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7627A -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rner - Google Patents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r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7627A
KR20060107627A KR1020050029827A KR20050029827A KR20060107627A KR 20060107627 A KR20060107627 A KR 20060107627A KR 1020050029827 A KR1020050029827 A KR 1020050029827A KR 20050029827 A KR20050029827 A KR 20050029827A KR 20060107627 A KR20060107627 A KR 20060107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air
assembly
dus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재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7627A/en
Publication of KR20060107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62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통의 내주면과 예각을 이루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필터조립체에 형성되며 집진통의 측면을 통해 측방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on assembly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a plurality of blades forming an acute angle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are formed in the filter assembly and the air is discharged laterally through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중의 오물을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집진통(110)과;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며, 외면에는 외측 공기를 내측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블레이드(151')가 나선방향으로 형성되는 필터조립체(150)와;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120)과; 상기 필터조립체(15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집진통(110)의 측면을 통해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토출안내관(18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기중의 이물이 효과적으로 필터링되며집진어셈블리의 장착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ust collecting tube 110 for filtering and collecting dust i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 filter assembly (150)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and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151 ') formed in a spir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to guide the outside air inwardly; A separation plate 120 provided below the filter assembly 150 and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up and dow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guide tube 180 for guid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150 to be exhausted through the side of the dust collector (110).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foreign matter in the air is effectively filtered and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is easily installed.

진공청소기, 필터조립체, 블레이드, 배기구, 측면배기 Vacuum cleaner, filter assembly, blade, exhaust vent, side exhaust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rner}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rner}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ppearance configuration of a general vacuum cleaner.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보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from the upright vacuum cleaner.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요부구성인 필터조립체의 내부를 보인 부분 절개사시도.Figure 5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filter assembly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A-A'부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6.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상면커버의 저면 사시도.Figure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top cov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분리판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9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eparat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분리판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10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a separato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분리판의 단면도.10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parator shown in FIG. 10A.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 진공청소기 60. 흡입노즐체50. Vacuum cleaner 60. Suction nozzle body

70. 바디 72. 집진장착부70. Body 72. Dust Collector

74. 흡입유로 76. 배출유로74. Suction channel 76. Drain channel

78. 착탈노브 78'. 노브홈78. Release knob 78 '. Knob

100. 집진어셈블리 110. 집진통100. Dust collection assembly 110. Dust collection

112. 흡입가이드 120,120'. 분리판112. Suction guide 120,120 '. Separator

130. 집진손잡이 140. 상면커버130. Dust Collector Knob 140. Top Cover

150. 필터조립체 151. 블레이드부150. Filter assembly 151. Blade part

151'. 블레이드 152. 필터부151 '. Blade 152. Filter part

154. 하단고정부 156. 상단고정부154. Upper Fixed Government 156. Upper Fixed Government

160. 필터고정부재 162. 걸림돌기160. Filter fixing member 162. Jamming protrusion

170. 이동부재 172. 작용요홈170. Moving member 172. Working groove

174. 걸림턱 176. 확인편174. Jam Jaw 176.

180. 토출안내관 182. 배기구180. Discharge guide 182. Exhaust ven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통의 내주면과 예각을 이루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필터조립체에 형성되며 집진통의 측면을 통해 측방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ng assembly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a plurality of blades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dust collecting container are formed in a filter assembly and air is discharged laterally through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

도 1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이 내장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바닥면의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노즐(2)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general vacuum clean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vacuum cleaner includes a main body 1 having suction means for sucking air in the room, and a suction nozzle 2 into which air on the bottom surface is introduced by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main body 1. Has a configuration to include.

한편 상기 본체(1)는, 흡입수단이 수납되어 체결되는 하부몸체(5)와, 상기 하부몸체(5)에 내장된 부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진공청소기를 제어하는 전장부(도시 생략)가 내장되는 상부몸체(6)로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 the lower body (5) to which the suction means is received and fastened, and the parts embedded in the lower body (5)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electric part for controlling the vacuum cleaner (not shown) It consists of an upper body (6) is built.

또한 상기 본체(1)가 바닥면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몸체의 양측면에 바퀴(8)가 체결되고, 상기 바퀴(8)에는 흡입노즐(2)을 통하여 흡입된 다음 필터링된 공기가 본체(1)로부터 배출되는 토출부(8a)가 형성된다.In addition, wheels 8 are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body so that the main body 1 can smoothly move the bottom surface, and the wheels 8 are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2 and then filtered air is received from the main body ( The discharge part 8a discharged | emitted from 1) is formed.

