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8115A -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8115A
KR20060028115A KR1020040077148A KR20040077148A KR20060028115A KR 20060028115 A KR20060028115 A KR 20060028115A KR 1020040077148 A KR1020040077148 A KR 1020040077148A KR 20040077148 A KR20040077148 A KR 20040077148A KR 20060028115 A KR20060028115 A KR 20060028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vowel
consonant
as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수운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7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8115A/ko
Publication of KR2006002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키패드의 각 키에 한글 자음은 유사한 형태끼리 2~3개씩 할당하며 한글 모음은 모음을 형성하기 위한 음소 하나만 할당하고, 키패드의 각 키에 할당된 음소를 조합함으로써 한글 모음을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키패드에 모음에 해당하는 글자획의 모양에 따라 모음을 '-',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01
', 'ㅡ', 'ㅣ' 로 구분하여 각 키에 할당한다. 이러한 키패드에 할당된 '-',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02
', 'ㅡ', 'ㅣ'의 키로 모든 모음의 조합이 가능하다.
한글, 입력, 통신 단말기

Description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과정의 흐름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시 제어흐름도.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키입력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용이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단말기 및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를 구비한다. 이러한 키패드는 복수의 키들을 가지며 복수의 키들 각각에는 한글의 자음 또는 모음이 맵 핑된다. 이는 한글이 예컨대, 자음(초성)+모음(중성) 또는 자음(초성)+모음(중성)+자음(종성)과 같이 자음 및 모음의 결합으로 구성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초성은 한 음절에서 맨 처음에 나는 자음이고, 중성은 한 음절에서 가운데에 나는 모음이며, 종성은 한 음절이 끝소리가 되는 자음을 말한다.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에 구비된 복수의 키들 중 입력할 자음 또는 모음에 해당하는 키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을 위한 키패드는 일반적으로 10~12개로 한정되므로,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하나의 숫자키에 2~4개가 할당되어 있다. 즉, 한글의 24개의 모음 및 자음을 모두 표현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키에 다수 개의 모음과 자음을 대응시켜 할당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글 입력 모드에서 원하는 한글의 모음 또는 자음이 할당된 숫자키를 2~3회 눌러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한다. 즉, 입력하는 횟수에 따라 한글의 모음 또는 자음의 배열이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순환되며 통신 단말기에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한글 입력 방법은 한글 입력 모드에서 모음 입력 시 양성 모음(ㅏ,ㅗ), 음성 모음(ㅓ,ㅜ), 복모음의 경우 과다한 입력타수를 요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동일한 키에 할당된 모음은 하나의 글자로 결합될 빈도 즉, 유사한 형태에 따라 2~3개씩 선택된 것이므로, 최소한의 키입력으로 모음을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 모음을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모음 입력키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한글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 통신 단말기 및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에서 키패드를 이용하여 한글을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키패드의 각 키에 한글 자음은 유사한 형태끼리 2~3개씩 할당하며 한글 모음은 모음을 형성하기 위한 음소 하나만 할당하고, 키패드의 각 키에 할당된 음소를 조합함으로써 한글 모음을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키패드에 모음에 해당하는 글자획의 모양에 따라 모음을 '-',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03
', 'ㅡ', 'ㅣ' 로 구분하여 각 키에 할당한다. 이러한 키패드에 할당된 '-',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04
', 'ㅡ', 'ㅣ'의 키로 모든 모음의 조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제어부(10), 키패드(20), 표시부 (30), 메모리(40), 무선부(50) 및 음성처리부(60)로 구성된다.
