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344A - 브레이킹 스프링을 구비한 시스템 구성 요소 - Google Patents

브레이킹 스프링을 구비한 시스템 구성 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344A
KR20060047344A KR1020050033136A KR20050033136A KR20060047344A KR 20060047344 A KR20060047344 A KR 20060047344A KR 1020050033136 A KR1020050033136 A KR 1020050033136A KR 20050033136 A KR20050033136 A KR 20050033136A KR 20060047344 A KR20060047344 A KR 20060047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ckness
system component
spring
recess
flan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3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4493B1 (ko
Inventor
요켐 브라운
우베 헹니그
Original Assignee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filed Critical 그로츠-베케르트 카게
Publication of KR20060047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 F17D1/088Pipe-line systems for liquids or viscous products for solids or suspensions of solids in liquids, e.g. slur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니팅 니들(1), 일체 형 부재로써 상기 니팅 툴(1) 상에 형성된 브레이킹 스프링(15)이 제공된다. 상기 브레이킹 스프링(15)은 상기 니팅 툴(1)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W)를 가짐에 따라, 상기 브레이킹 스프링(15)이 대부분 굽혀질 수 있고 부드러운 스프링 특성을 가진다. 그러한 결과는 짧은 스프링 길이로 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치수 이탈이 상기 스프링 힘에 단지 작은 영향을 미친다. 상기 구조는 거의 조금만 오염된다. 상기 니팅 툴은 단순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니팅 니들, 생크, 플랭크, 요홈부, 통그, 요홈부, 브레이킹 스프링, 밀폐형 에지.

Description

브레이킹 스프링을 구비한 시스템 구성 요소{System component having a braking spring}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예들의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면, 명세서 또는 청구항에서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에서,
도 1은 일체 부분으로 그 위에 형성된 브레이킹 스프링(braking spring)을 구비한 니팅 니틀에 의해 구성된 시스템 구성 요소의 개략 측면도,
도 2는 다른 스케일 상의 도 1에 도시된 니팅 니들의 단편 사시도,
도 3은 선 Ⅲ-Ⅲ에 따른 도 1 및 2에 도시된 니팅 니들의 단면도,
도 4는 선 Ⅲ-Ⅲ을 따른, 도 1의 니팅 니들의 수정된 실시 예의 단면도,
도 5는 선 Ⅲ-Ⅲ을 따른, 도 1의 니팅 니들의 다른 수정된 실시 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니팅 니들에 대응하고 수정된 통그(tongue)를 구비한 니팅 니들의 단편 입면 측면도,
도 7은 도 3의 니팅 니들의 수정된 실시 예의 단면도,
도 8은 니들 그루브에 놓인 니팅 니들의 수정된 실시 예의 단편 단면의 상부 평면도,
도 9는 이완 상태(relaxed state)를 도시한 니팅 니들의 수정된 실시 예의 단편 단면 상부 평면도, 및
도 10은 설치 상태에서 도시된 도 9에 따른 니팅 니들의 단편 단면 상부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니팅 니들(knitting needle) 2: 생크(shank)
3: 생크 영역(shank region) 4: 후크(hook)
5: 래치(latch) 6: 버트(butt)
7, 8: 플랭크(flanks)
9: 상부 니들 측면(upper needle side)
11: 니들 등(needle back) 12: 니들 그루브(needle groove)
13, 14: 측면(side surfaces) 16, 16a, 16b: 요홈부(recesses)
17: 에지(edge) 18: 면 영역(surface region)
19: 절단부(cut) 21: 통그(tongue)
22: 단부(end) 23: 저면(bottom)
24: 루트(root)
A: 영역 B: 폭(width)
D: 두께 W: 벽 두께(wall thickness)
본 발명은 스티치 형성 기계(stitch-forming machine)의 니팅 시스템의 부분을 형성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system)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구성 요소는 예를 들어, 기계 니팅 니들(machine knitting needle), 선택 구성 요소(selecting component), 싱커(sinker) 등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니팅 기계들의 시스템 구성 요소들은 니들 실린더(needle cylinder)의 니들 그루브 또는 유사한 슬롯과 같은 가이드들과 같은 그루브들 내에 길이 방향으로 미끌어지듯이 안내된다. 상기 시스템 구성 요소의 길이 방향 운동은 시스템 구성 요소의 돌출부(projection, 버트(butt)로 불린다.)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는 캠(cam)과 같은 적절한 구동 장치(drive)에 의해 발생된다. 상기 버트는 상기 시스템 구성 요소의 구동된 운동(driven motion)에 대응한 형상을 갖는 대응된 그루브에 연장된다. 상기 캠과 상기 버트 사이에, 상대적으로 크고, 위치에 의존하는 틈새(clearance)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틈새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제어되지 않은 운동을 피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 구성 요소에 브레이크를 걸도록 조치가 취해진다.
