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2865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apturing frame imag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apturing frame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2865A
KR20060072865A KR1020040111622A KR20040111622A KR20060072865A KR 20060072865 A KR20060072865 A KR 20060072865A KR 1020040111622 A KR1020040111622 A KR 1020040111622A KR 20040111622 A KR20040111622 A KR 20040111622A KR 20060072865 A KR20060072865 A KR 20060072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signal
image
image data
fram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수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11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2865A/en
Publication of KR20060072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86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a)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영상 데이터의 특정 프레임 이미지에 대한 갈무리를 요구하는 외부신호를 형성하는 외부신호 형성부, b) 동영상 데이터 재생 중 외부신호 형성부로부터 갈무리를 요구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아 일시 저장된 특정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포맷의 이미지 파일로 인코딩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c)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 파일의 재생시 일시 저장한 특정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버퍼부 및 d)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특정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특정 포맷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인코더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갈무리 방법은 a) 동영상 데이터을 재생하는 단계, b) 갈무리를 요구하는 외부신호에 따라 일시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c)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an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for forming an external signal for capturing a specific frame image of moving image data by a user's operation, and b) capturing from an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during video data reproduction.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a request for an external signal and encode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temporarily stored image frame into an image file of a specific format and stores the image in a memory unit; c) the specific image temporarily stored when playing a video file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A buffer unit for outputt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frame to a controller, and d) an encoder for encod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mage frame and converting the image data into a specific forma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In addition, the image captur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playing the video data, b) encoding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frame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signal for capture and c) encoded Storing the image data.

Description

프레임 이미지를 갈무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프레임 이미지 갈무리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apturing Frame Imag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apturing frame image}

도 1a 내지 도 1d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피사체에 대한 동영상이 형성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1A to 1D illustrate an example of a process of forming a moving picture for a subject by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a 또는 도 2b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동영상 파일이 관리되는 것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2A or 2B illustrate an example of managing a video file by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이미지 갈무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 frame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310 : 메모리부 320 : 외부신호 형성부310: memory unit 320: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330 : 제어부 340 : 버퍼부330 control unit 340 buffer unit

350 : 인코더 360 : 디스플레이 구동부350: encoder 360: display driver

370 : 디스플레이부 380 : 무선신호 처리부370: display unit 380: wireless signal processing unit

390 : 보코더


390: Vocoder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capable of processing an image.

이동통신단말기의 성능이 고성능화됨에 따라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미지뿐만 아니라 동영상이나 mp3 파일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리없이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을 장착한 이동통신단말기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자체적으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나 동영상을 만들 수 있고, 고도화된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용량이 큰 동영상 등을 빠르게 송수신할 수 있다. As the performan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mproved,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an process various multimedia data such as video or mp3 files as well as images without difficulty. In particula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amera module can photograph an object and make an image or a video of the subject itself, and can quickly transmit and receive a large video through an advance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a 내지 도 1d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피사체에 대한 동영상이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1A to 1D illustrate a process of forming a moving picture for a subject by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를 촬영하기 전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녹화 시간이나 플래쉬(flash)의 설정, 효과, 화질 및 카메라 환경 설정과 같은 여러 조건들이 설정된다. As shown in FIG. 1A, various conditions such as recording time, flash setting, effects, image quality, and camera environment setting are set by a user's operation before photographing a subject.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조건들이 설정된 후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는 'ok 촬영'에 해당하는 키신호를 입력받아 촬영을 시작하여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ok 정지'에 해당하는 키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촬영을 계속한다. As shown in FIG. 1B, after these conditions are set,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es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ok shooting' and starts shooting. As shown in FIG. 1C, the key signal corresponding to 'ok stop' is displayed. Shooting continues until it is input.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이 정지된 후'ok 저장'에 해당하는 키신호가 입력되면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는 미리 할당된 동영상 파일의 이름에 따라 저장 하고 '새이름'에 해당하는 키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가 정한 동영상 파일의 이름에 따라 동영상 파일을 저장한다. As shown in FIG. 1D, when shooting stops and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ok storage' is inputted,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key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assigned video file and a key signal corresponding to 'new name' is input. If entered, the video file is saved according to the name of the video file defined by the user.