먼저, 제어부(10)는 통상적으로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등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들의 조합에 따라 모음 및 자음을 메모리(40)로부터 독출하여 표시부(30)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는 모음 중 'ㅏ' 및 'ㅓ'는 상기 'ㅣ' 및 '-'키의 각 1회 키눌림에 의해 조합되어 입력되며, 'ㅗ','ㅜ'는 상기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05
' 및 'ㅡ'키의 각 1회 키눌림에 의해 조합되어 입력되며, 'ㅑ' ,'ㅕ'는 'ㅏ' ,'ㅓ'를 입력한 후 상기 '-'키가 다시 눌림에 의해 입력되며, 'ㅛ','ㅠ'는 상기 'ㅗ','ㅜ'를 입력한 후 상기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06
'키가 다시 눌림에 의해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키패드(2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로써 각종 기능키 및 숫자(0~9)키, 특수키(*,#) 등의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0)에 제공한다. 즉, 키패드(20)는 구비된 각 키의 입력에 따라 그 고유의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하고, 키패드(20)에서 출력되는 키입력 데이터는 제어부(10)에 인가되어 이러한 키입력 데이터가 어떠한 키 입력에 따른 키입력 데이터가 되는지가 검출되어, 그 결과에 따라 제어부(1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20)에는 각 키들에 격음이 없는 기본자음은 하나씩 할당되며 격음 및 경음과 관련되는 기본 자음은 상기 격음 및 경음과 함께 할당되고,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모음키로써 'ㅣ',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07
', 'ㅡ', '-'가 하나씩 할당된 키가 설치된다.
그리고 표시부(30)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키패드(20)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데이터에 대한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거나, 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로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30)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구동시킴에 있어 그 상태를 가시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표시부(30)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여러 가지 기능을 보여주는 메뉴 화면 및 선택빈도수에 따라 구성된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부(30)는 한글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0)와 연결되는 메모리(40)는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다수의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 Read Only Memory) 및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메모리(40)는 제어부(10)에 의해 처리된 메시지를 저장하거나 사용자의 편리성과 기본적인 여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정의 프로그램 및 기본적으로 통신 단말기에 제공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40)는 키패드(20)의 각 키들에 자음 및 모음을 맵핑시켜 저장하며, 키패드(20)의 각 키들이 연속하여 입력되는 경우에 키입력에 따라 할당된 문자를 출력하기 위해 각 키들의 조합에 따른 자음 및 모음을 저장한다.
그리고 무선부(50)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며, 음성처리부(60)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무선부(50)에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매트릭스의 키패드 배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20)를 도시한 도면인 도 2를 참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키패드의 각 키에는 2개의 자음 또는 하나의 모음이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키패드의 각 키에 할당된 자음 및 각 키에 할당되어 있지 않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경음을 동일 자음키를 입력하는 횟수에 따라 입력 가능하도록 한다. 즉, 동일 자음키가 입력되는 횟수에 따라 그 자음키에 할당된 자음의 배열이 순서대로 순환되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이들 본 발명에 따른 키들 중 9번키에 의해 지시되는 키 'ㅣ' , *키에 의해 지시되는 키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08
', 0번키에 의해 지시되는 키 'ㅡ', #키에 의해 지시되는 키 '-' 들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즉, 다른 자음이 할당된 키들과 구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서는 모음을 형성하기 위한 'ㅣ',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09
', 'ㅡ', '-'의 키를 빗금으로 표시하였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자음 입력 방법과 모음 입력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모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면, 모음은 9번키, *키, 0번키, #키에 각각 할당된 'ㅣ',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10
', 'ㅡ', '-'의 키를 이용하여 입력된다.
이러한 모음은 크게 기본 모음과 이중 모음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키패드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본 모음은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이며, 이중 모음은 'ㅐ','ㅒ' ,'ㅔ','ㅖ',' ㅘ','ㅙ','ㅝ','ㅞ','ㅟ','ㅢ'이다.
또한, 기본 모음은 다시 홑모음과 겹모음으로 나뉘어지는데, 기본 모음 중 홑모음은 'ㅏ','ㅓ','ㅗ','ㅜ','ㅡ','ㅣ' 이고, 겹모음은 'ㅑ','ㅕ','ㅛ','ㅠ'이다. 이러한 각 모음키의 구체적인 조합 형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홑모음 중 'ㅡ','ㅣ'는 9번키와 0번키를 한번 누르는 것에 의해 입력 가능하다. 또한 홑모음 중 'ㅗ','ㅜ'는 0번키와 *키의 조합에 의해 입력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ㅗ'는 *키에 할당된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11
' 및 0번키에 할당된 'ㅡ'를 한번 누르는 것에 의해 입력 가능하다.