그리고 상기 본체(1)와 흡입노즐(2) 사이에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만들어지는 흡입호스(3b)와, 상기 흡입호스(3b)의 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부(4)와, 상기 조작부(4)와 흡입노즐(2)을 연결하는 연장관(3a)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본체(1)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Between the main body 1 and the suction nozzle 2, a suction hose 3b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 operation unit 4 connected to an end of the suction hose 3b, and the operation unit 4 ) And an extension tube 3a for connecting the suction nozzle 2 are sequentially installed, so that the suction force generated in the main body 1 can be transmitted to the suction nozzle 2.

따라서 상기 본체(1)에 내장되어 있는 전원부(도시 생략)와 연결된 전선(9)을 통하여 전기를 인가하면, 진공청소기는 운전대기 상태가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조작부(4)의 버튼을 이용하여 흡입단계를 조정하면, 각 단계에 적당한 흡입력이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흡입수단에 의하여 발생된다. Therefore, when electricity is applied through the wire 9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built in the main body 1, the vacuum cleaner is in a standby state. At this time, if the user adjusts the suction step by using the button of the operation unit 4, the suction force suitable for each step is generated by the suction means built in the main body.

상기 흡입수단을 통하여 발생된 흡입력은 흡입연결부(3c)에 체결되어 있는 흡입호스(3b) 및 연장관(3a)을 거쳐 흡입노즐(2)로 전달된다. 상기 흡입노즐(2)로 전달된 흡입력에 의하여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중에서 집진통(10)에 의하여 미세한 먼지 등이 포함된 공기를 분리하여 토출부(8a)를 통하여 본체(1) 외부로 토출시키는 과정을 거치면서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The suction force generated through the suction means is transmitted to the suction nozzle 2 via the suction hose 3b and the extension pipe 3a which are fastened to the suction connector 3c. The air containing 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lint i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transmitted to the suction nozzle 2, and the air containing the fine dust and the like is separated by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0 from the sucked air. The cleaning is performed while discharg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 through 8a).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진공청소기 집진통 구조는 그 구성이 단순하여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지 못하며, 공기중의 이물을 제대로 걸러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or structure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its configuration is not easy to clean inside, and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cannot be properly filte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로코(sirocco) 타입의 필터조립체가 구비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원심력과 필터에 의해 걸러내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s provided with a sirocco type filter assembly to provide a dust collection assembly of a vacuum clean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by a centrifugal force and a filter. It i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로코(sirocco) 타입의 필터조립체가 구비되는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에서 정화된 공기가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purified air to be discharged to the side in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having a sirocco type filter assemb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중의 오물을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집진통(110)과;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며, 외면에는 외측 공기를 내측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블레이드(151')가 나선방향으로 형성되는 필터조립체(150) 와;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120)과; 상기 필터조립체(15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집진통(110)의 측면을 통해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토출안내관(18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ust collector (110) for filtering and collecting dust i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 filter assembly (150)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and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151 ') formed in a spir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to guide the outside air inwardly; A separation plate 120 provided below the filter assembly 150 and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up and dow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guide tube 180 for guid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150 to be exhausted through the side of the dust collector (110).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기중의 이물이 효과적으로 필터링되며 집진어셈블리의 장착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foreign matter in the air is effectively filtered and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is easily installed.

이하 상기와 같은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와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어셈블리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에 장착된 상태 및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2 and 3 show a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and separated state of the upright vacuum cleaner.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50)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체(60)와,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하여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하는 수단이 내장된 바디(70), 그리고 상기 바디(7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잡기 위한 손잡이(8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upright vacuum cleaner 50 includes a suction nozzle body 60 that sucks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while moving along the bottom surface, and foreign substances through the suction nozzle body 60. Body 70 has a means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for sucking the air to be installed, and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handle 8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70 for the user to hold.

상기 흡입노즐체(60)는 바닥면과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그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외관은 하측에 구비되는 노즐하부커버(60')와 상측에 구비되는 노즐상부커버(60")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하부커버(60')에 외부공기의 주(主)흡입통로가 되는 흡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흡입노즐체(60)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바퀴(62)가 상기 노즐하부커버(60') 양측에 구비됨이 일반적이다.The suction nozzle body 60 is a portion for sucking air through a suction port (not shown) formed on the bottom thereof while moving in a state close to the bottom surface. That i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suction nozzle body 60 is composed of a nozzle lower cover 60 'provided at the lower side and an nozzle upper cover 60 "provided at the upper side, and the outside of the air in the nozzle lower cover 60'. A suction port serving as a main suction passage is formed, and the suction nozzle body 60 is generally provided with moving wheels 62 on both sides of the nozzle lower cover 60 'to facilitate movement.

