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334A -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334A
KR20060024334A KR1020057013326A KR20057013326A KR20060024334A KR 20060024334 A KR20060024334 A KR 20060024334A KR 1020057013326 A KR1020057013326 A KR 1020057013326A KR 20057013326 A KR20057013326 A KR 20057013326A KR 20060024334 A KR20060024334 A KR 20060024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force
base
wall
bra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554B1 (ko
Inventor
클라우스 호프만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호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302225A external-priority patent/DE10302225A1/d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호프만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호프만
Publication of KR20060024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23Q1/34Relative movement obtained by use of deformable elements, e.g. piezoelectric, magnetostrictive, elastic or thermally-di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23Q1/28Means for securing sliding members in any desired position
    • B23Q1/287Means for securing sliding members in any desired position using a hydraulically controlled membrane acting directly upon a slid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23Q1/28Means for securing sliding members in any desir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23Q1/42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using T-, V-, dovetail-section or like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34Feeding other members supporting tools or work, e.g. saddles, tool-slides, through mechanical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Actuator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는 베이스 부재(7) 및 힘 공급 부재(17)를 가지며, 생성된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이 상기 힘 공급 부재(17)에 의해 물체(39)에 전달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인접 벽 섹션(3)을 가지며, 상기 벽 섹션(3)의 각각의 단부 영역이 상기 베이스 부재(7) 및 상기 힘 공급 부재(17)에 각각 힘을 가하며, 상기 두 개 이상의 인접 벽 섹션(3)이 양압 또는 음압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밀봉되는 압력 챔버를 한정하며, 상기 두 개 이상의 벽 섹션(3)이 각각 휨 영역(3a)을 가지며, 상기 휨 영역(3a)은 인장력에 대해 내성이 있으며 그럼에도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7)와 상기 힘 공급 부재(17) 사이에서 상기 휨 영역(3a)이 탄성 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가 가압되지 않은 삽입 상태일 때, 상기 힘 공급 부재(17)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이 상기 물체(39)에 작용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 이상의 벽 섹션(3) 및 상기 벽 섹션(3)의 휨 영역(3a)은, 상기 압력 챔버가 양압 또는 음압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휨 영역(3a)의 굴곡 변동에 따라 상기 힘 공급 부재(17)에 의해 상기 물체(39)에 전달되는 상기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이 변화되거나, 상기 힘 공급 부재(17)가 상기 베이스 부재(7) 쪽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베이스 부재(7)로부터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한 대안예에 따르면, 두 개 이상의 인접한 벽 섹션(3)이 상기 힘 공급 부재 (17) 및/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7)와 단단히 연결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CLAMPING AND/OR BRAKE DEVICE}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전제부에 따른 특징들을 갖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램핑 또는 제동 장치는 매우 다양한 적용 분야를 갖는 매우 상이한 실시예로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EP-A-0 936 366에는 직선 가이드(linear guide)용 제동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동 장치는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따라 이동가능한 지지체를 갖는다. 지지체는 두 개의 종측면에 작용하는 제동슈(brake shoe)를 갖는다. 지지체는 H 형태로 형성되고 얇은 가요성 연결부 및 두 개의 하부 림(limb)을 가지는데, 상기 두 개의 림에 의해서 지지체가 가이드 레일 주변에 매달린다. 각각 하부 림과 가이드 레일 사이에 제동슈가 배치된다. 지지체는 두 개의 상부 림을 가지며, 상기 상부 림은 연결부와 함께 수용 공간(receptacle space)을 형성하며,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상부 림에 작용하는 힘 생성 수단이 제공된다. 이 경우, 유압적으로(hydraulically) 또는 공압적으로(pneumatically) 작동가능한 토글 레버 메카니즘(toggle lever mechanism) 또는 압전 액추에이터(piezo-actuator)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힘 변환기로 사용되는 테이퍼드 슬라이드 밸브(tapered slide valve)가 유압적으로 또는 공압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지지체 의 상부 림들 사이에서 제동 장치의 종방향으로 가늘어지는 공간 내에서 안내된다. 모든 경우에 두 개의 상부 림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탄성 연결부가 휘어질 수 있으므로, 두 개의 하부 림이 제동슈에 의해서 안쪽으로 이동하거나, 가이드 레일에 더 큰 힘이 가해진다.
전자기계 변환기, 예컨대 압전소자의 사용과 관련하여 공지된 제동 장치의 단점은 특히 진동 또는 다른 기계적 부하에 대한 민감도에 있다.
토글 레버 메카니즘 또는 테이퍼드 슬라이드 밸브를 사용하면, 전자기계 변환기와 마찬가지로 높은 조립 또는 제조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특히 클램핑 장치(clamping device)에서는 충분히 높은 클램핑력(clamping force)에 대한 요구가 존재하는데, 공지된 장치에서 이러한 클램핑력은 비교적 높은 구조적 그리고 경제적 비용에 의해서만 구현될 수 있다.
US 5,855,446에는 유압 클램핑 슬리브(hydraulic clamping sleeve)가 공지되어 있는데, 상기 클램핑 슬리브는 샤프트 상에 배열되고 샤프트와 예컨대 회전불가능하게(locked in rotation)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슬리브는 실질적으로 고정된 슬리브 바디를 가지며, 상기 슬리브 바디는 구동 샤프트(drive shaft) 주변에서 떨어져 배치된다. 이러한 슬리브 바디에 인접하게 그리고 샤프트를 향해 가압된 챔버가 제공된다. 이 경우, 실질적으로 샤프트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챔버의 측벽은 동시에 제동 부재로 사용되고, 상기 제동 부재는 챔버가 가압될 때 챔버 확장에 의해 샤프트를 향해 가압되어, 마찰에 의한 맞물림 연결이 제조될 수 있다. 챔버 옆에 인접한 벽이 ∑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챔버 가압시 슬리브가 샤프트에 대해 잘못 정렬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형 측벽은 가압된 상태일 때 샤프트를 향해 방사방향으로 측벽이 연장될 수 있게 하는데, 이러한 측벽 연장은 상승하는 챔버 압력이 샤프트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챔버 벽을 챔버 쪽으로 가압하기 전에도 달성된다. 따라서 슬리브는 회전불가능한 연결이 제조되기 전에 샤프트 축에 대해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핑 장치는 높은 접촉력(contact force)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힘 전달을 갖지 않는다. 또한, 챔버는 그 형상에 있어서, 특히 슬리브 바디에 대한 배열에 있어서 제한된다. 여기서, 제동 작용은 양압(positive pressure)에 의한 가압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높은 구동력을 전달해야 하는 고유 제동 부재는 슬리브 바디와 단단히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압력 챔버에 의해서만 연결된다.
동일 출원인의 WO 01/34990 A1에는 가압될 수 있는 챔버가 베이스(base)에 제공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챔버는 적어도 하나의 벽 섹션의 일부분에서 제한되는데, 이러한 벽은 가요성을 가지지만 인장력 및/또는 압력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다. 벽 섹션의 반대편에 놓인 챔버의 제한은 제 1 벽 섹션과 마찬가지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 1 벽은 바디의 강성 부분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벽 섹션들이 비교적 좁은 간격으로 배열된다. 챔버의 변형으로 인해 야기되는 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벽 쪽으로 또는 벽을 따라서 안내되고 베이스와 벽 섹션의 연결 영역에서 이 베이스 안으로 삽입된다. 베이스 상의 이러한 힘 공급 지점이 적합하게 선택되고 이러한 베이스가 적어도 부분적으 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을 경우에는, 힘이 이러한 베이스 상에서 베이스의 다른 지점으로, 예컨대 클램핑 또는 제동 영역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영역에 있는 상응하는 제동 또는 클램핑 수단은 힘에 의해서 가압된 위치 안쪽으로 또는 이 위치로부터 이동될 수 있어서, 안내 부재 또는 클램핑 또는 제동될 부재가 제동되거나 릴리스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에 인장력 및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해서, 챔버 내에서 가압된 양압 및 음압(negative pressure)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은 힘 도입 전후에도 안내 부재 또는 클램핑 또는 제동될 부재와 맞물려 있을 수 있으나, 이로 인해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 그리고 이에 상응하는 다른 부재 사이의 가압력에서 변화가 발생한다.
