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577A -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577A
KR20060045577A KR1020050029045A KR20050029045A KR20060045577A KR 20060045577 A KR20060045577 A KR 20060045577A KR 1020050029045 A KR1020050029045 A KR 1020050029045A KR 20050029045 A KR20050029045 A KR 20050029045A KR 20060045577 A KR20060045577 A KR 20060045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ens
holder
output shaft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0892B1 (ko
Inventor
다카시 고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5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4Bodies collapsible, foldable or extensible, e.g. book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005Hoses, i.e. flexi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렌즈경통은 베이스와, 베이스에 설치된 경통과, 경통에 설치되고,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광축방향으로 렌즈를 이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력을 공급하는 렌즈이동기구와, 베이스에 설치되고, 렌즈이동기구에 회전구동력을 공급하고, 출력축을 가지는 모터와, 출력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와 서로 맞물려 렌즈이동기구에 모터의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기어열을 포함하는 렌즈구동기구와, 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기구를 포함한다.
검출기구는 출력축에 설치되어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감지판과, 감지판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고, 기어열에 포함된 기어들 중에 구동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제 1기어는 베이스의 측면에 캔틸레버 지지방식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Lens barrel structure and image captur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렌즈경통의 외관도이다.
도 4는 경통의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경통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경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렌즈구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렌즈구동기구에서 덮개판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렌즈구동기구에서 덮개판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렌즈구동기구에서 덮개판과 홀더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렌즈구동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디지털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촬상장치는 경통에 장착된 렌즈와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소자를 포함하는 촬상광학계를 구비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술한 형태의 렌즈경통은 렌즈이동기구와 렌즈구동기구를 가진다.
렌즈이동기구는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력이 공급되어 있다. 렌즈구동기구는 렌즈이동기구로 회전구동력을 공급한다.
렌즈 구동기구는, 출력축을 가지는 모터와 출력축으로 설치된 구동기어에 서로 맞물려 모터의 동력을 렌즈 이동 기구에 공급하는 기어열을 포함하고 있다.
 렌즈 이동 기구를 제어할 경우에, 예를 들면, 모터의 회전량과 회전방향을 감지하기 위해 감지가 실행된다.
이 감지는, 예를 들면, 모터의 출력축이나 기어열을 구성하는 회전축에 설치된 감지판과 이 감지판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이용해 행해지고 있다. 이 경우에, 소형화를 시도하고자 할 때 감지판과 기어열 사이에 간섭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 경우에 감지판의 지지축과 기어열(예를 들면, 일본무심사 특허공보NO.2002-318338)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기어는 한 출력축에 설치되어 있고, 감지판은 다른 출력축에 설치되어있다.
부가하여, 종래기술구조로서, 기어열의 기어들은 사실상 여러 상황에서 양측(both side)지지방식으로 지지되어 있고, 구동 기어에 서로 맞물리는 전용의 회 전 검출용 기어를 새롭게 설치해 이 회전 검출용 기어와 일체로 회전가능한 감지판을 설치하여 감지판과 기어열(예를 들면, 일본무심사 특허공보NO.2001-194574참고)의 지지축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된 구성 중 어느 하나에서는 감지판용 점유공간이 확보되어야하기 때문에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추가로, 후자의 구성에서 모터회전을 검출하기 위해 회전검출기어가 설치될 필요가 있으므로, 예를 들면, 부품수의 감소와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편리하지 못했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구성되어 있고, 부품수의 감소와 소형화를 실행하는데 유리한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설치된 경통과, 경통에 설치되고,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광축방향으로 렌즈를 이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력을 공급하는 렌즈이동기구와, 베이스에 설치되고, 렌즈이동기구에 회전구동력을 공급하고, 출력축을 가지는 모터와, 출력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와 서로 맞물려 렌즈이동기구에 모터의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기어열을 포함하는 렌즈구동기구와, 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기구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경통에 관한 것이다.