그리고 홑모음 중 'ㅏ','ㅓ'는 9번키에 할당된 'ㅣ'와 #키에 할당된 '-'를 한번 누르는 것에 의해 입력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키에 할당된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12
'는 모음 'ㅣ'와 유사하지만 그 크기가 절반 이하인 마치 점과 같은 형태이다. 이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가능하도록 표기한 것이다.
한편, 겹모음 중 'ㅑ','ㅕ'는 'ㅣ'를 입력한 후 #키에 할당된 '-'를 두번 누르는 것에 의해 입력 가능하다. 그리고 겹모음 중 'ㅛ','ㅠ'는 'ㅡ'를 입력한 후 *키에 할당된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13
'를 두번 누르는 것에 의해 입력 가능하다. 즉, 'ㅠ'= 'ㅡ'+'
Figure 112004043907281-PAT00014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15
'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중모음도 전술한 홑모음 및 겹모음의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입력된다. 예를 들면, 이중 모음 중 'ㅐ'는 모음'ㅣ'와 #키에 할당된 '-'의 조합이다. 구체적으로 이중 모음 'ㅐ'는 모음 'ㅏ'와 모음 'ㅣ'의 조합이다. 즉, 'ㅐ'= 'ㅣ'+ '-'+'ㅣ'이다.
따라서, 이중 모음중 'ㅖ'인 경우를 살펴보면 이는 모음'ㅕ'와 모음 'ㅣ'의 조합이다. 구체적으로 'ㅖ'는 먼저 모음 'ㅕ'를 입력하기 위하여 #키에 할당된 '-'를 두번 누른 후 9번키에 할당된 'ㅣ'를 누른 후 'ㅣ'이 할당된 9번키를 다시 누르면 된다. 즉, 이중 모음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가능한 모음의 입력 방식의 조합에 의해 입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음의 입력방법을 표1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4043907281-PAT00016
전술한 바와 같이 모음 입력은 글자 획의 생긴 모양에 따라 4가지 형태 'ㅣ',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17
', 'ㅡ', '-'로 구분되며 글씨를 쓰듯 해당하는 모양의 키를 누르면 된다. 이는 모양에 따라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되는데, 자음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모음인 경우 키패드의 오른쪽의 9번키에 할당된 'ㅣ'와 #키에 할당된 '-'을 이용하여 조합하며, 자음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모음의 경우 키패드 아래쪽의 *키에 할당된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18
' 및 0번키에 할당된 'ㅡ'를 이용함으로써 입력이 구분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ㅣ',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19
'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지는데, 9번에 할당된 'ㅣ'는 모음이며 발음상 '이'로 읽지만, *키에 할당된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20
'는 9번에 할당된 모음보다 작은 크기로서 천지인의 '·'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키에 할당된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21
'는 사용자가 인지가능한 크기이다. 이와 동일하게 'ㅡ', '-'도 서로 다른 크기이며, 그 사용 용도도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르다. 예를 들면, '-'는 점대신 입력하는 것으로서, '어'를 입력하는 경우 'ㅇ' 와 'ㅣ' 사이에 들어가는 점과 같은 역할을 하며, 그 크기는 사용자가 인지가능한 정도이며 모음 'ㅡ'보다 크기가 작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음 입력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4가지 형태의 'ㅣ',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22
', 'ㅡ', '-'키를 이용하여 모음을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
이어, 자음 입력 방법을 설명하면, 자음은 자음이 할당된 키들 및 그 키를 중복 입력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입력된다. 이러한 자음은 기본자음과 경음으로 구분되고, 그 기본 자음은 기본음과 격음으로 구분될 수 있다.