공지된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는 음압 또는 양압에 의해 적합한 챔버가 가압될 때 이 챔버가 변형될 수 있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이러한 챔버의 대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거의 평면인 벽 섹션으로 형성되면, 챔버 내에서 작용하는 양압 또는 음압이 우선 제 1 방향으로의 변형을 야기하는데, 이러한 변형은 벽 섹션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제 1 방향으로의 변형(확장 또는 수축) 결과에 따라, 제 1 방향에 대해 일반적으로 수직 방향으로의(그로 인해 벽 섹션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해지도록) 챔버의 수축 또는 확장이 나타난다. 이 경우, 제 1 방향에서 나타나는 소량의 힘 또는 변형이 제 2 방향에서 큰 힘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제 2 방향에서 작용하는 큰 힘은 제동 또는 클램핑을 위해, 또는 초기 응력을 받은(biased) 클램핑 또는 제동 부재를 느슨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DE 28 48 651 A1에는 수축형 셀(contracting cell)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러한 셀은 매우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합한 인장력에 의한 직선 이동 경로를 생성한다. 한 실시예에서, 수축형 셀은 두 개의 스프링 플레이트, 예컨대 강판(steel plat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벨로우즈(bellows)에 의해 밀봉될 수 있는 압축 챔버가 상기 플레이트들 사이에 한정된다. 압축된 공기(compressed air)에 의해 벨로우즈가 가압됨으로써 스프링 강판이 휘어지기 때문에, 두 개의 강판의 하부 단부들이 상응하는 상부 단부 쪽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수축형 셀에 의한 제동력 및/또는 클램핑력의 발생에 대해서는 DE 28 48 651 A1에 기술되지 않는다.
언급한 종래기술을 전제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낮은 설치 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간단한 방식으로 충분히 높은 제동력 또는 클램핑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은 베이스 부재와 힘 공급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이러한 부재들을 연결하는 두 개의 벽 섹션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공간이 한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두 개의 벽 섹션은 각각 휨 영역(bending region)을 가지며, 이러한 휨 영역은 베이스 부재와 힘 공급 부재 사이에 스프링 부재가 형성될 정도로 인장력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며 그럼에도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압축 챔버가 양압 또는 음압에 의해 가압될 때 휨 영역의 굴곡 변동에 따라, 공급 부재에 의해서 물체에 전달되는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의 변화가 발생 하거나, 베이스 부재 쪽으로 또는 이 베이스 부재로부터 힘 공급 부재의 이동이 수행되도록 두 개의 벽 섹션 및 휨 영역이 형성된다. 베이스 부재 및 힘 공급 부재는 벽 섹션과 반드시 연결될 필요는 없다. 그 대신에, 벽 섹션은 베이스 부재 및 힘 공급 부재의 각각의 단부 영역에 힘을 공급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동일 출원인의 공지된 장치와는 달리, 강성 바디가 변형될 필요없이,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이 발생되거나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간단한 구조뿐만 아니라 낮은 전체 치수(overall size)가 달성된다.
힘 공급 부재가 단지 두 개의 벽 섹션에 의해서만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장치 제조가 쉬워질 수 있다. 물론, 벽 섹션의 측면 영역들 또한 내압 방식으로(pressure-tight) 실질적으로 밀봉되어야 한다(필요에 따라, 예컨대 압력 매체로서 압축 공기가 사용될 경우에는, 소량의 누설이 경우에 따라 허용될 수 있음).
비교적 약한 벽 섹션들을 가지며 양압에 의한 가압시 힘 공급 부재와 베이스 부재 간의 간격을 단지 확장시키는 공지된 클램핑 슬리브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양압 또는 음압에 의한 가압시 베이스 부재와 힘 공급 부재 간의 간격이 줄어들도록 형성되고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서,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체 장치에 장치가 적합하게 조립될 때 사전설정된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에 의해서 힘 공급 부재가 이와 상호작용하는 부재에 의해 가압된다. 양압 또는 음압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이러한 물체에 전달되는 힘이 상승, 하강 또는 완전히 소멸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부재와 힘 공급 부재 간의 간격이 음압 또는 양압에 따라 확대되거나 축소되며, 또는 이때 발생하는 힘이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벽 섹션들이 적합한 굴곡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벽 섹션의 휨 영역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0.1mm 내지 10mm, 특히 1mm 내지 5mm의 좁은 간격으로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벽 섹션들 간의 압력 챔버에 양압 및 음압에 가해질 때 굴곡이 커지면서 베이스 부재와 힘 공급 부재 간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전달가능한 힘이 감소될 수 있다.
최초 상태일 때 벽 섹션들은 적은 굴곡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휨 영역들이 우선 방향(preferred direction)을 획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벽 섹션에 의해 형성되는 스프링이 활성화되면 벽 섹션의 휨 영역들이 소정의 방향으로 휘어진다. 예컨대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휨 영역은 이러한 벽 섹션에 의해 한정된 압력 챔버 반대편에서 약간 볼록하게 바깥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 최초의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가압될 물체에 힘이 미리 전달되도록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가 전체 장치 내에 조립되면, 벽 섹션의 휨 영역들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 부재의 압축으로 인해, 상기 휨 영역들은 미리 결정된 방향에서 더 휘어진다. 그 뒤에, 양압이 가해지면 굴곡이 더 커지고, 전달된 힘이 감소하거나 완전히 소멸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렇게 형성되고 조립된 장치는 음압에 의해 가압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휨 영역의 굴곡이 더 축소되어 전달가능한 힘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벽 섹션들이 서로 완전히 평행해져서 이동할 필요가 없도록 최대 압력이 미리 정해진다. 그렇지 않으면 휘어짐이 바깥쪽으로 볼록하다가 안쪽으로 볼록하도록 바뀌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형성되는 굴곡은 압력 챔버에 대해 안쪽으로 볼록한 형태로 주어질 수 있다. 양압 또는 음압에 의해 가압될 경우의 장치 특성은 유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달가능한 힘이 상승하거나, 힘 공급 부재와 베이스 부재간의 간격이 확장되면,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서 벽 또는 휨 영역의 굴곡은 초기의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양압 또는 음압에 의한 가압시 작아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초기 상태일 때 큰 힘을 미리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굴곡은 수학적으로 미끄러운 함수(smooth function)에 따르므로, 날카로운 부분을 갖지 않도록 벽 섹션의 휨 영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벽 섹션들은 개별 부분들로 형성되고 부착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부착 영역과 벽 섹션이 바람직하게는 내압 방식으로 베이스 부재에 연결되거나, 개별 부분들로 형성되는 벽 섹션들은 바람직하게는 내압 방식의 상호 연결에 따라 베이스 부분을 형성하도록 부착 영역에서 형성될 수 있다.
