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926A - Portable terminal with digital doorlock release function and digital doorlock therefor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with digital doorlock release function and digital doorlock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926A
KR20060031926A KR1020040080907A KR20040080907A KR20060031926A KR 20060031926 A KR20060031926 A KR 20060031926A KR 1020040080907 A KR1020040080907 A KR 1020040080907A KR 20040080907 A KR20040080907 A KR 20040080907A KR 20060031926 A KR20060031926 A KR 20060031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password
portable terminal
digit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9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종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1926A/en
Publication of KR20060031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9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5Door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는 사용자의 지문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미리 등록된 지문 또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도어락 해제신호를 디지털 도어락으로 무선으로 전송한다. 디지털 도어락은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도어락 해제신호가 무선으로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relessly transmits a door lock release signal for releasing the lock of the door to the digital door lock when the fingerprint or the password of the user matches the previously registered fingerprint or the password. The digital door lock unlocks the door in response to the door lock release signal being received wirelessly from the portable terminal.

디지털 도어락, 휴대형 단말, 비밀번호, 지문 인식.Digital door lock, portable terminal, password, fingerprint recognition.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 해제 기능을 가지는 휴대형 단말기 및 그를 위한 디지털 도어락{PORTABLE TERMINAL WITH DIGITAL DOORLOCK RELEASE FUNCTION AND DIGITAL DOORLOCK THEREFOR} PORTABLE TERMINAL WITH DIGITAL DOORLOCK RELEASE FUNCTION AND DIGITAL DOORLOCK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해제 시스템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door lock releas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처리 흐름도,2 is a flowchar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의 화면 디스플레이 예시도.
3A and 3B illustrate screen display examples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doorlock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으로 디지털 도어락을 해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doorlock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motely unlocking a digital door lock.

통상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비밀번호 입력, 지문 인식, 메모리 카드와 같은 전자식 열쇠의 접촉 또는 근접 등에 의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Typically, the digital door lock is intended to unlock the door by entering a password, fingerprint recognition, contact or proximity of an electronic key such as a memory card.

그러나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가 키패드상의 숫자키를 눌러 비밀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보안성이 떨어진다. 즉, 주위에 다른 사람이 있는 경우에 비밀번호의 입력이 노출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키패드의 설치 위치에 따라 숫자를 보면서 입력하기 위해 몸을 숙여야 하는 동작이 필요할 수도 있다. 지문 인식에 의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락은 고정 설치된 지문 입력부에 맞춰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 전자식 열쇠에 의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디지털 도어락은 사용자가 전자식 열쇠를 휴대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the digital door lock, which is intended to unlock the door by entering a password, is less secure as the user enters the password by pressing a numeric key on the keypad. In other words, the input of a password may be exposed when there are other people around.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keypad, you may need to lean to enter the numbers while watching. The digital door lock, which is intended to unlock the door by fingerprint recognition, is inconvenient because the user must touch his or her finger in accordance with the fixed fingerprint input unit. The digital door lock, which is intended to unlock the door by the electronic key,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the electronic key.

한편 김영수에 의해 발명되어 2003년 10월 04일자로 공개된 국내 공개번호 특2003-0077824(명칭: 도어락 시스템)에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도어락부의 개폐동작을 원격 제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차기만에 의해 발명되어 2003년 07월 16일자로 공개된 국내 공개번호 특2003-0060864호(명칭: 중계기를 이용한 도어락 인터폰 시스템)에는 도어락과 외부에 있는 거주자의 비상연락처 단말기를 중계기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거주자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비밀번호를 비상연락처 단말기에 의해 중계기로 송신하는 것에 의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domestic publication No. 2003-0077824 (name: door lock system), which was invented by Kim Young Soo and published on October 04, 2003, discloses a technology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lock part using a remote control. In addition, domestic publication No. 2003-0060864 (name: door lock intercom system using a repeater), which was invented by Ki-man and published on July 16, 2003, uses a door lock and an emergency contact terminal of an occupant located outside. By connecting, the technology for unlocking the door is disclosed by transmitting a password for the occupant to unlock the door to the repeater by the emergency contact terminal.

