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411A -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 pattern - Google Patents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 patter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411A
KR20060057411A KR1020040096560A KR20040096560A KR20060057411A KR 20060057411 A KR20060057411 A KR 20060057411A KR 1020040096560 A KR1020040096560 A KR 1020040096560A KR 20040096560 A KR20040096560 A KR 20040096560A KR 20060057411 A KR20060057411 A KR 20060057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age
usage pattern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5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85286B1 (en
Inventor
강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9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5286B1/en
Publication of KR20060057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4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2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따른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usage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다수의 숫자키, 문자키, 통화키 및 종료키를 구비하여 다이얼링(Dialing), 메뉴 선택, 통화 종료, 명령 입력을 위한 키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키입력부; 전원의 사용 정도,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정보를 수집,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사용 정보에서 사용 빈도와 사용 시간이 높은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를 산출하는 사용 패턴 분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 패턴 분석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수집,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상기 사용 정보와 상기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grasps a usage pattern of a user and provides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comprising a plurality of numeric keys, text keys, call keys, and end keys, for dialing, menu selection, call termination, A key input unit providing a key selection function for inputting a comm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overall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degree of use of a power source, a reception strength of radio waves, a date and a time; A memory in which a usage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king a database and calculating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and a high usage time from the databased usage information; A microprocessor for outputting the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to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usage pattern analysis program; And a storage unit storing the usage information and the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collected and processed into a database, there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ovides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패턴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정 사용 패턴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일정 시점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함 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culates a specific use pattern for a periodically repe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database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nd outputs the calculated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certain point in time. As a result, convenience i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메뉴, 사용자 인터페이스, 빈도, 자동, 패턴Menu, user interface, frequency, auto, pattern

Description

특정 사용 패턴에 따른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 Pattern}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 Patter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메뉴를 사용 빈도에 의해서 동적으로 정렬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ynamically arranging an additional service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ior art according to a frequency of us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용 정보를 나타내는 흐름도, 3 is a flowchart showing usage information stored in a data stora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적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용 정보를 나타내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showing usage information stored in a target storage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정 사용 패턴에 따른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specific usage patter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 플래쉬 메모리 210 : 이이피롬(EEPROM)200: flash memory 210: EEPROM

220 : 롬(ROM) 230 : 마이크로프로세서220: ROM 230: Microprocessor

240 : 키입력부 250 : 디스플레이부240: key input unit 250: display unit

260 : 디지털 신호 처리부 270 : 베이스밴드 변환부260: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270: baseband conversion unit

280 : 스피커 290 : 마이크로폰280: speaker 290: microphone

291 : 안테나 292 : 알에프(RF) 신호 처리부291 antenna 292 RF signal processing unit

293 : 저장부293: storage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따른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사용자 고유의 사용 패턴을 산출하고 그 기능을 실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패턴에 따른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usage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more detail,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usage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lculates a user's unique usage pattern which is periodically repeated by making a database of the usage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nd executes the function. And to a method thereof.

