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664A -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execution of user-defined-hot-key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execution of user-defined-hot-key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664A
KR20060033664A KR1020040082866A KR20040082866A KR20060033664A KR 20060033664 A KR20060033664 A KR 20060033664A KR 1020040082866 A KR1020040082866 A KR 1020040082866A KR 20040082866 A KR20040082866 A KR 20040082866A KR 20060033664 A KR20060033664 A KR 20060033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cut key
user
key
specific 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8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규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82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3664A/en
Publication of KR20060033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66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단축키를 예약 실행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rving and executing a shortcut key designated by a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수행시킬 단축키를 지정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상기 단축키에 부여하고, 지정된 상기 단축키가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예약 실행 조건을 설정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한 예약 실행 조건이 충족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상기한 예약 실행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지정된 상기 단축키를 자동 실행시키는, 사용자가 지정한 단축키를 예약 실행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signates a shortcut key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assigns the specific function to the shortcut key, and sets a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to automatically execute the designated shortcut key. And determining that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is satisfied, and automatically executing the designated shortcut key when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is satisfied.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특정 기능을 단축키로 지정하고 다양한 예약 실행 조건의 설정에 의해 예약 실행시킬 수 있으므로 특정 기능을 반복적으로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venient for a user who repeatedly uses a specific function because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designate a specific function required by the user as a shortcut key and perform the reservation execution by setting various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s.

이동통신 단말기, 단축키, 예약 실행       Mobile terminal, hot key, schedule execution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정 단축키의 예약 실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Execution of User-Defined-Hot-Key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Execution of User-Defined-Hot-Key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단축키를 지정하여 그 단축키에 특정 기능을 부여하고 이후에는 단축키를 통하여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1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user designates a shortcut key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by assigning a shortcut key to a specific function and then executes the specific function through the shortcut key.

도 2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기능을 예약 실행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reservation function of a specific function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중에서 단축키의 지정과 그 예약 실행에 관련된 부분을 도시한 블록도,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related to designation of a shortcut key and execution of a reservation in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중에서'단축' 기능키와 '예약' 기능키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       4 is a view illustrating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ened' function key and a 'reserved' function ke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서의 '예약' 기능키가 갖는 하위 메뉴를 도시한 도면,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menu of a 'reservation' function key in a keypa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지정 단축키의 예약 실행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순서도,       6 is a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reservation execution of a user-defined shortcut ke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비상연락망 기능을 자동 수행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utomatically performing an emergency contact network function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300 : 키패드 302 : 메모리       300: keypad 302: memory

304 : 제어부 306 : 송/수신부        304: control unit 306: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308 : 표시부 400 : 기능키       308: display unit 400: function keys

402 : '단축' 기능키 404 : '예약' 기능키       402: 'shortcut' function key 404: 'reservation' function key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기능의 단축키를 예약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단축키를 지정하고 그 예약 실행 조건을 설정하면 장래에 그 설정된 예약 실행 조건이 충족되는 때에 지정된 단축키를 자동 실행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serving and executing a shortcut key of a specific function designated by a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executing a designated shortcut key when a user designates a shortcut key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and sets the scheduled execution condition in the future when the scheduled execution condition is met in the future. .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음성 통화 기능만을 제공하는 데에서 나아가 전화번호부 관리, 일정 관리, 모닝콜, 메일 확인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변화하고 있다.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hanging from merely providing a voice call function to a means of provid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phone book management, schedule management, wake-up call, and mail checking.

