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9825A - Apparatus of gateway for home network systems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gateway for home network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9825A
KR20060039825A KR1020040089058A KR20040089058A KR20060039825A KR 20060039825 A KR20060039825 A KR 20060039825A KR 1020040089058 A KR1020040089058 A KR 1020040089058A KR 20040089058 A KR20040089058 A KR 20040089058A KR 20060039825 A KR20060039825 A KR 20060039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face means
indoor
interface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0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만철
신필순
이석재
김동영
Original Assignee
(주)알피에이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피에이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알피에이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040089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9825A/en
Publication of KR20060039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98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way device for a home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무선 랜(Wireless LAN), 전력선통신(PLC), 알에프(RF), 이더넷(Ethernet), 지그비(Zigbee)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각종 댁내 장치와 손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원격지에서도 각종 댁내 장치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특히 공중전화망(PSTN)과도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전화를 통해 각종 댁내 장치를 제어하거나 세대 내의 상황이 변동하였을 경우에 전화를 통해 자동 통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interfaces including wireless LAN,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RF, Ethernet, Zigbee, etc., and is configured to be easily connected to various indoor devic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various home devices from a remote place through the Internet. In particular, it may be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nd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various home devices through the telephone or to automatically notify the telephone when a situation in the household changes.

본 발명을 사용하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종 댁내 장치들을 무선 랜, 전력선통신(PLC), 알에프(RF), 이더넷, 공중전화망(PSTN)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인터페이스 할 수 있다. 또한, 세대 내 제어는 물론이고 인터넷이나 공중전화망을 통한 원격제어도 가능하다. 특히 인터페이스 수단을 모듈화하면 고객의 필요에 따라 모듈을 추가하거나 제외시킬 수 있어 고객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종래의 PC 기반 홈 네트워크 구축시에 비하여 가격 대비 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indoor devices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may be interfaced in various ways such as wireless LAN,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RF (RF), Ethernet, and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In addition, in-house control is possible, as well as remote control via the Internet or a public telephone network. In particular, by modularizing the interface means, it is possible to add or exclude modules according to the customer's needs, so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services necessary for the customer, and the price-performance ratio can be impro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C-based home network construction.

홈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이더넷, 무선 랜, RF, PLC, PSTN, Zigbee, VPNHome Network, Gateway, Ethernet, WiFi, RF, PLC, PSTN, Zigbee, VPN

Description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 Apparatus of Gateway for Home Network Systems }Gateway device for home network system {Apparatus of Gateway for Home Network Syste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서의 동작에 관한 예,2 i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in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서의 동작에 관한 예,4 i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모듈화된 인터페이스 수단의 개요,5 is an overview of the modular interface means,

도 6은 세대 내 변동상황을 알려 주는 또 다른 실시예,Figure 6 is another embodiment for reporting the change in generations,

도 7은 댁내 장치의 상태 변동에 따라 자체적으로 동작하는 실시예,7 is an embodiment of operating itself according to a change in state of a premises device,

도 8은 댁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실시예,8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configuring an in-house user interfac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게이트웨이 장치 11: 무선 랜 인터페이스 수단 10: gateway device 11: wireless LAN interface means

12: 전력선통신 인터페이스 수단 13: 알에프 인터페이스 수단12: power line communication interface means 13: RF interface means

14: 이더넷 인터페이스 수단 15: 제어부14: Ethernet interface means 15: control unit

16: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수단 91: 지그비 인터페이스 수단16: public telephone network interface means 91: Zigbee interface means

17: 인터넷망 18: 공중전화망(PSTN)17: Internet Network 18: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댁내에 설치되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종 댁내 장치들을 무선 랜(wireless LAN),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RF(Radio Frequency), 이더넷(Ethernet),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방식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인터넷이나 전화 및 댁내 망을 통해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way device for a home network system. In particular, various indoor devices constituting a home network installed in a home may include a wireless LAN, a power line communication, a radio frequency (R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way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various interface methods such as Ethernet,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and can be centrally managed through the Internet, a telephone, and a home network.

현재 각 세대에는 홈 시큐리티, 방문자 확인/통제, 홈 오토메이션, 원격 모니터링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는 각종 상황을 감지하고 통제하는 다양한 댁내 장치들과 효과적으로 인터페이스할 수 있어야 하고, 사용자가 댁내 장치들을 언제 어디서나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Currently, various generations of home network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each generation to perform roles such as home security, visitor identification / control, home automation, and remote monitoring. In constructing such a home network system, it should be able to effectively interface with various indoor devices that detect and control various situations, and allow the user to easily control the indoor devices anytime and anywhere.

