 게다가,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개별적인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의 용이성은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의 수 및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변화는 갱신될 공중 인가 이동 네트워크의 구성이 액세스 포인트의 새로운 위치를 고려하는 것을 필요로 할 것이다. The problem of including one or more unauthorized wireless access networks in a typical public licensed mobile network such as GSM, UMTS or CDMA2000 is an operation and maintenance that requires handover from the public licensed mobile network to the unauthorized wireless access network. Increasing activity to very, in some cases unacceptably high levels. Depending on the number of unauthorized wireless access networks that exist, the number of access points can amount to thousands or tens of thousands. Defining such an access point in the relevant elements of a publicly licensed mobile network would be a time consuming and expensive task. In addition, several unlicensed-wireless access points may be located in the same publicly licensed mobile network cell. In addition to the number of frequencies required for measurement of a cell adjacent to a publicly licensed mobile network, the number of frequencies required for measurement within that cell is too high to include in a typical measurement report. In addition, the ease of installation of individual access points in an unauthorized-wireless access network means that the number and location of such access points can be constantly changing. Each change will require the configuration of the publicly licensed mobile network to be updated to consider the new location of the access point.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GSM, UMTS 또는 CDMA2000과 같은 통상적인 공중 인가 이동 네트워크로의 그리고 상기 이동 네트워크로부터 통상적인 네트워크에 접속된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매우 간소화하는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의 분배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authorized-radio access that greatly simplifies handover to a conventional publicly licensed mobile network such as GSM, UMTS or CDMA2000 and from the mobile network to an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connected to the conventional network. A system for managing the distribution of access points in a network is presented.

이 목적은 첨부된 청구항에 따른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이동국 및 인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사이의 활성 호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서 달성된다. This object is achieved in a method for performing a handover of an active call betwee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a mobile station and an authorized radio access network in accordance with the appended claims.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는 코어 네트워크 부분, 적어도 제1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 및 적어도 제2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은 인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국과 그리고 코어 네트워크 부분과 통신하도록 적응된 다수의 기지국을 포함한다. 제2 액세스 네트워크는 각각 미니-셀을 규정하며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 미니-셀에 위치된 이동국과 통신하도록 적응된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및 소정의 인가된 이동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 부분과 통신하도록 적응되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된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2 액세스 네트워크는 미니-셀로 진입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와 활성 호출을 행하고 있는 이동국과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이동국에 셀 식별자를 통신하도록 더 적응된다. 셀 식별자는 코어 네트워크 부분에 대한 제2 액세스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미니-셀을 식별하여, 제1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제2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활성 호출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한다. 제1 액세스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셀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셀 식별자를 핸드오버가 필요로 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로 코어 네트워크 부분에 통신하도록 적응된다. In particula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core network portion, at least a first access network portion and at least a second access network portion. The first access network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adapted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station and the core network portion via an authorized air interface. The second access network each defines a mini-cell and communicates with the core network portion via a predetermined authorized mobile network interface and a number of access points adapted to communicate with mobile stations located in each mini-cell via an unlicensed-wireless interface. And an access network controller coupled to multiple access points. The second access network is further adapted to enter the mini-cell and establish a radio link with the mobile station making an active call with the first access network and to communicate a cell identifier to the mobile station. The cell identifier identifies at least one mini-cell of the second access network for the core network portion, thereby enabling handover of an active call from the first access network to the second access network. At least one base station of the first access network is adapted to receive from the mobile station a message containing a cell identifier and to communicate to the core network portion with a message indicating that handover is needed.

핸드오버가 수행될 수 있는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미니-셀을 나타내는 셀 식별자를 이동국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셀룰러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통신함으로써, 비인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설치시에 기지국에서 구성될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이 필요로 되지 않는다. 셀 식별자는 단지 코어 네트워크 부분에서 구성될 필요가 있고, 이것은 새로운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설치시에 운영 및 유지보수 기능을 매우 간소화한다. 더구나,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변위, 부가 또는 제거는 공중 인가 셀룰러 네트워크를 부가적으로 변경할 필요 없이 수행될 수 있다. By communicating a cell identifier indicating a mini-cell of an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on which handover can be performed to a base station of a conventional cellular network using a mobile station, the access point to be configured at the base station at the time of installation of the unauthorized wireless access network. No identification is required. The cell identifier only needs to be configured in the core network part, which greatly simplifies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functions in the installation of a new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Moreover, displacement, addition or removal of an access point within an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 can be performed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changes to the air-licensed cellular network.

바람직하게는, 셀 식별자는 비인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모든 미니-셀에 대하여 동일하다. 이것은 코어 네트워크 부분에서 구성되어야 하는 식별자의 수를 제한함으로써 필요로 되는 구성 오버헤드를 더 감소시킨다. Preferably, the cell identifier is the same for all mini-cells in the unauthorized radio access network. This further reduces the configuration overhead required by limiting the number of identifiers that must be configured in the core network portion.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예로서 제공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Additional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which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갖는 GSM 네트워크의 파트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1 schematically illustrates parts of a GSM network with an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

도2는 도1의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FIG. 2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the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of FIG.

도3은 GSM과 같은 공중 이동 네트워크로부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호출의 핸드오버를 위한 시그널링 시퀀스를 도시한 도면. FIG. 3 illustrates a signaling sequence for handover of a call from a public mobile network such as GSM to an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FIG.

도1은 통상적인 GSM 네트워크의 파트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네트워크는 본질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부분(20) 및 액세스 부분(10)으로 분할된다. 도면에 도시된 코어 네트워크의 요소는 이동 스위칭 센터(MSCs)(202), 관련된 홈 위치 등록기(HLR)(201)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204)를 포함한다. 이러한 통상적인 GSM 아키텍처 요소의 기능 및 구조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본원에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코어 네트워크는 또한 범용 패킷 무선 서비스(GPRS)를 지원하고, 이로 인해, 서비스하는 GPRS 지원 노드(SGSN)(203)가 또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코어 네트워크 부분이 다른 이동국 및 ISDN과 PSTN 네트워크와 같은 고정-라인 네트워크, 하나 이상의 게이트웨이 노드를 통한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및 인터넷과 같은 패킷 및 회선 교환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1 schematically shows parts of a typical GSM network. This network is essentially divided into a core network portion 20 and an access portion 10. Elements of the core network shown in the figures include mobile switching centers (MSCs) 202, associated home location registers (HLRs) 201 and visitor location registers (VLRs) 204. The functions and structures of these conventional GSM architectural elements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more detail herein. The core network also supports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whereby a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203 is also shown.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core network portion provides access to other mobile stations and fixed-line networks such as ISDN and PSTN networks, packet and circuit switched packet data networks such as intranets, extranets and the Internet through one or more gateway node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may include.

