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788A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788A
KR20060051788A KR1020050090894A KR20050090894A KR20060051788A KR 20060051788 A KR20060051788 A KR 20060051788A KR 1020050090894 A KR1020050090894 A KR 1020050090894A KR 20050090894 A KR20050090894 A KR 20050090894A KR 20060051788 A KR20060051788 A KR 20060051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pressure
cylinder
spac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쯔구 오가사와라
다까히로 니시까와
아끼히로 스다
마사유끼 하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8670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976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867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97631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5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using a lubrican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08Rotary pistons
    • F01C21/0809Construction of vanes or vane holders
    • F01C21/0818Vane tracking; control therefor
    • F01C21/0854Vane tracking; control therefor by fluid means
    • F01C21/0863Vane tracking; control therefor by fluid means the fluid being the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with axially movable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냉매 누출을 개선하여 압축기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압축기의 밀폐 용기 내에 수납된 구동 요소 및 이 구동 요소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고, 이 압축 요소는 내부에 압축 공간이 구성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의 압축 공간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 및 토출 포트와, 회전축의 축 방향에 교차하는 일면이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연속하여 경사지는 동시에,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회전하고, 흡입 포트로부터 흡입된 유체(냉매)를 압축하여 토출 포트로부터 토출하는 압축 부재와, 흡입 포트와 토출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 부재의 일면으로서의 표면에 접촉하고, 실린더 내의 압축 공간을 저압실과 고압실로 구획하는 베인으로 구성되고, 압축 부재의 일면을 구동 요소와는 반대측으로 배치한 것을 요지로 한다.
지지 부재, 회전자, 회전축, 고정자, 압축 요소, 구동 요소, 밀폐 용기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압축기의 종단측면도.
도2는 도1의 압축기의 또 하나의 종단측면도.
도3은 도1의 압축기의 또 다른 하나의 종단측면도.
도4는 도1의 압축기의 압축 요소의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압축기의 압축 요소의 종단측면도.
도6은 도5의 압축기의 또 하나의 종단측면도.
도7은 도5의 압축기의 또 다른 하나의 종단측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압축기의 압축 요소의 종단측면도.
도9는 도8의 압축기의 또 하나의 종단측면도.
도10은 도8의 압축기의 또 다른 하나의 종단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밀폐 용기
2 : 구동 요소
3 : 압축 요소
4 : 고정자
5 : 회전축
6 : 회전자
11 : 베인
12 : 토출 밸브
13 : 주베어링
16 : 슬롯
17 : 배압실
18 : 코일 스프링
21 : 압축 공간
24 : 흡입 통로
26 : 흡입 배관
27 : 흡입 포트
28 : 토출 포트
77 : 지지 부재
78 : 실린더
79 : 주지지 부재
84 : 돌출 부재
86 : 부베어링
88 : 볼록부
89 : 압축 부재
93 : 상면
120 : 연통 구멍
[문헌 1] JP H5-99172 A
[문헌 2] JP 2003-532008 A
본 발명은, 냉매나 공기 등의 유체를 압축하여 토출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냉동기에 있어서는 압축기를 이용하여 냉매를 압축하고, 회로 내를 순환시키는 방식이 채용되어 있다. 이 경우의 압축기의 방식으로서는, 회전식 압축기라 불리는 로터리 압축기[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5-99172호 공보(문헌 1) 참조]나 스크롤 압축기 및 스크류 압축기 등이 있다.
상기 로터리 압축기는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 생산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지만, 진동과 토크 변동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크롤 압축기나 스크류 압축기는 토크 변동은 작지만, 가공성이 악화되고 비용이 앙등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실린더 내에 회전하는 압축 부재로서의 경사판을 마련하고, 이 경사판의 상하로 구성되는 압축 공간을 베인으로 구획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방식도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표 제2003-532008호 공보(문헌 2) 참조]. 이러한 방식의 압축기에 따르면,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진동이 적은 압축기를 구성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 2와 같은 구조인 경우, 실린더 내 전체 영역에 있어서 압축 부재(경사판)의 상하로 고압실과 저압실이 인접하는 형태가 되므로, 고저압 차이가 커져 냉매 누출에 의한 효율 악화가 문제가 된다.
특히, 압축 부재의 일면을 구동 요소측에 배치한 경우에는, 압축 공간 내의 냉매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베어링 사이로부터 누출되기 쉽고, 압축기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 문헌 2와 같은 구조의 압축기에 있어서도, 종래의 상기 문헌 1의 압축기와 마찬가지로 밀폐 용기 내 하부에 오일 저장부가 구성되고, 상기 오일 저장부로부터 오일 펌프에 의해 압축 요소에 오일을 공급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예를 들어 구동 요소의 상측에 압축 요소를 배치하는 등, 압축 요소를 오일 저장부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마련한 경우, 오일 펌프에 의한 급유가 곤란해져 급유가 부족해지는 문제가 생기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냉매 누출을 개선하여 압축기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은, 압축 요소를 구동 요소의 상측에 배치한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 요소의 미끄럼 이동부 등으로의 오일 공급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제1 발명의 압축기는, 밀폐 용기 내에 수납된 구동 요소 및 이 구 동 요소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고, 이 압축 요소는 내부에 압축 공간이 구성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의 압축 공간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 및 토출 포트와, 회전축의 축 방향에 교차하는 일면이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연속하여 경사지는 동시에,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회전하고, 흡입 포트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압축하여 토출 포트로부터 토출하는 압축 부재와, 흡입 포트와 토출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 부재의 일면에 접촉하고, 실린더 내의 압축 공간을 저압실과 고압실로 구획하는 베인으로 구성되고, 압축 부재의 일면을 구동 요소와는 반대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제2 발명의 압축기는, 상기 제1 발명에 있어서 압축 요소를 구동 요소의 상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제3 