이러한 다양한 기능 메뉴를 선택하여 실행시키는 과정에는, 최고 상위 메뉴로부터 그 다음 단계의 하위 메뉴로, 다시 그 다음 단계의 하위 메뉴로 반복하여 단계적으로 접근하여 목적하는 기능 메뉴에 이르러 실행시키는 계층구조 경로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단축키를 지정하여 최고 상위 메뉴로부터 바로 그 지정된 특정 기능 메뉴에 이르게 하여 실행시키는 단축키 경로가 있다.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executing these various function menus includes a hierarchical path that executes step by step repeatedly from the highest level menu to the next level sub menu and then repeatedly to the next level sub menu. For example, there is a shortcut path for assigning a shortcut key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to reach the specified specific function menu directly from the top level menu.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의 메뉴 선택 경로 중에서 단축키 경로를 통한 실행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중에서 단축키 설정 메뉴를 선택하고(S100), 특정 기능을 수행할 단축키를 지정하여(S102), 지정된 단축키에 특정 기능을 부여하고 저장시킨다(S104). 이후에는 사용자가 계층구조 경로를 거칠 필요가 없이 직접 단축키를 실행시키면(S106), 그 지정된 단축키에 설정된 특정 기능이 실행되게 된다(S108).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cution method through a shortcut key among menu selection path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user first selects a shortcut key setting menu from the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100), specifies a shortcut key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S102), and assigns and stores a specific function to the designated shortcut key (S104). Thereafter, if the user directly executes the shortcut key without having to go through the hierarchical path (S106), the specific function set in the designated shortcut key is executed (S108).

한편, 종래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예약 기능에는 알람 기능, 모닝콜 기능,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예약 촬영 기능 등이 있는데 도 2는 이러한 기능의 예약 실행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reservation function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n alarm function, a wake-up call function, a reservation shooting func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built-in camera, etc.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servation execution method of such a function.

예컨대,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예약 촬영 기능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예약 촬영 메뉴를 선택하고(S200), 예약 촬영 조건으로서 예약 촬영 시간을 설정하면(S202), 이동통신 단말기가 예약 촬영 시간의 도래 여부를 판단한        For example, referring to the reservation shooting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ilt-in camera, when the user selects a reservation shooting menu (S200) and sets a reservation shooting time as a reservation shooting condition (S20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serves a reservation shooting time. Judged the arrival of

후(S204), 그 예약된 촬영 시간이 도래한 때에 촬영을 실행하는(S206) 구성을 갖는다.After that (S204), when the scheduled shooting time arrives, shooting is performed (S206).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예약 실행 기능이 가능한 메뉴가 매우 한정되어 있어서 다양한 메뉴에 대한 예약 실행 기능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예약된 특정 기능의 실행을 지시하는 예약 실행 조건이 시간 조건으로만 한정되어 있어서 그 활용의 폭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menu capable of executing a reservation function is very limited, and thus, a reservation execution function for various menus is not provided, and a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for instructing execution of a specific scheduled function is limited to a time condition only.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range of their use is limited.                         

따라서 사용자가 지정하는 특정한 기능에 대하여 예약 실행 조건의 설정에 의한 다양한 예약 실행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various reservation execution functions are required by setting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s for a specific function designated by a user.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수행할 단축키를 지정하고 그 예약 실행 조건을 설정하면, 장래에 그 설정된 예약 실행 조건이 충족되는 때에 지정된 단축키를 자동 실행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에 그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f a user designates a shortcut key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and sets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it perform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executing the designated shortcut key when the set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is met in the future. The purpose is to make it work.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예약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라는 명령에 해당하는 단축키를 지정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상기 단축키에 대응시키는 단계(S600); (b) 상기 단계 (a)에서 지정된 상기 단축키가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예약 실행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S602); (c) 상기 단계 (b)에서 설정한 상기 예약 실행 조건이 충족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604); 및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예약 실행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지정된 상기 단축키를 자동 실행시키는 단계(S6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지정 단축키를 예약 실행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reserving a specific function by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a) designating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a command for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the specific function; Mapping the specific function to the shortcut key (S600); (b) setting a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for automatically executing the shortcut key specified in step (a) (S602); (c) determining whether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set in the step (b) is satisfied (S604); And (d) automatically executing the designated shortcut key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c) that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is satisfied (S606). It provides a method to make it.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숫자키와 방향키 및 기능키를 구비하고 있는 키패드(300);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를 통하여 설정하는 단축키와 단축키의 예약 실행 조건을 저장하는 메모리(302);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단축 키의 상기 예약 실행 조건이 충족되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예약 실행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단축키를 실행시키는 제어부(304);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부(306);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키패드를 통한 입력 사항과 상기 메모리를 통한 저장 사항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한 전송 사항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사항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30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단축키를 예약 실행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keypad 300 having numeric keys, direction keys, and function keys; A memory 302 for storing a shortcut key set by the user through the keypad and a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of the shortcut key; A controller (304) for executing the shortcut ke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is satisfied by determining whether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of the shortcut key stored in the memory is satisfied; A transmitter / receiver 306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display unit 308 for displaying the input items through the keypad, the stored items through the memory, the transmission items through the transmitter / receiver unit, and the control items by the controll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function to reserve and execute a shortcut key designated by a us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중에서 단축키의 지정과 그 예약 실행에 관련된 부분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art related to designation of a shortcut key and execution of a reservation in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키패드(300)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 및 방향키를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눌려진 키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304)로 전송한다. 본 발명은 단축키에 관련된 기술이므로 키패드(300)의 자세한 내용 및 기능키에 대한 설명은 도 4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keypad 300 includes a numeric key for inputting a number such as a phone number, a function key for performing a specific function, and a direction key, and generates a key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when a user presses a predetermined key. Transfer to 304. Si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rtcut key, the details of the keypad 300 and a description of the function key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메모리(302)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과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요구되는 데이터 및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가 저장되고       The memory 302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input by the user.