정보 통신 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정보 및 통신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맞고 있으며 특히 휴대가 간편한 이동통신의 사용자는 갈수록 증가하고 있어 그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요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통화 기능외에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부가 서비스가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자로부터 개발되어 유상 또는 무상으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부가 서비스 메뉴를 검색하고 그 중 어느 하나에 메인 메뉴를 선택하면 그 메인 메뉴에 대한 서브 메뉴가 종속되 어 팝업(Pop-up) 메뉴의 계층적 형태로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구조로 제공된다.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el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undergoing a drastic change, and in particular, the number of users of mobile communication, which is easy to carry, is increasing, and the deman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s increasing accordingly. Accordingly, a new additional service for providing convenience in addition to a call function has been develope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ufacturer and provided for free or for free. To use these additional services,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additional service menu and select a main menu in any one of them, and the submenu for the main menu is subordinated, so that the pop-up menu is hierarchically accessed. It is provided as a structure.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구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많은 부가 기능이 생겨나고 그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메뉴가 복잡해짐에 따라 한 항목에 접근하기 위해서 매번 여러 단계들을 거쳐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사용하려고 하는 메뉴 항목을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As the multi-level access structure has many additional function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nu for managing the functions is complicated, the mobile terminal user needs to go through several steps each time to access an item. There was a problem that was difficult to find a menu item.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있어서, 해당 메뉴의 선택 횟수를 기록하여 사용된 빈도가 많은 메뉴부터 자동적으로 순차 정렬하여 자주 사용하거나 또는 선호하는 메뉴가 우선적으로 정렬되어 표시되고 선택되도록 하는 동적으로 메뉴를 정렬하는 방법이 나왔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improving such a problem, in using an additional ser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frequently used or preferred menu is first ordered by automatically sequencing the frequently used menu by recording the number of selections of the corresponding menu. It turns out that you can sort menus dynamically so that they are sorted, displayed, and select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메뉴를 사용 빈도에 의해서 동적으로 정렬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1 schematically illustrates a method of dynamically arranging an additional service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ior art according to a frequency of use.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제공받는 부가 서비스를 선택하는 경우에 메인 메뉴를 구성하는 각 부가 서비스 목록을 해당 메모리에 기억된 진입 횟수가 많은 순서로 순차 정렬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여 해당 키버튼이 입력됨으로써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는지를 계속 검사한다(S100). 단계 S100에서 부가 서비스가 선택되면 부가 서비스를 구성하는 다수의 메인 메뉴를 해당 메모리 영역에 누적되어 기억된 진입 횟수를 참조하여 누적된 진입 횟수가 많은 순서로 순차 정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순차 정렬된 상태로 표시한다(S102). 순차 정렬되고 표시된 다수의 메인 메뉴 중에서 어느 하나의 메인 메뉴가 선택됐는지 검사한다(S104). 단계 S104에서 어느 하나의 메인 메뉴가 선택되면 해당 메인 메뉴의 선택 진입 횟수를 해당 메모리 영역에 누적 기억하여 저장한다(S106). 단계 S106에서 선택된 메인 메뉴의 해당 서브 메뉴를 기억된 진입 횟수가 많은 순서로 순차 정렬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한다(S108). 단계 S108에서 순차 정렬되고 표시된 다수의 서브 메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 메뉴가 선택됐는지 검사한다(S110). 단계 S110에서 어느 하나의 서브 메뉴가 선택되면 해당 서브 메뉴의 선택 진입 횟수를 해당 메모리 영역에 누적 기억하여 저장한다(S112). 단계 S112에서 선택된 서브 메뉴는 그에 해당하는 부가 서비스를 수행한다(S114).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선택된 부가 서비스를 수행 완료한 후에 다른 부가 서비스를 계속 이용할 것인지 또는 이용하지 않고 종료할 것인지를 판단한다(S116). 다른 부가 서비스를 계속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단계 S102로 피드백(FeedBack)함으로써 단계 S102 내지 단계 S114의 과정을 반복 실행한다. 단계 S116에서 부가 서비스의 이용을 종료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메인 메뉴와 서브 메뉴의 선택 및 진입 횟수를 해당 메모리 영역으로부터 리셋(Reset)할 것인지 판단한다(S118). 단계 S118에서 누적 횟수를 리셋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종료하며, 누적 횟수를 리셋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해당 메모리에 기억된 누적 진입 횟수를 0의 값으로 초기화한 후에 종료한다(S120).In case of selecting the additional service provid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ist of additional service constituting the main menu is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entry stored in the corresponding memory. In step S100, the additional service is selected by the input. When the additional service is selected in step S100, a plurality of main menus constituting the additional service are sequentially sorted in the order of increasing the accumulated number of entrances by referring to the number of entrances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and sequentially arrang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displayed in the state (S102). It is checked whether one of the main menus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main menus arranged and displayed (S104). If any one of the main menus is selected in step S104, the number of times of entry of the selected main menus is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S106). The corresponding submenu of the main menu selected in step S106 is sequentially sorted in the order of the stored number of entry times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108). In step S108, it is checked whether one submenu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submenus sequentially arranged and displayed (S110). If any one submenu is selected in step S110, the number of times of entry of the selected submenu is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S112). The submenu selected in step S112 performs an additional service corresponding thereto (S114). After completing the selected additional servic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determined whether to continue using other additional services or to terminate without using the additional additional services (S116). If it is determined that other additional services are to be used continuously, the process of steps S102 to S114 is repeatedly performed by feeding back to step S102.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6 that the use of the additional service is termina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o reset the number of times of selection and entry of the main menu and the submenu from the corresponding memory area (S118).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18 that the cumulative number of times is not to be reset, it is termina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mulative number of times is reset, the cumulative number of times stored in the corresponding memory is initialized to a value of zero (S120).