상기 흡입노즐체(60)와 상기 바디(70)의 연결부는 상기 바디(70)가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바디(70)는 흡입노즐체(6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한 경사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바디(7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상면 후단부에는 회동레버(64)가 더 구비된다.The connection part of the suction nozzle body 60 and the body 7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ody 70 is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That is, the body 7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ction nozzle body 60 within a range of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he upper surface of the suction nozzle body 60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body 70. The rear e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rotation lever 64.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상기 회동레버(64)를 밟은 상태에서 손으로 상기 손잡이(80)를 잡고 바디(70)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바디(70)가 후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키 높이에 맞게 바디(7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the user grasps the handle 80 by hand and pulls the body 70 backward while the user presses on the pivot lever 64, the body 70 is inclined to the rear side. This allows the user to clean the bottom surface while adjusting the body 70 to the desired angle to suit the height of his height.

한편 상기 바디(70)의 후면에는 전선고정구(7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전선고정구(71)는 상기 바디(70)의 후면 상하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한 쌍의 전선고정구(71)에 전선이 감겨져 보관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of the body 70 is further formed with a wire fastener (71). The wire fasteners 71 are preferably formed in pair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70, and the wires are wound and stored in the pair of wire fasteners 71.

상기 바디(7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도시되지 않음)와 흡입팬(도시되지 않음) 등의 부품이 내장되어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70)의 중앙부에는 바디(70)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부분 함몰된 집진장착부(72)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집진장착부(72)에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어셈블리(100)가 삽입 설치된다.Inside the body 70, components such as a motor (not shown) and a suction fan (not shown) for generating a suction force are built in so that external air and foreign matter are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body 60. do.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70 is formed with a dust collecting portion 72 recess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from the front of the body 70 to the rear. Therefore,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into the dust collecting mounting portion 72.

상기 집진장착부(72)의 후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흡입유로(7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유로(74)의 상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어셈블리(100)의 흡입가이드(112)와 결합되고, 이러한 흡입유로(74)의 하단은 상기 흡입노즐체(60)의 흡입구(도시되지 않음)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이 상기 흡입유로(74)를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어셈블리(100) 내부로 흡입되는 것이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mounting portion 72, a suction passage 74 is formed,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he upper end of the suction passage 74 is coupled with the suction guide 112 of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to be described below, the lower end of the suction passage 74 is the suction port (not shown) of the suction nozzle body 60. ). Therefore, air and foreign matter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body 60 are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through the suction passage 74.

그리고 상기 집진장착부(72)의 후면에는 배출유로(76)가 전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배출유로(76)는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어셈블리(100)의 배기구(182)와 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집진어셈블리(100)에서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배출유로(76)를 통해 상기 바디(70)에 구비된 모터(도시되지 않음) 등을 경유하여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된다. The exhaust passage 76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portion to the rear of the dust collecting and mounting portion 72. The discharge passage 76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exhaust port 182 of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to be described below. Therefore, the air filtered by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door spac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76 via a motor (not shown) or the like provided in the body 70.

상기 배출유로(76)의 전면에는 패킹부재(76')가 장착된다. 상기 패킹부재(76')는 배출유로(76)가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통(110)의 배기구(182)와 기밀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배출유로(76)로 유입될 수 있는 큰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메쉬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이러한 패킹부재(76')는 기밀성을 위하여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일정한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The packing member 76 'is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ischarge passage 76. The packing member 76 'maintains an airtight state with the exhaust port 182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nd at the same time, the packing member 76' can be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channel 76. The foreign matter is molded into a mesh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In addition, the packing member 76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onstant elasticity such as rubber or silicone for airtightness.

한편 상기 바디(70)의 전면 하단에는 청소기의 전방을 밝혀주는 램프(L)가 구비되고, 이러한 램프(L)의 상측에는 배기커버(70')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커버(70')는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를 경유하면서 필터링된 공기가 토출되는 출구를 감싸는 것으로, 이러한 배기커버(70') 내측에는 배기필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필터는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되는 공기의 이물을 다시 걸러내어 실 내공간으로 보다 쾌적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lamp (L) for illuminating the front of the cleaner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of the body 70, the exhaust cover 70 'is installed above the lamp (L). The exhaust cover 70 ′ surrounds an outlet through which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while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and an exhaust filter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exhaust cover 70 ′. The exhaust filter re-filters the foreign matter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indoor space) so that more comfortable air is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상기 배기필터의 후방에는 공기를 흡입하는 원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70)의 배면이나 측면에는 바닥면 외에 실내의 구석진 곳의 청소를 위한 별도의 악세사리(accessory)가 부착되기도 한다.Behind the exhaust filter is a motor (not shown) that provides a motive force for sucking air. And a separate accessory (accessory) for cleaning the corners of the room in addition to the bottom surface may be attached to the back or side of the body 70.