액세스 부분은 본질적으로 그 중 하나가 도1에 도시되어 있고, 규정된 고정 표준 A 및 G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각 코어 네트워크 부분(20) 내의 MSCs(202) 및 SGSNs(203)와 통신하는 기지국 서브시스템들(BSS)(10)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기지국 서브시스템(BSS)(10)은 규정된 Abis 공중 인터페이스(102)를 통하여 하나 이상의 기지국 송수신기(BTS)(101)와 통신하는 기지국 제어기(BSC)(103)를 포함한다. 기지국 송수신기(101)는 GSM 표준 Um 무선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국(MS)(1)과 통신한다. BTS(101) 및 BSC(103)가 BSS(10) 내에서 단일 엔티티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BSC(103)는 종종 BTSs(101)로부터 분리되며,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202)에도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The access portion is essentially one of the base station subsystems, one of which is shown in FIG. (BSS) 10. Each base station subsystem (BSS) 10 includes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103 that communicates with one or more base station transceiver (BTS) 101 via a defined Abis air interface 102. The base station transceiver 101 communicates with a mobile station (MS) 1 via a GSM standard U m air air interface. Although the BTS 101 and BSC 103 are shown to form a single entity within the BSS 10, the BSC 103 is often separated from the BTSs 101, and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202.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may be located at.

BSS(10)에 의해 제공된 표준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 이외에, 도1에 도시된 네트워크는 도면의 하부 절반에서 도시되는 변경된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30)을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 이것은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으로서 설명될 것이다. In addition to the standard access network portion provided by the BSS 10, the network shown in FIG. 1 further includes a modified access network portion 30 shown in the lower half of the figure. In the following, this will be described as part of an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이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3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는 또한 이동 국(1)이 GSM 코어 네트워크 부분, 및 이를 통해, 양방향성 화살표(31)로 도1에 표시된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X)를 경유하여 다른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도록 할 수 있다. 비인가-무선은 이동 네트워크를 동작시키는 운영자가 적절한 조절 체로부터 인가를 획득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임의의 무선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비인가-무선 기술은 저전력이므로, 인가된 이동 무선 서비스에 비하여 제한된 범위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것은 이동국의 배터리 수명이 더 길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구나, 범위가 적기 때문에, 비인가-무선은 광대역 무선이므로, 개선된 음성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는 임의의 적절한 비인가-무선 프로토콜, 예를 들어, 무선 LAN 프로토콜 또는 디지털 강화 무선 전기통신(DECT)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공중 이동 네트워 크 무선보다 더 낮은 전력 소모 및 고대역폭을 갖는 블루투스 무선이 사용된다.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is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 portion 30 also allow the mobile station 1 to access the unlicensed-wireless interface X shown in FIG. 1 by means of the GSM core network portion, and thereby a bidirectional arrow 31. Via another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accessed. Unlicensed-wireless means any wireless protocol that does not require an operator operating a mobile network to obtain authorization from an appropriate regulator. In general, such unlicensed-wireless technology is low power and should therefore be limited in scope compared to licensed mobile wireless services. This means that the battery life of the mobile station is longer. Moreover, because of the small range, unlicensed-wireless is broadband wireless, which can provide improved voice quality. The air interface may use any suitable unlicensed-wireless protocol, such as a wireless LAN protocol or digital enhanced wireless telecommunication (DECT). Preferably, however, Bluetooth radios are used which have lower power consumption and higher bandwidth than conventional public mobile network radios.

블루투스 표준은 상이한 장치들 간의 단-거리 접속을 위한 양방향 디지털 무선 링크를 규정한다. 장치는 2.45GHz 주위의 주파수 대역에서 송수신하는 송수신기를 가지고 있다. 이 대역은 국가에 따른 일정 대역폭 변화에 의해 세계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데이터 이외에, 세 개까지의 음성 채널이 이용 가능하다. 각각의 장치는 IEEE 802 표준으로부터 특정한 48-비트 어드레스를 갖는다. 내장 암호화 및 검증이 또한 이용 가능하다. The Bluetooth standard defines a two-way digital radio link for short-range connections between different devices. The device has a transceiver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 the frequency band around 2.45 GHz. This band is available globally due to certain bandwidth changes by country. In addition to the data, up to three voice channels are available. Each device has a specific 48-bit address from the IEEE 802 standard. Built-in encryption and verification are also available.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30)으로의 액세스 포인트는 로컬 또는 홈 기지국(HBS)(301)이라 칭해진다. 단지 하나의 홈 기지국(HBS)(301)이 도1에 도시되어 있지만, 수백 개의 이러한 요소가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0)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 요소는 이동국(MS)(1)과의 무선 링크 프로토콜을 핸들링하고, 통상적인 GSM 기지국 송수신기(BTS)(103)의 동작과 유사한 방식으로 셀을 규정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홈 기지국(HBS)(301)은 코너 네트워크 부분에서 이용 가능한 경우, GSM 표준 A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202)와 통신하고, 표준 G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비스하는 GPRS 지원 노드(SGSN)(203)와 또한 통신하는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에 의해 제어된다.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는 MSC(202) 또는 SGSN(203) 및 이동국(1) 사이의 접속을 제공한다. 홈 기지국(HBS)(301) 및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의 조인트 기능은 SGSN(203) 및 MSC(202)를 향한 BSS(10)의 동작을 모방한다. 즉,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 터(MSC)(202) 및 서비스하는 GPRS 지원 노드(SGSN)(203)와 같은 코어 네트워크(20)의 요소에서 볼 때, 홈 기지국(HBS)(301) 및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에 의해 구성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30)은 통상적인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10)인 것처럼 보인다. An access point to an access network portion 30 that is adapted to communicate over a Bluetooth interface is called a local or home base station (HBS) 301. Although only one home base station (HBS) 301 is shown in FIG. 1, it will be understood that hundreds of such elements may be included in the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30. This element includes a radio transceiver that handles the radio link protocol with the mobile station (MS) 1 and defines the cell in a manner similar to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GSM base station transceiver (BTS) 103. Home Base Station (HBS) 301, when available in the corner network portion, communicates with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202 via GSM Standard A interface, and serves via GPRS Support Node (SGSN) Controlled by a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303 which is also in communication with 203.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303 provides a connection between the MSC 202 or SGSN 203 and the mobile station 1. The joint function of the home base station (HBS) 301 and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303 mimics the operation of the BSS 10 towards the SGSN 203 and the MSC 202. That is, in terms of elements of the core network 20, such as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202 and the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203, the home base station (HBS) 301 and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The access network portion 30 constituted by (HBSC) 303 appears to be a typical access network portion 10.

