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385A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385A
KR20060132385A KR1020050052698A KR20050052698A KR20060132385A KR 20060132385 A KR20060132385 A KR 20060132385A KR 1020050052698 A KR1020050052698 A KR 1020050052698A KR 20050052698 A KR20050052698 A KR 20050052698A KR 20060132385 A KR20060132385 A KR 20060132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main body
locker
protrus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6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44799B1 (en
Inventor
김성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2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799B1/en
Priority to CNB2006100808254A priority patent/CN100473081C/en
Publication of KR2006013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3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7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to enable a slider to slide up or left as well as down or right, thereby satisfying changing needs of consumers and mounting more parts within the slider, and easily performing the arrangement of the part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locking device comprises the followings: a main body(2); a slider which is installed to slide up or down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2); and the locking device in which makes the slider locked in a location where the front of the main body(2) is covered or makes the slider released from the locked state so as for the slider to automatically slide d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the followings: a projection which is projected in one side of the main body(2) and the slider; and a locker(50) which is arranged i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2) and the slider so as for the projection to be locked or released.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device}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일실시예의 슬라이더 메인 바디의 전방에 배치되었을 때의 측면도,1 is a side view when disposed in front of a slider main body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일실시예의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업되었을 때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when the sli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lid up;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일실시예의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다운되었을 때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when the sli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lid down;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메인 바디의 정면측 사시도,4 is a front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S. 1 to 3;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배면측 사시도,5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r shown in FIGS. 1 to 3;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록커가 걸림 위치에 위치될 때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when the locker shown in FIGS. 1 to 5 is positioned at a locked position;

도 7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록커가 걸림 해제 위치에 위치될 때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when the locker shown in FIGS.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메인 바디 20: 슬라이더2: main body 20: slider

36: 수용홈 38: 스프링 시트부36: receiving groove 38: spring seat portion

40: 록킹 장치 42: 돌기40: locking device 42: projection

44: 경사면 50: 록커44: slope 50: rocker

52: 록커의 일부 54: 걸림부52: part of the locker 54: locking portion

56: 경사면 60: 스프링56: slope 60: spring

70: 록 해제 기구 72: 누름 키70: lock release mechanism 72: push key

74: 푸셔 L: 걸림 위치74: pusher L: jam position

UL: 걸림 해제 위치UL: Jam release position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더가 메인 바디의 전방 상측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바디의 전방 하측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slider can slide not only to the front upper side of the main body but also to the front lower side of the main body.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Floder) 타입, 슬라이드(Slide) 타입 등으로 구분되고,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진 촬영이나 동영상 시청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는 추세이며, 슬라이더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다 다양한 기능 구현에 많이 응용되고 있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a folder type, a slide type, and the like, and in recent yea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end to implement various functions such as taking a picture or watching a video. It is applied to many more functions.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다의 전면에 상측으로 슬라이드되게 장착된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main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lider mounted to slide upward on the front of the main sea.

상기 메인 바디는 전면 하부에 전화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 패드와 송 화부가 설치된다.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keypad and a transmitter for entering a phone number and the like in the lower front.

상기 슬라이더에는 통화 정보나 동영상 등을 표시하는 엘시디 등의 디스플레이가 설치되고, 전면 상부에는 수화부가 설치된다.The slider is provided with a display such as an LCD for displaying call information, a video, and the like, and a sign language unit is provided at the upper front side.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을 덮는 위치(대기모드)에서 상측 위치(통화모드)로 슬라이딩될 수만 있으므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limited to satisfy various needs of consumers because the slider can only be slid from the position (standby mode)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to the upper position (call mode). There is a problem.

한편, 공개특허공보 10-2004-0098979(출원번호 10-2003-0031337)에는 상기 슬라이더를 상측뿐만 아니라 하측으로도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양방향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4-0098979 (Application No. 10-2003-0031337) discloses a two-way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liding the slider not only upside but also downside.