독일 특허 번호 33 36 212에 개시되었듯이, 약간의 측면 벤드(lateral bend)를 구비한 틀로 찍어낸 니팅 툴(stamped-out knitting tool)을 제공하는 것이 알려져있다. 그러한 벤드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니팅 툴은, 자기의 전체 높이를 따라, 댐핑 물질(damping material)로 채워질 수 있는 함몰부(depression)을 제공한다. 상기 벤드(bend) 덕분에, 상기 니팅 툴은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플랭크(flank)에 탄성적으로 결합한다. 발생된 마찰은 축 운동(axial motions)에 브레이크를 건다.
상기 요홈부는 약한 위치가 된다. 또한, 전체 니팅 툴을 벤딩 하는 것은 후자의 잘못된 위치 설정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독일 특허, 39 21 506 C1은 니팅 툴들에 상대적으로 넓은 가이드 그루브들 내에 매우 좁은 니팅 툴들을 위치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측면 오프셋(lateral offset)이 제공되는, 스티치 형성 기계용 니팅 툴을 도시한다. 그러나 중간의 공간이 오염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레이킹 장치를 구비한 단순하고, 확실한 니팅 니들을 제공함에 있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서 한정된 시스템 구성 요소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구성 요소는 서로가 본질적으로 평행인 플랭크들을 구비한 생크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플랭크에, 요홈부가 생크와 일체 부분을 형성하는 스프링 통그가 배열된 영역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스프링 통그는 생크의 두께보다 적은 두께를 갖는다. 상기 스프링 통그는 시스템 구성 요소 상에 잡힌 단순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제조는 단순하고 확실하다. 상기 시스템 구 성 요소의 두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감소된 통그 두께 덕분에, 상기 통그는, 심지어 이것이 짧은 길이만을 가지더라도, 고도로 유연해질 수 있다. 특히, 평판 스프링(flat spring)의 특성들이 달성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좋은 공차 균등화(tolerance equalization)가 상기 시스템 구성 요소가 위치된 상기 가이드 그루브의 폭에 관한 한, 역시 제공될 수 있다. 두께가 생크의 두께에 대응하는 자유롭게 서 있는(free-standing) 스프링 통그들과 비교될 때, 플래터 스프링(flatter spring)의 특성들이 얻어질 수 있다.
시스템 구성 요소의 플랭크들은, 요구된다면, 가이드 그루브의 플랭크들에 대항하여 마주 보고 있을 수 있는 바람직하게 평면의 면들일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통그의 두께는 바람직하게 자기의 플랭크들 사이의 길이에 의해 정해진 시스템 구성 요소의 두께에 비해 현저히 작다. 이 목적을 위해, 시스템 구성 요소의 한 측에만 요홈부를 제공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러나, 상기 시스템 구성 요소의 양 측면들 또는 플랭크들 상에 요홈부들을 형성하는 것도 역시 실현 가능하고, 이 경우에 상기 요홈부들이 함께 상기 스프링 통그를 형성하기 위해 기능하는 얇은 벽 부분의 경계를 이룬다. 상기 스프링 통그는 U자 형상의 절단부의 영역에 의해 자유롭게 설치된다. 그러한 절단부의 폭은 바람직하게 상기 통그의 두께에 비해 더 크다.; 이것은 제조 이점을 가지고 상기 통그의 만족스러운 자유 운동을 제공한다.