제어부(30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특정한 기능을 실행시킨다. 송/수신부(306)는 제어부(304)의 제어를 받아 음성 신호와 전기 신호를 증폭하고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The controller 304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ecutes a specific function at the request of the user. The transmitter / receiver 306 amplifies and modulates a voice signal and an electric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4 and transmits / receives data through an antenna.

표시부(308)는 제어부(304)에 의해 제어되며 키패드(300)에서 발생되는 키 데이터 및 제어부(304)의 각종 정보 신호와 송/수신부(306)의 전송 정보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The display unit 308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04 and receives and displays key data generated from the keypad 300, various information signals of the controller 304, and transmission information signals of the transmitter / receiver 306.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축' 기능키와 '예약' 기능키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300)를 포함한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는 숫자 0부터 9까지를 나타내는 숫자키와 * 키, # 키, 그리고 방향키 외에 다수의 기능키(400)를 포함하고 있다.        4 is a view illustrating an appearance including a keypad 300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short' function key and a 'reservation' function ke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400 in addition to a number key indicating the numbers 0 to 9, a * key, a # key, and a direction ke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지정 단축키의 예약 실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별도의 '단축' 기능키(402)와 별도의 '예약' 기능키(404)를 구비시킬 수 있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a separate 'shortcut' function key 402 and a separate 'reservation' function key 404 to facilitate the reservation execution of a user specified shortcut key. It can be provided.

'단축' 기능키(402)는 사용자가 정의하는 특정 기능을 단축키로 지정하기 위한 기능키로서, 예컨대 전화번호가 010-2222-2222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Shortcut' function key 402 is a function key for assigning a specific function defined by a user as a shortcut key. For example,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lephone number of 010-2222-2222

