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3432A -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3432A
KR20060073432A KR1020050087175A KR20050087175A KR20060073432A KR 20060073432 A KR20060073432 A KR 20060073432A KR 1020050087175 A KR1020050087175 A KR 1020050087175A KR 20050087175 A KR20050087175 A KR 20050087175A KR 20060073432 A KR20060073432 A KR 20060073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sulating member
unit
electrode
unit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5391B1 (ko
Inventor
하진웅
김지호
이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06007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H01M6/46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of flat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1Bi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3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01M2200/106PT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7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고출력 대용량의 이차전지 모듈 또는 팩에서의 단자 연결부재로서, 인접한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극단자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단자들과 체결되는 절연성 부재와, 상기 절연성 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절연성 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을 직렬 또는 병렬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팅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연결부재는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을 간단한 공정에 의해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카트리지와 같은 별도의 장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위전지들을 견고하게 적층하여 모듈을 구성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에서 단락의 위험성을 줄이고, 모듈의 조립 과정 및 모듈 완성 후의 사용중에도 안전소자 등의 장착이 용이하며, 단위전지들의 전위 레벨링 공정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 {Terminal-linking Member of Secondary Battery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단자 연결부재가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지모듈에서 하부 케이스와 그 위에 단위전지들이 적층되는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자 연결부재에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절연성 부재의 결합전의 형상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자 연결부재에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커넥팅 부재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3의 조립형 절연성 부재와 도 4의 분리형 커넥팅 부재를 사용하여 전극단자들을 연결하는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절연성 부재에 분리형 커넥팅 부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퓨즈를 연결하는 과정의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전지모듈 200: 단위전지
300: 절연성 부재 400: 커넥팅 부재
500: 패스너 600: 양면 접착 테이프
700: 퓨즈
본 발명은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고출력 대용량의 이차전지 모듈 또는 팩에서의 단자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접한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극단자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단자들과 체결되는 절연성 부재와, 상기 절연성 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절연성 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을 직렬 또는 병렬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팅 부재로 이루어진 단자 연결부재를 제공한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를 사용하는 에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이차전지의 장점으로 인해 매우 다양 화되어 가고 있으며, 향후에는 지금보다는 많은 분야와 제품들에 이차전지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차전지는 그것이 적용되는 분야 또는 제품들에서 요구되는 출력과 용량에 따라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휴대폰, PDA,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들은 해당 제품들의 소형 경박화 경향에 따라 그에 상응하도록 디바이스 1 대당 하나 또는 서너 개의 소형 경량의 전지 셀들이 사용되고 있다. 반면에, 전기자전거, 전기오토바이,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들은 고출력 대용량의 필요성으로 인해, 다수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모듈(또는 전지팩)이 사용되고 있는데, 전지모듈의 크기와 중량은 당해 중대형 디바이스 등의 수용 공간 및 출력 등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으므로, 제조업체들은 가능한 한 소형이면서 경량의 전지모듈을 제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한, 전기자전거, 전기자동차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많은 충격, 진동 등을 받는 디바이스들은 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소자들간의 전기적 연결상태와 물리적 결합상태가 안정적이어야 하며, 다수의 전지를 사용하여 고출력 및 대용량을 구현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성 측면도 중요시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대형 이차전지 모듈은 일정한 크기의 케이스(하우징) 내부에 다수의 단위전지들을 수납하고 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제조된다. 그러한 단위전지로는 높은 집적도로 적층될 수 있는 각형 이차전지와 파우치형 이차전지가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중량이 적고 저렴한 파우치형 전지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전지모듈의 단위전지로서 사용되는 파우치 형 전지는 몇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파우치형 전지는 판상의 전극단자들이 그것의 상단에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모듈의 구성을 위한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전극단자들의 연결은 일반적으로 와이어, 플레이트, 버스 바 등을 사용하여 해당 단자들을 용접 등에 의해 연결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지만, 판상의 전극단자는 그러한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일반적으로는, 판상의 전극단자를 일부 절곡하여 해당면에 플레이트, 버스 바 등을 용접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숙련된 기술이 요구되고 작업공정이 복합하다. 또한,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결합 부위가 분리되어 불량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둘째, 파우치형 전지는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므로 다수의 전지들을 적층하여 모듈을 제조함에 있어서 안정적인 결합과 조립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들이 다수 요구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파우치형 전지를 모듈로 제조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위로 전지들을 장착하는 카트리지 등의 별도의 장착 부재가 사용되고 이들을 적층하여 모듈을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장착 부재의 사용은 전지모듈의 조립 과정을 복잡하게 만들고 모듈의 전반적인 크기를 더욱 크게 만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모듈에서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을 간단한 공정에 의해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단자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와 같은 별도의 장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위전지들을 견고하게 적층하여 모듈을 구성할 수 있는 단자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조공정에서 단락의 위험성을 줄이고 모듈의 조립과정 및 모듈 완성 후의 사용중에도 안전소자 등의 장착이 용이하며 단위전지들의 레벨링 공정을 행할 수 있는 단자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는, 단위전지들을 적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지모듈에 있어서,
인접한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극단자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단자들과 체결되는 절연성 부재; 및
상기 절연성 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절연성 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팅 부재;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연결부재는 적층식 이차전지 모듈에서 상기 절연성 부재와 커넥팅 부재를 순차적으로 조립하는 방식으로 모듈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이 매우 간단하고 우수한 결합력 및 안전성을 제공한다.