상기 스프링 통그는 상기 요홈부로부터 안으로 또는 바깥으로 굽혀질 수 있다. 어느 경우에든, 상기 통그는 자기의 유연함을 향상시키고, 자기의 루트(root) 의 영역에서만의 자기의 굽힘 운동(bending movement)의 집중을 피하기 위해, 자기의 두께 및 자기의 높이 양자 모두에서 자기의 단부를 향해 테이퍼질 수 있다. 상기 통그 두께의 테이퍼링은 상기 스프링 끝(tip)을 향해 증가된 깊이를 갖는 상기 요홈부를 제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요홈부는 상기 요홈부가 다른 평면의 플랭크 부분에 의해 모든 측면들 상에서 둘러쌓인 것을 의미하는 밀폐형 에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요홈부는 특히 상기 니들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접근할 수 없어서, 있다고 해도, 오염 물질을 모으거나 마모(wear)되는 경향이 거의 없다.
필요하다면, 상기 에지는 먼지가 축척되는 경향이 적은 영역인 상기 니들 등(needle back)을 향해 중단될 수 있다.
도 1은 니팅 시스템에 속하고 거기에 구성 요소를 구성하는 니팅 니들(1)을 도시한다. 상기 니팅 니들(1)은 한 단부에서 더 작은 높이의 생크 영역(3)으로 변하는 생크(2)를 구비한다. 자기의 단부에서, 상기 생크 영역(3)은 후크(4)로 연장된다. 필요하다면, 선회적으로 지지된 래치(5)는 상기 후크(4)에 관련될 수 있다. 캠(cam)과 같은 구동 장치(drive)와 함께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트(6)는 상기 생크(2) 상에 형성된다. 상기 생크(2)는 직사각형의 횡단면(rectangular cross section)을 가진 편평한 부분(flat part)이다.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생크(2)는 바람직하게 도 1에서 보인 것처럼, 상부 니들 측면(9)에서 니들 등(11)에까지 연장한 두 개의 평면의 플랭크들(7, 8)을 구비한다.
브레이킹 스프링(15)은, 예를 들어 도 8에서 도시된 것처럼, 측면들(13, 14) 상에서 니팅 니들(1)이 어떤 장애물을 갖고 축 방향에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그런 방법으로, 니들 그루브(12) 내에서 니팅 니들(1)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생크(2) 상에서 형성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예를 들어, 상기 생크 영역(3) 내의 상기 생크(2)의 적절한 위치에서, 또는 상기 버트(6)의 주변 내의 다른 위치에서 또는 바로 직접적으로 상기 버트(6) 아래에서, 아치형(arcuate)의 또는 바람직하게 평면의 저면을 갖는 편평한 함몰부(depression)가 있는 적어도 하나의 요홈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요홈부(16)는 밀폐형 에지(17)에 의해 둘러 쌓이고, 그에 의해 상기 요홈부(16)는 상부 니들 측면(9) 및 상부 니들 등(11)쪽으로 뿐만 아니라 축방향으로 전방, 후방으로 밀폐된 형상이 된다. 상기 에지(17)는 상기 플랭크(8)의 면 영역(18)에 의해 모든 둘레로 제한되고, 그에 따라, 면 영역(18)이 상기 에지(17)에 대하여 밀폐된 링(closed ring)을 형성한다.