단계 S120에서 누적 횟수를 리셋하지 않는 경우는 해당 메모리에 부가 서비스 사용 빈도에 의한 횟수가 누적되어 증가되고 단계 S102에서 메인 메뉴 리스트를 순차 정렬하는 경우 사용 빈도가 많은 메인 메뉴부터 순차적으로 자동 정렬하게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된다. 단계 S112에서 해당 서브 메뉴 진입 횟 수가 누적되므로 단계 S108에서 서브 메뉴 리스트를 순차 정렬하여 사용 빈도가 많은 서브 메뉴부터 순차적으로 자동 정렬하게 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출력된다.If the cumulative number of times is not reset in step S120, the number of times of additional service usage is accumulated and increased in the corresponding memory. When the main menu list is sequentially sorted in step S102, the main menu is frequently sorted from the main menu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It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the number of submenu entry times is accumulated in step S112, in step S108, the submenu list is sequentially sorted, and then automatically sorted from the submenus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기존의 종래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메뉴를 사용할 때마다 빈도수를 계산하고 사용 빈도수가 높은 메뉴를 우선적 배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여줌으로써 메뉴 선택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The conventional prior art provides convenience of menu selection by calculating a frequency every time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s a menu, and by placing a menu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first and showing 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그러나 실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시에 많은 부가 서비스 중 통화, 문자, 알람 설정, 무선 인터넷 등 몇 가지 기능만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몇 번의 키 조작으로 쉽게 메뉴를 사용할 수 있어서 메뉴의 재정렬 필요성이 그다지 크지 않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 빈도수에 따라 메뉴를 정렬하는 기능은 실제 목적에 비해 실용성이 떨어지며 메뉴를 선택할 때마다 메뉴가 재정렬되면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에게는 오히려 메뉴 사용에 대한 혼란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빈도수에 따른 메뉴 재정렬 기능은 단순히 메뉴의 사용 빈도만을 확인하기 때문에 메뉴의 사용 시간, 메뉴 이외에 통화 목록 제공 등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제 사용시 필요한 다양한 사용 패턴을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practice, however, mobile terminal users often use only a few functions, such as calling, texting, alarm setting, and wireless Internet, among many additional services. The menus are easy to use, so there is not much need to rearrange them. Therefore, the function of sorting the menu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in the mobile terminal is less practical than the actual purpose, and if the menu is rearranged every time the menu is selected,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hat does not use various supplementary services may be confused about using the menu.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given. In addition, since the menu reord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simply checks only the frequency of use of the menu,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reflect various usage patterns required in actual us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using a menu and providing a call list in addition to the menu.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패턴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주기적으로 반복되 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정 사용 패턴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일정 시점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culates a specific use patter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iodically repeated by the datab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age pattern o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ve the calculated information at a certain time poin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사용 패턴에 따른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다수의 숫자키, 문자키, 통화키 및 종료키를 구비하여 다이얼링(Dialing), 메뉴 선택, 통화 종료, 명령 입력을 위한 키선택 기능을 제공하는 키입력부; 전원의 사용 정도,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정보를 수집,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사용 정보에서 사용 빈도와 사용 시간이 높은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를 산출하는 사용 패턴 분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 상기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 패턴 분석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수집,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상기 사용 정보와 상기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specific use patter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by grasp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A key input unit having a number key, a character key, a call key, and an end key, and providing a key selection function for dialing, menu selection, call termination, and command input; A display unit displaying an overall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degree of use of a power source, a reception strength of radio waves, a date and a time; A memory in which a usage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king a database and calculating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and a high usage time from the databased usage information; A microprocessor for outputting the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to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usage pattern analysis program; And a storage unit storing the usage information and the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collected and processed into a database, there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ovides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환경 설정 메뉴에서 사용 패턴 모드가 동작하는지 검 사하는 단계; (b) 사용 패턴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 정보를 수집, 가공하여 상기 사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c) 특정 시점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패턴을 나타내는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사용 패턴을 나타내는 상기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 (e) 선택된 상기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thod for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grasp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a) the usage pattern mode in the configuration menu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hecking whether it works; (b) collecting and processing the usage information by an algorithm of the usage pattern program to database the usage information; (c) displaying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representing the usage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specific time; (d) the user selecting the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representing the usage pattern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 executing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lected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to provide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by identifying a usage pattern of the us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플래쉬 메모리(200), 이이피롬(EEPROM)(210), 롬(ROM)(220), 마이크로프로세서(230), 키입력부(240), 디스플레이부(250), 디지털 신호 처리부(260), 베이스밴드 변환부(270), 스피커(280), 마이크로폰(290), 안테나(291), 알에프(RF) 신호 처리부(292), 저장부(29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ash memory 200, EEPROM (210), a ROM (ROM) 220, a microprocessor 230, a key input unit 240, a display unit ( 250,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60, the baseband converter 270, the speaker 280, the microphone 290, the antenna 291, the RF signal processor 292, the storage 293, and the lik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플래쉬 메모리(200)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실시간 처리 기능을 갖는 운영 체제(OS : Operating System, 이하 'OS'라 칭함) 소프트웨어와 호처리와 관련된 기능을 처리하는 호처리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되어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 패턴을 분석하는 사용 패턴 분석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The flash memory 200 stores an operating system (OS) software having a real-time processing func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ll processing software for processing functions related to call processing. A usage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analyzing a usage pattern is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 패턴 분석 프로그램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정보를 수집하고 가공하여 저장부(293)에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또한, 사용 패턴 분석 프로그램은 데이터베이스화된 사용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 정보 중 사용 빈도/사용 시간이 많은 데이터를 산출한다. 여기서 사용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작시 선택한 메뉴나 통화시 통화 상대방의 목록, 사용 시간, 메뉴 또는 통화 기능을 사용했던 시간 등을 의미한다.The usage pattern analysis program collects and processes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d over time and makes a database in the storage unit 293. In addition, the usage pattern analysis program calculates data with a high frequency of use / use time among the usage information based on the database-based usage information. Here, the usage information may mean a menu selected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list of call counterparts, a use time, a time of using a menu or a call function during a call.