상기 전극단자는 전지의 일면에 양극과 음극 단자가 모두 형성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전지의 두개 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가 각각 대향하여 전지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절연성 부재는 인접한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전기절연성 소재로 되어 있다. 그러한 전기절연성 소재의 바람직한 예로는 각종 플라스틱 수지를 들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절연성 부재가 단위전지의 전극단자들과 체결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바람직한 예로서, 상기 단위전지의 전극단자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성 부재의 대응 부위에는 체결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전극단자의 관통구에 절연성 부재의 체결 돌출부를 삽입하여 상호간의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 돌출부에도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돌출부의 관통구에 삽입될 수 있는 체결부재로 적층되어 있는 전극단자들, 더욱 정확하게는, 절연성 부재를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전극단자들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절연성 부재는 적층된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 사이의 이격 공간과 일치하는 직사각형의 블록일 수 있다. 단위전지들이 적층된 상태에서 전극단자들 사이의 이격 공간은 직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내므로 그러한 이격 공간과 일치하는 직사각형 블록은 더욱 안정적이다.
상기 블록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위전지의 양극 단자가 체결되는 부위와 음 극 단자가 체결되는 부위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조립 단위체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자 연결부재를 구성하는 또다른 요소인 커넥팅 부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연성 부재에 체결되며, 절연성 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므로,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한 도전성 소재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커넥팅 부재와 절연성 부재의 체결 방식 역시 다양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커넥팅 부재는 단위전지(A)의 전극단자(a)에 접촉되는 제 1 단자 연결체와 단위전지(A)에 인접한 단위전지(B)의 전극단자(b)에 접촉되는 제 2 단자 연결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절연성 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구조이거나, 또는 상기 절연성 부재에 결합용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러한 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커넥팅 부재에 연결되는 단위전지(A)의 전극단자(a)와 단위전지(B)의 전극단자(b)가 서로 다른 전극일 때 직렬 연결이 이루어지며, 동일한 전극일 때 병렬 연결이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단자 연결체와 제 2 단자 연결체가 상호 분리되어 있고, 각각을 해당 전극단자에 접촉되도록 절연성 부재에 결합할 수 있으며, 절연성 부재와의 결합 후 제 1 단자 연결체와 제 2 단자 연결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도전성 부재를 상기 단자 연결체들에 결합시킨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도전성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퓨즈, 바이메탈, PTC 등과 같은 안전소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립형 커넥팅 부재는, 모듈의 조립 과정에서 전극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단락의 가능성을 크게 낮출 수 있고, 모듈의 조립과정 및 완성 후의 사용 중에 상기와 같이 안전소자의 용이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며, 단위전지들의 초기 상태를 평준화하기 위한 병렬 레벨링 공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와 같은 단자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그러한 전지모듈은, 예를 들어,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인 다수의 단위전지들이 적층되는 플레이트와, 전지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단위전지들이 적층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단위전지들의 실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단위전지의 크기에 상응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구조일 수 있으며, 또한 그러한 케이스는 적층된 단위전지들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덮는 분리형 구조일 수 있다.