발명의 압축기는, 제2 발명에 있어서 밀폐 용기 내 하부의 오일 저장부로부터 압축 요소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 펌프를 구비하고, 토출 포트로부터 밀폐 용기 내로 유체를 토출하는 동시에, 베인의 배압을 흡입 포트로 흡입되는 유체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제4 발명의 압축기는, 제1 발명에 있어서 압축 요소를 상기 구동 요소의 하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제5 발명의 압축기는, 제4 발명에 있어서 토출 포트로부터 밀폐 용기 내 하부의 오일 저장부의 오일면 상으로 연장되는 배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제6 발명의 압축기는, 밀폐 용기 내에 수납된 구동 요소 및 이 구동 요소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고, 이 압축 요소는 내부에 압축 공간이 구성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의 압축 공간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 및 토출 포트와, 회전축의 축 방향에 교차하는 일면이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연속하여 경사지는 동시에,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회전하고, 흡입 포트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압축하여 토출 포트로부터 토출하는 압축 부재와, 흡입 포트와 토출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 부재의 일면에 접촉하고, 실린더 내의 압축 공간을 저압실과 고압실로 구획하는 베인으로 구성되고, 압축 요소를 구동 요소의 상측에 배치하고, 밀폐 용기 내 하부의 오일 저장부로부터 오일 펌프에 의해 압축 요소에 오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제7 발명의 압축기는, 제6 발명에 있어서 회전축의 베어링을 압축 요소의 상측 및/또는 하측과, 구동 요소의 하측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제8 발명의 압축기는, 상기 제6 또는 제7 발명에 있어서 토출 포트로부터 밀폐 용기 내로 유체를 토출하는 동시에, 압축 부재의 타면측의 압력을 흡입 포트로 흡입되는 유체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의 제9 발명의 압축기는, 제8 발명에 있어서 압축 부재의 일면을 구동 요소와는 반대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베인의 배압을 압축 부재의 타면측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후 설명하는 각 실시예의 압축기(C)는, 예를 들어 냉동기의 냉매 회로를 구성하여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회로 내로 토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압축기(C)의 종단측면도, 도2는 도1의 압축기(C)의 또 하나의 종단측면도, 도3은 도1의 압축기(C)의 또 다른 하나의 종단측면도, 도4는 도1의 압축기(C)의 압축 요소(3)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각 도면에 있어서, 부호 1은 밀폐 용기이며, 이 밀폐 용기(1) 내에는 상측에 압축 요소(3)가, 하측에 구동 요소(2)가 각각 수납되어 있다. 즉, 압축 요소(3)를 구동 요소(2)의 상측에 배치하고 있다.
구동 요소(2)는 밀폐 용기(1)의 내벽에 고정되고, 고정자 코일이 권취 장착된 고정자(4)와, 이 고정자(4)의 내측에서 중앙에 회전축(5)을 갖는 회전자(6)로 구성된 전동 모터이다.
압축 요소(3)는 밀폐 용기(1)의 내벽에 고정되고, 회전축(5)의 상단부측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77)와, 이 지지 부재(77)의 하측에 볼트에 의해 부착된 실린더(78)와, 이 실린더(78) 내에 배치된 압축 부재(89)와, 베인(11), 토출 밸브(12), 실린더(78)의 하측에 볼트에 의해 부착된 주지지 부재(7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지지 부재(79)의 하면 중앙부는 동심 형상으로 하방으로 돌출하고, 거기에 회전축(5)의 주베어링(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지지 부재(79)의 표면은 실린더(78)의 하측 개구부를 폐색하고 있다.
상기 지지 부재(77)는 외주면이 밀폐 용기(1)의 내벽에 고정된 주요 부재(85)와, 상기 주요 부재(85)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부베어링(83)과, 주요 부재(85)의 하면 중앙부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 돌출 부재(84)에 의해 구성되고, 이 돌출 부재(84)의 하면(84A)은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지지 부재(77)의 돌출 부재(84) 내에는 슬롯(16)이 형성되고, 이 슬롯(16) 내에는 상기 베인(11)이 상하 왕복 이동 자유자재로 삽입된다. 이 슬롯(16)의 상부에는 배압실(17)이 형성되는 동시에, 슬롯(16) 내에는 베인(11)의 표면을 하방으로 압박하는 압박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18)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78)의 상측 개구부는 지지 부재(77)에 의해 폐색되고, 이에 의해 실린더(78) 내부[실린더(78) 내의 압축 부재(89)와 지지 부재(77)의 돌출 부재(84) 사이]에는 압축 공간(21)이 구성된다. 또한, 지지 부재(77)의 주요 부재(85) 및 돌출 부재(84)에는 흡입 통로(24)가 형성되는 동시에, 밀폐 용기(1)에는 흡입 배관(26)이 부착되어 이 흡입 통로(24)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실린더(78)에는 압축 공간(21)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27)와 토출 포트(28)가 형성되어 있고, 흡입 통로(24)의 타단부는 흡입 포트(27)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베인(11)은 이 흡입 포트(27)와 토출 포트(28)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도4).
상기 회전축(5)은 주지지 부재(79)로 형성된 주베어링(13)과 지지 부재(77)로 형성된 부베어링(83)과 하단부에 형성된 부베어링(86)에 지지되어 회전한다. 즉, 회전축(5)은 이러한 주지지 부재(79), 실린더(78), 지지 부재(77)의 중앙에 삽입 관통되고, 상하 방향의 중앙부를 주베어링(13)에 의해 회전 자유자재로 피봇 지 지된다. 또한, 회전축(5)의 상측은 부베어링(83)에 의해 회전 자유자재로 피봇 지지되는 동시에, 상단부는 지지 부재(77)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한, 회전축(5)의 하방은 부베어링(86)에 의해 피봇 지지되어 있다. 이 부베어링(86)은 구동 요소(2)의 하방에 마련되고, 중심부에 회전축(5)을 삽입 관통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 대략 도넛츠 형상을 이루고 있고, 외주연은 축심 방향으로 기립하여 밀폐 용기(1)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이 부베어링(86)에는 부위 상하를 연통하는 구멍(8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베어링(86)으로 형성된 볼록부(88)는 구동 요소(2) 등으로부터 회전축(5)에 전달된 진동이 부베어링(86)을 통해 밀폐 용기(1)에 전해지는 것을 막고 흡진 작용을 발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회전축(5)의 베어링을 압축 요소(3)의 상측[부베어링(83)] 및 하측[주베어링(13)]과, 구동 요소(2)의 하측[부베어링(86)]에 설치함으로써, 회전축(5)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압축기(C)에 생기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기(C)의 진동 특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축 공간(21)을 구동 요소(2)와는 반대측의 압축 부재(89)의 상면(93)에 배치함으로써, 주베어링(13)으로부터의 가스 누출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주베어링(13)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회전축(5)의 상단부를 지지 부재(77)에 의해 폐색함으로써 부베어링(83)의 시일성도 향상되고, 또한 회전축(5)의 주위면이 고압이 되는 부적합함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종래, 압축 요소(3)를 밀폐 용기(1)의 상측에 배치한 경우, 밀폐 용기(1) 내 하부의 오일 저장부(36)의 오일을 압축 요소(3)의 압축 부재(89) 등의 미끄럼 이동 부에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즉, 회전축(5)의 주위면에 고압 가스가 들어가 고압이 되기 때문에, 회전축(5)의 상방에 마련되고, 오일 통로(42)로부터 회전축(5)의 축 방향이 되는 압축 요소(3)의 측면에 걸쳐 형성된 오일 구멍(44, 45)으로부터의 급유를 원활하게 행할 수 없었다.