벽 섹션들은 베이스 부재 영역에서 직각으로 휘어진 부착 영역을 각각 가질 수 있으며, 이 부착 영역들은 휨 영역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 부재와 바람직하게는 내압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에, 베이스 부 재는 조립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벽 섹션들은 개별 부분들로 형성되고 부착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부착 영역과 벽 섹션들이 바람직하게는 내압 방식으로 힘 공급 부재에 연결된다. 또한, 부착 영역들은 바람직하게는 내압 방식으로 상호 연결된 후에 힘 공급 부재를 형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벽 섹션의 측면 영역들은 측면 밀봉 부재들에 의해 밀봉될 수 있으며, 이러한 측면 밀봉 부재들은 벽 섹션의 측면 영역들과 동일 평면상에서 접촉하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벽 섹션들의 휨 영역의 굴곡 변동시에, 이러한 벽 섹션들은 밀봉 부재의 작용 표면 상에서 평평해진다. 그러나 이에 상응하는 접촉 압력(contact pressure)에 있어서 충분한 밀봉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물론 측면 영역들에서 벽 섹션들 사이에 밀봉 부재들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예컨대 접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밀봉 부재들은 벽 섹션들의 휨 영역의 굴곡이 변동될 때 밀봉 작용의 소멸없이 벽 섹션들의 이동이 함께 수행되도록 가요성있게 형성된다.
개별 부분들로 형성되는 벽 섹션들 사이에 베이스 부재 및/또는 힘 공급 부재 영역에서 각각 간격 부재(spacing element) 및/또는 밀봉 부재가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한편으로는 관련 에지 또는 벽 섹션들의 측면 영역의 밀봉이 가능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벽 섹션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압력 챔버의 소정의 부피가 달성된다.
그러나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은 부재가 중간에 놓여있지 않아도, 이 영역들에서 벽 섹션들이 서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래서 초기 상태일 때 나타나는 소정의 부피는 예컨대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벽 섹션의 휨 영역들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부재 또는 힘 공급 부재로부터, 관련 측면 밀봉 부재에 대한 고정 암(retaining arm)이 상응하는 다른 부재(힘 공급 부재 또는 베이스 부재) 쪽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때 측면 밀봉 부재는 벽 섹션의 측면 단부면과 고정 암 사이에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밀봉 부재는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가지며, 밀봉 부재가 사전설정된 접촉 압력에 의해 측면 단부면에 대해 가압되도록 측면 단부 벽 섹션과 고정 암 간의 간격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시 기계적 정지부에 의해 벽 섹션들의 휨 영역의 휨 이동 경로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지부는 바람직하게 베이스 부재와 연결된다. 따라서 정지부는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전체 휨 영역을 커버할 수 있으므로, 주어진 최대 압력을 초과할 경우에도 장치의 파손을 막을 수 있거나, 실제로 장치가 파손되는 경우에 주변에 존재하는 사람 또는 사물이 위험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힘 공급 부재가 각각 두 개의 벽 섹션에 의해서 베이스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이 지점에서, 베이스 부재와 힘 공급 부재의 연결 또한 가압가능한 공간을 각각 한정하며 쌍으로 제공된 다수의 벽 섹션들에 의해 가능하다는 사실이 언급된다.
특수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에 배치되는 다수의 힘 공급 부재의 경우, 베이스 부재는 고리형으로, 바람직하게는 원형 고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컨대 바 형태의 부재가 외부 둘레 주변에서 다수의 힘 공급 부재들과 클램핑되거나 제동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힘 공급 부재는 고리형의 베이스 부재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어서, 관형 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클램핑 또는 제동 장치에 의해 클램핑 또는 제동 작용이 생성될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드럼 제동(drum brake)인 경우이다.
이 경우, 쌍으로 제공되는 벽 섹션 또는 힘 공급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한 평면상에서 매우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컨대 쌍으로 제공된 벽 섹션들이 두 개의 벽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이러한 벽 부재는 고리형의, 바람직하게는 방사방향으로 슬롯을 갖는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슬롯 사이의 벽 영역들이 휨 영역을 형성하며, 휨 영역의 단부에 부착 영역이 제공되며, 이 부착 영역은 상응하는 힘 공급 부재와 연결되거나 힘 공급 부재를 형성한다. 벽 부재의 (원주 방향으로) 접하는 영역은 추가의 부착 영역을 형성하며, 이 부착 영역은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거나 이 베이스 부재를 형성한다.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벽 부재들 사이에 두 개의 고리형 밀봉 부재가 제공되는 방식으로 벽 섹션 간의 밀봉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밀봉 부재는 쌍으로 제공되는 벽 섹션을 위한 공통 압력 챔버를 형성한다. 이 경우, 밀봉 부재는 벽 부재의 부착 영역 사이에 밀봉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벽 부재의 휨 영역에는 두 개의 개별 고리형 밀봉 부재 대신에 관형 고리 부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형 고리 부재는 쌍으로 제공되는 벽 섹션을 위한 공통 압력 챔버를 형성한다.
각각 개별 힘 공급 부재가 각각의 벽 쌍과 연결되거나 벽 쌍에 제공되는 대신, 고리형의, 바람직하게는 슬롯형(slotted)의 싱글 힘 공급 부재가 벽 쌍의 단부 영역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베이스는 폐쇄된, 바람직하게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하우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우징 안에 벽 부재가 수용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내벽 섹션이 벽 섹션의 휨 영역의 최대 굴곡을 제한한다.
또한, 고리형의, 바람직하게는 슬롯형의 힘 공급 부재가 하우징 내에 고정되고 방사방향 치수 변동에 관련하여 안내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 부재 및 힘 공급 부재는 서로 연결되고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과 함께 일체형 베이스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벽 섹션은 단부 영역에 의해서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베이스에 작용할 수 있어서,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에 의한 베이스의 탄성적인 변형을 통해 힘 공급 부재에 의해 물체에 전달될 수 있는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의 변화가 야기되거나, 베이스 부재 쪽으로 또는 베이스 부재로부터 힘 공급 부재가 이동될 수 있다.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벽 섹션에 의해 베이스에 가해지는 초기 응력(biasing force)에 의해 베이스와 벽 섹션 간의 단단한 연결 없이도, 벽 섹션들 사이의 압력 챔버가 가압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장치가 제조될 수 있어서, 벽 섹션의 단부 영역에 의 해 가압되는 베이스 영역이 초기 응력을 받지 않은 최초 위치 쪽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이 베이스 상에 제공될 수 있어서, 가압시에 느슨해짐(loosening)(또는 클램핑 또는 제동력의 감소) 또는 클램핑(또는 클램핑력 또는 제동력의 상승)이 나타난다.
베이스(59)는 실질적으로 H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은 베이스의 평행한 림 상에서 베이스 중심 연결부의 한 측면에 제공되고, 베이스의 평행한 림들 사이의 벽 섹션들은 베이스 중심 연결부의 다른 측면에 제공되어, 이 측면에 힘을 가하는데, 이때 베이스는 중심 연결부 영역 또는 중심 연결부와 림의 연결 영역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59)가 실질적으로 U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은 베이스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림 상에 제공되고, 베이스의 평행한 림 사이에 벽 섹션들이 제공되어, 이러한 림에 힘을 가하는데, 이때 베이스는 U의 베이스 영역 및/또는 U형 베이스의 림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종속항에 제시된다.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도면으로서, 장치의 확대된 사시도(1a), 완전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1b) 및 완전 조립된 상태의 횡단면도(1c)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가 내부에 배치된 직선 가이드 의 사시도(2a) 및 횡단면도(2b)이며;
도 3은 도 2에 따른 직선 가이드의 횡단면도로서, 직선 가이드 내부에 배치된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의 제 2 실시예에서 로킹된(locked) 또는 제동된 상태(3a) 및 릴리스된(released) 상태(3b)이며;
도 4는 도 3의 실시예와 유사한,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4a) 및 횡단면도(4b)이며;
도 5는 도 3과 유사한, 디스크형 클램핑 또는 제동 부재의 주변에 배열된 다수의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6은 횡단면으로 제공된 원통형 물체에 힘을 가하기 위한 다수의 힘 공급 부재를 갖는 고리형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의 부분 사시도(도 6a) 및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6b)로서, 관형 고리 밀봉 부재가 가압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되며;
도 7은 두 개의 순환 링형 밀봉 부재에 의해서 가압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도 6과 유사한 다른 실시예이며;
도 8은 도 6과 유사한, 링형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의 사시도(도 8a), 횡단면이 둥근 원통형 물체에 힘을 가하기 위한 슬롯형 힘 공급 부재의 두 개의 단면도로서 가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도 8b) 및 가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8c)이며;
도 9는 횡단면이 H형인 힘 공급 부재를 가지며 가압 챔버(pressurization chamber)를 제한하는 평행한 두 개의 벽 섹션으로부터 힘을 수신하는 힘 공급 부재 의 실시예에 대한 두 개의 단면도로서, 가압되지 않은(초기 응력을 받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도 9a) 및 가압된(릴리스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도 9b)이다.