그러나, 종래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이더넷 등의 한정된 인터페이스 기능만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이에 따라 각종 응용 분야마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전력선통신(PLC), 무선 랜(wireless LAN), 알에프 (RF)등 다양한 인터페이스 구조를 갖도록 제작된 각종 댁내 장치를 포괄적으로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원격지에서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서, 2002년 4월 24일 출원되어 2003년 11월 1일 공개된 특허출원번호 10-2002-22519호의 "인터넷 연동이 가능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홈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서로 연동하게 해주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발명에서도 전력선통신, 무선 랜, 알에프(RF) 등 다양한 댁내 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개인용 컴퓨터(PC) 등 각 새대 내에 구비된 독립적인 정보 단말기를 사용하여 인터넷과 인터페이스하는 기술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이어서 홈 네트워크 시스템상에서 댁내에 위치하는 게이트웨이를 손쉽고 간단하게 구성할 수는 없고, 홈 네트워크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다양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home network system only has a limited interface function such as Ethernet. Accordingly, in order to be effectively used in various application field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various home devices manufactured to have various interface structures such as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wireless LAN, and RF (RF) cannot be comprehensively accommodated. . In addition, as a technology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control a home network system from a remote location, the patent application No. 10-2002-22519 filed on April 24, 2002, and published on November 1, 2003, may be used for "internet interworking." Home network system "discloses an invention for interworking a home network and the Interne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llow to connect various indoor devices such as power line communication, wireless LAN, RF (RF). In addition, only the technology for interfacing with the Internet using independent information terminals provided in each new generation,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is disclosed. Therefore, a gateway located in a home on a home network system cannot be easily and simply configured. The problem is that it does not diversify the way it can control the home network.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댁내에 설치되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종 댁내 장치들을 무선 랜(wireless LAN), 전력선통신(PLC), 알에프(RF), 이더넷(Ethernet), 공중전화망(PSTN) 등을 통해 다양하게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하고, 인터넷이나 전화 및 댁내 망을 통해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various indoor devices that are installed in the home constituting the home network, such as wireless LAN (LAN),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RF (RF), Ethernet (Etherne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ateway device that enables various interfaces through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nd can be centrally managed through the Internet, a telephone, and a home network.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는, 무선 랜(Wireless LAN)을 통해 제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무선 랜 인터페이스 수단;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을 통해 제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전력선통신 인터페이스 수단; 알에프(RF: Radio Frequency) 방식을 통해 제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와 인터페이스 하는 알에프 인터페이스 수단; 이더넷(Ethernet)을 통해 제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와 인터페이스 하고,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일정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각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각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를 제공하거나 상기 각 댁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gateway device for a home networ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LAN interface means for interfacing with at least one indoor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a wireless LAN; Power line communication interface means for interfacing with at least one indoor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scheme; RF interface means for interfacing with at least one indoor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an RF (Radio Frequency) scheme; Ethernet interface means for interfacing with at least one indoor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Ethernet, and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And provide a user interface (UI) to a user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to authenticate the user, and are connected through the respective interface means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authenticated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current state of each of the indoor devices that are present 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indoor device.

이 때, 공중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인터페이스하는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더욱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interface means for interfacing with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be implemented more preferably.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 포함하는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구성거나, 상기 각 댁내 장치의 동작을 전화상에서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뿐만아니라 상기 각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가 변동된 경우에는 기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로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상기 변동된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further comprising a public telephone network interface means, it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current status information of each indoor device by voice, 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indoor device on the telephone. In addition, when the current state of each of the indoor devices is changed, the phone number of the preset user may be automatically dialed to guide the changed state by voice.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는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모듈 형태의 상기 각 인터페이스 수단 중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착탈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상기 각 인터페이스 수단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gateway device for the home network system may include a connector for detachably attaching one or more interface means of each of the interface means, which are independently configured, and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mounted and used. .                         

상기 제어부는 웹 서버의 기능을 자체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 페이지의 형태로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user interface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in the form of a web page by performing a function of a web server by itself.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CLI(Command Line Interface)의 형태로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user interface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in the form of a command line interface (CLI).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10: 이하, 게이트웨이 장치라 한다)의 제1실시예는 무선 랜(Wireless LAN),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알에프(RF: Radio Frequency), 및 이더넷(Ethernet) 방식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first embodiment of a gateway device for a home network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atew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LAN, a power line communication, or an RF. (RF: Radio Frequency), and interface mean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an Ethernet scheme.