전화번호가 010-3333-3333인 자에게 SMS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300)를 통해서 (a) SMS 메뉴를 선택하여, (b) 수신자 전화번호 010-3333-3333을 입력하고, (c) 발신자 전화번호 010-2222-2222를 입력하여, (d) '확인' 기능키를 누르면, (e) 메시지 작성창이 뜬다고 가정할 때, 숫자키 [1]을 상기한 단계 (a)부터 단계 (d)까지를 수행하는 단축키로 지정하는 과정을 살펴 본다.When sending an SMS message to a person whose telephone number is 010-3333-3333, the user selects (a) the SMS menu through the keypad 3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b) the recipient's telephone number 010-3333-3333. Type (c)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010-2222-2222, and (d) press the 'OK' function key, and (e) assuming that the message composition window is displayed, press the number key [1]. Let's take a look at the process of assigning shortcut keys to perform steps (a) to (d).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대기 상태에서 먼저 키패드(300)상의 '단축' 기능키를 누르고, 단계 (a)부터 단계 (d)까지를 수행하는 해당 키조합을 누르고, 다시 '단축' 기능키를 누른 후, 숫자키 [1]을 누르고, 마지막으로 '단축' 기능키를 눌러 단축키 [1]의 지정을 종료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전화번호 010-3333-3333의 연락처에 SMS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서 더 이상 상기 단계 (a)부터 단계 (d)까지를 수행할 필요가 없이, 단축키 [1]을 실행시킴으로써 바로 단계 (e)의 메시지 작성창을 띄울 수 있게 된다.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first presses the 'short' function key on the keypad 300 in the standby state, presses the corresponding key combination to perform steps (a) to (d), and then presses the 'short' function key again. Then, press the numeric key [1], and finally press the 'shortcut' function key to finish the designation of the shortcut [1],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o send an SMS message to the contact number of the phone number 010-3333-3333 It is no longer necessary to perform the above steps (a) to (d), and by executing the shortcut key [1], the message composition window of step (e) can be immediately opened.

한편, '예약' 기능키(404)는 사용자가 정의하는 특정 기능을 예약 실행하기 위한 기능키로서, 예약 실행의 대상과 예약 실행의 조건을 설정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기능키의 역할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eservation' function key 404 is a function key for reservation execution of a specific function defined by the user, and serves as a function key for easily performing the process of setting the target of the reservation execution and the conditions of the reservation execution. do.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예약' 기능키의 하위 메뉴를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bmenu of a 'reservation' function ke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대기 상태에서 키패드(300)를 이용하여 '예약' 기능키(404)를 누르면 하위 메뉴로서 예약 실행 대상과 예약 실행 조건을 설정하는 메뉴가 표시부(308)에 디스플레이되고(도 5A),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예약 실행 대상을 단축키 [1]로 설정하고(도 5B), 예약 실행 조건으로 전화번호 조건을 선택하여(도 5C), 발신자 전화번호 010-1111-1111으로부터 SMS 메시지가 수신 되는 경우를 예약 실행 조건으로 설정한다(도 5D). 상기한 것과 같은 예약 실행 설정이 있은 후부터는 발신자 전화번호 010-1111-1111으로부터 SMS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축키 [1]이 실행되어 바로 상기 단계 (e)의 SMS 메시지 작성창이 뜨게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esses the 'reservation' function key 404 using the keypad 300 in the standby state, a menu for setting a reservation execution target and a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as a submenu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08. (Fig. 5A),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he reservation execution target is set to the shortcut key [1] (Fig. 5B), and the telephone number condition is selected as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Fig. 5C), from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010-1111-1111. The case where the SMS message is received is set as a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FIG. 5D). After the scheduled execution setting as described above, when an SMS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010-1111-1111, a shortcut key [1] is executed to immediately open the SMS message creation window of step (e).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 지정의 단축키를 예약 실행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reserving and executing a shortcut key for user design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키패드(300)를 통해, 단축키를 지정하여 예약 실행시키고자 하는 특정 기능을 지정한 단축키에 부여하고(S600), 상기한 단축키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예약 실행 조건을 설정한다(S602). 단계 S600과 단계 S602에서 설정된 단축키와 예약 실행 조건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304)의 제어를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302)에 저장된다.       First,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signs a specific function to be reserved and executed by designating a shortcut key through the keypad 300 (S600), and sets a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for automatically executing the shortcut key. (S602). The shortcut key and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set in steps S600 and S602 are stored in the memory 30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0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예약 실행 조건이 설정된 후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304)에서 상기 예약 실행 조건이 충족되는지를 판단하여(S604), 예약 실행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S600 단계에서 예약된 단축키를 실행시켜(S606),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기능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After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is set, the controller 30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is satisfied (S604),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is satisfied, the reserved shortcut key is executed in step S600. In operation S606, the specific function designated by the user is automatically executed.