상기 요홈부(16)는 특히 도 3에서 잘 도시된 것 처럼, 상기 플랭크(8)에서 함몰부를 형성한다. 상기 함몰부의 영역에서 존재하는 벽 두께 W는 상기 플랭크들(7, 8) 사이에서 측정된 축(2)의 두께 D보다 현저하게 작다. U자 형상의 절단부는 예를 들어, 도 1 에서 도시된 것처럼, 두께가 벽 두께 W에 대응하는 통그(21)를 구성하기 위해 브레이킹 스프링(15)을 자유롭게 설치한다. 상기 통그(21)는 한 면의 상기 플랭크(7)로부터 약간 굽혀지고, 자기의 자유 단부(22)는 외부로 벌징(bulging)되거나 라운드질 수 있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절단부(19)는 일반적으로 사각형일 수 있다; 자기의 폭 B는 바람직하게 벽 두께 W보다 커서, 상기 통그(21)는 상기 함몰부(16)의 저면을 둘러싸는 물질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자유롭게 설치된다. 이런 방식으로, 마찰, 먼지 등에 의한 상기 통그(21)의 운동에 대한 간섭(interference)은 피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상기 니팅 니들(1)은 도 8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기 니들 그루브(12) 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12)는 그 크기가 너무 좁아서, 상기 통그(21), 즉 상기 브레이킹 스프링(15)은 한 측면(13) 상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그에 따라 상기 니팅 니들(1)이 상기 직면하는 측면(14)에 대해 압축된다. 상기 니팅 니들(1)의 길이 방향 운동을 약간 방해하는 마찰이 발생된다. 상기 통그(21)는, 자기의 작은 두께 때문에, 상대적으로 큰 크기에 비해 유연할 수 있고, 크게 스프링 하는 진폭(amplitude)을 갖는다. 상기 요홈부(16) 및 상기 통그(21)를 형성하기 위해 요구된 면은 상대적으로 작고 자기의 안정성에 관해 본질적으로 약한 부분의 생크(2)는 없다. 필요하다면, 몇 개의 그런 요홈부들(16) 및 통그들(21)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니팅 니들(1)의 수정된 실시 예를 도시한다. 앞선 설명을 전체적으로 참조할 수 있는 반면, 상기 통그(21)가 요홈부(16)로부터 더 멀리 떨어지기 보다, 상기 요홈부(16)를 통과해 상기 플랭크 8의 방향으로 굽혀지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이 실시 예에서도 역시, 상기 단부(22)는 라운드 된다.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양자에서 상기 요홈부(16)는 평면이고, 상기 플랭크(8)와 필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 저면(23)을 갖는 반면, 도 5는 상기 저면(23)이 상기 니팅 니들(1)의 길이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향해져, 따라서 상기 플랭크들(7, 8)에 대해 예각으로 향한 상기 니팅 니들(1)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이 배치 덕분에, 상기 통그(21)의 벽 두께 W가 자신의 시작부 즉, 자기의 루트(24)에서부터 자기의 단부(11)까지 테이퍼진다. 이 특징은, 게다가 특히 작은 치수를 가질 수 있는 특히 유연한 브레이킹 스프링(15)을 제공한다. 상기 통그(21)의 윤곽은 사각형일 수 있고, 이전에 설명한 실시 예와 유사할 수 있다.
모든 이전에 설명한 실시 예에서, 사각형의 통그 윤곽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상기 통그(21)의 두께가 도 3 또는 4에서와 같이 일정할 수 있거나 또는 도 5에서처럼 테이퍼질 수 있는 경우의 실시 예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통그(21)는 사다리꼴 윤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단부(19)는 거의 V 형상이 된다. 상기 통그(21)는 에지 내의 자기의 단부(22)에서, 라운딩이나 포인트로 끝을 이룰 수 있다. 자기의 단부(22)를 향해 상기 통그(21)의 단일의 또는 이중의 테이퍼링 덕분에, 상기 통그(21)에 대한 특히 좋은 굽힘 성능(yielding property)이 달성될 수 있다.
