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877A - Method for setting and providing mp3 player skin in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tting and providing mp3 player skin in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877A
KR20060072877A KR1020040111638A KR20040111638A KR20060072877A KR 20060072877 A KR20060072877 A KR 20060072877A KR 1020040111638 A KR1020040111638 A KR 1020040111638A KR 20040111638 A KR20040111638 A KR 20040111638A KR 20060072877 A KR20060072877 A KR 20060072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predetermined
highlight
setting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6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영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11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2877A/en
Publication of KR20060072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87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MP3 파일의 소정 영역을 알람벨용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지정하여 각종 알람벨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소정의 MP3 파일을 출력시키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MP3 파일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핫 키를 이용하여 소정 부분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MP3 파일의 소정 부분을 알람벨용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MP3 파일의 소정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한 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알람벨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MP3 파일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소정의 알람벨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area of an MP3 file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signated as an alarm bell highlight area to be used as various alarm bells,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MP3 file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Sett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elected MP3 file as an alarm bell highlight area when a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portion using a hot key while the MP3 file is output; And sett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P3 file as a highlight area, and then setting and storing the highlighted area of the MP3 file as a predetermined alarm bell according to an alarm bell selection signal input by a user.

이동통신, 단말기, 스킨, 생성, 영상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kin, generation, video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MP3 파일을 이용한 알람벨 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 and providing MP3 player skin in mobile phone}How to set alarm bell using MP3 file on mobile terminal {Method for setting and providing MP3 player skin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의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화면.2A to 2D are LCD screens showing predetermined menu items select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선택한 MP3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화면.3A to 3C are LCD screens displaying MP3 menu items select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MP3 파일을 소정의 알람벨 로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 MP3 file as a predetermined alarm bell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MP3 파일을 출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outputting a predetermined MP3 file selected by a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MP3 파일의 소정 영역을 알람벨용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predetermined area of an MP3 file as an alarm bell highlight area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가 선택한 MP3 파일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각종 알람벨로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highlight area of an MP3 file selected by a user to various alarm b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키패드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keypad

120 : 메모리 130 : 제어부120: memory 130: control unit

140 : 표시부 150 : 무선주파수 처리부140: display unit 150: radio frequency processing unit

160 : 스피커 170 : 마이크160: speaker 170: micro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MP3 파일의 특정 영역을 소정의 알람벨로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tting a specific area of an MP3 file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predetermined alarm bell.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MP3 파일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각종 알람벨로 설정하여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벨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larm bell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provides a predetermined highlight area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MP3 file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various alarm bells.

이동통신 단말기가 입체음을 내기 위한 별도의 스피커를 필요로 하는 관계로, 종래에는 크기나 디자인의 제약 때문에 입체음 음원 칩을 내장하기 어려워 실로폰이나 초인종 소리처럼 평면적인 벨소리 밖에 낼 수 없었다.Sinc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ires a separate speaker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sound, it is difficult to embed a three-dimensional sound source chip due to size or design constraints, and thus, only a flat ring tone can be produced like a xylophone or a doorbell sound.

그러나,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술의 발달로 인해 특수 제작한 미디 음원 칩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함으로써 기차나 파도, 앰뷸런스 소리 같이 다양한 음원(16폴리, 32폴리)을 가진 입체적인 벨소리 및 게임음향 등을 낼 수 있게 되었다.However,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built a specially produced midi sound chip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uch as three-dimensional ringtone and game sound with various sound sources (16 poly, 32 poly) such as train, waves, ambulance sound, etc. I was able to make.

미디(MIDI)란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의 약자로 1983년 세계 전자악기 제조업체들이 모여 설정한 디지털 악기간의 통신 규약(MIDI 버전 1.0)이 다. 이러한 규약은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 적용하여 여러 종류의 분야에 응용이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이용하고 있다. 미디 음원 칩을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실제 입체 음향 소리를 샘플링 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롬(ROM)이나 램(RAM)에 압축된 형태로 저장하고 미디음원 칩을 통해서 제너레이팅(generating)하여 출력한다.MIDI stands for 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and is a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digital musical instruments (MIDI version 1.0) established in 1983 by the world's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manufacturers. This protocol is applied to various types of fields by applying to software and hardware, and is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orporating a MIDI sound source chip samples actual stereo sound and stores it in a compressed form in a ROM or a RA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generates and outputs it through a MIDI sound source chip. .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미디음원 칩을 내장하여 기존의 1폴리음을 내는 제품과는 달리 다양한 음량은 물론 자연스럽고 음색이 풍부한 입체적인 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다.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built-in MIDI sound chip, unlike the conventional one-polyphonic products, it is possible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sound rich in natural sound and natural sound as well as various volumes.