도 1a의 확대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는 두 개의 개별 벽 섹션 또는 벽 부재(3)를 포함하며, 이러한 벽 섹션 또는 벽 부재(3)는 한 단부(상부 영역)에서 벽 섹션의 나머지 프로파일(profile)에 대해 직각으로 구부러진다. 조립된 상태일 때 이러한 부착 영역(5)은 베이스 부재(base element)(7)와 연결되고, 이러한 베이스 부재(7)는 고정 플레이트(9) 및 밀봉 플레이트(11)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 영역에서 벽 섹션 또는 벽 부재(3)는 각각 또 다른 부착 영역(13)을 가지며, 이러한 부착 영역(13)은 조립된 상태일 때 힘 공급 부재(17)의 두 개의 조립 부분(15) 사이에 고정된다. 부착 영역들(13) 사이에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19)가 고정되며, 이러한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19)는 힘 공급 부재(17)의 조립 부분(15)과 동일한 길이 및 높이를 갖는다. 벽 부재(3)의 부착 영역(13)과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19)에 조립 부분(15)을 연결하는 것은 예컨대 나사 연결, 용접, 접착 또는 납땜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연결 라인(connection line)을 따라 내압 방식의 연결이 제조되도록 구현된다.
먼저, 구부러진 부착 영역(5)이 고정 플레이트(9)의 표면에 접촉할 때까지, 벽 부재(3)가 고정 플레이트(9) 중심에 있는 길이방향 슬롯(longitudinal slot)(21)을 통해 삽입되도록 장치의 조립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벽 부 재(3)의 부착 영역들(13) 사이에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19)가 삽입될 수 있다. 힘 공급 부재(17)는 조립 부분(15)이 부착 영역(13) 바깥쪽에 설치되고 이러한 부재들을 관련 영역에서 예컨대 리벳(rivet)이나 나사에 의한 결합 또는 용접에 의한 결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벽 부재들(3) 사이에서 위쪽으로 개방된 슬롯은 밀봉 플레이트(11)에 의해 폐쇄되며, 이러한 밀봉 플레이트(11)는 구부러진 부착 영역(5) 위에 배치된다. 밀봉 플레이트는 예컨대 나사 또는 리벳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9)에 연결되어, 구부러진 부착 영역(5)이 고정된다. 물론, 고정 플레이트(9), 밀봉 플레이트(11) 및 고정 플레이트(9)와 밀봉 플레이트(11) 사이에 배치되는 부착 영역(5)에 제공된 이와 같은 영역들은 다른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연결은 내압 방식으로 구현된다. 벽 부재들(3) 사이의 공간에 압력 매체(pressure medium)를 공급하는 것은 예컨대 고정 플레이트(9)의 중심에 있는 길이방향 슬롯(21) 영역에 있는 밀봉 플레이트(11)의 개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벽 섹션들(3)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는 공간의 측면 밀봉(lateral sealing)은 두 개의 측면 밀봉 부재(23)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밀봉 부재(23)는 조립 부분(15)으로부터 바깥쪽 상부로 연장되는 암(25) 및 이에 상응하여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19)로부터 바깥쪽 상부로 연장되는 암(27) 사이에서 벽 섹션(3)과 암(25, 27)의 측면 단부면 사이에 고정된다. 밀봉 부재들(23)은 충분한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또는 경질 고무(hard 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봉 부재는 암(25, 27)에 의해서 충분한 압력으로 벽 섹션(3)의 측면 단부면에 가압될 수 있어서, 충분히 내압된 밀봉이 보장될 수 있다.
이 지점에서, 도 1에 도시된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 상태가 가압된 상태일 수 있다는 사실이 언급된다. 이 상태에서 벽 섹션(3)의 휨 영역(3a)이 벽 섹션(3)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는 공간에 관련하여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도시된다.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도 1에 따른 장치(1)의 휨 영역(3a)은 예컨대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평탄하게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7)와 힘 공급 부재(17) 사이에서 탄성 부재를 형성하고, 이 탄성 부재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도 클램핑 또는 제동되는 물체에 충분한 가압력(pressurization force)을 전달할 수 있도록, 휨 영역(3a)이 형성되고 설계된다. 예컨대 벽 섹션은 스프링 강판(spring steel sheet)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프링 강판의 두께는 예컨대 0.5mm일 수 있다.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미리 주어진 힘에 의해 힘 공급 부재(17)가 가압될 때, 휨 영역(3a)이 각각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휨 영역(3a)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도 바깥쪽으로 약간 볼록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원하는 휨 방향에 대한 적합한 선호도가 구현된다.
그러나 물론 도 1에 따른 실시예는 가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에도 휨 영역(3a)이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지는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서, 마찬가지로 압력 챔버에 양압이 공급됨으로써, 힘 공급 부재(17)와 베이스 부재(9)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초기 응력을 받아서 조립된 장치가 가압될 물체에 전달되는 힘을 축소시킨다. 또한, 압력 챔버에 음압이 공급될 경우에는 전달되는 힘이 증가할 수 있는데, 그 이 유는 이와 같이 가압이 이루어질 경우에 휨 영역(3a)이 아래쪽으로 이동되거나, 그 결과 힘 공급 부재(17)와 베이스 부재(9) 사이의 간격이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도 1의 장치(1)의 효과는 도 2에서 직선 가이드(29)의 예로 도시된다. 직선 가이드(29)는 캐리지(carriage)(31)를 포함하며, 상기 캐리지(31) 상에 임의의 추가 물체가 배치되거나, 임의의 추가 물체에 상기 캐리지(31)가 연결될 수 있다. 캐리지(31)는 롤러 베어링(roller bearing) 또는 볼 베어링(ball bearing)에 의해서 레일(33) 상에서 안내된다. 도 1에 따른 장치(1)는 캐리지(31)의 지지부 플레이트 아래에서, 레일(33) 연장부 옆에 나란히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고정 플레이트(9)는 지지부 플레이트(35)의 하부측에 예컨대 나사에 의해 연결된다.
도 2에 따른 도면은, 도 2b의 장치(1)가 가압된 상태에 존재하고, 그 결과 벽 부재(3)의 휨 영역(3a)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실질적으로 평행하고 평평한 압력 영역과 함께)에 대해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지고 따라서 힘 공급 부재(17)가 물체(39)(레일(33)이 그 위에 배치됨)의 힘 공급면(37)으로부터 상승되었다.