그러나, 회전축(5)의 상단부를 지지 부재(77)에 의해 폐색함으로써, 부베어링(83)의 시일성이 향상되고, 회전축(5)의 주위면이 고압이 되는 부적합함을 개선 도모할 수 있으므로, 오일 펌프(40)에 의해 오일을 밀폐 용기(1)의 상측에 마련된 압축 부재(89) 등의 미끄럼 이동부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져 오일 공급량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압축 부재(89)는 이러한 회전축(5)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실린더(78)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압축 부재(89)는 회전축(5)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흡입 포트(27)로부터 흡입된 유체(냉매)를 압축하여 토출 포트(28)로부터 밀폐 용기(1) 내로 토출하기 위한 것이고, 전체로서는 회전축(5)과 동심의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압축 부재(89)의 회전축(5)의 축 방향에 교차하는 상면(93)(일면)이 가장 높아지는 상사점으로부터 가장 낮아지는 하사점을 지나서 상사점으로 복귀하는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 사이에서 연속하여 경사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압축 부재(89)의 연속하여 경사지는 형상을 이루는 일면은, 압축 부재(89)의 밀폐 용기(1) 내의 하측에 수납된 구동 요소(2)와는 반대측의 면이 되는 상 면(93)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베인(11)은 흡입 포트(27)와 토출 포트(28)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압축 부재(89)의 상면(93)에 접촉하고, 실린더(78) 내의 압축 공간(21)을 저압실(LR)과 고압실(HR)로 구획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18)은 이 베인(11)을 항상 상면(93)측으로 압박한다.
실린더(78)의 하측 개구부는 주지지 부재(79)에 의해 폐색되고, 압축 부재(89)의 하면(타면)과 주지지 부재(79) 사이[압축 공간(21)의 배면측]에는 공간(5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54)은 압축 부재(89)와 주지지 부재(79)에 의해 밀폐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54)에는 압축 부재(89)와 실린더(78)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압축 공간(21) 내의 냉매가 약간 유입되므로, 공간(54)의 압력은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저압 냉매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고압 냉매의 압력보다 낮은 값(중간압)이 된다.
이와 같이, 공간(54)의 압력을 중간압으로 함으로써 압축 부재(89)가 공간(54)의 압력에 의해 상측에 강하게 압박되고, 압축 부재(89)의 상면(93)이 받침면이 되는 돌출 부재(84)의 하면(84)이 현저하게 마모되는 부적합함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 부재(89)의 상면(93)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게다가, 압축 부재(89)의 타면측이 되는 공간(54)의 압력을 중간압으로 함으로써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공간(54)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상기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공간(54)의 주변부인 압축 부재(89)나 주베어링(13) 부근으로의 오일 공급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배압실(17)은 종래와 같이 고압으로 하지 않고, 밀폐 공간으로서 상기 배압실(17)의 압력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냉매(냉매)의 압력보다 높고, 또한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하고 있다. 종래에서는, 배압실(17)의 일부와 밀폐 용기(1) 내를 연통시켜 배압실(17) 내를 고압으로서, 코일 스프링(18)에 가하여 베인(11)을 하방으로 압박하는 것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 요소(3)가 밀폐 용기(1)의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배압실(17)을 고압으로 함으로써 베인(11) 부근으로의 급유가 부족해질 우려가 있었다.
여기서, 배압실(17)을 밀폐 용기(1) 내와 연통시키지 않고서, 밀폐한 공간으로 함으로써 상기 배압실(17)에는 베인(11)의 간극으로부터 압축 공간(21)의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의 냉매가 약간 유입되는 것만으로 된다. 이로 인해, 배압실(17)은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보다 높고, 또한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낮은 중간압이 된다. 이에 의해, 밀폐 용기(1) 내보다 배압실(17) 내의 압력쪽이 낮아지므로, 이러한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회전축(5) 내의 오일 통로(42)를 상승하고, 오일 구멍(44, 45)으로부터의 오일을 베인(11)의 주변부에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들에 의해, 압축 요소(3)를 밀폐 용기(1) 내의 상측에 마련한 경우에 있어서도, 압축 부재(89)나 베인(11) 등의 미끄럼 이동부로의 급유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압축기(C)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축 부재(89)의 주위면은 실린더(78)의 내벽 사이에 미소한 간극을 구성하고, 이에 의해 압축 부재(89)는 회전 자유자재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 축 부재(89)의 주위면과 실린더(78)의 내벽 사이도 오일에 의해 시일된다.
상기 토출 포트(28)의 외측에는 실린더(78)의 압축 공간(21)의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토출 밸브(12)가 부착되는 동시에, 실린더(78) 및 지지 부재(77)에는 상기 토출 밸브(12)와 밀폐 용기(1) 내의 상측을 연통하는 토출관(9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실린더(78) 내에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 포트(28)로부터 토출 밸브(12) 및 토출관(95)을 통해 밀폐 용기(1) 내 상부로 토출되게 된다.