더욱이,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에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미디음원 이외에 MP3 음악을 각종 알람벨, 예를 들면 착신벨, SMS 알림, 알람, 기념일 알람, 모닝콜 등의 알람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주고 있다.Moreover,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rovide MP3 music alarm bells such as incoming bells, SMS notifications, alarms, anniversary alarms, wake-up calls, etc. Giving.

종래, 상술한 바와 같은 MP3 음악을 알람벨로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MP3 재생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악 감상용 MP3 파일과 벨소리용 MP3 파일을 따로 구분하여 저장하였으며, 사용자는 음악 감사용 MP3 파일을 이용하여 음악을 듣고 벨소리용 MP3 파일을 이용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소정 상황에 대한 알람벨을 설정하였다. Conventionally, in the method of providing the MP3 music as described above as an alarm bel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MP3 playback function separately stored the MP3 file for listening to music and the MP3 file for ringtones, the user uses the music audit MP3 file Listening to the music and using the ringtone MP3 file to set the alarm bell for a predetermined situation as described above.

이때, 일반적으로 음악 감상용 MP3 파일은 대부분 3 Mbyte 이상의 저장 공간을 차지하고 벨소리용 MP3 파일도 약 1Mbyte의 저장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벨소리용 MP3 파일과 음악 감상용 MP3 파일이 서로 같은 곡인 경우 적어도 휴대폰의 저장 공간을 4Mbyte 이상 소모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in general, MP3 files for listening to music occupy more than 3 Mbytes of storage space, and ringtone MP3 files occupy about 1 Mbyte of storage space. There was a problem that consumes more than 4Mbytes.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음악 감상용 MP3 파일을 벨소리용 MP3 파일로 사용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통화 신호를 착신, SMS 수신, 알람, 모닝콜 등과 같은 소정의 상황에서 사용자에게 알람 신호를 제공시에 음악 감상용 MP3 파일을 처음부터 재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하이라이트 부분이 재생되기 전에 알람이 종료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hen the MP3 file for listening to music is used as the MP3 file for ringtone, the MP3 for music listening is provided when an alarm signal is provided to the user in a predetermined situation such as an incoming call signal, an SMS reception, an alarm, or a wake-up call. Since the file is played from the beginn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larm is terminated before the highlight portion desired by the user is played.

즉, 사용자는 음악 감상용 MP3 파일이 순차적으로 재생되기 때문에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하이라이트 영역을 알람벨로 이용할 수 없었으며, 하이라이트 영역을 알람벨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저장해야 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 공간을 이중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the user could not use his / her favorite highlight area as an alarm bell because the MP3 files for listening to music were played sequentially, and the storage space was doubled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user should separately save the highlight area as an alarm bell. There was a problem to u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MP3 파일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각종 알람벨로 설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벨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larm bell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etting a highlight area of an MP3 file selected by a user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various alarm bell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MP3 파일을 이용한 알람벨 설정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소정의 MP3 파일을 출력시키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MP3 파일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핫키를 이용하여 소정 부분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MP3 파일의 소정 부분을 알람벨용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MP3 파일의 소정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한 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알람벨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MP3 파일 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소정의 알람벨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larm bell setting method using an MP3 file provid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including: outputting a predetermined MP3 file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Sett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elected MP3 file as an alarm bell highlight area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portion using a hot key while the MP3 file is output; And sett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P3 file as a highlight area, and then setting and storing the highlighted area of the MP3 file as a predetermined alarm bell according to an alarm bell selection signal input by a user.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 및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First, an internal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proces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의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화면 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선택한 MP3 메뉴 항목을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화면 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S. 2A to 2D are LCD screens for displaying predetermined menu items select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to 3C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The LCD screen displays the MP3 menu item selected by the user.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음성 통화 및 각종 부가 서비스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10)와, 각종 사용자 정보 및 MP3 파일과 소정의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20)와, 키패드(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메모리(120)에 저장된 MP3 파일의 플레이를 제어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MP3 파일의 하이라이트 부분을 각종 알람벨로 설정하여 메모리(120)에 저장하는 제어부(130)와, 제어부(130)에 의해 전달되는 문자 및 MP3 플레이어 스킨과 같은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부(140)와, 제어부(130)에 의해 전달되는 기저대역신호를 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외부로 전송하고 기지국 등을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수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130)에 접속시키는 무선주파수 처리부(150)와, 제어부(130)에 의해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60)와, 사용자 음성과 각종 소리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7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pad 110 for inputting user commands related to voice calls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various user information, MP3 files, and a predetermined execution program. The memory 120 for storing and the user's instructions input through the keypad 110 control the play of the MP3 file stored in the memory 120 and set the highlight portion of the MP3 file selected by the user as various alarm bells. Control unit 130 to be stored in the memory 120, the display unit 140 for displaying the image information such as the character and MP3 player skins transmitted by the controller 130, and the basis transmitted by the controller 130 Converts high frequency signals into high frequency signals and transmits them to the outside, and converts high frequency signals received through base stations into baseband signals and connects them to the controller 130. And a unit 150, a speaker 160 and a microphone 170 for inputting a user's voice and the various types of sound signals for outputting sound signals to an external delivered by the control unit 130.