상기 바디(70)의 집진장착부(72)에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집진어셈블리(100)가 설치된다.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는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집진장착부(72)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dust collecting assembly 72 of the body 70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serves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body 60 and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dust collecting mounting unit 72.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는 일반적으로 싸이클론 방식 또는 별도의 필터를 통하여 이물질을 걸러서 포집하거나, 싸이클론방식 및 필터방식을 동시에 사용하여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ust collection assembly 100 is generally configured to collect foreign matter by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through a cyclone method or a separate filter, or to collect the foreign matter by using a cyclone method and a filter method simultaneously.

그리고 상기 바디(70)에는 상기 집진어셈블리(100)의 착탈을 위한 착탈노브(78)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착탈노브(78)의 일단이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어셈블리(100)에 형성되는 노브홈(78')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The body 70 is provided with a detachment knob 78 for detachment of the dust collection assembly 100. Therefore, one end of the detachable knob 78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knob groove 78 'formed in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to be described below.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집진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필터조립체의 내부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6의 A-A'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shows the inside of the filter assembly constituting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 of FIG. 6.

이들 도면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어셈블리(100)에는 대략 원통형의 집진통(110)이 구비되고, 이러한 집진통(110)의 일측면 상단부에는 흡입가 이드(112)가 형성된다. As shown in detail in these figures,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is provided with a substantially cylindrical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the suction guide 112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such a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상기 흡입가이드(112)는 일단이 상기 집진통(110)의 외측으로 소정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집진통(110)의 내벽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가이드(112)는 상기 집진통(110)의 외면에 비스듬히 일정부분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suction guide 112 is formed so that one end thereof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may flow along the inner wall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in a tangential direction. Guide to help. Therefore, the suction guide 112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n angl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 측면에는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 중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먼지가 하측에 분리될 수 있도록 이물관통공(120a)이 성형된 분리판(120)이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통(110) 내부의 공간은 상기 분리판(12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된다. I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110, a separation plate 120 having a foreign body through-hole 120a formed therein is assembled so that dust having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ntroduced therein can be separated. Therefore, the space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is divided up and down by the separating plate 120.

상기 분리판(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칭되는 반달 형상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집진통(110) 내주면과 대응되도록 서로 대칭되는 반달 형상의 분리판(120)이 상기 집진통(110) 내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분리판(120)의 양단은 중앙부를 축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The separation plate 120 is made of a half-moon-shaped flat plate symmetric with each other as shown. That is, the vandal-shaped separation plates 120 which are symmetrical with each oth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110 are rotatab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110. Therefore, both ends of the separating plate 120 can be rotated to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상기 흡입가이드(112)의 타측 외주면에는 집진손잡이(130)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손잡이(130)를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가 상기 진공청소기(50)의 바디(70)로부터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dust collecting handle 130 is formed on the oth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ction guide 112. The dust collecting handle 130 is formed so that a user can easily detach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from the body 70 of the vacuum cleaner 50.

상기 집진통(110)의 상면은 상면커버(14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상면커버(140)는 상기 집진통(110)의 상단에 개폐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이러한 상면커버(140)의 상면에는 상기 바디(70)의 착탈노브(78)가 삽입되는 노브홈(78')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커버(140)의 측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확인편(176)이 출입하 는 확인홈(140')이 성형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is shielded by the upper cover 140. The top cover 140 is mount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the upper end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the knob groove 78 'is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knob 78 of the body 7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140. ) Is formed. And the side of the top cover 140 is formed with a confirmation groove 140 'that the check piece 176 to be described below to enter and exit.

상기 상면커버(140) 저면에는 필터조립체(150)가 체결된다. 상기 필터조립체(150)는 원통형상으로 성형되어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것으로, 상기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되어 선회하는 공기를 중앙부로 안내하는 블레이드부(151)와, 상기 블레이드부(151)의 내측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부(152)와, 상기 블레이드부(151)와 필터부(152)의 하단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하단고정부(154)와, 상기 블레이드부(151)와 필터부(152)의 상단을 고정하는 상단고정부(156) 등으로 이루어진다.The filter assembly 150 is fastened to the bottom of the top cover 140. The filter assembly 15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suction air, the blade unit 151 for guiding 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or 110 to the center portion and the blade, A filter unit 152 provided inside the unit 151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a lower end fixing unit 154 for fixing and supporting lower ends of the blade unit 151 and the filter unit 152; It consists of an upper end fixing part 156 for fixing the upper end of the blade unit 151 and the filter unit 152.