무선 랜 인터페이스 수단(11)은 Wireless LAN 카메라 등 무선 랜을 통해 통신 가능한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와 무선 랜 프로토콜에 따라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력선통신 인터페이스 수단(12)은 냉장고, 세탁기 에어콘 등의 가전기기, 댁내의 조명을 위해 사용되는 각종 조명기구, 가스의 누출을 감지하는 가스 센서, 가스 밸브 콘트롤러, 히터 등 전력선통신(PLC) 방식을 통해 통신 가능한 각종 댁내 장치와 전력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주지하다시피 전력선통신 방식을 통해 인터페이스되는 댁내 장치들은 필요에 따라 고속 또는 저속으로 인터페이스될 수 있다.The wireless LAN interface unit 11 serves to interface with at least one indoor device, such as a wireless LAN camera, that can communicate via a wireless LAN protocol.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interface means 12 uses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method such as a home appliance such as a refrigerator or a washing machine air conditioner, various lighting fixtures used for home lighting, a gas sensor for detecting gas leakage, a gas valve controller, and a heater. It functions to interface with various indoor devices that can communicate through power line communication protocol. As will be appreciated, indoor devices that are interfaced via power line communication may be interfaced at high speed or low speed as needed.

알에프 인터페이스 수단(13)은 리모트 콘트롤러, 도어 센서, 사이렌, 모션 디텍터 등 알에프(RF) 방식을 통해 통신 가능한 각종 댁내 장치와 RF 프로토콜에 따라 인터페이스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RF interface means 13 performs a role of interfacing with various indoor devices which can communicate through RF (RF) method such as a remote controller, a door sensor, a siren, a motion detector according to an RF protocol.

이더넷 인터페이스 수단(14)은 비디오 폰, 개인용 컴퓨터(PC), 셋탑박스 등 이더넷(Ethernet)을 통해 통신 가능한 각종 댁내 장치와 이더넷 프로토콜에 따라 인터페이스 하고, 특히 인터넷망(17)과 연결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Ethernet interface means 14 interfaces with various indoor devices that can communicate through Ethernet, such as a video phone, a personal computer (PC), a set-top box, and an Ethernet protocol, and in particular,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17. do.

위의 설명에서 예로 든 각종 댁내 장치는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한 것이며, 해당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족한 것이며 그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것이 아니다.Various indoor devices exemplified in the above description are exemplifie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and are sufficient to be configured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interface method, and there is no limitation in the type thereof.

제어부(15)는 각 인터페이스 수단(11 내지 14)을 통해 각 댁내 장치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하거나 특정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각 인터페이스 수단(11 내지 14)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데, 제어부(15)가 각 인터페이스 수단(11 내지 14)으로 전달하는 데이터는 해당 인터페이스 수단에서 해당 프로토콜에 따라 댁내 장치로 전달되고, 각 인터페이스 수단(11 내지 14)은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 데이터를 해당 프로토콜에 따라 해석하여 제어부(15)로 전해준다.The controller 15 checks the current state of each indoor device or operates to operate in a specific mode through each interface means 11 to 14, and may be preferably configured using a microcomputer. The controller 15 collectively controls each of the interface means 11 to 14, and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15 to each of the interface means 11 to 14 is transmitted from the corresponding interface means to the indoor devic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protocol. Each of the interface means 11 to 14 interprets the current state data of the indoor devic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protoco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5.

또한, 제어부(15)에는 사용자의 인증정보, 사용자에게 연락하기 위한 일반전화번호나 휴대폰 번호, 로그 기록, 각 댁내 장치와의 접속 및 통신정보 등 게이트웨이 장치(1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저장수단(도시되지 않음)이 포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 stores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gateway device 10, such as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 general telephone number or a mobile phone number for contacting the user, a log record, connection with each indoor device,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Storage means (not shown) is managed by.

한편, 사용자는 휴대폰, 개인용 컴퓨터(PC), 개인휴대단말(PDA) 등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망(17)에 접속할 수 있는 각종 사용자 단말(19)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5)는 인터넷망(17)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인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인터페이스 수단(11 내지 14)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를 제공하거나 각 댁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Meanwhile, the user may access the gateway device 10 using various user terminals 19 that may be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network 17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computer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the like. Then, the controller 15 provides a user interface (UI) to the user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17 to authenticate the user, and each interface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of the authenticated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rough 11 to 14, the current state of the connected indoor devices is provided or the operation of each indoor device is controlled.

도 2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인터넷상에서 게이트웨이 장치(10)를 제어하는 과정의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a user controls the gateway device 10 on the Interne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사용자는 게이트웨이 장치마다 할당되어 있는 URL을 입력하여 자신의 세대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접속하고(S21), 제어부(15)는 사용자에게 일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22).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웹 페이지의 형태로 구성하여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 때, 웹 서버의 역할은 제어부(15)가 직접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사용자 댁내에 위치하는 PC 등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보다 더욱 편리하게 홈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The user inputs a URL assigned to each gateway device to access the gateway device 10 installed in the household (S21), and the controller 15 provides the user with a predetermined user interface (S22). In this case, since the user interface is performed on the Internet, the user interface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web page that performs various functions. In this case, the role of the web server may be configured to be directly performed by the controller 15. Then, the home network can be configured more conveniently than the home network using a PC located in the user's home.