키패드(110)는 숫자, 기호 및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와 각종 부가 서비스 메뉴를 선택하여 실행시키기 위한 키 등이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키패드(11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키패드가 눌릴 경우 숫자, 기호 및 문자 등의 입력을 지시하는 키신호 또는 통화 및 각종 부가 서비스의 실행을 지시하는 키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120)로 전달한다.The keypad 110 includes keys for inputting numbers, symbols, characters, and the like, and keys for selecting and executing various additional service menus. When the keypad is pressed by the user, the keypad 110 generates a key signal for instructing input of numbers, symbols, and characters, or a key signal for instructing the execution of a call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nd transmits the generated key signal to the controller 120. .

즉, 사용자가 메모리(120)에 저장된 소정의 MP3 파일을 선택하여 실행을 명령하는 경우, 키패드(11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MP3 파일에 대한 선택 및 실행 명령을 제어부(130)로 전달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P3 file stored in the memory 120 to command execution, the keypad 110 transmits a selection and execution command for the MP3 file select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130.

메모리(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소정의 메뉴 항목, 즉 전화번호부, 휴대폰 설정, 일정관리, 편리한 기능, 재미난 기능, 화면설정, 음량벨소리 및 MP3 기능 등의 최상위 메뉴 항목과, 상기 최상위 메뉴 항목에 링크 되어 있는 하위 메뉴 항목을 저장한다. The memory 120 is a predetermined menu item provided to the us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that is, a top-level menu such as a phone book, a mobile phone setting, a schedule management, a convenient function, a fun function, a screen setting, a volume ringtone, and an MP3 function. An item and a sub-menu item linked to the top menu item.

또한, 메모리(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의 통신기기로부터 전달되는 다양한 MP3 파일을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리(120)는 본 발명에 따른 MP3 파일을 재생시키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과 제어부(130)에 의해 구동되는 각종 구동 프로그램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memory 120 stores various MP3 files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tho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In addition, the memory 120 stores an execution program for reproducing the MP3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driving programs driven by the controller 130.

제어부(130)는 키패드(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The controller 130 performs the following operation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input through the keypad 110.

사용자가 키패드(110)를 통해 메뉴키를 선택하면, 제어부(120)는 입력되는 메뉴키에 따라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120)에 저장된 최상위 메뉴 항목을 독출하여 표시부(140)상에 디스플레이 시킨다.When the user selects the menu key through the keypad 110, the controller 120 reads the highest-level menu item stored in the memory 120 according to the input menu key on the display unit 140 according to the input menu key. Display it.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110)를 통해 최상위 메뉴 항목 중에서 MP3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MP3 파일을 실행시키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MP3 모드로 설정한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the MP3 menu item among the top menu items through the keypad 110, the controller 130 set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o the MP3 mode to execute the MP3 file stored in the memory 120. do.

MP3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제어부(13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메뉴 항목에 링크된 소정의 하위 메뉴 항목, 예를 들면 MP3 앨범, MP3 추가/삭제,...하이라이트 관리 등의 하위 메뉴 항목을 표시부(140)상에 디스플레이 시킨다.With the MP3 mode set, the control unit 130 controls a predetermined submenu item linked to the MP3 menu item as shown in FIG. 2B, for example, an MP3 album, an MP3 addition / deletion, a highlight submenu, and the like. The menu item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여기서, MP3 앨범 메뉴에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서브 메뉴, 예를 들면 순서변경, 목록에서 빼기,....MP3 정보보기 등의 서브 메뉴가 설정되어 있고 외부의 통신기기로부터 다운로드 된 각종 MP3 파일을 관리하되,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가 설정된 MP3 파일인 경우에는 소정의 식별 아이콘이 부여된 상태로 저장된다.In the MP3 album menu, as shown in FIG. 2C, a predetermined submenu, for example, reordering, subtracting from the list, and submenu, such as viewing MP3 information, is set and downloaded from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Various MP3 files are managed, but in the case of an MP3 file having a highlight set as described below, the MP3 file is stored with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con.