한편 사용 패턴 분석 프로그램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생산 단계에서 플래쉬 메모리(200)에 탑재할 수도 있고, 무선 인터넷 접속 등을 통하여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서 탑재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age pattern analysis program may be mounted in the flash memory 200 in the production st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may be downloaded and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server through a wireless Internet connection.

이이피롬(EEPROM)(210) 전기적으로 지우거나 다시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로서, NAM(Number Assignment Module) 파라미터, 전화번호, 이름, 단문 메시지 등의 저장용 데이터가 기록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EEPROM (210) is a non-volatile memory that can be electrically erased or stored again, the storage data such as NAM (Number Assignment Module) parameters, telephone numbers, names, short messages, etc. are recorded.

롬(ROM)(220)에는 플래쉬 메모리(200)에 설치된 사용 패턴 분석 프로그램 등 각종 소프트웨어의 구동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프로그램의 변수나 상태 정보가 저장 되어 있다.The ROM 220 stores variable or state information of a program generated in connection with driving various software, such as a usage pattern analysis program installed in the flash memory 200.

마이크로프로세서(230)는 네트워크와 송수신 데이터의 정해진 규약에 따라 통신 프로토콜이 처리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230)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환경 설정 메뉴에서 사용 패턴 모드를 동작 모드로 선택하면, 사용 패턴 분석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사용 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며, 데이터베이스화된 사용 정보 중 사용 빈도와 사용 시간이 가장 많은 데이터를 산출해낸다. 여기에서 산출해낸 데이터는 메뉴 또는 통화 상대방에 목록으로써 메뉴 또는 통화 기능을 사용했던 시간 정보와 일치하는 시점에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The microprocessor 23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so that a communication protocol is process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of network transmission and reception data. In particular, when the mobile terminal user selects the usage pattern mode as the operation mode in the mobile terminal configuration menu, the microprocessor 230 collects, analyzes and databases the usage information by driving the usage pattern analysis program. Among the usage information, the frequency of use and the time of use are the most calculated. The data calculated here is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point in time coinciding with the time information using the menu or call function as a list on the menu or call counterpart.

키입력부(240)에는 다수의 숫자키, 문자키, 통화키 및 종료키를 구비하여 다이얼링(Dialing)이나 메뉴 선택, 통화 종료, 명령 입력을 위한 키선택 기능을 제공하며, 환경 설정 메뉴에서 특정 사용 패턴에 따른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 패턴 모드의 온(On)/오프(Off) 설정을 한다.The key input unit 240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keys, character keys, call keys, and end keys to provide a key selection function for dialing, menu selection, call termination, and command input, and specific use in an environment setting menu. To us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user interface function according to the pattern, set On / Off of the pattern mode to be used.

디스플레이부(250)는 전원의 사용 정도,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해주며, 푸쉬(Push) 방식으로 사용 빈도와 사용 시간이 많은 메뉴 또는 통화 상대방 목록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해 주는 기능을 한다.The display 250 displays the overall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degree of use of power, reception strength of radio waves, and date and time. It displays the list on the mobile terminal.

디지털 신호 처리부(260)(DSP : 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DSP'라 칭한다)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70)와 주고받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Encoding)하거나 복호화(Decoding)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다 중 경로의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퀼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60)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70)로부터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60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is an audio data processing function that encodes or decodes audio data exchanged with the baseband converter 270. It is a digital signal processing processor that performs the equalization function to remove the noise of the multipath. In additio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260 receives the received message data RX DATA from the baseband converter 270.

베이스밴드 변환부(270)는 스피커(280), 마이크로폰(290) 및 알에프(RF) 신호 처리부(292)와 송수신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베이스밴드 변환부(270)는 DSP(26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80)로 출력하거나, 마이크로폰(290)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해 DSP(260)로 출력한다.The baseband converter 270 converts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speaker 280, the microphone 290, and the RF signal processor 292 into baseband signals, and performs digital-to-analog conversion and analog-to-digital conversion processing. And so on. Accordingly, the baseband converter 270 converts the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DSP 260 into an audio signal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to the speaker 280, or converts the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290 into audio data and converts the audio data into a DSP. 260).