제어부(15)가 인터넷상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CLI(Command Line Interface)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명령어 기반으로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거나, 명령어의 형태로 각종 댁내 장치의 상태를 조회해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controller 15 on the Interne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mmand line interface (CLI). That is, the user can input a control command based on a command, or can query the status of various indoor devices in the form of a command.

단계 S22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시작되면, 제어부(15)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요청하고(S23), 사용자는 자신의 인증정보(예: 아이디,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등)를 입력한다(S24). 이 때, 사용자의 인증정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로서, 아이디(ID),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의 텍스트 정보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음성인식, 지문인식, 홍채인식 등 여러가지 인증방법이 채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When the user interface is started in step S22, the controller 15 requests the user's authentication information (S23), and the user inputs his own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ID, password, social security number, etc.) (S24). At this tim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s needed. For example, it may be composed of text information such as ID (ID), password, social security number, etc., but it is natural that various authentication methods such as voice recognition, fingerprint recognition, and iris recognition may be employed.

단계 S24에서 사용자가 인증정보를 입력하면 제어부(15)는 사용자가 미리 입력해 놓은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정상적인 사용자인지를 인증하고,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단계 S23으로 진행하여 다시 인증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등의 인증실패에 따른 처리 과정을 진행한다. 그러나,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는 이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사용자가 다음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S25,S26).When the user input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step S24, the control unit 15 authenticates whether the user is a normal user compared with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and if authentication fails, proceeds to step S23 to inpu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gain. Proceed with the processing of authentication failure, such as request. However, if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t is notified to the user and the user can proceed to the next process (S25, S26).

여기서, 다음 과정의 바람직한 예로는 댁내의 현재 상황을 조회하는 과정(S27)이나 댁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S28)을 들 수 있다.Here, preferred examples of the following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inqui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home (S27) or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device (S28).

먼저, 사용자가 현재 상황 조회를 요청하면(S27-1), 제어부(15)는 요청된 해당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를 조회하여(S27-2), 해당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웹 페이지로 구성하여 제공하고(S27-3), 제공된 웹 페이지는 사용자 단말(19)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S27-4). 또한, 사용자가 동작 제어를 요청하면(S28-1), 제어부(15)는 요청된 댁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S28-2), 제어 결과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는 웹 페이지로 구성하여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9)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28-3,S28-4).First, when the user requests the current situation inquiry (S27-1), the controller 15 inquires the current state of the requested indoor device (S27-2), and the user conveniently checks the current state of the corresponding indoor device. The web page is configured and provided (S27-3), and the provided web p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9 (S27-4). In addition, when the user requests the operation control (S28-1), the controller 1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quested indoor device (S28-2), the web page for the user to conveniently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control result It is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terminal 19 (S28-3, S28-4).

한편, 도 3에 도시한 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이트웨이 장치(10)의 제2실시예는 공중전화망(18: PSTN)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수단(16)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게이트웨이 장치(10)는 공중전화망(18)에 연결된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3,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gateway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blic telephone network interface means 16 for interfacing with a public telephone network 18 (PSTN). Accordingly, the gateway device 10 may communicate with a user connected to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18.

공중전화망(18)과 인터페이스하는 하나의 예는 사용자가 일반 전화기(19-1)를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접속하여 각종 댁내 장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제어부(15)는 공중전화망(18)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전화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인터페이스 수단(11 내지 14)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각종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한다. 또한, 제어부(15)는 인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인터페이스 수단(11 내지 14)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각종 댁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One example of interfacing wit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18 is to allow the user to access the gateway device 10 via the general telephone 19-1 to check the status of various indoor devices.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5 authenticates the user 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 telephone to a user connected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18, and is connected through each interface means 11 to 14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authenticated user. The current state of the various home devices that are present by voic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various indoor devices connected through the respective interface means 11 to 14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authenticated user.

도 4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공중전화망(18)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10)를 제어하는 과정의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4, an example of a process of controlling a gateway device 10 through a public telephone network 1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사용자가 게이트웨이 장치(10)에 할당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수단(16)과 제어부(15)에 의해 착신되고(S41,S42), 사용자의 전화단말기(19-1)로 전화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시작한다(S43). 이때 이루어지는 전화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공중전화망(18)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인터넷을 이용할 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는 달리 음성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진다.When the user calls the telephone number assigned to the gateway device 10, the call is received by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interface means 16 and the control unit 15 (S41, S42), and the user's telephone terminal 19-1 is called. Start to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43). At this time, since the telephone user interface is made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18, unlike the user interface when using the Internet, it has a structure made by voice.