상기 양방향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슬라이더의 배면측에 가이드홈이 상하로 형성되고, 메인 바디의 전면측에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가이드되는 ‘T’자 형의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된다.In the bidirec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lider up and down, and a 'T' shaped guide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guide groove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상기 양방향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슬라이더가 스텝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면에 다수개의 볼홈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의 내부 일측에는 볼 스프링이 구비된다.The bidirec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lurality of ball groov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guide groove so that the slider is moved step by step, and a ball spring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그러나, 종래의 양방향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슬라이더의 스텝 이동(상측,중앙,하측)을 위해 상기 가이드홈의 양측면에 적어도 3개의 볼홈이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T’자 형의 가이드 돌기에 볼 스프링이 구비되므로, ‘T’자 형의 가이드 돌기 및 가이드 홈의 크기가 크게 되어 슬라이더에 장착할 수 있는 부 품수가 제한됨과 아울러 그 부품 배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idirection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least three ball grooves must b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groove for step movement of the slider (upper, center, lower), and the 'T' shaped guide protrusion Since the ball spring is provided, the size of the 'T' shaped guide protrusion and the guide groove is increased, thereby limiting the number of parts that can be mounted on the slider and having difficulty in disposing the parts.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더가 상측(혹은 좌측)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측(혹은 우측)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어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고, 슬라이더의 내부에 보다 많은 부품을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부품 배치가 용이하며, 구조가 간단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slider can be slid to the upper side (or left side) as well as to the lower side (or right side)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consume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not only able to mount more parts inside the slider but also easily arranges the parts and has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더를 자동으로 하향 슬라이드 시키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automatically sliding the slider dow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을 덮는 위치에 걸림되도록 하거나 상기 슬라이더가 자동으로 하향 슬라이딩되도록 걸림 해제되도록 하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he main body; A slider installed to be slidably upward or downward in front of the main body; And a locking device configured to lock the slider to a position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or to release the slider so that the slider slides downward automatically.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에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메인 바디 중 일측에 돌출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가 걸림되거나 걸림 해제 되도록 상기 슬라이더와 메인 바디 중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록커와; 상기 록커를 상기 돌기의 걸림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와; 상기 록커를 상기 돌기의 걸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록 해제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slider slid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in both directions;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lider and the main body; A locker disposed to be mov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slider and the main body so that the protrusion is locked or release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er to a locking position of the protrusion; And a lock release mechanism for moving the locker to the latch release position of the protrusion.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스프링이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록커의 일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spring and part of the locker is formed.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시트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eiv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sea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pring is installed.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의 배면에 돌출되게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은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lider is slidably disposed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the protrusion is arranged to protrude on the rear surface of the slider, the receiving gro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formed long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

상기 돌기와 록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하향 슬라이딩 된 후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돌기가 상기 록커를 옆으로 밀면서 상승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 and the rock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so that when the slider is slid downward and the front body of the main body, the protrusion is raised while pushing the rocker to the side.

상기 록커는 상기 돌기가 하향 걸림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 보다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The lock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projection is locked downward.

상기 록 해제 기구는 상기 메인 바디에 형성된 누름 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 release mechanis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sh key formed in the main body.

상기 록 해제 기구는 상기 누름 키의 누름시 상기 록커를 상기 돌기의 걸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 release mechanis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usher for moving the locker to the unlocking position of the projection when the pressing key is press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일실시예의 슬라이더 메인 바디의 전방에 배치되었을 때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일실시예의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업되었을 때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일실시예의 슬라이더가 슬라이드 다운되었을 때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when disposed in front of the slider main body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when the slider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lide up, 3 is a side view when the slid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lid down.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2)에 슬라이더(1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 to 3, the slider 10 is slidably arranged on the main body 2.

상기 메인 바디(2)는 리어 케이싱(4)과, 상기 리어 케이싱(4) 전방의 프론트 케이싱(6)으로 구성된다.The main body 2 consists of a rear casing 4 and a front casing 6 in front of the rear casing 4.

상기 리어 케이싱(4)에는 배터리(5)가 장착된다.The rear casing 4 is equipped with a battery 5.

상기 메인 바디(2)에는 전화 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 패드(7)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8)가 설치된다.The main body 2 is provided with a keypad 7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and the like, and a controller 8 for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메인 바디(2)에는 송화부(9)와 안테나(10)가 설치된다.The main body 2 is provided with a transmitter 9 and an antenna 10.