또한, 베이스밴드 변환부(270)는 마이크로프로세서(230)로부터 입력된 송신 메시지 데이터(TX DATA)를 송신 메시지 신호(TXIQ)로 변환하여 RF 신호 처리부(292)로 출력하거나, RF 신호 처리부(292)로부터 입력된 수신 메시지 신호(RXIQ)를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로 변환해 DSP(260)로 출력한다. 그리고, 베이스밴드 변환부(270)는 RF 신호 처리부(292)의 전력(POWER)에 대한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In addition, the baseband converter 270 converts the transmission message data TX DATA input from the microprocessor 230 into a transmission message signal TXIQ and outputs it to the RF signal processor 292 or the RF signal processor 292. The received message signal RXIQ, which is inputted from the RXQ, is converted into the received message data RX DATA and output to the DSP 260. The baseband converter 270 automatically controls a gain for the power POWER of the RF signal processor 292 (AGC).

스피커(280)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7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마이크로폰(290) 음성 입력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The speaker 280 outputs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baseband converter 270 as an audible sound, and converts a microphone 290 voice input into an audio signal.

안테나(291)는 RF 신호를 공중으로 송출하거나, 공중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RF 신호 처리부(292)로 전달한다.The antenna 291 transmits an RF signal to the air, or transmits an RF signal received from the air to the RF signal processor 292.

알에프(RF) 신호 처리부(292)는 송신 메시지 신호를 RF(Radio Frequency) 신 호로 변환해 안테나(291)로 출력하거나, 안테나(291)로부터 인가된 RF 신호를 수신 메시지 신호(RXIQ)로 변환해 베이스밴드 변환부(270)로 출력한다.The RF signal processor 292 converts a transmission message signal into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antenna 291, or converts an RF signal applied from the antenna 291 into a reception message signal RXIQ. Output to the baseband converter 270.

저장부(293)는 임시 저장부, 데이터 저장부, 표적 저장부로 구성된다. 임시 저장부는 하루 단위를 기준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각종 사용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 정보는 예를 들어, 8시에 MP3를 실행하고, 10시에 특정인과 통화를 하는 등 시간의 흐름에 따라 발생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실행한 메뉴나 통화 상대방에 대한 목록, 사용 시간, 메뉴 또는 통화 기능을 실행했던 시간 정보 등을 의미한다. 또한, 임시 저장부는 하루 단위마다 새로운 사용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293 includes a temporary storage unit, a data storage unit, and a target storage unit. The temporary storage unit stores various usage information generated over time on a daily basis. Here, the usage information is a list of menus or call parties execu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generated as time passes, for example, MP3 at 8 o'clock and a call to a specific person at 10 o'clock. , Time of use, time information when menu or call function was executed. In addition, the temporary storage unit updates and stores new usage information every day.

데이터 저장부는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 정보를 각 카테고리별(게임, 통화 목록, 음악 등)로 각각의 데이터 영역으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저장부는 임시 저장부에 갱신되어 저장되는 사용 정보가 있는 경우에 기저장된 동일한 카테고리가 있으면 카테고리에 저장된 기존에 사용 정보에 계속 누적되어 업데이트하며, 기저장된 카테고리가 없으면 새로운 데이터 영역을 할당하여 저장하게 된다. The data storage unit classifies and stores the us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into each data area for each category (game, call list, music, etc.). In addition, when there is usage information that is updated and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the data storage unit continuously accumulates and updates the existing us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category if there is the same category previously stored, and allocates a new data area if there is no previously stored category. Will be saved.