이때, 사용자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앨범에 저장된 MP3 파일 중에서 소정의 MP3 파일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실행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사용자가 선택한 MP3 파일을 실행시킨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P3 file from among the MP3 files stored in the MP3 album as shown in FIG. 2C, the controller 130 drives the execu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20 to execute the MP3 file selected by the user. Let's do it.

즉, 사용자가 소정의 MP3 파일을 선택한 후 재생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파일이 실행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소정의 MP3 플레이어 스킨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MP3 파일을 실행시키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a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P3 file and inputs a playback signal, the controller 130 may select the MP3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a predetermined MP3 player skin indicating a state in which the MP3 file is executed, as shown in FIG. 2D. Will run the file.

여기서, MP3 플레이어 스킨에는 플레이(play), 일시 중지(pause), 중단(stop), 볼륨 업(volume up), 볼륨 다운(volume down), 빨리 감기(FF : fast forward), 되감기(REW), 그리고 재생 모드(일반, 반복, 랜덤 등)가 포함되고, 또한 볼륨 업/다운을 나타내는 바(Bar)의 이미지도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다.Here, the MP3 player skin includes play, pause, stop, volume up, volume down, fast forward (FF), rewind (REW), In addition, a playback mode (normal, repeat, random, etc.) is included, and a bar image indicating volume up / down is also included.

상술한 바와 같이 MP3 플레이어 스킨을 통해 MP3 파일이 실행되는 동안에 키패드(110)를 통해 하이라이트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핫키(Hot Key)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실행되는 MP3 파일 중에서 핫키(Hot Key)가 입력된 시점을 하이라이트의 시작 시점으로 설정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a hot key for setting a highlight area is input through the keypad 110 while the MP3 file is executed through the MP3 player skin, 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hot key among the executed MP3 files. Key) is set as the start point of the highlight.

이후, 제어부(130)는 핫키(Hot Key)가 입력된 시작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시점, 예를 들면 1분, 30초, 15초, 10초 등 사용자가 기 설정한 시간이 경과된 시점을 종료 시점으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MP3 파일 중에서 일정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130 has elapsed a predetermined time elapsed from a start time at which a hot key is input, for example, 1 minute, 30 seconds, 15 seconds, 10 seconds, or the like. By setting the view point as the end point, a certain area is set as the highlight area among the MP3 files selected by the user.

이때, 시작 시점이 설정된 상태에서 키패드를 통해 또 다른 핫키(Hot Key)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또 다른 핫 키(Hot Key)가 입력되는 시점을 종료 시점으로 설정함으로써 mp3 파일의 일정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할 수 도 있다.At this time, when another hot key is input through the keypad while the start time is set, the controller 130 sets the time point at which another hot key is input to the end time to schedule the mp3 file. You can also set the area as a highlight area.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mp3 파일에 설정되는 하이라이트 영역은 다수개로 설정할 수 있으나, 하나의 mp3 파일에 10 정도의 하이라이트 영역이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lthough a plurality of highlight areas set in the mp3 file selected by the user may be set, it is preferable to set about 10 highlight areas in one mp3 file.

또한, mp3 파일에 설정된 하이라이트 영역이 별도의 저장 공간에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기 저장된 mp3 파일 자체에 설정되어 메모리(120)에 저장됨으로써, 메모리(120)의 저장 공간을 불필요하게 소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In addition, the highlight area set in the mp3 file is not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space, but is stored in the pre-stored mp3 file itself and stored in the memory 120, thereby preventing unnecessary consumption of the storage space of the memory 120. Note that there is.

상술한 바와 같이 시작 및 종료 시점이 선택된 하이라이트 영역이 MP3 파일에 설정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영역이 설정된 MP3 파일에 대해서는 소정의 식별 아이콘을 첨부시켜 메모리(120)에 저장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ighlight area in which the start and end time points are selected is set in the MP3 file, the controller 130 attaches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con to the MP3 file in which the highlight area is set as shown in FIG. 2C. ).

따라서, 사용자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MP3 파일 중에서 어느 것에 하이라이트가 설정되어 있는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which of the MP3 files stored in the memory 120 is set to the highlight.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mp3 파일에 하이라이트 영역을 설정하여 메모리(120)에 저장시킨 후, 제어부(130)는 키패드(1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MP3 파일에 설정된 하이라이트 영역을 각종 알람벨, 예를 들면 착신벨, SMS 알림, 알람, 기념일 알람, 모닝콜 등의 알람벨로 설정시킨다.As described above, after setting the highlight area in the mp3 file selected by the user and storing the highlight area in the memory 120, the controller 130 generates various alarms on the highlight area set in the MP3 file according to a user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pad 110. Set as a bell, for example, an incoming bell, SMS notification, alarm, anniversary alarm, and wake up call.