도 2a 또는 도 2b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하여 동영상 파일이 관리되는 것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는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소정 폴더에 저장하며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는 키신호가 입력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는 선택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한다.2A or 2B illustrate an example of managing a video file by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shown in FIG. 2A,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stored video file in a predetermined folder, and when a key signal for selecting the video file is input,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lays the selected video file as shown in FIG. 2B.

이와 같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동영상 파일을 만들고 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지만 동영상 파일을 구성하는 비디오 프레임(video frame)을 캡쳐(capture), 즉 갈무리하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저장된 동영상파일의 재생을 통해서만 원하는 프레임 이미지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간직하기를 원하는 프레임 이미지를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해소시켜 줄 수 없었다.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apture a subject, create a video file, store and manage the video file, but does not support capturing, ie, capturing, video frames constituting the video file. Therefore, a user using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access a desired frame image only by playing a stored video file. In addition, the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store a variety of needs of the user because it can not store the frame image that the user wants to keep.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영상 파일의 프레임 이미지 중 사용자가 원하는 프레임 이미지를 갈무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프레임 이미지 갈무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frame image capturing method that can capture a frame image of the user desired frame image of the video fi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a)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영상 데이터의 특정 프레임 이미지에 대한 갈무리를 요구하는 외부신호를 형성하는 외부신호 형성부, b) 동영상 데이터 재생 중 외부신호 형성부로부터 갈무리를 요구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아 일시 저장된 특정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포맷의 이미지 파일로 인코딩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c)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 파일의 재생시 일시 저장한 특정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제어부로 출력하는 버퍼부 및 d)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특정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특정 포맷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인코더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an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for forming an external signal for capturing a specific frame image of video data by a user's operation;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an external signal requesting capture from the signal forming unit and encodes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temporarily stored specific image frame into an image file of a specific format and stores it in the memory unit; c) playing a video fi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 buffer unit for outputt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mage frame temporarily stored at a time to a control unit; and d) an encoder for encod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mage frame and converting the image data into a specific format image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갈무리 방법은 a) 동영상 데이터을 재생하는 단계, b) 갈무리를 요구하는 외부신호에 따라 일시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c)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image captur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playing the video data, b) encoding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frame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signal for the capture and c) encoded Storing the image data.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메모리부(310), 외부신호 형성부(320), 제어부(330), 버퍼(buffer)부(340), 인코더(350), 디스플레이 구동부(360), 디스플레이부(370), 무선신호 처리부(380) 및 보코더(vocoder)(390)를 포함한다. 3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unit 310, an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320, a controller 330, a buffer unit 340, an encoder 350, and a display driver. 360, a display unit 370, a wireless signal processor 380, and a vocoder 390.

메모리부(310)는 동영상 파일 및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며, 동영상 파일과 이미지 파일을 로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The memory unit 310 stores a video file and an image file, and stores an application for loading the video file and the image file.

외부신호 형성부(32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영상 파일의 프레임 이미 지 중 갈무리의 대상이 되는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 외부신호 및 동영상 파일의 재생 중 일시 정지에 해당하는 일시정지 외부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외부신호 형성부는 키패드(key pad) 또는 터치 패드(touch pad)를 포함한다. The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320 generates a selection external signal for selecting a frame image to be captured among frame images of the video file and a pause external signal corresponding to pause during playback of the video file by a user's manipulation. do. The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includes a key pad or a touch pad.