그러한 이차전지 모듈의 바람직한 예는 도 1을 참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술하지만,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부재가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모듈의 사시도와 측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지모듈(100)은 상부 케이스(110), 하부 케이스(120), 다수의 단위전지들(200), 제 1 회로부(130), 제 2 회로부(140) 및 제 3 회로부(150)를 포함하고 있다. 단위전지들(200)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 사이에 적층되어 있으며, 제 1 회로부(130)는 전지모듈(100)의 정면에 위치하고, 제 2 회로부(140)는 저면에 위치하며, 제 3 회로부(150)는 배면에 위치한다.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가 분리되어 있으므로, 적층될 수 있는 단위전지(200)의 수는 그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그러한 단위전지(200)의 적층 수에 따라 제 1 회로부(130)와 제 3 회로부(150)만을 변경하면, 소망하는 전기 용량과 출력의 전지모듈(100)을 용이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또한, 단위전지들(200)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충방전시 단위전지들(200)의 방열을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 케이스(110)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제 1 회로부(130)는 단위전지(200)의 전극단자 방향으로 모듈(10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고, 단위전지들(200)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팅 부재와 각 단위전지(200)로부터 전압 및/또는 전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회로부(140)는 제 1 회로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모듈(1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메인 보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부 기판(120)의 하단 수납부에 장착되어 있다. 전지의 온도는 메인 보드 어셈블리에서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3 회로부(150)는 제 2 회로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충방전시의 과전류를 방지하면서 외부 입출력단자와 연결되며, 제 1 회로부(130)의 맞은편인 모듈(100)의 대향 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회로부(130), 제 2 회로부(140) 및 제 3 회로부(150)의 일부 또는 전체가 병합된 구조일 수 있으며, 또한 이들 회로부들(130, 140, 150)의 일부 또는 전체는 동일한 부위, 즉, 모듈의 일면 또는 두면에 함께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에는 도 1의 전지모듈에서 하부 케이스의 상면 사시도와 단위전지가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120)는 단위전지(200)의 외형에 거의 상응하는 장방형의 구조물로서 단위전지(200)가 수납되는 상단 수납부(121)를 포함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부 케이스(120)는 단순한 플레이트 구조일 수도 있다. 하부 케이스(120)는 높은 강도와 전기 절연성의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C(polycarbonat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등의 플라스틱 수지로 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20) 상에 적층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200)는 전지 본체(210)의 상단에 양극단자(220)와 음극단자(230)가 각각 돌출되어 있다. 이들 전극단자들(220, 230)에는 관통구(240)이 천공되어 있어서, 다수의 단위전지들(200, 201)이 적층된 상태에서 별도의 체결부재, 예를 들어, 패스너(fastener: 500)가 관통구 (240)에 삽입되고 하부 케이스(120) 상의 고정홈(122)을 통해 그것의 하단면에서 너트(도시하지 않음) 등을 사용해 고정할 수 있다.
단위전지들(200, 201) 사이에는 전기적 절연을 위해 전극단자(220, 230) 상에 절연성 부재(300)가 실장되며, 절연성 부재(300)에는 전극단자들(220, 230)의 관통구(240)가 체결될 수 있는 돌출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10)에는 관통구(320)가 형성되어 있어서, 돌출부(310)의 관통구(320)를 통과하는 패스너(500)가 전극단자들(220, 230)로부터 전기적 절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또한, 단위전지(200)의 본체(210)에는 양면 접착 테이프(600)가 각각 2 개씩 부착되어 있어서 적층되는 단위전지(21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더욱 보장한다. 더욱이, 적층된 단위전지들(200, 201)은 양면 접착 테이프(600)의 두께 만큼 이격되므로, 그러한 이격 홈은 충방전시 단위전지들(200, 201)의 부피 변화를 완충하며 충방전시 단위전지들(200, 210)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발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절연성 부재의 결합전 상태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절연성 부재(300)는 암체결부(331)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조립 단위체(330)와, 암체결부(331)에 대응하는 수체결부(341)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조립 단위체(340)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제 1 조립 단위체(330)와 제 2 조립 단위체(340)를 상호 결합시킨 상태의 절연성 부재(33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의 블록 형상을 나타낸다.