직선 가이드(29)와 관련한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의 상기와 같은 형성예의 작용은 도 3a 및 도 3b의 변형된 횡단면도에서 한번 더 도시된다. 직선 가이드(29)를 위해 약간 변형된 실시예에서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가 사용되며, 상부 영역 또는 베이스 부재(7)가 두 개의 조립 부분(41)에 의해 형성되며, 이러한 조립 부분(41)은 벽 부재(3)의 상부 부착 영역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 이 경우, 힘 공급 부재(17)의 경우에서와 같이, 벽 부재(3)의 상부 부착 영역 사이에 마 찬가지로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43)가 사용된다. 조립 부분(41), 벽 부재(3)의 상부 부착 영역 및 상기 조립 부분(41)과 벽 부재(3)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43)의 연결은 나사 연결, 리벳 연결 또는 용접 등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부재(7)는 지지부 플레이트(35)의 긴 측면과 예컨대 나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부재(7) 내에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채널들(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압력 매체의 공급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채널 부분들이 조립 부분(41), 벽 부재(3)의 부착 영역 또는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43)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a는 장치(1)의 가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힘 공급 부재(17)가 물체(39)의 힘 공급면(37)에 대해 미리 정해진 힘으로 가압된다. 이러한 초기 응력을 받은 조립 상태에 의해 벽 부재(3)의 휨 영역(3a)이 약간의 굴곡을 형성하는 것은 도 3a에서 무시된다. 이를 통해서, 힘 공급 부재(17)가 초기 응력을 받은 조립 상태일 때 릴리스된 상태에 대해 예정된 경로로 베이스 부재(7)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초기 응력이 결정될 수 있다.
임의의 압력 매체, 바람직하게는 압축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벽 부재(3) 사이의 압력 챔버를 가압하는데 있어서, 휨 영역(3a)이 바깥쪽으로 볼록하게 휘어져서 초기 응력이 축소되거나, 결국 힘 공급 부재(17)가 힘 공급면(37)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동 또는 클램핑 작용이 축소되거나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의 실시예는 실질적으로 앞서 언 급한 실시예에 상응한다. 또한, 베이스 부재(7)에 의해 둘러싸이거나 이 베이스 부재를 형성하는 조립 부분(41)이 추가로 정지부(45)를 가지며, 상기 정지부(45)는 벽 부재(3)의 휨 영역(3a)의 최대 굴곡에 대해 인접 부재로서 후퇴한다. 정지부(45)는 조립부(41) 상부 영역으로부터 힘 공급 부재(17) 쪽으로 연장된다. 물론, 정지부는 횡단면으로 볼 때 전체 휨 영역(3a)에 걸쳐 연장된다. 따라서 벽 부재들(3) 사이에 형성되는 압력 챔버를 가압할 때 허용가능한 최대 압력이 초과될 경우에도 벽들이 파괴되지 않거나, 파괴시 주변의 모든 사람 또는 사물이 손상되지 않도록, 정지부(45)에 의해 보장된다.
도 5는 힘 공급을 받는 원통형 물체(39)로 이루어진 장치를 도시하며, 물체(39)의 원주면에서 등거리 간격(equidistant distance)(4)으로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가 배치된다. 개별 장치(1)는 예컨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힘 공급 부재(17)의 힘 공급면이 가압될 원통형 물체(39)의 반지름에 상응하는 반지름을 갖도록, 힘 공급 부재(17)가 힘 공급면 상에 형성되는 것이 유일한 차이점이다.
이 지점에서, 명확함을 위해,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에 대해 지금까지 기술된 모든 실시예에서, 힘 공급 부재 및 베이스 부재가 각각 단지 벽 부재(3)에 의해서만 연결된다는 사실이 한번 더 언급된다. 조립부(15) 또는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19)의 측면 암(25 또는 27)은 측면 밀봉 부재(23)의 고정을 위해서만 사용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부분(15)의 상응하는 짧은 고정 암이 힘 공급 부재(17) 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힘 공급 부재(17) 또한 측면 밀봉 부재(23)의 고정을 위해서만 사용된다. 조립부(15)의 적합한(짧은) 암 아래에 있는 암(25, 27)의 단부면 또는 상기 암(25, 27)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43) 사이에 갭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갭은 베이스 부재(7)에 대한 힘 공급 부재(17)의 적합한 자유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에 따른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는 링형으로 형성되며(도 6에서는 단지 절반의 부분 링 만이 도시됨), 방사방향 슬롯을 가진 두 개의 링형 벽 부재(3')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벽 부재(3') 사이에 개별 벽 섹션의 내부 부착 영역(13)에는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19)가 각각 배치되고, 링형 부착 영역(5)에는 링형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43)가 배치된다. 조립을 위해서, 부착 영역(5 및 13)의 벽 부재(3')는 상기 벽 부재들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43 또는 19)와 단단히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예컨대 나사 연결, 리벳 연결 또는 용접 등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6b에 도시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가 전체적으로 링형으로 제조된다. 링형 베이스 부재(7)로부터 쌍으로 제공된 다수의 벽 섹션(3)이 방사방향 안쪽으로 연장되고, 이러한 벽 섹션은 방사방향 슬롯에 의해 각각 분리된다. 이와 같이 쌍으로 제공되는 벽은 힘 공급 부재(17)와 각각 연결되고, 원통형 개구의 주변 섹션들을 내부 단부면에서 한정하고, 이러한 개구 내에서 원통형 부재가 가압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부재 등의 회전 샤프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의 작용들은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했던 바와 같이 작용한다.
도 6에 따른 실시예는, 쌍으로 제공된 각각의 벽 사이에 밀봉된 압력 챔버가 한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컨대 방사방향 슬롯에 인접한 벽 섹션 부분에 접착가능한 밀봉 부재가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개별 힘 공급 부재(17)의 개별 제어는 필요하지 않다. 이와 같은 이유로, 쌍으로 제공되는 벽 섹션에 의해 한정되는 전체 압력 챔버를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공통 압력 챔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벽 부재(3)의 휨 영역(3a) 사이에 링형 튜브 부재(47)가 삽입된다.
압축된 매체가 이러한 튜브 부재(47)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압시에 쌍으로 제공된 전체 섹션들이 균일하게 가압되고, 관련 휨 영역(3a)이 양압 공급시에 바깥쪽으로 휘어진다. 이 경우에도, 도 6에 도시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의 상태가 가압된 상태임이 전제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휨 영역(3a)은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힘 공급 부재(17)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가압될 때, 휨의 우선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 약간 볼록한 형상을 갖는 것은 별문제로 하고).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장치(1)는 가압되지 않은 상태의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압력 챔버에 음압이 공급될 때 개별 힘 공급 부재(17)가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 튜브형(47)의 벽 섹션들은, 이에 상응하여 안쪽으로 작용하는 힘이 휨 영역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벽 부재(3')의 내벽 섹션과 단단히 연결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방향 슬롯 내에 가로방향 밀봉 부재가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밀봉 부재는 개별 휨 영역(3a) 사이의 개별 압력 챔버를 밀봉한다.
도 7에 따른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의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거의 대응하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방사방향 슬롯을 가진 원형 링 모양의 벽 부재(3') 사이에 두 개의 원형 링 모양의 밀봉 부재(49)가 고정된다. 밀봉 부재(49)는 벽 부재(3')의 부착 영역(5)의 외부 링형 영역 그리고 개별 벽 섹션(3)의 내부 부착 영역(13)에 고정된다.