즉, 하이라이트 영역이 설정된 MP3 파일이 메모리에 저장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3 메뉴 항목에 링크된 하이라이트 관리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MP3 파일 리스트를 표시부(140)상에 디스플레이 시킨다.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highlight management menu linked to the MP3 menu item as shown in FIG. 3A while the MP3 file in which the highlight area is set is stored in the memory, the controller 130 as shown in FIG. 3B. The MP3 file list in which the highlight area is se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이후, 사용자가 소정의 MP3 파일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MP3 파일에 설정된 하이라이트 리스트를 표시부(140)상에 디스플레이 시킨다.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P3 file, the controller 130 displays the highlight list set on the MP3 file selected by the user on the display unit 140 as illustrated in FIG. 3C.

이때, 하이라이트 리스트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서브 메뉴, 예를 들면 하이라이트 전체 삭제, 하이라이트 개별 삭제, 시작 시점 변경, 종료 시점 변경 및 알람벨 설정 등과 같은 서브 메뉴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알람벨 설정 메뉴에는 착신벨, SMS 알람, 알람, 기념일 알람, 스케쥴 알람, 모닝콜 등의 메뉴가 설정되어 있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3C, a submenu such as a predetermined submenu, for example, all highlights, individual highlights, a start point change, an end point change, an alarm bell setting, and the like are set in the highlight list. Here, a menu such as an incoming bell, SMS alarm, alarm, anniversary alarm, schedule alarm, and wake-up call is set in the alarm bell setting menu.

여기서, 사용자가 MP3 파일에 설정된 하이라이트 영역 중에서 소정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선택한 후 알람벨 설정 메뉴를 통해 소정의 알람벨을 지정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선택된 하이라이트 영역을 사용자가 지정한 알람벨,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착신벨, SMS 알람, 알람, 기념일 알람, 스케쥴 알람, 모닝콜 등 다양한 형태의 알람벨로 설정시킨다.Here,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highlight area among the highlight areas set in the MP3 file and then designates a predetermined alarm bell through the alarm bell setting menu, the controller 130 determines the selected highlight area by the user. As the bell, SMS alarm, alarm, anniversary alarm, schedule alarm, wake-up call, and set to various types of alarm bell.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벨 설정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larm bell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MP3 파일을 소정의 알람벨로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MP3 파일을 출력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고, 도 6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MP3 파일의 소정 영역을 알람벨용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고, 도 7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가 선택한 MP3 파일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각종 알람벨로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 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n MP3 file as a predetermined alarm bell 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llustrates a predetermined MP3 file selected by a user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predetermined area of an MP3 file as an alarm bell highlight area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FIG. 7 is a highlight area of an MP3 file selected by a user. Is a flow chart showing the process of setting various alarm bells.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소정의 MP3 파일을 출 력시킨다(S100).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utputs a predetermined MP3 file selected by the user (S100).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키패드(110)를 통해 메뉴키를 누르면(S10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전화번호부, 휴대폰 설정, 일정관리, 편리한 기능, 재미난 기능, 화면설정, 음량벨소리 및 MP3 기능 등의 최상위 메뉴 항목을 독출하여 표시부(140)상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102).Referring to Figure 5 in more detail, when the user presses the menu key through the keypad (110) (S10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tored in the phone book, mobile phone settings, schedule management, convenient A function, a fun function, a screen setting, a volume ringtone, and an MP3 function are read ou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S102).

이후, 사용자가 표시부(140)상에 디스플레이 된 최상위 메뉴 항목 중에서 MP3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S103),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MP3 모드를 설정한 후 메모리(1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MP3 파일을 표시부(140)상에 디스플레이 한다(S104).Subsequently, when the user selects the MP3 menu item among the top menu item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S10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the MP3 mode and then stores a predetermined MP3 stored in the memory 120. The fi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S104).

