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4799A -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4799A
KR20060114799A KR1020050036926A KR20050036926A KR20060114799A KR 20060114799 A KR20060114799 A KR 20060114799A KR 1020050036926 A KR1020050036926 A KR 1020050036926A KR 20050036926 A KR20050036926 A KR 20050036926A KR 20060114799 A KR20060114799 A KR 20060114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rinking water
piston
stopp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철
Original Assignee
이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철 filed Critical 이형철
Priority to KR102005003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4799A/ko
Publication of KR20060114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4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01K67/0332Earthwo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용수를 정량적으로 취출할 수 있으며 그 취출이 간편한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는 음용수(200)가 저장되는 용기(300)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걸림턱(12s)과 스토퍼(12a)가 형성된 원통형 몸통부(12)와, 몸통부(12)의 상부에 형성되고 용기(300)의 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어 용기(300)를 밀폐하는 머리부(11)와, 머리부(11)로부터 횡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음용수(200)를 토출하는 노즐부(13)가 마련된 중공형 취출실린더(10); 및 상기 취출실린더(10)의 머리부(11)의 상측에 위치되는 누름버튼(21)과, 몸통부(12)의 내측에서 스토퍼(12a)의 상부에 구비되는 피스톤(22)과, 머리부(11)를 관통하여 누름버튼(21)과 피스톤(22)을 연결하는 구동바(23)가 형성되고 승, 하강하여 걸림턱(12s)을 개폐하는 누름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부재(20)가 승강하여 용기(300) 내부가 폐쇄되고, 상기 누름부재(20)가 하강할 때 용기(300)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피스톤(22)과 걸림턱(12s) 사이를 통해 음용수(200)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음용수(飮用水), 정량(正量), 취출(取出), 용기(容器).

Description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Drink dispens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이 용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러버코팅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취출실린더 11: 머리부
12: 몸통부 12a: 스토퍼
12s: 걸림턱 13: 노즐부
20: 누름부재 21: 누름버튼
22: 피스톤 23: 구동바
40 : 복원수단 50: 탈리캡
60: 러버코팅
본 발명은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음용수 용기의 입구에 용기를 밀폐하면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일정량의 음용수를 반복적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한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이 간편하고, 내구성을 가지며,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회전에 의해 탈착 가능한 입구 구조를 갖는 대부분의 용기에 적용할 수 있어 호환 사용이 가능한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용수 용기는 그 상단에 마개를 회동 결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시에는 마개를 열고 일정량을 음용한 후 다시 마개를 닫아 보관하게 된다.
음용수는 식수 외에도 예컨대 기호 음료인 주스, 우유, 맥주 등과 함께 기호식품인 탄산음료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탄산음료가 용기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탄산음료는 탄산가스에 의해 음용자가 시원한 맛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탄산음료는 음용시 용기의 마개를 개방하는 순간부터 탄산이 기화하여 탄산가스로써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즉, 탄산이 공기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와 산소 및 수소로 분리되면서 방출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마개를 개방하는 순간에 용기 내, 외 압력차로 인해 발생한다. 마개를 개방하는 순간에 대부분의 탄산이 기화되고 방출되지만, 이는 마개를 닫는 순간까지 계속된다.
근래에는 대략 1.5ℓ 용량의 탄산음료를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 용기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마개를 개폐하는 횟수가 일반적인 소용량 용기에 비하여 잦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점에 있어서 탄산음료를 장시간 보관하고 음용할 경우 청량감이 점차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용기의 입구를 아래로 두어 저장하면 탄산이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용기의 입구는 용기의 몸통에 비하여 작고 협소하므로, 용기를 거꾸로 두고 저장하기 힘들고 불편하다.
또한, 마개 내부에 수밀성 확보를 위한 패킹이 구비되어 탄산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고 있긴 하나, 이는 한계가 있다. 특히 대용량 용기에 저장된 음료는 한번에 모두를 음용하기 보다는 적정량을 음용한 후 마개를 다시 막아 보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용기를 마개로 견고하게 막아준다 할지라도 탄산가스의 압력에 의한 누출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다.