각 조립 단위체(330, 340)의 상단 측부에는 상부에 적층될 또다른 절연성 부 재(도시하지 않음)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돌기(350)가 형성되어 있고 그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단면에는 체결홈(35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조립체(330, 340)의 상단 중앙에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위전지의 전극단자의 관통구(도시하지 않음)가 체결될 수 있는 돌출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조립 단위체(330)와 제 2 조립 단위체(340)가 결합된 상태의 절연성 부재(300)에 커넥팅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 조립 단위체(340)의 측면에는 만입부(343)가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분리형 커넥팅 부재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분리형 커넥팅 부재(400)는 단위전극 전극단자들 중 하나의 전극단자(예를 들어, 양극단자)에 접속하는 제 1 단자 연결체(410)와 나머지 전극단자(예를 들어, 음극단자)에 접속하는 제 2 단자 연결체(420)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단자 연결체들(410, 420)은 도전성 판상 소재로 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 연결체(410, 420)에는 절연성 부재의 돌출부(도 3의 310)에 체결될 수 있는 결합홈들(412, 422)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연결체(41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412)이 절연성 부재 돌출부의 위쪽 방향으로만 결합될 수 있도록 폐쇄형으로 되어 있음에 반하여, 제 2 단자 연결체(4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홈(422)은 절연성 부재 돌출부의 측면 방향으로도 결합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방형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조립과정을 보여주는 도 5을 참조하여 추후 설명한다.
제 1 단자 연결체(410)에는 조립된 상태에서 센싱 보드 어셈블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측면으로 돌출된 연장 접속부(415)가 또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 연결체(410, 420)에는 절연성 부재의 만입부(도 3의 343)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430, 440)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430, 440)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소재로 되어 있는 본체의 측면을 일정한 높이를 부여한 상태에서 안쪽으로 접어 형성된 제 1 절곡부(431)와, 이를 다시 수직으로 접어 형성된 제 2 절곡부(432)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절연성 부재의 만입부에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에는 도 3의 조립형 절연성 부재와 도 4의 분리형 커넥팅 부재를 사용하여 단위전지의 전극단자들을 연결하기 위한 일부 조립 공정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5는 절연성 부재(300)와 커넥팅 부재(400)를 사용하여 단위전지들(200, 201)을 직렬방식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팅 부재의 제 1 단자 연결체(410)와 제 2 단자 연결체(420)는 각각의 결합부(430, 440)가 절연성 부재 중 제 2 조립 단위체(340)의 만입부(343)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제 1 단자 연결체(410)는 결합부(430)가 위쪽을 향하도록 정립된 상태로 만입부(343)에 삽입되고 판상 본체(414)가 제 1 조립 단위체(330)와 제 2 조립 단위체(340)의 하단면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제 1 단자 연결체(410)의 결합 과정에서 결합부(430)의 측면 절곡부(431)는 만입부(343)의 하단에 길게 형성되어 있는 하부 유도홈(345)을 따라 도입된다. 제 1 단자 연결체(410)는 그것의 결합부(430)가 절연성 부재(300)의 만입부(343)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또다른 절연성 부재(도시하지 않음)의 하단면에 장착되므로 결합홈(412)은 폐쇄형으로 만들어진다.
반면에, 제 2 단자 연결체(420)는 결합부(440)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도립된 상태에서 만입부(343)로 삽입되고 판상 본체(424)가 제 2 조립 단위체(340)의 상단면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제 2 단자 연결체(420)의 결합 과정에서 결합부(440)의 측면 절곡부(441)는 만입부(343)의 상단에 길게 형성되어 있는 상부 유도홈(344)을 따라 도입된다. 제 2 단자 연결체(340)는 그것의 결합부(440)가 절연성 부재(300)의 만입부(343)에 측면 방향으로 삽입되면서 돌출부(312)가 형성되어 있는 절연성 부재(300)의 상단면에 장착되므로 결합홈(422)은 개방형으로 만들어진다.
두 단자 연결체들(410, 420)은 절연성 부재(300)에 결합되었을 때에도,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결합전의 상태 도시함), 서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단자 연결체(410)는 제 1 조립 단위체(330)의 하단면에 체결되는 단위전지(201)의 양극단자(221)와 접속되고, 제 2 단자 연결체(420)는 제 2 조립 단위체(340)의 돌출부(312)에 체결되는 단위전지(200)의 음극단자(230)에 접속된다.