공중 이동 네트워크 무선 인터페이스에 더하여 이동국(MS1)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이동국(1) 및 홈 기지국(HBS)(301) 사이의 블루투스 무선에서도 실행된다. In addition to the public mobile network air interface, an application running on mobile station MS1 also runs in a Bluetooth radio between mobile station 1 and home base station (HBS) 301.

도1에서 Y로 지정된 홈 기지국(HBS)(301) 및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고정된 네트워크일 수 있는 패킷-교환 광대역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된다. 홈 기지국(301)은 이동 네트워크로의 고정된 액세스를 달성하기 위하여 가입자가 구매하고 가정 또는 사무실 환경과 같은 희망하는 위치에서 설치할 수 있는 소형 장치이도록 의도된다. 그러나, 이들은 또한 트래픽 핫스펏(traffic hotspot)에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오퍼레이터의 파트에서 설치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홈 기지국(301) 및 홈 기지국 제어기(303)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바람직하게는, 기존의 네트워크(302)에 의해 제공된 접속을 이용한다. 적절한 네트워크는 ADSL, 이더넷, LMDS, 등을 토대로 한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로의 홈 접속이 점점 가입자에게 이용 가능해지고 있다. 도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을지라도, 홈 기지국(HBS)(301)은 네트워크(302)로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단자에 접속되는 반면,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는 네트워크(302)를 인트라넷 및 인터넷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로 또한 링크하는 네트워 크(302)의 에지 라우터(ER)에 접속될 수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IP)은 네트워크(302)를 통한 홈 기지국(HBS)(301) 및 홈 기지국 제어기(HBSC) 사이의 통신이 네트워크 유형과 무관하게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홈 기지국(HBS)(301) 및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 사이의 링크는 바람직하게는, 항상 개방되어, 이러한 접속이 채널을 예약할 필요 없이 항상 이용 가능하게 된다. 네트워크(302)는 바람직하게는 IP-기반 네트워크이지만, ATM-기반 네트워크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DSL 기술이 이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경우, 이 기술들은 ATM 층 상부에 직접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ATM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당연히, ATM 기반 네트워크는 또한 기저 층의 역할을 하는 IP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The interface between home base station (HBS) 301 and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303, designated Y in FIG. 1, is provided by a packet-switched broadband network, which may be a fixed network. The home base station 301 is intended to be a compact device that a subscriber can purchase and install at a desired location, such as a home or office environment, to achieve fixed access to the mobile network. However, they can also be installed by the operator at traffic hotspots. In order to reduce installation costs at the part of the operator, the interface between the home base station 301 and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303 preferably uses a connection provided by the existing network 302. Suitable networks may include networks based on ADSL, Ethernet, LMDS, and the like. Home access to such networks is increasingly available to subscribers. Although not shown in FIG. 1, a home base station (HBS) 301 is connected to a network terminal providing access to the network 302, while a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303 connects the network 302 to an intranet. And an edge router (ER) of the network 302 that also links to other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Internet Protocol (IP) is used to allow communication between home base station (HBS) 301 and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over network 302 to carry data regardless of network type. The link between the home base station (HBS) 301 and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303 is preferably always open so that this connection is always available without having to reserve a channel. Network 302 is preferably an IP-based network, but ATM-based networks may also be used. In particular, when DSL technologies are used in this network, they can be used directly on top of the ATM layer because they are based on ATM. Naturally, ATM-based networks can also be used to transport IP serving as the base layer.

홈 기지국(HBS)(301)은 고정된 네트워크(302)에 액세스하기 위하여 ADSL 또는 CATV 모뎀과 같은 적절한 모뎀의 포트로 자신을 플러그 인함으로써 설치된다. 상기 포트는 IP 레벨로 브리징되거나 라우팅되는 인트라넷과 접촉하고 있다. 그러므로, IP, DHCP, DNS 등과 같은 표준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The home base station (HBS) 301 is installed by plugging itself into a port of an appropriate modem, such as an ADSL or CATV modem, to access the fixed network 302. The port is in contact with an intranet that is bridged or routed at the IP level. Therefore, standard protocols such as IP, DHCP, DNS and the like are used.

홈 기지국(HBS)(301)은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전용된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홈 기지국(HBS)(301)은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X)를 통하여 이동국(10)과 또는 광대역 네트워크 인터페이스(Y)를 통하여 액세스 제어기(303)와 독립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홈 기지국(HBS)(301)은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지신이 어느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에 접속해야 하는지를 확인하고, 이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와의 접속을 또한 설정하는 기능을 한 다. The home base station (HBS) 301 may serve as a dedicated access point to an unauthorized-wireless access network. In this case, the home base station (HBS) 301 may communicate independently with the mobile station 10 via the unlicensed-wireless interface X or with the access controller 303 via the broadband network interface Y. The home base station (HBS) 301 uses a standard protocol to identify which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303 the base should connect to, and also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is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303. Function.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홈 기지국(301)은 액세스 제어기(303) 및 이동국(10) 둘 모두에서 볼 때, 본질적으로 투명한 액세스 포인트의 역할을 한다. 즉, 이 액세스 포인트는 이동국(10) 또는 액세스 제어기 중 하나로부터 송신되는 모든 정보를 IP 레벨 및 그 이상에서 중계한다. 이것은 OSI 기준 모델 층 1과 2 비인가-무선 및 지상 액세스 층 서비스 간의 변환을 간단히 행한다. 따라서, 이동국(10)은 접속에서의 노드로서 액세스 포인트를 인식함이 없이 액세스 제어기(303)와의 접속을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액세스 제어기(303)는 이동국(1)과의 접속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home base station 301 acts as an essentially transparent access point when viewed at both the access controller 303 and the mobile station 10. That is, the access point relays all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station 10 or one of the access controllers at the IP level and above. This simplifies the conversion between OSI reference model layer 1 and 2 unlicensed-wireless and terrestrial access layer services. Thus, the mobile station 10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access controller 303 without recognizing the access point as a node in the connection. Similarly, the access controller 303 can directly establish a connection with the mobile station 1.