한편, 주지된 용기 마개(cap)들은 취출부의 지름이 대체로 작아 음료를 빠르게 취출할 수 없고, 대부분 획일적으로 설계, 제조되어 음용자가 원하는 일정량의 음료를 취출할 수 없다. 즉, 일반적으로 음용수 용기의 입구는 협소한 링 형 단면을 가지며, 외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개는 입구에 회동 결합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면에는 나사부에 감함되는 다른 나사부가 형성된다. 음용시에는, 사용자는 용기 입구에 결합된 마개를 회전하여 열고 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료수를 음용한 후, 다시 마개를 닫아 잔여 음료수를 보관하게 된다. 이때, 음용 방법은 용기를 기울여 음료의 중력 낙하를 이용하는데, 즉, 용기를 기울여 입구를 통해 자연 낙하하는 음료를 음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량의 음료를 정확하게 취출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음료 용기의 마개에 있어서 음료의 쉽고 신속한 음용을 위해 튜브 및 분출구의 직경을 원하는 만큼 크게 성형할 수 있고, 용기 내부에 고압이 형성되었을 경우 취출량을 점진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용기 마개가 주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용기 마개들은 대부분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정량적인 취출이 곤란하며 구조가 복잡하고 취급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기술이 갖는 문제점 감안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에 주지되지 아니하였거나 종래의 것에 비하여 전혀 새로운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보다 간단한 기술구성을 통하여 음용수를 정량적으로 취출할 수 있으며, 그 취출이 간편한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 목적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첨부된 도면과 이를 참조하여 기술되는 아래의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취출장치(100)는 음용수(200)가 저장되는 용기(300)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걸림턱(12s)과 스토퍼(12a)가 형성된 원통형 몸통부(12)와, 몸통부(12)의 상부에 형성되고 용기(300)의 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고 정되어 용기(300)를 밀폐하는 머리부(11)와, 머리부(11)로부터 횡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음용수(200)를 토출하는 노즐부(13)가 마련된 중공형 취출실린더(10); 및 상기 취출실린더(10)의 머리부(11)의 상측에 위치되는 누름버튼(21)과, 몸통부(12)의 내측에서 스토퍼(12a)의 상부에 구비되는 피스톤(22)과, 머리부(11)를 관통하여 누름버튼(21)과 피스톤(22)을 연결하는 구동바(23)가 형성되고 승, 하강하여 걸림턱(12s)을 개폐하는 누름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부재(20)가 승강하여 용기(300) 내부가 폐쇄되고, 상기 누름부재(20)가 하강할 때 용기(300)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피스톤(22)과 걸림턱(12s) 사이를 통해 음용수(200)가 배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스토퍼(12a)와 피스톤(2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누름부재(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수단(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름버튼(21)을 수용하며 머리부(11)의 상면에 탈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리캡(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누름부재(20)의 피스톤(22) 상부 외주면과, 피스톤(22)에 접하는 걸림턱(12s)의 하부 외주면과, 상기 취출실린더(10) 내부에서 구동바(23)의 상단 외주면에 각각 러버코팅(60)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는 아래의 설명과 도면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명확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고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 치환, 또는 변경된 실시 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거나 흐리는 불필요한 내용이나 공지/공용된 종래기술에 준하는 내용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이 갖는 특징만을 중점적으로 살핀다.
먼저, 이하에서 언급되는 “음용수”는 식수 또는 기호음료 등으로서, 음용 가능한 액체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이 용기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러버코팅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 본 발명의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100)는 중공형 취출실린더(10)와, 누름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취출실린더(10)는 몸통부(12), 머리부(11) 및 노즐부(13)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들 몸통부(12), 머리부(11), 노즐부(13)가 모두 일체되어 취출실린더(10)을 형성한다.