상기한 기술들에 따르면, 리모콘을 이용하거나 거주자가 외부에서 비상연락처 단말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 국내 공개번호 특2003-0077824에 따르면, 별도의 리모콘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리모콘을 휴대하여야만 한다. 또한 상기 국내 공개번호 특2003-0060864호는 중계기를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중계기가 거주자의 비상연락처로 전화를 하여 거주자와 연결한 후 거주자가 비밀번호를 송신하는 방식이므로, 전화 사용에 따른 과금이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자신의 원하는 때에 비상연락처 단말기를 사용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는 없다.
According to the above techniques, it is possible to remotely unlock the door by using a remote control or by using an emergency contact terminal externally. However, according to the domestic publication number 2003-0077824, not only a separate remote control is required, but also the user must carry the remote control. In addition, the domestic publication No. 2003-0060864 requires not only a repeater, but also a repeater dials the emergency contact number of the occupant and connects with the occupant, so that the occupant transmits a password. The user cannot use the emergency contact terminal to unlock the door at his or her own request.

따라서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디지털 도어락을 원격으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remotely release the digital door lock simply by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a user normally carries.

또한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보안성을 확보하면서 디지털 도어락을 원격으로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digital door lock to be remotely released while securing the security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the user usually carries.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는 사용자의 지문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미리 등록된 지문 또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도어락 해제신호를 디지털 도어락으로 무선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wirelessly transmitting a door lock release signal for releasing the lock of the door to the digital door lock when the fingerprint or the password of the user matches a pre-registered fingerprint or password.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은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도어락 해제신호가 무선으로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is unlocked in response to the door lock release signal being received wirelessly from the portable terminal.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해제 시스템 구성도로서, 휴대형 단말기로서 휴대형 전화기에 적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의 디지털 도어락 해제 시스템은 디지털 도어락(100)과 휴대형 전화기(102)로 구성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igital door lock releas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pplied to a portable telephone as a portable terminal. The digital door lock release system of FIG. 1 consists of a digital door lock 100 and a portable telephone 102.

상기 디지털 도어락(100)은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과 마찬가지로 제어부(104)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06)와 메모리(108)와 도어 잠금장치(110)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인터페이스(112)를 더 구비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6)는 비밀번호 설정이나 입력을 위한 키 입력부와,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다. 메모리(108)는 비밀번호 등을 저장하며, 도어 잠금장치(110)는 제어부(104)의 제어에 따라 도어를 잠그거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 제어부(104)는 통상의 디지털 도어락과 마찬가지로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입력되면 도어 잠금장치(110)에 의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102)로부터 도어락 해제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도어 잠금장치(110)에 의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The digital door lock 100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104, a user interface 106, a memory 108 and a door lock device 110, as well as a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2). The user interface 106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setting or inputting a password and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operation state. The memory 108 stores a password and the like, and the door locking device 110 locks the door or unlocks the doo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4. The control unit 104 not only unlocks the door by the door lock device 110 when a pre-registered password is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106, but also wirel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door lock releas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2 through the interface 112, the door is unlocked by the door locking device 110.