제어부(330)는 동영상 파일 재생 중 외부신호 형성부(320)로부터 출력된 외부신호에 따라 일시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포맷의 이미지 파일로 인코딩하여 메모리부(310)에 저장한다. The controller 330 encode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temporarily stored image frame according to an external signal output from the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320 while playing a video file into an image file having a specific format, and stores the image data in the memory unit 310.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한 이미지 프레임의 갈무리 방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이 있다. There are two methods for capturing an image frame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방법은 제어부(330)가 메모리부(31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 재생 중 선택 외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30)는 선택 외부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서 버퍼부(340)에 일시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 후 메모리부(310)에 저장하는 방법이다.In the first method, when the selection external signal is input while the control unit 330 plays the video file stored in the memory 310, the control unit 330 corresponds to an image frame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unit 340 at the time when the selection external signal is input. The image data is encoded into a specific format to generate an image file, and then stored in the memory unit 310.

둘째 방법은 제어부(330)가 메모리부(31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 재생 중 외부신호 형성부(320)로부터 일시정지 외부신호가 입력되면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키고 외부신호 형성부(320)로부터 선택 외부신호가 입력되면 일시정지 외부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서 일시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 후 메모리부(310)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In the second method, if a pause external signal is input from the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320 while the control unit 330 is playing the moving picture file stored in the memory unit 310, the control unit 330 pauses the play of the moving image file, When the selection external signal is input,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frame is encoded in a specific format at the time when the external signal is input, generates an image file, and stores the image file in the memory unit 310.

버퍼부(340)는 동영상 파일의 재생시 이미지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고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제어부(330) 로 출력한다. The buffer unit 340 temporarily stores image data when the video file is played and output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mage frame to the controller 3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30.

인코더(35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특정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특정 포맷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때, 인코더(350)의 동작에 의하여 생성되는 이미지 데이터의 특정 포맷은 JPGE 포맷이 바람직하며, 이동통신단말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encoder 350 encode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mage fram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30 and converts the image data into image data of a specific format. In this case, the specific format of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encoder 350 is preferably a JPGE format,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디스플레이 구동부(360)는 제어부(360)의 제어에 의하여 버퍼부(340)에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70)를 구동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The display driver 360 drives the display unit 370 to display image data stored in the buffer unit 34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60.

무선신호 처리부(380)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으로 수신되는 동영상의 고주파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하고 복조된 기저대역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스트리밍 방식의 동영상 데이터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330)는 메모리부(310)에 저장된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과정에서 갈무리를 행할 수도 있고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갈무리를 행할 수도 있다. The wireless signal processor 380 demodulates a high frequency signal of a video received in a streaming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to a baseband signal and converts the demodulated baseband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to form streaming video data. Therefore, the control unit 33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apture in the process of playing the video file stored in the memory unit 310, or may capture in the process of playing the video data transmitted by the streaming method. .

보코더(390)는 마이크(40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운드 정보인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 코덱을 통하여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c) 데이터 혹은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송된 EVRC 데이터나 QCELP 데이터를 PCM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 다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410)를 통하여 출력한다.The vocoder 390 converts an analog voice signal, which is soun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400, into pulse code modulation (PCM) voice data, and then uses Enhanced Code Rate (EVRC) data or QCELP (Qualcomm Code Excited Linear) through a codec. Prediction) data, and converts the transmitted EVRC data or QCELP data into PCM voice data, and then converts them into analog voice signals and outputs them through the speaker 410.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이미지 갈무리 방법을 상 세히 설명한다. Next, the frame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이미지 갈무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of a frame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330)는 메모리부(310)에 저장되어 있는 동영상 파일을 로딩(loading)하거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버퍼부(340)에 일시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구동부(360)를 제어하여 버퍼부(340)에 일시 저장되는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37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410). The controller 330 temporarily store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n image frame that is loaded or streamed in a video file stored in the memory unit 310 in the buffer unit 340, and stores the display driver 360. By controlling the image data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unit 340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370 (S410).

제어부(330)는 외부신호 형성부(320)로부터 선택 외부신호 또는 일시정지 외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420).The controller 330 determines whether a selection external signal or a pause external signal is input from the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320 (S420).

제어부(330)가 외부신호 형성부(320)로부터 선택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330)는 선택 외부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서 버퍼부(340)에 일시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더(350)를 제어하여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 후 메모리부(310)에 저장한다(S430). When the controller 330 receives a selection external signal from the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320, the controller 330 encode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n image frame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unit 340 at the time when the selection external signal is input. The control unit 350 generates an image file by encoding in a specific format and stores the image file in the memory unit 310 (S430).