검출기구는 출력축에 설치되어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감지판과, 감지판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한다. 기어열에 포함된 기어들 중에 구동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제 1기어는 베이스의 측면에 캔틸레버(cantilever) 지지방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촬상장치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경통과, 렌즈에 의해 이끌린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소자를 포함한다.
렌즈경통은, 베이스와, 베이스에 설치된 경통과, 경통에 설치되고,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광축방향으로 렌즈를 이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력을 공급하는 렌즈이동기구와, 베이스에 설치되고, 렌즈이동기구에 회전구동력을 공급하고, 출력축을 가지는 모터와, 출력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와 서로 맞물려 렌즈이동기구에 모터의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기어열을 포함하는 렌즈구동기구와, 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기구를 포함한다.
검출기구는 출력축에 설치되어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감지판과, 감지판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한다. 기어열에 포함된 기어들 중에 상기 구동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제 1기어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캔틸레버 지지방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특징, 장점은 다음 명세서로부터 더욱 상세하게 나타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설명하는 제 1실시예에 따르면 촬상장치(100)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이고, 외관을 구성하는 외부 하우징(102)을 가지고 있다.
렌즈경통(1A)(더욱 상세하게 도 3에 도시)는 하우징(102)의 우측부분에 장착되어있고, 경통(1)은 전면의 우측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섬광을 발생하는 플래시부(106)와 광뷰파인터(107)(도 3에 도시)의 대물렌즈(108)와 같은 요소들이 전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셔터버튼(110)은 외부하우징(102)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전원 on/off, 촬상모드, 재생모드의 전환 등 다양한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스위치(112), 광뷰파인터의 접안창(미도시)과 디스플레이(114)와 같은 요소들은 외부 하우징(102)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장치(100)는 예를 들면, 촬영광소자(104)에 의해 형성된 피사체상를 촬상하는 경통(1)의 후단부에 배치된 CCD(charge-coupled device)와 CMOS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촬상소자(116)에 국한되지 않고, 촬상소자(116)로부터 출력되는 촬상신호에 따라 화상데이터를 발생하고 메모리카드와 같은 기억매체(118)로 화상데이터를 기록시키는 화상처리부(120)와,
화상데이터를 디스플레이(114)에 표시되게 하는 표시처리장치(122)와,
후술하는 렌즈구동기구(10)의 구동제어를 실행하는 구동부(124)와, 렌즈구동기구(10)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모터의 회전방향과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기구(17)와, 예를 들면, 조작스위치(112) 또는 셔터버튼(110)의 조작에 응답하는 화상 처리부(120), 표시처리부(122)와 구동부(124)를 제어하는 제어부(12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렌즈경통(1A)의 전체 구성은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도 3은 렌즈경통(1A)의 외관도이다. 도 4는 경통(1)의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를 각각 나타내는 도 4a, 4b와 4c를 포함한다. 더욱 자세하게, 도 4a는 미사용시에 렌즈가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경통(1)의 접거나 수축상태(" 수축상태")이고, 도 4b는 광각상태(wide angle state)를 나타내고, 도 c는 망원상태(telephoto state)이다.
도 5는 경통(1)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내는 도 5a, 5b와 5c를 포함한다. 더욱 자세하게, 도 5a는 경통(1)의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광각상태, 도 5c는 망원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경통(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렌즈경통(1A)은 외부 하우징(102)에 장착되는 베이스(8)와, 촬상광학계(104)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수축가능한 경통(1)을 포함한다.
경통(1)내부에 렌즈이동기구는 렌즈를 광축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고, 렌즈를 이동하기 위해 회전구동력을 공급하게 된다. 렌즈이동기구로 회전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렌즈구동기구(10)는 베이스(8)에 설치되어 있다.