상기 휴대형 전화기(102)는 통상적인 휴대형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14)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16)와 메모리(118)와 휴대전화 통신부(124)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문 입력부(120)와 무선 인터페이스(122)를 더 구비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6)는 각종 키 입력을 위한 키 입력부와,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마이크, 스피커,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구비한다. 메모리(118)는 제어부(114)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 장하며 제어부(114)의 워킹 메모리를 제공한다. 휴대전화 통신부(124)는 제어부(114)와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도시하지 않았음) 간의 무선 통신 링크를 제공한다. 제어부(114)는 통상적인 휴대전화 기능을 수행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문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지문을 입력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116)의 키 입력부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미리 등록된 지문 또는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도어락 해제신호를 무선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1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지문 또는 비밀번호의 등록은 사용자에 의해 사전에 입력되어 메모리(118)에 저장됨으로써 이루어진다.The portable telephone 102 not only includes a control unit 114, a user interface 116, a memory 118, and a mobile telephone communication unit 124, like a conventional portable telephone, but also includes a fingerprint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0 and a wireless interface 122 is further provided. The user interface 116 includes 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various keys, a display device for providing a screen, a microphone, a speaker, a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and the like. The memory 118 stores a program and various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114 and provides a working memory of the control unit 114. The cellular phone communication unit 124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link between the control unit 114 and a base station (not show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controller 114 not only performs a typical mobile phone function, but also inputs a user's fingerprint through the fingerprint input unit 120 or a password through a key input unit of the user interface 11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registered fingerprint or password match, the door lock release signal for releasing the lock is transmitted to the digital door lock 100 through the wireless interface 122. Registration of the fingerprint or password is made by inputting in advance by the user and stored in the memory 118.

상기한 무선 인터페이스들(112,122)로서는 예를 들어 IrDA(Infrared Data Access) 방식에 따른 디바이스를 사용한다.As the air interfaces 112 and 122, a device according to an Infrared Data Access (IrDA) scheme is used.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4)의 처리 흐름도를 보인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어락(100)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고자 사용자 인터페이스(116)의 키 입력부를 통해 도어락 해제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14)는 (200)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202)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도어락 해제 모드는 통상적인 휴대형 전화기에서 제공하는 각종 메뉴들 중에 하나로 포함시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락 해제 모드에서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과 지문 입력 중에 한가지 타입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now to FIG. 2, which shows a process flow diagram of the control unit 11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selects a door lock release mode through a key input unit of the user interface 116 to unlock the door of the door lock 100. In response to this, the control unit 114 executes step (202). The door lock release mode is included in one of various menus provided by a conventional portable telephone to be selected by a us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oor lock release mode, the user can select one of a password input and a fingerprint input.

상기 (202)단계에서 제어부(114)는 예를 들어 "1.비밀번호 입력 2. 지문 입력"의 메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16)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16)의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 타입에 따른 사용자의 키 입력을 받는다. 그러면 사용자는 비밀번호 입력에 의해 도어 잠금을 해제하기를 원하면 숫자 "1"을 입력하고, 지문 입력에 의해 도어 잠금을 해제하기를 원하면 숫자 "2"를 입력한다.In step 202, the control unit 114 displays, for example, a menu of “1. Password input 2. Fingerprint input” through a display device of the user interface 116 and inputs it through a key input unit of the user interface 116. Receives the user's key input according to the type. The user then enters the number "1" if he wants to unlock the door by entering a password, and enters the number "2" if he wants to unlock the door by entering a fingerprint.

상기 (202)단계에서 비밀번호 입력이 선택되면, 제어부(114)는 (204)단계에서 도 3a와 같은 비밀번호 입력화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16)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16)의 키 입력부를 통해 (206)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입력하는 비밀번호는 도 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제 번호 대신에 *표시를 하여 타인이 화면을 보더라도 알 수 없도록 한다.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입력한 후 전송 버튼을 입력하면, 제어부(114)는 (208)단계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가를 검사한다. 만일 입력된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114)는 (212)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16)의 디스플레이장치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화면 및/또는 오디오로 출력하고 종료한다. 이와 달리 입력된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면, 제어부(114)는 (210)단계에서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도어락 해제신호를 무선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1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디지털 도어락(100)의 제어부(104)는 무선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102)로부터 도어락 해제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도어 잠금장치(110)에 의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When the password input is selected in step 202, the controller 114 displays the password input screen as shown in FIG. 3A through the display device of the user interface 116 in step 204, and inputs a key of the user interface 116. In step 206, a password is input from the user. At this time, the password entered by the user is marked with * instead of the actual number as shown in FIG. 3A so that other users cannot see the screen. If the user inputs a password after inputting the password, the controller 114 checks whether the password input in step 208 matches the password registered in advance. If the input password does not match the previously registered password, the controller 114 outputs an error message to the screen and / or audio through the display device and / or the speaker of the user interface 116 in step 212 and ends. do. In contrast, if the input password matches the previously registered password, the controller 114 transmits a door lock release signal for releasing the door lock to the digital door lock 100 through the wireless interface 122 in step 210. . Then, the control unit 104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unlocks the door by the door locking device 110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door lock release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2 through the wireless interface 112.