상술한 바와 같이 MP3 파일들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110)를 통해 소정의 MP3 파일을 선곡하면(S105), 이동통신 단말기 (100)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MP3 플레이어 스킨을 통해 사용자가 선곡된 MP3 파일을 출력한다(S106).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P3 file through the keypad 110 in the state where the MP3 files are displayed (S105),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uses the MP3 player skin as shown in FIG. 2D. The user outputs the selected MP3 file (S106).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MP3 파일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핫 키에 연동하여 MP3 파일의 특정 영역을 소정의 알람벨로 이용되는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한다(S200).As described above, while the MP3 file selected by the user is outpu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a specific area of the MP3 file as a highlight area used as a predetermined alarm bell in association with a hot key input by the user. (S200).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MP3 플레이어 스킨을 통해 재생되는 MP3 파일의 소정 영역을 하이라이트로 설정하기 위하여 특정 핫키(Hot Key)를 선택하면(S20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핫키(Hot Key)가 입력된 시 점을 MP3 파일의 하이라이트 영역이 설정되는 시작 시점으로 설정한다(S202).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6,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hot key in order to highlight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P3 file played through the MP3 player skin (S20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a time point at which a hot key is input to a start time point at which a highlight area of the MP3 file is set (S202).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되는 MP3 파일에 대한 하이라이트의 시작 시점을 설정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하이라이트의 종료 시점을 설정하기 위한 소정의 시간값이 설정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S203).After setting the start point of the highlight for the output MP3 file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etermines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value for setting the end point of the highlight is set (S203). .

단계(S203)의 판단 결과 소정의 시간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설정된 시간값에 연동하여 하이라이트가 종료되는 종료시점을 설정한다(S204).When the predetermined time value is se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an end point at which highlighting ends in association with the set time value (S204).

여기서, 하이라이트의 종료시점은 핫키(Hot Key)를 통해 입력된 시작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시점, 예를 들면 1분, 30초, 15초, 10초 등 사용자가 기 설정한 시간값이 경과된 시점을 의미한다.Here, the end point of the highlight may be a time value set by the user such as 1 minute, 30 seconds, 15 seconds, 10 seconds, etc.,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start time input through the hot key. It means the elapsed time.

단계(S203)의 판단 결과 소정의 시간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소정시간 경과 후에 사용자가 재 입력한 핫키(Hot Key)에 연동하여 하이라이트의 종료시점을 설정한다(S205).If the predetermined time value is not set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0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the end point of the highlight in association with a hot key input again by the user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 S205).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MP3 파일의 소정 영역을 각종 알람벨용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고(S206), 하이라이트가 설정된 MP3 파일에 소정의 식별 아이콘을 설정하여 메모리(120)에 저장시킨다(S207).There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P3 file selected by the user as various alarm bell highlight areas (S206), and sets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con in the MP3 file in which the highlight is set and stores it in the memory 120. (S207).

상술한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가 설정된 MP3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시킨 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MP3 파일을 각종 알람벨로 설정한다(S300).As described above, after storing the MP3 file in which the highlight is set in the memor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the MP3 file selected by the user as various alarm bells (S300).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MP3 메뉴에 설정된 하 이라이트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S301),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하이라이트가 설정된 mp3 파일 리스트를 표시부(140)상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302).Referring to FIG. 7, when the user selects the highlight menu item set in the MP3 menu (S30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isplays the mp3 file list on which the highlight is set on the display unit 140. (S302).

이후, 사용자가 표시부(140)상에 디스플레이 된 mp3 파일 리스트 중에서 소정의 MP3 파일을 선택하면(S303),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MP3 파일에 설정된 하이라이트 영역을 나타내는 하이라이트 리스트를 표시부(140)상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304).Subsequently,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P3 file from the list of mp3 fil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S30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displays a highlight list indicating a highlight area set in the MP3 file selected by the user. 140) (S304).

여기서, MP3 파일에 설정되는 하이라이트 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다수개로 설정될 수 있으나, mp3 파일당 10 정도의 하이라이트 영역이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lthough a plurality of highlight areas set in the MP3 file may be set by the user, it is preferable to set about 10 highlight areas per mp3 file.

이때, 사용자가 하이라이트 리스트를 통해서 소정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선택한 후(S305), 상기 하이라이트 리스트에 설정되어 있는 서브 메뉴 항목인 알람벨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S306),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메모리(120)에 설정된 각종 알람벨, 예를 들면 착신벨, SMS 알람, 알람, 기념일 알람, 스케쥴 알람, 모닝콜 등의 알람벨 항목을 표시부(140)상에 디스플레이 시킨다(S307).In this case,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highlight area through the highlight list (S305), and selects an alarm bell menu item which is a submenu item set in the highlight list (S306),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tores a memory ( Various alarm bells set in 120, for example, an incoming bell, an SMS alarm, an alarm, an anniversary alarm, a schedule alarm, a wake-up call, and the like,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S307).