상기 슬라이더(20)는 리어 슬라이더(22)와, 상기 리어 슬라이더(22) 전방의 프론트 슬라이더(24)로 구성된다.The slider 20 is composed of a rear slider 22 and a front slider 24 in front of the rear slider 22.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방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양방향 슬라이딩되는 것도 가능하고, 좌측 또는 우측으로 양방향 슬라이딩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slider 20 may be slid bidirectionally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2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and may be slid bidirectionally to the left or the right side. Hereinafter, the slider 20 is limited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상기 슬라이더(2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종 정보나 동영상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6)가 설치되고 수화부(28)가 설치된다.The slider 20 is provided with a display 26 for displa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 video, etc.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ign language unit 28 is provided.

상기 슬라이더(20)는 상부와 하부 중 적어도 일측에 카메라 등(29)이 고정/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slider 20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such that the camera 29 is fixed / rotable.

상기 슬라이더(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면을 덮거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면 중 일부(2′)(2″)를 노출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면 중 하부(2′)가 노출되도록 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면 중 상부(2″)가 노출되도록 한다.The slider 20 covers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 as shown in FIG. 1 or a portion 2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 as shown in FIGS. 2 and 3. 2 ″, as shown in FIG. 2, sliding upward to expose the lower portion 2 ′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 and as shown in FIG. 3, downward. The upper surface 2 ″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 is exposed to slide.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면 중 상부(2″)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메인 바디(2)는 그 전면 상부와 하부 중 일측에 상기 키 패드(7)가 설치되고, 타측에 상기 디스플레이(16)를 보조하는 서브 디스플레(30)나, 각종 입출력 단자(32)나, 스피커(34)나, 문자 메시지 전용의 문자 키 패드(미도시) 등(이하, ‘서브 디스플레이 등’이라 칭함)이 설치된다That is, since the upper portion 2 ″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ain body 2 may have the keypad 7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body. On the other side, the sub-display 30 to assist the display 16, various input / output terminals 32, speakers 34, a text key pad (not shown) for text messages, etc. A sub display, etc.) is installed.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면 하부에 상기 키 패드(7)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면 상부에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30), 입출력 단자(32), 스피커(34), 문자 키 패드 등이 설치된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keypad 7 is installed under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 and the sub display 30, the input / output terminal 32, The speaker 34, a character keypad, and the like are provided in a limited manner.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슬라이더(20)가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면을 덮는 위치에서 상,하(혹은 좌,우) 중 일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딩되고, 상,하(혹은 좌,우) 중 타방향으로 걸림/걸림 해제되게 슬라이딩되는 바, 상기 메인 바디(2)와 슬라이더(20)에는 상기 슬라이더(20)를 걸림/걸림 해제시키는 록킹 장치(40)가 설치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lides freely in one direction among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at a position where the slider 20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 and the other of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The locking device 40 for locking / unlocking the slider 20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2 and the slider 20.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메인 바디의 정면측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슬라이더의 배면측 사시도이다.4 is a front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body shown in FIGS. 1 to 3, and FIG. 5 is a rear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slider shown in FIGS. 1 to 3.

상기 메인 바디(2)는 그 전면 좌,우에 가이드 홈(11)(12)이 상하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 홈(11)(12)의 각각에 가이드 봉(13)(14)의 각각이 상하로 길게 배치된다.The main body 2 has guide grooves 11 and 12 formed on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2, and each of the guide rods 13 and 14 is formed at each of the guide grooves 11 and 12. It is arranged long up and down.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면에는 상기 슬라이더(20)의 배면측에 스크류나 리벳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되어 상기 슬라이더(20)와 함께 상하로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드 부재(15)가 배치된다.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 a slide member 15 which is fastened with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screw or a rivet on the rear side of the slider 20 and slides up and down with the slider 20 is disposed. do.

상기 슬라이드 부재(15)는 상기 가이드 봉(13)(14)에 전방으로 걸림되고 상기 가이드 봉(13)(14)을 따라 상하로 가이드되는 가이드부(16)(17)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slide member 15 is hooked forward to the guide rods 13 and 14 and guide portions 16 and 17 guided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ods 13 and 14 are formed in a hook shape. .