통상적인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10) 및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30) 둘 모두 내의 기지국(101 및 301)은 6각형 셀(104, 304)에 의해 도1에 도시된 커버리지 에어리어를 규정한다. 이러한 셀의 상대적인 치수가 도면에서 정확하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인 BTS(101)의 커버리지가 비교적 저전력 HBS(301)보다 훨씬 더 크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그리고, HBS(301)가 HBSC(303)에 접속되는 고정된 광대역 네트워크로의 포트가 존재하는 경우마다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HBS(301)에 의해 발생된 하나 이상의 미니-셀(304)은 통상적인 BTS(101)의 셀(104)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Base stations 101 and 301 in both conventional access network portion 10 and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 portion 30 define the coverage area shown in FIG. 1 by hexagonal cells 104 and 304. Although the relative dimensions of these cells are not accurate in the figures, it is nevertheless clear that the coverage of a typical BTS 101 is much greater than a relatively low power HBS 301. For this reason, and since the HBS 301 can be installed whenever there is a port to a fixed broadband network connected to the HBSC 303, one or more mini-cells generated by the HBS 301 ( 304 may be located inside cell 104 of conventional BTS 101.

통상적인 GSM 네트워크에서, 인접한 셀들 간의 호출의 핸드오버는 이동 국가 코드, 이동 네트워크 코드, 위치 에어리어 코드와 셀 식별자, 및 어느 BSC(103) 및MSC(202)(또는,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하다면, SGSN(203))가 이러한 셀을 제어하 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셀 글로벌 식별자(CGI)에 의해 이웃하는 셀의 아이덴티피케이션(identification)을 현재 접속된 액세스 네트워크(10) 및 코어 네트워크 부분(20)에 통지함으로써 가능해진다. BSC(103)는 모든 이웃하는 셀로 할당된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ARFCN)를 자신에 접속된 이동국(1)으로 통신하여, 이동국(1)이 관련 주파수를 측정하고 가장 강한 주파수를 다시 보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채널 번호(ARFCN) 이외에, 이 메시지는 또한 식별된 채널 주파수 상에서 송신하는 기지국에 대해 그 에어리어에서 특정한 기지국 아이덴티티 코드(BSIC)를 포함한다.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0)의 설치로 인한 많은 수의 미니-셀(304)의 도입에 의하여, 이 종류의 운영 및 유지보수 활동은 특히, 미니-셀의 위치가 시간에 걸쳐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복잡해지고 성가셔진다. In a typical GSM network, handover of calls between adjacent cells may include mobile country code, mobile network code, location area code and cell identifier, and which BSC 103 and MSC 202 (or SGSN, if available in the network). An access network 10 and a core network portion 20 that are currently connected to the identification of neighboring cells by a cell global identifier (CGI) that includes information about whether this cell controls such a cell. This can be done by notifying. The BSC 103 communicates the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ARFCN) assigned to all neighboring cells to the mobile station 1 connected to it so that the mobile station 1 can measure the relevant frequency and report the strongest frequency again. It should be. In addition to the channel number (ARFCN), this message also includes a base station identity code (BSIC) specific in that area for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on the identified channel frequency. With the introduction of a large number of mini-cells 304 due to the installation of the unauthorized-wireless access network 30, this kind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activities can, in particular, cause the location of the mini-cells to change over time. This is very complicated and cumbersome.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셀 식별자를 할당하기보다는 오히려, 기지국 식별자 및 각각의 미니-셀(304)에 대한 주파수 채널 번호, 동일한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모든 미니-셀(304)이 동일한 아이덴티피케이션에 의해 GSM 네트워크에 대해 식별된다. 실제로, 전체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0), 더 정확하게는 이 액세스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는 단일 특정 셀 아이덴티피케이션을 할당받는다. 셀 아이덴티피케이션은 인가된 이동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형태이다. 이러한 코어 네트워크가 GSM인 경우, 셀 아이덴티피케이션은 바람직하게는, 통상적인 GSM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셀 글로벌 식별자(CGI)에 등가이다. 상기 예의 목적을 위하여, 셀 식별자는 HBSC-CGI라 칭해질 것이다. 하나 이상의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은 단 일 관련 셀 식별자(HBSC-CGI)를 가질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assigning a specific cell identifier, the base station identifier and frequency channel number for each mini-cell 304, all mini-cells 304 in the same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have the same identification. Is identified for the GSM network. Indeed, the entire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 30, more precisely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303, which controls this access network is assigned a single specific cell identity. Cell identification is a form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core network of an authorized mobile network. If this core network is GSM, cell identification is preferably equivalent to the Cell Global Identifier (CGI) used in conventional GSM networks. For the purposes of the above example, the cell identifier will be called HBSC-CGI. If there is more than one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each will have a single associated cell identifier (HBSC-CGI).

통상적인 인가된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에서의 부가적인 이탈(departure)에서, 각각의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에 대한 단일 셀 섹별자(HBSC-CGI)는 단지 코어 네트워크의 노드에서만 구성된다. 기지국 서브시스템(BSS)(10)에서 이웃하는 비인가 무선 셀(304)의 아이덴티티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 및 이동국(MS)(1)은 통상적인 이동 네트워크에 존재하지 않는 부가적인 기능을 갖는다. 특히,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이동국(1)은 자신들이 우선 액세스 네트워크(30)와의 접속을 설정할 때, 할당된 셀 식별자(HBSC-CGI)를 수신한다. 그 후, 이러한 정보는 활성 호출을 핸들링하는 기지국 서브시스템(BSS)(10)으로 송신되고, 상기 서브시스템은 차례로 이 식별자(HBSC-CGI)를 핸드오버에 대한 목표 셀로서 통과시킬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부분(10)은 셀 식별자(HBSC-CGI)를 홈 기지국 제어기(303)에 의해 핸들링되는 셀로서 인식하고 핸드오버 요청을 이 노드에 지향시킨다. In an additional departure in handover in a typical licensed wireless cellular network, a single cell segmenter (HBSC-CGI) for eac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 is configured only at the nodes of the core network. There is no need to configure the identity of neighboring unauthorized radio cells 304 in the base station subsystem (BSS) 10. However, these elements and mobile station (MS) 1 have additional functions not present in a typical mobile network. In particular, a mobile station 1 capable of communicating over an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receives an assigned cell identifier (HBSC-CGI) when it first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access network 30. This information is then sent to a base station subsystem (BSS) 10 that handles active calls, which in turn can pass this identifier (HBSC-CGI) as the target cell for handover. The core network portion 10 recognizes the cell identifier (HBSC-CGI) as the cell handled by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303 and directs the handover request to this node.