또한, 실린더(78) 및 지지 부재(77)의 상기 토출 밸브(12)의 대략 대칭이 되는 위치에는, 상기 실린더(78) 및 지지 부재(77)를 축심 방향(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연통 구멍(120)이 형성되어 있다. 밀폐 용기(1)의 측면의 상기 연통 구멍(120)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토출 배관(38)이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관(95)으로부터 밀폐 용기(1) 상부로 토출된 냉매는 연통 구멍(120)을 통과하고, 토출 배관(38)으로부터 압축기(C)의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회전축(5)의 하단부에는 오일 펌프(40)가 설치되어 있고, 일단부가 밀폐 용기(1) 내 하부의 오일 저장부(36) 내에 침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 펌프(40)에 의해 빨아 올려진 오일은 회전축(5) 내 중심에 형성된 오일 통로(42) 및 오일 통로(42)로부터 회전축(5)의 축 방향이 되는 압축 요소(3)의 측면에 걸쳐 형성된 오일 구멍(44, 45)을 통해 압축 요소(3)의 미끄럼 이동부 등에 공급된다. 또한, 밀폐 용기(1) 내에는 예를 들어 CO2(이산화탄소), R-134a 혹은 HC계의 냉매가 소정량 봉입된다.
이상의 구성으로, 구동 요소(2)의 고정자(4)의 고정자 코일에 통전되면, 회 전자(6)가 아래로부터 보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회전자(6)의 회전은 회전축(5)을 통해 압축 부재(89)에 전달되고, 이에 의해 압축 부재(89)는 실린더(78) 내에서 아래로부터 보아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지금, 압축 부재(89)의 상면(93)의 상사점이 토출 포트(28)의 베인(11)측에 있고, 베인(11)의 흡입 포트(27)측에서 실린더(78), 지지 부재(77), 압축 부재(89) 및 베인(11)으로 둘러싸인 공간(저압실) 내로 흡입 배관(26) 및 흡입 통로(24)를 통해 흡입 포트(27)로부터 냉매 회로 내의 냉매가 흡입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그 상태로부터 압축 부재(89)가 회전해 가면, 상사점이 베인(11) 및 흡입 포트(27)를 지나간 단계로부터 상면(93)의 경사에 따라 상기 공간의 체적은 좁혀져 가고, 공간(고압실) 내의 냉매는 압축되어 간다. 그리고, 상사점이 토출 포트(28)를 통과할 때까지 압축된 냉매는 토출 포트(28)로부터 계속 토출된다. 한편, 상사점이 흡입 포트(27)를 통과한 후, 베인(11)의 흡입 포트(27)측에서 실린더(78), 지지 부재(79), 압축 부재(89) 및 베인(11)으로 둘러싸인 공간(저압실)의 체적은 확대되어 가므로, 흡입 배관(26) 및 흡입 통로(24)를 통해 흡입 포트(27)로부터 냉매 회로 내의 냉매가 압축 공간(21) 내로 흡입되어 간다.
토출 포트(28)로부터는 토출 밸브(12) 및 토출관(95)을 통해, 냉매가 밀폐 용기(1) 내 상부로 토출된다. 그리고, 밀폐 용기(1) 내로 토출된 고압 냉매는 밀폐 용기(1)의 상부를 통과하고, 지지 부재(77) 및 실린더(78)로 형성된 연통 구멍(120)을 지나서, 토출 배관(38)으로부터 냉매 회로로 토출된다. 한편, 분리된 오일은 연통 구멍(120)을 유하하고, 또한 밀폐 용기(1)와 고정자(4) 사이로부터 유하 하여 오일 저장부(36)로 복귀되게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배압실(17)을 밀폐 공간으로 함으로써 베인(11)의 배압으로서 인가되는 배압실(17)의 압력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하였지만, 이와 같이 배압실(17)을 밀폐 공간으로 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배압실(17)과 밀폐 용기(1) 내를 미세한 통로(노즐)에 의해 연통시키는 것으로서도 상관없다. 이 경우, 밀폐 용기(1) 내의 냉매가 노즐을 통해 배압실(17)로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노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의 압력이 저하한다. 이에 의해, 배압실(17)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이 되므로,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베인(11)의 주변부에의 급유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즐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배압실(17) 내로 유입하는 냉매의 압력도 자유자재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압축 부재(89)의 타면측의 공간(54)도 배압실(17)과 같이, 밀폐 공간으로서 공간(54)의 압력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저압 냉매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고압 냉매의 압력보다 낮은 중간압으로 하였지만, 상기 공간(54)도 밀폐 용기(1) 내와 미세한 통로(노즐)에 의해 연통시키는 것으로서도 상관없다. 이 경우, 밀폐 용기(1) 내의 냉매가 노즐을 통해 공간(54)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노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의 압력이 저하한다. 이에 의해, 공간(54)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이 되므로, 압축 부재(89)의 상면(93)이 받침면이 되는 돌출 부재(84)의 하면(84) 이 현저하게 마모되는 부적합함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 부재(89)의 상면(93)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게다가, 공간(54)을 중간압으로 함으로써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공간(54)의 주변부인 압축 부재(89)나 주베어링(13) 부근으로의 급유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즐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공간(54) 내로 유입하는 냉매의 압력도 자유자재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5)의 베어링을 압축 요소(3)의 상측[부베어링(83)] 및 하측[주베어링(13)]과 구동 요소(2)의 하측[부베어링(86)]의 3 부위에 마련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압축 요소(3)의 상측과 구동 요소(2)의 하측 혹은 압축 요소(3)의 하측과 구동 요소(2)의 하측의 2 부위에 마련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회전축(5)을 충분히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도5 내지 도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5 내지 도7은 이 경우의 압축기(C)의 종단측면도이며, 각 도면은 각각 다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5 내지 도7에 의해 상기 도1 내지 도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는 것은, 마찬가지이거나 유사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밀폐 용기(1) 내에는 상측에 구동 요소(2)가 하측에 압축 요소(3)가 각각 수납되어 있다. 즉, 압축 요소(3)를 구동 요소(2)의 하측에 배치하고 있다.