상기 록킹 장치(40)는 상기 메인 바디(2)와 슬라이더(20) 중 일측에 돌출된 돌기(42)와; 상기 돌기(4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해제 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2)와 슬라이더(20) 중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록커(50)와; 상기 록커(50)를 상기 돌기(42)의 걸림 위치(L)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60)과; 상기 록커(50)를 상기 돌기(42)의 걸림 해제 위치(UL)로 이동시키는 록 해제 기구(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ocking device 40 includes a protrusion 42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2 and the slider 20; The protrusion 42 is locked as shown in FIG. 2 or as shown in FIG. 3, and the locker 50 is movably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2 and the slider 20 to release the lock. ; A spring 60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cker 50 at the locking position L of the protrusion 42; The locker 50 further comprises a lock release mechanism 70 for moving the locker 50 to the latch release position UL of the protrusion 42.

이하, 상기 록커(50)와 스프링(60)과 록 해제 기구(70)가 상기 메인 바디(2)에 설치되고, 상기 돌기(42)가 상기 슬라이더(20)의 배면에 돌출되게 배치된 것으 로 한정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ocker 50, the spring 60, and the lock release mechanism 70 are installed on the main body 2, and the protrusions 42 are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slider 20. The description will be limited.

상기 메인 바디(20)에는 상기 스프링(60)이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록커(50)의 일부(52)가 수용되는 수용홈(36)이 형성된다.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36 for accommodating the spring 60 and a portion 52 of the locker 50.

상기 수용홈(36)에는 상기 스프링(60)이 설치되는 스프링 시트부(38)가 돌출 형성된다.The receiving groove 36 is formed with a spring seat portion 38 protruding from the spring 60 is installed.

상기 수용홈(36)은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The receiving groove 36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2).

상기 록커(50)는 상기 돌기(42) 가 하향 걸림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면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부(54)가 형성된다.The locker 50 has a locking portion 54 protruding forward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 so that the protrusion 42 is downwardly locked.

한편, 상기 돌기(42)와 록커(50)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슬라이더(2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슬라이딩 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돌기(42)가 상기 록커(50)를 옆으로 밀면서 상승되도록 경사면(44)(56)이 형성된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s 42 and the lockers 50 slides downward in the slider 20, as shown in FIG. 3, and then, as shown in FIG. 1, in front of the main body 2. When sliding inwards, the inclined surfaces 44 and 56 are formed such that the protrusions 42 are raised while pushing the lockers 50 sideways.

상기 돌기(42)는 그 배면 하부와 하면이 직교하게 형성되고, 상부 중 일부에 상기 경사면(44)이 옆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protrusion 42 has a low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reof formed at right angles, and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42 is inclined sideways.

상기 록커(50)는 상기 걸림부(54)의 배면 상부와 상면이 직교하게 형성되고, 하부 중 일부에 상기 경사면(56)이 옆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locker 50 has an upper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rear surface of the locking portion 54, and the inclined surface 56 is formed to be inclined sideways on a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록커가 걸림 위치에 위치될 때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록커가 걸림 해제 위치에 위치될 때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when the locker shown in FIGS. 1 to 5 is located in a locked position, and FIG.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when the locker shown in FIGS. .

상기 록 해제 기구(7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바디에 형성된 누름 키(72)와, 상기 누름 키(72)의 누름시 상기 록커(50)를 상기 돌기(42)의 걸림 해제 위치(UL)로 이동시키는 푸셔(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lock release mechanism 70 is configured to press the lock key 50 formed on the main body and the locker 50 when the push key 72 is press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usher (74) to move to the unlocking position (UL) of.

상기 메인 바디(2)에는 상기 누름 키(72)를 덮고 탄성을 갖는 키 커버(76)가 설치된다.The main body 2 is provided with a key cover 76 covering the push key 72 and having elasticit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슬라이더(2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방(즉,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20)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 상기 슬라이더(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업(즉, 상측)되고,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면 하부(2′)는 전방으로 노출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when the slider 20 is pushed upward while the slider 20 is disposed at the front (ie, the center) of the main body 2, the slider 20 is moved upward. 2 is slideed up (ie, upper), and the front lower part 2 'of the main body 2 is exposed forward.