도 7은 양 플랭크들(7, 8)내의 요홈부들(16a, 16b)이 제공되는 상기 니팅 니들(1)의 수정된 실시 예를 도시한다. 상기 요홈부들(16a, 16b)은 동일한 크기 및 깊이일 수 있고, 도 3 및 4에서 도시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일정한 깊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요홈부 16a 또는 16b 중 어느 하나든, 각각의 다른 요홈부와 다른 크기 또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하나 또는 두개의 요홈부(16a, 16b)는 도 5와 유사하게 쐐기 형상(wedge shape)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그(21)는 도시된 것처럼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또는 자기의 단부(22)를 향해 테이퍼링 되는 쐐기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생크(2) 상에 같은 플랭크 7 또는 8을 향해 굽혀지거나 다른 플랭크들을 향해 굽혀진 여러 개의 통그(21)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통그들은 하나의, 공통의 요홈부에서 또는 분리된 요홈부들 내에서 배열될 수 있고, 사각형이거나,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일 수 있다.
도 9는 니팅 니들(1)의 다른 수정된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 앞선 설명을 완전히 그대로 참조하지만, 차이점은 상기 통그(21)가 상기 플랭크(7)를 넘어 요홈부(16)에서 바깥으로 최초로 굽혀지고, 벤드(bend)의 최정점에 도달한 후 상기 요홈부(16) 안으로 굽혀져, 자기의 라운딩된 단부(22)가 상기 요홈부(16)의 영역에 위치된다는 점에 있다.
설치 상태(도 10)에서, 상기 브레이킹 스프링(15)은 자기의 단부(22)로 상기 측면 14 및 자기의 중간 부분(A)으로 상기 니들 그루브(12)의 상기 측면 13에 접한다. 이러한 방식에서, 상기 니팅 니들(1)이 상기 브레이킹 스프링(15)의 영역내에 상기 니들 그루브(12)에 거의 중심으로 안내되고, 상기 니들 그루브(12)의 측면들(13, 14)에 의해 상기 브레이킹 스프링(15)으로 양방향으로 지지된다. 상기 니팅 니들(1)의 통그(21)의 단부(22)는 상기 니들 그루브(12)의 측면 14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측면 14는 상기 브레이킹 스프링이 연결된 상기 플랭크 7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다.
니팅 니들(1), 일체 형 부재로써 상기 니팅 툴(1) 상에 형성된 브레이킹 스 프링(15)이 제공된다. 상기 브레이킹 스프링(15)은 상기 니팅 툴(1)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W)를 가짐에 따라, 상기 브레이킹 스프링(15)이 대부분 굽혀질 수 있고 부드러운 스프링 특성을 가진다. 그러한 결과는 짧은 스프링 길이로 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스프링의 치수 이탈이 상기 스프링 힘에 단지 작은 영향을 미친다. 상기 구조는 거의 조금만 오염된다. 상기 니팅 툴은 단순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Claims (14)

  1.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한 두 개의 플랭크(7, 8)를 구비한 생크(2),
    상기 플랭크들(7, 8)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요홈부(16), 및
    상기 요홈부(16)의 영역내에서 상기 생크(2) 상에 형성된 탄성 통그(2)로; 상기 통그(21)는 상기 생크(2)의 일체 부분이고, 상기 플랭크들(7, 8)의 하나를 넘어서 돌출된 통그(2)를 포함하는, 스티치 형성 기계의 니팅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요소(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랭크들(7, 8)은 평면의 면들이고, 상기 시스템 구성 요소(1)의 두께(D)를 정하는 거리(distance)를 서로로부터 가지고, 상기 탄성 통그(21)는 상기 시스템 구성 요소(1)의 두께(D)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통그(21)는 U자 형상의 절단부(19)에 의해 자유롭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9)는 적어도 상기 통그(21)의 두께(W)만큼 큰 폭(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그(21)는 상기 요홈부(16)에서 바깥으로 굽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그(21)는 상기 요홈부(16) 안으로 굽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그(21)는 일정한 두께(W)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그(21)는 자기의 자유 단부(22)를 향해 자기의 두께(W)가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그(21)는 자기의 자유 단부(22)를 향해 자기의 높이가 테이퍼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그(21)는 라운드진 단부(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16)는 일정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16)는 상기 통그(21)의 자유 단부를 향하여 증가하는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는 밀폐형 에지(1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14.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구성 요소(1)가 기계 니팅 니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구성 요소.