상기 블레이드부(151)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51')로 구성되며, 상기 블레이드(151')는 상기 집진통(110)의 내면과 예각(θ)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151')는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선회방향(A)과 예각(θ)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151')는 상기 집진통(110) 내부를 선회하는 공기를 역방향으로 안내하여 내측으로 유동하도록 한다.The blade unit 15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ades 151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the blade 151' is formed to form an acute angle (θ)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That is, the blade 151 ′ is form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as shown in detail in FIG. 7, and more specifically, to form an acute angle θ with a turning direction A of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Is installed. Therefore, the blade 151 ′ guides the air orbiting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in the reverse direction to flow inward.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필터부(152)는, 공기가 강하게 유동되는 것을 고려하여 일정 이상의 강도가 확보되고, 세척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의 것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섬유재로 활용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filter unit 152 of the filter assembly 15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strength or more, in consideration of the strong flow of air, and capable of maintaining a shape during washing. For example, it can also be comprised by the polyester material which can be utilized as a fiber material.

예를 들어, 상기 필터부(152)는 망필터나 길이방향의 주름이 다수개 성형되 는 절곡필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151')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블레이드부(151)를 통과한 공기와의 접촉표면적을 넓혀줄 수 있게 되므로, 집진효율이 극대화된다. 즉, 상기 토출안내유로(152a)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미세한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도록 상기 필터부(152)가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주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filter unit 152 is composed of a mesh filter or a bending filter in which a plurality of wrink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widen the contact surface area with the air guided by the blade 151 'and passed through the blade unit 151, thereby maximizing dust collection efficiency. That is, the filter unit 152 filters foreign matters in the air so that fine foreign matters are not included in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guide passage 152a.

상기 블레이드부(151)와 필터부(152)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상단고정부(156)와 하단고정부(154)도 블레이드부(151)와 필터부(152)가 원기둥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세척이 가능한 합성수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upper and lower fixing parts 156 and lower fixing parts 154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blade part 151 and the filter part 152 also have a cylindrical shape. It is configured to maintain and may be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at can be washed.

상기 필터부(152)의 중앙부에는 토출안내유로(152a)가 상하로 형성된다. 상기 토출안내유로(152a)는 상기 하단고정부(154)를 관통하도록 성형되어, 상기 필터부(152)를 통과한 공기가 하방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Discharge guide flow path 152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lter part 152 up and down. The discharge guide flow path 152a is formed to penetrate the lower fixing part 154 to guid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part 152 to be discharged downward.

상기 상단고정부(156)는 상기 하단고정부(154)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원주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고정부재(160)의 걸림돌기(162)가 관통하는 걸림홈(156')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고정부(156)의 원주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부재(170)의 유동을 제어하는 결합편(158)이 측방으로 일정부분 돌출 형성된다.The upper fixing portion 156 is preferably formed in a relatively larger size than the lower fixing portion 154,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a locking projection 162 of the filter fixing member 160 to be described below is caught through A plurality of grooves 156 'are formed. In additi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fixing part 156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iece 158 that controls the flow of the movable member 170 to be described below, and protrudes in a lateral direc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커버(140)의 저면에는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상단고정부(156)가 체결되는 필터고정부재(16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고정부재(160)의 내측면에는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상단고정부(156)가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돌기(162)가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필터고정부재(160)는 상기 상 면커버(14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8,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140 is provided with a filter fixing member 160 to which the upper fixing part 156 of the filter assembly 150 is fasten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lter fixing member 160, a plurality of locking projections (162) for fixing the upper end portion 156 of the filter assembly 150 is formed. And the filter fixing member 16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cover 140.

한편 상기 필터고정부재(160)의 외측에는 원형의 이동부재(170)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재(170)의 내측면에는 상기 필터조립체(150) 상단고정부(156)의 결합편(158)에 의하여 이동부재(170)의 이동을 제어하게 되는 작용요홈(172)이 형성되며, 이러한 작용요홈(172)의 우측(도 8에서)에는 상기 작용요홈(172)을 벗어난 결합편(158)이 맞물려 걸어지는 걸림턱(174)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ide of the filter fixing member 160 is provided with a circular moving member 170. An operation groove 172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17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vable member 170 by the coupling piece 158 of the upper fixing part 156 of the filter assembly 150. On the right side (in FIG. 8) of the working groove 172, the engaging jaw 174, which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iece 158 which is out of the working groove 172,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상기 이동부재(170)의 일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확인편(176)이 형성된다. 상기 확인편(176)은 상기 이동부재(17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확인홈(140')을 출입하면서,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장착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편(176)의 내부에는 압축스프링(S)이 장착되어 상기 확인편(176)의 복귀를 제어한다.One side of the moving member 170 is formed with a confirmation piece 176 protruding outward. The check piece 176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oving member 170 and functions to check whether the filter assembly 150 is mounted while entering and exiting the check groove 140 ′. And the inside of the confirmation piece 176 is a compression spring (S) is mounted to control the return of the confirmation piece (176).