조립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 2 조립 단위체(340)에 제 2 단자 연결체(420)를 결합시킨다(S1). 그런 다음, 제 1 단자 연결체(410)를 제 2 조립 단위체(340)에 결합시킨다(S2). 상기와 같이 제 2 조립 단위체(340)에 결합된 제 2 단자 연결체(420)의 결합홈(422)을 단위전지(200)의 음극단자(230)의 관통구(240)에 일치시킨다(S3). 그리고, 제 1 조립 단위체(330)를 제 2 조립 단위체(340)와 결합시킨다(S4). 최종적으 로, 양극단자(220)의 관통구(240)가 돌출부(310)에 체결되고 음극단자(230)의 관통구(240)가 돌출부(312)에 체결되도록, 단위전지(200)를 절연성 부재(300)에 실장한다(S5). 이때, 양극단자(220)는 돌출부(310)에 체결된 상태에서 그 위에서 결합될 또다른 제 1 단자 연결체(도시하지 않음)와 접촉하게 되고, 반면에, 음극단자(230)는 돌출부(312)에 체결되어 있는 제 2 단자 연결체(420)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조립 과정의 하나의 예를 설명한 것이고, 상기의 조립 순서는 일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조립 단위체(310)와 제 2 조립 단위체(320)를 결합하는 과정(S4)을 우선 행할 수도 있다.
도 6에는 도 5의 조립 후 제 1 단자 연결체와 제 2 단자 연결체를 퓨즈를 사용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절연성 부재(300)에 결합된 제 1 단자 연결체(410)와 제 2 단자 연결체(420)는 서로 분리되어 있어서 절연상태에 있다. 따라서, 관련 소자들의 조립이 완료된 후 이들 단자 연결체들(410, 420)을 안전소자나 별도의 도전성 부재로 연결하여야 통전된다. 도 6에서는 안전소자의 일종인 퓨즈(700)를 사용하여 전기적 연결을 이루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퓨즈(700)는 과전류나 과열의 발생시 단전되는 부위를 포함하고 있는 본체(710)로부터 두 개의 접속단자들(720, 730)이 돌출되어 있다.
절연성 부재(3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1 단자 연결체(410)와 제 2 단자 연결체(420)의 결합부(430, 440)에는 탄성적인 접속홈(433, 443)이 형성된다. 따라서, 퓨즈(700)의 접속단자들(720, 730)을 결합부(430, 440)의 접속홈(434, 444)에 삽입하여 전기적 접속을 이룰 수 있다. 해당 단위전지들(도시하지 않음)에 과전류 또는 과열이 발생하여 퓨즈(700)가 단전되므로, 모듈을 분해하여 단전된 퓨즈(700)를 제거하고 새로운 퓨즈를 재차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적 연결과정 중에 안전소자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제 1 단자 연결체(410)와 제 2 단자 연결체(42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는,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을 간단한 공정에 의해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카트리지와 같은 별도의 장착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단위전지들을 견고하게 적층하여 모듈을 구성할 수 있으며, 제조공정에서 단락의 위험성을 줄이고 모듈의 조립과정 또는 완성 후의 사용 중에 안전소자 등의 장착이 용이하며 단위전지들의 전위 레벨링 공정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는, 단위전지들을 적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지모듈에 있어서,
    인접한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극단자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전극단자들과 체결되는 절연성 부재; 및
    상기 절연성 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절연성 부재에 체결되어 있는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을 직렬 및/또는 병렬방식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팅 부재;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 단자 연결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전지의 전극단자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성 부재의 대응 부위에는 체결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전극단자의 상기 관통구에 절연성 부재의 체결 돌출부를 삽입하여 체결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연결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출부에도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어서, 체결 돌출부의 상기 관통구에 삽입될 수 있는 체결부재로 절연성 부재를 개재한 상태로 적층되어 있는 전극단자들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연결부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부재는 적층된 단위전지들의 전극단자들 사 이의 이격 공간과 일치하는 직사각형의 블록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연결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부재는 단위전지의 양극 단자가 체결되는 부위와 음극 단자가 체결되는 부위가 상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두 개의 조립 단위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연결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부재는 단위전지(A)의 전극단자(a)에 접촉되는 제 1 단자 연결체와 단위전지(A)에 인접한 단위전지(B)의 전극단자(b)에 접촉되는 제 2 단자 연결체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절연성 부재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거나, 또는 상기 절연성 부재에 결합용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러한 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구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연결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부재에 연결되는 단위전지(A)의 전극단자(a)와 단위전지(B)의 전극단자(b)가 서로 다른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연결부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 연결체와 제 2 단자 연결체가 상호 분리되어 있고, 각각을 해당 전극단자에 접속되도록 절연성 부재에 결합하며, 상기 절연성 부재와의 결합 후 제 1 단자 연결체와 제 2 단자 연결체의 전기적 연결을 위 한 도전성 부재를 상기 단자 연결체들에 결합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연결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부재는 퓨즈, 바이메탈 또는 PTC의 안전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연결부재.