표적 저장부는 데이터 저장부에 누적하여 저장된 사용 정보 중 사용 빈도와 사용 시간이 가장 많은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하며, 산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패턴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The target storage unit calculates and stores the most frequently used data and usage time among the usage information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and can predict the usage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d by the mobile terminal user based on the calculated data. Will b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용 정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적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용 정보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usage information stored in a data storage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usage information stored in a target storage un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임시 저장부에는 하루 단위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특정 사용 패턴을 저장한다. 즉, 7시에 알람 메뉴가 몇 분 동안 실행되고, 8시에는 몇 분 동안 누구와 통화했는지 등 하루 동안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어떤 방식으로 사용했는지 각 카테고리별(게임, 통화 목록, 음악 등)로 사용 정보를 저장한다. 임시 저장부는 하루 동안의 데이터만 갖고 있으며 그 다음날에는 다시 새로운 데이터로 갱신된다.Looking at the process of the database of the usage information, first, the temporary storage unit stores a specific usage pattern that the mobile terminal user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one day. In other words, the alarm menu runs at 7 o'clock for a few minutes, and at 8 o'clock, how did the mobile terminal user use the mobile terminal during the day? Store usage information such as music). The temporary store has only one day's data and is updated with new data the next day.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루 동안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각 카테고리별 사용 정보는 메모리에 고유의 데이터 영역을 할당하여 각 카테고리별로 데이터 저장부에 분류하여 저장한다. 이 때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는 사용 정보는 사용 빈도에 따라서 1일, 1주일, 1개월, 1년 등 4개의 영역을 할당하여 저장되는데 사용 빈도가 많은 카데고리는 4개의 영역을 모두 할당하고, 사용 빈도가 적은 카테고리는 1년처럼 1개의 영역을 할당하는 등 사용 빈도에 따라 사용 패턴 분석 프로그램을 마이크로프로세서(230)에서 제어하여 자동으로 메모리 영역을 할당하고 저장부(293)에 구비된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다. 데이터 저장부는 임시 저장부가 매일 갱신되므로 그에 따라 기저장되어 있는 동일한 카테고리의 사용 정보가 있는 경우 그 사용 정보는 계속 누적하여 업데이트한다. 누적하여 사용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이유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실행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정 사용 패턴을 파 악하기 위해서 일정 기간 동안 각 카테고리별 흐름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As shown in FIG. 3, the usage information for each category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for one day is allocated to a unique data area in the memory and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for each category. In this case, the us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is stored by allocating four areas such as 1 day, 1 week, 1 month, and 1 year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In the less frequent category, the microprocessor 230 controls the usage pattern analysis program according to the usage frequency, such as allocating one region like one year, and automatically allocates a memory region, and the data storage unit provided in the storage unit 293. Are stored in. Since the data storage unit updates the temporary storage unit every day, when there is previously stored use information of the same category, the use information is continuously accumulated and updated. The reason for cumulatively updating the usage information is to know the flow of each category for a certain period in order to identify a specific usage patter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ecu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표적 저장부는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각 카테고리별 사용 정보 중 각 카테고리별로 각 시간 대에 가장 많은 사용 빈도와 사용 시간을 갖는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한다. 표적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매일 아침 출근 시간에 MP3를 들으며 출근하며 퇴근 시간에는 게임을 즐기고 업무 시간에는 주요 거래처나 회사 동료와 통화하고 퇴근 후에는 애인과 통화하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실행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정 사용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표적 저장부는 데이터 저장부와 마찬가지로 1일, 1주일, 1개월, 1년 등 4개의 영역을 가지며, 각 카테고리별로 일정 시간대에 가장 많은 사용 빈도와 사용 시간을 갖는 데이터를 산출하여 산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정 사용 패턴을 예측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다.The target storage unit calculates and stores data having the most usage frequency and usage time in each time zone of each category among usage information for each category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The data stored in the target storage can be used, for example, by listening to MP3 every morning at work, playing games at work, talking to key accounts or business associates at work, and talking to a lover after work. Information indicating a specific usage pattern for the execu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ike the data storage unit, the target storage unit has four areas, such as 1 day, 1 week, 1 month, and 1 year, and based on the data calculated by calculating data having the most usage frequency and usage time in a certain time period for each category. As a result, data for predicting a specific usage pattern i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특정 사용 패턴에 따른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specific usage patter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환경 설정 메뉴에서 사용 패턴 모드를 동작 모드로 설정한다(S500). 또한 환경 설정 메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하는 메뉴 또는 통화 목록에 출력되는 시간의 범위를 설정하여 그 시간 범위에서만 메뉴 또는 통화 목록이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환경 설정 메뉴에는 디스플레이부(250)에 출력되어 정렬되는 메뉴 또는 통화 목록 개수를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sets the usage pattern mode to an operation mode in an environment setting menu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500). In addition, the environment setting menu may be configured to set a range of time output in a menu or call list out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menu or call list is output only in the time range. The environment setting menu may be configured to set the number of menus or call lists that are output and arranged on the display 250.