도2는 통상적인 기지국 서브시스템(BSS)(10)을 통하여 이동국(1) 사이에 행해진 활성 호출이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홈 기지국(HBSC)(301)으로 핸드오버될 때 이동국(MS)(1), 기지국 서브시스템(BSS)(10),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202), 홈기지국 제어기(HBSC)(303) 및전용 홈 기지국(HBS)(301) 사이에 행해진 시그널링 시퀀스를 도시한다. Figure 2 shows a mobile station (MS) when an active call made between mobile stations 1 through a conventional base station subsystem (BSS) 10 is handed over to a home base station (HBSC) 301 of an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 1) a signaling sequence performed between a base station subsystem (BSS) 10, a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202, a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303, and a dedicated home base station (HBS) 301. do.

도2에서, 시그널링과 관련된 다양한 요소가 도면의 최상부에 도시되어 있다. 이동국(MS)은 도면의 양측에 두 번 표시되어 있다. 좌측 이동국(MS-Um)은 표준 GSM Um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우측 이동국(MS-X)은 동일한 이동국의 비인가 무선 인터페이스, 또는 X-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이제 도2의 이벤트 1을 참조하면, GSM 호출이 표준 Um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국(MS) 및 기지국 서브시스템(BSS) 사이에 설정되었다고 가정된다. 이벤트 2에서,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은 시스템 정보를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유형 5 메시지로 이동국(MS)에 송신한다. 이것은 이동국(MS)이 핸드오버 목적을 위하여 측정해야 하는 주파수의 리스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측정 리스트는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할당된 절대 무선 주파수 채널 번호(ARFCN)를 포함한다. 이벤트 3에서, 리스팅된 주파수에 대한 측정 보고가 이동국(MS)으로부터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으로 송신된다. 이벤트 4에서, 이동국은 비인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홈 기지국(HBS)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또는 미니-셀 내로 돌아다닌다. 이동국은 비인가 무선 인터페이스(X)를 통하여 홈 기지국(HBS)과의 무선 링크를 설정한다. 그 후, 이벤트 5에서, 이동국(MS)은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식별자(HBSC-CGI)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를 홈 기지국(HBS)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시스템 정보 3-유형 메시지로 송신된다. 그 후, 이벤트 6에서, 이 식별자는 이동국(MS)에 의해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으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로 송신된다. 이벤트 7에서,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은 HANDOVER-REQUIRED 메시지(GSM 08.08)를 이동국(MS)에 의해 통신된 비인가-무선 액세스 식별자(HBSC-CGI)를 식별하는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로 송신함으로써 핸드오버를 트리거한다. 이벤트 8에서,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는 HANDOVER-REQUIRED 메시지를 홈 기지국 제어기(HBSC)에 송신한다. 셀 식별자(CGI) 이외에, 이 메시지는 이제 핸드오버가 성공적인 경우, A-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되는 회로 식별 코드(CIC)를 또한 포함한다. 회로 식별 코드(CIC)는 HBSC-CGI와 함께 코어 네트워크에서 구성된다. 이 메시지를 수신 시에, 홈 기지국 제어기(HBSC)는 필요한 로컬 자원을 예약하고 핸드오버 레퍼런스 번호(HO 레퍼런스)를 이 핸드오버에 할당한다. 이 핸드오버 요청이 어느 홈 기지국(HBS) 및 관련 미니-셀에 관한 것인지를 이 단계에서 홈 기지국 제어기(HBSC)가 인지하지 못한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이벤트 9에서, 홈 기지국 제어기(HBSC)는 핸드오버 레퍼런스 번호(HO REFERENCE)를 포함한 무선 자원 층(RR)에 관한 필요로 되는 HANDOVER COMMAND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 후, 이 HANDOVER COMMAND 메시지는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에 송신되는 핸드오버 확인 메시지(HANDOVER-REQUEST-ACK)에 포함된다. 그 후,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이벤트 10에서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에 송신된 HANDOVER COMMAND 메시지로 확인되고, 이벤트 11에서 이동국(MS)에 송신된 HANDOVER COMMAND 메시지로 확인된다. In Figure 2, various elements related to signaling are shown at the top of the figure. The mobile station MS is shown twice on both sides of the figure. The left mobile station (MS-Um) represents a standard GSM Um interface and the right mobile station (MS-X) represents an unlicensed air interface, or X-interface, of the same mobile station. Referring now to Event 1 of FIG. 2, it is assumed that a GSM call is established between a mobile station (MS) and a base station subsystem (BSS) over a standard Um interface. In event 2, the base station subsystem (BSS) sends the system information to the mobile station (MS), for example in a system information type 5 message. This includes a list of frequencies that the mobile station (MS) should measure for handover purposes. This measurement list includes an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ARFCN) assigned to an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In event 3, a measurement report for the listed frequencies is sent from the mobile station MS to the base station subsystem BSS. At Event 4, the mobile station roams into the coverage area or mini-cell of the home base station (HBS) of the unauthorized radio access network. The mobile station establishes a radio link with the home base station (HBS) via the unlicensed air interface (X). Then, at Event 5, the mobile station MS may receive system information from the home base station HBS, including the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identifier HBSC-CGI. This information is preferably sent in a system information 3-type message. Then, at event 6, this identifier is sent by the mobile station MS in the handover offer message to the base station subsystem BSS. At Event 7, the base station subsystem (BSS) sends a HANDOVER-REQUIRED message (GSM 08.08) to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which identifies the unauthorized-radio access identifier (HBSC-CGI) communicated by the mobile station (MS). Thereby triggering a handover. At Event 8,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sends a HANDOVER-REQUIRED message to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In addition to the cell identifier (CGI), this message now also contains the circuit identification code (CIC) used in the A-interface if the handover is successful. The circuit identification code (CIC) is configured in the core network along with the HBSC-CGI. Upon receiving this message,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reserves the necessary local resources and assigns a handover reference number (HO reference) to this hando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is not aware at this stage which home base station (HBS) and associated mini-cell this handover request is for. At Event 9,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generates the required HANDOVER COMMAND message for the radio resource layer (RR) including the handover reference number (HO REFERENCE). This HANDOVER COMMAND message is then included in a handover acknowledgment message (HANDOVER-REQUEST-ACK) sent to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The handover request message is then acknowledged with a HANDOVER COMMAND message sent to the base station subsystem (BSS) at event 10 and a HANDOVER COMMAND message sent to mobile station MS at event 11.