상기 분리판(120)의 하측에는 토출안내관(180)이 형성된다. 상기 토출안내관(180)은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토출안내유로(152a)를 통하여 하방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집진어셈블리(100)의 측방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토출안내관(180)의 상단은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하단에 접하여, 상기 토출안내유로(152a)와 토출안내관(180)이 서로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안내관(180)은 상기 집진통(110)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discharge guide tube 180 is formed below the separation plate 120. The discharge guide pipe 180 guides the air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discharge guide flow path 152a of the filter assembly 150 to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Therefore,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guide tube 18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ilter assembly 150, the discharge guide passage 152a and the discharge guide tube 180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discharge guide tube 18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110).

상기 토출안내관(180)은 'ㄴ'자 형상(도 6에서 볼때)으로 성형되며, 일단부에는 공기의 출구가 되는 배기구(182)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구(182)는 상기 집진통(110)의 측면 하단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안내관(180)을 통해 안내되는 공 기를 집진통(110)의 외부 측방으로 안내한다. The discharge guide tube 180 is shaped into a 'b' shape (see FIG. 6), and an exhaust port 182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as an outlet of air. The exhaust port 182 is formed at the lower side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to guide the air guided through the discharge guide pipe 180 to the outer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기구(182)는 상기 집진통(110)의 측면 내측으로 일정부분 함몰되어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집진손잡이(130)와 반대편에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기구(182)에 상대적으로 돌출된 상기 바디(70)의 배출유로(76)가 수용되는 것이다. In more detail, the exhaust port 182 is recess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to be concave, and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dust collecting handle 130. Therefore, the discharge passage 76 of the body 70 protruding relative to the exhaust port 182 is accommodated.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구(182)와 상기 바디(70)의 배출유로(76) 사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패킹부재(76')가 장착되어 기밀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흡입력 손실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 packing member 76 'mainly composed of rubber, silicon, or the like is mounted between the exhaust port 182 and the discharge passage 76 of the body 70 to maintain an airtight state. Therefore, the suction power loss of the vacuum cleaner will not occur at all.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진공청소기(50)를 동작시키면, 상기 바디(70)에 내장된 모터(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에 의해 흡인력이 생긴다. 이렇게 되면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저면 흡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고, 이러한 흡입공기와 이물은 상기 바디(70)의 흡입유로(74)와 집진어셈블리(100)의 흡입가이드(112)를 통해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된다.First, when the vacuum cleaner 50 is operated,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driving of a motor (not shown) built in the body 70. In this case, the outside air and the foreign matter are sucked through the bottom suction port (not shown) of the suction nozzle body 60, and the suction air and the foreign matter are suction path 74 and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of the body 70. I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through the suction guide 112 of the).

상기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토출안내관(180)을 통하여 빠져나가기 위해 공기와 함께 이동하는 과정에서 필터조립체(150)에 의하여 분리되어 집진통(110)의 내부에 쌓이게 되는 것이다.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is separated by the filter assembly 150 in the process of moving together with the air to escape through the discharge guide tube 180 and accumulated in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will be.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된 공 기와 이물을 반시계 방향(도 7에서)으로 선회하면서 집진통(110) 내부의 하측으로 이동하며, 이때 공기는 상기 블레이드(151') 사이에 형성된 블레이드틈새(171")를 통해 필터조립체(150) 내측으로 유동한다.Referring to FIG. 7, the air and the foreign substance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are rotated in the anti-clockwise direction (in FIG. 7) while moving downwardly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wherein the air It flows into the filter assembly 150 through the blade gap 171 ″ formed between the blades 151 ′.

그리고 이때 상대적으로 공기보다 무게가 큰 공기중의 이물은 관성력에 의해 진행방향을 바꾸지 못하고, 계속 집진통(110) 내부를 선회하다가 상기 이물관통공(120a)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분리판(120)의 하측에 쌓이게 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151')의 형성각도는 상기 집진통(110) 내부를 선회하는 공기의 선회방향(A)과 예각(θ)을 이루므로, 공기중의 이물을 관성력에 의해 집진통(110) 내부를 그대로 선회하게 되고 공기만 상기 필터부(152)로 이동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having a relatively greater weight than air does not change the direction of travel due to the inertia force, and continuously rotates inside the dust collecting tube 110 and moves downward through the foreign matter through-hole 120a to separate the separation plate ( 120 is accumulated at the bottom. That is, the forming angle of the blade 151 ′ forms an acute angle θ with the turning direction A of the air that rotates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and thus,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is collected by the inertial force. The interior is turned as it is and only air moves to the filter unit 152.