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부재는 암체결부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조립 단위체와, 상기 암체결부에 대응하는 수체결부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조립 단위체로 구성되어 있고, 각 조립체의 상단 중앙에는 단위전지의 전극단자의 관통구가 체결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조립 단위체와 제 2 조립 단위체 중의 적어도 하나에는 커넥팅 부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측면에 만입부(34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연결부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조립체와 제 2 단위 조립체의 상단 측부에는 상부에 적층될 또다른 절연성 부재와 결합될 수 있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그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단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연결부재.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 연결체와 제 2 단자 연결체에는 절연성 부재의 돌출부에 체결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절연성 부재의 만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연결부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연결체들 중의 하나의 결합홈은 폐쇄형으로 되어 있고, 다른 단자 연결체의 결합홈은 개방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연결부재.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전체적으로 판상의 소재로 되어 있는 본체의 측면을 일정한 높이를 부여한 상태에서 안쪽으로 접어 형성된 제 1 절곡부와, 이를 다시 수직으로 접어 형성된 제 2 절곡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연결부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단자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이차전지 모듈.
KR1020050087175A 2004-12-24 2005-09-20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 KR1009053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12590 2004-12-24
KR1020040112590 2004-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432A true KR20060073432A (ko) 2006-06-28
KR100905391B1 KR100905391B1 (ko) 2009-06-30

Family

ID=36601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175A KR100905391B1 (ko) 2004-12-24 2005-09-20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638237B2 (ko)
EP (1) EP1829163B1 (ko)
JP (1) JP5138379B2 (ko)
KR (1) KR100905391B1 (ko)
CN (1) CN100553045C (ko)
BR (1) BRPI0518590B8 (ko)
CA (1) CA2589890C (ko)
RU (1) RU2337432C1 (ko)
TW (1) TWI302766B (ko)
WO (1) WO2006068372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62919B2 (en) 2007-11-08 2011-01-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026746B1 (ko) * 2006-08-28 2011-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단자 연결용 접속장치
KR101108445B1 (ko) * 2007-07-04 2012-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기계적 접속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부재
KR101397025B1 (ko) * 2012-09-10 2014-05-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드탭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지 모듈
KR20170043313A (ko) * 2015-10-13 2017-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20240048322A (ko) 2022-10-06 2024-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셀 카트리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KR20240048328A (ko) 2022-10-06 2024-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센싱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92245C (en) * 2004-12-24 2010-03-30 Lg Chem, Ltd. Separabl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attery module by leveling voltage
CN2819483Y (zh) * 2005-04-15 2006-09-20 金达时发展有限公司 薄板型锂电池的可组合连接架
KR100948970B1 (ko) * 2006-03-13 2010-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완충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중대형 전지모듈
JP5024811B2 (ja) * 2006-03-17 2012-09-12 国立大学法人静岡大学 電動車両の電源装置
JP4674722B2 (ja) * 2006-03-17 2011-04-20 国立大学法人静岡大学 電動車両の電源供給装置
KR100886571B1 (ko) 2006-08-07 2009-03-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팩 케이스
KR100863726B1 (ko) * 2006-09-18 2008-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일 분배형 버스 바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100934466B1 (ko) * 2006-09-25 200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속부재
EP2067194B8 (en) * 2006-09-25 2018-07-18 Lg Chem, Ltd. Cell-module cartridge and mid-large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0889241B1 (ko) 2006-10-23 2009-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의 전극단자 접속부재
KR100908568B1 (ko) * 2006-10-23 2009-07-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일 분배형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US7563137B1 (en) 2008-06-30 2009-07-21 Lg Chem, Ltd. Mechanical fastener for coupling to electrical terminals of battery modules and method for coupling to electrical terminals