몸통부(12)는 용기(300) 내부에 삽입되며, 그 하단은 용기(300) 내부의 저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음용수(200)를 모두 취출하기 위하여 용기(300) 내부의 저면부는 그 중심부를 향하여 점차 낮아지는 구배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에는 음용수(200)를 취합하기 위한 취합홈(310)이 하향으로 약간 인입되어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12)는 중공형이며, 몸통부(12)와 연이어 일체로 형성되는 머리부(11) 및 노즐부(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12)와 공간적으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몸통부(12)는 내부에 횡으로 연장 형성된 스토퍼(12a)를 갖는다.
스토퍼(12a)는 대략 디스크(disk) 형상을 가지며, 스토퍼(12a)에 의해 유공(12c)이 형성되어 있다.
머리부(11)는 몸통부(12)의 상부에 형성된다. 머리부(11)는 용기(300)의 입구에 나사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머리부(11)는 경질의 수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약간의 탄성을 가지며, 용기(300)에 결합되면 용기(300) 입구를 밀봉한다.
그리고 머리부(11)에는 피스톤(22)이 상향으로 계속하여 승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걸림턱(12s)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부(13)는 머리부(11)로부터 횡으로 연장되어 연이어 형성됨으로써 머리부(11)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노즐부(13)의 선단에는 넓은 단면적을 갖는 토출구(13a)가 형성되며, 토출구(13a)는 머리부(11) 및 몸통부(12)의 내부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재(20)는 누름버튼(21), 피스톤(22) 및 구동바(23)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들 누름버튼(21), 피스톤(22) 및 구동바(23)가 모두 일체되어 누름부재(20)를 형성하며 일체로 연동한다.
누름버튼(21)은 상기 취출실린더(10)의 머리부(11) 상측에 위치되며, 중실형으로써 외관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디스크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누름버튼(21)의 하측으로는 구동바(23)가 연결되고, 이 구동바(23)는 중공형이며 취출실린더(10)의 머리부(11)를 관통하여 그 하단이 몸통부(12) 내부에 위치되고 있다
구동바(23)의 하단부에는 피스톤(22)이 형성된다. 피스톤(22)은 걸림턱(12s)의 직하에 위치되며, 외면이 몸통부(12)의 내면에서 약간 떨어지면서 몸통부(12) 내부공간을 상, 하로 구분하고 있다.
러버코팅(60)은 구동바(23)와 머리부(11) 사이의 공간과 피스톤(22)과 걸림턱(12s) 사이의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채택된다.
러버코팅은(60)은 바람직하게는 구동바(23)와 머리부(11) 내측 상단 사이에(도 3 참조), 그리고 구동바(23)와 걸림턱(12s) 상단 사이에 구비된다. 러버코팅(60)의 결합 예는 이미 충분히 주지되어 있으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고, 첨부된 모든 도면에 있어서 후자의 러버코팅은 도시되지 아니하였음에 주의한다.
위와 같은 기술구성을 갖는 상기 누름부재(20)은 승, 하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복원수단(40)은 피스톤(22)과 스토퍼(12a) 사이에 마련되어 피스톤(22)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 복원수단(40)은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재(20)가 하강하였을 경우 다시 승강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채택된다. 이 복원수단(40)은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은 기술구성에 더하여, 본 발명은 부가적으로 탈리캡(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탈리캡(50)은 본 발명에 따른 취출장치(100)의 최초 제조시 누름버튼(21)을 보호하기 위하여 머리부(11)에 탈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탈리캡(50)은 바람직하게는 일회 탈리되면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일회용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탈리캡(50)과 머리부(11)는 절취부(51a)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절취 부(51a)는 소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가해질 시 쉽게 파열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취출장치(100)는 그 취출 대상이 음용수이므로, 본 발명을 이루는 각 기술구성들이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재로써 제조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음용수(200)는 특히 탄산음료이다. 탄산음료는 온도가 높을 때 액체 분자사이의 공간이 벌어져 기체가 빠져나갈수 있는 공간이 넓어지고 용해도가 떨어지게 되며, 온도가 낮을 때는 이와 반대가 된다. 또한, 용기 내부가 밀폐되면 온도가 어느 정도 증가된다 하더라도 압력이 높아지며, 용기 내부체적이 적다면 더욱 그러하다.