이제 제어부(15)는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S44), 사용자는 전화단말기(19-1)의 키를 이용하여 인증정보(예: 아이디,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등)를 입력한다(S45). 이 때, 음성인식 등 전화상에서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각종 인증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control unit 15 provides the user with a voice guidance message requesting user authentication (S44), and the user uses the keys of the telephone terminal 19-1 to provide authentication information (eg, ID, password, social security number, etc.). Enter (S45). At this tim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authentication methods that can authenticate the user on the phone, such as voice recognition may be used.

사용자가 인증용 정보를 입력하면 제어부(15)는 기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인증정보와 비교하여 정상적인 사용자인지를 인증하고, 인증에 실패한 경우에는 일정 회수 동안 인증정보를 다시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등 인증실패처리 과정을 진행한다(S46). 그러나,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면 사용자의 전화단말기(19-1)로 인증이 성공한 것을 알려 주고 다음 서비스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S47).When the user input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15 authenticates whether the user is a normal user compared to the previously stored and stored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if the authentication fails, requesting to input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gain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failure process proceeds (S46). However, if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user's telephone terminal 19-1 informs that the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and allows the next service process to proceed (S47).

여기서, 다음 과정의 바람직한 예로는 댁내의 현재 상황을 조회하는 과정(S48)이나 댁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S49)을 들 수 있다.Here, preferred examples of the following process may include a process of inqui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home (S48) or a process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ndoor device (S49).

먼저, 사용자가 안내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 전화단말기(19-1)의 해당 키를 입력하여 현재 상황 조회를 요청하면(S48-1), 제어부(15)는 요청된 해당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를 조회하여(S48-2), 해당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한다(S48-3). 그러나, 사용자가 동작 제어를 요청하면(S49-1), 제어부(15)는 요청된 댁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S49-2), 제어 결과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한다(S49-3).First, when a user requests a current situation inquiry by inputting a corresponding key of the user's telephone terminal 19-1 according to the guidance message (S48-1), the control unit 15 inquires the current state of the requested indoor device. In operation S48-2, the current state of the corresponding indoor device is voiced. However, when the user requests the operation control (S49-1), the controller 1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quested indoor device (S49-2), and guides information about the control result by voice (S49-3). .

또한, 게이트웨이 장치(10)는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지그비(zigbee) 통신방식을 통해 제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92)와 인터페이스하는 지그비 인터페이스 수단(91)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ateway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ZigBee interface means 91 for interfacing with at least one indoor device 92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a Zigbee communication scheme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9. .

또한, 제어부(15)는 이더넷 인터페이스 수단(14)을 통해 접속되는 인터넷망(17) 또는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수단(16)을 통해 접속되는 공중전화망(18)에 대하여 가상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s)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가상사설망을 형성하는 기술은 주지된 임의의 기술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게이트웨이 장치(10)의 보안을 강화하고, 중요한 정보나 시스템 및 자원에 대한 접속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 controls a virtual private network (VPN) for the Internet network 17 connected through the Ethernet interface means 14 or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18 connected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interface means 16. It may be configured to form a. The technology for forming the virtual private network can be easily implemented using any known technique, and can enhance the security of the gateway device 10 and effectively control access to important information, systems, and resources.

한편, 각 인터페이스 수단(11 내지 14,16,91)이 모듈형으로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경우 게이트웨이 장치(10)는 각 인터페이스 수단을 탈착할 수 있는 커넥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each of the interface means 11 to 14, 16, 91 is modularly configured independently, it may be sufficient that the gateway device 10 has a connector that can detach each interface means.

도 5를 참조하자면, 게이트웨이 장치(10)는 각 인터페이스 수단(11 내지 14,16,91)을 일체형으로 모두 포함하고 있는 고정 형태가 아니라, 모듈형으로 구성된 어느 인터페이스 수단(50)을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착탈할 수 있는 커넥터(52) 만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gateway device 10 does not have a fixed form in which all of the interface means 11 to 14, 16, and 91 are integrally formed, but any interface means 50 configured as a module as needed.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only the connector 52 that can be detachably and conveniently.

이러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또는 시공자)는 각 인터페이스 수단(11 내지 14,16,91) 중 모듈형으로 구성된 어느 하나의 인터페이스 수단(50)을 연결부분(51)을 이용하여 커넥터(52)에 장착한 후 이 인터페이스 모듈(50)에 각종 댁내 장치를 연결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인터페이스 수단을 모듈화하면 고객의 필요에 따라 모듈을 추가하거나 제외시킬 수 있어 고객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커넥터(52), 인터페이스 수단(50), 및 그 연결부분(51)의 형태는 사용상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user (or the contractor) mounts one of the interface means 50 of each of the interface means 11 to 14, 16 and 91 to the connector 52 using the connecting portion 51. After that will be connected to the various indoor devices to the interface module 50. In particular, the modularity of the interface means allows you to add or remove modules according to your needs, allowing you to select the services you need. At this time, the form of the connector 52, the interface means 50, and the connection portion 51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onvenience of use.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인터넷이나 전화를 통해 세대 내의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접속하여 각종 댁내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댁내 장치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세대 내의 각종 댁내 장치에서 사용자의 제어와 관계없이 중요한 변동이 일어나면 이를 사용자에게 즉시 통보해 주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embodiment in which the user accesses the gateway device 10 in the household via the Internet or a telephone to check the status of various indoor devices or controls the indoor devices is described. However, it may be configured to notify the user immediately if a significant change occurs regardless of the user's control in various indoor devices in the household.