이후, 사용자가 표시부(140)상에 디스플레이 된 알람벨 중에서 소정의 알람벨을 선택하면(S308),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MP3 파일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소정의 알람벨로 설정한다(S309). 이때, 외부로부터 소정의 통신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입력된 통신 데이터의 형식에 따라 메모리(120)에 저장된 MP3 파일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알람벨로 출력시킨다(S310).Thereafter,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alarm bell among the alarm bell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40 (S308),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ets the highlight area of the MP3 file selected by the user as the predetermined alarm bell (S309). ). At this time, when predetermined communication data is input from the outsid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utputs the highlight area of the MP3 file stored in the memory 120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input communication data as an alarm bell (S310).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 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음악 감상용 MP3 파일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소정의 알람벨로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알람벨용 MP3 파일을 저장할 필요가 없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highlight area of the MP3 file for listening to music at the same time as a predetermined alarm bell, there is no need to store a separate alarm bell MP3 file can efficiently use the storage sp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provides th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음악 감상용 MP3 파일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하이라이트 영역을 알람벨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음악 감상용 MP3를 단순히 듣기만 하는 것이 다양한 형태의 알람벨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활용도를 높여 구매 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et the highlight area of the music MP3 files for listening to the alarm bell, so that the user can simply set the alarm ring of various forms to simply listen to the MP3 for listening to music purchase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Provides the effect of increasing desire.

Claims (7)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MP3 파일을 이용한 알람벨 설정 방법에 있어서, In the alarm bell setting method using the MP3 file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소정의 MP3 파일을 출력시키는 단계;Outputting a predetermined MP3 file according to a user's instruction; 사용자가 상기 MP3 파일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핫키(Hot Key)를 이용하여 소정 부분을 선택하면, 상기 선택된 MP3 파일의 소정 부분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Sett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elected MP3 file as a highlight area when a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portion using a hot key while the MP3 file is output; And 상기 MP3 파일의 소정 영역을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한 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알람벨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MP3 파일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소정의 알람벨로 설정하여 저장하는 단계Sett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P3 file as a highlight area, and setting and setting a highlighted area of the MP3 file as a predetermined alarm bell according to an alarm bell selection signal input by a user;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람벨 설정 방법.Alarm bell set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P3 파일을 출력시키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utputting of the MP3 file comprises: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메뉴키를 누르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정의 최상위 메뉴 항목을 표시부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When the user presses a menu key through the keypad, the mobile terminal displaying a predetermined top menu item on a display unit; 사용자가 상기 최상위 메뉴 항목 중에서 MP3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MP3 모드를 설정한 후 소정의 MP3 파일들을 표시부상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If the user selects an MP3 menu item among the top menu items, setting the MP3 mode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playing predetermined MP3 files on a display unit; And 상기 MP3 파일들이 디스플레이 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를 통해 소정의 MP3 파일을 선곡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MP3 플레이어 스킨을 통해 선곡된 MP3 파일을 출력하는 단계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P3 file through a keypad while the MP3 files are displayed, the mobile terminal outputs the selected MP3 file through an MP3 player skin;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벨 설정방법.Alarm bell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P3 파일의 소정 부분을 알람벨용 하이라이트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tting of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P3 file as an alarm bell highlight area comprises: 사용자가 출력되는 MP3 파일의 소정 영역에 대해 핫키(Hot Key)를 입력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핫키(Hot Key)가 입력된 시점을 하이라이트의 시작 시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When a user inputs a hot key to a predetermined area of an output MP3 file, setting, by the mobile terminal, a time point at which the hot key is input as a start point of a highlight; 상기 하이라이트의 시작 시점이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하이라이트의 종료 시점을 설정하기 위해 소정의 시간값이 설정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ther a predetermined time value is set to set an end point of the highlight in a state where the start point of the highlight is set; 소정의 시간값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하이라이트의 시작 시점에서 상기 시간값이 경과된 후의 시점을 상기 하이라이트의 종료 시점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If a predetermined time value is set, sett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time point after the time value has elapsed from the start time point of the highlight to an end time point of the highlight; And 상기 하이라이트의 시작 및 종료 시점을 설정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는 상기 하이라이트가 설정된 MP3 파일을 저장시키는 단계After setting the start and end time points of the highlight, storing, by the mobile terminal, the MP3 file in which the highlight is set;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벨 설정 방법.Alarm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소정의 시간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또 다른 핫키(Hot Key)가 입력 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또 다른 핫키(Hot Key)가 입력된 시점을 상기 하이라이트의 종료 시점으로 설정하는 단계If another hot key is input by the user while the predetermined time value is not set, the mobile terminal sets a time point at which another hot key is input as an end point of the highlight. Steps to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벨 설정방법.Alarm ring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하이라이트 영역이 설정된 MP3 파일을 저장함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MP3 파일에 하이라이트 영역이 설정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소정의 식별 아이콘을 첨부하여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벨 설정 방법. In storing the MP3 file in which the highlight area is se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taches and stores a predetermined identification icon indicating that the highlight area is set in the MP3 file.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MP3 파일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소정의 알람벨로 설정하는 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tting of the highlight area of the MP3 file to a predetermined alarm bell comprises: 사용자가 MP3 메뉴 항목에 설정된 하이라이트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하이라이트가 설정된 mp3 파일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If the user selects a highlight menu item set in an MP3 menu item, the mobile terminal displaying a list of mp3 files in which the highlight is set; 사용자가 표시된 mp3 파일 리스트 중에서 소정의 MP3 파일을 선택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선택한 MP3 파일에 설정된 하이라이트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highlight area set in the selected MP3 file by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P3 file from the displayed list of mp3 files;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하이라이트 영역 중에서 소정의 하이라이트 영역을 선택한 상태에서 알람벨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소정의 알람벨 항목을 표시하는 단계; 및Display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redetermined alarm bell item when the user selects an alarm bell item while selecting a predetermined highlight area among the displayed highlight areas; And 사용자가 표시된 알람벨 항목 중에서 소정의 알람벨을 선택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하이라이트 영역을 소정의 알람벨로 설정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단계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alarm bell among the displayed alarm bell items, the mobile terminal sets the highlight area as a predetermined alarm bell and stores it in a memory.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벨 설정 방법.Alarm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알람벨 항목은 착신벨, SMS 알람, 알람, 기념일 알람, 스케쥴 알람, 모닝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벨 설정 방법.The alarm bell item is an alarm bell, SMS alarm, alarm, anniversary alarm, schedule alarm, wake-up call alarm ring set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morning call.
KR1020040111638A 2004-12-24 2004-12-24 Method for setting and providing mp3 player skin in mobile phone KR200600728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638A KR20060072877A (en) 2004-12-24 2004-12-24 Method for setting and providing mp3 player skin in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638A KR20060072877A (en) 2004-12-24 2004-12-24 Method for setting and providing mp3 player skin in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877A true KR20060072877A (en) 2006-06-28