US8163412B2 (en) * 2008-06-30 2012-04-24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a battery cell assembly thereto
US8035986B2 (en) * 2008-06-30 2011-10-11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battery cell assemblies thereto
DE102008039412A1 (de) * 2008-08-12 2010-02-18 Würth Elektronik Ics Gmbh & Co. Kg Verbindungsanordnung
US9028986B2 (en) * 2009-01-07 2015-05-12 A123 Systems Llc Fuse for battery cells
US20100248010A1 (en) * 2009-01-12 2010-09-30 A123 Systems, Inc. Bi-metallic busbar jumpers for battery systems
KR101104650B1 (ko) * 2009-03-24 2012-01-1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외장 부재가 구비된 차량용 배터리팩
US8098126B2 (en) * 2009-04-22 2012-01-17 Lg Chem, Ltd. High voltage service disconnect assembly
WO2011043261A1 (ja) * 2009-10-06 2011-04-1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池接続体
WO2011069162A1 (en) 2009-12-04 2011-06-09 A123 Systems, Inc. Battery with integrated power management system and scalable battery cutoff component
DE102010005017A1 (de) * 2010-01-19 2011-07-21 Li-Tec Battery GmbH, 01917 Elektroenergieeinheit und Distanzstück
KR101053208B1 (ko) * 2010-02-09 2011-08-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접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JP5715766B2 (ja) 2010-04-22 2015-05-13 矢崎総業株式会社 配線材の接続構造
US8480426B2 (en) * 2010-06-09 2013-07-09 Delta Electronics, Inc. Battery connecting tabs
KR101212614B1 (ko) 2010-07-08 2012-1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접속단자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JP2012089323A (ja) * 2010-10-19 2012-05-10 Nifco Inc 電池モジュール用電極構成体
KR101281744B1 (ko) * 2010-11-18 2013-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의 향상을 위한 부재를 전지셀들 사이에 포함하고 있는 전지모듈
FR2967823B1 (fr) * 2010-11-19 2015-05-22 Renault Sa Batterie d'accumulateurs et procede de detection d'un echauffement correspondant
US9178192B2 (en) 2011-05-13 2015-11-03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KR101275811B1 (ko) * 2011-05-19 2013-06-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US9496544B2 (en) 2011-07-28 2016-11-15 Lg Chem. Ltd. Battery modules having interconnect members with vibration dampening portions
KR101282519B1 (ko) 2011-08-02 2013-07-0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터리 모듈
US8974938B2 (en) 2011-08-30 2015-03-10 Lg Chem, Ltd. Battery system and method for coupling a battery cell assembly to an electrically non-conductive base member
US8871376B2 (en) 2011-08-31 2014-10-28 Lg Chem, Ltd. Interconnection assemblie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interconnection assemblies in a battery module
US8846240B2 (en) 2012-02-16 2014-09-30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ssembly
KR101401477B1 (ko) * 2012-08-02 2014-05-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커넥팅 부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및 배터리 팩
WO2014091635A1 (ja) * 2012-12-16 2014-06-19 エクセルギー・パワ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積層電池および積層電池の組立方法
JP2014180145A (ja) * 2013-03-15 2014-09-25 Yazaki Corp ヒューズブロック
US9281673B2 (en) * 2014-04-03 2016-03-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formable busbar assembly and bus bar installation method
US9437859B2 (en) 2014-04-07 2016-09-06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a battery module
US9620761B2 (en) 2014-09-09 2017-04-11 Lg Chem, Ltd. Battery cell interconnect and voltage sensing assembly and a battery module
US9905892B2 (en) 2015-02-09 2018-02-27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coupling first and second electrical terminals of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to first and second voltage sense members of an interconnect assembly
US10020483B2 (en) 2015-02-09 2018-07-10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coupling first and second electrical terminals of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to a voltage sense member of an interconnect assembly
KR102651576B1 (ko) * 2016-10-18 2024-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제조 방법
JP7150714B2 (ja) 2017-06-27 2022-10-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2328124B1 (ko) * 2018-01-26 2021-11-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전지 모듈 어셈블리