용기(300) 내부는 탄산음료(200)와 탄산가스(210)가 혼재된 상태이며, 기 주입된 압력과 탄산가스(210)의 압력에 의해 용기(300) 내부가 가압되어 있다.
사용자는 탈리캡(50)을 파지하고 일정 크기 이상으로 힘을 가하여 탈리캡(50)을 회전시키면 절취부(51)가 파열되면서 탈리캡(50)이 머리부(11)로부터 탈리된다.
용기(300) 내부에 탄산음료(200)를 저장하고, 내부를 가압한 상태에서 취출실린더(10)와 누름부재(20)를 삽입한다. 이때, 통상적으로 용기에 탄산음료(200)를 저장할 때 용기(300) 내부를 가압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때 통상의 압력보다 약간 더 높은 고압으로 용기(300) 내부를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버튼(21)을 누르게 되면, 피스톤(22)이 하강하여 걸림턱(12s)과 피스톤(22)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용기(300)의 내부 압력에 의해 피 스톤(22)과 걸림턱(12s)의 벌어진 틈새를 통하여 탄산음료(200)가 취출되는 것이다. 즉, 누름버튼(21)을 누르면 피스톤(22)이 하강하면서 걸림턱(12s)과 분리되고, 이 분리된 공간을 통하여 용기(300) 내부의 탄산가스의 압력에 의해 음용수가 분출되는 것이다.
원하는 양 만큼 탄산음료(200)가 취출되면, 스프링(40)에 의해 누름버튼(21)이 원위치로 복원되어 용기(300) 내부가 다시 밀폐된다.
즉, 누름버튼(21)을 누르는 동작을 수회 반복하면, 몸통부(12)의 걸림턱(12s) 상단에 형성된 공간에 음용수(200)가 점차 차오르면서 소정 시점에서 토출구(13a)를 통해 음용수(200)가 토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기(300)를 파지하고 누름버튼(21)을 누르면 토출구(13a)를 통해 음용수(200)가 토출된다.
이때, 토출되는 음용수는 누름부재(20)를 1회 누를 경우 누름부재(20)의 1회 스트로크(stroke)에 해당하는 음용수의 체적이 토출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음용하고자 하는 분량만 토출될 수 있도록 누름 횟수를 적절하게 조절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누름버튼(21)의 누름 동작에 의해 음용수의 취출양이 조절되므로, 음용수의 정량적인 취출이 가능하다.
더욱이, 노즐부(13)의 선단이 약간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음용수를 받아내기 위하여 종래에 비하여 용기를 기울일 필요가 없고, 토출부에 컵(미도시)을 가까이 근접시키고 토출되는 음용수를 받아내면 사용하기 편리하다.
이상과 같은 기술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는 그 채택하는 기술구성이 간단하므로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간단한 기술구성과 간단한 누름 동작만으로도 음용수를 정량적으로 취출할 수 있으며, 그 사용 방법도 간편하다.
본 발명은 용기로부터 탈착 가능하므로, 음용수를 저장하는 모든 용기에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에 대하여 제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완전하게 개시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를 명확하게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루는 각 부를 지칭하기 위하여 제시된 용어들은 그 각 부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본 발명이 속한 업계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에 있어서,
    음용수(200)가 저장되는 용기(300)의 내부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걸림턱(12s)과 스토퍼(12a)가 형성된 원통형 몸통부(12)와, 몸통부(12)의 상부에 형성되고 용기(300)의 입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어 용기(300)를 밀폐하는 머리부(11)와, 머리부(11)로부터 횡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음용수(200)를 토출하는 노즐부(13)가 마련된 중공형 취출실린더(10); 및
    상기 취출실린더(10)의 머리부(11)의 상측에 위치되는 누름버튼(21)과, 몸통부(12)의 내측에서 스토퍼(12a)의 상부에 구비되는 피스톤(22)과, 머리부(11)를 관통하여 누름버튼(21)과 피스톤(22)을 연결하는 구동바(23)가 형성되고 승, 하강하여 걸림턱(12s)을 개폐하는 누름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누름부재(20)가 승강하여 용기(300) 내부가 폐쇄되고, 상기 누름부재(20)가 하강할 때 용기(300) 내부의 압력에 의하여 피스톤(22)과 걸림턱(12s) 사이를 통해 음용수(200)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100).