도 8은 횡단면이 원형인 부재, 예컨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바(bar) 또는 회전가능한 샤프트의 클램핑 또는 제동을 위해 적합한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물론, 이러한 실시예는 다른 횡단면을 갖는 부재가 클램핑되거나 제동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8a의 확대된 사시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치(1)는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부재(7)를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 부재(7)는 다른 부재에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하우징 절반부를 가지며, 이러한 하우징 절반부는 내부에서 링형 튜브 부재(47)의 양 측면에 각각 방사방향 슬롯을 가진 두 개의 벽 부재(3')를 수용한다(도 6 및 도 7의 실시예와 유사함). 그러나 이러한 벽 부재(3')는 서로 단단히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 둘레에 의해서 하우징 절반부(51, 53)의 주변 벽 섹션(55)에 지지되고, 내부 둘레에 의해서 또는 슬롯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방사방향 안쪽을 향하는 개별 벽 섹션(3)의 단부면에 의해서 방사방향으로 탄성 작용을 하는 힘 공급 부재(17)의 외부 둘레에 지지된다. 신축성(elastic property)을 달성하기 위해 링형 힘 공급 부재(17)는 바람직하게 슬롯형으로 형성되므로, 내부 지름 또는 내부 치수의 변동이 폐쇄된 링형 힘 공급 부재의 경우보다 작은 힘으로 가능하다. 벽 부재(3')는 초기 상태, 즉 링형 튜브 부재(47)의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치 안으로 삽입되는 클램핑될 또는 제동될 물체 없이, 미리 주어진 압축력이 튜브 부재(47)에 미리 작용하고 이러한 튜브 부재를 함께 가압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튜브 부재(47)에 양압이 공급되면 벽 부재(3')는 각각 바깥쪽으로 휘어져서, 도 8c에 도시된 최대 단부 위치를 취한다. 이러한 단부 위치는 적합한 하우징 절반부(51, 53)의 내벽 섹션에 의해 한정된다. 이 경우, 단부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허용가능한 압력이 초과될 경우라도, 하우징 절반부(51, 53)의 벽 섹션들은 주변을 위한 보호 수단으로서 또는 장치 파손을 막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튜브 부재(47)가 가압될 때, 튜브 부재(47)는 줄어드는 힘에 의해 방사방향으로 확장되며, 이러한 힘은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벽 부재(3')에 의해 힘 공급 부재(17)에 작용한다. 이 경우, 벽 부재(3') 및 힘 공급 부재(17)는 구조적 치수 및 재료 특성에 관련하여, 물체(39)의 완전한 릴리스가 요구되거나 물체(39)에 작용하는 클램핑력 또는 제동력이 미리 충분히 감소하도록 요구될 경우에, 힘 공급 부재(17)의 충분한 스프링 경로가 나타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 경우,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힘 공급 부재(17)는 하우징 절반부(51, 53)의 내부 둘레에 있는 링형 홈과 유사한 리세스(57) 내에서 방사방향 스프링 경로에 대해 안내될 수 있다.
튜브 부재(47)의 양 측면에서 두 개의 벽 부재(3')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상 태일 때 튜브 부재의 양 측면에서 단 하나의 벽 부재를 사용할 때보다 더 높은 클램핑력 또는 제동력이 존재한다. 그러나 물론 튜브 부재(47)의 양 측면에 임의의 개수의 벽 부재(3)가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바람직하게 슬롯형으로 형성되는 탄성적인 링형 힘 공급 부재의 특성이 특히 도 6 및 도 7에 따른 실시예의 특징과 결합될 수도 있다.
도 9는 직선형 물체(39), 예컨대 레일의 클램핑을 위한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하며, 이러한 물체(39)는 동일 출원인의 WO 01/34990 A1의 도 1과 유사하게 횡단면이 H 형태를 갖는 베이스(59)를 포함하며, 그러나 두 개의 벽 섹션은 베이스(59)의 상부 림과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상부 림에 접하여, 상부 림에 힘을 가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섹션들은 종방향 홈(61) 내에서 베이스(59)의 림의 내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벽 섹션(3)의 측면 단부 영역들 사이에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43)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43)는 벽 섹션(3)의 종측면을 측면으로 밀봉한다.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43)는 개별적으로 제조되어 장치(1) 조립시 벽 섹션(3) 사이에 삽입하거나, 또는 벽 섹션(3) 사이에 또는 종방향 홈(61) 안으로 밀봉 물질(sealing mass)을 사출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벽 섹션의 단부면에 추가의 밀봉 부재들이 제공되며, 이러한 밀봉 부재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밀봉 부재(23)와 유사하다.
베이스(59)는 클램핑되거나 또는 제동되는 물체에 관련하여, H형 베이스의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이 물체(39)를 완전히 릴리스하거나 요구되는 최소의 힘 을 물체에 가하도록 설계되며, 이때 벽 섹션들 사이의 공간은 허용가능한 최대 작동 압력에 의해 가압된다. 벽 섹션들(3) 사이에서 밀봉된 공간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벽 섹션들이 베이스의 림에 대해 힘을 가하는데, 이때 상부 림은 가요성있게 그리고 가역적으로 바깥쪽으로 휘어지고, 하부 림 및 클램핑 및 제동 영역은 안쪽으로 휘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적합한 강성의 벽 섹션(3)에 의해 베이스(59)의 상부 림에 그리고 베이스의 하부 림의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에 의해 미리 정해진 힘이 물체(39)에 가해진다. 이 경우, 도시된 예에서 수평 벽 섹션의 전이 영역에서 베이스의 수직 림 내부에 존재하는 힌지 영역(hinge region)에서, 베이스는 탄성적이고 가역적으로 휘어질 수 있다. 베이스의 림의 적합한 치수에 의해서 레버 비율(lever ratio)이 설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레버 비율은 상부 림에 작용하는 힘의 변속 또는 감속을 구현한다.
앞서 기술한 실시예의 범주에서 베이스(59)는 힘 공급 부재(17)로 표기되기도 하며, 이러한 힘 공급 부재(17)는 베이스 부재(7)와 통합된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더해서 기계적인 레버 변속 또는 감속 또한 통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8 및 도 9에 따른 실시예의 힘 공급 부재들은 도 1 내지 도 7에 따른 힘 공급 부재에 대해 탄성적으로 형성되며, 압력이 감소된 또는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물체에 가해지는 클램핑력 또는 제동력이 감소되거나 물체가 릴리스되는데, 이는 탄성적인 힘 공급 부재에 의해서 힘이 생성되어, 이러한 힘이 벽 섹션에 의해 힘 공급 부재에 가해진 힘에 반작용하는 방식으로 달성된다. 이는 적어도 벽 섹션들 또는 벽 부재들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가압될 때 물체가 완전히 릴리 스될 정도로 휘어질 수 있을 경우에 적용된다(이 경우에 물체는 벽 섹션에 의해 힘 공급 부재에 가해지는 힘이 적어도 완전히 제거될 때 자유롭게 이동할 수도 있다).
그러나 힘 공급 부재는 클램핑되거나 제동될 물체에 관련하여, 벽 섹션 또는 벽 부재를 통한 힘 작용없이 물체에 힘이 미리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이 경우, 클램핑 또는 제동에 관련하여 벽 섹션에 의해서 힘 공급 부재에 힘이 전혀 작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힘 공급 부재가 물체에 의해 미리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벽 섹션 또는 벽 부재에 의해서 클램핑 또는 제동에 관련하여 힘 공급 부재에 추가의 힘이 가해지며, 이러한 힘은 가압시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물론, 다른 형태의 다수의 베이스가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횡단면이 U형인 베이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벽 섹션이 U의 림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U의 림은 벽 섹션들 사이에 있는 공간이 가압될 때 탄성적으로 안쪽으로 휘어진다. 또한,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이 U형 림들 사이에 존재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가압시에 (증가된) 클램핑 또는 제동 효과가 달성된다.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이 U의 림 바깥쪽에 존재하면, 가압시에 물체에 전달되는 힘이 감소하거나 완전히 제거된다.
결론적으로, 개별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더 자세히 설명되는 전체 특징들이 다른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따른 실시예는 개별 벽 섹션(3)에서의 휨 영역(3a)의 휨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적합한 정지부들을 가질 수도 있다.