상기 슬라이더(2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업(즉, 상측)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키 패드(7)를 입력하여 통화 등을 행한다.In the state where the slider 20 is slid up (ie, upward) as shown in Fig. 2, the user inputs the keypad 7 to make a call or the like.

한편, 상기 슬라이더(20)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업(즉, 상측)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20)를 하측으로 끌어내리면, 상기 슬라이더(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다운(즉, 중앙)되고, 이때 상기 돌기(42)의 하부는 상기 록커(50)의 걸림부(54)의 상부에 하측 방향으로 걸림되어 더 이상 하측으로 슬라이드 되지 않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2, when the slider 20 is pulled down in the slide-up (ie, upward) state as shown in FIG. 2, the slider 20 is shown in FIG. 1. And, the slide down (ie, the center), the lower portion of the protrusion 42 is locked to the upper direc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locking portion 54 of the locker 50 is no longer slide downward.

즉,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면을 덮으면서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방(즉, 중앙)에 배치된다.That is, the slider 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body 2 (ie, the center) while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

상기 슬라이더(2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방(즉,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 키(72)를 누르면, 상기 록커(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60)을 압축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54)가 돌기(42)의 걸림 위치(L)에서 걸림 해제 위치(UL)로 이동되며, 이때, 상기 돌기(42)의 구속은 해제된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push key 72 is pressed while the slider 2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ain body 2 (ie, the center), the locker 50 is shown in FIG. 7. As shown in FIG. 5, while the spring 60 is compressed, the locking portion 54 is moved from the locking position L of the protrusion 42 to the unlocking position UL as shown in FIG. 5. At this time, the restraint of the protrusion 42 is released.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돌기(42)의 구속이 해제됨에 따라 그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자동으로 슬라이드 다운(즉, 하측) 되고,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면 상부(2″)는 전방으로 노출된다.The slider 20 is automatically slideed down (ie, lowered) downward by its own weight as the restraint of the protrusion 42 is released, and the front upper portion 2 ″ of the main body 2 is moved forward. Exposed.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슬라이더(20)가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방(즉, 중앙)에서 수동으로 슬라이드 업(즉, 상측)되고, 자동으로 슬라이드 다운(즉, 중앙)된다.That i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lider 20 is manually slid up (ie, up) from the front (ie, center) of the main body 2 and automatically slides down (ie, the center).

사용자가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30), 입출력 단자(32), 스피커(34), 문자 키 패드 등을 통해 시청 등을 행한다.The user views through the sub display 30, the input / output terminal 32, the speaker 34, the character keypad, or the like.

한편, 상기 누름 키(72)를 누름 동작 한 후 상기 누름 키(72)에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프링(60)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커(50)를 밀어내고, 상기 록커(50)는 상기 걸림부(54)가 돌기(42)의 걸림 해제 위치(UL)에서 걸림 위치(L)로 자동 복귀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force applied to the pressing key 72 is removed after pressing the pressing key 72, the spring 60 pushes the locker 50 by the elastic force, the locker 50 The locking portion 54 is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locking position L at the locking release position UL of the protrusion 42.

이후, 상기 슬라이더(2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다운(즉, 하측)된 상태에서 다시 밀어 올려지면, 상기 돌기(42)는 그 경사면(44)이 상기 록커(50)의 경사면(56)과 맞닿게 되고, 상기 록커(50)가 상기 스프링(60)을 다시 압축 하도록 상기 록커(50)를 옆으로 밀면서 상기 록커(50)의 경사면(56)을 타고 상승된다. Thereafter, when the slider 20 is pushed up again in the slide-down (ie, lower) state as shown in FIG. 3, the protrusion 42 has an inclined surface 44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cker 50. In contact with 56, the rocker 50 is lifted up the inclined surface 56 of the rocker 50 while pushing the rocker 50 sideways to recompress the spring (60).

즉, 상기 록커(50)는 상기 슬라이더(20)의 슬라이드 업(즉, 중앙)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That is, the locker 5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slide up (ie, the center) of the slider 20.