경통(1)은 외부 하우징(102)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연장)하는 사용위치(광각상태위치, 망원상태위치 또는, 광각상태위치와 망원상태위치 사이의 중간위치)와 외부하우징(102)의 저면에 수용된 수용위치(수축위치)사이에 돌출(연장)하고 수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경통(1)은 광시스템으로 3군 구성을 가진다. 더욱 자세하게, 피사체측이 전측이고 촬상소자(116)측은 경통(1)의 광축방향에 대응하여 후축이다. 경통(1)을 구성하는 3군은 제 1군, 제 2군, 제 3군으로 구성되며 전측에서 후측의 순서로 배치된다.
경통(1)은 제 1군과 제 2군은 소정의 곡선을 따라 광축방향으로 구동되며, 제 3군은 광축방향으로 소량의 변위를 하게 되는 방식으로 포커싱을 실행한다. 더욱 자세하게, 초점거리는 제 1군과 제 2군의 변위에 따라서 변화한다.
초점위치변동으로 생기는 초점위치오프셋은 포커싱을 얻기 위해 제 3군의 변위에 따라서 교정된다.
도 5와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군 렌즈프레임(2)은 캠 실린더(4)의 캠그루브(4b)와 함께 결합되어 있는 3개(복수)의 캠핀(2a)과 제 1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가 삽입되고 결합되는 복수의 렌즈룸(2b)과, 수용시기 또는 수축상태에서 전면렌즈을 돌출하는 배리어기구부(2c)를 포함한다.
제 2군 렌즈프레임(3)은 캠 실린더(4)의 캠그루브(4c)와 함께 결합되어 있는 3개(복수)의 캠핀(3a)과 제 2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렌즈가 삽입되고 결합되는 복수의 렌즈룸(3b)을 포함한다. 제 2군 렌즈프레임(3)은 홍채 셔터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캠실린더(4)는 고정된 실린더(6)의 내주면에서 캠실린더(4)를 회전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기어부(4a)와, 캠핀과 함께 연동되는 3개(복수)의 캠그루브(4b)와, 제 2군 렌즈프레임(3)의 캠핀(3a)과 함께 연동되는 3개(복수)의 그루브(4c)와, 고 정된 실린더(6)의 캠그루브(6a)와 함게 연동되는 3개(복수)의 캠핀(4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렌즈구동기구(10)으로 부터 회전구동력이 기어부(4a)로 공급된다.
캠그루브 4b와 캠그루브 4 c는, 1군 및 2군을 소정의 커브에 따라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밍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다.
선형안내실린더(linear-guide cylinder)(5)는 광축방향으로 고정된 실린더(6)의 내부벽을 따라 캠실린더(4)와 함께 일체로 이동하는 부재이다. 선형안내실린더(5)는 광축방향으로 제 1군 렌즈프레임(2)을 안내하는 안내그루브(5a)와 제 2군 렌즈프레임(3)내에 제 2군 렌즈프레임(3)를 안내하는 안내그루브(5b)를 포함한다.
고정된 실린더(6)는 베이스(8)에 장착된 부재이며, 캠실린더(4)의 캠핀(4d)과 함께 연동하는 3개(복수)의 캠그루브(6a)를 포함한다.
3군 렌즈프레임(7)은 3군을 구성하는 렌즈(71)를 삽입하고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렌즈룸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있어서, 가동렌즈(미도시)는 안내기구(미도시)에 의해 베이스(8)에 대해서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서 광축 방향으로 안내되고 있고, 가동렌즈는 구동 기구에 의해서 광축 방향으로 소량 변위되어 있다. 안내기구와 구동기구는 본 발명의 요지에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것은 아니므로 그 기술을 생략한다.
고정실린더(6)는 베이스(8)에 위치하고 고정된다.