기본자음은 'ㄱ','ㄴ','ㄷ,'ㄹ','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이 있는데, 기본 자음 중 기본음은 'ㄱ','ㄴ','ㄷ,'ㄹ','ㅁ','ㅂ','ㅅ','ㅇ','ㅈ'이고 격음은 'ㅊ','ㅋ','ㅌ','ㅍ','ㅎ'이다. 그리고 경음은 'ㄲ','ㄸ','ㅃ','ㅆ','ㅉ'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 자음 중 기본음인 'ㄱ','ㄴ','ㄷ,'ㄹ','ㅁ','ㅂ','ㅅ','ㅇ','ㅈ'는 도 2의 키패드의 키들에 각각 맨앞에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격음인 'ㅊ','ㅋ','ㅌ','ㅍ','ㅎ'은 이들 격음과 관련되는 기본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에 함께 배열되어 할당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ㄱ'은 1번키를 한번 누름으로써 입력가능하며, 'ㅊ'은 'ㅈ'이 할당된 8번키를 연속하여 두번 누르는 것에 의해 입력가능하다. 즉, 'ㅋ' = 'ㄱ'+'ㄱ', 'ㅌ'='ㄷ'+'ㄷ','ㅍ'='ㅂ'+'ㅂ', 'ㅎ'='ㅇ'+'ㅇ', 'ㅊ'='ㅈ'+'ㅈ'이다.
또, 경음인 'ㄲ','ㄸ','ㅃ','ㅉ'는 각 기본자음이 할당된 키를 연속 3번 누 르는 것에 의해 입력되며, 'ㅆ'는 연속 2번 누르는 것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ㄲ'은 'ㄱ'이 할당된 1번키를 3번 누르면 입력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는 키패드의 키들에 격음이 없는 기본 자음은 하나씩 할당하며 격음이 있거나 경음이 있으면 기본 자음을 하나의 키에 할당하고 모음이 하나씩 할당된 키패드에 'ㅣ',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23
', 'ㅡ', '-'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한글의 입력 구성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과정의 흐름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한글을 입력하기 위해 통신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0)는 (300)단계에서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자음 및 모음이 할당된 여러 키들 중 하나의 특정한 문자키의 입력이 있을 경우 (310)단계에서 그 입력횟수를 파악한다. 이후 (320)단계에서 입력 횟수에 따라 눌러진 키에 할당된 문자들이 다수일 경우 문자 배열이 순환하고 그 순서에 따라 해당 문자를 변환시켜 디스플레이한다. 다음 (330)단계에서 제어부(10)는 무자 입력 완료키의 입력을 판단하여 입력이 완료됨을 판단하면 (340)단계로 진행하여 문자 입력 과정을 완료하고 종료한다.
예를 들어, 1번키에 'ㄱ,'ㅋ','ㄲ'이 순서대로 할당되어 있고 사용자가 1번키를 누른다면 'ㄱ'이 표시되고, 한번씩 더 누를 때마다 'ㄱ'→'ㅋ'→'ㄲ'순으로 변환하면서 표시되어 사용자가 'ㅋ'을 입력하기를 원한다면 1번키를 연속하여 2번 눌러야한다.
그러면, 전술한 바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에서 한글 입력 시 제어흐름도인 도 4 및 도 5를 참조한다.
먼저, (400)단계에서 사용자에 선택에 의해 한글 입력 모드가 수행되면 제어부(10)는 (41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가 (410)단계에서 모음이 할당된 키를 누른 경우 제어부(10)는 (42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모음키에 할당된 하나의 모음을 표시부(30)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해 9번키가 눌린 경우 'ㅣ'를 , 0번키가 눌린 경우 'ㅡ'를 , *키가 눌린 경우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24
', #키가 눌린 경우 '-'를 표시한다.