상기 돌기(42)가 상기 록커(50)의 경사면(56)을 타고 계속 상승되어 상기 록커(50)의 걸림부(54) 상측에 위치되면, 상기 록커(50)에 작용되었던 힘은 제거되고, 상기 스프링(60)은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커(50)를 밀어내며, 상기 록커(50)의 걸림부(54)는 상기 돌기(42)의 걸림 위치(L)로 자동 복귀된다.When the protrusion 42 continues to rise on the inclined surface 56 of the rocker 50 and is positioned above the locking portion 54 of the rocker 50, the force applied to the rocker 50 is removed. The spring 60 pushes out the locker 50 by an elastic force, and the locking portion 54 of the locker 50 is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locking position L of the protrusion 42.

이때,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돌기(42)가 다시 상기 록커(50)의 걸림부(54)에 하향 걸림되어 상기 메인 바디(2)의 전방(즉, 중앙)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lider 20 is maintained such that the protrusion 42 is again caught down by the locking portion 54 of the locker 50 to be disposed at the front (ie, the center) of the main body 2. do.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인 바디의 전방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 슬라이더가 메인 바디의 전면을 덮는 위치에 걸림되도록 하거나 슬라이더가 자동으로 하향 슬라이딩되도록 걸림 해제되도록 하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고, 슬라이더를 간편하게 슬라이드 다운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slider which is slidably installed upward or downward in front of the main body, and is locked to a position where the slider covers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or the slider is automatically slid downwar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cking device to be able to meet the various needs of consumer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slide down the slider.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인 바디와 슬라이더 중 일측에 돌기가 돌출되고, 메인 바디와 슬라이더 중 타측에 돌기가 걸림되거나 걸림 해제되는 록커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록커를 돌기의 걸림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 록커를 돌기의 걸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록 해제 기구가 설치되어, 슬라이더를 간단한 구조로 양 방향 슬라이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rusion protrudes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slider, and a locker on which the protrusion is caught or releas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slider is disposed to be movable, and the locker elastically supports the locking position of the protrusion. A spring; The lock release mechanism for moving the locker to the latch release position of the projection is provid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slider to be slid in both directions with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메인 바디에 스프링이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록커의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슬라이더에 돌기가 배치되어, 슬라이더의 내부에 보다 많은 부품을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부품 배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ring is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and a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which a part of the locker is movably received, and protrusions are arranged on the slider to mount more parts inside the slider.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mponent placement is easy.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돌기와 록커 중 적어도 하나에 돌기가 록커를 옆으로 밀면서 상승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록커가 돌기의 상승을 방해하지 않게 되므로, 슬라이더가 하향 슬라이딩 된 후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록 해제 기구를 누르는 등의 별도의 누름 동작이 불필요한 이점이 있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 and the locker so that the protrusion is raised by pushing the rocker sideways, so that the locker does not prevent the protrusion of the protrusion, so that the slider slides downward to the front of the main body. When slid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eparate pressing operation such as pressing the lock release mechanism is unnecessary.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록 해제 기구가 메인 바디에 형성된 누름 키와, 상기 누름 키의 누름시 상기 록커를 상기 돌기의 걸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누름 키를 누르는 간편한 동작으로 슬라이더를 자동으로 슬라이드 다운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sh key having a lock release mechanism formed on a main body, and a pusher for moving the locker to a release position of the protrusion when the push key is pressed, and thus a simple operation of pressing a push key. This has the advantage of automatically sliding down the slider.