한편 상기 (202)단계에서 지문 입력이 선택되면, 제어부(114)는 (214)단계에서 도 3b와 같은 지문 입력화면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16)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 해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스캔 버튼을 입력하면 지문 입력부(120)를 통해 (216)단계에서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한다. 이후 제어부(114)는 (218)단계에서 스캔에 따른 지문 화상 패턴을 미리 등록된 지문 화상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가를 검사한다. 만일 입력된 지문 화상 패턴과 미리 등록된 지문 화상 패턴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114)는 상기 (212)단계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16)의 디스플레이장치 및/또는 스피커를 통해 에러 메시지를 화면 및/또는 오디오로 출력하고 종료한다. 이와 달리 입력된 입력된 지문 화상 패턴이 미리 등록된 지문 화상 패턴과 일치하면, 제어부(114)는 상기 (210)단계에서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도어락 해제신호를 무선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디지털 도어락(10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디지털 도어락(100)의 제어부(104)는 무선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휴대형 단말기(102)로부터 도어락 해제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도어 잠금장치(110)에 의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If the fingerprint input is selected in step 202, the controller 114 displays the fingerprint input screen as shown in FIG. 3B through the display device of the user interface 116 in step 214, and the user inputs a scan button. In operation 216, the fingerprint of the user is scanned through the fingerprint input unit 120. In step 218, the controller 114 compares the fingerprint image pattern according to the scan with a pre-registered fingerprint image pattern and checks whether it matches. If the input fingerprint image pattern does not match the pre-registered fingerprint image pattern, the controller 114 displays an error message on the screen and / or the display device and / or the speaker of the user interface 116 in step 212. Output as audio and exit. On the contrary, if the input fingerprint image pattern that is input coincides with the pre-registered fingerprint image pattern, the control unit 114 digitally outputs a door lock release signal for releasing the door lock through the wireless interface 122 in step 210. Transfer to the door lock 100. Then, the control unit 104 of the digital door lock 100 unlocks the door by the door locking device 110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door lock release signal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2 through the wireless interface 112.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통상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미리 등록된 지문을 입력함으로써 원격으로 도어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remotely unlock the door by inputting a correct password or a pre-registered fingerprint by using a portable terminal that many people usually carry.

이에 따라 전자식 열쇠나 리모콘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고, 휴대형 단말기를 사용하여 비밀번호나 지문을 입력하므로 주위에 다른 사람이 있는 경우에도 비밀번호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간편하고 편리하게 도어락을 원격으로 해제시킬 수 있다.This eliminates the need to carry a separate device, such as an electronic key or remote control, and uses a portable terminal to enter a password or fingerprint so that security can be ensured by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password even when there are other people around. The door lock can be remotely unlocked simply and conveniently.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이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전화기에 적용하는 예를 들었으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다른 형태의 휴대형 단말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한 사용자가 비밀번호 입력과 지문 입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한 예를 들었으나, 이들 중 어느 한가지 방식만을 적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given an example of application to a portable telephone, the same applies to other types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n addition, although the example is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password input and fingerprint input, only one of them can be applie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equivalent of claims an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많은 사람들이 통상적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미리 등록된 지문을 입력하여 원격으로 도어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전자식 열쇠나 리모콘 등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휴대할 필요가 없고, 주위에 다른 사람이 있는 경우에도 비밀번호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간편하고 편리하게 도어락을 원격으로 해제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ortable terminal that many people usually carry, so that the user inputs a correct password or inputs a pre-registered fingerprint to remotely unlock the door, so that a separate key such as an electronic key or a remote controller is used. There is no need to carry the device, and even if there are other people around,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ecurity by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password, and can easily unlock the door lock remotely.