베이스(8)는 예를 들면, 광 로우패스 컷 필터(optical lowpass cut filter)와 적외 컷 필터(infrared cut filter)(미도시)와 같은 광필터(미도시)를 삽입, 위치,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추가하여, 베이스(8)는 경통으로 먼지와 같은 것들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광필터(미도시)를 탄성 가세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 고무(미도시)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촬상소자(116)는 고정밀도로 베이스(8)에 위치하여 고정되어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렌즈이동기구는 제 1군 렌즈프레임(2), 제 2군 렌즈프레임(3), 캠실린더(4), 선형안내실린더(5)와 고정된 실린더(6)로 구성되어있다.
부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군 렌즈프레임(2), 제 2군 렌즈프레임(3), 캠실린더(4), 선형안내실린더(5), 고정된 실린더(6), 제 3군 렌즈프레임(7)과 베이스(8)는 예를 들면, 강도 및 경량차폐특성과 대량생산성을 가지도록 유리섬유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블랙)등의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있다.
연장/수축조작과 줌밍조작은 경통(1)의 기어부(4a)로 렌즈구동기구의 회전구동력의 공급에 응답하여 실행된다.
경동(1)의 조작은 아래에 기술될 것이다.
수축상태와 광각상태위치사이의 범위에서의 조작은 렌즈구동기구(10)로부터 캠실리더(4)로 구동력을 공급하므로서, 캠핀(4d)은 고정된 실린더(6)의 캠그루브(6a)를 따라 회전하는 동안 광축방향에서 피사체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선형안 내실린더(5)는 캠실린더(4)(도 5에 화살표A참고)와 함께 일체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 제 1군 렌즈프레임(2)은 캠핀(2a)가 소정의 곡선(도 5에 화살표B참고)에 따라 안내그루브(5a)와 캠그루브(4b)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구동된다. 이때 제 2군 렌즈프레임(2)은 캠핀(3a)가 소정의 곡선(도 5에 화살표C참고)에 따라 안내그루브(5b)와 캠그루브(4c)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구동된다. 위와 같이, 제 1군과 제 2군은 광학적으로 광각위치로 설정되는 소정의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광각과 망원위치사이의 범위에서 조작시에 캠실린더(4)는 렌즈구동기구(10)에 의해 구동력이 기어부(4a)로 공급됨으로써 구동된다. 그러나, 캠그루브(6a)는 캠실린더(4)를 광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범위로 구동되지 않도록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선형안내실린더(5)도 광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도 5 화살표D참고).
이 경우에, 제 1군 렌즈프레임(2)은 캠핀(2a)가 소정의 곡선(도 5에 화살표E참고)에 따라 안내그루브(5a)와 캠그루브(4b)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구동된다. 이때 제 2군 렌즈프레임(2)은 캠핀(3a)가 소정의 곡선(도 5에 화살표F참고)에 따라 안내그루브(5b)와 캠그루브(4c)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구동된다. 위와 같이, 제 1군과 제 2군은 소정의 곡선을 따라 광학적으로 이동되고, 광각과 망원위치사이의 범위로 광학적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줌밍조작이 실행된다.
망원 →광각 →수축상태는 캠실린더(4)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렌즈구동기구(10)가 상기 조작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는 방식으로 설정되어있다. 렌즈구동기구(10)에 의해 캠실린더(4)의 구동에 따라서, 경통(1)이 수축조작과 줌 밍조작을 실행한다.
이런 조작과 별개로, 가동랜즈(미도시)는 포커싱조작(도 5 화살표G참고)을 실행하기 위해 구동기구에 의해 광축방향으로 소량 변위된다.
렌즈구동기구(10)의 구성은 지금 아래에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렌즈구동기구(10)는 회전구동력을 기어부(4a)로 공급하며, 모더(12), 구동기어(14)와 기어열(16)을 포함한다.
검출기구(17)는 모더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을 검출하며, 감지판(18)과 검출기(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22)는 베이스(8)의 우측부에 장착되어있다. 모터(12), 구동기어(14), 기어열(16), 감지판(18)과 검출기(20)는 홀더(22)에 수용되어 있고 덮개판(24)에 의해 밀폐되어있다.