압축 요소(3)는 밀폐 용기(1)의 내벽에 고정된 주지지 부재(107)와, 이 주지 지 부재(107)의 하측에 볼트에 의해 부착된 실린더(108)와, 이 실린더(108) 내에 배치된 압축 부재(109)와, 베인(11), 토출 밸브(12)와, 실린더(108)의 하측에 볼트에 의해 부착된 부지지 부재(11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지지 부재(107)의 표면 중앙부는 동심 형상으로 상방으로 돌출하고, 거기에 회전축(5)의 주베어링(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주연은 축심 방향(상측 방향)으로 기립하고, 이 기립한 외주연이 상술한 바와 같이 밀폐 용기(1)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108)의 상측 개구부는 주지지 부재(107)에 의해 폐색되고, 이에 의해 실린더(108) 내에 마련된 압축 부재(109)의 표면(타면)과 주지지 부재(107) 사이[압축 부재(109)의 타면측]에는 상기 압축 부재(109)와 주지지 부재(107)에 의해 폐색된 밀폐 공간(115)이 구성된다.
상기 부지지 부재(110)는 본체와, 이 중앙에 관통 형성된 부베어링(23)과, 표면 중앙부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 돌출 부재(112)에 의해 구성되고, 이 돌출 부재(112)의 표면(112A)은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08)의 하측 개구부는 부지지 부재(110)의 돌출 부재(112)에 의해 폐색되고, 이에 의해 실린더(108) 내부[압축 부재(109)와 부지지 부재(110)의 돌출 부재(112) 사이의 실린더(108) 내부]에는 압축 공간(21)이 구성된다.
부지지 부재(110)의 돌출 부재(112) 내에는 슬롯(16)이 형성되고, 이 슬롯(16) 내에는 상기 베인(11)이 상하 왕복 이동 자유자재로 삽입된다. 이 슬롯(16)의 하부에는 배압실(17)이 형성되는 동시에, 슬롯(16) 내에는 베인(11)의 하면을 상방으로 압박하는 압박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18)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08) 및 부지지 부재(110)의 돌출 부재(112)에는 흡입 통로(24)가 형성되는 동시에, 밀폐 용기(1)에는 도시하지 않은 흡입 배관이 부착되어 이 흡입 통로(24)의 일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실린더(108)에는 압축 공간(21)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27)와 토출 포트(28)가 형성되어 있고, 흡입 통로(24)의 타단부는 흡입 포트(27)에 연통하고 있다. 또, 상기 베인(11)은 이 흡입 포트(27)와 토출 포트(28)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회전축(5)은 주지지 부재(107)로 형성된 주베어링(13)과 부지지 부재(110)로 형성된 부베어링(23)으로 지지되어 회전한다. 즉, 회전축(5)은 이러한 지지 부재(107), 실린더(108) 및 부지지 부재(110)의 중앙에 삽입 관통되고, 상하 방향의 중앙부를 주베어링(13)에 의해 회전 자유자재로 피봇 지지되는 동시에, 하단부는 부지지 부재(110)의 부베어링(23)에 의해 회전 자유자재로 피봇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압축 부재(109)는 이러한 회전축(5)의 중앙으로부터 하방이 되는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고, 실린더(108)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압축 부재(109)는 상술한 실린더(108) 내에 배치되어 회전축(5)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흡입 포트(27)로부터 흡입된 유체(본 실시예에서는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 포트(28)로부터 토출 밸브(12) 및 토출관(95)을 통해 밀폐 용기(1) 내로 토출하기 위한 것이고, 전체로서는 회전축(5)과 동심의 대략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압축 부재(109)는 일측의 육후(肉厚)부와 타측의 육박(肉薄)부가 연속한 형상을 이루고, 회전축(5)의 축 방향으로 교차하는 하면(113)(일면)이 육후부에 의해 낮고, 육박부에 의해 높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즉, 하면(113)은 가장 높아지는 상사점으로부터 가장 낮아지는 하사점을 지나서 상사점으로 복귀하는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 사이에서 연속하여 경사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도시하지 않음).
이 압축 부재(109)의 연속하여 경사지는 형상을 이루는 일면은, 압축 부재(109)의 밀폐 용기(1) 내의 상측에 수납된 구동 요소(2)와는 반대측의 면이 되는 하면(113)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토출관(95)은 토출 포트(28)로부터 밀폐 용기(1) 내 하부의 오일 저장부(36)의 오일면 상으로 연장되는 배관이고, 실린더(108) 내에서 압축된 냉매는 토출 포트(28)로부터 토출 밸브(12) 및 토출관(95)을 통해 밀폐 용기(1) 내의 오일면 상으로 토출되게 된다.
또한, 압축 부재(109)의 하면(113)의 형상은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 사이에서 연속하여 경사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압축 부재(109)의 연속하여 경사지는 형상을 이루는 일면은, 압축 부재(109)의 밀폐 용기(1) 내의 상측에 수납된 구동 요소(2)와는 반대측의 면이 되는 하면(113)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베인(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 포트(27)와 토출 포트(28)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압축 부재(109)의 하면(113)에 접촉하고, 실린더(108) 내의 압축 공간(21)을 저압실(LR)과 고압실(HR)로 구획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18)은 이 베인(11)을 항상 하면(113)측으로 압박한다.
또한, 상기 공간(11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 부재(109)와 주지지 부재(107)에 의해 밀폐된 공간으로 되어 있지만, 압축 부재(109)와 실린더(108)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약간 압축 공간(21) 내의 냉매가 유입되므로, 공간(115) 압력은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저압 냉매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고압 냉매의 압력보다 낮은 중간압이 된다.