상기 필터부(152)에서는 미처 분리되지 못한 미세한 이물이 걸러진다. 즉 상기 블레이드부(151)에서 원심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이물이 분리되고, 미처 분리되지 못하고 공기중에 함유된 미세 이물은 상기 필터부(152)를 통과하면서 걸러지게 된다.In the filter unit 152, fine foreign matter that cannot be separated is filtered out. That is, foreign matter having a relatively large mass is separated from the blade unit 151 by centrifugal force, and fin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cannot be separated and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152.

상기 블레이드부(151)와 필터부(152)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터부(152)의 중앙에 형성된 토출안내유로(152a)를 통해 하방으로 유도되어 상기 토출안내관(180)과 배기구(182)를 통해 집진어셈블리(10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집진어셈블리(100)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바디(70)에 형성된 배출유로(76)를 통과하여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외부로 토출된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blade unit 151 and the filter unit 152 is led downward through the discharge guide passage 152a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lter unit 152 to discharge the discharge guide tube 180 and the exhaust port 182.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 motor (not shown)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76 formed in the body 70.

다음으로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착탈 과정을 살펴본다.Next, look at the detachment process of the filter assembly 150.

상기 필터조립체(150)가 상기 상면커버(140)로부터 탈거된 경우에는 상기 확 인편(176)은 상기 상면커버(140)의 확인홈(140')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이때에는 상기 확인편(176)은 내장된 압축스프링(S)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상면커버(140) 외측으로 돌출되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를 바디(70)에 장착할 수 없게 된다.When the filter assembly 150 is removed from the top cover 140, the check piece 176 protrudes outward through the check groove 140 ′ of the top cover 140. That is, at this time, the check piece 176 is protruded out of the upper cover 140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built-in compression spring (S). Therefore, in this state,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cannot be mounted on the body 70.

상기 필터조립체(150)를 상기 상면커버(140)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결합편(158)이 상기 이동부재(170)의 작용요홈(172)에 수용된 상태에서 시계방향(도 8에서)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결합편(158)은 상기 작용요홈(172)을 벗어나 우측의 걸림턱(174)에 걸어진다. In order to mount the filter assembly 150 to the upper cover 140, the coupling piece 158 of the filter assembly 150 is clockwise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groove 172 of the moving member 170 is accommodated. At 8). In this case, the coupling piece 158 is hooked to the locking jaw 174 on the right side out of the working groove 172.

이와 같이 상기 결합편(158)이 상기 걸림턱(174)에 위치되면,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상단고정부(156)가 상기 필터고정부재(160)의 걸림돌기(162)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확인편(176)은 상기 확인홈(140')을 통해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면커버(140)의 외부로는 돌출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기 집진어셈블리(100)를 상기 바디(70)에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coupling piece 158 is positioned on the locking step 174, the upper fixing part 156 of the filter assembly 150 is firmly secured by the locking protrusion 162 of the filter fixing member 160. It is fixed. In this case, the check piece 176 moves inward through the check groove 140 ′ and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top cover 140. Therefore, in this case,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may be mounted on the body 70.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exemplified embodiments, and many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above technical scope.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집진통(110) 내부에 분리판(120)이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상하로 분리하고 있으나, 이러한 분리판(120)이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parator plate 120 is installed inside the dust collector 110 to separate the internal space up and down,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separator plate 120 may be variously changed.