모터(12)는 홀더(22)에 의해 유지되는 하우징(1202)과 하우징(1202)의 일측 끝단에서 연장(돌출)하는 출력축(120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출력축(1204)은 경통(1)과 광축방향으로 평행한 방향 즉, 촬상장치(100)의 전,후방향(또는 교차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구동기어(14)는 상부방향에서 출력축(1204)의 중간위치에 설치되어있고, 감지판(18)은 출력축(1204)의 끝단(전면끝단)에 설치되어 있다.
감지판(18)은 원주방향으로 서로 간격이 떨어져 공간을 가진 3개의 블레이드(blades)로 구성되어있다.
검출기(20)는 각각 감지광을 주사하는 광주사부와 감지광을 수신하는 광수신 부로 구성되어있고, 감지판(18)이 광주사부와 광수신부사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2개의 검출기(20)가 설치되어있고, 각각 홀더(22)에 장착되어있다. 출력축(1204)은 모터(12)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고, 감지판(18)은 각각의 검출기(20)의 광주사부와 광수신부사이를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검출기(20)는 감지판(18)의 각각의 블레이드 이동에 대응하는 감지신호를 각각 생성한다.
제어부(126)는 감지신호에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와 회전방향의 검출을 실행하고, 검출결과에 따라 구동부(124)를 통해 모터(12)의 회전제어를 실행한다.
기어열(16)은 캠실린더(4)의 기어부(4a)로 모터(12)의 회전구동력을 전달하고, 구동기어(14)와 함께 맞물리기 위한 제 1기어(16A), 기어부(4a)와 함께 맞물리기 위한 파이널기어(16H)와 기어부(4a)와 파이널기어(16H)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기어(1601)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 1기어(16A)는 캔틸레버 지지형식으로 홀더(22)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축(1602)상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있다.
도 8에서 도 11까지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감지판(18)의 실고무(미도시)는 지지축(1602)의 실고무(미도시)에 대항하는 위치로 감지판(18)은 제 1기어(16A)의 실고무(미도시)내에 위치되어있다.
더욱 자세하게, 실고무(미도시), 출력축(1204)에서 볼때 감지판(18)의 윤곽과 제 1기어(16A)의 윤곽은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어 있고, 감지판(18)의 윤곽은 제 1기어(16A)의 축중심과 중첩되어있다.
실고무(미도시)는 더욱 상세하게, 제 1기어(16A)의 실고무부(미도시)내에 위 치되는 감지판(18)의 이동곡선과 외주부의 이동곡선부은 지지축(1602)의 실고무(미도시)에 대향한다. 다른 말로, 출력축(1204)의 실고무(미도시)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지판(18)의 이동곡선은 부분적으로 제 1기어(16A)의 윤곽과 중첩되고, 감지판(18)의 이동곡선은 제 1기어(16A)의 축중심과 중첩되어있다.
파이널기어(16H)는 내측(양측)지지방식으로 홀더(22)와 덮개판(24)에 의해 지지된 지지축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2개의 지지축(1604)와 지지축(1606)은 제 1기어(16A)의 지지축(1602)과 파이널기어(16H)의 지지축(1608)사이에 배치되어있다. 이와 같이, 파이널기어(16H)의 지지축(1608)과 2개의 지지축(1604, 1608), 즉, 모두 3개의 지지축(1608, 1604와 1606)이 양측면에 의해 서로 각각 지지되어있고, 기어(1601)는 2개의 지지축(1604, 1606)상에 배치되어있다.