이와 같이, 공간(115)의 압력을 중간압으로 함으로써 압축 부재(109)가 공간(115)의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강하게 압박되어 압축 부재(109)의 하면(113)이 받침면이 되는 돌출 부재(112)의 표면(112A)이 현저하게 마모되는 부적합함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 부재(109)의 하면(113)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압축 부재(109)의 타면측이 되는 공간(115)의 압력을 중간압으로 함으로써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공간(115)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상기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공간(115)의 주변부인 압축 부재(109)나 주베어링(13) 부근으로의 오일 공급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압축 공간(21)을 구동 요소(2)라 함은 반대측이 되는 압축 부재(109)의 하면(113)에 배치함으로써, 주베어링(13)으로부터의 가스 누출이 생기기 어려워져 주베어링(13)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압축 공간(21)이 되는 압축 부재(109)의 하면(113)측의 부베어링(23)은 오일 저장부(36)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오일에 의해 부베어링(23)으로부터의 가스 누출도 회피할 수 있어 부베어링(23)의 시일성도 향상되고, 또한 회전축(5)의 주위면이 고압이 되는 부적합함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력 차이를 이용한 급유도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배압실(17)은 종래와 같이 고압으로 하지 않고, 밀폐 공간으로서 상기 배압실(17)의 압력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보다 높고, 또한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배압실(17) 내의 압력쪽이 낮아지므로, 이러한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회전축(5) 내의 오일 통로(42)를 상승하고, 오일 통로(42)로부터 회전축(5)의 축 방향이 되는 압축 부재(109)의 측면에 걸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오일 구멍으로부터의 오일을 베인(11)의 주변부에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축 부재(109)의 주위면은 실린더(108)의 내벽 사이에 미소한 간극을 구성하고, 이에 의해 압축 부재(109)는 회전 자유자재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 부재(109)의 주위면과 실린더(108)의 내벽 사이도 오일에 의해 시일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 포트(28)의 외측에는 실린더(108)의 압축 공간(21)의 측면에 위치하여 토출 밸브(12)가 부착되는 동시에, 토출 밸브(12)의 외측이 되는 실린더(108) 내 및 주지지 부재(107)에는 토출관(95)이 형성되고, 토출관(95)의 상단부는 오일 저장부(36)의 오일면 상에 개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토출 포트(28)로부터 토출된 냉매 가스를 토출관(95)을 통과시켜 오일면 상에 유도함으로써 토출된 냉매의 맥동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압축 부재(109)나 베인(11) 등의 미끄럼 이동부로의 급유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압축기(C)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 제1 실시예에서는 회전축(5)의 베어링을 압축 요소(3)의 상측[부베어링(83)] 및 하측[주베어링(13)]과, 구동 요소(2)의 하측[부베어링(86)]의 3 부위에 마련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주베어링(13)과 부베어링(23) 2개의 베어링에 의해 회전축(5)을 충분히 피봇 지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압축기를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압실(17)을 밀폐 공간으로 함으로써 베인(11)의 배압으로서 인가되는 배압실(17)의 압력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하였지만, 이와 같이 배압실(17)을 밀폐 공간으로 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배압실(17)과 밀폐 용기(1) 내를 미세한 통로(노즐)에 의해 연통시키는 것으로서도 상관없다. 이 경우, 밀폐 용기(1) 내의 냉매가 노즐을 통해 배압실(17)로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노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의 압력이 저하한다. 이에 의해, 배압실(17)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이 되기 때문에,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베인(11)의 주변부에의 급유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즐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배압실(17) 내로 유입하는 냉매의 압력도 자유자재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압축 부재(109)의 타면측의 공간(115)도 배압실(17)과 같이, 밀폐 공간으로서 공간(115)의 압력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저압 냉매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고압 냉매의 압력보다 낮은 중간압으로 하였지만, 상기 공간(115)도 밀폐 용기(1) 내와 미세한 통로(노즐)에 의해 연통시키는 것으로서도 상관없다. 이 경우, 밀폐 용기(1) 내의 냉매가 노즐을 통해 공간(115)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노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의 압력이 저하한다. 이에 의해, 공간(115)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낮 은 값이 되기 때문에, 압축 부재(109)의 하면(113)이 받침면이 되는 돌출 부재(112)의 표면(112A)이 현저하게 마모되는 부적합함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 부재(109)의 하면(113)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게다가, 공간(115)을 이러한 중간압으로 함으로써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공간(115)의 주변부인 압축 부재(109)나 베인(11) 부근으로의 급유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즐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공간(115) 내로 유입하는 냉매의 압력도 자유자재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도8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압축기(C)를 도시하고, 도8 내지 도10은 제3 실시예의 압축기(C)의 종단측면도이고, 각 도면은 각각 다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8 내지 도10에 의해 상기 도1 내지 도7에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는 것은, 마찬가지이거나 유사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경우, 밀폐 용기(1) 내의 하측에 구동 요소(2)를, 상측에 압축 요소(3)를 수납하고, 압축 요소(3)의 압축 공간(21)을 압축 부재(109)의 구동 요소(2)측이 되는 하면측으로 하고, 상기 압축 부재(109)의 하면(일면)(113)을 상사점으로부터 하사점 사이에서 연속하여 경사지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주지지 부재(107) 및 실린더(108) 내에는 슬롯(16)이 형성되고, 이 슬롯(16) 내에는 베인(11)이 상하 왕복 이동 자유자재로 삽입된다. 이 슬롯(16)의 하부에는 배압실(17)이 형성되는 동시에, 슬롯(16) 내에는 베인(11)의 하면을 상방 으로 압박하는 압박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18)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인(11)은 압축 부재(109)의 하면(113)에 접촉하고, 실린더(108) 내의 압축 공간(21)을 저압실과 고압실로 구획한다. 또한, 코일 스프링(18)은 이 베인(11)을 항상 하면(113)측으로 압박한다.
그리고, 배압실(17)은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밀폐 공간으로서 상기 배압실(17)의 압력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냉매(냉매)의 압력보다 높고, 또한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배압실(17)을 밀폐 용기(1) 내와 연통시키지 않고, 밀폐한 공간으로 함으로써 상기 배압실(17)에는 베인(11)의 간극으로부터 압축 공간(21)의 저압실측과 고압실측의 냉매가 약간 유입되는 것만으로 된다. 이로 인해, 배압실(17)은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보다 높고, 또한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낮은 중간압이 된다. 이에 의해, 밀폐 용기(1) 내로부터 배압실(17) 내의 압력쪽이 낮아지므로, 이러한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회전축(5) 내의 오일 통로(42)를 상승하고, 오일 구멍(44, 45)으로부터의 오일을 베인(11)의 주변부에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압축 부재(109)의 타면측이 되는 공간(115)은 압축 부재(109)와 주지지 부재(107)에 의해 밀폐된 공간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압축 부재(109)와 실린더(108)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약간 압축 공간(21) 내의 냉매가 유입되므로, 공간(115)의 압력은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저압 냉매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고압 냉매의 압력보다 낮은 중간압이 된다.