Claims (9)

메인 바디와; With the main body;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A slider installed to be slidably upward or downward in front of the main body;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을 덮는 위치에 걸림되도록 하거나 상기 슬라이더가 자동으로 하향 슬라이딩되도록 걸림 해제되도록 하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locking device to lock the slider to a position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or to release the slider so that the slider slides downward automatically. 메인 바디와; With the main body; 상기 메인 바디에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와;A slider slid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in both directions; 상기 메인 바디와 슬라이더 중 일측에 돌출된 돌기와;A protrusion protruding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slider; 상기 돌기가 걸림되거나 걸림 해제 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와 슬라이더 중 타측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록커와;A locker disposed to be movable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a slider such that the protrusion is locked or released; 상기 록커를 상기 돌기의 걸림 위치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과;A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ocker to a locking position of the protrusion; 상기 록커를 상기 돌기의 걸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록 해제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lock release mechanism for moving the locker to a latch release position of the protrus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메인 바디에는 상기 스프링이 수용됨과 아울러 상기 록커의 일부가 이 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ain body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accommodating groove is formed in which the spring is accommodated and a part of the locker is movabl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스프링이 설치되는 스프링 시트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receiving groov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sea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pring is installed.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The slider is arranged to be slidably upward or downward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상기 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의 배면에 돌출되게 배치되며, The protrusion is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back of the slider, 상기 수용홈은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receiving groov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long left and right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돌기와 록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슬라이더가 하향 슬라이딩 된 후 상기 메인 바디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돌기가 상기 록커를 옆으로 밀면서 상승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 and the locker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when the slider slides downward and then slides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the protrusion is raised while pushing the locker to the sid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록커는 상기 돌기가 하향 걸림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의 전면 보다 돌출 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lock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projection is locked downwar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록 해제 기구는 상기 메인 바디에 형성된 누름 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lock release mechanism comprises a push key formed in the main body.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록 해제 기구는 상기 누름 키의 누름시 상기 록커를 상기 돌기의 걸림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는 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lock release mechanism comprises a pusher for moving the locker to a latch release position of the protrusion when the push key is pressed.
KR1020050052698A 2005-06-18 2005-06-18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1447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698A KR101144799B1 (en) 2005-06-18 2005-06-18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B2006100808254A CN100473081C (en) 2005-06-18 2006-05-16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2698A KR101144799B1 (en) 2005-06-18 2005-06-18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385A true KR20060132385A (en) 2006-12-21
KR101144799B1 KR101144799B1 (en) 2012-05-11

Family

ID=37519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698A KR101144799B1 (en) 2005-06-18 2005-06-18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44799B1 (en)
CN (1) CN100473081C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601B1 (en) * 2008-05-30 2010-07-08 주식회사 다이아벨 Cellular phone for auto slide hinge apparatus
KR100973791B1 (en) * 2008-04-22 2010-08-04 주식회사 다이아벨 Cellular Phone for auto Slide Hing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978A (en) * 2002-07-16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Sliding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31927B1 (en) * 2003-05-23 2005-11-28 주식회사 스카이텔레텍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slide type
KR20050031032A (en) * 2003-09-27 2005-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Slide/folder type mobile phone
KR200376806Y1 (en) * 2004-12-07 2005-03-11 석봉 윤 Sliding type cell phone auto slide modu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791B1 (en) * 2008-04-22 2010-08-04 주식회사 다이아벨 Cellular Phone for auto Slide Hinge Apparatus
KR100968601B1 (en) * 2008-05-30 2010-07-08 주식회사 다이아벨 Cellular phone for auto slide hing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73081C (en) 2009-03-25
KR101144799B1 (en) 2012-05-11
CN1881986A (en) 200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4734A (en) Telephone with sliding keypad
KR100640369B1 (en) Internal battery pack case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EP1705876B1 (en) Battery pack locking device of a mobile phone, comprising a sliding cover for protecting a camera lens
US9083104B2 (en) Mobile terminal
JPH04281628A (en) Portable radio equipment
KR101850150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78198B1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101635205B1 (en) Pop up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H04281624A (en) Portable radio equipment
KR101144799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395863Y1 (en) Push-Push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9623B1 (en) Cellular phone of slide-down opening and closing type
KR101869218B1 (en) Smart phone case with the function of the location movement of the smart phone
JP4340088B2 (en) Mobile device
US8107247B2 (en) Electronic device
KR100899741B1 (en)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KR101545571B1 (en) Portable terminal
KR100648643B1 (en) Slide type mobile terminal
JP2006127809A (en) Connector device for card
KR100677364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80036428A (en) Display inserting and extracting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0661572B1 (en) Sliding module of slide typ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7499266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130801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0138904A (en)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