도 6을 참조하여 이를 위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전화처리부(61)와 SMS 처리부(62)를 구비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gateway device 10 includes a phone processor 61 and an SMS processor 62.

전화처리부(61)는 각 인터페이스 수단(11 내지 14)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가 변동된 경우에는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수단(16)을 통해 기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변경된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한다. 그러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도어가 무단으로 열린 것을 감지한 것과 같이 특정 댁내 장치의 상태가 변경되었을 때 자신이 지정해 둔 전화(19-1)를 통해 이를 통보받을 수 있다.The telephone processing unit 61 is preset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interface means 16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 when the current state of the indoor devices connected through the respective interface means 11 to 14 is changed. Call the user's phone number and voice the change. Then, the user can be notified through the telephone 19-1 designated by the user when the state of the specific indoor device is changed, such as detecting that the door is opened unauthorizedly.

SMS 처리부(62)는 각 인터페이스 수단(11 내지 14,16)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가 변동된 경우에는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기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휴대폰(19-1)으로 변동 상태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 때, SMS 처리부(62)에서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이더넷 인터페이스 수단(14)을 통해 문자 메시지를 전송해주는 특정 웹서버와 접속하여 문자메시지 전송을 요청할 수도 있고, 독립적인 문자메시지 전송장치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The SMS processing unit 62 uses the user's mobile phone number which is prese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 when the current state of the indoor device connected through each interface means 11 to 14 and 16 is changed. The mobile phone 19-1 transmits a text message indicating the change status. At this time, the SMS processing unit 62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to send a text message. For example, the user may request a text message transmission by connecting to a specific web server that transmits a text message through the Ethernet interface means 14 or may have a form of an independent text message transmission device.

한편,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사용자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아도 기 규정된 특정 상황에서는 각 인터페이스 수단(11 내지 14,16,91)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의 상태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타 댁내 장치의 동작을 자동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gateway device 10 in accordance with the state of one or more indoor devices connected to each of the interface means (11 to 14, 16, 91) in a predetermined situation even if the user is not controlled, one or more corresponding thereto It can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 of other indoor devices.

도 7을 참조하여 하나의 예를 설명하자면, 전력선통신 인터페이스 수단(12)에 연결되어 있는 가스 센서가 가스 누출을 감지한 경우, 제어부(15)는 사용자의 제어가 없어도 알에프 인터페이스 수단(13)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사이렌을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7, one example will be described. When the gas sensor connected to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interface means 12 detects a gas leak, the controller 15 may control the RF interface means 13 without the user's control. 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the siren connected through.

또한, 도 8에 도시한 예와 같이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사용자가 세대 내에 있을 때에도 사용자가 손쉽게 각종 댁내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원격 제어할 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접속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11-1)은 무선 랜 인터페이스 수단(10)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개인휴대단말(PDA)나 웹 패드(Web Pad)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8, the gateway device 1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easily check or remotely control the status of various indoor devices even when the user is in a household. The user terminal 11-1 that may be connected to the gateway device 10 may b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web pad, or the like that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WLAN interface means 10.

이 때, 제어부(15)는 무선 랜 인터페이스 수단(11)을 통해 접속한 일정 사용자 단말(11-1)로 댁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각 인터페이스 수단(11 내지 14,91)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각종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를 제공하거나 각 댁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해준다. 댁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무선 랜 인터페이스에 적합한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5 provides an indoor user interface to the predetermined user terminal 11-1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LAN interface unit 11 to authenticate the user, an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authenticated user, each interface means ( 11 to 14,91 to provide the current status of the various indoor devices connected o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indoor device. The indoor user interface may have any structure suitable for the WLAN interface.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사용하면,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종 댁내 장치들을 무선 랜, 전력선통신(PLC), 알에프(RF), 이더넷, PSTN, 지그비(Zigbee)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인터페이스 할 수 있다. 또한, 세대 내에서는 물론 인터넷이나 공중전화망을 통한 원격제어도 가능하다. 특히 각 인터페이스 수단을 모듈화하면 고객의 필요에 따라 모듈을 추가하거나 제외시킬 수 있어 고객에게 꼭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게 되고, 종래의 PC 기반 홈 네트워크 구축시에 비하여 가격 대비 성능이 높아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indoor devices constituting a home network may be interfaced in various ways such as wireless LAN,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RF (RF), Ethernet, PSTN, and Zigbe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remotely through the Internet or a public telephone network in the household. Particularly, if each interface means is modularized, modules can be added or remov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customers, so that the services necessary for the customers can be selected, and the price-performance ratio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C-based home network construction.