2개의 지지축(1604, 1606)중에 지지축(1606)상에 는 파이널기어(16H), 제 5기어(16E), 제 6기어(16F)의 지지축(1608)이 더 가까이 위치되고, 제 7기어(16G)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 2기어(16B)의 대직경기어부는 제 1기어(16A)와 맞물리고, 제5기어(16E)의 대직경기어부는 제 2기어(16B)의 소직경기어부와 함께 맞물리고, 제 3기어(16C)의 대직경기어부는 제 5기어(16E)의 소직경기어부와 맞물리고, 제 6기어(16F)의 대직경기어부는 제 3기어(16C)의 소직경기어부와 맞물리고, 제 4기어(16D)의 대직경기어부는 제 6기어(16F)의 소직경기어부와 맞물리고, 제 3기어(16C)의 대직경기어부는 제 5기어(16E)의 소직경기어부와 맞물리고, 파이널기어(16H)는 제 7기어(16G)의 소직경기어부와 맞물린다.
따라서, 모터(12)의 회전구동력이 제 2에서 제 7기어(16B-16G)와 제 1기어(16A)로부터 파이널기어(16H)통해 제 1기어(16A)에서 기어부(4a)까지 전달되고, 모터의 회전속도는 상기 기술한 7단계를 통해 감소되게 된다.
기어열(16)에서의 기어비율은 수축 →광각 →망원범위와 망원 →광각 →수축범위 전과정이 충분히 얻어질 수 있는 구동력으로 선택될 수 있다.
구동기어(14)와 제 1기어(16A)사이에서 조작하는 동안 발생되는 소음을 감소하기 위해 제 1기어(16A)의 마찰계수는 마이너스 값-0.3 미만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0.05미만에서 -0.2이상이고, 아직까지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0.08미만에서 -0.1이상으로 설정된다.
강도는 제 1기어(16A)의 축마찰계수가 마이너스 값으로 설정될 때 감소된다.그러나, 제 1기어(16A)는 구동기어(14)와 함께 맞물리는 초단 기어이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제 1기어(16A)상에 가해지는 하중이 낮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22)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있다.
모터(12)의 회전구동 하는 동안 제 1기어(16A)의 지지축(1602)에 가해지는 하중은 제 1기어(16A)의 지지축(1602)이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낮다.
부가하여, 모터(12)의 회전하는 동안 3개의 지지축(1608, 1604, 1606)상에 작용하는 하중들 중 지지축(1606)의 하중이 지지축(1602)상에 작용하는 하중보다 더 크다. 이와 같이, 3개의 지지축(1608, 1604, 1606)은 각각 금속으로 형성되어있으며, 내측(양측)지지방식으로 홀더(22)와 덮개판(24)의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판(18)은 모더(12)의 출력축(1204)에 장착되어 있고, 출력축(1204)의 구동기어(14)와 함께 맞물리는 제 1기어(16A)는 홀더(22)에 의해 캔틸레버지지방식으로 지지되어있다. 이와 같이, 감지판(18)은 종래기술구조와는 다르게, 구동기어(14)의 반대(대향)측상에 위치된 하우징의 일부에 감지판(18)을 배치하기 위한 전용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구동기어(14)의 전방스페이스를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감지판(18)을 배치할 때, 감지판(18)을 위한 점유스페이스는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하다.
게다가, 종래기술구조와 다르게, 모터(12)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해 전용회전검출기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부품수의 감소를 도모하는 것이 유리하다.