그 후, 이동국은 홈 기지국(HBS)을 통하여 홈 기지국 제어기(HBSC) 쪽으로 필요한 접속을 설정한다. 이것은 이벤트 12에서 "비인가 핸드오버 액세스"라 칭해지는 적절한 메시지의 송신에 의해 달성된다. 이 메시지는 핸드오버 레퍼런스 번호(HO 레퍼런스)를 포함한다. 이벤트 13에서 고정된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을 설정한 이후에, 홈 기지국은 이벤트 14에서 핸드오버 레퍼런스 번호(HO 레퍼런스) 및 광대역 네트워크(302)를 통한 접속을 위한 IP 관련 데이터와 같은 접속에 필요한 부가적으로 모든 다른 데이터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액세스 메시지를 송신한 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음성 및 데이터 패킷이 송신되어야 하는 홈 기지국(HBS)의 IP-어드레스 및 UDP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station then establishes the necessary connection towards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via the home base station HBSC. This is accomplished by sending the appropriate message called "Unauthorized Handover Access" at Event 12. This message includes a handover reference number (HO reference). After establishing a connection over a fixed broadband network at Event 13, the home base station may add additional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connection, such as a handover reference number (HO reference) and IP related data for connection over the broadband network 302, at Event 14 In general, it sends a handover access message that includes all other data. This may include, for example, the IP-address and UDP of the home base station (HBS) to which voice and data packets should be transmitted.

홈 기지국 제어기(HBSC)는 이 메시지를 수신할 때, 상기 메시지를 핸드오버 레퍼런스 번호(HO 레퍼런스)를 사용하여 이전 핸드오버 요청과 관련시킬 수 있다. 그 후, 홈 기지국 제어기(HBSC)는 자신에게 이전에 통신된 CIC 값을 사용하여, 할당된 회로를 A-인터페이스를 통하여 IP 자원과 접속시킨다. 마찬가지로, 홈 기지국 제어기(HBSC)는 이벤트 15에서 양방향성 음성 경로를 설정하기 위하여 음성 IP 어드레스 및 UDP-포트와 같은 필요한 IP 정보를 홈 기지국(HBS)에 송신한다. 그 이후에, 홈 기지국 제어기(HBSC)는 이벤트 16에서 성공적인 핸드오버의 확인 시에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에 HANDOVER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 후, 이동 서비스 스위칭 센터(MSC)는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에서 사용된 오래된 음성 경로를 해제할 수 있다. When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receives this message, it can associate the message with a previous handover request using a handover reference number (HO reference).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then uses the CIC value previously communicated to it to connect the assigned circuit with the IP resource via the A-interface. Similarly,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transmits necessary IP information, such as voice IP address and UDP-port, to the home base station (HBS) in order to establish a bidirectional voice path at event 15. Thereafter,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sends a HANDOVER COMPLETE message to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upon confirmation of successful handover at event 16.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can then release the old voice path used in the base station subsystem (BSS).

도3은 홈 기지국(HBS)이 기지국 제어기 및/또는 이동국으로 전달되는 전용 홈 기지국(HBS)의 기능을 갖는 투명한 액세스 포인트인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0)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대한 시그널링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이동국은 액세스 포인트를 경유하여 광대역 네트워크 및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홈 기지국 제어기(HBSC)(303)와 직접 통신한다. 이제 도3을 참조하면, 이동국(MS-X) 및 홈 기지국(HBS) 사이의 통신과 관련된 단계를 제외한 모든 단계는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특히, 이벤트 4는 이동국(MS)이 홈 기지국(HBS)과의 비인가 무선 통신을 설정하는 제1 이벤트(4a) 및 이동국이 광대역 IP 네트워크(302)를 통하여 홈 기지국 제어기(HBSC)에 부속되는 제2 이벤트(4b)를 포함한다. 이벤트 12에서, 이동국(MS)은 비인가 무선 인터페이스(X) 및 광대역 네트워크(302)를 통하여 홈 기지국 제어기(HBSC)와 직접 시그널링 접속을 설정한다. 이벤트 13에서 Y-핸드오버 액세스(HO-REFERENCE)는 이동국에 의해 홈 기지국 제어기(HBSC)에 송신되고, 이벤트 14에서 이동국(MS) 및 홈 기지국 제어기(HBSC) 사이의 음성 경로가 설정된다. 그 후, 이벤트 15에서 HANDOVER COMPLETE-메시지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송신된다. 3 shows signaling for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n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 30 in which a home base station (HBS) is a transparent access point having the function of a dedicated home base station (HBS) delivered to a base station controller and / or a mobile station. do. In this embodiment, the mobile station communicates directly with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303 via a broadband network and an unlicensed-wireless interface via an access point. Referring now to FIG. 3, all steps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except for those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station MS-X and the home base station HBS. In particular, event 4 is the first event 4a in which the mobile station MS establishes unlicensed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home base station HBS and in which the mobile station is attached to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via the broadband IP network 302. 2 includes event 4b. In event 12, the mobile station MS establishes a direct signaling connection with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via the unlicensed air interface X and the broadband network 302. In event 13, the Y-handover access (HO-REFERENCE) is sent by the mobile station to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and in event 14 the voice path between the mobile station (MS) and the home base station controller (HBSC) is established. Then, at event 15, a HANDOVER COMPLETE-message is sent as in the first embodiment.

양 실시예에 대한 시그널링에서, 이벤트 6에서 이동국(MS)에 의해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으로 송신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는 새로운 유형의 메시지이거나, 대안적으로, 기존 메시지 유형, 예를 들어, 이벤트 3에서 송신된 측정 보고 메시지의 변형일 수 있다. 양 경우에,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은 이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에 응답해야 한다. 이벤트 7에서 송신된 HANDOVER-REQUIRED-메시지는 표준 GSM 메시지여서, 기지국 서브시스템(BSS) 및 코어 네트워크 부분 간의 통신을 위해 필요로 되는 변경을 존재하지 않는다. In the signaling for both embodiments, the "handover offer" message sent by the mobile station MS to the base station subsystem BSS in event 6 is a new type of message or, alternatively, an existing message type, e.g. This may be a variation of the measurement report message sent in event 3. In both cases, the base station subsystem (BSS) must receive and respond to this particular message. The HANDOVER-REQUIRED-message sent in Event 7 is a standard GSM message, so there is no change requir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 station subsystem (BSS) and the core network portion.