도 7은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의 전화번호로부터 SMS 메시지가 착신되는 경우, 이를 다시 제 2의 특정한 전화번호로 동일한 내용의 SMS 메시지를 보내는 비상연락망을 구현시키는 순서도이다.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ergency contact network for sending an SMS message having the same content to a second specific phone number when an SMS message is received from a specific phone number designat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010-1111-1111은 비상연락을 발송하는 자(이하, A라고 한다)의 전화번호이고, 010-2222-2222는 비상연락을 수신하는 자(이하, B라고 한다)의 전화번 호이고, 010-3333-3333은 비상연락을 수신한 자(B)로부터 다시 비상연락을 수신하는 자(이하, C라고 한다)의 전화번호라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Where 010-1111-1111 i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erson who sends the emergency ca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and 010-2222-2222 i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erson who receives the emergency ca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B), Suppose that 010-3333-3333 is a telephone number of a person who receives an emergency ca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C) from a person who receives an emergency call (B).

한편, SMS 메시지 전송에서는 발신자 전화번호가 SMS 메시지 전송의 동작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므로, 발신자 전화번호를 010-1111-1111-00으로 하는 경우에는 그 메시지가 비상연락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발신자 전화번호가 보통의 010-1111-1111인 경우에는 그 메시지가 비상연락 메시지가 아님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즉, 보통의 전화번호의 맨 마지막에 '숫자-00'을 비상연락 메시지 식별코드로 부가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MS message transmission,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does not affect the operation of the SMS message transmission. Therefore, when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is 010-1111-1111-00, the message is an emergency contact message. If the number is normal 010-1111-1111 then it is assumed that the message is not an emergency contact message. In other words, 'number-00' is added as an emergency contact message identification code at the end of a normal telephone number.

먼저, A로부터 SMS 메시지를 수신한 B가 그와 동일한 메시지를 C에게 발송하면서 발신자 전화번호를 010-2222-2222-00으로 하고 수신자 전화번호를 010-3333       First, after receiving an SMS message from A, B sends the same message to C, calling party number 010-2222-2222-00, and calling party number 010-3333.

-3333으로 하여 전송하는 데 요구되는 키조합을 단축키 [1]에 대응하도록 지정한다Specifies the key combination required for transmission as -3333 to correspond to the shortcut key [1].

(S700).(S700).

다음으로, B에게 수신된 SMS 메시지의 발신자 전화번호가 010-1111-1111-00 인 경우를, B가 C에게 비상연락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단축키 [1]을 실행시키는 예약 실행 조건으로 설정한다(S702).       Next, if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of the SMS message received by B is 010-1111-1111-00, set it as a scheduled execution condition that executes a shortcut key [1] to perform the function of delivering emergency contact to C. (S702).

이후에는 SMS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부(304)에서 수신된 SMS 메시지의 발신자 전화번호를 판단하여(S704), 그 번호가 010-1111-       Thereafter, when the SMS message is received,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of the SMS message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30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termined (S704), and the number is 010-1111-.

1111-00이 아닌 경우에는 그대로 종료하고, 그 번호가 010-1111-1111-00인 경우에는 단축키 [1]을 실행시키도록 한다(S706).If it is not 1111-00, the process is terminated as is. If the number is 010-1111-1111-00, the shortcut key [1] is executed (S706).

단축키 [1]의 실행은 단축키 [1]에 설정된 키조합을 순서대로 누르는 것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A가 B에게 보낸 비상연락 메시지는, B가 별도의 키입력이나 명령을 수행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B에게서 C에게로 그대로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The execution of shortcut key [1] performs the same process as pressing the key combination set in shortcut key [1] in sequence, so the emergency contact message sent by A to B is automatically executed even if B does not perform a separate key input or command. It is passed from B to C as it is.