  2. 제 1항에 있어서,
    스토퍼(12a)와 피스톤(2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누름부재(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수단(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100).
  3. 제 1항에 있어서,
    누름버튼(21)을 수용하며 머리부(11)의 상면에 탈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리캡(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10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20)의 피스톤(22) 상부 외주면과, 피스톤(22)에 접하는 걸림턱(12s)의 하부 외주면과, 상기 취출실린더(10) 내부에서 구동바(23)의 상단 외주면에 각각 러버코팅(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100).
KR1020050036926A 2005-05-03 2005-05-03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 KR20060114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926A KR20060114799A (ko) 2005-05-03 2005-05-03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6926A KR20060114799A (ko) 2005-05-03 2005-05-03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355U Division KR200396039Y1 (ko) 2005-05-03 2005-05-03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4799A true KR20060114799A (ko) 2006-11-08

Family

ID=3765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6926A KR20060114799A (ko) 2005-05-03 2005-05-03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479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6141A (ja) * 1997-04-30 1998-11-10 Lion Corp ポンプディスペンサ
JP2001335057A (ja) * 2000-05-25 2001-12-04 Young Kwon Kim 飲料容器
JP2002059986A (ja) * 2000-08-14 2002-02-26 Somei:Kk 液体取出装置付き容器
JP2002347867A (ja) * 2001-05-28 2002-12-04 Kao Corp ポンプ付き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6141A (ja) * 1997-04-30 1998-11-10 Lion Corp ポンプディスペンサ
JP2001335057A (ja) * 2000-05-25 2001-12-04 Young Kwon Kim 飲料容器
KR100388845B1 (ko) * 2000-05-25 2003-07-04 김영권 음료용기
JP2002059986A (ja) * 2000-08-14 2002-02-26 Somei:Kk 液体取出装置付き容器
JP2002347867A (ja) * 2001-05-28 2002-12-04 Kao Corp ポンプ付き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2532A1 (en) Container closure having a spout and means for introducing an additive in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US10882650B2 (en) Carbonation preservation device
US9028898B2 (en) Universal and restrictive enclosures for safely repressurizing sparkling wines and other carbonated beverage
JP2014094044A (ja) 飲料抽出用容器
WO2018033914A1 (en) Gas filling system
US20090014446A1 (en) Pressure top for beverage-containing vessels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JP2008545931A (ja) Co2圧縮ガス源を有する容器
US10981689B2 (en) Multiple container device
KR101793837B1 (ko) 음료병 탄산가스 유출방지장치
GB2370555A (en) Multi-function container
KR200396039Y1 (ko)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
KR20060114799A (ko)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
JPH0418297A (ja) 飲料容器
US20180023991A1 (en) Dual purpose measuring and dispensing device
JPH09299253A (ja) 液体容器
NL8303513A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maken van een koolzuurhoudende drank.
KR20120002952A (ko) 산화방지용 용기
US20060054629A1 (en) Closable drinking container
JP2885720B2 (ja) 飲料容器
KR100736441B1 (ko) 탄산음료의 탄산가스 누출방지와 자동 개폐 용기
US20240251825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to carbonate water or a water-based liquid
US20240043175A1 (en) Multilayer drinking can system
US20230271765A1 (en) Multilayer drinking can system
KR200415293Y1 (ko) 수납공간을 갖은 음료용 병뚜껑
KR200175988Y1 (ko) 액체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