이어서 제어부(10)는 (430)단계에서 모음키가 눌린 후 소정 시간 이내에 키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키입력이 있는 경우 (440)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키가 모음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달리 소정 시간 이내에 키입력이 없는 경우 제어부(10)는 (460)단계로 진행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10)는 (420)단계에서 표시한 모음을 유지하고 새로운 글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을 대기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제어부(10)가 이전에 입력된 키와 현재 입력되는 키의 연관성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따라서, 제어부(10)는 이전 키입력 후 소정 시간 이내에 키입력이 있으면 이전 키입력과 현재 키입력을 조합하여 이에 대응하는 문자를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이전 키입력 후 소정 시간 이후에 키입력이 다시 있으 면 이전 키입력에 따른 문자와 현재 키입력에 따른 문자를 각각 표시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키입력이 있은 후 이 키입력 이후 입력되는 키입력과 연관성이 없음을 표시하도록 소정 키가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소정 키는 문자 완료키 또는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키가 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한편, (44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사용자에 의해 모음키 즉, 'ㅣ',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25
', 'ㅡ', '-'키 중의 어느 하나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다시 모음키가 이력되는 경우 제어부(10)는 (450)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된 모음에 모음키 입력에 따른 모음을 조합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460)단계에서 한글 입력 모드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한글 입력 모드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410)단계로 되돌아가 키입력을 대기한다.
한편, 제어부(10)는 (410)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사용자가 자음이 할당된 키를 선택하였으면 도 5의 제어 흐름의 (500)단계로 진행하는데, 도 4및 도 5에서 (410)단계와 (500)가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심볼 A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음키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10)는 (50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자음키에 할당된 자음을 표시하고 (510)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10)는 (510)단계에서 동일키입력이 있는지 즉, 눌러진 자음키를 사용자가 다시 누르는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동일한 자음키가 다시 눌린 경우 제어부(10)는 (520)단계로 진행하여 기본 자음에 대해 확장된 자음 즉, 격음을 표시한다. 즉, 도 2처럼 'ㄱ'이 할당된 키가 다시 눌리면 확장된 자음인 'ㅋ'이 표시된다.
그리고나서 제어부(10)는 (530)단계에서 다시 동일한 키입력이 있는지를 판 단하여 동일한 키가 입력된 경우 (540)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면 제어부(10)는 (540)단계에서 눌러진 자음키가 경음 가능 자음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경음이 할당된 자음키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경음 가능한 자음키인 경우 제어부(10)는 (550)단계로 진행하여 경음을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0)는 (510)단계 및 (530)단계에서 이전에 입력된 자음키와 동일한 자음키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거나, (540)단계에서 입력된 자음키에 대응한 자음이 경음 가능한 자음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도 4의 (410)단계로 되돌아가 새로운 글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을 대기한다. 그리고 도 5의 (550)단계와 도 4의 (410)단계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심볼 B를 사용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박가'라는 단어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ㅂ'+'ㅣ'+'-' 를 누른 후 방향키를 누르거나 잠깐 기다려서 다시 'ㄱ'+'ㅣ'+'-'를 눌러야한다. 만약 방향키를 누르거나 딜레이없이 글자 입력을 처리한다면 '바까'와 같이 입력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음을 글자획의 생긴 모양 그대로 입력함으로써 글자를 쓰듯 화면에 표시할 수 있으며, 모음의 위치에 따라 키패드의 오른쪽 및 아래쪽에 키를 배치하여 모음 위치에 혼동없이 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가'의 경우 자음 'ㄱ'의 오른쪽에 모음이 위치해야 하므로 키패드의 오른쪽에 모음을 배치함으로써 9번키에 할당된 'ㅣ' 및 #키에 할당된 '-'를 차례로 입력하면 된다. 또한, '고'라는 글자의 입력을 위해서는 자음 'ㄱ'의 아래 쪽에 모음이 위치해야 하므로 모음키를 키패드의 아래쪽에 배치함으로써 *키에 할당된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26
' 및 0번키에 할당된 'ㅡ'를 차례로 입력하면 된다. 그리고 자음의 입력에 있어서는 격음, 경음 입력을 위해 비슷한 모양의 자음키를 2~3번 반복적으로 누름으로써 글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ㅣ',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27
', 'ㅡ', '-'키의 배치가 도 2에 도시된 바에 한하여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그 배치의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음 입력키를 구비한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모드에서 모음 입력 시 한글 쓰기 획순과 일치하여 기존의 모음 입력 방식보다 더 쉽고 빠르게 한글을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가 그 사용법을 숙지하기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숫자키에 하나씩 할당된 4개의 모음 입력키를 통해 기존에 하나의 키에서 해당 모음을 찾아가며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표시부를 구비한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모음을 형성하기 위한 'ㅣ',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28
    ', 'ㅡ', '-'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면 상기 키입력을 조합하여 해당 모음을 표시하는 과정과,
    기본 자음이 할당된 키가 입력되면 해당 자음키에 할당된 자음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자음키가 입력된 후 동일한 자음키의 연속된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 연속된 입력이 있는 경우 연속된 입력 횟수에 따라 상기 자음키에 할당된 자음의 배열이 순서대로 순환되어 표시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모음을 표시하는 과정은