Family

ID=3716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638A KR20060072877A (en) 2004-12-24 2004-12-24 Method for setting and providing mp3 player skin in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2877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2619B2 (en) 2011-03-16 2014-07-08 Light4Sound Optoelectron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US9082383B2 (en) 2009-09-17 2015-07-14 Light4Sound Optical instrument pickup
WO2016032019A1 (en) * 2014-08-27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ng highlight section of sound source
US10083681B2 (en) 2012-09-19 2018-09-25 Light4Sound Optoelectron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2383B2 (en) 2009-09-17 2015-07-14 Light4Sound Optical instrument pickup
US9734811B2 (en) 2009-09-17 2017-08-15 Light4Sound Instrument pickup
US8772619B2 (en) 2011-03-16 2014-07-08 Light4Sound Optoelectron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US9099068B2 (en) 2011-03-16 2015-08-04 Light4Sound Optoelectron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US9728174B2 (en) 2011-03-16 2017-08-08 Light4Sound Optoelectron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US10083681B2 (en) 2012-09-19 2018-09-25 Light4Sound Optoelectronic pickup for musical instruments
WO2016032019A1 (en) * 2014-08-27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extracting highlight section of sound sour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96066C (en) Screen changing method in mobile terminal
US7912444B2 (en) Media portion selection system and method
JP2005237014A (en) Wristwatch with information terminal function and mobile phone
KR20060072877A (en) Method for setting and providing mp3 player skin in mobile phone
KR10050622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 and playing music
JP2001209378A (en) Mobile phone
KR100705163B1 (en) portable termial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service the background music
US20080051136A1 (en) Method terminal and method for reproducing button sound thereof
KR10076523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arm service using a menu setted at random
KR100328858B1 (en) Method for performing MIDI music in mobile phone
KR101114155B1 (en) Bell service method using mp3 music of mobile phone
JP2002328758A (en) Menu item selecting method for compact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JP4751439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1104529B1 (en) Method for managing a day's schedule using a message in mobile phone
KR2006006525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musical instruments change music play and method thereof
KR200347084Y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1 poly bell sound using MIDI audio source
KR100713467B1 (en) Method for changing mode in wireless terminal
KR20020078052A (en) Music play system and method using key pad in mobile phone
JPH11154993A (en) Portable radio equipment and its incoming tone generating method
KR100716307B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servicing multi button voice for portable terminal
JP4968250B2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20060114143A (en) Method for replaying music file in wireless terminal
JP2004072394A (en) Audio data reproducing device
KR20070016938A (en) Method for reflection data creating and displaying by wireless terminal
KR20060125062A (en) Method making telephone bell in the mobil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