또한, C가 B로부터 수신한 비상연락 메시지의 발신자 전화번호가 010-2222 -2222-00이 되도록 하면, (전체 비상연락망은 A, B, C, D, E, F, G, H 라고 가정한다면) C는 수신한 메시지를 다시 제 3의 비상연락망 D에게 자동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런 방식으로 계속하면 나머지 비상연락망 E, F, G, H 에게 비상연락이 모두 전달되게 된다.       In addition, if C has a caller's telephone number of the emergency contact message received from B to be 010-2222 -2222-00 (assuming that the entire emergency contact network is A, B, C, D, E, F, G, H) ) C can automatically forward the received message back to the third emergency contact network D. If you continue in this way, all emergency contacts will be delivered to the remaining emergency contacts E, F, G, and H.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s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자신에게 필요한 특정 기능을 단축키로 지정하여, 다양한 예약 실행 조건의 설정에 의해 예약 실행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활용의 폭을 넓힐 수 있 다. 또한 특정 기능을 반복적으로 이용하는 사용자로서는 단축키를 지정하여 예약 실행시키는 것에 의해 편리하게 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designating a specific function required by the user as a shortcut key and enabling the reservation to be executed by setting various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s, the utiliz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xpanded. In addition, a user who repeatedly uses a specific function has an effect that the function can be conveniently used by specifying a shortcut key and executing the reservation.

Claims (7)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특정 기능을 예약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       In the method for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to reserve the specific function, (a)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라는 명령에 해당하는 단축키를 지정하여 상기 특정 기능을 상기 단축키에 대응시키는 단계;       (a) assigning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a command of a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perform the specific function and corresponding the specific function to the shortcut key; (b) 상기 단계 (a)에서 지정된 상기 단축키가 자동 실행되도록 하는 예약 실행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b) setting a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for automatically executing the shortcut key specified in step (a); (c) 상기 단계 (b)에서 설정한 상기 예약 실행 조건이 충족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determining whether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set in the step (b) is satisfied; And (d)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예약 실행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지정된 상기 단축키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기능을 자동 실행시키는 단계       (d) automatically executing the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designated shortcut key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c) that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is satisfie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지정 단축키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기능을 예약 실행하는 방법.       And performing a reservation function for the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a user-specified shortcut ke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단계 (a)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데 요구되는 키조합을 상기 단축키의 내용으로 저장시킴으로써 상기 특정 기능을 상기 단축키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지정 단축키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기능을 예약 실행시키는 방법.       In the step (a), the user specified shortcut key is assigned to the shortcut key by storing the key combination required for the user to execute the specific function as the content of the shortcut key. And executing the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reserva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단계 (b)에서의 상기 예약 실행 조건은, 일정 시간의 경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지정 단축키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기능을 예약 실행시키는 방법.       And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in step (b) is a predetermined time elaps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단계 (b)에서의 상기 예약 실행 조건은, 음성 통화, SMS 메시지 착신, MMS 메시지 착신 또는 WAP Push 발생의 이벤트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지정 단축키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기능을 예약 실행시키는 방법.       The specified execution condition in the step (b), characterized in that the event of the voice call, SMS message incoming, MMS message incoming or WAP Push occurs, the specific corresponding to the user-specific shortcut ke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 to schedule a feature to ru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단계 (b)에서의 상기 예약 실행 조건은, 발신자 전화번호나 수신자 전화번호를 식별하여 설정할 수 있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사용자 지정 단축키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기능을 예약 실행시키는 방법.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in the step (b) is a condition for identifying and setting the calling party number or the calling party number. Way.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숫자키와 방향키 및 기능키를 구비하는 키패드;       A keypad having numeric keys, direction keys, and function keys; 사용자가 상기 키패드를 이용하여 설정하는 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단축키와 상기 단축키의 예약 실행 조건을 저장하는 메모리;       A memory for storing a shortcut key corresponding to a specific function set by the user using the keypad and a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of the shortcut key;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단축키의 상기 예약 실행 조건이 충족되는가를 판단하여 상기 예약 실행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단축키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시키는 제어부;       A controller which determines whether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of the shortcut key stored in the memory is satisfied and executes the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key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is satisfied;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부; 및       A transmitter / receiver responsib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키패드를 통한 입력 사항과 상기 메모리를 통한 저장 사항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한 전송 사항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사항을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o the user input items through the keypad, storage items through the memory, transmission items through the transmitter / receiver unit, and control items by the controller under control of the controll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단축키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기능을 예약 실행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unction to reserve the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specified shortcut ke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축키와 상기 단축키에 대응된 상기 특정 기능을 지정하고 상기 예약 실행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로서의 키패드에, 상기 단축키의 지정을 위한 별도의 기능키와 예약 실행을 위한 별도의 기능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가 지정한 단축키에 대응하는 상기 특정 기능을 예약 실행시키는 기능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On the keypad as the input unit for designating the shortcut key and the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shortcut key and setting the reservation execution condition, a separate function key for designation of the shortcut key and a separate function key for reservation execution are provided. And a function of making a reservation for the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a shortcut key specified by the user.
KR1020040082866A 2004-10-15 2004-10-15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execution of user-defined-hot-key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3366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866A KR20060033664A (en) 2004-10-15 2004-10-15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execution of user-defined-hot-key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866A KR20060033664A (en) 2004-10-15 2004-10-15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execution of user-defined-hot-key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664A true KR20060033664A (en) 2006-04-19