    모음 중 'ㅏ' 및 'ㅓ'는 상기 'ㅣ' 및 '-'키의 각 1회 키눌림에 의해 조합되어 입력되며, 'ㅗ','ㅜ'는 상기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29
    ' 및 'ㅡ'키의 각 1회 키눌림에 의해 조합되어 입력되며, 'ㅑ' ,'ㅕ'는 'ㅏ' ,'ㅓ'를 입력한 후 상기 '-'키가 다시 눌림에 의해 입력되며, 'ㅛ','ㅠ'는 상기 'ㅗ','ㅜ'를 입력한 후 상기 '
    Figure 112004043907281-PAT00030
    '키가 다시 눌림에 의해 입력되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이중 모음은 상기 입력 가능한 모음의 입력 방식의 조합에 의해 입력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횟수가 연속 두번일 경우 격음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 횟수가 연속 세번일 경우 상기 입력된 동일한 자음키가 경음 가능 자음키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판단 결과 경음 가능 자음키일 경우 해당 경음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077148A 2004-09-24 2004-09-24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20060028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148A KR20060028115A (ko) 2004-09-24 2004-09-24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148A KR20060028115A (ko) 2004-09-24 2004-09-24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115A true KR20060028115A (ko) 2006-03-29

Family

ID=3713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148A KR20060028115A (ko) 2004-09-24 2004-09-24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8115A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640B1 (ko) * 2008-03-25 2010-01-19 주식회사 디오텍 한글 문자 입력 장치
US20120006259A1 (en) * 2010-07-12 2012-01-12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Tension apparatus for patterning slit sheet
KR101329002B1 (ko) * 2007-01-10 2013-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글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의 한글 문자입력 방법
US8852687B2 (en) 2010-12-13 2014-10-0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US8859043B2 (en) 2011-05-25 2014-10-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same
US8859325B2 (en) 2010-01-14 2014-10-14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US8865252B2 (en) 2010-04-06 2014-10-21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same
US8871542B2 (en) 2010-10-22 2014-10-28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US8876975B2 (en) 2009-10-19 2014-11-04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US8882922B2 (en) 2010-11-01 2014-11-1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US8882556B2 (en) 2010-02-01 2014-11-11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US8894458B2 (en) 2010-04-28 2014-11-25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US8906731B2 (en) 2011-05-27 2014-12-09 Samsung Display Co., Ltd. Patterning slit sheet assembly,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the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8916237B2 (en) 2009-05-22 2014-12-23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positing thin film
US8951610B2 (en) 2011-07-04 2015-02-1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US8968829B2 (en) 2009-08-25 2015-03-03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same
US8973525B2 (en) 2010-03-11 2015-03-10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US9121095B2 (en) 2009-05-22 2015-09-01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US9249493B2 (en) 2011-05-25 2016-02-0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by using the same
US9279177B2 (en) 2010-07-07 2016-03-08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US9388488B2 (en) 2010-10-22 2016-07-1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film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same
US9450140B2 (en) 2009-08-27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9748483B2 (en) 2011-01-12 2017-08-29 Samsung Display Co., Ltd. Deposition source and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246769B2 (en) 2010-01-11 2019-04-02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KR20200000445U (ko) * 2018-08-16 2020-02-26 도종명 먼저 아래아“· ”를 입력하고 다음에 일반소리를 입력하면 한글 거센소리가 입력되게 방식의 자판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002B1 (ko) * 2007-01-10 2013-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한글 문자 입력 코드 발생 장치 및 그 장치의 한글 문자입력 방법
KR100937640B1 (ko) * 2008-03-25 2010-01-19 주식회사 디오텍 한글 문자 입력 장치
US11920233B2 (en) 2009-05-22 2024-03-05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US11624107B2 (en) 2009-05-22 2023-04-11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US10689746B2 (en) 2009-05-22 2020-06-23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US9121095B2 (en) 2009-05-22 2015-09-01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US8916237B2 (en) 2009-05-22 2014-12-23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epositing thin film