Claims (27)

  1. a) 베이스 부재(7)가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7)는 두 개 이상의 인접 벽 섹션(3)에 의해 힘 공급 부재(force-applying element)(17)와 단단히 연결되고, 생성된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이 상기 힘 공급 부재(17)에 의해 물체(39)에 전달될 수 있으며,
    b) 상기 두 개 이상의 인접 벽 섹션(3)이 양압(positive pressure) 또는 음압(negative pressure)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밀봉되는 압력 챔버를 한정하며,
    c) 상기 두 개 이상의 벽 섹션(3)이 각각 휨 영역(3a)을 가지며, 상기 휨 영역(3a)은 인장력(tensile force)에 대해 내성이 있으며 그럼에도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7)와 상기 힘 공급 부재(17) 사이에서 상기 휨 영역(3a)이 탄성 부재를 형성하며,
    d) 상기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가 가압되지 않은 삽입(built-in) 상태일 때, 상기 힘 공급 부재(17)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이 상기 물체(39)에 작용할 수 있으며,
    e) 상기 두 개 이상의 벽 섹션(3) 및 상기 벽 섹션(3)의 휨 영역(3a)은, 상기 압력 챔버가 양압 또는 음압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휨 영역(3a)의 굴곡 변동에 따라 상기 힘 공급 부재(17)에 의해 상기 물체(39)에 전달될 수 있는 상기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이 변화되거나, 상기 힘 공급 부재(17)가 상기 베이스 부재(7) 쪽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베이스 부재(7)로부터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2. a) 베이스 부재(7) 및 힘 공급 부재(17)가 제공되고, 생성된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이 상기 힘 공급 부재(17)에 의해 물체(39)에 전달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인접 벽 섹션(3)이 제공되고, 상기 벽 섹션(3)의 각각의 단부 영역이 상기 베이스 부재(7) 및 상기 힘 공급 부재(17)에 각각 힘을 가하며,
    b) 상기 두 개 이상의 인접 벽 섹션(3)이 양압 또는 음압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밀봉되는 압력 챔버를 한정하며,
    c) 상기 두 개 이상의 벽 섹션(3)이 각각 휨 영역(3a)을 가지며, 상기 휨 영역(3a)은 인장력에 대해 내성이 있으며 그럼에도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7)와 상기 힘 공급 부재(17) 사이에서 상기 휨 영역(3a)이 탄성 부재를 형성하며,
    d) 상기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1)가 가압되지 않은 삽입 상태일 때, 상기 힘 공급 부재(17)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이 상기 물체(39)에 작용할 수 있으며,
    e) 상기 두 개 이상의 벽 섹션(3) 및 상기 벽 섹션(3)의 휨 영역(3a)은, 상기 압력 챔버가 양압 또는 음압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휨 영역(3a)의 굴곡 변동에 따라 상기 힘 공급 부재(17)에 의해 상기 물체(39)에 전달되는 상기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이 변화되거나, 상기 힘 공급 부재(17)가 상기 베이스 부재(7) 쪽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베이스 부재(7)로부터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챔버가 양압 또는 음압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휨 영역(3a)의 굴곡 확대에 따라, 상기 힘 공급 부재(17)에 의해 상기 물체(39)에 전달되는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이 감소하거나, 상기 힘 공급 부재(17)가 상기 베이스 부재(7) 쪽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벽 섹션(3) 및 상기 벽 섹션(3)의 상기 휨 영역(3a)이 형성되고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휨 영역(3a)은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0.1mm 내지 10mm, 바람직하게는 1mm 내지 5mm의 작은 간격을 바람직하게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 섹션(3)은 개별 부분들로 형성되고 부착 영역(5)을 가지며, 상기 부착 영역(5)에 의해서 상기 벽 섹션(3)이 상기 베이스 부재(7)와 바람직하게는 내압 (pressure-tight)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부착 영역(5)은 바람직하게는 내압 방식으로 상호 연결된 후에 상기 베이스 부재(7)를 형성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벽 섹션(3)은 상기 베이스 부재(7) 영역에서 각각 직각으로 구부러진 부착 영역(15)을 가지며, 상기 부착 영역(5)은 상기 휨 영역(3a)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베이스 부재(7)와 바람직하게는 내압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7)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플레이트(retaining pl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 섹션(3)은 개별 부분들로 형성되고 부착 영역(13)을 가지며, 상기 부착 영역(13)에 의해서 상기 벽 섹션(3)이 상기 힘 공급 부재(17)와 바람직하게는 내압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부착 영역(13)은 바람직하게는 내압 방식으로 상호 연결된 후에 상기 힘 공급 부재(17)를 형성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챔버는 상기 벽 섹션(3)의 측면 영역에서 측면 밀봉 부재(23)에 의해서 밀봉되고, 상기 측면 밀봉 부재(23)는 상기 벽 섹션과 평평하게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9. 제 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별 부분들로 형성되는 상기 벽 섹션(3)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7) 및/또는 상기 힘 공급 부재(17) 영역에 간격 및/또는 밀봉 부재(19, 43)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7) 또는 상기 힘 공급 부재(17)로부터 상기 관련 측면 밀봉 부재(23)를 위한 고정 암(retaining arm)(25, 27)이 상기 힘 공급 부재(17) 또는 상기 베이스 부재(7) 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측면 밀봉 부재(23)는 상기 벽 섹션(3)의 측면 단부면과 상기 고정 암(25, 27) 사이에 바람직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 섹션(3)의 상기 휨 영역(3a)의 휨 운동 경로가 가압시 기계적 정지부(mechanical stop)(45)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정지부(45)는 상기 베이스 부재(7)와 바람직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힘 공급 부재(17)가 각각 두 개의 상기 벽 섹션(3)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 부재(7)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7)와 상기 힘 공급 부재(17) 사이에 쌍으로 제공된 상기 다수의 벽 섹션(3)이 제공되고, 상기 벽 섹션(3)은 하나의 단부 영역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재(7)에 힘을 가하고 다른 단부 영역에 의해 상기 힘 공급 부재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7)가 링(ring) 형태, 바람직하게는 원형 링(circular ring)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15. 제 12항 또는 제 12항 및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힘 공급 부재(17)는 상기 베이스 부재(7) 내에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원형 링 형태의 클램핑 영역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16. 제 13항 또는 제 13항 및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힘 공급 부재(17)는 상기 베이스 부재(7) 내에 배치되고, 링 형태, 바람직하게는 원형 링 형태 및/또는 슬롯(slot)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17. 제 1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쌍으로 제공되는 상기 벽 섹션(3)이 각각 하나의 평면 상에 놓이고 바로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쌍으로 제공되는 상기 벽 섹션(3)은 두 개의 벽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벽 부재는 링 형태, 바람직하게는 방사방향 슬롯을 가진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휨 영역(3a)의 슬롯 사이의 벽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힘 공급 부재(17)와 연결되거나 상기 힘 공급 부재(17)를 형성하는 부착 영역(13)은 상기 벽 섹션(3)의 각각의 단부 영역에 제공되며, 상기 벽 부재의 관련 영역은 또 다른 부착 영역(5)을 형성하며, 상기 부착 영역(5)은 상기 베이스 부재(7)와 연결되거나 상기 베이스 부재(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20. 제 12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쌍으로 제공되는 상기 벽 섹션(3)을 위한 공통 압력 챔버를 형성하는 상기 두 개의 링형 밀봉 부재(49)가 상기 벽 부재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밀봉 부재(49)는 상기 벽 부재의 상기 부착 영역(5, 13)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밀봉된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21. 제 12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재의 상기 휨 영역(3a) 사이에 튜브형 부재(47)가 제공되고, 상기 튜브형 부재(47)는 상기 쌍으로 제공된 벽 섹션(3)을 위한 공통 압력 챔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22. 제 12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부분 벽 부재의 스택(stack)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23. 