KR1020050033136A 2004-04-21 2005-04-21 브레이킹 스프링을 구비한 시스템 구성 요소 KR100684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009397.3 2004-04-21
EP04009397A EP1589136B1 (de) 2004-04-21 2004-04-21 Systemteil mit Bremsfe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344A true KR20060047344A (ko) 2006-05-18
KR100684493B1 KR100684493B1 (ko) 2007-02-22

Family

ID=34924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3136A KR100684493B1 (ko) 2004-04-21 2005-04-21 브레이킹 스프링을 구비한 시스템 구성 요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17694B2 (ko)
EP (1) EP1589136B1 (ko)
JP (1) JP4124472B2 (ko)
KR (1) KR100684493B1 (ko)
CN (1) CN100436687C (ko)
DE (1) DE50200400383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45384B1 (de) * 2007-10-02 2012-08-22 Groz-Beckert KG Wirknadel
US8671658B2 (en) 2007-10-23 2014-03-18 Ener-Core Power, Inc. Oxidizing fuel
US8393160B2 (en) 2007-10-23 2013-03-12 Flex Power Generation, Inc. Managing leaks in a gas turbine system
US8701413B2 (en) 2008-12-08 2014-04-22 Ener-Core Power, Inc. Oxidizing fuel in multiple operating modes
US8621869B2 (en) 2009-05-01 2014-01-07 Ener-Core Power, Inc. Heating a reaction chamber
US8893468B2 (en) 2010-03-15 2014-11-25 Ener-Core Power, Inc. Processing fuel and water
DE102010056426B4 (de) * 2010-12-28 2014-05-15 H. Stoll Gmbh & Co. Kg Strickmaschine
US9057028B2 (en) 2011-05-25 2015-06-16 Ener-Core Power, Inc. Gasifier power plant and management of wastes
US9279364B2 (en) 2011-11-04 2016-03-08 Ener-Core Power, Inc. Multi-combustor turbine
US9273606B2 (en) 2011-11-04 2016-03-01 Ener-Core Power, Inc. Controls for multi-combustor turbine
US9359947B2 (en) 2012-03-09 2016-06-07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with heat control
US8980192B2 (en) 2012-03-09 2015-03-17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below flameout temperature
US9353946B2 (en) 2012-03-09 2016-05-31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with heat transfer
US8807989B2 (en) 2012-03-09 2014-08-19 Ener-Core Power, Inc. Staged gradual oxidation
US8671917B2 (en) 2012-03-09 2014-03-18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with reciprocating engine
US8844473B2 (en) 2012-03-09 2014-09-30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with reciprocating engine
US8926917B2 (en) 2012-03-09 2015-01-06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with adiabatic temperature above flameout temperature
US9381484B2 (en) 2012-03-09 2016-07-05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with adiabatic temperature above flameout temperature
US9017618B2 (en) 2012-03-09 2015-04-28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with heat exchange media
US9267432B2 (en) 2012-03-09 2016-02-23 Ener-Core Power, Inc. Staged gradual oxidation
US9206980B2 (en) 2012-03-09 2015-12-08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and autoignition temperature controls
US9234660B2 (en) 2012-03-09 2016-01-12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with heat transfer
US9371993B2 (en) 2012-03-09 2016-06-21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below flameout temperature
US9328916B2 (en) 2012-03-09 2016-05-03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with heat control
US9534780B2 (en) 2012-03-09 2017-01-03 Ener-Core Power, Inc. Hybrid gradual oxidation
US9726374B2 (en) 2012-03-09 2017-08-08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with flue gas
US9567903B2 (en) 2012-03-09 2017-02-14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with heat transfer
US9273608B2 (en) 2012-03-09 2016-03-01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and autoignition temperature controls
US9359948B2 (en) 2012-03-09 2016-06-07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with heat control
US9347664B2 (en) 2012-03-09 2016-05-24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with heat control
US9328660B2 (en) 2012-03-09 2016-05-03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and multiple flow paths
US8980193B2 (en) 2012-03-09 2015-03-17 Ener-Core Power, Inc. Gradual oxidation and multiple flow path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682A (en) * 1914-08-31 1916-04-11 Scott & Williams Inc Knitting-machine needle.