제어부(330)가 외부신호 형성부(320)로부터 일시정지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어부(330)는 일시정지 외부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서 버퍼부(340)를 통한 이미지 프레임의 흐름을 일시 정지한다(S440).When the controller 330 receives the pause external signal from the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320, the controller 330 temporarily stops the flow of the image frame through the buffer unit 340 at the time when the external external signal is received. (S440).

제어부(330)는 외부신호 형성부(320)로부터 선택 외부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450).The controller 330 determines whether a selection external signal is input from the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320 (S450).

제어부(330)가 외부신호 형성부(320)로부터 선택 외부신호를 입력받는다면, 제어부(330)는 인코더(350)를 제어하여 일시정지 외부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서 버 퍼부(340)에 일시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 후 메모리부(310)에 저장한다(S460). If the control unit 330 receives a selection external signal from the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320, the control unit 330 controls the encoder 350 to be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unit 340 at the time when the pause external signal is input. Th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frame is encoded into a specific format to generate an image file and then stored in the memory 310 (S46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이미지 갈무리 방법으로 생성된 이미지 파일에 대하여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고유 기능인 이미지 파일의 편집, 전송, 삭제, 출력 등의 사진 관리 메뉴를 사용하여 갈무리한 이미지 파일을 보다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image file generated by the frame image cap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re easily capture the image file captured by using a photo management menu such as editing, transmitting, deleting, and outputting an image file which is a unique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vailabl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CDMA 모듈이나 GSM 모듈과 같은 이동통신모듈이 장착된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을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phone, PDA, notebook, and the like, equipped with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a CDMA module or a GSM modul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동영상 재생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 프레임을 갈무리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해소시켜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various needs of the user since the user can capture a desired image frame when playing a video.