베이스 서브시스템(BSS)가 표준 측정 보고 메시지 대신에 변경된 측정 보고 또는 특정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이 기능을 지원하는 기지국 서브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도2 및 3의 이벤트 3에서 이동국으로 송신된 시스템 정보 유형 5 메시지 내에 이 기능을 표시한다. In order for the base subsystem (BSS) to receive a modified measurement report or a specific "handover proposal" message instead of the standard measurement report message, the base station subsystem supporting this function is preferably, for example, FIG. This function is indicated in a system information type 5 message sent to the mobile station in event 3 of 2 and 3.

불필요한 코어 네트워크 자원의 소비를 감소시키는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의 부가적인 변경은 이동국(MS)에 의해 제안된 목표 셀의 블랙리스트를 유지하도록 이 기능을 지원할 수 있지만, 핸드오버가 실패하였던 각각의 기지국 서브시스템을 위한 것이다. 이 리스트는 기지국 제어기(103) 내의 메모리에 유지되고,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의 수신 시에 기지국 제어기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하다. 목표 셀로의 핸드오버가 상당한 회수로 실패하면, 목표 셀 식별자(HBSC-CGI)는 리스트에 부가될 것이다. 그 후, 이와 같은 셀로의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이동국에 의한 임의의 갱신된 시도가 부정될 것이다. Additional changes in the base station subsystem (BSS) that reduce the consumption of unnecessary core network resources may support this function to maintain a blacklist of target cells proposed by the mobile station (MS), but each handover has failed. For the base station subsystem. This list is maintained in memory i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03 and is accessible by the processor i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upon receipt of the "Handover Suggestion" message. If the handover to the target cell fails a significant number of times, the target cell identifier (HBSC-CGI) will be added to the list. Thereafter, any updated attempt by the mobile station requesting handover to such a cell will be denied.

핸드오버의 상술된 설명은 단지 통상적인 공중 이동 네트워크로서 GSM 네트워크에 관련된다. 그러나, UMTS 또는 CDMA2000과 같은 다른 통상적인 공중 이동 네트워크로부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유사한 방식으로 핸들링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모든 경우에, 셀 식별자는 코어 네트워크 요소에 의해 인식되는 형태를 갖도록 선택되어, 이러한 요소의 변경이 필요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The above description of handover relates only to the GSM network as a typical public mobile network.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handover from another conventional public mobile network such as UMTS or CDMA2000 to an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can be handled in a similar manner. In all cases, the cell identifier should be chosen to have a form recognized by the core network element so that no change in this element is necessary.

Claims (15)