즉 도 9와 같이 상기 집진통(110)의 내면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분리판 (120)이 구비되고, 이러한 분리판(120)의 외측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이물관통공(120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때 상기 분리판(120)은 상기 집진통(110)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관통하는 배기관통공(120b)이 형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9 is provided with a separation plate 120 having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110, the at least one foreign body through-hole 120a is formed in the outer end of the separating plate 120 through The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the separating plate 12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110, and an exhaust pipe through-hole 120b through which the purified air passes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또한 도 10a와 도 10b와 같이, 상기 분리판(120)을 스커트(skirt)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분리판(120)이 평판으로 이루어지나,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스커트(skirt) 형상의 분리판(120')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10A and 10B, the separation plate 120 may be configured in a skirt shape. That is,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separating plate 120 is made of a flat plate, bu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kirt-shaped separating plate 120 'gradually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상기 스커트(skirt) 형상의 분리판(120')에도 중앙부에는 정화된 공기가 관통하는 배기관통공(120b)이 형성되며, 이러한 스커트(skirt) 형상의 분리판(120') 외경은 상기 집진통(110)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n exhaust pipe through-hole 120b through which purified air passes is also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skirt-shaped separator plate 120 ',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kirt-shaped separator plate 120' is determined by the dust collector. It is preferable to have a size relative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110).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집진어셈블리(100)가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5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일예로 설시하고 있으나, 본체와 노즐부가 분리 구성되는 캐니스터 방식(Canister type) 또는 핸디 방식 등의 다양한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100 is mounted and used in the upright type vacuum cleaner 50 is used as an example. However, various types such as a canister type or a handy type in which the main body and the nozzle unit are separated may be used. Of course, it can be applied to a clean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어셈블리에서는, 필터조립체는 공기의 유동을 역방향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부와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부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기중의 이물제거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 다.In the vacuum cleaner dust collection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assembly is composed of a blade portion for guiding the flow of air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a filter portion for filtering foreign matter.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moval of foreign matter in the air more effectively.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물이 걸러진 공기는 집진어셈블리의 하반부 측면을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집진어셈블리의 착탈이 용이해진다. 즉 배기구가 집진어셈블리의 후면(집진손잡이의 반대편)에 형성되므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착탈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ltered air has a structure that is discharged through the lower half of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hat is, since the exhaust port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pposit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handle) of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movable is easier than the cas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Claims (8)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중의 오물을 필터링하여 집진하는 집진통(110)과;A dust collecting box 110 for collecting dust by filtering dirt i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며, 외면에는 외측 공기를 내측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블레이드(151')가 나선방향으로 형성되는 필터조립체(150)와;A filter assembly (150)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and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151 ') formed in a spir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to guide the outside air inwardly;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분리판(120)과;A separation plate 120 provided below the filter assembly 150 and partitioning an inner space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up and down; 상기 필터조립체(15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집진통(110)의 측면을 통해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토출안내관(18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Dust collection assembly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scharge guide tube 180 for guid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ssembly 150 through th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tube (1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110)의 측면 하단 부분에는 상기 토출안내관(180)을 통해 안내되는 공기의 출구가 되는 배기구(18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The dust collection assembly of claim 1, wherein an exhaust port 182 is formed at a lower side portion of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to be an outlet of air guided through the discharge guide pipe 18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안내관(180)은 'ㄴ'자 형상으로 성형되며, 일단이 상기 필터조립체(150)의 하단에 접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ischarge guide tube 180 is formed in a 'b' shape, the dust collection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filter assembly 150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조립체(15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lter assembly 150, 상기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되어 선회하는 공기를 중앙부로 안내하는 블레이드부(151)와,Blade portion 151 for guiding 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ing tube 110 to the center portion, and 상기 블레이드부(151)의 내측에 구비되어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부(15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The dust collecting assembly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ter unit 152 provided inside the blade unit 151 to filter foreign matter in the ai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151)는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51')로 구성되며, 상기 블레이드(151')는 상기 집진통(110)의 내면과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lade unit 15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lades 151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the blade 151' is characterized by forming an acute angl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or (110).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51')는 상기 집진통(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선회방향과 예각을 이루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6. The dust collecting assembly of claim 5, wherein the blade (151 ') is install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a turning direction of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1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120)은, 평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측으로 기울어지는 스커트(skirt)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The dust collecting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separating plate (120) is made of a flat plate or has a skirt shape gradually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side.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120)에는 필터링된 이물을 하측으로 안내하는 이물관통공(120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 소기의 집진어셈블리.The dust collecting assembly of claim 1 or 7, wherein the separating plate (120) is formed with a foreign material through hole (120a) for guiding the filtered foreign material downward.
KR1020050029827A 2005-04-11 2005-04-11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rner KR2006010762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827A KR20060107627A (en) 2005-04-11 2005-04-11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r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827A KR20060107627A (en) 2005-04-11 2005-04-11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r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627A true KR20060107627A (en) 2006-10-16

Family

ID=3762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827A KR20060107627A (en) 2005-04-11 2005-04-11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r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762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760B1 (en)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KR101178295B1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rner
US20230045253A1 (en) Vacuum cleaner
KR101119615B1 (en) Vacuum cleaner
JP3639250B2 (en) Vacuum cleaner filter mounting device
KR100933188B1 (en) Vacuum cleaner
KR100936064B1 (en) A vacuum clearner
KR100963382B1 (en) A vacuum clearner
KR100912314B1 (en) A vacuum clearner
KR100934134B1 (en)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KR20050091836A (en) A vacuum clearner
KR20050091834A (en) A vacuum clearner
KR20130031235A (en) Vacuum cleaner
KR100963337B1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140020194A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electric cleaner having the same
KR100941426B1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20060107625A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rner
KR20060107627A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rner
KR100932761B1 (en) Dust collection assembly of vacuum cleaner
KR100933190B1 (en)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KR101199662B1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20060107626A (en) A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rner
KR20060020772A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101143783B1 (en)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KR200344840Y1 (en) A fixing structure of exhaust filter i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