이와 같이, 공간(115)의 압력을 중간압으로 함으로써 압축 부재(109)가 공간 (115)의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강하게 압박되고, 압축 부재(109)의 하면(113)이 받침면이 되는 돌출 부재(112)의 표면(112A)이 현저하게 마모되는 부적합함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 부재(109)의 하면(113)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압축 부재(109)의 타면측이 되는 공간(115)의 압력을 중간압으로 함으로써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공간(115)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상기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공간(115)의 주변부인 압축 부재(109)나 주베어링(13) 부근으로의 오일 공급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압실(17)을 밀폐 공간으로 함으로써 베인(11)의 배압으로서 인가되는 배압실(17)의 압력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하였지만, 이와 같이 배압실(17)을 밀폐 공간으로 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배압실(17)과 밀폐 용기(1) 내를 미세한 통로(노즐)에 의해 연통시키는 것으로서도 상관없다. 이 경우, 밀폐 용기(1) 내의 냉매가 노즐을 통해 배압실(17)로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노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의 압력이 저하한다. 이에 의해, 배압실(17)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이 되기 때문에,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베인(11)의 주변부로의 급유를 원활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노즐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배압실(17) 내로 유입하는 냉매의 압력도 자유자재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압축 부재(89)의 타면측의 공간(115)도 배압실(17)과 같이, 밀폐 공간 으로서 공간(115)의 압력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저압 냉매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고압 냉매의 압력보다 낮은 중간압으로 하였지만, 상기 공간(115)도 밀폐 용기(1) 내와 미세한 통로(노즐)에 의해 연통시키는 것으로서도 상관없다. 이 경우, 밀폐 용기(1) 내의 냉매가 노즐을 통해 공간(115)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상기 노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의 압력이 저하한다. 이에 의해, 공간(115)을 흡입 포트(27)로 흡입되는 냉매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1)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이 되기 때문에, 압축 부재(89)의 상면(93)이 받침면이 되는 돌출 부재(84)의 하면(84)이 현저하게 마모되는 부적합함을 회피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압축 부재(89)의 상면(93)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공간(115)을 이러한 중간압으로 함으로써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공간(115)의 주변부인 압축 부재(89)나 주베어링(13) 부근으로의 급유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즐의 직경을 조정함으로써, 공간(115) 내로 유입하는 냉매의 압력도 자유자재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냉동기의 냉매 회로에 사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또한 그에 한정되지 않고,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토출하는 소위 공기 압축기에도 본 발명은 유효하다.
상기 제1 발명에 따르면, 압축 부재의 일면을 구동 요소와는 반대측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베어링으로부터의 가스 누출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2 발명과 같이 압축 요소를 구동 요소의 상측에 배치한 경우에서도, 가스 누출이 생기기 어렵게 됨으로써 회전축 주위면이 고압이 되는 부적합함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3 발명과 같이 밀폐 용기 내 하부의 오일 저장부로부터 오일 펌프에 의해 압축 요소에 오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3 발명과 같이 베인의 배압을 흡입 포트로 흡입되는 유체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함으로써 오일 펌프에 의해, 미끄럼 이동부로의 압력 차이를 이용한 급유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4 발명과 같이 압축 요소를 상기 구동 요소의 하측에 배치한 경우에는, 상기 제5 발명과 같이 토출 포트로부터 밀폐 용기 내 하부의 오일 저장부의 오일면 상으로 연장되는 배관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관에 의해, 토출 포트로부터 토출된 유체를 오일면 상에 유도함으로써 토출된 유체의 맥동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6 발명에 따르면, 압축 요소를 구동 요소의 상측에 배치하고, 밀폐 용기 내 하부의 오일 저장부로부터 오일 펌프에 의해 압축 요소에 오일을 공급하기 때문에, 상기 제8 발명과 같이 압축 부재의 타면측의 압력을 흡입 포트로 흡입되는 유체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함으로써 압축 요소를 구동 요소의 상측에 배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급유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7 발명과 같이 회전축의 베어링을 압축 요소의 상측 및/또는 하측과 구동 요소의 하측에 설치함으로써, 회전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압축기에 생기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9 발명과 같이 압축 부재의 일면을 구동 요소와는 반대측에 배치함으로써, 베어링으로부터의 가스 누출이 생기기 어렵게 되어 베어링의 시일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인의 배압을 압축 부재의 타면측의 압력보다 높고, 밀폐 용기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함으로써 압력 차이를 이용한 급유가 가능해진다.