게다가, 출력축(1204)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감지판(18)의 배치는 감지판(18)의 윤곽과 제 1기어(16A)가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거나, 더욱 자세하게, 이 배치는 감지판(18)의 이동곡선의 윤곽과 제 1기어(16A)의 윤곽이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감지판(18)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는 감지판(18)을 위한 점유스페이스를 최소화 하는데 유리하며,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더욱 유리하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 출력축(1204)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배치는 감지판(18)의 윤곽과 제 1기어(16A)의 축중심은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도록 형성되거나, 더욱 자세하게, 이 배치는 감지판(18)의 이동곡선의 윤곽과 제 1기어(16A) 의 축중심은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되어있다. 이 경우에, 이 배치는 감지판(18)을 위한 점유스페이스를 최소화하기 위해 유리하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 1기어(16A)에서 대직경기어부는 홀더(22)의 측면상에 위치되며, 소직경기어부는 덮개판(24)의 측면상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제 2기어(16B)에서 소직경기어부는 홀더(22)의 측면상에 위치되고, 대직경기어부는 덮개판(24)의 측면상에 위치되고, 제 1기어(16A)의 대직경기어부는 제 2기어부(16B)의 소직경기어부의 회전방향에서 외부측면상에 배치된다. 더욱 자세하게, 지지축의 상단에서 보았을 때, 제 1기어(16A)의 대직경기어부와 제 2기어부(16B)의 대직경기어부의 윤곽은 지지축(1602,1604)의 방향에서 기어열(16)이 구성되도록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렌즈이동기구가 제 1군 렌즈프레임(2), 제 2군 렌즈프레임(3), 캠실린더(4), 선형안내실린더(5)와 고정된 실린더(6)으로 구성된 경우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그러나, 렌즈이동기구는 이 실시예에 따르는 구성에 제한되지 않고, 과거에 개발된 여러 가지 알려진 기구들이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는 촬상장치로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참조하여 기술되어있고, 본 발명은 비디오카메라 및 다양한 다른 촬상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분야에서 기술을 가진 사람들은 이러한 실시예의 많은 변경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내에서 이러한 변경들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판은 모터의 출력축에 안착되어 있고, 출력축의 구동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제 1기어는 캔틸레버 지지방식으로 홀더에 의해 지지되어있다. 따라서, 감지판은 구동기어의 전방 공간을 이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감지판을 배치할 때 감지판의 점유 스페이스를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소형화를 도모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게다가, 모터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전용 회전검출기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부품 수에 감소를 도모하는데 유리하다.

Claims (10)

  1. 렌즈경통에 있어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경통과,
    상기 경통에 설치되고,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광축방향으로 상기 렌즈를 이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력을 공급하는 렌즈이동기구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이동기구에 상기 회전구동력을 공급하고, 출력축을 가지는 모터와, 상기 출력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이동기구에 상기 모터의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기어열을 포함하는 렌즈구동기구와,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기구는 상기 출력축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감지판과,
    상기 감지판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열에 포함된 기어들 중에 상기 구동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제 1기어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캔틸레버 지지방식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상기 출력축의 상단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감지판의 윤곽과 상기 제 1기어의 윤곽은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상기 출력축의 상단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감지판의 이동 곡선과 상기 제 1기어의 윤곽이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상기 출력축의 상단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감지판의 윤곽은 상기제 1기어의 축 중심과 중첩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상기 출력축의 상단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감지판의 이동 곡선은 상기 제 1기어의 축 중심과 중첩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열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홀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의 내부는 상기 홀더에 장착된 덮개판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제 1기어는 캔틸레버 지지방식으로 상기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열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된 상기 홀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검출기는 상기 홀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의 내부는 상기 홀더에 장작된 덮개판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제 1기어는 캔틸레버 지지방식으로 상기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열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합성수지로 성형된 상기 홀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의 내부는 상기 홀더에 장착된 덮개판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제 1기어는 캔틸레버 지지방식으로 상기 홀더 의해 지지된 지지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홀더와 일체로 합성수지로 성형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열은 상기 베이스에 장착되고 합성수지로 성형된 상기 홀더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홀더의 내부는 상기 홀더에 장착된 덮개판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제 1기어는 캔틸레버 지지방식으로 상기 홀더 의해 지지된 지지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축은 상기 홀더와 일체로 합성수지로 성형되고,
    상기 기어열은, 상기 제 1기어에 부가하여 상기 제 1기어의 지지축에 평행하는 복수의 기어열 지지축과,
    상기 복수의 기어열 지지축에 배치된 기어군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기어열 지지축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내측(양측)지지방식으로 상기 덮개판과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경통.