단계 S500에서 사용 패턴 모드가 동작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마이크로프로 세서(230)에서는 플래쉬 메모리(2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 패턴 분석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이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따라 사용 정보를 수집,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다(S502).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 중 표적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 정보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로써 사용 정보에 포함된 메뉴 또는 통화 기능을 사용했던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이 시간 정보와 일치하는 시점에 이동통신 단말기상에 기능을 실행하는 메뉴 또는 특정 상대방과의 통화 목록이 디스플레이된다(S504).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특정 사용 패턴(메뉴 또는 통화 목록) 중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한다(S506).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사용 패턴 중 메뉴를 선택하면, 메뉴(MP3, 음악 등)에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통화 목록이 선택되어 통화 기능을 선택하면 해당 통화 상대방과 통화하게 된다(S508).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단계 S500에 환경 설정 메뉴에서 사용 패턴 모드를 동작 모드로 설정하지 않으면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원하는 메뉴 또는 통화 기능을 키 조작을 통해 선택하여 그 기능을 실행하면 된다(S510, S512). If the usage pattern mode is set to the operation mode in step S500, the microprocessor 230 drives the usage pattern analysis program stored in the flash memory 200 to collect and process the us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lgorithm of the program, and then the database. In step S502. The us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target storage unit among the database information indicates the usage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time information used by using the menu or call function included in the usage information is used. At the matching time point, a menu for executing a function or a call list with a specific counterpart is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504). The mobile terminal user selects a function desired by the mobile terminal user from a specific usage pattern (menu or call list) displayed on the mobile terminal (S506).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s a menu from a specific usage pattern, the user executes a function corresponding to a menu (MP3, music, etc.) and selects a call function by selecting a call list (S508). If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es not set the use pattern mode to the operation mode in the environment setting menu in step S500 and executes the function by selecting a desired menu or call function through key operation as 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510, S512).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패턴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특정 사용 패턴을 산출하고 산출된 정보를 일정 시점에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lculates a specific use pattern to a periodically repe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database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and moves the calculated information at a certain point in time. By outputting to a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for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시 사용 빈도, 사용 시간이 많은 기능 메뉴와 정기적인 통화 등에 대한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자동으로 보여줌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에 이 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mobile terminal user can automatically reflect data on the usage of the mobile terminal by automatically showing the mobile terminal data on the frequency of use, time-consuming function menus, and regular calls. It has an effect.

Claims (13)

외부 키 입력을 통한 시간과 날짜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set the time and date through the external key input, 다수의 숫자키, 문자키, 외부 키, 통화키 및 종료키를 구비하여 다이얼링(Dialing), 메뉴 선택, 통화 종료, 명령 입력을 위한 키선택 기능을 제공하며, 시간과 날짜 정보를 입력하는 키입력부;Key input unit for dialing, menu selection, call termination, command input, and key input for entering time and date information with a number of numeric keys, character keys, external keys, call keys and end keys ; 전원의 사용 정도,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A display unit displaying an overall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degree of use of a power source, a reception strength of radio waves, a date and a time;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상기 시간과 날짜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이 이동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인지 검사하The user manually receives and stores the time and date information through the key input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hecks whether the area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정보를 수집,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사용 정보에서 사용 빈도와 사용 시간이 높은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를 산출하는 사용 패턴 분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메모리; A memory in which a usage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the usage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king a database and calculating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and a high usage time from the databased usage information; 상기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사용 패턴 분석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A microprocessor for outputting the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to the display unit and controlling the usage pattern analysis program; And 수집,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상기 사용 정보와 상기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usage information and the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collected and processed into a databas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키 입력을 통한 시간과 날짜 설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tting the time and date through the external key inpu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선택한 메뉴 또는 통화 목록, 사용 시간, 메뉴 기능 또는 통화 기능이 실행되었던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usage information includes a menu or call list selected by the user to ope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usage time, a time when a menu function or a call function was executed,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user by grasping a usage pattern of the us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n interfa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는 기능을 실행하는 상기 메뉴 또는 특정 상대방과의 통화 목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ovides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by grasping the usage pattern of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all list with the menu or a specific counterpart performing a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저장부는 임시 저장부, 데이터 저장부, 표적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storage unit includes a temporary storage unit, a data storage unit, a target storage unit to identify the usage pattern of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임시 저장부는 하루 단위를 기준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생되는 상기 사용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 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temporary storage unit provides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by grasping the usage pattern of the user,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usage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ver time on a daily basi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 정보를 각각의 데이터 영역에 분류하여 저장하고, 입력되는 새로운 사용 정보를 계속하여 상기 데이터 영역에 누적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data storage unit classifies and stores the us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in each data area, and continuously stores and updates new usage information in the data area. A mobile terminal that grasps and provides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표적 저장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누적하여 저장된 상기 사용 정보 중 사용 빈도와 사용 시간이 가장 많은 상기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target storage unit calculates and stores the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having the greatest frequency of use and usage time among the usage information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를 실행했던 시점에 맞추어 자동으로 상기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icroprocessor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utput the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to the display unit at the time when the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is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ovides an intelligent user interfac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표적 저장부에서 산출해낸 상기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display unit outputs the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calculated by the target storage uni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of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grasp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환경 설정 메뉴에서 사용 패턴 모드가 동작하는지 검사하는 단계;(a) checking whether a usage pattern mode operates in an environment setting menu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 사용 패턴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 정보를 수집, 가공하여 상기 사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b) collecting and processing the usage information by an algorithm of the usage pattern program to database the usage information; (c) 특정 시점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패턴을 나타내는 사용 패턴 데이터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c) displaying usage pattern data representing the usage patter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t a specific time; (d)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사용 패턴을 나타내는 상기 사용 패턴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 및(d) selecting, by the user, the usage pattern data representing the usage pattern display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 선택된 상기 사용 패턴 데이터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e) executing a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lected use pattern dat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The method of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by grasp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사용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선택한 메뉴 또는 통화시 통화 목록, 사용 시간, 메뉴 기능 또는 통화 기능이 실행되었던 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The usage information includes a menu selected by the user to operate the mobile terminal or a call list during a call, a use time, a menu function, or a time when a call function was executed. How to provide an intelligent user interface.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사용 패턴 데이터는 기능을 실행하는 메뉴 또는 특정 상대방과의 통화 목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The usage pattern data is provided with a menu for executing a function or a call list with a specific counterpart, the method of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by grasping the usage pattern of the user.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단계 (b)는,Step (b) is, (b1) 하루 단위를 기준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기 사용 정보를 임시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b1) storing the usage information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ver time on a daily basis; (b2) 상기 임시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 정보는 각각의 데이터 영역에 분류하여 저장하고, 입력되는 새로운 사용 정보를 계속하여 누적 업데이트하여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b2) classifying and storing the us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unit in each data area, and continuously accumulating and updating new input information inputted into the data storage unit; And (b3)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누적하여 저장된 상기 사용 정보 중 사용 빈도와 사용 시간이 가장 많은 고빈도 사용 패턴 데이터를 산출하여 저장하는 단계(b3) calculating and storing high frequency usage pattern data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and usage time among the usage information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파악하여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The method of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t user interface by grasping a usage pattern of a us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1020040096560A 2004-11-23 2004-11-23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 Pattern KR1006852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60A KR100685286B1 (en) 2004-11-23 2004-11-23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 Patt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60A KR100685286B1 (en) 2004-11-23 2004-11-23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 Patt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411A true KR20060057411A (en) 2006-05-26
KR100685286B1 KR100685286B1 (en) 2007-02-22