이들에 의해, 압축 요소를 구동 요소의 상측에 배치한 압축기에 있어서, 원활한 급유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신뢰성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밀폐 용기 내에 수납된 구동 요소 및 이 구동 요소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고,
    이 압축 요소는 내부에 압축 공간이 구성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의 압축 공간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 및 토출 포트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교차하는 일면이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연속하여 경사지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회전하고, 상기 흡입 포트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압축하여 상기 토출 포트로부터 토출하는 압축 부재와,
    상기 흡입 포트와 토출 포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압축 부재의 일면에 접촉하고, 상기 실린더 내의 압축 공간을 저압실과 고압실로 구획하는 베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 부재의 일면을, 상기 구동 요소와는 반대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요소를 상기 구동 요소의 상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용기 내 하부의 오일 저장부로부터 상기 압축 요소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토출 포트로부터 상기 밀폐 용기 내로 유체를 토출하는 동시에,
    상기 베인의 배압을, 상기 흡입 포트로 흡입되는 유체의 압력보다 높고, 상기 밀폐 용기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요소를 상기 구동 요소의 하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포트로부터 상기 밀폐 용기 내 하부의 오일 저장부의 오일면 상으로 연장되는 배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6. 밀폐 용기 내에 수납된 구동 요소 및 이 구동 요소의 회전축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 요소를 구비하고,
    이 압축 요소는 내부에 압축 공간이 구성되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 내의 압축 공간에 연통하는 흡입 포트 및 토출 포트와,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에 교차하는 일면이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에서 연속하여 경사지는 동시에, 상기 실린더 내에 배치되어 회전하고, 상기 흡입 포트로부터 흡입된 유체를 압축하여 상기 토출 포트로부터 토출하는 압축 부재와,
    상기 흡입 포트와 토출 포트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압축 부재의 일면에 접촉하고, 상기 실린더 내의 압축 공간을 저압실과 고압실로 구획하는 베인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축 요소를 상기 구동 요소의 상측에 배치하고, 상기 밀폐 용기 내 하부의 오일 저장부로부터 오일 펌프에 의해 상기 압축 요소에 오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베어링을 상기 압축 요소의 상측 및/또는 하측과, 상기 구동 요소의 하측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포트로부터 상기 밀폐 용기 내로 유체를 토출하는 동시에, 상기 압축 부재의 타면측의 압력을, 상기 흡입 포트로 흡입되는 유체의 압력보다 높고, 상기 밀폐 용기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의 일면을, 상기 구동 요소와는 반대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베인의 배압을 상기 압축 부재의 타면측의 압력보다 높고, 상기 밀폐 용기 내의 압력보다 낮은 값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KR1020050090894A 2004-09-30 2005-09-29 압축기 KR20060051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86707A JP2006097629A (ja) 2004-09-30 2004-09-30 圧縮機
JPJP-P-2004-00286716 2004-09-30
JP2004286716A JP2006097631A (ja) 2004-09-30 2004-09-30 圧縮機
JPJP-P-2004-00286707 2004-09-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788A true KR20060051788A (ko) 2006-05-19

Family

ID=3543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0894A KR20060051788A (ko) 2004-09-30 2005-09-29 압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7381040B2 (ko)
EP (1) EP1647714A3 (ko)
KR (1) KR20060051788A (ko)
TW (1) TWI36314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833A1 (ko) * 2016-03-04 2017-09-08 황광선 원심 흡입식 하이브리드 베인 유체기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1635B2 (en) * 2004-09-30 2009-01-27 Sanyo Electric Co., Ltd. Shaft seal for rotary type compressor
JP4862925B2 (ja) * 2009-07-31 2012-01-2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ロータリ圧縮機
EP2612035A2 (en) 2010-08-30 2013-07-10 Oscomp Systems Inc.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cooling
US9267504B2 (en) 2010-08-30 2016-02-23 Hicor Technologies, Inc. Compressor with liquid injection cooling
RU2553586C2 (ru) * 2011-03-31 2015-06-20 Эмерсон Клаймит Текнолоджиз, Инк. Компрессор
JP6015055B2 (ja) * 2012-03-27 2016-10-26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ロータリ圧縮機
CN112930442B (zh) 2018-09-28 2024-02-09 谷轮有限合伙公司 压缩机油管理***
US11125233B2 (en) 2019-03-26 2021-09-21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having oil allocation memb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7123A (en) * 1965-09-02 1967-05-02 Whirlpool Co Compressor lubrication
US3434656A (en) * 1967-09-14 1969-03-25 Worthington Corp Lubrication system for rotary vane compressors
WO1980001935A1 (en) * 1979-03-13 1980-09-18 Upr Sanitarno Tech Rabo Rotary-piston machine
JPS6088094U (ja) * 1983-11-25 1985-06-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体圧縮機械
DE8408406U1 (de) * 1984-03-19 1986-02-13 Mell, Werner, 6336 Solms Verdichter (Kompressor)
JPH05172A (ja) 1991-06-21 1993-01-08 Yamatake Honeywell Co Ltd 消火設備の自動点検装置
JPH0599172A (ja) 1991-10-03 1993-04-20 Sanyo Electric Co Ltd 2気筒回転圧縮機
US5169299A (en) * 1991-10-18 1992-12-08 Tecumseh Products Company Rotary vane compressor with reduced pressure on the inner vane tips
WO1995027140A1 (en) * 1993-03-02 1995-10-12 Empresa Brasileira De Compressores S/A. - Embraco Mechanical oil pump for a variable speed hermetic compressor
AU5679801A (en) 2000-04-25 2001-11-07 Lg Electronics Inc. Compressor
KR100417584B1 (ko) * 2001-06-04 2004-02-05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압축기의 실린더 조립체
KR100414294B1 (ko) * 2001-12-28 2004-01-0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압축기의 베인 구조
JP4454318B2 (ja) * 2004-01-08 2010-04-21 三洋電機株式会社 圧縮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50833A1 (ko) * 2016-03-04 2017-09-08 황광선 원심 흡입식 하이브리드 베인 유체기계
US10876529B2 (en) 2016-03-04 2020-12-29 Kwang-Seon Hwang Centrifugal suction-type hybrid vane fluid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47714A2 (en) 2006-04-19
US20080031764A1 (en) 2008-02-07
EP1647714A3 (en) 2011-12-07
TWI363140B (en) 2012-05-01
TW200615457A (en) 2006-05-16
US7488165B2 (en) 2009-02-10
US7381040B2 (en) 2008-06-03
US20070243093A1 (en) 2007-10-18
US20060067850A1 (en)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3970B2 (en) Two-stage rotary compressor
KR20060051788A (ko) 압축기
JP4454318B2 (ja) 圧縮機
JP6134903B2 (ja) 容積型圧縮機
JP2009062820A (ja) 密閉形ロータリ圧縮機
JP2006257960A (ja) 密閉型圧縮機
JP3593083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5660151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4802855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2089805B1 (ko) 로터리 압축기 및 로터리 압축기의 제조 방법
JP2009162083A (ja) 圧縮機
JP2006132347A (ja) 圧縮機
JP2002098073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6097629A (ja) 圧縮機
JPH11182476A (ja) 流体機械
JP2005048689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5282698B2 (ja) ロータリ圧縮機
JP4573614B2 (ja) 圧縮機
JP2006125365A (ja) 圧縮機
JP2006097632A (ja) 圧縮機
JP2006097634A (ja) 圧縮機
JP2006097631A (ja) 圧縮機
JP2006132346A (ja) 圧縮機
JP2006132348A (ja) 圧縮機
KR20050097606A (ko) 회전식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