Claims (15)

무선 랜(Wireless LAN)을 통해 제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무선 랜 인터페이스 수단;Wireless LAN interface means for interfacing with at least one indoor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via a wireless LAN; 전력선통신(PLC: Power Line Communication) 방식을 통해 제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와 인터페이스하는 전력선통신 인터페이스 수단;Power line communication interface means for interfacing with at least one indoor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a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scheme; 알에프(RF: Radio Frequency) 방식을 통해 제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와 인터페이스 하는 알에프 인터페이스 수단;RF interface means for interfacing with at least one indoor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an RF (Radio Frequency) scheme; 이더넷(Ethernet)을 통해 제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와 인터페이스 하고, 인터넷망과 연결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 수단; 및Ethernet interface means for interfacing with at least one indoor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Ethernet, and connected to the Internet network; And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일정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각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각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를 제공하거나 상기 각 댁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Provide a user interface (UI) to a user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to authenticate the user, and are connected through the respective interface means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authenticated user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And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current state of each indoor device 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each indoor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공중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인터페이스하는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A gateway device for a home network system, further comprising a public telephone network interface means for interfacing with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중전화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전화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전화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각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각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The control unit authenticates the user 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 telephone to a user connected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and is connected through the respective interface means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authenticated user input through the telephone user interface. Gateway device for a home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guide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indoor devices by voic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중전화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에게 전화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전화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각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각 댁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The control unit authenticates the user 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a telephone to a user connected throug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and is connected through the respective interface means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authenticated user input through the telephone user interface. Gateway device for a home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indoor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각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각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가 변동된 경우에는 기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상기 변동된 상태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전화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If the current state of each of the indoor devices connected through each interface means is changed, the home further comprises a telephone processing unit for guiding the changed state by voice by calling a preset user's telephone number. Gateway device for network system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지그비(Zigbee) 방식을 통해 제어 가능한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와 인터페이스 하는 지그비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And a Zigbee interface means for interfacing with at least one indoor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through a Zigbee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의 상태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타 댁내 장치의 동작을 자동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t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other indoor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at least one indoor device connected to each interface mean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댁내 장치의 상태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타 댁내 장치의 동작을 자동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t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other indoor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tate of at least one indoor device connected to each interface means.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망 또는 공중전화망에 대하여 가상사설망(VPN: Virtual Private Networks)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form virtual private networks (VPNs) for the Internet network or a public telephone network.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는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모듈 형태의 상기 각 인터페이스 수단 중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착탈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상기 각 인터페이스 수단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The gateway device for the home network system includes a connector that can detach one or more of the interface means of each of the interface means independently configured,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mount and use each of the interface means. A gateway device for a home network system.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8, 상기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는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모듈 형태의 상기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수단을 착탈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상기 공중전화망 인터페이스 수단을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The gateway device for the home network system includes a connector that can detach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interface means in a modular form independently configured,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mount and use the public telephone network interface means. Gateway device for network systems.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각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각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가 변동된 경우에는 기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로 상기 변동된 상태를 알리는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SMS 처리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The home network further comprises an SMS processor for transmitting a text message indicating the changed status to a preset mobile phone number when the current status of each of the indoor devices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means is changed. Gateway device for the system.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제어부는 웹 서버의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웹 페이지의 형태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The control unit is a gateway device for a home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ovide a user interface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in the form of a web page by performing a function of a web server.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망을 통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CLI(Command Line Interface)의 형태로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The control unit is a gateway device for a home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ovide a user interface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in the form of a command line interface (CLI).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랜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접속한 일정 사용자 단말로 댁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댁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인증된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각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각 댁내 장치의 현재 상태를 제공하거나 상기 각 댁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게이트웨이 장치.The control unit authenticates a user by providing an indoor user interface to a predetermined user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wireless LAN interface means, and connects through the respective interface means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authenticated user input through the indoor user interface. Gateway device for a home networ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ovide a current state of each of the indoor devices or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indoor device.
KR1020040089058A 2004-11-03 2004-11-03 Apparatus of gateway for home network systems KR200600398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058A KR20060039825A (en) 2004-11-03 2004-11-03 Apparatus of gateway for home network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9058A KR20060039825A (en) 2004-11-03 2004-11-03 Apparatus of gateway for home network syste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9825A true KR20060039825A (en) 2006-05-09