제 12항 내지 제 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7)는 실질적으로는 폐쇄되는, 바람직하게는 두 부분으로 된 하우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벽 부재가 수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내벽 섹션이 상기 벽 섹션의 상기 휨 영역의 최대 휘어짐(maximum bending)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바람직하게는 슬롯형 힘 공급 부재(17)는 상기 하우징 내에 고정 되고, 방사방향 치수 변화에 관련하여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25. 제 2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힘 공급 부재는 서로 연결되고,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63)과 일체형인 베이스(base)(59)로 형성되고, 상기 두 개 이상의 벽 섹션(3)은 단부 영역에 의해서 가압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베이스에 힘을 가하여, 상기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가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상기 힘 공급 부재(17)에 의해 상기 물체(39)에 전달될 수 있는 클램핑력 및/또는 제동력이 변화되거나, 상기 힘 공급 부재(17)가 상기 베이스 부재(7) 쪽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베이스 부재(7)로부터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59)가 실질적으로는 H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은 상기 베이스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림(limb) 상에서 상기 베이스의 중심 연결부의 한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평행한 림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의 상기 중심 연결부의 다른 측면에 상기 벽 섹션이 제공되어 상기 림에 힘을 공급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중심 연결부 영역 또는 상기 중심 연결부와 상기 림의 연결 영역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59)는 실질적으로 U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 및/또는 제동 영역은 상기 베이스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림 상에 제공되고, 상기 베이스의 평행한 림 사이에 상기 벽 섹션이 제공되어 상기 림에 힘을 공급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U의 베이스 영역에 및/또는 상기 U형 베이스의 림 영역에서 탄성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KR1020057013326A 2003-01-20 2003-11-18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KR101067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02225.2 2003-01-20
DE10302225A DE10302225A1 (de) 2003-01-20 2003-01-20 Klemm- und/oder Bremsvorrichtung
DE20306924U DE20306924U1 (de) 2003-01-20 2003-05-05 Klemm- und/oder Bremsvorrichtung
DE20306924.2 2003-05-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334A true KR20060024334A (ko) 2006-03-16
KR101067554B1 KR101067554B1 (ko) 2011-09-27

Family

ID=3282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326A KR101067554B1 (ko) 2003-01-20 2003-11-18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92886B2 (ko)
EP (1) EP1585616B1 (ko)
JP (1) JP4602256B2 (ko)
KR (1) KR101067554B1 (ko)
AT (1) ATE342149T1 (ko)
AU (1) AU2003287866A1 (ko)
DE (2) DE10394210D2 (ko)
ES (1) ES2274289T3 (ko)
WO (1) WO2004067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29937B1 (de) * 2004-08-26 2009-01-21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Spanndorn mit innenliegenden Spannmitteln
DE102005033468A1 (de) * 2005-07-18 2007-01-25 Klaus Hofmann Spannvorrichtung
DE102009014117A1 (de) * 2009-03-24 2010-10-07 Peiseler Gmbh & Co. Kg Klemmvorrichtung
DE102009022206B3 (de) * 2009-05-20 2010-12-0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Lagerung mit einer Brems- und/oder Klemmvorrichtung
DE102010046451B4 (de) * 2010-09-24 2019-10-3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Lagerung mit einer Brems- und/oder Klemm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Lagerung
DE102012023831B4 (de) * 2012-12-06 2016-12-29 Günther Zimmer Brems- und/ oder Klemmvorrichtung mit federndem Grundkörper
US10259104B2 (en) * 2013-10-28 2019-04-16 Nikon Corporation Precision clamp
DE102019005877B3 (de) * 2019-08-22 2020-12-31 Günther Zimmer Brems- und/oder Klemmelement mit innenliegendem Druckraum
DE102021006219B3 (de) 2021-12-16 2022-12-15 Günther Zimmer Brems- und/oder Klemmvorrichtung mit kolbenbelastbarem Scheibenelement
DE102022100748B3 (de) * 2022-01-13 2023-03-02 Miha Vrhovec Selbstsichernde, fluidische Klemmvorrichtung
DE202023101258U1 (de) 2023-03-15 2023-11-28 Hema Maschinen- Und Apparateschutz Gmbh Gehäuseteil für eine pneumatische Klemm- und/oder Bremsvorrichtung
DE202023101270U1 (de) 2023-03-15 2023-11-30 Hema Maschinen- Und Apparateschutz Gmbh Pneumatische Klemm- und/oder Bremsvorrichtung
DE202023106554U1 (de) 2023-11-09 2024-07-10 Hema Maschinen- Und Apparateschutz Gmbh Elastisches Element für eine Klemm- und/oder Brem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6254E (fr) * 1966-01-05 1972-06-16 Anciens Etablissements T M B Mandrin a serrage par fluide.
US3422505A (en) * 1967-11-03 1969-01-21 De Long Corp Two-piece releasable gripper
DE1625452C3 (de) * 1967-12-15 1974-05-02 Rudolf 7300 Esslingen Spieth Vorrichtung zum loesbaren Verbinden zweier Verbindungskoerper,insbesondere einer Scheibe mit einer Welle
US3663027A (en) * 1970-09-14 1972-05-16 Ingersoll Milling Machine Co Fluid actuated clamp
EP0090885B1 (de) * 1982-04-01 1986-01-08 DE-STA-CO Metallerzeugnisse GmbH Druckmittelbetriebener Stellantrieb
JPH05325711A (ja) * 1992-05-21 1993-12-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に使用されるダイヤフラム
JPH06114613A (ja) * 1992-10-02 1994-04-26 Takamatsu Kikai Kogyo Kk ダイヤフラムチャックに於けるダイヤフラムの構造
ATE337500T1 (de) * 1999-11-11 2006-09-15 Hofmann Klaus Klemm- und/oder brems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554B1 (ko) 2011-09-27
EP1585616A1 (de) 2005-10-19
ATE342149T1 (de) 2006-11-15
WO2004067222A1 (de) 2004-08-12
AU2003287866A1 (en) 2004-08-23
US7392886B2 (en) 2008-07-01
EP1585616B1 (de) 2006-10-11
US20060042892A1 (en) 2006-03-02
JP4602256B2 (ja) 2010-12-22
JP2006513049A (ja) 2006-04-20
ES2274289T3 (es) 2007-05-16
DE10394210D2 (de) 2005-12-08
DE50305388D1 (de)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554B1 (ko) 클램핑 및/또는 제동 장치
JP4607110B2 (ja) クランプおよび/またはブレーキ装置
JP4245841B2 (ja) クランプおよび/またはブレーキ装置
JP5073683B2 (ja) クランプおよび/またはブレーキ機構
JP4452612B2 (ja) 車両のディスクブレーキ用のブレーキライニング
JP5351377B2 (ja) 力制限アセンブリ
JP6961680B2 (ja) 操作アセンブリおよび軸結合アセンブリを備えた、制動および/またはクランプ装置
JP5957471B2 (ja) 材料変位によって予備緊張可能なブッシング、およびこのブッシングを具備する軸受け
CA2357426C (en) Seal assembly for telescopic hydraulic cylinder
JP2010210090A (ja) 制動装置を備えたリニアガイド
US2576673A (en) Fluid seal
GB2307100A (en) Piezoelectric actuator
EP1906073A1 (en) Sealing organ for a tube
KR20020081093A (ko) 클러치-브레이크 겸용 조립체
US3647226A (en) Sealing cartridge assembly and ring element therefor
CN1738696B (zh) 夹紧和/或制动装置
MXPA02010774A (es) Ensamble de sello para limitar el movimiento de un sello dentro de un alojamiento de sello.
US6152276A (en) Actuation mechanism for a clutch pressure plate with axial effect and disengagement unit for a motor vehicle clutch
JP2791601B2 (ja) クラッチ装置
KR100756223B1 (ko) 미소변위 회전구동장치
JP4183300B2 (ja) 孔内への結合装置
KR200363808Y1 (ko) 단면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그루브가 형성된 오링
FI119004B (fi) Pitkänippitela
JPH11210715A (ja) 摩擦式クランプ装置
SU684173A1 (ru) Шпоночное соедин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9