US9873937B2 (en) 2009-05-22 2018-01-23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US8968829B2 (en) 2009-08-25 2015-03-03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same
US9450140B2 (en) 2009-08-27 2016-09-20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8876975B2 (en) 2009-10-19 2014-11-04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US9224591B2 (en) 2009-10-19 2015-12-29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depositing a thin film
US10246769B2 (en) 2010-01-11 2019-04-02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US10287671B2 (en) 2010-01-11 2019-05-14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US8859325B2 (en) 2010-01-14 2014-10-14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US8882556B2 (en) 2010-02-01 2014-11-11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US8973525B2 (en) 2010-03-11 2015-03-10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US9453282B2 (en) 2010-03-11 2016-09-27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US8865252B2 (en) 2010-04-06 2014-10-21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same
US9136310B2 (en) 2010-04-28 2015-09-15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US8894458B2 (en) 2010-04-28 2014-11-25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US9279177B2 (en) 2010-07-07 2016-03-08 Samsung Display Co., Ltd. Thin film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apparatu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US20120006259A1 (en) * 2010-07-12 2012-01-12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Tension apparatus for patterning slit sheet
US8871542B2 (en) 2010-10-22 2014-10-28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manufactured by using the method
US9388488B2 (en) 2010-10-22 2016-07-1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film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same
US8882922B2 (en) 2010-11-01 2014-11-1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US8852687B2 (en) 2010-12-13 2014-10-0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US9748483B2 (en) 2011-01-12 2017-08-29 Samsung Display Co., Ltd. Deposition source and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8859043B2 (en) 2011-05-25 2014-10-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y using the same
US9249493B2 (en) 2011-05-25 2016-02-0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by using the same
US8906731B2 (en) 2011-05-27 2014-12-09 Samsung Display Co., Ltd. Patterning slit sheet assembly,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the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8951610B2 (en) 2011-07-04 2015-02-1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ayer deposition apparatus
KR20200000445U (ko) * 2018-08-16 2020-02-26 도종명 먼저 아래아“· ”를 입력하고 다음에 일반소리를 입력하면 한글 거센소리가 입력되게 방식의 자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28115A (ko)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JP4118817B2 (ja)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文字入力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170000B1 (en) User interface, and associated method, permitting entry of Hangul sound symbols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069725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방법
KR2006012220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문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 처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554130B1 (ko) 한글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089414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 문자 입력 장치
KR20100122379A (ko) 문자 입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388301B1 (ko) 정음 한글/알파벳 입력장치
KR100642107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439000B1 (ko) 동일한 입력키에 배치된 문자를 연달아 입력하는 방법
KR100258268B1 (ko) 단말기의 버튼과 화면표시장치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0948606B1 (ko) 일본어 문자 입력방법 및 장치
KR10108317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87033B1 (ko) 특수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전화기의 문자코드 발생장치 및 방법
KR10068665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0422379B1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KR100777815B1 (ko) 동시 입력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60096699A (ko)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844934B1 (ko) 문자입력장치
KR20030042273A (ko) 휴대폰의 한글입력방법
KR101086590B1 (ko)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 장치
KR100617311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4155008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文字入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