  10.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경통과, 상기 렌즈에 의해 이끌린 피사체상을 촬상하는 촬상소자를 포함하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렌즈경통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경통과,
    상기 경통에 설치되고,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광축방향으로 상기 렌즈를 이동하기 위한 회전구동력을 공급하는 렌즈이동기구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이동기구에 상기 회전구동력을 공급하고, 출력축을 가지는 모터와, 상기 출력축에 설치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서로 맞물려 상기 렌즈이동기구에 상기 모터의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기어열을 포함하는 렌즈구동기구와,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검출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기구는 상기 출력축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감지판과,
    상기 감지판의 회전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열에 포함된 기어들 중에 상기 구동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제 1기어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 캔틸레버 지지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KR1020050029045A 2004-04-08 2005-04-07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 KR101180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14393 2004-04-08
JP2004114393A JP4096262B2 (ja) 2004-04-08 2004-04-08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577A true KR20060045577A (ko) 2006-05-17
KR101180892B1 KR101180892B1 (ko) 2012-09-07

Family

ID=3513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045A KR101180892B1 (ko) 2004-04-08 2005-04-07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28068B2 (ko)
JP (1) JP4096262B2 (ko)
KR (1) KR101180892B1 (ko)
CN (1) CN10036238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2044B2 (ja) * 2005-07-19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鏡筒及び撮像装置
DE102008033383A1 (de) * 2008-07-16 2010-01-21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Halterungsrahmen für ein optisches Element
JP5884061B2 (ja) 2011-02-09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8807847B2 (en) * 2011-02-09 2014-08-19 Panasonic Corporatio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DE102015108762A1 (de) * 2015-06-03 2016-12-0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Haltevorrichtung zum Halten einer Antriebseinheit einer Umlenkspiegelanordnung, Detektionsvorrichtung mit einer Umlenkspiegelanordnung sowie Kraftfahrzeug
WO2020110910A1 (ja) * 2018-11-30 2020-06-04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レンズ駆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携帯端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7260B2 (ja) * 1996-09-04 2006-09-2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装置
JP2001194574A (ja) 2000-01-11 2001-07-19 Fuji Photo Film Co Ltd 移動機構、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JP2002182285A (ja) * 2000-12-11 2002-06-26 Fuji Photo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2318338A (ja) 2001-04-23 2002-10-31 Olympus Optical Co Ltd 電動ズームカメラ
JP2004127372A (ja) * 2002-09-30 2004-04-22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00760A (ja) 2005-10-27
CN100362383C (zh) 2008-01-16
JP4096262B2 (ja) 2008-06-04
US20050238342A1 (en) 2005-10-27
US7228068B2 (en) 2007-06-05
KR101180892B1 (ko) 2012-09-07
CN1707303A (zh)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441B1 (ko) 렌즈 배럴의 캠 기구 및 캠 기구에 이용하는 회전 부재의제조 방법
KR20070043660A (ko) 렌즈 경통
KR101180892B1 (ko)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
KR20060047197A (ko) 접을 수 있는 렌즈 경통 및 촬상 장치
US8493667B2 (en) Lens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JP4724294B2 (ja) レンズ鏡筒及びレンズ鏡筒の組立方法
JP4250946B2 (ja) 光学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KR20060052372A (ko) 렌즈 경동 및 상기 렌즈 경동을 구비한 카메라 및 렌즈경동의 조립 방법
US7038859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JP3944785B2 (ja) 沈胴式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US7532418B2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20090185286A1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6753911B1 (en) Zooming lens barrel and a camera in use therewith
JP4433272B2 (ja) 撮像装置およびレンズ装置
JP3960245B2 (ja) 撮像装置
EP2203773B1 (en) Lens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JP4433270B2 (ja) 撮像装置およびレンズ装置
JP2002341226A (ja) レンズ制御装置
JP4979722B2 (ja) 撮像装置
US10036871B2 (en) Lens barrel provided i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4362706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09116369A5 (ko)
JP2002314855A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