Claims (9)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laying video data,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특정 프레임 이미지에 대한 갈무리를 요구하는 외부신호를 형성하는 외부신호 형성부; An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for forming an external signal for capturing a specific frame image of the moving image data by a user's manipulation; 상기 동영상 데이터 재생 중 상기 외부신호 형성부로부터 상기 갈무리를 요구하는 외부신호를 입력받아 일시 저장된 특정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포맷의 이미지 파일로 인코딩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제어부;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an external signal requesting the capture from the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during reproduction of the moving picture data, encodes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temporarily stored specific image frame into an image file having a specific format, and stores the image file in the memory unit;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영상 파일의 재생시 일시 저장한 상기 특정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버퍼부; 및A buffer unit configured to output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mage frame temporarily stored during playback of a video file to the controll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특정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특정 포맷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인코더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And an encoder for encod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mage frame and converting the image data into a specific format image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신호 형성부는,The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이미지 중 갈무리의 대상이 되는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 외부신호를 생성하며,Generate a selection external signal for selecting a frame image to be captured from among the frame images of the video data by a user's operation, 상기 제어부는,The control unit,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 중 상기 선택 외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외부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서 상기 버퍼부에 일시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 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When the selection external signal is input during reproduction of the video data, the memory unit generates an image file by encod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n image frame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unit in a specific format at the time when the selection external signal is recei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tored i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외부신호 형성부는,The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 중 일시 정지에 해당하는 일시정지 외부신호 및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이미지 중 갈무리의 대상이 되는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 외부신호를 생성하며,Generate a pause external signal corresponding to a pause during playback of moving image data and a selection external signal for selecting a frame image to be captured from among frame images of moving image data by a user's operation, 상기 제어부는, The control unit, 상기 동영상 데이터 재생 중 상기 외부신호 형성부로부터 상기 일시정지 외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키고 상기 외부신호 형성부로부터 상기 선택 외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일시정지 외부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서 상기 버퍼부에 일시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 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When the pause external signal is input from the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video data, the reproduction of the video data is paused. When the selection external signal is input from the external signal forming unit, the time point at which the pause external signal is input And generating an image file by encod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frame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unit in a specific format and storing the image file in the memory unit.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특정 포맷은 JPE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The specific forma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JPE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영상 데이터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The video data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ransmitted in a streaming manner.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갈무리 방법에 있어서,In the image captur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laying video data, 상기 동영상 데이터을 재생하는 단계;Playing the video data; 갈무리를 요구하는 외부신호에 따라 일시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단계; 및 Encoding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temporarily stored image frame according to an external signal requiring capture; And 상기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갈무리 방법. Storing the encoded image data.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갈무리를 요구하는 외부신호가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이미지 중 갈무리의 대상이 되는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 외부신호이면, If the external signal for requesting capture is a selected external signal for selecting a frame image to be captured from among frame images of video data, 상기 선택 외부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서 일시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갈무리 방법. And image data corresponding to a temporarily stored image frame at the time when the selection external signal is received.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 중 일시 정지에 해당하는 일 시정지 외부신호를 입력받은 후 동영상 데이터의 프레임 이미지 중 갈무리의 대상이 되는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는 선택 외부신호를 입력받으면, After receiving a temporary external signal corresponding to a pause during playback of moving image data by a user's operation, and receiving a selection external signal for selecting a frame image to be captured from among the frame images of the moving image data, 상기 일시정지 외부신호에 따라 상기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을 일시 정지시키고 상기 선택 외부신호에 따라 상기 일시정지 외부신호를 입력받은 시점에서 일시 저장된 이미지 프레임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특정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갈무리 방법. Pause playback of the video data according to the pause external signal and encod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temporarily stored image frame in a specific format at the time when the pause external signal is input according to the selected external signal; How to capture images.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동영상 데이터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갈무리 방법. And the video data is transmitted in a streaming manner.
KR1020040111622A 2004-12-24 2004-12-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apturing frame image KR2006007286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622A KR20060072865A (en) 2004-12-24 2004-12-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apturing frame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622A KR20060072865A (en) 2004-12-24 2004-12-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apturing frame im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865A true KR20060072865A (en) 2006-06-28

Family

ID=37166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622A KR20060072865A (en) 2004-12-24 2004-12-24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apturing frame im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286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4866A (en) * 2012-05-07 201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9368716B2 (en) 2009-02-02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Magnetic tunnel junction (MTJ) storage element and spin transfer torque 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STT-MRAM) cells having an MTJ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8716B2 (en) 2009-02-02 2016-06-14 Qualcomm Incorporated Magnetic tunnel junction (MTJ) storage element and spin transfer torque magneto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STT-MRAM) cells having an MTJ
KR20130124866A (en) * 2012-05-07 2013-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587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input method
KR100606060B1 (en) Method and device for outputting data of wireless terminal to external device
KR100726258B1 (en) Method for producing digital images using photographic files and phonetic files in a mobile device
KR100822097B1 (en) Video playback device, playback method and record medium for processing playback program
US9282291B2 (en) Audio video recording device
KR100605935B1 (en) Method for taking moving picture
CN102404454A (en) Shoot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terminal
KR20100041108A (en) Moving picture continuous capturing method using udta information and portable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060072865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apturing frame image
JP410336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8849089B2 (en) Motion picture creation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related transmission method
JP4599630B2 (en) Video data processing apparatus with audio,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with audio, and video data processing program with audio
JP2005117447A (en) Animation recording device, animation recording method and animation recording program
JP2014183426A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03333470A (en) Data management method for digital camera
JP4573271B2 (en) Mobile terminal device and broadcast signal recording method
JP2017076895A (en)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JP4306532B2 (e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KR10065024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ulti media dat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0584164B1 (en) Method for recording on memory type recorder
KR20060076827A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editing/transmitting moving image
JP2006074242A (en) Image communication system, image receiving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JPWO2003101102A1 (en) Movie file playback method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vie file playback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20065219A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80064328A (en) Photographing apparatus of providing location related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