코어 네트워크 부분(20), 하나 이상의 제1 액세스 네트워크, 및 하나 이상의 제2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30)을 포함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로서,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 부분은 인가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국(1)과 통신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20)과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다수의 기지국(10)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는 각각 미니-셀을 규정하며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31)를 통하여 각각의 미니-셀에 위치된 이동국(1)과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301); 소정의 인가된 이동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과 통신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301)와 접속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303)를 포함하는 상기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comprising a core network portion 20, one or more first access networks, and one or more second access network portions 30, wherein the first access network portion is connected to a mobile station 1 via an authorized air interface. And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0 adapted to communicate with the core network portion 20, wherein the second access network each defines a mini-cell and each via an unlicensed-wireless interface 31.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301 adapted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station 1 located in the mini-cell; 12. I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comprising an access network controller 303 adapted to communicate with the core network portion via a predetermined authorized mobile network interface and connected with the plurality of access points 301: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30)는 미니-셀로 진입하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와 활성 호출을 행하고 있을 때 이동국과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고 셀 식별자를 상기 이동국으로 통신하도록 적응되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10)로부터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활성 호출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20)에 대한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30)의 하나 이상의 미니-셀을 식별하며,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기지국(10)은 상기 셀 식별자를 포함한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셀 식별자를 핸드오버가 필요로 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The second access network 30 is adapted to establish a radio link with the mobile station and to communicate a cell identifier to the mobile station when the mobile station entering the mini-cell is making an active call with the first access network. One or more mini-cells of the second access network 30 for the core network portion 20 to enable handover of an active call from the first access network 10 to the second access network. Wherein at least one base station 10 of the first access network receives a message containing the cell identifier from the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es the cell identifier to the core network portion with a message indicating that handover is required.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30)는 동일한 셀 식별자를 상기 제2 액세스 네트워크 내의 모든 미리-셀로 진입하는 이동국에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And said second access network (30) is adapted to communicate the same cell identifier to mobile stations entering all pre-cells in said second access network.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액세스 포인트(301)는 상기 셀 식별자를 상기 이동국에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An access point (301) is adapted to communicate said cell identifier to said mobile station.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303)는 상기 셀 식별자를 상기 이동국에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And an access network controller (303) is adapted to communicate the cell identifier to the mobile station.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303)는 상기 셀 식별자를 포함한 핸드오버 요청을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20)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핸드오버 레퍼런스를 할당하며 상기 핸드오버 레퍼런스를 포함한 메시지가 상기 이동국(1)으로부터 수신될 때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 및 이동국 사이에 통신 경로를 설정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The access network controller 303 receives a handover request from the core network portion 20 including the cell identifier, assigns a handover reference to the request and sends a message containing the handover reference to the mobile station 1.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adapted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said core network portion and a mobile station when received from. 제 1 항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20)은 상기 셀 식별자를 단일 셀 어드레스로 간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And wherein said core network portion (20) regards said cell identifier as a single cell address. 제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광대역 패킷-교환 네트워크(302)는 상기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301)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303)와 접속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And a broadband packet-switched network (302) is provided for connecting said plurality of access points (301) with said access network controller (303). 제 1 항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10)은 상기 셀 식별자를 포함한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 시에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하여 자신의 성능을 이동국에 통지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And the one or more base stations (10) of the first access network are adapted to notify the mobile station of its capability to trigger a handover upon receiving a message containing the cell identifier from the mobile station. network. 제 1 항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제1 액세스 네트워크의 상기 하나 이상의 기지국(10)은 핸드오버가 소정 회수로 실패하였던 미니-셀을 식별하는 셀 식별자의 리스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10)은 셀 식별자를 포함한 메시지의 수신 시에 상기 메 모리를 참고하고 상기 셀 식별자가 상기 메모리에 포함되는 경우 핸드오버를 부정하도록 더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기통신 네트워크. The one or more base stations 10 of the first access network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a list of cell identifiers identifying mini-cells for which handover has fail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 base station 10 includes a cell identifier. Refer to the memory upon receipt of a message and further adapt to negate handover when the cell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memory. 인가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가된-무선 이동 통신 네트워크(20)의 액세스 네트워크(10)와 통신하고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인가된-무선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0)와 통신하도록 적응된 이동국에 있어서,An unauthorized-wireless access network 30 in communication with an access network 10 of an authorized-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 via an authorized air interface and connected to the authorized-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via an unlicensed-wireless interface. A mobile station adapted to communicate with 상기 이동국(1)은 상기 인가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활성 호출을 행하면서, 상기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셀 식별자를 수신하도록 적응되며, 상기 식별자는 상기 인가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10)로부터 상기 비인가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활성 호출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20)에 대한 상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0)의 하나 이상의 미니-셀을 식별하고, 상기 셀 식별자를 상기 인가된-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로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The mobile station 1 is adapted to receive a cell identifier from the unauthorized wireless access network via the unauthorized wireless interface while making an active call with the authorized wireless access network, the identifier being the authorized radio access network. Identify one or more mini-cells of the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30 for the core network portion 20 to enable handover of an active call from 10 to the unauthorized access network, and the cell Mobile station adapted to communicate an identifier in a handover offer message to the 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이동국으로 공중 인가된 이동 네트워크의 셀로부터 상기 공중 이동 네트워크에 접속된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미니-셀로 행해진 활성 호출을 핸드오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공중 인가된 이동 네트워크는 상기 셀을 규정하는 액세스 부분(10) 및 상기 액세스 부분에 접속된 코어 네트워크 부분(20)을 포함하며, 상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30)는 각각 미니-셀을 규정하고 비인가-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동국(1)과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301)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 및 상기 공중 이동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 부분과 통신하도록 적응되는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303)를 포함하는, 상기 활성 호출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handing over an active call made from a cell of a mobile network that is publicly authorized to a mobile station to a mini-cell of an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connected to the public mobile network, wherein the publicly authorized mobile network defines an access portion that defines the cell. 10 and a core network portion 20 connected to the access portion, wherein the unlicensed-wireless access network 30 defines a mini-cell and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station 1 via an unlicensed-wireless interface, respectively. A method of active call handover, comprising: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301 adapted and an access network controller 303 adapted to communicate with the access point and the core network portion of the public mobile network: 상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상기 인가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활성 호출을 행하지만, 상기 미니-셀 내에 위치되는 이동국과의 무선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Setting up a radio link with a mobile station located within the mini-cell, although the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makes an active call with the authorized radio access network; 상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적어도 상기 미니-셀을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으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목표 셀로서 식별하는 셀 식별자를 상기 이동국으로 통신하는 단계,Communicating, by the unauthorized-radio access network, to the mobile station a cell identifier identifying at least the mini-cell as a target cell for handover to the core network portion; 상기 인가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상기 셀 식별자를 포함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셀 식별자를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으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활성 호출 핸드오버 방법.Receiving, by the authorized radio access network, a handover proposal message containing the cell identifier from the mobile station and transmitting the cell identifier to the core network portion as a handover request message.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이 상기 셀 식별자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와 관련시키고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에 송신하는 단계,The core network portion associating the cell identifier with the access network controller and sending a handover request message to the access network controller;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가 핸드오버 레퍼런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코어 네트워크 부분으로부터 수신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고 상기 핸드오버 레퍼런스를 핸드오버 확인 메시지로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부분(10)에 송신하는 단계,The access network controller responding to a handover request message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portion by generating a handover reference and sending the handover reference to the core network portion 10 as a handover confirm message;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 제어기(303)가 상기 로컬 기지국(301)을 통하여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상기 핸드오버 레퍼런스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핸드오버 레퍼런스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국과의 통신 결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호출 핸드오버 방법. Receiving, by the access network controller 303, the handover reference from the mobile station via the local base station 301, and establishing a condensation with the mobile station in response to the received handover reference. Active call handover method. 제 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단일 공통 셀 식별자를 상기 비인가-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의 모든 미니-셀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호출 핸드오버 방법. Allocating a single common cell identifier to all mini-cells in the unauthorized wireless access network. 제 11 항 또는 1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or 12, 상기 인가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핸드오버가 소정 회수로 실패하였던 미니-셀을 식별하는 셀 식별자를 저장하는 단계, 및Storing, by the authorized radio access network, a cell identifier identifying a mini-cell for which handover has fail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이동국으로부터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의 수신 시에 상기 저장된 셀 식별자를 참고하고 상기 메시지가 저장된 셀 식별자를 포함하는 경우 핸드오버를 부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호출 핸드오버 방법. Referencing said stored cell identifier upon receipt of a handover proposal message from a mobile station and negating handover if said message comprises a stored cell identifier. 제 11 항 내지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to 14, 상기 인가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가 상기 셀 식별자를 포함한 핸드오버 제안 메시지를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수신 시에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한 자신의 성능을 상기 이동국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호출 핸드오버 방법. And wherein the authorized radio access network indicates to the mobile station its capability to trigger a handover upon receiving a handover offer message containing the cell identifier from the mobile station. Over way.
KR1020067020542A 2006-09-30 2004-03-30 Mobile communication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KR200601329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0542A KR20060132988A (en) 2006-09-30 2004-03-30 Mobile communication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0542A KR20060132988A (en) 2006-09-30 2004-03-30 Mobile communication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988A true KR20060132988A (en) 2006-12-22

Family

ID=37812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542A KR20060132988A (en) 2006-09-30 2004-03-30 Mobile communication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3298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109B1 (en) * 2007-05-31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the cell of multi-mode portab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109B1 (en) * 2007-05-31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the cell of multi-mode portable terminal
US8265636B2 (en) 2007-05-31 2012-09-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ells of multi-mode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076B1 (en) Handover between unauthorized wireless network and cellular network using a single identifier for all access points
US20070264996A1 (en) Mobile communication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US20070293222A1 (en) Mobile Communications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EP34627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icensed-radio access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KR101111035B1 (en)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in mobile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US8676262B2 (en) Self-configuring cellular basestation
EP1786222B1 (en) Access network, gateway and management server for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925074B1 (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20100093358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handover method therein
WO2006012909A1 (en) Handover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EP1827047A1 (en) Mobility management method for mobile terminals in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s well as corresponding equipment
JP4499783B2 (en) System for assigning mobile units to core network in unlicensed radio access network
KR20060019450A (en) System and method for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using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US20060056395A1 (en) Handover for packet switched data
KR20060132988A (en) Mobile communication with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KR100636328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handovver on cellular system using the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
KR20060126778A (en)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MXPA06008275A (en) Unlicensed-radio access networks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