Family

ID=3715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560A KR100685286B1 (en) 2004-11-23 2004-11-23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 Patter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5286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6687A2 (en) * 2009-08-07 2011-0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reflecting user's environ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2096453A2 (en) * 2011-01-10 2012-07-19 주식회사 포키비언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a service environment
KR101295155B1 (en) * 2006-06-26 2013-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standby screen on the basis behavior analysis result of user
KR101404943B1 (en) * 2007-02-05 201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power controlling aaccording to user pattern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v
KR20170096474A (en) * 2016-02-16 2017-08-24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ation notification time within contents ser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4058B1 (en) 2009-08-07 2016-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terminal providing environment adapted to present situ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2418464B1 (en) 2018-01-04 2022-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155B1 (en) * 2006-06-26 2013-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standby screen on the basis behavior analysis result of user
US8744413B2 (en) 2006-06-26 2014-06-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standby screen according to analysis result of user's behavior
KR101404943B1 (en) * 2007-02-05 2014-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battery power controlling aaccording to user pattern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v
WO2011016687A2 (en) * 2009-08-07 2011-02-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reflecting user's environ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1016687A3 (en) * 2009-08-07 2011-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reflecting user's environ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032315B2 (en) 2009-08-07 2015-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reflecting user's environ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12096453A2 (en) * 2011-01-10 2012-07-19 주식회사 포키비언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a service environment
WO2012096453A3 (en) * 2011-01-10 2012-09-20 주식회사 포키비언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based on a service environment
KR20170096474A (en) * 2016-02-16 2017-08-24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ation notification time within contents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5286B1 (en)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99128B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function of integration management of short message service
US9032315B2 (en) Portable terminal reflecting user&#39;s environ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040203768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mobile device profiles
CN103281451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stomizing a cellular phone
US7496352B2 (en) Environmentally driven phone behavior
US20030022697A1 (en) Dialing method for effecting international call in intelligent cellular phone
GB2377858A (en) Displaying most frequently accessed menu uppermost in a mobile telephone display
CN159246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varying settings of various items in a user menu depending on a location thereof and a method therefor
CN1728737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cheduling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02479024A (en) Handheld device and user interfac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1199743B (en) Audio coding format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0685286B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Artificial Intelligenc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Use Pattern
CN1260683A (en) Function selection method for mobile telephone set
KR100520664B1 (en) Method for changing setting of user setting menu in mobile terminal
KR100881657B1 (en) System for providing widzet type idle-screen
KR100825406B1 (en) Voice inform service system and service support method using the same for mobile phone
KR20060081051A (en) Mobile terminal having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by themes and schedule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KR100800870B1 (en) Method for displaying dynamic menu
JP4474838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telephone directory display method in the device
KR2006007333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notifying to user sending/receiving history information for personal relationship and method therefor
KR20070001625A (en) Method for searching usage log of data service and voice communication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390364B1 (en) Method for operating menu in mobile station
KR10065491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Name Search And Method Therefor
KR100663479B1 (en) Method for storing telephone numb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563702B1 (en) Method for processing the phone book of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