Claims (3)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In a portable terminal, 디지털 도어락과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 인터페이스와,A wireless interface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igital door lock,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여 입력하기 위한 지문 입력부와,A fingerprint input unit for scanning and inputting a user's fingerprint; 상기 스캔에 따른 지문 화상 패턴이 미리 등록된 지문 화상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도어락 해제신호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door lock release signal for releasing a door lock to the digital door lock through the wireless interface when the fingerprint image pattern according to the scan matches a pre-registered fingerprint image pattern. .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In a portable terminal, 디지털 도어락과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 인터페이스와,A wireless interface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igital door lock, 사용자에 의한 비밀번호 입력을 위한 키 입력부와,A key input unit for inputting a password by a user, 상기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기 위한 도어락 해제신호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지털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단말기.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a door lock release signal for releasing a door lock to the digital door lock through the wireless interface when the input password matches a pre-registered password. 디지털 도어락에 있어서,In the digital door lock, 휴대형 단말기와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 인터페이스와,A wireless interface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terminal, 소정 제어에 따라 도어를 잠그거나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잠금장치와,A door lock device that locks the door or unlocks the door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휴대형 단말기로부터 도어락 해제신호가 수신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도어 잠금 장치에 의해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And a control unit for releasing the door lock by the door locking device in response to the door lock release signal being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wireless interface.
KR1020040080907A 2004-10-11 2004-10-11 Portable terminal with digital doorlock release function and digital doorlock therefor KR200600319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907A KR20060031926A (en) 2004-10-11 2004-10-11 Portable terminal with digital doorlock release function and digital doorlock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907A KR20060031926A (en) 2004-10-11 2004-10-11 Portable terminal with digital doorlock release function and digital doorlock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926A true KR20060031926A (en) 2006-04-14

Family

ID=3714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907A KR20060031926A (en) 2004-10-11 2004-10-11 Portable terminal with digital doorlock release function and digital doorlock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192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834A (en) 2017-09-11 2019-03-21 (주)링크일렉트로닉스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oor lock apparatus using RSSI reference value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10097B2 (en) 2011-10-19 2019-12-17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0896442B2 (en) 2011-10-19 2021-01-19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US11551263B2 (en) 2011-10-19 2023-01-10 Firstface Co., Ltd. Activating display and performing additional function in mobile terminal with one-time user input
KR20190029834A (en) 2017-09-11 2019-03-21 (주)링크일렉트로닉스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oor lock apparatus using RSSI reference val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9007B2 (en) Locking / unlocking control system
KR100576797B1 (en) Digital door-lock system for home-automation
JPH10292688A (en) Method for locking and unlocking door
JP2006319649A (en) Portable terminal, and its use restriction method
KR101979373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installed door-lock application
JP2000002029A (en) Electronic lock system
WO2004020768A1 (en) Electronic door lock
KR20170024414A (en) Digital door-lock apparatus using a smart phone
KR101144450B1 (en) Method for qualifying access of user application in portable terminal
JP2002129792A (en) Method for controlling entry to room using access terminal of cellular phone or the like having internet connect function
JP4344303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JP4581230B2 (en) Entrance / exit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60031926A (en) Portable terminal with digital doorlock release function and digital doorlock therefor
KR100265416B1 (en) Electtronic door lock for recognizing finger mark.
KR100836366B1 (en) Non tocuch type smart digital door rock
JP2001003615A (en) Unlockable interphone device utilizing mobile portable terminal
JP2007191915A (en) Electronic lock system and program therefor
JP6796804B2 (en) Electric lock system and electric lock device
KR20030042479A (en) door lock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100638025B1 (en) Locking release system
JP2009007799A (en) Reader apparatus, auto-lock door, and room entry/exit control system
JP2006188844A (en) Cellular phone and electric lock system
JP2008211501A (en) Interphone system
JPH0730677A (en) Door lock control system using radio telephone set
KR100374029B1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user using voice recognition function of mobile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