Family

ID=37142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866A KR20060033664A (en) 2004-10-15 2004-10-15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execution of user-defined-hot-key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366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681B1 (en) * 2011-10-19 2012-06-28 배경덕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perating specific function when activa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19160395A1 (en) * 2018-02-19 2019-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pping function of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9419B2 (en) 2011-10-19 2017-10-03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KR101160681B1 (en) * 2011-10-19 2012-06-28 배경덕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perating specific function when activaing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179298B2 (en) 2011-10-19 2015-11-03 Firstface Co., Ltd.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 when mobi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 wh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ctivated
US9307396B2 (en) 2011-10-19 2016-04-05 Firstface Co., Ltd. System,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upon activ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9633373B2 (en) 2011-10-19 2017-04-25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9639859B2 (en) 2011-10-19 2017-05-02 Firstface Co., Ltd. System,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isplaying advertisement upon activ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918074B2 (en) 2011-10-19 2014-12-23 Ideazzan Company, Inc.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ing medium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 when mobi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specific function when mobile communiction terminal is activated
US9959555B2 (en) 2011-10-19 2018-05-01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1551263B2 (en) 2011-10-19 2023-01-10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9978082B1 (en) 2011-10-19 2018-05-22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0896442B2 (en) 2011-10-19 2021-01-19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1550456B2 (en) 2018-02-19 2023-0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mapping function of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19160395A1 (en) * 2018-02-19 2019-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mapping function of appl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70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changing setting with the position of that
KR100282958B1 (en) Method for displaying the current time of called party in portalbe mobile teminal
KR100450967B1 (en) Method for composing user&#39;s customized menu in portable radio telephone
JPH10190814A (en) Radio telephone set
KR10159034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ouch screen
KR100590349B1 (en) Method for controlling personal lock in a mobile station
CN101515968A (en) Method and device for answer the calling from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96142B1 (e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 of sms message sending and sustaining of sms message receiving
KR20060096214A (en) Mobile terminal providing communication recodrds of user and communication recodrds method using the same
US20090137224A1 (en) Computer-assisted telephony system
KR200600336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execution of user-defined-hot-key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58752A (en) Method for managing electronic name car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90098027A (en) Wireless mobile terminal with various responding methods by menu and method thereof
KR20050010609A (en) Phone and method for displaying selectable function during the call
WO1999057880A1 (en) Programmable time-controlled functions in mobile terminal handsets
KR100820793B1 (en) Method for remote control mobile terminal
KR100724405B1 (en) Method for representing status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y using phone-book
KR100677351B1 (en) Remote control method for alarm and morning cal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90017010A (en) Method for providing two phone service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minal having two phone service function
KR100834659B1 (en) The method for telephone communication, short message transmission and call number storing of call number using a plurality of call number in mobile terminal
KR100241776B1 (en) Local area auto-dialing method in portable telephone
KR10068464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has an agent program for remote vicarious handling of specific function and remote vicarious handling method using the agent program
KR100556855B1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9417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ontrol function through user touch detection and its control method
KR100737310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