CN115986285B (zh) 2018-06-20 2024-03-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输出极片及电池模组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7239A (en) * 1974-11-07 1977-09-06 Allis-Chalmers Corporation Stationary induction apparatus having means to monitor insulation dryness
WO1989004065A1 (en) * 1987-10-23 1989-05-05 Shannon James M Intercell connec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nnector
US5470255A (en) * 1993-03-23 1995-11-28 The Whitaker Corporation Extended height connector for a battery
US5795181A (en) * 1995-01-24 1998-08-18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on a battery
JP3344231B2 (ja) * 1996-08-21 2002-1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の接続構造
FR2759523B1 (fr) * 1997-02-10 1999-03-19 Alsthom Cge Alcatel Bloc d'alimentation d'un dispositif portatif, du type permettant l'utilisation de differents types d'alimentation, et dispositif portatif correspondant
JP2001263314A (ja) * 2000-03-17 2001-09-26 Honda Motor Co Ltd マグネシウム合金部材のボルト締結構造
JP2001307610A (ja) * 2000-04-17 2001-11-02 Sanyo Electric Co Ltd ヒューズの製造方法とこのヒューズを内蔵するパック電池
JP3988570B2 (ja) * 2002-08-01 2007-10-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積層型電池
KR100530347B1 (ko) * 2003-03-13 2005-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 모듈
JP2004327311A (ja) * 2003-04-25 2004-11-18 Toyota Motor Corp 電池の接続構造及び接続方法
US6773301B1 (en) * 2003-05-08 2004-08-10 Jeffrey R. Chaskin Cell strap for combining cells into a battery
EP1530247A3 (en) * 2003-10-10 2005-05-18 Nissan Motor Co., Ltd. Battery comprising a stack of unit cell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556101B1 (ko) * 2003-12-16 2006-03-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
CA2592245C (en) * 2004-12-24 2010-03-30 Lg Chem, Ltd. Separable connecting member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attery module by leveling voltag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746B1 (ko) * 2006-08-28 2011-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 단자 연결용 접속장치
KR101108445B1 (ko) * 2007-07-04 2012-01-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기계적 접속방법 및 이를 위한 접속부재
US7862919B2 (en) 2007-11-08 2011-01-04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1397025B1 (ko) * 2012-09-10 2014-05-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드탭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지 모듈
US9059454B2 (en) 2012-09-10 2015-06-16 Samsung Sdi Co., Ltd. Lead tab assembly and battery module with the same
KR20170043313A (ko) * 2015-10-13 2017-04-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20240048322A (ko) 2022-10-06 2024-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셀 카트리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조립체
KR20240048328A (ko) 2022-10-06 2024-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센싱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68372A1 (en) 2006-06-29
JP2008520076A (ja) 2008-06-12
TW200638624A (en) 2006-11-01
CA2589890A1 (en) 2006-06-29
EP1829163A1 (en) 2007-09-05
EP1829163B1 (en) 2017-06-07
CN100553045C (zh) 2009-10-21
EP1829163A4 (en) 2012-06-20
TWI302766B (en) 2008-11-01
CA2589890C (en) 2012-01-31
US7638237B2 (en) 2009-12-29
BRPI0518590B8 (pt) 2023-01-17
JP5138379B2 (ja) 2013-02-06
CN101069328A (zh) 2007-11-07
RU2337432C1 (ru) 2008-10-27
BRPI0518590A2 (pt) 2008-11-25
BRPI0518590B1 (pt) 2018-02-14
KR100905391B1 (ko) 2009-06-30
US20060194101A1 (en)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391B1 (ko) 이차전지 모듈의 단자 연결부재
KR100876456B1 (ko) 분리형 커넥팅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이차전지 모듈의제조방법
KR100746485B1 (ko) 이차전지 모듈용 센싱 보드 어셈블리
JP5188813B2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製造のための分離型コネクティング部材及び電圧レベリングによる電池モジュール性能の向上方法
JP2008520076A5 (ko)
KR101011802B1 (ko) 우수한 제조공정성의 이차전지 팩 및 ptc 소자
KR100946580B1 (ko) 온도 제어용 흡열 시트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KR100875606B1 (ko) 이차전지 모듈
KR20110128050A (ko) 배터리 팩
KR20120074415A (ko) 신규한 구조의 단위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KR100720820B1 (ko) 전압 레벨링에 의한 전지모듈 성능의 향상 방법 및 이를위한 병렬 접속장치
KR101132166B1 (ko) 제조 공정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팩 및 ptc 소자
KR100963991B1 (ko) 자가 온도제어 기능을 가진 전지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