US2004617A (en) * 1934-05-12 1935-06-11 Franklin Needle Company Jack for knitting machine needles
US2024911A (en) * 1935-09-04 1935-12-17 Crawford Mfg Company Jack for knitting machines
US2592787A (en) * 1951-06-18 1952-04-15 Herman A Blickle Spring jack for knitting machine needles
DE2043566A1 (de) * 1969-09-03 1971-04-08 Kohorn, Alfred Oswald, New York, NY (VStA) Nadel fur mit hoher Geschwindigkeit arbeitende Rundstrickmaschinen
DE2315836A1 (de) * 1972-09-08 1974-03-14 Alfred Oswald Kohorn Strickmaschinennadel
US4089192A (en) * 1976-04-30 1978-05-16 Kohorn Alfred O Knitting machine needles with improved cut-off and spring location
US4068500A (en) * 1976-05-13 1978-01-17 Kohorn Alfred O Knitting machine needle with front and back cut-outs and spring
DE3336212C1 (de) 1983-10-05 1985-01-03 Theodor Groz & Söhne & Ernst Beckert Nadelfabrik KG, 7470 Albstadt Gestanztes Strickwerkzeug fuer maschenbildende Textilmaschinen
DE3921506C1 (ko) 1989-06-30 1990-08-09 Theodor Groz & Soehne & Ernst Beckert Nadelfabrik Kg, 7470 Albstadt, De
DE10148196C1 (de) 2001-09-28 2003-04-03 Groz Beckert Kg Systemteil
DE10227533C1 (de) * 2002-06-20 2003-12-11 Groz Beckert Kg Nadel mit Umhängef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4493B1 (ko) 2007-02-22
US7117694B2 (en) 2006-10-10
EP1589136A1 (de) 2005-10-26
US20050235700A1 (en) 2005-10-27
CN1690284A (zh) 2005-11-02
CN100436687C (zh) 2008-11-26
EP1589136B1 (de) 2007-05-16
JP2005307425A (ja) 2005-11-04
JP4124472B2 (ja) 2008-07-23
DE502004003833D1 (de) 200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7344A (ko) 브레이킹 스프링을 구비한 시스템 구성 요소
US7717049B2 (en) Gripper for a tufting machine
JP4125324B2 (ja) 切断針
KR100852230B1 (ko) 편물기의 바
JP6621417B2 (ja) 編み機のための編み工具
JP2007197894A (ja) 経編機の編成エレメント及び編機バー
US7334436B2 (en) Component for a knitting system
KR860001067B1 (ko) 편기용 부재
KR101248050B1 (ko) 내장형 중심 스트립을 갖는 슬라이더 니들
KR102469394B1 (ko) 터프팅 기계를 위한 그리퍼
JP6059856B2 (ja) 改良されたスライダを有するスライダ針
US7836729B2 (en) Transfer needle with internal spring tip
KR101083982B1 (ko) 래치 니들
US20180347672A1 (en) Chain guide
US5097683A (en) Tool for stitch forming machines, particularly knitting machines
JP2009161870A (ja) 横編機
US5609045A (en) Latch needle for knitting machines
JP7334981B2 (ja) フェルト針
TWI839359B (zh) 制動編織元件移動的制動元件、編織元件、編織元件載體、編織裝置及編織裝置的模組系統
JP7341752B2 (ja) 編み機工具、特に編み機針
TW202006206A (zh) 制動編織元件移動的制動元件、編織元件、編織元件載體、編織裝置及編織裝置的模組系統
JP2013060690A (ja) 編成部材のかしめ構造
KR20240012419A (ko) 편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싱커, 편직 디바이스 및 편직 방법
JPWO2019230450A5 (ko)
KR101296781B1 (ko) 횡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