Family

ID=3714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058A KR20060039825A (en) 2004-11-03 2004-11-03 Apparatus of gateway for home network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9825A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713B1 (en) * 2005-01-10 2006-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network protocol interface method
KR100684613B1 (en) * 2006-03-07 2007-02-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or that
KR100734243B1 (en) * 2006-08-01 2007-07-02 주식회사이노텔레콤 System for building home network using broadband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zigbee
WO2010107951A2 (en) * 2009-03-17 2010-09-23 Jetlu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energy network management control system
KR100986758B1 (en) * 2008-11-13 2010-10-12 한국전력공사 Security dedicated device for securities of communication apparatus
WO2011066180A3 (en) * 2009-11-25 2011-08-18 T-Mobile Usa, Inc. Secured remote management of a home network
CN103228067A (en) * 2013-04-10 2013-07-31 安徽海聚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Wireless Ethernet gateway based on multiple-input/multiple-output Zigbee technology
KR101346333B1 (en) * 2011-11-25 2014-01-02 조현욱 Smart tv-based home network system
KR101353617B1 (en) * 2012-10-04 2014-01-23 주식회사 경동원 Remote control apparatus using vedio phone including wifi-module
KR101631449B1 (en) 2015-09-23 2016-06-17 전용준 Method for using a portable controlling device for the home network
KR102230281B1 (en) * 2020-09-22 2021-03-19 (주)온리정보통신 BEMS for total controlling power equipment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713B1 (en) * 2005-01-10 2006-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network protocol interface method
KR100684613B1 (en) * 2006-03-07 2007-02-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or that
KR100734243B1 (en) * 2006-08-01 2007-07-02 주식회사이노텔레콤 System for building home network using broadband power line communication and zigbee
KR100986758B1 (en) * 2008-11-13 2010-10-12 한국전력공사 Security dedicated device for securities of communication apparatus
US8269622B2 (en) 2009-03-17 2012-09-18 Jetlu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energy network management control system
WO2010107951A2 (en) * 2009-03-17 2010-09-23 Jetlu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energy network management control system
WO2010107951A3 (en) * 2009-03-17 2011-02-03 Jetlu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energy network management control system
US8346976B2 (en) 2009-11-25 2013-01-01 T-Mobile Usa, Inc. Secured registra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WO2011066180A3 (en) * 2009-11-25 2011-08-18 T-Mobile Usa, Inc. Secured remote management of a home network
US8874741B2 (en) 2009-11-25 2014-10-28 T-Mobile Usa, Inc. Secured remote management of a home network
KR101346333B1 (en) * 2011-11-25 2014-01-02 조현욱 Smart tv-based home network system
KR101353617B1 (en) * 2012-10-04 2014-01-23 주식회사 경동원 Remote control apparatus using vedio phone including wifi-module
CN103228067A (en) * 2013-04-10 2013-07-31 安徽海聚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Wireless Ethernet gateway based on multiple-input/multiple-output Zigbee technology
CN103228067B (en) * 2013-04-10 2016-03-02 安徽海聚信息科技有限责任公司 A kind of Ethernet radio network gateway based on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ZigBee technology
KR101631449B1 (en) 2015-09-23 2016-06-17 전용준 Method for using a portable controlling device for the home network
US9608837B1 (en) 2015-09-23 2017-03-28 Yong Joon Jeon Method for using portable controlling device for home network
KR102230281B1 (en) * 2020-09-22 2021-03-19 (주)온리정보통신 BEMS for total controlling power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651B1 (en) Interface apparatus based IM(Instant Messenger)
CN104503378B (en) A kind of robot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based on the robot
KR100441316B1 (en) Remote control of a device
WO201409847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home device remotely in home network system
CN105580344A (en) Smart device-based hom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U2016361086B2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70060598A (en) Smart home service serve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O2017058001A1 (en) A type of smart home management method based on instant messasing (im)
KR20060039825A (en) Apparatus of gateway for home network systems
CN105301978A (en) Connec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5278489A (en) Intelligent home system
JP4589696B2 (en) Network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KR10130381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Entrance Controller Using Mobile Phone and the Entrance Controller
KR100439596B1 (en) A Management Service Method for for A Home Network Appliance And The system Thereof
KR20140045109A (en) Method for enhancement of service coverage in system controlling appliances on home network
CN113132997B (en)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of intelligent household equipment
KR101237830B1 (en) The Method And Mobile Phone for Auto Change Of Control Mode in Home Network
WO2005004387A1 (en) Mobile home network system
JP2004186738A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connection management center apparatus therefor
JP3760372B2 (en) Hom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ing communication network
KR20050025550A (en) Mobile home network system
KR100559043B1 (en) Mobile home network system
JP5209626B2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WO2005004397A1 (en) Mobile home network system
KR20030083368A (en) Telephone having a function of a home-gatew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